KR100954489B1 - Ticket capture unit - Google Patents

Ticket capture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4489B1
KR100954489B1 KR1020070133506A KR20070133506A KR100954489B1 KR 100954489 B1 KR100954489 B1 KR 100954489B1 KR 1020070133506 A KR1020070133506 A KR 1020070133506A KR 20070133506 A KR20070133506 A KR 20070133506A KR 100954489 B1 KR100954489 B1 KR 100954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pair
box
transfer unit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5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65950A (en
Inventor
오재용
김대영
육진국
김경종
오광택
박현수
김태형
김경훈
고기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푸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푸른기술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3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4489B1/en
Publication of KR20090065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59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4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44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1/00Apparatus for validating or cancelling issued tick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차/지하철 역사에 설치, 운용되는 티켓 회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객으로부터 투입받은 카드 형태의 티켓의 데이터를 분석/처리하여 회수 또는 폐기 또는 반환토록 하는 티켓 회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apparatus installed and operated in a train / subway history, and more particularly, a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analyzing / processing data of a ticket in the form of a card received from a passenger to collect or discard or return. It is about.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티켓 회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제어 처리부(60)에 의한 제1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티켓 투입구(41)를 통해 승객으로부터 투입받은 카드 형태의 티켓(100)을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를 거쳐 티켓 회수장치(30)로 이송하는 티켓 이송부(40); 및 티켓 회수를 위해 제어 처리부(60)에 의한 제어에 따라, 상기 티켓 이송부(40)를 통해 이송되는 티켓(100)을 티켓박스(20) 내에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티켓 회수장치(30)를 포함하며, 상기 티켓 이송부(40)는, 상기 티켓 투입구(41)로부터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까지의 구간에 설치되어, 상/하로 그 벨트가 밀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1구동롤러(42)를 매개로 감겨진 제1벨트(43); 및 상기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로부터 티켓 회수장치(30)까지의 구간에 설치되어, 상/하로 그 벨트가 밀착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진, 제2구동롤러(44)를 매개로 감겨진 제2벨트(45)를 포함하며, 상기 티켓(100)은, 상기 티켓 투입구(41)로부터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까지의 구간에서는 상기 한 쌍의 제1벨트(43) 사이로 이송되고, 상기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로부터 티켓 회수장치(30)까지의 구간에서는 상기 한 쌍의 제2벨트(45) 사이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drive of the first drive motor by the control processing unit 60, the ticket-type ticket 100 received from the passenger via the ticket inlet 41 to the RF. Ticket transfer unit 40 for transferring to the ticket recovery device 30 via the data processing unit 50; And a ticket collection device 30 for sequentially stacking the ticket 100 transferred through the ticket transfer unit 40 in the ticket box 20 according to the control by the control processing unit 60 for ticket collection. The ticket transfer unit 40 is installed in a section from the ticket inlet 41 to the RF data processing unit 50, and includes a pair of first drive rollers 42, the pair of which allows the bel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 first belt 43 wound by a medium; And a second belt which is installed in a section from the RF data processing unit 50 to the ticket collection device 30 and is wound in a pair of second driving rollers 44, which is formed in a pair so that the belt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ticket (45), wherein the ticket (100) is transferred between the pair of first belts (43) in a section from the ticket inlet (41) to the RF data processor (50), and the RF data processor ( In the section from 50) to the ticket collection device 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between the pair of second belt (45).

티켓, 회수 처리장치, 티켓박스, 티켓 회수장치, 티켓 이송부,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 제어 처리부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unit, ticket box, ticket collection unit, ticket transfer unit, RF data processing unit, control processing unit

Description

티켓 회수 처리장치{Ticket capture unit}Ticket collection unit {Ticket capture unit}

본 발명은 기차/지하철 역사에 설치 및 운용될 티켓 회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에프 칩(RF chip)을 이용한 비접촉 데이터 처리 방식으로 승객이 티켓을 투입할 경우, 이를 입수한 다음 데이터를 분석/처리하여 이에 따라 회수 또는 반환토록 한 티켓 회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device to be installed and operated in a train / subway history,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passenger inputs a ticket by using a non-contact data processing method using an RF chip, the following data is obtained. It relates to a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analyzing / processing and collecting or returning accordingly.

일반적으로 많은 이용자를 처리해야 하는 지하철에는 매표, 개찰, 집찰, 정산 등의 역무가 모두 무인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무자동화시스템이 구축되어 다수의 승객이 지하철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신속히 처리하고 있다.In general, the subway, which has to deal with a large number of users, has a station automation system, which allows all the tasks such as ticketing, ticketing, billing, and settlement to be done unattended, so that many passengers can use the subway quickly.

이러한 역무자동화시스템에서 자동 검표기(AGM) 내에 설치되어 티켓을 자동으로 회수하는 티켓 회수기가 구비되어 있는 바, 사용자는 이러한 지하철 티켓을 가지고 지하철 개찰구를 통과해야 하는데, 개찰구의 티켓 이송 및 검표장치의 입구에 지하철 티켓을 삽입하게 되면 수초 내에 이송 및 검표장치의 출구로 티켓이 이상 없이 빠져나오면서 개찰구가 열리게 될 경우, 통과할 수 있게 된다.In such a station automation system, a ticket collection machine is installed in an automatic ticket vending machine (AGM) to automatically collect tickets. The user has to pass through the subway ticket gate with the subway ticket. When the subway ticket is inserted at the entrance, the ticket gates can be passed to the exit of the transfer and ticketing device within a few seconds, and when the ticket gate is opened, it can pass.

이때, 효력이 완료된 티켓은 회수 처리장치의 티켓박스에 저장되는 바, 종래의 1회용 티켓은 종이재질의 몸체를 구비하며 몸체의 일면에는 승차정보가 기록된 자기띠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valid ticket is stored in the ticket box of the collection processing device, the conventional disposable ticket is provided with a body of paper material, and one side of the body is formed with a magnetic strip in which riding information is recorded.

이러한 자기띠에는 승차정보가 기록되며 승차정보가 기록된 티켓은 처리기 내에서 그 이상 유무를 판독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기록 및 판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자기띠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Ride information is recorded on the magnetic stripe, and the ticket on which the ride information is recorded is read more or less in the processor. The magnetic stripe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such recording and reading can be easily performed.

그러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기 자기띠는 다른 자성체에 의해 그 기록 내용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the magnetic strip exposed to the outside has a problem that its contents are easily broken by other magnetic bodies.

또한, 상기 티켓은 종이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띠가 공중에 발생되는 오차나 승객의 부주의로 쉽게 구겨지게 되어 재사용이 어렵고, 상기 티켓 회수기 내부에서 이송도중 걸리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In addition, since the ticket is made of paper, the magnetic stripe is easily wrinkled due to an error occurring in the air or carelessness of the passenge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reuse and frequently occurs during transportation in the ticket collecting machine.

이런 잼현상은 상기 티켓 회수기의 유지보수 등을 어렵게 하며, 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라도 상기 티켓이 구겨진 상태에서는 판독기에서 자기기록 정보를 판독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어 승객에게 불편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Such jams make it difficult to maintain the ticket retrieval machine, and even when jams do not occur, the reader often cannot read the magnetic record information when the ticket is crumpled, causing inconvenience to passengers.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차/지하철 역사에 설치되며, RF칩이 내장된 카드 형태의 티켓을 사용하여 잼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동시에 판독을 정확히 하여 회수시 티켓박스를 교체하는 작업만을 수행할 경우(티켓의 재활용), 역무원(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운용 환경이 다양한 승객의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티켓에 기록된 내용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고, 회수된 티켓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티켓 회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it is installed in the train / subway history, using a ticket in the form of a card with a built-in RF chip, jams do not occur at the same time while reading the correct ticket box to recover If only the replacement operation is performed (recycling of the ticket), it can facilitate the use of the station attendant (user), the operating environment provides the convenience of various passengers, and ensures the reliability of the contents recorded in the ticke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icket retrieval processing apparatus that enables the retrieval of tickets collect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티켓 회수 처리장치는, 티켓 투입구(41)를 통해 투입된 카드 형태의 티켓(100)을 티켓 회수장치(30)로 이송하는 티켓 이송부(40); 및 티켓 이송부(40)에 의해 이송된 상기 티켓(100)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티켓박스(20)를 포함한다.
티켓 이송부(40)는, 상,하측에 밀착되게 위치한 한 쌍의 제1구동롤러(42)를 매개로 감겨진 한 쌍의 제1벨트(43); 및 상,하측에 밀착되게 위치한 한 쌍의 제2구동롤러(44)를 매개로 감겨진 한 쌍의 제2벨트(45)를 포함하여, 티켓(100)을 한 쌍의 제1벨트(43) 사이와 한 쌍의 제2벨트(45) 사이로 이송한다.
티켓박스(20)는, 티켓을 보관하는 파레트(24); 및 파레트(24)를 지지하며, 상기 파레트(24)를 일정량 순차적으로 하강시키는 엘리베이션 장치(25)를 포함한다.
The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icket transfer unit 40 for transferring the ticket 100 of the card type injected through the ticket inlet 41 to the ticket collection device (30); And a ticket box 20 for sequentially stacking the ticket 100 transferred by the ticket transfer unit 40.
The ticket transfer unit 40 may include a pair of first belts 43 wound around a pair of first driving rollers 42 in close contact with upper and lower sides; And a pair of second belts 45 wound by a pair of second driving rollers 44 positioned in close and upper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ticket 100 is connected to a pair of first belts 43. Transfer between and between a pair of second belt (45).
The ticket box 20 includes a pallet 24 for storing tickets; And an elevation device 25 supporting the pallet 24 and sequentially lowering the pallet 24 in a predetermined amount.

삭제delete

티켓 투입구(41)는 티켓(100)이 동시에 2매가 투입되지 않도록 베젤(bezel) 형상의 구조를 갖는다. 또한, 티켓 투입구(41)는 셔터(46); 및 셔터(46)의 개폐를 구동하는 셔터 솔레노이드(48)를 포함하여, 티켓 이송부(40)가 사용 불능 상태인 경우에, 셔터 솔레노이드(48)의 구동으로 셔터(46)가 상방으로 당겨져 티켓 투입구(41)로의 티켓 투입을 차단한다.The ticket inlet 41 has a bezel-shaped structure so that two tickets are not inserte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ticket opening 41 is a shutter 46; And a shutter solenoid 48 for driv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shutter 46, when the ticket transfer unit 40 is in an unusable state, the shutter 46 is pulled upward by the driving of the shutter solenoid 48 and the ticket inlet is opened. The ticket to 41 is blocked.

또한, 티켓 회수 처리장치는 폐기되는 티켓을 보관하는 폐표함(23); 및 티켓 이송부(40)에 의해 이송되는 티켓(100)을 티켓박스(20) 또는 폐표함(23)으로 이송되도록 경로를 설정하는 디버터 솔레노이드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closed box 23 for storing tickets discarded; And a diverter solenoid configured to set a path so that the ticket 100 transferred by the ticket transfer unit 40 is transferred to the ticket box 20 or the closed box 23.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티켓 회수 처리장치에 의하면, 기차/지하철 역사에 설치되며, RF칩이 내장된 카드 형태의 티켓을 사용하여 잼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동시에 판독을 정확히 하여 회수시 티켓박스를 교체하는 작업만을 수행할 경우, 역무원(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운용 환경이 다양한 승객의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티켓에 기록된 내용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d is installed in the train / subway history, using a card-type ticket with a built-in RF chip, when jams are not generated and at the same time read accurately If only the replacement of the ticket box is carried out,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station attendant (user), and the operating environment not only provides the convenience of various passengers, but also secures the reliability of the contents recorded in the ticket.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티켓 회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켓 회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켓 회수 처리장치의 티켓 투입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a ticket insertion slot of the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nt view.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켓 회수 처리장치의 티켓 이송 및 폐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icket transfer and closing of a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투입된 티켓(100)에 대하여 기록된 티켓(100) 정보를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에 보내 티켓(100)의 유효성을 파악하여 목적지에 도착한 사용자의 티켓(100)에 대하여 집찰 또는 반환을 행하는 티켓 회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nds the ticket 100 information recorded on the inserted ticket 100 to the RF data processing unit 50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ticket 100 to collect or return the ticket 100 of the user arriving at the destination. A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메인프레임(10)과, 티켓(100)을 수용하는 티켓박스(20)와, 승객의 투입한 티켓(100)을 티켓박스(20) 내에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티켓 회수장치(30)와, 상기 티켓(100)을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로 이송하고 그 결과에 따라 반환 또는 회수 이송동작을 담당하는 티켓 이송부(40)와, 상기 티켓(100)에 데이터를 입력 및 처리하는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와, 상기 티켓 회 수장치(30) 및 티켓 이송부(40)와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의 동작 및 운용을 위해 전자 회로 칩 등이 부착된 제어 처리부(60)를 포함하고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icket recovery device for sequentially stacking the main frame 10, the ticket box 20 for accommodating the ticket 100, and the ticket 100 inserted by the passenger in the ticket box 20 30, the ticket transfer unit 40 which transfers the ticket 100 to the RF data processing unit 50 and is responsible for return or recovery transf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and inputs and processes data to the ticket 100. The RF data processor 50, the ticket recovery device 30, the ticket transfer unit 40 and the RF data processor 50 for the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ntrol circuit 60 attached to the electronic chip, etc. Doing.

상기 메인프레임(10)은 본 발명의 구성들을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The mainframe 10 is installed in a structure capable of mount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티켓박스(20)는 알에프 칩이 내장된 카드 형태의 티켓(100)을 보관하는 박스로서, 밀폐성과 함께 운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티켓(100)의 종류에 따라 보관 및 저장되는 용량은 다르나, 0.5mm 두께를 기준으로 1000매를 저장할 수 있다.The ticket box 20 is a box for storing a ticket 100 in the form of a card with an RFID chip, and provides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with sealing, and the capacity to be stored and stored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ticket 100 One can store 1000 sheets at 0.5mm thickness.

상기 티켓 회수장치(30)는 티켓박스(20) 내의 티켓(100) 보관함인 파레트(24)를 지지하는 엘레베이션 장치(25)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수직 승하강 작동하도록 하며, 티켓박스(20) 내의 파레트(24) 위로 쌓이는 티켓(100)의 수량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도 2의 S10과 같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티켓(100)의 수량에 따라 회수 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제어 처리부(60)에 의한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엘레베이션 장치(25)를 통해 파레트(24)를 일정 공간 순차적으로 하향 동작시키게 된다.The ticket retrieval device 30 allows the elevator device 25, which supports the pallet 24, which is a storage box for the ticket 100 in the ticket box 20, to move up and down vertically by a driving motor (not shown).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the ticket 100 stacked on the pallet 24 in the box 20, preferably, the control processing unit for securing the recovery space according to the quantity of the ticket 100 detected through a sensor such as S10 of FIG. 2. The driving of the drive motor by 60 causes the pallet 24 to be sequentially operated downward in a predetermined space through the elevator device 25.

상기 티켓 회수장치(30)의 용량이 초과될 경우, 이를 감지하고 정보를 제어 처리부(60)에 송신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When the capacity of the ticket collection device 30 is exceeded, it detects this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control processor 60.

한편, 상기 티켓 이송부(40)는 승객이 투입한 티켓(100)을 1매씩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로 이송하고, 그 결과에 따라 반환 또는 회수 이송 동작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상기 티켓박스(20)가 제1 및 제2티켓박스(21,22)로 2개 장착되어 있으므로 이송 경로도 2개를 가지고 있으며, 각 경로는 중복되거나 간섭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icket transfer unit 40 is a device that is responsible for the return or retrieval transfer operation of the ticket 100 entered by the passenger to the RF data processing unit 50, one by one, the ticket box 20 2) are mounted as two first and second ticket boxes 21 and 22, and thus have two transfer paths, each of which has a structure that does not overlap or interfere.

또한, 상기 티켓(100)의 데이터를 판독 후 폐기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송 경 로를 통해 최종적으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폐표함(23)이 장착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the data of the ticket 100 needs to be discarded after reading, a closed box 23 is installed so that it can be finally recovered through the transfer path.

상기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는 티켓(100)에 승차구간, 운임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 및 처리하는 장치이고, 장치의 동작 및 운용을 위해 전자 회로 칩 등이 부착된 제어 처리부(60)가 설치되어 있다.The RF data processing unit 50 is a device for inputting and processing data related to a boarding section, a fare, and the like to the ticket 100, and a control processing unit 60 having an electronic circuit chip or the like installed therein for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device. have.

상기 제어 처리부(60)는 티켓 회수 처리장치 전반을 제어하되, 각종장치, 예를 들어 이후 설명되는 각종 센서 및 액츄에이터 부품들을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 processing unit 60 controls the overall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device, but controls various devices, for example, various sensors and actuator parts to be described later.

도 2는 센서를 비롯한 티켓 회수 처리장치의 전반적인 부품들이 나타나 있는 바, 이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illustrating general parts of a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a sensor. FIG.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에 앞서 센서 및 액츄에이터의 위치와 기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the sensor and the actuator will be described before explain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센서의 배치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arrangement and function of the sensor will be described.

티켓(100)의 회수 시작 위치에 설치된 S1,S2은 회수되는 알에프 카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티켓(100)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S1 and S2 installed at the collection start position of the ticket 100 are sensor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FID card to be recovered, and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ticket 100.

참조부호 S3, S4는 제1 및 제2티켓박스(21,22)의 회수 완료를 감지하게 되고 알에프 안테나의 위치를 감지하게 되며, 참조부호 S5는 티켓(100)의 투입 시 잼 현상이 발생함을 감지하게 된다.Reference numerals S3 and S4 detect the completion of the first and second ticket boxes 21 and 22 and detect the position of the RF antenna, and reference numeral S5 causes a jam when the ticket 100 is inserted. Will be detected.

또한, 참조부호 S12, S13, S18, S19, S21, S22는 폐표함(23) 및 티켓박스(20) 내의 티켓량을 감지하게 된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s S12, S13, S18, S19, S21, S22 detect the amount of tickets in the closed box 23 and the ticket box 20.

참조부호 S14, S15는 티켓박스(20) 내의 티켓(100)이 저정되어 있는 파레트(24)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모터의 구동을 감지하게 되며, S17은 티켓(100)의 입수 에 대한 허가 및 저지를 위해 장착된 셔터 솔레노이드(48)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Reference numerals S14 and S15 detect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pallet 24 on which the ticket 100 in the ticket box 20 is stored, and S17 permits and inhibits the acquisition of the ticket 100. The driving state of the mounted shutter solenoid 48 is detected.

참조부호 S20, S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티켓박스(20) 커버의 잠금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Reference numerals S20 and S23 detect the locking of the cover of the ticket box 20 as described above.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위치와 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the actuator will be described.

참조부호 ID1 ~ ID3은 각각의 티켓박스(20)에 대한 고유 인식장치로서, 총 8바이트의 Hex값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티켓박스(20)의 종류별로 고유번호를 다르게 부여하여 티켓박스(20)를 구별하게 되는 바, 이는 티켓박스(20)의 탈장착 여부 및 티켓박스(20)에 대한 관리 차원에서 사용된다.Reference numerals ID1 to ID3 are unique recognition devices for each ticket box 20, and are composed of a total of 8 bytes of Hex values, and the ticket box 20 is assigned with a unique number for each type of ticket box 20. It will be distinguished, this is used in the management of the ticket box 20 and whether the ticket box 20 is removable.

그리고, SW1, SW2는 티켓박스(20)의 탈장착을 검지하는 토글스위치이며, CN1은 티켓(100)의 회수 누적 수량을 표시하게 된다.SW1 and SW2 are toggle switches for detecting the detachment of the ticket box 20, and CN1 displays the cumulative number of times the ticket 100 is collected.

이와 같이 센서를 포함한 전반적인 부품들이 포함된 티켓 회수 처리장치의 주요 구성 및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us, the mai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overall components including the sensor in more detail as follows.

티켓박스(20)는 사방이 평판으로 둘러싸여 밀폐된 공간을 이루고 있으나, 티켓(100)을 내부에 적층할 수 있도록 전방에 커버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고, 커버 상단 우측에는 커버가 열림상태인지 잠금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커버열림감지용 센서(BOX1~BOX3)가 설치되어 있다.The ticket box 20 is surrounded by a flat plate to form a closed space, but the cover 100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can open and close the front cover to stack the inside, the cover is open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cover Cover open detection sensors (BOX1 to BOX3) to detect whether the lock state or is installed.

또한, 티켓(100) 데이터를 판독한 후 유효하지 않은 티켓(100)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폐표함(23)에는 폐표함 커버열림감지용 센서(BOX3)가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closed box cover open detection sensor BOX3 is provided in the closed box 23 that allows the invalid ticket 100 to be recovered after reading the ticket 100 data.

상기 티켓 처리장치(30)는 각 티켓박스(20)에 구동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구 동모터는 제1 및 제2티켓박스(21,22) 내의 파레트(24)를 상하로 이동시켜주게 된다.The ticket processing apparatus 30 is provided with a drive motor in each ticket box 20, the drive motor to move the pallet 24 in the first and second ticket boxes (21, 22) up and down. .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켓 회수 처리장치의 티켓 투입구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2매의 티켓(100)이 투입되었을 경우, 각각 1매씩 분리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티켓 이송부(40)를 구비한 바, 상기 티켓 이송부(40)는 다수의 부품들이 부착 고정되어 서로 연동되면서 티켓(100)을 인쇄, 이송, 회수, 반환 등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3 is a front view showing a ticket insertion slot of the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when two tickets 100 are inserted, each ticket is provided with a ticket transfer unit 40 so as to be separated and transported one by one. Bar ticket transfer unit 40 is a plurality of parts attached to and fixed to each other to perform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printing, transfer, retrieval, return of the ticket (100).

이러한 기능을 갖는 티켓 이송부(40)는, 전체적으로 가로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수직 측면 프레임에 다수의 부품이 고정 설치된다.In the ticket transfer section 40 having such a function, a plurality of parts are fixedly installed on a vertical side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a whole.

상기 2매의 티켓(100)이 동시에 투입되지 않도록 전면에 장착된 티켓 투입구(41)가 베젤(bezel) 형상으로 구현되므로 가능하다.The ticket inlet 41 mounted on the front surface is implemented in a bezel shape so that the two tickets 100 are not simultaneously introduced.

상기 티켓 투입구(41)는 그 사이의 갭 치수가 0.6mm로서, 티켓(100) 두께 0.5mm를 통과하게 설계되어 있어 2매의 티켓(100)이 동시에 투입될 경우에 두께 차이로 인해 입수가 불가능한 구조이다.The ticket opening 41 has a gap dimension of 0.6 mm, and is designed to pass through a thickness of 0.5 mm of the ticket 100 so that it is not available due to the difference in thickness when two tickets 100 are simultaneously inserted. Structure.

상기 티켓(100)을 투입할 수 있도록 된 티켓 투입구(41)는 일측단에 셔터(46)가 장착되며, 장치가 초기화 된 후 티켓(100)의 입수 가능한 상태가 되면 셔터(46)가 오픈되어 티켓(100)의 입수 대기상태가 되며, 상기 셔터(46)는 티켓(100) 1매가 투입되면 폐쇄된다.The ticket inlet 41 which is able to insert the ticket 100 is equipped with a shutter 46 at one end, and the shutter 46 is opened when the ticket 100 is available after the device is initialized. The ticket 100 is ready to be obtained, and the shutter 46 is closed when one ticket 100 is inserted.

즉, 상기 셔터(46)는 평상시에 하방으로 당겨져 티켓(100)을 투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티켓(100)이 투입되어 처리되기까지 셔터(46)가 상방으로 당겨져 상 기 티켓 투입구(41) 부분의 폭만큼의 폭을 가진 셔터(46)가 상기 티켓 투입구(41)를 차단시키게 된다.That is, the shutter 46 is normally pulled downward so that the ticket 100 can be inserted, and the shutter 46 is pulled upward until the ticket 100 is inserted and processed, so that the ticket opening 41 The shutter 46 having a width equal to the width of the) portion blocks the ticket inlet 41.

다시 말해서, 상기 티켓 이송부(40)의 사용 가능상태인 경우, 티켓(100)을 받아들이도록 셔터(46)를 하방으로 당겨서 티켓 투입구(41)를 개방시키고 사용 불능상태일 경우, 티켓(100)을 받지 못하도록 셔터(46)를 상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티켓(100)을 투입하는 티켓 투입구(41)를 차단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는 전면에서 승객이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ticket transfer unit 40 is in an available state, the ticket opening 41 is opened by pulling the shutter 46 downward to receive the ticket 100, and when the ticket transfer unit 40 is in an unusable state, the ticket 100 is opened. Blocking the ticket opening 41 for inserting the ticket 100 by facing the shutter 46 upward so as not to receive, this state has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confirmed by the passenger from the front.

상기 셔터(46)의 형상은 상기 티켓 투입구(41)의 이송 방향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동작은 셔터 솔레노이드(48)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shape of the shutter 46 is configured to close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ticket inlet 41 while moving vertically from below to upward, and this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shutter solenoid 48.

투입된 티켓(100)은 티켓 이송부(40)에 의해 이동되며, 이때 상기 티켓 이송부(40)로서는 벨트 및 롤러로 이루어진 이송수단을 사용하게 되고, 미도시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게 된다.The inserted ticket 100 is moved by the ticket transfer unit 40, and in this case, the ticket transfer unit 40 uses a transfer means consisting of a belt and a roller, and is driven by a driving motor (not shown).

이때, 상기 티켓 이송부(40)는 서로 대향하는 즉 소정간격 떨어져 있는 두 개의 롤러 사이를 벨트가 감겨져 롤러의 회전에 따라 벨트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하측에 거의 밀착되게 위치한 한 쌍의 제1구동롤러(42)를 매개로 감겨진 제1벨트(43)와, 제2구동롤러(44)를 매개로 감겨진 제2벨트(45) 사이에 티켓(100)이 벨트를 타고 우측 즉, 티켓(100) 대기 위치에서부터 티켓박스(20) 측으로 이송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ticket transfer unit 40 is a belt is wound between the two rollers facing each other, that is, a predetermined interval apart, so that the belt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ller, a pair of first close to the upper, lower The ticket 100 rides on the belt between the first belt 43 wound through the driving roller 42 and the second belt 45 wound via the second driving roller 44. 100 is transferred to the ticket box 20 from the standby position.

상기 제1 및 제2구동롤러(42,44)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가 상측에 연결벨트 를 매개로 상기 제1 및 제2구동롤러(42,44)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구동롤러(42)를 통과한 티켓(100)은 제2구동롤러(44)를 통과하기 전, 다음 단계인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로 이송되는 바, 상기 티켓(100)의 회수 명령이 수신되면 티켓 이송부(40)를 따라 티켓(100)에 승차구간, 운임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 및 처리하는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로 이송된다.A driving motor for driving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rollers 42 and 44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riving rollers 42 and 44 through a connecting belt on the upper side thereof, and the first driving roller (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driving roller 44, the ticket 100 is passed to the RF data processing unit 50, which is the next step. Along with 40, the ticket 100 is transferred to the RF data processor 50 for inputting and processing data related to a riding section, fare, and the like.

상기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에서 데이터 코딩이 실시되며, 이러한 데이터 코딩이 실시되는 위치는 알에프 카드의 인식을 위한 위치로서 현재 알에프 안테나(RF Antenna)가 인식할 수 있는 스펙 범위 내에서 알에프 데이터 코딩 위치가 정해지는 것이다.The data coding is performed in the RF data processor 50, and the position where the data coding is performed is a position for recognizing the RF card and the RF data coding position within a specification rang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RF antenna. Is determined.

상기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50)로 티켓(100)이 도착하게 될 경우, 먼저 티켓(100)의 유효성 검사를 실시하여 이상이 없는 정상 상태이면 데이터 코딩을 진행하게 된다.When the ticket 100 arrives at the RF data processing unit 50, first, the validity check of the ticket 100 is performed to proceed with data coding in a normal state without abnormality.

즉, 티켓(100)에 승차구간, 운임 등과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data related to the riding section, the fare, etc. are input to the ticket 100.

상기 티켓(100)에 데이터를 코딩한 후 티켓(100)은 반환 또는 회수를 하게 되며, 이는 상기 제어 처리부(60)의 제어에 의한 디버터 솔레노이드(47)에 의해 경로가 결정된다.After coding the data in the ticket 100, the ticket 100 is returned or retrieved, which is determined by the diverter solenoid 47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processor 60.

한편, 데이터의 유효성 검사를 실시하고, 회수 동작을 진행하여 티켓(100)을 티켓박스(20) 방향으로 이송시키되, 이송 유로에 설치된 다수개의 센서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이송된다.Meanwhile, the validity of the data is checked and the collection operation is performed to transfer the ticket 100 in the direction of the ticket box 20,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the transfer flow path.

이때, 승객의 편리를 위해서 티켓(100)의 이송 속도는 적절한 값으로 조정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conveyance speed of the ticket 100 is adjusted to an appropriate value for the convenience of the passenger.

만일, 상기 티켓(100)이 훼손되거나 데이터 코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또는 티켓(100)의 사용 회수 등을 감지하여 티켓(100)에 대한 폐기 명령이 전달될 경우, 구동모터가 동작하면서 티켓(100)은 폐표함(23)으로 회수되며, 이러한 폐표 및 회수 여부의 판단은 제어 처리부(60)에서 실시된다.If the ticket 100 is damaged or data coding is not performed normally, or if the number of times of use of the ticket 100 is sensed and the discard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ticket 100, the driving motor operates and the ticket is operated. 100 is collected in the closed box 23,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such closed and collected is carried out in the control processing unit (60).

이때, 상기 티켓(100)의 이동과 동시에 디버터 솔레노이드(47)가 동작되면서 폐표함(23)으로 티켓(100)이 이송될 수 있도록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diverter solenoid 47 is operated at the same time as the ticket 100 is moved, the route is set so that the ticket 100 can be transferred to the closed box 23.

이때, 제1티켓박스(21)의 디버터 솔레노이드(47)는 동작하지 않으며, 제2티켓박스(22)의 디버터 솔레노이드(47)는 차단되어 이송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diverter solenoid 47 of the first ticket box 21 does not operate, and the diverter solenoid 47 of the second ticket box 22 is blocked to set the transfer path.

참조번호 S12, S13에 의해 폐표함(23) 내의 티켓량이 꽉찬 상태로 감지되면 상기 디버터 솔레노이드(47)가 오프된다.When the amount of tickets in the closed box 23 is detected by reference numerals S12 and S13, the diverter solenoid 47 is turned off.

상기 티켓(100)의 회수는 제1티켓박스(21)에서 완전히 종료될 때까지 그 이송 경로를 유지하고, 상기 제1티켓박스(21)에 모두 회수되고 티켓량이 꽉찬 상태로 감지되면 제2티켓박스(22)의 회수를 실시하게 된다.The collection of the ticket 100 is maintained in the transfer path until the first ticket box 21 is completely terminated, the second ticket if all the tickets are collected in the first ticket box 21 and the ticket amount is full The box 22 is recover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has been claim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It includes all the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that can be carried ou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티켓 회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티켓 회수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2 is a front view showing a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티켓 회수 처리장치의 티켓 투입구를 나타내는 정면도,3 is a front view showing a ticket insertion slot of the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티켓 회수 처리장치의 티켓 이송 및 폐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ticket transfer and closing votes of the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메인프레임 20 : 티켓박스10: mainframe 20: ticket box

30 : 티켓 회수장치 40 : 티켓 이송부30: ticket collection device 40: ticket transfer unit

50 : 알에프 데이터 처리부 60 : 제어 처리부50: RF data processor 60: control processor

Claims (8)

티켓 회수 처리장치에 있어서,In the ticket collection processing apparatus, 티켓 투입구(41)를 통해 투입된 카드 형태의 티켓(100)을 티켓 회수장치(30)로 이송하는 티켓 이송부(40); 및 상기 티켓 이송부(40)에 의해 이송된 상기 티켓(100)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티켓박스(20)를 포함하며,A ticket transfer unit 40 for transferring the ticket 100 in the form of a card inserted through the ticket insertion port 41 to the ticket recovery device 30; And a ticket box 20 for sequentially stacking the ticket 100 transferred by the ticket transfer unit 40. 상기 티켓 이송부(40)는, 상,하측에 밀착되게 위치한 한 쌍의 제1구동롤러(42)를 매개로 감겨진 한 쌍의 제1벨트(43); 및 상,하측에 밀착되게 위치한 한 쌍의 제2구동롤러(44)를 매개로 감겨진 한 쌍의 제2벨트(45)를 포함하여, 상기 티켓(100)을 상기 한 쌍의 제1벨트(43) 사이와 상기 한 쌍의 제2벨트(45) 사이로 이송하며, 그리고The ticket transfer unit 40 includes a pair of first belts 43 wound around a pair of first driving rollers 42 in close contact with upper and lower sides; And a pair of second belts 45 wound around a pair of second driving rollers 44 positioned in close and upper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ticket 100 is connected to the pair of first belts. 43) and between the pair of second belts 45, and 상기 티켓박스(20)는, 티켓을 보관하는 파레트(24); 및 상기 파레트(24)를 지지하며, 상기 파레트(24)를 일정량 순차적으로 하강시키는 엘리베이션 장치(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회수 처리장치The ticket box 20, a pallet 24 for storing tickets; And an elevation device 25 supporting the pallet 24 and sequentially lowering the pallet 24 in a predetermined amou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 투입구(41)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icket opening 41 상기 티켓(100)이 동시에 2매가 투입되지 않도록 베젤(bezel) 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회수 처리장치.Ticket retrieval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cket (100) has a structure of a bezel (bezel) so that two sheets are not inserted at the same tim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티켓 투입구(41)는According to claim 3, The ticket opening 41 셔터(46); 및Shutter 46; And 상기 셔터(46)의 개폐를 구동하는 셔터 솔레노이드(48)를 포함하여,Including a shutter solenoid 48 for driv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hutter 46, 상기 티켓 이송부(40)가 사용 불능 상태인 경우에, 상기 셔터 솔레노이드(48)의 구동으로 상기 셔터(46)가 상방으로 당겨져 상기 티켓 투입구(41)로의 티켓 투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회수 처리장치.When the ticket transfer unit 40 is in an unusable state, the ticket retriev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utter 46 is pulled upward by the driving of the shutter solenoid 48 to block the ticket insertion into the ticket inlet 41. Processing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폐기되는 티켓을 보관하는 폐표함(23); 및A closed box 23 for storing tickets discarded; And 상기 티켓 이송부(4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티켓(100)을 상기 티켓박스(20) 또는 상기 폐표함(23)으로 이송되도록 경로를 설정하는 디버터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켓 회수 처리장치.Ticket retrieval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iverter solenoid for setting the path to be transferred to the ticket box 20 or the closed box 23, the ticket 100 transferred by the ticket transfer unit 40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133506A 2007-12-18 2007-12-18 Ticket capture unit KR1009544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506A KR100954489B1 (en) 2007-12-18 2007-12-18 Ticket capture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506A KR100954489B1 (en) 2007-12-18 2007-12-18 Ticket capture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950A KR20090065950A (en) 2009-06-23
KR100954489B1 true KR100954489B1 (en) 2010-04-22

Family

ID=4099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506A KR100954489B1 (en) 2007-12-18 2007-12-18 Ticket capture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448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889B1 (en) * 2010-10-06 2012-03-26 손영진 One time ticket traffic card revulsion appratus of slim gate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03763A (en) * 2009-12-18 2011-06-22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Ticket and card reclaiming device
CN109292489A (en) * 2018-10-25 2019-02-01 普天轨道交通技术(上海)有限公司 The ticket card transmitting mechanism of automatic replacement ticket box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3939B1 (en) 1996-06-04 2000-08-16 니시무로 타이죠 Automatic ticket-examining apparatus for collecting wireless tickets
KR20020028750A (en) * 2000-10-11 2002-04-17 윤학범 Subway charge accounting system using a fixed-amount ticket of non-contact type and single-ride ticket
KR200355455Y1 (en) 2001-03-16 2004-07-0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Automatic ticket checking apparatus
KR100475553B1 (en) * 2001-08-17 2005-03-1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Automatic ticket checking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type ticket issuing apparatus and ticket check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3939B1 (en) 1996-06-04 2000-08-16 니시무로 타이죠 Automatic ticket-examining apparatus for collecting wireless tickets
KR20020028750A (en) * 2000-10-11 2002-04-17 윤학범 Subway charge accounting system using a fixed-amount ticket of non-contact type and single-ride ticket
KR200355455Y1 (en) 2001-03-16 2004-07-0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Automatic ticket checking apparatus
KR100475553B1 (en) * 2001-08-17 2005-03-1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Automatic ticket checking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type ticket issuing apparatus and ticket check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889B1 (en) * 2010-10-06 2012-03-26 손영진 One time ticket traffic card revulsion appratus of slim gate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5950A (en) 2009-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489B1 (en) Ticket capture unit
KR100475553B1 (en) Automatic ticket checking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type ticket issuing apparatus and ticket checking system
KR101363243B1 (en) Bill handling apparatus
KR100954480B1 (en) Ticket issue unit
KR101154171B1 (en) Medium handling apparatus,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6192240A (en) Ticket examination machine
KR200405940Y1 (en) Automatic ticket reading and selective dischange device
KR100335854B1 (en) Ticket Checker Using Automatic Feeding System
JP2009070199A (en) Automatic teller machine
KR100959480B1 (en) Automatic fare collection
JP2006260486A (en) Ticket gate and ticket checking method
TW309609B (en)
JP4091393B2 (en) Automatic ticket gate
KR20190021593A (en) Media processing apparatus and financial device thereof
KR0140461Y1 (en) Number recognition device of atm
KR102024102B1 (en) Medium cassette, financi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JP6226402B2 (en) Ticket machine
JP6226401B2 (en) Ticket machine
KR101815385B1 (en) Medium stacking apparatus, financi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469597B2 (en) Ticket gate and ticket gate method
KR200189774Y1 (en) RF card dispensing device of disposable RF card dispenser
JP2001022966A (en) Automatic ticket examination machine processing plural media
KR101012427B1 (en) Recycle and refund machine of rf trasportation card
JP2002329230A (en)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JP5117863B2 (en) Media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