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394B1 - Space management method for virtual reality service - Google Patents

Space management method for virtual reality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394B1
KR100952394B1 KR1020070137939A KR20070137939A KR100952394B1 KR 100952394 B1 KR100952394 B1 KR 100952394B1 KR 1020070137939 A KR1020070137939 A KR 1020070137939A KR 20070137939 A KR20070137939 A KR 20070137939A KR 100952394 B1 KR100952394 B1 KR 100952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user
public
virtual reality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9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70065A (en
Inventor
김채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7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394B1/en
Publication of KR20090070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0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3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08Management of client data
    • H04N21/25816Management of client data involving client authent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가상현실 서비스를 통해 타인이 방문하는 공개 공간과 자신이 직접 관리하는 개인 공간을 분리하여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노출 특성과 개인화 특성이 공존하는 가상현실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주어진 공간을 사용자 접속에 무관하게 공개되는 공개 공간과, 사용자 접속 시에만 공개되는 개인 공간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의 공개 특성과 접속 기반 특성을 가상현실의 현실감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rtual reality service is provided to separate a public space visited by another person and a personal space directly managed by an online virtual reality service, thereby providing a virtual reality space in which exposure characteristics and personalization characteristics coexis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 management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reality community service by allowing a user to divide a space given to a user into an open space regardless of user access and a private space open only when the user is connected. There is an effect that both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onnection-based characteristics can be satisfied within the scope of not impairing the reality of virtual reality.

가상 현실, 아바타, 커뮤니티, 공간, 공간 분할, 포스팅, 게이트 Virtual reality, avatar, community, space, spatial division, posting, gate

Description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SPACE MANAGEMENT METHOD FOR VIRTUAL REALITY SERVICE}SPACE MANAGEMENT METHOD FOR VIRTUAL REALITY SERVICE

본 발명은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라인 가상현실 서비스를 통해 타인이 방문하는 공개 공간과 자신이 직접 관리하는 개인 공간을 분리하여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공개 특성의 커뮤니티 서비스와 사용자 접속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결합한 가상현실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and in particular to manage the public space and the personal space directly managed by the other person visits through the online virtual reality service, the community service and the user of the public characteristic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that can effectively provide a virtual reality space combining a virtual reality service based on a connection.

급속한 컴퓨터 연산 기능 및 그래픽 처리 능력의 발전과 고속 인터넷 선로의 대중화에 따라 다양한 3차원 온라인 게임이 일반화되었으며, 특정한 게임의 목적을 달성해야 하는 게임과 달리 실제 생활 공간의 3차원 구현과 이를 통한 가상현실 체험을 위한 새로운 개념의 "체험형 가상 현실" 서비스도 상용화되어 점차 규모를 넓혀가고 있다.Various 3D online games have become common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computing function and graphic processing capability and popularization of high speed internet line. Unlike games that need to achieve a specific game purpose, 3D realization of real life space and virtual reality through it A new concept of "experienced virtual reality" service for experience is also being commercialized and expanding.

이러한 체험형 가상 현실 서비스는 실제 생활에 대한 유사성을 강조한 서비 스와 특정한 목적을 위해 특정 기능을 특화시키고 그 외의 기능은 생략한 서비스로 나누어질 수 있다.These experience-type virtual reality services can be divided into services that emphasize similarities to real life and services that specialize in specific functions for specific purposes and omit other functions.

즉, 실제 현실과 유사하도록 물리적 법칙이 대부분 유지되도록 하고, 실제 생활 패턴 또한 대부분 유지되도록 하여 마치 새로운 세계에 온 것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과, 미팅이나 오디션, 파티 등과 같은 특정한 기능을 강조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과, 커뮤니티 기능에 가상현실 기능을 부가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들이 존재한다. In other words, the physical laws are maintained to be similar to the real world, and the actual life patterns are also maintained, so that the service emphasizes specific functions such as meetings, auditions, parties, etc. There are ways to provide and ways to provide services that add virtual reality functions to community functions.

그러나, 너무 실제와 같은 서비스는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에서 구현되는 세계에 대한 이해가 깊지 않을 경우 서비스의 이용이 쉽지 않고 지루해질 수 있다. 또한, 실제의 생황 패턴과 유사한 제한이 있어 실제 생활의 복잡성이 그대로 반영된다. 예를 들어, 집을 사려면 복잡한 절차가 필요하고, 사람을 만나려면 낮선 사람들이 북적이는 거리를 지나 특정한 약속 장소에 가야 하거나 모임을 가지려면 물리적으로 공간을 이동하여 모든 사용자가 해당 장소에 모여야 한다거나 하는 실생활에서 발생되는 불편함도 그대로 존재하게 된다. 특히, 특정한 목적이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 스스로 재미있는 장소를 찾아가거나 사람들과 마주치면서 관계를 형성하는 등 서비스에 익숙하지 않다면 지루함을 느낄 수 있고, 서비스에 익숙해지기 위해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잘 사용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However, a service that is too real may be difficult and boring to use if the user does not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the world in which the service is implemented. In addition, there are limitations similar to the actual life patterns, so that the complexity of real life is reflected intact. For example, buying a house requires a complicated process, and meeting people has to go through a crowded street to a specific appointment, or to physically move a space so that everyone can gather in that place. Inconvenience that occurs in real life also exists. In particular, if you are not familiar with the service, such as visiting a fun place for yourself or forming a relationship with people, you may feel bored if you are not given a specific purpose, and in order to become familiar with the service and to use the service effectively, It takes time.

한편, 특정한 목적을 위한 가상현실 서비스는 해당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이 강조되기 때문에 해당 기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투자되어야 하며, 대부분 상용 서비스로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 분포도 한정되어 있 다.On the other hand, the virtual reality service for a specific purpose is emphasized the function to perform the purpose, so much time must be invested to use the function effectively, and the distribution of users is also limited because most of it is provided as a commercial service.

따라서, 기존의 홈페이지나 블로그 등과 같은 커뮤니티 기능에 가상현실 기능을 도입한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가 체험형 가상현실 서비스의 킬러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도입되고 있는데, 이를 통해서 가상현실 인터페이스를 통한 현실감과 커뮤니티 서비스의 정보 공유 특징을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즉, 가상현실 서비스와 같이 3차원 공간을 여행할 수 있으며, 해당 공간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해당 사용자가 게시한 각종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특별한 목적이 없더라도 지루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며, 자신의 공간이 부여되므로 해당 공간을 꾸며서 방문자에게 공개하고자 하는 즐거움도 얻게 된다. Therefore, the virtual reality community service that introduces the virtual reality function to the community functions such as the homepage or the blog is introduced as a killer application of the experience type virtual reality service, through which the reality and the information sharing of the community service are shared through the virtual reality interface. All the features are available. In other words, you can travel in a three-dimensional space like a virtual reality service, and you can easily check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 of the space and share various information post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use the service, and because it is given its own space, it is possible to enjoy the pleasure of decorating the space and opening it to visitors.

도 1은 종래의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의 예를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사용자는 3차원 공간에 자신의 공간(집)을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맵을 멀리서 내려다보면서 이동하는 네비게이션 방식을 가상현실 인터페이스로 적용하여 사용자들의 공간이 배치된 맵(Map)을 여행하다가 마음에 드는 사용자 공간을 발견한 경우 해당 사용자 공간을 선택하여 관련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virtual reality community service, and as illustrated, each user may arrange his or her own space (house) in a three-dimensional space. If you find a user space you like while traveling through the map where the user's space is located by applying the navigation method that moves while looking down the map from a distance, the user space is selected and related user information is selected. You can check it.

도 2는 상기 도 1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정 사용자 공간을 선택할 경우 제시되는 화면의 예를 보인 것으로, 자신의 공간을 꾸미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미니홈피'(싸이월드)와 블로그를 결합한 것 같은 컨텐츠가 제공된다. 즉, 사용자는 3차원 맵 상에 자신의 땅을 구하고 집을 지어 가상현실 서비스와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자신의 집을 선택하면 편집 가능한 특정 공간과 사용자가 공유하는 각종 자료들을 게시판이나 자료실 형태로 제공하는 일종의 블로그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공되는 편집 가능한 특정 공간은 사용자가 다양한 공간 아이템들로 꾸밀 수 있으며, 사용자 아바타 역시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 아바타는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없는 단순한 공간 아이템의 일부에 불과하여 사용자의 접속이나 이동에 무관하게 항상 그 자리에 존재하게 된다.2 shows an example of a screen that is presented when a specific user space is selected through the interface as shown in FIG. Is provided. In other words, the user saves his land on a 3D map and builds a house to compose an interface similar to a virtual reality service. Provide a kind of blog. The specific editable space provided herein may be decorated by the user with various space items and may also represent a user avatar. However, the user avatar is only a part of a simple space item that the user cannot directly control and always exists in place regardless of the user's connection or movement.

도 1 및 2를 통해 예를 든 종래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는 3차원 공간에 집을 마련하고 해당 집을 선택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사용자 정보를 블로그 형태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마치 가상현실 서비스를 일부 차용한 것처럼 보이지만, 아직까지 사용자의 접속 유무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설정한 공간의 정보를 공개하는 커뮤니티 서비스의 기능에 치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가상현실 서비스는 사용자 아바타가 서비스의 중심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접속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의 아바타가 보일 수 없으며, 대부분의 서비스가 사용자 아바타를 기준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시된 서비스에서 아바타는 단순히 특정 공간 내부에만 고정 배치되는 장식물에 불과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지 않고 사용자의 정보를 반영하지도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현실감이나 몰입감은 현저히 낮을 뿐이다. 1 and 2 shows that the conventional virtual reality community service borrows a virtual reality service in that it can confirm specific user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blog by arranging a house in a three-dimensional space and selecting the house. It can be seen that the focus is on the function of the community service that discloses the information of the space set by the user regardless of whether the user is connected or not. That is, in the virtual reality service, since the user avatar is the center of the service, the user's avatar cannot be seen when the user is not connected, and most services should be provided based on the user avatar. However, in the illustrated service, the avatar is merely a decoration that is fixedly disposed only in a specific space, and is not manipulated by the user and does not reflect the user's information. Therefore, in this case, the realism or immersion is only very low.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서비스는 단순히 '미니홈피'의 주소를 고정된 3차원 맵 상에 '집' 형태로 배치한 것뿐이며, 실질적인 가상현실 서비스라고 하기 어렵다. As a result, such a service is simply arranged in the form of a 'house' on a fixed three-dimensional map, the address of the 'mini-hompy', it is difficult to be called a virtual reality service.

즉, 커뮤니티 서비스는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기본적인 기능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접속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하지만 가상현실 서비 스는 사용자 아바타가 항상 서비스의 중심이며 사용자는 아바타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체험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접속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서비스에서 설정한 정보들은 공개되지 않아야 한다. 이러한 모순되는 서비스의 특성 때문에 도 1 및 2에 도시한 서비스는 커뮤니티 서비스에 중점을 둔 것으로서 도시된 사용자 아바타는 사용자를 대신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주체가 되지 못하고 단순한 장식의 역할을 할 수밖에 없고, 블로그에 포함되는 공간 역시 일정한 규격으로 제한된다. In other words, since community service is a basic function of sharing information, the user's information should be disclosed even if the user is not connected. However, in virtual reality service, the user avatar is always the center of the service, and the user experiences various services using the avatar, so the information set by the user should not be disclosed when the user is not connected. Due to such contradictory characteristics of services, the services shown in FIGS. 1 and 2 are focused on community services, and the user avatars shown in FIG. 1 and 2 are not subjects to use the services on behalf of the users, but simply serve as decorations. The space included is also limited to certain standards.

하지만, 실질적인 가상현실 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자신을 나타내는 아바타를 조작하여 서비스 전반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아바타를 주체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공개를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티 기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 요구된다.However, since the virtual reality service must be able to use the entire service by directly manipulating the avatar representing the user, the virtual reality service can effectively provide a community function based on the public while providing the virtual reality service mainly based on the avatar. New alternatives are required.

상기와 같이 공개 특성의 커뮤니티 서비스와 사용자 접속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결합한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새롭게 제안하는 본 발명 실시예들의 목적은 아바타를 조작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접속 상태와 무관하게 방문자에게 공개되는 공개 공간과 사용자가 접속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공유되는 개인 공간을 구성하여 공개 공간의 개방을 통해 자료나 공간 구성을 공유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가상현실 공간 내에서 제공하고, 개인 공간 활용을 통해 방문자 접대와 개인적 공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rtual reality community service that effectively combines a public service with a virtual reality service based on a user connection is to provide a virtual reality community service using a service by manipulating an avatar. In the virtual reality space, community services share the data or space composition through the opening of the public space by configuring the public space that is open to visitors regardless of the user's access status and the personal space that is selectively shared while the user is connected. It is to provide a space management method for the virtual reality service that is provided by the company, and it is possible to entertain visitors and use the personal space through the use of personal space.

본 발명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주어진 공간을 사용자의 접속에 무관하게 공개되는 공개 공간과, 사용자의 접속 시에만 공개되는 개인 공간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뮤니티 서비스의 공개 특성과 사용자 접속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의 배타적 특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close a space given to a user regardless of the user's access to the public space, and the user's personal space to be managed only by the user's access to the public characteristics by allowing the user to manage It is to provide a space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that satisfies all the exclusive characteristics of the virtual reality service based on the user and user access.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방 공간을 방문하기 전에 해당 상대방의 접속 여부를 확인하여 공개 공간 혹은 개인 공간으로 방문 종류를 구분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할 공간에 대한 종류를 사용자 접속 여부에 따라 달리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eck the access of the other party before visiting the other party's space so that the visit type is divided into a public space or a personal space so that the type of the space to be moved can be differently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access. It is to provide a space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공개 공간과 개인 공간을 전혀 다른 컨 셉의 공간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공간 구성을 통한 만족감을 제공하고 일반 방문자와 개인 공간으로 초대한 방문자에게 서로 다른 공간을 공개할 수 있도록 한 가상 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public space and the personal space in a completely different concept space to provide satisfaction through a variety of space configuration and to provide a different space to the visitor invited to the general visitors and personal space It is to provide a space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to be made public.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개인 공간에서 공개 공간에 대한 부재중 방문자 정보, 현재 방문자 정보, 방문자가 전달한 메모 등과 같은 정보를 확인하고 공개 공간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방문자 중 일부를 선별하여 초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공간에서 공개 공간에 대한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가상 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eck information such as missed visitor information, current visitor information, memo delivered by the visitor, etc. for the public space in the personal space, and to manage the state of the public space, and to select some of the visitors It is to provide a space management method for the virtual reality service that enables the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the public space in the private space by allowing them to invite.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개인 공간에서의 관리를 사용자 아바타를 통해서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항상 사용자 아바타가 서비스 제공의 중심이 되도록 하여 현실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가상 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ace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that allows the user avatar to be managed by the user avatar so that the user avatar is always the center of service provision and thus enhances the realism. will be.

본 발명 실시예들의 또 다른 목적은 공개 공간을 방문한 방문자들이 서로를 인지할 수 없도록 설정하여 낮선 공간에서 마주치는 사용자들 간의 서먹함을 줄이고 자유롭게 임의의 공간을 방문할 수 있도록 한 가상 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t a visitor who visits a public space so as not to recognize each other to reduce the turbulence between users encountered in low space and to freely visit any space space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It is to provide a management metho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은 지리적 특성에 무관하게 공간에서 공간으로 직접 이동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으로서, 가상현실 서비스에서 편집 가능한 자신의 공간을 할당받는 공간 할당 단계와; 상기 할당받은 공간을 상기 사용자 접속에 무관하게 모든 방문자에게 공개하는 공개 공간과 상기 사용자 접속에 의해 사용되며 상기 공개 공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개인 공간으로 분할 설정하는 공간 설정 단계와; 상기 설정된 각 공간을 개별적으로 편집하는 공간 편집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pace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ace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to move directly from space to space regardless of geographic characteristics, virtual reality A space allocation step of allocating an editable space of the service; A space setting step of dividing the allocated space into a public space that is open to all visitors irrespective of the user connection and a personal space used by the user connection and capable of monitoring the public space; And a space editing step of individually editing each of the set spaces.

상기 공간 설정 단계는 상기 두 종류의 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두 종류의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space setting step includes disposing digital content connecting the two types of spaces in the two types of spaces.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공개 공간이 설정된 경우 해당 공간에 대한 방문 및 다른 공간으로의 이동을 위한 공간 연결 디지털 컨텐츠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space editing step includes disposing space-connected digital contents for visiting the space and moving to another space when the public space is set.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개인 공간이 설정된 경우 다른 공간으로의 이동과 해당 공간으로의 방문이 가능한 공간 연결 디지털 컨텐츠를 배치하며, 상기 공간 연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이 가능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한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열쇠 정보 또는 암호 정보를 더 설정할 수 있다.In the space editing step, when the personal space is set, the space-connected digital content that can be moved to another space and visited to the space is arranged. Restricting use may further include setting key information or password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restricted user.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공개 공간이 설정된 경우 해당 공간을 방문한 방문자가 공유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The space editing step may further include posting multimedia content that can be shared by a visitor who visited the space when the public space is set.

상기 공간 설정 단계는 상기 개인 공간 및 공개 공간을 설정할 경우 상기 개인 공간에서 상기 공개 공간의 부재중 방문자 수, 현재 방문자 정보, 방문자가 남긴 정보, 공개 공간에 대한 시각적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더 배치하여 공개 공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setting of the personal space and the public space, digital content provid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absent visitors of the public space, current visitor information, information left by the visitor, and a visual state of the public space in the personal space may be provided. Place it further so you can monitor the public space.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공개 공간을 설정할 경우 사용자 지정에 따라 해당 공간을 방문한 방문자들이 상호인지 가능한 정도를 설정하는 것으로 공간의 목적에 맞추어 방문자들이 편안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space editing step, when the public space is set, visitors who visit the corresponding space can be mutually recognized according to a user's designation so that visitors can comfortably visit the spa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은 지리적 특성에 무관하게 공간에서 공간으로 직접 이동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으로서, 사용자가 할당받은 공간을 항상 모든 방문자에게 개방된 공개 공간과 사용자 접속시에만 사용 가능하며 상기 공개 공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개인 공간으로 분할 설정하는 공간 설정 단계와; 상기 각 공간에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 배치를 포함하는 공간 구성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 공간 편집 단계와; 상기 각 공간 또는 상기 배치된 디지털 컨텐츠에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또는 방문자가 공유 컨텐츠를 게시하는 게시 단계와; 아바타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를 통해 다른 사용자의 개인 또는 공개 공간으로 직접 이동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통해 상기 공개 공간 또는 개인 공간을 방문하는 방문자를 맞이하는 이동 및 방문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addition, a space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pace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that moves directly from a space to a space regardless of a geographical characteristic. A space setting step of dividing and setting the public space opened to the user and a private space that can be used only when the user accesses the public space; A space editing step of editing space structure digital content including digital content arrangement for space movement in each space; A posting step of posting the shared content by the user or the visitor in association with each space or the arranged digital content; A moving and visiting step using an avatar to directly move to another user's personal or public space through the digital content for moving the space, and welcoming a visitor visiting the public or personal space through the digital content; Is done.

여기서, 상기 이동 및 방문 단계는 상기 공개 공간상에 배치된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를 아바타가 직접 물리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통해서만 공간 이동 및 방문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현실감을 높이고 몰입감을 극대화 한다.Here, the moving and visiting step increases the realism and maximizes the immersion by enabling the space moving and visiting only by the avatar physically manipulating the digital content for the spatial moving disposed on the public space.

상기 게시 단계는 상기 공간을 방문한 방문자의 게시를 허용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남기는 메모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접속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osting step allows posting of the visitor who visited the space, and further includes obtaining a memo left for the user and delivering the memo to the user.

상기 공간의 사용자가 접속할 경우 상기 개인 공간에 아바타가 생성되는 형태로 접속되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공개 공간의 방문자에게 투명한 상태로 공개 공간으로 진입하는 접속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공간을 편리하고 자유롭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user of the space is connected to the form in which the avatar is created in the personal space is connected, the user may further include an access step to enter the public space in a transparent state to the visitors of the public space according to user settings Make the space convenient and free to manage.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은 사용자에게 주어진 공간을 사용자의 접속에 무관하게 공개되는 공개 공간과, 사용자의 접속 시에만 공개되는 개인 공간으로 구분하여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의 공개 특성과 사용자 종속 특성을 가상현실의 현실감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space management method for the virtual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given to the user may be divided into a public space that is open regardless of the user's access and a personal space that is open only when the user is connected so that the user can manage the space.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that both the public and user dependent characteristics of the virtual reality community service can be satisfi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reality of virtual real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은 아바타를 조작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접속 상태와 무관하게 방문자에게 공개되는 공개 공간과 사용자가 접속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공유되는 개인 공간을 구성하여 공개 공간의 개방을 통해 자료나 공간 구성을 공유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가상현실 공간 내에서 제공하고, 개인 공간 활용을 통해 방문자 접대와 개인적 공간 활용이 가능한 뛰어난 효과가 있다.The space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 a virtual reality community service using a service by manipulating an avatar selectively in a public space open to the visitor regardless of the user's connection state and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connected. By constructing a shared personal space, community service sharing data or space composition is provided within the virtual reality space through the opening of the public space, and the use of the personal space can be used to entertain visitors and utilize the personal sp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은 상대방 공간을 방문하기 전에 해당 사용자의 접속 여부를 확인하여 공개 공간 혹은 개인 공간으로 방문 종류를 구분하도록 하여 이동할 공간에 대한 종류를 사용자 접속여부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the space management method for the virtual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accesses the type of space to be moved by check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user is connected before visiting the other party's space, and classifying the visit type into a public space or a personal space. It is to provide a space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that can be select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은 공개 공 간과 개인 공간을 컨셉이 다른 공간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공간 구성을 통한 만족감을 제공하고 일반 방문자와 개인 공간으로 초대하는 방문자에게 서로 다른 공간을 공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pace management method for the virtual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public space and a personal space to be configured with different spaces, thereby providing satisfaction through various space configurations and inviting visitors to general and personal spaces. It has the effect of revealing different spac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은 개인 공간에서 공개 공간에 대한 부재중 방문자 정보, 현재 방문자 정보, 방문자가 전달한 메모 등과 같은 정보를 확인하고 공개 공간 접속 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방문자 중 일부를 선별하여 초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인 공간에서 공개 공간에 대한 모니터링 및 관리가 가능하여 임의의 방문자와 직접 대면하기를 꺼리는 경우에도 활발한 서비스 참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Space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heck information such as missed visitor information, current visitor information, memo delivered by the visitor to the public space in the personal space and to manage the public space access state In addition, by allowing some of the visitors to be selected and invited, it is possible to monitor and manage the public space in the personal space, so that the active participation in the service is possible even when he is reluctant to face any visitor directl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은 공간 이동이나 방문자 접대, 개인 공간에서의 공개 공간 설정 등을 모두 사용자 아바타를 통해서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항상 사용자 아바타가 서비스 제공의 중심이 되도록 하여 현실감이 극대화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space management method for the virtual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avatar is always at the center of the service provision by performing all the movements of the user, entertainment of the visitor, and setting the public space in the personal space through the user avatar.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reali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은 공개 공간을 방문한 방문자들이 서로를 인지할 수 있는 정도를 공간 사용자가 조절하여 낮선 공간에서 마주치는 사용자들 간의 서먹함을 줄이기 위해 인지 정도를 낮추고, 낮선 사용자들이 편안하게 마주치는 공간에서는 새로운 사용자들과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인지 정도를 높이도록 함으로써, 목적에 따른 편안한 공간 방문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space management method for the virtual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ace user adjusts the degree to which visitors who visit the public space can recognize each other to reduce the degree of perception of users who encounter in the low space. In the space where low and low-level users meet comfortably, it is possible to raise the level of awareness to form a relationship with new users, thereby enabling a comfortable space visit according to the purpos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가상현실 서비스 중에서 사용자들의 방문을 통해 자신이 꾸민 공간을 소개하고 해당 공간에서 아바타를 이용한 채팅이나 다양한 체감 활동을 실시하는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는 공간에 대한 자유로운 편집이나 아바타의 자유로운 표현과 함께 다양한 사용자 공간 및 서비스 제공 공간 혹은 광고를 위한 기업(스폰서) 공간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동하는 기능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가상현실의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아바타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원하는 공간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어야 현실감을 지속할 수 있고 물리적 이동에 따른 불편함을 줄일 수 있게 된다. The virtual reality community service, which introduces the spaces it decorates through visits from users of the virtual reality service, performs chatting or various haptic activities using avatars in the space, various user spaces with free editing of the space or free expression of avatars. And a function of easily moving a user to a service providing space or an enterprise (sponsor) space for advertisement. In particular, in order to increase the immersion feeling of the virtual reality, it is possible to easily move the desired space while maintaining the avatar state so that the reality can be maintained and the inconvenience caused by the physical movement can be reduced.

한편, 커뮤니티 서비스라는 측면에서 볼 경우 각 사용자가 꾸며 놓은 공간이나 해당 사용자가 포스팅(게시)한 각종 공유 자료들을 방문을 통해 구경하거나 공유할 수 있는 기능 역시 필수적이라 할 수 있으나, 가상현실의 몰입감을 위해 사용자 아바타를 서비스의 중심으로 할 경우 사용자가 접속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 공간을 개방하는 것은 마치 빈 집을 열어 두는 것과 같아 사용자 입장에서는 환영할 바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접속하지 않을 경우 공간을 폐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 개방적 커뮤티니 정신이 어긋나고 공간을 무조건 개방할 경우 사용자가 접속하지 않을 경우에도 임의의 방문자들이 사용자 공간을 방문하여 공간 아이템들을 흐트려 놓거나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행동을 할 수 있고, 특정 사용자는 자신의 공간이 무단히 공개되는 것 자체를 꺼려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상충되는 원인을 해소해야만 현실감 있는 커뮤티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 아바타들을 초대하는 과정이나 모임이 진행중인 경우 초대받지 않은 임의의 방문자가 해당 공간에 방문하여 서로 어색해지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는 등 아바타에 의한 현실감 제공이 오히려 서비스 활용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도 있어 이러한 경우도 해소할 수 있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community services, it is also essential to visit or share the space decorated by each user or various shared materials posted by the user through visits, but the immersion of virtual reality is essential. In order to make the user avatar the center of the service, opening the user space without the user being connected is like welcoming an empty house. Thus, if the user is not connected, the space can be closed, but in this case, the open community spirit is out of order, and if the space is unconditionally opened, any visitor visits the user space and distracts the space items even if the user is not connected. Users can behave undesirably and certain users can be reluctant to open their spaces without permission so that they can provide realistic community services only by eliminating these conflicting causes. In addition, when a user invites other user avatars or a meeting is in progress, any uninvited visitors may visit the space and become awkward. This can be solved in such a cas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공간을 공개 공간과 개인 공간으로 분리하여 일반 방문자들을 위한 공간과 개인적 용도나 친목을 위한 용도 등으로 활용하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method for effectively managing a space allocated to a user by using a space for general visitors and a space for personal use or socialization by dividing the space allocated to the user into a public space and a personal space.

도 3은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각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공간(100)을 구분한 예를 보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할당된 공간(100)을 공개 공간(110)과 개인 공간(120)으로 구분 설정한 경우이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전체 할당 공간(100)을 공개 공간(110)으로 설정하거나 개인 공간(120)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폰서 공간이나 전시장 등과 같은 용도의 공간일 경우 전체를 공개 공간(110)으로 설정할 수 있고, 자신의 원하는 사용자들만 선별적으로 초청하여 폐쇄된 관계에 의한 교류만을 원할 경우 전체를 개인 공간(120)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물론, 공간의 범위를 유/무료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종류의 공간을 추후 추가할 수 있고, 기존 공간의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3 illustrates an example of dividing the space 100 allocated to each user in the virtual reality community service. As shown in FIG. 3, the allocated space 100 is divided into a public space 110 and a personal space 120. One cas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the entire allocated space 100 may be set as the public space 110 or the personal space 120.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pace for a purpose such as a sponsor space or an exhibition hall, the entire space can be set as the public space 110, and if only the desired users are selectively invited to exchange only the closed relationship, 120). Of course, it is possible to add a range of spaces for free / free, so that other types of spaces can be added later, and settings of existing spaces can be changed.

도시된 구성의 예를 보면, 우선 공개 공간(110)은 사용자의 접속에 무관하게 항상 방문자들에게 공개되는 공간으로, 해당 공간(110)에는 방문자들이나 사용자의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111)가 배치된다. 도시된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111)는 게이트의 형태로 표현되며, 이러한 구성은 공간 편집 단계에서 그 위치를 이동하거나 다른 표현으로 변경되는 식으로 편집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the illustrated configuration, first, the public space 110 is a space that is always open to visitors regardless of the user's access, the digital space 111 for moving the space of visitors or users in the space 110 Is placed. The illustrated digital content 111 for space movement is represented in the form of a gate, and this configuration can be edited by moving its position or changing to another representation in the space editing step.

상기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111)는 이동할 공간을 선택한 후 사용자 혹은 방문자 아바타가 직접 물리적으로 조작(게이트를 열고 다른 공간에 진입하는 동작 등)하여 공간을 이동하고, 물리적 행동(게이트를 열고 해당 공간에 진입)을 통해 방문하도록 설정될 수 있어 현실감을 높일 수 있다.The digital content 111 for moving the space selects a space to move, and then a user or a visitor avatar directly moves the space by physically manipulating (operating to open a gate and entering another space), and physical action (opening a gate Enter the space) can be set to visit can increase the realism.

한편, 상기 공개 공간(110)은 방문자들이 방문하여 사용자가 다양한 공간 아이템이나 공간 요소들 같은 디지털 컨텐츠(112)로 구성한 공간을 구경할 수 있으며, 특정한 디지털 컨텐츠에 연동시켜 포스팅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경우 액자나 메모판으로 표현되는 디지털 컨텐츠(112)를 통해 사진이나 사용자가 남긴 메세지를 제공하고, 텔레비젼을 표현하는 디지털 컨텐츠(미도시)를 통해 사용자가 포스팅한 UCC(사용자 생성 컨텐츠) 동영상을 제공하며, 다이어리나 앨범 등과 같은 다양한 표현으로 된 디지털 컨텐츠(미도시)를 통해 다양한 게시물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다이어리나 앨범 등과 같은 표현의 디지털 컨텐츠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포스팅 내용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현실감과 정보 공유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방문자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여 자신의 정보나 디지털 컨텐츠를 포스팅하거나, 사용자가 포스팅한 내용에 댓글을 추가할 수도 있어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일반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게시물 서비스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public space 110 may visit a visitor to visit a space composed of digital content 112 such as various spatial items or spatial elements, and share a multimedia content post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digital content. Can be. For example, when shown, the user provides a message left by a user through a digital content 112 represented by a frame or a memo board, and a user-generated UCC (user generated) through digital content (not shown) representing a television. Contents) video, and various posts may be provided through digital contents (not shown) in various expressions such as diaries or albums. In particular, since various types of posting contents can be provided through digital contents of an expression such as a diary or album, it is possible to satisfy reality and information sharing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visitor may post his or her own information or digital content by using the digital content, or add a comment to the content posted by the user, so that the visitor may use the post service generally provided by the community service.

상기 개인 공간(120)은 사용자가 접속할 경우 아바타가 생성되는 장소로서,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접속할 경우 활성화되는 공간이다. 상기 공간(120)은 사용자가 개인적인 공간으로 활용하여 방문자들과 직접 마주치지 않을 여유를 준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개인 공간(120)에서 원하는 방문자를 선택하여 해당 공간으로 초정하거나 직접 공개 공간(110)에 가서 해당 공간(120)으로 안내할 수도 있을 뿐 아니라 개인적 모임을 해당 공간(120)에서 하는 경우 공개 공간(110)의 방문자에 의해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The personal space 120 is a place where an avatar is created when the user connects, and is basically a space that is activated when the user connects. The space 120 is used by the user as a personal space to afford the guest does not face directly. The user may select a desired visitor from the personal space 120 to invite to the corresponding space or directly go to the public space 110 to guide the corresponding space 120 as well as to conduct a personal meeting in the corresponding space 120. In this case, the visitor of the public space 110 may not be disturbed.

상기 개인 공간(120)에도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12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자주 찾는 공간에 대한 이동을 위한 것일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한 허가된 방문자의 방문을 위한 것일 수 있다. The digital content 121 for moving space may also be disposed in the personal space 120, which may be for moving to a space frequently searched by a user, and in some cases, for a visit of a specific authorized visitor. Can be.

일반적인 경우 방문자는 상기 공개 공간(110)에 위치한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111)를 통해 방문하여 사용자의 안내나 허락에 의해 개인 공간(120)에 진입하는 과정을 거치지만, 밀접도가 높은 사람의 경우 해당 사용자 정보를 근거로 직접 개인 공간(120)의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121)를 통해 방문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경우는 열쇠로 표현되는 인증 아이템(123)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이는 암호등의 다른 인증 정보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인증 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추가하여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인증 정보나 허가된 사용자 정보 등은 개인 공간 사용자가 상기 공간 이동 컨텐츠(121)를 배치할 경우 혹은 편집할 경우 설정할 수 있다.In general, the visitor visits through the digital content 111 for moving the space located in the public space 110 and enters the personal space 120 by the user's guidance or permission. In this case, the user may directly visit the digital content 121 for moving the space of the personal space 120 based on the corresponding user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the illustrated case may require an authentication item 123 represented by a key, which may be replaced with other authentication information such as a password. Security can be enhanced by adding such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user information, and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the authorized user information can be set when the personal space user arranges or edits the space movement content 121. have.

한편, 가상현실 커뮤티니 서비스의 경우 아바타를 중심으로 서비스가 진행되 기 때문에 사용자가 개인 공간(120)에 위치할 경우 해당 공간을 핵심적으로 표시하게 되므로, 해당 개인 공간(120)에서 공개 공간(1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개인 공간(120)에는 공개 공간(110)에 위치한 방문자 정보를 문자 정보나 멀티미디어 정보(방문자 아바타, 방문자 공간 정보 등) 혹은 해당 공개 공간(110)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컨텐츠가 해당 공간 설정시, 혹은 편집시 배치될 수 있어 사용자는 개인 공간(120)에 있더라도 공개 공간(110)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고, 원하는 방문자를 선별하여 초대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원격으로 해당 공간의 방문자를 배제시키거나 방문을 일시 차단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방문자에게 정체를 알리고 싶지 않을 경우 자신의 아바타가 공개 공간(110)에서는 투명하게 보이도록 설정하거나 다른 방문자처럼 보이도록 한 후 해당 공개 공간(110)으로 진입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virtual reality community service, since the service is performed centering on the avatar, when the user is located in the personal space 120, the corresponding space is displayed as the core, and thus, the public space 110 in the personal space 120. Means are needed to allow monitoring of the state of the system. Although not shown, the personal space 120 may visually identify text information, multimedia information (visitor avatar, visitor space information, etc.) or the corresponding public space 110 in the visitor information located in the public space 110. The digital content providing the video information can be placed at the time of setting or editing the space,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situation of the public space 110 even in the personal space 120 and can select and invite the desired visitors. In some cases, it may be possible to remotely exclude visitors from the space or temporarily block the visit. As another example, if the visitor does not want to inform the user of his / her avatar, his avatar may be set to appear transparent in the public space 110 or may appear like another visitor and then enter the public space 110.

상기 공개 공간(110)과 개인 공간(120)은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111, 121)를 통해서 왕래할 수 있으나, 내부적인 연결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115)를 게이트 표현 방식으로 양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컨텐츠(115)는 사용자는 임의로 이용할 수 있으나 방문자는 사용자의 허락이 있어야만 이용할 수 있고(초인종이나 노크, 메세지 전달 등을 통해 사용자와 대면하고 싶음을 알릴 수 있음), 사용자가 접속상태가 아닌 경우 공개 공간(110)에서는 보이지 않거나 이용할 수 없다는 표현이 제공될 수 있다.The public space 110 and the personal space 120 may travel through the digital content 111 and 121 for space movement, but the digital content 115 for internal connection is arranged in both spaces in a gate representation manner. can do. The digital content 115 may be used by the user arbitrarily, but the visitor may use it only with the permission of the user (notice that the user wants to face the user through a doorbell, knock, or message transmission), and the user is not connected. In the case of an open space 110, an expression of invisible or unavailabl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개인 공간(120)에서 비공개 컨텐츠(122)를 포스팅하여 해당 공 간(120)에 진입한 방문자에게만 해당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In addition, by posting the private content 122 in the personal space 120, the information can be shared only to visitors who enter the space 120.

도 4는 도 3과 같은 내부적 연결을 위한 게이트 표현의 디지털 컨텐츠(115) 대신 계단 표현의 디지털 컨텐츠(116)를 통해 개인 공간과 공개 공간을 분리한 경우의 예를 보인 것으로, 실질적으로 개인 공간(120)과 공개 공간(1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인접한 것이 아니라 논리적으로 인접한 것이며, 비연속성 공간으로 파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personal space and the public space are separated through the digital content 116 of the staircase representation instead of the digital content 115 of the gate representation for internal connection as shown in FIG. 3. 120 and the open space 110 are logically adjacent rather than physically adjacent, as shown, it is preferable to be identified as a discontinuous space.

도 5는 사용자가 공개 공간에 위치한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이하, 공간 이동 게이트라 칭함)나 개인 공간에 위치한 공간 이동 게이트를 통해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공간 이동 게이트(130)가 제공하는 정보의 예를 보인 것이다. 당연히, 도시된 구체적인 정보 제공 방식이나 표현으로 이러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표현 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5 is provided by a corresponding space movement gate 130 when the user wants to move to another space through a digital content for moving space located in a public sp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pace movement gate) or a space movement gate located in a private space. This is an example of information. Naturally, the technical idea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r express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various expression methods.

본 실시예에 따른 공간은 사용자의 접속 여부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공간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이동 전에 기본적인 공간 정보를 확인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이동할 공간의 사용자 정보와 접속 유무(우측 사각형의 표현)를 알리는 수단(132)과, 공개 공간의 방문자가 얼마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수단(131)과, 해당 공간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가 필요한 경우 이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133)이 상기 공간 이동 게이트(13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동할 공간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는 카드 표현(134)으로 되어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 방문하거나 만난 횟수, 밀접도 등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관련 정보가 표시될 수 있 다. Since the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limitation on the space that can be accessed depending on whether the user is connected, it is necessary to check basic space information before moving, so as shown in FIG. Means (132) for indicating the right quadrangle, means (131) for checking how many visitors there are in the public space, and means (133)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space if necessary. It may be included in the moving gate 130. Th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space to be moved may be a card representation 134 and related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times of visit or meeting, the degree of closeness, etc. may be displayed as shown.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정보가 아닌 공간 이동 게이트(130)에 시각적인 표현을 통해 이동할 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조작 인터페이스가 아닌 아바타를 통해서 공간 내부에서 정보를 취할 수 있어 현실감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space to be moved through a visual representation to the space movement gate 130 as opposed to the character information, the user can take information in the space through the avatar instead of a separate manipulation interface, thereby realizing a sense of reality. You can keep it going.

도 6은 개인 공간에서 공개 공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3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개인 공간과 공개 공간을 연결하는 디지털 컨텐츠(이하, 연결 게이트라 칭함)(140)는 공개 공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단(141)과 공개 공간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14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개 공간에 관련된 정보는 도시된 표현 외에 다른 형태의 표현이 가능하다.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of identifying a state of a public space in a private space. As mentioned in FIG. 3, digital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nection gate) 140 connecting the private space and the public space refers to the public space. It may include means 141 that can be visually confirmed and means 145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public spac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n space may be expressed in other forms in addition to the depicted representation.

도시된 예에서 상기 공개 공간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145)은 전체 방문자 수와, 사용자가 부재중일 때 방문한 방문자 수(혹은 정보), 방문자가 남긴 메모(댓글, 방문 요청, 초대 요청, 방명록 등), 현재 방문자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어 사용자는 부재중의 상황과 현재의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means 145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public space includes the total number of visitors, the number of visitors (or information) visited when the user is absent, the notes left by the visitor (comments, visit request, invitation request, guestbook). Current visitor information, etc.,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absence and the current situation.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공개 공간의 설정이나 방문자 차단 여부 등과 같은 설정을 위한 수단(예를 들어, 공개 공간에 대한 방문자 차단은 공개 공간의 조명 스위치를 끄는 방식 등)들이 개인 공간에 더 배치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pecifically show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means for setting such as setting the public space or blocking the visitor (for example, blocking the visitor to the public space may be switched off the lighting of the public space). May be further arranged in space.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공간 관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상황의 예를 보인 것으로, 공개 공간(150)과 개인 공간(160)의 구성 및 디지털 컨 텐츠의 배치 및 사용자와 방문자의 상황을 보인 것이다. 실제로 도시된 바와 같은 2개의 화면이 동시에 제공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도시된 화면은 각 공간의 일부만을 표시하고 있는 것임에 주의한다.7 shows an example of a service providing situation for explaining a space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public space 150 and the personal space 160, the arrangement of digital content, and the situation of users and visitors Will be shown. Note that two screens as shown are not actually required to be provided at the same time, and that the illustrated screen displays only a part of each space.

먼저, 공개 공간(150)과 개인 공간(160)은 공간을 꾸민 컨셉이 틀린 것을 알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공개 공간(150)과 개인 공간(160)을 완전히 다른 형태로 꾸밀 수 있어 방문자에게 다양한 공간을 소개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현실 서비스에 있어 공간상에 배치되는 다양한 아이템(디지털 컨텐츠들)들은 아바타와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현실감을 높여야 하지만 임의의 방문자들에 의해 공개 공간(150)의 아이템(153, 154)이 흐트러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호작용의 정도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개 공간(160)에서는 방문자가 공간 아이템과 상호 작용은 가능하나 위치를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위치가 이동된 경우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도록 하는 등의 제한이 일부 공간 아이템에 적용될 수 있고, 개인 공간(160)에서는 이러한 제한이 없도록 하여 현실감을 최대로 높일 수 있다.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concept of decorating the space between the public space 150 and the personal space 160 is different. In other words, the user can decorate the public space 150 and the personal space 160 in a completely different form to introduce various spaces to the visitor. Here, in the virtual reality service, various items (digital contents) arranged in the space should be able to interact with the avatar to increase the reality, but by arbitrary visitors, the items 153 and 154 of the public space 150. It is desirable to limit the degree of interaction as this disturbing situation may occur. That is, in the public space 160, restrictions such as allowing the visitor to interact with the space item but not moving the position or returning to the place when the position is moved may be applied to some space items. In (160), there is no such limitation to maximize the realism.

개인 공간(160)은 공간을 꾸미는 다양한 공간 아이템들로 실외의 한 공간을 나타내고 있으며, 해당 공간에서 사용자가 방문자 중 하나와 아바타를 이용하여 모임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공개 공간(150)에도 복수의 방문자들이 존재하고 있으나 이들은 임의로 개인 공간(160)에 진입할 수 없어 이러한 모임을 방해하지 못한다. 상기 개인 공간(160)에 위치한 사용자는 연결 게이트(161)를 통해 공개 공간(150)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원하는 방문자를 선택하여 개인 공간(160)으로 초대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직접 공개 공간(150)에 진입하여 방문 자들과 만남을 가질 수 있다.The personal space 160 represents an outdoor space with various space items decorating the spac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has a meeting using one of the visitors and the avatar in the space. In this case, although there are a plurality of visitors in the public space 150, they cannot arbitrarily enter the personal space 160 and thus do not disturb such meetings. A user located in the personal space 160 may monitor the state of the public space 150 through the connection gate 161, select a desired visitor, invite the user to the personal space 160, and directly publish it if necessary. The space 150 may be entered to meet with visitors.

상기 공개 공간(150)은 사용자의 접속에 관계없이 방문자들(170~172)에게 공개된 공간으로 공간 아이템 중 하나인 텔레비젼(153)을 통해 사용자가 포스팅한 UCC를 감상할 수 있고, 해당 아이템을 선택하는 것으로 다른 종류의 포스팅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별도의 창으로 해당 내용을 선택한 방문자에게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다양한 방문자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음악 같은 경우 소정 방문자가 선택한 음악이 다른 방문자들에게도 같이 들릴 수 있다.The open space 150 is a space open to the visitors 170 to 172 regardless of the user's connection, and can view the UCC posted by the user through the TV 153, which is one of the space items. You can choose to view other types of postings. This is preferably provided only to visitors who have selected the content in a separate window. Or, in the case of music that various visitors can enjoy together, the music selected by the predetermined visitor may also be heard by other visitors.

그 외의 다양한 포스팅들은 다이어리 형태의 공간 아이템(154)을 선택하는 것으로 다양한 게시판을 활용하여 포스팅 내용을 확인하거나 자신이 직접 포스팅할 수도 있고, 기존 포스팅에 댓글을 달거나 별도의 메세지를 남길 수도 있다.Various other postings are selected by the diary-type space item 154 to check the posting contents by using various bulletin boards, or post their own, comment on an existing post or leave a separate message.

상기 방문자들(170~172)은 사용자의 접속이 궁금하거나 혹은 사용자의 접속을 알 수 있는 경우 사용자의 초청을 원할 때 연결 게이트(151)를 노크하거나 별도 마련된 초인종(152)을 눌러 초청을 요청할 수 있다. 물론, 이는 개인 공간(160)에 사용자가 존재할 경우 사용자에게 초청을 요청한 방문자 정보와 함께 알려지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초청 또는 거부될 수 있다.The visitors 170 to 172 may request an invitation by knocking on the connection gate 151 or pressing a doorbell 152 separately provided when the user is curious or wants to invite the user. have. Of course, if the user exists in the personal space 160, it is notified with the visitor information requesting the user, and may be invited or reject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도시된 공개 공간(150)의 방문자들은 해당 공간의 설정에 따라 상호 간을 인지하지 못하도록 설정될 수 있는데, 전혀 인지할 수 없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윤곽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아바타는 보이지만 개인 정보는 알 수 없도록 하거나, 모든 정보가 인지되도록 함으로써 공개 공간의 목적이나 성향에 따라 방문자들이 편안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인 개인 사용자의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공개 공간에 방문한 방문자들이 서로 윤곽만 알 수 있도록 하여 해당 공간의 인기도는 알 수 있도록 하면서 낮선 방문자와 서로 만나는 번거로움을 피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공개 공간(150)의 예는 방문자(170)가 확인할 수 있는 방문자 표현을 나타낸 것이다.Visitors of the illustrated public space 150 may be configured not to recognize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space, which may not be recognized at all, or only the outline as shown, or the avatar is visible but the individual Information can be made unknown or all information can be perceived so that visitors can visit comfortably, depending on the purpose or disposition of the public space. In the case of a general individual user, visitors who visit their public spaces can see only the outlines of each other, so that the popularity of the spaces can be known while avoiding the hassle of meeting with the strangers. An example of the illustrated public space 150 is a representation of a visitor that the visitor 170 can identify.

이제, 상기 설명된 내용을 실질적인 공간 할당에서 공간 이동과 방문까지 예를 들어 그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The above description now describes the operation, for example, from the actual space allocation to the space movement and visit.

먼저,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에 가입하여 자신의 아바타를 설정한 후 자신의 공간을 할당받는다. 이렇게 할당받은 공간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공개 공간과 개인 공간으로 분할하여 설정한다. First, the user joins the virtual reality community service, sets his avatar, and receives his space. The allocated space is divided into a public space and a private space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상기 공간을 분할하여 설정하는 과정에서 두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 게이트가 자동 혹은 수동으로 배치되는데, 그 위치와 표현의 종류는 각 공간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정 과정에서 개인 공간에서 공개 공간을 모니터링하고 원격 제어하는 디지털 컨텐츠가 자동 혹은 수동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위치와 표현의 종류 역시 공간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dividing and setting the space, a connection gate connecting the two spaces is automatically or manually arranged. The position and the type of expression may be changed in the process of editing each space. In addition, the digital content for monitoring and remotely controlling the open space in the personal space may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arranged in the setting process, and the location and the type of the expression may also be changed in the process of editing the space.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분할된 공간은 각 공간마다 상이하거나 동일한 컨셉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공간 아이템들에 해당하는 디지털 컨텐츠들을 획득, 수집, 구매 등의 방법으로 얻어 이들을 배치하여 공간을 꾸밀 수 있다. 각 공간 아이템들은 서로 혹은 아바타와 상호 작용을 하게 되며, 물리적 법칙도 일부 적용되도록 하여 현실감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다른 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 이동 게이트는 각 공간에 적어도 하나는 배치되어야 하므로 기본 형태가 기본 위치 에 미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는 이를 다른 위치에 다른 표현으로 변경할 수 있고, 추가하거나 복수인 경우 삭제할 수도 있다. The space divided by the above process may be configured with different or the same concept for each space, and obtain the digital contents corresponding to various spatial items by arranging them by acquiring, collecting, purchasing, and decorating the space. have. Each spatial item interact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avatar, and some physical laws can be applied to enhance the realism. Here, since at least one space moving gate for moving to another space should be disposed in each sp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ic shape is pre-arranged at the basic position, and the user can change it to another representation in another position, and add or add a plurality of gates. Can be deleted.

한편, 개인 공간에 이동 게이트를 배치할 경우 해당 게이트를 이용할 수 있는 방문자에 대한 정보나 인증을 위한 정보(암호나 인증용 아이템(열쇠 등))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공간 편집 단계에서 공개 공간을 방문하는 방문자들이 상대방을 인지할 수 있는 정도를 결정한다(이는 공간 설정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변경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rranging a moving gate in a personal space, it is preferable to set information on a visitor who can use the gate or information for authentication (password or authentication item (key, etc.)). In this space editing step, the visitor who visits the public space may determine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he other party (this may be done in the space setting step or may be changed by the user in the process of using the service).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공간 편집이 완료되면 아바타를 이용하여 해당 공간 요소들이나 이동 게이트 혹은 연결 게이트를 통해 원하는 공간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 전에 게이트를 통해 이동할 공간의 정보를 확인하여 이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When space editing is comple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user can easily move to the desired space through the corresponding space elements, the moving gate, or the connecting gate using the avatar, and determine whether to move by checking the information of the space to be moved through the gate before moving. Can be.

만일, 공개 공간이나 개인 공간에 컨텐츠를 포스팅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를 배치한 경우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포스팅할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은 일반적인 서비스 이용 상태에서 가능하며, 특정한 경우 공간 편집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일반적인 서비스 이용 상태에서 컨텐츠를 포스팅하는 과정도 공간 편집의 일부로 간주하도록 한다. If digital content that can post content is placed in a public space or a personal space, the content can be posted using the corresponding digital content. This process is possible in a general service use state, and in particular, in a space editing state. Should be done. Therefore, the process of posting content in a general service usage state is also considered to be part of the space editing.

이후, 상기 이동 게이트를 통해 방문자들이 방문하면 공개 공간에서 사용자가 편집한 공간이 제공되며 배치된 공간 아이템과 같은 디지털 컨텐츠를 통해 포스팅 내용을 확인하고 자신이 직접 소정의 정보를 포스팅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자신을 개인 공간으로 초대해 달라고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방문자들 을 공개 공간에서 접대하거나 개인 공간에서 확인하고 일부 방문자를 초대할 수도 있다.Thereafter, when the visitor visits through the moving gate, a space edited by the user is provided in the public space, and the posting content may be checked through digital content such as the arranged space item and the user may directly post predetermined information. In addition, the user may be asked to invite himself / herself to a personal space, and the user may entertain visitors in a public space, or check in a personal space and invite some visitors.

만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인증 아이템을 제공받거나 인증을 위한 정보(암호 등)를 제공받은 경우 개인 공간에 배치된 이동 게이트를 통해 직접 개인 공간을 방문할 수도 있다. If the user is provided with an authentication item or information (eg, a password) for authentication, the user may directly visit the personal space through a moving gate disposed in the personal spac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In the above described and illustrated with respect to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은 종래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의 맵 구성.1 is a map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virtual reality community service.

도 2는 종래 가상현실 커뮤니티 서비스의 개인 공간 구성.2 is a personal spac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virtual reality community service.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할 구조를 보인 예.3 is an example showing a spatial partition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공간 분할의 다른 구조를 보인 예.4 is an example showing another structure of spatial divi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이동 게이트의 구성을 보인 예.5 is an example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ving g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연결 게이트의 구성을 보인 예.6 is an example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ion g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공간 배치와 서비스 이용의 상태를 보인 예.7 is an example showing a state of space layout and service u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10: 공개 공간 120: 개인 공간110: public space 120: private space

111, 121: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 112, 122: 공간 아이템111, 121: digital content for movement 112, 122: spatial items

115,116: 공간 연결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 150: 공개 공간115,116: Digital Content for Space Connection 150: Public Space

151, 161: 연결 게이트 153, 154:공간 아이템151, 161: connecting gates 153, 154: space items

170~172: 방문자170-172: Visitors

Claims (23)

지리적 특성에 무관하게 공간에서 공간으로 직접 이동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으로서, As a space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that moves directly from space to space regardless of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가상현실 서비스에서 편집 가능한 자신의 공간을 할당받는 공간 할당 단계와; A space allocation step of allocating an editable space of the virtual reality service; 상기 할당받은 공간을 사용자 접속에 무관하게 모든 방문자에게 공개하는 공개 공간과 상기 사용자 접속에 의해 사용되며 상기 공개 공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개인 공간으로 분할 설정하는 공간 설정 단계와; A space setting step of dividing the allocated space into a public space that is open to all visitors irrespective of a user's access, and a private space used by the user's access and capable of monitoring the public space; 상기 설정된 각 공간을 개별적으로 편집하는 공간 편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And a space editing step of individually editing each of the set spac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설정 단계는 상기 두 종류의 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두 종류의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The space management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pace setting step includes disposing digital content connecting the two types of spaces in the two types of spac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공개 공간이 설정된 경우 해당 공간에 대한 방문 및 다른 공간으로의 이동을 위한 공간 연결 디지털 컨텐츠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The virtual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ace editing step includes a step of arranging space-connected digital contents for visiting the space and moving to another space when the public space is set. Space management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개인 공간에서 다른 공간으로의 이동과 해당 개인 공간으로의 직접 방문이 가능한 공간 연결 디지털 컨텐츠를 배치하며, 상기 공간 연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이 가능한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을 제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pace editing step comprises: placing space-connected digital content capable of moving from the personal space to another space and directly visiting the personal space; Limiting the use of the digital content by acquiring information, the space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된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열쇠 정보 또는 암호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setting key information or password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restricted us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공개 공간을 방문한 방문자가 공유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게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diting of the space further comprises posting multimedia content that can be shared by a visitor who visited the public sp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설정 단계는 상기 개인 공간 및 공개 공간을 설정할 경우 상기 개인 공간에서 상기 공개 공간의 부재중 방문자 수, 현재 방문자 정보, 방문자가 남긴 정보, 공개 공간에 대한 시각적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더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tting of the space comprises setting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missed visitors of the public space, current visitor information, information left by the visitor, and visual state of the public space when the personal space and the public space are set. Space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isposing digital content provid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공개 공간을 설정할 경우 사용자 지정에 따라 해당 공간을 방문한 방문자들이 상호 인지 가능한 정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The space management of claim 1, wherein the space editing step further includes setting a degree to which visitors who visit the corresponding space are mutually recognized according to a user designation when setting the public space. Way. 지리적 특성에 무관하게 공간에서 공간으로 직접 이동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으로서, As a space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that moves directly from space to space regardless of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사용자가 할당받은 공간을 항상 모든 방문자에게 개방된 공개 공간과 사용자 접속시에만 사용 가능하며 상기 공개 공간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개인 공간으로 분할 설정하는 공간 설정 단계와; A space setting step of dividing and setting a space allocated by a user into a public space which is always open to all visitors and a personal space that can be used only when the user accesses the public space; 상기 각 공간에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 배치를 포함하는 공간 구성 디지털 컨텐츠를 편집하는 공간 편집 단계와; A space editing step of editing space structure digital content including digital content arrangement for space movement in each space; 상기 각 공간 또는 상기 배치된 디지털 컨텐츠에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 또는 방문자가 공유 컨텐츠를 게시하는 게시 단계와; A posting step of posting the shared content by the user or the visitor in association with each space or the arranged digital content; 아바타를 이용하여 상기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를 통해 다른 사용자의 개인 또는 공개 공간으로 직접 이동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통해 상기 공개 공간 또는 개인 공간을 방문하는 방문자를 맞이하는 이동 및 방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A moving and visiting step of directly moving to another user's personal or public space through the digital content for moving the space using an avatar, and welcoming a visitor visiting the public or personal space through the digital content; Space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및 방문 단계는 상기 공개 공간 상에 배치된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를 아바타가 직접 물리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통해서만 공간 이동 및 방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The virtual reality ser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moving and visiting step can be performed only by the avatar physically manipulating the digital content for the spatial movement arranged in the public space. Space management method.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설정 단계는 상기 분할된 공간들을 상호 연결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각 공간에 배치하고 게이트 형태로 표현하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pace setting step includes arranging digital content interconnecting the divided spaces in each space and expressing the information in a gate form.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공간을 상호 연결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공간 상 위치 및 표현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The space editing step of the space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position and representation on the space of the digital content interconnecting the spac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및 방문 단계에서 상기 개인 공간을 방문할 경우 상기 사용자가 접속한 상태에서 방문해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12. The space management method of claim 11, wherein when the user visits the personal space in the moving and visiting step, the user needs to visit while the user is connected.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개인 공간에서 상기 공개 공간의 현재 상태 및 부재중 공개 공간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개인 공간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The virtual editing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editing of the space further comprises disposing digital content in the personal space to determine a current state of the public space and a state of the absent public space in the personal space. Space Management Method for Reality Service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상기 개인 공간 상에 공간 이동을 위한 디지털 컨텐츠를 배치하면서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통한 방문에 사용되는 인증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및 방문 단계는 상기 개인 공간 상에 배치된 공간 이동 디지털 컨텐츠로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자에 대해 상기 설정된 인증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pace editing step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tt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used for a visit through the digital content while arranging digital content for space movement on the personal space.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hecking the set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the visitor who wants to visit the space moving digital content arranged on the personal space.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는 열쇠 형태의 아이템이나 암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a key item or a password.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및 방문 단계에서, 상기 개인 공간은 해당 공간의 사용자가 미접속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n the moving and visiting step, the personal space is closed when the user of the corresponding space is not connected.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게시 단계는 상기 각 공간을 방문한 방문자의 게시를 허용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남기는 메모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 접속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osting step allows the posting of the visitor who visited each space, and obtains a memo left to the user and delivers the same when the user accesses the virtual reality service. Space management method.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을 할당받은 사용자가 접속할 경우 상기 개인 공간에 아바타가 생성되는 형태로 접속되며,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공개 공간의 방문자에게 투명한 상태로 공개 공간으로 진입하는 접속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when the user who is allocated the space accesses the user, the avatar is created in the personal space, and the user accesses the public space in a state transparent to the visitor of the public space according to a user setting. Space management method for a virtual reality service comprising a.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공간은 상기 공개 공간의 방문자를 파악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더 포함하며,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personal space further comprises digital content for identifying the visitor of the public space, 상기 개인 공간에 위치한 사용자는 공개 공간의 방문자 정보를 확인하여 원 하는 방문자만 상기 개인 공간으로 초대하거나 아바타를 이용하여 직접 개인 공간으로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The user located in the personal space checks the visitor information of the public space and invites only the desired visitor to the personal space or guides directly to the personal space using the avatar space for the virtual reality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How to manag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편집 단계는 공개 공간을 방문한 방문자들이 상호 인지 가능한 정도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서비스를 위한 공간 관리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pace editing step further comprises setting a degree to which visitors who visit the public space can mutually recognize each oth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137939A 2007-12-26 2007-12-26 Space management method for virtual reality service KR1009523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939A KR100952394B1 (en) 2007-12-26 2007-12-26 Space management method for virtual reality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939A KR100952394B1 (en) 2007-12-26 2007-12-26 Space management method for virtual reality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065A KR20090070065A (en) 2009-07-01
KR100952394B1 true KR100952394B1 (en) 2010-04-14

Family

ID=4132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939A KR100952394B1 (en) 2007-12-26 2007-12-26 Space management method for virtual reality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3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050A (en) 2018-05-18 2019-11-27 (주)씨소 Space sharing service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021B1 (en) * 2016-04-25 2018-08-31 장부다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content and recordimg medium thereof
KR102275950B1 (en) * 2019-10-14 2021-07-12 주식회사 피제이팩토리 Method for connecting 360 degree images
WO2022102795A1 (en) * 2020-11-10 2022-05-19 주식회사 피제이팩토리 Method for connecting 360° imag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612A (en) 2001-04-13 2002-10-25 Sony Communication Network Corp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space
JP2005182331A (en) * 2003-12-18 2005-07-07 Sony Corp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612A (en) 2001-04-13 2002-10-25 Sony Communication Network Corp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space
JP2005182331A (en) * 2003-12-18 2005-07-07 Sony Corp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2050A (en) 2018-05-18 2019-11-27 (주)씨소 Space sharing servic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065A (en)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66132A1 (en) Virtual environment for computer game
Fornäs et al. Consuming media: Communication, shopping and everyday life
Varnelis et al. Place: The networking of public space
Munar et al. Tourism social media: Transformations in identity, community and culture
Jacobs Pornography in small places and other spaces
Moore The magic circle and the mobility of play
JP2011520173A (en) Shared virtual area communication environment based apparatus and method
EP1423780A2 (en)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an iconic language communication tool
O'Regan Hypermobility in backpacker lifestyles: the emergence of the internet café.
IL296023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lational terrain for social worlds
KR100952394B1 (en) Space management method for virtual reality service
Chen Beyond reality: Examining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cross-border integration between metaverse and hospitality industries
Bialski Home for hire: How the sharing economy commoditises our private sphere
Kedzior How digital worlds become material: An ethnographic and netnographic investigation in second life
Soukup Multimedia performance in a computer-mediated community: Communication as a virtual drama
WO2023142425A1 (en) Social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gram product
KR20090070064A (en) Space transporting method for virtual reality service
Graiouid A place on the terrace: Café culture and the public sphere in Morocco
Ferreira et al. Designing ICT for thirdplaceness
Ristova et al. Virtual tourism: New frontier for the hotel industry
Chen et al. Digital intervention in the city: a conceptual framework for digital placemaking
Säävälä Entangled in the imagination: New middle-class apprehensions in an Indian theme park
Diminescu et al. Study on social computing and immigrants and ethnic minorities: Usage trends and implications
Lombardi et al. User interfaces for self and others in croquet learning spaces
Stemmler Where tourists and locals meet: The empowerment of local culture through the integration of the tourist (cultural organizations in Anjos, Lisb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