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085B1 - VoIP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VoIP communication server based on SIP and VoIP communication method - Google Patents

VoIP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VoIP communication server based on SIP and VoIP communic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085B1
KR100947085B1 KR1020080065341A KR20080065341A KR100947085B1 KR 100947085 B1 KR100947085 B1 KR 100947085B1 KR 1020080065341 A KR1020080065341 A KR 1020080065341A KR 20080065341 A KR20080065341 A KR 20080065341A KR 100947085 B1 KR100947085 B1 KR 100947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terminal
interworking
server
s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3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5348A (en
Inventor
이동근
박수범
이성호
서상용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5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085B1/en
Publication of KR20100005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3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0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81Prox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63Application servers providing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IP 기반의 VoIP 연동 서버와 이를 포함하는 연동망 및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동 서버가 양측 네트워크에서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 또는 네트워크 특성을 변환하여 양측 네트워크의 특성을 동일하게 조정함으로써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두 개의 네트워크를 연동시킬 수 있고, 인터넷에서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와 같이 특수한 환경 조건으로 인해 일반적인 VoIP 기술을 사용하기 힘든 경우에도 연동 서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외부 네트워크와 VoIP 연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SIP 기반의 VoIP 연동 서버와 이를 포함하는 연동망 및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P-based VoIP interworking server, an interworking network and an interworking method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by interlocking server by converting data or network characteristics into a form that can be understood and processed by both networks, the two network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can be interlocked by adjusting the characteristics of both networks. SIP-based VoIP interworking server and interworking network and interworking that make it possible to perform VoIP interworking with external network easily by using interlocking server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use general VoIP technology due to special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wireless ad hoc network It is about a metho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와 RTP(Real Time Protocol)를 사용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신에서 네트워크 1과, 상기 네트워크 1보다 전송속도가 느린 네트워크 2 간의 상호 연동을 위하여, 상기 네트워크 1과 상기 네트워크 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네트워크 1과 상기 네트워크 2 중 어느 일측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타측 네트워크로 전송하되, 상기 타측 네트워크에서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데이터 또는 네트워크 특성을 변환함으로써 양 네트워크의 특성을 동일하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의 VoIP 연동 서버를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or the interworking between Network 1 and Network 2, which is slower than Network 1, i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communication u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and Real Time Protocol (RTP), Located between the network 1 and the network 2 to receive data from any one of the network 1 and the network 2 to transmit to the other network, the data or network characteristics in a form that can be understood and processed by the other network It provides a SIP-based VoIP interworking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to adjust the characteristics of both networks by converting the same.

SIP, VoIP, 연동 서버, 코덱, RTP SIP, VoIP, Interworking Server, Codec, RTP

Description

호 설정 프로토콜 기반의 음성패킷망 연동 서버를 포함하는 연동망 및 연동 방법{VoIP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VoIP communication server based on SIP and VoIP communication method}Interworking network and interworking method including voice packet network interworking server based on call establishment protocol {VoIP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VoIP communication server based on SIP and VoIP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SIP 기반의 VoIP 연동 서버와 이를 포함하는 연동망 및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연동 서버가 양측 네트워크에서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 또는 네트워크 특성을 변환하여 양측 네트워크의 특성을 동일하게 조정함으로써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두 개의 네트워크를 연동시킬 수 있고, 인터넷에서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와 같이 특수한 환경 조건으로 인해 일반적인 VoIP 기술을 사용하기 힘든 경우에도 연동 서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외부 네트워크와 VoIP 연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SIP 기반의 VoIP 연동 서버와 이를 포함하는 연동망 및 연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P-based VoIP interworking server, an interworking network and an interworking method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by interlocking server by converting data or network characteristics into a form that can be understood and processed by both networks, the two network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can be interlocked by adjusting the characteristics of both networks. SIP-based VoIP interworking server and interworking network and interworking that make it possible to perform VoIP interworking with external network easily by using interlocking server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use general VoIP technology due to special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wireless ad hoc network It is about a method.

음성패킷망은 기존부터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 통신용 패킷망을 인터넷 폰에 이용하는 것으로,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라고 한다. 즉, VoIP는 인터넷을 통해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하며, 음성 데이터를 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 패킷으로 변화하여 일반 전화망에서의 통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통신서비스 기술이다. VoIP는 케이블을 통하여 여러 명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고, 확장성도 뛰어나며, 기존 전화에 비하여 요금도 훨씬 저렴한 장점이 있다.The voice packet network uses a conventionally used data communication packet network for Internet phones, and is called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In other words, VoIP refers to a technology for making voice calls over the Internet, and is a communication service technology that enables voice calls to be made in general telephone networks by converting voice data into Internet protocol data packets. VoIP can be used simultaneously by multiple people over a cable, has excellent scalability, and is much less expensive than traditional telephones.

VoIP의 관련 프로토콜은 세션 설정을 위한 H.323, SIP, MGCP, MEGACO/H.248 등이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VoIP 장비는 일반적으로 H.323으로 되어 있다. 세계기술표준은 VoIP를 비롯해 VoFR, VoATM 등 3가지가 있다. VoIP를 구축하는 방법은 다이얼 패드처럼 단순히 컴퓨터만 있으면 되는 경우도 있고, 전문 네트워크 장비회사에서 판매하는 IP전화기나 전용라우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Protocols related to VoIP include H.323, SIP, MGCP and MEGACO / H.248 for session establishment. VoIP equipment used in Korea is generally H.323. There are three global technical standards: VoIP, VoFR and VoATM. VoIP can be implemented by simply using a computer, such as a dial pad, or by using an IP phone or a dedicated router sold by a professional network equipment company.

도 1은 일반적인 VoIP 네트워크의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general VoIP network.

도 1과 같이 VoIP 기술을 이용하면 인터넷 망뿐만 아니라 기존의 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의 통화도 가능하다. 도 1에서 MG(Media Gateway)는 PSTN의 음성을 IP(Internet Protocol) 패킷으로 변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Using the VoIP technology as shown in FIG. 1, a call with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 as well as the Internet network is possible. In FIG. 1, the MG (Media Gateway) performs a function of changing the voice of the PSTN into an IP (Internet Protocol) packet.

도 2는 네트워크 간 VoIP의 연결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nection of VoIP between networks.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접속 설정 프로토콜)는 전화, 인터넷 컨퍼런스, 인스턴트 메신저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간단히 말해 인터넷 전화 호(call)와 같은 멀티미디어 세션을 설정, 수정 및 종료할 수 있는 응용 계층의 시그널링 프로토콜이다. SIP에는 인터넷 상에서 통신하고자 하는 지능형 단말들이 서로를 식별하여 그 위치를 찾고, 그들 상호 간에 멀티미디어 통신 세션을 생성하거나 삭제 또는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명시하고 있다. SIP는 인터넷 기반 회의, 전화, 음성 메일, 이벤트 통지, 인스턴트 메시징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 세션의 생성, 수정, 종료를 제어하는 request/response 구조로서 TCP와 UDP에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들을 구분하기 위해 이메일 주소와 비슷한 SIP URL을 사용함으로써 IP주소에 종속되지 않고 서비스를 제공받는다.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is used in telephones, Internet conferences, instant messengers, etc. It is simply an application layer signaling protocol that can establish, modify, and terminate multimedia sessions such as Internet telephone calls. . SIP specifies a procedure for intelligent terminal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n the Internet to identify and locate each other and to create, delete, or change a multimedia communication session with each other. SIP is a request / response structure that controls the creation, modification, and termination of multimedia service sessions such as Internet-based conferencing, telephone, voice mail, event notification, and instant messaging. It can be used for both TCP and UDP. By using a SIP URL similar to the address, the service is provided without being dependent on the IP address.

이러한 SIP를 이용한 VoIP 기술에 의하면 통화를 하고자 하는 단말 간에 SIP를 사용하여 호를 설정하고 음성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이러한 호 설정 과정에서 양 단말이 사용하는 음성 코덱 등을 협상함으로써 단말간 음성 패킷 통신이 가능해진다.According to the VoIP technology using SIP, a call is set up and exchanged voice data between SIP terminals. In this call setup process, voice packe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s enabled by negotiating voice codecs used by both terminals.

도 2에서 단말 1이 단말 2와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S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호를 설정하고, 이 과정에서 통화에 사용할 음성 코덱 등을 협상한다. 만약 두 단말이 사용하는 코덱이 서로 호환이 안되고, 상대방이 사용하는 코덱을 지원할 수 없다면 양 단말간의 음성 통화는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FIG. 2, to make a call with UE 2, UE 1 establishes a call using SIP protocol, and negotiates a voice codec to be used for the call in this process. If the codecs used by the two terminals are not compatible with each other and the codecs used by the other party cannot be supported, voice calls between the two terminals become impossible.

한편, 두 단말이 서로 같은 코덱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네트워크 리소스 제한 등의 이유로 인해, 네트워크 1에서 사용되는 음성 패킷의 크기와 네트워크 2에서 사용되는 음성 패킷의 크기가 서로 다르다면 이를 조율해 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even if two terminals use the same codec, if the size of the voice packet used in Network 1 and the size of the voice packet used in Network 2 are different due to network resource limitation, etc. This is necessary.

이와 같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각각의 네트워크에 속한 단말이 원활한 VoIP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를 연동하기 위한 방법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된다.As such,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method for interworking with a network is required for a terminal belonging to each network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to make a smooth VoIP cal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양측 네트워크의 특성을 동일하게 조정함으로써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두 개의 네트워크를 연동시킬 수 있고, 인터넷에서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와 같이 특수한 환경 조건으로 인해 일반적인 VoIP 기술을 사용하기 힘든 경우에도 연동 서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외부 네트워크와 VoIP 연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SIP 기반의 VoIP 연동 서버와 이를 포함하는 연동망 및 연동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particular, by adjusting the characteristics of both networks in the same way, it is possible to interwork two network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in the special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wireless ad hoc network in the Internet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P-based VoIP interworking server and an interworking network and interworking method including the same, in which a VoIP interworking with an external network can be easily performed using an interlocking server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use general VoIP technology.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SIP 기반의 VoIP 연동 서버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와 RTP(Real Time Protocol)를 사용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신에서 네트워크 1과, 상기 네트워크 1보다 전송속도가 느린 네트워크 2 간의 상호 연동을 위하여, 상기 네트워크 1과 상기 네트워크 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네트워크 1과 상기 네트워크 2 중 어느 일측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타측 네트워크로 전송하되, 상기 타측 네트워크에서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데이터를 변환함으로써 양 네트워크의 특성을 동일하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IP-based VoIP interworking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etwork 1 and VoIP in a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communication u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and Real Time Protocol (RTP). For interworking between networks 2 having a slower transmission speed than 1, the network 1 is located between the network 1 and the network 2 and receives data from one of the networks 1 and 2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other network. The characteristics of both networks are equally adjusted by converting the data into a form that can be understood and processed.

또한,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1에 속하는 단말 1로부터 RTP(Real Time Protocol) 패킷을 수신하면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네트워크 2에 속하는 단말 2가 이해할 수 있는 코덱으로 변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mpanion server receives a Real Time Protocol (RTP) packet from the terminal 1 belonging to the network 1, the companion server may extract voice data and convert the voice data into a codec that can be understood by the terminal 2 belonging to the network 2.

또한,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단말 1과 단말 2의 음성 패킷 크기가 다른 경우, 상기 단말 1 또는 상기 단말 2 중 어느 일측 단말로부터 수신한 음성 패킷의 크기가 타측 단말에서 생성하는 음성 패킷의 크기와 동일하도록 변환한 후 상기 음성 패킷을 상기 타측 단말로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voice packet of the terminal 1 and the terminal 2 is different, the companion server has the same size of the voice packet generated from the other terminal of the terminal 1 or the terminal 2 is the same as the size of the voice packet generated by the other terminal. After the conversion, the voice packet may be delivered to the other terminal.

또한,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1과 네트워크 2의 속도차를 보완하기 위한 버퍼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working server may perform a buffering function to compensate for th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network 1 and the network 2.

또한,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버퍼링 기능의 수행에 있어 버퍼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경우 상기 단말 1 또는 단말 2에 대하여 흐름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working server may perform a flow control function for the terminal 1 or the terminal 2 when a buffer overflow occurs in the execution of the buffering function.

또한,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2의 SIP 프록시(Proxy) 서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working server may serve as a SIP proxy server of the network 2.

본 발명에 따른 SIP 기반의 VoIP 연동망은 상기 SIP 기반의 VoIP 연동 서버; 상기 연동 서버에 연결되며 상기 네트워크 1에 속하는 상기 단말 1; 및 상기 연동 서버에 연결되며 상기 네트워크 2에 속하는 상기 단말 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IP-based VoIP interworking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IP-based VoIP interworking server; The terminal 1 connected to the interworking server and belonging to the network 1; And the terminal 2 connected to the interworking server and belonging to the network 2.

본 발명에 따른 SIP 기반의 VoIP 연동 방법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와 RTP(Real Time Protocol)를 사용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신에서 네트워크 1과, 상기 네트워크 1보다 전송속도가 느린 네트워크 2 간의 상호 연동을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네트워크 1에 속하는 단말 1이 상기 네트워크 2에 속하는 단말 2에게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동 서버로 전달되는 단계; (c) 상기 연동 서버가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정하여 RTP 송신자 정보를 상기 단말 1로부터 상기 연동 서버 자신으로 변경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를 통해 수정된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 2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P-based VoIP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network 1 in a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communication using 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and a Real Time Protocol (RTP), and a network 2 having a lower transmission speed than the network 1. A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the steps of: (a) a terminal 1 belonging to the network 1 sends a call request message to a terminal 2 belonging to the network 2; (b) transmitting the call request message to a companion serv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c) the interworking server modifying the call request message to change RTP sender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1 to the interworking server itself; And (d) transmitting the modified call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2 through step (c).

또한, 상기 연동 방법은 (e) 상기 단말 2는 상기 수정된 통화 요청 메시지에 따라 호 설정을 수락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연동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단말 2의 응답을 수신한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 1이 요청했던 원래의 통화 요청 메시지에 맞게 수정하는 단계; 및 (g) 상기 (f)단계를 통해 수정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 1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terwork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e) the terminal 2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to accept the call setup according to the modified call request message to the interworking server; (f) the companion server receiving the response of the terminal 2, modifying the response message to match the original call request message requested by the terminal 1; And (g) transmitting the modified response message to the terminal 1 through step (f).

또한, 상기 연동 방법은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단말 1의 음성 코덱 정보를 상기 단말 2가 지원할 수 있는 코덱으로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kage method may change the voice codec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 to a codec that the terminal 2 can support in step (c).

또한, 상기 (f)단계에서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단말 2의 RTP 정보를 수정하여 상기 RTP 패킷의 목적지가 상기 연동 서버 자신이 되도록 수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 (f), the companion server may modify the RTP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 so that the destination of the RTP packet becomes the companion server itself.

본 발명에 의하면 연동 서버가 양측 네트워크에서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데이터 또는 네트워크 특성을 변환하여 양측 네트워크의 특성을 동일하게 조정함으로써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두 개의 네트워크를 연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working server converts data or network characteristics into a form that can be understood and processed by both networks so that two network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can be interworked by adjusting the characteristics of both networks in the same manner. .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에서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와 같이 특수한 환 경 조건으로 인해 일반적인 VoIP 기술을 사용하기 힘든 경우에도 연동 서버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외부 네트워크와 VoIP 연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it is difficult to use a general VoIP technology due to special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a wireless ad hoc network on the Internet,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VoIP interworking with an external network using an interlocking serv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shown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following will describ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IP 기반의 VoIP 연동망의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IP-based VoIP interworking net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IP 기반의 VoIP 연동망은, 도 3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1에 속하는 단말 1, 네트워크 2에 속하는 단말 2 및 연동 서버를 포함하여 형성된다.SIP-based VoIP interworking net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3, is formed to include a terminal 1 belonging to network 1, a terminal 2 belonging to network 2 and a coordinated server.

네트워크 1은 네트워크 2에 비해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네트워크 1은 단말 1을 포함하여 다른 단말을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연동 서버와의 사이에 SIP 프록시 서버(proxy server)를 구비할 수 있다.Network 1 supports a faster data transfer rate than Network 2, although not shown, Network 1 may further include other terminals, including terminal 1, and a SIP proxy server between the interworking servers. It may be provided.

네트워크 2는 네트워크 1에 비해 매우 낮은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망 으로, 네트워크 1과 마찬가지로 단말 2를 포함하여 다른 단말을 추가로 더 구비할 수 있다. 네트워크 2에는 상기 네트워크 1과는 달리 별도의 SIP 프록시 서버가 구비될 필요가 없으며, 연동 서버가 네트워크 2의 SIP 프록시 서버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Network 2 is a network that supports a very low data transmission rate compared to network 1, and may further include other terminals, including terminal 2, like network 1. Unlike the network 1, the network 2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with a separate SIP proxy server, and the interworking server serves as the SIP proxy server of the network 2.

단말 2는 전송 속도가 느린 네트워크 2에서 VoIP 서비스를 하기 위해, 일반적인 방법이 아닌, 네트워크 2에 특화된 VoIP 송수신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2의 VoIP 단말들은 SIP 프로토콜(protocol)을 확장하여 사용하고, 연동 서버는 이러한 SIP 확장 프로토콜을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다. Terminal 2 may use a network-specific VoIP transmission and reception, rather than the general method to perform the VoIP service in the network 2, the transmission speed is slow. At this time, the VoIP terminals of Network 2 extend and use the SIP protocol, and the interworking server can understand and process the SIP extension protocol.

연동 서버는 SIP를 사용하는 VoIP 통신에서 네트워크 1과 네트워크 2 간의 상호 연동을 위해 구비된다. 연동 서버는 네트워크 1과 네트워크 2 사이에 위치하여 네트워크 1과 네트워크 2 중 어느 일측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타측 네트워크로 전송한다. 이때, 연동 서버는 일측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를 타측 네트워크에서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함으로써 양 네트워크(네트워크 1과 네트워크 2)의 특성을 동일하게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interworking server is provided for interworking between network 1 and network 2 in VoIP communication using SIP. The interlocking server is located between the network 1 and the network 2 and receives data from one of the network 1 and the network 2 to the other network. At this time, the interworking server serves to adjust the characteristics of both networks (network 1 and network 2) by converting data received from one network into a form that can be understood and processed by the other network.

예컨대, 연동 서버는 네트워크 1에 속하는 단말 1로부터 RTP(Real Time Protocol) 패킷을 수신하면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네트워크 2에 속하는 단말 2가 이해할 수 있는 코덱으로 변환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연동 서버는 단말 2로부터 RTP 패킷을 수신하면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단말 1이 이해할 수 있는 코덱으로 변환한다.For example, when the companion server receives a Real Time Protocol (RTP) packet from the terminal 1 belonging to the network 1, the companion server extracts voice data and converts the voice data into a codec that can be understood by the terminal 2 belonging to the network 2. In the same way, when the companion server receives the RTP packet from the terminal 2, the interworking server extracts the voice data and converts the voice data into a codec that the terminal 1 can understand.

또한, 연동 서버는 단말 1과 단말 2가 생성하고 처리하는 음성 패킷의 크기 가 서로 다른 경우 이에 대한 변환을 수행한다. 즉, 연동 서버는 단말 1과 단말 2의 음성 패킷 크기가 다른 경우, 단말 1 또는 단말 2 중 어느 일측 단말로부터 수신한 음성 패킷의 크기가 타측 단말에서 생성하는 음성 패킷의 크기와 동일하도록 변환한 후, 상기 음성 패킷을 타측 단말로 전달한다. In addition, when the size of the voice packet generated and processed by the terminal 1 and the terminal 2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interworking server converts the same. That is, if the voice packet sizes of the terminal 1 and the terminal 2 are different, the interworking server converts the size of the voice packet received from one of the terminal 1 or the terminal 2 to be equal to the size of the voice packet generated by the other terminal. The voice packet is transmitted to the other terminal.

예컨대, 단말 1은 30 ms 단위로 음성 패킷을 생성하고 단말 2는 180 ms 단위로 음성 패킷을 생성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때, 단말 2가 생성하는 음성 패킷의 크기는 단말 1이 생성하는 음성 패킷 크기의 6배가 된다. 따라서, 단말 1과 단말 2는 서로 다른 크기의 음성 패킷을 생성하고 있으며, 연동 서버 없이 상호 간에 직접 음성 패킷이 전송되는 경우 수신측에서는 수신한 음성 패킷을 처리할 수 없게 된다. 연동 서버는 단말 1로부터 수신한 음성 패킷을 여러 개 모아서 180 ms 크기가 되도록 한 후, 이를 단말 2로 전달한다. 반대의 경우, 연동 서버는 단말 2에서 수신한 음성 패킷을 30 ms 단위로 여러 개의 음성 패킷으로 분할한 후, 이를 단말 1로 전달하게 된다.For example, assume that terminal 1 generates a voice packet in units of 30 ms and terminal 2 generates a voice packet in units of 180 ms.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voice packet generated by the terminal 2 is six times the size of the voice packet generated by the terminal 1. Accordingly, the terminal 1 and the terminal 2 generate different sized voice packets, and when the voice packets are directly transmitted to each other without a coordinated server, the receiving side cannot process the received voice packets. The interworking server collects a plurality of voice packets received from the terminal 1 to have a size of 180 ms and then transfers them to the terminal 2. In the opposite case, the companion server divides the voice packet received from the terminal 2 into a plurality of voice packets in units of 30 ms and then transfers the received voice packet to the terminal 1.

또한, 연동 서버는 네트워크 1과 네트워크 2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다르므로 이러한 속도차를 보완하기 위해 버퍼링 기능을 수행한다. 연동 서버는 이러한 버퍼링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가 발생할 경우 단말 1 또는 단말 2에 대하여 흐름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interworking server performs a buffering function to compensate for the difference in speed since the data transmission speeds of the network 1 and the network 2 are different. The interworking server performs a flow control function on the terminal 1 or the terminal 2 when a buffer overflow occurs in performing such a buffering function.

연동 서버는 단말 1과 단말 2 각각에 대해서 RTP 세션(session)의 종단 역할을 수행하므로 일련 번호(sequence number)와 같은 세션 정보를 스스로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Since the interworking server plays an end role of the RTP session for each of the terminal 1 and the terminal 2, it may generate and manage session information such as a sequence number by itself.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IP 기반의 VoIP 연동 방법의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of a SIP-based VoIP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10은 단말 1이 단말 2에게 VoIP 통신을 위해 SIP 호 설정을 요청하는 단계로, 단말 1은 단말 2를 상대로 통화 요청 메시지인 SIP INVITE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단말 1이 송신한 SIP INVITE 메시지는 네트워크 1의 SIP 프록시 서버를 거쳐 단말 2의 SIP 프록시 서버에 해당하는 연동 서버로 전달된다. In step 10, the terminal 1 requests the terminal 2 to establish a SIP call for VoIP communication, and the terminal 1 transmits a SIP INVITE message, which is a call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2. At this time, the SIP INVITE message transmitted by the terminal 1 is transmitted to the interworking server corresponding to the SIP proxy server of the terminal 2 via the SIP proxy server of the network 1.

이때, 연동 서버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정하여 송신자 정보를 연동 서버 자신으로 변경한다. 즉, 연동 서버는 INVITE 메시지의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부분을 수정하여 단말 1로 되어 있는 RTP 송신자 정보를 자신으로 변경한다. 만일 단말 1의 음성 코덱이 단말 2가 지원하지 못하는 것이라면, 연동 서버는 이러한 코덱 정보를 단말 2가 지원할 수 있는 코덱으로 변경한다.At this time, the interworking server modifies the call request message and changes the sender information to the interworking server itself. That is, the coordinated server modifies the Session Description Protocol (SDP) portion of the INVITE message and changes the RTP sender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 to itself. If the voice codec of the terminal 1 is not supported by the terminal 2, the companion server changes the codec information into a codec that the terminal 2 can support.

단계 12는 수정된 통화 요청 메시지를 연동 서버가 단말 2로 전달하는 단계이다.Step 12 is a step of delivering the modified call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2 terminal.

단계 14는 단말 2가 응답 메시지를 연동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로, 단말 2는 수정된 통화 요청 메시지에 따라 호 설정을 수락하는 응답 메시지(예컨대, 200 OK)를 연동 서버로 전송한다. In step 14, the terminal 2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to the companion server, and the terminal 2 transmits a response message (eg, 200 OK) to accept the call setup according to the modified call request message to the companion server.

단말 2의 응답을 수신한 연동 서버는 응답 메시지를 단말 1이 요청했던 원래의 통화 요청 메시지에 맞게 수정한다. 즉, 연동 서버는 응답 메시지의 SDP 부분을 원래의 INVITE 메시지에 맞게 수정한다. 또한, 연동 서버는 단말 2의 음성 코덱이 단말 1이 지원하지 못하는 것이라면, 이러한 코덱 정보를 단말 1이 지원할 수 있는 코덱으로 변경한다. 더불어, 연동 서버는 단말 2의 RTP 정보를 수정하여 RTP 패킷의 목적지가 연동 서버 자신이 되도록 수정한다.The interworking server receiving the response of the terminal 2 modifies the response message to match the original call request message requested by the terminal 1. That is, the coordinated server modifies the SDP portion of the response message to match the original INVITE message. Also, if the voice codec of the terminal 2 is not supported by the terminal 1, the companion server changes the codec information into a codec that the terminal 1 can support. In addition, the interworking server modifies the RTP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 so that the destination of the RTP packet becomes the interworking server itself.

단계 16은 수정된 응답 메시지를 연동 서버가 단말 1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Step 16 is a step in which the companion server transmits the modified response message to the terminal 1.

단말 1은 단말 2의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ACK 메시지를 연동 서버를 통해 전송(단계 18, 20)함으로써, 단말 1과 단말 2 간의 호 설정이 완료된다.When the terminal 1 receives the response message from the terminal 2, the ACK message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working server (steps 18 and 20), thereby completing the call setup between the terminal 1 and the terminal 2.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단말 1과 단말 2 간에 음성 호가 설정되면, 단말 1과 단말 2는 RTP 패킷을 송수신한다(단계 22). 이때, 단말 1과 단말 2 간의 음성 패킷 전송은 항상 연동 서버를 거쳐서 이루어진다. 외부에서 볼 때, 즉 단말 1과 단말 2의 입장에서는 서로 직접 RTP 패킷을 주고 받는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RTP 패킷의 목적지는 연동 서버가 된다.When a voice call is established between the terminal 1 and the terminal 2 through this process, the terminal 1 and the terminal 2 transmits and receives an RTP packet (step 22). In this case, the voice packet transmission between the terminal 1 and the terminal 2 is always performed through the interworking server. From the outside, that is, from the standpoint of the terminal 1 and the terminal 2, it is assumed that the RTP packets are directly exchanged with each other.

단계 22를 통해 음성 패킷의 전송이 완료되면, 단말 1은 단계 26을 통해 통화 종료 요청 메시지(BYE)를 연동 서버로 전송한다. 연동 서버는 단계 28을 통해 통화 종료 요청 메시지를 단말 2에게 전송한다.When the transmission of the voice packet is completed in step 22, the terminal 1 transmits a call termination request message BYE to the companion server in step 26. The interlocking server transmits a call termination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2 through step 28.

통화 종료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 2가 통화 종료 요청에 대한 수락 메시지(200 OK)를 연동 서버에게 전송하고(단계 30), 연동 서버가 이를 단말 1에게 전송(단계 32)하면 단말 1과 단말 2 사이에 설정되었던 호가 종료된다.The terminal 2 receiving the call termination request message transmits an acceptance message (200 OK) for the call termination request to the companion server (step 30), and when the companion server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1 (step 32), the terminal 1 and the terminal 2 The call that was set up in between ends.

호 종료과정에서, 단말 1과 단말 2가 RFC 3261의 SIP 표준을 따른다면, BYE 메시지와 이에 대한 200 OK 메시지는 연동서버를 통하지 않고, 호 설정과정에서 획득한 상대방의 주소 정보를 사용하여 직접 주고 받을 수 있다.In the call termination process, if the terminal 1 and the terminal 2 follow the SIP standard of RFC 3261, the BYE message and the 200 OK message for the terminal are directly transmitted using the other party's address information obtained in the call setup process without going through the interworking server. I can receive it.

이상에서는 단말 1이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단말 1이 음성 패킷을 전송하며, 단말 1이 통화 종료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동일한 절차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ase in which the terminal 1 transmits a call request message, the terminal 1 transmits a voice packet, and the terminal 1 transmits a call termination request messag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and vice vers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연동 서버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네트워크를 연동시킬 수 있으므로 SIP를 기반으로 하는 VoIP 망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wide range of SIP-based VoIP networks since the interworking server can interwork network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도 1은 일반적인 VoIP 네트워크의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general VoIP network;

도 2는 네트워크 간 VoIP의 연결 예를 도시한 개념도,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onnection of VoIP between networks;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IP 기반의 VoIP 연동망의 개념도,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IP-based VoIP interworking networ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IP 기반의 VoIP 연동 방법의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of a SIP-based VoIP interwork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와 RTP(Real Time Protocol)를 사용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신에서 네트워크 1과, 상기 네트워크 1보다 전송속도가 느린 네트워크 2; 및 Network 1 and network 2 having a lower transmission speed than network 1 i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communication u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and Real Time Protocol (RTP); And 상기 네트워크 1과 상기 네트워크 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네트워크 1과 상기 네트워크 2 중 어느 일측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타측 네트워크로 전송하되, 상기 타측 네트워크에서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상기 데이터 또는 네트워크 특성을 변환함으로써 양 네트워크의 특성을 동일하게 조정하는 연동 서버를 포함하고,Located between the network 1 and the network 2 to receive data from any one of the network 1 and the network 2 to transmit to the other network, the data or network characteristics in a form that can be understood and processed by the other network It includes a coordinated server for adjusting the characteristics of both networks by converting the same,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1에 속하는 단말 1이 상기 네트워크 2에 속하는 단말 2에게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정하여 RTP 송신자 정보를 상기 단말 1로부터 상기 연동 서버 자신으로 변경하고, 상기 단말 2로부터 상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 1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 2의 RTP 정보를 수정하여 상기 RTP 패킷의 목적지가 상기 연동 서버 자신이 되도록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의 VoIP 연동망. When the terminal 1 belonging to the network 1 transmits a call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2 belonging to the network 2, the companion server modifies the call request message to change the RTP sender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1 to the linked server itself. When receiving a response message for the request message from the terminal 2 and transmitting the response message to the terminal 1, modifying the RTP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 so that the destination of the RTP packet becomes the interworking server itself. SIP based VoIP interworking networ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단말 1로부터 RTP(Real Time Protocol) 패킷을 수신하면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 2가 이해할 수 있는 코덱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의 VoIP 연동망. The interworking server extracts voice data and converts the voice data into a codec that can be understood by the terminal 2 when receiving the Real Time Protocol (RTP) packet from the terminal 1.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단말 1과 단말 2의 음성 패킷 크기가 다른 경우, 상기 단말 1 또는 상기 단말 2 중 어느 일측 단말로부터 수신한 음성 패킷의 크기가 타측 단말에서 생성하는 음성 패킷의 크기와 동일하도록 변환한 후 상기 음성 패킷을 상기 타측 단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의 VoIP 연동망.When the voice packet sizes of the terminal 1 and the terminal 2 are different, the companion server converts the size of the voice packet received from one of the terminal 1 or the terminal 2 to the same size as the voice packet generated by the other terminal. SIP-based VoIP interworking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voice packet to the oth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1 및 2의 속도차를 보완하기 위한 버퍼링 기능을 수행하고, 버퍼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단말 1 또는 2에 대하여 흐름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의 VoIP 연동망.The interworking server performs a buffering function to compensate for th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networks 1 and 2, and performs a flow control function for the terminal 1 or 2 when a buffer overflow occurs. Interlocking network.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네트워크 2의 SIP 프록시(Proxy) 서버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의 VoIP 연동망.The interworking server is a SIP-based VoIP interworking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serves as a SIP proxy (Proxy) server of the network 2. 삭제delete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와 RTP(Real Time Protocol)를 사용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통신에서 네트워크 1과, 상기 네트워크 1보다 전송속도가 느린 네트워크 2 간의 상호 연동을 위한 방법으로서,A method for interworking between Network 1 and Network 2, which has a lower transmission speed than that of Network 1 i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communication u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and Real Time Protocol (RTP), (a) 상기 네트워크 1에 속하는 단말 1이 상기 네트워크 2에 속하는 단말 2에게 통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a) the terminal 1 belonging to the network 1 transmitting a call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2 belonging to the network 2; (b)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가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동 서버로 전달되는 단계;(b) transmitting the call request message to the companion serv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6; (c) 상기 연동 서버가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를 수정하여 RTP 송신자 정보를 상기 단말 1로부터 상기 연동 서버 자신으로 변경하는 단계;(c) the interworking server modifying the call request message to change RTP sender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1 to the interworking server itself; (d) 상기 (c)단계를 통해 수정된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단말 2로 전달하는 단계;(d) delivering the modified call request message to the terminal 2 through step (c); (e) 상기 단말 2는 상기 수정된 통화 요청 메시지에 따라 호 설정을 수락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연동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e) the terminal 2 transmitting a response message to accept the call setup according to the modified call request message to the companion server; (f) 상기 단말 2의 응답을 수신한 상기 연동 서버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 1이 요청했던 원래의 통화 요청 메시지에 맞게 수정하고, 상기 단말 2의 RTP 정보를 수정하여 상기 RTP 패킷의 목적지가 상기 연동 서버 자신이 되도록 수정하는 단계; 및(f) The companion server receiving the response of the terminal 2 modifies the response message according to the original call request message requested by the terminal 1, and modifies the RTP information of the terminal 2 so that the destination of the RTP packet is determined. Modifying the linkage server to be itself; And (g) 상기 (f)단계를 통해 수정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단말 1로 전송하는 단계(g) transmitting the modified response message to the terminal 1 through step (f).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의 VoIP 연동 방법.SIP-based VoIP interworking method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단말 1의 음성 코덱 정보를 상기 단말 2가 지원할 수 있는 코덱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IP 기반의 VoIP 연동 방법.In step (c), the voice codec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 is changed to a SIP-based VoIP interwork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changing the codec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terminal 2. 삭제delete
KR1020080065341A 2008-07-07 2008-07-07 VoIP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VoIP communication server based on SIP and VoIP communication method KR1009470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341A KR100947085B1 (en) 2008-07-07 2008-07-07 VoIP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VoIP communication server based on SIP and VoIP communic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341A KR100947085B1 (en) 2008-07-07 2008-07-07 VoIP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VoIP communication server based on SIP and VoIP communica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348A KR20100005348A (en) 2010-01-15
KR100947085B1 true KR100947085B1 (en) 2010-03-10

Family

ID=41814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341A KR100947085B1 (en) 2008-07-07 2008-07-07 VoIP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VoIP communication server based on SIP and VoIP communica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08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998A (en) * 2003-04-30 2004-11-09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for linking between one Network and another Network
JP2005039724A (en) 2003-07-18 2005-02-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ler
JP2006100905A (en) * 2004-09-28 2006-04-13 Oki Electric Ind Co Ltd Ip phone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726462B1 (en) 2005-11-18 2007-06-11 (주)제너시스템즈 Intelligent integrated multi-media serv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3998A (en) * 2003-04-30 2004-11-09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for linking between one Network and another Network
JP2005039724A (en) 2003-07-18 2005-02-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ler
JP2006100905A (en) * 2004-09-28 2006-04-13 Oki Electric Ind Co Ltd Ip phone switch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726462B1 (en) 2005-11-18 2007-06-11 (주)제너시스템즈 Intelligent integrated multi-media ser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348A (en) 201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8458B2 (en) Control of service quality in communication systems
US20070019658A1 (en) System for communicating call status information in an internet protocol network
US8644304B2 (en) IP telephony on a home network device
Zhang SIP-based VoIP network and its interworking with the PSTN
EP2088735A1 (en) Client side media splitting function
TW201002018A (en) Method for predicting port number of NAT apparatus based on two STUN server inquiry results
US20060227785A1 (en) Specific stream redirection of a multimedia telecommunication
ES2387437B1 (en)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S BETWEEN INTERNET AND NGN / IMS SUBSYSTEMS.
WO2003030463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ip voice service at private network
Soares et al. Past, present and future of IP telephony
US200601682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ignaling mediation for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telephony
KR100947085B1 (en) VoIP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VoIP communication server based on SIP and VoIP communication method
Manjur et al. Conference gateway for heterogeneous clients: Real time switching clients and interasterisk exchange clients
WO2006111062A1 (en) A calling method between the terminals of packet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Chakraborty et al. VoIP Protocol Fundamentals
Ingo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and other Voice over IP (VoIP) protocols and applications
Pourghasem et al. A Survey of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Technology
KR2010005929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national call using skype i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Abdurohman et al. Technical Specification for Effective Next Generation Network Interconnection in Indonesia
Elahi et al. Voice over Internet Protocols (Voice over IP)
Kuwadekar et al. Real time video adaptation in next generation networks
US9369497B1 (en) Communications system and related method for routing calls to a different destination
TWI322607B (en) Integrated and applied method for the client/server web-based voip
Choi et al. The Implementation of Residential Media Gateway in Interworking Between Megaco/H. 248 and SIP.
Tekin VoIP over wireles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