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4939B1 - Home network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Home network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4939B1
KR100944939B1 KR1020080077218A KR20080077218A KR100944939B1 KR 100944939 B1 KR100944939 B1 KR 100944939B1 KR 1020080077218 A KR1020080077218 A KR 1020080077218A KR 20080077218 A KR20080077218 A KR 20080077218A KR 100944939 B1 KR100944939 B1 KR 100944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ome network
location information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72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18637A (en
Inventor
이화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맥스
Priority to KR1020080077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4939B1/en
Publication of KR2010001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86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9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MP); 이동통신망을 구축하여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를 산출하고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를 홈네트워크서버(HS)에 제공하는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 및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와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특정 위치정보에 대응되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도록 해당 가전기기(E1~En)들을 제어하는 홈네트워크서버(HS)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for construct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calculate current location data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nd providing corresponding map data to a home network server (HS); And receiving the current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nd the corresponding map data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corresponds to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preset by the user. Provided is a home network system using a location check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home network server (HS) for controlling corresponding home appliances (E1 to En) so as to correspond to an event preset by a user.

이동통신단말기, 기지국, 위치, 확인, 홈네트워크, GPS, 가입자, 가전기기, 삼각측량, 전파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ase station, location, identification, home network, GPS, subscriber, home appliance, triangulation, radio wave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 및 그 방법{Home network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Home network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identification and method thereof {Home network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파지향성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비스 지역 내에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인지하고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기지국의 서비스 지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홈네트워크서버에 상기 정보가 전달되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진행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network system and a method thereof.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me network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recognizes a current posi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in a service area of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radio wave directivit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the location is located within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the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user by passing the information to the home network server, the event set in advance by the user and It's about how.

일반적으로 홈네트워크시스템이란, TV, 냉장고, 에어컨 등 집안의 가전제품과 안방, 부엌, 거실, 현관 등 집안의 각 공간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하여 상호간에 정보를 전달해 유선전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인터넷을 통해서도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미래형 가전 시스템을 말하는 것으로 기기,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가전기기들의 동작이 제어되는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general, the home network system connects home appliances such as TVs, refrigerators, and air conditioners, and homes such as homes, kitchens, living rooms, and entrances through a network, and transmits information to each other to connect wired telephones, mobile terminals, and the Internet. It refers to a future home appliance system that enables the operation control through the service can be mad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s regardless of the device, time and place.

그러나 종래의 홈네트워크시스템은 사용자가 유선전화, PDA, 이동통신단말기 및 개인용 PC 등을 이용하여 홈네트워크서버에 접속한 경우에만,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각종 정보가전기기가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home network system, only when the user accesses the home network server by using a landline telephone, PD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sonal PC, etc., various information appliances are set to operate according to the user's command.

따라서 사용자가 미리 홈네트워크서버에 접속하여 이벤트의 진행 시간을 예약하지 않으면, 또는 사용자가 집 근처에 도달하여 홈네트워크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잊거나 접속하지 않으면 상기 이벤트는 진행되지 않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f the user does not access the home network server in advance and reserves the time of the event, or if the user arrives near the home and forgets or does not access the home network server, the event does not proceed.

또한, 상기와 같이 이벤트의 진행 시간을 미리 예약한 상황에서, 교통체증이나 여러 상황들로 인하여 사용자가 집에 늦게 도착하거나 귀가하지 못하였을 경우에도 상기 이벤트는 예정된 시간에 따라 진행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에너지가 낭비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event that the event proceeding time is reserved in advance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user does not arrive late at home or return home due to traffic jams or other situations, the event proceeds according to the scheduled time, which is unnecessary energy. There is a problem such as wast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종래에는 GPS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집 근처에 도착하였을 경우 홈네트워크서버에 의해 이벤트가 진행되도록 하는 방안이 개시되었으나, GPS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GPS 위성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인지해야하기 때문에 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method of allowing an event to be progressed by a home network server wh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rives near a house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ing a GPS function has been disclo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not provided, and the co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eds to be recognized using a GPS satellit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해당 기지국의 서비스 지역 내에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위치될 경우 홈네트워크서버에 상기 정보가 전달되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preset by the user, so that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home network server so that the event set by the user can proceed. It is to provide a home network system and a method using the location confirm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MP); 이동통신망을 구축하여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를 산출하고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를 홈네트워크서버(HS)에 제공하는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 및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와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특정 위치정보에 대응되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도록 해당 가전기기(E1~En)들을 제어하는 홈네트워크서버(HS)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for construct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calculate current location data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nd providing corresponding map data to a home network server (HS); And receiving the current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nd the corresponding map data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corresponds to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preset by the user. Provided is a home network system using a location check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home network server (HS) for controlling corresponding home appliances (E1 to En) so as to correspond to an event preset by a us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MP), 이동통신망을 구축하여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를 산출하고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를 홈네트워크서버(HS)에 제공하는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 및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와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특정 위치정보에 대응되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도록 해당 가전기기(E1~En)들을 제어하는 홈네트워크서버(HS)를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해 이벤트 발생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특정 위치정보가 등록되는 제1 단계; 사용자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특정 위치정보에 대응될 경우 진행될 이벤트가 설정되는 제2 단계;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에 의해 외부에 위치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가 산출되고 상기 현재 위치데이터에 대응된 지도데이터가 홈네트워크서버(HS)에 제공되는 제3 단계; 홈네트워크서버(HS)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가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 상에 매핑되어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가 생성되는 제4 단계; 및 홈네트워크서버(HS)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 진행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특정 위치정보에 대응될 경우, 상기 설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도록 홈네트워크서버(HS)에 연결된 가전기기(E1~En)들이 동작 제어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방법이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establis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nd provide the corresponding map data to the home network server (H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Receiv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nd the corresponding map data from the center (M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is preset by the user. In response to the home network server (HS)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s (E1 ~ En) to correspond to the event set by the user,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for the event generation by the user The first step is registered; A second step of setting an event to be progressed when a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corresponds to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by a user; A third step of calculating current location data of an externally loc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and providing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data to a home network server (HS); A fourth step of genera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by mapping the current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by the home network server (HS) onto map data corresponding thereto; And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by the home network server (HS) corresponds to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for proceeding with an event preset by the user, the corresponding event. There is provided a home network method using the position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fifth step of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s E1 to En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server HS.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해당 기지국의 서비스 지역 내에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가 위치될 경우 홈네트워크서버에 상기 정보가 전달되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preset by the user,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home network server so that the event preset by the user can proceed.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는 호신호를 통하여 기지국들에 등록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위치데이터를 토대로 이동통신서비스센터의 위치계산추정장 치에 의해 계산됨으로써, 별도의 GPS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도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alculated by the location estimation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registered to the base stations through the call signal, without using a separate GPS functi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estimated and through this, i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지도데이터에 매핑되어 댁내에 구비된 홈비디오폰 등의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가족 구성원의 현재 위치정보도 알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mapped to the map data and displayed through a terminal such as a home video phone provided in the hom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mily member can also be know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서비스센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ome network system using location check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vement in a home network system using location check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ome network server using location check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1.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MP), 이동통신망을 구축하여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를 산출하고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를 홈네트워크서버(HS)에 제공하는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 및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와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 정된 특정 위치정보에 대응되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도록 해당 가전기기(E1~En)들을 제어하는 홈네트워크서버(HS)를 포함한다.1 to 3, the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position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buil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Current location data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from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and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for calculating a current location data of a mobile station and providing corresponding map data to a home network server (HS).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corresponds to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preset by the user by receiving the corresponding map data,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s E1 to En are controlled to correspond to the event preset by the user. It includes a home network server (HS).

이동통신단말기(MP)는,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의 해당 기지국들에 전원의 온/오프시 또는 주기적으로 또는 핸드오프시 자신의 위치를 등록하기 위한 해당 주파수를 방사하여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로 하여금 자신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도록 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radiates a corresponding frequency for registering its location at the time of power on / off or periodically or at the time of handoff to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MS) to track their current location.

또한, 이동통신단말기(MP)는, 홈네트워크서버(HS)에 이벤트 실행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특정 위치정보를 등록하고 홈네트워크서버(HS)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이벤트를 설정한 후 상기 특정 위치정보에 대응된 자신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경우 홈네트워크서버(HS)로 하여금 상기 이벤트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registers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for event execution in the home network server (HS) and sets an event to be performed in the home network server (HS). When own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is obtained, the home network server (HS) may allow the event to proceed.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제어장치(110), 이동통신교환장치(120), 위치계산추정장치(130) 및 지도데이터제공장치(14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includes a base station control device 110,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device 120, a location calculation estimator 130, and a map data providing device 140. .

이동통신교환장치(120)는 기지국제어장치(110)를 통해 송신 또는 착신되는 이동통신단말기(MP)가 위치하고 있는 기지국(BTS1~BTSn)을 제어하여 이동통신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지국(BTS1~BTSn)들은 셀 내에 존재하는 이동통신단말기(MP)로부터의 호연결을 위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기지국제어장치(110)로 알리는 동작을 수행하고, 기지국제어장치(110)와 이동통신교환장치(120)는 요구된 호에 대해 망 연동 시스템으로의 호 연결을 실행하여 상호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device 120 controls the base stations BTS1 to BTSn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transmitted or received through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10 enable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e BTS1 to BTSn receive the radio signal for call connection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existing in the cell and inform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10 of the call signal, and exchange the mobil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10. The device 120 executes a call connection to the network interworking system for the requested call to allow mutual communication.

여기서, 상기 기지국(BTS1~BTSn)들은, 각각 셀(Cell) 단위로 배치되어 있고, 이동통신단말기(MP)에서 발생하는 통화요청을 기지국제어장치(110)를 통하여 이동통신교환장치(120)에 전송하거나 자신이 관할하는 셀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통신단말기(MP)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위치등록 정보를 가진다. Here, the base stations BTS1 to BTSn are arranged in units of cells, and the call request genera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device 120 through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10. It has location registration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or grasping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existing in the cell area under its control.

또한, 상기 기지국제어장치(110)와 이동통신교환장치(120)는, 이동통신단말기(MP)에 착신호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가 위치된 기지국의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구역의 기지국제어장치(110)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MP)를 호출하도록 하기 위해 이동통신교환장치(120)의 홈 가입자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에 이동통신단말기(MP)들이 위치하고 있는 셀(기지국)의 번호를 등록받아 저장한다.In addition,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1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device 120, when the incoming call occur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is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A cell in whi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MPs) are located in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device 120 to cal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through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10 ( Register and store the number of the base station).

여기서, 셀이란 특정 이동통신기지국(BTS1~BTSn)들이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영역 내에서 가장 양호하게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호(Call:통화를 요구하는 것)를 처리할 수 있는 구역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기지국들을 구분하는 코드로 PN코드(short code)를 사용하며, 상기 PN코드는 모든 기지국이 동일하고 단지 시간적 차이를 이용하여 기지국을 구분하게 되는 것이다.Here, the cell refers to an area in which specific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BTS1 to BTSn can best handle calls (call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in the area surrounding them. As a code for distinguishing the base stations, a PN code is used, and the PN codes are used for all base stations to distinguish base stations using only the time difference.

위치계산추정장치(13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위치등록이 이동통신단말기(MP)의 전원이 온/오프될 때 또는 주기적으로 또는 위치영역이 변경되는 등의 상황마다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로부터 해당 기지국에 호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에 이동통신단말기(MP)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Since the position calculating device 130 registers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when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is turned on / off or periodically or when the location area is changed, When a call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to the base station,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can be determined.

이때, 이동통신단말기(MP)의 위치를 나타내는 해당 기지국 셀의 지리적 위치 는 셀의 설치시 이미 이동통신교환장치(120)에 등록되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MP)의 위치에 대응된 기지국의 위치정보 즉, PN코드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MP)의 위치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geographical position of the base station cell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is already registe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device 120 when the cell is installe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se sta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That is, the posi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can be grasped through the PN code.

지도데이터제공장치(140)는, 상기 PN코드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MP)의 위치데이터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를 저장수단(미도시)으로부터 다운로드하여 홈네트워크서버(HS)에 제공한다.The map data providing apparatus 140 grasps the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through the PN code, downloads the map data from the storage means (not shown), and provides the map data to the home network server HS. .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 산출시, 현재 이동통신단말기(MP)가 속한 섹터의 기지국의 위치, PN코드, 안테나각도 등을 파악하고 이동통신단말기(MP)가 수신한 전파의 RSSI, Ec/Io 값들을 분석하며 기지국으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MP)에 전파가 착신된 시간차를 구한다음 삼각측량법에 따라 세 개의 쌍곡선을 그려서 상기 쌍곡선이 만나는 지점의 위경도 값을 구하는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전파도착시간차)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when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grasps the position of the base station, PN code, antenna angle, etc. of the sector to which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belongs; Analyze the RSSI and Ec / Io values of the radio waves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calculate the time difference when the radio wave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nd draw three hyperbolic curves by triangula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TDOA (Time Difference of Arrival) method for obtaining a latitude and longitude value of a point.

또한, 상기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 산출시, 2개 이상의 기지국에서 이동통신단말기(MP) 전송신호의 입사각을 측정하여 이동통신단말기(MP)의 위치를 계산하는 AOA(Angle of Arrival)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at the time of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by measuring the incident angl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transmission signal at two or more base stations (MP)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Angle of Arrival (AOA) method of calculating the position of.

홈네트워크서버(HS)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통신부(210), 위치정보생성부(220), 입력부(230), 디스플레이부(240), 이벤트진행부(25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부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게이트웨이 (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3, the home network server HS includes a data communication unit 210, 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20, an input unit 230, a display unit 240, an event progressing unit 250, and a controller ( 260, and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gateway (not shown) to enabl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ponents.

데이터통신부(210)는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에 접속되어 이동통신단말기(MP)의 위치데이터와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받고 댁내의 가전기기(E1~En)들의 동작제어나 비상상황 등을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MP)에 제공되도록 한다.The data communication unit 210 is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using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o receive the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nd the corresponding map data in real time and receive home appliances (E1-En) in the home. Their operation control or emergency situation is provided to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또한, 위치정보생성부(220)는 상기 지도데이터에 이동통신단말기(MP)의 위치데이터를 매핑시켜 현재의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를 외부의 입력부(230)에 의한 요청시 댁내에 구비되는 비디오폰 등의 단말기(HV)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킨다.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20 maps the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to the map data to generat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the display unit 240 is the movement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MP) is displayed on a terminal (HV) display device such as a video phone provided in the home when requested by the external input unit 230.

또한, 입력부(230)는 홈네트워크서버(HS)의 이벤트 발생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특정 위치정보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데,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특정 위치정보 등록은, 사용자가 댁내에 구비된 홈네트워크서버(HS)의 홈비디오폰 등의 단말기(HV) 앞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호신호를 통하여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와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를 상기 홈네트워크서버(HS)의 단말기(HV)에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로 하여금 이벤트 발생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특정 위치정보를 지도데이터의 해당 좌표나 해당 기지국의 PN코드를 입력하여 설정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230 enables setting of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for generating an event of the home network server (HS), where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In the state where the user is located in front of the terminal (HV) such as the home video phone of the home network server (HS) provided in the ho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through the call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fte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current location data of the MP and the corresponding map data on the terminal HV of the home network server HS, the user may specify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for generating an event. Set by inputting the coordinates of the map data or the PN code of the base station.

또한, 입력부(230)는 이동통신단말기(MP)의 특정 위치정보에 이동통신단말 기(MP)의 현재 위치정보가 대응되면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가전기기(E1~En)들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는 이벤트를 설정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input unit 230 is an event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sired home appliances (E1 ~ En)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corresponds to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To be set.

또한, 이벤트진행부(25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가 외부의 입력부(23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입력된 이벤트 진행을 위한 등록 위치정보에 대응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도록 해당 가전기기(E1~En)들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벤트를 진행시킨다. In addition, the event progress unit 250 corresponds to the event if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corresponds to the registered position information for the event proceeding previously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external input unit 230; The event is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s E1 to En.

여기서, 상기 이벤트는 특정 생활가전 또는 냉/난방기기들을 동작시키거나 하는 가전기기(E1~En)들의 동작 제어를 의미한다.Here, the event refers to the operation control of home appliances E1 to En that operate specific household appliances or air / heating devices.

또한, 제어부(260)는 상기 구성부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구성부들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ponents, respectively,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ponents.

여기서, 홈네트워크서버(HS)와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 상호간의 연결은 블루투스, 홈RF, IrDA 등의 무선기술과 홈 PNA, IEEE1394, PLC, 이더넷 등의 유선기술의 인터페이스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홈네트워크서버(HS)와 각 가전기기(E1~En)들 상호간의 연결은 전화선, 동축케이블, UTP, 무선채널 및 전력선 등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home network server (H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is preferably an interface of wireless technologies such as Bluetooth, home RF, IrDA, and wired technologies such as home PNA, IEEE1394, PLC, Ethernet,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home network server (HS) and each of the home appliances (E1 ~ En) is preferably applied to the telephone line, coaxial cable, UTP, wireless channel and power line.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home network method using the position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다.4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home network method using location confi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방법은, 먼저, 사용자에 의해 이벤트 발생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특정 위치정보가 등록된다(S100).As shown in FIG. 4, in the home network method using position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for generating an event is registered by a user. It becomes (S100).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특정 위치정보 등록은, 사용자가 댁내에 구비된 홈네트워크서버(HS)의 홈비디오폰 등의 단말기(HV) 앞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호신호를 통하여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와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를 상기 홈네트워크서버(HS)의 단말기(HV)에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한 후, 입력부(230)를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이벤트 발생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특정 위치정보를 지도데이터의 해당 좌표나 해당 기지국의 PN코드를 입력하여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the user is located in front of the terminal (HV), such as a home video phone of the home network server (HS) provided in the ho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fte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current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nd the corresponding map data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to the terminal (HV) of the home network server (HS) through the call signal, the input unit ( Through 230, the user may set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for generating an event by inputting corresponding coordinates of the map data or PN code of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이후, 사용자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특정 위치정보에 대응될 경우 진행될 이벤트가 설정된다(S110).Thereafter,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corresponds to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by the user, an event to be proceeded is set (S110).

여기서, 상기 이벤트는 특정 생활가전 또는 냉/난방기기들을 동작시키거나 하는 가전기기(E1~En)들의 동작 제어를 의미한다.Here, the event refers to the operation control of home appliances E1 to En that operate specific household appliances or air / heating devices.

이후,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에 의해 댁내로부터 외출 중인 즉, 외부에 위치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가 산출되고 상기 현재 위치데이터에 대응된 지도데이터가 홈네트워크서버(HS)에 제공된다(S120).Thereafter, the current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that is out of the house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MS), that is, located outside, is calculated, and the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data is the home network server (HS). It is provided to (S120).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는, 각 셀에 위치된 해당 기지국에 이동통신단말기(MP)로부터 호 연결을 위한 무선신호가 수신되었을 경 우 기지국제어장치(110)와 이동통신교환장치(120)에 의해 상기 기지국의 위치가 파악되고 위치계산추정장치(130)에 의해 해당 구역에 위치된 기지국의 셀 번호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MP)의 위치 데이터가 산출된다.Here, the current posi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is a mobil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10) when a radio signal for call connec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to the base station located in each cell. The location of the base station is determined by the switching device 120 and the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is calculated through the cell number of the base station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by the location estimation device (130).

이후, 홈네트워크서버(HS)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가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 상에 매핑되어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가 댁내에 구비된 단말기(HV)에 디스플레이된다(S130).Thereafter, the current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is mapped onto the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by the home network server HS, and the terminal (HV)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is provided in the home. It is displayed on (S130).

이후, 홈네트워크서버(HS)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 진행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특정 위치정보에 대응될 경우 즉, 이동통신단말기(MP)가 미리 설정된 해당 기지국의 셀 범위 안에 들어오면(S140), 상기 설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도록 홈네트워크서버(HS)에 연결된 가전기기(E1~En)들이 동작 제어된다(S150).Then,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by the home network server (HS) corresponds to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for the event proceeding preset by the user,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MP) is within the cell range of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set in advance (S140), the home appliances (E1 ~ En)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server (HS)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t event is controlled (S150).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해당 기지국의 서비스 지역 내에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MP)가 위치될 경우 홈네트워크서버(HS)에 상기 정보가 전달되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is located in the service area of the base station preset by the user, the information is transferred to the home network server (HS) to be preset by the user You can have the event proceed.

여기서, 이동통신단말기(MP)의 위치정보는 호신호(Call)를 통하여 기지국(BTS1~BTSn)들에 등록되는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를 토대로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의 위치계산추정장치(130)에 의해 계산됨으로써, 별도의 GPS 기능을 이용하지 않고도 이동통신단말기(MP)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MP)에도 적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is th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registered in the base stations (BTS1 ~ BTSn) through the call signal (Call) By calculating by the calculation estimating apparatus 130,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without using a separate GPS function, through which it can be applied to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또한, 이동통신단말기(MP)의 위치정보가 지도데이터에 매핑되어 댁내에 구비된 홈비디오폰 등의 단말기(HV)를 통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가족 구성원의 현재 위치정보도 알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is mapped to the map data and displayed through a terminal (HV) such as a home video phone provided in the hom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mily member can also be known.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not be def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an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home network system using location check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서비스센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FIG. 2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in a home network system using location confi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1;

도 3은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및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ome network server using location check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FIG. 1; An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 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이다.4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home network method using location confi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이동통신단말기(MP);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이동통신망을 구축하여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를 산출하고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를 홈네트워크서버(HS)에 제공하는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 및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for construct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calculate current location data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nd providing corresponding map data to a home network server (HS); And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와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특정 위치정보에 대응되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도록 해당 가전기기(E1~En)들을 제어하는 홈네트워크서버(HS)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If the current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nd the map data corresponding thereto are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corresponds to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preset by the user. Home network system using a location che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me network server (HS)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s (E1 ~ En) to correspond to the event set in advance. 제1항에 있어서,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기지국제어장치(110)를 통해 송신 또는 착신되는 이동통신단말기(MP)가 위치하고 있는 기지국(BTS1~BTSn)을 제어하여 이동통신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교환장치(120);A mobile communication switching device (120) which enable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y controlling the base stations (BTS1 to BTSn)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transmitted or received through the base station controller (110) is located; 이동통신단말기(MP)와 호연결된 해당 기지국의 PN코드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를 파악하는 위치계산추정장치(130); 및A position estimating apparatus 130 for detecting current posi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through a PN code of a corresponding base station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nd 상기 PN코드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MP)의 위치데이터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데이터제공장치(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Home network using the location che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p data providing device 140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through the PN code and stores the map data corresponding thereto.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 산출시, 현재 이동통신단말기(MP)가 속한 섹터의 기지국의 위치, PN코드, 안테나각도를 파악하고 이동통신단말기(MP)가 수신한 전파의 RSSI, Ec/Io 값들을 분석하며 기지국으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MP)에 전파가 착신된 시간차를 구한다음 삼각측량법에 따라 세 개의 쌍곡선을 그려서 상기 쌍곡선이 만나는 지점의 위경도 값을 구하는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전파도착시간차)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of claim 2, when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base station, PN code, and antenna angle of the sector to which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belongs. Grasp and analyze the RSSI and Ec / Io values of the radio waves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calculate the time difference when the radio wave i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nd draw three hyperbolas according to triangulation A home network system using a location check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TDOA (Time Difference of Arrival) method for obtaining a latitude and longitude value of a meeting point. 제2항에 있어서,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 산출시, 2개 이상의 기지국에서 이동통신단말기(MP) 전송신호의 입사각을 측정하여 이동통신단말기(MP)의 위치를 계산하는 AOA(Angle of Arrival)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erminal of claim 2,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measures an incident angl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transmission signal at two or more base stations when calculating the current posi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location che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using the AOA (Angle of Arrival) method for calculating the position of the (MP). 제1항에 있어서, 홈네트워크서버(HS)는,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me network server (HS),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에 접속되어 이동통신단말기(MP)의 위치데이터와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받는 데이터통신부(210);A data communication unit 210 connected to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using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o receive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nd map data corresponding thereto in real time; 상기 지도데이터에 이동통신단말기(MP)의 위치데이터를 매핑시켜 현재의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위치정보생성부(220);A location information generation unit 220 for mapping the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to the map data to generat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를 외부의 입력부(230)에 의한 요청시 댁내에 구비되는 비디오폰 등의 단말기(HV) 디스플레이장치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240); 및A display unit 240 for display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on a terminal (HV) display device such as a video phone provided in the home when requested by an external input unit 230; And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가 외부의 입력부(23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입력된 이벤트 진행을 위한 등록 위치정보에 대응되면 상기 이벤트에 대응되도록 해당 가전기기(E1~En)들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벤트를 진행시키는 이벤트진행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corresponds to the registered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event proceeding previously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external input unit 230,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s E1 to En may correspond to the event. Home network system using the location chec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vent progress unit 25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o advance the ev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특정 위치정보 등록은, 사용자가 댁내에 구비된 홈네트워크서버(HS)의 홈비디오폰 등의 단말기(HV) 앞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호신호를 통하여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와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를 상기 홈네트워크서버(HS)의 단말기(HV)에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로 하여금 이벤트 발생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특정 위치정보를 지도데이터의 해당 좌표나 해당 기지국의 PN코드를 입력하여 설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시스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located in front of a terminal (HV) such as a home video phone of a home network server (HS) provided in the home. The current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nd the map data corresponding thereto are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through the call signal of the MP and then displayed on the terminal HV of the home network server HS. After that, the user can set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for generating an event by inputting the corresponding coordinates of the map data or the PN code of the corresponding base station. Network system. 이동통신단말기(MP), 이동통신망을 구축하여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를 산출하고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를 홈네트워크서버(HS)에 제공하는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 및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와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를 제공받아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특정 위치정보에 대응되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도록 해당 가전기기(E1~En)들을 제어하는 홈네트워크서버(HS)를 포함하며,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an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network (MP) that calculate the current location data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by construct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vide corresponding map data to home network server (HS) Whe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is received from the service center (MS) and the map data corresponding there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corresponds to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preset by the user in advance by the user. It includes a home network server (HS) for controlling the home appliances (E1 ~ En) to correspond to the set event, 사용자에 의해 이벤트 발생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특정 위치정보가 등록되는 제1 단계;A first step of registering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for generating an event by a user; 사용자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가 상기 미리 설정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특정 위치정보에 대응될 경우 진행될 이벤트가 설정되는 제2 단계;A second step of setting an event to be progressed when a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corresponds to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by a user;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에 의해 외부에 위치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가 산출되고 상기 현재 위치데이터에 대응된 지도데이터가 홈네트워크서버(HS)에 제공되는 제3 단계; A third step of calculating current location data of an externally locat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by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and providing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data to a home network server (HS); 홈네트워크서버(HS)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가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 상에 매핑되어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가 생성되는 제4 단계; 및A fourth step of generat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by mapping the current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by the home network server (HS) onto map data corresponding thereto; And 홈네트워크서버(HS)에 의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이벤트 진행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특정 위치정보 에 대응될 경우, 상기 설정된 이벤트에 대응되도록 홈네트워크서버(HS)에 연결된 가전기기(E1~En)들이 동작 제어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방법.If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by the home network server (HS) corresponds to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for the event proceeding preset by the us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set event And a fifth step in which the home appliances (E1 to En)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server (HS) are operated and controll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 이후에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fter the fourth step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정보가 댁내에 구비된 단말기(HV)에 디스플레이되는 제6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방법.And a sixth step of displaying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on a terminal (HV) provided in a hom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first step,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특정 위치정보 등록은, 사용자가 댁내에 구비된 홈네트워크서버(HS)의 단말기(HV) 앞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호신호를 통하여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와 이에 대응된 지도데이터를 상기 홈네트워크서버(HS)의 단말기(HV)에 제공받아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로 하여금 이벤트 발생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MP)의 특정 위치정보를 해당 좌표나 해당 기지국의 PN코드를 입력하여 설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방법.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regist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i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hrough a call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while the user is located in front of the terminal (HV) of the home network server (HS) provided in the home. Afte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current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and the corresponding map data from the center (MS) to the terminal (HV) of the home network server (HS), the user can perform mobile communication for generating an event. Home network method using the location confi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set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MP) by inputting the coordinates or the PN code of the base sta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in the third step, 상기 이동통신단말기(MP)의 현재 위치데이터는, 각 셀에 위치된 해당 기지국 에 이동통신단말기(MP)로부터 호 연결을 위한 무선신호가 수신되었을 경우 이동통신서비스센터(MS)에 의해 상기 기지국의 위치가 파악되고 해당 구역에 위치된 기지국의 셀 번호를 통하여 이동통신단말기(MP)의 위치 데이터가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홈네트워크방법.The current posi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is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center (MS) when a radio signal for call connection is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to a corresponding base station located in each cell. The location is determined and the location dat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P) is calculated through the cell number of the base station loca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home network method using the location confi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80077218A 2008-08-07 2008-08-07 Home network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1009449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218A KR100944939B1 (en) 2008-08-07 2008-08-07 Home network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7218A KR100944939B1 (en) 2008-08-07 2008-08-07 Home network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637A KR20100018637A (en) 2010-02-18
KR100944939B1 true KR100944939B1 (en) 2010-03-02

Family

ID=4208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7218A KR100944939B1 (en) 2008-08-07 2008-08-07 Home network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493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983B1 (en) * 2012-09-27 2013-11-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responsing ev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9082A (en) 1997-02-27 1998-09-11 Fujitsu Ten Ltd Navigation system
JP2006184282A (en) 2005-12-20 2006-07-13 Fujitsu Ten Ltd Navigation device and receiving device
KR20060093183A (en) * 2005-02-21 2006-08-24 주식회사 팬택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72687A (en) * 2006-01-02 2007-07-0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Home telematics system and method with global position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9082A (en) 1997-02-27 1998-09-11 Fujitsu Ten Ltd Navigation system
KR20060093183A (en) * 2005-02-21 2006-08-24 주식회사 팬택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6184282A (en) 2005-12-20 2006-07-13 Fujitsu Ten Ltd Navigation device and receiving device
KR20070072687A (en) * 2006-01-02 2007-07-05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Home telematics system and method with global positio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8637A (en) 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6258B2 (en) Location-transmitting device for determining loc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1908620B1 (en) Indoor locating mobile terminals in a mobile cellular telecommunication network
KR1012685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location of terminal
CN102884441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 geoloc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9979559B2 (en) Feedback in a positioning system
WO2008006288A1 (en) A remote loca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remote control end and controlled end
KR101603712B1 (en) Method for indoor positioning and, system thereof
US10999704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space partitioning of environment
JP2007532026A (en) Wireless terminal location method by pattern matching of signal strength measurements based on estimation and rule of thumb
KR101234498B1 (en) Position estimating system and method of portable terminal
KR100944939B1 (en) Home network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JP2005303669A (en) Radio lan system,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position managing method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program
CN102300310B (en)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KR201600765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Position by Using Parameter Coefficent
JP2009223873A (en) Wide area search system of electric appliance, electric appliance with radio tag and indoor/outdoor cooperating device
KR20130058219A (en) Home device control method by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KR20060093183A (en)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us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02183B1 (en) Method of controlling home network based on telematics
KR101012611B1 (en) Method And System Server for Determining Posi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W200525167A (en) Method and arrangement as well as computer program with program code mean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a map for describing a propagation behavior of a communication signal emitted by a base st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2016156652A (en) Wireless access point device, wireless client terminal, server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position estimation method
JP2015064234A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N109407124A (en) A kind of intercom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KR101162843B1 (en) Active Type Monitoring System, A Active Type Monitoring Method And A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ed Active Type Monitoring Program
TWI400972B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network switch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