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354B1 - A movable device for unity management and a system for control of home network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movable device for unity management and a system for control of home network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354B1
KR100940354B1 KR1020070122666A KR20070122666A KR100940354B1 KR 100940354 B1 KR100940354 B1 KR 100940354B1 KR 1020070122666 A KR1020070122666 A KR 1020070122666A KR 20070122666 A KR20070122666 A KR 20070122666A KR 100940354 B1 KR100940354 B1 KR 100940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network
communication unit
control command
unit
us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26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55831A (en
Inventor
백원철
Original Assignee
김진수
한국토지주택공사
백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수, 한국토지주택공사, 백원철 filed Critical 김진수
Priority to KR1020070122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354B1/en
Publication of KR20090055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58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3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이동식 통합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동식 통합관리장치는 홈 네트워크상의 제1 기기와 연동된 전용기기에 대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제2 기기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적외선 통신부와, 제1 기기 또는 제2 기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을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전용기기로 전송하여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1 기기의 기능을 수행시키거나, 제어명령을 적외선 통신부를 통해 제2 기기로 전송하여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2 기기의 기능을 수행시키는 처리부를 포함한다.It provides a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nd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 dedicated device linked to a first device on a home network, an infrared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infrared communication with a second device not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and a first device or A display unit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second device and a function of the firs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by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a dedicated devic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Or a processor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infrared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a function of the second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인터넷 가전, 홈 네트워크, 월패드 Internet Appliances, Home Networks, Wall Pads

Description

이동식 통합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A movable device for unity management and a system for control of home network using the same}A mobile device for unity management and a system for control of home networ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식 통합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댁내 어느 공간에서나 자유롭게 이동식 통합관리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합적인 홈 네트워크 기기 제어 및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가전 기기를 제어하며, 비상호출이 가능한 이동식 통합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nd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and to control home appliances using integrated home network device control and infrared communication using a user interface of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freely in any space in the ho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making emergency calls and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인터넷 정보가전(Internet Appliance)(이하, 홈 네트워크 기기라고도 함)이란 댁내에 있는 각종 AV 기기류, PC 등의 정보기기류, 냉장고와 세탁기 등의 가전기기류가 디지털화되고 유/무선으로 네트워크화되어 서로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차세대 가전제품이라 할 수 있다. 인터넷 정보가전에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각각 할당되고, 그에 따라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음성인식기술과 음성합성기술이 적용되어 음성에 의한 작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생체 인식 기능을 이용한 보안 처리도 가능하다. 이러한 인터넷 정보가전의 핵심은, 가전기기 의 디지털화와 디지털화된 가전기기를 서로 연결해주는 홈 네트워크 기술이다. 즉, 가전기기가 인터넷접속과 타기기와의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댁내까지 ADSL 등의 초고속통신망이 접속될 뿐 아니라, 댁내의 가전기기가 무선 또는 유선으로 네트워크화가 되어있어야 한다. 그리고, 홈 네트워크는 댁내에서 디지털 정보가전과 초고속 인터넷을 연결하여 데이터송수신, 멀티미디어 정보교환, 각종 기기의 제어기능 등을 제공하며, 전화선, 전력선, LAN 등의 유선 통신 매체와 블루투스, 무선랜, 홈RF 등의 무선 통신 매체로 구분될 수 있다. Internet Appliances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home network appliances) are various AV devices in the home, information devices such as PCs, and home appliances such as refrigerators and washing machines. Possible next-generation home appliances. Internet information appliances are each assigned an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thereby enabling Internet connection. In addition, the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and the speech synthesis technology are applied to enable not only the operation by the voice, but also the security processing using the personal biometric function. The core of such Internet information electronics is home network technology that connects digitization of home appliances and digital home appliances. In other words, in order for the home appliance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et and data with other devices, not only a high-spee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DSL is connected to the home, but also home appliances must be networked by wireless or wired. In addition, the home network connects digital information appliances and high-speed Internet in the home to provid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multimedia information exchange, and control functions of various devices, and wired communication media such as telephone lines, power lines, and LAN, and Bluetooth, wireless LAN, and home. Wireless communication media such as RF.

한편, 댁내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사용자들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아파트) 단지서버와 연결된 고정형 월패드(Wallpad)(또는 게이트웨이)가 사용되고 있다. 고정형 월패드는 방문자의 얼굴을 모니터로 확인하여 정당한 방문자에 대해 출입문을 열어주고, 댁내의 홈 네트워크 기기들을 사용자가 직접 고정형 월패드가 있는 곳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고정형 월패드가 있는 곳에서만 홈 네트워크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 편리성에 있어서 비효율적이다. Meanwhile, in constructing a home network system, a fixed wallpad (or gateway) connected to a (apartment) complex server is used so that users can access the home network system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The fixed wall pad checks the visitor's face with a monitor to open the door to legitimate visitors, and provides a service for the user to directly control the home network devices in the place where the fixed wall pad is located. However, the user can control the home network devices only where there is a fixed wall pad, which is inefficient in user convenience.

따라서, 홈 네트워크 서비스 및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어 및 관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Thus, there is a need to conveniently control and manage home network services and various services over the network.

본 발명은 이동식 통합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여, 댁내 어느 공간에서나 자유롭게 이동식 통합관리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 스를 이용하여 통합적인 홈 네트워크 기기 제어,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가전 기기 제어, 비상호출, 음성통신, 및 문자통신을 수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nd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the integrated home network device control using the user interface of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freely in any space in the home, home appliance control using infrared communication, emergency Its purpose is to make calls, voice communications, and text communicatio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통합관리장치는 홈 네트워크상의 제1 기기와 연동된 전용기기에 대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제2 기기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적외선 통신부와, 제1 기기 또는 제2 기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을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전용기기로 전송하여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1 기기의 기능을 수행시키거나, 제어명령을 적외선 통신부를 통해 제2 기기로 전송하여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2 기기의 기능을 수행시키는 처리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the dedicated device linked to the first device on the home network, and a second device not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And an infrared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infrared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display unit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first device or the second device, and a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a voice or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a device to perform a function of the firs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or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infrared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a function of the second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 상의 제1 기기와 연동된 전용기기에 대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와, 제1 기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제어명령을 조합하여 매크로 명령어로 생성하는 매크로 생성부와, 제1 기기에 대한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하여 제1 기기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접속부와, 음성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을 무선 통신부를 통해 전용기기로 전송하여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1 기기의 기능을 수행시키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통합관리장치; 및 이동식 통합관리장치와 제어 명령을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제어 명령을 판독하는 판독부와, 제어명령에 따라 제1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용기기를 포함한다.Home network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the dedicated device linked to the first device on the home network, a display unit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first device, the user And a macro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macro command by combining control commands sequentially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user, and receiving state change information on the first device, and providing menu information of the user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vice. A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n updater and a processor configured to transmit a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a voice or user interface to a dedicated de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a function of a firs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And a dedicated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control command with a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 reading unit for reading the control comm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the first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본 발명의 이동식 통합관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nd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댁내에서 이동식 통합관리장치를 리모컨처럼 휴대하면서, 홈 네트워크 기기 제어 및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가전 기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irst, while carrying a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s a remote control in the ho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control the home network device control and home appliances using infrared communication.

둘째, 거주공간의 임의 장소에서, 홈 네트워크 기기 및 일반 가전 기기에 대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방(room)의 전등, 난방온도 등을 수시로 제어할 수 있음으로 인해,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Second, at any place of the living spac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tatus of home network devices and general home appliances, thereby controlling energy, room temperature, etc. from time to time, thereby saving energy. There are also advantages.

셋째, 대형평형에서 전용기기와 이동식 통합관리장치간 상호 통화가 가능하며, 독신자, 부녀자, 장애자, 고령자가 비상호출버튼을 이용한 방범 및 구급의 응급신호를 송출할 수 있어, 국민의 생명연장과 의료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Third, it is possible to mutually communicate between the dedicated device and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in large-scale equilibrium, and the single person, the woman, the handicapped person, and the elderly can send out emergency and emergency signals of emergency and emergency using the emergency call button. There are also advantages that can contribute to sav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를 이용한 네트워크 복합 기능 수행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performing a network complex function using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는 단지서버(101) 및 홈 네트워크 기기(103)와 연결된 전용기기(8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로부터 선택한 메뉴에 따른 제어명령을 전용기기(800)로 전송하고, 전용기기(800)와 연결된 소정의 홈 네트워크 기기(103)의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전용기기인 월패드와 연결된 홈 네트워크 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월패드가 위치한 곳으로 접근하여 홈 네트워크 기기의 제어명령을 입력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는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지 않은 일반가전(105) 기기와 직접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여 소정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된 기능들은 후술될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는 이러한 편리한 기능뿐 아니라, 통화버튼을 통해 홈네트워크 기기 및 단지 내의 경비실, 동현관통화장치, 현관도아폰 등의 통화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단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들을 수신하여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방문자의 영상을 화면에서 확인하여 출입문 개폐를 제어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등의 단지 내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 여 미리 예약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는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동가능하며, 충전 장치를 통해 전원 충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의 구성 요소 및 상술된 내용에 대해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dedicated device 800 connected to the server 101 and the home network device 103, and the user. The control command according to the menu selected from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dedicated device 800, and may perform a function of a predetermined home network device 103 connected to the dedicated device 800. Therefore, in order to control a home network device connected to a wall pad, which is a conventional dedicated device, the user may approach a place where the wall pad is located,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inputting a control command of the home network device. In addition,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control a predetermined function by performing direct infrared communication with the general home appliance 105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may be made through a user interface of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to be described later.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as well as such a convenient function, through the call button can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home network devices and security guards in the complex, donghyeon call device, porch door phone, only from the server The received information may be received and provided on the screen. In addition, the user can check the image of the visitor on the screen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devices in the complex, such as an elevator to perform a function such as reservation in advance. In addition,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is portable by the us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wer can be charged through the charging device. 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and the abov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은 송수신부(110), 표시부(120), 처리부(130), 매크로 생성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은 바람직하게는 충전 장치를 통해 전원 충전이 가능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하,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includes a transceiver 110, a display 120, a processor 130, a macro generator 140, and a storage 150.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is preferably a portable device that can be easily charged power through the charging device. 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송수신부(110)는 홈 네트워크상의 제1 기기와 연동(연결)된 전용기기(800)에 대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거나 제2 기기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13)와 적외선 통신부(115)를 포함한다. 또한, 송수신부(110)는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그래픽 화면을 갱신하기 위한 접속부(117)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기기는 홈 네트워크가 가능한 기기이며, 제2 기기는 그 외의 일반 가전 기기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13)는 전용기기(800)와 영상(화상), 음성, 및 각종 데이터에 대해 무선 통신(2.4GHz 대역)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 무선랜, 무선팬, 무선USB, 또는 무선 IEEE 1394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일 수 있다. 그리고, 전용기기(800)는 홈 네트워 크 기기들을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과 인터페이스시키는 홈 네트워크의 기반설비이다. 예를 들어, 전용기기(800)는 게이트웨이, 월패드, 또는 홈오토(HAS: Home-Automation System) 등과 같은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ransceiver 110 performs data transmission or reception with respect to the dedicated device 800 interlocked with (connected) with the first device on the home network or performs infrared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device. For this purpo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3 and the infrared communication unit are provided. 115. In addition, the transceiver 110 includes a connection unit 117 for updating a graphic screen of the user interface in connection with a computer. Here, the first device may be a device capable of a home network, and the second device may be another general home applian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3 may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2.4 GHz band) for the dedicated device 800, an image (image), voice, and various data. He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communic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WLAN, wireless fan, wireless USB, or wireless IEEE 1394. The dedicated device 800 is an infrastructure of a home network for interfacing home network devices with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For example, the dedicated device 800 may include devices such as a gateway, a wall pad, or a home-automation system (HAS).

또한, 송수신부(110)의 무선 통신부(113)는 전용기기(800)로부터 홈 네트워크 기기들의 정보들을 수신하거나, 소정 제어명령을 전용기기(800)를 통해 홈 네트워크 기기들로 전송하여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소정 홈 네트워크 기기의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홈 네트워크 기기들은 가스, 난방, 조명, 커튼, 환기, 방범 기기, 에어컨, 세탁기, 청정기, TV, 홈시어터(home theater), 냉장고, 전자렌지 등과 같은 다양한 생활 가전 및 정보 가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비상시 버튼을 눌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외부에서 개인 컴퓨터 단말, 이동통신 단말, 노트북 등과 같은 겸용 기기를 이용하여 댁내 기기를 제어할 경우, 송수신부(110)는 그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전용기기(800)로부터 수신하여 후술될 표시부(120)를 통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3 of the transceiver 110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home network devices from the dedicated device 800 or transmits a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to the home network devices through the dedicated device 800 to the control command. A function of a corresponding home network device may be performed. Home network devices may include various household and information appliances such as gas, heating, lighting, curtains, ventilation, security devices, air conditioners, washing machines, purifiers, TVs, home theaters, refrigerators, microwave ovens, and the like. In case of emergency, it may include a function to generate an alarm by pressing a button. In addition, when the user controls the indoor device using a combined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aptop, etc. from the outside, the transceiver 110 receives the data about the result from the dedicated device 800 to be described later The display unit 12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또한, 적외선(IrDA) 통신부는 사용자가 적외선 통신 등을 통해 소정 가전 기기를 바로 제어할 경우, 전용기기(800)를 통하지 않고 대상 가전 기기로 제어명령을 바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될 처리부(130)는 적외선 통신부(115)를 통해 소정 제어명령을 해당 가전 기기로 전송하여 대응되는 가전 기기의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한편, 적외선 통신부(115)는 인식되지 않은 기기의 정보(예를 들어, 명령어 정보)가 있을 경우 해당 기기의 정보를 학습하여 후술될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소정 가전 기기가 인식되지 않은 미등록 기기인 경우 적외선 통 신부(115)는 미등록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해당 기기의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미등록 기기의 정보를 학습하게 된다. 이때, 미등록 기기의 제어 가능한 명령어 등에 대한 정보가 학습될 수 있다. 따라서, 이후 사용자는 학습된 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적외선 통신부(115)를 통해 전송하여 대응되는 기기의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홈 네트워크상의 기기 또는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않은 기기를 무선 통신부(113) 또는 적외선 통신부(115)를 통해 제어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directly controls a predetermined home appliance through infrared communication, the infrared communication unit may directly transmit a control command to the target home applianc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dedicated device 800. Therefore, the processor 130 to be described later may transmit a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to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through the infrared communication unit 115 to perform a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home appliance. Meanwhile, when there is information (for example, command information) of an unrecognized device, the infrared communication unit 115 may lear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and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when a predetermined home appliance is not recognized, the infrared communication 115 receives the data signal of the corresponding device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unregistered device to learn the information of the unregistered device. In this case, information about a controllable command of the unregistered device may be learned. Therefore, the user can then transmit the control command for the learned device through the infrared communication unit 115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As such, the user may control the device on the home network or the device not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3 or the infrared communication unit 115.

또한, 접속부(117)는 컴퓨터와의 연결을 통해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그래픽을 업데이트 한다. 즉, 사용자는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를 접속부(117)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하여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그래픽(메뉴 화면)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접속부(117)는 전용기기(800)로부터 홈 네트워크상의 기기들의 정보를 수신하고, 업데이트된 정보가 있을 경우 이를 후술될 저장부(150)에 반영하여 저장 정보를 갱신하고, 업데이트된 정보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스레인지의 불이 켜져 있어 사용자가 화면상의 가스레인지의 메뉴를 통해 홈 네트워크상의 가스레인지의 불을 끈 경우, 접속부(117)는 그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부(110)를 통해 수신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가스레인지 메뉴의 불이 켜져 있는 모양(또는 색상)을 변경할 수 있으며, 저장부(150)에 저장된 가스레인지의 정보를 온(on)에서 오프(off)로 갱신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unit 117 updates a graphic of a user interface of the screen through a connection with a computer. That is, the user may update the graphic (menu screen)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by connecting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with the computer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17. In addition, the connection unit 117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devices on the home network from the dedicated device 800, if there is updated information is reflected in the storage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to update the stored information, and updated information You can print it on the screen. For example, when the gas range light is turned on and the user turns off the gas range on the home network through the menu of the gas range on the screen, the connection unit 117 transmits data about the result through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10. The shape (or color) of the gas range menu of the user interface screen may be changed to receive th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gas range stored in the storage 150 may be updated from on to off. .

이러한 홈 네트워크 기기의 업데이트 정보(상태 변경 정보) 및 단지서버를 통한 다양한 정보들은 아이콘, 팝업메뉴를 통한 공지, 알림 메시지 등으로 다양하 게 표시될 수 있다.  The update information (status change information) of the home network device and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server may be variously displayed as an icon, a notification through a pop-up menu, a notification message, and the like.

이에 대해 도 7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하고, 이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표시부(12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7, and then the display unit 12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표시부(120)는 소정 기기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표시부(120)는 터치 패널 형태의 LCD 액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화면상에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술된 바와 같이 화면상에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그래픽은 접속부(117)를 통해 유/무선상으로 자동/수동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도 3 및 도 4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display unit 120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predetermined device. The display unit 120 may be configured of an LCD liquid crystal in the form of a touch panel, and a user may select a desired menu through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the screen to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Here, as described above, the graphic of the user interface output on the screen may be automatically / manually updated in a wired / wireless manner through the connection unit 117. A detailed example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한편, 표시부(120)는 문자 입력을 위한 가상 키보드를 화면에 제공하는 문자 입력부(122)를 포함한다. 즉, 문자 입력부(122)는 사용자가 소정 기기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문자 입력을 위한 가상 키보드를 화면에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를 통해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고, 상기 송수신부(110)를 통해 소정 기기로 해당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도 10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unit 120 includes a character input unit 122 for providing a virtual keyboard for character input on the screen. That is, the text input unit 122 provides a virtual keyboard for text input on the screen so that a user can transmit a text message to a predetermined device. Accordingly, a user may input a text message through a virtual keyboard and transmit the text message to a predetermined device through the transceiver 110.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0.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상의 기기 제어 및 변경사항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3 and 4 illustrate examples of a user interface screen according to device control and changes on a hom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00)에서 조명, 에어컨, DTV, 커튼, 전자레인지, 홈시어터 등의 홈 네트워크 기기들이 화면에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화면상에 출력된 메뉴에서 조명(304)을 선택하 면, 조명(기기)(304)이 설치된 댁내의 장소가 화면에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장소의 조명을 켜거나 끌 수 있다. 사용자가 욕실의 조명을 끄고자 화면상의 욕실(306)을 클릭하면 해당 메뉴(욕실(306))에 대응되는 제어명령이 후술될 처리부(130)로 입력되고, 처리부(130)는 송수신부(110)를 통해 제어명령을 전용기기(800)로 전송하고, 전용기기(800)는 해당 제어명령을 통해 욕실(306)의 조명을 끈다. As shown in FIG. 3, home network devices such as lighting, air conditioners, DTVs, curtains, microwave ovens, home theaters, and the like may be output to the user interface screen 200 and provided to the user. When the user selects the light 304 from the menu displayed on the screen, a place in the home where the light (apparatus) 304 is install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us, the user can turn on or off the lighting of the desired place. When the user clicks on the bathroom 306 on the screen to turn off the lighting of the bathroom, a control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menu (bath 306) is input to the processing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processing unit 130 transmits and receives the transmission unit 110. The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dedicated device 800 through), and the dedicated device 800 turns off the lighting of the bathroom 306 through the corresponding control command.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시설이 갖추어진 거실, 침실, 공부방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00)의 각 메뉴 색상을 조명의 상태 변경에 따라 달리 표현하여, 각 룸의 조명 상태 및 사용자가 실행시킨 제어명령의 결과를 사용자가 인식하기 편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거실의 조명이 꺼진 상태(402a)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00)을 통해 거실의 조명이 다시 켜진 상태(402b)로 변경되면, 이에 대한 결과값을 기초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200)의 거실의 조명에 대한 메뉴 색상이 달리 표현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in the living room equipped with lighting facilities, bedrooms, study room, the color of each menu of the user interface screen 200 is expres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lighting state, the lighting state and The result of the control command executed by the user can be configured to be convenient for the user to recognize. That is, when the lighting of the living room is changed back to the turned on state 402b of the living room through the user interface screen 200 from the lighting state of the living room 402a, the living room of the user interface screen 200 may be The menu color for the lighting can be expressed differently.

이어서,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처리부(130)에 대해서 후술하기로 한다. Next, the processing unit 13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처리부(1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을 무선 통신부(113)를 통해 전용기기(800)로 전송하여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1 기기의 기능을 수행시키거나, 제어명령을 적외선 통신부(115)를 통해 제2 기기로 전송하여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제2 기기의 기능을 수행시킨다. 즉, 사용자가 표시부(120)에서 소정 메뉴를 선택하면 처리부(130)는 해당 메뉴에 대응되는 명령어를 입력받고,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수행) 시킨다. 또한, 사용자가 음성으로 제어 명령을 전달한 경우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아 대응되는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processor 13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voice or the user interface to the dedicated device 8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3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performs a function of the firs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Alternatively, the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infrared communication unit 115 to perform a function of the second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menu on the display unit 120, the processor 130 receive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menu and executes (execute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In addition, when a user transmits a control command by voice, the user may receive voice data and execute a corresponding operation.

또한, 사용자가 전용기기(800)를 통해 단지 내 통신 장치와의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자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의 통화버튼을 누르면, 처리부(130)는 해당 통화버튼의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통신부(113)를 통한 통화를 시도하게 되는 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도 9를 참조하기 바란다. 처리부(130)는 중앙처리장치와 같은 소정 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도 5 및 도 6를 참조로 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call button of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to attempt to connec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only through the dedicated device 800, the processor 130 receives th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call butto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call through 113 is attempted,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9. The processor 130 may include a predetermined chip, such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an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을 통해 홈 네트워크상의 기기를 제어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00) 화면상에 조명(502), 가스레인지(504), 커튼(506), 방범 장치(508)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다고 하자. 사용자가 방범 장치(508)를 작동시키고자 해당 메뉴를 클릭하면, 메뉴에 대응되는 명령어가 처리부(130)로 전송된다. 그러면, 처리부(130)는 해당 명령어에 대응되는 하위 메뉴를 상기 표시부(120)를 통해 화면에 출력시킨다. 여기서, 방범 장치(508)에 대해 비밀 번호 입력이 요구되는 경우, 비밀 번호 입력을 위한 메뉴(510)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비밀 번호를 입력하면, 처리부(130)는 비밀 번호에 대응되는 키(명령어)를 수신하고, 이를 통해 정당한 사용자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정당한 사용자인 경우에는 방범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는 메뉴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후 방범 기능 동작을 위한 제어명령이 전용기기(800)로 전송되어 해당 방범 장치의 대응되는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for controlling a device on a home network through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ume that information about the lighting 502, the gas range 504, the curtain 506, and the security device 508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interface 200. When the user clicks on the menu to operate the security device 508,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menu is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130. Then, the processor 130 outputs a lower menu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Here, if a password input is required for the security device 508, a menu 510 for password input may be provided. When the user inputs a password, the processor 130 receives a key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password and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If the user is a legitimate user, a menu for operating the security function may be provided, and then a control command for operating the security func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dedicated device 800 to operate a corresponding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security device. .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을 통해 통화를 시도하는 화면을 도시한다.In addition, Figure 6 shows a screen attempting to call through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은 홈 네트워크상의 기기 및 그 외의 적외선 통신을 통한 가전 기기 제어뿐 아니라 단지 내 통신 장치와의 통화 연결을 위한 통화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단지 내 통신 장치와의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자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의 통화버튼(602)을 누르면, 처리부(130)가 해당 통화버튼(602)의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통신부(113)를 통한 통화를 시도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부(120)를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방문자의 인적 사항(얼굴)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통화버튼은 사용자 인터페이스(200)의 화면에 터치 스크린상으로 제공될 수 있거나 일반 버튼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include a call button for connecting a call to a communication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as well as controlling home appliances through other infrared communication on the home network. Therefore, when the user just presses the call button 602 of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to try to connect to the communication device, the processing unit 130 receives th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call button 602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 A call is made through 113). In this case, the user may check the personal information (face) of the visitor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as an image. In addition, the call button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of the user interface 200 on the touch screen or in the form of a general button.

이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매크로 생성부(14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macro generation unit 14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매크로 생성부(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제어명령을 조합하여 매크로 명령어로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화감상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홈 네트워크상의 디지털 TV를 선택하고, 주위 조명을 줄이고, DVD를 켜고, 소정 영화를 플레이 시켰다고 하자. 그리고, 사용자가 매크로 명령어 생성을 위해 소정 매크로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상술된 일련의 과정들에 대응되는 각 명령어들이 순차적으로 조합되어 매크로 명령어로 생성된다. 여기서, 매크로 명령어는 후술될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메뉴(또는 버튼)에서 소정 매크로 명령어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후, 사용자는 복잡한 단계를 거칠 필요 없이 대응되는 매크로 기능을 수행할 소정 키를 누름으로써 일련의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소정 매크로 기능을 수행하는 메뉴를 클릭하면, 해당 메뉴에 대응되는 매크로 명령어는 처리부(130)로 입력되고, 처리부(130)는 송수신부(110)를 통해 해당 매크로 명령어를 전용기기(8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전용기기(800)는 매크로 명령어를 판독하여 명령어에 대응되는 기기의 소정 기능을 실행시키게 된다. 여기서, 송수신부(110)로 전송된 매크로 명령어에 있어서, 무선 통신부(113)로 전달된 명령어는 전용기기(800)로 전송되며, 적외선 통신부(115)로 전달된 명령어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되는 기기로 전송되어 명령어에 대응되는 기기의 소정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The macro generator 140 generates a macro command by combining control commands sequentially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For example, let's say a user selects a digital TV on a home network on a (user interface) screen for movie watching, reduces ambient lighting, turns on a DVD, and plays a movie. When a user clicks a predetermined macro generation button to generate a macro command, each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sses is sequentially combined to generate a macro command. Here, the macro command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user may select a predetermined macro command from a menu (or a button). Therefore, the user can subsequently execute a series of processes by pressing a predetermined key to perform the corresponding macro function without having to go through complicated steps. That is, when a menu that performs a predetermined macro function is clicked, a macro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menu is input to the processor 130, and the processor 130 transmits the macro command to the dedicated device 800 through the transceiver 110. To send. Then, the dedicated device 800 reads the macro command to execute a predetermined function of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Here, in the macro command transmitted to the transceiver unit 110, the command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3 is transmitted to the dedicated device 800, the command transmitted to the infrared communication unit 115 operates by receiving an infrared signal. The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a device to execute a predetermined function of the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mmand.

이어서, 저장부(150)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storage unit 150 will be described.

저장부(150)는 상술된 매크로 생성부(140)를 통해 생성된 매크로 명령어에 대한 정보, 상술된 학습을 통한 소정 기기의 명령어 정보, 홈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정보,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버전 정보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50)에 저장된 내용은 표시부(120)를 통해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RAM, 플래쉬 메모리 등의 형태일 수 있다.The storage unit 150 stores information on macro commands generated through the macro generation unit 140 described above, command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device through the above-described learning, information on a home network device, and user interface version information. do.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The storage unit 150 may be in the form of a RAM, a flash memory, or the like.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전기, 가스, 난방 기기들에 대한 사용량 및 단지서버를 통한 공지 사항을 도시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shows the amount of water, electricity, gas, heating equip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nnouncement through the server only.

홈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전용기기(800)(예를 들어 월패드)를 통해 수신된 수도, 전기, 가스, 난방 기기들에 대한 사용량(702)이 사용자 인터페이스(20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편리하게 홈 네트워크 기기 들의 실시간 사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집단 거주 시설과 같은 아파트 단지의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된 단지내 정보가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아파트 주민에 대한 공지 사항(704)이 월패드로 전송되면, 해당 공지 사항(704)이 화면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을 통해 기존의 월패드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도 원격으로 홈 네트워크 기기의 상태 확인 및 제어, 공지 메시지 확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갱신 등의 기능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 home network device, the usage amount 702 for water, electricity, gas, and heating devices received through, for example, a dedicated device 800 (eg, a wall pad)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user interface 200. Can be. Therefore, the user can conveniently check the real-time usage information of the home network devices. In addition, the information in the complex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of the apartment complex, such as a group residence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at is, when the notice 704 for the apartment residents is transmitted to the wall pad, the notice 704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such, the user can conveniently perform functions such as checking and controlling the status of the home network device, checking the notification message, and updating the user interface remotely without directly accessing the existing wall pad through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Will b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용기기(800)의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a dedicated device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용기기(800)는 통신부(810), 판독부(820) 및 제어부(830)를 포함한다. 전용기기(800)는 단지서버 및 홈 네트워크 상의 기기와 연결되어 유선 및 무선 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홈게이트웨이, 월패드, 또는 홈오토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dicated device 8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810, a reading unit 820, and a control unit 830. The dedicated device 800 may include a home gateway, a wall pad, or a home auto, which may be connected to a device on a server and a home network to perform communication on a wired or wireless network.

통신부(810)는 제1 통신부(812)와 제2 통신부(814)를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unit 810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812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814.

제1 통신부(812)는 상술된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과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수신한다. 여기서, 블루투스 통신, 무선랜, 무선팬, 무선USB, 또는 무선 IEEE 1394 등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무선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통신부(812)는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으로 홈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정보, 제어명령 수행에 대한 결과 정보, 단지 내 공지 사항에 대한 정보, 엘리베이터 위치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812)는 사용자가 소정 키를 클릭하면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로 소정 신호를 전송하고,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을 통해 비프음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이동 가능한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의 위치 파악이 어려울 때 사용자로 하여금 손쉽게 이동식 통합관리 장치(100)를 비프음에 따라 찾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812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Here,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WLAN, wireless fan, wireless USB, or wireless IEEE 1394 may be performed. Specificall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812 transmits and receives the information about the home network device, the result information on the execution of the control command, the information on the announcements in the complex, the elevator location information, etc. to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can do. In addition, when the user clicks a predetermined key,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812 transmits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and outputs a beep sound through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thereby enabling mobile movable integration. When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management device 100, the user can easily find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beep sound.

또한, 제2 통신부(814)는 단지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유선으로 수신하여 홈 네트워크 기기의 소정 기능을 후술될 제어부(830)를 통해 수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제어명령을 전송한 경우, 제2 통신부(814)는 이를 단지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홈 네트워크 기기의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814 may receive data from the server by wire and perform a predetermined function of the home network device through the control unit 8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example, when a user transmits a control command for a home network device using his mobile terminal at a remote loca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814 may receive the information from a server and perform a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home network device. Can be.

판독부(820)는 통신부(81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예를 들어 제어명령)를 판독한다. The reading unit 820 reads data (for example, a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810.

제어부(830)는 판독부(820)를 통해 판독된 데이터에 따라 홈 네트워크 기기의 기능을 수행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으로 가스 레인지의 불을 끄고자 메뉴를 선택하여 대응되는 제어명령을 제1 통신부(812)로 전송하면, 제1 통신부(812)는 이를 수신하여 판독부(820)로 전송한다. 그리고, 판독부(820)는 제1 통신부(812)로부터 수신된 제어명령을 판독하여 제어부(830)로 전송하고, 제어부(830)는 해당 제어명령에 따라 가스 레인지로 전송하여 불을 끄도록 지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으로 매크로 명령어를 전송하면, 제어부(830)는 판독된 매크로 명령어를 통해 순차적으로 홈 네트워크 기기의 기능을 수행시킨다. The controller 830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home network device according to the data read through the reader 820.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a menu to turn off the gas cooker to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and transmits a corresponding control command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812,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812 receives this.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reading unit 820. In addition, the reading unit 820 reads the control command receiv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812 and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to the control unit 830, and the control unit 830 transmits the control to the gas rang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to turn off the light. do. In addition, when a user transmits a macro command to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the controller 830 sequentially performs a function of a home network device through the read macro command.

상술된 전용기기(800)는 벽부에 설치되어 월패드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전용기기(800)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용크래들이 이용될 수 있는 데,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는 상기 전용크래들에 착탈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용크래들은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거실벽 등에 설치되어 있는 전용크래들에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를 간편하게 착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용크래들이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경우 독립적인 게이트웨이와 이동식통합관리장치(100)간 무선통신이 이루어져 홈네트워크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외에도, 주방에서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를 착탈할 수 있는 간단한 기구물을 설치하여 기존의 주방폰 대용으로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가 사용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dedicated device 800 may be installed on the wall and used as a wall pad. Meanwhile, a dedicated cradle including components of the dedicated device 800 may be used, and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dedicated cradle.
Here, as shown in FIG. 11, the dedicated cradle may include a gateway function, and the user may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to the dedicated cradle installed in the living room wall. In addition, when the dedicated cradle does not include a gateway function,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gateway and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performed to perform a home network function. In addition,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may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existing kitchen phone by installing a simple appliance that can be detachable from the kitchen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통합관리장치의 통화 기능의 활용 예를 도시한다.Figure 9 shows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call function of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전용기기(800)를 통해 단지 내 통신 장치와의 통화 연결을 시도하고자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의 통화버튼(902)을 누르면, 처리부(130)는 해당 통화버튼(902)의 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통신부(113)를 통한 통화를 시도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소득층 독고 노인용 전용 아파트에 있어서, 독고 노인이 간편하게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의 통화버튼(902)을 클릭하여 아파트 지정 관리자(예를 들어, 사회 복지사)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아파트 지정 관리자가 스케줄에 따라 입주 노인과 수시로 통화하며 입주 노인의 건강상의 이상 유무를 파악함으로써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20)는 아파트 지정 관리자(904)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에는 비상호출버튼(906)이 구성되어, 댁내 화장실, 주방, 침실 등에서 사용자가 긴급 구조, 긴급 재난시 비상호출버튼(906)을 클릭하여 외부 통신망을 통해 도움을 요청할 수 있 다. 또한, 사용자는 비상호출버튼(906)을 클릭하여 미리 지정된 소정 기기로 비상호출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어린이가 비상호출버튼(906)을 클릭하면 보호자의 기기(휴대폰)로 비상호출이 이루어지고, 보호자가 이를 통해 어린이 보호를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비상호출버튼(906)은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의 송수신부(110)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된 통화버튼(902) 및 비상호출버튼(906)은 표시부(120)를 통해 가상 (터치)버튼으로 화면에 구성되거나, 소정 형상의 키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user presses the call button 902 of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to try to make a call connection only with the communication device through the dedicated device 800, the processor 130 receives th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call button 902. Receives and attempts to make a cal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3. As shown in FIG. 9, in a low-income elderly seniors-only apartment, the elderly seniors simply click the call button 902 of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to make a call with an apartment designation manager (for example, a social worker). Can be done. In addition, the apartment designation manager can frequently talk with the occupants in accordance with the schedule, and determine the health problems of the occupants can prevent accidents. Here, the display unit 120 may output the apartment designation manager 904. In addition,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is configured with an emergency call button 906, the user in the home toilet, kitchen, bedroom, etc. to help the user through the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by clicking the emergency call button 906 in the emergency rescue, emergency disasters, etc. You can request. In addition, the user may click the emergency call button 906 to perform an emergency call to a predetermined device. That is, when the child clicks the emergency call button 906, the emergency call is made to the device (mobile phone) of the guardian, and the guardian can take measures for protecting the child through this. The emergency call button 906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the transceiver 110 of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call button 902 and emergency call button 906 may be configured on the screen as a virtual (touch) button through the display unit 120, or may be configured as a key button of a predetermined shap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통합관리장치의 문자 기능의 활용 예를 도시한다.Figure 10 shows an example of utilizing the text function of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된 바와 같이 문자 입력부(122)는, 사용자가 소정 기기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문자 입력을 위한 가상 키보드(1002)를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1002)를 클릭하여 원하는 문자 메시지(1004)를 입력하고, 전송 버튼을 클릭하여 송수신부(110)를 통해 소정 기기로 해당 문자 메시지(1004)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에서 휴대폰의 문자 전송 기능을 가상 키보드(1002)를 통해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도 9에서 상술된 비상호출 기능을 통해 긴급 상황시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상 키보드(1002)는 상술된 바와 같이 문자 입력부(122)를 통해 터치 버튼 형태로 화면에 구성되거나, 이동식 통합관리장치(100)의 소정 부위에 소정 형상의 키버튼(키보드 형태)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xt input unit 122 may provide a virtual keyboard 1002 for text input on the screen so that a user may transmit a text message to a predetermined device. The user may click the virtual keyboard 1002 displayed on the screen to input a desired text message 1004, and click the send button to transmit the text message 1004 to a predetermined device through the transceiver 110.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text transmission function of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virtual keyboard 1002 in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cope in case of emergency through the emergency call function described above in FIG. . The virtual keyboard 1002 may be configured on the screen in the form of a touch button through the character input unit 122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configured as a key button (keyboard form) of a predetermined shape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100. Can be.

도 2 및 도 8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 다. 상기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Each component shown in FIGS. 2 and 8 may be configured as a kind of 'module'. The term 'module' refers to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software o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d a module plays a role. However, modules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module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one or more processors. The functionality provided by the components and module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module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module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통합관리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복합 기능 수행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performing a network complex function using a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통합관리장치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상의 기기 제어 및 변경사항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3 and 4 illustrate examples of a user interface screen according to device control and changes on a home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통합관리장치을 통해 홈 네트워크상의 기기를 제어하는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5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for controlling a device on a home network through a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통합관리장치을 통해 통화를 시도하는 화면을 도시한다.Figure 6 shows a screen for trying to call through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 전기, 가스, 난방 기기들에 대한 사용량 및 단지서버를 통한 공지 사항을 도시한다.FIG. 7 illustrates usage of water, electricity, gas, and heating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notice through a server only.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용기기의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of a dedicate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통합관리장치의 통화 기능과 비상호출 기능의 활용 예를 도시한다.Figure 9 shows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call function and emergency call function of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통합관리장치의 문자 기능의 활용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용크래들을 도시한다.
Figure 10 shows an example of utilizing the text function of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llustrates a dedicated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송수신부 120: 표시부110: transceiver unit 120: display unit

130: 처리부 140: 매크로 생성부130: processor 140: macro generator

150: 저장부 810: 통신부 150: storage unit 810: communication unit

820: 판독부 830: 제어부820: reading unit 830: control unit

Claims (12)

삭제delete 홈 네트워크상의 제1 기기와 연동된 전용기기에 대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respect to a dedicated device linked to the first device on the home network;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제2 기기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는 적외선 통신부;An infrared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infrared communication with a second device not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상기 제1 기기 또는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부;A display unit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first device or the second device;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제어명령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용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제1 기기의 기능을 수행시키거나,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적외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2 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제2 기기의 기능을 수행시키는 처리부를 포함하며,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voice or the user interface is transmitted to the dedicated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a function of the firs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or to execute the control command. A processing unit which transmits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infrared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a function of the second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상기 적외선 통신부는 상기 제2 기기에 대한 정보가 미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적외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2 기기에 대응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기기에 대한 정보를 학습하는, 이동식 통합관리장치.And the infrared communication unit learns information on the second device by receiving a dat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vice through the infrared communication when the information on the second device is not registered.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상기 제어명령을 조합하여 매크로 명령어로 생성하는 매크로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통합관리장치.And a macro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 macro command by combining the control commands sequentially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1 기기 또는 상기 제2 기기에 대한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기기 또는 상기 제2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식 통합관리장치.And a connec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state chang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device or the second device and update menu information of the user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vice or the second device.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용기기를 통해 단지 내 통신 장치와의 통화를 위한 통화버튼을 포함하는, 이동식 통합관리장치.The user interface includes a call button for a call to the communication device only within the dedicated devic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삭제delete 홈 네트워크 상의 제1 기기와 연동된 전용기기에 대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표시부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순차적으로 입력된 제어명령을 조합하여 매크로 명령어로 생성하는 매크로 생성부와, 상기 제1 기기에 대한 상태 변경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 기기에 대응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메뉴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접속부와, 음성 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기 제어명령을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용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제1 기기의 기능을 수행시키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통합관리장치; 및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respect to a dedicated device linked to a first device on a home network, a display unit providing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first device, and sequentially through the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 macro generation unit combining the input control commands to generate macro commands, a connection unit receiving state change information about the first device and updating menu information of the user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vice, voice or A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including a processor configured to transmit the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to the dedicated devic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perform a function of the firs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And 상기 이동식 통합관리장치와 상기 제어 명령을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제어 명령을 판독하는 판독부와, 상기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제1 기기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기 전용기기를 포함하며,And the dedicated device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control command with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a reading unit for reading the control comm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the first device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상기 이동식 통합관리장치는 상기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제2 기기에 대한 정보가 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기기와 적외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2 기기에 대응되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기기에 대한 정보를 학습하는 적외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If the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device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is not registered,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performs infrared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device to receive a dat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vice and 2, 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urther comprises an infrared communication unit for learning information about the devi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user interface is 상기 전용기기를 통해 단지 내 통신 장치와의 통화를 위한 통화버튼을 제공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or providing a call button for a call with a communication device in the complex through the dedicated devic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통합관리장치는According to claim 8, The integrated mobile management device 지정된 소정 기기로 비상호출이 가능한 비상호출버튼을 더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The home network control system further comprises an emergency call button capable of making an emergency call to a designated device.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통합관리장치는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integrated mobile management device 전용크래들에 착탈식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A home network control system, configured in a removable form on a dedicated cradl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isplay unit 소정 기기로 문자 메시지 전송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문자 입력을 위한 가상 키보드를 화면에 제공하는 문자 입력부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And a text input unit configured to provide a virtual keyboard for text input on a screen to perform text message transmission to a predetermined devic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mmunication unit 사용자가 상기 전용기기의 소정 키를 클릭하면 상기 이동식 통합관리장치로 소정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이동식 통합관리장치을 통해 비프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1 통신부를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And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when the user clicks a predetermined key of the dedicated device and outputting a beep sound through the mobile integrated management device.
KR1020070122666A 2007-11-29 2007-11-29 A movable device for unity management and a system for control of home network using the same KR1009403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666A KR100940354B1 (en) 2007-11-29 2007-11-29 A movable device for unity management and a system for control of home network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2666A KR100940354B1 (en) 2007-11-29 2007-11-29 A movable device for unity management and a system for control of home network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831A KR20090055831A (en) 2009-06-03
KR100940354B1 true KR100940354B1 (en) 2010-02-04

Family

ID=4098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2666A KR100940354B1 (en) 2007-11-29 2007-11-29 A movable device for unity management and a system for control of home network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35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91823A1 (en) * 2011-01-21 2012-07-26 T-Mobile Usa, Inc. Software-Implemented Communications Adap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383A (en) * 2001-09-18 2003-03-26 (주)웹콜월드 HOME AUTOMATION SYSTEM BY SPEECH RECOGNITION AND VoIP TECHNOLOGY
KR20060119236A (en) * 2005-05-19 2006-11-24 강원 Mobile-phone with function of wireless mouse and home-network device and network control system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383A (en) * 2001-09-18 2003-03-26 (주)웹콜월드 HOME AUTOMATION SYSTEM BY SPEECH RECOGNITION AND VoIP TECHNOLOGY
KR20060119236A (en) * 2005-05-19 2006-11-24 강원 Mobile-phone with function of wireless mouse and home-network device and network control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5831A (en) 200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7872B2 (en) Remote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via mobile device
US10944589B2 (en) Using a control panel as a wireless access point
US99305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on group basis based upon history of the home devices
JP7073259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KR1007037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device
US20050071879A1 (en) Smart space appliance contro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WO2014103304A1 (en) Control method
CN103944790A (en) Simulation intelligent household software system
CN102185744A (en) Smart home system
CN10576589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devices on group basis in a home network system
CN111970180B (en) Networking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 household equipment,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2015005856A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server, computer program and equipment operation signal generating device used in the remote control system
JP2002318843A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remotely managing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0763175B1 (en) Method for recognition of user&#39;s life pattern and Home network system using by method for recognition of user&#39;s life pattern
KR100940354B1 (en) A movable device for unity management and a system for control of home network using the same
CN114826805A (en)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mobile terminal and intelligent home control method
JP2003283524A (en) Signal repeater
KR101235587B1 (en) A remocon system for wall pad
KR100796159B1 (en) A bathroom phone system using a bidet
KR102510499B1 (en) Cloud platform based apartment home smart home system
JP2003348670A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program
WO202320263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iot device, and device, iot system and storage medium
CN113849087A (en) Intelligent screen device and interaction control method
KR20030078349A (en) Home automation control system using wireless terminal
Berrios The Computerized integrated smart h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