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8208B1 - Moving cartoon producing method and record media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ving cartoon producing method and record media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8208B1
KR100938208B1 KR1020070079212A KR20070079212A KR100938208B1 KR 100938208 B1 KR100938208 B1 KR 100938208B1 KR 1020070079212 A KR1020070079212 A KR 1020070079212A KR 20070079212 A KR20070079212 A KR 20070079212A KR 100938208 B1 KR100938208 B1 KR 100938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button
displayed
tim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2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14890A (en
Inventor
김창훈
조경훈
Original Assignee
(주)스튜디오애니멀
주식회사 젤리오아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스튜디오애니멀, 주식회사 젤리오아시스 filed Critical (주)스튜디오애니멀
Priority to KR1020070079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8208B1/en
Publication of KR20090014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8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8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82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802D [Two Dimensional] animation, e.g. using spri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빙카툰 제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빙카툰 제작방법은 (a) 현재 작업 중인 작업 페이지가 표시되는 페이지 표시영역이 마련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활성화되는 단계와; (b) 상기 작업 페이지 상에 멀티미디어 리소스가 표시될 작업영역을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아웃이 설정되는 단계와; (c) 상기 각 작업영역 내에 멀티미디어 리소스가 등록되어 표시되는 단계와; (d) 상기 작업 페이지 상에 재생 시간 및 재생 순서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컷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e) 상기 각 카메라 컷 영역 내에서 표시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가 상기 재생 순서에 따라 상기 각 재생 시간 동안 재생되도록 동영상으로 인코딩하여 무빙카툰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무빙카툰을 보다 쉽게 제작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ing cartoon manufacturing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same. The moving cartoon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 activ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having a page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 work page currently being worked on; (b) setting at least one layout for determining a work area in which a multimedia resource is to be displayed on the work page; (c) registering and displaying multimedia resources in each of the working areas; (d) setting at least one camera cut area in which a play time and a play order are set on the work page; and (e) encoding moving pictures so that the multimedia resources displayed in the camera cut regions are reproduced during the respective playing times according to the playing order. Accordingly, the user can more easily produce a moving cartoon.

Description

무빙카툰 제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MOVING CARTOON PRODUCING METHOD AND RECORD MEDIA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MOVING CARTOON PRODUCING METHOD AND RECORD MEDIA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빙카툰 제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이미지 파일이나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리소스를 활용하여 무빙카툰을 보다 쉽게 제작하면서도 표준화된 퀄리티(Quality)가 보장되는 무빙카툰 제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ducing a moving cartoo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same is recorded, wherein a user can easily produce a moving cartoon by using multimedia resources such as an image file or a video, thereby ensuring a standardized qual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oving cartoon and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same is recorded.

통상적으로 무빙카툰(Moving Cartoon)은 기존의 출판만화의 연출구조와 리소스를 활용해서 애니메이션과 같은 동영상으로 제작한 중간형태의 매체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In general, moving cartoon is used as a general term for an intermediate type media produced by moving pictures such as animation by utilizing the production structure and resources of existing cartoons.

만화의 컷 구성과 말풍선, 효과 등이 영상에서 음향 정보와 합쳐져 재현되고 영화에서의 컷 연출이 만화의 칸과 칸 사이의 이동으로 대체됨으로써, 기존의 애니 메이션 제작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웹(Wep)이나 모바일 콘텐츠 제작에 활용되고 있다.The composition of the cuts, speech bubbles, and effects of the cartoons are reproduced by combining the sound information in the video, and the cuts in the movies are replaced by the movement between the spaces of the cartoons, which makes the content relatively cheaper than the existing animation produc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oduced is being used for the web (Wep) or mobile content production.

무빙카툰을 제작하는 기존의 방법은 종이에 그려진 만화를 스캔하여 원본 이미지 컷을 파일로 만들고, 원본 이미지 컷에 애니메이터와 같은 작업자가 특정 효과나 말풍선과 같은 부가적인 처리를 수행한 후 출력하고, 출력물을 다시 카메라로 촬영하여 동영상 형태의 무빙카툰을 제작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The existing method of producing moving cartoons is to scan a cartoon drawn on paper to make an original image cut into a file, and to output the original image cut after an operator such as an animator performs an additional processing such as a specific effect or a speech bubble. The camera was used to produce moving cartoons in the form of moving pictures.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무빙카툰 제작방법은 애니메이터와 같은 작업자가 원본 이미지 컷에 특정 효과를 부여하는 것과 같은 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무빙카툰의 퀄리티가 좌우되는 단점이 있다.The existing moving cartoon produc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undergoes a process such as an animator giving a specific effect to the original image cut, and the quality of the moving cartoon depends on the skill of the operator.

또한, 원본 이미지 컷에 특정 효과를 부여하는데 있어서는 포토샵과 같은 전문적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해당 프로그램에 능숙하지 못한 일반 사용자에게는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give a specific effect to the original image cut, it is common to use a professional program such as Photoshop, which may be an area that is not easily accessible to a general user who is not good at the program.

그리고, 기존의 무빙카툰 제작방법의 경우, 출력물을 다시 카메라로 촬영하는 과정을 거치는 등, 그 제작 과정이 일반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xisting moving cartoon production method, the production process is difficult to be easily accessed by the general user, such as taking a process of photographing the output again with a camera.

근래에 UCC(User Created Content)의 제작이 보편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일반 사용자가 쉽게 무빙카툰을 제작할 수 있다면, 웹이나 모바일 기반의 UCC 환경을 확 장시키는데 기초가 될 수 있어 바람직할 것이다.Recently, when the production of UCC (User Created Content) is becoming more common, if a general user can easily create a moving cartoon, it will be desirable because it can be the basis for extending the web or mobile based UCC environm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이미지 파일이나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리소스를 활용하여 무빙카툰을 보다 쉽게 제작하면서도 표준화된 퀄리티(Quality)가 보장되는 무빙카툰 제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cord a moving cartoon production method and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same to ensure a standardized quality while making the moving cartoon more easily by using a multimedia resource such as an image file or a video. To provide the medium.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무빙카툰 제작방법에 있어서, (a) 현재 작업 중인 작업 페이지가 표시되는 페이지 표시영역이 마련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활성화되는 단계와; (b) 상기 작업 페이지 상에 멀티미디어 리소스가 표시될 작업영역을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아웃이 설정되는 단계와; (c) 상기 각 작업영역 내에 멀티미디어 리소스가 등록되어 표시되는 단계와; (d) 상기 작업 페이지 상에 재생 시간 및 재생 순서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컷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e) 상기 각 카메라 컷 영역 내에서 표시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가 상기 재생 순서에 따라 상기 각 재생 시간 동안 재생되도록 동영상으로 인코딩하여 무빙카툰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카툰 제작방법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ving cartoon production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activa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having a page display area on which a work page currently being worked is provided; (b) setting at least one layout for determining a work area in which a multimedia resource is to be displayed on the work page; (c) registering and displaying multimedia resources in each of the working areas; (d) setting at least one camera cut area in which a play time and a play order are set on the work page; (e) producing a moving cartoon by encoding a moving picture so that the multimedia resources displayed in each camera cut area are played during the respective playing time according to the playing order. Is achieved by

여기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레이아웃 버튼이 마련된 툴박스 영역이 더 마련되며;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레이아웃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툴박스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갖는 기본 레이아웃이 표시되는 단계와; (b2) 상기 기본 레이아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b3) 상기 작업 페이지 상에 상기 선택된 기본 레이아웃이 표시되어 상기 작업영역이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is further provided with a toolbox area provided with a layout button; Step (b) may include: (b1) displaying a basic layout having at least one shape in the toolbox area when the layout button is clicked; (b2) selecting one of the basic layouts; (b3) displaying the selected basic layout on the work page to set the work area.

또한, 상기 (b2) 단계 및 상기 (b3) 단계에서는 상기 툴박스 영역에 표시된 상기 기본 레이아웃 중 어느 하나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에 의해 상기 작업 페이지 상에 이동시켜 상기 기본 레이아웃이 상기 작업 페이지 상에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in steps (b2) and (b3), any one of the basic layouts displayed in the toolbox area may be moved on the work page by drag and drop to display the basic layout on the work page. Can be.

그리고,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라이브러리 버튼이 마련된 툴박스 영역이 더 마련되며;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라이브러리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툴박스 영역에 멀티미디어 리소스의 표시를 위한 리소스 표시창이 활성화되는 단계와; (c2) 상기 리소스 표시창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를 등록시키는 단계와; (c3) 상기 리소스 표시창에 등록된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 중 어느 하나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에 따라 상기 레이아웃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작업영역 중 어느 하나에 등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further includes a toolbox area provided with a library button; Step (c) may include: (c1) activating a resource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a multimedia resource in the toolbox area when the library button is clicked; (c2) registering at least one multimedia resource in the resource display window; and (c3) registering and displaying any one of the multimedia resources registered in the resource display window in any one of the working areas determined by the layout according to a drag and drop method.

여기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페이지 카메라 버튼이 마련된 툴박스 영역이 더 마련되며;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페이지 카메라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툴박스 영역에 추가버튼이 활성화되는 단계와; (d2) 상기 추가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컷 영역이 상기 작업 페이지 상에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카메라 컷 영역에 대한 상기 재생 시간에 대응하는 길이의 제1 타임 바가 표시되는 제1 타임라인 창이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2) 단계가 복수 회 수행되 는 경우, 상기 카메라 컷 영역에 대한 상기 재생 순서는 상기 (d2) 단계의 수행 순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is further provided with a toolbox area provided with a page camera button; Step (d) may include: (d1) activating an add button in the toolbox area when the page camera button is clicked; (d2) When the add button is clicked, the camera cut area is visually recognizably displayed on the work page, and a first time bar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laying time for the displayed camera cut area is displayed. Displaying a first timeline window o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When the step (d2) is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the reproduction order for the camera cut area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rder of the step (d2).

그리고, 상기 툴박스 영역에는 컷 카메라 버튼이 더 마련되며; 상기 (d) 단계는, (d5) 상기 카메라 컷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컷 카메라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툴박스 영역에 이동 추가버튼이 표시되는 단계와; (d6) 상기 카메라 컷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컷 카메라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카메라 컷 영역에 대한 재생 시간의 조절이 가능한 제2 타임 바가 표시된 제2 타임라인 창이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와; (d7) 상기 이동 추가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제2 타임라인 창에 재생 시간의 조절이 가능한 상기 제3 타임 바가 표시되는 단계와; (d8) 상기 제2 타임 바, 상기 제3 타임 바, 및 상기 제2 타임 바와 상기 제3 타임 바 간의 시간 간격 중 어느 하나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카메라 컷 영역의 재생 시간이 상기 제2 타임 바, 상기 제3 타임 바 및 상기 시간 간격에 해당하는 시간의 합에 의해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a cut camera button is further provided in the toolbox area; The step (d) may include: (d5) displaying a move add button in the toolbox area when the cut camera button is selected when any one of the camera cut areas is selected; (d6) When the cut camera button is selected while any one of the camera cut regions is selected, a second timeline window displaying a second time bar for adjusting a playback time for the selected camera cut region is displayed i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ing on the screen; (d7) when the move add button is clicked, displaying the third time bar on which the reproduction time can be adjusted in the second timeline window; (d8) When any one of the second time bar, the third time bar, and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time bar and the third time bar is adjusted, the playback time of the selected camera cut area is determined by the second time. And a bar set by the sum of the third time bar and the time corresponding to the time interval.

여기서, 상기 제2 타임 바 및 상기 제3 타임 바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 페이지 상에 표시된 상기 카메라 컷 영역의 사이즈 및 위치 중 어느 하나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제2 타임 바 및 상기 제3 타임 바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재생 시간 동안 상기 변경된 카메라 컷 영역이 동영상으로 생성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Here, when one of the second time bar and the third time bar is selected, any one of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camera cut area displayed on the work page is changed. The changed camera cut region may be set to be generated as a moving image during a reproduction time corresponding to any one selected from three time bars.

또한, 상기 컷 카메라 버튼이 클릭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컷 영역은 사이 즈 및 상기 작업 페이지 상의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된다.In addition, the camera cut area is provided to adjust the size and position on the work page while the cut camera button is clicked.

또한, 상기 (d5) 단계에서 상기 툴박스 영역에는 흔들림 추가 버튼이 더 표시되며; 상기 (d) 단계는, (d9) 상기 흔들림 추가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제2 타임라인 창에 흔들림 효과가 부가되는 흔들림 시간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흔들림 시간의 조절이 가능한 흔들림 타임 바가 표시되는 단계와; (d10) 상기 흔들림 타임 바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툴박스 영역에 상기 흔들림 효과의 강도, 방향 및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절을 위한 흔들림 조절창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e) 단계에서 인코딩되는 동영상에는 상기 흔들림 시간 동안 상 흔들림 조절창에 의해 조절된 흔들림 효과가 부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ep (d5), the shake addition button is further displayed in the toolbox area; In the step (d9), when the add shake button is clicked, a shake time bar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a shake time to which a shake effect is added to the second timeline window is displayed and the shake time bar is adjustable. Becoming a step; (d10) if the shake time bar is selected,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a shake control window for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intensity, direction, and speed of the shake effect in the toolbox area; The moving picture encoded in the step (e) may be provided with a shake effect adjusted by the image shake control window during the shake time.

그리고,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효과 버튼이 마련된 툴박스 영역이 더 마련되며; (f) 상기 효과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작업영역에 표시된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에 부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효과 이미지가 표시되는 단계와; (g) 상기 효과 이지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작업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여 상기 작업영역에 표시된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에 상기 효과 이미지를 오버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further includes a toolbox area provided with effect buttons; (f) when the effect button is selected, displaying at least one effect image attachable to the multimedia resource displayed on the work area; and (g) dragging and dropping any one of the effect images onto the work area to overlap the effect image on the multimedia resource displayed on the work area.

여기서,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말풍선 버튼이 마련된 툴박스 영역이 더 마련되며; (h) 상기 말풍선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말풍선 이미지가 상기 툴박스 영역에 표시되는 단계와; (i) 상기 말풍선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작업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여 상기 작업영역에 표시된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에 상기 말풍선 이미지를 오버랩시키는 단계와; (j) 상기 말풍선 이미지 내에 텍스트가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is further provided with a toolbox area provided with a speech bubble button; (h) when the speech bubble button is clicked, displaying at least one speech bubble image in the toolbox area; (i) dragging and dropping one of the speech bubble images into the work area to overlap the speech bubble image with the multimedia resource displayed in the work area; (j)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inputting text into the speech bubble image.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의 무빙카툰 제작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단 가능한 기록매체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can also be achieved by a computer-determin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moving cartoon manufacturing method is recorded.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이미지 파일이나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리소스를 활용하여 무빙카툰을 보다 쉽게 제작하면서도 표준화된 퀄리티(Quality)가 보장되는 무빙카툰 제작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ving cartoon production method in which a user can easily produce a moving cartoon using a multimedia resource such as an image file or a video, and a standardized quality is guaranteed, and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same is recorded. Is provid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카툰 제작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하, '무빙카툰 프로그램(17)'이라 함)이 인스톨된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mputer in which a prog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oving cartoon program 17') for performing a moving cartoon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인 CPU(11)(Central Processing Unit), 칩셋(12), 메인메모리(15), 디스플레이부(13), 사용자 입력부(14)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16)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mputer may includ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11, a chipset 12, a main memory 15, a display unit 13, a user input unit 14, and a hard disk drive. (HDD) 16 may be included.

메인메모리(15)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형태로 프로그램이나 기타 데이터가 임시 저장된다. 디스플레이부(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과 같이 영상이 표시되며, 사용자 입력부(14)는 키보드나 마우스 형태로 마련된다.The main memory 15 temporarily stores a program or other data in a form of random access memory (RAM), which is a nonvolatile memory. The display unit 13 displays an imag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the user input unit 14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keyboard or a mouse.

칩셋(12)은 메인 메모리(15) 및 디스플레이부(13)를 관리하며, CPU(11), 메인 메모리(15), 디스플레이부(13) 및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6) 간에 이동하는 데이터를 관리한다.The chipset 12 manages the main memory 15 and the display unit 13, and manages data moving between the CPU 11, the main memory 15, the display unit 13, and the hard disk drive 16. .

하드디스크 드라이브(16)에는 윈도우즈(Windows)와 같은 운영체재(Operating System)가 저장되며, 본 발명에 따른 무빙카툰 프로그램(17)이 저장된다.The hard disk drive 16 stores an operating system such as Windows, and a moving cartoon program 1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무빙카툰 프로그램(17)은 컴퓨터의 운용체제를 기반으로 하여 동작하며, 무빙카툰 프로그램(17)이 실행되는 경우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는 메인 메모리에 임시 저장되어 CPU(11) 및 운영체제와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The moving cartoon program 17 operates based on an operating system of a computer. When the moving cartoon program 17 is executed, data required for execution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main memory to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CPU 11 and the operating system. do.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카툰 프로그램(17)을 통해 무빙카툰을 제작하는 과정을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moving cartoon through the moving cartoon program 1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14.

먼저, 컴퓨터에 무빙카툰 프로그램(17)이 인스톨되어 저장된 상태에서, 무빙카툰 프로그램(17)을 실행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3)의 화면 상에 표시된다.First, when the moving cartoon program 17 is installed and stored in a computer and the moving cartoon program 17 is executed, a graphic user interface screen as shown in FIG. 2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3. .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페이지 표시영역(10)과, 툴박스 영역(20)과, 페이지 요약창(30)이 마련된다. 또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그 상단에 메뉴바(40)가 마련되며, 메뉴바(40)의 하부에는 무빙카툰 프로그램(17)의 주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아이콘 버튼들이 형성되어 있는 아이콘창(50)이 마련된다.The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is provided with a page display area 10, a toolbox area 20, and a page summary window 30. In additio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is provided with a menu bar 40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n icon window 50 having icon buttons for executing main functions of the moving cartoon program 17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enu bar 40. ) Is prepared.

여기서, 사용자는 무빙카툰을 제작하기 위해 메뉴바(40)의 '파일'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무빙카툰 제작을 위한 파일을 생성하거나, 기존에 작업 중인 상태에서 저장된 파일을 불러올 수 있다.Here, the user may click the 'file' button on the menu bar 40 to produce a moving cartoon to generate a file for producing a new moving cartoon, or load a file stored in an existing work state.

도 3은 새로운 무빙카툰의 제작을 위해 '파일' 버튼을 이용하여 새로운 작업(이하, '프로젝트'라 함)을 생성할 때 표시되는 프로젝트 생성창(60)을 도시한 도면이다. 프로젝트 생성창(60)은 새로 생성될 프로젝트의 이름, 생성될 프로젝트가 저장될 폴더, 완성된 프로젝트가 동영상으로 제작될 때의 렌더링(Rendering) 사이즈, 초당 프레임 수(FPS : Frame Per Second), 및 작업 페이지(11)의 사이즈를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ject generation window 60 displayed when a new job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roject') is generated by using a 'file' button to produce a new moving cartoon. The project generation window 60 may include a name of a newly created project, a folder in which the generated project will be stored, a rendering size when the completed project is produced as a movie, a frame per second (FPS), and It is provided so that the size of the work page 11 can be input.

상기와 같은 방식을 통해 새로운 프로젝트가 생성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페이지 표시영역(10)에, 프로젝트 생성창(60)을 통해 입력된 사이즈에 해당하는 작업 페이지(11)가 생성된다. 여기서, 페이지 표시영역(10)에는 현재 작업 중인 작업 페이지(11)가 표시되며, 다수의 작업 페이지(11)가 생성될 때에는 생성된 순서대로 페이지 요약창(30)에 해당 페이지들이 표시된다. 이 때, 사용자는 페이지 요약창(30)에 표시된 작업 페이지(1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선택한 작업 페이지(11)가 페이지 표시영역(1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When a new project is genera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as shown in FIG. 4, the work page corresponding to the size input through the project generation window 60 is displayed in the page display area 10 of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11) is generated. Here, the work page 11 currently being worked on is displayed in the page display area 10, and when the plurality of work pages 11 are generated, the pages are displayed in the page summary window 30 in the order in which they are generated. In this case,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job pages 11 displayed on the page summary window 30 so that the selected job page 11 is displayed on the page display area 10.

한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툴박스 영역(20)에는 레이아웃 버튼(21), 라이브러리 버튼(22) 및 카메라 버튼(23,24)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툴박스 영역(20)에는 효과 버튼(25) 및 말풍선 버튼(26)이 마련될 수도 있다.The layout button 21, the library button 22, and the camera buttons 23 and 24 may be provided in the toolbox area 20 of the graphic user interface screen. In addition, an effect button 25 and a speech bubble button 26 may be provided in the toolbox area 20.

사용자가 툴박스 영역(20)의 레이아웃 버튼(21)을 클릭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툴박스 영역(20)에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갖는 레이아웃이 표시된다. 도 4에서는 사각형 형상 및 원 형상의 레이아웃이 각각 표시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사각형 형상의 레이아웃 내에 표시된 형상선택버튼을 통해 사용자가 3각형, 4각형, 5각형 등과 같이 다각형의 모양을 선택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When the user clicks the layout button 21 of the toolbox area 20, as shown in FIG. 4, a layout having at least one shape is displayed in the toolbox area 20. In FIG. 4, the rectangular and circular layouts are shown as an example. Here, the shape selection button displayed in the rectangular layout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shape of the polygon such as a triangular shape, a tetragon shape, a pentagon shape, or the like.

사용자가 툴박스 영역(20)에 표시된 기본 레이아웃(21a)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기본 레이아웃(21a)이 페이지 표시영역(10) 상의 작업 페이지(11)에 표시된다. 작업 페이지(11)에 표시된 레이아웃은 멀티미디어 리소스가 표시될 작업영역(12)을 결정하는 경계를 제공한다.When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basic layouts 21a displayed in the toolbox area 20, the selected basic layout 21a is displayed on the work page 11 on the page display area 10. The layout displayed on the work page 11 provides a boundary for determining the work area 12 in which the multimedia resource will be displayed.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무빙카툰 프로그램(17)에서 기본 레이아웃(21a)을 작업 페이지(11) 상에 작업영역(12)을 결정하기 위한 레이아웃으로 등록시키는 방법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레이아웃(21a) 중 어느 하나를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에 의해 작업 페이지(11) 상에 이동시켜 기본 레이아웃(21a)이 작업 페이지(11) 상에 작업영역(12)을 결정하기 위한 레이아웃으로 표시되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Here, in the moving cartoon program 1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layout 21a is registered as a layout for determining the work area 12 on the work page 11, as shown in FIG. Moving one of the basic layouts 21a on the work page 11 by a drag and drop method so that the basic layout 21a determines the work area 12 on the work page 11. For example, the method may be used as a method for displaying a layout.

또한, 툴박스 영역(20)의 레이아웃 버튼(21)을 클릭되는 경우, 작업 페이지(11)에 표시될 레이아웃의 두께(Line Thick), 레이아웃 라인의 컬러(Line Color), 레이아웃 라인의 스타일(Line Style), 작업 페이지(11)의 컬러(Bg color) 및 라인의 밝기(Alpha)를 조절하기 위한 레이아웃 조절창(71)이 그래픽 유저 인터 페이스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레이아웃 조절창(71)이 페이지 표시영역(10)의 하단에 표시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다.In addition, when the layout button 21 of the toolbox area 20 is clicked, the thickness of the layout (Line Thick), the color of the layout line (Line Color), and the style of the layout line (Line Style) to be displayed on the work page 11 are displayed. ), A layout control window 71 for adjusting the color (Bg color) of the work page 11 and the brightness (Alpha) of the line may be displayed o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In FIG. 4, for example, the layout adjustment window 71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page display area 10.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작업 페이지(11)에 작업영역(12)을 결정하는 레이아웃이 설정된 상태에서, 각 작업영역(12) 내에 멀티미디어 리소스가 등록되어 표시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작업영역(12) 내에 멀티미디어 리소스가 등록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In a state in which the layout for determining the work area 12 is set in the work page 11 as described above, the multimedia resource is registered and displayed in each work area 12. Hereinafter, a process of registering a multimedia resource in the work area 1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툴박스 영역(20)에 마련된 라이브러리 버튼(22)이 클릭되면, 툴박스 영역(20)에 멀티미디어 리소스의 표시를 위한 리소스 표시창(22b)이 활성화된다. 여기서, 리소스 표시창(22b)에는 폴더 추가버튼(22a) 및 등록버튼(22c)이 마련될 수 있다.When the library button 22 provided in the toolbox area 20 is clicked, the resource display window 22b for displaying the multimedia resource in the toolbox area 20 is activated. Here, the add folder button 22a and the register button 22c may be provided in the resource display window 22b.

폴더 추가버튼(22a)은 현재 작업 중인 프로젝트에 사용될 멀티미디어 리소스를 등록하는데 있어 멀티미디어 리소스를 그룹화하여 등록하는데 사용된다. 즉, 폴더 추가버튼(22a)이 클릭될 때마다 새로운 폴더가 생성되고, 등록버튼(22c)을 클릭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리소스를 해당 폴더에 등록시킬 수 있다.The add folder button 22a is used for grouping and registering multimedia resources in registering multimedia resources to be used in the current working project. That is, each time a folder add button 22a is clicked, a new folder is created, and the registration button 22c is clicked to register a multimedia resource to the folder as shown in FIG. 6.

도 7은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현재 작업 중인 프로젝트에 사용될 멀티미디어 리소스가 등록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등록된 멀티미디어 리소스는 리소스 표시창(22b)에 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리소스 표시창(22b)에 표시된 멀티미디어 리소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을 통해 레이아웃에 의해 결정된 작업영역(12) 중 어느 하나에 등록하여 표시한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multimedia resource to be used in a project currently being worked is registered through the above method, and the registered multimedia resource is displayed on the resource display window 22b. Here, the user selects any one of the multimedia resources displayed on the resource display window 22b, and registers and displays any one of the work areas 12 determined by the layout through a drag and drop method.

이 때, 작업영역(12)에 표시된 멀티미디어 리소스를 클릭하면, 멀티미디어 리소스의 경계 부분에 조절점들이 표시되고, 마우스를 이용하여 조절점을 드래그하는 방식에 의해 멀티미디어 리소스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의 버튼(예컨대, 왼쪽 버튼)을 클릭한 상태에서 마우스를 이동하는 방식을 통해 작업영역(12) 내에서의 멀티미디어 리소스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multimedia resource displayed on the work area 12 is clicked, control points are displayed on the boundary of the multimedia resource, and the size of the multimedia resource can be adjusted by dragging the control point using a mouse. 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multimedia resource in the work area 12 may be adjusted by moving the mouse while clicking a button (for example, a left button) of the mouse.

또한, 작업영역(12)에 표시된 멀티미디어 리소스를 클릭하면, 멀티미디어 리소스의 표시 속성을 조절하기 위한 표시속성 조절창(72)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표시된다. 도 7에서는 표시속성 조절창(72)이 페이지 표시영역(10)의 하단에 표시되고, 레이아웃 조절창(71)에 표시되는 영역에 레이아웃 조절창(71)을 대체하여 표시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표시속성 조절창(72)에서 멀티미디어 리소스, 예컨대, 이미지의 밝기(Alpha)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바가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다.In addition, when the multimedia resource displayed in the work area 12 is clicked on, a display attribute control window 72 for adjusting the display attribute of the multimedia resource is displayed o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In FIG. 7, the display attribute control window 72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page display area 10, and the display control window 71 is replaced with the layout control window 71 in the area displayed on the layout control window 71. .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justment bar for adjusting a multimedia resource, for example, an brightness of an image, is provided in the display property control window 72.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작업 페이지(11) 상에 카메라 컷 영역(13)을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툴박스 영역(20)에 마련된 카메라 버튼(23,24)은 페이지 카메라 버튼(23)과 컷 카메라 버튼(24)을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a process of setting the camera cut area 13 on the work page 1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hrough 11. Here, the camera buttons 23 and 24 provided in the toolbox area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age camera button 23 and a cut camera button 24.

툴박스 영역(20)에 마련된 페이지 카메라 버튼(23)이 클릭되는 경우, 툴박스 영역(2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버튼(23a), 제거버튼(23b) 및 링크버튼(23c)이 활성화된다.When the page camera button 23 provided in the toolbox area 20 is clicked, the toolbox area 20 has an add button 23a, a remove button 23b and a link button 23c as shown in FIG. Is activated.

여기서, 추가버튼(23a)이 클릭되면, 작업 페이지(11) 상에 카메라 컷 영 역(13)이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표시된다. 카메라 컷 영역(13)을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표시하는 방법으로는 카메라 컷 영역(13) 이외의 영역의 밝기를 어둡게 하는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When the add button 23a is clicked on, the camera cut region 13 is visually recognized on the work page 11. As a method of visually recognizing the camera cut region 13, a method of darkening brightness of an area other than the camera cut region 13 may be applied.

또한, 추가버튼(23a)이 클릭되면, 작업 페이지(11) 상에 표시된 카메라 컷 영역(13)에 대한 재생 시간에 대응하는 길이의 타임 바(이하, '제1 타임 바(73a)'라 함)가 표시되는 제1 타임라인 창(73)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표시된다.In addition, when the add button 23a is clicked, a time bar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layback time for the camera cut area 13 displayed on the work page 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time bar 73a') Is displayed o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여기서, 제1 타임 바(73a)는 추가버튼(23a)의 클릭에 따라 작업 페이지(11) 상에 추가되는 각 카메라 컷 영역(13)에 대응하는 개수 만큼이 표시되며, 도 8에서는 2개의 카메라 컷 영역(13)에 대한 2개의 제1 타임 바(73a)가 제1 타임라인 창(73)에 표시된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다.Here, the first time bar 73a is displayed as many a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each camera cut area 13 added to the work page 11 according to the click of the add button 23a. In FIG. 8, two cameras are displayed. As an example, two first time bars 73a for the cut region 13 are displayed on the first timeline window 73.

여기서, 제1 타임 바(73a)는 제1 타임라인 창(73)의 시간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동영상으로 제작될 때 해당 카메라 컷 영역(13)의 재생 시간이 되며, 그 시작점 및 끝점이 해당 카메라 컷 영역(13)의 동영상에서의 재생 시작 및 끝 시간에 해당한다.Here, the first time bar 73a is a playback time of the camera cut area 13 when the length of the first timeline window 73 in the time axis direction is produced as a video, and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first time bar 73a are the corresponding cameras. Corresponds to the playback start and end times in the video of the cut region 13.

또한, 각 제1 타임 바(73a) 간의 시간축 방향으로의 간격은 두 카메라 컷 영역(13) 간의 이동 시간에 해당하여 시간축에서 앞선 제1 타임 바(73a)에 해당하는 카메라 컷 영역(13)이 제1 타임 바(73a) 시간 동안 동영상으로 표시되고, 두 제1 타임 바(73a) 간의 간격 시간 동안 카메라 컷이 뒤의 제1 타임 바(73a)에 해당하는 카메라 컷 영역(13)으로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nterval in the time axis direction between each of the first time bars 73a corresponds to the movement time between the two camera cut areas 13, so that the camera cut area 13 corresponding to the first time bar 73a that precedes the time axis is formed. The first time bar 73a is displayed as a video for a time, and during the interval time between the two first time bars 73a, the camera cut is moved to the camera cut area 13 corresponding to the first time bar 73a. do.

여기서, 제1 타임라인 창(73)에 표시된 제1 타임 바(73a)를 마우스를 이용하여 시간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동영상에서 각 카메라 컷 영역(13)의 시간적인 재생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제1 타임 바(73a)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카메라 컷 영역(13)의 이동 속도 및 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카메라 컷 영역(13)의 재생 순서는 추가버튼(23a)의 클릭에 따라 생성되는 카메라 컷 영역(13)의 생성 순서에 따라 결정된다.Here, the first time bar 73a displayed in the first timeline window 73 may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time axis by using a mouse to adjust the temporal playback position of each camera cut area 13 in the video. As a result, the moving speed and the time of the camera cut area 13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time bars 73a. In addition, the reproduction order of each camera cut area | region 13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generation order of the camera cut area | region 13 produced | generated according to the click of the add button 23a.

한편, 제1 타임 바(73a) 중 어느 하나, 즉 카메라 컷 영역(13)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상태에서 링크버튼(21c)을 클릭하면, 해당 카메라 컷 영역(13)에 링크될 작업영역(12)을 선택할 수 있다. 링크버튼(23c)의 클릭에 따른 작업영역(12)과 카메라 컷 영역(13) 간의 링크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Meanwhile, when one of the first time bars 73a, that is, one of the camera cut areas 13 is selected, the link button 21c is clicked, the work area 12 to be linked to the camera cut area 13 ) Can be selected. The link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area 12 and the camera cut area 13 according to the click of the link button 23c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카메라 컷 영역(13)이 페이지 표시영역(10)에 표시되고 카메라 컷 영역(13)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컷 카메라 버튼(24)이 클릭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툴박스 영역(20)에 이동 추가 버튼(24a)(ADD Move)이 표시된다.When the camera cut area 13 is displayed in the page display area 10 and the cut camera button 24 is clicked while any one of the camera cut areas 13 is selec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it is shown in FIG. 9. As shown, an add move button 24a (ADD Move) is displayed in the toolbox area 20.

또한, 컷 카메라 버튼(24)이 클릭되는 경우, 선택된 카메라 컷 영역(13)에 대한 재생 시간의 조절이 가능한 제2 타임 바(74a)가 표시된 제2 타임라인 창(74)이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된다. 도 9에서는 제2 타임라인 창(74)이 페이지 표시영역(10)의 하단에 표시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며, 제1 타임라인 창(73)이 표시되는 위치에 대체되어 표시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다.In addition, when the cut camera button 24 is clicked, the second timeline window 74 displaying a second time bar 74a capable of adjusting the playback time for the selected camera cut area 13 is displayed i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Is displayed. In FIG. 9, the second timeline window 74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page display area 10 as an example, and the first timeline window 73 is displayed at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timeline window 73 is displayed as an example. have.

여기서, 제2 타임라인 창(74)에는 제2 타임 바(74a)는 해당 카메라 컷 영 역(13)에 대한 재생 시간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며, 제2 타임 바(74a)의 끝 부분을 마우스로 클릭한 상태에서 드래그하는 동작을 통해 제2 타임 바(74a)의 길이를 조절하여 해당 카메라 컷 영역(13)에 대한 재생 시간이 조절된다. 여기서, 제2 타임 바(74a)의 조절에 따른 재생 시간의 변경은 도 8에 도시된 제1 타임 바(73a)의 길이에 반영된다.In the second timeline window 74, the second time bar 74a is used to adjust the playback time for the corresponding camera cut area 13, and the end of the second time bar 74a is moved with the mouse. The length of time of the second time bar 74a is adjusted by dragging in the clicked state to adjust the playback time of the corresponding camera cut area 13. Here, the change of the reproduction time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second time bar 74a is reflected in the length of the first time bar 73a shown in FIG. 8.

또한, 제2 타임 바(74a)가 선택된 경우, 제3 타임 바(74b)에 대응하는 카메라 컷 영역(13)에 조절점이 표시되고, 마우스를 이용하여 카메라 컷 영역(13)의 사이즈 및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실제 동영상이 제작될 때 재생 시간동안 표시되는 영역을 결정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time bar 74a is selected, an adjustment point is displayed in the camera cut area 13 corresponding to the third time bar 74b, and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camera cut area 13 are adjusted using a mouse. By adjusting, the area to be displayed during playback time when the actual video is produced is determined.

한편, 이동 추가 버튼(24a)이 클릭되는 경우, 제2 타임라인 창(74)에 재생 시간의 조절이 가능한 제3 타임 바(74b)가 표시된다. 여기서, 제2 타임 바(74a), 제3 타임 바(74b), 그리고 제2 타임 바(74a) 및 제3 타임 바(74b) 간의 시간 간격의 합이 해당 카메라 컷 영역(13)에 대한 전체 재생 시간이 되며, 이는 도 8에 도시된 제1 타임 바(73a)에 반영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ove add button 24a is clicked, the third time bar 74b capable of adjusting the reproduction time is displayed on the second timeline window 74. Here, the sum of the second time bar 74a, the third time bar 74b, and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time bar 74a and the third time bar 74b is the total for the camera cut area 13. This is a reproduction time, which is reflected in the first time bar 73a shown in FIG.

여기서, 제2 타임 바(74a) 및 제3 타임 바(74b)는 하나의 카메라 컷 영역(13)에서 카메라의 이동 효과, 예를 들어 위치의 변화 및 사이즈의 변화 등과 같은 효과를 부여하는데 사용된다.Here, the second time bar 74a and the third time bar 74b are used to give effects such as the movement of the camera in one camera cut area 13, for example, a change in position and a change in size. .

일 예로, 제2 타임 바(74a)를 선택한 상태에서 카메라 컷 영역(13)을 작업영역(12)보다 작은 사이즈로 줄이고 그 위치를 작업영역(12) 내부 중앙 부분에 두고, 다시 제3 타임 바(74b)를 선택한 상태에서 카메라 컷 영역(13)을 작업영역(12) 전 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사이즈 및 위치를 조절하는 경우, 이를 동영상으로 생성하게 되면 제2 타임 바(74a)에 해당하는 재생 시간 동안에는 제2 타임 바(74a)에 해당하는 카메라 컷 영역(13)의 이미지가 표시되다가 제2 타임 바 및 제3 타임 바(74b) 간의 간격 중에는 카메라 컷 영역(13)이 제3 타임 바(74b)를 선택한 상태에서 설정된 카메라 컷 영역(13)의 사이즈 및 위치로 제3 타임 바(74b)에 해당하는 재생 시간의 시작 시점까지 점차적으로 변경된다.For example,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 time bar 74a is selected, the camera cut area 13 is reduced to a smaller size than the work area 12, and the position thereof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inside of the work area 12. When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camera cut area 13 are adjusted to cover the entire work area 12 with the selection of 74b, when the image is generated as a video, it corresponds to the second time bar 74a. During the playback time, an image of the camera cut area 13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ime bar 74a is displayed. During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time bar and the third time bar 74b, the camera cut area 13 is displayed in the third time bar.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camera cut area 13 set in the state where 74b is selected are gradually changed to the start time of the reproduction time corresponding to the third time bar 74b.

이와 같이, 하나의 카메라 컷 영역(13) 내에서 카메라의 이동 효과, 줌-인(Zoom-In) 또는 줌-아웃(Zoom-Out)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효과를 부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effects, such as a camera moving effect, a zoom-in or a zoom-out function, may be added in one camera cut area 13.

한편, 컷 카메라 버튼(24)이 클릭된 경우, 툴박스 영역(20)에는 흔들림 추가 버튼(24b)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타임라인 창(74)에 표시된 제2 타임 바(74a) 및 제3 타임 바(74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상태, 예를 들어 제3 타임 바(74b)를 선택한 상태에서 흔들임 추가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타임 바(74b)의 상단에 흔들림 타임 바(74c)가 표시된다.Meanwhile, when the cut camera button 24 is clicked, the shake add button 24b may be displayed in the toolbox area 20. In this case, any one of the second time bar 74a and the third time bar 74b displayed on the second timeline window 74 is selected, for example, the third time bar 74b is selected. When the add button is clicked, the shake time bar 74c is displayed on the top of the third time bar 74b as shown in FIG. 10.

여기서, 흔들림 타임 바(74c) 시간 동안에는 카메라가 흔들리는 효과를 갖도록 해당 카메라 컷 영역(13)이 좌우 또는 상하도 움직이는 효과가 부가되는데, 흔들림 타임 바(74c)의 시간축 상의 길이는 흔들림 효과가 부가되는 흔들림 시간에 대응하게 된다.Here, during the shake time bar 74c, the camera cut area 13 moves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so that the camera shakes, and the length of the shake time bar 74c on the time axis is added to the shake effect. Corresponds to shake time.

또한, 흔들림 타임 바(74c)를 선택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툴박스 영역(20)에 흔들림 효과의 강도, 방향 및 속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흔들림 조 절창이 표시된다. 여기서 흔들림 효과의 방향은 상하 또는 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마련되고, 흔들림 효과의 강도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정도를 조절하며, 흔들림 효과의 속도는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카메라의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hake time bar 74c is selected, as shown in FIG. 10, a shake adjustment window for adjusting the strength, direction, and speed of the shake effect is displayed in the toolbox area 20. Here, the direction of the shake effect is provided to select any one of th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intensity of the shake effect is to adjust the degree of shaking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the speed of the shake effect is the speed of the camera shaking in the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Will be adjusted.

한편,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링크버튼(23c)을 클릭하여 컷 카메라 영역과 작업영역(12)을 링크시킨 상태에서 컷 카메라 버튼(24)을 선택한 경우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graphic user interface screen when the cut camera button 24 is sel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cut camera area and the work area 12 are linked by clicking the link button 23c shown in FIG. 9. Figure is shown.

카메라 컷 영역(13)과 작업영역(12)이 링크되는 경우, 카메라 컷 영역(13)에 대한 상술한 이동 추가 버튼(24a) 및 흔들림 추가 버튼(24b)의 선택에 따른 효과를 작업영역(12)(Shape) 및 멀티미디어 리소스(IMAGE)에도 부가할 수 있다.When the camera cut area 13 and the work area 12 are linked, the effec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above-described move add button 24a and the shake add button 24b with respect to the camera cut area 13 is applied to the work area 12. It can also be added to Shape and multimedia resources IMAGE.

예를 들어, 제2 타임라인 창(74)에서 작업영역(12)에 대한 시간축(도 11의 'SHAPE')을 선택한 상태에서 이동 추가 버튼(24a)을 선택하는 경우 작업영역(12)에 대한 시간축에 타임 바가 생성되고, 해당 타임 바를 클릭하면 작업영역(12)을 결정하는 레이아웃에 조절점이 생생되어 위치 및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동영상의 제작에 따른 효과는 컷 카메라 영역에 대한 효과와 동일하게 작업영역(12)을 결정하는 레이아웃에 움직임이 부여된다.For example, when the add movement button 24a is selected while the time axis ('SHAPE' in FIG. 11) for the work area 12 is selected in the second timeline window 74, the work area 12 is selected for the work area 12. A time bar is created on the time axis, and when the time bar is clicked, an adjustment point is created on a layout that determines the work area 12, and thus the position and size can be adjusted. The effect according to the production of the video is given a motion in the layout that determines the work area 12 in the same way as the effect for the cut camera area.

상기와 같이, 하나의 카메라 컷 영역(13)과 작업영역(12)을 링크시킴으로써, 하나의 카메라 컷 영역(13) 내에 링크된 작업영역(12) 및 멀티미디어 리소스 각각에도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부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linking one camera cut area 13 and the work area 12, various visual effects may be added to each of the work area 12 and the multimedia resources linked in one camera cut area 13. Will be.

한편, 툴박스 영역(20)에 마련된 효과 버튼(25)이 클릭되는 경우, 툴박스 영역(20)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효과 이미지(25a)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효과 이미지(25a)는 작업영역(12)에 표시된 멀티미디어 리소스에 부가 가능한 이미지로, 작업영역(12)으로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을 통해 멀티미디어 리소스에 효과 이미지(25a)를 오버랩 시킬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effect button 25 provided in the toolbox area 20 is clicked, at least one effect image 25a may be displayed in the toolbox area 20 as illustrated in FIG. 12. Here, the effect image 25a is an image that can be added to the multimedia resource displayed on the work area 12 and may overlap the effect image 25a on the multimedia resource by dragging and dropping the work area 12.

여기서, 작업영역(12) 상에 오버랩된 효과 이미지(25a)를 클릭하는 경우, 효과 이미지(25a)의 사이즈 등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점이 표시되고, 마우스의 조작을 통해 효과 이미지(25a)의 사이즈 등을 조절 가능하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overlapped effect image 25a is clicked on the work area 12, an adjustment poin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effect image 25a is displayed, and the size of the effect image 25a is manipulated by operating a mouse. Etc. can be adjusted.

또한, 작업영역(12) 상에 오버랩된 효과 이미지(25a)를 클릭하는 경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효과 이미지(25a)의 조절을 위한 이미지 조절창(76)이 표시된다. 도 12에서는 이미지 조절창(76)이 페이지 표시영역(10)의 하단에 표시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며, 효과 이미지(25a)의 라인의 두께(Line Thick), 효과 이미지(25a)의 라인의 색상(Line color), 효과 이미지(25a)의 라인 개수(Line Count) 및 밝기(Alpha)를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다.In addition, when the overlapped effect image 25a is clicked on the work area 12, the image control window 76 for adjusting the effect image 25a is displayed on the graphic user interface screen. In FIG. 12, the image adjustment window 76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page display area 10 as an example. The line thickness of the effect image 25a and the color of the line of the effect image 25a are illustrated in FIG. An example of adjusting the line color, the line count and the brightness of the effect image 25a is provided.

한편, 툴박스 영역(20)에 마련된 말풍선 버튼(26)이 클릭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말풍선 이미지(26a)가 툴박스 영역(20)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말풍선 이미지(26a) 중 어느 하나를 작업영역(12)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여 작업영역(12)에 표시된 멀티미디어 리소스에 말풍선 이미지(26a)를 오버랩시킬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peech bubble button 26 provided in the toolbox area 20 is clicked, at least one speech bubble image 26a may be displayed in the toolbox area 20. Here, one of the speech bubble images 26a may be dragged and dropped onto the work area 12 to overlap the speech bubble image 26a with the multimedia resource displayed on the work area 12.

그리고, 작업영역(12) 내에서 오버랩된 말풍선 이미지(26a)를 클릭하는 경우, 말풍선 이미지(26a)의 사이즈, 말꼬리표 등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조절점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말풍선 이미지(26a)를 더블클릭 등과 같은 방식으로 선택 하는 경우, 말풍선 이미지(26a) 내에 텍스트의 입력이 가능한 상태가 됨으로서, 텍스트의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overlapped speech bubble image 26a is clicked in the work area 12, an adjustment poin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speech bubble image 26a, a word tag,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when the speech bubble image 26a is selected in a manner such as double-clicking, the text can be input into the speech bubble image 26a, so that the text can be input.

또한, 작업영역(12) 상에 오버랩된 말풍선 이미지(26a)를 클릭하는 경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말풍선 이미지(26a) 및/또는 텍스트의 조절을 위한 말풍선 조절창(77)이 표시된다. 도 13에서는 말풍선 조절창(77)에 말풍선의 라인 두께(Line Thick), 말풍선의 라인 색상(Line Color), 말풍선의 라인 스타일(Line Style), 말풍선 전체의 밝기(Alpha) 등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다. 또한, 도 13에서는 말풍선 내에 기록된 텍스트의 스타일(Font Style), 예를 들어, 텍스트의 폰트, 크기 등을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며, 말풍선 내에서의 정렬 방식의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verlapping speech bubble image 26a is clicked on the work area 12, the speech bubble control window 77 for adjusting the speech bubble image 26a and / or text is displayed o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In FIG. 13, a line balloon of a balloon, a line color of a balloon, a line style of a balloon, a brightness of an entire balloon, and the like are provided in the balloon control window 77. To be an example. In addition, in FIG. 13, a font style, for example, a font, a size, and the like of the text recorded in the speech bubble may be adjusted, and the alignment method may be adjusted in the speech bubble.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무빙카툰의 제작을 위한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아이콘 버튼들 중 렌더링의 실행을 위한 버튼을 클릭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더링 조건의 설정을 위한 렌더링 설정창(80)이 표시된다.When the button for execution of the rendering is clicked among the icon buttons in a state in which preparation for the production of the moving cartoon is comple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as shown in FIG. 14, the rendering setting window 80 for setting the rendering condition is displayed. Is displayed.

렌더링 설정창(80)에는 동영상으로 렌더링되는 파일의 저장 위치 및 파일명을 설정하기 위한 폴더입력영역(Save To)과, 압축 형식을 선택하기 위한 코덱선택영역과, 렌더링(Rendering) 사이즈 및 초당 프레임 수(FPS : Frame Per Second)를 설정하기 위한 옵션입력영역(Render Option) 및 준비된 작업 페이지(11)들 중 동영상으로 렌더링할 페이지를 선택하기 위한 페이지 선택영역(Page Selection)이 마련된다.The render setting window 80 includes a folder save area for setting a storage location and a file name of a file to be rendered as a movie, a codec selection area for selecting a compression format, a rendering size, and frames per second ( A page selection area is provided for selecting a page to be rendered as a video from among a render option and a prepared work page 11 for setting a frame per second (FPS).

그리고, 렌더링 설정창(80)에 마련된 시작 버튼(Start)을 클릭하게 되면 동 영상으로 렌더링되어 무빙카툰이 제작된다.Then, when the start button (Start) provided in the rendering setting window 80 is clicked, a moving cartoon is rendered to produce a moving carto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빙카툰 프로그램이 인스톨되는 컴퓨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mputer installed with a moving cartoon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빙카툰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들을 도시한 도면이다.2 to 14 illustrate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s provided by a moving cartoon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는 무빙카툰 제작방법에 있어서,In the moving cartoon manufacturing method performed by a computer-readable program, 상기 프로그램은,The program, (a) 현재 작업 중인 작업 페이지가 표시되는 페이지 표시영역과, 페이지 카메라 버튼이 마련된 툴박스 영역이 마련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활성화되는 단계와,(a) activating a page display area displaying a work page currently being worked on and a graphic user interface screen provided with a toolbox area provided with a page camera button; (b) 상기 작업 페이지 상에 멀티미디어 리소스가 표시될 작업영역을 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아웃이 설정되는 단계와,(b) setting at least one layout that determines a work area in which a multimedia resource is to be displayed on the work page; (c) 상기 각 작업영역 내에 멀티미디어 리소스가 등록되어 표시되는 단계와,(c) registering and displaying multimedia resources in each of the working areas; (d) 상기 작업 페이지 상에 재생 시간 및 재생 순서가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컷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d) setting at least one camera cut area in which a play time and a play order are set on the work page; (e) 상기 각 카메라 컷 영역 내에서 표시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가 상기 재생 순서에 따라 상기 각 재생 시간 동안 재생되도록 동영상으로 인코딩하여 무빙카툰을 제작하는 단계를 수행하며;(e) encoding moving pictures so that the multimedia resources displayed in the camera cut regions are reproduced during the respective playing times according to the playing order to produce moving cartoons; 상기 (d) 단계는,In step (d), (d1) 상기 페이지 카메라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툴박스 영역에 추가버튼이 활성화되는 단계와,(d1) when the page camera button is clicked, an add button is activated in the toolbox area; (d2) 상기 추가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컷 영역이 상기 작업 페이지 상에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카메라 컷 영역에 대한 상기 재생 시간에 대응하는 길이의 제1 타임 바가 표시되는 제1 타임라인 창이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상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며;(d2) When the add button is clicked, the camera cut area is visually recognizably displayed on the work page, and a first time bar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laying time for the displayed camera cut area is displayed. Displaying a first timeline window o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상기 (d2) 단계가 복수 회 수행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컷 영역에 대한 상기 재생 순서는 상기 (d2) 단계의 수행 순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카툰 제작방법.When the step (d2) is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the reproduction order for the camera cut reg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rder of the step (d2).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레이아웃 버튼이 마련된 툴박스 영역이 더 마련되며;A toolbox area provided with a layout button is further provided on the graphic user interface screen; 상기 (b) 단계는,In step (b), (b1) 상기 레이아웃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툴박스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형상을 갖는 기본 레이아웃이 표시되는 단계와;(b1) displaying a basic layout having at least one shape in the toolbox area when the layout button is clicked; (b2) 상기 기본 레이아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b2) selecting one of the basic layouts; (b3) 상기 작업 페이지 상에 상기 선택된 기본 레이아웃이 표시되어 상기 작업영역이 설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카툰 제작방법.and (b3) displaying the selected basic layout on the work page to set the work area.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b2) 단계 및 상기 (b3) 단계에서는 상기 툴박스 영역에 표시된 상기 기본 레이아웃 중 어느 하나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에 의해 상기 작업 페이지 상에 이동시켜 상기 기본 레이아웃이 상기 작업 페이지 상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카툰 제작방법.In the step (b2) and the step (b3), any one of the basic layouts displayed in the toolbox area is moved on the work page by drag and drop so that the basic layout is displayed on the work page. How to make a moving carto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라이브러리 버튼이 마련된 툴박스 영역이 더 마련되며;The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is further provided with a toolbox area provided with a library button; 상기 (c) 단계는,In step (c), (c1) 상기 라이브러리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툴박스 영역에 멀티미디어 리소스의 표시를 위한 리소스 표시창이 활성화되는 단계와;(c1) when the library button is clicked, activating a resource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multimedia resources in the toolbox area; (c2) 상기 리소스 표시창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를 등록시키는 단계와;(c2) registering at least one multimedia resource in the resource display window; (c3) 상기 리소스 표시창에 등록된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 중 어느 하나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에 따라 상기 레이아웃에 의해 결정되는 상기 작업영역 중 어 느 하나에 등록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카툰 제작방법.and (c3) registering and displaying any one of the multimedia resources registered in the resource display window in any one of the working areas determined by the layout according to a drag and drop method. How to mak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툴박스 영역에는 컷 카메라 버튼이 더 마련되며;A cut camera button is further provided in the toolbox area; 상기 (d) 단계는,In step (d), (d5) 상기 카메라 컷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컷 카메라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툴박스 영역에 이동 추가버튼이 표시되는 단계와;(d5) if the cut camera button is selected while any one of the camera cut areas is selected, displaying a move add button in the toolbox area; (d6) 상기 카메라 컷 영역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컷 카메라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카메라 컷 영역에 대한 재생 시간의 조절이 가능한 제2 타임 바가 표시된 제2 타임라인 창이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와;(d6) When the cut camera button is selected while any one of the camera cut regions is selected, a second timeline window displaying a second time bar for adjusting a playback time for the selected camera cut region is displayed i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ing on the screen; (d7) 상기 이동 추가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제2 타임라인 창에 재생 시간의 조절이 가능한 제3 타임 바가 표시되는 단계와;(d7) when the move add button is clicked, displaying a third time bar on which the reproduction time can be adjusted in the second timeline window; (d8) 상기 제2 타임 바, 상기 제3 타임 바, 및 상기 제2 타임 바와 상기 제3 타임 바 간의 시간 간격 중 어느 하나가 조절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카메라 컷 영역의 재생 시간이 상기 제2 타임 바, 상기 제3 타임 바 및 상기 시간 간격에 해당하는 시간의 합에 의해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카툰 제작방법.(d8) When any one of the second time bar, the third time bar, and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time bar and the third time bar is adjusted, the playback time of the selected camera cut area is determined by the second time. And a bar set by the sum of time corresponding to the third time bar and the time interval.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2 타임 바 및 상기 제3 타임 바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 페이지 상에 표시된 상기 카메라 컷 영역의 사이즈 및 위치 중 어느 하나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제2 타임 바 및 상기 제3 타임 바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재생 시간 동안 상기 변경된 카메라 컷 영역이 동영상으로 생성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카툰 제작방법.When one of the second time bar and the third time bar is selected, the second time bar and the third time are changed when one of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camera cut area displayed on the work page is changed. The moving cartoon production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hanged camera cut region is set to be generated as a video during a playback tim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bars.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컷 카메라 버튼이 클릭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컷 영역은 사이즈 및 상기 작업 페이지 상의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카툰 제작방법.And the camera cut area in which the cut camera button is clicked is capable of adjusting a size and a position on the work pag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d5) 단계에서 상기 툴박스 영역에는 흔들림 추가 버튼이 더 표시되며;In the (d5) step, the shake addition button is further displayed in the toolbox area; 상기 (d) 단계는,In step (d), (d9) 상기 흔들림 추가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상기 제2 타임라인 창에 흔들림 효과가 부가되는 흔들림 시간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상기 흔들림 시간의 조절이 가능한 흔들림 타임 바가 표시되는 단계와;(d9) when the shake addition button is clicked, displaying a shake time bar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a shake time to which a shake effect is added to the second timeline window and allowing the shake time to be adjusted; (d10) 상기 흔들림 타임 바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툴박스 영역에 상기 흔들림 효과의 강도, 방향 및 속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절을 위한 흔들림 조절창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d10) if the shake time bar is selected,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a shake control window for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intensity, direction, and speed of the shake effect in the toolbox area; 상기 (e) 단계에서 인코딩되는 동영상에는 상기 흔들림 시간 동안 상 흔들림 조절창에 의해 조절된 흔들림 효과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카툰 제작방법.The moving cartoon of the moving picture is encoded in the step (e) during the shaking tim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king effect controlled by the image shake control window is add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효과 버튼이 마련된 툴박스 영역이 더 마련되며;A toolbox area provided with effect buttons is further provided on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상기 프로그램은,The program, (f) 상기 효과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작업영역에 표시된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에 부가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효과 이미지가 표시되는 단계와,(f) when the effect button is selected, displaying at least one effect image attachable to the multimedia resource displayed on the work area; (g) 상기 효과 이지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작업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여 상기 작업영역에 표시된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에 상기 효과 이미지를 오버랩시키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카툰 제작방법.and (g) dragging and dropping any one of the effect images to the work area to overlap the effect image on the multimedia resource displayed on the work are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말풍선 버튼이 마련된 툴박스 영역이 더 마련되며;The graphical user interface screen is further provided with a toolbox area provided with a speech bubble button; 상기 프로그램은,The program, (h) 상기 말풍선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말풍선 이미지가 상기 툴박스 영역에 표시되는 단계와,(h) when the speech bubble button is clicked, displaying at least one speech bubble image in the toolbox area; (i) 상기 말풍선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작업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여 상기 작업영역에 표시된 상기 멀티미디어 리소스에 상기 말풍선 이미지를 오버랩시키는 단계와,(i) dragging and dropping one of the speech bubble images into the work area to overlap the speech bubble image with the multimedia resource displayed in the work area; (j) 상기 말풍선 이미지 내에 텍스트가 입력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카툰 제작방법.(j) Moving cartoon produ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the step of further inputting text in the speech bubble imag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빙카툰 제작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단 가능한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oving carto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or 6 to 11.
KR1020070079212A 2007-08-07 2007-08-07 Moving cartoon producing method and record media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KR1009382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212A KR100938208B1 (en) 2007-08-07 2007-08-07 Moving cartoon producing method and record media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212A KR100938208B1 (en) 2007-08-07 2007-08-07 Moving cartoon producing method and record media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890A KR20090014890A (en) 2009-02-11
KR100938208B1 true KR100938208B1 (en) 2010-01-22

Family

ID=40684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212A KR100938208B1 (en) 2007-08-07 2007-08-07 Moving cartoon producing method and record media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820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024A (en) * 2015-03-25 2016-10-06 네이버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artoon dat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584A (en) * 2001-11-08 2001-12-28 (주)시스튜디오 a method for providing comics-animation by computers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data of comics-animation
KR20050078100A (en) * 2004-01-30 2005-08-04 (주)시스튜디오 Methods for manufacturing moving cartoon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584A (en) * 2001-11-08 2001-12-28 (주)시스튜디오 a method for providing comics-animation by computers and a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data of comics-animation
KR20050078100A (en) * 2004-01-30 2005-08-04 (주)시스튜디오 Methods for manufacturing moving cartoon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024A (en) * 2015-03-25 2016-10-06 네이버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artoon data
KR101726844B1 (en) * 2015-03-25 2017-04-13 네이버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artoon data
US10311610B2 (en) 2015-03-25 2019-06-04 Nave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artoon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890A (en)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63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a template for generating a dynamic video object.
TWI553538B (en) Gallery application for content viewing
US7565608B2 (en) Animation on object user interface
US10515143B2 (en) Web-based system for capturing and sharing instructional material for a software application
Nguyen et al. Video summagator: an interface for video summarization and navigation
US8578273B2 (en) Slideshow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on a display
US20070030362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8270809B2 (en) Previewing effects applicable to digital media content
JP55228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frame information of moving imag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reproducing moving image
US20080034325A1 (en) Multi-point representation
JP2008141746A (en)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moving images
WO2020107850A1 (en) Large-screen scene editing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080055315A1 (en) Method and System to Establish and Animate a Coordinate System for Content on a Display
JP4926852B2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ata providing device,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system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04118477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recording medium and its program
WO2008018506A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ata providing device,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system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4860561B2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ata providing device,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system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0938208B1 (en) Moving cartoon producing method and record media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KR20090014891A (en) Moving cartoon producing method and record media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JP4926853B2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ata providing device, image display system, image display system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6075821B2 (en) Image playback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JP2012094091A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for
WO201014676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JP3906031B2 (en) Moving picture reproducing apparatus and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execute moving picture reproducing process
JP2006121481A (en) Image display method, image display program and edi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