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7419B1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망 요소간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서비스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망 요소간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서비스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7419B1
KR100937419B1 KR20030068942A KR20030068942A KR100937419B1 KR 100937419 B1 KR100937419 B1 KR 100937419B1 KR 20030068942 A KR20030068942 A KR 20030068942A KR 20030068942 A KR20030068942 A KR 20030068942A KR 100937419 B1 KR100937419 B1 KR 100937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bms
terminal
network element
service
mbms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68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2945A (ko
Inventor
정명철
신용우
김민정
이영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68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7419B1/ko
Priority to US10/956,443 priority patent/US7818366B2/en
Priority to DE200460031858 priority patent/DE602004031858D1/de
Priority to CN2010106089612A priority patent/CN102045645B/zh
Priority to RU2006114787A priority patent/RU2344573C2/ru
Priority to EP20040774753 priority patent/EP1668948B1/en
Priority to AT04774753T priority patent/ATE502494T1/de
Priority to PCT/KR2004/002512 priority patent/WO2005032199A1/en
Priority to JP2006532083A priority patent/JP4604038B2/ja
Priority to BRPI0414759 priority patent/BRPI0414759A/pt
Priority to MXPA06003493A priority patent/MXPA06003493A/es
Priority to AU2004306053A priority patent/AU2004306053B2/en
Priority to CN2004800289406A priority patent/CN1864431B/zh
Publication of KR20050032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945A/ko
Priority to ZA200602034A priority patent/ZA200602034B/en
Priority to HK06112192A priority patent/HK1090501A1/xx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7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7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럽식 IMT-2000시스템인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등과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보장하면서 방송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이 하나의 망 요소에서 다른 망 요소로 이동할 경우, 빈번한 시그널링 메시지 전송으로 인한 망 부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망 요소간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망 요소간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연결 방법은, 단말들에게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이 하나의 망 요소(제1 망 요소)에서 다른 망 요소(제2 망 요소)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망 요소에서 상기 단말이 참가한 서비스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망 요소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망 요소에서 상기 서비스들에 관한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들에 대하여 상기 단말의 서비스 연결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망 요소, UMTS, MBMS, RNC, SRNC, DRNC, 방송, 멀티캐스트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망 요소간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연결 방법{Method for connecting broadcasting or multicast service between network element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1은 UMTS 시스템의 망 구성도임.
도2는 UMTS 시스템에서 UTRAN과 단말의 접속 구조도임.
도3은 UMTS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모드의 MBMS 서비스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임.
도4는 UMTS 시스템에서 MBMS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임.
도5는 UMTS 시스템에서 MBMS 분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진행중인 MBMS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세션 개시를 받은 MBMS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임.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망 요소간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연 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럽식 IMT-2000시스템인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등과 같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보장하면서 방송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말이 하나의 망 요소에서 다른 망 요소로 이동할 경우, 빈번한 시그널링 메시지 전송으로 인한 망 부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망 요소간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는 유럽식 표준인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시스템으로부터 진화한 제3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GSM 핵심망(Core Network)과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접속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보다 향상된 이동 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목표로 한다.
도1은 UMTS의 망 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 UMTS 시스템은 크게 단말(10)과 UTRAN(11) 및 핵심망(13, Core Network, 이하 'CN'으로 약칭함)으로 이루어져 있다. UTRAN(11)은 한 개 이상의 무선망 부시스템(15, Radio Network Sub-systems)으로 구성되며, 각 무선망 부시스템(15)은 하나의 무선망 제어기(17, Radio Network Controller; 이하 'RNC'라 약칭함)와 이 RNC(17)에 의해서 관리되는 하나 이상의 Node B(18)로 구성된다. Node B(18)는 RNC(17)에 의해서 관리되며, 상향 링크로는 단말(10)의 물리계층에서 보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하향링크로는 단말(10)로 데이터를 송신하여 단말(10)에 대한 UTRAN(11)의 접속점(Access Point)역할을 담당한다. RNC(17)는 무선자원의 할당 및 관리를 담당하고, 핵심망(13_과의 접속점 역할 을 수행한다.
도2는 UMTS 망 내부에서 UTRAN(11)과 단말(10)과의 접속 구조를 나타낸 그림이다. 단말(10)은 UMTS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핵심망(13)에 연결되어야 하고, 단말(10)과 핵심망(13)의 정보는 UTRAN을 경유하여 전송된다. UMTS 망과 접속한 각 단말(10)은 UTRAN(11) 내의 특정한 RNC에 의하여 관리되고 있다. 이 때 단말을 관리하는 RNC를 SRNC(Serving RNC)라고 부른다. 다시 말해, SRNC는 특정 단말(10)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핵심망(13)과의 접속점 역할을 하는 RNC를 의미한다. SRNC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들어오거나 단말(10)로 전송되는 데이터들에 대한 OSI(Open System Interface)의 제2계층 역할을 수행하고, 서비스의 제공에 알맞은 무선자원을 할당한다. SRNC의 무선자원 관리기능에는 전송채널 설정, 핸드오버 결정, 전력제어(Open Loop Power Control)등 특정 단말(10)과 관련된 모든 제어기능이 포함된다. 특정 시점에 UTRAN(11)을 통해 핵심망(13)과 접속한 단말(10)은 오직 하나의 SRNC만을 갖는다.
일반적인 경우, 단말(10)과 RNC사이의 접속에는 하나의 RNC가 사용되지만, 단말(10)의 이동에 의해 다른 RNC가 담당하는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단말이 이동한 지역의 RNC를 경유하여 SRNC와 연결하게 된다.
단말(10)은 초기에 R1(RNC 1)을 통하여 접속되었으나 단말(10)이 R2(RAN 2)가 관리하는 셀로 이동하였다. R2가 관리하는 영역으로 이동한 후 단말(10)은 R2를 경유하여 Iur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R1으로 연결된다. 단말(10)의 관리와 핵심망(13)과의 접속점 역할은 여전히 R1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R2는 단순하게 사 용자 데이터를 라우팅하거나 공용자원인 코드를 할당하는 부분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UMTS 망에서는 R2와 같이 SRNC를 제외하고 단말과 연결되는 모든 RNC를 DRNC(Drift RNC)라고 부른다. 이와 같이 하나의 단말은 연결 상태에 따라 DRNC를 갖지 않을 수 있고, 하나 또는 여러 개의 DRNC를 가지게 될 수 있다.
SRNC와 DRNC의 구분은 특정 단말과 관련된 논리적인 구분이었다. UTRAN내에서의 RNC와 Node B(18)의 관계는 종속적인 관계를 갖게 되므로 Node B(18)의 측면에서도 RNC를 구분할 수 있다. 즉, Node B(18) 자신을 관리하는 RNC와 이외의 RNC를 구분하기 위해, 특정 Node B(18)의 관리를 담당하는 RNC를 CRNC(Controlling RNC)라고 부른다. 즉, Node B(18)와 Iub로 연결되어 있으며 Node B(18)의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RNC가 해당 Node B(18)의 CRNC에 해당한다. UTRAN의 구조상 CRNC와 Node B(18)는 일대다의 관계를 가지게 된다. CRNC는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셀 내에서 트래픽의 부하 제어(Load Control) 및 폭주 제어(Congestion Control)와 이들 셀 내에 설정되는 새로운 무선 링크(Radio Link)에 대한 수락 제어 및 코드 할당 기능을 수행한다.
RNC와 단말에 위치한 무선 프로토콜의 제3계층에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 약칭함)계층이 정의된다. RRC는 무선 베어러 (Radio Bearer)들의 설정, 재설정 및 해제와 관련되어 전송 채널 및 물리 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이때, 무선 베어러는 단말과 RNC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무선 프로토콜의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무선 베어러가 설정된다는 것은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 계층 및 채널의 특성을 규정하고, 각각의 구체적인 파라미터 및 동작 방법을 설정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특정 단말의 RRC계층과 RNC의 RRC계층이 서로 RRC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연결(connection) 되어 있을 때 해당 단말은 RRC 연결모드(RRC Connected Mode) 상태에 있게 되며, 연결(connection)이 없을 때 해당 단말은 RRC 휴지모드(RRC Idle Mode) 상태에 있게 된다. 단말이 RNC와 RRC 연결(connection)을 맺게 되면, RNC 내에는 해당 단말을 직접적으로 관리하는 SRNC (Serving RNC)가 생성되고, 이후 RNC는 해당 단말을 셀 단위에서 파악하고 관리하게 된다. 반면에 RRC 휴지모드 상태의 단말은 RNC가 그 존재를 파악할 수 없으며, 셀 보다 더 큰 지역 단위인 로케이션 에어리어(Location Area) 또는 라우팅 에어리어(Routing Area) 단위로 CN (MSC 또는 SGSN)이 관리한다. 즉, RRC 휴지모드 상태의 단말은 큰 지역 단위로 존재 여부만 파악되며, 음성이나 데이터와 같은 통상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RNC와 RRC 연결(connection)을 맺어 RRC 연결모드 상태이어야 한다.
이하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이하 MBMS로 약칭)에 대해 상술한다. MBMS는 하향 전용의 MBMS 베어러 서비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단말에게 스트리밍(Streaming) 또는 후선(Background)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UTRAN에서 MBMS 베어러는 점대다(Point to Multipoint) 무선 베어러와 점대점(Point to Point) 무선 베어러 서비스를 이용한다.
MBMS는 방송 모드와 멀티캐스트 모드로 나뉜다. MBMS 방송 모드는 방송 지역(Broadcast Area)에 있는 모든 사용자들에게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 비스이다. 이 때 방송 지역이란 방송 서비스가 가능한 영역을 말한다. 반면, MBMS 멀티캐스트 모드는 멀티캐스트 지역(Multicast Area)에 있는 어떤 특정 사용자 그룹에게만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서비스이다. 이 때 멀티캐스트 지역이란 멀티캐스트 서비스가 가능한 영역을 말한다. 이런 멀티캐스트 지역과 방송 지역을 서비스 영역이라고 한다.
도3은 UMTS 망이 멀티캐스트 모드를 사용하여 특정 MBMS 서비스(서비스1)를 제공하는 과정 및 UE가 특정 서비스(서비스1)를 제공받는 과정의 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먼저, MBMS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UE1은 가입(Subscription) 절차를 수행해야 한다. 이 때, 가입이란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와 사용자 간에 관계를 설정하는 행위를 말한다. 또한,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들은 네트웍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안내(service announcement)를 수신해야 한다. 여기서 서비스 안내란 앞으로 제공될 서비스들의 목록과 관련 정보를 단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말한다. 멀티캐스트 모드의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은 특별히 멀티캐스트 그룹(Multicast Group)에 참가(Joining)해야 한다. 이 때, 멀티캐스트 그룹이란 특정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는 단말들의 집단을 말한다. 그리고, 참가란 단말이 특정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모인 멀티캐스트 그룹에 합류하는 과정을 말한다. 참가 과정을 통해 단말은 특정 멀티캐스트 데이터를 수신하고자 하는 의사를 UMTS 망에 알릴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특정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가한 단말이 그 멀티캐스트 그룹에 대한 참가를 해지하는 과정을 탈퇴(Leave)라 한다. 상기 가입, 참가, 탈퇴 과정은 각 단말마다 수행되는 과정이다. 단말은 데이터 전송 이전, 또는 전송 도중, 또는 전송 이후, 어느 때든지 가입, 참가, 탈퇴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MBMS 서비스가 진행되고 있는 동안, 그 서비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세션(session)이 순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MBMS 데이터 소스에 특정 MBMS 서비스에 대해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발생할 경우, CN은 RNC에게 세션 개시(Session Start)를 알린다. 반면에, MBMS 데이터 소스에 특정 MBMS 서비스에 대해 전송해야 할 데이터가 더 이상 없는 경우, CN은 RNC에게 세션 중단(Session Stop)을 알린다. 세션 개시와 세션 중단의 사이 동안에 특정 MBMS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 전송(Data Transfer)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특정 MBMS 서비스를 위한 멀티캐스트 그룹에 참가한 단말들만이 상기 데이터 전송 과정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세션 개시 과정에서, CN으로부터 세션 개시를 수신한 RNC는 단말들에게 MBMS 통지(MBMS Notification)를 전송한다. 여기서 MBMS 통지란 어떤 셀 내에 특정 MBMS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이 임박했음을 RNC가 단말에게 알리는 기능을 말한다. 이 MBMS 통지는 서비스의 실제 데이터가 전송되기 전까지 한 번 이상 전송된다. RNC는 MBMS 통지 과정을 이용하여 특정 셀 내에서 특정 MBMS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의 수를 파악하는 집계(Count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집계 기능은 특정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베어러를 점대다로 설정할 것인지 점대점으로 설정할 것인지를 혹은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지 않을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MBMS 무선 베어러를 선택하기 위해 RNC는 내부적으로 문턱값을 설정한다. RNC는 집 계 기능을 수행한 후, 해당 셀에 존재하는 단말의 수가 문턱값보다 적을 경우 점대점 MBMS 무선베어러를 설정하고, 해당 셀에 존재하는 단말의 수가 문턱값보다 많을 경우 점대다 MBMS 무선베어러를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MBMS 무선 베어러를 결정하고 난 후, RNC는 해당 무선 베어러의 정보를 단말들에게 알려준다. 특정 서비스에 대해 점대점 무선 베어러가 설정될 경우, 그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은 모두 RRC 연결모드 상태에 있게 된다. 하지만, 특정 서비스에 대해 점대다 무선 베어러가 설정될 경우, 그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단말 모두가 RRC 연결모드 상태에 있을 필요는 없다. 즉, RRC 휴지모드 상태의 단말도 상기 점대다 무선 베어러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런데 집계과정의 결과 특정 MBMS 서비스를 원하는 단말이 없을 경우 RNC는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지 않고 MBMS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다. 즉, 서비스를 원하는 사용자가 없는데도 RNC가 무선 베어러를 설정하는 것은 무선자원의 낭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CN으로부터 MBMS 서비스의 한 세션 동안 MBMS 서비스의 데이터가 전송되면 RNC는 설정된 무선 베어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핵심망으로부터 세션 중단을 받으면 기 설정된 무선 베어러를 해제한다.
도4는 MBMS 연결(Attach)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MBMS 서비스를 제공하는 RNC는 자신이 담당하는 셀마다 특정 MBMS 서비스에 참가(joining)한 단말 중 RRC 연결모드 상태인 단말을 파악하고 관리한다. RNC는 이를 위해 각 셀의 각각의 MBMS 서비스 마다 RRC 연결모드 단말 리스트를 작성한다. 이 때 RRC 연결모드 단말 리스트에는 특정 MBMS 서비스에 참가한 단말들의 식별자(URNTI)가 포함된다.
MBMS 연결 과정은 RRC 연결모드 상태의 단말이 참가한 MBMS 서비스 중에 진행중인 MBMS 서비스에 대하여는 상기 단말이 SRNC가 담당하는 셀에서 DRNC가 담당하는 셀로 이동하였을 때 혹은 상기 단말이 참가한 MBMS 서비스 중에 진행 중이 아닌 MBMS 서비스에 대하여는 상기 단말이 SRNC가 담당하는 셀에서 DRNC가 담당하는 셀로 이동 후에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하여 SRNC가 CN으로부터 세션 개시(session start)를 수신할 때, 상기 단말 정보를 SRNC가 DRNC로 MBMS 연결 요청 메시지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DRNC가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해 자신이 관리하는 RRC 연결모드 단말 리스트에 상기 요청한 단말을 추가하도록 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 때 MBMS 연결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이 이동한 셀의 아이디와 단말이 참가하고 있는 MBMS 서비스의 아이디, 그리고 단말의 식별자(URNTI) 등을 포함된다.
DRNC가 SRNC로부터 특정 단말에 대한 MBMS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에 대해 RRC 연결모드 상태 유지를 위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는 경우, DRNC는 상기 단말의 MBMS 연결 요청을 수락하고, 상기 단말이 이동한 셀의 상기 단말이 참가한 MBMS 서비스에 대한 RRC 연결모드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의 식별자를 추가한다. 이후 DRNC는 SRNC로 MBMS 연결 응답 메시지를 통해 긍정 응답을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SRNC는 상기 단말이 이동한 셀에서도 상기 단말을 계속 RRC 연결모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MBMS 서비스 데이터를 점대점 무선베어러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즉, 상기 MBMS 서비스 데이터는 SRNC를 통해 DRNC로 전송된 후 다시 DRNC에서 점대점 무선베어러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된다.
DRNC는 SRNC로부터 특정 단말에 대한 MBMS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 이를 항상 수락하는 것은 아니다. 만약 DRNC가 상기 단말에 대해 RRC 연결을 맺어 RRC 연결모드 상태로 유지 시킬 수 있는 자원이 없다면, DRNC는 상기 단말의 MBMS 연결 요청을 거절하고, 부정응답을 SRNC에게 전송한다.
도5는 MBMS 분리(Detach)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MBMS 분리(Detach) 과정은 RRC 연결모드 상태의 단말이 DRNC가 담당하는 셀에서 다른 RNC가 담당하는 셀로 이동하였을 때, SRNC가 DRNC로 상기 단말에 대한 MBMS 분리 요청 메시지를 전달하여 DRNC로 하여금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해 자신이 관리하는 RRC 연결모드 단말 리스트에서 상기 분리 요청을 한 단말을 삭제하도록 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때 MBMS 분리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이 이동하기 전에 위치했던, 즉 DRNC가 담당하던 셀의 아이디와 단말이 참가하고 있는 MBMS 서비스의 아이디, 그리고 단말의 식별자(URNTI) 등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SRNC가 DRNC로 MBMS 연결 요청 또는 분리 요청 메시지 전송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에는 SRNC가 DRNC로 특정 단말에 대하여 상기 단말이 참가한 MBMS 서비스들 중에 특정한 하나의 MBMS 서비스에 대하여 하나의 MBMS 연결 요청 또는 분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런데, 만약 상기 단말이 하나 이상의 MBMS 서비스에 참가하고, 상기MBMS 서비스들 중 여러 개의 MBMS 서비스가 진행 중이라면, SRNC는 DRNC로 상기 단말에 대하여 진행 중인 MBMS 서비스들 각각에 대하여 여러 번 MBMS 연결 요청 또는 분리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MBMS 서비스에 여러 개의 단말들이 참가하고 있을 때, 상기 MBMS 서비스가 진행 중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단말들이 SRNC에서 DRNC로 이동한 경우 SRNC가 CN으로부터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한 세션 개시(session start)를 수신한다면, SRNC는 DRNC로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하여 참가한 상기 단말 각각에 대하여 여러 번 MBMS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즉, MBMS 서비스에 참가하는 단말의 개수와 MBMS 서비스의 증가에 따라 단말이 SRNC에서 DRNC로 이동시에 SRNC는 빈번하게 MBMS 연결 요청 또는 분리 요청 메시지를 DRNC로 전송하게 되어 SRNC와 DRNC사이의 시그널링 부하를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망 자원효율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이 하나의 망 요소에서 다른 망 요소로 이동할 경우,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연결 요청 분리 요청 메시지의 빈번한 전송으로 인한 망 부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망 요소간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망 요소간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연결 방법은, 단말들에게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단말이 하나의 망 요소(제1 망 요소)에서 다른 망 요소(제2 망 요소)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망 요소에서 상기 단말이 참가한 서비스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망 요소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망 요소에서 상기 서비스들에 관한 정보에 포함된 서비스들에 대하여 상기 단말의 서비스 연결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이 상기 제2 망 요소로 이동할 때 진행되지 않았던 특정 서비스에 대한 개시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제1 망 요소는 상기 새롭게 개시된 서비스에 참가한 상기 단말의 목록을 포함한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망 요소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망 요소에서 상기 단말 목록에 포함된 단말들에 대하여 상기 서비스의 연결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망 요소(network element)라는 용어는 UMTS 시스템에서의 SRNC와 DRNC처럼 통신망을 구성하고 있는 두 요소 간을 단말이 이동함으로써 단말이 참가한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연결을 변경할 필요성이 발생하는 통신망의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망 요소간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 서비스 연결 방법은, 단말들에게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를 제공하는 UMTS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이동에 의해 SRNC가 DRNC로 MBMS 연결 과정을 진행하는 경우, 상기 이동한 임의의 특정 단말에 대하여 진행중인 모든 MBMS 서비스에 대한 정보(MBMS 서비스 그룹 정보) 또는 임의의 특정 MBMS 서비스에 참가한 단말 중 상기 DRNC로 이동한 모든 단말들에 대한 정보(MBMS 단말 그룹 정보)를 포함하는 MBMS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DRNC가 상기 MBMS 연결 요청 메시지를 파악하여 상기 MBMS 서비스 그룹 정보가 수 신되면 상기 MBMS 서비스 그룹 정보에 포함된 모든 MBMS 서비스들에 대하여 상기 특정 단말의 MBMS 연결 과정을 각각 수행하고, 상기 MBMS 단말 그룹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특정 MBMS 서비스에 대하여 상기 MBMS 단말 그룹 정보에 포함된 모든 단말들의 MBMS 연결 과정을 각각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구성, 작용, 효과 및 그 외의 다른 특징들이 명확해 질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이 UMTS 망에서 제공되는 MBMS 서비스에 적용된 경우를 설명한 것으로서, 이하의 실시예는 글자 그대로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에서는 단말에 대한 MBMS 서비스들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MBMS 서비스 그룹 정보라고 명명한다. 바람직하게는, MBMS 서비스 그룹 정보는 상기 단말이 참가한 MBMS 서비스 중에 진행중인 서비스들의 리스트 정보이다. 한편, 특정 MBMS 서비스에 참가한 단말들 중에 DRNC로 이동한 단말들에 대한 정보를 MBMS 단말 그룹 정보라고 명명한다. 바람직하게는 MBMS 단말 그룹 정보는 단말들의 이동시에 진행 중이 아닌 상기 MBMS 서비스에 참가하고 DRNC로 이동한 단말들의 리스트 정보이다.
본 실시예에서 DRNC는 SRNC로부터 MBMS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 받은 후에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MBMS 서비스 그룹 정보 혹은 MBMS 단말 그룹 정보를 파악한다. 만일 MBMS 서비스 그룹 정보가 수신되면, DRNC는 MBMS 서비스 그룹 정보에 포 함된 모든 MBMS 서비스들에 대하여 상기 단말의 MBMS 연결 과정을 각각 수행하고, 한편 MBMS 단말 그룹 정보가 수신되면, DRNC는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하여 MBMS 단말 그룹 정보에 포함된 모든 단말들의 MBMS 연결 과정을 각각 수행한다.
도6 및 도7에서 상기 단말은 여러 개의 MBMS 서비스에 참가하고 있으며, 상기 MBMS 서비스 중 일부는 서비스 진행 중인 상태로서 상기 단말이 상기 MBMS 서비스들을 수신 중이며, 나머지 MBMS 서비스는 진행 중이 아닌 상태이다.
도6은 SRNC가 DRNC로 이동한 특정 단말에 대하여 진행 중인 MBMS 서비스들에 대한 MBMS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DRNC에서의 MBMS 연결 과정 수행을 설명하고 있다. 한편, 도7은 SRNC가 CN으로부터 세션 개시(session start)를 받은 특정 MBMS 서비스에 대하여 상기 MBMS 서비스에 참가하고 DRNC로 이동한 단말들에 대한 MBMS 연결 요청 메시지 전송 과정과 DRNC에서의 MBMS 연결 과정 수행을 설명하고 있다.
도6에서, SRNC는 단말이 DRNC가 관리하는 셀로 이동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단말이 수신하고 있는 진행중인 MBMS 서비스에 대한 MBMS 연결 요청 메시지를 DRNC에 전송한다[501]. 이 때 MBMS 연결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이 수신하고 있었던 진행 중인 MBMS 서비스들의 리스트 정보인 MBMS 서비스 그룹 정보, 셀 아이디, 단말의 식별자(URNTI) 관련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7에서, SRNC는 단말들이 DRNC가 관리하는 셀로 이동 할 때 진행 중이지 않았던 MBMS 서비스에 대한 세션 개시(session start)를 CN으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한 MBMS 연결 요청 메시지를 DRNC에 전송한다[601]. 이 때 MBMS 연결 요청 메시지에는 상기 MBMS 서비스에 참가하고 DRNC로 이동한 단말들의 리스트 정보인 MBMS 단말 그룹 정보, MBMS 서비스의 ID, 셀 아이디 관련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6에서, DRNC가 SRNC로부터 MBMS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DRNC는 상기 메시지로부터 MBMS 서비스 그룹 정보를 확인하여 각각의 MBMS 서비스에 대해 자신이 관리하는 RRC 연결모드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을 추가함으로써 MBMS 연결 과정을 수행한다[503]. 예를 들어, MBMS 서비스 그룹 정보 내에 N개의 MBMS 서비스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다면 N개의 MBMS 서비스 각각의 RRC 연결모드 단말 리스트에 하나의 단말을 추가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MBMS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N번의 MBMS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RRC 연결모드 상태 유지를 위한 자원 할당이 가능하면, DRNC는 상기 단말의 MBMS 연결 요청을 수락한다.
도7에서, DRNC는 상기 메시지로부터 MBMS 단말 그룹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MBMS 서비스에 대해 자신이 관리하는 RRC 연결모드 단말 리스트에 상기 단말 각각을 추가함으로써 MBMS 연결 과정을 수행한다[603]. 예를 들어, MBMS 단말 그룹 정보에 M개의 단말들의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다면 하나의 MBMS 서비스의 RRC 연결모드 단말 리스트에 M개의 단말 각각을 추가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MBMS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M번의 MBMS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RRC 연결모드 상태 유지를 위한 자원 할당이 가능하면, DRNC는 상기 단말의 MBMS 연결 요청을 수락한다.
DRNC가 MBMS 연결 과정을 수행하고 나면[503, 603], DRNC는 MBMS 연결 응답 메시지를 SRNC로 전송한다[505, 605]. 도6에서, 이 MBMS 연결 응답 메시지에는 MBMS 서비스 그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7에서, 이 MBMS 연결 응답 메시지에는 MBMS 단말 그룹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MBMS 분리(detach) 과정의 경우에는, SRNC가 DRNC에 있는 특정 단말에 대하여 진행 중인 MBMS 서비스들에 대한 리스트를 MBMS 분리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면, DRNC는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MBMS 서비스들을 대해 자신이 관리하는 RRC 연결모드 단말 리스트에서 상기 분리 요청을 한 단말을 삭제함으로써 분리한다. 이때 MBMS 분리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이 수신하고 있었던 진행 중인 MBMS 서비스들의 리스트 정보인 MBMS서비스그룹정보, 셀 아이디, 단말의 식별자(URNTI)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SRNC가 DRNC로 특정 단말에 대하여 상기 단말이 참가한 MBMS 서비스들 중에 특정한 하나의 MBMS 서비스에 대하여 하나의 MBMS 연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으로 인하여, SRNC와 DRNC 사이에 시그널링 메시지의 양을 증가시 켜서 망 자원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SRNC가 DRNC로 전송하는 MBMS 연결 요청 메시지에 상기 단말에 대한 진행중인 MBMS 서비스들의 종류에 대한 정보 혹은 특정 MBMS 서비스에 참가하고 DRNC로 이동한 단말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함으로써, DRNC는 하나의 MBMS 연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하나의 단말에 대하여 여러 개의 서비스에 대한 MBMS 연결 과정을 처리하거나 혹은 하나의 MBMS 서비스에 대하여 여러 개의 단말에 대한 MBMS 연결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이 하나의 RNC에서 다른 RNC로 이동시에 RNC 사이에 발생하는 시그널링 메시지 전송을 최소화시켜 RNC 사이의 망 부하 증가를 방지하여 망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단말들에게 MBMS(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MBMS 서비스 연결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하나의 망 요소(제1 망 요소)에서 다른 망 요소(제2 망 요소)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망 요소에서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망 요소에서 참가한 MBMS 서비스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MBMS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1 망 요소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MBMS 서비스 연결 과정을 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망 요소에서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MBMS 서비스들 각각에 대한 상기 제2 망 요소의 MBMS 서비스 리스트에 상기 단말을 추가하여 상기 MBMS 서비스 연결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BMS 서비스 연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BMS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망 요소에서 참가한 MBMS 서비스들의 전체 리스트를 포함하는, MBMS 서비스 연결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또 다른 망 요소(제3 망 요소)로 이동한 경우에,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 2 망 요소에서 진행 중인 MBMS 서비스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MBMS 분리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망 요소에서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망 요소에서 상기 제 2 망 요소에서 진행중인 MBMS 서비스들의 리스트에 포함된 MBMS 서비스들 각각에 대한 상기 제2 망 요소의 MBMS 서비스 리스트로부터 상기 단말을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연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BMS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는 상기 제1 및 제2 망 요소의 ID와 단말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연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BMS 서비스 연결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상기 제 1 망 요소에서 참가한 MBMS 서비스들의 ID와 상기 제1 및 제2 망 요소의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연결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MBMS 서비스 분리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 2 망 요소에서 진행 중인 MBMS 서비스들의 ID, 망 요소 아이디, 단말의 식별자(URNTI) 관련 정보를 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연결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 대한 상기 MBMS 서비스 연결 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2 망 요소는 상기 제1 망 요소에게 MBMS 서비스 연결 응답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연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은 UMTS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BMS 서비스 연결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20030068942A 2003-10-02 2003-10-0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망 요소간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서비스 연결 방법 KR100937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8942A KR100937419B1 (ko) 2003-10-02 2003-10-0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망 요소간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서비스 연결 방법
US10/956,443 US7818366B2 (en) 2003-10-02 2004-09-3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RPI0414759 BRPI0414759A (pt) 2003-10-02 2004-10-01 método e aparato para prover um serviço de radiodifusão/multidifusão de multimìdia em um sistema de comunicações móvel
RU2006114787A RU2344573C2 (ru) 2003-10-02 2004-10-01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мультимедийной услуги широковещания/группового вещания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EP20040774753 EP1668948B1 (en) 2003-10-02 2004-10-0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T04774753T ATE502494T1 (de) 2003-10-02 2004-10-01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reitstellung von multimedia-broadcast/ multicast-dienst in einem mobilkommunikationssystem
DE200460031858 DE602004031858D1 (de) 2003-10-02 2004-10-01 Ultimedia-broadcast/ multicast-dienst in einem mobilkommunikationssystem
JP2006532083A JP4604038B2 (ja) 2003-10-02 2004-10-01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マルチメディアのブロードキャスト/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CN2010106089612A CN102045645B (zh) 2003-10-02 2004-10-01 在移动通信系统中提供多媒体广播/组播业务的方法和设备
MXPA06003493A MXPA06003493A (es) 2003-10-02 2004-10-01 Metodo y aparato para proporcionar servicio de difusion/multidifusion multimedia en sistema de comunicacion movil.
AU2004306053A AU2004306053B2 (en) 2003-10-02 2004-10-0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2004800289406A CN1864431B (zh) 2003-10-02 2004-10-01 在移动通信系统中提供多媒体广播/组播业务的方法和设备
PCT/KR2004/002512 WO2005032199A1 (en) 2003-10-02 2004-10-01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ZA200602034A ZA200602034B (en) 2003-10-02 2006-03-1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K06112192A HK1090501A1 (en) 2003-10-02 2006-11-0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8942A KR100937419B1 (ko) 2003-10-02 2003-10-0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망 요소간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서비스 연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945A KR20050032945A (ko) 2005-04-08
KR100937419B1 true KR100937419B1 (ko) 2010-01-18

Family

ID=36120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68942A KR100937419B1 (ko) 2003-10-02 2003-10-0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망 요소간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서비스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818366B2 (ko)
EP (1) EP1668948B1 (ko)
JP (1) JP4604038B2 (ko)
KR (1) KR100937419B1 (ko)
CN (2) CN102045645B (ko)
AT (1) ATE502494T1 (ko)
AU (1) AU2004306053B2 (ko)
BR (1) BRPI0414759A (ko)
DE (1) DE602004031858D1 (ko)
HK (1) HK1090501A1 (ko)
MX (1) MXPA06003493A (ko)
RU (1) RU2344573C2 (ko)
WO (1) WO2005032199A1 (ko)
ZA (1) ZA2006020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999B1 (ko) * 2003-08-07 2009-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송수신하는 방법
US7631085B2 (en) * 2004-08-30 2009-12-08 Nokia Corporation Point-to-point delivery verification report mechanism for point-to-multipoint transmission systems
KR100724900B1 (ko) * 2004-09-15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서비스 시스템에서 주파수 계층 수렴을 사용하는 단말기를 위한 하드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EP1847041A1 (en) * 2005-01-28 200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session non-interest indication information of ue in a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KR100660246B1 (ko) * 2005-08-31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시청을 권유하는 메시지를전송하는 방법과 그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EP1777873B1 (en) * 2005-10-21 2013-06-19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data as part of a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CN100454819C (zh) * 2006-06-19 2009-01-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播服务实现方法
EP2667660B1 (en) * 2006-06-20 2017-04-2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Recovering from an unsuccessful handover in a LTE system
US9100930B2 (en) * 2006-09-14 2015-08-04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of selecting operating frequency for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KR101315858B1 (ko) * 2007-01-29 2013-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위성방송수신기의 주파수 드래프트 보상 장치
CN101374255B (zh) * 2007-08-21 2012-07-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组播广播多媒体业务无线承载建立方法
CN101389071B (zh) * 2007-09-12 2012-0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具有重叠关系的mbs区域间的共享mbs无线资源的协调方法
WO2009111233A1 (en) 2008-03-04 2009-09-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random access channel by selectively using dedicated or contention-based preambles during handover
US8712415B2 (en) 2008-03-20 2014-04-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Timing and cell specific system information handling for handover in evolved UTRA
KR101264499B1 (ko) 2008-06-30 2013-05-22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E-utran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1877712B (zh) * 2009-04-29 2013-11-20 美商定谊科技公司 数据传输控制方法、服务器和终端设备
WO2011127623A1 (zh) * 2010-04-12 2011-10-20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移动组播的方法及其设备
US8982738B2 (en) 2010-05-13 2015-03-17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pparatus for content delivery for internet traffic and methods thereof
US10104184B2 (en) 2010-06-14 2018-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Hybrid delivery mechanism in multimedia transmission system
US8655348B2 (en) * 2011-02-18 2014-02-18 Pctel, Inc. System and method for acquiring network data
CN104105139B (zh) * 2013-04-09 2017-11-03 中国移动通信集团浙江有限公司 一种低价值业务资源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433A (ko) * 1999-06-04 2002-02-08 아리티라 미카, 라나스토 익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연결 해제
KR20020064987A (ko) * 2000-01-07 2002-08-1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하이브리드 gsm/cdma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를위한 기지국 동기
KR20030074016A (ko) * 2002-03-15 200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패킷 제어장치 및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ZA957816B (en) 1994-09-30 1996-05-31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broadcast message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FI100495B (fi) * 1996-02-09 1997-12-1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Suorakanavalla liikennöivän matkaviestimen läsnäolon selvittäminen
US5987011A (en) 1996-08-30 1999-11-16 Chai-Keong Toh Routing method for Ad-Hoc mobile networks
US6081536A (en) * 1997-06-20 2000-06-27 Tantivy Communications, Inc.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to transmit a wireless protocol across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radio link
US6351467B1 (en) * 1997-10-27 2002-02-26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casting multimedia content
FI106831B (fi) 1998-01-14 2001-04-12 Nokia Networks Oy Pääsyn kontrollointimenetelmä matkaviestinjärjestelmää varten
EP1066729B1 (en) 1998-04-03 2005-06-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exible radio access and resource allocation in a universal mobile telephone system (umts)
FI106600B (fi) * 1998-05-13 2001-02-28 Nokia Networks Oy Monipistelähetys
FI109170B (fi) * 1999-06-28 2002-05-31 Nokia Corp Sijainninhallinta solukkojärjestelmiä varten
US6466556B1 (en) 1999-07-23 2002-10-15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of accomplishing handover of packet data flows in 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EP1204290A3 (en) 2000-11-02 2002-08-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system and point-to-multipoint service center for performing mobile station location updates
US7013141B2 (en) * 2001-07-03 2006-03-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of ranking neighbor cells as candidates for an hand over
US8126127B2 (en) 2002-01-16 2012-02-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sion of broadcast service information
KR20040016540A (ko) 2002-08-17 2004-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시 데이터 송수신 장치 및 방법
FI20021755A0 (fi) * 2002-10-02 2002-10-02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yleislähetyksen vastaanottoedellytysten ilmaisemiseksi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433A (ko) * 1999-06-04 2002-02-08 아리티라 미카, 라나스토 익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연결 해제
KR20020064987A (ko) * 2000-01-07 2002-08-10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하이브리드 gsm/cdma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를위한 기지국 동기
KR20030074016A (ko) * 2002-03-15 200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패킷 제어장치 및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무선 ATM환경에서 멀티캐스트 서비스의 이동성 지원연구,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199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45645A (zh) 2011-05-04
JP4604038B2 (ja) 2010-12-22
US20050083884A1 (en) 2005-04-21
AU2004306053B2 (en) 2009-08-13
EP1668948A1 (en) 2006-06-14
HK1090501A1 (en) 2006-12-22
AU2004306053A1 (en) 2005-04-07
ATE502494T1 (de) 2011-04-15
RU2344573C2 (ru) 2009-01-20
MXPA06003493A (es) 2006-06-08
ZA200602034B (en) 2007-05-30
DE602004031858D1 (de) 2011-04-28
CN1864431A (zh) 2006-11-15
BRPI0414759A (pt) 2006-11-28
CN1864431B (zh) 2011-03-09
JP2007507972A (ja) 2007-03-29
KR20050032945A (ko) 2005-04-08
US7818366B2 (en) 2010-10-19
WO2005032199A1 (en) 2005-04-07
RU2006114787A (ru) 2007-11-20
CN102045645B (zh) 2013-06-05
EP1668948B1 (en)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419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망 요소간 방송 또는 멀티캐스트서비스 연결 방법
KR10094774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rrc연결설정 방법
US105609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resources management
US7764976B2 (en) Radio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MBMS service
KR100595585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멀티미디어 방송 및 멀티캐스트서비스를 위한 무선자원관리방법
AU20052019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iving notification of a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while considering a transmission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075635B1 (ko) 방송 및 멀티캐스트(mbms) 서비스를 위한 정보전달 방법
US20050213541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ervice information between network nodes for MBMS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20459A (ko) 멀티미디어 방송 멀티캐스트 서비스 전송 방법
EP1420551A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messag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viding MBMS service
WO2008025239A1 (en) Evolved-mbms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method
KR20050019388A (ko) 멀티미디어 방송 및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위한 패킷데이터와 관련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JP2008514039A5 (ko)
WO20060808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session non-interest indication information of ue in a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system
KR100617162B1 (ko) 점대다(point-to-multipoint) 통신 서비스를 제공을 위한 RNC 등록 방법
KR20060090134A (ko) 방송 및 멀티캐스트(mbms) 서비스를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04486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mbms서비스를 위한 망 노드간서비스정보 전송방법
WO2005078968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ervice information between network nodes for mbms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