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927B1 - The spent fuel management and automatic nuclear cross-section input data generation method for nuclear reactor core design - Google Patents

The spent fuel management and automatic nuclear cross-section input data generation method for nuclear reactor core desig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927B1
KR100936927B1 KR1020070136095A KR20070136095A KR100936927B1 KR 100936927 B1 KR100936927 B1 KR 100936927B1 KR 1020070136095 A KR1020070136095 A KR 1020070136095A KR 20070136095 A KR20070136095 A KR 20070136095A KR 100936927 B1 KR100936927 B1 KR 100936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ore
input data
nuclear
current 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0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68469A (en
Inventor
유상근
Original Assignee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6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927B1/en
Publication of KR20090068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4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9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5/00Moderator or core structure; 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as moderator
    • G21C5/02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 핵설계를 위한 사용후 연료관리 및 핵단면적 입력자료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ducing spent fuel management and cross-sectional input data for core nuclear design of a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의 입력자료의 생산방법은 기 저장된 과거 주기들에 대한 ANC코드와 ALAMO코드의 출력자료들로부터 필요한 입력자료를 생산하여 GUI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단계; 상기 입력자료로부터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을 생산하여 GUI 화면으로 표시하는 제2단계; 표시된 상기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의 입력자료를 수정하고 변경하는 제3단계; 및 그 수정 및 변경된 상기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의 입력자료를 데이터베이화 하여 전자파일 형태로 출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thod for producing input data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irst step of producing the necessary input data from the output data of the ANC code and ALAMO code for the pre-stored past cycles and stores in the GUI database; A second step of producing a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from the input data and displaying the GUI screen; A third step of modifying and changing the input data of the displayed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And a fourth step of outputting the modified input data of the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into an electronic file format.

이러한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방출되는 연료들의 체계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기존 주기들의 장전모형을 손쉽게 열람하여 개별 집합체의 상세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며, 현 설계주기의 3차원 노심 모델의 입력자료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얻을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fuels discharged from nuclear power plants, makes it easy to view the loading models of existing cycles, and to easily check the detailed information of individual aggregates, and to input the three-dimensional core model of the current design cycle. Can be efficiently and accurately obtained.

원자력 발전소, 노심, 핵설계, GUI, 핵단면적 Nuclear Power Plant, Core, Nuclear Design, GUI, Nuclear Cross Section

Description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 핵설계를 위한 사용후 연료관리 및 핵단면적 입력자료의 생산방법{THE SPENT FUEL MANAGEMENT AND AUTOMATIC NUCLEAR CROSS-SECTION INPUT DATA GENERATION METHOD FOR NUCLEAR REACTOR CORE DESIGN}{THE SPENT FUEL MANAGEMENT AND AUTOMATIC NUCLEAR CROSS-SECTION INPUT DATA GENERATION METHOD FOR NUCLEAR REACTOR CORE DESIGN} for Core Fuel Design of Nuclear Power Plants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 핵설계를 위한 사용후 연료관리 및 핵단면적 입력자료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ducing spent fuel management and cross-sectional input data for core nuclear design of a nuclear power plant.

특히 원자력 발전소의 사용후 연료의 정보를 손쉽게 작성하며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3차원 노심 모델링을 위한 설계코드의 입력자료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휴먼 오류 등을 방지함과 아울러 설계자에게 편리한 계산환경을 구축하도록 한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 핵설계를 위한 사용후 연료관리 및 핵단면적 입력자료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asily prepare and systematically manage the spent fuel information of nuclear power plants and to reduce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to write the input data of the design code for 3D core modeling. A method for producing spent fuel management and nuclear cross-section input data for core nuclear design of nuclear power plants to provide a convenient computing environment.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서 노심을 3차원 해석코드를 통한 모델링이 요구되며 전 세계적으로 많은 발전소에서 중성자 핵단면적 생산 코드로써 ALPHA/PHOENIX-P와 3차원 노심 해석 모델 코드로써 ANC코드(Advanced Nodal Code)를 상업용으로 사용하고 있다.In order to evaluate the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core modeling through 3D analysis code is required, and ALPHA / PHOENIX-P as a neutron cross-sectional production code and ANC code (Advanced Nodal Code) as 3D core analysis model code are used in many power plants worldwide. ) Is used commercially.

①사용후 연료관리는 발전소에서 연소된 후 방출되는 연료에 대한 연소도, 농축도, 장전이력 그리고 연료 이름(ID) 등의 자료를 정리하여 향후 연료의 재장전 또는 각종 연료정보의 취득을 위하여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②3차원 노심 모델링의 입력자료는 노심을 3차원 해석코드로 모델링하기위한 입력 자료로서 노심내의 연료의 출력분포, 반응도, 연소도분포 등의 각종 안전성 인자들을 검증을 위한 설계코드 입력자료를 의미한다.① After-use fuel management organizes data such as combustion degree, enrichment degree, loading history, and fuel name (ID) of fuel released after burning in power plant for management of future fuel reloading or acquisition of various fuel information. I mean. ② Input data of 3D core modeling is input data for modeling core as 3D analysis code. It means design code input data for verifying various safety factors such as fuel power distribution, reactivity, and combustion distribution of fuel in core.

사용후 연료의 관리는 재장전 연료의 선정 또는 방출 연료의 정보의 취득을 위해서 필수적이다. 설계자는 이전에 수행된 설계코드의 방대한 출력자료들로부터 일일이 수동으로 연료의 정보를 확인하여 각 주기에 방출된 연료의 정보를 정리한다. 이는 노심에 장전되는 연료의 수가 발전소 형태에 따라 121~177개에 이르는 것을 감안하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일이다. 이 자료는 3차원 노심 모델링의 기초 자료가 되며 또한 원자력 발전소의 사용후 연료관리를 위한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The management of spent fuel is essential for the selection of reloaded fuel or for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fuel released. The designer checks the fuel information manually from the vast output data of previously executed design codes and organizes the information of the fuel released in each cycle. This requires a lot of time and effort, given that the number of fuels loaded into the core ranges from 121 to 177, depending on the type of power plant. This data is the basis for 3D core modeling and can be used as a fuel for the spent fuel management of nuclear power plants.

그 다음, 사용후 연료의 정보로부터 재장전할 연료를 선정한 후 새로 장전될 신연료의 사양을 결정하고 이들 장전 연료들에 대한 2차원 중성자 핵단면적 생산과정이 수행된다. 설계자는 노심에 장전될 연료들의 정보들로부터 연료의 농축도, 연소도, 가연성흡수봉의 수 및 연소이력에 따라 연료를 재분류하는 절차가 필요하고 현재 설계주기에 대한 노심의 연소 조건을 예측하여 냉각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노심의 반응도를 조절하는 붕산수의 농도를 연소도에 따라 가정하여 중성자 핵단면적 생산을 위한 입력자료를 작성한다. 이러한 입력자료의 작성을 위해 설계자는 기존 설계주기들의 방대한 설계코드의 출력자료들로부터 적합한 자료를 일일이 수동으로 찾아서 분석한 후 설계코드의 입력에 맞게 정리 및 작성이 요구된다. 이후 설계자는 ALPHA/PHOENIX-P코드를 실행하여 핵단면적을 생산한다.Then, the fuels to be reloaded are selected from the information of the used fuels, the specifications of the new fuels to be reloaded are determined, and a two-dimensional neutron cross-sectional production process for these loaded fuels is performed. The designer needs a procedure to reclassify the fuel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the fuel, the degree of combustion, the number of flammable absorbent rods and the combustion history from the information of the fuels to be loaded into the core and to predict the combustion conditions of the core for the current design cycle. The input data for the production of neutron cross-sectional area are prepared by assuming the concentration of boric acid water to control the reactivity of the core contained in the combustion. In order to prepare such input data, the designer needs to manually find and analyze suitable data from the output data of the vast design codes of the existing design cycles, and then arrange and prepare them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design code. The designer then executes the ALPHA / PHOENIX-P code to produce a nuclear cross section.

그 후에 설계자는 ANC코드를 사용하여 3차원 노심 모델을 생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ANC 코드의 입력자료는 앞서 언급된 중성자 핵단면적 자료와 현재 노심을 구성하는 연료들의 장전 이력과 연료의 이름(ID)을 확인하고 또한 각 연료의 노심 위치를 결정하고 각 연료별로 적용되는 핵단면적과 연결되는 자료의 작성 등으로 구성되는 복잡한 입력 자료의 작성이 필요하다. 이들 입력자료의 작성은 사용후 연료관리 정보 또는 지난 주기들의 ANC코드의 출력 자료로부터 일일이 수동으로 찾아서 분석한 후 설계코드의 입력에 맞게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입력 작성이 완료되면 설계자는 ANC코드를 실행하여 3차원 노심 모델을 생산한다.The designer then needs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core model using ANC code. The input data of the ANC code confirms the neutron cross-sectional data mentioned above, the loading history and fuel name (ID) of the fuels that make up the current core, and also determines the core location of each fuel and the nuclear cross-section applied for each fuel. It is necessary to create complex input data that consists of creating linked data. The preparation of these input data needs to be found manually and analyzed from the spent fuel management information or the output data of the ANC code of the last cycles, and then organiz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design code. Once the input is complete, the designer executes the ANC code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core model.

이처럼 사용후 연료의 정보관리와 3차원 노심 모델링을 위한 설계코드의 입력자료의 작성은 기존의 방출된 연료의 사양, 연소이력, 새롭게 장전되는 연료의 사양, 장전연료의 이름 및 장전위치 그리고 설계 주기의 연소 조건 등의 수많은 입력자료의 작성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설계자는 기존 설계 주기들에 대한 설계코드의 출력자료들로부터 일일이 수동으로 찾아서 설계코드의 입력에 맞게 분석하고 정리하는 작업이 요구되는데, 이에 따른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고 방대한 설계 입력자료에 대한 검증도 쉽지 않다.As such, the input data of the design code for information management of spent fuel and 3D core modeling is based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discharged fuel, the combustion history, the specification of the newly loaded fuel, the name and location of the loaded fuel, and the design cycle. It is required to prepare a large number of input data such as combustion conditions of the designer, and to this end, the designer needs to manually search from the output data of the design code for the existing design cycles and analyze and organize them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design code. This requires a lot of manpower and time, and it is not easy to verify the vast design input data.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원자력 발전소의 사용후 연료의 정보를 손쉽게 작성하며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3차원 노심 모델링을 위한 설계코드의 입력자료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휴먼 오류 등을 방지함과 아울러 설계자에게 편리한 계산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 핵설계를 위한 사용후 연료관리 및 핵단면적 입력자료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easy to create and systematically manage the information of the spent fuel of the nuclear power plant, and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to write the input data of the design code for the three-dimensional core modeling It is to provide a method of producing spent fuel management and nuclear cross-section input data for core nuclear design of nuclear power plants to reduce human error and to create a convenient computing environ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 저장된 과거 주기들에 대한 ANC코드와 ALAMO코드(Automated Linkige of ANC Modeling Operations)의 출력자료들로부터 필요한 입력자료를 생산하여 GUI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단계; 상기 입력자료로부터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을 생산하여 GUI 화면으로 표시하는 제2단계; 표시된 상기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의 입력자료를 수정하고 변경하는 제3단계; 및 그 수정 및 변경된 상기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의 입력자료를 데이터베이화 하여 전자파일 형태로 출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rst step of producing the necessary input data from the output data of the ANC code and ALAMO code (Automated Linkige of ANC Modeling Operations) for the pre-stored past cycles and storing in the GUI database; A second step of producing a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from the input data and displaying the GUI screen; A third step of modifying and changing the input data of the displayed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And a fourth step of outputting the modified input data of the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into an electronic file format.

상기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은 GUI 화면 입력창에 현주기 번호를 입력하고, 현주기 장전모형 구성방법을 선택하고, 가연성 흡수봉의 종류를 선택하고, 예측 주기연소도를 입력하고, 신연료 영역의 이름(ID)를 입력함으로 인해 생산됨이 바람직하다.The current cycle core load model inputs the current cycle number in the GUI screen input window, selects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current cycle load model, selects the type of flammable absorbent rod, inputs the predicted cycle burn rate, and names the new fuel region. It is preferable to produce by inputting (ID).

또, 상기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은 전체 노심 장전모형에 대하여 사분(1/4)노심 장전모형으로 디스플레이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is preferably displayed as a quarter (4/4) core loading model with respect to the entire core loading model.

또, 상기 제3단계는 재장전되고 방출되는 연료의 정보와 이전 주기들에서 기 방출된 사용후 연료의 정보가 체계적으로 전체 주기들에 걸쳐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rd step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systematically managing the information of the fuel recharged and discharged and the information of the spent fuel previously released in the previous cycles systematically over the entire cycles.

또, 상기 제4단계는 사용후 연료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상기 수정 및 변경된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의 입력자료와 함께 전자파일 형태로 출력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fourth step, it is preferable that the information of the spent fuel is made into a database to be output in an electronic file form along with the input data of the modified and modified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또, 상기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을 표시하는 표시창은 지난 주기들에 대한 노심의 장전모형의 열람을 가능하도록 한 도구, 설계 주기의 장전모형에 대한 연료의 위치를 서로 교환하도록 한 도구, 전체 노심에 대한 대칭연료를 교환가능하도록 한 도구, 특정 연료를 선택하면 그 특정 연료에 대한 창을 생성하며 그 선택된 연료의 장전 이력, 출력, 농축도등의 개별 집합체의 상세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도구, 상기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에서 특정 연료를 선택할 때 사용후 연료관리창을 생성하며 사용후 연료정보로부터 원하는 기 방출연료를 재장전하고 선택된 연료를 방출하도록 한 도구, 노심 장전모형의 연료들의 연소도, 출력 분포, 연소도, 가연성흡수봉, 연료별 사용 중성자 흡수단면적의 종류, 연료의 지난주기 장전위치 등의 다양한 집합체 정보를 선택적으로 열람이 가능하도록 한 도구, 각 주기에서 방출된 연료의 정보를 열람하도록 한 도구, 상기 현주기 장전모형의 입력자료와 사용후 연료의 정보를 전자파일 형태로 출력하도록 한 도구, 노심의 장전모형을 연료의 연소도 차 이, 가연성 흡수봉, 제어봉의 위치에 따라 보여주는 연료의 색상에 변화를 주어 구분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도구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isplay window displaying the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is a tool that enables the core loading model to be viewed for past cycles, a tool for exchanging positions of fuel with respect to the loading model of the design cycle, and an entire core. Tool for making symmetrical fuels exchangeable, selecting a particular fuel creates a window for that particular fuel and displays details of the individual aggregates such as loading history, output, and concentration of the selected fuel, the current cycle A tool that generates a spent fuel management window when selecting a specific fuel in the core loading model, reloads the desired fuel from the spent fuel information and releases the selected fuel, and the combustion degree, power distribution, and combustion of the fuels in the core loading model. Various aggregate information such as degree, flammable absorption rod, type of neutron absorption cross section used by fuel, and last cycle loading position of fuel Tools to enable selective reading, tools to view the information of fuel released in each cycle, tools to output the input data of the current cycle loading model and used fuel information in the form of electronic files, loading of the core It is desirable to include a tool to make the model easier to distinguish by varying the color of the fuel, which shows the difference in fuel combustion, the flammable absorbent rod, and the position of the control rod.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해서, 원자력 발전소에서 방출되는 연료들의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 지고, 기존 주기들의 장전모형을 손쉽게 열람하여 개별 집합체의 상세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현 설계주기의 3차원 노심 모델의 입력자료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By the above solution, it is possible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fuels discharged from the nuclear power plant, easily view the loading models of the existing cycles, and easily check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aggregates, and input data of the three-dimensional core model of the current design cycle. Can be efficiently and accurately obtain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 핵설계를 위한 사용후 연료관리 및 핵단면적 입력자료의 생산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초기 실행 화면을 보인 도면, 도 3은 ANC 코드의 출력파일들로부터 입력자료들을 생성을 위한 창을 보인 도면이다.1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producing spent fuel management and nuclear cross-section input data for the core nuclear design of a nuclear power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initial execu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output file of the ANC code The figure shows the window for generating input data from them.

도 4는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을 생산하기 위한 창을 보인 도면, 도 5는 도 4에 의해서 생산되는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 창을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의 화면으로부터 특정 위치의 연료를 선택할 때 생성되는 연료의 상세정보를 보여주는 창을 보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window for producing a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FIG. 5 is a view showing a window for a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produced by FIG. 4, FIG. Figure shows a window showing the details of the fuel generated when.

도 7은 사용후 연료의 관리를 위한 창을 보인 도면, 도 8은 방출 주기별로 정리된 사용후 연료의 정보의 출력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3차원 노심모델의 입력 자료의 일부 출력 예를 보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window for the management of spent fuel, FIG.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output information of the spent fuel arranged by the discharge cycle, Figure 9 is a partial output example of the input data of the three-dimensional core model The figure shown.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 핵설계를 위한 사용후 연료관리 및 핵단면적 입력자료의 생산방법은 유닉스 컴퓨터 운영체계에서 X 윈도우 시스템을 통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이용한다.As shown in the figure, a method for producing spent fuel management and cross-sectional input data for core nuclear design of a nuclear power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hrough an X window system in a Unix computer operating system.

GUI는 사용자가 컴퓨터와 정보를 교환할 때 그래픽을 통해서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하며,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화면에 있는 메뉴를 선택하여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The GUI refers to an environment in which a user can work through graphics when exchanging information with a computer, and allows a user to select a menu on the screen using a mouse to work.

본 발명은 유닉스 워크스테이션 명령창에서 GUI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의해 작동하며, 그 실행하기 전에 기존 즉, 과거 주기들에서 수행되었던 3차원 노심 모델인 ANC 코드의 출력자료(output file)들과 ANC 코드의 결과물인 데이터뱅크로부터 자료를 추출하는 기능을 가진 ALAMO 코드의 출력자료(output file)들이 준비되어 컴퓨터의 메모리수단에 기 저장되어야 한다. 이들 출력자료들은 지난 주기들의 설계에서 이미 생산되어 있는 결과물들로써 설계자는 쉽게 준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orks by executing a GUI program in a Unix workstation command window, and before the execution of the ANC code, the output files of the ANC code, a three-dimensional core model that has been performed in the past, that is, in past cycles. Output files of ALAMO codes with the ability to extract data from the resulting databank should be prepared and stored in computer memory. These outputs are the results that have already been produced in the design of the last cycles and can be easily prepared by the designer.

이와 같은 출력자료들이 준비되면 비로소 GUI 프로그램이 수행되는데, 본 발명은 기 저장된 과거 주기들에 대한 ANC코드와 ALAMO코드의 출력자료들로부터 필요한 입력자료(input file)를 생산하여 GUI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단계(S11)와, 상기 입력자료로부터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을 생산하여 GUI 화면으로 표시하는 제2단계(S12)와, 표시된 상기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의 입력자료를 수정하고 변경하는 제3단계(S13)와, 그 수정 및 변경된 상기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의 입력자료를 데이터베이화 하여 전자파일 형태로 출력하는 제4단계(S14)를 거쳐서 노심의 장전 모형에 대한 3차원 노심모델 설계를 위한 설계코드의 입력자료를 얻는다.When such output data is prepared, the GUI program is executed.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an input file from the output data of ANC code and ALAMO code for previously stored periods and stores the input data in a GUI database. A first step (S11), a second step (S12) of producing a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from the input data and displaying the GUI screen, and a third step of modifying and changing the input data of the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displayed. (S13) and through the fourth step (S14) of outputting the input data of the modified and modified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into an electronic file format for the 3D core model design for the core loading model. Get input data of design code.

또한 상기 제3단계(S13)는 재장전되고 방출되는 연료의 정보와 이전 주기들에서 기 방출된 사용후 연료의 정보가 체계적으로 전체 주기들에 걸쳐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단계(S14)는 사용후 연료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상기 수정 및 변경된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의 입력자료와 함께 전자파일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step (S13) further includes a step of systematically managing the information of the fuel re-loaded and discharged and the information of the spent fuel previously released in the previous cycles systematically over the entire cycles, Step 4 (S14) may be a database of the information of the spent fuel can be output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file with the input data of the modified and modified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상기 제1단계(S11)에서의 입력자료는 도 2와 도 3의 창에서 얻는다. 도 2는 초기 실행 GUI 화면으로서, 그 초기 실행 GUI 화면을 통해서 ANC와 ALAMO 코드의 출력자료들로부터 본 GUI 프로그램에서 요구되는 입력자료들을 자동으로 생산한다. 화면 상단의 주메뉴 중 케스케이드 버튼인 파일(FILE) 버튼을 클릭하면 ANC와 ALAMO 코드의 출력자료들로부터 본 프로그램에서 요구되는 입력자료들을 생산하도록 하는 별도의 종속창을 생성하는 2개의 선택 버튼과 이미 본 프로그램에서 요구되는 입력자료들이 만들어져 있는 경우를 위해 추가로 1개의 버튼이 나타난다.The input data in the first step S11 is obtained from the windows of FIGS. 2 and 3. FIG. 2 is an initial execution GUI screen. The initial execution GUI screen automatically generates input data required for this GUI program from output data of ANC and ALAMO codes. Clicking the FILE button, the cascade button in the main menu at the top of the screen, has two select buttons that create a separate sub-window that generates the input data required by the program from the output data of the ANC and ALAMO codes. An additional button appears for the case where required input data have been created.

도 3은 ANC코드의 출력파일들로부터 본 프로그램에서 요구되는 입력자료들을 생성하도록 하는 도 2의 종속창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 창을 통해 한번에 5개 주기의 ANC코드의 출력자료를 처리하여 주기별 입력자료를 생산할 수 있다. 이처럼 생성된 주기별 입력자료들은 실행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본 프로그램의 재실행시 또다시 생산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ALAMO 코드의 출력자료도 처리한다.FIG. 3 shows the sub-window of FIG. 2 for generating input data required by the program from the output files of the ANC code. Through this window, the input data for each cycle is processed by processing the output data of 5 cycles of the ANC code at once. Can produce data The input data generated by this cycle are stored in the execution directory so that it does not need to be produced again when the program is executed again. In this way, the output of the ALAMO code is also processed.

상기 제2단계(S12)의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은 도 4의 창을 통해서 생산된다. 도 4의 창은 주기별 입력파일들이 생산되었을 때의 GUI 입력 화면이다. 이 창에서 는 설계하고자 하는 주기의 몇가지 조건 즉, 현주기 번호를 입력하고, 현주기 장전모형 구성방법을 선택하고, 가연성 흡수봉의 종류를 선택하고, 예측 주기연소도를 입력하고, 신연료 영역의 이름(ID) 등을 입력하는 창으로써 간단한 선택 버튼과 데이터 입력항으로 구성된다. 입력을 완료하여 오케이(OK) 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입력자료를 통해서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이 생산된다.The present cycle core loading model of the second step (S12) is produced through the window of FIG. The window of FIG. 4 is a GUI input screen when input files for each cycle are produced. In this window, enter some conditions of the cycle you want to design, such as the current cycle number, select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urrent cycle loading model, select the type of flammable absorbent rod, enter the predicted cycle burn rate, It is a window for inputting a name (ID) and so on, and consists of a simple selection button and a data entry term. When the input is completed and the OK button is clicked, the present cycle core loading model is produced through the input data.

상기 제2단계(S12)를 통해서 생산되는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은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다. 도 5의 GUI 창을 통해서 표시되는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은 사분(1/4)노심의 연료배치 형태를 보여주는 장전모형이다. 상기 제3단계(S13)와 제4단계(S14)는 이 창을 통해서 수행되며, 이 창은 다양한 메뉴와 옵션 그리고 버튼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3단계(S13)와 제4단계(S14)를 수행하게 한다. 즉, 이 창에서 제공하는 메뉴와 옵션 그리고 버튼을 상기 제3단계(S13)와 제4단계(S14)에 따라 적합하게 선택하여 노심의 장전모형에 대한 3차원 노심모델 설계를 위한 설계코드의 입력자료를 얻는다.The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produced through the second step S12 is as shown in FIG. 5. The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displayed through the GUI window of FIG. 5 is a loading model showing the fuel arrangement form of the quarter (1/4) core. The third step S13 and the fourth step S14 are performed through this window, and this window is composed of various menus, options, and buttons to perform the third step S13 and the fourth step S14. Let's do it. In other words, the menu, options and buttons provided in this window ar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third step (S13) and the fourth step (S14) to input the design code for designing the three-dimensional core model for the loading model of the core. Get the data.

이 창을 살펴보면, 지난 주기들에 대한 노심의 장전모형의 열람을 가능하도록 한 버튼(Cycle), 설계 주기의 장전모형에 대한 연료의 위치를 서로 교환가능하도록 한 버튼(Shuffle), 전체 노심에 대한 대칭연료를 교환가능하도록 한 버튼(Rotation)을 갖는다.Looking at this window, you can see the buttons that allow you to view the core's reload model for the last cycle, the buttons that enable the interchange of fuel positions for the reload model in the design cycle, and the entire core. It has a button that makes symmetric fuel exchangeable.

또한 특정 연료를 선택하면 새로운 창(도 7 참조)을 생성하며 그 선택된 연료의 장전 이력, 출력, 농축도등의 개별 집합체의 상세정보를 보여주는 버튼(Ass. Info)을 갖는다.Selecting a particular fuel also creates a new window (see FIG. 7) and has a button (Ass. Info) that shows details of the individual aggregates, such as loading history, output, and concentration of the selected fuel.

또한 장전모형에서 특정 연료를 선택할 때 사용후 연료관리창을 생성하며 사용후 연료정보로부터 원하는 기 방출연료를 재장전하고 선택된 연료를 방출하도록 한 버튼(Replace)을 갖는다.In addition, when selecting a specific fuel in the loading model, it generates a used fuel management window, and has a button for reloading the desired fuel discharged from the used fuel information and releasing the selected fuel.

또한 노심 장전모형의 연료들의 연소도, 출력 분포, 연소도, 가연성흡수봉, 연료별 사용 중성자 흡수단면적의 종류, 연료의 지난주기 장전위치 등의 다양한 집합체 정보를 선택적으로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는 버튼(화면 상단의 여러 토글버튼) 등을 갖는다.In addition, a button for selectively reading various aggregate information such as combustion degree, power distribution, combustion degree, flammable absorption rod, type of neutron absorption area used for each fuel, and last cycle loading position of fuel of the core loading model ( Multiple toggle buttons at the top of the screen).

또한 각 주기에서 방출된 연료의 정보를 열람하도록 한 버튼(View Fuel)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후 연료의 관리가 자동으로 수행된다.In addition, it has a button (View Fuel) to view the information of the fuel released in each cycle, through which the management of spent fuel is automatically performed.

한편 창에 구축된 엑스코디 펀치(xcody punch) 버튼은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에 대한 3차원 노심모델의 입력자료와 사용후 연료의 정보를 저장하고 전자파일 형태로 출력해 주는 기능을 갖는다. 이때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의 정보 등의 상세자료도 전자파일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Xcody punch button built in the window has the function of storing the input data of the 3D core model and the spent fuel information for the present cycle core reloading model and outputting it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file. At this time, detailed data such as the information of the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can be output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file.

또한 칼라뷰(Color View) 버튼은 노심의 장전모형을 연료의 연소도 차이, 가연성 흡수봉 그리고 제어봉의 위치에 따라 보여주는 연료의 색상에 변화를 주어 설계자가 구분하기 쉽도록 한다.The Color View button also makes it easier for designers to change the color of the fuel, which shows the core's loading model based on the difference in fuel burnup, the flammable absorbent rod, and the position of the control rod.

도 6은 도 5의 화면에서 "Ass. Info."버튼을 선택하고 특정 위치의 연료를 선택할 때 생성되는 창으로서 선택된 연료의 상세 정보를 보여준다.FIG. 6 is a window generated when selecting the "Ass. Info." Button on the screen of FIG. 5 and selecting a fuel of a specific position, and shows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fuel.

도 7은 사용후 연료의 관리를 위한 창(7)로서 도 5의 창에서 뷰퓨엘(View Fuel) 버튼을 클릭함에 의해 생성되고, 특정 주기를 선택하면 그 주기에 방출된 연 료의 자료를 연소 정도에 따라 정렬하여 보여준다. 또한 도 5의 창에서 연료교환 기능을 수행하는 리플레이스(Replace) 버튼을 선택하고 특정 위치의 연료 버튼을 클릭하면 동일한 정보를 보여주는 별도의 창이 생성되고 재장전을 원하는 방출연료를 선택함에 의해 앞서 선택된 연료와의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현재 적용 가능한 모든 사양의 신용료 정보가 보여 지며 앞서 선택된 연료를 신연료로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다.FIG. 7 is a window 7 for the management of spent fuel, which is generated by clicking the View Fuel button in the window of FIG. 5, and selecting a specific cycle burns the data of fuel released in that cycle. Sort by degree. In addition, in the window of FIG. 5, when the Replace button for performing the fuel exchange function is selected and the fuel button of the specific position is clicked, a separate window showing the same information is generated and the previously selected fuel is selected by selecting the discharged fuel to be reloaded. Replacement with fuel is possible. In addition, credit information of all currently available specifications is shown and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fuel selected previously with fresh fuel.

도 8은 도 5의 창에서 엑스코디 펀치(xcody punch) 버튼을 클릭할 경우 생산되는 출력자료로서 그중 방출 주기별로 정리된 사용후 연료의 정보의 예를 보여준다.FIG. 8 shows an example of the information of the spent fuel, which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discharge cycle, as output data produced when the xcody punch button is clicked in the window of FIG. 5.

도 9는 도 5의 창에서 엑스코디 펀치(xcody punch) 버튼을 클릭할 경우 생산되는 출력파일(9)로서 그중 3차원 노심모델의 입력 자료의 일부 예를 보여준다.FIG. 9 is an output file 9 produced when the xcody punch button is clicked in the window of FIG. 5 and shows some examples of input data of the three-dimensional core mode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원자력 발전소의 사용후 연료의 정보를 손쉽게 작성하며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3차원 노심 모델링을 위한 설계코드의 입력자료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휴먼 오류 등을 방지함과 아울러 설계자에게 편리한 계산환경을 구축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repare and systematically manage the information of spent fuel of a nuclear power plant, a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to prepare input data of design code for 3D core modeling. In addition to preventing errors, it has the effect of creating a convenient computing environment for the designer.

이 때문에 원자력 발전소에서 방출되는 연료들의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 지고, 기존 주기들의 장전모형을 손쉽게 열람하여 개별 집합체의 상세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현 설계주기의 3차원 노심 모델의 입력자료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systematically manage fuels discharged from nuclear power plants, to easily view the loading models of existing cycles and to check the details of individual assemblies, and to efficiently and accurately input the input data of the three-dimensional core model of the current design cycle. You can get it.

도 1은 본 발명의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 핵설계를 위한 사용후 연료관리 및 핵단면적 입력자료의 생산방법의 흐름도이다.1 i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producing spent fuel management and nuclear cross-section input data for core nuclear design of a nuclear power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초기 실행 화면을 보인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execution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ANC 코드의 출력파일들로부터 입력자료들을 생성을 위한 창을 보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window for generating input data from output files of an ANC code.

도 4는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을 생산하기 위한 창을 보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window for producing a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도 5는 도 4에 의해서 생산되는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 창을 보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the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window produced by FIG.

도 6은 도 5의 화면으로부터 특정 위치의 연료를 선택할 때 생성되는 연료의 상세정보를 보여주는 창을 보인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window showing detailed information of fuel generated when a fuel of a specific position is selected from the screen of FIG. 5.

도 7은 사용후 연료의 관리를 위한 창을 보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window for management of spent fuel.

도 8은 방출 주기별로 정리된 사용후 연료의 정보의 출력 예를 보인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outputting used fuel information arranged by emission cycles.

도 9는 3차원 노심모델의 입력자료의 일부 출력 예를 보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output example of the input data of the three-dimensional core model.

Claims (6)

기 저장된 과거 주기들에 대한 ANC코드와 ALAMO코드의 출력자료들로부터 필요한 입력자료를 생산하여 GUI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단계;A first step of producing necessary input data from output data of ANC code and ALAMO code for previously stored past cycles and storing them in a GUI database; 상기 입력자료로부터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을 생산하여 GUI 화면으로 표시하는 제2단계;A second step of producing a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from the input data and displaying the GUI screen; 표시된 상기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의 입력자료를 수정하고 변경하는 제3단계; 및A third step of modifying and changing the input data of the displayed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And 그 수정 및 변경된 상기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의 입력자료를 데이터베이화 하여 전자파일 형태로 출력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And a fourth step of converting the modified and changed input cycle data of the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into a database and outputting the data in an electronic file form. 상기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은 GUI 화면 입력창에 현주기 번호를 입력하고, 현주기 장전모형 구성방법을 선택하고, 가연성 흡수봉의 종류를 선택하고, 예측 주기연소도를 입력하고, 신연료 영역의 이름(ID)를 입력함으로 인해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 핵설계를 위한 사용후 연료관리 및 핵단면적 입력자료의 생산방법.The current cycle core load model inputs the current cycle number in the GUI screen input window, selects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current cycle load model, selects the type of flammable absorbent rod, inputs the predicted cycle burn rate, and names the new fuel region. A method for producing spent fuel management and cross-sectional input data for core nuclear design of a nuclear power pla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duced by inputting an I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은 전체 노심 장전모형에 대하여 사분(1/4)노심 장전모형으로 디스플레이됨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 핵설계를 위한 사용후 연료관리 및 핵단면적 입력자료의 생산방법.The spent fuel management and cross-sectional area input for core nuclear design of a nuclear power pla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is displayed as a quarter (4/4) core loading model for the entire core loading model. Method of producing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재장전되고 방출되는 연료의 정보와 이전 주기들에서 기 방출된 사용후 연료의 정보가 체계적으로 전체 주기들에 걸쳐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 핵설계를 위한 사용후 연료관리 및 핵단면적 입력자료의 생산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hird step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ystematically managing the information of the reloaded and discharged fuel and the spent fuel previously released in the previous cycles systematically over the entire cycles. A method of producing spent fuel management and nuclear cross-section input data for core nuclear design of a nuclear power plant characterized b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사용후 연료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상기 수정 및 변경된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의 입력자료와 함께 전자파일 형태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 핵설계를 위한 사용후 연료관리 및 핵단면적 입력자료의 생산방법.5. The core nuclear design of a nuclear power plan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ourth step outputs a database of used fuel information and outputs it in an electronic file form with the input data of the modified and modified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Method of producing spent fuel management and nuclear cross-section input dat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을 표시하는 표시창은 지난 주기들에 대한 노심의 장전모형의 열람을 가능하도록 한 도구, 설계 주기의 장전모형에 대한 연료의 위치를 서로 교환하도록 한 도구, 전체 노심에 대한 대칭연료를 교환가능하도록 한 도구, 특정 연료를 선택하면 그 특정 연료에 대한 창을 생성하며 그 선택된 연료의 장전 이력, 출력, 농축도등의 개별 집합체의 상세정보를 보여주기 위한 도구, 상기 현주기 노심 장전모형에서 특정 연료를 선택할 때 사용후 연료관리창을 생성하며 사용후 연료정보로부터 원하는 기 방출연료를 재장전하고 선택된 연료를 방출하도록 한 도구, 노심 장전모형의 연료들의 연소도, 출력 분포, 연소도, 가연성흡수봉, 연료별 사용 중성자 흡수단면적의 종류, 연료의 지난주기 장전위치 등의 다양한 집합체 정보를 선택적으로 열람이 가능하도록 한 도구, 각 주기에서 방출된 연료의 정보를 열람하도록 한 도구, 상기 현주기 장전모형의 입력자료와 사용후 연료의 정보를 전자파일 형태로 출력하도록 한 도구, 노심의 장전모형을 연료의 연소도 차이, 가연성 흡수봉, 제어봉의 위치에 따라 보여주는 연료의 색상에 변화를 주어 구분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도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의 노심 핵설계를 위한 사용후 연료관리 및 핵단면적 입력자료의 생산방법.6. The display of claim 5, wherein the display window for displaying the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is a tool that enables viewing of the core loading model for past cycles, and a tool for exchanging positions of fuel with respect to the loading model of the design cycle. A tool that allows the exchange of symmetrical fuels for the entire core, selecting a particular fuel creates a window for that particular fuel and displays details of the individual aggregates such as loading history, output and concentration of the selected fuel A tool for generating a spent fuel management window when selecting a specific fuel in the current cycle core loading model, reloading a desired pre-emission fuel from the spent fuel information, and releasing the selected fuel, the combustion degree of the fuels of the core loading model, Various distributions such as output distribution, combustion degree, flammable absorption rod, type of neutron absorption cross section used by fuel, and last cycle loading position of fuel A tool for selectively reading the sieve information, a tool for reading the information of the fuel released in each cycle, a tool for outputting the input data of the current cycle loading model and the used fuel information in the form of an electronic file, For the core nuclear design of nuclear power plants, the loading model of the core includes tools for easy identification by varying the color of the fuel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fuel combustion, the flammable absorbing rod, and the position of the control rod. Method of producing spent fuel management and nuclear cross section input data.
KR1020070136095A 2007-12-24 2007-12-24 The spent fuel management and automatic nuclear cross-section input data generation method for nuclear reactor core design KR1009369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095A KR100936927B1 (en) 2007-12-24 2007-12-24 The spent fuel management and automatic nuclear cross-section input data generation method for nuclear reactor core desig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095A KR100936927B1 (en) 2007-12-24 2007-12-24 The spent fuel management and automatic nuclear cross-section input data generation method for nuclear reactor core desig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469A KR20090068469A (en) 2009-06-29
KR100936927B1 true KR100936927B1 (en) 2010-01-28

Family

ID=4099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095A KR100936927B1 (en) 2007-12-24 2007-12-24 The spent fuel management and automatic nuclear cross-section input data generation method for nuclear reactor core desig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92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236B1 (en) * 2019-07-31 2020-06-16 한전원자력연료 주식회사 Deep learning method for accurate assembly-wise nuclear core parameters prediction and faster training using minimum dat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141A (en) * 1995-04-28 1999-01-25 드폴루이스에이 Integrated data management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equipment elements
JP2005114730A (en) * 2003-10-06 2005-04-28 Global Nuclear Fuel Americas Llc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and editing nuclear reactor core loading template
JP2005114728A (en) 2003-10-06 2005-04-28 Global Nuclear Fuel Americas Llc Method and device for recover facilitating of nuclear fuel from fuel po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141A (en) * 1995-04-28 1999-01-25 드폴루이스에이 Integrated data management system for nuclear power plant equipment elements
JP2005114730A (en) * 2003-10-06 2005-04-28 Global Nuclear Fuel Americas Llc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and editing nuclear reactor core loading template
JP2005114728A (en) 2003-10-06 2005-04-28 Global Nuclear Fuel Americas Llc Method and device for recover facilitating of nuclear fuel from fuel p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469A (en) 2009-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02467B (en)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nuclear reactor
US7783678B2 (en) Method for automating software manufacturing process based on user interface form design,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ing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 for performing the same
JP5357376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unused fuel bundle design for a nuclear reactor core and a nuclear reactor core
US8873698B2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a nuclear reactor core which satisfies licensing criteria
KR101208821B1 (en) Method, arrangement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rmining standardized rod types for nuclear reactors
US90479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a nuclear reactor core for uprated power operations
Villarino et al. INVAP neutronic calculation line
JP48954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recovery of nuclear fuel from a fuel pool
Brighenti et al. Development of a multi-parameter library generator prototype for VVER and PWR applications based on APOLLO3
KR100936927B1 (en) The spent fuel management and automatic nuclear cross-section input data generation method for nuclear reactor core design
Lindley et al. Modelling and simulation activities in support of the UK nuclear R&D programme on digital reactor design
Cunningham et al. Modeling the IFR-1 Experiment: A BISON Metallic Fuel Benchmark
Russell et al. Systems analysis programs for hands-on integrated reliability evaluations (SAPHIRE) Version 6.0 system overview manual
KR100916946B1 (en) The method of selecting a nuclear reactor loading pattern using gui
Previti et al. Towards a Systematic Requirement-Based Approach to Build a Neutronics Study Platform
JP7252100B2 (en) Core calculation method, core calculation program and core calculation device
Armishaw et al. The ANSWERS Code MONK–A new approach to scoring, tracking, modelling and visualisation
EP1508902A2 (en) Method and arrangement to determine fuel bundle configuration for core of a nuclear reactor
Zhang et al. R&D Roadmap for Enhanced Resilient Plant Systems, Metrics, Scenarios, Risk Analysis, and Modeling and Simulation
Wieselquist et al. ORIGAMI Automator Primer: Automated ORIGEN Source Terms and Spent Fuel Storage Pool Analysis
Stimpson Standalone BISON Through VERA: User’s Manual
Havlůj et al. Reload safety analysis automation tools
Choi et al. Pressurized-Water Reactor Core Design Demonstration with Genetic Algorithm Based Multi-Objective Plant Fuel Reload Optimization Platform
Chen et al. A real-time computer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dvanced Boiling Water Reactor case comparison using MAAP software
Gerrity III MCODE-3: Time-dependent depletion isotopics with MCNP-5 and SCALE-6.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