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528B1 -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528B1
KR100936528B1 KR20070103514A KR20070103514A KR100936528B1 KR 100936528 B1 KR100936528 B1 KR 100936528B1 KR 20070103514 A KR20070103514 A KR 20070103514A KR 20070103514 A KR20070103514 A KR 20070103514A KR 100936528 B1 KR100936528 B1 KR 100936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quest message
call
message
call request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03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8164A (ko
Inventor
정윤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070103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6528B1/ko
Publication of KR20090038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52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장치가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제1영역에 통화요청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음-, 통화 요청 메시지를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제2영역에 포함시키는 단계; 및 통화 요청 메시지가 제2영역에 포함된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통화요청 메시지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 착신 알림표시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종류에 따른 각각의 방식으로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통화요청 메시지, 호 설정 메시지,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Description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for transmitting a calling display message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된 통화요청 메시지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호 설정 요청과 동시에 전송하여 하여 호 착신 알림표시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부가 기능으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를 착신자에게 표시해주는 발신 번호 표시기능(CNIP: Calling Number ID. Presentation)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제공되었다. 이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가 디스플레이 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발신 번호를 보고 선별적으로 수신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번호만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뿐이므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긴급하게 통화를 하여야만 하는 이유가 있을 때에는 이러한 이유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신호와 함께 정보로써 전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 이유를 전할 수 없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을 거부한 경우라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는 따로 문자 메시지나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통화연결을 위해 작성한 통화요청 메시지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도록 통화요청 메시지를 호 설정 메시지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방법 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장치가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제1영역에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음-(a); 상 기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제2영역에 포함시키는 단계(b); 및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가 제2영역에 포함된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c)를 포함하되,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 착신 알림표시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장치가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제1영역에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음-; 상기 통화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센터 또는 멀티미디어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센터는 상기 통화메시지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장치-여기서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장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됨-에 있어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수신된 호 설정요청 메시지의 제1영역에서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하는 통화요청 메시지 독출부; 및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를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제2영역에 삽입하는 메시지 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영역에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가 삽입된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 착신 알림표시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센터가-상기 메시지 센터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됨-에 있어서,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여기서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수신된 호 설정요청 메시지의 제1영역에 포함됨; 및 상기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 착신 알림표시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센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호 설정요청 메시지의 제1영역에 포함된 상기 통화요청 메지지를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제2영역에 삽입하여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장치 및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를 포함하는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메시지 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신자 번호와 함께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원하는 메시지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착신자에게 긴급하게 전해야 할 메시지가 있음을 고지시킴으로써 착신자의 전화수신율을 높이는 동시에 긴급한 메시지도 간략히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단말기의 종류에 따른 각각의 방식으로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긴급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 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시스템(105)은 교환기(100), 홈 위치 등록기(110), CISS(CISS : Caller Information Sending Service) 장치(130), SMSC(140), MMSC(150), 기지국(120a, 120b)(BTS : Base Transceiver Station or Node-B), 콘텐츠 제공장치(103)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105)을 이용하여 통화 호 또는 데이터 호를 설정하여 음성 또는 패킷 데이터를 상호간에 주고 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ME(Mobile Equipment) 1(160)과 ME 2(170)로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 ME 1(160) 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ME 2(170)는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를 나타낸다.
ME 1(16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통화요청 메시지를 호 설정 요청 메시지와 함께 기지국(120a)을 통하여 교환기(100)로 전송한다. 통화요청 메시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제1영역에 삽입되어 전송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유저 대 유저 영역(User to User) 영역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국제 표준에 의한 WCDMA 음성호 관련 무선메시지 중 SETUP 메시지 내의 User-User Information 필드일 수 있다.
기지국(120a, 120b)은 기저대역 신호처리, 유무선 변환 및 무선 신호의 송수신 등을 수행하여 ME 1(160) 및 ME 2(17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이동통신망 종단장치이다. 따라서 ME 1(160)은 기지국 1(120a)을 통하여 데이터를 무선 송수신하고 ME 2(170)는 기지국 2(120b)을 통하여 데이터를 무선송수신 한다. 이 경우 ME1(160) 및 ME 2(170)가 동일한 기지국 반경 내에 있는 경우에는 기지국 1(120a)과 기지국 2(120b)는 동일한 기지국일 수도 있다. 기지국 1(120a)은 ME 1(160)이 전송한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교환기(100)으로 전송한다.
교환기(100)는 이동통신 시스템(105)에서 중추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망 구성장치로서 유선통신기능, 무선통신기능 및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유무선 디지털 교환기이며 ME1(160) 및 ME 2(170)간의 착, 발신 호 처리 기능, ME1(160) 및 ME 2(170)의 위치등록 절차, 핸드오프 절차 처리 및 타 망과의 연동기능 등을 수행한다.
따라서 기지국 1(120a)로부터 전송 받은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분석하여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ME 2(170)의 전화번호를 획득한다. 교환기(100)는 획득한 ME 2(170)의 전화번호로 상술한 통화요청 메시지가 포함된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환기(100)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유저 대 유저 영역을 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ME 2(170)에 전송한다.
ME 2(170)에서는 전송 받은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해석하여 유저 대 유저 영역에 포함된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할 수 있고, 독출된 통화요청 메시지는 전화알림 표시(예를 들면 벨소리, 진동 등과 같은 호 착신 알림 표시)과 함께 ME 2(170)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된다.
그러나 ME 2(170)에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유저 대 유저 영역에 포함된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아니하거나 유저 대 유저 영역을 무시하는 경우에는 통화요청 메시지가 ME 2(170)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CISS 장치(130)는 ME 1(160)이 기지국 1(120a)을 통하여 교환기(100)로 전송한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입력 받는다. CISS 장치(130)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제1영역에 포함된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한다. 독출된 통화요청 메시지를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제2영역에 삽입하여 교환기(100)로 전송한다. 교환기(100)는 통화요청 메시지가 제2영역에 포함된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ME 2(170)로 전송하게 되고, ME 2(170)에서는 전화알림 표시(예를 들면 벨소리, 진동 등)과 함께 통화요청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CISS 장치(130)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 면 CISS 장치(130)는 발신자 정보 전송 서비스(CISS : Caller Information Sending Service) 수행장치로써 호 설정 요청과 동시에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발신자 정보(CISS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교환기가 HLR(110) 및 VLR(미도시)를 통하여 ME2(170)의 위치를 찾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CISS 장치(130)는 ME2(170)가 착신호 요청인 호 설정 요청 메시지와 동시에 전송되는 CISS 정보의 수신가능여부를 판단하고 가능한 ME2(170)로 발신자 정보를 전송한다.
CISS 장치(130)는 교환기(100) 자체에 포함되어 있거나 교환기(100)와 별도의 장치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교환기(100)와 별도의 장치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장치는 CISS 장치(130) 또는 CISS 장치(130)를 포함하는 교환기(100)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CISS 정보는 Caller Information Sending Service의 약어로서 발신번호 정보(CNIP)이외에 다양한 발진자의 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의미하며, 이를 이용하는 CISS 서비스는 음성 및 영상 통화 호출 시 음성 및 영상 착신 단말기에서 통화가 시작되기 전에 발신자의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발신자의 정보는 발신자의 이름, 텍스트, 벨소리 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로서, 이는 PC(190) 등을 통하여 발신자 즉, ME 1(160)의 사용자가 미리 등록할 수 있다. 콘텐츠는 콘텐츠 제공장치(103) 또는 HLR(110)에 등록된다. 콘텐츠 제공장치(103)는 PC(190) 등의 단말기가 IP 망을 통하여 전송한 텍스트, 이미지, 벨소리, 영상 등의 콘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이다. 콘텐츠 제공장치(103)에 저장되는 콘텐츠 중 일부는 HLR(110)에 등록된 이동통신단말기 별로 정리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CISS 장치(130)는 교환기(100)를 통하여 인입된 호 설정 요청 메시지 즉, ME 1(160)가 전송한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한다. 이 후 CISS 장치(130)는 독출된 통화요청 메시지를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편의정보 영역(Facility Information Element)에 삽입한다. 편의정보 영역의 삽입과정에 대하여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며, WCDMA 시스템에서의 편의정보 영역의 포맷에 대하여는 도 8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ME 1(160)이 전송하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는 통화요청 메시지가 유저 대 유저 영역에 삽입되어 있더라도, ME 2(170)가 수신하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는 통화요청 메시지가 편의정보 영역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ME 2(170)가 유저 대 유저 영역의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하지 못하는 종류의 이동통신 단말기더라도 편의정보 영역에 포함된 통화요청 메시지는 독출하여 전화알림 표시와 함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CISS 장치(130)는 편의정보 영역에 통화요청 메시지와 함께 ME 1(160)의 사용자가 지정한 콘텐츠를 함께 삽입하여 ME 2(17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 받은 ME 2(170)에는 ME 1(160)에서 작성된 통화요청 메시지 및 콘텐츠 제공장치(103)에서 제공 받은 콘텐츠가 모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또한, CISS 장치(130)는 ME 2(170)가 상술한 유저 대 유저 영역에서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홈 위치 등록기(110)에 ME 2정보를 질의함으로써 수행된다. 즉, 홈 위치 등록기(110)는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신시, 위치 등록시, 이동통신단말기로 착신시 등 모든 가입자 정보를 교환기(100)에 제공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홈 위치 등록기(110)로부터 ME 2(170)의 단말기 정보를 질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유저 대 유저 영역에서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할 수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독출할 수 없는 경우에만 편의정보 영역에 통화요청 메시지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E 2(170)가 편의정보 영역에 삽입된 통화요청 메시지도 독출할 수 없어 통화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105)에 포함된 SMSC(140) 또는 MMSC(150)가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줄 수 있다.
SMSC(140)는 단문 메시지 센터로써 한글 기준으로 40자 내외의 여러 단문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교환기와 연동한다.
MMSC(150)는 송신 이동통신단말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ME 2(170)가 MMSC(150)에 접속하여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하는 캐싱(Caching)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ME 2(170)가 유저 대 유저 영역뿐 아니라 편의 정보 영역에서도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SMSC(140) 또는 MMSC(150)로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SMSC(140) 또는 MMSC(150)는 전송 받은 통화요청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생성하여 ME 2(170)에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통화요청 메시지가 유저 대 유저 영역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 후 도 3을 통하여 편의정보 영역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경우 및 단문 메시지나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전송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ME 1(160)에서 통화요청 메시지를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유저 대 유저 영역에 삽입시켜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S700). 여기서 유저 대 유저 영역은 호 설정 요청 메시지 영역 중 교환기(120)가 조작을 가하지 않는 단 대 단(P-to-P, Point to Point) 데이터 필드이다.
단 대 단 데이터 필드는 3세대 표준화 프로젝트(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기술규격(TS, Technical Specification) 24.008의 7E 영역으로 유저 대 유저(User to User)영역으로 명명되어 3내지 131옥텟(Octets)이 할당되어 있다. 이 유저 대 유저 영역은 ME 1(160) 및 ME 2(170)간의 사용자 정보 전송을 위한 영역으로 해당 필드에 어떠한 콘텐츠가 삽입되어도 관계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통화요청 메시지를 삽입할 영역으로 사용된다.
다만 식별번호 S200단계에서 ME 1(160)이 통화요청 메시지를 유저 대 유저 영역에 삽입하여 전송하도록 미리 프로그램화 되어 있는 단말기이어야 함은 자명하다.
이후 교환기(120)는 ME 1(160)으로부터 통화요청 메시지가 유저 대 유저 영역에 삽입된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다(S202).
교환기(100)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유저 대 유저영역에 삽입된 통화요청 메시지를 호 설정 메시지의 유저 대 유저 영역에 삽입하여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S204). 여기서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은 ME 1(160)으로부터 전송 받은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일부 영역만이 수정된다는 의미일 뿐 통화요청 메시지, ME 1정보, ME 2 정보 등이 새로 재 작성 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즉, 교환기(100)가 생성하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도 3세대 표준화 프로젝트(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기술규격(TS, Technical Specification) 24.008의 7E 영역으로 유저 대 유저(User to User)영역으로 명명되어 3내지 131옥텟(Octets)이 할당되어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교환기(120)가 호 설정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별도의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장치(미도시)나 CISS 장치(130)가 교환기(100)과 연동하여 통화요청 메시지가 삽입된 호 설정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교환기(120)는 통화요청 메시지가 유저 대 유저 영역에 삽입된 호 설정 메시지를 그대로 ME 2(170)에 전송한다(S206).
이후 ME 2(170)는 호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여 호 설정 메시지의 유저 대 유저 영역 안에 삽입된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하여 통화요청 메시지를 ME 2(170)에 디스플레이 하면서 통화연결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게 된다(S208).
이 경우 ME 2(170)는 유저 대 유저 영역 안의 정보를 해석하여 디스플레이 하도록 미리 프로토콜 규격을 만족하도록 설정이 되어 있어야 한다.
물론 종래의 발신 번호 표시기능(CNIP: Calling Number ID. Presentation)이 같이 적용될 경우에는 통화요청 메시지 및 발신 번호가 모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발신 번호는 편의정보 영역에 포함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ME 1(160)에서 통화요청 메시지를 작성한다. ME 1(160)에서 작성된 통화요청 메시지는 호 설정 요청과 함께 이동통신 시스템(105)으로 전송된다.
통화요청 메시지는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유저 대 유저 영역에 삽입되어 기지국으(120a)로 무선송출 된 후 교환기(100)로 전송된다.
이 후 이동통신 시스템(105)은 통화요청 메시지를 3가지 방법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유저 대 유저 영역에 통화요청 메시지가 삽입된 상태 그대로 ME 2(170)로 전송하는 제1방법(370), 통화요청 메시지를 유저 대 유저 영역에서 독출하여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편의정보 영역에 삽입하여 ME 2(170)로 전송하는 제2방법(380) 및 통화요청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생성하여 ME 2(170)로 전송하는 제3방법(390)으로 각각 전송될 수 있다. 또한 3가지 방법은 모두 수행될 수도 있으며, 교환기(100) 등 이동통신 시스템(105)의 대역폭의 운영 및 처리량의 조정을 위하여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도 있다.
먼저 제1방법(370)은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도 3에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이동통신 시스템은 복수개의 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발신측 교환기와 착신측 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고 발신측 교환기는 ME 1(160)으로부터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 받는 교환기, 착신측 교환기는 ME 2(170)로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교환기를 의미한다.
발신측 교환기가 전송 받은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ME 2(100)에 기지국을 통하여 전송할 수 없는 경우 착신측 교환기로 최초 어드레스 메시지(IAM : Initial Address Message)를 전송하게 되는데 최초 어드레스 메시지에도 유저 대 유저 정보(User-to-user information)영역이 할당되어 있다. 이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유저 대 유저 영역과 동일한 영역이다. 데이터 크기는 3 내지 131 옥텟(Octets)으로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최초 어드레스 메시지를 전송 받은 수신측 교환기는 동일한 유저 대 유저 영역에 포함된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ME 2(17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방법(370)이 수행된 경우 ME 2(170)에서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서 유저 대 유저 영역의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는 ME 2(170)에 유저 대 유저 영역의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방법(380)이 수행된다. 즉, 이동통신 시스템(105)에 포함된 CISS 장치(130)는 통화요청 메시지를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서 독출하여 편의정보 영역에 삽입한다. 따라서, 통화요청 메시지가 편의정보 영역에 삽입된 호 설정 요청 메시지가 ME 2(170)로 전송된다.
ME 2(170)는 유저 대 유저 영역이 아닌 편의정보 영역에서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하여 전화알림 표시와 함께 통화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2방법(380)이 수행되는 경우 CISS 장치(130)는 통화요청 메시지와 함께 미리 지정된 콘텐츠를 편의정보 영역에 삽입할 수 있다. 즉, CISS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미리 텍스트, 벨소리 등이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콘텐츠 제공장치 또는 홈 위치 등록기(110)에 등록되어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편의정보 영역에 해당 콘텐츠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105)에서 제2방법(380)이 수행되면, ME 2(170)에서는 전화알림 표시와 함께 통화요청 메시지 및 벨소리 등의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그러나 제2방법(380)이 수행된 경우에도 편의정보 영역에서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는 ME 2(170)에 편의정보 영역의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내장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3방법(390)이 수행된다. 즉, 이동통신 시스템(105)에 포함되는 단 문 메시지 센터(140)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센터(150)가 호 설정 요청 메시지 전체 또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내의 유저 대 유저 영역의 정보 또는 편의정보를 전송 받아 발신자가 전송한 정보를 독출하여 메시지로 생성할 수 있다. 통화요청 메시지가 80byte 내지 90byte 이하의 텍스트인 경우에는 단문 메시지 센터(140)에서 통화요청 메시지를 포함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한다. 통화요청 메시지가 80byte 내지 90byte를 초과하는 텍스트, 벨소리, 이미지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센터(150)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생성된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ME 2(170)로 전송된다. 다만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은 제1방법(370) 및 제2방법(380)과는 달리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삽입되어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호출채널 이나 별도의 역방향 채널을 통하여 ME 2(170)로 전송된다.
따라서, 호 설정 요청 메시지가 ME 2(170)로 전송되기 이전에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통화가 시작되기 전에 ME 2(170)로 통화요청 메시지가 전송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ME 1(160)이 통화요청 메시지를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삽입하여 호 설정을 시도하는 경우, ME 2(170)에는 통화요청 메시지가 먼저 단문 메시지로 도착한다. ME 2(170)의 사용자가 회의 중이라면 ME 2(170)에는 "영희가 다쳤습니다. 전화 꼭 받으세요."라는 단문 메시지가 표시된다. ME 2(170)의 사용자는 양해를 구하고 회의장 밖으로 나오는 순간 ME 1(160)으로부터 전화가 왔다는 것을 알리는 전화알림이 표시되고, ME 2(170)의 사용자는 전화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ME 2(170)에 호 설정 요청 메시지가 먼저 전송된 경우, ME 2(170)의 사용자는 전화를 받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ME 2(170)의 사용자가 회의를 끝내고 회의 장을 나오는 순간 "영희가 다쳤습니다. 전화 꼭 받으세요."라는 단문 메시지가 ME 2(170)에 표시된다. 따라서 ME 2(170)의 사용자는 긴급히 ME 1(160)에게 전화를 걸 수 있다.
종래에는 ME 1(160)의 사용자가 ME 2(170)에게 긴급히 통화를 시도한 뒤에 통화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다시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통화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의하면 전화를 걸면서 통화요청 메시지를 작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CISS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 5을 통하여 SMSC 및 MMSC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ISS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CISS 장치(130)는 단말기 판단부(132), 통화요청 메시지 독출부(134), 통화요청 메시지 삽입부(136), 전송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판단부(132)는 먼저 ME 2(170)가 호 설정 요청 메시지(SETUP MESSAGE)의 유저 대 유저 영역(User To User)에 포함된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 유저 대 유저(User to User)영역은 3세대 표준화 프로젝트(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기술규격(TS, Technical Specification) 24.008의 7E 영역으로 유저 대 유저(User to User)영역 으로 명명되어 3내지 131옥텟(Octets)이 할당되어 있다. 이 유저 대 유저 영역은 이동통신 단말기사용자 간의 정보 전송을 위한 영역으로 해당 필드에 어떠한 콘텐츠가 삽입되어도 관계가 없고 때문에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저 대 유저 영역을 처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ME 1(160)에서 유저 대 유저 영역에 통화요청 메시지를 삽입하여 호 설정 요청메시지를 전송하더라도 이동통신 시스템(105)에서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는 한 통화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존재한다.
단말기 판단부(132)는 교환기(100)를 통하여 교환기(100)와 연동하는 HLR(110)에 ME 2(170)의 단말기 정보를 질의하여 유저 대 유저 영역의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단말기인지 판단할 수 있다. CISS 장치(130)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저장부에는 유저 대 유저 영역의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할 수 있는 단말기의 모델 번호 등의 정리되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기 판단부(132)는 이를 판단할 수 잇다.
만일, ME 2(170)가 유저 대 유저 영역의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단말기인 경우에는 별도로 통화요청 메시지를 편의정보 영역에 삽입할 필요 없이 별도의 처리가 필요 없음을 교환기(100)에 보고한다. 이 경우 교환기(100)는 유저 대 유저 영역에 통화요청 메시지가 포함된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ME 2(170)로 전송한다.즉, 도 2에서 설명한 제1방법(370)이 수행된다. 이 경우 ME 2(170)는 유저 대 유저 영역의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하여 전화알림 표시와 함께 디스플레이 한다.
단말기 판단부(132)가 ME 2(170)를 유저 대 유저 영역의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단말기로 판단한 경우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그대로 전송하게 되면, ME 2(170)에서는 통화요청 메시지가 표시되지 않고 전화알림 표시(벨, 진동, 발신자 번호 표시)만이 출력될 뿐이다. 따라서 통화요청 메시지 독출부(134)는 교환기(100)로부터 입력 받은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유저 대 유저 영역에 포함된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한다.
독출된 통화요청 메시지는 통화요청 메시지 삽입부(136)에 의하여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편의정보 영역에 삽입된다.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편의정보 영역은 부가(Supplementary)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영역으로 3세대 표준화 프로젝트 기술규격 24.008 또는 24.096에 정의되어 있다.
편의정보 영역에 통화요청 메시지가 삽입된 호 설정 요청 메시지는 교환기(100)로 전송되고 교환기(100)을 통하여 ME 2(170)로 전송된다.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ME 2(170)는 편의정보 영역에서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하여 전화알림 표시와 함께 디스플레이 한다. 따라서 유저 대 유저 영역에 삽입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통화요청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통화요청 메시지 삽입부(136)는 통화요청 메시지 뿐 아니라 미리 ME 1(160)에 상응하는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장치(103)로부터 입력 받아 편의정보 영역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ME 1(160)의 사용자가 ME 1(160) 또는 PC(190)등을 통하여 콘텐츠 제공장치(103)에 미리 접속하고, ME 1(160)에서 전송된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편의정보 영역에 특정 콘텐츠를 삽입하도록 미리 콘텐츠를 등록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멋진 남자 홍길동"이라는 텍스트가 등록된 콘텐츠 일 수 있다. 따라서 통화요청 메시지 삽입부는 통화요청 메시지 "영희가 다쳤다. 긴급상황이다. 빨리 전화 받아라"라는 통화요청 메시지와 "멋진 남자 홍길동"이라는 콘텐츠가 모두 편의정보 영역에 삽입된다. ME 2(170)에는 전화알림 표시와 함께 "영희가 다쳤다. 긴급상황이다. 빨리 전화 받아라. 멋진 남자 홍길동"이 표시된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 중에는 편의정보 영역에 포함된 통화요청 메시지도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하지 못하는 단말기가 있는데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105)에서는 통화요청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생성하여 ME 2(17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CISS 장치(130)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 이외에 편의정보 영역을 갖는 편의정보 메시지(Facility Message)에 통화요청 메시지를 삽입하여 ME 2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CISS 장치(130)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와 구분되는 별도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이므로 후술한 단문 메시지 센터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 경우는 CISS 장치(130)이 단문 메시지 센터(140)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센터(150)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 센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단문 메시지 센터(140)는 단말기 판단부(132), 통화요청 메시지 독출부(134), 단문 메시지 생성부(146), 전송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단문 메시지 센터(140)를 중심으로 설명하나 멀티미디어 메시지(150)도 단문 메시지 센터(14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통화요청 메시지가 80byte 내지 90byte를 초과하는 텍스트, 벨소리, 또는 이미지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에는 단문 메시지 센터(140)가 아닌 멀티미디어 메시지 센터(150)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단말기 판단부(142)는 도 4에서 설명한 CISS 장치(130) 내의 단말기 판단부(132)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도 4에서의 단말기 판단부(132)는 ME 2(170)가 유저 대 유저 영역의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였으나 도 5에서의 단말기 판단부(142)는 이와 다를 수 있다. 즉, 단말기 판단부(142)는 ME 2(170)가 편의정보 영역의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다만, CISS 장치(130) 또는 교환기(100)에서 상술한 단말기 판단부(142)의 판단을 독립적으로 수행하고, CISS 장치(130) 또는 교환기(100)가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서 독출된 발신자 정보인 유저 대 유저 영역 또는 편의 정보 영역의 정보를 단문 메시지 센터(140)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센터(150)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단말기 판단부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단말기 판단부(132)가 ME 2(170)가 유저 대 유저 영역의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할 수 있는 지 여부 및 편의정보 영역의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할 수 있는 지 여부를 모두 판단하여 ME 2(170)의 종류를 미리 분류하게 되면, 도 5의 단말기 판단부(142)는 생략될 수 있다.
CIS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4의 CISS 장치(130)가 통화요청 메시지를 편의정보 영역에 삽입하여 전송한 경우에도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 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없다. 특히, 해외에서 제조된 단말기 또는 로밍 단말기의 경우 편의정보 영역을 무시하도록 프로그램화 되어 있는 등의 경우에는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없다.
따라서, 통화요청 메시지 독출부(144)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유저 대 유저 영역에 포함된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한다. 독출된 통화요청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로 작성된다.
작성된 단문 메시지는 교환기(100)를 통하여 ME 2(170)로 전송된다. 다만 도 4에서 설명한 CISS 장치(130)가 전송하는 통화요청 메시지와는 달리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단문 메시지 형식으로 ME 2(170)로 전송된다. 따라서 호출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거나 별도의 지정 채널이 할당되어 전송되므로 전화알림 표시와 동시에 디스플레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통화가 시작되기 전 또는 통화 중 또는 통화가 종료된 후 통화요청 메시지의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도 4에서 설명한 CISS 장치(130)가 통화요청 메시지를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편의정보 영역이 아닌 별도의 편의정보 메시지의 편의정보 영역에 삽입하여 전송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단문 메시지 센터(140)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센터(170)로 대체될 수 있으며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편의정보 메시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 적용되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별도의 통화요청 메시지 메뉴(162)를 활성화 하도록 미리 설정된 ME 1(160)의 통화요청 메시지 작성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다.
여기서, 통화요청 메시지 메뉴(162)는 ME 1(160)의 사용자가 기존의 단문메시지 작성과는 별도로 통화요청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는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포함한다.
따라서, ME 1(160)의 사용자는 통화요청 메시지 메뉴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통화요청 메시지 작성창에 '영희야, 오늘은 집으로 오지 말고 이모댁으로 와~'라는 통화요청 메시지(160)을 작성한다. 또는 사용자가 미리 저장해 놓은 통화요청 메시지를 메뉴를 사용하여 불러옴으로써 통화요청 메시지를 작성할 수 도 있다.
이후 사용자가 수신번호 입력창에 수신번호를 입력한 뒤 확인(164)을 입력하게 되면 작성된 통화요청 메시지가 포함된 호 설정 요청 메시지가 전송된다. 또한, 통화 요청 메시지 및 수신번호를 입력한 뒤 확인을 입력 하고 작성된 통화요청 메시지가 포함된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기존의 SEND버튼(통화버튼)을 누르면 통화요청 메시지가 포함된 호 설정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수 도 있다. 또한 통화 요청 메시지 및 수신번호를 입력한 뒤 곧바로 SEND버튼을 누르면 통화요청 메 시지가 포함된 호 설정 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ME 1(160)의 사용자가 전화번호만을 입력하여 통화를 시도하려고 하면 사용자에게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것인지를 묻는 알림 메시지(미도시)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것임을 선택하게 되면 상술한 통화요청 메시지 메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하면, ME 1(160)의 사용자가 통화요청 메시지를 작성하는 별도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해당 프로그램에서 통화요청 메시지를 작성한 후 통화요청 메시지가 포함된 호 설정 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는 버튼 또는 메뉴의 확인을 이용함으로써 통화요청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 적용되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ME 1(160)에서 작성된 통화요청 메시지가 교환기 (100)를 통하여 ME 2 (170)에 전송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E 1(160)의 사용자인 철수가 학교에 있는 동생 영희에게 되도록 전화통화상으로 "오늘은 집으로 오지 말고 이모 댁으로 오라"는 정보를 전하고 싶지만 학교에 있어 전화를 받을 수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때에 철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오늘은 집으로 오지 말고 이모 댁으로 오라"는 통화요청 메시지를 작성한 후 영희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통 화버튼을 누른다.
영희의 이동통신 단말기(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벨이 울림과 동시에 화면부에 철수의 전화번호 및 철수가 작성한 통화요청 메시지인 "영희야, 오늘은 집으로 오지 말고 이모 댁으로 와"가 디스플레이 된다.
영희는 수업 중이라 전화를 받을 수 없지만 디스플레이 된 통화요청 메시지를 보고 철수가 전화상으로 전하려 했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된 통화요청 메시지를 보고 이모 댁으로 오라는 것은 파악이 되지만 이모 댁이 어디인지 알 수 없을 경우에는 잠시 학우들과 선생님에게 양해를 구하고 전화를 받을 수 도 있다.
또한, 영희가 전화를 받지 못하고, 부재중 전화를 확인하는 경우, 영희는 부재중 전화가 철수에게서 온 전화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철수가 전하려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요청 메시지가 삽입되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편의정보 영역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3세대 표준화 프로젝트(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기술규격(TS, Technical Specification) 24.008 및 24.096에 정의된 편의정보 영역의 구조는 3가지 세부영역으로 나뉜다.
편의정보 영역의의 정보 요소 식별자(IEI, Information Element Identifier)가 옥텟 1에 삽입되고 편의정보 영역의 정보 길이가 옥텟 2에 삽입된다.
옥텟 3 이후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ISS 장치(130)가 통화요청 메시지로부터 독출한 통화요청 메시지가 삽입된다. 또한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CISS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에 서비스 가입자가 미리 지정한 콘텐츠 예를 들어 텍스트, 벨소리 및 이미지 등이 통화요청 메시지와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ISS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되는 단문 메시지 센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 적용되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 적용되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요청 메시지가 삽입되는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편의정보 영역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Claims (16)

  1.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장치가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제1영역에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가 포함되어 있음;
    (b)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서 상응하여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 정보를 질의하여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상기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포함된 통화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c) 판단 결과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통화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단말기인 경우,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를 추출하여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제2 영역에 포함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2 영역에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가 포함된 호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호 착신 알림표시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판단 결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단말기인 경우,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서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를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통화요청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여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메시지 센터는 상기 단문 메시지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유저 대 유저 영역이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편의정보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 및 콘텐츠를 상기 호 설정 메시지의 제2영역에 삽입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콘텐츠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콘텐츠 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연동하는 콘텐츠 제공장치 또는 홈 위치 등록기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이고,
    상기 콘텐츠 제공장치 또는 홈 위치 등록기에 웹을 통하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도록 등록된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하여 입력된 메시지 또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통화요청 메시지 작성 프로그램을 통하여 입력된 메시지이되,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설정 요청 메시지 전송 버튼 또는 메뉴의 선택입력에 의하여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센터 또는 멀티미디어 센터로 전송하는 단계(e)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센터는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방법.
  9. 삭제
  10.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장치-여기서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장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포함됨-에 있어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수신된 호 설정요청 메시지의 제1영역에서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를 독출하는 통화요청 메시지 독출부;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여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정보를 질의하여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상기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에 포함된 통화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단말기인지를 판단하는 단말기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통화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단말기이면, 상기 독출된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제2 영역에 삽입하는 메시지 삽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영역에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가 삽입된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고,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 착신 알림표시와 함께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된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단말기인 경우, 상기 통화 요청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여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메시지 센터는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가 포함된 상기 단문 메시지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영역은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유저 대 유저 영역이고,
    상기 제2영역은 상기 호 설정 요청 메시지의 편의 정보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삽입부는
    상기 통화요청 메시지 및 콘텐츠를 상기 호 설정 메시지의 제2영역에 삽입하되,
    상기 콘텐츠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상응하는 콘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요청 메시지 전송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20070103514A 2007-10-15 2007-10-15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36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3514A KR100936528B1 (ko) 2007-10-15 2007-10-15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3514A KR100936528B1 (ko) 2007-10-15 2007-10-15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164A KR20090038164A (ko) 2009-04-20
KR100936528B1 true KR100936528B1 (ko) 2010-01-13

Family

ID=40762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03514A KR100936528B1 (ko) 2007-10-15 2007-10-15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65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624B1 (ko) * 2012-09-28 2014-07-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052A (ko) * 2003-07-01 2005-01-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 요청시 문자 메시지를 함께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5052A (ko) * 2003-07-01 2005-01-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화 요청시 문자 메시지를 함께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164A (ko) 2009-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6964B (fi) Menetelmä ja laite äänimerkkien poimimiseksi liikkuviin päätteisiin
US8649314B2 (en) Peer-to-peer mobile data transfer method and device
US20080274758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936528B1 (ko)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36173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문 메세지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00020364A (ko) 영상통화 거부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영상통화 단말기
KR100698645B1 (ko) 메시지 보안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05176315A (ja) 音声メッセージをパケット通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そして、これを遂行する移動通信端末機
KR101098188B1 (ko) 가입자별 정보 관리 및 제공 기능을 가지는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836258B1 (ko)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50075470A (ko) 단문 메시지 발신자 위치 전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0801308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guardian service by using caller id
CN103167165A (zh) 会话初始化方法
KR100693751B1 (ko) 엠엠에스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7409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대화형 메시징 서비스 방법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667341B1 (ko) 양방향 그룹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62329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 연결 중 음성 메시지 전송방법
KR19990085320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부가서비스 방법
KR100957237B1 (ko) 전화 번호 변경 정보를 이용한 주소록 자동 갱신 방법 및시스템
KR100553541B1 (ko) 통화 요청시 문자 메시지를 함께 전송할 수 있는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40040543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sms 폰 메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933169B1 (ko) 시그널링 메시지와 데이터 채널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발신표시 데이터 제공 방법
KR10087112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피 주소 획득 방법
GB2360174A (en) Transmitting compressed messages to units identified as supporting compre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