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4690B1 - Ubiquitous home media reproduction method and service method based on single media and multiple devices - Google Patents

Ubiquitous home media reproduction method and service method based on single media and multiple devi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4690B1
KR100934690B1 KR1020080064742A KR20080064742A KR100934690B1 KR 100934690 B1 KR100934690 B1 KR 100934690B1 KR 1020080064742 A KR1020080064742 A KR 1020080064742A KR 20080064742 A KR20080064742 A KR 20080064742A KR 100934690 B1 KR100934690 B1 KR 100934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temperature
environment
user
stimu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7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57878A (en
Inventor
박용문
이해룡
박광로
이동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90057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78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6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홈에서의 미디어 재현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하나의 미디어가 복수 개의 디바이스(device)들과 연동하여 재현되는 단일 미디어 다중 디바이스(Single Media Multi Devices : SMMD) 기반의 미디어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실감성 있는 미디어 서비스 환경의 구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사용자의 실감성 있는 체험의 제공을 위해서 실제 환경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자극과 유사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들을 통해 인위적으로 제공되는 자극들이 실제 환경에서 제공되는 자극들과 유사하도록 한다. 또한, 실제 환경에서 제공되는 자극과 유사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들과 실제 환경의 자극이 제공하는 자극에 대한 측량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실제 환경에서 제공되는 자극들을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인식하는지에 대한 인식 방법을 조사하여 가상의 환경 요소와 자극 요소들을 구성함으로써, 보다 실제 환경과 유사한 자극을 생성해 낼 수 있다. 또한, 기 설정 길이의 변을 갖는 입방체의 가상의 환경요소와 자극 요소에 따른 사용자의 실감도 측정을 통해, 사용자에게 현실세계와 유사한 실감환경을 구성하여 가상세계를 현실세계와 좀 더 유사하게 느끼도록 할 수 있는 재현 방법 및 서비스 방법을 구성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ngle media multi devices (SMMD) -based media service that is reproduced in conjunction with a plurality of devices in order to maximize the media reproduction effect in the ubiquitous home Technology, and through devices that can provide a stimulus similar to that provided by the real environment to provide a user's immersive experience,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constructing a realistic media service environment. Artificially provided stimuli are similar to those provided in a real environment. In addition, based on the measurement of the stimuli provided by the real environment and the devices capable of providing a stimulus similar to the stimulus provided in the real environment, the process of how the user perceives the stimuli provided in the real environment. By investigating the recognition method and constructing a virtual environment element and a stimulus element, a stimulus similar to a real environment can be generated. In addition, the user can feel the virtual world more similar to the real world by constructing a realistic environment similar to the real world by measuring the user's feelings according to the virtual environment element and the stimulus element of the cube having a preset length. Configure reproducible and service methods that can be used.

Description

단일 미디어 다중 디바이스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재현 방법 및서비스 방법{METHOD FOR PROVIDING SINGLE MEDIA MULTI DEVICE BASED UBIQUITOUS HOME MEDIA SERVICE}METHOOD FOR PROVIDING SINGLE MEDIA MULTI DEVICE BASED UBIQUITOUS HOME MEDIA SERVICE}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서비스(Ubiquitous Home Media Ser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일 미디어 다중 디바이스(Single-Media Multi-Device, 이하 SMMD라 함) 기반의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미디어를 통해 가상으로 생성되는 특정 환경을 사용자가 보다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게 하는 SMMD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재현 방법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biquitous home media ser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ecific environment virtually generated through media in a ubiquitous environment based on a single media multi-device (SMM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MD-based ubiquitous home media reproduction method and service method that allow a user to experience more realistically.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의 정보통신표준개발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2007-S-010-01, 과제명 : SMMD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개발].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a study performed as par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tandard development support project of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ask management number: 2007-S-010-01, Title: Development of SMMD-based ubiquitous home media service system].

실감성을 제공할 수 있는 미디어 서비스 환경의 구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사용자에게 현실세계와 유사하게 느낄 수 있도록 실감나는 체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실제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자극과 유사 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들이 필요하며, 이러한 장치들을 통해 인위적으로 제공되는 자극들이 실제 환경에서 제공되는 자극들과 유사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실제 환경에서 제공되는 자극들을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인식하는지에 대한 인식 방법이 필요하다.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constructing a media service environment that can provide sensibility is to provide a user with a realistic experience so that they can feel similar to the real world. This requires devices capable of providing stimuli similar to the stimuli provided to the user in the real environment, and the stimuli artificially provided through these devices should be similar to the stimuli provided in the re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recognition method for how a user recognizes stimuli provided in a real environment.

실제 환경에서 제공되는 자극과 유사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들과 실제 환경의 자극이 제공하는 자극에 대한 측량을 기반으로 가상의 환경 요소와 자극 요소들을 구성함으로써, 보다 실제 환경과 유사한 자극을 생성해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부 자극 인식 기술을 통해, 사용자에게 실제적인 환경을 경험하게 할 수 있다.By constructing virtual environment elements and stimulus elements based on the devices that can provide stimuli similar to those provided in the real environment and the stimuli provided by the stimulus in the real environment, a stimulus similar to the real environment is created. The user can experience the actual environment through the user's external stimulus recognition technology.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더 실감을 느끼게 하기 위해 감성공학에 관련된 기술이 그 주를 이루고 있다. 1990년대부터 시작된 감성공학 기술은 미국의 경우 NASA Ames Research Center, MIT Media Lab, Xerox PARC 등의 첨단 연구소를 필두로 인공적으로 구현하는 현실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감성공학에 대한 기술 분야를 가장 먼저 시작한 일본의 경우에는, 1991년부터 통산성 산하 제품 과학연구소에서 인간 감각 계측 및 응용기술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이외에도 유럽의 PROMETHEUS 프로젝트와 첨단자동차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의 감성적인 측면을 중요한 주제로써 접근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1991년 G7 프로젝트 기획 과제에 감성 공학 기술이 선정됨으로써, 감성 공학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1996년부터 본격화되었다. In order to make the user feel more realistic, technology related to emotional engineering is dominant. In the United States, emotional engineering technology, which began in the 1990s, is being researched on the reality of artificially embodying leading-edge laboratories such as NASA Ames Research Center, MIT Media Lab, and Xerox PARC. In Japan, which started the technology field of emotional engineering first, in 1991, we worked on the development of human sensory measurement and applied technology at the Institute of Product Science under the Ministry of Trade. In addition, we are approaching the emotional aspects of human beings as important topics in various fields such as the PROMETHEUS project in Europe and the development of advanced automobiles. In Korea, emotional engineering technology was selected for the G7 project planning task in 1991, and research on emotional engineering began.

감성공학 기술은 크게 인간공학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과 센서공학을 기반으 로 하는 기술로 나뉠 수 있다. 전자는 감성공학을 인간공학의 범주에 포함하여 인간의 감성에 대한 환경적 요소와 내적 요소에 대한 접근을 행하는 넓은 의미에서의 디자인적 측면인데 반해, 후자는 인간의 감성과 환경간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하는 좁은 의미에서의 디자인적 측면을 띄고 있다. Emotional engineering technolog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ergonomic and sensor based technology. The former is a design aspect in the broad sense of including emotional engineering in the category of ergonomics to access the environmental and internal elements of human emotion, while the latter is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emotion and the environment. It has a design aspect in a narrow sense.

감성공학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인간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기분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가능한가에 대한 문제이다. 심리학이나 생리학과 같은 인간과학의 분야에서 인간의 감각특성에 대한 기술들이 부각되어 왔고, 또 현재에도 진행되고 있으나, 실제 상황에 근접한 연구를 위한 방법론의 부재, 기반 시설 확충의 어려움 등, 많은 문제로 인해 실용성 있는 결과가 제공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감성의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측정을 위해 모의 환경 제시 기술을 통한 다양한 상황의 설정과 이러한 상황을 기반으로 하는 감성의 측정을 위한 심리학적, 생리학적, 생화학적 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biggest problem in emotional engineering is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possible to quantitatively measure the feelings that a human subject feels. In the fields of human science, such as psychology and physiology, techniques for human sensory characteristics have been highlighted and are still in progress, but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the lack of methodology and the expansion of infrastructure for the study of the real situation. As a result, practical results have not been provided. As an alternative, quantitative and objective measurement of emotions requires the setting of various situations through simulation environment presentation techniques and th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indicators for the measurement of emotions based on such situations.

앞서 언급한 감성공학의 센서공학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 중 인간의 감각요소를 기반으로 하는 기술은 인간에게 보다 실감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흔히 실감형 정보 처리 기술이라 불리는 이 분야는 컴퓨터 기술을 바탕으로 인간의 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 등의 오감이 인지하는 자극을 인위적으로 생성해 내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Among the technologies based on the sensor engineering of emotional engineering mentioned above, the technology based on the human sensory element aims to provide more realistic information to the human being. This field, commonly called sensory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aims to artificially generate the stimuli perceived by the five senses of human vision, hearing, touch, taste and smell based on computer technology.

현재까지 컴퓨터 기술을 바탕으로 재생해 내는 자극들은 시각, 청각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실감 표현 관련 감각 요소들인 음성과 영상에 대해서만 데이터 표현, 전송의 부호화 및 표준화가 진행되어 온 실정이나, 시각과 청각만을 이용한 표 현으로는 생생한 현장감을 전달하기에 부족한 측면이 크다. 따라서 인간의 나머지 감각인 촉각, 후각, 미각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많은 분야에서 실감 표현 기술이 발전되고 있으며 국제적인 표준화도 진행되고 있다.Until now, the stimuli reproduced based on computer technology are mainly visual and auditory, and data representation, transmission and standardization of data representation and transmission have been progressed only for voice and video, which are sensory-related sensory elements. The expression using bay is not enough to convey vivid realism. Therefore,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rest of human senses of sense of touch, sense of smell, and taste is emerging, and in many fields, sensory expression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an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is progressing.

그러나 기계적이거나 온도에 의한 자극을 입력으로 하는 촉각이나 화학적인 자극에 의해 형성되는 후각의 경우 인체의 감각 요소인 수용기에 대한 해명이 완전히 밝혀져 있지 못하기 때문에 센싱 장치와 재현 장치가 실용화 단계 수준에는 이르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sense of smell, which is formed by tactile or chemical stimulation that is input by mechanical or temperature stimulus, the sensory element, the sensory element, is not fully elucidated. The situation is not.

앞서 언급된 실감성이 제공될 수 있는 감각 재생 환경과 이에 상응하는 감성정보 도출이 가능한 시스템에서 구현 가능한 콘텐츠에 관한 기술도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콘텐츠가 모니터와 같은 가상공간에 종속되어 있던 상황이 다양한 장치와 시스템의 발전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융화될 수 있는 형태로써 진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콘텐츠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과 가능성이 제시되고 이와 더불어 사용자로 하여금 높은 실감성을 체험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There is also a technology for the content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sensory reproduction environment that can provide the above-mentioned sensibility and a system capable of deriving corresponding emotional information. The situation where the existing contents were subordinated to the virtual space such as the monitor is evolving into a form that can be naturally integrated in daily life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devices and systems. Accordingly,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providing content suitable for the user's situation are suggested, an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new type of content that enables the user to experience high sensibility is emerging.

실감 미디어의 재생이란, 사용자로 하여금 실제 환경과 유사한 자극을 체험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의 감각 인식 과정에 대한 심도 깊은 기술과 이에 기반하는 감각의 재생이 필요하다.The play of the sensational media is to induce the user to experience the stimulus similar to the real environment. This requires in-depth technology of the user's sensory perception process and regeneration of the senses based on it.

이에 본 발명은, SMMD(Single-Media Multi-Device)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가 보다 실감적으로 가상으로 생성되는 특정 환경을 체험하도록 하는 기술적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ical scheme for a user to experience a specific environment that is virtually generated virtually in a ubiquitous home media service environment based on a SMMD (Single-Media Multi-Device).

또한 본 발명은, SMMD 기반의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미디어에 대한 실감 재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that can provide a realistic reproduction function for the media using the SMMD-based media service system.

기존 미디어 재생 방식은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하나의 미디어를 재생시키는 SMSD(Single-Media Single-Device) 방식이었으나, 유비쿼터스 IT 환경으로 점차 발전함에 따라 여러 개의 디바이스가 연동되어 미디어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SMMD 재현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SMMD 기반의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은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로 이루어진 기존의 미디어에 디바이스 제어 정보 및 동기화 정보를 추가한 새로운 구조의 ne-미디어를 생성하고, 새로운 ne-미디어에 개인의 취향 및 주변 디바이스 환경에 맞게 가정, 사무실, 공공장소 등 사용자의 물리적 위치에 관계없이 주변의 다양한 기능을 가진 디바이스들이 ne-미디어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실감 있는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existing media playback method was a single-media single-device (SMSD) method that plays one media on one device, but as the ubiquitous IT environment gradually develops, SMMD can maximize the effect of media by interworking multiple devices. The need for reproduction technology is increasing. SMMD-based media service system creates ne-media of new structure that adds device control information and synchronization information to existing media consisting of video, audio, and text, and creates new ne-media for personal preference and peripheral device environment. In other words, regardless of the user's physical location, such as home, office, or public places, devices with various functions in the vicinity provide neural media services to users.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동영상, 오디오, 텍스트에 디바이스 제어 및 동기화 정보를 추가한 새로운 차세대 미디어, 즉, ne-미디어를 생성하고 연동이 가능한 주변 디바이스의 동기를 맞추어 미디어와 연동시키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ynchronize new media, ie, ne-media, to create a new next-generation media that adds device control and synchronization information to existing video, audio, and text, and to synchronize the media with other devices.

본 발명은, SMMD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이 하나의 미디어 콘텐츠를 재생할 때, 다수의 장치들을 통해, 다양한 감각 자극을 생성함으로써 미디어 콘텐츠를 보다 더 실감 있게 재생하는 것을 그 목표로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미래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실감형 미디어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SMMD 기반의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제공할 감각 자극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reproduce the media content more realistically by generating various sensory stimuli through a plurality of devices when the SMMD-based ubiquitous home media service system plays one media content.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ovide a realistic media service environment in the future ubiquitous environment, an SMMD-based media service system is intended to provide a basis for sensory stimul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관점에 따르면, 기 설정 길이의 변을 갖는 입방체 공간 내에 1명의 사용자를 위해 구비되는 유비쿼터스 홈 환경에서의 단일 미디어 다중 디바이스(Single-Media Multi-Device : SMMD) 기반 실감 미디어 재 현 방법으로서, 상기 기설정 길이는 거리에 따른 실감 자극의 감쇠를 최소화하기 위한 거리이고, 상기 단일 미디어는 동영상, 오디오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미디어에 디바이스 제어 정보 및 동기화 정보를 추가한 새로운 구조의 ne-미디어 이며, 상기 다중 디바이스는 시각적인 자극 요소를 제공하는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 조명 기기와 청각적인 자극 요소를 제공하는 스피커, 촉각적인 자극 요소를 제공하는 온도조절장치, 풍량 조절기, 진동 의자 및 후각적인 자극 요소를 제공하는 발향 장치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one aspect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a single-media multi-device (SMMD) in a ubiquitous home environment provided for one user in a cube space having a side of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sensory media reproduction method, the preset length is a distance for minimizing the attenuation of the sensory stimulus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the single media is a new method that adds device control information and synchronization information to media including video, audio, or text. It is ne-media of structure, and the multi-device is a video display means for providing visual stimulus element, a luminaire and a speaker for an acoustic stimulus element, a thermostat for providing tactile stimulus element, airflow regulator, vibrating chair And a fragrance device providing an olfactory stimulating element.

이때 시각적인 자극 요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은 입방체 공간 환경의 전면에 위치하여 2000ANSI ~ 3000 ANSI 범위의 영상의 밝기를 제공하고, 상기 조명 장치는 상기 입방체 공간 환경의 상부에 위치하여 0 룩스 ~1000 룩스의 범위에서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의 밝기에 따라 단계별로 조도를 조절한 조명을 사용자에게 집중시켜 제공한다. In this case, in order to provide a visual stimulus element, the image display means is located in front of the cube space environment to provide brightness of an image in the range of 2000 ANSI to 3000 ANSI, and the illumination device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cube space environment to have zero lux. In the range of ˜1000 lux, the illumination is adjusted to provide the user with the illumination adjusted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 means.

또한 청각적인 자극 요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스피커는 5.1 채널 이상의 음원 재생이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입방체 공간 환경의 좌측, 우측,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입방체 공간 환경 내부에 3D 음향을 제공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an auditory stimulus element, the speaker is capable of reproducing a sound source of 5.1 channels or more and is disposed on the left, right,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ube space environment to provide 3D sound inside the cube space environment.

또한 촉각적인 자극 요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입방체 공간 환경의 좌우 면에 설치되어5℃ ~ 30 ℃ 범위에서 상기 입방체 공간 환경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되, 상기 사용자가 실감 가능한 온도 분위기를 더운 온도, 추운 온도 및 시원한 온도로 구분하여 설정한 후 상기 온도 분위기의 종류별로 제공하고, 상기 풍량 조절기는 풍량의 세기를 0 m/s ~ 5m/s의 범위 내에서 풍량 세기의 특정 구간별로 정의되어 설정되는 풍량의 종류 별로상기 입방체 공간 환경 내부로 풍량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진동 의자는 오디오 출력 단자를 이용하여 음향의 크기에 따라 진동이 조절되고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제공되는 장면에 대한 자극과 상기 풍량 조절기로부터의 풍량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에게 진동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ube space environment in order to provide a tactile stimulating element to adjus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ube space environment in the range of 5 ℃ ~ 30 ℃, the user can feel the temperature atmosphere It is divided into hot temperature, cold temperature and cool temperature, and then provided by the type of the temperature atmosphere, and the air volume controller defines the intensity of the air volume by a specific section of the air volume intensity within the range of 0 m / s to 5 m / s. The air volume is provided to the inside of the cube space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type of air volume to be set. In addition, the vibrating chair adjusts the vibration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sound using an audio output terminal, and provides vibration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stimulus for the scene provided by the image display means and the change of the air volume from the air volume controller.

후각적인 자극 요소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발향 장치는 발향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화면 정보에 따라서 각기 다른 향기를 상기 풍량 조절기를 통해 상기 입방체 공간 내부로 제공한다.In order to provide an olfactory stimulating element, the fragrance apparatus provides a different fragrance into the cube space through the air volum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screen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image display means using the fragrance material.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홈 환경에서의 단일 미디어 다중 디바이스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유비쿼터스 홈 환경 내의 디바이스들의 개체 및 상태를 점검하여 상기 유비쿼터스 홈 환경 내의 디바이스 리스트를 확보하는 과정과,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ne-미디어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기 ne-미디어 및 상기 유비쿼터스 홈 환경 내의 다수의 디바이스들의 구동 동기를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ne-미디어를 객체 단위의 파싱된 결과로 구성하고, 파싱된 ne-미디어를 버퍼링하는 과정과, 상기 버퍼링된 ne-미디어 객체를 바이너리 형태의 데이터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환경 정보에 대응하는 네오데이터 정보를 테이블로 구성하는 과정과, 미디어 재생 시작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ne-미디어의 재생을 시작하되, 상기 네오데이터 정보에 따라 실제 환경에서 제공되는 자극 정보에 상응하는 자극을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 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일 미디어 다중 디바이스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media multi-device based ubiquitous home media service method in a ubiquitous home environment for providing a multimedia service, the ubiquitous by checking the object and state of devices in the ubiquitous home environment Obtaining a list of devices in a home environment and controlling driving synchronization of a plurality of devices in the ubiquitous home environment and the ne-media selected through the user input / output interface when a ne-media service is requested through the user input / output interface; And configuring the ne-media as a result of parsing the object unit, buffering the parsed ne-media, analyzing the buffered ne-media object as binary data,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Neo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devices configured to start the ne-media in response to a process of organizing data information into a table, and corresponding to the stimulus information provided in a re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neo data information. It provides a single media multi-device based ubiquitous home media servic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roviding to the user.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자극 인식구조와 가상 환경의 실감성 환경을 구성하여 사용자의 감각 인식 체계와 실제 환경이 제공하는 자극들을 이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객관적인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SMMD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에서 보다 더 사실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SMMD-based ubiquitous home media by constructing a user's stimulus recognition structure and a realistic environment of a virtual environment to provide objective data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by using a user's sensory recognition system and stimuli provided by a real environment. The service system can provide a more realistic environment.

또한, 실제 환경에서 제공되는 자극과 유사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들과 실제 환경의 자극이 제공하는 자극에 대한 측량을 기반으로 가상의 환경 요소와 자극 요소들을 구성함으로써, 보다 실제 환경과 유사한 자극을 생성해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외부 자극 인식 방법을 통해, 사용자에게 실제적인 환경을 경험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structing a virtual environment element and a stimulus element based on the measurement of the stimulus provided by the device and the devices that can provide a stimulus similar to that provided in the real environment, the stimulus similar to the real environment Can be generated, and the user can experience the actual environment through the user's external stimulus recognition method.

그리고, 유비쿼터스 홈 내에서의 오감 융합 기술 적용을 위한 객관적인 기준이 마련될 수 있으며, 미디어 장치와의 동기화를 통한 오감 정보 전달을 위한 표준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n objective standard for applying the five senses fusion technology in the ubiquitous home may be prepared, and a standard for delivering the five senses information through synchronization with a media device may be provided.

본 발명은 여러 장치들을 통해 생성되는 가상의 환경 자극이 보다 더 실감 있게 재생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결과이며, 본 발명은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의 여러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result of how the virtual environmental stimulus generated through the various devices can be reproduced more realistical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such as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들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핵심 기술요지는, SMMD 기반의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실감적인 경험을 제공할 수 있기 위해서, 인간의 시각, 청각, 촉각, 후각의 4가지 감각을 통해 미디어 내의 환경들이 실제 환경과 유사하도록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환경을 정의하고 제공하는 것이다.The cor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order for the SMMD-based media service system to provide a realistic experience to the user, the environment in the media is similar to the real environment through the four senses of human vision, hearing, touch, and smell. It is to define and provide an environment that can be satisfied.

먼저, 사용자가 외부 자극을 어떠한 감각에 의해서 받아들이는 지에 대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감각 처리구조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실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자극 재생을 위한 장치 및 측정 공간을 선정하였다. 이는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등에 대한 자극을 재생할 수 있는 장치 및 공간에 대한 정의 단계로, 재생 가능한 감각을 사용자에게 보다 더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진 단계이다. 다음으로, 선정된 장치와 측정 공간을 통해 재생할 특정 시나리오를 구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사용자 실험을 통해 장치의 자극치를 측정하였다.First, through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external stimulus by the senses, the user tried to prepare a basis for the sensory processing structure. Based on this, the device and the measurement space for stimulus reproduction that can provide a sense of reality Was selected. This is a defining stage for devices and spaces capable of reproducing stimuli for vision, hearing, touch, smell, etc., and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providing a more reproducible sense to the user more effectively. Next, we configured a specific scenario to play through the selected device and the measurement space, and measured the stimulus of the device through user experiments.

실감적인 감각의 재생에 있어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자극이 재생될 공간에 대한 정의이다. 물리적인 환경에서 인위 적으로 재생되는 자극은 사용자가 자극을 받아들이는 공간에 따라서 그 효과가 극명하게 달라진다. 사용자가 스피커에서 재생되는 소리를 작은 방에서 들을 때와 큰 방에서 들을 때, 사용자의 감각에서 받아들이는 자극의 크기가 다른 것이다.The first thing that needs to be preceded in the reproduction of the sensational sense is the definition of the space where the stimulus will be reproduced through the media service system. In the physical environment, the artificially reproduced stimulus has a dramatic effect depending on the space in which the user accepts the stimulus. When the user hears the sound played by the speaker in a small room and in a large room, the stimulus received by the user's senses is different.

사용자의 자극에 대한 반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자극을 제공하는 공간 자체를 제한해야 한다.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 자체를 제한함으로써, 시스템이 의도한 자극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보다 정제된 사용자의 반응을 추출해낼 수 있다.In order to measure the user's response to the stimulus more accurately, the space that provides the stimulus must be limited. By limiting the space in which the user is located, the system can provide the user with only the intended stimulus and thus extract a more refined user's response.

보다 효과적인 실감성 제공 측면에서도 사용자의 공간은 제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장치를 통한 자극 제공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자극의 제공시간부터 사용자가 자극을 통한 반응을 나타내는 반응시간까지의 ΔT이다. 이 반응시간은 사용자와 장치 사이의 거리가 좁아질수록 줄어들며, 반응시간이 줄어들수록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원하는 자극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환경을 정의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술적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바를 쉽게 달성할 수 있다.In terms of providing more realistic feelings, user space needs to be limited.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providing a stimulus through the device is the ΔT from the time of providing the stimulus to the response time in which the user exhibits a response through the stimulus. The response time de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 and the device decreases, and as the response time decreases, the system defines an environment that can provide the user with the desired stimulus faster and more accurately. Can easily be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SMMD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홈 미디어 서비스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메인 프로세싱부(100), 미디어 디코딩부(102), 디바이스 제어부(104)를 포함한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home media service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SMMD-based ubiquitous home media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main processing unit 100, a media decoding unit 102, and a device control unit 104. It includes.

도 1을 참조하면, 메인 프로세싱부(100)는 사용자를 위한 네트워크 기능, ne-미디어 입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정합 기능 및 시스템 프로세서 기능을 담당한다. 이때, ne-미디어라 함은, 새로운 구조의 미디어, 예컨대 오디오/비디오 미디 어에 디바이스 제어 정보를 포함시킨 미디어를 지칭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ain processing unit 100 is responsible for a network function for a user, a network matching function for performing ne-media input, and a system processor function. In this case, the ne-media refers to a media having a new structure, such as media including device control information in audio / video media.

이러한 메인 프로세싱부(100)는 홈 미디어 서비스 장치의 메인 제어 블럭으로 하드웨어 전체를 제어하며 미디어 디코딩부(102) 및 디바이스 제어부(104) 간의 상호작용을 관장한다. 구체적으로, 클럭(Clock)/리셋(Reset)/파워(Power) 생성 및 제어를 위해 고속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 제어, 네트워크 정합 기능, 외부망/댁내망 분리 기능, 시스템 사용자 입/출력(I/O) 인터페이스 제어 기능 등을 포함한다.The main processing unit 100 controls the entire hardware as a main control block of the home media service apparatus and manag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edia decoding unit 102 and the device control unit 104. Specifically, high-speed processor and memory control, network matching function, external network / home network separation function, system user input / output (I / O) for clock / reset / power generation and control ) Interface control functions and the like.

미디어 디코딩부(102)는 메인 프로세싱부(100)를 통해 제공되는 ne-미디어, 예컨대 디바이스 제어 정보가 포함된 오디오/비디오 미디어에 대해 하드웨어 디코더 기반의 멀티미디어 디코딩을 수행하여 음성 및 영상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미디어 디코딩부(102)는 SMMD의 미디어 디코더 하드웨어 블럭으로 미디어 디코더에 대한 하드웨어 기능을 제공한다. 예컨대, 하드웨어 기반의 멀티미디어 디코더 기능은, 지상파/케이블 방송 수신 기능, 실시간 방송 저장/분배 기능, 음성 및 영상 출력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dia decoding unit 102 performs a hardware decoder based multimedia decoding on ne-media, for example, audio / video media including the device control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main processing unit 100, and outputs audio and video. Do it. The media decoding unit 102 is a media decoder hardware block of the SMMD to provide a hardware function for the media decoder. For example, the hardware-based multimedia decoder function may include terrestrial / cable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real time broadcast storage / distribution function, and audio and video output function.

디바이스 제어부(104)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지그비(ZigBee)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홈 미디어 서비스 장치에 연결된 다양한 디바이스들(도시 생략됨)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SMMD 하드웨어 디바이스 제어부(104)는 홈 미디어 서비스 장치와 디바이스들간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및 디바이스 장치 제어 기능을 제공하면서, PLC(Power Line Communication)를 통한 하드웨어 디바이스 장치 제어 기능, 지그비를 통한 하드웨어 디바이스 장치 제어 기능, 지그비-IR(ZigBee to IR)을 통한 하드웨어 디바이스 장치 제어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vice controller 104 controls various devices (not shown) connected to the home media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wireless network interface, for example, a ZigBee wireless network interface. At this time, the SMMD hardware device control unit 104 provides a hardware interface and device device control function between the home media service device and the devices, the hardware device device control function through the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the hardware device device control function through the Zigbee Hardware device device control via ZigBee to IR, and the like.

다음에, 본 발명에 따라 SMMD 기반 실감 미디어 재현을 위한 홈 미디어 서비스가 적용되는 하드웨어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hardware structure to which a home media service for SMMD-based sensory media repro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홈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홈 서버의 하드웨어 구조는, 고성능 프로세서 및 네트워크 정합 기능을 갖는 메인 프로세서 하드웨어 보드, 하드웨어 기반의 멀티미디어 디코딩 기능 및 실시간 방송 수신, 저장 및 분배 기능 등을 포함하는 미디어 디코더 보드 및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한 다양한 디바이스 제어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지그비 모듈을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2, a hardware structure of a home server for home media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processor hardware board having a high performance processor and a network matching function, a hardware-based multimedia decoding function, and a real-time broadcast reception, storage and A media decoder board including a distribution function and the like, and a Zigbee module for supporting various device control functions through a wireless network interface.

이러한 하드웨어 플랫폼은, 예를 들면 소정의 운영체제와 듀얼 코어(dual core) 이상의 CPU를 채택할 수 있으며, 노스 브리지(north Bridge)와 사우스 브리지(South Bridge)를 지원할 수 있는 비디오 칩셋이 바람직하다. 외부 인터페이스 포트는, 예를 들면 USB 4포트와 RS-232C 2포트, 4개의 고속 이더넷(Fast Ethernet), 액세스 포인트로 무선 LAN, 지그비 인터페이스 등을 지원하며, 소정의 미디어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Such a hardware platform may employ, for example, a predetermined operating system and a dual core or higher CPU, and a video chipset capable of supporting a north bridge and a south bridge is preferable. The external interface port supports, for example, four USB ports, two RS-232C ports, four Fast Ethernet ports, a wireless LAN as an access point, a Zigbee interface,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a predetermined media decoder.

다음에, 도 1의 홈 미디어 서비스가 적용되는 하드웨어에서 디바이스들 간의 접속 체계 및 인터페이스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connection scheme and an interface between devices in hardware to which the home media service of FIG. 1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SMMD 기반 실감 미디어 재현을 위한 디바이스 및 환경 구성 장치에서 홈 서버를 통해 다양한 디바이스를 연동하여 미디어에 포함된 제어 및 동기 신호에 따라 디바이스를 구동하는데 적합한 실감 재현 환경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이러한 실감 재현 환경 구성을 위한 홈 서버는 도 2의 구성요소와 동 일한 홈 미디어 서비스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갖는다.FIG. 3 illustrates a sensory reproduction environment suitable for driving a device according to control and synchronization signals included in media by interlocking various devices through a home server in a device and environment configuration device for SMMD-based sensory media repro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diagram, a home server for constructing such a realistic reproduction environment has a hardware configuration of the same home media service apparatus as the component of FIG.

도 3을 참조하면, 각 디바이스에 대한 홈 서버와의 인터페이스는 촉각적인 요소를 재생하기 위한 디바이스로, 에어컨(히터), 선풍기 등이 있으며, 이때의 제어 방식은 지그비-IrDA 방식으로 홈 서버와는 지그비-IR로 연동되도록 구성하였고, 시각적인 요소로서 미디어 재현을 위한 TV는 DVI로 연동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n interface with a home server for each device is a device for reproducing tactile elements, such as an air conditioner (heater), a fan, and the like. The control method is a Zigbee-IrDA method and a home server. It is configured to be interlocked with Zigbee-IR, and the TV for media reproduction as a visual element can be interlocked with DVI.

전등과 전동커튼의 제어 방식은 지그비 방식으로 제어를 위해 각각 라디오 펄스(Radio-Pulse)와 엠버(Ember) 칩셋을 사용할 수 있으며, 홈 서버와 제어모듈을 포함한 코디네이터 셋(coordinator set)으로 연동될 수 있다. 이때 전등은 dimminng 기능이 있으며, 예컨대 RS-485 방식으로 홈 서버와 RS-485 방식의 시리얼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control method of electric light and electric curtain is Zigbee method, which can use Radio-Pulse and Ember chipset for control, respectively, and can be linked with coordinator set including home server and control module. have. At this time, the lamp has a dimminng function, for example, RS-485 type to enable the home server and RS-485 type serial communication.

진동의자는 오디오 출력 단자를 이용하여 음향의 크기에 따라 진동이 조절될 수 있다.The vibration chair may adjust the vibration according to the sound volume using the audio output terminal.

핸드폰은 미디어 시작 전에 진동모드로 변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 소프트웨어의 구동을 위해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 등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mobile phone enables the use of a short message service (SMS) to run application software that provides a conversion service in vibration mode before media starts.

리모컨의 제어 방식은, 예컨대 IrDA 방식으로 홈 서버와는 IrDA로 연동하도록 한다.The control method of the remote controller is, for example, IrDA, so that the home server can be linked to IrDA.

발향기(도시되지는 않음)는 네트워크 기반 발향 장치로써, 예컨대 시리얼 또는 지그비 방식으로 시리얼 또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코디네이터 셋으로 홈 서버와 연동을 위해 API가 지원 되어야 하며, 오디오의 제어 방식은, 예컨대 블루투스 방식으로 홈 서버와 연동을 위해 제어 모듈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The fragrance (not shown) is a network-based fragrance device, for example, a coordinator set including a serial or control module in a serial or zigbee method, and an API must be supported for interworking with a home server. It is necessary to add a control module to interface with a home server via Bluetooth.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홈 환경에서 실감 재현 공간과 분류된 자극 및 재생에 대한 구성 환경 예시도, 즉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측정 공간과 분류된 자극 및 재생에 대한 구성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공간의 외부에 장치들을 구성, 정사각형 공간의 내부로 자극을 제공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environment for sensory reproduction spaces and classified stimuli and reproduction in a ubiquitous home environ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configuration for measurement spaces and classified stimuli and reproduction config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drawing, the devices are configured outside the space to provide a stimulus to the inside of the square space.

도 4를 참조하면, 공간의 내부 한쪽면(이하 전면)에는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 예를 들면 프로젝션 스크린이 위치해서 몰입영상을 제공하며, 공간의 상부에는 0~1000 룩스(lux)까지의 조도 제어가 가능한 조명을 다수 설치함으로써 다양한 조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다. 공간의 좌우 면에는 온도조절장치로서 에어컨과 히터를 각각 설치하여 빠른 시간 내에 측정 공간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정 공간의 후방에는 강한 풍량의 선풍기를 통해 내부 공간에 바람을 제공하며 발향 물질을 통해 내부 공간에 향기를 풍기게 한다.Referring to FIG. 4, an image display means, for example, a projection screen is locate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space (hereinafter, a front surface) to provide immersive images, and illumination control from 0 to 1000 lux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space. By installing as many lights as possible, it is possible to adjust various illumination level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pace may be configured to enable the temperature control of the measurement space in a short time by installing an air conditioner and a heater as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respectively. At the rear of the measurement space, a strong fan is used to provide wind to the interior space, and a fragrance material is used to scent the interior space.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측정 환경은 한 변이 일정 길이, 예컨대 2.4m인 입방체, 즉 2.4m × 2.4m × 2.4m 크기의 정사각형 형태의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SMMD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서비스는, 실감형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거리에 따른 실감 자극의 감쇠를 최소화하기 위한 거리를 한 변으로 하는 정사각형 형태의 공간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detail, the measurement environment to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a square-shaped space having one side of a certain length, for example, 2.4m, that is, 2.4m × 2.4m × 2.4m. SMMD-based ubiquitous home media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order to provide a realistic environment, a square-shaped space having a distance on one side to minimize attenuation of sensory stimulation according to distance is provided.

이러한 공간 내에 선정되는 자극 재생 장치들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에 대한 기준은 다음과 같다.The criteria for how to configure the stimulus regeneration apparatuses selected in this space are as follows.

1) 실감 재생시 참여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는 1명이다.1) Only one user can participate in sensory playback.

2) 장면 자극요소는 재생공간의 한 면을 영사공간으로 사용한다.2) The scene stimulus element uses one side of the playback space as the projection space.

3) 조명 재생장치의 위치는 사용자의 머리 위에 위치하고 사용자를 향해 빛을 재생한다.3) The position of the light reproducing apparatus is located above the user's head and reproduces the light toward the user.

4) 바람 재생장치는 사용자의 주위 4방향에 위치하고 사용자를 향해 바람을 재생한다.4) The wind reproducing apparatus is located in four directions around the user and reproduces the wind toward the user.

5) 온도 재생장치는 공간 밖의 본체가 위치하고 공간 내부를 향해 냉, 온풍을 재생함으로써 온도를 조절한다.5) The temperature regeneration device adjusts the temperature by placing the main body outside the space and regenerating cold and warm air toward the interior of the space.

6) 온도 재생장치가 재생하는 바람은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한다.6) The wind regenerated by the temperature regeneration device should not directly touch the user.

7) 냄새 재생장치에서 분사되는 냄새 요소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한다.7) The odor element sprayed from the odor regeneration device should not directly touch the user.

도 4는 이와 같은 공간의 측정 공간을 나타낸 것으로, 현재 검은 천을 통해 주위공간과 격리되어 있으며 정사각형 공간의 내부에 사용자가 위치하고, 공간의 외부에 장치들을 구성, 정사각형 공간의 내부로 자극을 제공하는 구조를 지닐 수 있다.4 shows a measurement space of such a space, which is currently isolated from the surrounding space through a black cloth, where the user is located inside the square space, and the devices are configured outside the space to provide a stimulus into the square space. It can have.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자극들은 그 감각기관의 종류에 따라 크게 시각, 청각, 촉각, 후각으로 나누어 분류하였으며, 감각요소에 있어서 중요도와 여러 물리적 제반사항을 고려하여 도출된 자극요소들과 이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들을 통한 재생 방법 등을 나타낸다.The stimuli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are classified into visual, auditory, tactile, and olfactory senses according to the types of sensory organs, and the stimulus elements derived from consideration of importance and various physical factors in the sensory elements are reproduced. Playback method through devices for the same.

이때,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실감형 환경은, 시각 및 청각을 필수 요소로 지정하고, 촉각, 후각, 미각 등을 부가 요소로 지정할 수 있다. 즉, 시각 및 청각은 반드시 포함되나, 촉각, 후각, 미각 등의 단일 사용시에는 SMMD 기반의 실감형 재생 환경이 불가능함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시각+청각, 시각+청각+촉각, 시각+청각+후각, 시각+청각+미각, 시각+청각+촉각+후각+미각 등의 환경 요소는 본 발명에 따른 SMMD 기반의 실감형 재생 환경에 적합하고, 후각이나 촉각, 그리고 미각만이 단독으로 적용되어 재생 환경을 구현하는 경우는 실감형 재생 환경에서 제외시켰다.In this case, the sensory environment applied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designate visual and auditory as essential elements, and designate tactile sense, smell, taste, and the like as additional elements. That is, although visual and auditory are necessarily included, it can be seen that the SMMD-based realistic playback environment is impossible in a single use such as touch, smell, and taste. For example, environmental elements such as visual + auditory, visual + auditory + sense, visual + auditory + sense of smell, visual + auditory + taste, visual + auditory + sense of sense + sense of smell, etc. Only the sense of smell, touch, and taste were applied alone to create a reproduction environment, which was excluded from the realistic reproduction environment.

한편, 시각적인 요소에서 장면에 대한 재생 방법은 장면 정보(재생화면)와 조명 정보(밝기)를 제공한다. 예컨대, 프로젝터를 이용하는 몰입형 영상 재생 장치로 2000~3000 ANSI의 재생이 가능한 장면 재생 장치와, 0~1000 룩스(lux)까지의 조도 제어가 가능한 조명 제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시각적인 자극 요소를 재현하기 위해, 실제 촬영된 낮의 바닷가 백사장과 같이 야외 경치에 대한 영상의 밝기가 2500 ANSI ~3000 ANSI 이상인 미디어의 재현을 위한 조도는 800 룩스(lux) 이상, 평상시 사무실의 실내 또는 맑은 날 녹차밭와 같이 1800 ANSI ~ 2000 ANSi 범위의 밝기 일때는 600 룩스(lux) 이상의 빛과 그에 따른 열을 제공하고, 조명을 사용자에게 집중시켜 제공하며 미디어의 장면에 대한 자극의 변화에 따라 조명을 디밍(Dimming) 한다. 밤의 길거리 장면과 같이 1000 ANSI ~1800 ANSI의 밝기 범위일 때에는 10 룩스 ~ 400 룩스(lux)의 빛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playback method for the scene in the visual element provides scene information (playback screen) and lighting information (brightness). For example, an immersive image reproducing apparatus using a projector may include a scene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playing 2000 to 3000 ANSI, and an illumination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illuminance from 0 to 1000 lux. In order to reproduce the visual stimulus, illuminance for the reproduction of media whose image brightness for outdoor scenery is 2500 ANSI to 3000 ANSI or more, such as the actual white sand beach of daytime, is 800 lux or more, which is usually used in the interior of an office. Or, on a sunny day, such as a green tea plantation, when the brightness is in the range of 1800 ANSI to 2000 ANSi, it provides more than 600 lux of light and its heat, focuses the lighting on the user, and lights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timulus of the media scene. Dimming It is defined to provide light of 10 lux to 400 lux in the brightness range of 1000 ANSI to 1800 ANSI, such as a night street scene.

청각적인 요소에서 소리에 대한 재생 방법은, 예컨대 5.1채널 이상의 음원 재생이 가능한 스피커 장치를 좌, 우, 전, 후에 배치하여 음원 객체에 대한 3D 음향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 스테레오 이상의 음원 확보를 통해 실감적인 소리 재생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면에 대한 자극에 대해 물체들의 변화에 따라 파도소리, 갈매기 소리 등의 특정 소리를 3D 음향(sound)을 통해 방향성 있게 제공한다.In the auditory element, the playback method for sound includes, for example, arranging speaker devices capable of playing sound sources of 5.1 channels or more, left, right, front, and rear so that 3D sounds of sound objects can be reproduced. It can be configured as an ordinary sound reproduction device. Accordingly, in response to changes in objects, specific sounds, such as waves and seagulls, are directionally provided through 3D sound.

촉각적인 요소에서 장면에 대한 자극과 바람 자극의 변화에 따라 제공되는 진동에 대한 재생 방법은 진동의자를 이용하는 전신 진동의자로 구성하고, 온도에 대한 재생은 에어컨, 히터를 이용하는 비교적 빠른 시간 내의 온도 조정을 위해 5~30℃까지의 온도 조절이 용이한 장치들로 구성하였다. In the tactile factor, the method of reproducing vibration provided by the change of the stimulus and the wind stimulus for the scene is composed of a whole body vibration chair using a vibration chair, and the regeneration of temperature is controlled within a relatively fast time using an air conditioner or a heater. It is composed of devices that can easily control the temperature up to 5 ~ 30 ℃.

상기 진동 의자는 오디오 출력 단자를 이용하여 음향의 크기에 따라 진동이 조절되고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제공되는 장면에 대한 자극과 상기 풍량 조절기로부터의 풍량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에게 진동을 제공한다.The vibrating chair adjusts the vibration according to the volume of sound using an audio output terminal, and provides vibration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stimulus of the scene provided by the image display means and the change of the air volume from the air volume controller.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입방체 공간 환경의 좌우 면에 설치되어 5℃ ~ 30 ℃ 범위에서 상기 입방체 공간 환경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되, 상기 사용자가 실감 가능한 온도 분위기를 더운 온도, 추운 온도 및 시원한 온도로 구분하여 설정한 후 상기 온도 분위기의 종류별로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더운 온도를 느끼는 온도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인지하기 시작하기 전에 느꼈던 온도(이하 최초 온도)보다 5℃ 내지 10℃ 범위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추운 온도를 느끼는 온도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최초온도보다 5℃ 내지 10℃ 범위의 온도를 하강시키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시원한 온도를 느끼는 온도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최초 온도에서 7℃ 내지 10℃ 범위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상기 최초 온도로 하강시켜 상기 최초 온도로부터 ±2℃ 범위로 변화시키게 된다.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ube space environment to adjus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ube space environment in the range of 5 ℃ ~ 30 ℃, the temperature atmosphere that the user can feel the hot temperature, cold temperature and cool temperature After setting separately, it is provided for each type of temperature atmosphere. In order to provide a temperature atmosphere in which the user feels the hot temperature, a temperature in a range of 5 ° C. to 10 ° C. is raised from a temperature sensed before the user starts to recogniz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itial temperature), and the user feels the cold temperature. In order to provide an atmosphere, the temperature is lowered in the range of 5 ° C. to 10 ° C. than the initial temperature, and in order to provide a temperature atmosphere in which the user feels the cool temperature,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in the range of 7 ° C. to 10 ° C. at the initial temperature. The temperature is lowered to the original temperature and changed from the initial temperature to ± 2 ° C.

또한, 바람 요소에 대한 재생은 선풍기를 이용하여 5m/s(건들바람)로 풍량 조절이 가능한 장치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풍량의 세기에 대한 영역을 정의하기 위해 약미풍은 0m/s~2.5m/s(무풍 ~ 남실바람), 미풍은 1.25m/s~2.5m/s(실바람 ~ 남실바람)로 풍량 세기를 정의하고, 약풍은 2.5m/s~3.76m/s(남실바람 ~ 산들바람), 강풍은 3.76m/s 이상으로 풍량 세기를 정의하였다.In addition, the regeneration of the wind element may be composed of a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air volume at 5 m / s (wind) using a fan. Accordingly, in order to define the area for the intensity of the air volume, the weak breeze is 0m / s to 2.5m / s (non-wind-southern wind), and the breeze is 1.25m / s to 2.5m / s (wind to southern wind). The intensity was defined, the weak wind was 2.5m / s ~ 3.76m / s (Nambar ~ breeze), and the strong wind was 3.76m / s or more.

후각적인 요소에서 상기 발향 장치는 발향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화면 정보에 따라서 각기 다른 향기를 상기 풍량 조절기를 통해 상기 입방체 공간 내부로 제공한다.In the olfactory element, the fragrance apparatus provides a different fragrance into the cube space through the air volum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screen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image display means using the fragrance material.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홈 미디어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홈 서버의 소프트웨어 구성 예시도로서, 브라이징부(500), 동기 제어부(502), ne-미디어 파싱(parcing)부(504), 네오데이터(neo data) 분석부(506), 미디어 재생부(508), 디바이스 제어부(510)를 포함한다. 여기서, 브라우징부(500)와 동기 제어부(502)는 메인 프로세싱부(1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ne-미디어 파싱부(504)와 네오데이터 분석부(506) 및 미디어 재생부(508)는 미디어 디코딩부(102)에 포함될 수 있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oftware configuration of a home server for implementing a home media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zing unit 500, the synchronization controller 502, the ne-media parsing unit 504, and neo It includes a data analysis unit 506, a media playback unit 508, and a device controller 510. Here, the browsing unit 500 and the synchronization controller 502 may be included in the main processing unit 100, and the ne-media parser 504, the neo data analyzer 506, and the media playback unit 508 may be media. It may be included in the decoding unit 102.

ne-미디어 재현을 위한 기능 구성은 브라우징부(500), ne-미디어 파싱부(504), 네오데이터 분석부(506), 동기 제어부(502), 미디어 재생부(508) 등을 통해 디바이스 제어부(510)의 제어 과정을 거쳐 ne-미디어가 재현된다.The function configuration for ne-media reproduction is performed by the device controller (eg, through the browsing unit 500, the ne-media parser 504, the neo data analyzer 506, the synchronization controller 502, the media playback unit 508, etc.). The ne-media is reproduced through the control process of 510.

ne-미디어 재현을 위한 기능들의 동작 원리 및 기능 흐름은 ne-미디어 서비스를 받기 위하여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GUI) 및 사용자 입력에 따른 각 기능 모듈과 상호 연동하는 브라우징부(500)를 통해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The operation principle and function flow of functions for ne-media reproduction is to select a service through a browsing unit 500 interoperating with each function module according to a user input / output interface (GUI) and a user input in order to receive a ne-media service. Starts with.

브라우징부(500)를 통해 선택된 미디어 정보와 함께 ne-미디어 서비스가 동기 제어부(502)로 요청되면, 동기 제어부(502)는 홈 미디어 서비스 장치의 상호 동작을 관할하며, 미디어 및 각 디바이스들의 구동 동기를 제어하고, 홈 미디어 서비스 장치 내의 디바이스들의 리스트 및 상태를 점검하여 홈 미디어 서비스 장치 내의 디바이스 리스트를 확보한다.When the ne-media service is requested to the synchronization control unit 502 together with the media information selected through the browsing unit 500, the synchronization control unit 502 manages the interaction of the home media service apparatus and synchronizes the driving of the media and the devices. Control the device, and check the list and status of devices in the home media service apparatus to obtain a device list in the home media service apparatus.

또한, 동기 제어부(502)는 브라우징부(500)로부터 요청되는 ne-미디어, 예를 들면 디바이스 제어 정보가 포함된 A/V 미디어에 대해 각 객체별로 파싱하도록 ne-미디어 파싱부(504)를 제어하며, 네오데이터 분석부(506)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ne-미디어 파싱부(504)를 통해 파싱된 ne-미디어를 홈 미디어 서비스 장치에서 분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synchronization controller 502 controls the ne-media parser 504 to parse ne-media requested from the browsing unit 500, for example, A / V media including device control information for each object. In addition, the ne-media parser 504 interacts with the neo-data parser 506 to control the ne-media parsed through the ne-media parser 504 into a form that can be analyzed by the home media service apparatus.

또한, 동기 제어부(502)는 미디어와 연동될 디바이스들을 초기화시키고, 미디어 재생을 시작하는 시간과 함께 미디어 재생 및 디바이스 구동 시작 명령을 발생한다.In addition, the synchronization controller 502 initializes devices to be linked with the media, and generates a media playback and device driving start command along with a time for starting media playback.

ne-미디어 파싱부(504)는 ne-미디어를 객체 단위의 파싱된 결과로 구성하고, 파싱된 ne-미디어를 버퍼링하며, ne-미디어의 재생 및 디코딩 기능을 담당한다. 이러한 ne-미디어 파싱부(504)를 통한 ne-미디어는, 동기 제어부(502)와 상호 연동 하여 동작하는 미디어 재생부(508)와, ne-미디어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는 네오데이터 분석부(506)로 제공된다.The ne-media parsing unit 504 configures the ne-media as a result of parsing the object unit, buffers the parsed ne-media, and plays a function of playing and decoding the ne-media. The ne-media through the ne-media parsing unit 504 is configured in a form that can be used in the system by analyzing the data of the ne-media and the media player 508 operating in cooperation with the synchronization control unit 502. The neo data analysis unit 506 is provided.

네오데이터 분석부(506)는 ne-미디어에서 바이너리(binary) 형태의 데이터로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른 네오데이터 정보를 테이블로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네오데이터 정보는, ne-미디어 파싱부(504)와 네오데이터 분석부(506)의 상호 동작을 관할하며 미디어 및 각 디바이스의 구동 및 동기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동기 제어부(502)로 전달된다.The neo data analyzer 506 analyzes binary data in ne-media, and organizes the neo data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into a table. The neo data information is transferred to the synchronization controller 502 that control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ne-media parser 504 and the neo data analyzer 506 and is responsible for driving and synchronizing control functions of the media and each device.

미디어 재생부(508)는 ne-미디어 파싱부(504)로부터 파싱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며, 동기 제어부(502)로부터 미디어 재생 시작 명령을 기다린다. 즉, 미디어 재생부(508)는 미디어 재생 시작시간에 대응하여 동기 제어부(502)로부터 미디어 재생 시작 명령 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ne-미디어의 재생을 시작한다.The media player 508 buffers the data parsed from the ne-media parser 504 and waits for a media playback start command from the sync controller 502. That is, the media player 508 starts playback of the ne-media when a media playback start command signal is provided from the synchronization controller 502 in response to the media playback start time.

디바이스 제어부(510)는 홈 미디어 서비스 장치에 연결된 디바이스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디바이스 제어부(510)는 구동 디바이스, 구동 시간 및 인터페이스를 확인하고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인터페이스 정합을 수행하여 해당 디바이스로 제어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The device controller 510 generates a devic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devices connected to the home media service apparatus. The device controller 510 checks the driving device, the driving time and the interface, performs interface matching with the corresponding device, and sends a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device.

이에 따라 미디어 디코딩부(102)는 A/V 디바이스를 플레이 하고, 디바이스 제어부(510)는 해당 디바이스를 구동시킨다.Accordingly, the media decoding unit 102 plays the A / V device, and the device control unit 510 drives the corresponding device.

디바이스 제어부(510)는, SMMD 시스템에서 제어할 수 있는 각각의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코드 및 값들을 관리하며, 같은 타입의 여러 디바이스에 대한 속성을 분석하여 클래스를 정의하고 정규화시키고, 속성 정보들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 다. 또한, 디바이스 제어부(510)는 SMMD 시스템에서 ne-미디어 재현시 연동될 디바이스 맵핑 과정에서 속성 정보 분석을 이용하여 최적의 디바이스를 매핑시켜 연동 및 구동되도록 한다.The device controller 510 manages control codes and values for each device that can be controlled by the SMMD system, and analyzes attributes of various devices of the same type to define and normalize classes, and manage attribute information. Provide the function. In addition, the device controller 510 maps an optimal device using attribute information analysis in a device mapping process to be interworked when ne-media is reproduced in an SMMD system to be linked and drive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비쿼터스 홈 환경에서 SMMD 기반 실감 미디어 재현을 위한 디바이스 및 환경 구성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여러 개의 디바이스를 동시에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감 있는 미디어 재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a device and environment configuration apparatus for SMMD-based realistic media reproduction in the ubiquitous home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alistic media reproduction service to the user by driving a plurality of devices at the same tim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특징이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며, 또한 이로부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 변형으로도 운용 가능함을 주지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n addition,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in various modific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SMMD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 블록도,1 is a schematic structural block diagram of a system apparatus for an SMMD-based ubiquitous home media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시스템 장치가 적용되는 SMMD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서비스의 하드웨어 예시도,2 is an exemplary hardware diagram of an SMMD-based ubiquitous home media service to which the system device of FIG. 1 is applied.

도 3은 도 1의 시스템 장치가 적용되는 SMMD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서비스의 하드웨어에서 디바이스들 간의 접속 체계 및 인터페이스 구현 예시도,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plementation of a connection scheme and an interface between devices in hardware of an SMMD-based ubiquitous home media service to which the system apparatus of FIG. 1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유비쿼터스 홈 환경에서 실감 재현 공간과 분류된 자극 및 재생에 대한 구성 환경 예시도,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figuration environment for stimulus and reproduction classified into a realistic reproduction space in a ubiquitous home environ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SMMD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홈 서버의 소프트웨어 구성 예시도.5 is an exemplary software configuration of a home server for explaining the SMMD-based ubiquitous home media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기 설정 길이의 변을 갖는 입방체 공간 내에 1명의 사용자를 위해 구비되는 유비쿼터스 홈 환경에서의 단일 미디어의 다중 디바이스(Single-Media Multi-Device : SMMD)를 기반으로 하는 실감 미디어 재현 방법으로서,As a realistic media reproduction method based on a single-media multi-device (SMMD) of a single media in a ubiquitous home environment provided for one user in a cube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side, 상기 기설정 길이는 거리에 따른 실감 자극의 감쇠를 최소화하기 위한 거리이고,The preset length is a distance for minimizing the attenuation of sensory stimulus with distance, 상기 단일 미디어는 동영상, 오디오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미디어에 디바이스 제어 정보 및 동기화 정보를 추가한 새로운 구조의 ne-미디어이고,The single media is a ne-media of a new structure in which device control information and synchronization information are added to media including video, audio, or text, 상기 다중 디바이스는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 조명 기기, 스피커, 온도조절장치, 풍량 조절기, 발향 장치 및 진동 의자를 포함하며,The multi-device includes a video display means, a lighting device, a speaker, a thermostat, an air volume regulator, a fragrance apparatus and a vibrating chair,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입방체 공간의 전면에 위치하여 2000ANSI ~ 3000 ANSI 범위의 영상의 밝기를 제공하고, The image display means is located in front of the cube space to provide the brightness of the image in the range of 2000 ANSI ~ 3000 ANSI, 상기 조명 기기는 상기 입방체 공간의 상부에 위치하여 0 룩스 ~1000 룩스의 범위에서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의 밝기에 따라 단계별로 조도를 조절한 조명을 사용자에게 집중시켜 제공하고,The lighting device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ube space and provides a concentrated illumination to the user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image display means in the range of 0 lux ~ 1000 lux, 상기 스피커는 5.1 채널 이상의 음원 재생이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입방체 공간의 좌측, 우측,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입방체 공간의 내부에 3D 음향을 제공하고, The speaker is capable of reproducing a sound source of 5.1 channels or more, and is disposed at the left, right,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ube space to provide 3D sound inside the cube space. 상기 온도조절장치는 상기 입방체 공간의 좌우 면에 설치되어 5℃ ~ 30 ℃ 범위에서 상기 입방체 공간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되, 상기 사용자가 실감 가능한 온도 분위기를 더운 온도, 추운 온도 및 시원한 온도로 구분하여 설정한 후 상기 온도 분위기의 종류별로 제공하고,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is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ube space to adjus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ube space in the range of 5 ℃ ~ 30 ℃, by dividing the temperature atmosphere that the user can feel the hot temperature, cold temperature and cool temperature After setting is provided by the type of the temperature atmosphere, 상기 풍량 조절기는 풍량의 세기를 0 m/s ~ 5m/s의 범위 내에서 풍량 세기의 특정 구간별로 정의되어 설정되는 풍량의 종류별로 상기 입방체 공간의 내부로 풍량을 제공하며, The air volume regulator provides the air volume to the inside of the cube space by the type of air flow rate is defined and set for each specific section of the air flow intensity within the range of 0 m / s to 5 m / s, 상기 진동 의자는 오디오 출력 단자를 이용하여 음향의 크기에 따라 진동이 조절되고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에서 제공되는 장면에 대한 자극과 상기 풍량 조절기로부터의 풍량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에게 진동을 제공하며 The vibrating chair adjusts the vibration according to the volume of sound using an audio output terminal and provides vibration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stimulus for the scene provided by the image display means and the change of the air volume from the air volume controller. 상기 발향 장치는 발향 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화면 정보에 따라서 각기 다른 향기를 상기 풍량 조절기를 통해 상기 입방체 공간의 내부로 제공하는The fragrance apparatus provides a different fragrance into the cube space through the air volume controller according to the screen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image display means using a fragrance material. 유비쿼터스 홈 환경에서의 단일 미디어 다중 디바이스 기반 실감 미디어 재현 방법.Single Media Multi-Device Based Realistic Media Reproduction Method in Ubiquitous Home Environment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설정 길이의 변을 갖는 입방체 공간은 2.4m x 2.4m x 2.4m의 정사각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 쿼터스 홈 환경에서의 단일 미디어 다중 디바이스 기반 실감 미디어 재현 방법.The cubic space having sides of the predetermined length is a square form of 2.4m x 2.4m x 2.4m single media multi-device based sensory media reproduction method in a ubiquitous home environmen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조명 기기는 The lighting device 2500 ANSI ~3000 ANSI 범위에 대한 영상 밝기 재현을 위한 조도는 800 룩스~1000룩스, 1800 ANSI ~ 2000 ANSI 범위의 영상 밝기 재현을 위한 조도는 500룩스 ~ 700룩스, 1000 ANSI~1800 ANSI 범위의 영상 밝기 재현을 위한 조도는 10룩스 ~ 400룩스의 빛을 제공하는 조명 기기인 유비 쿼터스 홈 환경에서의 단일 미디어 다중 디바이스 기반 실감 미디어 재현 방법. Illuminance for image brightness reproduction in the 2500 ANSI to 3000 ANSI range is 800 lux to 1000 lux, illuminance for image brightness reproduction in the 1800 ANSI to 2000 ANSI range is 500 lux to 700 lux and image brightness in the range of 1000 ANSI to 1800 ANSI The illuminance for reproduction is a single media multi-device based realistic media reproduction method in the ubiquitous home environment, which is a lighting device that provides light from 10 lux to 400 lux.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사용자가 상기 더운 온도를 느끼는 온도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최초온도보다 5℃ 내지 10℃ 범위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In order to provide a temperature atmosphere in which the user feels the hot temperature, a temperature in a range of 5 ° C. to 10 ° C. is raised from the initial temperature, 상기 사용자가 상기 추운 온도를 느끼는 온도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최초온도보다 5℃ 내지 10℃ 범위의 온도를 하강시키고,In order to provide a temperature atmosphere in which the user feels the cold temperature, a temperature of 5 ° C to 10 ° C is lowered than the initial temperature, 상기 사용자가 상기 시원한 온도를 느끼는 온도 분위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최초 온도에서 7℃ 내지 10℃ 범위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상기 최초 온도로 하강시켜 상기 최초 온도로부터 ±2℃ 범위로 변화시키는 In order to provide a temperature atmosphere in which the user feels the cool temperature, a temperature of 7 ° C. to 10 ° C. is raised from the initial temperature and then lowered to the initial temperature to be changed to ± 2 ° C. from the initial temperature. 유비 쿼터스 홈 환경에서의 단일 미디어 다중 디바이스 기반 실감 미디어 재 현 방법. A method for reproducing sensory media based on single media and multiple devices in a ubiquitous home environmen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풍량의 종류는 상기 풍량의 세기가 각각 0m/s ~ 2.5m/s인 약미풍,The type of air volume is a weak breeze, the strength of the air volume is 0m / s to 2.5m / s, respectively, 1.25m/s ~ 2.5m/s인 미풍, 2.5m/s ~ 3.76m/s인 약풍 및 3.76m/s ~ 5m/s 범위인 강풍으로 설정되는 유비 쿼터스 홈 환경에서의 단일 미디어 다중 디바이스 기반 실감 미디어 재현 방법. Single media multi-device based experience in a ubiquitous home environment set with breezes from 1.25 m / s to 2.5 m / s, mild winds from 2.5 m / s to 3.76 m / s, and strong winds ranging from 3.76 m / s to 5 m / s How to reproduce media.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비쿼터스 홈 환경에서의 단일 미디어 다중 디바이스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서비스 방법으로서,A single media multi-device based ubiquitous home media service method in a ubiquitous home environment providing multimedia services, 상기 유비쿼터스 홈 환경 내의 디바이스들의 개체 및 상태를 점검하여 상기 유비쿼터스 홈 환경 내의 디바이스 리스트를 확보하는 과정과,Checking a device and a state of devices in the ubiquitous home environment to obtain a device list in the ubiquitous home environment;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ne-미디어의 서비스가 요청되면 상기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상기 ne-미디어 및 상기 유비쿼터스 홈 환경 내의 다수의 디바이스들의 구동 동기를 제어하는 과정과,If the ne-media service is requested through a user input / output interface, controlling driving synchronization of a plurality of devices in the ne-media and the ubiquitous home environment selected through the user input / output interface; 상기 ne-미디어를 객체 단위의 파싱된 결과로 구성하고, 파싱된 ne-미디어를 버퍼링하는 과정과,Configuring the ne-media as a result of parsing the object unit, and buffering the parsed ne-media; 버퍼링된 상기 ne-미디어의 객체를 바이너리 형태의 데이터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른 환경 정보에 대응하는 네오데이터 정보를 테이블로 구성하는 과정과,Analyzing the buffered ne-media object as binary data and organizing neo data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nvironment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nto a table; 미디어 재생 시작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ne-미디어의 재생을 시작하되, 상기 네오데이터 정보에 따라 실제 환경에서 제공되는 자극 정보에 상응하는 자극을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에게 제공하는 과정Starting playback of the ne-media in response to a media playback start time, and providing the plurality of devices with stimuli corresponding to stimulus information provided in a rea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neo data information; 을 포함하는 단일 미디어 다중 디바이스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서비스 방법.Ubiquitous home media service method based on a single media multi-device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단일 미디어 다중 디바이스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서비스 방법은,The single media multi-device based ubiquitous home media service method, 기 설정 길이의 변을 갖는 입방체 공간 환경에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미디어 다중 디바이스 기반 유비쿼터스 홈 미디어 서비스 방법.A single media multi-device based ubiquitous home media service method, which is implemented in a cubic space environment having sides of a preset length.
KR1020080064742A 2007-12-03 2008-07-04 Ubiquitous home media reproduction method and service method based on single media and multiple devices KR10093469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164 2007-12-03
KR20070124164 2007-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878A KR20090057878A (en) 2009-06-08
KR100934690B1 true KR100934690B1 (en) 2009-12-31

Family

ID=4098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742A KR100934690B1 (en) 2007-12-03 2008-07-04 Ubiquitous home media reproduction method and service method based on single media and multiple devi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469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7672A (en) * 2009-12-30 2011-07-07 전자부품연구원 Virtual reality capsule system
KR101443427B1 (en) * 2011-11-14 2014-09-2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realizing 4D effects for home media service
KR101305735B1 (en) * 2012-06-15 2013-09-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f tactile effect
KR102201732B1 (en) * 2013-09-26 2021-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108A (en) * 2001-11-28 2003-06-0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Method and System for circumstances while watching TV
KR20050116916A (en) * 2004-06-09 2005-12-14 레이디오펄스 주식회사 Method for creating and playback of the contents contain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playback apparatus thereof
KR20080048308A (en) * 2006-11-28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linking a basic device and extended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108A (en) * 2001-11-28 2003-06-0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Method and System for circumstances while watching TV
KR20050116916A (en) * 2004-06-09 2005-12-14 레이디오펄스 주식회사 Method for creating and playback of the contents containing environment information and playback apparatus thereof
KR20080048308A (en) * 2006-11-28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linking a basic device and extended devic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카달로그: TTA Journal(2007.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7878A (en) 2009-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635B1 (en) Sensory Effect Media Generating and Consum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650416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078641B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media application by using metadata for sensory device
KR1016674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esentation of sensory effect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 medium on which sensory device capabilities metadata is recorded
US8576340B1 (en) Ambient light effects and chrominance control in video files
US201101888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sing sensory effects
US201002687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esenting sensory effects using sensory device capability metadata
KR20030021251A (en) A real-world representation system and language
Jalal et al. Enhancing TV broadcasting services: A survey on mulsemedia quality of experience
KR100934690B1 (en) Ubiquitous home media reproduction method and service method based on single media and multiple devices
JP3184429U (en) Environment control device and video / audio playback device
CN111123851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ic equipment according to user emotion
CN104320735A (en) Sound box internally provided with projection module and projection curtain
CN113055662A (en) Interactive light art device of AI
JP2004520919A (en) Markup language compatible device and device operation method
JP2004520918A (en) Manipulating a set of devices
US20240032180A1 (en) Remote live scene control system, methods, and techniques
CN111223174B (en) Environment rendering system and rendering method
KR102295432B1 (en) System for providing media art
CN111225233A (en) Multi-dimensional environment rendering system and rendering method
JP2023552952A (en) voice emulation
Jalal et al. Experimental setup for IoT—Based multi sensorial media
Casas et al. Romot: A robotic 3D-movie theater allowing interaction and multimodal experiences
CN100388778C (en) Selectable real-world representation system descriptions
KR2014005104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alistic broadca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