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115B1 - 압전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음향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압전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음향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7115B1
KR100927115B1 KR1020070059106A KR20070059106A KR100927115B1 KR 100927115 B1 KR100927115 B1 KR 100927115B1 KR 1020070059106 A KR1020070059106 A KR 1020070059106A KR 20070059106 A KR20070059106 A KR 20070059106A KR 100927115 B1 KR100927115 B1 KR 100927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vibrator
upper folder
support member
piezoelectric
acou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0402A (ko
Inventor
이재석
고관호
정승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070059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7115B1/ko
Publication of KR20080110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0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7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7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R17/005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using a piezoelectric poly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03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using a piezoelectric bender, e.g. bimorp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9/00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 G10K9/1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 G10K9/122Devices in which sound is produced by vibrating a diaphragm or analogous element, e.g. fog horns, vehicle hooters or buzzers electrically operated using piezoelectric driving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 H10N30/872Interconnections, e.g. connection electrodes of multilayer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전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음향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전력으로 높은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압전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음향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압전진동자는 음향발생장치에 적용되는 압전진동자로서, 음향발생패널에 부착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일측면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고, 두 층 이상으로 구비되되 각 층 사이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압전소자, 및 압전소자의 각 층 사이에 구비되는 진동완충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전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음향발생장치{PIEZOELECTRIC VIBRATOR AND SOUND GENERATOR USING THE SAME}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음향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자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자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자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자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7은 도6의 저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압전진동자와 음향발생패널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9는 일반적인 압전소자(밴더형)의 분극방향과 전압의 인가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10은 바이몰프형 압전소자의 분극방향과 전압의 인가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도11은 압전소자에 +전압을 인가하였을 경우의 변형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12는 압전소자에 -전압을 인가하였을 경우의 변형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13은 음향발생패널에 홈이 형성된 경우와 홈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의 압전진동자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자가 적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일부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자가 적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 17는 도 16의 일부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자가 적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일부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자가 적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일부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자가 적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5실시예의 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일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압전진동자 12: 지지부재
14, 16: 압전소자 18: 진동완충재
20: 음향발생패널 30: 금속부재
100: 음향발생장치
본 발명은 압전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음향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전력으로 높은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압전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음향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향발생장치는 얇은 금속 박판에 압전소자를 부착하여 금속판 자체의 진동에 의해 음파를 발생시키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음향발생장치의 경우 압전소자와 진동판의 크기가 커야 하기 때문에 소형의 휴대용 음향기기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역대의 음압이 매우 낮으므로 음향 특성이 좋지 못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형태의 압전 스피커의 경우 폴리머와 같은 패널(1d)에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b)의 양쪽 측면부에 압전소자(1a)가 부착된 형태의 압전진동자를 부착하고 패널(1d)의 일면이 공기에 노출되도록 패널(1d)과 압전소자를 금속부 재(1c)로 둘러싸서 패널(1d)의 공진모드에 해당하는 진동을 패널(1d)에 인가하여 음압을 발생시키는 형태의 음향발생장치(1)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압전 진동자의 경우 지지대에서 발생되는 힘이 패널의 법선 방향으로만 나타나게 되므로 부착된 위치가 패널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으면 높은 음압과 음질을 얻을 수가 없다.
휴대폰이나 PDA, PMP와 같은 휴대용 음향기기의 경우 가장 넓은 면적의 패널이 사용되는 부품은 LCD화면보호용 렌즈인데 이러한 부위의 경우 LCD의 화면에 시야를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렌즈의 중심에 진동자를 부착할 수가 없으므로 그 용도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핸드폰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통화음을 듣기 위해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방음홀 등에 근접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작은 사이즈와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고 저전력으로도 높은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압전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음향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넓은 면적의 패널에 음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압전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음향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측면을 음향발생패널로 이용하여, 음 향변환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를 통하여 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음압 및 음역을 확대시키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압전진동자는 음향발생장치에 적용되는 압전진동자로서, 음향발생패널에 부착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일측면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고, 두 층 이상으로 구비되되 각 층 사이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압전소자, 및 압전소자의 각 층 사이에 구비되는 진동완충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인 압전진동자는 음향발생장치에 적용되는 압전진동자로서, 음향발생패널에 부착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일측면에 외팔보 형태로 결합되고, 두 층 이상으로 구비되되 각 층 사이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압전소자, 및 압전소자의 각 층 사이에 금속층을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재는 음향발생패널에 부착되는 면이 그 반대면보다 넓게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재는 음향발생패널에 부착되는 면의 폭이 그 반대면의 폭 보다 좁게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재의 내부에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음향발생장치는 상술된 압전진동자와, 압전진동자가 부착되는 음향발생패널, 및 음향발생패널의 일면이 공기에 노출되도록 상기 음향발생패널 일부 및 압전진동자를 둘러싸도록 이루어진 케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음향발생패널은 홈이 형성되어 압전진동자가 홈에 삽입되어 부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술된 압전진동자와, 압전진동자가 부착되는 음향발생패널과, 압전진동자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음향발생패널과 결합되는 수용홈이 하부폴더에 대응하는 면에 형성된 상부폴더와, 상부폴더와 힌지 결합에 의해 결합된 하부폴더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술된 압전진동자와, 압전진동자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힌지 결합부가 형성된 상부폴더와, 상부폴더의 힌지 결합부에 결합되는 상부폴더 결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에 대응하는 상부폴더 결합부의 일면에 압전진동자가 부착된 힌지 조립체와, 힌지 조립체의 의해 상부폴더와 결합되는 하부폴더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술된 압전진동자와, 힌지 결합부와, 힌지 결합부 내에 압전진동자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상부폴더와, 상부폴더의 힌지 결합부에 결합되는 상부폴더 결합부가 형성된 힌지 조립체와, 힌지 조립체의 의해 상부폴더와 결합되는 하부폴더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폴더는 내부에 안착부와 접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힌지 조립체는 상부폴더 결합부 또는 힌지 결합부를 덮는 힌지 커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도2 내지 도1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압전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음향발생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자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자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전진동자(10)는 지지부재(12)와, 압전소자(14,16), 및 진동완충재(18)를 포함한다.
지지부재(12)는 음향발생패널(20)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이 음향발생패널(20)에 부착되는 하면(12b)이 상면(12a)보다 넓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것은 하면(12b)과 음향발생패널(20) 간의 평행을 이루지 쉽게 하여 조립성이 향상되고, 압전소자(14,16)의 진동이 넓은 하면(12b)을 통하여 전달되도록 하여 진동 전송 시의 손실이 줄어든다.
압전소자(14,16)의 일 단축부분은 지지부재(12)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압전소자(14,16)의 장축부분은 지지부재(12)에 결합되지 않도록 되며, 일종의 외팔보 형태(cantilever)로 결합되고, 두 층 이상으로 구비되되 각 층 사이는 소정간격으 로 이격된다. 이 압전소자(14,16)는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게 되어, 압전소자(14,16)는 상하진동하게 되며, 이 상하진동이 지지부재(12)의 비틀림 변형을 야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압전소자(14,16)를 외팔보 형태로 지지부재(12)에 결합함으로써 음향발생패널(20)에 전달되는 힘(즉, 진동)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고, 복수의 외팔보 형태의 압전소자(14,16)를 발포성 재질로 이격시킨 후 지지부재(12)에 접착하면 음압의 평탄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압전소자(14,16)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전극(14a,16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압전소자(14)와 압전소자(16)의 크기는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르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진동완충재(18)는 복수의 압전소자(14,16) 사이에 구비되어 압전소자(14,16)의 진동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진동완충재(18)는 발포성 재질로 압전소자(14,16)를 접착하여 음압의 평탄도를 상승시킨다. 진동완충재(1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소자(14,16)의 면적보다 작을 수도 있고, 진동완충재(18)의 높이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음향발생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2), 압전소자(14,16), 및 진동완충재(18)를 포함하는 압전진동자(10)와, 압전진동자가 부착되는 음향발생패널(20), 및 음향발생패널(20)의 일면이 공기에 노출되도록 음향발생패널 일부 및 압전진동자(10)를 둘러싸도록 이루어진 금속부재(30)를 포함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자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압전진동자(10a)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압전진동자(10)와 마찬가지로, 지지부재(12), 압전소자(14,16), 및 진동완충재(18)를 포함한다. 또한, 음향발생패널(20)에 부착되는 지지부재(12)는, 이 음향발생패널(20)에 부착되는 하면(12b)이 상면(12a)보다 넓게 이루어진다. 또한, 지지부재(12)는 양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12c)을 구비하여, 압전소자(14,16)의 상하 진동에 의한 비틀림 변형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관통홀(12c)에 의해, 압전소자(14,16)의 진동에 대한 반발력이 증대되고, 이 반발력은 힘을 상승시키고, 그에 따라 음압이 상승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자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7은 도6의 저면도이다.
압전진동자(10b)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압전진동자(10)와 마찬가지로, 지지부재(12)와, 압전소자(14,16), 및 진동완충재(18)를 포함한다. 또한, 음향발생패널(20)에 부착되는 지지부재(12)는, 이 음향발생패널에 부착되는 하면(12b')의 폭이 상면(12a)의 폭 보다 좁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지지부재(12)에서 비틀림 변형의 힘이 보다 쉽게 발생되도록 하여 음압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하면(12b')은 상술된 하면(12b)와 비교하면, 압전소자(14,16)의 장축 방향으로는 그 길이가 동일하나, 압전소자(14,16)의 단축방향으로 그 폭이 좁다. 이러한 좁아진 폭으로 인하여, 하면(12b')은 지지부재(12)의 비틀림 진동을 음향발생패널(20)에 보다 용이하게 전달한다.
상술된 압전진동자(10, 10a, 10b)의 각각의 기술적 특징들은 독립적으로 또 는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음향발생장치의 다른 실시예에서 압전진동자와 음향발생패널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음향발생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2), 압전소자(14,16), 및 진동완충재(18)를 포함하는 압전진동자(10)와, 압전진동자가 부착되는 음향발생패널(20)로 이루어진다. 이 음향발생패널(20)은 홈(20a)이 형성되어 압전진동자가 이 홈(20a)에 삽입되어 부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압전진동자로부터 음향발생패널에 전달되는 힘이 증가하게 된다.
도9는 일반적인 압전소자(밴더형)의 분극방향과 전압의 인가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10은 바이몰프형 압전소자의 분극방향과 전압의 인가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11은 압전소자에 +전압을 인가하였을 경우의 변형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12는 압전소자에 -전압을 인가하였을 경우의 변형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금속 혹은 폴리머 재질의 지지부재(12)에 압전소자(14,16)를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12)의 한쪽 측면에만 부착하고 두 장의 압전소자(14,16)를 도9의 화살표와 같은 분극방향으로 하여 부착하거나, 도10과 같이 두 층 혹은 다층의 압전소자(14,16)의 중심에 금속판(30)을 삽입한 다음, 도9 및 도10과 같이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이러한 연결방식으로 압전소자(14,16)에 전압을 인가할 때 상부와 하부의 압전소자(14,16)에 부착된 전극(14a,16a)에 +의 전압이 인가되고 중심의 전극, 혹은 금속판(40)에 -의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도11과 같이 판형태의 압전소 자(14,16)에 상부방향으로 휨이 발생하게 되고 지지부재(12)에 발생되는 힘이 도 11과 같이 발생된다. 이러한 지지부재(12)에 발생되는 힘은 음향발생패널(20)에 비틀림의 응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음향발생패널(20)이 도11과 같이 휘어지는 변위가 발생되게 된다.
반대로, 도12와 같이 압전소자(14,16)에 부착된 전극에 -의 전압이 인가되고 중심의 전극, 혹은 금속판(또는 금속층)(40)에 +의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도12와 같은 화살표 방향의 힘이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힘은 도12와 같은 방향으로 음향발생패널(20)에 굽힘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변위를 주파수에 맞추어 발생시키게 되면 음향발생패널(20)의 굴곡변위에 의해 음향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소자(14,16) 사이에 금속판(40)이 삽입 장착되어, 소자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판(40)을 전극단자로 직접 이용할 수도 있어, 압전소자(14,16)의 강도와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압전소자(14,16)의 상면과 하면에 전압이 용이하게 인가되도록 한다.
도13은 음향발생패널에 홈이 형성된 경우와 홈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의 압전진동자 특성을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향발생패널에 홈이 형성된 경우 압전진동자(10, 10a, 10b)의 진동이 더 잘 전달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전소자의 진동과 음향발생패널의 공진모드를 이용함으로써 낮은 전력으로도 높은 음압을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자가 적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일부 단면도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200)는 폴더형으로 개폐되는 것으로, 상부폴더(210)와, 하부폴더(220)가 힌지 결합에 의해 결합된다. 상부폴더(210)는 하부폴더(220)를 향하는 내측면(211)에 수용홈(212)이 형성되며, 압전진동자(10)가 장착되는 음향발생패널(20)이 수용홈(212)에 결합된다. 즉, 압전진동자(10)가 수용홈(212) 내부에 삽입되고, 음향발생패널(20)이 내측면(211)에 대하여 굴곡없이 장착된다.
하부폴더(220)는 힌지(230)가 삽입되는 힌지공(미도시)이 형성된 지지부(222)를 구비한다.
힌지(230)는 상부폴더(210)의 힌지 결합부(215)와 결합되는 상부 폴더 결합부(232)를 구비하는 일종의 힌지 조립체로 구성된다.
이동 통신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미도시)와, 입력버튼부(미도시) 등은 상부폴더(210) 또는 하부폴더(220)의 내측면 또는 외면에 장착되나,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는 그 설명이 생략된다.
도 14 및 15에 도시된 압전진동자(10)와 음향발생패널(20)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부폴더(210)는 방음홀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수분 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부폴더(210) 내부로 유입되거나, 방음홀이 막히는 문제가 해결된다.
압전진동자(10)는 음향발생패널(20)에 본딩 또는 사출물로 일체화되어 부착되며, 음향발생패널(20)은 수용홈(212)의 주변에 본딩 또는 양면테이프에 의해 접착된다. 이 음향발생패널(20)은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영향을 잘 받지 않는 부분이므로, 내측면(211) 또는 상부폴더(210)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두께가 얇은 형상도 가능하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자가 적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7는 도 16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도 14 및 15와 동일한 도면 식별번호를 지니는 구성요소들은 도 14 및 15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구조 또는 기능을 수행하여, 그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이동통신단말기(200a)는 도 14 및 도 15의 수용홈(212)보다 넓은 수용홈(212a)을 지닌 상부폴더(210a)를 구비한다. 음향발생패널(20a)이 수용홈(212)을 폐쇄하는 구조이며, 수용홈(212a) 내부의 폐쇄된 공간은 공명 공간으로 사용된다. 음향발생패널(20a)이 상부폴더(210a)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므로, 음압과 음역이 넓은 잇점을 지니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자가 적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도 14 내지 17과 동일한 도면 식별번호를 지니는 구성요소들은 도 14 내지 17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구조 또는 기능을 수행하여, 그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200b)는 상부폴더(210b)와, 하부폴더(220)로 이루어진다. 상부폴더(210b)와 하부폴더(220)는 힌지(23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힌지(230)는 상부폴더(210b)의 힌지 결합부(215) 내에 형성된 결합공(213)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33)가 형성된 상부폴더 결합부(232)가 형성된다.
또한, 상부폴더(210b)와 하부폴더(220)가 힌지(230)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커버(231)가 힌지(230)의 외부에 장착된다. 특히, 힌지 커버(231)는 힌지 결합부(215) 및/또는 상부폴더 결합부(232)를 덮도록 장착되어, 그 내측에 압전진동자(10)가 외부로부터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부폴더 결합부(232)에는 압전진동자(10)가 고정 장착되어, 상부폴더(210b)는 압전진동자(10)를 수용하는 수용부(214)을 힌지 결합부(215) 내부에 구비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200b)가 조립된 상태에서, 압전진동자(10)가 힌지(230)와의 결합 이외에, 다른 구성요소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힌지 결합부(215)로의 압전진동자(20)의 결합에 의해, 압전진동자(20)의 진동이 상부폴더 결합부(232)와 힌지(230)를 통하여 진동하게 되고, 이 진동은 상부폴더(210b) 및/또는 하부폴더(220)를 통하여 음이 발생되는 구조이다. 즉, 상부폴더(210b) 및/또는 하부폴더(220) 전체적으로 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음압 및 음역이 넓어지게 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자가 적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도 14 내지 19와 동일한 도면 식별번호를 지니는 구성요소들은 도 14 내지 19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구조 또는 기능을 수행하여, 그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200c)의 상부폴더(210c)는 힌지 결합부(215) 내부에 압전진동자(10)가 수용 및 안착되는 안착부(216)를 구비한다. 안착 부(216)는 수용홈(214c)의 저면을 형성하게 되며, 상부폴더(210c)의 케이스 또는 본체에 직접 연결된다.
이에 따라, 압전진동자(20)의 진동이 상부폴더(210c)로 직접 전달되어, 상부폴더(210c)의 케이스 전체적으로 음이 발생되도록 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전진동자가 적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5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도 14 내지 21과 동일한 도면 식별번호를 지니는 구성요소들은 도 14 내지 21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구조 또는 기능을 수행하여, 그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제5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200d)는 압전진동자(10)가 수용 및 안착되는 안착부(216)와, 안착부(216)와 접하면서 상부폴더(210d)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217)을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상부폴더(210d)의 외측면의 두께는 내측면(211d)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외부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217)의 구성과, 내측면(211d)의 얇은 두께로 인하여 음압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안착부(216)는 결합돌기(233)가 관통하는 결합공(213a)이 결합공(213)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하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압전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음향발생장치에 의하면, 작은 사이즈와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저전력으로도 높은 음압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넓은 면적의 패널에 음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음압 및 음역을 확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내측면을 음향발생패널로 이용하여, 음향변환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키면서, 음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를 통하여 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음압 및 음역을 확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음향발생장치에 적용되는 압전진동자로서,
    음향발생패널에 부착되며, 간격을 두고 형성된 두 개 이상의 홈을 구비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의 홈에 결합되어 층을 이루며, 각 층 사이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압전소자; 및
    압전소자의 각 층 사이에 구비되는 진동완충재 및 금속층 중의 하나;를 포함하며,
    지지부재는 음향발생패널에 부착되는 면이 그 반대면보다 넓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음향발생패널에 부착되는 면의 폭이 그 반대면의 폭 보다 좁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자.
  5. 제1항에 있어서,
    지지부재의 홈 반대편에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진동자.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전진동자;
    압전진동자가 부착되는 음향발생패널; 및
    음향발생패널의 일면이 공기에 노출되도록 상기 음향발생패널 일부 및 압전진동자를 둘러싸도록 이루어진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발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음향발생패널은 홈이 형성되어 압전진동자가 홈에 삽입되어 부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발생장치.
  8.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전진동자;
    압전진동자가 부착되는 음향발생패널과, 압전진동자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음향발생패널과 결합되는 수용홈이 하부폴더에 대응하는 면에 형성된 상부폴더;
    상부폴더와 힌지 결합에 의해 결합된 하부폴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9. 음향발생패널에 부착되며, 간격을 두고 형성된 두 개 이상의 홈을 구비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의 홈에 결합되어 층을 이루며, 각 층 사이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압전소자 및 압전소자의 각 층 사이에 구비되는 진동완충재 및 금속층 중의 하나를 구비하는 압전진동자;
    압전진동자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힌지 결합부가 형성된 상부폴더;
    상부폴더의 힌지 결합부에 결합되는 상부폴더 결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에 대응하는 상부폴더 결합부의 일면에 압전진동자가 부착된 힌지 조립체; 및
    힌지 조립체의 의해 상부폴더와 결합되는 하부폴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0. 음향발생패널에 부착되며, 간격을 두고 형성된 두 개 이상의 홈을 구비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의 홈에 결합되어 층을 이루며, 각 층 사이는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압전소자 및 압전소자의 각 층 사이에 구비되는 진동완충재 및 금속층 중의 하나를 구비하는 압전진동자;
    힌지 결합부와, 힌지 결합부 내에 압전진동자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상부폴더;
    상부폴더의 힌지 결합부에 결합되는 상부폴더 결합부가 형성된 힌지 조립체; 및
    힌지 조립체의 의해 상부폴더와 결합되는 하부폴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부폴더는 내부에 안착부와 접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12.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힌지 조립체는 상부폴더 결합부 또는 힌지 결합부를 덮는 힌지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1020070059106A 2007-06-15 2007-06-15 압전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음향발생장치 KR100927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106A KR100927115B1 (ko) 2007-06-15 2007-06-15 압전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음향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106A KR100927115B1 (ko) 2007-06-15 2007-06-15 압전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음향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402A KR20080110402A (ko) 2008-12-18
KR100927115B1 true KR100927115B1 (ko) 2009-11-18

Family

ID=40369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106A KR100927115B1 (ko) 2007-06-15 2007-06-15 압전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음향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71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5170B2 (en) 2013-01-11 2016-02-09 Samsung Display Co., Ltd. Block copolymer, method of forming the same, and method of forming pattern
US9420363B2 (en) 2013-09-16 2016-08-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17111447A3 (ko) * 2015-12-24 2018-03-08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이동 단말기
WO2021210699A1 (ko) * 2020-04-14 2021-10-21 주식회사 엠플러스 진동 및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768B1 (ko) 2009-12-08 2013-07-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전형 스피커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64984A (ko) 2010-12-10 2012-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압전 스피커
WO2018155867A1 (ko) * 2017-02-24 2018-08-30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압전 진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2435364B1 (ko) * 2017-11-13 2022-08-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1398A (ja) 1998-06-30 2000-07-18 Shinsei Kk スピ―カ
JP2004104327A (ja) * 2002-09-06 2004-04-02 Hosiden Corp 圧電スピーカ用アクチュエータ
KR20060074900A (ko) * 2004-12-27 2006-07-03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 덴시 압전 패널 스피커
KR20070033410A (ko) * 2004-06-30 2007-03-26 뉴 트랜스듀서스 리미티드 압전 관성 트랜스듀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1398A (ja) 1998-06-30 2000-07-18 Shinsei Kk スピ―カ
JP2004104327A (ja) * 2002-09-06 2004-04-02 Hosiden Corp 圧電スピーカ用アクチュエータ
KR20070033410A (ko) * 2004-06-30 2007-03-26 뉴 트랜스듀서스 리미티드 압전 관성 트랜스듀서
KR20060074900A (ko) * 2004-12-27 2006-07-03 가부시키가이샤 시티즌 덴시 압전 패널 스피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5170B2 (en) 2013-01-11 2016-02-09 Samsung Display Co., Ltd. Block copolymer, method of forming the same, and method of forming pattern
US9725550B2 (en) 2013-01-11 2017-08-08 Samsung Display Co., Ltd. Block copolymer, method of forming the same, and method of forming pattern
US9420363B2 (en) 2013-09-16 2016-08-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17111447A3 (ko) * 2015-12-24 2018-03-08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이동 단말기
WO2021210699A1 (ko) * 2020-04-14 2021-10-21 주식회사 엠플러스 진동 및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0402A (ko) 200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115B1 (ko) 압전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음향발생장치
JP5969817B2 (ja) 電子機器
KR101487272B1 (ko) 압전 진동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단말
JP4511437B2 (ja) 音響信号発生用圧電装置
EP2793483B1 (en) Electronic device
EP2039214B1 (en) Acoust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4507252B2 (ja) パネル型スピーカ
US7764804B2 (en) Panel-typed loud speaker and an exciter therefor
US20060093165A1 (en) Flat panel speaker
WO2013164906A1 (ja) 電子機器
JP5949557B2 (ja) 電子機器
JP4308799B2 (ja) 圧電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フラットパネルスピーカ
EP2811721B1 (en) Electronic device
WO2013175761A1 (ja) 電子機器
KR20130061751A (ko) 압전 진동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휴대단말
WO2013172024A1 (ja) 電子機器
JP4219732B2 (ja) パネル型スピーカ付き表示端末装置
JP2008252878A (ja) 電子機器用撓み振動型アクチュエータ
JP5939160B2 (ja) 発振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60126957A (ko) 라우드 스피커
JP6030534B2 (ja) 音発生器
JP4701054B2 (ja) 圧電発音体
CN115914951A (zh) 扬声器及电子设备
JP5900986B2 (ja) 電子機器
JP6351684B2 (ja) 音発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