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585B1 - SYSTEM AND METHOD FOR THE 3D AUDIO IMPLEMENTATION OF REAL TIME e-LEARNING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THE 3D AUDIO IMPLEMENTATION OF REAL TIME e-LEARNING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585B1
KR100922585B1 KR1020070096878A KR20070096878A KR100922585B1 KR 100922585 B1 KR100922585 B1 KR 100922585B1 KR 1020070096878 A KR1020070096878 A KR 1020070096878A KR 20070096878 A KR20070096878 A KR 20070096878A KR 100922585 B1 KR100922585 B1 KR 1009225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earning
real
time
screen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8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31057A (en
Inventor
박일균
오승훈
김재훈
윤심권
송호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96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585B1/en
Publication of KR20090031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0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5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1Positioning of individual sound objects, e.g. moving airplane, within a sound fie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실시간 e러닝 서비스가 제공하는 강의에 참여한 강의 참여자들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 상기 강의 참여자들의 영상에 대하여 상기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영상 위치 검출기;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영상의 음성 출력을 다수의 스피커별로 서로 다르게 조절하는 음성 이득 조절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서비스 사용 편의를 증대시키고, 사용자가 여러 원격 참여자 중에서 현재의 화자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tereo sound for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comprising: an e-learning screen interface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of lecture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a lecture provided by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An image location detector for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with respect to the images of the lecture participants; And a voice gain adjuster for differently controlling the audio output of each image according to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speakers,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convenience in using the service and allowing the user to Has the effect of easily identifying the speaker.

입체음향, 실시간 e러닝 서비스 3D sound, real-time e-learning service

Description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THE 3D AUDIO IMPLEMENTATION OF REAL TIME e-LEARNING SERVICE}3D audio implement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e-learn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3D AUDIO IMPLEMENTATION OF REAL TIME e-LEARNING SERVICE}

본 발명은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시간 e러닝 서비스에서 강의 중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각 강의 참여자의 영상 위치에 따라 각 영상의 음성이 스피커별로 서로 다른 음량으로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sound implement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e-learning service, and in particular, audio of each video is speaker-by-speaker according to the video position of each lecture participant displayed o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during the lecture in the real-time e-learning ser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sound implement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e-learning service for outputting different volumes.

일반적으로 실시간 e러닝 서비스는, 한 명 이상의 학생들이 인터넷을 통해 강사로부터 실시간으로 강의를 받는 시스템이다. In general,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is a system in which one or more students receive lectures in real time from a lecturer through the Internet.

이와 같은 실시간 e러닝 서비스는 실시간 e러닝을 통한 강의 시, 강사의 강의 영상이 각 학생 단말에 구성되는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 중심에 위치되도록 하고, 강사의 음성 정보가 모노 또는 스테레오 채널 형태로 단말 스피커에 출력되도록 하고 있다.This real-time e-learning service ensures that the lecture video of the instructor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configured in each student terminal during lectures through real-time e-learning, and the voice information of the instructor is provided to the terminal speaker in the form of a mono or stereo channel. To be printed.

그리고, 실시간 e러닝 서비스는 실시간 e러닝을 통한 강의 시, 어학 및 토론 학습과 같이 원격 학생들 사이에 대화가 진행되도록 하기 위한 실시간 대화 모드에서는 강사 및 학생들 상호간에 각자의 영상 및 음성 정보를 실시간으로 교환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실시간 e러닝 서비스는 각 학생들의 단말에 구성되는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에서 다른 사용자의 영상이 적절한 크기로 지정된 위치에 표시되도록 하고, 음성 정보가 모노 또는 스테레오 채널의 형태로 스피커에 출력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real-time e-learning service exchanges video and audio inform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in real time in a real-time conversation mode to enable a conversation between remote students such as lectures, languages, and discussions through real-time e-learning. I'm trying to. At this time, the real-time e-learning service allows an image of another user to be displayed at an appropriate size i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configured in each student terminal, and audio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speaker in the form of a mono or stereo channel.

그런데, 현재 실시간 e러닝 서비스는 실시간 대화 모드에서 사용자 단말의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각 학생 위치와 관계없이 해당 학생들의 음성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기 때문에, 단말 사용자가 표시화면의 학생들 중 현재의 화자를 용이하게 구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urrent real-time e-learning service enables the voice of the corresponding students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each student displayed o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of the user terminal in the real-time conversation mod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easily distinguish the speaker.

이에, 실시간 e러닝 서비스의 실시간 대화 모드에서 단말 사용자가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의 학생들 중 현재의 화자를 구별하도록 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in the real time conversation mode of the real-time e-learning service, a situation is necessary for a terminal user to distinguish the current speaker among the students of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단말의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원격 학생 영상 중에서 현재의 화자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기 위한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for the user receiving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to easily grasp the current speaker from the remote student image displayed o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of the terminal To provide a stereoscopic sound implementation method and system for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시스템은, 실시간 e러닝 서비스가 제공하는 강의에 참여한 강의 참여자들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 상기 강의 참여자들의 영상에 대하여 상기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영상 위치 검출기;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영상의 음성 출력 을 다수의 스피커별로 서로 다르게 조절하는 음성 이득 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reo sound system for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including: an e-learning screen interface configured to display an image of lecture participants participating in a lecture provided by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An image location detector for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with respect to the images of the lecture participants; And a voice gain adjuster for differently adjusting the audio output of each image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speakers accor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information.

상기 영상 위치 검출기는, 상기 강의 참여자들의 영상 위치 정보를 검출함에 있어서, 상기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해당 위치의 중심 좌표를 상기 영상 위치 정보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mage position detector may detect, as the image position information, a center coordinate of a corresponding position displayed o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in detecting imag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lecture participants.

상기 음성 이득 조절기는,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의 y축 위치 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의 음성 출력을 조절하는 종축음성 이득 조절기와,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의 x축 위치 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의 음성 출력을 조절하는 횡축음성 이득 조절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dio gain adjuster may include a vertical axis audio gain adjuster configured to adjust an audio output of the corresponding video according to the y-axi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position information, and an audio output of the corresponding video according to the x-axi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position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transverse negative gain adjuster.

상기 영상 위치 검출기와 음성 이득 조절기는, 하나의 독립된 장치 또는 모듈로 구성되거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mage position detector and the audio gain adjuster may be configured as one independent device or module or as a progra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구현 방법은,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통한 강의가 수행되는 경우, 강의 참여자들의 영상을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각 영상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영상의 음성 출력을 다수의 스피커별로 서로 다르게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implementing stereoscopic sound for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when a lecture is performed through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displays an image of lecture participants on an e-learning screen interface. Displaying; Identifying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displayed image; And controlling the audio output of each image differentl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according to the identified position information.

상기 각 영상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각 영상의 중심좌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identif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imag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center coordinates of each image.

상기 파악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영상의 음성 출력을 다수의 스피커별로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중심좌표의 y 좌표 및 x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스피커별로 적용할 상기 영상의 음성 출력 이득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출력 이득에 따라 해당 영상의 음성을 상기 스피커별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justing the audio output of each imag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according to the identified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ing the audio output gain of the image to be applied for each speaker by using the detected y-coordinate and x-coordinate of the center coordinates. Making; And outputting audio of a corresponding video for each speaker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utput gain.

바람직하게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구현 방법은, 상기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각 영상의 위치를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재배치하는 단계; 상기 재배치된 각 영상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재배치된 각 영상의 음성 출력을 다수의 스피커별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stereoscopic sound implementation method for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includes: relocating the position of each image displayed o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using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Identifying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rearranged image; And adjusting the audio output of each rearranged imag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according to the identified position information.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구현 방법 및 그 시스템은, 강의 중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되는 각 강의 참여자의 영상 위치에 따라 각 영상의 음성이 스피커별로 서로 다른 음량으로 출력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서비스 사용 편의를 증대시키고, 사용자가 여러 원격 참여자 중에서 현재의 화자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and a system for implementing a stereoscopic sound for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of the voice of each video is different for each speaker according to the video location of each lecture participant displayed o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during the lecture As a result, the user's convenience of using the service is increased, and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current speaker among various remote participa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describing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art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ereo sound system for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시스템은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100), 영상 위치 검출기(200), 음성 이득 조절기(300) 및 다수의 스피커(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tereo sound system for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may include an e-learning screen interface 100, an image position detector 200, a voice gain adjuster 300, and a plurality of speakers 400. have.

이와 같은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시스템에서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100)는, 실시간 e러닝 서비스가 제공하는 강의에 참여한 강사 및 학생들의 영상(110 내지 140)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the 3D sound system for the real-time e-learning service,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100 performs a function of displaying images 110 to 140 of lecturers an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ecture provided by the real-time e-learning service.

영상 위치 검출기(200)는 e러닝 서비스가 제공하는 강의 참여자들의 영상(110 내지 140)에 대하여 상기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100) 상에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위치 검출기(200)는 강의 참여자들의 영상 위치 정보를 검출함에 있어서,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100) 상에 디스플레이된 해당 위치의 중심 좌표를 영상 위치 정보로 검출한다.The image location detector 200 detects location information o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100 with respect to the images 110 to 140 of lecture participants provided by the e-learning service. Here, the image position detector 200 detects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corresponding position displayed o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100 as the image position information in detecting the imag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lecture participants.

음성 이득 조절기(300)는 종축음성 이득 조절기(310)와 횡축음성 이득 조절기(3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중 종축음성 이득 조절기(310)는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100) 상에 디스플레이된 영상(110 내지 140)의 y축 즉, 상하 위치에 따라 해당 영상의 음성 출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횡축음성 이득 조절기(320)는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100) 상에 디스플레이된 영상(110 내지 140)의 x축 즉, 좌우 위치에 따라 해당 영상의 음성 출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voice gain adjuster 300 may be configured as a longitudinal sound gain adjuster 310 and a horizontal sound gain adjuster 320, among which the vertical sound gain adjuster 310 is an image displayed o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100. The audio output of the corresponding video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y-axis of the 110-140, i.e., the up-and-down position, and the horizontal-axis sound gain adjuster 320 is displayed o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100. The audio output of the corresponding video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x-axis, ie,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140).

한편, 영상 위치 검출기(200)와 음성 이득 조절기(300)는 하나의 독립된 장치 또는 모듈로 구성되거나,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image position detector 200 and the voice gain adjuster 300 may be configured as one independent device or module or may be configured as a program.

그리고,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시스템은 다수의 스피커(400)를 통해 실시간 e러닝 서비스에 참여한 강사 및 학생들의 음성이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100)의 디스플레이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스피커(400)를 통해 입체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tereo sound system for the real-time e-learning service is a speaker 400 that the voice of the instructor and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real-time e-learning service through a plurality of speakers 400 according to the display position of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100 different It outputs in three dimensions through.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시스템의 구성 동작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통한 강의가 수행되는 경우, 해당 서비스 참여자인 강사 또는 각 학생은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서비스 참여자들 즉, 강의 참여 학생들의 영상(110 내지 140) 위치를 조절하여 재배치할 수 있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per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sound system for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f the lecture through the real-time e-learning service is performed first, the lecturer or each student who is the service participant inputs a keyboard or a mouse. By using the device, the location of the service participants displayed o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100, that is,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lecture, 110 to 140 may be adjusted and rearranged.

영상 위치 검출기(200)는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100)에 초기 디스플레이된 각 영상(110 내지 140)들의 위치가 재배치되면, 이를 파악하여 해당 재배치된 각 영상(110 내지 140)의 중심 좌표를 검출하고, 검출된 중심 좌표를 음성 이득 조절기(300)로 제공한다.If the position of each image 110 to 140 initially displayed o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100 is rearranged, the image position detector 200 detects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rearranged images 110 to 140. , Provides the detected center coordinates to the voice gain adjuster 300.

이에, 종축음성 이득 조절기(310) 및 횡축음성 이득 조절기(320)는 영상 위치 검출기(20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중심좌표로부터 각각 y 좌표 및 x 좌표 값을 파악하고, 파악되는 y 좌표 및 x 좌표를 이용하여 다수의 스피커(400)별로 적용할 해당 영상의 음성 출력 이득을 계산한다.Accordingly, the ordinate speech gain adjuster 310 and the abscissa negative gain adjuster 320 identify y and x coordinate values from the image center coordinates provided from the image position detector 200, respectively, and determine the y and x coordinates. The audio output gain of the corresponding video to be a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400 is calculated.

그리고, 종축음성 이득 조절기(310) 및 횡축음성 이득 조절기(320)는 해당 영상(110 내지 140)의 음성이 계산된 출력 이득에 따라 각 스피커(400)로 서로 다르게 조절되어 출력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ongitudinal audio gain controller 310 and the horizontal audio gain controller 320 allow the audio of the corresponding video 110 to 140 to be differently adjusted and output to each speaker 400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utput gain.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 및 구성 동작을 갖는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시스템의 입체 음향 구현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Next, a method for implementing a stereo sound of a stereo sound system for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nd configuration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구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mplementing 3D sound for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통한 강의가 수행되면,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시스템은 먼저, 강사 또는 학생과 같은 해당 서비스 참여자들의 영상(110 내지 140)을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100)에 디스플레이 하고, 서비스 참여자들의 음성을 스피커(400)로 출력한다(S101).Referring to FIG. 2, when a lecture through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is performed, the 3D sound system for the real-time e-learning service may first display images 110 to 140 of corresponding service participants such as an instructor or a student. ), And outputs the voice of the service participants to the speaker 400 (S101).

그리고, 시스템은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 제어 에 따라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100)에 디스플레이된 각 영상(110 내지 140)의 위치가 조절되어 재배치되는 경우(S102), 재배치된 각 영상(110 내지 140)의 중심 좌표를 검출한다(S103).And, if the position of each image (110 to 140) displayed o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100 is adjusted and rearranged according to user control through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S102), each rearranged image The center coordinates 110 to 140 are detected (S103).

이와 같은 시스템은 재배치된 각 영상(110 내지 140)의 중심 좌표가 검출되면, 검출된 중심 좌표의 y 좌표 및 x 좌표를 이용하여 다수의 스피커(400)별로 적용할 상기 영상(110 내지 140)의 음성 출력 이득을 계산한다(S104).When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rearranged images 110 to 140 are detected, the system 110 may apply the y and x coordinates of the detected center coordinates to the plurality of speakers 400. The voice output gain is calculated (S104).

그리고, 시스템은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100)에 디스플레이된 각 영상(110 내지 140)의 음성이 상기 계산된 출력 이득에 따라 각 스피커(400)로 서로 다르게 조절되어 출력되도록 한다(S105).In addition, the system allows the audio of each image 110 to 140 displayed o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100 to be differently adjusted and output to each speaker 400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utput gain (S105).

이에,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시스템은, 강의에 참여한 사용자가 단말의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100)에 디스플레이되는 원격 학생 영상 중에서 현재의 화자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3D sound system for the real-time e-learning service may allow a user who participated in the lecture to easily grasp the current speaker among the remote student images displayed o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100 of the terminal.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art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그리고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stereo sound system for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시스템의 입체 음향 구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implementing a stereo sound in a stereo sound system for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 110 내지 140 : 디스플레이 영상100: e-learning screen interface 110 to 140: display image

200 : 영상 위치 검출기 300 : 음성 이득 조절기200: image position detector 300: voice gain adjuster

310 : 종축음성 이득 조절부 320 : 횡축음성 이득 조절기310: longitudinal sound gain control unit 320: transverse sound gain controller

400 : 스피커400: speaker

Claims (8)

실시간 e러닝 서비스가 제공하는 강의에 참여한 강의 참여자들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An e-learning screen interface displaying images of lectur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lectures provided by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상기 강의 참여자들의 영상에 대하여 상기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영상 위치 검출기; 및An image location detector for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with respect to the images of the lecture participants; And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영상의 음성 출력을 다수의 스피커별로 서로 다르게 조절하는 음성 이득 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시스템.And a voice gain adjuster for differently adjusting the audio output of each imag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according to the detected posi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 위치 검출기는,The image position detector, 상기 강의 참여자들의 영상 위치 정보를 검출함에 있어서, 상기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 해당 위치의 중심 좌표를 상기 영상 위치 정보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시스템.In detecting the video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articipants in the lecture, the stereoscopic coordinate system for the real-time e-learn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location displayed o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as the video loc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성 이득 조절기는,The voice gain adjuster,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의 y축 위치 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의 음성 출력을 조절하는 종축음성 이득 조절기와, 상기 검출된 위치 정보의 x축 위치 정보에 따라 해당 영상의 음성 출력을 조절하는 횡축음성 이득 조절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시스템.A longitudinal audio gain adjuster for adjusting the audio output of the corresponding video according to the y-axi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position information, and a horizontal audio gain adjuster for adjusting the audio output of the corresponding video according to the x-axis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ed position information. Stereo system for real-time e-learning service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 위치 검출기와 음성 이득 조절기는,The image position detector and the audio gain adjuster, 하나의 독립된 장치 또는 모듈로 구성되거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시스템.Stereo system for real-time e-learning ser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one independent device or module, or a program.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통한 강의가 수행되는 경우, 강의 참여자들의 영상을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Displaying a video of lecture participants on an e-learning screen interface when the lecture is performed through a real-time e-learning service; 상기 디스플레이된 각 영상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Identifying position information of each displayed image; And 상기 파악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영상의 음성 출력을 다수의 스피커별로 서로 다르게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구현 방법.And adjusting the audio output of each image differently for each of a plurality of speakers according to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각 영상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는,Identify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image, 상기 각 영상의 중심좌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구현 방법.3.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enter coordinates of the respective images are detected.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파악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각 영상의 음성 출력을 다수의 스피커별로 조절하는 단계는,Adjusting the audio output of each imag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according to the identified position information, 상기 검출된 중심좌표의 y 좌표 및 x 좌표를 이용하여 상기 스피커별로 적용할 상기 영상의 음성 출력 이득을 계산하는 단계; 및Calculating an audio output gain of the image to be applied to each speaker by using the detected y-coordinate and x-coordinate of the central coordinate; And 상기 계산된 출력 이득에 따라 해당 영상의 음성을 상기 스피커별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구현 방법.And outputting an audio of a corresponding video for each speaker according to the calculated output gai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음성 출력을 조절하는 단계 이후에,After adjusting the voice output, 상기 e러닝 화면 인터페이스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각 영상의 위치를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재배치하는 단계;Repositioning the position of each image displayed on the e-learning screen interface using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상기 재배치된 각 영상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및Identifying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rearranged image; And 상기 파악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재배치된 각 영상의 음성 출력을 다수의 스피커별로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e러닝 서비스를 위한 입체 음향 구현 방법.And adjusting the audio output of each of the rearranged image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according to the identified location information.
KR1020070096878A 2007-09-21 2007-09-21 SYSTEM AND METHOD FOR THE 3D AUDIO IMPLEMENTATION OF REAL TIME e-LEARNING SERVICE KR1009225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878A KR100922585B1 (en) 2007-09-21 2007-09-21 SYSTEM AND METHOD FOR THE 3D AUDIO IMPLEMENTATION OF REAL TIME e-LEARN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878A KR100922585B1 (en) 2007-09-21 2007-09-21 SYSTEM AND METHOD FOR THE 3D AUDIO IMPLEMENTATION OF REAL TIME e-LEARNING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057A KR20090031057A (en) 2009-03-25
KR100922585B1 true KR100922585B1 (en) 2009-10-21

Family

ID=40697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878A KR100922585B1 (en) 2007-09-21 2007-09-21 SYSTEM AND METHOD FOR THE 3D AUDIO IMPLEMENTATION OF REAL TIME e-LEARNING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58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5430A3 (en) * 2010-03-19 2011-1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hree-dimensional sound
WO2011139090A3 (en) * 2010-05-04 2012-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stereophonic soun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132A (en) * 2002-02-21 2002-04-03 변진우 Method for implementing personal digital assitance based on mobile distance learning system
KR200406324Y1 (en) 2005-11-07 2006-01-20 오계택 e-learning A/V system
KR20060025302A (en) * 2004-09-16 2006-03-21 김효은 Multi channel piano education system
JP2006293102A (en) 2005-04-12 2006-10-26 Saga Univ Education system accompanied by check on intelligibility by judgment on whether trainee has self-confide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132A (en) * 2002-02-21 2002-04-03 변진우 Method for implementing personal digital assitance based on mobile distance learning system
KR20060025302A (en) * 2004-09-16 2006-03-21 김효은 Multi channel piano education system
JP2006293102A (en) 2005-04-12 2006-10-26 Saga Univ Education system accompanied by check on intelligibility by judgment on whether trainee has self-confidence
KR200406324Y1 (en) 2005-11-07 2006-01-20 오계택 e-learning A/V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5430A3 (en) * 2010-03-19 2011-1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hree-dimensional sound
US9113280B2 (en) 2010-03-19 2015-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hree-dimensional sound
US9622007B2 (en) 2010-03-19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hree-dimensional sound
WO2011139090A3 (en) * 2010-05-04 2012-0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stereophonic sound
AU2011249150B2 (en) * 2010-05-04 2014-1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stereophonic sound
US9148740B2 (en) 2010-05-04 2015-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stereophonic sound
US9749767B2 (en) 2010-05-04 2017-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stereophonic sou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057A (en)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3801B (en) Remote three-dimensional scene interactive teach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US10206030B2 (en) Microphone array system and microphone array control method
WO2015192631A1 (en) Video conferencing system and method
US11595615B2 (en) Conference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conference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20120077172A1 (en) Presentation system
KR102031739B1 (en) Interactive whiteboard supporting real-time internet broadcasting by constructing a lecture screen according to the class progress mode separately from the display screen
CN102460487A (en) System and method for hybrid course instruction
US943885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conference
JP2018036690A (en) One-versus-many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Sanchez-Pizani et al. Hybrid flexible (HyFlex) seminar delivery–A technical overview of the implementation
Begault Auditory and non-auditory factors that potentially influence virtual acoustic imagery
KR101757420B1 (en) The system for remote video communication and lecture based on interaction using transparent display
WO2022256585A2 (en) Spatial audio in video conference calls based on content type or participant role
KR100922585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3D AUDIO IMPLEMENTATION OF REAL TIME e-LEARNING SERVICE
JP2013201623A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program for making computer execute the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Bolaños et al. Immersive audiovisual environment with 3D audio playback
CN108668215B (en) Panoramic gamut system
US202400644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ound-enhanced meeting platforms
JP2020003624A (en) System for optimizing and virtualizing video and voice for virtual reality lesson room for remote instruction
Duffy et al. Remote music tuition
KR20150087017A (en) Audio control device based on eye-tracking and method for visual communications using the device
TWI726233B (en) Smart recordable interactive classroom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454342B1 (en) Apparatus for creating additional channel audio signal using surround channel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JP2005110103A (en) Voice normalizing method in video conference
Sporer et al. Wave field synthesis in the real world: Part 2-In the movie theat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