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748B1 - Context-Aware service conflict resolution method applying social network - Google Patents

Context-Aware service conflict resolution method applying social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748B1
KR100920748B1 KR1020070083204A KR20070083204A KR100920748B1 KR 100920748 B1 KR100920748 B1 KR 100920748B1 KR 1020070083204 A KR1020070083204 A KR 1020070083204A KR 20070083204 A KR20070083204 A KR 20070083204A KR 100920748 B1 KR100920748 B1 KR 100920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tuation
service
conflict
context
aware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32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19064A (en
Inventor
권오병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83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748B1/en
Publication of KR20090019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90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7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회 네트워크 방법을 응용한 동일 집단 내 개인 간 상황인식 서비스 갈등을 해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esolving a situation awareness service conflict between individuals in the same group using a social network method.

더욱 상세하게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a) 개인의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b) 상기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 중 상황정보를 공유 중인 개인들의 공유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c) 상기 공유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이용하여 집단 내 서비스 갈등요소를 분석하고 갈등해소 프로세스를 도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갈등해소 프로세스를 통하여 각 개인의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회 네트워크를 응용한 집단수준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 갈등해소 방법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the situation awareness service method in a ubiquitous environment, the method comprising: (a) creating a situation awareness service list of an individual; (b) creating a sharing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of individuals shar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in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c) analyzing service conflict factors in a group using the shared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and deriving a conflict resolution process; And (d) modifying the context awareness service list of each individual through the conflict resolution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xt awareness service conflict resolution method at a group level applied to a social network.

사회 네트워크, 집단수준, 상황인식, 유비쿼터스, 상황정보, 갈등해소 Social network, group level, situational awareness, ubiquitous, situational information, conflict resolution

Description

사회 네트워크를 응용한 집단수준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 갈등해소 방법{Context-Aware service conflict resolution method applying social network}Context-Aware service conflict resolution method applying social network at group level by applying social network

본 발명은 사회 네트워크를 응용한 집단수준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 갈등해소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tuation awareness service conflict resolution method at a group level using a social network.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상황에 존재하는 개인들에게 각각 상황인식 서비스를 실행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서비스 충돌과 같은 갈등요소를 분석하고 해소하여 갈등이 없는 개인 수준의 상황인식 서비스를 동일 공간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어 사회 네트워크를 응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집단수준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 갈등해소 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it analyzes and resolves conflicting factors such as service conflicts that occur in executing situation awareness services to individuals who exist in the same situation so that they can provide individual level situation awareness services in the same space without conflict. This paper deals with the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s and the method of resolving conflict of situation awareness service at the group level.

유비쿼터스(Ubiquitous)란 '언제 어디서나 존재한다'는 뜻을 가진 라틴어로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란 개인이 언제 어디서나 어떤 기기를 통해서도 제약없이 공간적으로 연결된 장치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팅 환경을 의미하는 개념으로서 기존 홈 네트워크나 모바일 컴퓨팅보다 한 단계 더 발전된 컴퓨팅 환경 을 말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의 일례로서, 도로, 다리, 터널, 빌딩, 건물 벽 등 관련된 모든 물리공간과 객체에 컴퓨팅 기능을 추가하여 해당 사물과 대상을 지능화시키고 인터넷에 연결시켜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을 들 수 있다.Ubiquitous is a Latin word meaning 'anywhere, anytime', and th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is a concept of computing environment that allows individuals to use spatially connected devices anytime, anywhere through any device without restriction. A computing environment one step further than network or mobile computing. An example of a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is to add computing capabilities to all relevant physical spaces and objects, such as roads, bridges, tunnels, buildings, and building walls, to intelligentize those objects and objects and connect them to the Internet so that they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Can be mentioned.

이러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실현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는 상황정보(Context data)를 적절하게 표현하고 인식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황정보란 '주변환경, 상황, 위치를 포함하는 개인들 및 장치의 상태' 또는 '개체의 상황을 특성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어떠한 정보'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여기서 개체는 개인와 애플리케이션 또는 이를 포함하고 있는 장소와 개인 사이의 상호작용에 연관될 것으로 여기지는 대상물을 나타낸다. 여러 상황정보 값을 조합함으로써 현재 상황을 보다 이해하기 쉽게 할 수도 있는데, 특히 위치, 개체, 행동, 시간과 같은 주요 상황정보는 다른 상황정보의 소스에 대한 지표로 사용될 수가 있다. 예컨대, 만약 어떤 개인의 일정이 그의 위치 및 현재시각과 함께 알려진다면, 응용프로그램은 회의참석, 강의대기, 항공기 탑승 대기와 같은 개인의 사회적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realizing such a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is to properly represent and recognize context data. Situation information can be defined as 'the status of individuals and devices, including the main transition, situation, and location' or 'any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characterize the situation of the object', where the entity is the person and application or Represents an object thought to be involved in the interaction between a place and an individual. Combining different contextual information values can make the current situation easier to understand. In particular, key contextual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entity, behavior, and time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the source of other contextual information. For example, if an individual's schedule is known along with his location and current time, the application may be aware of the individual's social situation, such as attending a meeting, waiting for a lecture, or waiting to board an aircraft.

일반적으로, 상황정보는 크게 세 가지 범주 즉, (1) 네트웍 접속, 통신비용 내지 대역폭, 주변 리소스(예컨대, 프린터, 디스플레이, 웍스테이션)과 같은 컴퓨팅 상황정보, (2) 개인의 프로필, 위치, 주변인물, 사회적 위치와 개인 상황정보, (3)조도, 음향 레벨, 교통상황, 온도와 같은 물리적 상황정보로 분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범주에 덧붙여 날짜, 주, 월, 계절과 같은 시간정보도 가장 중요한 상황 정보 범주의 하나가 될 수 있다. 시간 흐름에 따른 개인의 물리적 상황정보를 기록함으로써 상황정보 이력을 수집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상황정보 이력은 특정 응용프로그램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In general, contextual information has three broad categories: (1) network connectivity, communication costs and bandwidth, computing contextual information such as peripheral resources (e.g. printers, displays, workstations), and (2) personal profiles, locations, and perimeters. It can be classified into physical situation information such as people, social location and personal situation information, (3) illuminance, sound level, traffic condition, and temperature. In addition to the above categories, time information such as date, week, month, and season can als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textual information categories. It is also possible to collect situation information history by recording the individual's physical situation information over time, which can be effectively used in specific applications.

한편, 최근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인식 서비스(狀況認識, Context Aware Service)는 통신 및 컴퓨팅 능력을 가지고 주변 상황을 인식하고 판단하여 인간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로써, 상황정보는 개인이 상호 작용을 하는 시점에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정보로서 사람, 객체의 위치, 식별, 활동, 상태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황정보의 수집 및 교환을 통해 인식하고, 해석 및 추론과 같은 처리 과정을 거쳐, 개인에게 상황에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인식 서비스는 특히 유비쿼터스 환경과 맞게 의료, 교육, 재난, 구호, 쇼핑 등 사회 전 분야에 걸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서비스로 발전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ext awareness service (있는, Context Aware Service), which has been recently researched, is a service that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humans by recognizing and determining the surrounding situation with communication and computing capabilities. All information available at the time of action includes people, object location, identification, activity, status, and so on.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that recognizes through the collection and exchange of such situ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appropriate services to the individual through the process of interpretation and reasoning, especially medical, education, disaster, relief, shopping, etc. in accordance with the ubiquitous environment It is developing into a service that can have a lot of influences in all areas of society.

최근 상황인식 기술들이 성숙되어 가면서 센서 기반위치나 대상인식 등 초기 실현 가능성이 높은 상황인식 방법을 활용한 상황인식 서비스가 제안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상황인식 서비스들이 실제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면 상황인식 서비스 선택에 대한 문제가 분명히 발생하게 되었다. 그것은 한 사람에 대한 상황인식 서비스가 그 사람과 상황을 공유하는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황인식 서비스의 안정화 및 설치를 위해 상황인식 서비스 선택의 이슈는 중요하고, 더 나아가, 최근 조직이나 개인에게 효용을 제공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자 측면에서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프로세스의 내용이 점점 더 아웃소싱(Outsourcing)되거나 통합되는 과정에서 최적의 상황인식 서비스를 선택해야 하는 중요성이 늘고 있다.Recently, as the situation recognition technologies have matured,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using a situation recognition method that has high initial feasibility such as sensor-based location and object recognition has begun to be proposed. When these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s began to be practically provided, the problem of the selection of the contextual awareness service became clear. That's because context awareness services for one person affect others who share the situation with that person. Therefore, the issue of selecting context awareness service is important for stabilization and installation of context awareness service. Furthermore, the context of context awareness service provision process is increasingly outsourced in the context of context awareness service providers that provide utility to organizations or individuals. In the process of outsourcing or integration, the importance of selecting the optimal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 is increasing.

상기 상황인식 서비스 선택은 제품선택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에 다른데, 첫째로 상황인식 서비스는 무형이다, 둘째로 상황인식 서비스 선택에 대한 정형화된 기능이 미약하다, 셋째로 상황인식 서비스는 제품에 비하여 분산되어 있으므로 상황인식 서비스 등록과 탐색, 사용이 더 복잡하기 때문에 상황인식 서비스를 선택하는 문제는 보통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자를 선택하는 문제와 동일시 되어왔다. 상황인식 서비스 혹은 상황인식 서비스 공급자 선정을 정확히 할수록 그 상황인식 서비스를 사용하는 개인이나 기업은 시행착오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의사결정 분야의 하나로 알려져 왔으며, 일반적으로 상황인식 서비스 선택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election is different from the product selection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ly, the situation awareness service is intangible, and secondly, the formal function of the situation awareness service selection is weak. Since the situation registration service is more complicated to register, search, and use, the problem of selecting the context awareness service has been identified with the problem of selecting the context awareness service provider. The more accurate the selection of context-aware service or context-aware service provider, the more the individual or company using the context-aware service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cision areas because it minimizes the possibility of trial and error. Is as follows.

1. 개인의 욕구나 문제를 인식1. Recognize individual needs or problems

2. 서비스 제공자의 질에 대한 분석2. Analysis of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rs

3. 선정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소 인식3. Recognize factors to consider for selection

4. 선정 고려 요소에 대한 수정 보완4. Amendment to the selection consideration factor

5. 수정 보완된 선정 요소로 평가 수행5. Evaluate with revised selection elements

6. 서비스 제공자 선택6. Service Provider Selection

7. 실제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사후 평가7. Post-assessment of actual service provided

특히 상황인식 서비스에 대한 정보 수집은 일반적으로 이미 그 상황인식 서비스를 사용해 본 경험을 가진 동료들로부터 수집하게 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평가는 사후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이전에 사후적으로 알게 된 평가는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 한편 잠재적인 상황인식 서비스 후보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평가 항목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평가 항목에 대한 선정 기준으로서 해결하려는 문제의 특징이나 본질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다음 표1은 기존 문헌에서 언급하고 있는 상황인식 서비스 선정을 위한 평가 기준을 분류한 것이다. In particular, the collection of information about context-aware services is generally collected from colleagues who have already used the context-aware service. And in general, evaluation takes place post-mortem, so evaluations that have been made beforehand are of great value. On the other hand, a series of evaluation items are used to evaluate potential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candidates, an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the nature of the problem to be solved as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evaluation items. Table 1 below summarize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selecting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s mentioned in the existing literature.

서비스 선정 기준Service Selection Criteria 근 거Evid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cli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client Redman and Allen(1992), Kelsey(1968), Parasuraman and Zeithaml(1983), Day and Barksdale(2003) Redman and Allen (1992), Kelsey (1968), Parasuraman and Zeithaml (1983), Day and Barksdale (2003) Quality of past service / references Quality of past service / references Dawes et al.(1992), Kelsey(1968) Dawes et al. (1992), Kelsey (1968) Reputation Reputation Dawes et al.(1992), Day and Barksdale(1992), Kelsey(1968), Redman and Allen(1992), Parasuraman and Zeithaml(1983) Dawes et al. (1992), Day and Barksdale (1992), Kelsey (1968), Redman and Allen (1992), Parasuraman and Zeithaml (1983) Recommendation Recommendation Redman and Allen(1992) Redman and Allen (1992) Cost or price Cost or price Parasuraman and Zeithaml(1983) Parasuraman and Zeithaml (1983) Advertising Advertising Cagley(1986) Cagley (1986) Ability to perform desired services Ability to perform desired services Day and Barksdale(2003) Day and Barksdale (2003)

고객과의 대인관계, 기존 서비스의 질이나 이에 관련한 레퍼런스의 존재 여부, 명성, 추천 결과, 비용이나 서비스 가격, 광고의 내용, 서비스가 고객이 원하는 수준으로 수행될 수 있는지의 정도 등이 가장 일반적으로 언급되어온 평가 기준이었다. 특히 상황인식 서비스는 무형의 자산이므로 상황인식 서비스에 대한 완전한 정보를 가지고 비교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명성으로 평가를 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Cremer, 1986; Kreps and Wilson, 1982). 이러한 명성에 의한 상황인식 서비스 평가 방법으로 최초로 등장한 것은 eBay.com이며, 가장 전형적인 상황인식 서비스 평가시스템으로 알려진 것은 Sporas이다 (Zacharia et al. 1999). The most common are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the quality of existing services or the presence of references to them, reputation, referral results, costs or service prices, content of advertisements, and the extent to which services can be performed at the level desired by the customer. It was the evaluation criteria mentioned. In particular, because context-aware services are intangible assets, it can be efficient to evaluate them by reputation if they are difficult to compare with complete information about context-aware services (Cremer, 1986; Kreps and Wilson, 1982). EBay.com first appeared as a method for evaluating context-aware services based on this reputation, and Sporas is the most typical context-aware service evaluation system (Zacharia et al. 1999).

상황인식 서비스 선정 기준을 활용하여 상황인식 서비스를 선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왔다.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selecting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 using the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 selection criteria.

첫번째로 가장 전통적으로 제안되어 온 방법으로는 필터링 방법(Filtering method)이 있다. 필터링 방법은 일련의 최소한의, 기본이 되는 요구 사항을 만족하는지를 평가하여 여기에 해당되지 않는 대상을 탈락시키고 나머지는 선정해서 올리는 방법으로서 가장 전통적으로 제안되어 오고 있다. 그 중에서 상황인식 서비스에 관련한 키워드(keywords)가 이미 존재한다고 가정할 때 그 키워드에 의하여 선택하는 방법으로 내용 기반의 필터링법(content-based filtering)이 있다 (Dumais et al., 1988). 그런데 그 키워드는 주로 텍스트에 존재하는 단어들을 가지고 이루어지게 되는데, 만약 온톨로지(ontology)나 메타 데이터(meta data)등을 사용하게 되면 이러한 방법은 의미가 없어질 가능성이 높다. 한편, 사회 정보 필터링(Social information filtering) 방법은 해당 상황인식 서비스 개인와 그들의 주관적 판단 사이의 관계성에 의하여 상황인식 서비스를 선별하는 방법이다. 그 중 대표적인 것으로 협동적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방법이 있다. 또한 그의 확장적 방법의 하나로 Weighted majority algorithm (WMA)이 있다. 이는 전문가들로 특정 문제에 대한 예상 혹은 평가를 하게 한 후에 틀리게 한 전문가들은 가중치를 줄여나가는 방법으로 평가의 정확성을 높여나가는 방법이다 (Littlestone and Warmoth, 1994).The first and most traditionally proposed method is the filtering method. The filtering method has been most traditionally proposed as a method of evaluating whether a set of minimum, basic requirements is satisfied to drop an object that does not correspond to it and select and raise the rest. Among them, assuming that keywords related to context awareness service already exist, there is content-based filtering as a method of selecting by keywords (Dumais et al., 1988). However, the keywords are mainly made up of words existing in the text. If the ontology or metadata is used, this method is likely to be meaningless.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information filtering method is a method of selecting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tuation awareness service individual and their subjective judgment. One of them is a collaborative filtering method. One such extension is the Weighted majority algorithm (WMA). This is a way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assessment by reducing the weights of the experts who make the wrong ones after they have made the prediction or assessment of the particular problem (Littlestone and Warmoth, 1994).

두번째로는 동료들에 의한 평가법(Peer evaluation method)이 있다. 필터링 방법(Filtering method)이나 명성에 의한 방법은 상황인식 서비스를 선정하려는 당사자와 다른 계층의 사람들에 의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비슷한 상황에서 상황인식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하고 평가하기도 하는 동료들에 의한 평가가 더 현실적일 수 있다. 그 하나로 Referral system은 그 대표적인 예로서 특정 서비스를 평가하기 위해 이웃(neighbor)들에게 평가 대상에 대한 평가를 경청하는 방법이다 (Sing et al. 2001). Second is the peer evaluation method. Filtering methods or reputational methods can be evaluated by people from different levels of the party to choose contextual awareness services. Therefore, evaluation by peers who provide or evaluate contextual awareness services in a similar situation may be more realistic. One example is the Referral system, which is a method of listening to neighbors for evaluation to evaluate specific services (Sing et al. 2001).

세번째로는 에이전트를 기반으로 하여 서비스(Agent-based service selection)를 선정하는 방법이 있다. 개인은 상황인식 서비스를 선정하기 위한 선정 기준에 따라서 가중치를 기입하거나 하는 등의 작업을 하려고 하지 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온라인 상에서 공동체에 의하여 상황인식 서비스를 선정하기 위하여 상황인식 서비스를 평가하는 에이전트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상황인식 서비스를 평가하는 에이전트를 또 다른 에이전트가 평가하게 할 수도 있다. Sreenath and Singh은 상황인식 서비스들을 비교 평가하여 한 상황인식 서비스를 선정하고 이를 사용한 후에 평가하고 평가 이후에 그 상황인식 서비스를 선정하는데 기여한 에이전트들을 다시 평가하는 공동체 기반 온라인 서비스 선정 및 평가(community-based online service selection and evaluation)를 위한 3단계 평가 과정을 제안하였다 (Sreenath and Singh, 2004). 에이전트 평가 결과는 결국 가중평균에 의한 상황인식 서비스 평가를 위한 가중치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아직 서비스-상황 적합성(Service-Context Fitness)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집단의 협동적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상황인식 서비스가 제안되고는 있지만 집단의 갈등 부분을 고려한 연구는 아직 아니었다(Wang et al., 2004). Third, there is a method of selecting an agent-based service selection. Individuals do not attempt to enter weights according to selection criteria for selecting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s. To solve this, we can consider an agent evaluating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s to select contextual awareness services by the community online.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nother agent evaluate an agent evaluating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s. Sreenath and Singh compares context-aware services to select a context-aware service, evaluates it after its use, and then evaluates and re-evaluates agents that contributed to selecting that context-aware service. A three-step evaluation process for online service selection and evaluation is proposed (Sreenath and Singh, 2004). Agent evaluation results are used to determine weights for evaluating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s by weighted averages. However, this study has a disadvantage that it has not yet considered Service-Context Fitness. On the other hand, context-aware services have been proposed to support group cooperative work, but there has not yet been a study considering the group conflict (Wang et al., 2004).

이상의 상황인식 서비스 선택 방법들이 가지는 장점과 특징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연구들은 상황인식 서비스를 받는 대상이 개인적인 것을 가정하고 있다. 혹 기업이나 또 다른 집단이라 하더라도 그 기업과 집단이 선정된 상황인식 서비스에 대한 합의 과정을 잘 설명하지 않고 있다. 특히 집단 내 한 개인의 상황인식 서비스 선정과 활용이 집단 내의 또 다른 개인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때 이것을 어떻게 해결(resolve)할 것인지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실정이다. Despite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situation awareness service selection methods, these studies assume that the person receiving the context awareness service is personal. Even a company or another group does not explain the process of consensus on the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s selected by the company or group. In particular, there is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how to select and use a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 of one individual in a group when it adversely affects another individual in the group.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동일한 상황에 존재하는 개인들에게 각각 상황인식 서비스를 실행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서비스 충돌과 같은 갈등요소를 분석하고 해소하여 갈등이 없는 개인 수준의 상황인식 서비스를 동일 공간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어 사회 네트워크를 응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집단수준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 갈등해소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analyzes and resolves conflicting factors such as service conflicts that occur in executing situation awareness services to individuals existing in the same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solving conflict recognition in context-aware service at the group level based on the application of social networks in providing the situation awareness service in the same spac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 특정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통신을 통해 특정공간의 상황정보를 수집하는 유비쿼터스센서, 상기 유비쿼터스센서와 무선데이터통신을 통하여 상황정보를 전송받는 상황정보 인식수단, 상기 상황전보인식수단을 통하여 수신된 상황정보를 전송받는 상황서버 및 개인이 원하는 상황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인식 서비스장치들을 포함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상황서버는 개인정보(Identity), 시간(Time), 위치(Location), 생태적 환경(Ecological Environment) 또는 URI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개인 사례기반추론방법을 통하여, 상기 상황정보인식수단에서 수신된 특정공간에 위치하는 개인의 상황정보를 통해 개인의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b) 상기 상황서버는 (a)단계에서 작성된 상기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 중 상황정보를 공유 중인 개인들의 공유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 (c) 상기 상황서버는 동일한 상황에 놓여 있는 구성원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 모델, 개인정보(Identity), 시간(Time), 위치(Location), 생태적 환경(Ecological Environment), 갈등구조(Conflict Structure) 또는 갈등해소정책(Conflict Resolution Strategy)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집단 사례기반추론방법을 통하여, 상기 공유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통해 집단 내 서비스 갈등요소를 분석하고 갈등해소 프로세스를 도출하는 단계; (d) 상기 상황서버는 (c)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갈등해소 프로세스를 통하여 각 개인의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상황서버는 각 개인의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에 따라 상기 상황인식 서비스장치들을 제어하여 각 개인에게 상황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회 네트워크를 응용한 집단수준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 갈등해소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 ubiquitous sensor located in a specific space and collecting situ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space through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ting situation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ubiquitous sensor. In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method in a ubiquitous environment including a situ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a situation server that receives the situ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situation message recognition means and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device for providing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desired by the individual, ( a) The situation server uses the situation information through a personal case-based reasoning method using a database composed of one or more of personal information, time, location, ecological environment, or URI. Through the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located in the specific space received from the recognition means Creating a situation awareness service list of an individual; (b) the situation server creating a sharing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of individuals shar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in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created in step (a); (c) The situation server may be a social network model representing a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in the same situation, identity, time, location, ecological environment, Analyzing and resolving conflicts in service groups within the group through the shared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through a group case-based reasoning method using a databas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conflict structure or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Deriving a process; (d) the situation server modifying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of each individual through the conflict resolution process derived in step (c); and (e) the situation server according to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of each individual. Providing a situation awareness service to each individual by controlling the situation awareness service devices; This is achieved by providing a method for resolving conflicting situation awareness services at the group level by applying social networks, including social network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사회 네트워크를 응용한 집단수준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 갈등해소 방법은,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 관련 정보만으로 상황인식 서비스 사례를 추론함으로써,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의 상황인식 서비스에 따른 추출일치도나 추출정확도 측면에서 모두 우수한 성능이 있으며, 개인의 사생활 침해 우려가 있는 정보를 활용하지 않고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상에서 산출되는 2차적 자료에만 의거하여도 상당히 우수한 성능을 보일 수 있음으로써,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 모형이 상황인지형 사례기반추론에 있어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resolving the situation awareness service conflict at the group level using the present inventors' social network, as shown in FIG. 9 and FIG. 10 by inferring the situation awareness service case using only social network related information. It has excellent performance in terms of extraction consistency and extraction accuracy according to individual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and is excellent even on the basis of secondary data produced on social network without using information that might invade privacy. By being able to show performance, the social network model is an effective alternative to situational case-based reasoning,

다른 효과로는, 상황인식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황을 공유하고 있는 개인들을 위해 복수개의 서비스가 구동될 때 발생 가능한 서비스 결과에 대한 개인 간의 갈등을 예측하고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Another effect is that in providing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 it is possible to anticipate and adjust the conflicts between individuals with respect to the service outcomes that may occur when a plurality of services are run for the individuals sharing the situation.

또 다른 효과로는, 집단 갈등의 양상을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를 중요한 상황정보로 활용하여 갈등해소 전략을 도출함으로써, 종래의 기계적이고 단순한 정보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더욱 정교한 상황인식 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Another effect is to use the social network as an important contextual information to derive a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to solve the problem of having to rely on conventional mechanical and simple information. It is effective to expect the recognition service,

또 다른 효과로는, 2단계 사례기반추론이라고 하는 방법을 제안하여 1단계로 개인별 서비스를 추천하고, 2단계로는 집단 갈등을 파악한 후에 갈등해소를 위한 전략을 과거의 가장 유사한 사례를 기반으로 하여 추론함으로써, 갈등해소 프로세스 선정을 위한 2단계 사례기반추론법과 사례들은 다른 도메인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재사용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Another effect is to propose a method called two-step case-based reasoning to recommend individual services in the first step, and to identify the conflict in the second step, and then to resolve the conflict based on the most similar cases in the past. By reasoning, the two-step case-based reasoning method and the case for selecting the conflict resolution process can be applied to other domains as it is, so that the reusability effect is high.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 네트워크를 응용한 집단수준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 갈등해소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conflict resolution method at the group level applying the social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회 네트워크를 응용한 집단수준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 갈등해소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ituation awareness service conflict resolution system at the group level applying the social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in more detail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휴대용단말기(100), 유비쿼터스 센서들(200), 무선망(300), 상황정보 인식수단(400), 상황서버(500) 및 상황인식 서비스 장치들(6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portable terminals 100, ubiquitous sensors 200, wireless network 300, context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400, context server 500 and context recognition service devices 600, and the like. It is configured by.

상기 휴대용단말기(100)는 개인들이 휴대가능한 단말기로써,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들과의 무선데이터통신을 통하여 개인의 위치정보, 인적정보 등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들(200)은 특정공간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위치정보, 식별번호 등의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상황정보 인식수단(400)으로 전송하며 또한 상기 개인이 휴대한 휴대용단말기(100)와의 무선데이터통신을 통하여 개인의 위치정보, 인적정보 등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ortable terminal 100 is a terminal portable by individuals, and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through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ubiquitous sensors, and the ubiquitous sensors 200 are located in a specific space. Collects situation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and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situation information to the situ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means 400, and also through th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100 carried by the individual And so on.

상기 무선망(300)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위한 무선데이터 통신망을 의 미하며, 상기 상황정보 인식수단(400)은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들(200)과의 무선데이터통신을 통하여 특정공간의 상황정보를 수집하여 특정서버(미도시)에 저장하거나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들(200)로부터 개인의 위치정보, 인적정보 등을 수신받아 상기 상황서버(500)로 전송하게 된다. The wireless network 300 means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for a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and the situ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means 400 collects situation information of a specific space through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ubiquitous sensors 200. To store in a specific server (not shown) or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etc. of the individual from the ubiquitous sensors 200 to transmit to the situation server 500.

상기 상황서버(500)는 특정공간에 위치하여 다수의 상황정보 등을 수집하여 저장하거나 다수의 상황인식 서비스 장치들(600)을 제어하여 개인이 원하는 상황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공간 또는 특정지역(Zone)의 서버이다.The situation server 500 may be located in a specific space to collect and store a plurality of situation information, or control a plurality of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devices 600 to provide a specific space or a specific area for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desired by the individual ( Zone server.

특히, 상기 상황서버(500)는 상기 상황정보인식수단(400)을 통하여 수신된 특정공간에 위치하는 개인의 위치정보, 식별정보, 인적정보 등의 상황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에게 가장 적합한 개인의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작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다수의 개인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 중 상황정보를 공유 중인 개인들의 공유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작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Simple Euclidean Distance 방법 또는 Nested Minkowski Aggregation 방법을 이용한 개인 사례기반 추론알고리즘 또는 집단 사례기반 추론알고리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particular, the situation server 500 is the situation of the individual best suited to the individual us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huma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located in the specific space received through the situ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400 It performs a function of creating a list of recognition services, and a function of creating a list of shared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s of individuals sharing situation information amo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ntext recognition service lists, and a Simple Euclidean Distance method or Nested Minkowski Aggregation method. Personal case-based reasoning algorithms or group case-based reasoning algorithms are further included.

또한, 상기 상황서버(500)는 공유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와, 개인의 상황인식 서비스 사례정보, 집단의 상황인식 서비스 사례정보, 사회네트워크 사례정보 또는 상황정보를 이용하여 집단 내 서비스 갈등요소를 분석한 후 해당 갈등해소 프로세스를 도출하여 각 개인의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수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사회네트워크 이론과 사례기반추론방법을 이용한 갈등해소 프로세스 알고리 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In addition, the situation server 500 analyzes service conflict elements within a group by using a shared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individual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case information, group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case information, social network case information or situation information. After that,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conflict resolution process is performed to modify the individual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and in particular, it further includes a conflict resolution process algorithm using social network theory and case-based reasoning method. ,

상기 갈등해소 프로세스 알고리즘은 문제해결(Problem-solving) 알고리즘, 양보(Smoothing) 알고리즘, 타협(Compromising) 알고리즘, 쟁취(Forcing) 알고리즘 또는 포기(Withdrawing) 알고리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문제해결(Problem-solving) 알고리즘 또는 타협(Compromising) 알고리즘은 보류, 구조적 등위도 지향, 내향 중심성 지향, 총 갈등 정도의 최소화, 총 효용의 최대화, 특정 상황, 자원 추가 또는 상황 분할법(Context slicing)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집단 내 갈등요소를 분석한 후 갈등해소 프로세스를 도출하게 된다.The conflict resolution process algorithm includes one or more of a problem-solving algorithm, a smoothing algorithm, a compromising algorithm, a forcing algorithm, or a withdrawing algorithm. The problem-solving or compromising algorithms are reserved, structural isotropic, introverted, centralized, minimizing total conflict, maximizing total utility, adding specific situations, adding resources, or context slicing. After analyzing the conflict factors in various types of groups, including one or more of them, a conflict resolution process is derived.

또한, 상기 상황서버(500)는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와, 개인정보(Identity), 시간(Time), 위치(Location), 생태적 환경(Ecological Environment), 갈등구조(Conflict Structure) 또는 갈등해소정책(Conflict Resolution Strategy)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갈등해소사례정보를 저장하고 제공하며, 개인간 특성, 전체 구조적 특성, 네트워크 규모, 밀도, 구조적 틈새, 매개중심성 등의 다양한 사회 네트워크별 모델정보를 저장하고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개인정보(Identity), 시간(Time), 위치(Location), 생태적 환경(Ecological Environment) 또는 URI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개인 상황인식 서비스 사례정보를 저장하고 제공한다.In addition, the situation server 500 is a social network, personal information (Identity), Time (Location), Location (Ecological Environment), conflict structure (Conflict Structure) or conflict resolution policy Stores and provides conflict resolution case information consisting of any one or more of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nd stores and provides model information for various social networks, includ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overall structural characteristics, network size, density, structural gaps, and mediation. In addition, it stores and provides personal context awareness service case information consisting of any one or more of identity, time, location, ecological environment, or URI.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일 실시예인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갈 등해소 프로세스를 이용한 상황인식 서비스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situation awareness service method using a conflict resolution process using the situation awareness service system as an embodiment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사회 네트워크를 응용한 집단수준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 갈등해소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상황인식 서비스 선택을 위한 개인 사례별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사례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함수의 일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 네트워크 유형별로 상대적 매개 중심성 분포를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 네트워크의 확장된 토폴로지를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상대적 매개중심성 분포 특성을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상황인식 서비스 선택을 위한 집단 사례별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상황인식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례기반추론방법에 의한 추출 정확도를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상황인식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례기반추론방법에 의한 추출 일치도를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갈등해소 사례 습득을 위한 역할극(Role play)자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solving conflict of situation awareness service at a group level using a social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database for each individual case for selecting a personal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mbodiment of a function for building a personal case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distribution of relative median centrality for each type of social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n extended topology of a social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ve medi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FIG.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group case-specific database for selecting a personal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extraction accuracy by a case-based reasoning method for selecting a personal context recogni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extraction agreement by a case-based reasoning method for selecting a personal context recogni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showing role play data for acquiring various conflict resolution ca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황인식 서비스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Referring to Figures 2 to 11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method in detail,

먼저, 유비쿼터스 센서들(200)가 특정공간에 위치하는 개인의 휴대용단말기(100)를 감지하여 개인의 위치정보 또는 인적정보 등을 상황정보 인식수단(400) 을 통하여 상기 상황서버(50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상황서버(500)는 수신된 개인의 위치정보 또는 인적정보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개인별 상황인식 서비스 데이터를 검색 및 추출하여 특정공간에서 개인에게 제공할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작성하게 된다(S310).First, the ubiquitous sensors 200 detect the portable terminal 100 of the individual located in a specific space and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r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to the situation server 500 through the situ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400. Done. The situation server 500 searches for and extracts individual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data previously stored in a database us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or personal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to create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to be provided to the individual in a specific space. S310).

상기 개인의 상황인식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례기반추론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각 개인별로 상황인식 서비스를 선택한 과거 개인사례가 축적된 데이터베이스를 사례기반추론방법을 통하여 검색 및 추출하게 된다. A case-based reasoning method is used to select the individual situation awareness service, and a case-based reasoning method retrieves and extracts a database in which past personal cases in which the situation awareness service is selected for each individual are accumulated.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정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개인별 상황인식 서비스 선택을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의 특징(individual-level case base의 feature)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Preferably, the database has a feature of the database (individual-level case base) as shown in FIG. 3 in order to select a static situation-aware service.

도 3에 도시된 개인관련 정보(identity)는 크게 정적인 개인 프로파일과 동적인 개인 프로파일로 나뉘어지며, 정적인 개인 프로파일이란 상황의 변화와 상관없이 영구적으로 혹은 비교적 안전하게 관리되는 정보로서 개인의 일련번호나 성명, 나이, 출생년도, 성별 등이 그 예이다. 동적 개인 프로파일은 상황의 변화에 따라 변동 가능한 개인의 속성으로, 그 대표적인 것으로 집단 내에서의 역할을 의미하는 Role이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은 자신의 집에서 가족들과 함께 있는 경우에는 가장이 되고, 자신의 직장에서는 직원이 될 것이다. 따라서 Role은 정적인 개인 프로파일 및 다른 상황 변수의 함수로 표현된다.The personality information (identity) shown in FIG. 3 is largely divided into a static personal profile and a dynamic personal profile, and a static personal profile is a serial number of an individual as information managed permanently or relatively safely regardless of a situation change. For example, name, age, birth year, and gender. The dynamic personal profile is an attribute of an individual that can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circumstances, and a representative one is a role, which means a role within a group. For example, some people will be heads if they are with their families in their homes and employees at their workplaces. Role is thus represented as a function of static personal profiles and other context variables.

도 3에 도시된 시간(Time)관련 상황 자료는 크게 크로노스(Chronos)로서의 시간과 카이로스(Kairos)로서의 시간으로 구분되는데, 크로노스는 단순히 흐르는 물리적인 시간으로서 시각을 의미하는 한편 카이로스는 질적인 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수업이나 회의 등 특별히 의미가 부여된 시간을 말한다. 따라서 카이로스는 크로노스의 함수로 표현된다. Time-related situation data shown in FIG. 3 are largely divided into time as chronos and time as kairos, where chronos simply means time as physical time flowing, while kyros is a qualitative time. Means time that is given special meaning, such as class or meeting. Kairos is thus expressed as a function of chronos.

도 3에 도시된 현재의 위치(Location)는 단독으로 존재하게 되는 특정한 한 지점(spot)이 아니라 아파트 주차장이나 공원 등 여러 사람이 존재할 수 있는 영역(zone)으로도 표시되며, 영역인 경우에는 중심점인 현재위치(current location)뿐 아니라 반경 정보도 같이 가지게 된다. The current location shown in FIG. 3 is represented as a zone where several people, such as an apartment parking lot or a park, may exist, rather than a specific spot that exists alone. In addition to the current location (current location) is also having the radius information.

도 3에 도시된 생태적 환경(Ecological Environment)은 온도, 습도, 조도, 채도, 소음과 같은 물리 생태적 요소와 TV Channel이나 Audio Channel 등 인위적 생태적 요소로 나누어진다.The ecological environment illustrated in FIG. 3 is divided into physical ecological elements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nce, saturation, and noise, and artificial ecological elements such as a TV channel and an audio channel.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결과(Final Results)는 개인이 선택한 서비스의 URI주소가 되며, 이 주소에 근거하여 상황인식 서비스가 실행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에서 현재 상황에 가장 적합한 사례를 탐색하기 위한 방법으로 Simple Euclidean Distance 방법 또는 Nested Minkowski Aggregation 방법을 응용하여 사용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final result is a URI address of a service selected by an individual, and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is executed based on this address. A simple Euclidean distance method or a nested minkowski aggregation method is used as a method for searching for a case most suitable for the current situation in a database having a structure as shown in FIG. 3.

상기 Minkowski aggregation 방법은 가중평균방법에 비하여 p값이 1보다 큰 경우 유사하지 않은 항목의 영향을 더욱 부각시키는 일종의 가중평균법의 일반형이라고 볼 수 있는데, p값이 1보다 작고 0보다 큰 경우는 당연히 차이가 나는 항목에 대한 영향력을 작게 하려는 경우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근간으로 하되 네 가지의 주요 평가 차원(criteria) 수준에서 한번 적용하고, 그 차원 내에서도 한번 더 적용하는 이른바 Nested Minkowski aggregation 방법을 적용하여 가장 적합한 사례를 탐색하게 되며, 아래 식(1)과 같다. The Minkowski aggregation method is a general type of weighted average method that emphasizes the effect of dissimilar items when p value is greater than 1, compared to weighted average method. When p value is less than 1 and greater than 0, it is obviously different. Is the case where I want to have less influence on the item. I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is, the most suitable case is searched by applying the so-called Nested Minkowski aggregation method, which is applied once at four major evaluation levels and once again within the dimension, and the following equation (1) Is the same as

식(1)에 존재하는 네 가지 부분은 각각 개인관련 정보, 시간 상황, 위치 상황 및 생태 환경 상황을 의미한다. The four parts in Eq. (1) each represent personal information, time situation, location situation and ecological environment situation.

Figure 112007059767612-pat00001
식(1)
Figure 112007059767612-pat00001
Formula (1)

한편, 식(1)에 존재하는 네 가지 유사도는 아래 식(2)와 같은 함수로 유도된다.On the other hand, the four similarities present in Equation (1) are derived by the function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Figure 112007059767612-pat00002
(식2)
Figure 112007059767612-pat00002
(Eq. 2)

상기와 같은 S310단계를 거쳐 개인의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작성하게 되고, 상기에서 작성된 개인의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들은 동일한 상황에 처해 있는 개인들이 희망하는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통하여 상황 내 서비스 묶음(intra-context service bundle)을 작성하게 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함수에 의해 상기 상황 내 서비스 묶음은 상황적 서비스 명세(contextual service description) 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공유중인 개인들의 공유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작성하게 된다(S312).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of the individual is created through the step S310 as described above, and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s of the individuals created above are bundled with the service in the situation through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desired by individuals in the same situation. context service bundle), and the service bundle in the context is composed of a set of contextual service descriptions by a function as shown in FIG. It becomes (S312).

상기 상황서버(500)는 상기 공유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분석하여 집단 내 상황인식 서비스에 따른 갈등요소를 분석하게 되는데(S316),The situation server 500 analyzes the shared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to analyze the conflict factors according to the situation awareness service in the group (S316).

일반적으로, 집단 내 갈등이란 목적이나 이해 또는 아이디어 등과 관련하여 강한 비합의나 불일치가 있는 현상으로 정의되는 데, 이러한 집단 내 갈등(Group conflict)은 기업 조직에서 과업상의 상호의존성, 과업상의 일방적 의존성, 고도의 수평적 분화, 낮은 공식화 등의 이유로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황인식 서비스 제공 상에 있어 상황인식 서비스 공유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갈등에 집중하며, 이런 이유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갈등의 원천으로 분류한다.In general, conflict within a group is defined as a phenomenon in which there is a strong disagreement or inconsistency in relation to the purpose, interest, or idea. Such group conflict refers to the task interdependence, the one-sided dependence, Although it is known to occur due to high horizontal differentiation, low formalization, etc.,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the conflict caused by the sharing of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 in providing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 Classify as a source.

첫째가 한정된 상황 자원(scare context asset)으로써, 시간, 접촉하고 있는 사람, 공간, 활용 가능한 기기나 프로그램 등 Abowd가 제안한 네 가지 차원의 상황에서 개인에게 효익을 줄 수 있는 것들을 의미하며, 이러한 상황 자원이 한정되면 그것을 공유하고 있고, 사용할 권리를 가진 두 사람 이상의 집단 내에서 그 자원을 활용하는 데에 따르는 갈등이 발생하게 되며, 한정된 상황 자원으로 인한 갈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동일 상황에서 상황인식 서비스 요청을 한 개인들이 선택한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 중 pre-condition부분에서 요청하는 자원이 동일한 것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하게 되고,The first is a limited context resource, meaning things that can benefit an individual in the four dimensions of Abowd's context, including time, people in contact, space, and available devices or programs. When this is limited, conflicts arise from the use of the resource within two or more groups who share it and have the right to use it. It analyzes whether the resources requested in the pre-condition part of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selected by one individual exist.

둘째로, 순차적 상호종속성(sequential interdependence)으로써, 한 사람을 위한 상황인식 서비스 실행으로 인한 결과가 다른 사람을 위한 상황인식 서비스 실 행을 위한 여건에 영향을 주고, 그 여건의 변경 결과가 다른 사람의 효용을 감소시키게 될 것으로 예상될 때 갈등이 발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의 행위로 인해 소음, 공유 자원의 소모, 서비스 대기 시간 증가 등이 야기되어 다른 이의 효용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순차적 상호종속성은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통해서 분석이 가능하다. 한 사람을 위한 상황인식 서비스 실행으로 인한 결과는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에서 사후조건(post-condition)으로 표현되고 다른 사람을 위한 상황인식 서비스 실행을 위한 여건은 사전조건(pre-condition)으로 표현되므로 원래 상태의 사전조건과 실행 이후의 사후조건을 비교하여 변경된 부분이 있는지 확인한다. 변경된 부분이 없으면 집단 갈등은 존재하지 않으나 변경된 부분이 발견되면 일단 갈등이 존재하는 것으로 한다.Second, with sequential interdependence, the consequences of implementing context-aware services for one person affect the condi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context-aware services for others, and the consequences of those changes are Conflicts can be issued when they are expected to reduce their utility. For example, the actions of one person may cause noise, the consumption of shared resources, and increased service latency, which may be useful to others. Therefore, sequential interdependencies can be analyzed through the context awareness service list. The result of running a context-aware service for one person is represented by a post-condition in the context-aware service list, and the conditions for the execution of a context-aware service for another person are represented as a pre-condition. Compare the precondition of the state with the postcondition after execution to check if there is any change. If there is no change, there is no group conflict, but once a change is found, it is assumed that there is a conflict.

마지막으로, 희구상태의 상호종속성(aspiring state interdependence)으로써, 특정 서비스를 구동시킬 경우 다른 사람의 희구 상태에 영향을 주고 이것이 부정적일 때 나타나게 되는 갈등이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을 기상시키기 위해 벨 소리를 울릴 때 기상의 필요가 없는 다른 사람의 희구 상태인 조용한 상태에 부정적 영향을 주게 되고 이것이 갈등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희구상태의 상호종속성은 특정 상황인식 서비스를 구동시킨 이후에 야기되는 변화된 상태를 예측하되 상황인식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대상만 아니라 같은 상황을 공유하고 있는 다른 사람에 대해서도 변화된 상태를 예측함으로써 발견하게 된다.Finally, as an aspiring state interdependence, running a particular service affects the other person's hopeful state, which is a conflict that appears when it is negative. For example, ringing a bell to wake up a person negatively affects the quiet state of another person who does not need the wake, which causes the conflict. Thus, the interdependence of the rare state is found by predicting the changed state that occurs after running a specific context aware service, but by predicting the changed state not only for the subjects that need the context aware service but also for others who share the same situation. Done.

상기 S314단계에서 갈등요소가 존재하지 않으면(S316), 특정공간에 위치하는 개인에게 상황인식 서비스 장치들(600)을 제어하여 개인에게 상황인식 서비스를 제 공하게 된다(S324).If there is no conflict element at step S314 (S316),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devices 600 are controlled to the individual located in a specific space to provide the situation awareness service to the individual (S324).

만약, S314단계에서 갈등요소가 존재하면(S316), 신규갈등인지를 분석하게 되고 신규갈등이 아니면(S318), 일반적인 갈등해소 프로세스를 도출하여 개인들의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수정하여 갈등요소를 해소시키게 되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S322).If there is a conflict element in step S314 (S316), it is analyzed whether it is a new conflict, and if it is not a new conflict (S318), a general conflict resolution process is derived to modify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of individuals to resolve the conflict elemen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S322).

만약, S314단계에서 갈등요소가 존재하면서 신규갈등이면(S318), 상기 상황서버(500)는 데이터베이스를 탐색하여 사회 네트워크 기반의 집단 갈등해소 프로세스를 도출하게 된다(S320).If, at step S314, a conflict exists and there is a new conflict (S318), the situation server 500 searches a database to derive a social network based group conflict resolution process (S320).

상기 사회 네트워크 기반의 집단갈등 프로세스를 도출하게 되고, 상기 도출된 갈등해소 프로세스를 통하여 개인들의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수정하여 갈등요소를 해소시키게 되는데(S322),Deriving the social network-based collective conflict process, and through the derived conflict resolution process to modify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of individuals to resolve the conflict element (S322),

상황인식 서비스 실행에 대한 집단 내 갈등이 존재하게 되면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에 대한 전략을 선택하기 위한 추론을 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례기반추론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집단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갈등해소 방법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If there is a conflict in the group about the execution of the situational awareness service, an inference is made to select a strategy on how to resolve it. In the present invention, a case-based reasoning method is used. At this time, there are differences in how conflict resolution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상황인식 서비스에서 Social context은 중요한 상황 정보로 인식되고 있으며, Wikipedia에서는 Social context는 특정 의사소통 상황에서 개인이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으로 정의된다. 사람들은 위치 등의 이동이나 만나고 있는 구성원의 동적인 변동에 따라 한 social context에서 다른 social context로 옮겨간다. 그 예로 Arminen은 모바일 단말기 등을 통하여 그 사람이 현재 어떠한 사회적 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추정할 수 있는 여러 예를 제시하고 기술적 개발을 제안한 바 있다 (Arminen, 1996). 그러나 social context를 파악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더 어려운 것은 그 context로부터 더 유용한 정보를 유도하는 것에 대한 체계적인 방법이 거의 없다. In context-aware services, social context is recognized as important context information. In Wikipedia, social context is defined as the direct or indirect impact of an individual in a specific communication situation. People move from one social context to another depending on the movement of their location or the dynamic changes in the members they meet. Arminen, for example, suggests a number of examples and technical developments that can be used to estimate what social activities a person is currently doing through mobile devices (Arminen, 1996). However, identifying social contexts is not easy, and even more difficult, there are few systematic ways to derive more useful information from the context.

그런데, 만약 한 상황 내에 존재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알 수 있고 그들 각각 사이의 관련성의 유무를 알 수 있다면 그 집단의 특성을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 이론에 의해 시스템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집단의 특성을 인식하기 위해 사회 네트워크 모형(Social Network Model)을 하나의 중요한 상황 정보로 활용한다.However, if it is possible to know who is present in a situation and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f them,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can be grasped systematically by the theory of social network,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groups, Social Network Model is used as important context information.

본 발명은 동일한 상황에 놓여 있는 구성원들 사이의 관계를 사회 네트워크 모형(social network model)으로 표현하고 그 사회 네트워크 모형이 가지는 다양한 구조적이고 의미적인 특성이 social context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사회 네트워크 모형(Social network model)의 구조적 특징과 갈등해소법 사이에 인과관계가 존재하며, 향후에 유사한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 상태에서도 그 갈등해소법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구축하고, 기타 상황 정보를 입력 부분으로 보고 갈등해소 전략을 결과 부분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에 근거한 갈등해소 전략 선정을 위하여 사례기반추론방법으로 검색 및 추출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expre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in the same situation as a social network model, and various structur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 model play a role of social context.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social network model and the conflict resolution method, and the conflict resolution method may be similarly applied in a similar social network state in the future. Case-based reasoning method for storing and building information about social networks in a database, seeing other situation information as an input part, and constructing a database with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as a result part and selecting a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based on this Search and extract with.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집단 내에 동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개인별 상황인식 서비스 선택을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의 특징(group-level case base의 feature)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크게 집단 내 개인의 프로파일적 특성과 집단의 특성을 말해 주는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 상의 특성, 그리고 최종 결과물로서 8가지 갈등해소 전략을 구사하는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atabase preferably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database (group-level case base) as shown in FIG. 8 for selecting the individual situation awareness service that is dynamically formed in the group. It is desirable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n the social network tell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and to use the eight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as the end result.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은 상기 도 3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의 특징과 다소 유사하나 다른부분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면, As shown in FIG. 8,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base are somewhat similar to those of the database illustrated in FIG. 3, but the other parts will be described.

개인 수준의 서비스가 구동되는 경우 발생 가능한 집단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것은 사회 네트워크의 특성뿐 아니라 위치나 시간 등 기타 상황에도 영향을 받게 되며, 실제로 협상에 있어서 갈등해소를 위한 중요 요소로 갈등 당사자와 그들의 행동, 협상의 대상, 그리고 갈등을 둘러싼 상황정보가 제시되고 있다 (Luis and Gerald, 2000). 물론 이러한 상황은 경제적, 문화a적, 사회적, 정치적 요소를 모두 포함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황인식 서비스 시스템에서 인식 가능한 것만을 대상으로 한다. Choosing a process for resolving group conflicts that can occur when an individual level of service is run depends not onl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network but also on other situations, such as location and time, and is an important factor in resolving conflicts. Conflict parties, their actions, the subjects of negotiations, and contextual information surrounding the conflict are presented (Luis and Gerald, 2000). Of course, such a situation includes all economic,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factors, but the present invention only covers thos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system.

따라서, 갈등해소 프로세스 선정을 위한 사례기반추론 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바에 비하여 다소 변경되게 된다. Therefore, the case-based reasoning method for selecting a conflict resolution process is somewhat changed as shown in FIG. 3 as shown in FIG. 8.

도 8에 도시된 Identity 차원에는 기존의 개인에 대한 정보 및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 상에서 개인 수준의 속성들이 포함되며, 개인 차원에 대한 정보 중에서 개인주의나 집단주의와 같은 문화적 특성이나 성별, 조직 내에서의 역할 등은 갈등해소 유형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역할(role)의 경우 갈등해소에 있어서 적극적이냐 회피적이냐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이 다(Mills and Chusmir, 1988). 역할(role)은 종종 지위(status)로 나타나기도 하며 이것은 구조적 등위도 결정에 영향을 준다(Hubbard, 1999). The identity dimension shown in FIG. 8 includes attributes of individual level and attributes of individual level in social network. Among the information on individual dimension, cul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individualism or collectivism, gender, organization It is known that the role of, etc. is correlated with the type of conflict resolution, and in particular, the role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whether to resolve the conflict positively or aggressively (Mills and Chusmir, 1988). Roles often appear as statuses, which influence the determination of structural equivalence (Hubbard, 1999).

도 8에 도시된 Identity 차원의 유사도(

Figure 112007059767612-pat00003
)는 network size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network size값을 활용하여 정규화된 유사도를 구한 후에 전체 유사도 계산에 활용한다. 또한 Identity 관련 속성 중에 Physical adjacency는 social network내의 임의의 두 사람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며 두 사람 사이의 거리는 얼마나 상황이 공유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Similarity of the Identity dimension shown in FIG.
Figure 112007059767612-pat00003
) May vary depending on the network size, so use the network size to find the normalized similarity and then use it to calculate the overall similarity. Also, among the attributes related to identity, physical adjacency means the distance between any two people in the social network, and the distance between two people is useful for understanding how the situation is shared.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갈등 구조(Conflict structure)라는 차원이 새로 추가되었는데, 이는 발생한 갈등을 분석하여 유도된 것으로, 이 중에서 Source of conflict은 한정된 상황 자원(scare context asset), 순차적 상호종속성(sequential interdependence), 희구상태의 상호종속성(aspiring state interdependence), 기타 미확인된 갈등의 원천의 네 가지로 나누었으며, 그리고 Persons in conflict는 서비스 구동상의 갈등을 가지게 되는 사람들이 누군지에 대한 정보로서 갈등 분석 시에 도출된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8, a dimension called conflict structure is newly added, which is derived by analyzing a conflict, in which a Source of conflict is defined as a limited context resource and a sequential interdependency. (sequential interdependence), aspiring state interdependence, and other unidentified sources of conflict, and Persons in conflict is a conflict analysis as information about who is in conflict with the service. Is derived from the poem.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nal Results는 갈등해소 전략에 대해 우선순위를 결정한 것을 기록하게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final results record the priorities of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상술한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을 활용하여 집단 갈등해소 프로세스 선정을 위한 사례기반추론방법에서 사용되는 유사도(

Figure 112007059767612-pat00004
) 함수는 아래 식(6)과 같다.Similarity used in the case-based reasoning method for selecting a collective conflict resolution proces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base described above.
Figure 112007059767612-pat00004
) Function is shown in Equation (6) below.

Figure 112007059767612-pat00005
식(6)
Figure 112007059767612-pat00005
Formula (6)

한편 유사도(

Figure 112007059767612-pat00006
)는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단 SoN은 네트워크 규모를 의미한다.Similarity (
Figure 112007059767612-pat00006
) Is derived as follows. SoN means network size.

Figure 112007059767612-pat00007
식(7)
Figure 112007059767612-pat00007
Formula (7)

이렇게 Simple Euclidean Distance 방법 또는 Nested Minkowski Aggregation 방법을 새로이 개발하여 적용한 이유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 기본적으로 분산화된 컴퓨팅 환경을 기반으로 하고 있고, 이에 따라 유사도 분석에 연관된 정보도 또한 기기나 서버에 따라 분산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어떤 한 기기 혹은 서버에서 개인의 프로파일이나 상황 관련된 정보를 모두 수집하여 유사도 계산을 한다고 했을 때 개인정보 침해의 우려가 높으며, 따라서 이러한 서비스는 수용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유사도 계산을 요청한 후에 각 기기 혹은 서버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내용을 토대로 유사도 계산을 하게 하고, 그 후에 계산된 결과를 가지고 와서 최종 유사도를 계산하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를 피하도록 한 것이다.The reason why the new Euclidean Distance method or the Nested Minkowski Aggregation method is newly developed and applied is that the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is basically based o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and thu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imilarity analysis may also be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device or server. This is because it is likely. In such a case, if one device or server collects all the information related to an individual's profile or situation and calculates the similarity, there is a high risk of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and thus these services will not be accepted. Therefore, after requesting similarity calculation, each device or server calculates similarity based on what they have, and then calculates the final similarity by bringing the calculated result to avoid this problem.

이하, 집단의 갈등요소 및 분석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Looking more specifically at the conflict element and analysis method of the group,

먼저, 집단의 사회 네트워크적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n명으로 이루어진 집단이 형성되었고, 그들의 상호관계성 유무를 파악했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내부에 는 다음과 같이 개인간 특성과 전체 구조적 특성의 두 가지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 상의 특성을 분류하게 되며, First of all, suppose the group's social network characteristics. First, let's assume that a group of n people was formed and their relationship was identified. Then, inside, we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n two social networks: interpersonal and overall structural.

상기 개인간 특성은 관계의 강도 (strong ties & weak ties)가 가장 대표적이다. 이는 서로 만나는 빈도 등으로 추정할 수 있는 관계의 친근성으로 표현될 수도 있고, 부부지간이나 이웃과 같은 관계의 원천으로도 표현되며, 또한 관계의 강도가 음의 값을 가지는 경우 서로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등 집단의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대표적으로는 내향중심성(in-centrality)과 같은 요소들이 있으며, 이는 교류의 방향이 외부에서 자신으로 들어오는 경우에 해당하고, 구조적 등위도도 개인간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속성이다. The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are most representative of strong ties & weak ties. This can be expressed as the intimacy of the relationship, which can be estimated by the frequency of meeting each other, or as the source of the relationship such as marital status or neighbors, and can also be regarded as unfavorable when the strength of the relationship is negative.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group to understand. Also, there are representative elements such as in-centrality, which corresponds to the case where the direction of exchange enters from the outside, and structural isotropy is also an important attribute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상기 전체 구조적 특성: Network size, Density, Structural hole, Centralization, Network topology 등이 이에 해당한다. 여기서 network topology란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의 유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형, 스타형, 원형 등이 있다. 이러한 유형은 갈등해소전략 선택과 관련성이 존재하며, 그 이유는 예를 들어 스타형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스타에 해당하는 자의 상황인식 서비스를 먼저 고려할 가능성이 더욱 크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매개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을 활용하게 된다.The overall structural characteristics include Network size, Density, Structural hole, Centralization, Network topology, and the like. Here, the network topology refers to a type of social network, and typically includes a line type, a star type, a circle,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6. This type is related to the choice of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for example, because the star type is more likely to consider the situation awareness service of the person who is the star first than otherwise. In order to analyze this typ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mediation centrality as shown in FIGS. 5 and 7.

둘째로, 네트워크 규모와 갈등으로써, 네트워크 규모는 노드의 수와 선의 수에 의하여 결정되며, 네트워크의 복잡도와도 관계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 규모를 노드와 선의 수의 합으로 보며, 네트워크 규모가 커지면 커질수록 갈등의 발생 가능성은 높아질 것이며, 갈등해소 노력 또한 더 많이 들게 된다.Secondly, due to network size and conflict, network size is determined by the number of nodes and the number of lines, and is also related to the complexity of the network.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work size is regarded as the sum of the number of nodes and lines, and the larger the network size i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conflict is, and the more efforts to resolve the conflict are required.

셋째로, 밀도와 갈등으로써, 밀도는 한 네트워크에서 행위자들 사이의 연결된 정도이다. 밀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갈등 상황에 대해서 해소하려는 의지가 높아지며, 낮을수록 그 갈등을 해소하려는 노력보다 갈등을 표출하는 부담을 더욱 크게 느끼게 된다. 예를 들어 집 안에서 가족은 집에서 TV 채널 선택에 대해서 일반 식당에서 잘 모르는 사람들과 같이 켜져 있는 TV 채널 선택에 대해서 논의하는 경우보다 더욱 활발한 논의를 하게 된다. 따라서 밀도는 집단 갈등에 있어서 갈등의 발생 가능성과 관련이 있다. Third, by density and conflict, density is the degree of connection between actors in a network. The higher the density, the greater the willingness to resolve the conflict, and the lower the density, the greater the burden of expressing the conflict than the effort to resolve it. For example, at home, the family has a much more lively discussion of choosing a TV channel at home than if they are talking about a TV channel selection that is not well known in a restaurant. Density, therefore, is related to the likelihood of conflict in group conflict.

넷째로, 구조적 틈새와 갈등으로써, 구조적 틈새란 한 사람이 다름 사람들과의 연계에서 중복되지 않고 그 행위자를 통해서만 다른 사람들이 연계되는 바로 그 위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특정 네트워크 상에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두 집단 내의 사람들끼리 갈등이 발생한 경우 구조적 틈새에 해당되는 자에 의한 갈등 조정의 중요성이 크게 되는데, 구조적 틈새에 놓인 자가 상대적 등위도가 낮은 사람이라고 한다면 조정의 당사자라기보다는 양쪽에 공히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소외된 주변인일 수 있으며, 이때에는 갈등 조정의 역할을 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구조적 틈새의 여부로 갈등해소 전략을 고려할 때에는 그의 상대적 등위도와 함께 고려되게 된다.Fourthly, by structural niche and conflict, structural niche means the very place where one person is connected not only to others but to others through the actor. Therefore, when there is conflict between people in two groups that are not directly related to a specific network, the coordination of conflict by a person in the structural gap becomes more important. Rather than being a marginalized person who does not affect both sides, it will not be able to act as a mediator. Therefore, when considering a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with or without structural gaps, it is considered along with its relative equality.

다섯째로, 매개중심성과 갈등으로써, 매개중심성은 원래 개인 간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매개중심성의 분포를 통해서 전체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매개 중심성을 구하는 식은 아래 식(3)과 같다. 여기서

Figure 112007059767612-pat00008
는 네트워크 내 특정 두 점 j와 k 사이에 존재하는 최단거리 경로의 경우의 숫자를 의미하며,
Figure 112007059767612-pat00009
는 서로 다른 두 점 j와 k사이에 존재하는 점 i를 경유하는 횟수를 의미한다. Fifthly, mediating centrality and conflict, mediating centrality originally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but has the advantage that the whole structure can be grasped through the distribution of mediating centrality. The formula for determining the median centrality is shown in Equation (3) below. here
Figure 112007059767612-pat00008
Is the number of shortest paths between two specific points j and k in the network.
Figure 112007059767612-pat00009
Denotes the number of times via the point i between two different points j and k.

Figure 112007059767612-pat00010
식(3)
Figure 112007059767612-pat00010
Formula (3)

도 5는 Star유형, Circle유형, Line유형에서의 상대적 매개중심성의 전형적 분포이다. 또한 위의 세가지 타입을 포함하여 그 외의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의 유형과 분포를 포함하여 나타낸 것이 도 6과 같다. 단 도 5와 비교하기 위하여 노드의 수와 연결선의 수는 고정하여 동일한 밀도를 가지는 네트워크들을 비교하였다. Network의 유형을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 내의 매개 중심성의 분포가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의 유형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매개중심성이 한 두 노드로 집중되면 갈등해소를 위한 의사결정은 매개중심자의 의견에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매개중심성이 한 두 노드로 집중된다는 것은 그만큼 적은 의사소통으로 유지된다는 점이며 적은 의사소통은 일반적으로 갈등의 수위를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매개중심성이 분산될수록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 해소하는 노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왜냐하면 수정행위가 가장 빈번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5 is a typical distribution of relative mediation centers in Star, Circle, and Line types.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6 including the above three types, including the type and distribution of other social networks (Social Network). However, compared to FIG. 5, networks having the same density were compared with the fixed number of nodes and the number of connecting lines. It can be seen from the type of network that the distribution of median centrality in the social network correlates with the type of social network. For example, if mediation centers on one or two nodes, the decision to resolve conflicts will be influenced by the mediator's opinion. Also, the centrality of mediation to one or two nodes is that it is maintained with less communication, and less communication is generally known to lower the level of conflict. In addition, as mediation centers are dispersed, efforts to resolve conflicts are expected to be greater. Because corrective action is known to be the most frequent.

따라서, 특정하게 형성된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가 현 갈등해소 방법을 위해 어떤 유형의 방법을 선정하는 것이 유리할 지를 자동적으로 파악하는 것에 유용하다고 보았다. 그 파악 방법으로 어떤 특정한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의 분포와 도 7에서 나타난 전형적인 세 가지의 분포를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분포로 귀속시키게 되는 network similarity 분석을 사용한다.Therefore, it was found that a specially formed social network would be useful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what type of method would be advantageous for the current conflict resolution method. As a method of identification, a network similarity analysis is used, which compares the distribution of a particular social network with the three typical distributions shown in FIG. 7 and assigns the most similar distribution.

이때 식(4)은 network similarity인

Figure 112007059767612-pat00011
을 계산하는 공식이다.
Figure 112007059767612-pat00012
은 i번째 전형적 social network이며 T는 네트워크 형태를 파악하려는 특정 social network이다. 우변식은 두 네트워크의 각 노드별 차이를 합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세 가지의 전형적인 형태 모두와 어떤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사도가 떨어지게 되면 판단을 보류하게 된다. Where Eq. (4) is network similarity
Figure 112007059767612-pat00011
Is the formula to calculate.
Figure 112007059767612-pat00012
Is the i-th typical social network, and T is the specific social network that tries to identify the network type. Right-hand means to sum the differences for each node in the two networks. However, if the similarity falls below a certain level with all three typical forms, judgment will be withheld.

Figure 112007059767612-pat00013
식(4)
Figure 112007059767612-pat00013
Formula (4)

상기 분석된 갈등요소를 해소시키는 해소전략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When explaining the resolution strategy to resolve the conflict factor analyzed in detail,

갈등해소를 위한 전략은 전통적으로 문제해결(problem-solving), 양보(smoothing), 타협(compromising), 쟁취(forcing), 포기(withdrawing)의 다섯 가지로 나뉘어진다 (Holt and DeVore, 2005). 이 중에서 쟁취와 양보 그리고 회피 전략은 복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략이 아니므로 본 발명의 갈등해소 전략으로 포함은 되나 단순하다. 그러나 그 외의 문제해결, 타협 전략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이 더 세분화하게 되는데, Strategies for resolving conflict are traditionally divided into problem-solving, smoothing, compromising, forcing and withdrawing (Holt and DeVore, 2005). Among these, the acquisition, concession, and avoidance strategy is not a strategy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services, but is included as a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simple. However, other problem solving and compromise strategies are further broken down as follows.

먼저, conflict가 발생할 일을 보류하는 것으로, 이때에는 상황인식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것을 개인 또는 집단에게 통보하고 종료하게 된다. First of all, withholding the occurrence of a conflict, in which case an individual or group is notified that no contextual awareness service will be provided and will be terminated.

둘째, 상기에 언급한 구조적 등위도가 가장 높은 사람의 의견을 따르도록 하 는 것으로, 상기 구조적 등위도는 권위, 지위, 신분 등으로 결정하게 되며, 이는 개인 프로파일(user profile) 자료에 의존하며, 구조적 등위도가 가장 높은 사람을 선정한 후에 그의 서비스 선정 기준에 의하여 서비스가 선택되고 실행되도록 하게 된다.Second, to follow the opinion of the person with the highest structural equivalence mentioned above, which is determined by authority, status, status, etc., which depends on user profile data, After selecting the person with the highest structural equivalence, the service is selected and executed according to his service selection criteria.

셋째, 상기에 언급한 내향중심성이 가장 높은 사람의 의견을 따르도록 하는 것으로, 상황에 따라 변동되는 사회 네트워크 모형(Social network model)을 참조하여 내향중심성을 각 노드별로 평가한 후에 가장 높은 노드를 결정하며, 그의 상황인식 서비스 선정 기준에 의하여 상황인식 서비스가 선택되고 실행되도록 하게 된다.Third, in order to follow the opinion of the person with the highest introvertedness mentioned above, the highest node is determined after evaluating introvertedness by each node with reference to the social network model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situation awareness service is selected and execu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wareness service selection criteria.

넷째, 총 갈등 강도(Total strength of conflict)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협상토록 하는 것으로, 따라서 전체 서비스 만족도와는 거리가 멀 수 있다. Fourth, negotiations should be made to minimize the total strength of conflict, which may be far from total service satisfaction.

다섯째, 총 효용(Total utility)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협상토록 하는 것으로, 윈-루즈(win-lose)를 인정할 것인지 아니면 윈-윈(win-win)의 경우만 채택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윈-루즈를 포함하면 총 효용은 더욱 올라가겠지만 총 갈등 강도도 같이 올라갈 가능성이 높으며, 윈-윈만을 대상으로 할 경우에는 총 갈등 강도는 낮아질 가능성이 높으나 고려할 수 있는 실행가능해의 집합(feasible solution set)은 줄어들게 된다. Fifth, it is necessary to negotiate in the direction of maximizing total utility, and decide whether to accept win-lose or only win-win. If you include win-loose, the total utility will be higher, but the total conflict intensity is likely to be higher, and if you are targeting win-win only, the total conflict intensity is likely to be lower, but you can consider a feasible solution set. ) Will decrease.

여섯째, 특정 상황에 대한 사전 계약이 합의되어 있으면 그대로 따르도록 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한 가정에서 오후5시에서 7시 사이에 가족들이 모두 있을 경우에는 아이들이 채널을 선택한다는 사전 계약이 집단 프로파일(group profile)에 사전 정의되어 있다면, 다른 갈등해소법에 우선하도록 하는 것이다. Sixth, if a pre-contract agreement for a particular situation is agreed to, it is followed. For example, if there is a family between 5 pm and 7 pm in a family, the pre-contract that the children choose the channel is a group profile ( If it is already defined in the group profile, it will take precedence over other conflict resolution methods.

일곱째, 자원을 추가적으로 투입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때 자원이란 공간, 사용하려는 기기, 대화하려는 상대 등 공유된 상황이 해당된다. 예를 들어 두 사람이 동시에 한 장소에서 하나의 TV로 다른 채널을 보기를 희망한다면, 한 사람에게는 TV를 시청하게 하고 다른 사람은 주변의 컴퓨터를 통해 온라인으로 볼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하는 것이다. Seventh, additional resources are to be added, where resources are shared situations such as space, devices to use, and people to talk to. For example, if two people want to watch different channels on one TV at the same time in one place, have one person watch the TV, and the other person takes action to watch online through a nearby computer.

여덟째, 상황 자원(context asset)을 돌아가며 사용하게 하는 것으로, 마치 멀티태스킹(Multitasking)을 위해 time sharing 방식을 사용하는 것처럼 시간적 순번을 정하여 돌아가면서 자원을 활용하게 하는 것이다. 이것을 본 발명에서는 상황 분할법(context slicing)이라고 칭한다.Eighth, it is to make use of the context asset (circle asset), and to use the resource by setting the time sequence in turn as if using a time sharing method for multitasking (Multitasking). This is called context slicing in the present invention.

위와 같은 여덟 가지 해소 전략을 활용한 상황인식 서비스 실행 알고리즘은 상황서버의 상황 관리자(context manager) 혹은 메타서비스(meta service)에서 해소 프로세스(resolution process)의 형태로 내장되는데 그 형태의 일례는 다음 식(5)와 같다.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execution algorithm using the above eight resolution strategies is embedded in the form of resolution process in the context manager or meta service of the context server. Same as (5).

Figure 112007059767612-pat00014
식(5)
Figure 112007059767612-pat00014
Formula (5)

식(5)의 의미는 먼저 사전계약이 합의되어 있으면 그것을 실행해보도록 하고, 합의된 것이 없으면 자원을 추가적으로 투입할 것이 있는지 조사해 보며, 없을 경우에는 총효용을 높이거나 총 갈등 강도를 줄이는 방법 중 아무 것이나 구사해 보며, 이를 통해서도 해결되지 않지 않는다면 구조적 등위도가 높거나 내향 중심성 이 높은 사람의 서비스를 우선 실행하고 모두 실패한 경우에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보류하라는 것이 된다. Equation (5) means that if a pre-contract is agreed, first try to do it, and if there is no agreement, investigate whether there will be additional resources, if not, increase the total utility or reduce the intensity of conflict. If this is not the case and it does not resolve through this, then the service of a person with high structural isochronism or high introvertity should be executed first, and in case of failure, the service should be suspended without providing the service.

이 예에서 볼 수 있듯이 순서는 실행의 순서를 의미하며, 후순위는 선순위 해소전략이 실행 불가능할 때 고려하게 된다. 또한 괄호 안에 있는 전략들은 우선 순위의 차이가 없이 어떤 것이나 먼저 활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하나의 해소 프로세스에는 위에서 언급한 해소 전략의 일부가 누락될 수도 있다. As you can see in this example, the order means the order of execution, and the subordinate order is considered when the priority resolution strategy is not feasible. Strategies in parentheses also mean that anything can be used first, with no difference in priority. On the other hand, one resolution process may miss some of the resolution strategies mentioned abov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위한 사례수집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case collection metho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갈등해소를 위한 사례기반추론을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역할극(role play)기법을 활용하였는데, 역할극(Role play)에 의하여 갈등을 제시하고 그 해소 전략을 수집하는 것은 심리학적 접근법으로 잘 사용되는 방법으로(Colsman and Wulf, 2002), 이를 위해 첫째로 하나의 대표적인 시나리오와 9개의 장면(vignette)을 작성하였다. For the case-based reasoning for conflict re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role play technique. The presenting of conflict by role play and collecting the resolution strategy are well-used as a psychological approach. Colsman and Wulf, 2002), for this purpose, one representative scenario and nine vignettes were prepared.

본 발명에서 사례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Home Sweet Home(이하 HSH)"서비스 시나리오는 어떤 집에 아버지, 어머니, 그리고 초등학교와 유치원을 다니는 두 아이들로 이루어져 있다고 가정하였으며, HSH은 가정의 행복을 보전하기 위해서 가정 내에서 흔히 벌어지는 상황 공유상의 사소한 갈등들을 시스템적으로 해소해 주려는 상황인식 지원 서비스이다. 사례수집을 위해 활용한 시나리오는 다음 표2와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Home Sweet Home (HSH)" service scenario for explaining a case collecting method is assumed that the home consists of two children attending a father, a mother, and an elementary school and a kindergarten, and HSH preserves the happiness of the home. It is a situation awareness support service that systematically resolves minor conflicts in sharing situations that are common in homes. The scenarios used for case collection are shown in Table 2 below.

시나리오 명Scenario name 그 룹group 장 면scene Home Sweet Home    Home Sweet Home 아버지, 어머니, 두 아이들 Father, mother, two children 아침 기상 Morning weather 어머니, 두 아이들 Mother, two children 수요일 오후 6시 TV 시청 Watch TV at 6pm Wednesday 어머니, 두 아이들 Mother, two children 전화 telephone 아버지, 어머니, 두 아이들 Father, mother, two children 음악듣기와 공부하기 Listening to music and studying 어머니, 아이, 어머니 친구, 친구 아들Mother, child, mother friend, friend son 어머니와 친구 아들 Mother and friend son 두 아이들과 친구 아들Two kids and friend son 형은 공부, 동생들은 놀이 Brother study, brother play 어머니, 한 아이, 배달원Mother, child, delivery man 어머니 취침, 아이는 공부 Mother Bedtime, Child Studying

이때, Role play를 위한 질문지의 예(첫번째 장면)는 아래 표 3과 같다.At this time, an example (first scene) of a questionnaire for role play is shown in Table 3 below.

Vignette Vignette 아침 기상 (6:30AM) Morning Weather (6:30 AM) Context Context 아빠와 엄마는 제1번 침실에서, 아이들은 제2번 침실에서 취침중이다. Dad and Mom are sleeping in bedroom 1 and children are sleeping in bedroom 2. Goal Goal 엄마와 아이들은 계속 잠자고 출근하는 아빠만 깨우려고 한다. Mom and the children keep on sleeping and try to wake only the dad who goes to work. Conflict Conflict 알람 서비스를 사용하게 되면 아이들과 엄마의 희구상태가 깨어지게 된다.(희구상태의 상호종속성) Using the alarm service breaks the hopeful state of children and mothers (interdependence of the desired state). 당신의 역할이 .... 라면 If your role is .... 아빠 Dad 이때 당신은 .... At this time you ....

여기서 "아빠와 엄마는 제1번 침실에서, 아이들은 제2번 침실에서 취침 중이다."라는 상황은 도 3과 도 8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정형화된다. Here, the situation "Dad and mother are sleeping in the first bedroom and children are sleeping in the second bedroom" is standardized as follows based on FIGS. 3 and 8.

Identity = < ('Joseph', 'male'), ('father',1,3,(-,3,2,2),(-,2,1,1)), ('Esther', 'female'), ('mother',1,3,(3,-,3,3),(2,-,2,2)), ('Daniel', 'male', ('son',3,1,(2,3,-,2),(1,2,-,2)), ('David', 'male'), ('son'4,1,(2,3,-,2),(1,2,-,2))> Social Network =<12, 1, 0, 1, 'Star'>Identity = <('Joseph', 'male'), ('father', 1,3, (-, 3,2,2), (-, 2,1,1)), ('Esther', 'female '), (' mother ', 1,3, (3,-, 3,3), (2,-, 2,2)), (' Daniel ',' male ', (' son ', 3,1 , (2,3,-, 2), (1,2,-, 2)), ('David', 'male'), ('son'4,1, (2,3,-, 2), (1,2,-, 2))> Social Network = <12, 1, 0, 1, 'Star'>

Time=<'2007/5/5/06:30:00', ('Sleeping', 'Sleeping', 'Sleeping', 'Sleeping')> Time = <'2007/5/5/06: 30: 00', ('Sleeping', 'Sleeping', 'Sleeping', 'Sleeping')>

Location = <('Bedroom1', 'Bedroom1', 'Bedroom2', 'Bedroom2',(-,-,-,-)>Location = <('Bedroom1', 'Bedroom1', 'Bedroom2', 'Bedroom2', (-,-,-,-)>

Ecological Environment = <((20.0, 20.0, 21.0, 21.0),(55.0,55.0, 50.0, 50.0), (1.0,1.0,1.5,1.5), (20.0, 20.0, 18.0, 18.0)), (off,off)>Ecological Environment = <((20.0, 20.0, 21.0, 21.0), (55.0,55.0, 50.0, 50.0), (1.0,1.0,1.5,1.5), (20.0, 20.0, 18.0, 18.0)), (off, off )>

또한 희구상태의 상호종속성인 이유는 알람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생태 환경에 변경되기 때문이다. The reason for the interdependence of the rare state is that when the alarm service is used, the ecological environment is changed as follows.

Ecological Environment = <((20.0, 20.0, 21.0, 21.0),(55.0, 55.0, 50.0, 50.0), (1.0,1.0,1.5,1.5), (90.0, 90.0, 65.0, 65.0) ), (off,off)>Ecological Environment = <((20.0, 20.0, 21.0, 21.0), (55.0, 55.0, 50.0, 50.0), (1.0,1.0,1.5,1.5), (90.0, 90.0, 65.0, 65.0) ), (off, off )>

취침자들의 희구상태:Bedtime Sleepers:

Ecological Environment = <((15.0, 15.0, 15.0, 15.0),(55.0, 55.0, 50.0, 50.0), (3.0,3.0,3.0,3.0), (20.0, 20.0, 20.0, 20.0)), ( off , off )> Ecological Environment = <((15.0, 15.0, 15.0, 15.0), (55.0, 55.0, 50.0, 50.0), (3.0,3.0,3.0,3.0), (20.0, 20.0, 20.0, 20.0)), ( off , off )>

"이때 당신은..."이라는 난에는 갈등해소 전략을 작성케 하면 된다. 예를 들어 "이때 아이들을 깨울 가능성이 있는 알람 서비스 말고 실내등을 켜는 서비스를 선택한다. 다만 계속 취침 중인 아내 쪽이 아닌 남편 쪽 실내등을 켜는 서비스로 기상을 돕는다." 등의 전략이 가능할 것이다. In this column, "You are ...", you can write a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For example, choose a service that turns on the room lights, rather than an alarm service that could wake up the children. However, you can help wake up with a service that turns on your husband's room light rather than your wife's bedtime. Such strategies may be possible.

나머지 장면들에 대한 역할극을 위한 자료는 도 11과 같은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하여 사례를 수집하면 되며,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Data for role play for the remaining scenes may be collected through various scenarios as shown in FIG. 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Although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and may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embodiment.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회 네트워크를 응용한 집단수준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 갈등해소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situation awareness service conflict resolution system at the group level applying the social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사회 네트워크를 응용한 집단수준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 갈등해소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solving conflict of situation awareness service at a group level using a social networ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상황인식 서비스 선택을 위한 개인 사례별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database for each individual case for selecting a personal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사례별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함수의 일 실시예이다.4 is an embodiment of a function for building a personal case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 네트워크 유형별로 상대적 매개 중심성 분포를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FIG. 5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distribution of relative median centrality for each type of social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회 네트워크의 확장된 토폴로지를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6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n extended topology of a social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상대적 매개중심성 분포 특성을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FIG. 7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ve medi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FIG. 6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상황인식 서비스 선택을 위한 집단 사례별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group case-specific database for selecting a personal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상황인식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례기반추론방법에 의한 추출 정확도를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9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extraction accuracy by a case-based reasoning method for selecting a personal context recogni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상황인식 서비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례기반추론방법에 의한 추출 일치도를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FIG. 10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extraction agreement by a case-based reasoning method for selecting a personal context recogni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갈등해소 사례 습득을 위한 역할극(Role play)자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role play data for acquiring various conflict resolution ca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 상황인식 서비스 단말기 200 : 유비쿼터스 센서들100: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terminal 200: ubiquitous sensors

300 : 무선망 400 : 상황정보인식수단300: wireless network 400: situ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500 : 상황서버 600 : 상황인식 서비스 장치들500: situation server 600: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devices

Claims (13)

개인 휴대용 단말기, 특정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통신을 통해 특정공간의 상황정보를 수집하는 유비쿼터스센서, 상기 유비쿼터스센서와 무선데이터통신을 통하여 상황정보를 전송받는 상황정보 인식수단, 상기 상황정보인식수단을 통하여 수신된 상황정보를 전송받는 상황서버 및 개인이 원하는 상황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인식 서비스장치들을 포함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방법에 있어서,A personal portable terminal, a ubiquitous sensor located in a specific space to collect context information of a specific space through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ersonal portable terminal, context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for receiving context information through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ubiquitous sensor, In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method in a ubiquitous environment including a situation server receiv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ntext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and a situation awareness service device for providing a situation awareness service desired by the individual, (a) 상기 상황서버는 개인정보(Identity), 시간(Time), 위치(Location), 생태적 환경(Ecological Environment) 또는 URI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개인 사례기반추론방법을 통하여, 상기 상황정보인식수단에서 수신된 특정공간에 위치하는 개인의 상황정보를 통해 개인의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a) The situation server uses the personal case-based reasoning method using a databas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personality, time, location, ecological environment, and URI. Creating a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of the individual through the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located in the specific space received by the information recognition means; (b) 상기 상황서버는 (a)단계에서 작성된 상기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 중 상황정보를 공유 중인 개인들의 공유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작성하는 단계;(b) the situation server creating a sharing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of individuals shar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in the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created in step (a); (c) 상기 상황서버는 동일한 상황에 놓여 있는 구성원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회 네트워크(Social Network) 모델, 개인정보(Identity), 시간(Time), 위치(Location), 생태적 환경(Ecological Environment), 갈등구조(Conflict Structure) 또는 갈등해소정책(Conflict Resolution Strategy)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집단 사례기반추론방법을 통하여, 상기 공유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통해 집단 내 서비스 갈등요소를 분석하고 갈등해소 프로세스를 도출하는 단계; (c) The situation server may be a social network model representing a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in the same situation, identity, time, location, ecological environment, Analyzing and resolving conflicts in service groups within the group through the shared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through a group case-based reasoning method using a databas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conflict structure or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Deriving a process; (d) 상기 상황서버는 (c)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갈등해소 프로세스를 통하여 각 개인의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수정하는 단계: 및(d) the situation server modifying an individual situation awareness service list through the conflict resolution process derived in step (c): (e) 상기 상황서버는 각 개인의 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에 따라 상기 상황인식 서비스장치들을 제어하여 각 개인에게 상황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사회 네트워크를 응용한 집단수준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 갈등해소 방법.(e) controlling, by the context server, the context awareness service devices according to the context awareness service list of each individual to provide a context awareness service to each individual; Method of resolving conflict of situation awareness service at the group level by applying social network,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 사례기반추론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ersonal case-based reasoning method Simple Euclidean Distance방법 또는 Nested Minkowski Aggregation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개인의 상황인식 서비스 정보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네트워크를 응용한 집단수준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 갈등해소 방법.A method for resolving situation awareness service conflict at a group level using a social network, which uses the simple Euclidean distance method or the Nested Minkowski Aggregation method to search for individual situation awareness service information stored in a datab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b) 개인들의 공유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는 상황적 서비스 명세(contextual service description)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상황 내 서비스 묶음(intra-context service bundl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네트워크를 응용한 집단수준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 갈등해소 방법.The shared situation awareness service list of individuals consists of an intra-context service bundle consisting of a set of contextual service descriptions. How to resolve conflic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step (c) 한정된 상황자원(scare context asset), 순차적 상호종속성(sequential interdependence) 또는 희구상태의 상호종속성(aspiring state interdependenc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갈등요소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네트워크를 응용한 집단수준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 갈등해소 방법.Group level applied to social networks characterized by analyzing conflict factors using one or more of limited context resources, sequential interdependence, or aspiring state interdependence. Situation-aware service conflict resolu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step (c) (c-1) 상기 상황서버는 상기 공유상황인식 서비스 리스트를 이용하여 갈등요소를 분석하여 분석결과 갈등요소가 존재하면 신규갈등인지를 판단하는 단계;(c-1) the situation server analyzing the conflict element using the shared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list and determining whether a conflict element is a new conflict if an analysis result exists; (c-2) 상기 상황서버는 상기 (c-1)단계에서 판단된 갈등요소가 신규갈등이면 상기 사회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한 갈등해소 프로세스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네트워크를 응용한 집단수준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 갈등해소 방법.(c-2) the situation server further comprising: deriving a conflict resolution process using the social network model if the conflict factor determined in the step (c-1) is a new conflict; A method for resolving conflicting situation awareness services at the group level by apply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등해소정책(Conflict Resolution Strategy)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flict resolution strategy is 문제해결(Problem-solving), 양보(Smoothing), 타협(Compromising), 쟁취(Forcing) 또는 포기(Withdrawing)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네트워크를 응용한 집단수준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 갈등해소 방법.Situational awareness at the group level by applying a social network characterized by one or more of problem-solving, smoothing, compromising, forcing or withdrawing How to resolve service conflict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단 사례기반추론방법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roup case-based reasoning method Simple Euclidean Distance방법 또는 Nested Minkowski Aggregation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개인들의 상황인식 서비스를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 네트워크를 응용한 집단수준에서의 상황인식 서비스 갈등해소 방법.A method for resolving conflict awareness service at a group level using a social network, which uses a simple Euclidean distance method or a nested minkowski aggregation method to search for context awareness services of individuals stored in a databas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083204A 2007-08-20 2007-08-20 Context-Aware service conflict resolution method applying social network KR1009207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204A KR100920748B1 (en) 2007-08-20 2007-08-20 Context-Aware service conflict resolution method applying social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3204A KR100920748B1 (en) 2007-08-20 2007-08-20 Context-Aware service conflict resolution method applying social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064A KR20090019064A (en) 2009-02-25
KR100920748B1 true KR100920748B1 (en) 2009-10-14

Family

ID=40686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3204A KR100920748B1 (en) 2007-08-20 2007-08-20 Context-Aware service conflict resolution method applying social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7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5961B2 (en) 2010-01-19 2013-08-2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indexing suffix tree in social network
KR102128812B1 (en) * 2017-12-11 2020-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evaluating social intelligence of robot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2361038B1 (en) * 2019-06-29 2022-02-09 주식회사 큐버 smart mirror chatbot system of high-level context awareness by use of adaptive multiple biometrics
KR102153233B1 (en) * 2019-08-26 2020-09-09 주식회사 두근두근 On-line system for conflict management of public works and it's control metho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6839A (en) * 2004-12-29 2006-07-05 학교법인 대양학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aware service
KR20070009134A (en) * 2005-07-15 2007-01-18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context data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KR20070057783A (en) * 2004-08-03 2007-06-07 소프트리시티, 인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application association through contextual policy control
KR20070058857A (en) * 2005-12-05 2007-06-1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A framework of context-awareness for ubiquitous computing middlewar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7783A (en) * 2004-08-03 2007-06-07 소프트리시티, 인크.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application association through contextual policy control
KR20060076839A (en) * 2004-12-29 2006-07-05 학교법인 대양학원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aware service
KR20070009134A (en) * 2005-07-15 2007-01-18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context data i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KR20070058857A (en) * 2005-12-05 2007-06-1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A framework of context-awareness for ubiquitous computing middlewa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9064A (en)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rancis et al. Aging in the digital age: Conceptualizing technology adoption and digital inequalities
Oberländer et al. Conceptualizing business-to-thing interactions–A sociomaterial perspective on the Internet of Things
Kwok et al. Crisis communication on social media: what types of COVID-19 messages get the attention?
Stewart et al. Defining social listening: Recognizing an emerging dimension of listening
Quercia et al. Friendsensing: recommending friends using mobile phones
Weidmann Communication networks and the transnational spread of ethnic conflict
Barnidge et al. Second screening and political persuasion on social media
Cimino et al. An adaptive rule-based approach for managing situation-awareness
Deri et al. Coloring in the links: Capturing social ties as they are perceived
KR201100351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 estimating
Lauer et al. Transnationalism over the life course
Camacho et al. An ontology-based approach to conflict resolution in Home and Building Automation Systems
Jimenez-Molina et al. Spontaneous task composition in urban computing environments based on social, spatial, and temporal aspects
KR100920748B1 (en) Context-Aware service conflict resolution method applying social network
Michalakis et al. Context awareness in cultural heritage applications: a survey
Palmer et al. Neither absent nor ambient: Incidental news exposure from the perspective of news avoiders in the UK, United States, and Spain
Calabro et al. Establishing trust in the sharing economy: an analysis of organizational, systems and interpersonal level trust
Koltsova et al. Social signature in an online environment: Stability and cognitive limits
KR100920191B1 (en) Context-Aware service conflict resolution system applying social network
KR20130006730A (en) System for recommending friends based on terminal user&#39;s tendencies
Smith et al. Communal innovations: Inspiring neighborhoods of hope and advocacy
Zhang et al. Exploiting personal and community context in mobile social networks
Piercy et al. Transactive memory and the job search: Finding expertise and influence in socio-technical networks
Gorodetsky Agents and distributed data mining in smart space: Challenges and perspectives
Kalatzis et al. Cross-community context management in Cooperating Smart Sp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