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569B1 - Separation module - Google Patents

Separation module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569B1
KR100919569B1 KR1020047003667A KR20047003667A KR100919569B1 KR 100919569 B1 KR100919569 B1 KR 100919569B1 KR 1020047003667 A KR1020047003667 A KR 1020047003667A KR 20047003667 A KR20047003667 A KR 20047003667A KR 100919569 B1 KR100919569 B1 KR 100919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module
receptor
fluid
housing
l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36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44902A (en
Inventor
니어메이여칼제이.
라베르디어마르크
스탄코브스키랄프제이.
스미스조셉이.
Original Assignee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Priority claimed from PCT/US2002/029107 external-priority patent/WO2003022388A2/en
Publication of KR20040044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9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569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26Filters with built-in pumps filters provided with a pump mounted in or on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5Snap, latch or clip conn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23Means for connecting filter housings to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40Special measures for connecting different parts of the filter
    • B01D2201/4084Snap or Seeger ring connect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여과기 및 적어도 하나의 출구와 입구를 갖는 분리 모듈이 제공된다. 출구 및 입구는 펌프 하우징의 끼워 맞춤부와 정합하도록 위치된다. 펌프 하우징과 분리 모듈 사이에 위치된 리셉터는 피봇 라인 및 펌프 하우징 근접에서 리셉터 내의 분리 모듈을 끼워 맞춤하는 것을 허용하는 그 외부 표면 상의 두 개의 쉘프를 갖는다.A separation module is provided having a housing, a filter inside the housing and at least one outlet and inlet. The outlet and inlet are positioned to mate with the fit of the pump housing. The receptor located between the pump housing and the separation module has two shelves on its outer surface that allow fitting the separation module in the receptor in the proximity of the pivot line and the pump housing.

Description

분리 모듈 {SEPARATION MODULE} Separation Module {SEPARATION MODULE}

본 발명은 유체를 정화하기 위한 분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고 처분 가능한 유체 분리 모듈을 갖는 유체 분리 장치는 오랫동안 산업 공정에서 오염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그러한 장치는 약학, 음식 재료 및 음료수를 포함하는 많은 제품의 제조에서 없어서는 안 될 부분이다. 그러나, 효과적인 오염 제어에 대한 필요성은 반도체 제조 산업에서 제일 크다. 회로가 초 미크론 범위까지 세부적이고 특징부의 크기 감소가 불가피하므로, 반도체 공정 유체에서 입자, 이온, 조직 및 다른 오염물의 제어에 대한 필요가 필수적이다. 또한, 반도체 장치는 청정실 내에서 제조되므로, 제조 환경을 오염시킬 잠재적인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처분 가능한 유체 분리 장치가 청정실 뿐만 아니라 공정 라인의 오염의 감소시키도록 반도체 제조 공정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ion module for purifying a fluid. Fluid separation devices with easily replaceable and disposable fluid separation modules have long been used to control contamination in industrial processes. Such devices are an integral part of the manufacture of many products including pharmaceuticals, food ingredients and beverages. However, the need for effective pollution control is greatest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ndustry. As the circuit is detailed to the ultra-micron range and feature size reduction is inevitable, the need for control of particles, ions, tissues and other contaminants in semiconductor process fluids is essential. In addition, since semiconductor devices are manufactured in clean rooms,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potential for contaminating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For this reason, it is desirable for a disposable fluid separation device to be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process to reduce contamination of the process line as well as the clean room.

사용 시점(POU, point of use)에서 처리되는 반도체 공정 유체의 예는 포토리소그래픽 처리(광화학제)에 사용되는 화학제를 포함한다. 광화학제는 프라이머(primer), 부착 촉진제(adhesion promotor), 포토레지스트, 에지 비드 리무버(edge bead remover), 비반사 코팅제(antireflective coating), 현상제, 유전체 등과 같은 재료를 포함한다. 그러한 화학제는 특수한 펌프에 의해 실리콘 웨이퍼 상에서 통상적으로 분배되고, 스핀 코팅(spin coating)으로 불리우는 공정을 사용하여 균일하고 얇은 막 내부로 연속적으로 분산된다. POU에서 이러한 화학제의 순도는 만족스러운 제품 생산 수율 달성하는 데 필수적이다. Examples of semiconductor process fluids that are processed at the point of use (POU) include chemicals used fo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photochemicals). Photochemicals include materials such as primers, adhesion promoters, photoresists, edge bead removers, antireflective coatings, developers, dielectrics, and the like. Such chemicals are typically dispensed on silicon wafers by special pumps and are continuously dispersed into a uniform, thin film using a process called spin coating. The purity of these chemicals in the POU is essential to achieving a satisfactory product yield.

유체 분리 장치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의 형태이다. 제1 형태에서, 여과기와 같은 분리 요소는 교체 가능한 부품인 반면, 요소를 수용하는 압력 용기, 즉 하우징은 재사용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은 유체 처리 시스템의 잔여부로의 적절한 유체 연결부를 포함한다. 유체 분리 요소를 교체하는 것은 하우징을 개방하고, 분리 요소를 제거하고, 교체 분리 요소를 하우징 내부에 설치하고 하우징을 폐쇄하는 단계를 요한다. 이러한 형태의 유체 분리 장치는 많은 단점이 있다. 첫째로, 특히 하우징으로의 접근이 제한된다면, 교체 작업은 시간 소모적이다. 둘째로, 하우징은 처리될 다량의 유체를 포함하고 유체 분리 요소는 일반적으로 유체로 채워지기 때문에, 유체 유출이 일반적으로 발생한다. 위험한 유체인 경우, 유출은 근처의 장비 및 설비에 잠재적인 손상을 줄 뿐만 아니라 그 분야에서 개인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하우징의 개구는 유체 처리 시스템의 내부 표면을 주위 환경으로부터의 원하지 않는 오염에 노출시킨다.Fluid separation devices are generally of two types. In a first form, the separating element, such as a strainer, is a replaceable part, while the pressure vessel, ie the housing, containing the element is reusable. The housing also includes a suitable fluid connection to the remainder of the fluid treatment system. Replacing the fluid separation element requires opening the housing, removing the separation element, installing a replacement separation element inside the housing, and closing the housing. This type of fluid separation device has many disadvantages. Firstly, the replacement operation is time consuming, especially if access to the housing is restricted. Secondly, fluid outflow typically occurs because the housing contains a large amount of fluid to be treated and the fluid separation element is generally filled with a fluid. In the case of hazardous fluids, spillage can not only potentially damage nearby equipment and installations, but also threaten the health of individuals in the field. Finally, the opening in the housing exposes the inner surface of the fluid treatment system to unwanted contamination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제2 형태의 분리 장치는 또한 분리 요소가, 일체의 모듈을 형성하도록 유체 처리 시스템의 잔여부로의 적절한 유체 연결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이러한 경우, 교체는 유체 처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체 분리 모듈을 연결 해제하고 교체 모듈을 시스템에 재연결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교체는 보다 용이하고, 작업자가 위험한 화학제에 노출되는 것은 최소화되고, 연결 신뢰성은 상당히 개선된다. 전체 모듈은 분리 요소가 어떠한 커넥터 설계를 사용했는 지와 관계없이 교체가 필요할 때는 항상 제거되고 배치되므로, 상기 형태의 분리 장치는 처분 가능한 모듈로서 칭한다. 처분 가능한 모듈은 복수 개의 연결부, 최소한 두 개의 연결부, 일반적으로 세 개 또는 네 개의 연결부가 연속적으로 만들어질 것을 요구한다. 나사 체결구는 불편하고 때때로 부가적인 시간 및 노력의 연속적인 소비를 포함하는 인자를 결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모듈은 연결부가 만들어지는 동안 제 위치에 보유되어야 하고, 이는 동시에 두 가지 작동(즉, 제 위치에 모듈을 보유하고 연속적으로 각각의 커넥터를 부착하는 것)을 수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연결 작업을 보다 어렵게 만든다. 마지막으로, 유체 처리 시스템으로의 영구적인 연결부가 강성인 아닌 적용예에서, 예를 들면, 가요성 튜브가 사용된 경우, 액체는 연결부가 연결 해제된 때 배출되는 경향을 갖는다. 모든 이러한 문제점은 처분 가능한 모듈을 교체하는 데 요구되는 시간 및 노력을 더욱 많이 들게 하고, 뿐만 아니라, 위험한 물질로의 개인의 노출과 제조 환경의 오염에 대한 고려가 여전히 요구된다.The separation device of the second type is also permanently attached to the housing, wherein the separation element comprises a suitable fluid connection to the remainder of the fluid treatment system to form an integral module. In such a case, the replacement includes disconnecting the entire separation module from the fluid treatment system and reconnecting the replacement module to the system. In this way, replacement is easier, the worker is minimized exposure to hazardous chemicals, and the connection reliability is significantly improved. The entire module is referred to as a disposable module, since the entire module is always removed and placed when a replacement is needed, regardless of which connector design the separation element used. Disposable modules require a plurality of connections, at least two connections, typically three or four connections, to be made in succession. Screw fasteners are inconvenient and sometimes difficult to join factors involving the continuous consumption of additional time and effort. In addition, the module must be held in place while the connection is made, which is necessary because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perform two operations (ie to hold the module in place and attach each connector in succession). Makes it more difficult. Finally, in applications where the permanent connection to the fluid treatment system is not rigid, for example when a flexible tube is used, the liquid tends to drain when the connection is disconnected. All these problems add to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to replace disposable modules, as well as the need for personal exposure to hazardous materials and contamination of the manufacturing environment.

이러한 이유에 대해, 일부 처분 가능한 분리 모듈이 "신속한 연결(quick-connect)" 방식으로 빠르고 용이하게 유체 처리 시스템에 연결되게 하는 특징을 갖도록 설계되어 왔다. 이러한 형태의 신속 연결 모듈은 재사용 가능한 기판에 부착된 정합하는 한 쌍의 커넥터에 단일하고 간단한 행정 또는 작동으로 기밀하게 결합하는 한 세트의 커넥터에 대해 제공된다. 다양한 형태의 기구는 신속한 연결 보유 유지를 달성하도록 설계되어 왔고, 지금까지 그 모든 것들은 수형 커넥터와 그 암형 커넥터 사이에서 몇몇 형태의 상대적인 운동, 일반적으로 대부분 나사 권취 작동(twisting action)을 요구해왔다.For this reason, some disposable separation modules have been designed to have features that allow them to be quickly and easily connected to a fluid treatment system in a "quick-connect" manner. This type of quick connect module is provided for a set of connectors that tightly engage in a single, simple stroke or operation to a mating pair of connectors attached to a reusable substrate. Various types of instruments have been designed to achieve rapid connection retention, all of which have so far required some form of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male connector and its female connector, generally most of the screwing action.

또한, 여과된 유체 혼합물을 분배하기 위한 시스템 내에 분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는 데, 상기 분리 모듈은 바람직한 연결부로 작용하도록 이동 부분을 갖는 하우징 내부에 도입된다. 이러한 형태의 하우징 조립체는 값비싸고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파손되기 쉽다.It is also proposed to provide a separation module in a system for dispensing a filtered fluid mixture, which is introduced inside a housing having a moving part to act as a preferred connection. Housing assemblies of this type are expensive and prone to breakage over time due to excessive use.

따라서, 피봇 가능한 하우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유체 분리 시스템 내에 교체될 수 있는 분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would therefore be desirable to provide a separation module that can be replaced in a fluid separation system without the need for a pivotable housing.

도1은 본 발명의 분리 모듈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par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분리 모듈과 연계하여 사용되는 리셉터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eptor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separation module of FIG.

도3a, 도3b, 도3c 및 도3d는 도1의 분리 모듈의 래치의 사용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3A, 3B, 3C, and 3D are side views illustrating the use of the latch of the separation module of FIG.

도4는 도2의 리셉터 내의 도1의 분리 모듈의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of the separation module of FIG. 1 in the receptor of FIG.

도5는 펌프 하우징에 부착된 도4의 장치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pparatus of FIG. 4 attached to a pump housing.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분리 모듈을 도시한다.Figure 6 shows another separ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분리 모듈을 도시한다.Figure 7 shows another separ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8은 본 발명의 휴대 가능한 리셉터 및 분리 모듈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receptor and separ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분리 모듈은 리셉터 내부에 끼워맞춤되며, 리셉터는 리셉터 피봇 표면으로서 기능하는 쉘프(shelf) 및 분리 모듈의 래치를 수용하고 보유하는 개구를 갖는다. 분리 모듈은 리셉터의 피봇 표면 상에 끼워 맞춤되는 만곡된 표면 및 리셉터 내부에 분리 모듈을 보유하도록 리셉터의 개구와 상호 작용하는 래치를 포함한다. 분리 모듈은 분리 모듈의 하우징 내부에 위치된 여과기 및 분리 모듈 내부에 정화될 유체에 대해 사용 시점에서 정화되도록 유체원을 연결하는 끼워 맞춤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분리 모듈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유체 이송 시스템 내에 분리 모듈의 사용을 허용하는 유체 끼워 맞춤부를 갖는 휴대 가능한 매니 폴드 내에 위치된다.The separ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ts inside the receptor, the receptor having a shelf that acts as a receptor pivot surface and an opening to receive and hold the latch of the separation module. The separation module includes a curved surface that fits on the pivot surface of the receptor and a latch that interacts with the opening of the receptor to hold the separation module inside the receptor. The separation module includes a filter located inside the housing of the separation module and a fitting connecting the fluid source to be purged at the point of use for the fluid to be purified inside the separation module. In one embodiment, the separation module is located in a portable manifold having a fluid fit that allows the use of the separation module in a fluid transfer system with various functions.

본 발명의 분리 모듈은 펌프를 포함하는 유체 분배 시스템으로부터 유체를 정화하는 데 유용하다. 유체 분배 시스템은 단일 펌프 또는 분배 펌프 및 공급 펌프를 포함하는 두 개의 펌프 시스템과 같이 복수의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은 유체가 분배될 때, 바람직한 유체 혼합물로부터 원치 않는 유체의 성분을 분리하는 분리 요소를 갖는 본 발명의 분리 모듈을 포함한다.The separ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for purifying fluid from a fluid distribution system comprising a pump. The fluid dispensing system may include a plurality of pumps, such as a single pump or two pump systems including a dispensing pump and a feed pump. Such a system includes a separa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eparation element that separates the components of the unwanted fluid from the desired fluid mixture when the fluid is dispensed.

본 발명은 공급 펌프, 분배 펌프를 포함하는 두 개의 펌프를 갖는 유체 분배 시스템과, 입구 수단과 출구 수단의 특정한 구성을 갖는 분배 모듈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분리 모듈의 표면 상에 입구 수단 및 출구 수단의 외부 표면 구성과 관계없이 분리 모듈을 갖는 유체 분배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cally described herein with reference to a fluid dispensing system having two pumps including a feed pump, a dispensing pump, and a dispensing module hav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inlet and outlet means.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 fluid distribution system having a separation module regardless of the outer surface configuration of the inlet and outlet means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ion module.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리 모듈(10)은 원형 여과기(pleated filter), 탁도 여과기(depth filter), 중공사(hollow fiber) 등과 같은 여과기 구조를 위한 하우징(12)을 포함한다. 포트(14 및 18)(유체 커넥터)는 정합하는 끼워 맞춤부(15 및 19)(정합 유체 커넥터) 상에 끼워 맞춤된다(도4). 포트(16)(제3 유체 커넥터)는 정합하는 끼워 맞춤부(17)(제3 정합 유체 커넥터) 상에 끼워 맞춤된다. 하우징(66, 도5)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 합체된 미국 특허 제5,263,06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공급 펌프 및 분배 펌프를 포함한다. 포트(14)는 여과되는 유체용 입구일 수 있다. 포트(16)는 잔류액(retentate)용 배출구(vent)일 수도 있다. 포트(16)는 포트(14 및 18)와 평행할 수 있다. 포트(18)는 POU로 향하는 여과되는 유체용 출구일 수 있다. 분리 모듈(10)은 분리 모듈(10)의 전체 폭으로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분리 모듈 피봇 표면(20) 및 분리 모듈(10)의 대향 표면 상에 위치되고 벽(24, 26)에 부착된 두 개의 플랜지(22, 하나만 도시됨)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separation modu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2 for a filter structure, such as a pleated filter, a depth filter, a hollow fiber, or the like. Ports 14 and 18 (fluid connectors) are fitted on mating fittings 15 and 19 (matching fluid connectors) (FIG. 4). The port 16 (third fluid connector) is fitted on the mating fit 17 (third mating fluid connector). Housing 66 (FIG. 5) includes a feed pump and a dispensing pump as disclosed in US Pat. No. 5,263,069,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Port 14 may be an inlet for fluid to be filtered. Port 16 may be a vent for retentate. Port 16 may be parallel to ports 14 and 18. Port 18 may be an outlet for the fluid to be filtered towards the POU. Separation module 10 is a separation module pivot surface 20 that extends substantially the full width of separation module 10 and two attachments located on opposite surfaces of separation module 10 and attached to walls 24, 26. A flange 22 (only one shown).

분리 모듈(10)에는 수직 아암(32), 후크(33) 및 레버(35)를 갖는 래치(31)가 제공된다. 래치(31)는 슬롯(37)의 벽과 함께 주조됨으로써 분리 모듈(10)에 고정된다. 슬롯(37)은 수동력과 같은 힘이 레버(35)에 인가될 때 래치(31)의 이동을 허용한다.The separation module 10 is provided with a latch 31 having a vertical arm 32, a hook 33 and a lever 35. The latch 31 is fixed to the separation module 10 by casting together with the wall of the slot 37. The slot 37 allows the latch 31 to move when a force, such as a manual force, is applied to the lever 35.

도2를 참조하면, 리셉터(36)는 구멍(40, 42 및 44)을 갖는 상부 표면(38)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을 통해 매니 폴드로부터 정합하는 끼워 맞춤부(15, 17 및 19, 도4)가 연장한다. 리셉터(36)는 수직 아암(32) 및 래치(31)의 후크(33)와 상호 작용하는 개구(47)를 갖는 플랜지(46)를 포함한다. 또한 리셉터(36)는 분리 모듈 피봇 표면(20)이 끼워 맞춤되는 리셉터 피봇 표면(54) 뿐만 아니라, 분리 모듈(10)의 플랜지(22)가 활주하는 쉘프(50, 5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receptor 36 includes an upper surface 38 having holes 40, 42 and 44, and fittings 15, 17 and 19 that mate from the manifold through the holes. 4) extends. Receptor 36 includes a flange 46 with an opening 47 that interacts with the vertical arm 32 and the hook 33 of the latch 31. Receptor 36 also includes a receptacle pivot surface 54 to which the separator module pivot surface 20 fits, as well as shelves 50 and 52 on which the flange 22 of the separator module 10 slides.

도3a, 도3b 도3c 및 도3d를 참조하면, 래치(31)는 도3a에 그 최초 위치로 도시된다.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의 힘은 후크(33)를 플랜지(46)로부터 떨어지게 이동하게 한다.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31)는 후크(33)가 플랜지(46) 상에 끼워 맞춤되도록 상향으로 분리 모듈(10)을 이동시킴으로써 상향으로 이동된다. 래치 위치는 분리 모듈(10)을 리셉터(36)에 고정시킨다.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33)는 화살표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힘을 레버(35)에 인가시킴으로써 플랜지(46)로부터 제거된다. 래치(31)가 도3d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분리 모듈(10)은 리셉터(36)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3A, 3B and 3C and 3D, the latch 31 is shown in its initial position in FIG. 3A. As shown in FIG. 3B, the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auses the hook 33 to move away from the flange 46. As shown in FIG. 3C, the latch 31 is moved upward by moving the separation module 10 upward so that the hook 33 is fitted on the flange 46. The latch position secures the separation module 10 to the receptor 36. As shown in FIG. 3D, the hook 33 is removed from the flange 46 by applying a force to the lever 35 as shown by the arrow. When the latch 31 is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3D, the separation module 10 may be removed from the receptor 36.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모듈 피봇 표면(20)이 리셉터 피봇 표면(54) 상에 위치될 때까지 분리 모듈(10)은 쉘프(50, 52) 상의 리셉터(36) 내부로 활주된다. 분리 모듈(10)이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된 경우, 분리 모듈(10)이 화살표(55)로써 나타낸 바와 같이 상향으로 회전될 때, 포트(14, 16 및 18)가 끼워 맞춤부(15, 17 및 19) 상에 끼워 맞춤되도록 위치된다. 이 상향 이동에 의해, 아암(32)은 플랜지(46) 상에 잠금되고 후크(33)는 개구(47)를 통해 연장된다. 이는 포트(14, 16 및 18)와 정합하는 끼워 맞춤부(15, 17 및 19) 사이에 누출없는 유체 이송이 행해질 수 있도록 차례로, 분리 모듈(10)을 리셉터(36) 내부로 잠금시킨다.As shown in FIGS. 2 and 4, the separation module 10 moves into the receptor 36 on the shelves 50, 52 until the separation module pivot surface 20 is positioned on the receptor pivot surface 54. Slides. When the separation module 10 is position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paration module 10 is rotated upwards as indicated by the arrow 55, the ports 14, 16 and 18 are fitted with fittings 15 and 17. And 19) to fit on. By this upward movement, the arm 32 is locked on the flange 46 and the hook 33 extends through the opening 47. This in turn locks the separation module 10 into the receptor 36 so that a leak-free fluid transfer can be made between the fittings 15, 17 and 19 that mate with the ports 14, 16 and 18.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36)는 공지된 방식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펌프를 포함하는 펌프 하우징에 부착된다. 포트(14, 16 및 1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합하는 끼워 맞춤부에 밀봉된다. As shown in Figure 5, the receptor 36 is attached to a pump housing that includes one or a plurality of pumps in a known manner. The ports 14, 16 and 18 are sealed as mating fittings as described above.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모듈(10)에는 두 개의 아암(30, 31)을 포함하는 래치(28)가 제공된다. 아암(3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2의 리셉터와 상호 작용하는 립(Lip, 34)이 제공된다. 아암(30, 31)은 아암(31)이 아암(3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아암(30)은 리셉터(36)의 플랜지(46)와 접촉으로부터 아암(31)을 결합시키거나 제거함으로써 리셉터(36)으로부터 분리 모듈(10)의 제거를 허용하도록 차례로 연속적으로 수동 가압된다.As shown in FIG. 6, the separation module 10 is provided with a latch 28 comprising two arms 30, 31. Arm 31 is provided with a lip 34 that interacts with the receptor of FIG. 2 as described above. The arms 30, 31 have sufficient flexibility that the arm 31 can be pressed by the arm 30, and the arm 30 lifts the arm 31 from contact with the flange 46 of the receptor 36. Continuously pressurized in sequence to allow removal of the separation module 10 from the receptor 36 by engaging or removing it.

본 발명의 분리 모듈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도7에 도시된다. 포트(14a, 16a 및 18a)를 갖는 분리 모듈(10a)에는 도1을 참조로 하여 전술된 방식으로 두 개의 플랜지(22) 및 분리 모듈 피봇 표면(20)이 제공된다. 래치(70)는 립(72) 및 레버(74)를 포함한다. 립(72)은 리셉터 내부에 끼워 맞춤되도록 구성되고 레버(74)는 리셉터로부터 립(72)을 제거하도록 수동력의 인가를 허용함으로써, 도3a 내지 도3d를 참조로 하여 전술된 방식으로 리셉터로부터 분리 모듈(10a)을 설치 및 제거한다.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separation module of the invention is shown in FIG. Separation module 10a having ports 14a, 16a and 18a is provided with two flanges 22 and separation module pivot surface 20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The latch 70 includes a lip 72 and a lever 74. The lip 72 is configured to fit inside the receptor and the lever 74 allows the application of a manual force to remove the lip 72 from the receptor, thereby removing it from the receptor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A-3D. Install and remove the separation module 10a.

도8을 참조하면, 휴대 가능한 리셉터(78) 및 분리 모듈(76)을 갖는 휴대 가능한 유닛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분리 모듈(76) 및 리셉터(78)는 도3a 내지 도3d를 참조하여 전술한 방식으로 래치(31)에 의해 결합된다. 리셉터(78)에는 펌프 장치(도시 생략)와 정합될 수 있는 끼워 맞춤부(80, 82 및 84)가 제공된다. 리셉터(78)는 래치(92)에 의해 벽(90)에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88)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는 리셉터(78)의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리셉터(78)는 끼워 맞춤부를 통해 유체가 이송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막도록 밸브(81)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해 수동으로 작동하는 장치 레버(83)를 갖는 밸브(81)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8,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at includes a portable unit having a portable receptor 78 and a separation module 76. Separation module 76 and receptor 78 are coupled by latch 31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3A-3D. Receptor 78 is provided with fittings 80, 82, and 84 that can be mated with a pump device (not shown). Receptor 78 is coupled to mount 88, which may be mounted to wall 90 by latch 92. This embodiment facilitates the installation of the receptor 78. Receptor 78 includes a valve 81 having a device lever 83 that is manually operated to open or close valve 81 to allow or prevent fluid from being transferred through the fitting.

Claims (14)

정합 유체 커넥터를 갖는 리셉터에 잠금 및 잠금 해제하도록 구성된 분리 모듈이며,A separation module configured to lock and unlock a receptor having a mating fluid connector, 하우징과,Housings, 서로 배타적이고 하우징의 일 단부에 위치되는 유체 입구 및 출구와,Fluid inlets and outlets that are mutually exclusive and located at one end of the housing, 입구 및 출구와 유체 연통하는 하우징 내의 분리 요소와,A separating element in the housing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and the outlet,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래치를 포함하며,A latch fixed to the housing, 상기 래치는 상기 하우징이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입구 및 출구가 상기 정합 유체 커넥터와 유체 연통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는 분리 모듈.And the latch supports the housing such that the inlet and outlet ar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mating fluid connector when the housing is in the locke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를 이동시키도록 힘이 인가될 수 있는 레버를 더 포함하는 분리 모듈.The separation modul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ever to which a force can be applied to move the latch. 제1항에 있어서, 분리 모듈이 리셉터와 잠금되는 동안 리셉터의 리셉터 피봇 표면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분리 모듈 피봇 표면을 더 포함하는 분리 모듈.The separation module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paration module pivot surfac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receptor pivot surface of the receptor while the separation module is locked with the recep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하우징에 주조되는 분리 모듈.The separation module of claim 1, wherein the latch is cast in a housing. 분리 모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셉터이며, A receptor configured to receive a separation module, 분리 모듈에 고정된 래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개구와,An opening configured to receive a latch secured to the separation module; 서로 배타적이고 상기 분리 모듈 내의 유체 커넥터들에 보완적인 적어도 2개의 정합 유체 커넥터들과,At least two mating fluid connectors mutually exclusive and complementary to the fluid connectors in the separation module; 리셉터 피봇 표면을 포함하고,Includes a receptor pivot surface,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구조체는 분리 모듈이 리셉터에 잠금될 때 분리 모듈을 지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리셉터.And the structure forming the opening is further configured to support the separation module when the separation module is locked to the recept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 피봇 표면은 분리 모듈이 리셉터 내에 수용되는 동안 분리 모듈의 분리 모듈 피봇 표면에 접촉하여 배치되는 리셉터.10. The receptor of claim 9 wherein the receptor pivot surface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separation module pivot surface of the separation module while the separation module is received within the recep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47003667A 2001-09-13 2002-09-13 Separation module KR10091956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3200201P 2001-09-13 2001-09-13
US60/332,002 2001-09-13
PCT/US2002/029107 WO2003022388A2 (en) 2001-09-13 2002-09-13 Separation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902A KR20040044902A (en) 2004-05-31
KR100919569B1 true KR100919569B1 (en) 2009-10-01

Family

ID=36710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3667A KR100919569B1 (en) 2001-09-13 2002-09-13 Separation modu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19569B1 (en)
DE (2) DE60221447T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6970A1 (en) 2007-02-13 2008-09-04 Brita Gmbh Device for the treatment of water, in particular filter device, and cartridge
DE102008002727B4 (en) * 2008-06-27 2020-12-17 Brita Gmbh Device for treating water, in particular a filter device, and cartridge
DE102008064945B3 (en) * 2008-06-27 2021-05-27 Brita Gmbh Device for treating water, in particular filter device and cartridge
DE102011085993A1 (en) * 2011-11-09 2013-05-16 Mahle International Gmbh Valve insert and associated filter device
DE102014017537B4 (en) * 2014-11-26 2019-07-04 Sartorius Lab Instruments Gmbh & Co. Kg A connection structure for connecting a filter housing to a filter housing retention structure, a cleaning system, and a method of connecting a filter housing cover to a filter housing retention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9054A2 (en) * 1986-11-27 1988-06-0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atentabteilung AJ-3 Filter arrangement for the purification of fluids, in particular lubricating oils of combustion engines
US4806240A (en) * 1987-06-12 1989-02-21 Cuno, Incorporated Adapter and cartridge assembly
KR980008290A (en) * 1996-07-12 1998-04-30 제프리 루딘 Quick-connectable disposable separation module
WO2001064312A1 (en) * 2000-03-01 2001-09-07 Mykrolis Corporation Disposable fluid separation device and manifold assembly design with easy change-out fea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9054A2 (en) * 1986-11-27 1988-06-0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Patentabteilung AJ-3 Filter arrangement for the purification of fluids, in particular lubricating oils of combustion engines
US4806240A (en) * 1987-06-12 1989-02-21 Cuno, Incorporated Adapter and cartridge assembly
KR980008290A (en) * 1996-07-12 1998-04-30 제프리 루딘 Quick-connectable disposable separation module
WO2001064312A1 (en) * 2000-03-01 2001-09-07 Mykrolis Corporation Disposable fluid separation device and manifold assembly design with easy change-out fea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21447T2 (en) 2008-04-24
DE60208437T2 (en) 2006-08-10
KR20040044902A (en) 2004-05-31
DE60208437D1 (en) 2006-02-02
DE60221447D1 (en)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48928B1 (en) Separation module
EP1096991B2 (en) Process for purging a fluid dispensing system, a connector apparatus adapted to replace a separation system module and a fluid dispensing system using the connector apparatus
KR100225219B1 (en) Disposable separation module with quick-connect capability
KR100632309B1 (en) Disposable fluid separation device and manifold assembly design with easy change-out feature
US7469932B2 (en) Receptor for a separation module
KR100919569B1 (en) Separation module
KR101178904B1 (en) Fluid treatment arrangements and methods for operating fluid treatment arrangements
EP1637206B1 (en) Separation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