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976B1 - Power supply for multiple output voltages - Google Patents

Power supply for multiple output voltag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976B1
KR100917976B1 KR1020070129885A KR20070129885A KR100917976B1 KR 100917976 B1 KR100917976 B1 KR 100917976B1 KR 1020070129885 A KR1020070129885 A KR 1020070129885A KR 20070129885 A KR20070129885 A KR 20070129885A KR 100917976 B1 KR100917976 B1 KR 100917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erminal
power supply
output voltag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8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62551A (en
Inventor
김성렬
김인태
이병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디텍
Priority to KR1020070129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976B1/en
Priority to TW097148227A priority patent/TWI379498B/en
Priority to PCT/KR2008/007375 priority patent/WO2009075547A2/en
Priority to CN2008801190716A priority patent/CN101884159B/en
Publication of KR20090062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5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9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1/007Plural converter units in casca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9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having two or more independently controlled outp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02M3/0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adapted to generate a negative voltage output from a positive voltage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한 개의 입력전원으로 정출력전압과 부출력전압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전원전압을 생성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output voltage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power supply voltage including a constant output voltage and a negative output voltage with one input power supply.

본 발명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의하면 입력전압에 무관하게 다수개의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으며 , 입력전압의 동작 범위를 증가시키기 쉽다. 또한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여 정출력전압을 생성하므로 스위칭 노이즈에 무관한 전압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for generating multiple output volt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output voltages can be obtained regardless of the input voltage, and the operating range of the input voltage can be easily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regulator generates a constant output voltage, a voltage independent of switching noise can be obtained.

전원공급장치, 정출력전압, 부출력전압, Power supply, constant output voltage, negative output voltage,

Description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for multiple output voltages}Power supply for generating multiple output voltages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한 개의 입력전원으로 정출력전압과 부출력전압을 포함하는 다수개의 전원전압을 생성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output voltage for generating a plurality of power supply voltage including a constant output voltage and a negative output voltage with one input power supply.

종래부터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CCD)와 같이 소정의 정출력전압(positive output voltage, VPO)전원과 다른 소정의 부출력전압(negative output voltage, VNO) 전원을 각각 필요로하는 전자장치가 많이 사용되어 왔다.Conventionally, an electron requiring a predetermined positive output voltage (V PO ) power and a different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power, such as a charge coupled device (CCD), respectively. Many devices have been used.

이와같이 입력전압보다 승압된 정출력전압(VPO) 전원과 다른 소정의 부출력전압(VNO) 전원을 각각 필요로 하는 경우 코일을 이용하여 입력전원 전압을 승압 또는 감압 시키는 스위칭 전원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전원전압으로부터 변환된 소정의 정출력전압을 발생시킨다. As such, when a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 power boosted from the input voltage and a predetermined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power are required, respectively, by using a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for boosting or reducing the input power voltage using a coil. A predetermined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ed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is generated.

종래에는 전원전압과 상이한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직류-직류 변환기로서 코일을 구비하는 스위칭 전원장치가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스위칭 전원장치가 승 압형인 경우 코일로 흐르는 전류를 스위치에 의해 온/오프 시킴으로써 직류 입력전압으로부터 고전압을 얻고, 이러한 고전압을 다이오드와 커패시터를 통해 정류하고 평활화 하여 승압된 출력전압을 얻는다.Conventionally, a switching power supply having a coil has been used as a DC-DC converter for generating a voltage different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When the switching power supply is a boost type, a high voltage is obtained from a DC input voltage by turning on / off a current flowing through a coil by a switch, and the high voltage is rectified and smoothed through a diode and a capacitor to obtain a boosted output voltag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는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회로(10), 부출력 전압설정회로(20) 및 부출력 전압발생회로(3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 a power supply device for generating multiple output voltage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boost type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10, a negative output voltage setting circuit 20, and a negative output voltage generating circuit 30.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회로(10)에서 전원전압(VCC)과 그라운드전압(GND) 사이에는 스위칭 동작을 하는 NMOS 트랜지스터(Q1)가 인덕터(L1)와 직렬 접속되어 있다. 직렬 접속점(A)에서의 전압은 다이오드(D1)와 커패시터(C1)에 의해 정출력전압(positive output voltage) VPO으로 출력된다.In the boost type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10, an NMOS transistor Q1 for switching operation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inductor L1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and the ground voltage GND. The voltage at the series connection point A is output as a positive output voltage V PO by the diode D1 and the capacitor C1.

정출력전압(VPO)에 대응하는 검출전압(Vdet)과, 기준전압원(B1)으로부터의 기준전압(Vref)이 제어회로(Cont)에 입력된다. 제어회로(Cont)는 검출전압(Vdet)과 기준전압(Vref)이 같아지도록 스위치(Q1)를 스위칭 제어하기위한 스위칭 신호를 생성한다.The detection voltage V det corresponding to the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and the reference voltage Vref from the reference voltage source B1 are input to the control circuit Cont. The control circuit Cont generates a switching signal for switching control of the switch Q1 such that the detection voltage V det is equal to the reference voltage Vref.

상기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회로(10)에 의해 정출력전압(VPO)은 전원전압(VCC)을 상승시켜 얻은 소정의 전압[=Vref x (R1+R2)/R2]과 같아지도록 제어된다. 이때 접속점(A)에서의 전압은 스위치(Q1)의 온/오프에 응답하여 각각 0 및 정 출력전압(VPO) 으로 된다.The boost type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10 controls the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to be equal to a predetermined voltage [= Vref x (R1 + R2) / R2] obtained by raising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At this time, the voltage at the connection point A is 0 and the positive output voltage V PO in response to the on / off of the switch Q1, respectively. Becomes

부출력 전압설정회로(20)에서는 상기 정출력전압(VPO) 노드와 그라운드 사이에 제너다이오드(ZD1, ZD2)를 직렬 접속시켜 소정 전압(Vz) 강하를 얻는다. 제너다이오드와 정전류원(120) 사이의 접속점(B)에서 정출력전압(VPO) 보다 소정전압(Vz)만큼 낮은 부출력전압설정전압(VPO-Vz)이 출력된다. In the negative output voltage setting circuit 20, the Zener diodes ZD1 and ZD2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positive output voltage V PO node and the ground to obtain a predetermined voltage Vz drop. At the connection point B between the zener diode and the constant current source 120, a negative output voltage set voltage V PO -Vz lower than the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by a predetermined voltage Vz is output.

부출력 전압발생회로(30)에서는 부출력전압설정전압(VPO-Vz)과 스위칭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한다. 부출력전압설정전압(VPO-Vz)은 버퍼(BUF)를 통해 부출력 전압발생회로(30)에 공급되며, 적절한 수의 제너다이오드를 선택하여 부출력전압설정전압(VPO-Vz)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한다.The negative output voltage generating circuit 30 receives the negative output voltage setting voltage V PO -Vz and the switching signal as inputs to generate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The negative output voltage set voltage (V PO -Vz) is supplied to the negative output voltage generator circuit 30 through the buffer BUF and selects the appropriate number of zener diodes to select the negative output voltage set voltage (V PO -Vz). By adjusting, the desired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is generated.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회로(10A), 부출력 전압설정회로(20A) 및 부출력 전압발생회로(30A)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a power supply device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pressure reducing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10A, a negative output voltage setting circuit 20A, and a negative output voltage generating circuit 30A.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회로(10A)는 입력된 전원전압(VCC)을 감압하여 감암된 정출력전압(VPO)을 출력하는 회로이다.The pressure reducing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10A is a circuit for outputting the reduced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by reducing the input power supply voltage VCC.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회로(10A)에서 코일(L1A)은 전원전압(VCC)에 의하여 PMOS 트랜지스터인 제1스위치(Q1A)를 통해 통전되고 커패시터(C1A)는 코일(L1A)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커패시터(C1A)의 충전전압은 정출력전압(VPO) 으로 출력된다. PMOS 트랜지스터인 제1스위치(Q1A)와 NMOS 트랜지스터인 제2스위치(Q2A)는 서로 상보적으로 되도록 스위칭된다.In the pressure-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10A, the coil L1A is energized through the first switch Q1A, which is a PMOS transistor, by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and the capacitor C1A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il L1A. . The charging voltage of the capacitor C1A is output as the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 The first switch Q1A, which is a PMOS transistor, and the second switch Q2A, which is an NMOS transistor, are switched to b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정출력 전압검출회로(11A)는 도 1에 나타낸 정출력 전압검출회로(11)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제어회로(ContA)는 제1스위치(Q1A)와 제2스위치(Q2A)로 상보적인 스위칭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회로(ContA)의 나머지 구성 및 동작은 도 1의 제어회로(Cont)와 유사하다.The constant output voltage detection circuit 11A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constant output voltage detection circuit 11 shown in FIG. The control circuit ContA outputs a complementary switching signal to the first switch Q1A and the second switch Q2A.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ontrol circuit ContA is similar to the control circuit Cont of FIG.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회로(10A)에 의해 정출력전압(VPO)은 전원전압(VCC)을 감압시켜 얻은 소정의 전압[=Vref x R1/(R1+R2)]과 같아지도록 제어된다. 이때 접속점(A)에서의 전압은 제1스위치(Q1A)의 온/오프에 응답하여 각각 전원전압(VCC) 또는 0 으로 된다.By the pressure-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10A, the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is controlled to be equal to a predetermined voltage [= Vref x R1 / (R1 + R2)] obtained by reducing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At this time, the voltage at the connection point A becomes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or 0 in response to the on / off of the first switch Q1A.

부출력 전압설정회로(20A)에서는 전원전압(VCC)과 그라운드 사이에 제너다이오드(ZD1, ZD2)를 직렬 접속시켜 소정전압(Vz)강하를 얻는다. 제너다이오드와 정전류원(120) 사이의 접속점(B)에서 전원전압(VCC) 보다 소정전압(Vz)만큼 낮은 부출력 전압 설정 전압(VCC-Vz)이 출력된다. In the negative output voltage setting circuit 20A, the zener diodes ZD1 and ZD2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and ground to obtain a predetermined voltage Vz drop. At the connection point B between the zener diode and the constant current source 120, the negative output voltage setting voltage VCC-Vz lower by the predetermined voltage Vz than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is output.

부출력 전압발생회로(30A)는 도 1에서의 부출력 전압발생회로(30)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부출력전압발생회로(30A)에서는 부출력전압설정전압(VCC-Vz)과 스위칭 신호를 입력으로 받아 부출력 전압(VNO)를 생성한다. 부출력전압설정 전압(VCC-Vz)은 버퍼(BUF)를 통해 부출력 전압발생회로(30A)에 공급되며, 적절한 수의 제너다이오드를 선택하여 부출력전압설정전압(VCC-Vz)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한다. 이때 부출력전압(VNO)은 부출력 전압발생회로(30A)에서의 소정전압(Vz)과 같은 전압 준위를 갖는다.The negative output voltage generating circuit 30A has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negative output voltage generating circuit 30 in FIG. The negative output voltage generation circuit 30A receives the negative output voltage setting voltage VCC-Vz and the switching signal as inputs to generate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The negative output voltage setting voltage VCC-Vz is supplied to the negative output voltage generating circuit 30A through the buffer BUF, and by selecting the appropriate number of zener diodes to adjust the negative output voltage setting voltage VCC-Vz. Generate the desired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At this time,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has the same voltage level as the predetermined voltage Vz in the negative output voltage generating circuit 30A.

도 1 및 도 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는 입력되는 전원전압(VCC)을 정출력전압(positive output voltage) VPO 으로 만들기 위해 승압형 또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회로를 사용하고 이때 발생되는 스위칭 신호(switching signal)를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a boost type or a reduced pressure switching type to make an input power voltage VCC as a positive output voltage V PO . A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is generated by using a power supply circuit and using a switching signal generated at this time.

또한 부출력전압(VNO)은 부출력 전압발생회로에서 생성되는 소정의 전압강하(Vz) 값을 버퍼를 통해 부출력전압 발생회로에 공급하여 생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is generated by su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drop Vz generated by the negative output voltage generating circuit to the negative output voltage generating circuit through a buffer.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는 정출력전압(VPO)을 생성하는 회로에서 발생되는 스위칭 신호(switching signal)를 사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한다. 따라서 정출력전압(VPO)이 전원전압(VCC) 보다 높은 경우와 낮은 경우에 따라 정출력전압(VPO)을 생성하는 회로와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회로가 변경 적용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전원전압(VCC)의 동작 범위가 넓은 구조에는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However, the power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generates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using a switching signal generated in a circuit generating the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 Therefore, the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is to be a circuit for generating a circuit portion the output voltage (V NO) for generating a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in some cases and low when it is higher than the supply voltage (VCC) applied to change There are disadvantages.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suitable for the structure of the wide operating range of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또한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방법이 부출력전압(VNO)을 직접 모니터링 하는 것이 아니라 정출력전압(VPO)을 생성하고 소정의 전압강하를 통해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기위한 전압을 생성하고 이를 버퍼링하고 스위칭신호를 입력받아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회로 구성이 되어 정확하면서 일정한 부출력전압(VNO)을 유지하기가 어렵다.In addition, the unit the output voltage (V NO) is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the rather than directly monitoring generates a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and unit output voltage with a predetermined voltage drop (V NO) method for generating a generating a voltage for generating and buffering it,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constant voltage output portion (V NO), while the circuit arrangement is exactly unit receives the switching signal generating an output voltage (V NO).

한편 소정의 전압강하(Vz)를 만드는 기준이 되는 전압이 전원전압(VCC)이나 정출력전압(VPO)이 되므로 이들이 가지고 있는 스위칭 노이즈(switching noise)의 영향이 그대로 부출력전압(VNO)에 나타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reference voltage for making a predetermined voltage drop (Vz) becomes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or the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 the influence of the switching noise that they have is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Will appear on the screen.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 생성된 정출력전압(VPO) 및 부출력전압(VNO)은 전원 노이즈에 민감한 장치에는 사용하기가 적합하지 않으며 이러한 스위칭 노이즈(switching noise)를 제거하는 장치가 부가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the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 and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generated in the prior art are not suitable for use in a device that is sensitive to power noise, and an apparatus for removing such switching noise is additionally added. There is a problem that is need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전압관계에 무관하게 동일한 회로를 사용할 수 있고 전원노이즈에 민감한 장치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입력 전압의 동작 범위가 넓은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same circuit irrespective of the voltag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voltage and the output voltage, can also be used in devices sensitive to power noise,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with a wide operating range of the input voltage To provide.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는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전압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을 생성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기준전압(Vint)의 전압준위를 조정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하는 제1레귤레이터, 상기 기준전압(Vint)을 승압시킨 승압전압(Vx)을 생성하는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 및 인에이블신호(En)을 생성하는 정출력전압생성부 및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Vx)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e-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reference voltage Vint having a lower voltage level than the input voltage by using an input voltage Vin. A first regulator configured to adjust the voltag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int to generate a first output voltage V OUT1 , and a boosted switching power supply to generate a boosted voltage Vx by boosting the reference voltage Vint. A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and an enable signal En using the boost voltage Vx, and the boost voltage Vx in response to the enable signal En. And a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configured to generate a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using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는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입력전압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 및 스위칭신호(Sw)를 생성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기준전압(Vint)의 전압준위를 조정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하는 제1레귤레이터, 상기 입력전압(Vin) 및 상기 스위칭신호(Sw)를 이용하여 승압전압(Vx)을 생성하는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 및 인에이블신호(En)을 생성하는 정출력전압생성부 및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전압(Vin)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reference voltage Vint and a switching signal Sw having a lower voltage level than the input voltage using the input voltage Vin. A pressure 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unit, a first regulator for generating a first output voltage V OUT1 by adjusting a voltag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int, the input voltage Vin, and the switching signal Sw. A charge pump step-up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boosted voltage Vx, a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and an enable signal En using the boosted voltage Vx, and the enable And a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configured to generate a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using the input voltage Vin and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in response to the signal En. .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는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입력전압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 및 스위칭신호(Sw)를 생성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기준전압(Vint)의 전압준위를 조정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하는 제1레귤레이터, 상기 입력전압(Vin) 및 상기 스위칭신호(Sw)를 이용하여 승압전압(Vx)을 생성하는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 및 인에이블신호(En)을 생성하는 정출력전압생성부 및 상기 제어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Vx)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reference voltage Vint and a switching signal Sw having a lower voltage level than the input voltage using the input voltage Vin. A pressure 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unit, a first regulator for generating a first output voltage V OUT1 by adjusting a voltag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int, the input voltage Vin, and the switching signal Sw. A charge pump step-up power supply unit for generating a boost voltage Vx, a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and an enable signal En using the boost voltage Vx, and the control signal. And a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configured to generate a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using the boosted voltage Vx and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in response to En.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는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입력전압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을 생성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기준전압(Vint)의 전압준위를 조정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하는 제1레귤레이터, 상기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승압전압(Vx)을 생성하는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 및 인에이블신호(En)을 생성하는 정출력전압생성부 및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전압(Vin)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oost regulator configured to adjust the voltag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int to generate a first output voltage V OUT1 and to generate a boosted voltage Vx using the input voltage Vin. A supply unit, a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or for generating a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and an enable signal En using the boosted voltage Vx, and the input voltage Vin in response to the enable signal En And a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configured to generate a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using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는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입력전압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을 생성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기준전압(Vint)의 전압준위를 조정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하는 제1레귤레이터, 상기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승압전압(Vx)을 생성하는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 및 인에이블신호(En)을 생성하는 제2전압조정기 및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Vx)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pressure-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reference voltage (Vint) having a lower voltage level than the input voltage using the input voltage (Vin) A boost regulator configured to adjust the voltag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int to generate a first output voltage V OUT1 and to generate a boosted voltage Vx using the input voltage Vin. A supply unit, a second voltage regulator for generating a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and an enable signal En using the boosted voltage Vx, and the boosted voltage Vx in response to the enable signal En And a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configured to generate a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using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

본 발명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의하면 입력전압을 기준전압으로 변환한 후에 이 기준전압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 및 부출력전압을 생성하므로 회로의 구성이 입력전압과 정출력전압의 전압에 무관하게 동일한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입력전압의 동작 범위를 확장하기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apparatus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stant voltage and the negative output voltage are generated using the reference voltage after converting the input voltage into the reference voltage, the circuit configuration includes the input voltage and the constant output voltage. The same circuit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voltage of.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extend the operating range of the input volt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의하면 부출력전압의 생성을 위해 부출력전압 자체를 모니터링하므로 정확한 부출력전압을 얻을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device for generating a multi-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onitor the negative output voltage itself to generate a negative output voltag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ccurate negative output voltage.

한편 레귤레이터를 사용하여 정출력전압을 생성하므로 스위칭 노이즈에 무관 한 전압을 얻을수 있고 따라서 전원노이즈에 민감한 장치에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a constant output voltage is generated using a regulator, a voltage independent of switching noise can be obtained, and thus, it can be used in devices sensitive to power supply noise.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이나 구성에 대한 설명이 불필요한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technology or configuration is unnecessary,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전압용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for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출력전압용 전원공급장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10), 제1레귤레이터(320),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30), 정출력전압생성부(340) 및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350)를 구비한다.3, the output voltage powe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ssure-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unit 310, a first regulator 320, a boost type switching power supply unit 330, a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ion unit 340 And a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unit 350.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10)은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전압(Vin)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을 생성한다. Pressure-type switching power supply unit 310 generates an input voltage (V in), a low reference voltage (Vint) voltage level than the input voltage (V in) using a.

제1레귤레이터(320)는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10)의 출력인 상기 기준전압(Vint)의 스위칭 노이즈를 제거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한다. 상기 제1레귤레이터(320)는 하나 이상을 구비함으로써 원하는 다중출력(VOUT1, VOUT2 ..)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The first regulator 320 generates a first output voltage V OUT1 by removing the switching noise of the reference voltage Vint, which is the output of the pressure-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310. The first regulator 320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to easily implement the desired multiple output (V OUT1 , V OUT2 ..).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30)는 생성된 상기 기준전압(Vint)을 이용하여 승압전압(VX)을 생성한다. The boost type switching power supply 330 generates a boost voltage V X using the generated reference voltage Vint.

정출력전압생성부(340)는 제2레귤레이터(341)와 인에이블 블록(342)을 구비한다. 상기 제2레귤레이터(341)는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을 생성하고 상기 정출력전압(VPO)의 생성을 감지한 결과에 따라 인에이블신호(En)를 생성한다.The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or 340 includes a second regulator 341 and an enable block 342. The second regulator 341 generates the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using the boosted voltage V X and generates the enable signal En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cting the generation of the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 Create

상기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350)는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VX)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한다. The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350 generates a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using the boosted voltage V X and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in response to the enable signal En. do.

즉, 입력전압(Vin)을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10)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전압(Vin)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기준전압(Vint)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과 부출력전압(VNO) 및 다수개의 제1출력전압(VOUT1)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That is, the input voltage V in is generated as the reference voltage Vint having a lower voltage level than the input voltage V in using the pressure-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310, and the generated reference voltage Vint is used. Accordingly, the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and the plurality of first output voltages V OUT1 may be easily implemented.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10)의 회로도이다. 4 is a circuit diagram of a reduced pressure switching power supply 310 of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10)는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입력전압(Vin)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을 생성한다.Figure 4 Referring to pressure-type switching power supply 310 of the power supply for generating multiple output voltages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input voltage (V in) voltage level than the input voltage (V in) Produces a low reference voltage (Vint).

즉,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10)는 제1 단자에 입력전압(Vin)이 인가되는 제1스위치(Q1), 제1단자가 상기 제1스위치(Q1)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되어 있든 제1다이오드(D1), 제1단자가 상기 제1스위치(Q1)의 제2단자 및 상기 제1다이오드(D1)의 제1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1인덕터(L1), 제1단자가 상기 제1인덕터(L1)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제1커패시터(C1), 상기 기준전압(Vint)을 이용하여 제1피드백전압(Vfb1)을 생성하는 제1피드백전압생성부(311) 및 상기 제1피드백전압(Vfb1)을 이용하여 상기 제1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제어부(312)를 구비한다.That is, the pressure-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310 has a first switch Q1 to which an input voltage Vin is applied to a first terminal,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Q1, and a second switch. The first inductor L1 is connected to the first diode D1, the firs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Q1, and the first terminal of the first diode D1, whether or not the terminal is grounded. The first feedback voltage V fb1 is obtained by using the first capacitor C1 and the reference voltage Vint, the first terminal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inductor L1 and the second terminal of which is grounded. A first control unit 312 generating a fir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n / off switching of the first switch using a first feedback voltage generation unit 311 and a first feedback voltage V fb1 . It is provided.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10)은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전압(Vin)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을 생성하는 회로이다. The pressure 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unit 310 is a circuit for using an input voltage (V in) generating the input voltage (V in), a low reference voltage (Vint) than the voltage level.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10)에서 제1인덕터(L1)는 입력전압(Vin)에 의하여 트랜지스터인 제1스위치(Q1)를 통해 통전되고 상기 제1커패시터(C1)는 제1인덕터(L1)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제1커패시터(C1)의 충전전압은 기준전압(Vint)으로 출력된다. In the pressure 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310, the first inductor L1 is energized through the first switch Q1, which is a transistor, by the input voltage V in , and the first capacitor C1 is the first inductor L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harging voltage of the first capacitor C1 is output as the reference voltage Vint.

상기 제1피드백전압생성부(311)는 상기 기준전압의 출력노드에 제1단자가 연결된 제1저항(R1) 및 제1단자가 상기 제1저항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2저항(R2)을 구비하고, 상기 제1피드백전압(Vfb1)은 상기 제1저항(R1) 및 상기 제2저항(R2)의 공통노드에서 출력된다.The first feedback voltage generator 311 may include a first resistor R1 connected to a first terminal of an output node of the reference voltage and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resistor, and a second terminal may be grounded. The second resistor R2 is provided, and the first feedback voltage V fb1 is output from a common node of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second resistor R2.

상기 제1제어부(312)는 상기 제1피드백전압(Vfb1)을 이용하여 원하는 기준전압(Vint)이 출력될 수 있도록 스위치(Q1)를 제어하기위한 제1제어신호(Con1)를 생성한다. 상기 제1제어부(312)의 동작에 따라 입력전압(Vin)보다 감압된 전압준위를 갖는 기준전압(Vint)이 출력된다. 상기 제1스위치(Q1)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controller 312 generates a first control signal Con1 for controlling the switch Q1 such that a desired reference voltage Vint can be output using the first feedback voltage V fb1 .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unit 312, a reference voltage Vint having a voltage level reduced than the input voltage V in is output. The first switch Q1 may be implemented as a bipolar transistor or a MOS transistor.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30)의 회로도이다.FIG. 5 is a circuit diagram of a boost type switching power supply unit 330 of a power supply device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30)는 제1 단자에 상기 기준전압이 인가되는 제2인덕터(L2), 제1 단자가 상기 제2인덕터(L2)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제2스위치(Q2), 제1 단자가 상기 제2인덕터(L2)의 제2단자 및 상기 제2스위치(Q2)의 제1단자에 공통으로 접속되는 제2다이오드(D2), 제1단자가 상기 제2다이오드(D2)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2커패시터(C2), 상기 승압전압을 이용하여 제2피드백전압(Vfb2)을 생성하는 제2피드백전압생성부(331) 및 상기 제2피드백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2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2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2제어부(332)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5, the boost type switching power supply 330 of the power supply device generating the multiple output volt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cond inductor L2 and a second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terminal. A second switch Q2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second inductor L2 and a second terminal grounded; a second terminal of the second inductor L2 and a second terminal; A second diode D2 common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switch Q2, and a second capacitor C2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D2 and having a second terminal grounded; ), A second feedback voltage generator 331 generating a second feedback voltage V fb2 using the boosted voltage, and a second switch controlling on / off switching of the second switch using the second feedback voltage. And a second control unit 332 for generating two control signals.

상기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330)에서 제2인덕터(L2)는 기준전압(Vint)에 의하여 트랜지스터인 제2스위치(Q2)를 통해 통전되고 상기 제2커패시터(C2)는 제2인덕터(L2)의 출력단자에 접속된다. 상기 제2커패시터(C2)의 충전전압은 승압전 압(Vx)으로 출력된다. In the boost type switching power supply 330, the second inductor L2 is energized through the second switch Q2, which is a transistor, by the reference voltage Vint, and the second capacitor C2 is the second inductor L2.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capacitor C2 is output as a boosted voltage V x .

상기 제2피드백전압생성부(331)는 상기 승압전압의 출력노드에 제1단자가 연결된 제3저항(R3) 및 제1단자가 상기 제3저항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4저항(R4)을 구비하고, 상기 제2피드백전압(Vfb2)은 상기 제3저항(R3) 및 상기 제4저항(R4)의 공통 노드에서 출력된다.The second feedback voltage generator 331 has a third resistor R3 connected to a first terminal of the boosted voltage output node and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third resistor, and a second terminal is grounded. The fourth resistor R4 is provided, and the second feedback voltage V fb2 is output from a common node of the third resistor R3 and the fourth resistor R4.

상기 제2제어부(332)는 상기 제2피드백전압(Vfb2)을 이용하여 원하는 승압전압(Vx)이 출력될 수 있도록 제2스위치(Q2)를 제어하기위한 제2제어신호(Con2)를 생성한다. 상기 제2제어부(332)의 동작에 따라 기준전압(Vint)보다 승압된 전압준위를 갖는 승압전압(Vx)이 출력된다. 상기 제2스위치(Q2)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모스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econd controller 332 controls the second control signal Con2 for controlling the second switch Q2 so that a desired boosted voltage V x can be output using the second feedback voltage V fb2 . Creat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control unit 332, a boosted voltage V x having a voltage level boosted above the reference voltage Vint is output. The second switch Q2 may be implemented as a bipolar transistor or a MOS transistor.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350)의 회로도이다.FIG. 6 is a circuit diagram of the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350 of the power supply device generating the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350)는 상기 승압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서 동작하고, 제1입력단자에 상기 인에이블신호(En)가 인가되는 드라이버(353), 제1단자가 상기 드라이버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제3커패시터(C3), 제1단자가 상기 제3커패시터(C3)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3다이오드(D3), 제1단자가 상기 제3커패시터(C3)의 제2단자 및 상기 제3다이오드(D3)의 제1단자에 공 통으로 연결되고 제2단자가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4다이오드(D4), 제1단자가 상기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4커패시터(C4), 상기 부출력전압(VNO)을 이용하여 제3피드백전압(Vfb3)을 생성하는 제3피드백전압 생성부(351) 및 상기 제3피드백전압(Vfb3)을 이용하여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라이버의 제2입력단자에 인가하는 제3제어부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6, the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unit 350 of the power supply device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between the boosted voltage and the ground voltage,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input terminal. A driver 353 to which an enable signal En is applied, a third capacitor C3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driver, and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third capacitor C3. And the third terminal D3 having the second terminal grounded, the first terminal being common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third capacitor C3 and the first terminal of the third diode D3. a fourth diode (D4), the first terminal being part output voltage to an output node of the (V NO) is connected to the output node of the unit the output voltage (V NO) a fourth capacitor with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ground ( C4), generating a third feedback voltage for generating a third feedback voltage (V fb3) using the unit the output voltage (V NO) 351, and generates a third control signal using the third feedback voltage (V fb3) a third control unit for applying to the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driver.

상기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350)는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VX)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회로이다. The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350 generates a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using the boosted voltage V X and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in response to the enable signal En. It is a circuit.

상기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350)는 전하펌프반전기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350)에서 제3피드백전압발생부(351)가 없는 경우 상기 드라이버(353)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승압전압(VX)이 반전되어 부출력전압(VNO)으로 출력된다.The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unit 350 is configured as a charge pump inverter. When there is no third feedback voltage generator 351 in the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350, the boost voltage V X used as a power source of the driver 353 is inverted to a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Is output.

따라서 원하는 부출력전압(VNO)을 얻기 위해 제3피드백전압발생부(351)는 상기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제1단자가 연결된 제5저항(R5) 및 제1단자가 상기 제5저항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에 연결되어 있는 제6저항(R6)으로 구성된다.Accordingly,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the third feedback voltage generator 351 may include the fifth resistor R5 and the first terminal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node of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The sixth resistor R6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fth resistor and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

상기 제5저항(R5) 및 상기 제6저항(R6)의 공통 노드에서 제3피드백전압(Vfb3)이 출력되어 제3제어부(352)에 입력되며, 제3제어부(352)에서는 상기 제3피드백전압(Vfb3)을 이용하여 제3제어신호(Con3)를 생성하여 상기 드라이버(353)에 입력으로 공급하게 된다. A third feedback voltage V fb3 is output from the common node of the fifth resistor R5 and the sixth resistor R6 and input to the third controller 352, and the third controller 352 receives the third feedback voltage. The third control signal Con3 is generated using the feedback voltage V fb3 and supplied as an input to the driver 353.

이때 상기 드라이버(353)는 상기 제3제어신호(Con3)와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상기 제3커패시터(C3), 제4커패시터(C4), 제3다이오드(D3) 및 제4다이오드(D4)의 동작을 통해 원하는 부출력전압(VNO)을 출력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driver 353 uses the third control signal Con3 and the boosted voltage V X to form the third capacitor C3, the fourth capacitor C4, the third diode D3, and the fourth capacitor. Through operation of the diode D4, a desired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is output.

상기 제3피드백전압(Vfb3)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부출력전압(VNO)을 얻을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5저항(R5), 상기 제6저항(R6)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부출력전압(VNO)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By adjusting the third feedback voltage V fb3 , a desired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may be obtained. Accordingly, the fifth resistor R5, the sixth resistor R6, and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may be obtained. By changing, the desired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can be easily adjusted.

상기 드라이버(353)는 정출력전압(VPO)의 생성을 감지한 결과로서 발생한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동작하게 되므로 정출력전압(VPO)이 생성된 이후부터 상기 드라이버(353)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게 된다.The driver 353 is operated in response to the enable signal En generated as a result of detecting the generation of the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 and thus the driver 353 is generated after the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is generated. ) Operates normally to generate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전압용 전원 공급장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 제1레귤레이터(720),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730), 정출력전압생성부(740) 및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750)를 구비한다.7 and 8, the power supply for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e reducing switching power supply 710, a first regulator 720, a charge pump boosting power supply 730, A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or 740 and a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750 are provided.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전압(Vin)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을 생성한다. The pressure 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unit 710 generates the input voltage (V in) it is lower than the voltage level reference voltage (Vint) by using the input voltage (V in), as described above.

제1레귤레이터(720)는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의 출력인 상기 기준전압(Vint)의 스위칭 노이즈를 제거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한다. 상기 제1레귤레이터(7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함으로써 원하는 다중출력(VOUT1, VOUT2 ..)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The first regulator 720 generates a first output voltage V OUT1 by removing switching noise of the reference voltage Vint, which is an output of the reduced pressure switching power supply 710. The first regulator 72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to easily implement a desired multiple output (V OUT1 , V OUT2 ..).

상기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730)는 제1단자에 상기 입력전압이 연결되는 제5다이오드(D5), 제1단자는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의 스위칭 신호(Sw)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제5다이오드(D5)의 제2단자에 연결되는 제5커패시터(C5), 제1단자가 상기 제5커패시터의 제2단자 및 상기 제5다이오드의 제2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6다이오드(D6) 및 제1 단자는 상기 제6다이오드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제6커패시터(C6)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승압전압은 상기 제6다이오드(D6)의 제2단자와 상기 제6커패시터(C6)의 제1단자의 공통 노드에서 출력된다. The charge pump step-up power supply 730 is a fifth diode (D5) connected to the input voltage to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signal (Sw) of the pressure-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710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fth diode (D5), the fifth capacitor (C5), the first terminal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fth capacitor and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fth diode The sixth diode (D6) and the firs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sixth diode and the second terminal has a sixth capacitor (C6) is grounded, the boost voltage is the sixth diode ( The common terminal of the second terminal of D6) and the first terminal of the sixth capacitor C6 is output.

상기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730)에서는 상기 제5커패시터(C5)에 충전된 기준전압이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에서 생성되는 스위칭신호(Sw)에 따라 상기 제6커패시터(C6)에 충전되어 상기 입력전압(Vin)보다 승압된 승압전압(Vx)을 생성한다.In the charge pump step-up power supply 730, the sixth capacitor C6 is applied to the reference voltage charged in the fifth capacitor C5 according to the switching signal Sw generated by the pressure-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710. Is charged to generate a boosted voltage V x boosted above the input voltage V in .

상기 정출력전압생성부(740)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레귤레이터(741)와 인에이블 블록(742)을 구비한다. 상기 제2레귤레이터(741)는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을 생성하고 상기 정출력전압(VPO)의 생성을 감지한 결과에 따라 인에이블신호(En)를 생성한다.The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ion unit 740 includes a second regulator 741 and an enable block 742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The second regulator 741 generates the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using the boosted voltage V X and generates the enable signal En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cting the generation of the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 Create

상기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750)는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전압(Vint)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상술한 동작원리에 따라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한다. The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unit 750 uses the reference voltage V int and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in response to the enable signal E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principle. Produces (V NO ).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이다.9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supply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9.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전압용 전원공급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와 동일하게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 제1레귤레이터(720),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730), 정출력전압생성부(740) 및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750)를 구비한다.9 and 10, the power supply for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ssure-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710, the same as the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shown in FIG. A first regulator 720, a charge pump boosting power supply 730, a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ion unit 740, and a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750 are provided.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 제1레귤레이터(720),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730) 및 정출력전압생성부(740)의 구성 및 동작원리는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ssure reducing switching power supply 710, the first regulator 720, the charge pump boosting power supply 730, and the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or 740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Same as

다만 도 7에 도시된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가 기준전압(Vint)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는 것과 달리 도 9에 도시된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750)는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Vx)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한다. However, unlike the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generating the multiple output voltage shown in FIG. 7 using the reference voltage V int and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 the multiple output shown in FIG. The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unit 750 of the power supply device generating the voltage generates a negative output using the boost voltage V x and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in response to the enable signal En. Generate the voltage V NO .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 제1레귤레이터(720),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730), 정출력전압생성부(740) 및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75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1,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e reducing switching power supply 710, a first regulator 720, a boost-buck switching power supply 730, A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or 740 and a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750 are provided.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 제1레귤레이터(720) 및 정출력전압생성부(740) 및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750)의 구성 및 동작원리는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ssure-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710, the first regulator 720, the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or 740, and the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750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Same as

다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에서는 상기 입력전압(Vin)을 승압시키기 위해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를 사용한 것에 반해 도 11에 도시된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에서는 부스트-버크 스 위칭 전원공급부(730)를 사용하고 있다.However, in the power supply device generating the multiple output voltages shown in FIGS. 7 and 8, the multiply output voltage shown in FIG. 11 is generated while the charge pump step-up power supply is used to boost the input voltage V in . In the power supply, a boost-buck switching power supply 730 is used.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상기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730)의 회로도이다. FIG. 13 is a circuit diagram of the boost-buck switching power supply 730 shown in FIG. 11.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730)는 제1 단자에 상기 입력전압이 인가되는 제3인덕터(L3), 제1 단자가 상기 제3인덕터(L3)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 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제3스위치(Q3), 제1 단자가 상기 제3인덕터(L3)의 제2단자 및 상기 제3스위치(Q3)의 제1단자에 공통으로 접속되는 제7커패시터(C7), 제1 단자가 상기 제7커패시터(C7)의 제1단자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8커패시터(C8), 제1 단자가 상기 제8커패시터(C8)의 제2단자에 직렬로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제7커패시터(C7)의 제2단자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9저항(R9), 제1단자가 상기 제7커패시터(C7)의 제2단자 및 상기 제9저항(R9)의 제2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7다이오드(D7), 제1단자가 상기 제7커패시터(C7)의 제2단자 및 상기 제9저항(R9)의 제2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제2단자는 승압전압의 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4인덕터(L4), 상기 승압전압을 이용하여 제4피드백전압(Vfb4)을 생성하는 제4피드백전압생성부(731) 및 상기 제4피드백전압(Vfb4)을 이용하여 상기 제3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4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4제어부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13, the boost-buck switching power supply 730 is connected to a third inductor L3 to which the input voltage is applied to a first terminal, and the first terminal is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third inductor L3.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a third switch Q3 grounded,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third inductor L3, and a first terminal of the third switch Q3 in common. (C7), an eighth capacitor C8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in parallel to a first terminal of the seventh capacitor C7, and a first terminal connected in series with a second terminal of the eighth capacitor C8 And a ninth resistor R9 having a second terminal connected in parallel to a second terminal of the seventh capacitor C7, and a first terminal having a second terminal and the ninth resistor R9 of the seventh capacitor C7. The seventh diode D7 connected in common to the second terminal of < RTI ID = 0.0 >),< / RTI > and the second terminal is grounded, the first terminal of the seventh capacitor C7 of the second terminal Common to the terminals Connected and a second terminal of the fourth inductor (L4), the fourth feedback voltage generator 731, and wherein the generating a fourth feedback voltage (V fb4) using the step-up voltage is connected to the output node of the boosted voltage And a fourth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fourth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n / off switching of the third switch by using a four feedback voltage V fb4 .

상기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730)는 안정된 승압전압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boost-buck switching power supply 730 has an advantage of obtaining a stable boosted voltage.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와 동일하게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 제1레귤레이터(720),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730), 정출력전압생성부(740) 및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750)를 구비한다.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2 is a pressure-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710, the same as the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shown in Figure 11, A first regulator 720, a boost-buck switching power supply 730, a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or 740, and a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750 are provided.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710), 제1레귤레이터(720),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730), 정출력전압생성부(740)의 구성 및 동작원리는 상술한 바와같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ssure-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710, the first regulator 720, the boost-buck switching power supply 730, and the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or 740 are as described above.

다만 도 11에 도시된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가 기준전압(Vint)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는 것과 달리 도 12에 도시된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750)는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Vx)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한다.However, unlike the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generating the multiple output voltage shown in FIG. 11 using the reference voltage V int and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 the multiple output shown in FIG. The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unit 750 of the power supply device generating the voltage generates a negative output using the boost voltage V x and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in response to the enable signal En. Generate the voltage V NO .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 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and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종래의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conventional multiple output voltage.

도 2는 종래의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power supply for generating multiple output voltage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의 회로도이다. 4 is a circuit diagram of a reduced pressure switching power supply unit of a power supply device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의 회로도이다.FIG. 5 is a circuit diagram of a boost type switching power supply unit of a power supply device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의 회로도이다.FIG. 6 is a circuit diagram of a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unit of a power supply device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이다.8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도이다.FIG. 10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supply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9.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2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 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의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의 회로도이다.FIG. 13 is a circuit diagram of a boost-buck switching power supply unit of a power supply device for generating a multi-output volt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1 and 12.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310 : 감압형스위칭 전원공급부 320 : 제1레귤레이터310: pressure-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320: the first regulator

330 : 승압형스위칭 전원공급부 340 : 정출력전압생성부330: step-up switching power supply 340: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ion unit

341 : 제2레귤레이터 342 : 인에이블 블록341: 2nd regulator 342: enable block

350 :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 350: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Claims (28)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전압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을 생성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A pressure 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unit generating a reference voltage Vint having a lower voltage level than the input voltage using an input voltage Vin; 상기 기준전압(Vint)의 전압준위를 조정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하는 제1레귤레이터;A first regulator generating a first output voltage V OUT1 by adjusting a voltag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int; 상기 기준전압(Vint)을 승압시킨 승압전압(Vx)을 생성하는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A boost type switching power supply unit generating a boost voltage Vx by boosting the reference voltage Vint;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 및 인에이블신호(En)을 생성하는 정출력전압생성부; 및A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and an enable signal En using the boosted voltage Vx; And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Vx)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And a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configured to generate a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using the boosted voltage Vx and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in response to the enable signal En.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multiple output volta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unit 제1 단자에 입력전압(Vin)이 인가되는 제1스위치(Q1);A first switch Q1 to which an input voltage Vin is applied to the first terminal; 제1단자가 상기 제1스위치(Q1)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되어 있든 제1다이오드(D1);A first diode D1 whether a firs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Q1 and the second terminal is grounded; 제1단자가 상기 제1스위치(Q1)의 제2단자 및 상기 제1다이오드(D1)의 제1단 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1인덕터(L1);A first inductor (L1) having a first terminal commonly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Q1) and a first terminal of the first diode (D1); 제1단자가 상기 제1인덕터(L1)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제1커패시터(C1);A first capacitor C1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inductor L1 and having a second terminal grounded; 상기 기준전압(Vint)을 이용하여 제1피드백전압(Vfb1)을 생성하는 제1피드백전압생성부;A first feedback voltag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feedback voltage V fb1 using the reference voltage Vint; 상기 제1피드백전압(Vfb1)을 이용하여 상기 제1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And a first control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n / off switching of the first switch using the first feedback voltage V fb1 .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드백전압생성부는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feedback voltage generation unit 상기 기준전압의 출력노드에 제1단자가 연결된 제1저항(R1); 및A first resistor (R1) connected to a first terminal of an output node of the reference voltage; And 제1단자가 상기 제1저항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2저항(R2)을 구비하고, 상기 제1피드백전압(Vfb1)은 상기 제1저항(R1) 및 상기 제2저항(R2)의 공통노드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The first terminal has a second resistor (R2)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resistor and the second terminal is grounded, and the first feedback voltage (V fb1 ) is the first resistor (R1) and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characterized in that output from the common node of the second resistor (R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ost type switching power supply unit 제1 단자에 상기 기준전압이 인가되는 제2인덕터(L2);A second inductor (L2) to which the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to a first terminal; 제1 단자가 상기 제2인덕터(L2)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제2스위치(Q2);A second switch Q2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second inductor L2 and the second terminal being grounded; 제1 단자가 상기 제2인덕터(L2)의 제2단자 및 상기 제2스위치(Q2)의 제1단자에 공통으로 접속되는 제2다이오드(D2);A second diode (D2) having a first terminal commonly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second inductor (L2) and a first terminal of the second switch (Q2); 제1단자가 상기 제2다이오드(D2)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2커패시터(C2);A second capacitor C2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second diode D2 and having a second terminal grounded; 상기 승압전압을 이용하여 제2피드백전압(Vfb2)을 생성하는 제2피드백전압생성부; 및A second feedback voltag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second feedback voltage V fb2 using the boosted voltage; And 상기 제2피드백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제2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2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2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And a second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second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n / off switching of the second switch by using the second feedback voltag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피드백전압생성부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feedback voltage generation unit 상기 승압전압의 출력노드에 제1단자가 연결된 제3저항(R3); 및A third resistor R3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node of the boosted voltage; And 제1단자가 상기 제3저항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4저항(R4)을 구비하고, 상기 제2피드백전압은 상기 제3저항(R3) 및 상기 제4저항(R4)의 공통 노드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The first terminal has a fourth resistor R4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third resistor and the second terminal is grounded, and the second feedback voltage includes the third resistor R3 and the fourth resistor.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characterized in that output from the common node of (R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는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unit 상기 승압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서 동작하고, 제1입력단자에 상기 인에이블신호(En)가 인가되는 드라이버;A driver operating between the boosted voltage and the ground voltage and applying the enable signal En to a first input terminal; 제1단자가 상기 드라이버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제3커패시터(C3);A third capacitor C3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driver; 제1단자가 상기 제3커패시터(C3)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3다이오드(D3);A third diode (D3)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third capacitor (C3) and having a second terminal grounded; 제1단자가 상기 제3커패시터(C3)의 제2단자 및 상기 제3다이오드(D3)의 제1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제2단자가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4다이오드(D4);A first terminal connected in common to a second terminal of the third capacitor C3 and a first terminal of the third diode D3,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node of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Tetradiode (D4); 제1단자가 상기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4커패시터(C4);A fourth capacitor C4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node of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and a second terminal grounded; 상기 부출력전압(VNO)을 이용하여 제3피드백전압(Vfb3)을 생성하는 제3피드백전압 생성부(351);A third feedback voltage generator 351 for generating a third feedback voltage V fb3 using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상기 제3피드백전압(Vfb3)을 이용하여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라이버의 제2입력단자에 인가하는 제3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And a third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third control signal using the third feedback voltage (V fb3 ) and apply the third control signal to a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driv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피드백전압생성부는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third feedback voltage generation unit 상기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제1단자가 연결된 제5저항(R5); 및A fifth resistor R5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node of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And 제1단자가 상기 제5저항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에 연결되어 있는 제6저항(R6)을 구비하고 상기 제3피드백전압은 상기 제5저항(R5) 및 상기 제6저항(R6)의 공통 노드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The first terminal has a sixth resistor R6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fth resistor and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 and the third feedback voltage is applied to the fifth terminal.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characterized in that output from the common node of the resistor (R5) and the sixth resistor (R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귤레이터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regulator 상기 기준전압의 스위칭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moving the switching noise of the reference volta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귤레이터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regulator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output voltag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r mo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출력전압생성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ion unit 상기 승압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정출력전압(VPO)을 생성하는 제2레귤레이터; 및A second regulator for generating the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using the boosted voltage; And 상기 정출력전압(VPO)의 생성을 감지하여 상기 인에이블신호(En)를 생성하는 인에이블 블록를 구비하고, 상기 승압전압의 스위칭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A power supply block configured to generate the enable signal En by detecting the generation of the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and to remove switching noise of the boosted voltage;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Q1)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switch (Q1)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bipolar transistor or MOS transis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Q2)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switch (Q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bipolar transistor or MOS transistor.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입력전압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 및 스위칭신호(Sw)를 생성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A pressure-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reference voltage Vint and a switching signal Sw having a lower voltage level than the input voltage using the input voltage Vin; 상기 기준전압(Vint)의 전압준위를 조정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하는 제1레귤레이터;A first regulator generating a first output voltage V OUT1 by adjusting a voltag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int; 상기 입력전압(Vin) 및 상기 스위칭신호(Sw)를 이용하여 승압전압(Vx)을 생성하는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A charge pump boost type power supply unit generating a boost voltage Vx using the input voltage Vin and the switching signal Sw;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 및 인에이블신호(En)을 생성하는 정출력전압생성부; 및A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and an enable signal En using the boosted voltage Vx; And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전압(Vin)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를 구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And a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configured to generate a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using the input voltage Vin and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in response to the enable signal En.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multiple output voltages.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입력전압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 및 스위칭신호(Sw)를 생성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A pressure-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reference voltage Vint and a switching signal Sw having a lower voltage level than the input voltage using the input voltage Vin; 상기 기준전압(Vint)의 전압준위를 조정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하는 제1레귤레이터;A first regulator generating a first output voltage V OUT1 by adjusting a voltag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int; 상기 입력전압(Vin) 및 상기 스위칭신호(Sw)를 이용하여 승압전압(Vx)을 생성하는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A charge pump boost type power supply unit generating a boost voltage Vx using the input voltage Vin and the switching signal Sw;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 및 인에이블신호(En)을 생성하는 정출력전압생성부; 및A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and an enable signal En using the boosted voltage Vx; And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Vx)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And a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configured to generate a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using the boosted voltage Vx and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in response to the enable signal En. Power supply for generating multiple output voltages.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입력전압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을 생성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A pressure 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unit generating a reference voltage Vint having a lower voltage level than the input voltage using the input voltage Vin; 상기 기준전압(Vint)의 전압준위를 조정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하는 제1레귤레이터;A first regulator generating a first output voltage V OUT1 by adjusting a voltag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int; 상기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승압전압(Vx)을 생성하는 부스트-버크 스위 칭 전원공급부;A boost-buck switching power supply configured to generate a boosted voltage Vx using the input voltage Vin;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 및 인에이블신호(En)을 생성하는 정출력전압생성부; 및A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and an enable signal En using the boosted voltage Vx; And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전압(Vin)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And a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configured to generate a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using the input voltage Vin and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in response to the enable signal En. Power supply for generating multiple output voltages.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입력전압보다 전압준위가 낮은 기준전압(Vint)을 생성하는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A pressure 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unit generating a reference voltage Vint having a lower voltage level than the input voltage using the input voltage Vin; 상기 기준전압(Vint)의 전압준위를 조정하여 제1출력전압(VOUT1)을 생성하는 제1레귤레이터;A first regulator generating a first output voltage V OUT1 by adjusting a voltag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Vint; 상기 입력전압(Vin)을 이용하여 승압전압(Vx)을 생성하는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A boost-buck switching power supply configured to generate a boosted voltage Vx using the input voltage Vin; 상기 승압전압(Vx)을 이용하여 정출력전압(VPO) 및 인에이블신호(En)을 생성하는 제2전압조정기; 및A second voltage regul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and an enable signal En using the boosted voltage Vx; And 상기 인에이블신호(En)에 응답하여, 상기 승압전압(Vx) 및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을 이용하여 부출력전압(VNO)을 생성하는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And a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configured to generate a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using the boosted voltage Vx and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in response to the enable signal En.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multiple output voltages.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는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unit 제1 단자에 입력전압(Vin)이 인가되는 제1스위치(Q1);A first switch Q1 to which an input voltage Vin is applied to the first terminal; 제1단자가 상기 제1스위치(Q1)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되어 있든 제1다이오드(D1);A first diode D1 whether a firs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Q1 and the second terminal is grounded; 제1단자가 상기 제1스위치(Q1)의 제2단자 및 상기 제1다이오드(D1)의 제1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1인덕터(L1);A first inductor (L1) having a first terminal commonly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Q1) and a first terminal of the first diode (D1); 제1단자가 상기 제1인덕터(L1)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제1커패시터(C1);A first capacitor C1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inductor L1 and having a second terminal grounded; 상기 기준전압(Vint)을 이용하여 제1피드백전압(Vfb1)을 생성하는 제1피드백전압생성부;A first feedback voltag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feedback voltage V fb1 using the reference voltage Vint; 상기 제1피드백전압(Vfb1)을 이용하여 상기 제1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 And a first control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n / off switching of the first switch using the first feedback voltage V fb1 .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드백전압생성부는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first feedback voltage generation unit 상기 기준전압의 출력노드에 제1단자가 연결된 제1저항(R1); 및A first resistor (R1) connected to a first terminal of an output node of the reference voltage; And 제1단자가 상기 제1저항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2 저항(R2)을 구비하고 상기 제1피드백전압(Vfb1)은 상기 제1저항(R1) 및 상기 제2저항(R2)의 공통노드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The first terminal has a second resistor (R2)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rst resistor and the second terminal is grounded, and the first feedback voltage (V fb1 ) is the first resistor (R1) and the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characterized in that output from the common node of the second resistor (R2).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펌프승압형 전원공급부는15. The power supply unit of claim 13 or 14, wherein the charge pump boost type power supply unit. 제1단자에 상기 입력전압이 연결되는 제5다이오드(D5);A fifth diode (D5) connected with the input voltage to a first terminal; 제1단자는 상기 감압형 스위칭 전원공급부의 스위칭 신호(Sw)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상기 제5다이오드(D5)의 제2단자에 연결되는 제5커패시터(C5);A fifth capacitor C5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 switching signal Sw of the pressure sensitive switching power supply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fifth diode D5; 제1단자가 상기 제5커패시터의 제2단자 및 상기 제5다이오드의 제2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제6다이오드(D6); 및A sixth diode (D6) having a first terminal commonly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fifth capacitor and a second terminal of the fifth diode; And 제1 단자는 상기 제6다이오드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제6커패시터(C6);를 구비하되The firs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sixth diode and the second terminal is a grounded sixth capacitor (C6); 상기 승압전압은 상기 제6다이오드(D6)의 제2단자와 상기 제6커패시터(C6)의 제1단자의 공통 노드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And the boost voltage is output from a common node of a second terminal of the sixth diode (D6) and a first terminal of the sixth capacitor (C6).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트-버크 스위칭 전원공급부는The method of claim 15 or 16, wherein the boost-buck switching power supply unit 제1 단자에 상기 입력전압이 인가되는 제3인덕터(L3);A third inductor (L3) to which the input voltage is applied to a first terminal; 제1 단자가 상기 제3인덕터(L3)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 단자는 접지되어 있는 제3스위치(Q3);A third switch Q3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third inductor L3 and the second terminal being grounded; 제1 단자가 상기 제3인덕터(L3)의 제2단자 및 상기 제3스위치(Q3)의 제1단자에 공통으로 접속되는 제7커패시터(C7);A seventh capacitor (C7)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in common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third inductor (L3) and the first terminal of the third switch (Q3); 제1 단자가 상기 제7커패시터(C7)의 제1단자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8커패시터(C8);An eighth capacitor C8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in parallel to a first terminal of the seventh capacitor C7; 제1 단자가 상기 제8커패시터(C8)의 제2단자에 직렬로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제7커패시터(C7)의 제2단자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9저항(R9);A ninth resistor (R9)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in series to a second terminal of the eighth capacitor (C8)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ed in parallel to a second terminal of the seventh capacitor (C7); 제1단자가 상기 제7커패시터(C7)의 제2단자 및 상기 제9저항(R9)의 제2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7다이오드(D7);A seventh diode D7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in common to a second terminal of the seventh capacitor C7 and a second terminal of the ninth resistor R9 and having a second terminal grounded; 제1단자가 상기 제7커패시터(C7)의 제2단자 및 상기 제9저항(R9)의 제2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제2단자는 승압전압의 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4인덕터(L4);A fourth inductor L4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in common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seventh capacitor C7 and the second terminal of the ninth resistor R9 and the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node of a boost voltage. ; 상기 승압전압을 이용하여 제4피드백전압(Vfb4)을 생성하는 제4피드백전압생성부; 및A fourth feedback voltag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fourth feedback voltage V fb4 using the boosted voltage; And 상기 제4피드백전압(Vfb4)을 이용하여 상기 제3스위치의 온/오프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4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4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And a fourth control unit configured to generate a fourth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n / off switching of the third switch using the fourth feedback voltage V fb4 .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4피드백전압(Vfb4)은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fourth feedback voltage V fb4 is 상기 승압전압의 출력노드에 제1단자가 연결된 제7저항(R7)과.A seventh resistor R7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node of the boosted voltage; 제1단자가 상기 제7저항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8저항(R8)을 구비하고, 상기 제4피드백전압(Vfb4)은 상기 제7저항(R7) 및 상기 제8저항(R8)의 공통노드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The first terminal has an eighth resistor R8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seventh resistor and the second terminal is grounded, and the fourth feedback voltage V fb4 includes the seventh resistor R7 and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characterized in that output from the common node of the eighth resistor (R8). 제13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는16. The method of claim 13 or 15, wherein the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unit 상기 입력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서 동작하고, 제1입력단자에 상기 인에이블신호(En)가 인가되는 드라이버;A driver operating between the input voltage and the ground voltage and applying the enable signal En to a first input terminal; 제1단자가 상기 드라이버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제3커패시터(C3);A third capacitor C3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driver; 제1단자가 상기 제3커패시터(C3)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3다이오드(D3);A third diode (D3)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third capacitor (C3) and having a second terminal grounded; 제1단자가 상기 제3커패시터(C3)의 제2단자 및 상기 제3다이오드(D3)의 제1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제2단자가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4다이오드(D4);A first terminal connected in common to a second terminal of the third capacitor C3 and a first terminal of the third diode D3,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node of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Tetradiode (D4); 제1단자가 상기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4커패시터(C4);A fourth capacitor C4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node of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and a second terminal grounded; 상기 부출력전압(VNO)을 이용하여 제3피드백전압(Vfb3)을 생성하는 제3피드백전압 생성부; 및A third feedback voltag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third feedback voltage V fb3 using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And 상기 제3피드백전압(Vfb3)을 이용하여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라이버의 제2입력단자에 인가하는 제3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And a third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third control signal using the third feedback voltage (V fb3 ) and apply the third control signal to a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driver.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피드백전압생성부는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third feedback voltage generation unit 상기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제1단자가 연결된 제5저항(R5); 및A fifth resistor R5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node of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And 제1단자가 상기 제5저항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에 연결되어 있는 제6저항(R6)을 구비하고 상기 제3피드백전압은 상기 제5저항(R5) 및 상기 제6저항(R6)의 공통 노드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The first terminal has a sixth resistor R6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fth resistor and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 and the third feedback voltage is applied to the fifth terminal.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characterized in that output from the common node of the resistor (R5) and the sixth resistor (R6). 제14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펌프반전형 전원공급부는17. The method of claim 14 or 16, wherein the charge pump inverting power supply unit 상기 승압전압과 접지전압 사이에서 동작하고, 제1입력단자에 상기 인에이블신호(En)가 인가되는 드라이버;A driver operating between the boosted voltage and the ground voltage and applying the enable signal En to a first input terminal; 제1단자가 상기 드라이버의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제3커패시터(C3);A third capacitor C3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driver; 제1단자가 상기 제3커패시터(C3)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3다이오드(D3);A third diode (D3)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of the third capacitor (C3) and having a second terminal grounded; 제1단자가 상기 제3커패시터(C3)의 제2단자 및 상기 제3다이오드(D3)의 제1단자에 공통으로 연결되고 제2단자가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연결되는 제4다 이오드(D4);A first terminal connected in common to a second terminal of the third capacitor C3 and a first terminal of the third diode D3,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node of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Tetradiode (D4); 제1단자가 상기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제4커패시터(C4);A fourth capacitor C4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node of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and a second terminal grounded; 상기 부출력전압(VNO)을 이용하여 제3피드백전압(Vfb3)을 생성하는 제3피드백전압 생성부; 및A third feedback voltag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third feedback voltage V fb3 using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And 상기 제3피드백전압(Vfb3)을 이용하여 제3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드라이버의 제2입력단자에 인가하는 제3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And a third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third control signal using the third feedback voltage (V fb3 ) and apply the third control signal to a second input terminal of the driver.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3피드백전압생성부는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third feedback voltage generation unit 상기 부출력전압(VNO)의 출력노드에 제1단자가 연결된 제5저항(R5); 및A fifth resistor R5 having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node of the negative output voltage V NO ; And 제1단자가 상기 제5저항의 제2단자에 연결되고 제2단자가 상기 제1출력전압(VOUT1)에 연결되어 있는 제6저항(R6)을 구비하고 상기 제3피드백전압은 상기 제5저항(R5) 및 상기 제6저항(R6)의 공통 노드에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The first terminal has a sixth resistor R6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of the fifth resistor and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voltage V OUT1 , and the third feedback voltage is applied to the fifth terminal. 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characterized in that output from the common node of the resistor (R5) and the sixth resistor (R6).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귤레이터는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6, wherein the first regulator 상기 기준전압의 스위칭 노이즈를 제거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for removing the switching noise of the reference voltage, and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정출력전압생성부는 The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ion unit of claim 13, wherein the constant output voltage generation unit 상기 승압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정출력전압(VPO)을 생성하는 제2레귤레이터; 및A second regulator for generating the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using the boosted voltage; And 상기 정출력전압(VPO)의 생성을 감지하여 상기 인에이블신호(En)를 생성하는 인에이블 블록를 구비하고, 상기 승압전압의 스위칭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A power supply block configured to generate the enable signal En by detecting the generation of the constant output voltage V PO and to remove switching noise of the boosted voltage; Devi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Q1)는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first switch Q1 is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또는 모스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전압을 생성하는 전원공급장치.A power supply for generating a multiple output voltage, characterized in that the bipolar transistor or MOS transistor.
KR1020070129885A 2007-12-13 2007-12-13 Power supply for multiple output voltages KR1009179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885A KR100917976B1 (en) 2007-12-13 2007-12-13 Power supply for multiple output voltages
TW097148227A TWI379498B (en) 2007-12-13 2008-12-11 Multiple-voltage power supply apparatus
PCT/KR2008/007375 WO2009075547A2 (en) 2007-12-13 2008-12-12 Power supply for multiple output voltages
CN2008801190716A CN101884159B (en) 2007-12-13 2008-12-12 Multiple-voltage power suppl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885A KR100917976B1 (en) 2007-12-13 2007-12-13 Power supply for multiple output voltag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551A KR20090062551A (en) 2009-06-17
KR100917976B1 true KR100917976B1 (en) 2009-09-18

Family

ID=40755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885A KR100917976B1 (en) 2007-12-13 2007-12-13 Power supply for multiple output voltage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917976B1 (en)
CN (1) CN101884159B (en)
TW (1) TWI379498B (en)
WO (1) WO2009075547A2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087A (en) 2019-04-15 2020-10-23 주식회사 에스제이솔루션 Power Supply Unit Using Intellectual Pre-Regul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7733B (en) * 2011-12-01 2014-01-22 无锡中星微电子有限公司 Power management circuit
KR101306865B1 (en) * 2012-02-09 2013-09-10 (주)태진기술 High Voltage IC
CN112737290B (en) * 2020-12-23 2022-07-08 深圳市航天新源科技有限公司 High-integration non-isolated positive and negative voltage output multi-port converter circuit
CN113765369B (en) * 2021-09-01 2024-01-23 深圳市爱协生科技股份有限公司 Novel voltage conversion circuit for converting positive voltage into negative voltage in complex power domain
CN113824315B (en) * 2021-10-20 2024-02-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Power supply generat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2987A (en) * 1993-01-12 1994-10-07 Nittetsu Semiconductor Kk Apparatus for supply of electric power for integrated circuit
JPH0727831Y2 (en) * 1989-10-25 1995-06-21 富士電機株式会社 Buck-boost DC-DC converter
US6643151B1 (en) 1999-06-25 2003-11-0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Multiple output dynamically regulated charge pump power converter
US6903535B2 (en) 2002-04-16 2005-06-07 Arques Technology, Inc. Biasing system and method for low voltage DC—DC converters with built-in N-FE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8208A (en) * 1990-03-28 1991-12-09 Seiko Epson Corp Power supply circuit
US6445623B1 (en) * 2001-08-22 2002-09-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harge pumps with current sources for regulation
US6756772B2 (en) * 2002-07-08 2004-06-29 Cogency Semiconductor Inc. Dual-output direct current voltage converter
JP4094487B2 (en) * 2003-05-21 2008-06-04 ローム株式会社 Power supply for positive / negative output volt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831Y2 (en) * 1989-10-25 1995-06-21 富士電機株式会社 Buck-boost DC-DC converter
JPH06282987A (en) * 1993-01-12 1994-10-07 Nittetsu Semiconductor Kk Apparatus for supply of electric power for integrated circuit
US6643151B1 (en) 1999-06-25 2003-11-0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Multiple output dynamically regulated charge pump power converter
US6903535B2 (en) 2002-04-16 2005-06-07 Arques Technology, Inc. Biasing system and method for low voltage DC—DC converters with built-in N-FE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1087A (en) 2019-04-15 2020-10-23 주식회사 에스제이솔루션 Power Supply Unit Using Intellectual Pre-Regu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75547A2 (en) 2009-06-18
WO2009075547A3 (en) 2009-09-03
TWI379498B (en) 2012-12-11
CN101884159B (en) 2013-07-31
TW200937821A (en) 2009-09-01
CN101884159A (en) 2010-11-10
KR20090062551A (en)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14813C (en) DC-DC converter and dc-dc converter control method
KR100917976B1 (en) Power supply for multiple output voltages
US10110124B2 (en)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for switching regulator and switching regulator with the same
CN103703867B (en) For using transistor saturated control that voltage is fed to voltage supply equipment and the method for electrical load
JP5369750B2 (en) Power supply circuit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218136A1 (en) Power supply circuit
WO2006003751A1 (en) Dc-dc converter and converter device
CN102263504A (en) Power supply circuit, integrated circuit device, solid-state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790650B1 (en) Power supply for positive and negative output voltages
TWI573006B (en) Power supplier, power supply system, and voltage adjustment method
WO2006046731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portable device
US10886845B2 (en) Detection method, detection circuit, controller and switching power supply
JP2007317239A (en) Direct current power supply unit
KR20200024449A (en) Soft start apparatus and method for dc-dc converter
US9401650B2 (en) Power supply apparatus
JP2006277760A (en) Power supply circuit and power supply voltage supplying method
JP3817569B2 (en) Power circuit
US20160118883A1 (en) Simo (single inductor multiple output) bidirectional dual-boost architecture
CN102055321A (en) Summing circuit in DC-DC converter
JP2006101637A (en) Power supply unit
WO2014048806A1 (en) Power convers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power conversion
CN112987843A (en) Bootstrap driving circuit, driving method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JPWO2009104436A1 (en) Power supply circuit device and voltage control method
US10700518B2 (en) Constant current limiting protection for series coupled power supplies
KR20100024141A (en) Dc to dc conveter with dead zone st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