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205B1 - RF Repeater including communication mod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RF Repeater - Google Patents

RF Repeater including communication mod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RF Repeater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205B1
KR100915205B1 KR1020070106777A KR20070106777A KR100915205B1 KR 100915205 B1 KR100915205 B1 KR 100915205B1 KR 1020070106777 A KR1020070106777 A KR 1020070106777A KR 20070106777 A KR20070106777 A KR 20070106777A KR 100915205 B1 KR100915205 B1 KR 100915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em
downlink
wireless repeater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7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41193A (en
Inventor
정재훈
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알에프윈도우
Priority to KR1020070106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205B1/en
Publication of KR20090041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1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20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57Selecting relay station operation mode, e.g. between amplify and forward mode, decode and forward mode or FDD - and TDD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85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interference cance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의 운영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무선 중계기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감시하기 위한 모뎀을 구비하는 이동통신용 무선 중계기로서, 상기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안테나;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안테나;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제1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하향 신호처리부;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제2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상향 신호처리부; 제1 하향 신호(무선 중계기의 하향 경로상의 일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감지부; 검출된 레벨에 기초하여, 제1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하향 신호처리부의 입력 신호와 상기 하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모뎀의 입력 신호로서 제공하는 제1 스위치를 구비하여, 모뎀 입력 신호 및/또는 모뎀 출력 신호를 자동 절체/변경하여 모뎀의 입/출력 신호가 양호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Disclosed are a wireless repeater having a communication modem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wireless repeater. Wireless rep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wireless repeater having a modem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the first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A second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with the terminal; A downlink signal processor for amplifying a fir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tenna; An uplink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amplify a seco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antenna; A detector for detecting a level of a first downlink signal (one signal on a downlink path of a wireless repeater);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selection signal based on the detected level; And a first switch configured to provide one of an input signal of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and an output signal of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as an input signal of the modem in response to the first selection signal. Automatic switching / modification of the output signal ensures that the modem's input / output signals remain in good condition.

Description

통신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의 운영 방법{RF Repeater including communication mod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RF Repeater}Wireless repeater having a communication modem and an operation method of the wireless repeater {RF Repeater including communication mod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RF Repeater}

본 발명은 이동 통신용 무선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감시하기 위한 모뎀을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 및 상기 무선 중계기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repeater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repeater having a modem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wireless repeater.

일반적으로 중계기는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 전파가 미약하거나 도달하지 못하는 곳에 위치하여 그 지역에 양호한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이동통신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장치를 말한다.In general, a repeater is a device that enables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y providing a good signal in an area where a radio wave is weak or unreachable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예컨대, 중계기는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 위치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발생된 미약한 신호를 양호한 신호로 변환하여 단말기로 전송(이하, '순방향 전송' 혹은 ‘하향 전송’이라 한다.)하거나,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미약한 신호를 양호한 신호로 변환하여 기지국으로 전송(이하, '역방향 전송' 혹은 ‘상향 전송’이라 한다.)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peater is locat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to convert the weak signal generated from the base station into a good signal to transmit to the termi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rward transmission' or 'downward transmission'), or weak generated from the terminal A signal may be converted into a good signal and transmitted to a base st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verse transmission' or 'uplink transmission').

따라서, 도심지역에서 전파의 사각지대인 지하공간 및 아파트 단지, 대형건물, 언덕, 지하 등에는 전파가 미치지 못하는 서비스 취약 지역에 중계기들이 설치되어 운용되고 있다. 또한, 트래픽은 적지만 커버리지(coverge) 측면에서 중요한 고속도로, 국도, 개활지 및 산간벽지 등의 지역에도 저비용으로 고품질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드는 기지국 대신 중계기가 설치되어 운영되는 실정이다.Therefore, repeaters are installed and operated in service-vulnerable areas where radio waves do not reach in underground spaces and apartment complexes, large buildings, hills, basements, etc., which are blind spots of radio waves in urban areas. 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high quality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t low cost in areas such as highways, national roads, open areas and mountain barriers where traffic is low but coverage is important, repeaters are installed instead of base stations, which are expensive to install and maintain. It is operating.

그런데 수많은 중계기들이 설치됨에 있어서 어느 하나라도 이상이 발생할 경우 해당 중계기의 영역에 있는 사용자들은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중계기의 효율적인 관리 및 제어가 중요하다. However, when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repeater is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users in the area of the repeater do not receive the service. Therefore, efficient management and control of repeaters is important.

통상적으로 중계기를 관리하기 위하여 중계기에 통신 모뎀을 내장한다. 통상적으로 중계기에 내장되는 모뎀은 기지국과 통신하여 중계기 상태를 보고하고, 중계기를 관리/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한다. 즉, 중계기 모뎀을 통하여 해당 중계기의 상태 정보를 얻고, 또한 중계기를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제어신호(혹은 명령)를 중계기로 전송함으로써 중계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Typically, a repeater embeds a communications modem to manage the repeater. Typically, the modem embedded in the repeater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to report the repeater status and receives signals for managing / controlling the repeater. That is,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age the repeater by obtain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repeater through the repeater modem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or command)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repeater to the repeater.

따라서, 중계기의 상태를 적절히 모니터링하고 중계기를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해서는 중계기 모뎀의 입/출력 신호가 양호해야 한다. 중계기 모뎀으로/으로부터 입/출력되는 신호가 미약하거나 장애가 발생하면 중계기 상태정보를 제대로 전달받지 못하거나, 중계기로 제어 신호를 제대로 전달할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operly monitor the condition of the repeater and control and manage the repeater, the input / output signal of the repeater modem should be good. A weak or faulty signal to / from the repeater modem may cause relay status information to not be properly transmitted or control signals to the repeater.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무선 중계기 관리용 모뎀의 입/출력 신호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모뎀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모뎀의 입/출력 신호 경로를 자동으로 변경 혹은 절체하는 무선 중계기 및 그 운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change or switch the input / output signal path of the modem so that the modem can perform its normal function by maintaining the input / output signal of the wireless repeater management modem in a good state. It is to provide a wireless repeat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무선 중계기는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감시하기 위한 모뎀을 구비하는 이동통신용 무선 중계기로서, 상기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안테나;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안테나;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제1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하향 신호처리부;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제2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상향 신호처리부; 제1 하향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감지부; 검출된 레벨에 기초하여, 제1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하향 신호처리부의 입력 신호와 상기 하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모뎀의 입력 신호로서 제공하는 제1 스위치를 구비한다. The wireless repeater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is a wireless repea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having a modem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a first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A second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with the terminal; A downlink signal processor for amplifying a fir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tenna; An uplink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amplify a seco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antenna; A detector detecting a level of the first downlink signal;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selection signal based on the detected level; And a first switch configured to provide one of an input signal of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and an output signal of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as an input signal of the modem in response to the first selection signal.

상기 무선 중계기는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제1 상향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1 스위치로 분배하는 제1 커플러; 및 상기 하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커플링하여 상기 제1 스위치로 제공하는 제2 커플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wireless repeater may include a first coupler for distributing the first signal to the first uplink signal processor and the first switch; And a second coupler coupling the output signal of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to the first switch.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하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채널 파워를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채널 파워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하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가 상기 모뎀 입력 신호가 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The detector converts the first downlink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measures the channel power of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and the controller outputs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when the channel power measured by the detector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first switch may be controlled such that a signal becomes the modem input signal.

상기 감지부는, 상기 검출된 레벨에 기초하여 제2 선택 신호를 더 발생하며, 상기 무선 중계기는 상기 제2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뎀의 출력 신호가 상기 상향 신호처리부로 입력되도록 스위칭하거나 상기 상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와 합쳐지도록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detector may further generate a second selection signal based on the detected level, and the wireless repeater may switch the output signal of the modem to be input to the uplink signal processor or in response to the second selection signal.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witch configured to switch to merge with an output signal of the signal processor.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무선 중계기 운영 방법은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감시하기 위한 모뎀을 구비하는 이동통신용 무선 중계기의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안테나를 통하여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를 하향 신호처리부에 의하여 증폭 처리하여 출력하는 단계; 제1 하향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레벨에 기초하여, 제1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제1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하향 신호처리부의 입력 신호와 상기 하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모뎀의 입력 신호로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모뎀이 상기 모뎀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는 단계를 구비한다.The wireless repeater operating method for achieving the technical problem relates to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repeater for a mobile communication having a modem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Receiving a first signal via a first antenna for transmitting;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first signal by a downlink signal processor; Detecting a level of the first downlink signal; Based on the detected level, generating a first selection signal; Providing one of an input signal of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and an output signal of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as an input signal of the modem in response to the first selection signal; And the modem receiving the modem input signal and interpreting the received signal.

상기 제1 하향 신호는 상기 무선 중계기의 하향 경로상의 일 신호로서, 상기 하향 신호처리부를 구성하는 일 구성요소의 입력 신호 또는 출력 신호일 수 있다.The first downlink signal is a signal on a downlink path of the wireless repeater and may be an input signal or an output signal of one component constituting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본 발명에 의하면, 도너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모뎀 입력 신호 및/또는 모뎀 출력 신호를 자동 절체/변경함으로써, 모뎀의 입/출력 신호가 양호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뎀 입력 신호 및/또는 모뎀 출력 신호가 미약하여 모뎀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기지국과 제대로 통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 output signal of the modem can be maintained in a good state by detecting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donor antenna and automatically switching / modifying the modem input signal and / or the modem output signal. As a result, the modem input signal and / or the modem output signal may be weak so that the modem may not function properly or th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may be prevented.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중계기의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system of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증폭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mplification processing unit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모뎀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dem operating method of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다. 무선 중계기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12)과, 기지국(12)으로부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아 중계하기 위한 무선중계기(20)와, 무선중계기(20)에 설치되어 무선중계기(20)의 상태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모뎀(23)과, 모뎀(23)으로부터 전송된 중계기 상태 정보를 이동통신망(10)을 통해 수신받아 무선중계기(20)의 상태를 분석하고, 또한 무선중계기(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이동통신망(10)을 통해 해당 무선중계기(20)의 모뎀(230)으로 전송하는 중계기 관리 서버(14)를 포함한다. 1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nagement system of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wireless repeater management system includes a base station 12 for supporting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 wireless repeater 20 for wirelessl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12, and a wireless repeater ( 20 and a modem 23 for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20 and the state of the wireless repeater 20 receiving the relay statu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dem 23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 And a repeater management server 14 for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repeater 20 to the modem 230 of the corresponding wireless repeater 2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

중계기 모뎀(23)은 이동통신 단말기처럼 메시지(단문 메시지 및/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 기능,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 및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중계기 모뎀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전화번호 및/또는 ESN 등)를 가진다. 중계기 모뎀(23)은 또한 중계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중계기를 제어 및 관리 하기 위하여 중계기의 다른 구성요소(예컨대, 제어장치)와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중계기 모뎀(23)이 중계기 상태 정보를 단문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하게 되면, SMS서버(13)에서 이를 수신하여 무선중계기(20)의 상태정보인 경우 이동통신망(10)을 통해 이를 중계기 관리 서버(14)로 전송함으로써 중계기 관리 서버(14)에서는 해당 무선중계기(20)의 상태를 분석하고 필요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The repeater modem 23 may perform a message (short message and / or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a function for transmitting / receiving packet data, and a call processing function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dentifier (telephone) for identifying the repeater modem. Number and / or ESN, etc.). The repeater modem 23 also functions as an interface with other components of the repeater (eg, the control unit) to monitor the status of the repeater and to control and manage the repeater. When the repeater modem 23 generates and transmits the repeater status information as a short message, it is received by the SMS server 13 and when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20 is transmitted to the repeater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10 ( By transmitting to 14), the repeater management server 14 may analyze the state of the radio repeater 20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when necessary.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증폭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mplification processing unit shown in FIG.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무선 중계기(20)는 제1 및 제2 안테나(31, 32), 제어부(21), 감지부(22), 모뎀(23), 스위치(24), 증폭처리부(25), 제1 및 제2 커플러(26, 27)를 포함한다. 2 and 3, the wireless repeater 20 includes first and second antennas 31 and 32, a controller 21, a detector 22, a modem 23, a switch 24, and an amplification processor ( 25), first and second couplers 26, 27.

제1 안테나(31)는 기지국(미도시)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로서, 도너(donor) 안테나라 칭하기도 한다. 제1 안테나(31)를 통해 수신된 제1 신호(또는 하향 신호라 칭함)는 제1 포트(33)를 통하여 감지부(22) 및 제1 커플러(26)로 입력된다.The first antenna 31 is an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with a base station (not shown),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donor antenna. A first signal (or a downlink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tenna 31 is input to the detector 22 and the first coupler 26 through the first port 33.

감지부(22)는 제1 하향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 레벨 정보를 제어부(21)로 제공한다. 제1 하향 신호는 중계기의 하향 경로(순방향 경로, 즉 기지국에서 단말기 방향으로의 경로)상의 신호로서, 증폭 처리부(25)의 하향 신호 처리부(40)의 일 구성요소의 출력 신호 혹은 입력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21)는 감지부(22)로부터 검출된 신호 레벨 정보에 기초하여, 스위치(24)를 제어하기 위한 선택 신호(CON1)를 발생한다. The detector 22 detects the level of the first downlink signal and provides the detected signal level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21. The first downlink signal is a signal on a down path (forward path, ie, a path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of the repeater, and may be an output signal or an input signal of one component of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40 of the amplification processor 25. . The control unit 21 generates a selection signal CON1 for controlling the switch 24 based on the signal level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22.

스위치(24)는 선택 신호(CON1)에 응답하여, 증폭 처리부(25)의 하향 신호 처리부(40)로 입력되기 전의 신호(IS1), 즉, 하향 신호 처리부(40)에 의해 증폭되지 않은 신호(IS1)를 모뎀 입력 신호(IS)로 제공하거나, 혹은 증폭 처리부(25)의 하향 신호 처리부(40)에 의해 증폭된 출력 신호(IS2)를 모뎀 입력 신호(IS)로 제공한다. 증폭 처리부(25)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In response to the selection signal CON1, the switch 24 is a signal IS1 before being input to the downlink signal processing unit 40 of the amplification processing unit 25, that is, a signal not amplified by the downlink signal processing unit 40 ( The IS1 is provided as the modem input signal IS, or the output signal IS2 amplified by the downlink signal processing section 40 of the amplification processing section 25 is provided as the modem input signal IS.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amplification processing unit 25 will be described later.

예컨대, 감지부(22)는 제1 하향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예컨대, -80 dbm 혹은 -60dbm) 이하 혹은 미만일 때는 플래그 신호를 "1"로 설정하여 제어부(21)로 출력할 수 있다. 반면, 감지부(22)는 제1 하향 신호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예컨대, -80 dbm 혹은 -60dbm) 이상 혹은 초과할 때는 플래그 신호를 "0"으로 설정하여 제어부(21)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하향 신호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저잡음 증폭기(42)의 출력 신호인 경우 기준치는 -60dbm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제1 하향 신호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저잡음 증폭기(42)의 입력 신호, 즉, 제1 대역통과 필터(41)의 출력 신호인 경우 기준치는 -80dbm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하향 신호가 제1 저잡음 증폭기(42)의 출력 신호나 제1 대역통과 필터(41)의 출력 신호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하향 신호 처리부(40)의 다른 구성요소의 출력 신호 혹은 입력 신호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detector 22 detects the level of the first downlink signal, and sets the flag signal to "1" when the detected signal level is below or below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example, -80 dbm or -60dbm). It can output to (21).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vel of the first downlink signal exceeds or exceeds the preset reference value (eg, -80 dbm or -60dbm), the detector 22 may set the flag signal to "0" and output the flag signal to the controller 21. have. As shown in FIG. 3, when the first downlink signal is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low noise amplifier 42, the reference value may be preset to −60 dbm, and unlike the first downlink signal illustrated in FIG. In the case of the input signal of the first low noise amplifier 42, that is,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bandpass filter 41, the reference value may be preset to −80 dbm. However, the first downlink signal is not limited to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low noise amplifier 42 or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bandpass filter 41, but is an output signal or an input of another component of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40. May be a signal.

이 경우, 제어부(21)는 감지부(22)에서 출력되는 플래그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 신호(CON1)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1)는 플래그 신호가 "1"인 경우에는 하향 신호 처리부(40)의 출력 신호(IS2)가 모뎀 입력 신호(IS)로 제공되도록 스위치(24)를 제어하고, 플래그 신호가 "0"인 경우에는 하향 신호 처리부(40)의 입력 신호(IS1)가 모뎀 입력 신호(IS)로 제공되도록 스위치(24)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하향 신호 처리부(40)의 출력 신호(IS2)는 하향 신호 처리부(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2 커플러(27)에 의해 커플링할 신호일 수 있고, 하향 신호 처리부(40)의 입력 신호(IS1)는 제1 포트(33)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제1 커플러(26)에 의해 커플링할 신호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ler 21 may generate the control signal CON1 in response to the flag signal output from the detector 22. For example, when the flag signal is "1", the controller 21 controls the switch 24 so that the output signal IS2 of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40 is provided as the modem input signal IS, and the flag signal is "". In case of “0”, the switch 24 may be controlled such that the input signal IS1 of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40 is provided as the modem input signal IS. Here, the output signal IS2 of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40 may be a signal for coupl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40 by the second coupler 27, and an input signal of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40. IS1 may be a signal for coupling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port 33 by the first coupler 26.

즉, 제1 커플러(26)는 제1 포트(33)를 통해 입력된 하향 신호를 증폭처리부(25) 및 스위치(24)로 분배하고, 제2 커플러(27)는 하향 신호 처리부(40)의 출력 신호를 커플링하여 스위치(24)로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coupler 26 distributes the downlink signal input through the first port 33 to the amplification processor 25 and the switch 24, and the second coupler 27 of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40. The output signal can be coupled and provided to the switch 24.

감지부(22)는 제1 하향 신호의 스펙트럼 분석을 통하여 제1 하향 신호의 채널 파워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하향 신호의 스펙트럼 분석을 위하여, 감지부(22)는 제1 하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또한 디지털 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 변환할 수 있다.The detector 22 may measure the channel power of the first downlink signal through spectral analysis of the first downlink signal. For spectral analysis of the first downlink signal, the detector 22 may convert the first downlink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also convert the digital signal into a fast fourier transform (FFT).

감지부(22)가 제1 하향 신호의 레벨로서 채널 파워를 측정하는 경우, 감지부(22)는 측정된 채널 파워가 소정의 범위(예컨대, -105 dbm 내지 -80 dbm 사이 혹은 -85 dbm 내지 -60 dbm 사이)이거나 미리 설정된 기준치(예컨대, -80 dbm 혹은 -60 dbm) 이하일 때 플래그 신호를 "1" 설정하여 제어부(21)로 출력함으로써, 제어부(21)가 스위치(24)를 제어하여 모뎀 입력 신호를 자동 절체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detector 22 measures the channel power as the level of the first downlink signal, the detector 22 determines that the measured channel power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eg, between -105 dbm and -80 dbm or between -85 dbm and By setting the flag signal to " 1 " and outputting to the control unit 21 when the reference signal is between -60 dbm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for example, -80 dbm or -60 dbm), the control unit 21 controls the switch 24. Allows for automatic switching of modem input signals.

증폭처리부(2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신호 처리부(40) 및 상향 신호 처리부(50)를 포함한다. 하향 신호 처리부(40)는 제1 안테나(31)를 통하여 수신된 하향 신호를 대역 통과 필터링하는 제1 대역통과 필터(41), 대역통과 필터링된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제1 저잡음 증폭기(42), 제1 저잡음 증폭기(42)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1 증폭기(43), 제1 증폭기(43)의 출력 신호를 미리 정해진 기준 주파수 신호와 믹싱(mixing)함으로써 제1 저잡음 증폭기(42)의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기 위한 제1 믹서(44), 제1 믹서(44)의 출력신호를 대역 통과 필터링하는 제1 쏘우(SAW) 필터(45), 제1 쏘우(SAW) 필터(45)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46), 및 제2 증폭기(46)의 출력 신호를 대역통과 필터링하는 제2 대역통과 필터(47)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amplification processor 25 includes a downlink signal processor 40 and an uplink signal processor 50.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40 includes a first bandpass filter 41 for bandpass filtering the downlink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tenna 31, a first low noise amplifier 42 for low noise amplifying the bandpass filtered signal, A first amplifier 43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low noise amplifier 42, by mix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amplifier 43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frequency signal of the first low noise amplifier 42 A first mixer 44 for converting the frequency of the output signal, a first saw filter 45 for bandpass filte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mixer 44, and a first saw filter 45. And a second bandpass filter 47 for bandpass filte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amplifier 46.

상향 신호 처리부(50) 역시, 하향 신호 처리부(40)와 유사하게, 제2 안테나(33)를 통하여 수신된 제2 신호(또는 상향 신호라 함)를 대역 통과 필터링하는 제3 대역통과 필터(51), 대역통과 필터링된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는 제2 저잡음 증폭기(52), 제2 저잡음 증폭기(52)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3 증폭기(53), 제3 증폭기(53)의 출력 신호를 미리 정해진 기준 주파수 신호와 믹싱(mixing)함으로써 제2 저잡음 증폭기(52)의 출력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기 위한 제2 믹서(54), 제2 믹서(54)의 출력신호를 대역 통과 필터링하는 제2 쏘우(SAW) 필터(55), 제2 쏘우(SAW) 필터(55)의 출력 신호를 증폭하는 제4 증폭기(56), 및 제4 증폭기(56)의 출력 신호를 대역통과 필터링하는 제4 대역통과 필터(57)를 포함할 수 있다. Similarly to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40, the uplink signal processor 50 also uses a third bandpass filter 51 for bandpass filtering a second signal (or an uplink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antenna 33. A second low noise amplifier 52 for low noise amplifying the bandpass filtered signal, a third amplifier 53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low noise amplifier 52, and an output signal of the third amplifier 53. A second mixer 54 for converting the frequency of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low noise amplifier 52 by mixing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frequency signal, and a second band-pass filte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mixer 54. Fourth amplifier 56 for amplif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AW filter 55, the second SAW filter 55, and a fourth band for bandpass filter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ourth amplifier 56. And a pass filter 57.

무선 중계기(20)의 구성요소는 실시예에 따라 가감 혹은 변경되거나 구성요소간의 연결관계가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2 및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무선 중계기(20)는 제1 및 제2 믹서(44, 54)로 입력되는 기준주파수 신호(예컨대, 로컬 발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로컬 오실레이터, 하나의 안테나(예컨대, 제1 안테나, 31)를 통하여 전송된 신호가 직접적으로, 혹은 반사되어 다른 안테나(예컨대, 제2 안테나, 32)로 궤환되어 입력되는 간섭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간섭 제거 모듈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Of course, the components of the wireless repeater 20 may be added or subtracted or chang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r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may vary. 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FIGS. 2 and 3, the wireless repeater 20 may include a local oscillator for generating reference frequency signals (eg, local oscillation signals) input to the first and second mixers 44 and 54; An interference cancellation module for canceling an interference signal inputted through one antenna (eg, the first antenna 31) directly or reflected and fed back to another antenna (eg, the second antenna 32). This may be further includ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하향 신호가 출력되는 위치 역시 달라질 수 있다. 제1 하향 신호의 출력 위치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치 역시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downlink signal is output may also vary. Of course, the preset reference value may also vary according to the output position of the first downlink signal.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운영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 운영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4, a wireless repeater opera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너 안테나(제1 안테나, 31)를 통하여 제1 신호를 수신하고(S10), 수신된 제1 신호의 레벨을 검출한다(S20), 검출된 신호레벨을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한다(S30). 비교 결과 검출된 신호레벨이 기준 레벨이상이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 신호가 양호한 상태이므로, 중계기 입력 신호(즉, 상기 하향 신호처리부의 입력 신호)를 모뎀 입력 신호로 제공하고(S40), 그렇지 않으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제1 신호가 양호한 상태가 아니므로, 중계기 출력 신호(즉, 제1 신호가 하향 신호 처리부에 의해 증폭 처리된 신호)를 모뎀 입력 신호로서 제공한다(S50). First, a first signal is received through a donor antenna (first antenna) 31 (S10), a level of the received first signal is detected (S20), and the detected signal level is compared with a preset reference level ( S30). If the signal level detecte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level, the first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is in a good state, and thus a repeater input signal (that is, the input signal of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is provided as a modem input signal (S40). Since the first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is not in a good state, a repeater output signal (that is, a signal in which the first signal is amplified by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is provided as a modem input signal (S50).

모뎀(23)은 상기 모뎀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분석 및 해석하여, 제어부(21)로 분석/해석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21)는 모뎀(23)으로부터 제공된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중계기(20)를 제어하거나, 무선 중계기(20)를 제어 혹은 모니터링한 결과를 모뎀(23)을 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The modem 23 may receive the modem input signal, analyze and interpret the received signal, and provide the analyzed / interpreted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21. Then, the controller 21 may control the wireless repeater 20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odem 23, or transmit a result of 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wireless repeater 20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modem 23.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5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무선 중계기(21')는 제1 및 제2 안테나(31, 32), 제어부(21), 감지부(22), 모뎀(23), 증폭처리부(25), 스위치(61), 제3 및 제4 커플러(62, 63)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무선 중계기(21)는 모뎀 입력 신호를 자동으로 절체하기 위한 구성을 가지는 반면, 도 5에 도시된 무선 중계기(21')는 모뎀 출력 신호를 자동으로 절체하기 위한 구성을 가지며, 그 구성 및 동작은 도 2에 도시된 무선 중계기(21)의 구성 및 동작과 유사하다. 따라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여, 구성 및 동작에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wireless repeater 21 ′ shown in FIG. 5 includes first and second antennas 31 and 32, a controller 21, a detector 22, a modem 23, an amplification processor 25, and a switch 61. And third and fourth couplers 62 and 63. The wireless repeater 21 shown in FIG. 2 has a configuration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modem input signal, while the wireless repeater 21 'shown in FIG. 5 has a configuration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modem output signal,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21 shown in FIG. Therefore,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description, overlapping description i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s omitted.

제어부(21)는 감지부(22)에 의해 검출된 신호 레벨 정보에 기초하여, 스위치(61)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선택 신호(CON2)를 발생한다. The controller 21 generates a second selection signal CON2 for controlling the switch 61 based on the signal level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or 22.

스위치(61)는 제2 선택 신호(CON2)에 응답하여, 상기 모뎀(23)의 출력 신호(OS)가 상기 증폭처리부(25)의 상향 신호처리부(50)로 입력되도록 스위칭하거나 상기 상향 신호 처리부(50)의 출력 신호와 합쳐지도록 스위칭한다.The switch 61 switches the output signal OS of the modem 23 to be input to the upstream signal processing unit 50 of the amplification processing unit 25 in response to the second selection signal CON2 or the upstream signal processing unit. Switch to match the output signal of 50.

상기 모뎀(23)의 출력 신호(OS)가 상향 신호 처리부(50)의 출력 신호와 합쳐지는 경우에, 제3 커플러(62)는 스위치(61)에서 출력되는 모뎀 출력 신호(OS1)와 상향 신호 처리부(50)의 출력 신호를 합함으로써, 상향 신호 처리부(50)에 의하여 증폭되지 않은 모뎀 출력 신호와 상향 신호 처리부(50)에 의하여 증폭된 상향 신호가 합쳐진 신호가 제1 포트(33)를 통하여 제1 안테나(31)로 전달되도록 한다.When the output signal OS of the modem 23 is combined with the output signal of the upstream signal processor 50, the third coupler 62 is the modem output signal OS1 and the up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61. By add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processing unit 50, a signal in which the modem output signal not amplified by the uplink signal processing unit 50 and the uplink signal amplified by the uplink signal processing unit 50 are combined through the first port 33.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antenna 31.

제4 커플러(63)는 상기 모뎀(23)의 출력 신호(OS)가 상기 증폭처리부(25)의 상향 신호처리부(50)로 입력되는 경우에, 스위치(61)에서 출력되는 모뎀 출력 신호(OS2)와 제2 포트(34)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2 신호를 합하여 증폭 처리부(25)의 상향 신호 처리부(50)로 제공함으로써, 모뎀 출력 신호 및 상향 신호가 모두 상향 신호 처리부(50)에 의하여 증폭되도록 한다.The fourth coupler 63 outputs the modem output signal OS2 output from the switch 61 when the output signal OS of the modem 23 is input to the upstream signal processor 50 of the amplification processor 25. ) And the seco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port 34 are summed and provided to the uplink signal processor 50 of the amplification processor 25 so that both the modem output signal and the uplink signal are amplified by the uplink signal processor 50. Be sure to

도 2에 도시된 모뎀 입력 신호를 자동으로 절체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들 및 도 5에 도시된 모뎀 출력 신호를 자동으로 절체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들이 하나의 무선 중계기에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modem input signal shown in FIG. 2 and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automatically switching the modem output signal shown in FIG. 5 may be implemented in one wireless repeater.

이 경우, 제어부(21)는 감지부(22)에 의해 검출된 신호 레벨 정보에 기초하여, 스위치들(24, 61)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선택 신호(CON1, CON2)를 발생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1 may generate the first and second selection signals CON1 and CON2 for controlling the switches 24 and 61 based on the signal level information detected by the detector 22. have.

예컨대, 감지부(22)에 의해 감지된 신호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기지국과 중계기간 무선 환경이 열악한 경우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1)는 모뎀 입력 신호(IS) 및 모뎀 출력 신호(OS)가 모두 증폭 처리부(25)에 의해 증폭될 수 있도록 스위치들(24, 61)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2)에 의해 감지된 신호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제어부(21)는 모뎀 입력 신호(IS) 및 모뎀 출력 신호(OS)가 모두 증폭 처리부(25)를 거치지 않도록 스위치들(24, 61)을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ignal leve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22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base station and the relay period wireless environment may be poor.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1 may control the switches 24 and 61 such that both the modem input signal IS and the modem output signal OS may be amplified by the amplification processing unit 25. In addition, when the signal leve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22 increases above the preset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21 does not pass both the modem input signal IS and the modem output signal OS through the amplification processing unit 25.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witches 24 and 61 so as not t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도너 안테나를 통하여 입력되어 서비스 안테나를 통하여 출력될 하향 신호의 레벨을 감지하여, 모뎀 입력 신호 및/또는 모뎀 출력 신호를 자동 절체함으로써, 모뎀 입력 신호 및/또는 모뎀 출력 신호가 미약하여 모뎀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기지국과 제대로 통신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m input signal and / or by automatically switching the modem input signal and / or the modem output signal by detecting the level of the downlink signal which is always input through the donor antenna and output through the service antenna. Or, the modem output signal is weak and prevents the modem from functioning properly or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properly.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8)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감시하기 위한 모뎀을 구비하는 이동통신용 무선 중계기에 있어서, In the wireless repeater for mobile communication having a modem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상기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안테나;A first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radio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안테나; A second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with the terminal;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제1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하향 신호처리부;A downlink signal processor for amplifying a fir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tenna;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제2 신호를 증폭 처리하는 상향 신호처리부;An uplink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amplify a second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antenna; 제1 하향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감지부;A detector detecting a level of the first downlink signal; 상기 감지부에 의해 검출된 레벨에 기초하여, 제1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selection signal based on the level detected by the detector; And 상기 제1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하향 신호처리부의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모뎀의 입력 신호로서 제공하는 제1 스위치를 구비하며,A first switch configured to provide one of an input signal and an output signal of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as an input signal of the modem in response to the first selection signal, 상기 제1 하향 신호는 상기 무선 중계기의 하향 경로상의 일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The first downlink signal is a wireless repeater, characterized in that one signal on the downlink path of the wireless repeat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중계기는The wireless repeater of claim 1, wherein the wireless repeater 상기 제1 신호를 상기 상향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제1 스위치로 분배하는 제1 커플러; 및A first coupler for distributing the first signal to the uplink signal processor and the first switch; And 상기 하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를 커플링하여 상기 제1 스위치로 제공하는 제2 커플러를 더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And a second coupler coupling the output signal of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to the first switch. 제1 항에 있어서,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하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채널 파워를 측정하며,The detector converts the first downlink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measures channel power of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측정된 채널 파워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하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가 상기 모뎀 입력 신호가 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first switch so that the output signal of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becomes the modem input signal when the channel power measured by the detector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제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감지부는, 상기 검출된 레벨에 기초하여 제2 선택 신호를 더 발생하며,The sensing unit further generates a second selection signal based on the detected level, 상기 무선 중계기는The wireless repeater 상기 제2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뎀의 출력 신호가 상기 상향 신호처리부로 입력되도록 스위칭하거나 상기 상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와 합쳐지도록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And a second switch configured to switch the output signal of the modem to be input to the upstream signal processor or to merge with the output signal of the upstream signal processor in response to the second selection signal.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하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가 상기 모뎀 입력 신호가 되도록 상기 제1 스위치를 제어할 때, 상기 모뎀의 출력 신호는 상기 상향 신호처리부로 입력되도록 상기 제2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And controlling the second switch such that the output signal of the modem is input to the uplink signal processor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is the modem input sig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 신호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downlink signal is 상기 하향 신호처리부를 구성하는 일 구성요소의 입력 신호 또는 출력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And an input signal or an output signal of one component constituting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기지국과의 통신을 통해 무선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감시하기 위한 모뎀을 구비하는 이동통신용 무선 중계기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In the operating method of a wireless repeater for mobile communication having a modem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repeater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상기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안테나를 통하여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first signal through a first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with the base station; 상기 제1 신호를 하향 신호처리부에 의하여 증폭 처리하여 출력하는 단계;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first signal by a downlink signal processor; 제1 하향 신호의 레벨을 검출하는 단계;Detecting a level of the first downlink signal; 검출된 레벨에 기초하여, 제1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Based on the detected level, generating a first selection signal; 상기 제1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하향 신호처리부의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모뎀의 입력 신호로서 제공하는 단계; 및Providing one of an input signal and an output signal of the downlink signal processor as an input signal of the modem in response to the first selection signal; And 상기 모뎀이 상기 모뎀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해석하는 단계를 구비하며,The modem receiving the modem input signal and interpreting the received signal, 상기 제1 하향 신호는 상기 무선 중계기의 하향 경로상의 일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중계기의 운영 방법.And the first downlink signal is a signal on a downlink path of the wireless repeater.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중계기의 운영 방법은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wireless repeater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 안테나를 통하여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a second signal through a second antenna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signal with a terminal; 상기 제2 신호를 상향 신호처리부에 의하여 증폭 처리하여 출력하는 단계;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second signal by an uplink signal processor; 상기 검출된 레벨에 기초하여, 제2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Generating a second selection signal based on the detected level; 상기 제2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모뎀의 출력 신호를 상기 상향 신호처리부로 입력시키거나 상기 상향 신호 처리부의 출력 신호와 합쳐지도록 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무선 중계기의 운영 방법.And in response to the second selection signal, inputting an output signal of the modem to the uplink signal processor or combining the uplink signal with an output signal of the uplink signal processor.
KR1020070106777A 2007-10-23 2007-10-23 RF Repeater including communication mod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RF Repeater KR1009152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777A KR100915205B1 (en) 2007-10-23 2007-10-23 RF Repeater including communication mod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RF Rep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777A KR100915205B1 (en) 2007-10-23 2007-10-23 RF Repeater including communication mod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RF Repe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193A KR20090041193A (en) 2009-04-28
KR100915205B1 true KR100915205B1 (en) 2009-09-02

Family

ID=4076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777A KR100915205B1 (en) 2007-10-23 2007-10-23 RF Repeater including communication mod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RF Rep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2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955B1 (en) * 2009-12-18 2016-06-14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for monitoring relay and method thereof
KR102290529B1 (en) 2014-10-29 2021-08-18 (주)스카이문스테크놀로지 Modem sha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F repeater monitoring
KR101675231B1 (en) * 2015-08-10 2016-11-10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Relay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992A (en) * 1999-08-17 2001-03-05 조정남 System for rf monitoring a repeater
KR200406676Y1 (en) * 2005-10-17 2006-01-24 이태현 Apparatus for relay control and monitoring
KR20070041876A (en) * 2005-10-17 2007-04-20 이태현 Apparatus for relay control and monitoring
KR20080101019A (en) * 2007-05-15 2008-1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epeater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992A (en) * 1999-08-17 2001-03-05 조정남 System for rf monitoring a repeater
KR200406676Y1 (en) * 2005-10-17 2006-01-24 이태현 Apparatus for relay control and monitoring
KR20070041876A (en) * 2005-10-17 2007-04-20 이태현 Apparatus for relay control and monitoring
KR20080101019A (en) * 2007-05-15 2008-1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Repeater remot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193A (en) 200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7269B1 (en) Distributed antenna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of implementing thereof
EP2037599B1 (en) Booster, monitoring, apparatus, booster system, control method and monitoring method
US6374119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building mobile communications
US72096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eating signal by using wireless optical transmission
KR100915205B1 (en) RF Repeater including communication mod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RF Repeater
US20220030447A1 (en) Intelligent distributed antenna system monitoring
US11637622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setting gain of RF repeater using synchronization signal
KR20000045268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state of radio repeater
KR101629955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relay and method thereof
KR201000778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raph of feedback graph in rf repeater system
KR20040051408A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ering Radio Frequency Signal of Repeater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100002997A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wireless communication repeater
US20230292253A1 (en) Gain autotune
KR100282056B1 (en) Operation Control Method of Power Amplifier and Its Apparatus
KR100416338B1 (en) Device for monitoring a repeater by measurement of field strength
KR20010017992A (en) System for rf monitoring a repeater
KR20060010052A (en) Digital type broadcast repeating apparatus in underground
KR100701760B1 (en) In-Building RF Distributing Repeater and Operation and Maintenance Method of the same
KR100484071B1 (en) Control Unit of Optical Repeater in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KR100529762B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cal coupler output of wireless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KR20220093997A (en) Interference signal diagnosis device
KR10131368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KR100990909B1 (en) RF Transceiver for Femto Cell Station and the Femto Cell Station
KR101304435B1 (en) Repeater remote monitoring system
KR100683860B1 (en) Gain measurement method of mobile telecommunication relay and system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