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481B1 - Prenatal care belt - Google Patents

Prenatal care bel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481B1
KR100914481B1 KR1020070079990A KR20070079990A KR100914481B1 KR 100914481 B1 KR100914481 B1 KR 100914481B1 KR 1020070079990 A KR1020070079990 A KR 1020070079990A KR 20070079990 A KR20070079990 A KR 20070079990A KR 100914481 B1 KR100914481 B1 KR 100914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regnant woman
prenatal
sound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9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15570A (en
Inventor
이재형
Original Assignee
이재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형 filed Critical 이재형
Priority to KR1020070079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481B1/en
Publication of KR20090015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5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4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산부용 태교 벨트에 관한 것으로, 소정 폭을 가지며 임산부의 하복부에 길이방향으로 감겨져 하복부를 올려줌으로써 하복부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는 제 1 밴드; 상기 제 1 밴드의 양 끝단을 서로 연결시키며, 임산부가 착용시 하복부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허리 측면에 형성된 제 1 착용구; 소정 폭을 가지며 상기 제 1 밴드의 양측 허리 부위에 양 끝단이 부착 가능하며, 임산부의 상복부에 길이방향으로 감겨져 상복부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복부 흔들림을 막는 제 2 밴드; 상기 제 2 밴드의 일측 끝단을 제 1 밴드의 일측 허리 부위에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구; 및 상기 제 2 밴드의 타측 끝단을 제 1 밴드의 타측 허리 부위에 결합시키며, 임산부가 착용시 상복부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2 착용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natal belt for a pregnant woman, comprising: a first b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wound longitudinally on a lower abdomen of a pregnant part to support a load by the lower abdomen by raising the lower abdomen; Connecting first ends of the first band to each other, and a first wearing hole formed on a side of the waist to adjust a degree of tightening of the lower abdomen when a pregnant woman is worn; A second b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both ends of which are attached to both waist portions of the first band, the second band being wound longitudinally on the upper abdomen of the pregnant woman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upper abdomen to prevent abdominal shaking; A connector for coupling one end of the second band to one waist portion of the first band; And a second wearing hole configured to coupl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and to the other waist portion of the first band and to adjust the degree of tightening the upper abdomen when a pregnant woman is wor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태교 Preaching

Description

임산부용 태교 벨트{PRENATAL CARE BELT}Prenatal Belts for Pregnant Women {PRENATAL CARE BELT}

본 발명은 임산부용 태교 벨트에 관한 것으로, 임산부와 태아에게 원활한 태교 환경을 제공하며 임신후기 산모의 허리와 복부를 물리적으로 보호하여 산후 후유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임산부용 태교 벨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natal belt for pregnant women, which provides a smooth prenatal environment for a pregnant woman and a fetus, and to a prenatal pregnancy belt for physically protecting the back and abdomen of a late pregnant woman to reduce postpartum sequelae.

일반적으로 태교는 임신 준비 과정부터 출산 때까지 매우 중요하고 여러 유형이 있으며 산모의 안정된 자세와 정서적 환경 조성을 통하여 음악듣기, 노래하기, 책읽기, 대화하기, 자궁내 소리를 듣거나 말하기 등의 다양한 형태로 행해지고 있다. In general, prenatal care is very important and there are many types from pregnancy preparation to childbirth, and the mother's stable posture and emotional environment create a variety of forms such as listening to music, singing, reading, talking, listening to or speaking in the womb. It is done.

하지만, 현대의 산모들은 임신 중 대부분의 기간을 직업이나 취미활동, 가사노등 등 사회적 활동에 의해서 태교에 필요한 적절한 환경조성이 매우 열악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However, modern mothers have a very poor problem of proper environmental composition necessary for preaching through social activities such as occupation, hobby, housework, etc. during most of pregnancy.

따라서, 출생 이후 심성이나 기질 형성에 중요한 바탕이 되는 태교의 중요성에 비추어 적합하지 못한 제한적 환경에 놓여 있는 산모들에게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편리한 태교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해 줌으로써 태아가 신체적으로 건강하고 감성이 풍부하여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지적인 능력이 발달되도록 지원해 줄 뿐 아 니라 임신후기 산모의 복부와 허리에 가해지는 하중의 안정된 분산을 통해 산후 후유증을 최소화 시켜줄 필요가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fetus is physically healthy and sensitive by artificially creating a scientific, systematic, and convenient prenatal environment for mothers who are in a restricted environment that is not suitable in view of the importance of prenatalism, which is an important basis for the formation of mind and temperament after birth. In addition to supporting emotionally stable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minimize postpartum sequelae through stable distribution of the load on the abdomen and waist of the late pregnancy.

기존의 태교방식은 임산부 각자의 선택에 따라 전통적 방법에 의한 명상과 육체적 안정, 가벼운 스트레칭, 음악/예술 관련 태교 등을 하거나 태아의 움직임 소리를 증폭시켜 듣고 마이크를 이용해 대화하는 방식 등 극히 제한적이며 부분적으로 행해지고 있으나, 실제 복잡한 생활양식의 현대 여성들은 이러한 방법조차 실행하기에 여러가지 환경적 제약이 많으며 다양한 사회활동과 개인활동 등에 의해 바람직한 태교환경을 갖추기 어려운 현실에 놓여있다.Existing prenatal methods are extremely limited and partial, such as meditation, physical stability, light stretching, music / art related preaching, or amplification of fetal movement sounds and conversation using microphones, depending on the choice of the pregnant woman. In reality, modern women with complex lifestyles have many environmental constraints to implement even these methods and are in a difficult situation to have a desirable prenatal environment by various social and personal activities.

또한, 임산부의 사회활동이나 직업적 환경 등에 의해 태아에게 안정된 태반환경을 배려할 수 없으며, 산모에게도 허리와 복부 등에 지속적인 무리를 주게 되어 산후 후유증을 일으키는 주요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due to the social activities and occupational environment of pregnant women, the stable placenta environment can not be considered for the fetus, and the mother has a problem that causes a postpartum sequelae after giving a continuous herd to the back and abdome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정 폭을 가지며 임산부의 하복부에 길이방향으로 감겨져 하복부를 올려줌으로써 하복부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는 제 1 밴드; 상기 제 1 밴드의 양 끝단을 서로 연결시키며, 임산부가 착용시 하복부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허리 측면에 형성된 제 1 착용구; 소정 폭을 가지며 상기 제 1 밴드의 양측 허리 부위에 양 끝단이 부착 가능하며, 임산부의 상복부에 길이방향으로 감겨져 상복부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복부 흔들림을 막는 제 2 밴드; 상기 제 2 밴드의 일측 끝단을 제 1 밴드의 일측 허리 부위에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구; 및 상기 제 2 밴드의 타측 끝단을 제 1 밴드의 타 측 허리 부위에 결합시키며, 임산부가 착용시 상복부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2 착용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irst b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wou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abdomen of the pregnant woman to raise the lower abdomen to support the load by the lower abdomen; Connecting first ends of the first band to each other, and a first wearing hole formed on a side of the waist to adjust a degree of tightening of the lower abdomen when a pregnant woman is worn; A second b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both ends of which are attached to both waist portions of the first band, the second band being wound longitudinally on the upper abdomen of the pregnant woman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upper abdomen to prevent abdominal shaking; A connector for coupling one end of the second band to one waist portion of the first band; And a second wearing hole configured to coupl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and to the other waist portion of the first band and to adjust the degree of tightening the upper abdomen when a pregnant woman is wor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착용구는 벨크로 테입으로 구성되어 제 1 밴드의 양 끝단을 서로 결합시키며, 상기 제 2 착용구도 벨크로 테입으로 구성되어 제 2 밴드의 타측 끝단을 제 1 밴드의 제 3 착용구와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first wearer is composed of Velcro tape to couple both ends of the first ban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wearer is also composed of Velcro tap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and is connected to the third wearer of the first band. It is characterized by combining.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밴드 및 제 2 밴드는 탄성을 가지며 통풍이 용이한 스판덱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is made of a spandex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easy ventilation.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밴드 및 제 2 밴드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바이오 세라믹 코팅 구조로 이루어져 태반으로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is made of a bio-ceramic coating structure in which far infrared rays are radiated, characterized in that far infrared rays are radiated to the placenta.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밴드에서 등뒤 부위에는 곡면 구조물로 이루어진 척추 보호대가 더 구비되어 밴드 착용시 임산부의 척추를 지지하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back portion of the first ba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spine protector made of a curved structure to support the spine of the pregnant woman when wearing the ban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척추 보호대는 임산부와 접촉되는 안쪽면에 수직으로 골이 파여 착용하는 임산부의 척추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spine prot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seated in the spine of the pregnant woman to be worn with bones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egnant woman.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척추 보호대는 내부에 제 1 밴드가 관통되는 관통구를 가져 해당 제 1 밴드를 따라 좌우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어 위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spinal brace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band penetrates so as to be slid left and right along the first band so that the position can be adjusted.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밴드에는 외부로부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무 선 수신된 알파파 음향을 태아측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first b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peaker unit for outputting the radio wave receiv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irelessly to the fetus sid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밴드에는 복부 위치에 마련된 마이크로폰에서 수집된 태아의 음향을 산모가 인식할 수 있는 크기로 변환시키는 음향 증폭부가 구비되어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외부로 무선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first band is provided with an acoustic amplification unit for converting the sound of the fetus collected in the microphone provided in the abdominal position to a siz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mother to wirelessly transmit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do.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밴드에는 복부 위치에 마련된 마이크로폰에서 수집된 태반 음향의 변화를 감지하는 상황 감지부; 가 더 구비되며, 상기 상황 감지부는 마이크로폰에서 수집된 태아의 음향 레벨을 감지해 기준 음향 레벨 보다 크거나 평균 음향 레벨 보다 큰 경우 해당 상황을 태아의 움직임이 포착되는 상황으로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외부로 무선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first band includes a situ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change in placental sound collected by a microphone provided at an abdominal position; Is further provided, the situation detection unit detects the sound level of the fetus collected from the microphon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sound level or greater than the average sound level detects the situation as a situation that the fetal movement is captured and wirelessly detects the detection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transmission to the outside through the modul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밴드에는 해당 밴드를 착용한 산모의 복부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감지 센서; 가 더 구비되며, 측정된 산모의 복부 체온은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외부로 무선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first band includes a body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abdominal body temperature of the mother wearing the band; Is further provided, the measured abdominal body temperature of the moth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less transmission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에 나타난 임산부용 태교 시스템은 임산부의 사회활동이나 직업적 환경 등에 관계없이 태아에게 언제 어디서나 정서적 안정과 적절한 태교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보조역할을 하여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감정이 풍부하여 지적능력이 발달된 아기의 출산을 도우며 임신후기 산모의 허리와 복부를 물리적으로 보호하여 산후 후유증을 경감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The prenatal system for pregnant women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emotionally stable and emotionally rich in intellectual ability by serving as an auxiliary role that enables the stable prenatal education at any time and any place regardless of the social activities or occupational environment of the pregnant woman. It helps babies give birth and physically protects the waist and abdomen of the late pregnancy to reduce postpartum sequelae.

또한, 산모의 복부 태반에서 태아가 움직임을 보이게 되면 알람음과 이모티콘 이미지 등을 통해 즉각적으로 산모나 주위 사람이 해당 태아 움직임 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산모나 근거리 주위 가족은 소중한 태아의 움직임을 언제 어디서든 포착할 수 있고 이러한 소중한 움직임을 놓치지 않고 생생하게 보고 들을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fetus moves in the abdomen's abdominal placenta, alarm sounds and emoticon images enable the mother or surrounding person to recognize the fetal movement immediately. You can capture them anywhere and see and hear these precious moves vivid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임산부용 태교 시스템을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gnant woman prenatal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태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natal care system for pregnant wom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임산부용 태교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산모용 헤드셋(100)과, 임산부의 복부에 착용되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태교 벨트(200)와, 상기 산모용 헤드셋(100) 및 태교 벨트(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태교 프로그램을 진행 관리하는 태교 제어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pregnant woman prenatal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maternal headset 100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 prenatal belt 200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orn on the abdomen of the pregnant woman, and the mother The headset 100 and the prenatal belt 200 may include a prenatal control device 300 capable of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o manage the overall prenatal program.

즉, 상기 산모용 헤드셋(100)은 태교와 관련된 각종 음향을 임산부에게 제공하는 음향출력장치로서,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13)이 구비되어 상기 태교 제어장치(300) 또는 태교 벨트(200)를 통해 제공되는 각종 음향을 임산부의 귀에 출력시키며, 산모의 음성을 수집하게 된다. That is, the mother headset 100 is a sound output device that provides various sounds related to the prenatal care to the pregnant woman, and is provided with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3 through the prenatal control device 300 or the prenatal belt 200. Various sounds are output to the pregnant woman's ear and mother's voice is collected.

이때,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13)은 단거리 구간에서 낮은 전력으로 넓 은 스펙트럼 주파수를 통해 많은 양의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기술인 UWB 무선통신 모듈이나, CSS(Chirp-Spread-Spectrum) 방식을 이용한 차세대 고속 근거리무선통신 모듈인 WPAN 무선통신 모듈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닌 바,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적용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3 uses a UWB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CSS (Chirp-Spread-Spectrum) method, which is a wireless technology for transmitting a large amount of digital data through a wide spectrum frequency at low power in a short range. The WPA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hich is a next-generation high-spe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be u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are applicable.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산모용 헤드셋(100)은 내부 근거리 무선통신모듈(113)을 통해 상기 태교 제어장치(300) 또는 태교 벨트(2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음향 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111)를 통해 청각적으로 임산부에게 제공하는 한편, 산모가 녹음하는 소리 즉 산모 음성을 마이크(112)를 통해 수집하여 상기 태교 제어장치(300) 또는 태교 벨트(200)로 제공하게 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mother headset 100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10 is wireless from the prenatal control device 300 or the prenatal belt 200 through an internal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13. Receives a sound signal transmitted to the pregnant woman through the speaker 111 to the auditory, while collecting the sound recorded by the mother through the microphone 112, the prenatal control device 300 or the prenatal belt ( 200).

상기 태교 벨트(200)는 임산부의 복부에 착용되는 임산부 보호용의 벨트로서, 도 3 및 도 4에 그 상세한 외형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The prenatal belt 200 is a belt for protecting a pregnant woman worn on the abdomen of a pregnant woman, and its detailed outline structure is shown in FIGS. 3 and 4.

도 3a는 외부에서 바라본 태교 벨트(200)이고, 도 3b는 내부에서 바라본 태교 벨트(200)이며, 도 3c는 태교 벨트(20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태교 벨트(200)의 사시도이다. FIG. 3A is a pretending belt 200 viewed from the outside, FIG. 3B is a pretending belt 200 viewed from the inside, FIG. 3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tending belt 200,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tending belt 200.

먼저, 제 1 밴드(220)는 임산부의 하복부에 감겨지는 기다란 밴드로서 끝단으로 제 1 착용구(224)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착용구(224)는 벨크로 테입으로 구성될 수 있어서 임산부가 자신의 현재 임신 주기나 태아의 발육 상태에 따라 적절히 제 1 밴드(220)의 하복부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First, the first band 220 is an elongated band wound around the lower abdomen of the pregnant woman, and the first wearing hole 224 is formed at the end. The first wearing port 224 may be composed of a Velcro tape to enable a pregnant woman to properly adjust the lower abdominal tightening degree of the first band 220 according to his or her current pregnancy cycle or fetal development.

한편, 이러한 제 1 밴드(220)에는 제 2 밴드(230)가 연결구(222)에 의해 연 결된다. 상기 제 2 밴드(230)는 임산부의 상복부에 감겨지는 기다란 밴드이다. Meanwhile, the second band 230 is connected to the first band 220 by the connector 222. The second band 230 is an elongated band wound around the upper abdomen of the pregnant woman.

따라서, 상기 제 1 밴드(220)가 임산부의 하복부를 올려주기 때문에 임산부는 상기 제 1 밴드(220)에 의해 하복부의 하중을 줄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제 1 밴드(220)는 제 1 착용구(224)에 의해 산모의 변화하는 체형에 맞게 그 조임 정도가 조절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since the first band 220 raises the lower abdomen of the pregnant woman, the pregnant part may reduce the load of the lower abdomen by the first band 220, and the first band 220 may be the first wearing hole 224. ), The tightening degre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nging body shape of the mother.

또한, 상기 제 2 밴드(230)는 임산부의 상복부를 고정시켜 임산부의 움직임에 따라 태아가 있는 복부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second band 230 serves to fix the upper abdomen of the pregnant woman so as not to shake the abdomen with the fetu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regnant woman.

이때, 이러한 제 2 밴드(230) 역시 끝단에 제 2 착용구(231)가 구비되며, 이러한 제 2 착용구(231) 역시 벨크로 테입으로 구성될 수 있어서 상기 제 1 밴드(220)에 마련된 제 3 착용구(229)에 결합되게 되며, 따라서 임산부가 자신의 현재 임신 주기나 태아의 발육 상태 그리고 자신의 체형 형태나 움직임 정도에 따라 적절히 제 2 밴드(230)의 상복부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second band 230 is also provided with a second wearing hole 231 at the end, and the second wearing hole 231 may also be composed of Velcro tapes, so that the third band is provided in the first band 220. It is coupled to the wearing port 229, so that the pregnant woman can adjust the degree of tightening the upper abdomen of the second band 230 according to their current pregnancy cycle or fetal development state and their body shape or degree of movement.

여기에서, 상기 제 1 밴드(220) 및 제 2 밴드(230)는 탄성을 가지며 통풍이 잘 이루어지는 스판덱스(spandex)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irst band 220 and the second band 230 is preferably made of a spandex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good ventilation.

그리고, 상기 제 1 밴드(220)에는 착용시 임산부의 등 뒤에 위치되는 척추 보호대(221)가 구비된다. 이 척추 보호대(221)는 곡면 구조물로 이루어져 임산부의 등 뒤 척추를 받쳐 급격히 체중이 증가하는 임산부의 허리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first band 220 is provided with a spine guard 221 positioned behind the back of the pregnant woman when worn. The spine guard 221 is made of a curved structure to support the back of the pregnant woman's back spine can protect the waist of the pregnant woman rapidly increasing weight.

즉, 이러한 척추 보호대(221)는 안쪽면에 수직으로 골이 파이게 형성되어 등을 감싸는 곡면체로써 착용하는 임산부의 척추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도 3c 참조)를 가지며 가볍고 단단하며 탄력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밴드(220)와 함께 해당 임산부의 척추가 곧게 설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That is, the spine protector 221 has a structure (see Fig. 3c) that can be seated in the spine of the pregnant woman wearing as a curved surface to surround the back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see Fig. 3c) and is made of light, hard and elastic material It is made to support the spine of the pregnant woman with the first band 220 to stand upright.

이때, 해당 척추 보호대(221)는 내부에 제 1 밴드(220)가 관통되는 관통구를 가져 해당 제 1 밴드(220)를 따라 좌우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인 임산부가 자유롭게 해당 척추 보호대(22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spine guard 221 has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first band 220 penetrates so as to be able to slide left and right along the first band 220, so that a pregnant woman who is a user freely has the spine guard 221. The position of can be adjusted.

도 3a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해당 제 1 밴드(220)의 바깥쪽 등 부위에는 배터리 포켓(223), 음향 증폭부(213), 무선통신 모듈(217)이 위치된다. As shown in FIG. 3A, the battery pocket 223, the sound amplifier 213,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7 are located at the outer back portion of the first band 220.

그리고 도 3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해당 제 1 밴드(220)의 안쪽 복부 부위에는 스피커 유닛(225), 마이크로폰(226) 및 체온감지 센서(227)가 원적외선 코팅부(228)에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3B, a speaker unit 225, a microphone 226, and a temperature sensor 227 are configured in the far infrared coating 228 at the inner abdomen of the first band 220.

즉, 상기 스피커 유닛(225), 마이크로 폰(226) 및 체온감지 센서(227)는 안쪽에서 임산부의 하복부 앞에 위치되어 태교 교육용 음향을 태아에 전달하고, 태아의 소리를 채취하며, 임산부의 체온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의 임산부 복부 위치에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유닛들이 위치되는 원적외선 코팅부(228)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바이오 세라믹(Bio-Ceramic) 코팅 구조로 이루어져 태반으로 인체 건강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방사될 수 있게 한다. That is, the speaker unit 225, the microphone 226 and the temperature sensor 227 is located in front of the lower abdomen of the pregnant woman from the inside to deliver the prenatal teaching sound to the fetus, to collect the sound of the fetus, the body temperature of the pregnant woman As it serves to sense, as shown in the figure is to be configured in the abdominal position of the pregnant woman inside. In addition, the far-infrared coating unit 228 in which these units are located is made of a bio-ceramic coating structure in which far-infrared rays are radiated, thereby allowing far-infrared rays beneficial to human health to be emitted to the placenta.

이제 해당 태교 벨트(200)의 내부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Now,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esbytery belt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상기 태교 벨트(200)의 내부 구성은 벨트 제어부(210), 무선통신모듈(217), 스피커 유닛(225), 음향 증폭부(213), 마이크로폰(226), 체온감지 센서(227) 및 전 원부(2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enatal belt 200 is a belt control unit 21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7, speaker unit 225, sound amplifier 213, microphone 226, body temperature sensor 227 and the power source And 216.

상기 무선통신모듈(217)은 상기 벨트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산모용 헤드셋(100) 및 태교 제어장치(300)의 음향 신호를 수신하거나, 벨트 내에서 생성된 음향을 산모용 헤드셋(100) 및 태교 제어장치(300)로 전송하며, 측정된 복부 온도 데이터를 태교 제어장치(300)로 전송하게 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7 receives sound signals from the mother headset 100 and the prenatal control device 300 under the control of the belt controller 210, or receives the sound generated in the belt from the mother headset 100. ) And the prenatal control device 300, and transmits the measured abdominal temperature data to the prenatal control device 300.

여기에서, 상기 스피커 유닛(225)은 산모가 벨트 착용시 부담을 느끼지 않고 산모의 복부에 전체적으로 음향이 전달될 수 있는 박막이중 스피커(Thin Dual Speaker)인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peaker unit 225 is preferably a thin dual speaker (Thin Dual Speaker) that can transmit the sound to the entire mother's abdomen without feeling the burden when the mother wearing the belt.

또한, 상기 음향 증폭부(213)는 벨트 내부의 복부 위치에 마련된 마이크로폰(226)에서 수집된 태아의 음향을 산모가 인식할 수 있는 충분한 가청 크기로 변환시킨다. In addition, the acoustic amplification unit 213 converts the sound of the fetus collected from the microphone 226 provided at the abdominal position inside the belt to a sufficient audible size that the mother can recognize.

즉, 태반의 미세음(태아의 심장박동, 태아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고감도의 마이크로폰(226)에서 수집된 소리는 상기 음향 증폭부(213)에 의해 증폭되어 산모의 적정 가청 주파수로 변환되게 된다. That is, the sound collected from the highly sensitive microphone 226 for detecting placental microscopic sounds (fetal heartbeat, fetal movement) is amplified by the acoustic amplification unit 213 to be converted into an appropriate audible frequency of the mother. .

따라서, 이러한 태아의 음향은 상기 무선통신모듈(217)에 의해 상기 태교 제어장치(300) 또는 산모용 헤드셋(100)로 전송됨으로써, 산모는 태아가 동적으로 움직일 때 발생하는 음향을 증폭된 상태에서 언제 어디서나 직접 청취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fetal sound is transmitted to the prenatal control device 300 or the mother headset 100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7, so that the mother amplifies the sound generated when the fetus dynamically moves. Listen directly to anytime, anywhere.

한편, 해당 마이크로폰(226)에는 마이크로폰(226)에서 수집하는 태반 음향의 변화를 감지하는 상황 감지부(214)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icrophone 226 is provided with a situation detecting unit 214 for detecting a change in placental sound collected by the microphone 226.

상기 상황 감지부(214)는 마이크로폰(226)에서 수집된 태아의 음향 레벨을 감지해, 기준 음향 레벨 보다 크거나 평균 음향 레벨 보다 큰 경우 해당 상황을 태아의 움직임이 포착되는 상황으로 인지하게 된다.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214 detects the sound level of the fetus collected from the microphone 226, and recognizes the situation as a situation in which fetal movement is captured when it is larger than the reference sound level or larger than the average sound level.

즉, 산모의 복부에서 태아가 움직임을 보이게 되면 해당 상황 감지부(214)는 이때 발생하는 음향 변화를 포착하여 감지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며, 이러한 감지신호는 무선통신모듈(217)을 통해 상기 태교 제어장치(300)로 전송되어 알람음과 이모티콘 표시 등을 통해 즉각적으로 산모나 근거리 주위 사람이 해당 태아 움직임 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산모나 주위 가족은 소중한 태아의 움직임을 언제 어디서든 포착할 수 있고 이러한 소중한 움직임을 놓치지 않고 생생하게 들을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fetus moves in the mother's abdomen, the situation detecting unit 214 captures an acoustic change generated at this time and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and the detection signal is controll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7. The device 300 is transmitted to the device 300 to promptly recognize the fetal movement state of the mother or the near person through an alarm sound and an emoticon display. Thus, mothers and their families can capture the movement of precious fetuses anytime, anywhere, and lively without missing these precious movements.

또한, 상기 체온감지 센서(227)는 해당 벨트를 착용한 산모의 복부 체온을 측정한다. 이렇게 측정된 산모의 복부 체온 정보는 무선통신모듈(217)을 통해 상기 태교 제어장치(300)로 무선 전달되며, 해당 태교 제어장치(300)는 실시간으로 파악되는 산모의 복부 체온을 정상치와 비교하여 이상 체온 감지시 경고 표시와 경고음을 출력함으로써 산모의 이상 체온을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body temperature sensor 227 measures the abdominal body temperature of the mother wearing the belt. The measured abdominal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mother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prenatal control device 3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17, and the prenatal control device 300 compares the abdominal body temperature of the mother which is grasped in real time with a normal value. When an abnormal body temperature is detected, a warning sign and a warning sound are output so that the mother's body temperature can be notified in real time.

또한, 상기 전원부(216)는 해당 태교 벨트(200)의 내부 구성을 위한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바, 바람직하게는 해당 태교 벨트(200)에 위치된 배터리 포켓(223)에 수용되는 충전식의 리튬 폴리머 전지(Lithium Polymer Battery)인 것이 좋다.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216 provides an operating power source for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enatal belt 200, preferably a rechargeable lithium polymer accommodated in the battery pocket 223 located in the prenatal belt 200. Lithium Polymer Battery is preferable.

다음으로, 상기 태교 제어장치(300)의 내부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Next,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bridge control device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태교 제어장치(300)의 내부 구성은 주제어부(310), 데이터 저장부(320), 영상 출력부(330), 디스플레이(340), 스피커(350), 무선통신모듈(360), 외부 인터페이스(370), 키패드(380) 및 바이노럴비트 모듈(3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device 300 is main controller 310, data storage 320, image output unit 330, display 340, speaker 350,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60, external interface 370, a keypad 380, and a binaural bit module 390.

상기 무선통신모듈(360)은 상기 주제어부(3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태교 벨트(200)로부터 생성된 음향이나 측정된 복부 온도 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태교 벨트(200)로 기저장된 태교용 음향을 전송하며, 상기 산모용 헤드셋(100)으로 태교 벨트로부터의 음향이나 자체 음향을 전송하고 해당 산모용 헤드셋(100)으로부터 산모의 음성을 수신하게 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360 receives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prenatal belt 200 or the measured abdominal temperature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310, and receives the prenatal sound previously stored in the prenatal belt 200. It transmits, and transmits the sound from the prenatal belt or its own sound to the mother headset 100, and receives the mother's voice from the mother headset 100.

이러한 해당 태교 제어장치(300)에는 데이터 저장을 위한 데이터 저장부(320)가 마련되며, 해당 데이터 저장부(320)는 주기교육 DB, 자연음향 DB, 인공음향 DB, 산모음향 DB, 성장기록 DB, 산모기록 DB, 모자대화 DB, 지식정보 DB 를 포함한다. The prenatal control device 300 is provided with a data storage unit 320 for data storage, the data storage unit 320 is a periodic training DB, natural acoustic DB, artificial acoustic DB, maternal acoustic DB, growth record DB , Maternal records DB, mother-child conversation DB, knowledge information DB.

상기 주기교육 DB 는 태아의 성장시기별 언어 및 음향 교육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The periodic education DB is stored language and sound education program for each fetal growth period.

상기 자연음향 DB 는 태아 및 산모에게 제공하기 위한 맑은 새소리, 물소리, 실바람 소리, 낮은 파도 소리, 풀벌레 소리, 고운 동물 소리 등과 같은 자연계 음향이 저장된다. The natural acoustic DB stores natural sounds such as clear bird sounds, water sounds, wind noise, low wave sounds, grass bug sounds, fine animal sounds, etc. for providing to the fetus and mother.

상기 인공음향 DB 는 태아 및 산모에게 제공하기 위한 음의 높낮이 변화가 작은 클래식 음악, 가곡, 민속음악, 자국어, 외국어 등과 같은 인공계 음향이 저장 된다. The artificial acoustic DB stores artificial sounds such as classical music, songs, folk music, native languages, foreign languages, etc., with a small change in pitch for providing to the fetus and mother.

상기 산모음향 DB 는 태아에게 제공하기 위한 표준 산모의 안정된 심장 박동 소리, 산모의 음성과 같은 산모 음향이 저장된다. The maternal sound DB stores a maternal sound such as a stable maternal heartbeat sound and a maternal voice for providing to the fetus.

상기 지식정보 DB 는 산모에게 필요한 출산, 육아에 관한 각종 상식과 소아질병에 관한 상세한 비쥬얼 화면의 전문지식 등이 저장된다. The knowledge information DB stores various common senses related to childbirth and childcare and expertise of detailed visual screens related to pediatric diseases.

여기에서, 상기 자연음향 DB, 인공음향 DB 및 산모음향 DB 에 저장되는 각종 음향은 산모의 직접적인 음향 선택에 의해 상기 태교 벨트(200)로 전송되어 태아에게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주기교육 DB 에 저장된 태아의 성장시기별 교육 프로그램에 따라 프로그램에 의해 추천된 음향이 상기 태교 벨트(200)에 전송되어 태아에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음향이 태교 벨트(200)에 전송되어 태아에게 출력되는 경우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음향은 바이노럴비트 모듈부(390)에 의해 낮은 주파수의 알파파 생성 음향으로 변환되어 스피커 유닛(225)을 통해 출력되게 된다. Here, the various sounds stored in the natural acoustic DB, artificial acoustic DB and maternal acoustic DB are transmitted to the prenatal belt 200 by the mother's direct sound selection and provided to the fetus, or stored in the periodic education DB. The sound recommended by the program may be transmitted to the prenatal belt 200 and provided to the fetus according to the education program for each growth period. When the sound is transmitted to the prenatal belt 200 and output to the fetus, the sound is converted into a low frequency alpha wave generating sound by the binaural beat module unit 390 and the speaker unit 225 as described above. Will be output via

한편, 상기 성장기록 DB 는 태아 소리 등을 날짜별 시각별 임신진행 주기별로 저장하고 태아 출산시까지의 각종 기록 데이터와 표준적인 태아의 임신시기별 태아 성장 상태에 관한 비쥬얼 정보가 저장된다. On the other hand, the growth record DB stores the fetal sound, etc. by date and time of pregnancy progression cycle, and various record data until the birth of the fetus and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fetal growth status of the standard fetal pregnancy time.

상기 산모기록 DB 는 태교 벨트(200)에서 측정된 산모의 복부 체온 데이터, 이상 체온 기록, 출산 예정일, D-Day, 임신주기 등과 같은 정보가 저장된다. The maternal record DB stores information such as maternal abdominal body temperature data, abnormal body temperature record, date of birth, D-Day, pregnancy cycle, and the like measured by the prenatal belt 200.

상기 모자대화 DB 에는 임산부가 태아에게 전하는 말과 이에 반응하는 태아 소리를 녹음한 산모와 태아의 대화 내용이 시간별로 기록된다. The mother-child conversation DB records the contents of the conversation between the mother and the fetus recorded by the pregnant woman to the fetus and the fetal sound in response thereto.

상기 영상 출력부(330)는 외부로부터 전송되거나 상기 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된 각종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340)에 표시시켜 산모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The image output unit 330 may display various image data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r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320 on the display 340 to support the mother visually.

상기 스피커(350)는 외부로부터 전송되거나 상기 데이터 저장부(320)에 저장된 각종 음향 데이터를 출력시킨다. 이때, 해당 스피커(350)는 각종 알람 기능(예컨데, 태아 움직임 포착 상태, 산모의 복부체온 이상상태 경고나 출산 예정 D-Day 알림)이 활성화되면 알람음을 발생시킨다. The speaker 350 outputs various sound data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or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320. At this time, the speaker 350 generates an alarm sound when various alarm functions (for example, fetal movement capture state, mother's abdominal temperature abnormality warning or delivery D-Day notification) are activated.

이러한 각종 알람 상황은 상기 영상 출력부(330)를 통해 디스플레이(340)에도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These various alarm situation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340 through the image output unit 330 to be recognized by the user.

상기 키패드(380)는 산모가 해당 태교 제어장치(300)의 각종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The keypad 380 is provided so that the mother can control various functions of the prenatal control device 300.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370)는 퍼스널 컴퓨터와 접속하여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되는 연결 수단으로, 적외선 연결이나 USB 연결이 가능하다. The external interface 370 is a connection mean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personal computer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frared connection or USB connection is possible.

따라서, 해당 외부 인터페이스(370)에 의해 상기 각종 DB의 정보는 퍼스널 컴퓨터에 다운로드되거나 해당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편리하게 편집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the information of the various DBs is downloaded to the personal computer by the external interface 370 or can be conveniently edited by the personal computer.

또한, 상기 바이노럴비트 생성부(39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향, 예컨데 맑은 새소리, 물소리, 실바람 소리, 낮은 파도 소리, 풀벌레 소리, 고운 동물 소리 등과 같은 자연음향이나 음의 높낮이 변화가 작은 클래식, 가곡, 민속음악을 8 내지 12Hz 의 편차를 가지는 편차 스테레오 음향 출력에 의해 이중 스피커인 스피커 유닛(225)으로 전달함으로써 알파파(Alpha Wave)로 태아의 심리적 안정을 유도하며, 이러한 알파파는 사람이 가장 안정되고 편안한 상태에서 발생되는 낮은 주파수의 음향이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Hz 이내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binaural beat generator 390 is a small change in the pitch of the natural sound or sound, such as the sound received from the outside, for example, the sound of clear birds, water, wind, low waves, grass bugs, fine animal sounds, etc. By delivering the classical, song, and folk music to the speaker unit 225, which is a dual speaker by a deviation stereo sound output having a deviation of 8 to 12 Hz, it induces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fetus with an alpha wave. This is a low frequency sound that occurs in the most stable and comfortable state, and preferably has a frequency band within 8 to 12 Hz.

따라서, 태아는 제 1 밴드(220)에 구비된 스피커 유닛(225)을 통해 알파파의 자연음향, 인공음향, 산모음향을 청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최상의 정서적 안정을 도모함은 물론 건강한 성장과 대뇌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Thus, the fetus is able to listen to the natural, artificial, and maternal sound of the alpha wave through the speaker unit 225 provided in the first band 220, thereby promoting the best emotional stability as well as healthy growth and cerebral development. It can be promoted.

상술한 설명에서 산모용 헤드셋과 태교 벨트 및 태교 제어장치는 서로 무선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이들 장치가 서로 유선 연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mother headset, the prenatal belt, and the prenatal control device have been described as wirelessly connected to each other, but it is also possible that these devices are wired to each other.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to draw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태교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renatal system for pregnant wom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산부용 태교 시스템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prenatal care system for pregnant wom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태교 벨트를 외부에서 바라본 도면. Figure 3a is a view from the outside of the prenatal bel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태교 벨트를 내부에서 바라본 도면. Figure 3b is a view from the inside of the prenatal bel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태교 벨트의 단면도. Figure 3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natal bel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교 벨트의 사시도.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renatal bel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1)

소정 폭을 가지며 임산부의 하복부에 길이방향으로 감겨져 하복부를 올려줌으로써 하복부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는 제 1 밴드;A first b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wound longitudinally on the lower abdomen of the pregnant woman to support the load by the lower abdomen by raising the lower abdomen; 상기 제 1 밴드의 양 끝단을 서로 연결시키며, 임산부가 착용시 하복부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허리 측면에 형성된 제 1 착용구;Connecting first ends of the first band to each other, and a first wearing hole formed on a side of the waist to adjust a degree of tightening of the lower abdomen when a pregnant woman is worn; 소정 폭을 가지며 상기 제 1 밴드의 양측 허리 부위에 양 끝단이 부착 가능하며, 임산부의 상복부에 길이방향으로 감겨져 상복부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복부 흔들림을 막는 제 2 밴드;A second band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both ends of which are attached to both waist portions of the first band, the second band being wound longitudinally on the upper abdomen of the pregnant woman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upper abdomen to prevent abdominal shaking; 상기 제 2 밴드의 일측 끝단을 제 1 밴드의 일측 허리 부위에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구; 및 A connector for coupling one end of the second band to one waist portion of the first band; And 상기 제 2 밴드의 타측 끝단을 제 1 밴드의 타측 허리 부위에 결합시키며, 임산부가 착용시 상복부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2 착용구를 포함하되,The second end of the second band is coupled to the other waist portion of the first band, and includes a second wear port formed to adjust the degree of tightening the upper abdomen when a pregnant woman, 상기 제 1 착용구는 벨크로 테입으로 구성되어 제 1 밴드의 양 끝단을 서로 결합시키며, 상기 제 2 착용구도 벨크로 테입으로 구성되어 제 2 밴드의 타측 끝단을 제 1 밴드의 제 3 착용구와 결합시키고,The first wearer is composed of Velcro tape to couple both ends of the first ban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wearer is also composed of Velcro tape to couple the other end of the second band to the third wearer of the first band, 상기 제 1 밴드 및 제 2 밴드는 탄성을 가지며 통풍이 용이한 스판덱스 재질로 이루어지되,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is made of a spandex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easy ventilation, 상기 제 1 밴드 및 제 2 밴드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바이오 세라믹 코팅 구조로 이루어져 태반으로 원적외선이 방사되며,The first band and the second band is composed of a bio-ceramic coating structure in which far-infrared rays are radiated, and far-infrared rays are radiated to the placenta. 상기 제 1 밴드에서 등뒤 부위에는 곡면 구조물로 이루어진 척추 보호대가 더 구비되어 밴드 착용시 임산부의 척추를 지지하고,The back and back portion of the first ba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spine guard made of a curved structure to support the spine of the pregnant woman when wearing the band, 상기 척추 보호대는 임산부와 접촉되는 안쪽면에 수직으로 골이 파여 착용하는 임산부의 척추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되,The spine protector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seated on the spine of the pregnant woman to be worn with bone bones perpendicular to the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egnant woman, 상기 척추 보호대는 내부에 제 1 밴드가 관통되는 관통구를 가져 해당 제 1 밴드를 따라 좌우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어 위치 조절이 가능하며,The spinal brace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band penetrates and can be slid left and right along the first band, thereby allowing position adjustment. 상기 제 1 밴드에는 외부로부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무선 수신된 알파파 음향을 태아측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유닛이 구비되되,The first band is provided with a speaker unit for outputting the alpha wave sound received wirelessly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rom the outside to the fetus side, 상기 제 1 밴드에는 복부 위치에 마련된 마이크로폰에서 수집된 태아의 음향을 산모가 인식할 수 있는 크기로 변환시키는 음향 증폭부가 구비되어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외부로 무선전송하고, The first band is provided with an acoustic amplification unit for converting the sound of the fetus collected from the microphone provided in the abdominal position to a siz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mother, and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상기 제 1 밴드에는 복부 위치에 마련된 마이크로폰에서 수집된 태반 음향의 변화를 감지하는 상황 감지부가 더 구비되되, The first ba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situation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placental sound collected by the microphone provided in the abdominal position, 상기 상황 감지부는 마이크로폰에서 수집된 태아의 음향 레벨을 감지해 기준 음향 레벨 보다 크거나 평균 음향 레벨 보다 큰 경우 해당 상황을 태아의 움직임이 포착되는 상황으로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태교 제어장치로 무선전송하여 알람음과 이모티콘 표시를 통해 태아 움직임 상태를 산모 또는 주위 가족에게 알려 태아의 움직임을 포착할 수 있게 하며,The situation detecting unit detects the sound level of the fetus collected from the microphone and if the siz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sound level or higher than the average sound level detects the situation as the fetal movement is captured and control the detection signal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Wireless transmission to the device informs the mother or her family of the fetus's movement status through alarm sounds and emoticons so that the fetus can be captured. 상기 제 1 밴드에는 해당 밴드를 착용한 산모의 복부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감지 센서가 더 구비되며, 측정된 산모의 복부 체온은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태교 제어장치에 무선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산부용 태교 벨트.The first ba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body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the abdominal body temperature of the mother wearing the band, the pregnant woman's abdominal body temperature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prenatal control device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Dragon prenatal bel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079990A 2007-08-09 2007-08-09 Prenatal care belt KR1009144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990A KR100914481B1 (en) 2007-08-09 2007-08-09 Prenatal care bel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990A KR100914481B1 (en) 2007-08-09 2007-08-09 Prenatal care bel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570A KR20090015570A (en) 2009-02-12
KR100914481B1 true KR100914481B1 (en) 2009-08-27

Family

ID=40685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990A KR100914481B1 (en) 2007-08-09 2007-08-09 Prenatal care bel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481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912B1 (en) * 2014-11-26 2015-07-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Maternity dress capable of representing fetal movements
KR101805439B1 (en) 2016-06-28 2018-01-10 (주)한국디자인사이언스연구소 System for providing prenatal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 thereof
WO2023177041A1 (en) * 2022-03-16 2023-09-21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Method for providing fetus monitoring service and server for perform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813B1 (en) * 2015-09-04 2022-03-24 김창범 Belt for sensing muscle contraction and relax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7585A (en) * 1978-08-15 1980-02-27 Castiglia I Lower torso support
US5807271A (en) * 1997-04-14 1998-09-15 Tayebi; Sean Fetal heartbeat and uterine contraction
KR19990039801U (en) * 1998-04-15 1999-11-15 권정수 Pregnant women's bags
KR20040100329A (en) * 2003-05-22 2004-12-02 현대메디칼 주식회사 Abdominal bel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7585A (en) * 1978-08-15 1980-02-27 Castiglia I Lower torso support
US5807271A (en) * 1997-04-14 1998-09-15 Tayebi; Sean Fetal heartbeat and uterine contraction
KR19990039801U (en) * 1998-04-15 1999-11-15 권정수 Pregnant women's bags
KR20040100329A (en) * 2003-05-22 2004-12-02 현대메디칼 주식회사 Abdominal bel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912B1 (en) * 2014-11-26 2015-07-2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Maternity dress capable of representing fetal movements
KR101805439B1 (en) 2016-06-28 2018-01-10 (주)한국디자인사이언스연구소 System for providing prenatal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 thereof
WO2023177041A1 (en) * 2022-03-16 2023-09-21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Method for providing fetus monitoring service and server for perform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570A (en)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9549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acking abdominal orientation and activity
US8121305B2 (en) Fetal communication system
JP2018504157A (en) Portable physiological monitor
WO20130668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influencing body position
KR100914481B1 (en) Prenatal care belt
CN206228476U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pregnancy support abdominal belt
CN108056765A (en) Intelligent pillow, the pad of health state can be monitored automatically
CA2830527C (en) Apparatus and method of detecting movement of objects within the abdominal and/or pelvic region
KR20200074797A (en) sleep and drowsiness preventing hair band
KR20090015568A (en) Prenatal care system
JP2008237847A (en) Biological information aquisition system
US20130030242A1 (en) Dog anxiety relief bone conduction audio device, system
US11819334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acking abdominal orientation and activity for prevention of poor respiratory disease outcomes
WO2017005012A1 (en) Volume automatic regulation type earphone based on health management
CN215687825U (en) Cap is kept apart to baby's nuclear magnetic resonance noise
KR100542485B1 (en) Antenatal training and remote medical treatment apparatus
JP2009153824A (en) Biosensor
US11617514B2 (en) Hands free heart-beat audio transmitter and receiver system for exercise, meditation and relaxation
JP2019076692A (en) Measurement device and measurement system
CN204734477U (en) Sleep or motion state under earphone formula electrocardio monitor
Boeing et al. Fetal Heart Rate Monitor for Resource-Limited Settings
JPS6232939A (en) Electronic stethoscope
WO2018117873A1 (en) Device for diagnostic aid and treatment of bruxism and snoring
US20240081726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tracking abdominal orientation and activity for prevention of poor disease outcomes
CA2050327A1 (en) Toy fetal life sounds mon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