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099B1 - A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the Tilting Angle of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A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the Tilting Angle of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099B1
KR100914099B1 KR1020070103350A KR20070103350A KR100914099B1 KR 100914099 B1 KR100914099 B1 KR 100914099B1 KR 1020070103350 A KR1020070103350 A KR 1020070103350A KR 20070103350 A KR20070103350 A KR 20070103350A KR 100914099 B1 KR100914099 B1 KR 100914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rail
extending
terminal
display device
lower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3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38069A (en
Inventor
송동하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3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099B1/en
Publication of KR20090038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0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0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도의 조정이 가능한 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상부 및 하부 단말기 하우징과,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의 아랫면에는 원호 형상으로 뻗고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와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가 서로 이격되어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아랫면 하부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뻗는 회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동부는 이격된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의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와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는 상기 상하부 슬라이딩 레일부 레일과 각각 면접촉하며 마찰력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회동부에 마찰력 이상의 힘을 가하면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동되고 원하는 각도에서 힘을 제거하면 고정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display device.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upper and lower terminal housings and a display device rotatably supported by the upper terminal housings. An upper sliding rail part and a lower sliding rail part are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terminal housing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upper sliding rail part includes a rail extending in an arc shape and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 display device has a rotating part extending in an arc shape from the bottom of the lower surface. The rotating part of the display device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sliding rail part and the lower sliding rail part of the spaced apart upper terminal housing. At this time, the rotating part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il rail, respectively, and is supported by the friction force. Applying more than a frictional force to the pivoting portion rotates the display device and is fixed by removing the force at a desired angle.

단말기 하우징, 디스플레이 장치, 회동부, 경사각 조절, 레일, 압축 스프링 Terminal housing, display device, pivot, tilt angle adjustment, rail, compression spring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 조절이 가능한 단말기{A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the Tilting Angle of Display Apparatus}A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the tilting angle of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유·무선 전화기 또는 키폰 등과 같은 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도의 조정이 가능한 통신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wired / wireless telephone or a key phon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display device.

일반적으로, 유·무선 전화기 또는 키폰 등과 같은 통신 장치의 단말기에는 도10에 도시한 것처럼, 통화 상태 또는 기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120)(예로써, LCD 패널)가 단말기(100)의 상부 하우징(110)에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말기 하우징의 전면에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을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뷰 각도가 사용자 방향으로 최적화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용을 확인하기가 불편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도11에 도시한 것처럼,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톱니 형상의 부품(130)을 장착하고 상부 하우징(110)에 스톱퍼(140)를 장착하여 이들이 서로 맞물려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스텝식 구조가 제안되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20)를 잡고 앞으로 당기거나 뒤로 밀 때 상부 하우징(110)에 장착된 스톱 퍼(140)의 돌기가 디스플레이 장치(120)에 장착된 부품(130)의 톱니로부터 빠져나와 다음 톱니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뷰 각도를 소정의 각도씩 조정한다. 하지만 이러한 스텝식 구조에서는 스톱퍼(140)의 돌기가 톱니로부터 빠져나와 다음 톱니에 걸리는 느낌이 사용자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각도 조절이 부드럽지 않고 사용감이 나쁘다. 또한, 스톱퍼(140)의 돌기가 부품(130)의 톱니를 통과할 때마다 소음이 발생한다. 나아가, 디스플레이 장치(120)의 조절가능한 각도가 부품(130)의 톱니에 의해 제한되어 있어 원하는 각도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뷰 각도를 조정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general, a terminal of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wired / wireless telephone or a key phone has a display device 120 (for example, an LCD panel) for displaying a call state or other information as shown in FIG. 10. It is mounted to the upper housing 110. However, when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housing,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device is not optimized in the user direction,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 user to check the contents of the display device. In order to improve this, as shown in FIG. 11, the serrated parts 130 are mounted on the display device 120 and the stoppers 140 are mounted on the upper housing 110 so that they interlock with each other to view the display device 120. A stepped structure has been proposed that allows the angle to be adjusted. When the user grabs the display device 120 and pulls it forward or pushes it back, the projection of the stopper 140 mounted on the upper housing 110 escapes from the teeth of the component 130 mounted on the display device 120 and then the teeth. By adjusting the angle of view, the view angle of the display device 120 is adjusted by a predetermined angle. However, in such a stepped structure, the protrusion of the stopper 140 is pulled out of the sawtooth and the feeling of being caught by the next sawtooth is transmitted to the user as it is, so that the angle adjustment is not smooth and the feeling is bad. In addition, noise occurs whenever the protrusion of the stopper 140 passes through the teeth of the component 130.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djustable angle of the display device 120 is limited by the teeth of the component 130, so that the view angle of the display device cannot be adjusted to the desired angle.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사용감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 각도의 조정이 가능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display device improved in the usability with a simpler configur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부품들 간에 공차가 존재하여 이들의 회전 중심축이 불일치하고 부품들 간의 회전 궤적이 불일치해지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 각도 조정이 원활한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having a smooth adjustment of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display device even when there is a tolerance between the component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display device so that their rotation center axes are inconsistent and the rotation trajectories between the parts are inconsistent. To provid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상부 및 하부 단말기 하우징과,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의 아랫면에는 원호 형상으로 뻗고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와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가 서로 이격되어 장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부와, 그 아랫면 하부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뻗는 회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동부는 이격된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의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와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는 상기 상하부 슬라이딩 레일부 레일과 각각 면접촉하며 마찰력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회동부에 마찰력 이상의 힘을 가하면 회동부가 상하부 슬라이딩 레일부에 대해 활주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동되고 원하는 각도에서 힘을 제거하면 고정된다.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upper and lower terminal housings and a display device rotatably supported by the upper terminal housing. An upper sliding rail part and a lower sliding rail part are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terminal housing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upper sliding rail part includes a rail extending in an arc shape and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ortion and a rotating portion extending in an arc shape from the lower side of the lower surface. The rotating part of the display device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sliding rail part and the lower sliding rail part of the spaced apart upper terminal housing. At this time, the rotating part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il rail, respectively, and is supported by the friction force. When a force greater than the fric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pivoting part, the pivoting part slides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il parts, and the display device is pivoted and is fixed when the force is removed at a desired ang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는 상기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가 하부 슬라이딩 브라킷, 레일, 그리고 상기 하부 슬라이딩 브라킷과 레일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 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 부재로 압축 스프링 및 고무 부재와 같은 탄성력이 큰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includes a lower sliding rail part, a lower sliding bracket, a rail,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lower sliding bracket and the rail. As the elastic member, a member having a large elastic force such as a compression spring and a rubber member can be us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상부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자가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는 것만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필요한 부품 수를 줄임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display device by simply applying a force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to the display device rotatably mounted in the upper housing of the terminal, the number of parts is convenient and necessary. 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의 레일과 회동부 사이에 압축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어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가 회동부에 대해 위치될 때 상기 레일이 언제나 회동부에 대해 균일하게 가압되므로, 부품 간의 공차 등으로 인하여 회전 중심축이 불일치하여 부품들 간의 회전 궤적이 불일치해지는 경우에도 회동부가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에 대해 원활히 활주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ression sp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rail and the pivoting portion of the lower sliding rail portion so that the rail is always uniformly pressed against the pivoting portion when the lower sliding rail portion is positioned relative to the pivoting portion. Therefore, even when the rotational central axis is inconsistent due to tolerances between the parts and the rotational trajectory between the parts are inconsistent, the rotating part can slide smoothly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il part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의 사시도이다. 단말기(1)는 상부 및 하부 단말기 하우징(2, 3)을 구비한다(하부 하우징 도시 않음). 상부 단 말기 하우징(2)의 전면에는 전화번호 입력을 위한 버튼 등이 배치되어 있으며, 통화 상태 또는 기타 정보의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4)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 has upper and lower terminal housings 2, 3 (lower housing not shown). On the front of the upper terminal housing 2, a button for inputting a telephone number or the like is disposed, and the display device 4 for displaying a call state or other information is rotatably supported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A. FIG.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4)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를 상부 단말기 하우징(2)으로부터 분해한 모습을 상부 및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4)는 전면의 표시부(5)와, 디스플레이 장치(4)의 아랫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뻗는 회동부(6)를 포함한다. 상부 단말기 하우징(2)에는 그 아랫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뻗는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7)와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가 장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4)의 회동부(6)가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7, 8) 사이에 삽입되어 활주함으로써 회동될 수 있다. 이를 이하에서 도4 및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2 and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display device 4 and the lower sliding rail 8 from the upper terminal housing 2, as viewed from the top and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4 includes a display portion 5 on the front side and a pivoting portion 6 extending in an arc shap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apparatus 4. The upper terminal housing 2 is equipped with an upper sliding rail portion 7 and a lower sliding rail portion 8 extending in an arc shape from its lower surface. The rotating part 6 of the display device 4 can be rotated by being inser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il parts 7 and 8 and sliding.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below.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의 종단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7)와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는 상부 단말기 하우징(2)의 아랫면에 상호 이격되어 장착된다. 디스플레이 장치(4)의 회동부(6)는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7)와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의 이격된 간극에 삽입된다.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terminal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upper sliding rail portion 7 and the lower sliding rail portion 8 ar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erminal housing 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rotating part 6 of the display device 4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upper sliding rail part 7 and the lower sliding rail part 8.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의 횡단면도이다. 회동부(6)는 윗면에 그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돌출부(9a, 9a)와 아랫면에 그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오목부(10a, 10a)를 포함한다. 회동부(6)는 중앙에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구멍(1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슬라이딩 레 일부(7)는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레일(7a, 7a)을 포함한다.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는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레일(8a, 8a)을 포함한다.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7)의 레일(7a, 7a)과,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의 레일(8a, 8a)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한다.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7)가 중앙에 그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구멍(7b)을 더 구비하고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가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8b)를 더 구비하여 상기 관통 구멍(7b)에 돌출부(8b)가 삽입될 수 있다. 5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terminal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vot 6 includes a pair of protrusions 9a and 9a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n the upper side thereof and a pair of recesses 10a and 10a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n the lower side thereof. The rotating part 6 may further include a through hole 10b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in the center thereof. In addition, part of the upper sliding level 7 includes a pair of rails 7a and 7a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 lower sliding rail portion 8 includes a pair of rails 8a and 8a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The rails 7a and 7a of the upper sliding rail part 7 and the rails 8a and 8a of the lower sliding rail part 8 protrud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he upper sliding rail portion 7 further includes a through hole 7b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in the center thereof, and a protrusion 8b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ower sliding rail portion 8 further comprising the through hole ( The projection 8b can be inserted in 7b).

회동부(6)의 돌출부(9a, 9a) 및 오목부(10a, 10a)가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7, 8)의 레일(7a, 8a)과 각각 면접촉하고 있어 접촉 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으로 회동부(6)는 상부 단말기 하우징(2)에 대해 원하는 각도로 고정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4)에 상기 마찰력 이상의 힘을 가하면, 회동부(6)가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7, 8)에 대해 활주하여 디스플레이 장치(4)의 뷰 각도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된다. 이때 회동부(6)는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7, 8)에 대해 연속적으로 활주하므로 톱니 형상의 부재를 사용할 때에 비해 안정적인 사용감을 얻을 수 있으며, 톱니 형상의 부재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특유의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톱니 형상의 부재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디스플레이 장치(4)의 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The protrusions 9a, 9a and the recesses 10a, 10a of the rotating part 6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rails 7a, 8a of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il parts 7, 8, respectively, and are generated between the contact surfaces. The rotating part 6 is fixed at a desired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terminal housing 2 by the friction force. When the user applies more than the friction force to the display device 4, the pivot 6 slides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ils 7 and 8 so that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device 4 is adjusted to the desired angle. . At this time, the rotating part 6 slides continuously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il parts 7 and 8, so that a stable usability can be obtained compared to when using the tooth-shaped member,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 generated when the tooth-shaped member is used. There is no noise.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the tooth-shaped member,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device 4 can be adjust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7, 8)의 레일(7a, 8a)은 오목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회동부(6)는 돌출부(9a, 9a) 및 오목부(10a, 10a) 대신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7, 8)의 레일(7a, 8a)과 면접 촉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rails 7a and 8a of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il portions 7 and 8 may be formed as recesses. In addition, the rotating part 6 is in a variety of known techniques that can be in contact with the rails 7a and 8a of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il parts 7 and 8 instead of the protrusions 9a and 9a and the recesses 10a and 10a. Can be implement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를 설명한다.Next, a terminal 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의 사시도이다. 상기 단말기(11)는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가 레일(12)과, 상기 레일(12)과 별도로 형성되는 하부 슬라이딩 브라킷(13)과, 압축 스프링(15)으로 구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1에 도시된 단말기(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단말기(11)는 상부 및 하부 단말기 하우징(2, 3)과, 디스플레이 장치(4)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4)는 전면의 표시부(5)와 디스플레이 장치(4)의 아랫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뻗는 회동부(6)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 단말기 하우징(2)에는 그 아랫면으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뻗는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7)와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가 장착된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1 has a lower sliding rail unit 8 except for a rail 12, a lower sliding bracket 13 formed separately from the rail 12, and a compression spring 15, except that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1 shown in FIG. That is, the terminal 11 includes upper and lower terminal housings 2 and 3 and a display device 4, wherein the display device 4 is an arc from the front of the display portion 5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4. It includes a rotating part 6 extending in the shape. In addition, the upper terminal housing 2 is equipped with an upper sliding rail portion 7 and a lower sliding rail portion 8 extending in an arc shape from its lower surface.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1)의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의 사시도이다. 하부 슬라이딩 브라킷(13)은 아래로 돌출하는 수용부(14)를 구비한다. 수용부(14)에는 압축 스프링(15)과 레일(12)이 차례로 수용된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sliding rail portion 8 of the terminal 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liding bracket 13 has a receiving portion 14 protruding downward. The receiving portion 14 receives the compression spring 15 and the rail 12 in sequence.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의 횡단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며,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가 단말기(11)의 상부 단말기 하우징(2)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하부 슬라이딩 브라킷(13)의 수용부(14) 내측 바닥에는 압축 스프링(15)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핀(16)이 배치된다. 레일(12)은 아랫면에 스프링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핀(12a)을 포함하고, 윗면에 회동부(6)의 오목부(10a)에 삽입되기 위한 원호 방향으로 긴 돌출부(12b)를 구비한다. 도8 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가 단말기(11)에 장착되면 회동부(6)가 레일(12)을 경유하여 압축 스프링(15)을 압축한다. 따라서, 레일(12)은 압축 스프링(15)에 의해 언제나 회동부(6)의 오목부(10a)에 대해 균일하게 가압된다. 이는 부품 간의 공차 등으로 인하여 회전 중심축이 불일치하여 부품들 간의 회전 궤적이 불일치해지는 경우 회동부(6)가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7, 8)에 대해 원활히 활주하는 것을 보장해 준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lower sliding rail portion 8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liding rail portion 8 is mounted on the upper terminal housing 2 of the terminal 11 Illustrated. The pin 16 is inserted into the compression spring 15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14 of the lower sliding bracket 13 is fixed. The rail 12 includes a pin 12a for being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spring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protruding portion 12b that is elongated in an arc direction for insertion into a recess 10a of the pivoting portion 6 on an upper surface thereof. . As shown in the right side of FIG. 8, when the lower sliding rail portion 8 is mounted to the terminal 11, the pivoting portion 6 compresses the compression spring 15 via the rail 12. Therefore, the rail 12 is always uniformly pressed against the recess 10a of the pivot 6 by the compression spring 15. This ensures that the rotating part 6 slides smoothly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il parts 7 and 8 when the rotational center axis is inconsistent due to the tolerance between the parts and the rotational trajectory between the parts is inconsistent.

한편,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 스프링 대신 탄성력과 복원력이 큰 탄성 부재(17)를 사용할 수 있다. 이 탄성 부재(17)는 인장 스프링, 판 스프링, 고무, 스펀지 등과 같은 다양한 공지 기술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9, instead of the compression spring can be used elastic member 17 having a large elastic force and a restoring force. This elastic member 17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known techniques such as tension springs, leaf springs, rubber, sponges and the like.

이상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특정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위 일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Whil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above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단말기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를 분해한 모습을 상부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lower sliding rail part disassembled from the terminal of FIG.

도3은 도1의 단말기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를 분해한 모습을 하부에서 바라본 분해사시도이다.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lower sliding rail part disassembled from the terminal of FIG.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종단면도이다.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횡단면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도6의 단말기의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의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sliding rail part of the terminal of FIG.

도8은 도7의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의 횡당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FIG. 8 is a side elevation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lower sliding rail part of FIG. 7; FIG.

도9는 압축 스프링 대신 탄성 부재를 사용한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의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sliding rail portion using an elastic member instead of a compression spring.

도10은 종래 단말기의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terminal.

도11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해 톱니 형상의 부품과 스톱퍼가 장착된 종래의 단말기를 도시한다. Fig. 11 shows a conventional terminal equipped with a sawtooth-shaped part and a stopper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display devic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11: 단말기1, 11: terminal

2: 상부 단말기 하우징2: upper terminal housing

4: 디스플레이 장치4: display device

5: 표시부5: display unit

6: 회동부6: rotating part

7: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7: upper sliding rail part

8: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8: lower sliding rail

12: 레일12: rail

13: 브라킷13: Bracket

15: 압축 스프링15: compression spring

Claims (14)

상부 및 하부 단말기 하우징과, Upper and lower terminal housings,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A display device rotatably supported by the upper terminal housing;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의 아랫면에서 원호 형상으로 뻗고 원호의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을 구비하는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와,Upper and lower sliding rail parts including rails extending from an underside of the upper terminal housing in an arc shape and extending in an extending direction of the arc;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아랫면 하부로부터 원호 형상으로 뻗는 회동부를 포함하고, It includes a rotating part extending in an arc shape from the lower bottom of the display device, 상기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는 고정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며,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 중심축이 서로 동일하고,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il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fixed intervals, and in the installed state, the rotation center axes are the same,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회동부는 상기 이격된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의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와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 사이에 삽입되고, 삽입되었을 때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와 회전 중심축이 동일하고,The rotating part of the display device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sliding rail part and the lower sliding rail part of the spaced apart upper terminal housing, and when inserted,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il parts have the same rotation center axis, 상기 회동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 레일과 각각 면접촉하고, 접촉 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만으로 상기 회동부가 상기 상부 단말기 하우징에 대하여 경사진 각도로 고정될 수 있는, 단말기.And the pivot part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and lower sliding rail part rails, respectively, and the pivot part can be fixed at an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upper terminal housing only by the friction force generated between the contact surfa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윗면에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와 아랫면에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단말기.Th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pivot includes a protrusion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n an upper surface and a recess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n a lower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중앙에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구멍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The terminal of claim 2, wherein the rotation unit further comprises a through hole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at the center thereof.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는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을 포함하고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는 상기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단말기. Th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upper sliding rail portion includes a rail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and the lower sliding rail portion includes a rail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부 슬라이딩 레일부가 중앙에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 구멍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The terminal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through hole extending in an extending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upper sliding rail part. 제5항에 있어서, 하부 슬라이딩 레일부가 뻗음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The terminal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protrusion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lower sliding rail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103350A 2007-10-15 2007-10-15 A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the Tilting Angle of Display Apparatus KR1009140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350A KR100914099B1 (en) 2007-10-15 2007-10-15 A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the Tilting Angle of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350A KR100914099B1 (en) 2007-10-15 2007-10-15 A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the Tilting Angle of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069A KR20090038069A (en) 2009-04-20
KR100914099B1 true KR100914099B1 (en) 2009-08-27

Family

ID=4076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350A KR100914099B1 (en) 2007-10-15 2007-10-15 A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the Tilting Angle of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09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160B1 (en) * 2019-04-19 2023-09-18 에릭슨엘지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Communication termin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725U (en) * 1998-06-15 2000-01-15 윤종용 monitor
KR200168678Y1 (en) * 1999-08-13 2000-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angle regulation of phone lcd display
KR20000014232U (en) * 1998-12-30 2000-07-25 윤종용 The angle adjuster of the teleph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725U (en) * 1998-06-15 2000-01-15 윤종용 monitor
KR20000014232U (en) * 1998-12-30 2000-07-25 윤종용 The angle adjuster of the telephone
KR200168678Y1 (en) * 1999-08-13 2000-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for angle regulation of phone lcd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069A (en) 2009-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241B1 (en) Sliding-tilt unit and mobile appliance adopting the same
TWI479298B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1793568A1 (en) Sliding mechanism of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EP1898606A2 (en) Hing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axes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plurality of axes
JP2004320549A (en) Fit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2003004238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 ball-and-socket mounting joint
KR100914099B1 (en) A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the Tilting Angle of Display Apparatus
KR20100021394A (en) Tilt type terminal holder
EP2215731A2 (en) Stand hinge for electronic devices
KR100554801B1 (en) Mobile phone of which display panel rotates for seeing movie through it
KR100785103B1 (en)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rotation, hinge module capable of sliding and rotation
JPH11224056A (en) Attitude setting device of display and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having the device
JP3833837B2 (en) Video camera
KR100918340B1 (en) A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the Tilting Angle and Wall-mounting
KR101033587B1 (en) A Semi-auto Slide Device, a Dual Slide Device of Cellular Phone and Cellualar Phones having that
JP2014107654A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case
KR101353482B1 (en) Stand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it
WO2007069834A1 (en) A swing mechanism for display part of cellular phone
KR100700567B1 (en) Portable terminal
KR100922260B1 (en) A Terminal Capable of Adjusting Inclined Angles
KR100998879B1 (en) Hinge Module
KR101756147B1 (en) Slim Type Tilting Hinge and Electric Device having it
KR20060132384A (en) Swivel hinge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1196470B1 (en) Slide type portable terminals
KR102382288B1 (en) Portable terminal hinge with foldabl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