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629B1 - Inter-system hand-over of a mobile terminal operable with a first and a second radio access network - Google Patents

Inter-system hand-over of a mobile terminal operable with a first and a second radio access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629B1
KR100912629B1 KR1020077010154A KR20077010154A KR100912629B1 KR 100912629 B1 KR100912629 B1 KR 100912629B1 KR 1020077010154 A KR1020077010154 A KR 1020077010154A KR 20077010154 A KR20077010154 A KR 20077010154A KR 100912629 B1 KR100912629 B1 KR 100912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network
access network
typ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1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61577A (en
Inventor
안티 피트카마키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77010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629B1/en
Publication of KR20070061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5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6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발신 서비스 기반 시스템간 핸드오버 개시의 방법과 이 방법을 가능하게 하는 기기들을 제공한다. 통신망은 적어도 다른 유형들의 2개의 무선접속망들(RAN들), 즉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RAN) 및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RAN)을 포함한다. 제1유형의 RAN 및 제2유형의 RAN 둘 다와 함께 사용 가능하도록 설계된 이중모드 이동 단말은 제1유형의 RAN을 경유하여 통신 시스템과 통신한다. 시스템간 핸드오버의 개시기는 전송물에 포함되는데, 이 전송물은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BC) 필드를 포함한다. 베어러 능력(BC) 필드는 요구된 서비스가 제2유형의 RAN과만 동작 가능함을 표시하도록 설정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BC) 필드는 매개변수 값으로 설정되는데, 그것은 수신 네트워크가 이동 단말에 의해 개시되는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수행하도록 표시되게 하는 수신 네트워크와 그것의 처리 엔티티들을 위한 표시(indication)로서 소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initiating an inter-system handover based on a mobile origination service and apparatuses for enabling the method. Th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es at least two different types of radio access networks (RANs), a first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RAN) and a second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RAN). A dual mode mobile terminal designed for use with both a first type RAN and a second type RAN communicates with a communication system via a first type RAN. The initiator of the intersystem handover is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which includes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BC) field. The Bearer Capability (BC) field is set to indicate that the requested service can only operate with the RAN of the second type. In particular, the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BC) field is set to a parameter value, which is an indication for the receiving network and its processing entities that cause the receiving network to be marked to perform an intersystem handover initiated by the mobile terminal. It is used as).

Description

제1 및 제2 무선접속망들과 함께 동작 가능한 이동 단말의 시스템간 핸드오버{Inter-system hand-over of a mobile terminal operable with a first and a second radio access network}Inter-system hand-over of a mobile terminal operable with a first and a second radio access network

본 발명은 제1 무선접속망과 제2 무선접속망 사이의 시스템간 핸드오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개선된 특성을 가지는 단말 지향 핸드오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system handover between a first radio access network and a second radio access network.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erminal-oriented handover with improved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RAN)를 경유하여 통신망에 접근하고 있는 이동 단말의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통신망은 이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들(RAN)과 제2유형의 하나 이상의 무선접속망을 포함한다. 발명은 상응하는 이동 단말에, 상응하는 통신망에, 상응하는 통신 시스템에, 그리고 통신망의 네트워크 요소들에 동등하게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erforming a system-to-system handover of a mobile terminal accessing a communication network via a first type radio access network (RAN).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es radio access networks RAN of this first type and one or more radio access networks of the second type. The invention relates equally to a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to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network, to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system, and to network elements of a communication network.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RAT)을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의 분야의 상태로부터 이 기술들 간에는 이동 단말의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지원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 핸드오버는 예를 들어 3G(3세대) 무선접속망과 2G(2세대) 무선접속망 사이에, 또는 WCDMA(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를 채용하는 UTRAN(범용 이동통신 서비스 지상 무선접속망)과 GSM(이동통신 세계화 시스템) 무선접속망(RAN) 사이의 3G 시스템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위한 전제 조건으로서, 문제의 이동 단말은 모든 관련된 유형들의 무선접속망들(RAN들)을 경유하여 통신 시스템과 동작 가능하다. 그런 이동 단말들은 다중모드 단말들이라고 불린다. 다중모드 단말의 일 예는 2G 및 3G 네트워크들에서 동작 가능한 이중모드 단말이다.It is known from the state of the art of communication systems to provide other radio access technologies (RAT) to support inter-system handover of mobile terminals between these technologies. Such handovers include, for example, between 3G (3rd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s and 2G (2nd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s, or UTRAN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and GSM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hich employ WCDMA. Mobile communication globalization system) in a 3G system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RANs). As a prerequisite for intersystem handover, the mobile terminal in question is capable of operating with a communication system via all relevant types of radio access networks (RANs). Such mobile terminals are called multimode terminals. One example of a multimode terminal is a dual mode terminal operable in 2G and 3G networks.

UMTS(범용 이동통신 서비스들)와 GSM 사이의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 채용된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예를 들면 기술 규격인 3GPP TS 23.009 V3.14.0(2003/06): "Handover procedures"(Release 1999)에 기재되어 있다.Network signaling employed to perform intersystem handover between UMTS (Universal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s) and GSM is described, for example, in the technical specification 3GPP TS 23.009 V3.14.0 (2003/06): "Handover procedures" (Release 1999). ).

무선접속 기술의 변경, 즉 시스템간 핸드오버가 가능하게 되는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a change in radio access technology, namely inter-system handover.

시스템간 핸드오버에 관한 가장 중요한 이유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커버리지 및 접속/서비스 품질의 차이들이다. 일부 상황들에서, 이동 단말은 제1무선접속시스템의 통신가능구역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더욱이, 이 제1무선접속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무선연결 품질은 주어진 문턱값 아래로 내려갈지도 모른다. 만일 동시에 다른 무선접속시스템이 커버리지 및/또는 양호한 무선연결 품질을 제공한다면, 시스템간 핸드오버가 이동 단말의 계속되고 만족스러운 공급을 보증할 수 있다. 제1무선접속시스템은 전형적으로 GSM/GPRS 시스템이고 제2무선접속시스템은 WCDMA 시스템이다.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inter-system handover is the differences in coverage and connection / service quality in communication systems. In some situations, the mobile terminal can move out of the communicable area of the first wireless access system. Moreover, the radio connection quality provided by this first radio access system may go below the given threshold. If other radio access systems at the same time provide coverage and / or good radio connection quality, intersystem handover can ensure a continued and satisfactory supply of mobile terminals. The first wireless access system is typically a GSM / GPRS system and the second wireless access system is a WCDMA system.

시스템간 핸드오버의 다른 본질적인 이유는 다른 무선접속시스템들에서의 부하, 즉 현재의 트래픽 량이다. 제1무선접속시스템의 부하가 미리 정의된 문턱값을 초과할 때, 이동 단말들의 오버플로어는 또 다른 무선접속시스템에 건네어질 수 있 다. 이 경우, 제1무선접속시스템은 전형적으로 GSM/GPRS이고 제2무선접속시스템은 WCDMA이다. Another essential reason for intersystem handover is the load in other radio access systems, i.e. the current traffic volume. When the load of the first radio access system exceeds a predefined threshold, the overflow of the mobile terminals can be passed to another radio access system. In this case, the first wireless access system is typically GSM / GPRS and the second wireless access system is WCDMA.

시스템간 핸드오버의 세 번째 이유는 요청된 서비스들의 서비스 품질(QoS) 요건들이다. 통신 시스템의 오퍼레이터는 그 선호에 따라 서비스 기반 핸드오버 규준들을 정의한다. 그 다음에 이 규준들은 핸드오버를 시작하는 코어 네트워크의 서비스 우선순위 테이블에 저장된다. 동일한 테이블은 통신 시스템의 UTRAN의 무선망 제어기(RNC)에 부가적으로 존재한다. RNC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어떠한 핸드오버 정보도 받지 않을 경우에 RNC의 테이블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무선접속 기술들에 대한 서비스들의 전형적인 할당에서는, GSM은 속력에 적합하고 WCDMA는 패킷 데이터에 적합할 수 있지만, 회선교환 데이터는 WCDMA를 사용하여 전송되어야만 한다. 서비스 기반 핸드오버의 부가적인 규준은 부하이고, 그래서 부하 및 서비스 기반 핸드오버는 서비스 기반 핸드오버보다 정확한 용어이다.The third reason for intersystem handover is the quality of service (QoS) requirements of the requested services. The operator of the communication system defines service based handover rules according to its preference. These criteria are then stored in the service priority table of the core network initiating handover. The same table is additionally present in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of the UTRAN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he table of the RNC can be used if the RNC does not receive any handover information from the core network. In a typical allocation of services for other radio access technologies, GSM may be suitable for speed and WCDMA may be suitable for packet data, but circuit switched data must be transmitted using WCDMA. An additional criterion for service-based handover is load, so load and service-based handover are more accurate terms than service-based handover.

예를 들면 기술규격인 3GPP TS 25.413 V3.4.0 (2000-12): "UTRAN Iu Interface RANAP Signalling (Release 1999)"에서 명기된 바와 같이, 3G UTRAN부터 2G GSM 무선접속망으로의 서비스 기반 핸드오버는 코어 네트워크 및 UTRAN 사이의 Iu 인터페이스상의 RANAP(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art) 메시지들인 "RAB 할당요구" 및 "재위치(Relocation)요구"에서의 "서비스 핸드오버"라 불리는 선택적인 매개변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 매개변수를 위해 3개의 값들인 "HO to GSM should be performed", "HO to GSM should not be performed" 및 "HO to GSM shall not be performed"이 정의된다. 그래서, 코어 네트워크는 2G부터 3G 무 선접속망으로의 핸드오버를 RNC에 강요할 수는 없지만 핸드오버를 제안할 수는 있다. 최종 결정은 부하, 커버리지 및 무선연결 품질과 같은 부가적인 규준들에 기초하여 RNC에 의해 취해진다. 게다가, 부하 및 서비스 기반 핸드오버들에서, RNC가 기지국 서브시스템(BSS)에 이동 단말들을 주기적으로 그리고 단체로 핸드오버하지만 즉각적이고 개별적으로는 핸드오버 하지 않는다.For example, as specified in the technical specification 3GPP TS 25.413 V3.4.0 (2000-12): "UTRAN Iu Interface RANAP Signaling (Release 1999), service-based handover from 3G UTRAN to 2G GSM radio access network is the core. Can be implemented by an optional parameter called "RAB allocation request" and "service handover" in "Relocation request" which are RANAP (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art) messages on the Iu interface between the network and the UTRAN. have. Three values are defined for this parameter: "HO to GSM should not performed", "HO to GSM should not be performed" and "HO to GSM shall not be performed". Therefore, the core network can not force the RNC to handover from 2G to 3G wireless access network, but can propose a handover. The final decision is taken by the RNC based on additional criteria such as load, coverage and radio connection quality. In addition, in load and service based handovers, the RNC periodically and collectively hands over mobile terminals to the base station subsystem (BSS) but does not handover immediately and individually.

모든 알려진 시스템간 핸드오버들은 네트워크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네트워크는 여러 상황들에서 시스템간 핸드오버의 가능한 이점들을 통신 시스템이 이용하는 것을 막는다.All known intersystem handovers are determined by the network, which prevents the communication system from taking advantage of the possible benefits of intersystem handover in various situations.

현재의 3GPP 규격들은 UTRAN, GSM 및 GERAN 무선접속 셀들을 동등하게 다룬다. 즉, 네트워크 오퍼레이터 또는 사용자에게 가장 적당한 무선접속 기술 쪽으로 안내하는 강력한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다. 정해진 규준들에 기초하여 하나의 또는 다른 공중육상 이동통신망(PLMN), 위치 영역(LA), 라우팅 지역(RA) 또는 셀을 지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다른 무선접속 기술들의 셀들은 단일 PLMN, LA 또는 RA에 혼합될 지도 모르고, 어떠한 방법도 지금까지 이동 단말에 특정 무선접속 기술을 강요하지 않았고, 심지어 어떤 무선접속 기술을 지지하는 방법도 없었다. 요청된 서비스가 현재의 서빙 셀에서 제공될 수 없을 때에만, 호(call)는 네트워크에 의해 다른 셀로 핸드오버될 수 있거나 또는 그 호는 끊어진다.Current 3GPP standards deal equally with UTRAN, GSM and GERAN radio access cells. That is, there is no powerful means to guide the network operator or user towards the most appropriate radio access technology. It is known to support one or another public l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LMN), location area (LA), routing area (RA) or cell based on defined criteria. However, the cells of other radio access technologies may be mixed in a single PLMN, LA or RA, and no method has ever forced a mobile terminal to make a particular radio access technology, and even there is no way to support any radio access technology. Only when the requested service cannot be provided in the current serving cell, the call can be handed over to another cell by the network or the call is dropped.

본 발명의 양태는 서비스 확립 동안 요구된 유형의 무선접속 네트워크로의 서비스 기반 모바일 발신(Mobile Originating; MO)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통신 시스템의 이동 단말이 시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있다.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enabling a mobile terminal of a communication system to initiate a handover between service originating Mobile Originating (MO) systems to a radio access network of the type required during service establishment.

본 발명과 그 개념에 따라 고찰된 해법은 현존하는 통신 및 시그널링과 각각 비교하여 그것들이 유사하게 수행되는 것을 넘어서 어떠한 부가적인 통신, 시그널링 등을 요구하지 않는 단말 발신 서비스 기반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제공한다. 부가 통신의 결여 하에서, 이 해법은 이동 단말들이 여전히 통신망 내에서 동작 가능하지만 그것들은 모바일 발신(MO) 서비스 기반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지원하지 않아, 그 기능의 결여가 그러한 이동 단말들이 기존과 같이 동작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지원 결여 이동 단말들과 지원 결여 네트워크 엔티티들 또는 구성요소들과의 상호 운용성이 타협하여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solution discuss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ncept provides a handover between terminal originating service based systems that do not require any additional communication, signaling, etc., as compared to existing communication and signaling, respectively, and they are performed similarly. . Under the lack of additional communication, this solution allows mobile terminals to still operate within the network, but they do not support mobile outgoing (MO) service-based intersystem handover, so the lack of functionality allows such mobile terminals to operate as before. It means to make it. This means that interoperability with lack of support mobile terminals and lack of support network entities or components is not compromised and compromised.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르면, 시스템간 핸드오버의 개시 방법이 제공된다. 핸드오버는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기반이고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개시는 이동국, 즉 모바일 발신 시스템간 핸드오버로부터 유래할 수 있다. 통신망은 다른 유형들의 적어도 2개의 무선접속망(RAN)들, 즉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RAN) 및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RAN)을 포함한다. 통신망의 RAN들과 동작가능하게 설계되는 이동 단말은 제1유형의 RAN을 경유하여 통신한다. 시스템간 핸드오버의 개시기(initiation)는, 전송물에 포함되는데, 그것의 셋업은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BC) 필드를 포함한다. 베어러 능력(BC) 필드는 요구된 서비스가 제2유형의 RAN과만 동작 가능함을 나타내도록 설정된다. 특히,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BC) 필드는 매개변수 값으로 설정되는데, 그것은 수신 네트워크와 그것의 처리 엔티티들을 위한, 이동 단말에 의해 개시되는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위한 타겟으로서 표시되는 수신 네트워크가 무엇인지의 표시(indication)로서 소용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a method of initiating intersystem handover is provided. The handover is preferably service based and the initiation of performing the intersystem handover may originate from the mobile station, i. Th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t least two types of radio access networks (RANs), namely, a first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RAN) and a second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RAN). A mobile terminal designed to be operable with RANs in a communication network communicates via a RAN of a first type. An initiation of intersystem handover is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the setup of which includes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BC) field. The Bearer Capability (BC) field is set to indicate that the requested service can only operate with the RAN of the second type. In particular, the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BC) field is set to a parameter value, which is the receiving network indicated as a target for the inter-system handover initiated by the mobile terminal for the receiving network and its processing entities. It serves as an indication of cognition.

본 발명의 시스템간 핸드오버는 이동 단말에 의해 개시될 수 있는데,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과 협력하는 요구된 서비스들을 위한 이동 단말의 지원 결여 때문이다. 이것은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이 요구된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지 이동 단말의 능력인,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과 협력하여 요구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지가 결정적이다. 제1양태에 따라서, 이동 단말은 요구된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하지 않을 수도 있는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으로 요구된 서비스를 처리할 수 없다.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의 전체 능력들은 중요하지 않다.The intersystem hand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itiated by the mobile terminal because of the lack of support of the mobile terminal for the requested services to cooperate with the first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This means that the first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may or may not support the requested service. It is crucial whether the requested service can be used in cooperation with the type 1 radio access network, which is the capability of the mobile terminal only.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the mobile terminal cannot handle the requested service with the first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which may or may not support the requested service. The overall capabilities of the first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are not importa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BC 필드에 의하여 개시기를 포함하는 전송물은 호 제어 레벨 절차에 따르는, 특히 멀티미디어 전화 호 확립 절차에 따르는 전송물이다. 멀티미디어 전화 호는 적어도 비디오 전화 호를 포함할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 transmission comprising an initiator by at least one BC field is a transmission according to a call control level procedure, in particular according to a multimedia telephone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The multimedia telephone call will include at least a video telephone call.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물은 호 제어 메시지이다. 이 호 제어 메시지는 이동 단말로부터 현재 사용된 RAN을 이용하여 제1유형의 코어 네트워크에, 특히 제1유형의 코어 네트워크의 호 제어(CC) 엔티티에 송신된다. 더 상세하게는, 이 전송물은 호 제어(CC) 프로토콜에 따르는 표준 전송물인데, 그것은 이동 단말과 호출 엔티티 또는 피호출 엔티티 사이에 호를 확립하기 위해 인가된다. 호출 또는 피호출 엔티티는 동일 또는 다른 통신 시스템에 접근하는 다른 이동 단말, 통신 시스템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 단말, 공중교환전화망의 단말 등과 같은 통신 시스템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임의의 엔티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시지/정보는 제2유형의 RAN의 코어 네트워크에, 특히 제2유형의 코어 네트워크의 모바일 서비스 교환국(MSC)에 보내어진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is a call control message. This call control message is sent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core network of the first type, in particular to the call control (CC) entity of the core network of the first type, using the currently used RAN. More specifically, this transmission is a standard transmission in accordance with the Call Control (CC) protocol, which is authorized to establish a call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alling or called entity. The calling or called entity may be any entity inside or outside the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nother mobile terminal accessing the same or another communication system, a network terminal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system, a terminal of a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or the like. . Preferably the message / information is sent to the core network of the second type of RAN, in particular to the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of the second type of core network.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BC) 필드는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의 견지에서 적용 불가능한 값, 즉 제1유형의 RAN에서 연결을 셋업할 때에 사용될 수 없는 값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BC) field is a value that is not applicable in view of a radio access network of a first type, that is, a value that cannot be used when setting up a connection in a RAN of a first type. .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베어러 능력(BC) 필드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BC) 필드는, 제1유형 및 상기 제2유형의 상기 무선접속망들과의 통신 시에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필드의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 값 유효성이 다르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이것은, 제1유형 및 제2유형의 RAN들이 RAN의 유형에 의존하여 달라지는 값, 값들 또는 값들의 집합을 예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BC) 필드가, RAN이 유형들 중의 하나에는 적용가능하지만 다른 하나에는 적용가능하지 않음을 의미한다.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BC) field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bearer capability (BC) fields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radio access networks of the first type and the second type. The difference is that at least one parameter value validity of the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field is different. This means that RANs of the first and second types expect a value, values or set of values that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RAN. This also means that the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BC) field is applicable to one of the types but not to the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물은 모바일 발신(MO) 호 확립 절차에 따르는 호 제어(CC) 셋업(SETUP) 메시지이다. 이동 단말의 호 제어 엔티티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필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를 가지게끔 SETUP 메시지를 부호화한다. 그 다음 이동 단말은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개시하기 위해 제1유형의 RAN의 호 제어 엔티티에 SETUP 메시지를 전송하고 핸드오버의 완료 후 연결을 셋업한다. 시스템간 핸드오버는 수신 네트워크에서 수행된다.According to yet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is a call control (CC) setup message following the mobile originating (MO)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encodes the SETUP message to have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 comprising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field. The mobile terminal then sends a SETUP message to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first type RAN to initiate intersystem handover and sets up the connection after completion of the handover. Intersystem handover is performed in the receiving network.

본 발명의 부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물은 모바일 발신 호 확립 절차에 따르는 호 제어(CC) '호 확인됨(CALL CONFIRMED)' 메시지이다. 이동 단말의 호 제어 엔티티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필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필드 정보 요소를 가지게끔 '호 확인됨' 메시지를 부호화한다. 이동 단말은, '호 확인됨' 메시지를 무선주파수 인터페이스 및 무선통신 연결을 경유하여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의 호 제어 엔티티 전송하여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개시하고 그 다음에 호 셋업을 계속한다. 시스템간 핸드오버는 수신 네트워크에 의해 수행된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ssion is a Call Control (CC) 'CALL CONFIRMED' message following the mobile originating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encodes a 'call verified' message to have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field information element comprising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field. The mobile terminal sends a 'call verified' message via a radio frequency interface and a radio communication connection to initiate a call-over entity of the first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to initiate inter-system handover and then continue call setup. Intersystem handover is performed by the receiving network.

본 발명의 부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베어러 능력(BC) 정보 요소(IE)의 어느 것도 그 값이 시스템간 핸드오버에 대한 필요를 수신 네트워크에 표시하기 위하여 "수락 불가"로 설정되지 않은 채널 부호화 필드를 포함하지 않는다.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invention, none of the bearer capability (BC) information elements (IE) have a channel encoding whose value is set to "unacceptable" to indicate to the receiving network the need for intersystem handover. It does not include a field.

셋업 메시지 및 호 확인 메시지의 수신 단, 즉 메시지 수신 네트워크의 호 제어(CC) 엔티티는,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고 시스템간 핸드오버의 표시를 위해 선택된 베어러 능력(BC) 필드들의 적용불가 값을 검출한다.The receiving end of the setup message and call acknowledgment message, i.e., the call control (CC) entity of the message receiving network, analyzes the received message and detects inapplicable values of the selected bearer capability (BC) fields for indication of intersystem handover. do.

본 발명의 부가 실시예에 따르면,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과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은 그것을 실현하기 위해 채용된 통신 기술들에서 서로 다르다. 특히,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은 2세대 기술 무선접속망이다.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은 3세대 기술 무선접속망이다. 더 상세하게는,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은 GSP/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eneral packet radio system) 무선접속망이고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과 같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접속망이다.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radio access network of the first type and the radio access network of the second type are different in the communication technologies employed for realizing it. In particular, the first type of wireless access network is a second generation technology wireless access network. The second type of wireless access network is a third generation technology wireless access network. More specifically, the first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is a GSP / GPR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 general packet radio system) radio access network and the second type of access network is a WCDMA (wideband code) such as a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division multiple access) A wireless access network.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이 제공되는데, 그것은,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이 프로세서 기반 기기, 단말기, 네트워크 기기, 휴대형 단말, 소비자 전자기기, 또는 이동통신 가능 단말에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전술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임의의 통신망으로부터 바람직하게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 섹션들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program product is provided, which is executed when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is executed in a processor based device, a terminal, a network device, a portable terminal,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gram code sections, preferably downloadable from any network, for carrying out the steps of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f the above embodiments.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이 제공되는데, 그것은,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이 프로세서 기반 기기, 단말기, 네트워크 기기, 휴대형 단말, 소비자 전자기기, 또는 이동통신 가능 단말에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방법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해 기계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 섹션들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 program product is provided, which is executed when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is executed in a processor-based device, a terminal, a network device, a portable terminal,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gram code sections stored on a machine-readable medium for carrying out the steps of the forego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본 발명의 제4양태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도구가 제공된다. 이 소프트웨어 도구는 그것이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 및/또는 실행될 때 전술한 방법들의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부분들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invention, a software tool is provided. This software tool includes program portions for performing the operations of the above-described methods when it is implemented and / or executed as a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의 제5양태에 따르면, 반송파에 삽입되고 명령어들을 나타내는 컴퓨터 데이터 신호가 제공되는데 그것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단계들이 수행되게 한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 data signal inserted into a carrier and representing instructions which,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causes the steps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o be carried out.

본 발명의 제6양태에 따르면, 통신망 내에서 모바일 발신 서비스 기반 시스템간 핸드오버의 개시를 위한 이동 단말 또는 모듈이 제공된다. 이 이동 단말 또는 모듈은 적어도, 코어 네트워크,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 및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으로 이루어진 통신망과 함께 사용 가능하고 이 이동 단말은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을 경유하여 통신망에 접근한다.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필드를 구비하며 이동 단말로부터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에 전송되는 전송물은 시스템간 핸드오버의 개시기(initiation)를 포함한다. 이 전송물은 이동 단말에 의해 요구된 서비스가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과만 동작 가능함을 나타내는데 소용되어, 시스템간 핸드오버는 요구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하게 된다.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or module for initiating a mobile originating service based intersystem handover in a communication network. The mobile terminal or module can be used with at least a communication network consisting of a core network, a first type of wireless access network and a second type of wireless access network, the mobile terminal acces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via a first type of wireless access network. A transmission having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field and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first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includes an initiation of intersystem handover. This transmission is used to indicate that the service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can only operate with the second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so that intersystem handover is necessary to use the requested service.

본 발명의 부가 실시예에 따르면, 개시기를 포함하는 전송물은 호 제어 레벨 절차에 따르는 전송물이다. 특히 이 전송물은 멀티미디어 전화 호 확립 절차에 따르는 전송물이다.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transmission comprising the initiator is a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call control level procedure. In particular, this transmission is a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multimedia telephone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본 발명의 부가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은 통신망과의 통신을 위해 호 제어 엔티티 및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호 제어 엔티티는 전송물을 부호화하기에 적합하고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는 전송물을 이동 단말에 의해 접근되는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의 호 제어 엔티티에 전송하기에 적합하다.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mobile terminal comprises a call control entity and a radio frequency interface for communicating wit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call control entity is suitable for encoding the transmission and the radio frequency interface is suitable for transmitting the transmission to a call control entity of the first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ac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제7양태에 따르면, 통신망 내에서 모바일 발신 서비스 기반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트리거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네트워크 엔티티가 제공된다. 이 네트워크 엔티티는, 적어도 코어 네트워크와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 및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을 포함하는 통신망의 일부이다. 전송물이 통신망의 무선접속망들과 동작 가능한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되고,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을 경유하여 통신망에 접근하는 이동 단말의 전송물은 이동 단말에 의해 요구된 서비스가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과만 동작 가능함을 나타내어서, 이동 단말에 의한 액세스를 위한 이동 단말의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으로의 시스템간 핸드오버가 트리게 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필드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etwork entity that is enabled for triggering a mobile originating service based intersystem handover in a communication network. This network entity is part of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t least the core network and the first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and the second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The transmission is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operable with the radio access networks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transmiss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es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via the radio access network of the first type is such that the service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is the radio access network of the second type.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field to indicate that it is only capable of operation, such that inter-system handover to the second type of wireless access network of the mobile terminal for access by the mobile terminal is triggered.

본 발명의 부가 실시예에 따르면, 개시기를 포함하는 전송물은 호 제어 레벨 절차에 따르는 전송물이다. 특히 이 전송물은 멀티미디어 전화 호 확립 절차를 따르는 전송물이다.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transmission comprising the initiator is a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call control level procedure. In particular, this transmission is a transmission following a multimedia telephone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본 발명의 부가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엔티티는, 인터페이스, 호 제어 엔티티 및 트리거링 엔티티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는 전송물을 수신하기에 적합하다. 호 제어 엔티티는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위한 지시를 검출하기 위하여 전송물을 복호화하고 분석하기에 적합하다. 트리거링 엔티티는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트리거하기에 적합하다.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network entity comprises an interface, a call control entity and a triggering entity. The interface is suitable for receiving transmissions. The call control entity is suitable for decoding and analyzing the transmission to detect an indication for intersystem handover. The triggering entity is suitable for triggering intersystem handover.

본 발명의 제8양태에 따르면, 모바일 발신 서비스 기반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통신망이 제공된다. 이 통신망은 적어도 제1 및 제2 유형들의 무선접속망들과 제1 및 제2 유형들의 무선접속망들과 동작 가능한 이동 단말의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트리거하기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를 포함한다. 시스템간 핸드오버는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을 경유하여 통신망에 접근하는 이동 단말의 전송물에 의거하여 수행된다. 전송물은 이동 단말에 의해 요구된 서비스가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과만 동작 가능함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필드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enabled for performing handover between mobile originating service based systems. The network includes a network entity for triggering inter-system handover of a mobile terminal operable with at least first and second types of radio access networks and first and second types of access networks. The inter-system handover is performed based on the transmiss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es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via the first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The transmission has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field indicating that the service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can only operate with a second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본 발명의 부가 실시예에 따르면, 개시기를 포함하는 전송물은 제어 레벨 절차에 따르는 전송물이다. 특히 이 전송물은 멀티미디어 전화 호 확립 절차를 따르는 전송물이다.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transmission comprising the initiator is a transmission according to a control level procedure. In particular, this transmission is a transmission following a multimedia telephone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본 발명의 부가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은,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 호 제어 엔티티 및 트리거링 엔티티를 포함한다.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는 이동 단말로부터 전송물을 수신하기에 적합하다. 호 제어 엔티티는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위한 지시를 검출하기 위하여 전송물을 복호화하고 분석하기에 적합하다.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트리거하는 트리거링 엔티티는 호 제어 엔티티에 의한 검출에 의거하여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트리거한다.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es a radio frequency interface, a call control entity and a triggering entity. The radio frequency interface is suitable for receiving transmissions from mobile terminals. The call control entity is suitable for decoding and analyzing the transmission to detect an indication for intersystem handover. The triggering entity that triggers the intersystem handover triggers the intersystem handover based on detection by the call control ent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에 관련하여 검토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도면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서만 디자인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는 것으로는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위해서는 첨부된 청구항들을 참조해야 함이 이해될 것이다. 도면들은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이 아니고 여기서 설명되는 구조들 및 절차들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만 의도된 것이라는 것도 이해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considere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rawings are design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should be referred to the appended claims for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are intended only to conceptually describe the structures and procedures described herein.

도 1a는 2 세대 기술 통신 시스템부터 3세대 기술 통신 시스템으로의 시스템간 핸드오버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보이며;1A shows a schematic flowchart of an intersystem handover from a second gener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system to a third gener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system;

도 1b는 3세대 기술 통신 시스템부터 2세대 기술 통신 시스템으로의 시스템간 핸드오버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보이며;1B shows a schematic flowchart of an intersystem handover from a third gener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system to a second gener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 system;

도 2a는 모바일 발신 호 확립 절차의 개략적인 순서도를 보이며;2A shows a schematic flowchart of a mobile originating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도 2b는 모바일 착신 호 확립 절차의 개략적인 순서도를 보이며;2B shows a schematic flowchart of a mobile incoming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도 3은 베어러(bearer) 능력 정보 요소의 기본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이며;3 schematically shows the basic structure of a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

도 4a는 2세대 기술 공중육상 이동통신망과 3세대 기술 공중육상 이동통신망을 구비하며 이중모드 이동 단말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통신시스템을 보이며;Figure 4a shows a first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econd generation technology public l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third generation technology public land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hich enables operation of a dual mode mobile terminal;

도 4b는 2세대 기술 공중육상 이동통신망과 3세대 기술 공중육상 이동통신망을 구비하며 이중모드 이동 단말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2통신시스템을 보이며;4b shows a second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econd generation public aeri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third generation public aerial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enable operation of a dual mode mobile terminal;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발신 서비스 기반 시스템간 핸드오버 개시를 이용한 모바일 발신 호 확립의 개략적인 순서도를 보이며;5A shows a schematic flowchart of mobile origination call establishment using inter-system handover initi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발신 서비스 기반 시스템간 핸드오버 개시를 이용한 모바일 착신 호 확립의 개략적인 순서도를 보인다.5B is a schematic flowchart of mobile incoming call establishment using handover initiation between systems based on a mobile origin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MTS로부터 GSM으로의 또는 GSM으로부터 UMTS로의 시스템간 변경은 UMTS 및 GSM 둘 다를 지원하는 이동 단말이 무선접속 기술을 변경할 때 발생한다. 호 확립 절차들의 상세한 기술은 기술 규격 3GPP TS 24.008 V3.19.0(2004-06):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Core Network; Mobile radio interface layer 3 specification; Core Network Protocols; Stage 3 (Release 1999)"에 주어지는데, 그것은 여기에 참조로써 통합된다.The intersystem change from UMTS to GSM or from GSM to UMTS occurs when a mobile terminal supporting both UMTS and GSM changes radio access technology. Detailed descriptions of call establishment procedures can be found in Technical Specification 3GPP TS 24.008 V3.19.0 (2004-06):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Core Network; Mobile radio interface layer 3 specification; Core Network Protocols; Stage 3 (Release 1999) ",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도 1a는 GSM 접속망부터 UMTS 접속망으로의 이중모드 이동 단말의 시스템간 핸드오버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보인다. 이동 단말, 기지국(BS) 또는 UMTS 무선접속망(UTRAN)은, 이동 단말이 UMTS 무선 기술을 지원하는 새로운 셀로 전환하고 이전 에 동작했던 네트워크, 여기서는 GSM 무선접속망과의 전송을 중단하게 하는 시스템간 변경을 수행하기로 결정한다. 전형적이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시스템간 핸드오버에 관한 결정은 신호 강도, 신호 품질, 서비스 품질, 셀 커버리지, 네트워크 데이터 레이트 부하 등과 같은 측정보고 관련 량들에 기초하고 있다. 또한 전형적으로, 이동 단말이 현재 동작하고 있는 무선접속망의 코어 네트워크는 의도된 시스템간 핸드오버에 의해 지정되는 무선접속망에 이동 단말을 위한 자원들의 예약을 요구하는 것을 포함하여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시작한다. 이 요구는 지정된 무선접속망으로 핸드오버할 것을 이동단말에 지령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간 핸드오버가 완료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확인응답(acknowledge)된다. 도 1a를 참조하면, GSM 기반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는 UMTS 기반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에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UMTS 기반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는 성공적인 자원 예약 후에 핸드오버를 확인응답한다. 끝으로, 이동 단말은 UMTS 기반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핸드오버에 관해 지시된다.1A shows a schematic flowchart of an intersystem handover of a dual mode mobile terminal from a GSM access network to a UMTS access network. The mobile terminal, base station (BS) or UMTS radio access network (UTRAN) is a system-to-system change that causes the mobile terminal to switch to a new cell that supports UMTS radio technology and to cease transmission with the previously operated network, here the GSM radio access network. Decide to do it. Typically, but not necessarily, decisions about intersystem handover are based on measurement reporting related quantities such as signal strength, signal quality, quality of service, cell coverage, network data rate load, and the like. Also typically, the core network of the radio access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currently operating initiates inter-system handover, including requesting reservation of resources for the mobile terminal in the radio access network designated by the intended inter-system handover. . This request is acknowledged to allow the inter-system handover to be completed by instructing the mobile terminal to handover to the designated radio access network. Referring to FIG. 1A, the core network of the GSM-based network requires handover to the core network of the UMTS-based network, and the core network of the UMTS-based network acknowledges the handover after successful resource reservation. Finally, the mobile terminal is instructed with respect to handover by the core network of the UMTS-based network.

도 1b는 UMTS 접속망부터 GSM 접속망으로의 이중모드 이동 단말의 시스템간 핸드오버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보인다. 이동 말단, 기지국 시스템(BSS) 또는 UTRAN은 이동 단말이 GSM 무선 기술을 지원하는 새로운 셀로 전환하고 이 새로운 셀, 즉 UMTS 무선기술을 지원하는 새로운 셀로의 전송을 중단하게 하는 시스템간 변경을 수행하기로 결정한다. 도 1a에 관해서 설명된 원리는 여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UMTS 기반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는 GSM 기반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에 핸드오버를 요구하고, GSM 기반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는 성공적인 자원 예약 후에 그 핸드오버에 확인응답한다. 끝으로, 이동 단말은 UMTS 기반 네트워크의 코어 네트워크에 의해 핸드오버에 대해 지시를 받는다.1B shows a schematic flowchart of an intersystem handover of a dual mode mobile terminal from a UMTS access network to a GSM access network. The mobile end, base station system (BSS) or UTRAN decides to make intersystem changes that cause the mobile terminal to switch to a new cell that supports GSM radio technology and stop transmission to this new cell, that is, a new cell that supports UMTS radio technology. Decide The principle described with respect to FIG. 1A applies here as well. The core network of the UMTS-based network requires handover to the core network of the GSM-based network, and the core network of the GSM-based network acknowledges the handover after successful resource reservation. Finally, the mobile terminal is instructed for handover by the core network of the UMTS-based network.

핸드오버라는 용어는 셀 재선택도 포함하는 의미라는 것이 주의 된다.Note that the term handover is also meant to include cell reselection.

시스템간 핸드오버 절차라는 가르침은 간략히 포괄적이지 않게 기술됨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시스템간 핸드오버의 상세한 수행은 본 발명의 범위 밖에 있고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설명으로만 포함된다. 상세한 가르침에 관해 인용되는 기술 명세서를 참조하라.It should be noted that the teaching of intersystem handover procedures is briefly described as not comprehensive. The detailed implementation of intersystem handover is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included only for illustrative purposes. See the technical specification cited for detailed teaching.

전형적인 호 확립 절차는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기술될 것이다. 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2종류의 호들은 이동 통신 분야에서 모바일 발신 모바일 발신된 호 및 모바일 착신 또는 모바일 착신된 호로 구별된다. 모바일 발신 호라는 용어는 이동 단말에 의해 시작되는 호를 나타내는 반면, 모바일 착신 호라는 용어는 네트워크에 의해 그리고 이 네트워크에 연결된 호출 엔티티에 의해 각각 시작되는 호를 나타낸다. 양 종류들의 확립 절차들은 아래에서 예시적으로 도시될 것이다. 호 확립 절차의 상세한 설명은 기술 규격인 3GPP TS 24.008 V3.19.0 (2004-06):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Core Network; Mobile radio interface layer 3 specification; Core Network Protocols; Stage 3 (Release 1999)"에서 주어지며 그것은 여기에 참조로서 주어진다.A typical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Basically, two different kinds of calls are distinguished from mobile originating mobile originated call and mobile incoming or mobile incoming call in the field of mobile communication. The term mobile originating call refers to a call initiated by a mobile terminal, while the term mobile incoming call refers to a call that is initiated respectively by a network and by a calling entity connected to the network. Both kinds of establishment procedures will be exemplarily shown below.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is given in the technical standard 3GPP TS 24.008 V3.19.0 (2004-06):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Core Network; Mobile radio interface layer 3 specification; Core Network Protocols; Stage 3 (Release 1999)". It is given here by reference.

도 2a를 참조하여, 모바일 발신(MO) 호 확립 절차가 예시된다. 이동 단말의 호 제어(CC) 엔티티는 이동성 관리(MM) 서브층에 모바일 발신 MM 연결을 확립할 것을 요구하고 "MM 연결 계속(connection pending)" 상태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호 제어 연결을 시작한다. 원칙적으로 2 종류의 모바일 발신 호들은 기본 호 및 긴급 호로 구별된다. 호의 종류는 MM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요구에서의 매개변수로서 부호화된다. 다음 설명은 기본 호를 다룰 것이다. "MM 연결 계속" 상태를 입력하고 나면, 이동 단말의 호 제어 엔티티는 셋업 메시지를 네트워크의 그것의 동료(peer) 엔티티에 송신한다. 기본 호의 경우에, 이 셋업 메시지는 SETUP 메시지로서 지정된다. SETUP 메시지의 전송에 의거하여, 호 제어 엔티티는 "호 개시됨" 상태에 들어간다. SETUP 메시지는, 네트워크에 의해 요구되며 호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SETUP 메시지는 피호출자 주소 정보와 하나 이상의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BC IE)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는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With reference to FIG. 2A, a mobile originating (MO)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is illustrated. The call control (CC)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initiates a call control connection by requesting a mobile originating MM connection to the mobility management (MM) sublayer and entering a "connection pending" state. In principle, two kinds of mobile outgoing calls are divided into basic calls and emergency calls. The type of call is encoded as a parameter in the request to establish the MM connec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cover basic calls. After entering the " continue MM connection " state,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sends a setup message to its peer entity of the network. In the case of a basic call, this setup message is specified as a SETUP message. Based on the transmission of the SETUP message, the call control entity enters the "call initiated" state. The SETUP message is required by the network and contains all the information to handle the call. In particular, the SETUP message includes the caller address information and one or more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s (BC IEs). One or more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s ar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3.

"호 개시됨" 상태는, "MM 연결 계속" 상태에 들어가기 전에 이미 시작된 제1타이머(T303)에 의해 감독된다. "호 개시됨" 상태 동안, 호 확립 절차의 추가의 진행은 이동 단말의 호 제어(CC) 엔티티에 의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응답의 종류에 의존한다. 전형적으로 가능한 응답은 CALL PROCEEDING 메시지, CONNECT 메시지 및RELEASE COMPLETE 메시지를 포함한다. SETUP 메시지의 수신에 의거하여,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는 "호 개시됨" 상태에 들어간다. 이 상태에서, SETUP 메시지에 포함된 호 정보는 분석된다. SETUP 메시지에 포함된 호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는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된 호 정보가 무효라고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는 다음 원인값들 중의 하나로 호 끊기(clearing)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비할당(비배정) 번호"; "목적지에의 무 경 로"; "변경된 번호"; 및 "무효 번호 형식(불완전한 번호)". 마찬가지로,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는 요구된 서비스가 인가되지 않았는지 또는 이용가능하지 않은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 다음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는 다음 원인값들 중의 하나로 호 끊기 절차를 개시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가 없다고 결정함(operator determined barring)"; "베어러 능력이 인가되지 않음"; "베어러 능력이 현재 이용 불가능함"; "서비스 또는 옵션이 이용 불가능하고 미지정됨"; 또는 "베어러 서비스가 이행되지 않음".The "call initiated" state is supervised by the first timer T303 already started before entering the "continue MM connection" state. During the "call initiated" state, further progress of the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depends on the type of response received from the network by the call control (CC)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Typically possible responses include a CALL PROCEEDING message, a CONNECT message and a RELEASE COMPLETE message. Upon receipt of the SETUP message,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enters the "call initiated" state. In this state, the call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SETUP message is analyzed. Based on the cal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TUP message,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may determine that the cal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is invalid.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may then initiate a call clearing procedure with one of the following cause values: "unallocated (unassigned) number"; "No path to destination"; "Changed number"; And "Invalid Number Format (Incomplete Number)". Similarly,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may determine whether the requested service is not authorized or available.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may then initiate the call disconnection procedure with one of the following cause values: "operator determined barring"; "Bearer capacity not authorized"; "Bearer abilities are currently unavailable"; "The service or option is unavailable and unspecified"; Or "bearer service not fulfilled".

그렇지 않으면, 즉 호 정보가 유효하면, 네트워크의 호 제어는 다음의 것들 중의 어느 것을 할 수 있게 된다:Otherwise, if the call information is valid, the call control of the network can do any of the following:

- CALL PROCEEDING 메시지를 자신의 동료 엔티티(이동단말의 호 제어 엔티티)에 송신하여 그 호가 처리되고 있음을 나타낸다(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는 "모바일 발신 호 진행" 상태에 들어간다);Send a CALL PROCEEDING message to its peer entity (call control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to indicate that the call is being processed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enters the "mobile originating call progress" state);

- ALERTING 메시지를 자신의 동료 엔티티에 송신하여 피호출 사용자 측에서 경보가 시작되었음을 나타낸다(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는 "호 수신됨 " 상태에 들어간다); 또는Send an ALERTING message to its peer entity to indicate that an alert has been initiated on the called user side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enters the "call received" state); or

- CONNECT 메시지를 자신의 동료 엔티티에 송신하여 피호출 사용자 측에서 호가 수락되었음을 나타낸다(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는 "연결 요구" 상태에 들어간다).Send a CONNECT message to its peer entity to indicate that the call was accepted at the called user side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enters the "connect request" state).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는 이동 단말에 의해 제시된 옵션들을 그 이동 단말이 네트워크에 전송한 SETUP 메시지에 포함된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들) (BC IE 들)로 선택하기 위해 CALL PROCEEDING 메시지에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들)을 삽입할 수 있다. CALL PROCEEDING 메시지의 수신에 의거하여, 이동 단말의 호 엔티티는 "호 개시됨" 상태에 들어가며, 제1타이머(T303)를 멎게 하고, 제2타이머(T310)를 시작되게 한다. 사용자 경보가 피호출 주소에서 시작되었을 때, ALERTING 메시지는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에 의해 이동 단말에 있는 그것의 동료 엔티티에 송신된다. ALERTING 메시지의 수신과 더불어, 이동 단말의 호 제어 엔티티는 "호 배달됨" 상태에 들어가고, 실행할 때 타이머(T303 과 T310)를 멎게 하고, 사용자에게 바뀜(altering)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바뀜 발생은 이동 단말에 의해 내부적으로 발생될 수 있거나 또는 네트워크가 바뀜 표시의 배달을 담당할 수 있다. 호가 받아들여졌다는 표시의 수신에 의거하여,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는 통화 채널(만일 필요하면, 상호연동(interworking) 기능의 연결을 포함)을 연결하고 호출 이동 단말에 있는 자신의 동료 엔티티에 CONNECT 메시지를 송신한다. 제3타이머(T313)와 네트워크의 제어 호 엔티티는 "연결 표시" 상태에 들어간다. 이CONNECT 메시지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이 확립되었음을 (호출) 이동 단말의 호 제어 엔티티에 표시한다. 이동 단말의 호 제어 엔티티는, CONNECT 메시지의 수신에 의거하여, 사용자 연결을 첨부하며; CONNECT ACKNOWLEDGE 메시지를 돌려주며; 임의의 국소적으로 발생된 바뀜 표시를(만일 적용되면) 중단하며; 타이머들(T303 및 T310)을 멈추며; 그리고 "활동적인" 상태에 들어간다.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bears the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 in the CALL PROCEEDING message to select the options presented by the mobile terminal as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 (s) (BC IEs) included in the SETUP message sent by the mobile terminal to the network. (S) can be inserted. Upon receipt of the CALL PROCEEDING message, the call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enters a "call initiated" state, turns off the first timer T303 and causes the second timer T310 to start. When a user alert is initiated at the called address, an ALERTING message is sent by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to its peer entity at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to receiving the ALERTING message,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may enter the "call delivered" state, turn off timers T303 and T310 when executed, and output an altering indication to the user. The change occurrence may be generated internally by the mobile terminal or the network may be responsible for the delivery of the change indication. Upon receipt of an indication that the call has been accepted,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connects the call channel (including connection of interworking functions, if necessary) and connects to its peer entity at the calling mobile terminal a CONNECT message. Send. The third timer T313 and the control call entity of the network enter a “connect indication” state. This CONNECT message indicates to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calling) mobile connection that the connection has been established over the network.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attaches the user connection, upon receipt of the CONNECT message; Returns a CONNECT ACKNOWLEDGE message; Discontinue any locally generated change indications (if applicable); Stop timers T303 and T310; And enter an "active" state.

이제 말단 발신된 호의 호 확립 절차는 완료되고 (호출) 이동 단말과 피호출 주소 사이의 통신, 특히 음성 통신이 시작될 수 있다.The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of the terminal originated call is now complete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calling) mobile terminal and the called address can begin, in particular voice communication.

도 2b를 참조하여, 모바일 착신(MT) 호 확립 절차가 설명된다. 모바일 착신 호에 따라서 호 확립이 이동 단말에서 개시될 수 있기 전에, 이동성 관리(MM) 연결은 네트워크에 의해 확립되어야 한다. 원격 호출 엔티티로부터의 호의 도착 후,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가 이동성 관리(MM) 연결 확립을 개시하여 "MM 연결 계속" 상태에 들어간다. MM 연결의 완료에 의거하여,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는 이동 단말에 있는 자신의 동료 엔티티에 SETUP 메시지를 송신하며, 제1타이머(T303)를 시작되게 하고, "호 참가(call present)" 상태에 들어간다. SETUP 메시지의 수신에 의거하여, 이동 단말은 호환성 점검을 수행한다. 만일 호환성 점검의 결과가 호환성이라면, 이동 단말의 호 제어 엔티티는 "호 참가" 상태에 들어간다. 비 호환성 이동 단말은 RELEASE COMPLETE 메시지로 응답한다. 만일 제1타이머(T303)의 만료 전에 SETUP 메시지에 대한 어떠한 응답도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에 의해 수신되지 않으면, 호 실패 절차가 취해질 수 있다. SETUP 메시지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은 그 SETUP 메시지에 응답하기 전에 호환성 점검을 수행한다. 호환성 점검은 SETUP 메시지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에 기초한다.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들의 기본 구조와 유효성 매개변수들 및 그것들의 가치들은 도 3에 관해서 아래에서 기술된다. Referring to FIG. 2B, a procedure of establishing a mobile incoming (MT) call is described. Before call establishment can be initiated at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mobile incoming call, mobility management (MM) connection must be established by the network. After the arrival of the call from the remote calling entity,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initiates the establishment of mobility management (MM) connection and enters the "continue MM connection" state. Based on the completion of the MM connection,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sends a SETUP message to its peer entity at the mobile terminal, causes the first timer T303 to start, and in the "call present" state. Enter Based on the reception of the SETUP message, the mobile terminal performs a compatibility check. If the result of the compatibility check is compatibility,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enters the "call join" state. The incompatible mobile terminal responds with a RELEASE COMPLETE message. If no response to the SETUP message is received by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before expiration of the first timer T303, a call failure procedure may be taken. The mobile terminal receiving the SETUP message performs a compatibility check before responding to the SETUP message. The compatibility check is based on one or more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s included in the SETUP message. The basic structure and validity parameters of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s and their values are described below with respect to FIG. 3.

"호 참가" 상태에 들어가고 나서, 이동 단말의 호 제어 엔티티는 CALL CONFIRMED에 의해 SETUP 메시지를 확인응답하고, "모바일 착신 호 확인됨" 상태에 들어간다. 이동 단말의 호 제어 엔티티는, 이동 단말에서 미리 선택되거나 서비스 의존 디렉터리 번호에 상응하는, 네트워크에 대한 CALL CONFIRMED 메시지 또는 네 트워크에 대한 하나 이상의 베어러 능력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동 단말은 또한 무선 채널 요건들을 정의하기 위해 CALL CONFIRMED 메시지에 하나 이상의 베어러 능력을 포함할 수도 있다. SETUP 메시지에 표시된 호환성 요건을 만족하는 통화 중(busy) 이동 단말은 만일 호 셋업이 지속되는 것이 허용된다면 CALL CONFIRMED 메시지로 또는 만일 호 셋업이 지속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으면 RELEASE COMPLETE 메시지로 응답할 수 있는데, 둘 다 "사용자 통화 중"을 유발한다. 만일 모바일 사용자가 호를 거절하고 싶어하면, RELEASE COMPLETE 메시지가 원인인 "호 거절됨"과 함께 송신될 것이다. 이동 단말이 SETUP 메시지에 RELEASE COMPLETE로 응답하는 경우에, 이동 단말은 RELEASE 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한 후에 MM 연결을 해제하고 유휴 상태에 들어간다. "호 참가" 상태에 있는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는, CALL CONFIRMED 메시지의 수신에 의거하여, 제1타이머(T303)를 멈추며, 제2타이머(T310)를 시작되게 하고, "모바일 착신 호 확인됨" 상태에 들어간다. After entering the "call joined" state,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acknowledges the SETUP message by CALL CONFIRMED and enters the "mobile incoming call confirmed" state.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ncluded in the CALL CONFIRMED message for the network or one or more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for the network, which is preselected in the mobile terminal or corresponds to a service dependent directory number. The mobile terminal may also include one or more bearer capabilities in the CALL CONFIRMED message to define radio channel requirements. A busy mobile terminal that meets the compatibility requirements indicated in the SETUP message may respond with a CALL CONFIRMED message if call setup is allowed to continue or with a RELEASE COMPLETE message if call setup is not allowed to continue. Both cause a "user busy". If the mobile user wants to reject the call, it will be sent with a "call rejected" cause for the RELEASE COMPLETE message. When the mobile terminal responds with a RELEASE COMPLETE to the SETUP message, the mobile terminal releases the MM connection and enters an idle state after sending the RELEASE COMPLETE message.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in the "call-in" state stops the first timer T303, causes the second timer T310 to start, and "mobile incoming call confirmed" based on the reception of the CALL CONFIRMED message. Enter the state.

이동 단말의 호 제어 엔티티가 "모바일 착신 호 확인됨" 상태에 들어가고 나서, 만일 호가 호출된 사용자 측에서 수락된다면, 이동 단말은 호 확립을 계속한다. 그렇지 않고, 만일 신호 정보 요소가 SETUP 메시지에 존재하였다면 사용자 경보가 이동 단말 측에서 개시되며; 만일 신호 정보 요소가 SETUP 메시지에 존재하지 않았다면, 사용자 경보는 적합한 채널이 이용 가능할 때 개시된다. 여기서, 사용자 경보의 개시는 이동 단말에서 적합한 톤 또는 표시의 발생; 및 이동 단말의 호 제어 엔티티에 의한 네트워크에 있는 자신의 동료 엔티티로의 ALERTING 메시지의 송신 및 "호 수신됨" 상태에 들어감을 의미한다. "모바일 착신된 호 확인됨" 상태에 있는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는, ALERTING 메시지의 수신에 의거하여, 상응하는 ALERTING 표시를 호출 엔티티에 송신하며; 제2타이머(T310)를 멈추며; 제3타이머(T301)를 시작하게 하고, "호 수신됨" 상태에 들어간다. "모바일 착신 호 확인됨" 또는 "호 수신됨" 상태에서, 만일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사용자 결정의 "사용자 통화 중"이라면, DISCONNECT 메시지가 원인인 "사용자 통화 중"과 함께 송신되어질 것이다. "모바일 착신 호 확인됨" 상태에서, 만일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호를 거절하고 싶어하면 DISCONNECT 메시지가 원인인 "호 거절됨 "과 함께 송신된다. "모바일 착신 호 확인됨" 상태 또는 "호 수신됨" 상태에서, 이동 단말의 호 제어 엔티티는 CONNECT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있는 자신의 동료 엔티티에 송신하는 것에 의해 모바일 착신 호의 수락을 표시하며; 제4타이머(T313)를 시작하게 하며; 그리고 "연결 요구" 상태에 들어간다. "모바일 착신된 호 확인됨" 상태에서 또는 "호 수신됨" 상태에서,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는, CONNECT 메시지의 수신에 의거하여, 통화 채널(만일 필요하면 상호연동 기능의 연결을 포함)을 연결하며, 제2, 제1또는 제3타이머들(T310, T303 또는T301)(만일 동작 중이면)을 멈추며; CONNECT ACKNOWLEDGE 메시지를 호출된 이동 단말에 있는 자신의 동료 엔티티에 송신하며; CONNECT 메시지를 호출 엔티티 쪽으로 송신하는 절차를 개시하고 "활동적인" 상태에 들어간다. "연결 요구" 상태에서, 이동 단말의 호 제어 엔티티는, CONNECT ACKNOWLEDGE 메시지의 수신에 의거하여, 제4타이머(T313)를 멎게 하고, "활동적인" 상태에 들어간다. 제4타이머(T313)가CONNECT ACKNOWLEDGE 메시지의 수신 전에 만료될 될 때, 이동 단말은 호 끊기 절차를 개시한다.After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enters the "mobile incoming call confirmed" state, if the call is accepted at the called user side, the mobile terminal continues to establish the call. Otherwise, the user alert is initiated at the mobile terminal side if the signal information element was present in the SETUP message; If no signal information element was present in the SETUP message, the user alert is initiated when the appropriate channel is available. Here, initiation of the user alert may include the generation of a suitable tone or indication at the mobile terminal; And sending an ALERTING message to its peer entity in the network by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and entering the "call received" state.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in the " mobile incoming call verified " state sends, according to the receipt of the ALERTING message, a corresponding ALERTING indication to the calling entity; Stopping the second timer T310; A third timer T301 is started, and enters the "call received" state. In the " mobile incoming call confirmed " or " received call " state, i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is " in a user call " of user determination, it will be sent with a " user call " In the " mobile incoming call confirmed " state, if the user of the mobile terminal wants to reject the call, it is sent with a " call rejected " which is the cause of the DISCONNECT message. In the " mobile incoming call confirmed " state or " call received " state,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indicates acceptance of the mobile incoming call by sending a CONNECT message to its peer entity in the network; To start the fourth timer T313; And enters the "connection request" state. In the "Mobile Incoming Call Verified" state or in the "Call Received" state,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connects the call channel (including the interworking function connection if necessary) based on the reception of the CONNECT message. Stops the second, first or third timers T310, T303 or T301 (if in operation); Send a CONNECT ACKNOWLEDGE message to its peer entity at the called mobile terminal; Initiates the procedure of sending a CONNECT message to the calling entity and enters the "active" state. In the " connect request " state,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upon receiving the CONNECT ACKNOWLEDGE message, turns off the fourth timer T313 and enters the " active " state. When the fourth timer T313 expires before receiving the CONNECT ACKNOWLEDGE message, the mobile terminal initiates a call disconnection procedure.

이제 단말 발신된 호의 호 확립 절차가 완료되고 (호출) 이동 단말 및 피호출 주사 사이의 통신, 특히 음성 통신이 시작될 수 있다.The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of the terminal originated call is now complete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calling) mobile terminal and the called scan can be started, in particular voice communication.

일반적으로,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BC-IE)의 목적은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도록 특정한 베어러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이다. 그 표시는 호 확립 절차에 관련되고 확립된 연결 동안에 사용되는 메시지들로 분류될 수 있는 어떤 연결 제어 메시지들에 의해 운반된다. 호 확립 절차 동안 공중육상 이동망(PLMN)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BC IE)는 다음의 것들에 포함된다:In general, the purpose of a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 (BC-IE) is to request a specific bearer service to be provided by the network. The indication is carried by some connection control messages that can be classified into messages related to the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and used during the established connection. During the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the PLMN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 (BC IE) is included in:

- 요구하는 엔티티(즉, 이동 단말 또는 모바일 서비스 교환국(MSC))에 의해 모바일 발신 호 또는 모바일 착신 호를 각각 확립하기 위해 발생되는 SETUP 메시지, 그리고A SETUP message generated by the requesting entity (ie mobile terminal or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to establish a mobile originating call or a mobile terminating call, respectively, and

- 어떤 매개변수 값들을 협상하기 위해, 응답하는 엔티티(즉, 이동 단말 또는 이동 전화 교환국)에 의해 발생되는 CALL CONFIRMED 또는 CALLPROCEEDING 메시지들 각각. 만일 어떠한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BC IE)도SETUP 메시지에 포함되지 않으면, CALL CONFIRMED 메시지는 완전한 적용 가능한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BC IE)를 표시한다. 통상, 네트워크는 만일 그것이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BC IE)에 의해 표시된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으면 호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서비스가 고정 네트워크 단말로부터 요구된 서비스와 맞지 않으면 모바일 서비스 교환국(MSC)/상호연동 기능(IWF)은 호를 해제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또한 고정 네트워크 단말은 호를 해제할 수 있다.)CALL CONFIRMED or CALLPROCEEDING messages each generated by the responding entity (ie mobile terminal or mobile switching center) to negotiate certain parameter values. If no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 (BC IE) is included in the SETUP message, the CALL CONFIRMED message indicates the complete applicable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 (BC IE). Typically, the network may release the call if it does not support the service indicated by the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 (BC IE). In addition, the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 interworking function (IWF) may release the call if the service does not match the service requested from the fixed network terminal. (In the latter case, the fixed network terminal may also release the call.)

확립된 연결 동안, 비 투명성 다중슬롯 데이터 서비스가 사용 중일 때 통화 채널들의 최대수 및/또는 원해진 무선 인터페이스 사용자 속도를 변경하기 위하여 또는 서비스(베어러 능력)을 변경하기 위하여, 공중육상 이동망(PLMN)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BC IE)는MODIFY, MODIFY COMPLETE및MODIFY REJECT 메시지들에 포함된다.During established connections, to change the maximum number of call channels and / or desired air interface user speed when the non-transparent multislot data service is in use, or to change the service (bearer capability), a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The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 (BC IE) is included in MODIFY, MODIFY COMPLETE and MODIFY REJECT messages.

도3을 참조하면 공중육상 이동망(PLMN)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BC IE)의 일반적인 구조는 도시되어 있다. 보인 옥텟(octet)들의 일부는 옵션이며, 일부는 만일 매개변수인 "정보 전송 능력"이 "말하기(speech)"를 표시하지 않는다면 이용 가능하거나 옵션이고, 일부는 만일 EDGE가 사용되면 이용 가능하다. 상세한 기술은 기술 규격인3GPP TS 27.001 V3.15.0 (2004-06):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Core Network; General on Terminal Adaptation Functions (TAF) for Mobile Stations (MS) (Release 1999)"로부터 입수할 수 있고 참조로써 여기에 동봉된다.Referring to Fig. 3, the general structure of a PLMN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 (BC IE) is shown. Some of the octets shown are optional, some are available or optional if the parameter "information transfer capability" does not indicate "speech", and some are available if EDGE is used. Detailed descriptions are available from the technical specification 3GPP TS 27.001 V3.15.0 (2004-06):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Core Network; General on Terminal Adaptation Functions (TAF) for Mobile Stations (MS) (Release 1999)". As enclosed here.

이동 단말에서의 개개의 매개변수 셋팅들에 관해서 다음의 경우들은 모바일 발신 호 확립 및 모바일 착신 호 확립 간에 구별될 수 있다.With respect to the individual parameter settings at the mobile terminal, the following cases can be distinguished between mobile originating call establishment and mobile incoming call establishment.

다음의 표는 이동 단말에 의해 셋업된 모바일 발신 호에 관련한 매개변수들, 즉 네트워크에 전해지는 SETUP 메시지에 포함된 베어러 능력 매개변수들을 예시한다. 매개변수는 다음 유형들 중의 하나의 필드값을 표시할 수 있다:The following table illustrates the parameters related to the mobile originating call set up by the mobile terminal, ie the bearer capability parameters included in the SETUP message transmitted to the network. The parameter can represent a field value of one of the following types:

요구가 응답하는 엔티티에 의해 변경될 수 없음을 표시하는 "요구된 값" "Requested value" indicating that the request cannot be changed by the responding entity.

제안이 응답하는 엔티티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을 표시하는 "제안된 값" "Proposed value" to indicate that the proposal can be changed by the responding entity

값이 궁극적으로 인가되는 응답하는 엔티티까지 건네 지는 특정한 선택값The specific choice passed to the responding entity whose value is ultimately applied.

요구된 값이 인가되고 확인됨(그것을 되돌려 주는 것에 의함)을 표시하는 "요구된 대로""As required" to indicate that the requested value is authorized and confirmed (by returning it)

제안된 세트들 중에서 또는 정의된 세트의 값들 중의 자유 선택으로서 특정한 값이 인가됨을 표시하는 "선택된 값""Selected value" indicating that a particular value is to be applied as a free choice among proposed sets or among values of a defined set.

응답하는 엔티티에 의해 공급된 값을 표시하는 "공급된 값".The "supplied value" indicating the value supplied by the responding entity.

메시지message BCBC 매개변수 parameter SETUPSETUP CALLCALL PROCPROC 데이터비트수(Number of data bits ( NDBNDB )) 요구된 값Requested value 요구된 대로As required 패리티 정보(Parity information ( NPBNPB )) 요구된 값Requested value 요구된 대로As required 정지비트수(Number of stop bits NSBNSB )) 요구된 값Requested value 요구된 대로As required 연결 요소(Connection element ( CECE )) 요구된 값(T/Required value (T / NTNT )) 요구된 대로As required 표시된 바람직한 값을 갖는 "둘 다"(예컨대, “Both” with the desired values indicated (eg, NTNT 둘 다) both) 선택된 값(T/Selected value (T / NTNT )) 사용자 레이어2프로토콜(User Layer 2 Protocol ( UIL2PUIL2P )) 요구된 값 또는 Requested value or NAVNAV 요청된 대로 또는 Or as requested NAVNAV 사용자 속도User speed 요구된 값Requested value 요청된 대로As requested 데이터 압축(Data Compression ( DCDC )) 요구된 값Requested value 요청된 대로, 또는"As requested, or " NONO "" 고정 네트워크 사용자 속도(Fixed network user speed ( FNURFNUR )) 요구된 값Requested value 공급된 값Supplied value 다른 모뎀 유형(Other modem types ( MTMT )) 요구된 값Requested value 공급된 값Supplied value 사용자 개시형 변형 표시(User-initiated variant display ( UIMIUIMI )) 요구된 값Requested value 공급된 값Supplied value

다음의 표는 이동 단말에 대해 셋업된 이동단말 호에 관련한 매개변수들, 즉 이동 단말에 전해지는 CALL CONFIRMED 메시지에 포함되는 베어러 능력 매개변수들을 도시한다.The following table shows parameters related to the mobile call set up for the mobile terminal, namely bearer capability parameters included in the CALL CONFIRMED message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메시지message BCBC 매개변수 parameter SETUPSETUP CALLCALL CONFCONF 데이터비트수(NDB)Number of data bits (NDB) 제안된 값Suggested value 선택된 값(자유 선택)Selected value (free choice) 패리티 정보(NPB)Parity Information (NPB) 제안된 값Suggested value 선택된 값(자유 선택)Selected value (free choice) 정지비트수(NSB)Stop Bits (NSB) 제안된 값Suggested value 선택된 값(자유 선택)Selected value (free choice) 연결 요소(CE)Connection Element (CE) 요구된 값(T/NT)Required value (T / NT) 요구된 대로 또는 선택된 값(T/NT)(자유 선택)As Required or Selected Value (T / NT) (Free Choice) 표시된 바람직한 값을 갖는 "둘 다"(예컨대, NT둘 다)"Both" (eg, both NT) with the desired values indicated 선택된 값(T/NT)Selected value (T / NT) 동기/비동기Synchronous / Asynchronous 요구된 값Requested value 요구된 대로 또는 선택된 값As requested or selected value 레이트 적응/다른 레이트 적응Rate adaptation / other rate adaptation 요구된 값Requested value 요구된 대로 또는 선택된 값As requested or selected value 사용자 정보 레이어2프로토콜(UIL2P)User Information Layer 2 Protocol (UIL2P) 제안된 값 또는 NAVSuggested value or NAV 선택된 또는 NAVSelected or NAV 사용자 속도User speed 제안된 값Suggested value 선택된 값Selected value 데이터 압축(DC)Data Compression (DC) 요구된 값Requested value 요구된 대로 또는 "NO"As required or "NO" 고정 네트워크 사용자 속도(FNUR)Fixed network user speed (FNUR) 제안된 값Suggested value 선택된 값Selected value 다른 모뎀 유형(MT)Other modem type (MT) 제안된 값Suggested value 선택된 값Selected value 사용자 개시형 변형 표시(UIMI)User-Initiated Deformation Indication (UIMI) 제안된 값Suggested value 선택된 값Selected value

SETUP 또는 CALL CONFIRMED 메시지에서의 베어러 능력(BC) 매개변수 값의 유효성은A/Gb 모드, GERAN(GSM/EDGE 무선접속망) Iu 모드, UTRAN Iu 모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어떤 매개변수들은 UTRAN 또는 GERAN Iu 모드에 무관하고 주어진 어떠한 값이라도 유효하고 무시된다. 이 매개변수들은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BC IE)에 이용 가능할 수 있다. UTRAN Iu 모드, GERAN Iu 모드 및A/Gb 모드에 관련되는 그 매개변수들의 경우, 어떤 값들은 시스템들 중의 하나에서 무효할 수 있다. 무효한 매개변수 값들은 베어러 능력(BC)의 거절 및 후속하는 호의 해제를 초래할 수 있다. UTRAN 또는 GERAN Iu 모드에서 무시되는 매개변수들은 디폴트값들로 또는A/Gb 모드에 대한 우발적인 핸드오버를 고려하여 특정 값들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하나의 시스템에서 무효한 매개변수 값들은 다른 시스템으로부터의 핸드오버가 실패하게 할 수 있다. 다음의 표는A/Gb 모드에서 무시되는 매개변수들과 UTRAN Iu 모드에서 그리고 UTRAN Iu 모드에서 유효성이 서로 다른 매개변수 값들의 목록들을 보인다. The validity of bearer capability (BC) parameter values in SETUP or CALL CONFIRMED messages may vary depending on A / Gb mode, GERAN (GSM / EDGE radio access network) Iu mode, or UTRAN Iu mode. Some parameters are valid and ignored for any given value regardless of UTRAN or GERAN lu mode. These parameters may be available to the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 (BC IE). For those parameters related to UTRAN Iu mode, GERAN Iu mode and A / Gb mode, some values may be invalid in one of the systems. Invalid parameter values can result in rejection of bearer capability BC and release of subsequent calls. Parameters ignored in UTRAN or GERAN Iu mode may be set to default values or to specific values in consideration of accidental handover for A / Gb mode. Invalid parameter values in one system may cause a handover from another system to fail. The following table shows a list of parameters that are ignored in A / Gb mode and whose valid values are different in UTRAN Iu mode and in UTRAN Iu mode.

매개변수/ Parameter / value GSMGSM UMTSUMTS 무선채널요건들/임의 Radio Channel Requirements / Arbitrary 유효available 무시됨Ignored 사용자속도/임의 User speed / random 유효available 무시됨Ignored 중간속도/임의 Medium speed / random 유효available 무시됨Ignored 전송측 NIC/임의 Transmitting NIC / Random 유효available 무시됨Ignored 수신측 NIC /임의 Receive Side NIC / Any 유효available 무시됨Ignored 요구된 IR 협상/임의 IR Negotiation Requested / Arbitrary 유효available 무시됨Ignored 수락가능한 채널 부호화/Acceptable Channel Coding / 임의option 유효available 무시됨Ignored 최대 통화채널 수/임의 Maximum number of call channels / random 유효available 무시됨Ignored 사용자 개시형 변형 표시/임의 User-initiated variant display / arbitrary 유효available 무시됨Ignored 비대칭 선호 표시/임의 Asymmetrical preference indicator / arbitrary 유효available 무시됨Ignored 모뎀 유형/Modem Type / V.21, V.22, V.22V.21, V.22, V.22 bisbis , V.26, V.26 terter 유효available 무효invalidity V.32V.32 유효available CE=T의 경우 무효Invalid for CE = T 고정 네트워크 사용자속도(Fixed network user speed ( FNURFNUR )/) / 32 32 kbitkbit /s/ s CE = NT의 경우 무효Invalid for CE = NT 유효available kbitkbit /s/ s 무효invalidity 유효available 9.6, 14.4, 19.2, 38.4, 48.09.6, 14.4, 19.2, 38.4, 48.0 유효available CE=T의 경우 무효Invalid for CE = T 28.828.8 유효available ITC=UDI인 경우에 CE=T의 경우 무효Invalid for CE = T when ITC = UDI 다른 레이트 적응/ Other rate adaptation / PIAFSPIAFS 무효invalidity 유효available

이 기술의 숙련된 자들은 위에서 주어진 가르침을 기초로 하는 발명의 개념을 올바로 인식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기술들로 동작할 수 있는 이중모드 이동 단말이 존재한다. 특히, 이중모드 이동 단말들은 GSM, GPRS 장착GSP(GSM with GPRS) 및/또는 EDGE강화 GSM과 같은 2세대 PLMN, 및 3세대 PLMN, 특히 WCDMA, UMTS 등과 함께 사용 가능하다. 그런 이중모드 이동 단말들은 2세대 네트워크 기술과 3세대 네트워크 기술 사이의 시스템간 핸드오버가 허용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또한 시스템의 다른 기술들 사이에서도, 그러한 시스템간 핸드오버들은 기존에는 네트워크 측정들, 이를테면 커버리지, 신호 품질 매개변수들(신호 강도, 신호 에러율 등), 연결 품질 매개변수들(블록 에러율 등), 부하, 서비스 품질 매개변수들 및 서비스 품질을 기초로 하여 동작되고 있다. 서비 스 기반 핸드오버에 대해 핸드오버가 하나의 네트워크에 의해서만 지원되는 서비스들에 기초하여 행해질 가능성이 있지만, 서비스 기반 핸드오버에 대한 요구의 표시를 위해 정의된 수단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서비스 기반 핸드오버들이 어떠한 실제적인 구현은 없고 말뿐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e concept of invention based on the teaching given above. There are dual-mode mobile terminals that can operate with different network technologies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dual-mode mobile terminals can be used with second generation PLMNs such as GSM, GSM with GPRS and / or EDGE enhanced GSM, and third generation PLMNs, in particular WCDMA, UMTS and the like. Such dual-mode mobile terminals are allowed for intersystem handover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generation network technologies. As described above, and also among other technologies in the system, such intersystem handovers have traditionally been network measurements, such as coverage, signal quality parameters (signal strength, signal error rate, etc.), connection quality parameters ( Block error rate, etc.), load, quality of service parameters and quality of service. For service-based handovers, it is possible that handovers would be made based on services supported by only one network, but there is currently no means defined for the indication of the need for service-based handovers. This means that service-based handovers can be silent without any practical implementation.

현재 이동 단말들 및 네트워크들이 동작하는 공통의 방식은 그것들이 3세대 기술로 동작하는 PLMN들만의 멀티미디어 전화를 지원할 뿐 2세대 기술 PLMN들의 멀티미디어 전화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현재의 규격들에 따라서, 3세대 PLMN에서 동작할 때에만 이동 단말들은 멀티미디어 호들을 요구할 수 있다. 더욱이, 이 네트워크 측정들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는 이중모드 이동 단말에 언제라도 2세대 기술 PLMN으로 동작할 것을 주문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지금 멀티미디어 비디오 전화 호를 하고 싶어하면, 지금까지는 그러한 멀티미디어 비디오 전화 호를 이동 단말이 요구하는 방법이 없었다. 사실, 이중모드 이동 단말은 소망된 멀티미디어 호가 행해질 수 없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밖에 어떠한 것도 할 수 없다.A common way in which mobile terminals and networks currently operate is that they support multimedia telephony only of PLMNs operating with third generation technology but do not support multimedia telephones of second generation technology PLMNs. In accordance with current standards, mobile terminals may require multimedia calls only when operating in third generation PLMN. Moreover, based on these network measurements, the network may order the dual-mode mobile terminal to operate with the second generation technology PLMN at any time. If the user now wants to make a multimedia video phone call, there has been no way for the mobile terminal to request such a multimedia video phone call so far. In fact, a dual-mode mobile terminal can do nothing except notify the user that the desired multimedia call cannot be made.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는데, 그것은 3세대 기술 PLMN과 2세대 기술 PLMN, 특히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CDMA)을 채용하는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지상 무선접속망(UTRAN; 1)과 이동통신 세계화 시스템(GSM) 무선접속망(2)을 구비하고 있다. UTRAN(1)은 기지국(BS)을 구비하며 이 기지국은 무선망 제어기(RNC)에 연결된다. UTRAN(1)의 무선망 제어기(RNC)는 홈 위치 레지스터(HLR)와 모바일 서비스 교환국(MSC)에 연결된다. GSM 무선접속망(RAN)은 기지국(BTS)를 구비하며, 이 기지국은 기지국 제어기(BSC)에 연결된다. GSM RAN(2)의 기지국 제어기(BSC)는 홈 위치 레지스터(HLR)에, 모바일 서비스 교환국(MSC)에 연결된다. 추가의 네트워크 엔티티들 이를 테면 방문 위치 레지스터(VLR), 상호연동 기능(IWF), 서빙용 GPRS 지원 노드(SGSN), 게이트웨이 GPRS 지원 노드(GGSN)는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에 속한다. 코어 네트워크는 PLMN 중의, 다른 PLMN들에 대한, 전화망들 및 데이터망들(패킷교환망들, 인터넷)과 같은 외부 통신망들에 대한 통신들을 교환하기 위해 소용된다.Referring to FIG. 4A, there is show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univers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errestrial radio employing third generation technology PLMN and second generation technology PLMN, in particular,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 connection network (UTRAN) 1 and a mobile communication globalization system (GSM) wireless access network 2 are provided. The UTRAN 1 has a base station (BS) which is connected to a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of the UTRAN 1 is connected to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and a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The GSM radio access network (RAN) has a base station (BTS), which is connected to a base station controller (BSC). The base station controller BSC of the GSM RAN 2 is connected to a home location register (HLR) and to a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Additional network entities such as visited location register (VLR), interworking function (IWF), serving GPRS support node (S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GGSN) belong to the core network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he core network is used to exchange communications among other PLMNs in the PLMN to external communications networks, such as telephone networks and data networks (packet switched networks, the Internet).

도시된 통신 시스템은 또한 GSM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을 위한 WCDMA 네트워크 기술을 지원하는 이중모드 이동 단말을 포함한다. 이중모드 이동 단말은 통신 서비스들을 위해 UTRAN이나 GSM RAN과 함께 사용 가능하다. 이중모드 이동 단말은 2세대 기술 네트워크를 구현한 GSM RAN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다고 가정될 것이다. 특정 부류의 멀티미디어 호들을 나타내는 비디오 전화 호들은, 도 2a및 2b를 참조하여 위에서 상세히 설명된 호 제어(CC) 레벨 메시지들로써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멀티미디어 전화 호들과 특히 비디오 전화 호들은 멀티미디어 전화 서비스들을 지원하는 3세대 기술 네트워크, 즉 여기서는 UTRAN에서 이동 단말이 동작할 것을 통상 요구한다.The illustrated communication system also includes a dual-mode mobile terminal that supports GSM as well as WCDMA network technology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dual mode mobile terminal can be used with UTRAN or GSM RAN for communication services. It will be assumed that the dual mode mobile terminal is currently used in the GSM RAN implementing the second generation technology network. Video telephony calls representing a particular class of multimedia calls are required as call control (CC) level messages detail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Nevertheless, multimedia telephone calls and in particular video telephone calls typically require the mobile terminal to operate in a third generation technology network that supports multimedia telephone services, here UTRAN.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는데, 그것은 3세대 기술 PLMN과 2세대 기술 PLMN, 특히 광대역 코드분할 다중접속(WCDMA)을 채용하는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 지상 무선접속망(UTRAN; 1)과 이동통신 세계화 시스템(GSM) 무선접속망(2)을 구비하고 있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제1 및 제2 실시예들의 통신 시스템들은 약간만 다르다. 특히,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GSM RAN(1) 및 UTRAN(2)에 각각 관련된 다른 모바일 서비스 교환국들(MSC-A 및 MSC-B)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4b, there is show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univers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third generation technology PLMN and second generation technology PLMN, in particular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 radio access network (UTRAN) 1 and a mobile communication globalization system (GSM) radio access network 2 are provided. The communication systems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shown in FIGS. 4A and 4B differ only slightly. In particular, the second embodiment has, in contrast to the first embodiment, other mobile service switching stations (MSC-A and MSC-B) respectively associated with the GSM RAN 1 and the UTRAN 2.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모바일 발신 호 확립 절차뿐 아니라 모바일 착신 호 확립 절차에 따라서 본 발명의 개념이 설명될 것이다. 5A and 5B,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mobile outgoing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as well as the mobile incoming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바일 발신 비디오(멀티미디어) 전호 호의 경우에, 이동 단말은 SETUP 메시지로 호를 요구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SETUP 메시지는 하나 이상의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BC IE)를 포함하는데, 이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는 확립하려는 호에 관한 베어러 요건들을 표시한다. SETUP 메시지를 부호화하고 송신하기 전에, 이동 단말의 현재 신청서(subscription)가 점검되어 이동 단말이 GSM RAN(또는 GERAN BSS)이나 UTRAN에 현재 가입되어 있는지를 결정한다. 여기서, 이중모드 이동 단말은 GSM RAN(또는 GERAN BSS)에서 동작한다. 결과적으로, 소망된 비디오(멀티미디어) 전화 호는 허용될 수 없지만, 이중모드 이동 단말의 UTRAN으로의 핸드오버 후에 인에이블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달하려는 SETUP 메시지는 요구된 베어러 서비스(들)이 이용 가능한지의 표시와 함께 부호화된다.In the case of a mobile outgoing video (multimedia) call as shown in FIG. 5A, the mobile terminal requests the call in a SETUP message. As described above, the SETUP message includes one or more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s (BC IEs), which indicate bearer requirements for the call to be established. Before encoding and transmitting the SETUP message, the mobile terminal's current subscription is checked to determine if the mobile terminal is currently subscribed to the GSM RAN (or GERAN BSS) or UTRAN. Here, the dual mode mobile terminal operates in the GSM RAN (or GERAN BSS). As a result, the desired video (multimedia) telephone call may not be allowed, but may be enabled after a handover of the dual mode mobile terminal to the UTRAN. As a result, the SETUP message to be delivered is encoded with an indication of whether the requested bearer service (s) are available.

도 3과 그것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가 참조하면, 당업자들에게는 베어러 능력(BC) 매개변수 값의 유효성이, SETUP 메시지에서는, (GSM RAN, GERAN BSS) A/Gb 모드에서 UTRAN Iu 모드로 달라질 수 있다고, 즉 2세대 특화 필드들과 3세대 특화 필드들이 있다고 생각된다. 요구된 멀티미디어 호를 위한 지원이 부족함에 관하여 네트워크, 즉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에 알려주기 위해, 하나 이상의 2세대 특화 베어러 능력 필드, 예를 들면 채널 부호화 필드들이 "수락 불가"로 설정될 수 있다. 매개변수 값 "수락 불가"는 숫자 또는 이진 표현에 따라서 부호화될 수 있다. 즉, 특히, 매개변수 값인 "수락 불가"는 숫자, 십진수 및 이진수 "0"으로 각각 부호화될 수 있다. 다른 어느 표현도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대신에, 이중모드 이동 단말이 WCDMA(UMTS) PLMN에 가입됨에 따라 속도 값 33.6kbit/s이 유효한 값이 되는 고정 네트워크 사용자 속도(FNUR)와 같은 다른 유효한 매개변수 값들을 가지는 2세대 특화 필드들 및 3세대 특화 필드들이 존재한다. 더욱이, 고정 네트워크 사용자 속도(FNUR)는, 2세대 기술 네트워크에는 적용될 수 없지만 핸드오버가 의도되는 3세대 기술 네트워크에는 적용될 수 있는 다른 데이터속도 값을 담고 있을 수 있다. UMTS에서, 비디오 전화 호는 64kbit/s의 투명한 데이터 통신 접속에 사용 가능하다.Referring back to FIG. 3 and its descrip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validity of the bearer capability (BC) parameter value, in the SETUP message, may vary from (GSM RAN, GERAN BSS) A / Gb mode to UTRAN Iu mode, That is, it is considered that there are second generation specialized fields and third generation specialized fields. In order to inform the network, i.e.,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about the lack of support for the required multimedia call, one or more second generation specialized bearer capability fields, for example channel encoding fields, may be set to "unacceptable." The parameter value "non-acceptable" can be encoded according to a numeric or binary representation. That is, in particular, the parameter value "not acceptable" may be encoded as a numeric, decimal and binary "0", respectively. It should be noted that any other expression is equally applicable. Instead, second-generation specialized fields with other valid parameter values, such as fixed network user speed (FNUR), where the speed value 33.6 kbit / s becomes a valid value as the dual-mode mobile terminal joins the WCDMA (UMTS) PLMN; There are third generation specialized fields. Moreover, fixed network user speed (FNUR) may contain other data rate values that may not apply to second generation technology networks but may apply to third generation technology networks where handover is intended. In UMTS, video telephony calls are available for transparent data communication connections of 64 kbit / s.

네트워크, 즉 MSC에 구현될 수 있는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수정된 하나 이상의 베어러 능력 필드 값들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BC IE)를 담고 있는 SETUP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것은 하나 이상의 채널 부호화 필드가 "수락 불가"(값 "0")를 담을 수 있고 및/또는 FNUR 필드는 GSM RAN 모드로는 수락 불가인 속도 매개변수 값(예컨대 33.6kbit/s, 64kbit/s 등)을 담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i.e. the network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MSC, receives a SETUP message containing one or more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s (BC IEs) with one or more bearer capability field values modifi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 This may mean that one or more channel coding fields may contain "unacceptable" (value "0") and / or the FNUR field may be a rate parameter value (eg 33.6 kbit / s, 64 kbit / s, etc. not acceptable in GSM RAN mode). ) Can be stored.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는 하나 이상의 수신된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BC IE)를 분석하고 변형들을 검출한다. 이 검출은 이중모드 이동 단말이 현재 가입해 있는 접속망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서비스, 여기서는 비디오(멀티미디어) 전화 호를 이중모드 이동 단말이 요구하고 있음을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에 표시한다. 그러므로, 네트워크는 이중모드 이동 단말의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개시한다. 그런 시스템간 핸드오버 절차는 도 1a 및 1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어 있다. 시스템간 핸드오버의 완료 후, 이중모드 이동 단말은 이제 요구된 통신 서비스, 여기서는 멀티미디어의(비디오) 전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3세대 PLMN(WCDMA, UMTS)에서 동작하고 있다. 그래서, 호 확립 절차는 네트워크의 호 제어(CC) 엔티티에 의해 이중모드 이동 단말의 호 제어 엔티티에 송신되는 CALL PROCEEDING 메시지로써 계속될 수 있다. 호 확립 절차는 이제 도 2a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호 셋업 절차에 실질적으로 뒤이어 계속된다.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analyzes one or more received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s (BC IEs) and detects modifications. This detection indicates to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that the dual mode mobile terminal is requesting a service that is not supported by the access network to which the dual mode mobile terminal is currently subscribed, here a video (multimedia) telephone call. Therefore, the network initiates an intersystem handover of a dual mode mobile terminal. Such intersystem handover procedure i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A and 1B.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tersystem handover, the dual mode mobile terminal is now operating on the third generation PLMN (WCDMA, UMTS) which supports the required communication service, here multimedia (video) telephone service. Thus, the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may continue with a CALL PROCEEDING message sent by the call control (CC) entity of the network to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dual mode mobile terminal. The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now continues substantially following the call setup procedur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A.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바일 착신 비디오(멀티미디어) 전화 호의 경우에는, 이동 단말이 현재 가입되어 있는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는 이동 단말의 호 제어 엔티티에 SETUP 메시지로 착신 호를 통지한다. 이 SETUP 메시지는 호출 엔티티가 멀티미디어 호를 확립하기를 바라고 있음을 이동 단말에 표시한다. 이동 단말은 이 SETUP 메시지에 CALL CONFIRMED 메시지로 대답하는데, CALL CONFIRMED 메시지는 이 멀티미디어 호를 위해 이동 단말의 능력들에 관한 정보를 정의하는 하나 이상의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BC IE)를 담고 있다. 기존의 경우를 참조하면, CALL CONFIRMED 메시지는 SETUP 메시지에 의해 요구된 비디오(멀티미디어) 전화 호의 지원 결여 때문인 거절 표시를 담고 있어야 한다. 기존의 경우와 대조적으로, 이동 단말의 베어러 능력들에 관해 네트워크에 알려주기 위해 하나 이상의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BC IE)를 담고 있는 CALL CONFIRMED 메시지는, 앞서 설명된 방식으로 변형된 매개변수 값을 가지는 베어러 능력 필드들을 포함한다. 이것은 이동 단말의 호 제어(CC) 엔티티가 하나 이상의 2세대 특화 베어러 능력 필드들, 예를 들어 "수락 불가"(또는 값 "0"와 같은 임의의 표현)로 설정된 채널 부호화 필드들을 가지게끔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BE IE)를 부호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르게는, 호 제어(CC) 엔티티는 3세대 기술 네트워크에서 이동 단말이 동작함에 따라서만 적용 가능한 매개변수 값, 이를테면 이중모드 이동 단말이 WCDMA(UMTS) PLMN에서 동작함에 따른 유효 필드 매개변수 값이 속도 값 33.6kbit/s(또는 64kbit/s 또는 임의의 다른 적용가능 값)인 고정 네트워크 사용자 속도(FNUR)를 가지게끔 하나 이상의 2세대 특화 필드들을 부호화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변형된 하나 이상의 베어러 능력 필드 값들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BC IE)를 담고 있는 CALL CONFIRMED 메시지는, 이동 단말의 호 제어(CC) 엔티티에 의해 네트워크의 호 제어(CC) 엔티티에 송신된다.In the case of a mobile incoming video (multimedia) telephone call as shown in FIG. 5B,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currently subscribed notifies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with a SETUP message. This SETUP message indicates to the mobile terminal that the calling entity wishes to establish a multimedia call. The mobile terminal responds to this SETUP message with a CALL CONFIRMED message, which contains one or more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s (BC IEs) that define information about the capabilities of the mobile terminal for this multimedia call. Referring to the existing case, the CALL CONFIRMED message must contain a rejection indication due to the lack of support of the video (multimedia) phone call required by the SETUP message. In contrast to the existing case, a CALL CONFIRMED message containing one or more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s (BC IEs) to inform the network about bearer capabilities of the mobile terminal has a parameter value modifi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Bearer capability fields. This allows the call control (CC)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to have channel coding fields set to one or more second generation specialized bearer capability fields, eg, "unacceptable" (or any representation such as value "0"). Means encoding the information element (BE IE). Alternatively, a call control (CC) entity may have a parameter value applicable only as the mobile terminal operates in a 3G technology network, such as an effective field parameter value as the dual mode mobile terminal operates in WCDMA (UMTS) PLMN. Encode one or more second generation specialized fields to have a fixed network user speed (FNUR) with a value of 33.6 kbit / s (or 64 kbit / s or any other applicable value). A CALL CONFIRMED message containing one or more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s (BC IEs) with one or more bearer capability field values modifi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is controlled by the call control (CC)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CC) Sent to the entity.

네트워크, 즉 MSC로 구현될 수 있는 그것의 호 제어 엔티티는, CALL CONFIRMED 메시지를 수신하는데, 그 메시지는 앞서 설명된 방식으로 변형된 하나 이상의 베어러 능력 필드 값들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BC IE)를 담고 있다. 이것은 하나 이상의 채널 부호화 필드들이 "수락 불가"를 담을 수 있고 및/또는 FNUR 필드는 GSM RAN 모드에는 적용 불가인 속도 매개변수 값(예컨대 33.6kbit/s, 64kbit/s 등)을 담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network, ie its call control entity, which may be implemented in an MSC, receives a CALL CONFIRMED message, which message has one or more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s (BC IEs) having one or more bearer capability field values modifi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 This may indicate that one or more channel coding fields may contain "not acceptable" and / or the FNUR field may contain a speed parameter value (eg 33.6 kbit / s, 64 kbit / s, etc.) that is not applicable to GSM RAN mode. it means.

네트워크의 호 제어(CC) 엔티티는 하나 이상의 수신된 베어러 능력 정보 요 소(BC IE)를 분석하고, 변형들을 검출한다. 이 검출은 이중모드 이동 단말이 현재 가입해 있는 접속망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서비스, 여기서는 비디오(멀티미디어) 전화 호를 이중모드 이동 단말이 요구하고 있음을 네트워크의 호 제어(CC) 엔티티에 표시한다. 그러므로, 네트워크는 이중모드 이동 단말의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시작한다. 그런 시스템간 핸드오버 절차는 도 1a 및 1b를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어 있다. 특히, MSC는 이동 단말이 현재 가입해 있는 GERAN BSS에 UTRAN으로의 핸드오버에 관해 알려준다. 시스템간 핸드오버의 완료 후, 이중모드 이동 단말은 이제, 요구된 통신 서비스, 여기서는 멀티미디어(비디오) 전화 서비스를 지원하는 3세대 PLMN(WCDMA, UMTS)에서 동작한다. 따라서, 호 확립 절차는 이동 단말의 호 제어(CC) 엔티티에 의해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 및 호출 엔티티에 각각 송신되는 ALERTING 메시지로 계속될 수 있다. 호 확립 절차는 이제 도 2b를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호 셋업 절차에 실질적으로 뒤이어 계속된다.The call control (CC) entity of the network analyzes one or more received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s (BC IEs) and detects variations. This detection indicates to the call control (CC) entity of the network that the dual mode mobile terminal is requesting a service that is not supported by the access network to which the dual mode mobile terminal is currently subscribed, here a video (multimedia) telephone call. Therefore, the network initiates an intersystem handover of the dual mode mobile terminal. Such intersystem handover procedure i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A and 1B. In particular, the MSC informs the GERAN BSS to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currently subscribed for handover to the UTRA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tersystem handover, the dual mode mobile terminal now operates in the third generation PLMN (WCDMA, UMTS) which supports the required communication service, here multimedia (video) telephone service. Thus, the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may continue with an ALERTING message sent by the call control (CC)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to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network, and to the calling entity, respectively. The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now continues substantially following the call setup procedur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2B.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은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가 2세대 기술 네트워크들 및 3세대 기술 네트워크들에 적용 가능한 다른 필드들 및 또는 다른 필드 매개변수 값들을 가진다는 것에 기초한다. 예를 들면, 3세대 기술 시스템, 이를테면 WCDMA와UMTS에 어떠한 채널 부호화도 없고, 그래서 채널 부호화 필드들이 GSM과 같은 2세대 기술 시스템에 대해서만 유효한 경우가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필드들의 어떤 매개변수 값은 하나의 시스템에만 적용 가능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고정 네트워크 사용자 속도(FNUR) 필드에서의 데이터 속도 33.6(64kbit/s)은 3세대 기술 시스템들에 대해서만 적용 가능하다.In principle,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is based on that the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 has other fields and / or other field parameter values applicable to second generation technology networks and third generation technology networks. For example, there is no channel coding in third generation technology systems, such as WCDMA and UMTS, so there are cases where channel coding fields are valid only for second generation technology systems such as GSM. In the same way, certain parameter values of the fields may be applicable to only one system, for example, data rate 33.6 (64 kbit / s) in the fixed network user speed (FNUR) field is only for 3rd generation technology systems. Applicable

발명의 개념은 몇 가지 이점들을 포함한다. 네트워크에 대해 (서비스 기반 단말 발신) 시스템간 핸드오버 표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동 단말과 네트워크 및 그 엔티티들 사이의 시그널링에 필요한 새로운 메시지들 또는 정보 요소들은 없다. 예전의 표준 규격들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들 및 예전의 표준 규격들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요소들 및 구성요소들의 상호 운용성은 그러한 단말들, 엔티티들 및 구성요소들의 운용성이 보장되도록 타협되지 않는다. 예전의 표준을 기초로 하여 실현되고 있는 네트워크 엔티티/구성요소를 위한 유일한 합리적인 방도는 어떠한 채널 코딩도 지원되지 않아 호가 단절되게 하는 상황들을 다루는 것이다. 사용자 측면에서, 이것은 여기에 제시된 기능성을 구현하지 않는 이동 단말의 행동에 비교하여 유사한 행동이다. 모바일 서비스 교환국(MSC)에서부터 이동 단말로의 통신은, 채널 부호화물(channel codings)이 이동 단말에 이 (하향)방향으로 송신되는 SETUP 메시지에 채워지지 않는다면,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모바일 착신 SETUP 메시지는 실제로 정확히 동일한 것으로 남아 있다.The concept of the invention includes several advantages. There are no new messages or information elements required for signaling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network and its entities to enable cross-system handover indication for the network (service-based terminal origination). The interoperability of mobile terminals supporting the old standard and network elements and components supporting the old standard is not compromised to ensure the operability of such terminals, entities and components. The only reasonable way for network entities / components to be realized on the basis of old standards is to deal with situations in which no channel coding is supported and the call is disconnected. On the user side, this is a similar behavior compared to that of a mobile terminal that does not implement the functionality presented here. Communication from the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to the mobile terminal is substantially unaffected unless channel codings are populated in the SETUP message sent in this (downward) direction to the mobile terminal. In other words, the mobile incoming SETUP message remains exactly the same.

이 기술의 숙련된 자들은 용어 RAN이 그것의 일반적 이해로는 표준 기술서의 그것과는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2세대 기술 네트워크와 특히 GSM 네트워크와의 결합의 무선접속망(RAN)은 GERAN BSS(Base Station Subsystem)으로서 이해될 수도 있다. 3세대 무선접속망을 명기하기 위해, 용어 UTRAN이 명세서에서 사용되고 있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term RAN may differ from that of the standard description in its general understanding. A radio access network (RAN) in combination with a second generation technology network and in particular a GSM network may be understood as a GERAN BSS (Base Station Subsystem). In order to specify the third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the term UTRAN is used in the specification.

이동 단말을 위한 시스템간 핸드오버가 개시되기 전에 CALL PROCEEDING 메시지(도 5a에 보임)가 이동 단말에 송신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It is to be noted that a CALL PROCEEDING message (shown in FIG. 5A) may be sent to the mobile terminal before the intersystem handover for the mobile terminal is initiated.

통신망은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위한 모바일 발신 서비스 기반 표시(모바일 발신 호 확립의 경우에는 SETUP 메시지 내에 부호화되고 모바일 착신 호 확립의 경우에는 CALL CONFIRMED 메시지 내에 부호화됨)를 이동 단말이 현재 연결되어 있는 무선접속망을 경유하여 수신하고, 이 무선접속망이 요구된 무선접속 기술을 채용하지 않은 경우에, 통신망은 이동 단말이 요구된 기술을 이용하여 셀로 핸드오버될 수 있는지를 점검한다는 점에 주의한다. 최종 결정은 그래서 통신망에 의해 취해지고 그에 더하여 이동 단말이 알지 못하는 네트워크 구성 및 현재 부하 상황과 같은 다른 관련된 요인들에 의존한다. 만일 그것이 가능하면, 통신망은 바람직한 무선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을 셀에 핸드오버할 것이다. 그래서, 통신망은 가장 적합한 무선접속 기술을 가능한 한 일찍 사용하여 셀을 할당할 수 있다. 이후, 통신망은 바람직한 무선접속 기술에 관해 제공된 지식을 이동 단말이 연결의 지속기간 동안 이 기술을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유지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uses the mobile origination service based indication for inter-system handover (encoded in the SETUP message in the case of mobile outgoing call establishment, and encoded in the CALL CONFIRMED message in the case of establishment of mobile incoming call). Note that in the case of receiving via and the radio access network does not employ the required radio access technology, the communication network check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can be handed over to the cell using the required technology. The final decision is thus taken by the network and in addition depends on other relevant factors such as network configuration and current load conditions that the mobile terminal is not aware of. If that is possible, the network will hand over the mobile terminal to the cell using the preferred radio access technology. Thus, the network can allocate the cells using the most appropriate radio access technology as early as possible. The network then maintains the knowledge provided about the desired radio access technology to enable the mobile terminal to use this technology for the duration of the connection.

도 5a 및 5b에 관련한 위의 가르침은 2세대 기술 네트워크 시스템 뿐 아니라 3세대 기술 네트워크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에 관련된 모바일 서비스 교환국(MSC)에 의해 구별될 수 있는 도 4a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공통 MSC의 대신에, 다른 MSC가 각각의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사용 가능할지도 모른다. 그런 실시예는 도 5b에서 도시되어 있는데, 그 도면에서 제1 MSC-A는 GSM RAN(1)(즉 2세대 기술 네트워크) 및 UTRAN(2)(즉 3세대 기술 네트워크)와 각각 관련된다. 시스템간 핸드오버에 관련한 취급과 시그널링은 원리적으로는 본 발명의 범위 밖에 있지만 MSC간 핸드오버를 위한 가능한 시그널링에 관한 간 략한 가르침이 주어질 것이다.The above teachings in relation to FIGS. 5A and 5B are applicable to the communication system shown in FIG. 4A, which can be distinguished by a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related to the core network of the third generation technology network system as well as the second generation technology network system. It is worth noting that. Instead of a common MSC, another MSC may be available for each network system. Such an embodiment is shown in FIG. 5B, in which the first MSC-A is associated with GSM RAN 1 (ie second generation technology network) and UTRAN 2 (ie third generation technology network) respectively. The handling and signaling related to intersystem handover is in principle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will be given a brief teaching on possible signaling for inter-MSC handover.

본 발명에 따른 이 해법을 코어 네트워크(CN)와 무선접속망(RAN) 사이의 시그널링을 위해 그리고 요구된 MSC간 핸드오버의 경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앞서 설명된 시그널링과 유사한 시그널링이 A-인터페이스 기지국 서브시스템 응용 포트(BSSAP) 시그널링에 적용될 수 있다. A-인터페이스는 모바일 서비스 교환국(MSC) 및 기지국 제어기(BSC) 사이의 시그널링 인터페이스이다. 이것은 멀티미디어 또는 비디오 전화 호(접속망 및 이동 단말 사이에 64kbit/s의 투명한 데이터 속도 통신 연결을 요구함)의 경우에, MSC는 할당요구 메시지의 채널 유형 정보 요소(CT IE)에 있는 허용된 인터페이스 데이터 속도 값들을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UMTS로의 서비스 핸드오버가 기지국 제어기(BSC)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는 표시와 함께 채널 유형 정보 요소의 옥텟 5a는 값들 0으로 설정될 수 있어야 한다. A-인터페이스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BSSAP 시그널링은 MSC간 시스템간 핸드오버 시에 MSC-A 및 MSC-B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E-인터페이스에도 적용 가능할 수 있다. 그런 MSC간 시스템간 핸드오버 동안, BSSAP의 채널 유형 IE(CT IE)는 MSC-A로부터 MSC-B에 송신된다. MSC-B는 Iu 인터페이스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를 향하여 사용되는 무선접속망 응용 포트(RANAP) 무선 액세스 베어러(RAB) 매개변수들을 만들어야만 할 것이다. 특히 이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MSC-B는 적어도 채널 유형 표시용 FNUR 64kbit/s를 얻으려고 해야 할 것인데, 그것은 비디오 전화 호를 위해 요구하는 64kbit/s의 투명한 데이터 속도 통신 연결에 상응한다.In order to be able to apply the solu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signaling between the core network (CN) and the radio access network (RAN) and in the case of the required inter-MSC handover, signaling similar to the signaling described above is A-. It may be applied to interface base station subsystem application port (BSSAP) signaling. The A-interface is a signaling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and the base station controller (BSC). This is the case for multimedia or video telephony calls (requires a 64 kbit / s transparent data rat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access network and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SC will allow the allowed interface data rate in the channel type information element (CT IE) of the assignment request message. This means that you should be able to set the values. In particular, octet 5a of the channel type information element should be able to be set to values 0 with an indication that service handover to UMTS should be performed by the base station controller (BSC). The same BSSAP signaling as used in the A-interface may also be applicable to an E-interface representing an interface between the MSC-A and the MSC-B in inter-MSC inter-system handover. During such inter-MSC intersystem handover, the channel type IE (CT IE) of the BSSAP is transmitted from the MSC-A to the MSC-B. The MSC-B will have to create the 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 Port (RANAP) radio access bearer (RAB) parameters used towards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RNC) at the lu interface. In particular to enable this, the MSC-B would have to try to obtain at least FNUR 64 kbit / s for channel type indica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64 kbit / s transparent data rate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ired for video telephony calls.

그에 더하여, 허용된 무선 인터페이스 데이터 속도를 채널 유형 정보 요소(CT IE)에서 0으로 표시할 때, 이동국(이동 단말)이 GSM 모드에서 이 서비스(무선 인터페이스 데이터 속도 0kbit/s)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MSC-B는 앞서 기술된 핸드오버 후에 이전에 확립된 연결을 위해 GSM으로 후속하는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when indicating the allowed air interface data rate as 0 in the channel type information element (CT IE), the mobile station (mobile terminal) does not support this service (wireless interface data rate 0 kbit / s) in GSM mode, The MSC-B will be aware that it is not possible to return subsequent intersystem handover to GSM for a previously established connection after the handover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기본적인 신규한 특징들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적용하여 보이고 설명되고 지적되었지만, 설명된 기기들 및 방법들의 형태와 세부 사항들에서 다양한 생략과 치환 및 변경이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벗어남 없이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여 동일한 결과들을 달성하는 그러한 요소들 및 또는 방법 단계들의 모든 조합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명백하게 의도되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어떠한 개시된 형태 또는 실시예에 관련하여 보이고 및 또는 설명된 구조들 및 또는 요소들 및 또는 방법들은 임의의 다른 개시되거나 설명되거나 제안된 형태 또는 실시예에 일반적인 설계 선택사항으로서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표시된 대로만 제한되는 것이 의도된다.Although the basic novel features of the invention have been shown, described and pointed out in the applic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omissions, substitutions and changes in the form and details of the described apparatus and methods do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done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or example, it is expressly intended that all combinations of those elements and / or method step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in substantially the same manner to achieve the same result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over, the structures and / or elements and / or methods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y disclosed form o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corporated as a general design option in any other disclosed or described or suggested form or embodim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it be limited only as indicated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Claims (28)

적어도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과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에서 동작할 수 있는 이동 단말에 의해 상기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을 경유하여 적어도 상기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 및 상기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을 포함하는 통신망에 접속하는 단계; 및A mobile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in at least a first type of wireless access network and a second type of wireless access network via at least the first type of wireless access network and the second type of wireless access network via the wireless access network of the first type.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nd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필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Initiating an inter-system handover by transmitt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field, 상기 베어러 능력 필드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가 상기 이동 단말의 협력하에 상기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과만 동작 가능함을 나타내는 방법.The bearer capability field indicates that a service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can only operate with the second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in cooper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간 핸드오버는 모바일 발신, 서비스 기반, 또는 모바일 발신 및 서비스 기반인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tersystem handover is mobile origination, service based, or mobile origination and service ba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를 위한 정보의 전송은 호 제어 절차에 따라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ransmission of the information for initiation transmits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a call control procedu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전송은 멀티미디어 전화 호 확립 절차에 따르는 방법.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is in accordance with a multimedia telephone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호 제어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코어 네트워크로 상기 호 제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3.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information comprises a call control message, and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ransmitting the call control message from the mobile terminal to a core network using the first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How to includ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필드는 상기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으로의 접속 설정에 사용할 때 적용할 수 없는 매개변수 값을 포함하는 방법.4.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field includes a parameter value that is not applicable when used in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the radio access network of the first typ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필드는 복수 개의 베어러 능력 필드들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필드의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 값 유효성은 상기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과의 통신 및 상기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과의 통신에서 상이한 방법.The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field is selected from a plurality of bearer capability fields and the validity of the at least one parameter value of the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field is such that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ype of radio network and the second type of radio Different way of communicating with the access network.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정보는 모바일 발신 호 확립 절차에 따르는 호 제어 셋업(SETUP) 메시지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comprises a call control setup (SETUP) message in accordance with a mobile originating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the method comprising: 상기 이동 단말의 호 제어 엔티티에서 상기 셋업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필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로 부호화하는 단계; 및Encoding at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the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 comprising the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field; And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서 상기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을 이용하여 상기 셋업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에 전송하여 상기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Sending, by the mobile terminal, the setup message to a call control entity of a core network using the first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to initiate the intersystem handov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정보는 이동 중단(terminating) 호 확립 절차에 따르는 호 제어 '호 확인됨(CALL CONFIRMED)' 메시지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comprises a call control 'CALL CONFIRMED' message in accordance with a terminating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상기 이동 단말의 호 제어 엔티티에서 상기 '호 확인됨' 메시지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필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로 부호화하는 단계; 및Encoding, at the call control entity of the mobile terminal, the 'call verified' message into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 including the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field; And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서 상기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을 이용하여 상기 '호 확인됨' 메시지를 코어 네트워크의 호 제어 엔티티 전송하여 상기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Sending, by the mobile terminal, a call control entity of a core network using the first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to initiate a cross-system handov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정보 요소는 "수락 불가"를 나타내도록 부호화된 값으로 설정된 모든 채널 부호화 필드들을 포함하는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 includes all channel coding fields set to a value encoded to indicate "not acceptabl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필드는 상기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과만 동작 가능한 데이터 레이트 값으로 설정된 고정 네트워크 사용자 레이트(user rate) 필드를 포함하는 방법.4. The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field of claim 1 comprising a fixed network user rate field set to a data rate value operable only with the second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Way.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네트워크 사용자 레이트 필드는 33.6kbit/s의 데이터 레이트 값으로 설정되는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xed network user rate field is set to a data rate value of 33.6 kbit / s.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은 2세대 기술 무선접속망이고 상기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은 3세대 기술 무선접속망인 방법.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rst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is a second generation technology radio access network and the second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is a third generation technology radio access network.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은 GSP/GPRS(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general packet radio system) 무선접속망이고 상기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무선접속망인 방법.The wireless network of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rst type of wireless access network is a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 general packet radio system (GSP / GPRS) wireless access network, and the second type of wireless access network is a WCDMA (WCDMA) network.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A wireless access network.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3. 적어도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 및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을 포함하는 통신망과 동작 가능한 이동 단말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a mobile terminal operable with a communication network comprising at least a first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and a second type of access network, 상기 장치는 상기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을 경유하여 상기 통신망에 접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는 모바일 발신 서비스 기반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개시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필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장치로부터 상기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으로 전송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가 상기 이동 단말과의 협력하에 상기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과만 동작 가능함을 나타내는 장치.The apparatus is configured to access the communications network via the first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the apparatus comprising information from the apparatus including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field to initiate a handover between mobile originating service based systems. Transmitting to the radio access network of the first type, wherein the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service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can operate only with the radio access network of the second type in cooper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통신망 내에서 모바일 발신 서비스 기반 시스템간 핸드오버의 개시를 위해 인에이블되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A mobile terminal enabled for initiation of inter-system handover between mobile originating servic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이동 단말은 적어도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 및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을 포함하는 상기 통신망과 동작 가능하며, 상기 이동 단말은 상기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을 경유하여 상기 통신망에 접근하고, 상기 이동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필드를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으로 전송하며, 상기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가 상기 이동 단말의 협력하에 상기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과만 동작 가능함을 나타내는 이동 단말.The mobile terminal is operable with th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t least a first type of wireless access network and a second type of wireless access network, the mobile terminal acces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via the first type of wireless access network, and the mobile The terminal transmits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fiel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he wireless access network of the first type, wherein the information is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in cooper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indicating that it can only operate with a wireless access network.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를 위한 정보의 전송은 호 제어 절차에 따라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 단말.18. 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7, wherein the transmission of the information for initiation transmits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a call control procedure.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전송은 멀티미디어 전화 호 확립 절차에 따르는 이동 단말.19. The mobile terminal of claim 18, wherein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is in accordance with a multimedia telephone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부호화하는 호 제어 엔티티, 및 상기 정보를 상기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의 호 제어 엔티티에 전송하는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20.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to 19, comprising a call control entity for encoding the information and a radio frequency interface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a call control entity of the radio access network of the first type. 통신망 내에서 모바일 발신 서비스 기반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트리거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enabled for triggering handover between mobile originating service based systems in a communication network, the apparatus comprising: 상기 장치는 상기 통신망의 일부이며, 상기 통신망을 형성하는 적어도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 및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과 동작 가능한 이동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을 경유하여 상기 통신망에 접근하는 상기 이동 단말의 상기 전송된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가 상기 이동 단말과의 협력하에 상기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과만 동작 가능함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필드를 포함한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The apparatus is part of the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mobile terminal operable with at least a first type of wireless access network and a second type of wireless access network form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first type of wireless access network. The transmitted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es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via the at least one bearer indicating that the service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can only operate with the wireless access network of the second type in cooper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Device that contains information including capability fields.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전송은 호 제어 레벨 절차에 따르는 장치.22. The apparatus of claim 21, wherein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is in accordance with a call control level procedur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의 전송은 멀티미디어 전화 호 확립 절차를 따르는 장치.23. The apparatus of claim 22, wherein the 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llows a multimedia telephone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상기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위한 지시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전송된 정보를 복호화하고 분석하는 호 제어 엔티티, 및 상기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트리거하도록 구성된 트리거링 엔티티를 포함하는 장치.24. The apparatus of any of claims 21 to 23, further comprising: an interface configured to receive the transmitted information, a call control entity to decode and analyze the transmitted information to detect an indication for intersystem handover; And a triggering entity configured to trigger the intersystem handover. 모바일 발신 서비스 기반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해 인에이블되는 통신망에 있어서,In a communication network enabled to perform handover between mobile originating service-based systems, 상기 통신망은 적어도 제1 및 제2 유형들의 무선접속망들과 상기 제1 및 제2 유형들의 상기 무선접속망들과 동작 가능한 이동 단말의 상기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트리거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망은 상기 제1유형의 무선접속망을 경유하여 상기 통신망에 접근하는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실행하며, 상기 전송된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에 의해 요청된 서비스가 상기 이동 단말의 협력하에 상기 제2유형의 무선접속망과만 동작 가능함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러 능력 필드를 포함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망.Th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n apparatus for triggering the inter-system handover of a mobile terminal operable with at least first and second types of radio access networks and the first and second types of radio access networks. The inter-system handover is performed based 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obile terminal access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via the first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wherein the transmit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the service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bearer capability field indicating that only the second type of radio access network can be operated in cooperation with a terminal.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호 제어 절차에 따르는 통신망.27. The network of claim 25 wherein the transmission is in accordance with a call control procedure.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은 멀티미디어 전화 호 확립 절차를 따르는 통신망.27. The communications network of claim 26 wherein the transmission follows a multimedia telephone call establishment procedure. 제2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주파수 인터페이스, 및 상기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위한 지시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를 복호화하고 분석하는 호 제어 엔티티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트리거하는 트리거링 엔티티가 검출에 의거하여 상기 시스템간 핸드오버를 트리거하는 통신망.28. The call control entity of any one of claims 25 to 27, further comprising: a radio frequency interface that receives the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a call control entity that decodes and analyzes the information to detect an indication for intersystem handover. And a triggering entity triggering the intersystem handover triggering the intersystem handover based on detection.
KR1020077010154A 2007-05-03 2004-11-03 Inter-system hand-over of a mobile terminal operable with a first and a second radio access network KR1009126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0154A KR100912629B1 (en) 2007-05-03 2004-11-03 Inter-system hand-over of a mobile terminal operable with a first and a second radio access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0154A KR100912629B1 (en) 2007-05-03 2004-11-03 Inter-system hand-over of a mobile terminal operable with a first and a second radio access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577A KR20070061577A (en) 2007-06-13
KR100912629B1 true KR100912629B1 (en) 2009-08-17

Family

ID=3835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154A KR100912629B1 (en) 2007-05-03 2004-11-03 Inter-system hand-over of a mobile terminal operable with a first and a second radio access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6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411B1 (en) * 2020-06-02 2021-11-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ODB Ser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2933A (en) 1997-04-29 1999-12-14 Qualcomm Incorporated Inter-system soft handoff
WO2000027051A2 (en) * 1998-10-29 2000-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 inter-system service request from a digital traffic channe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2933A (en) 1997-04-29 1999-12-14 Qualcomm Incorporated Inter-system soft handoff
WO2000027051A2 (en) * 1998-10-29 2000-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 inter-system service request from a digital traffic channel
WO2000027051A3 (en) * 1998-10-29 2000-08-10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n inter-system service request from a digital traffic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577A (en)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6566B2 (en) Inter-system hand-over of a mobile terminal operable with a first and a second radio access network
KR1009435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system active handoff of a hybrid subscriber unit
KR101172139B1 (en) Methods for handing over calls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s using dissimilar air interfaces
KR100915045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technology active handoff of a hybrid communication device
US76974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system active handoff of a hybrid subscriber unit
US8320326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technology active handoff of a hybrid communication device
US9370039B2 (en) Radio base station and method
US20050180338A1 (en) Swapping voice and video calls
KR101452794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alling party number display solutions for 1xcsfb
KR100968093B1 (en) Maintaining a data connection during a dormant data sess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0701797B1 (en) Method For Call Processing And Handoff Processing In The Converged Service System Of Unlicensed Radio Network And CDM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0912629B1 (en) Inter-system hand-over of a mobile terminal operable with a first and a second radio access network
KR100950663B1 (en) Method for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cell reselection in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mobile
GB2450322A (en) Inter-working between packet switched and circuit switched radio systems or sub-systems
KR100622642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all without transcoding between WCDMA system and CDMA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