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368B1 -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368B1
KR100912368B1 KR1020070095662A KR20070095662A KR100912368B1 KR 100912368 B1 KR100912368 B1 KR 100912368B1 KR 1020070095662 A KR1020070095662 A KR 1020070095662A KR 20070095662 A KR20070095662 A KR 20070095662A KR 100912368 B1 KR100912368 B1 KR 100912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information
home network
manager
home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393A (ko
Inventor
손영성
박준희
문경덕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95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368B1/ko
Priority to US12/177,629 priority patent/US8112506B2/en
Publication of KR20090030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81Configuration of trigger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4Configuration by using pre-existing information, e.g. using templates or copying from other elements
    • H04L41/0843Configuration by using pre-existing information, e.g. using templates or copying from other elements based on generic tem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04L41/0853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개별 댁내에 위치하며, 홈네트워크 환경설정정보를 수집/관리하는 설정정보 관리자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정보 관리서버는 원격지의 설정정보 관리서버와 또는 상기 설정정보 관리자 상호간에 상기 설정정보를 공유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유지보수에 필요한 수고를 덜게 하며, 홈네트워크 환경의 설정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 및 활용할 수 있다.
홈네트워크, 홈네트워크 설정정보, 홈네트워크 설정정보 관리서버, 홈네트워크 피어투피어.

Description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및 방법 { SYSTEM SETTING UP CONFIGURATIONS OF HOME NETWORK AUTOMATICALLY AND THE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정정보 관리서버 또는 개별 가정의 홈네트워크 환경관련 설정정보를 설정정보 관리서버 또는 피어투피어 방식으로 공유하여 검색을 통해 원하는 설정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는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신성장동력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66-02, 과제명: 고신뢰성 유비쿼터스홈 적응형 미들웨어 개발].
홈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은 말 그대로 가정에서 PC, 주변기기, 휴대폰, 가전제품 등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제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초기의 홈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은 가정 내 보안, 조명, 온도 등을 자동 통제하는 수준인 홈 오토메이션(HomeAutomation), 홈 컨트롤 시스템(Home Control System) 정도의 범위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근래들어, 한 가정 내에 여러 대의 PC 및 주변기기를 보유한 가구 수 가 증가하면서 이들을 효율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네트워킹 기술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홈네트워킹 키트(Home Networking Kit)들이 등장하면서 홈네트워킹 개념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전화선이나 전력선, 무선 등 진일보한 전송매체 기술의 발전과 DSL, Cable Modem 등 가입자망의 광대역화로 초고속인터넷이 급속히 확대되고, PC 뿐만 아니라 각종 디지털 정보단말기들이 가정 내에 등장하면서 홈네트워킹은 가정 내 디지털 정보가전기기들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외부 인터넷 망과의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지능화된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 가능하게 되었다.
홈네크워크 시스템을 활용하면 내부에서는 물론 외부에서도 인터넷이나 전화선을 통해 가정 내에 구축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컴퓨터나 디지털 텔레비젼, 디지털 비디오 플레이어, 냉/난방기등 모든 디지털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홈네트워크의 디바이스 중 하나로 PC(Personal Computer)를 들 수 있는데, PC는 일반인에게 보급된 역사가 길고,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으며, 운용체제를 제공하는 사업자 및 그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디바이스가 한정되어 있으며, PC에 사용되는 응용 소프트웨어는 몇 가지 설정만으로 간단히 설치 가능하다. 때문에 그 설정방법을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습득하여 개별적으로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홈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은 매우 다양한 디바이스가 다양한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연결되고, 다양한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 거대하고 다양한 시스템 이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들이 개별적으로 홈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의 여러가지 설정을 수동으로 설치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홈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사업자가 디바이스, 네트워크 및 응용서비스와 이를 관리하는 홈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을 수동으로 설치해주거나, 설정정보 관리서버에 이에 관한 설정정보들을 저장하여 개별 가정의 홈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홈네트워킹 기술이 점점 발달함에 따라 사업자가 제공하는 스탠더드(Standard) 형태의 홈네트워크 관리시스템에 만족하지 않고, 더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커스터마이즈(Customize)된 홈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을 원하는 사용자가 늘고 있다.
사업자가 모든 커스터마이즈된 홈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을 파악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고, 파악했다고 해도 설정정보를 표준화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데에는 좀더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소수의 사용자만을 위해서 홈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불합리하므로 사업자가 제공할 수 있는 설정정보는 한정적일 수 밖에 없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특허 공개번호 10-2006-0068358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가 설치된 다수의 가정에 다양한 홈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설정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개별 가정에서 커스트마이즈한 홈네트워크의 설정정보를 공유하여 공유된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서비스 및 시스템의 설치 또는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환경 자동 설정 시스템은 개별 댁내에 위치하며, 홈네트워크 환경설정정보를 수집/관리하는 설정정보 관리자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정보 관리자는 원격지의 설정정보 관리서버와 또는 다른 댁내의 설정정보 관리자와 상기 설정정보를 공유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홈네트워크 환경 자동 설정 시스템은 홈네트워크 오류를 인식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오류정보 및 사용자의 조치사항을 상기 설정정보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오류관리자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설정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정보 관리자로부터 수집된 설정정보 및 조치기록을 저장하는 설정정보 테이블과, 상기 설정정보 테이블로부터 각 홈네트워크 구성별로 표준 설정정보를 생성하는 표준 설정정보 생성부와, 상기 설정정보 관리자의 질의에 따라, 적절한 표준 설정정보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정정보 관리자는 홈네트워크 내 디바이스, 네트워크, 관리시스템 및 응용서비스의 목록 및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설정정보 저장부와, 오류정보 및 오류에 대한 사용자 조치사항을 기록하는 사용자 조치기록 저장부와, 상기 관리시스템의 초기화 직후 또는 환경 변화시, 필요한 설정정보를 외부로 질의하는 설정정보 질의부와, 상기 설정정보의 변경 및 신규 조치기록의 발생시 상기 설정정보 및 조치기록을 상기 설정정보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서버 전송부와, 상기 설정정보와 조치기록을 다른 댁내 설정정보 관리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설정정보 공유부로 구성된다.
이때, 설정정보는 상기 홈네트워크 내 디바이스, 네트워크, 관리시스템 및 응용서비스 별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홈네트워크 내 디바이스는 컴퓨터, 디지털 텔레비젼, 냉/난방기, DVD 플레이어, 조명, 보안카메라 등이며, 홈네트워크 내 네트워크는 전력선, 전화선, IEEE1394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의 유무선 인터페이스망, 네트워크 장비, 모뎀 등이며, 응용서비스는 인터넷 브라우저 서비스, IPTV서비스, 주거환경 제어 서비스, 보안서비스 등이다.
또한, 홈네트워크 환경 자동 설정 시스템은 그 구성요소로 홈네트워크 전반의 동작을 관리하는 홈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관리 시스템은, 개별 댁내 하나 이상의 설정정보 관리자로부터 수집된 설정정보 및 조치기록을 저장하는 설정정보 테이블과, 상기 설정정보 테이블로부터 각 홈네트워크 구성별로 표 준 설정정보를 생성하는 표준 설정정보 생성부와, 상기 설정정보 관리자의 질의에 따라, 적절한 표준 설정정보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홈네트워크 가정집단을 관리하는 설정정보 관리서버를 제공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댁내 설정정보 관리자가 홈네트워크 환경설정을 위하여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개별 가정의 홈네트워크 내 관리시스템을 초기화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화된 홈네트워크 환경을 인지하는 단계와, 초기 설정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초기 설정정보가 없으면, 설정정보 관리서버 또는 다른 가정의 설정정보 관리자에 설정하고자하는 설정정보의 존재여부를 질의하는 단계와, 설정정보 관리서버 또는 다른 가정의 설정정보 관리자로부터 해당 설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설정정보에 따라 홈네트워크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는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설정정보 획득에 실패하면, 사용자에게 수동설정 요청 메시지를 표출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홈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그리고, 개별 가정의 홈네트워크 환경 및 설정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설정정보를 개별 가정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설정정보를 설정정보 관리자에 공유 또는 설정정보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하나 이상의 홈네트워크 환경 설정정보를 수집/관리하는 설정정보 관리서버가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개별 가정의 홈네트워크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설정정보를 설정정보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정보 테이블로부터 각 홈네트워크 구성별로 표준 설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는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표준 설정정보는 상기 설정정보 테이블의 설정정보의 평균값, 최다(最多)값 중 어느 하나의 기준으로 획득되며, 설정정보는 홈네트워크 내 설치된 디바이스, 네트워크, 관리시스템 및 응용서비스 별로 관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및 방법은 다양한 네트워크로 연결된 디바이스가 설치된 관리시스템에서 다양한 응용서비스를 동작시키는 설정정보를 공유하여, 공유된 설정정보를 이용하여 개별 가정의 홈네트워크 환경 설정을 관리자의 도움없이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유지보수에 필요한 수고를 덜게 하며, 홈네트워크 환경의 설정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 및 활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을 도 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가정의 홈네트워크는 기본적으로 디바이스(140), 네트워크(130), 응용서비스(120) 및 관리시스템(110)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을 위한 홈네트워크 환경설정정보를 수집/관리하는 설정정보 관리자(100) 및 홈네트워크 오류를 인식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오류정보 및 사용자의 조치사항을 상기 설정정보 관리자(100)에게 알려주는 오류관리자(160)가 추가로 구성된다.
디바이스(140)는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되어 관리시스템(110)에 의해 관리되는 PC, 디지털 텔레비젼, 디지털 비디오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냉/난방기, 보안카메라, 조명 등의 디지털 가전제품이다.
네트워크(130)는 네트워크 관리자(131)에 의해 관리되며 다수 개의 디바이스(140)를 연결하는 전화선, 전력선, IEEE1394 등의 각종 유무선 네크워크망, 네트워크 장비, 모뎀 등으로 구성되며, 외부에 존재하는 설정정보 관리서버(300)와 홈 네크워크망을 연결하는 레지던셜 게이트웨이(Residential Gateway)(1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용서비스(120)는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103)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예컨대, PC에 설치된 익스플로러, 워드 프로그램, 포토샵 등이다.
관리시스템(110)은 디바이스(140), 네트워크(130) 및 응용서비스(120)를 포함한 홈네트워크 전반의 동작을 관리하는 역활을 한다.
설정정보 관리자(100)는 홈네트워크 환경설정정보를 수집 또는 관리하며, 설정정보 관리서버(300)와 또는 상기 설정정보 관리자(100) 상호 간에 상기 설정정보 를 공유한다.
오류관리자(160)는 홈네트워크 오류를 인식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오류정보 및 사용자의 조치사항을 상기 설정정보 관리자(100)에게 알려준다. 이러한 오류정보 및 사용자의 조치사항은 설정정보 관리자(100) 내의 사용자 조치기록 저장부(205)에 저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정정보 관리자(100)를 좀더 세부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정보 관리자(100)는 홈네트워크 내 디바이스(140), 네트워크(130), 관리시스템(110) 및 응용서비스(120)의 목록 및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설정정보 저장부(204)와, 오류정보 및 오류에 대한 사용자 조치사항을 기록하는 사용자 조치기록 저장부(205)와, 상기 관리시스템의 초기화 직후 또는 환경 변화시, 필요한 설정정보를 외부로 질의하는 설정정보 질의부(201)와, 상기 설정정보의 변경 및 신규 조치기록의 발생시 상기 설정정보 및 조치기록을 상기 설정정보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서버 전송부(202)와, 상기 설정정보와 조치기록을 다른 댁내 설정정보 관리자(100)가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설정정보 공유부(203)로 구성된다.
설정정보 질의부(201)는 개별 가정에 홈네트워크 환경 설정정보의 존재여부를 질의한다.
설정정보 저장부(204)는 홈네트워크 내 디바이스(140), 네트워크(130), 응용서비스(120), 관리시스템(110) 목록 또는 환경 및 설정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디바이스(140)의 설정정보는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 냉/난방기의 기본온도, 조명의 밝기 등이며, 네트워크(130)의 설정정보는 전력선, 전화망, IEE1394를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망의 가용대역, QoS 파라미터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응용서비스(120)의 설정정보는 인터넷 브라우저의 기본홈페이지, IPTV서비스의 채널, 쾌적온도서비스의 쾌적온도 범위, 보안서비스의 카메라 해상도 등이며, 관리시스템(110)의 설정정보는 시스템 버전 및 패치 등이다.
사용자 조치기록 저장부(205)는 오류내용 및 오류에 대한 사용자 조치사항 등을 저장한다. 오류관리자(160)가 오류발생을 인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면 사용자가 이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하고, 조치 후 오류내용 및 오류에 대한 사용자 조치사항은 사용자 조치기록 저장부(305)에 저장된다.
서버 전송부(202)는 사용자 조치기록 저장부(205) 및 설정정보 저장부(204)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설정정보 관리서버(300)에 업로드한다.
설정정보 공유부(203)는 사용자 조치기록 저장부(205) 및 설정정보 저장부(204)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다른 가정의 설정정보 관리자(100)가 사용할 수 있도록 공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정정보 관리서버(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정보 관리서버(30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설정정보 관리자(100)로부터 수집된 설정정보 및 조치기록을 저장하는 설정정보 테이블(310)과, 상기 설정정보 테이블(310)로부터 각 홈네트워크 구성별로 표준 설정정보를 생성하는 표준 설정정보 생성부(320)와, 상기 설정정보 관리자의 질의에 따라, 적절한 표준 설정정보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전송부(330)로 구성된다.
설정정보 관리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가정내 홈네트워크로 구성되는 홈네트워크 가정집단(109)에 대한 설정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서버이다.
설정정보 테이블(310)은 설정정보 관리자(100)로부터 수집된 설정정보 및 조치기록을 개별 가정 단위의 정보로 저장한다.
예컨대, 설정정보 테이블(310)은 내역 1(311)에 가정 1(200_1)의 설정정보를, 내역 2(312)에 가정 2(200_2)의 설정정보를 저장한다.
표준 설정정보 생성부(320)는 설정정보 테이블(310)로부터 각 홈네트워크 구성별로 표준 설정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표준 설정정보는 상기 설정정보 테이블의 설정정보의 평균값, 최다값 중 어느 하나의 기준으로 획득된다.
전송부(330)는 홈네트워크 가정집단(200)의 설정정보 관리자(100) 내 설정정보 저장부(204)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설정정보 테이블(310)에 전달하거나 설정정보 질의부(210)가 소정의 설정정보를 요구하면 표준 설정정보로부터 해당 설정정보를 설정정보 관리자(100)로 전송한다.
도 4는 홈네트워크 가정집단(200)이 설정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홈네트워크 가정집단(200)을 관리하는 설정정보 관리서버(300)가 존재하면(S401), 개별 가정의 설정정보 관리자(100)에 저장된 설정정보는 모두 설정정보 관리서버(300)에 업로드되어 관리된다.
우선, 개별 가정의 설정정보 저장부(204) 및 사용자 조치기록 저장부(205)에 저장되어 있는 홈네트워크 환경관련 설정정보는 서버 전송부(202)를 통해 설정정보 관리서버(300)로 전송된다(S402).
그러면, 설정정보 관리서버(300)가 개별 가정의 설정정보를 구분하여 설정정보 테이블(310)에 저장한다(S403).
이어서, 표준 설정정보 생성부(320)가 설정정보 테이블(310)의 설정정보를 집성하여 표준 설정정보로 만든다(S404).
여기서, 표준 설정정보는 설정정보 테이블(310)에 저장된 설정정보에 대한 평균값, 최다값 중의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설정정보 관리서버(300)가 에어컨 디바이스(140)의 설정정보 중 목표온도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경우라면, 설정정보 테이블(310)의 디바이스(140)에 에어컨을 설정정보로 목표온도를 정의하고 세부항목에 대하여 내역 1(311)에 가정 1(200_1)의 설정온도인 24도, 내역 2(312)에 가정 2의 설정온도인 25도, 내역 3(313)에 가정 3(313)의 설정온도인 27도을 저장하고, 표준 설정정보는 가정 1(311), 가정 2(312) 및 가정 3(313)의 평균값인 25.33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정정보 관리서버가 존재하지 않는 홈네트워크 가정집단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정보 관리서버(300)가 존재하지 않으면(S401), 개별 가정의 설정정보 저장부(204) 및 사용자 조치기록 저장부(205)에 저장된 설정정보는 설정정보 공유부(203)를 통해 공유된다(S407).
이후, 새로 설정이 필요한 가정(200_n)에서 원하는 설정정보의 존재 여부를 질의하면(S405), 설정정보 관리서버(300) 또는 설정정보 관리자(100) 간의 공유된 해당 설정정보가 검색된다.
해당 설정정보가 존재하면(S405), 새로 설정이 필요한 가정(200_n)은 설정정보 관리서버(300) 또는 개별 가정의 설정정보 관리자(100)로부터 설정정보를 제공받는다(S406).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의 동작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홈네트워크 내 디바이스(140), 응용서비스(120) 및 네트워크(130)를 관리하는 관리시스템(110)이 초기화된다(S601).
이어서, 관리시스템(110)은 홈네트워크 환경 즉, 디바이스(140), 네트워크(130), 관리시스템(110), 응용서비스(120)의 환경 또는 목록 및 설정정보를 인지한다(S602).
여기서, 디바이스(140)는 디지털 텔레비젼, 냉/난방기, 보안카메라, 조명 등 연결된 디바이스의 종류이며, 그 설정정보는 디지털 텔레비젼의 채널, 냉/난방기의 기본온도, 조명의 밝기 등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30)는 디바이스(140)가 연결된 전력선, 전화망, IEE1394, 무선 인터페이스망, 네트워크 장비, 모뎀 등의 네트워크 환경이며, 그 설정정보는 네트워크 망의 가용대역, QoS 파라미터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응용서비스(120)는 설치되어 실행가능한 서비스, 다운로드해서 설치할 예상 서비스 등의 서비스 종류이며, 그 설정정보는 인터넷 브라우저의 기본홈페이지, IPTV서비스의 채널, 쾌적온도서비스의 쾌적온도 범위, 보안서비스의 카메라 해상도 등일 수 있다.
또한, 관리시스템(110)은 홈네트워크의 전반적인 동작을 관리하며, 그 설정정보는 시스템 버전 및 패치 등 일 수 있다.
초기화된 홈네트워크에 대한 초기 설정정보가 존재하면(S603), 초기 설정정보에 따라 홈네트워크 환경이 자동으로 설정된다(S604).
반면, 홈네트워크에 초기 설정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S603), 필요한 설정정보를 검색 및 획득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홈네트워크 가정집단(200)에 설정정보 관리서버(300)가 존재하면, 설정정보 관리서버(300)에 필요한 설정정보의 목록이 있는지를 질의한다(S606).
반면, 설정정보 관리서버(300)가 존재하지 않으면 피어투피어방식으로 필요한 설정정보가 존재하는지를 질의한다(S607).
여기서, 피어투피어방식은 개별 가정의 설정정보 관리자(100)간에 설정정보를 질의하는 방식이다.
필요한 설정정보의 목록 검색에 성공하면, 설정정보 관리서버(300) 또는 개별 가정의 설정정보 관리자(100)로부터 필요한 설정정보의 획득을 시도한다.
설정정보 획득에 성공하면(S608), 획득한 설정정보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홈네트워크 환경이 설정된다(S604).
한편, 설정정보 획득에 실패하면(S608), 홈네트워크 환경은 자동으로 설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홈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절차가 필요하다(S609).
이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설정된 설정정보에 따라 관리시스템(110)이 실행 된다(S610).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설정정보 업데이트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홈네트워크 관리시스템(110) 사용중 홈네트워크 환경에 변화가 발생하면(S701), 환경 변화에 따라 설정정보 변경되고 그 값이 설정정보 저장부(204)에 저장된다.
설정정보 관리서버(300)가 존재하면(S702), 개별 가정의 설정정보 저장부(204) 및 사용자 조치기록 저장부(205)에 저정된 설정정보는 서버 전송부(202)를 통해서 설정정보 관리서버(300)로 업로드되어 홈네트워크 가정집단(200)에 공유된다(S703).
반면, 설정정보 관리서버(300)가 존재하지 않으면(S702), 설정정보 저장부(204)의 설정정보는 설정정보 공유부(203)를 통해서 홈네트워크 가정집단(200)에 공유된다(S704).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정보 관리자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설정정보 관리서버를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홈네트워크 가정집단이 설정정보를 공유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정정보 관리서버가 존재하지 않는 홈네트워크 가정집단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의 동작순서를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설정정보 업데이트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설정정보 관리자 160: 오류관리자
200: 홈네트워크 가정집단 300: 설정정보 관리서버
110: 관리시스템 120: 응용서비스
130: 네트워크 140: 디바이스
150: 레지던셜 게이트웨이 131: 네트워크 관리자

Claims (15)

  1. 개별 댁내에 위치하며, 홈네트워크 환경설정정보를 수집/관리하는 설정정보 관리자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정보 관리자는 원격지의 설정정보 관리서버와 또는 다른 댁내의 설정정보 관리자와 상기 설정정보를 공유하며,
    상기 개별 댁내의 상기 홈네트워크 환경설정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설정정보를 상기 개별 댁내에 저장하고, 상기 변경된 설정정보를 상기 다른 댁내의 설정정보 관리자와 공유하거나, 상기 설정정보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환경 자동 설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홈네트워크 오류를 인식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오류정보 및 사용자의 조치사항을 상기 설정정보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오류관리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환경 자동 설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 관리자는,
    상기 홈네트워크 내 디바이스, 네트워크, 상기 디바이스를 관리하는 관리시스템 및 상기 디바이스 또는 상기 관리 시스템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응용서비스의 목록 및 설정정보를 저장하는 설정정보 저장부와,
    오류정보 및 오류에 대한 사용자 조치사항을 기록하는 사용자 조치기록 저장부와,
    상기 관리시스템의 초기화 직후 또는 환경 변화시, 필요한 설정정보를 외부로 질의하는 설정정보 질의부와,
    상기 설정정보의 변경 및 신규 조치기록의 발생시 상기 설정정보 및 조치기록을 상기 설정정보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서버 전송부와,
    상기 설정정보와 조치기록을 다른 댁내 설정정보 관리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설정정보 공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 관리서버는, 하나의 홈네트워크 가정집단을 관리하는 것으로서,
    상기 개별 댁내 하나 이상의 설정정보 관리자로부터 수집된 상기 환경설정정보 및 조치기록을 저장하는 설정정보 테이블과,
    상기 설정정보 테이블로부터 각 홈네트워크 구성별로 표준 설정정보를 생성하는 표준 설정정보 생성부와,
    상기 설정정보 관리자의 질의에 따라, 해당 표준 설정정보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내 디바이스는 컴퓨터, 디지털 텔레비젼, 냉/난방기, DVD 플레이어, 조명, 보안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네트워크 내 네트워크는 전력선, 전화선, IEEE1394를 포함하는 홈네트워크의 유무선 인터페이스망, 네트워크 장비,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서비스는,
    인터넷 브라우저 서비스, IPTV서비스, 주거환경 제어 서비스, 보안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홈네트워크 전반의 동작을 관리하는 홈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는 상기 홈네트워크 내 디바이스, 네트워크, 관리시스템 및 응용서비스 별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10. 댁내 설정정보 관리자가 홈네트워크 환경설정을 위하여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개별 가정의 홈네트워크 내 관리시스템을 초기화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화된 홈네트워크 환경을 인지하는 단계와,
    초기 설정정보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초기 설정정보가 없으면, 원격지의 설정정보 관리서버 또는 다른 가정의 설정정보 관리자에 설정하고자하는 설정정보의 존재여부를 질의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정보 관리서버 또는 상기 다른 가정의 설정정보 관리자로부터 해당 홈네트워크 환경설정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설정정보에 따라 홈네트워크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개별 가정의 홈네트워크 환경의 설정정보가 변경되면, 변경된 설정정보를 개별 가정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변경된 설정정보를 상기 설정정보 관리자에 공유 또는 상기 설정정보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의 획득에 실패하면,
    사용자에게 수동설정 요청 메시지를 표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설정정보에 기초하여 홈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방법.
  12. 삭제
  13. 하나 이상의 홈네트워크 환경 설정정보를 수집/관리하는 설정정보 관리서버가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개별 가정의 홈네트워크에 저장된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설정정보를 설정정보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정보 테이블로부터 각 홈네트워크 구성별로 표준 설정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설정정보는 상기 설정정보 테이블의 설정정보의 평균값, 최다값 중 어느 하나의 기준으로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방법.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정보는 홈네트워크 내 설치된 디바이스, 네트워크, 관리시스템 및 응용서비스 별로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방법.
KR1020070095662A 2007-09-20 2007-09-20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및 방법 KR100912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662A KR100912368B1 (ko) 2007-09-20 2007-09-20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및 방법
US12/177,629 US8112506B2 (en) 2007-09-20 2008-07-22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up configurations of hom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662A KR100912368B1 (ko) 2007-09-20 2007-09-20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393A KR20090030393A (ko) 2009-03-25
KR100912368B1 true KR100912368B1 (ko) 2009-08-19

Family

ID=4047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662A KR100912368B1 (ko) 2007-09-20 2007-09-20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12506B2 (ko)
KR (1) KR1009123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3701B2 (ja) * 2009-03-13 2012-08-15 ソニー株式会社 サーバ装置及び設定情報の共有化方法
US8996749B2 (en) * 2011-05-26 2015-03-31 Candi Controls, Inc. Achieving a uniform device abstraction layer
US9288744B2 (en) 2011-05-27 2016-03-1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nectivity settings via social networks
JP5714620B2 (ja) * 2012-10-19 2015-05-07 株式会社オプティム ユーザ端末、オペレータサーバ、リモートサポート方法、及びユーザ端末用プログラム
KR101467173B1 (ko) 2013-02-04 2014-12-01 주식회사 케이티 M2m 네트워크의 리소스 관리 방법 및 리소스 관리 장치
KR101999231B1 (ko) 2013-02-27 2019-07-11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콤포넌트 제어 유닛 및 차량 콤포넌트 제어를 위한 휴대용 단말
KR101687340B1 (ko) 2013-09-12 2016-12-16 주식회사 케이티 홈 네트워크 운영환경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593115B1 (ko) 2013-10-15 2016-02-11 주식회사 케이티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구형 기기 상태 모니터링 방법 및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2398071B1 (ko) * 2014-09-22 2022-05-12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가능한 센서 박스를 사용하는 환경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70479B1 (ko) * 2014-10-15 2021-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440233B1 (ko) 2017-12-20 2022-09-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분석 기반 자동화 시스템 운영을 위한 IoT 기기 자동 환경 설정 방법 및 장치
CN112260863B (zh) * 2020-10-15 2024-05-1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组织级别的网络设备连接管理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6000A (en) 1996-02-29 1998-10-20 Sun Micro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onfiguration of home network computers
KR20050100743A (ko) * 2004-04-14 2005-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네트워크 매니저가 구비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WO2006061179A1 (en) * 2004-12-06 2006-06-15 Alcatel Lucent Remote management method, a related auto configuration server, a related further auto configuration server, a related routing gateway and a related device
KR100653084B1 (ko) 2005-12-01 2006-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 페이지 자동설정방법 및 이를적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45828C (zh) * 1993-07-30 2009-09-30 佳能株式会社 控制连接到网络的网络设备的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
US5771381A (en) * 1994-12-13 1998-06-2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dding configuration files for a user
CA2295756C (en) * 1997-06-25 2003-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Browser based command and control home network
US6262726B1 (en) * 1998-10-09 2001-07-17 Dell U.S.A., L.P. Factory installing desktop components for an active desktop
US6571245B2 (en) * 1998-12-07 2003-05-27 Magically, Inc. Virtual desktop in a computer network
US6728750B1 (en) * 2000-06-27 2004-04-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tributed application assembly
US6721881B1 (en) * 2000-09-29 2004-04-13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if a display device configuration has changed by comparing a current indicator with a previously saved indicator
US7024471B2 (en) * 2000-12-12 2006-04-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chanism to dynamically update a windows system with user specific application enablement support from a heterogeneous server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6000A (en) 1996-02-29 1998-10-20 Sun Micro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onfiguration of home network computers
KR20050100743A (ko) * 2004-04-14 2005-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네트워크 매니저가 구비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동작방법
WO2006061179A1 (en) * 2004-12-06 2006-06-15 Alcatel Lucent Remote management method, a related auto configuration server, a related further auto configuration server, a related routing gateway and a related device
KR100653084B1 (ko) 2005-12-01 2006-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홈포털서버의 데이터베이스와 페이지 자동설정방법 및 이를적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12506B2 (en) 2012-02-07
US20090083401A1 (en) 2009-03-26
KR20090030393A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368B1 (ko) 홈네트워크 자동 환경 설정 시스템 및 방법
US6463473B1 (en) Configuring a wireless computer network to allow automatic access by a guest client device
CN101304350B (zh) 访问家庭网络设备的方法、系统和家庭网络接入设备
US7729282B2 (en) Home network system and its configuration system
US20080216154A1 (en) Identity-based wireless device configuration
KR20040005598A (ko) 가정 전화 제품의 제어 장치, 제어 방법, 제어 프로그램및 가정 전화 제품
US20040158620A1 (en) Home networking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using the same
CN102546330A (zh) 智能家居系统
CN101674310B (zh) 多源信息智能家庭业务的播放系统及方法
CN113485134A (zh) 设备控制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090073972A1 (en) Address management method and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in network control system
US11095471B2 (en) Home-autom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stituting the topology of a home-automation system
KR100614331B1 (ko) 홈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8176343B2 (en)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power management of devices on a network
CN101867508A (zh) 实现家庭网络互联的方法、系统及设备
US2004003982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system
CN101106553A (zh) 网关装置以及系统
KR101853812B1 (ko) 전자 기기의 식별자를 생성하는 방법과 전자 기기의 식별자를 이용한 정보 관리 방법.
US20130173696A1 (en)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ter-device information exchange protocol
CN101938458A (zh) 设备管理方法、管理设备、代理设备及管理系统
JP5662360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コミュニティ管理サーバ、ゲートウェイ装置、情報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241736B1 (ko) 포트 포워딩 설정 방법,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단말장치 및 네트워크 시스템
CN113126510A (zh) 家电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210621B1 (ko) 이중 원격 구성되는 단지 통합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방법
KR100796893B1 (ko) 홈 네트워크 사이트와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기기의원격지 접속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