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821B1 - Rfid 태그 - Google Patents

Rfid 태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821B1
KR100911821B1 KR1020070071013A KR20070071013A KR100911821B1 KR 100911821 B1 KR100911821 B1 KR 100911821B1 KR 1020070071013 A KR1020070071013 A KR 1020070071013A KR 20070071013 A KR20070071013 A KR 20070071013A KR 100911821 B1 KR100911821 B1 KR 100911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ulator
gain
signal processo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844A (ko
Inventor
김남윤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1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821B1/ko
Priority to US12/442,856 priority patent/US8292175B2/en
Priority to PCT/KR2008/003209 priority patent/WO2008150147A1/en
Priority to JP2010511128A priority patent/JP2010530098A/ja
Priority to EP08766171.6A priority patent/EP2057589B1/en
Publication of KR20090007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01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at least on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pow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16Details of coding or modulation
    • H04B10/548Phase or frequency modulation
    • H04B10/556Digital modulation, e.g. 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 [DPSK] or frequency shift keying [FS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는 수신신호의 이득을 조절하여 증폭하고,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는 제1신호처리부, 기준전압에 의하여 상기 변환된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여 증폭하는 제2신호처리부, 상기 제1신호처리부의 신호와 상기 제2신호처리부의 신호를 동기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생성하는 제3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수신단; 디지털 송신신호를 제1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는 제1변조부, 디지털 송신신호를 제2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는 제2변조부, 상기 수신신호의 RF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1전원을 생성하고 제1전원을 상기 제1변조부로 공급하는 전압발진회로, 상기 제2변조부로 제2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송신단; 수동 모드 또는 능동 모드의 선택 데이터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신호처리부의 이득제어신호와 상기 기준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3신호처리부로 동기화 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전압발진회로 및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수동 모드의 선택 데이터가 전달된 경우 상기 전압발진회로 및 제1변조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능동 모드의 선택 데이터가 전달된 경우 상기 전원부 및 제2변조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RFID 태그, 위상동기회로, 로그 앰프, 전압발진회로, 변조부, 복조부

Description

RFID 태그{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실시예는 RFID 태그에 대하여 개시한다.
현재, 유비쿼터스(ubiquitous) 네트워크 기술이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데,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술이란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다양한 네트워크에 자연스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는 근거리 무선통신 시스템, 가령 RFID 송수신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RFID 송수신 장치는 물품에 부착되어 세부정보가 내장된 태그, 태그의 정보를 RF통신을 이용하여 읽는 리더로 이루어진다. 태그는 리더가 위치되는 지역을 통과하며 RF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게 되므로 상품의 유통, 조립, 가격 변동, 판매 등의 물류/유통 관리가 효율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RFID 태그는 ASK(Amplitude Shift keying) 변복조 방식을 이용한 포락선 검파를 통하여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종래의 설계 방식에 의하면, 신호 복원률이 낮게 형성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RFID 태그는 고속으로 이동하면서 통신을 수행하게 되므로, 전파 환경 의 변화가 심하고, 외부의 환경 변화에 따라 수신 신호가 크게 변화된다. 예를 들어, 태그가 이동되는 경우 태그 신호의 위상이 변화될 수 있으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신호의 세기가 감소된다.
따라서, 태그 에너지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고 수신감도가 저하되어 태그 인식률이 저하된다.
실시예는 위치 이동에 따라 신호의 위상(Phase) 및 에너지 전달 위치가 변화되는 현상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수신신호를 복원할 수 있는 RFID 태그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종래의 슈퍼 헤테로타인 방식, 순차적인 저주파수 복조 방식, 중간 주파수 합성 방식보다 수신신호의 감도가 향상되고, 소형의 회로 구현이 가능한 RFID 태그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조 방식을 이용하고 변조 방식에 따라 수동 모드 및 능동 모드로 동작됨으로써 전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신호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RFID 태그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는 수신신호의 이득을 조절하여 증폭하고,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는 제1신호처리부, 기준전압에 의하여 상기 변환된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여 증폭하는 제2신호처리부, 상기 제1신호처리부의 신호와 상기 제2신호처리부의 신호를 동기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생성하는 제3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수신단;
디지털 송신신호를 제1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는 제1변조부, 디지털 송신신호를 제2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는 제2변조부, 상기 수신신호의 RF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1전원을 생성하고 제1전원을 상기 제1변조부로 공급하는 전압발진회로, 상기 제2변조부로 제2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송신단;
수동 모드 또는 능동 모드의 선택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선택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신호처리부의 이득제어신호와 상기 기준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3신호처리부로 동기화 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전압발진회로 및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며, 상기 수동 모드의 선택 데이터가 전달된 경우 상기 전압발진회로 및 제1변조부를 동작시키고, 능동 모드의 선택 데이터가 전달된 경우 상기 전원부 및 제2변조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의한 RFID 태그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로그 앰프 및 비교기를 통한 직접 복조 방식에 의하여 수신신호를 복조시킬 수 있으므로, 부품 수를 줄일 수 있고, 회로 사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송신신호를 다양한 방식으로 변조하고, 전파 환경에 따라 수동 모드 및 능동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므로 통신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전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셋째, 신호의 인식률이 향상되고, 전파 에너지의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수신감도, 신호 인식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100)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의하면,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100)는 수신 안테나(105), 제1신호처리부(110), 제1필터(115), 제2신호처리부(130), 제3신호처리부(140), 제4신호처리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신단(A)과, 송신 안테나(125), 전력증폭기(PA; Power Amplifier)(165), 결합기(coupler)(150), 제1변조부(170), 제2변조부(155), 전원부(151), 전압발진회로(1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송신단(B)을 포함한다.
또한, RFID 태그(100)는 제어부(160), 인터페이스부(145), 신호분리부(175), 위상동기회로(18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신호처리부(110), 제4신호처리부(120), 제2신호처리부(130) 및 제3신호처리부(140)는 수신신호를 처리하는 구성부들로서, 고조파를 직접 디지털 신호로 복조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종래의 슈퍼 헤테로타인 방식, 순차적인 저주파수 복조 방식, 중간 주파수 합성 방식보다 소형의 회로 구현이 가능하다.
우선, 수신단(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100)의 제1신호처리부(110)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의하면, 상기 제1신호처리부는 제2필터(111), 제1로그앰프(112), 제1저항(113), 제2저항(1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필터(111)는 수신 안테나(105) 상에서 혼재된 잡음성분의 신호를 필터링하고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킨다. 상기 제1로그앰프(112)는 필터링된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여 증폭하고, 수신신호를 DC레벨의 아날로그 신호, 즉 베이스밴드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제1로그앰프(112)는 이득증폭회로, 전력증폭회로, 신호변환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득증폭회로는 전압 이득에 따라 신호를 증폭함으로써 불안정한 고주파 신호를 복원하기 좋은 상태로 만든다. 이득 증폭된 수신신호는 비트 오율이 감소되고 페이딩 환경에서도 높은 인식률을 가지는데, 수신 레벨이 약 -90 dBm인 구간에서도 안정적으로 신호가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전력증폭회로는 이득증폭된 신호의 전력을 2차 증폭시킨다.
상기 신호변환회로는 증폭 과정을 거친 RF신호, 가령 900 MHz 대역의 신호를 데시벨값에 비례한 DC레벨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제1로그앰프(112)는 제1저항(113)과 제2저항(114)을 포함한 제1이득조정회로와 연결되어 증폭 이득이 조정된다.
상기 제1저항(113)은 수치 가변형 저항이고, 제2저항(114)은 수치 고정형 저항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가령, 제1저항(113)은 제어부(160)와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전달받고, 제어신호에 따라 저항 수치가 변환되는 저항변환소자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로그앰프(112)의 증폭 이득은 다음과 같은 수식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저항(113)의 수치에 따라 약 0 dB 내지 20 dB의 이득 조절이 가능하다.
Figure 112007051487006-pat00001
상기 제어부(160)는 통신 프로토콜을 구비하여 리더와의 무선통신을 제어하고, 상기 리더로부터 정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태그 데이터를 구성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제1신호처리부(110), 제2신호처리부(130), 제4신호처리부(120) 및 제3신호처리부(140)를 거쳐 복조된 수신신호의 코드를 분석하고, 송신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제1신호처리부(110)로 이득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제2신호처리부(130)로 기준전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제3신호처리부(140)로 동기화 정보를 전달하여 비교 동작을 제어하고, 위상동기회로(180)로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제1신호처리부(110)에서 변환된 신호의 리플(Ripple)이 충분히 제거되지 못하면, 실시예와 같이 직접 복조 방식에 의한 반송파 신호의 입력 스케일에 차이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제1필터(115)가 구비된다.
상기 제1필터(115)는 저항, 커패시터와 같은 수동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신호처리부(110)와 제4신호처리부(120) 사이에 연결되어 변환된 신호의 잡음 성분을 제거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RFID 송수신 장치(100)의 제2신호처리부(130) 및 제4신호처리부(120)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신호처리부(130)는 제3저항(131), 제4저항(132), 제2로그앰프(1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4신호처리부(120)는 제3로그앰프(121)와 제5저항(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로그앰프(112)는 제2이득조정회로와 연결되는데, 제2이득조정회로는 상기 제3저항(131)과 제4저항(132)을 포함하여 궤환회로를 이룬다.
상기 제2로그앰프(133)의 (+)입력단은 제어부(160)와 연결되어 기준전압을 제공받고, (-)입력단은 제3저항(131)을 통하여 제3로그앰프(121)의 (-)입력단과 연 결된다.
또한, 상기 제3저항(131)은, 제4저항(132)과 연결되어 제2로그앰프(133)의 궤환회로를 구성하고 제5저항(122)과 연결되어 제3로그앰프(121)의 궤환회로를 구성한다.
상기 제3로그앰프(121)의 (+)입력단은 제1필터(115)와 연결되고, 제2로그앰프(133)와 제3로그앰프(121)의 출력단은 각각 제3신호처리부(140)와 연결된다.
상기 제2로그앰프(133)는 제3저항(131)을 통하여 제3로그앰프(121)로부터 수신신호를 전달받고, 기준전압에 따라 수신신호의 이득을 조절하여 증폭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60)는 다양한 기준전압을 전달함으로써 수신신호의 감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신호처리부(130)는 수신신호를 이득증폭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4신호처리부(120)의 제3이득조정회로의 일부를 구성한다.
즉, 상기 제2신호처리부(130)가 기준전압에 따라 수신신호를 차별적으로 처리하므로, 제3저항(131)을 통하여 연결된 제4신호처리부(120)는 제2신호처리부(130)의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60)는 기준전압을 인가하여 제2로그앰프(133)의 증폭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제3로그앰프(121)의 증폭 동작까지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저항(113)이 제1로그앰프(112)의 이득 수치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제2신호처리부(130)가 상기 제3로그앰프(121)의 이득 수치를 조절하는 것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제2로그앰프(133)와 제3로그앰프(121)는 이득증폭회로, 전력증폭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로그앰프(112)와 유사한 구성을 갖으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로그앰프(133)와 제3로그앰프(121)는 서로 (-)입력단을 통하여 연결되므로 각각의 출력신호는 위상 반전된다.
가령, 제2로그앰프(133)와 제3로그앰프(121)에서 처리된 신호는 DC레벨의 아날로그 신호이므로, 제2로그앰프(133)의 출력신호가 하이 레벨인 경우 제3로그앰프(121)의 출력신호는 로우 레벨이 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RFID 송수신 장치(100)의 제3신호처리부(140)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3신호처리부(140)는 비교기(141), 제6저항(142), 제7저항(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6저항(142)은 비교기(141)와 제4신호처리부(120)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고, 상기 제7저항(143)은 비교기(141)와 제2신호처리부(130)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비교기(141)는 제어부(160)로부터 동기화 정보를 전달받고, 제2신호처리부(130)와 제4신호처리부(120)의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3신호처리부(140)에서 처리된 디지털 신호는 보다 완벽하게 복원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을 참조하여 송신단(B)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60)에서 생성된 디지털 송신신호는 제1변조부(170)와 제2변조부(155)로 동시에 전달된다.
상기 RFID 태그(100)는 송신단(B)의 구동 방식에 따라 능동(active) 모드와 수동(passive) 모드로 분류되는데, 능동 모드는 전원부(151), 제2변조부(155)가 동작되는 경우에 해당되고, 수동 모드는 전압발진회로(152), 제1변조부(170)가 동작되는 경우에 해당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45)는 사용자로부터 능동 모드와 수동 모드의 선택 데이터를 입력받는데, 가령, 버튼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리더를 통하여 코드 변경이 가능한 프로그램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45)는 선택 데이터를 제어부(160)로 전달하고, 제어부(160)는 선택 데이터에 따라 제1변조부(170)와 전압발진회로(152), 또는 제2변조부(155)와 전원부(151)를 동작시킨다.
상기 전압발진회로(voltage multiplier)(152)는 리더로부터 송출되는 RF신호의 전파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1전원을 생성한다.
상기 전압발진회로(152)는 다단으로 연결된 다수의 검파기 다이오드,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 안테나(105)로부터 전달된 RF신호를 순차적으로 DC전압으로 정류하면서 전압을 상승시킨다.
이렇게 일정 전압 수치의 변조 파형을 갖게된 제1전원은 제1변조부(170)에 전달되고, 제1변조부(170)에서 처리된 제1아날로그 신호가 응답코드로서 변조 파형에 실린다. 이렇게 생성된 송신신호는 후방산란(backscatter) 방식으로 송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변조부(170)는 디지털 송신신호를 제1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는데, 실시예에서 상기 제1아날로그 신호는 ASK(Amplitude Shift keying)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된 것으로 한다.
상기 제1변조부(170)는 정류필터(rectifier), 저대역필터 및 레벨감지부(lever detecto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51)는 배터리, 전압조정회로 등을 포함하며, 상기 제2변조부(155)로 제2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2변조부(155)는 디지털 송신신호를 제2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는데, 실시예에서, 상기 제2아날로그 신호는 FSK(Frequency Shift Keying) 변조되거나 혹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방식을 이용하여 변조된 것으로 한다.
상기 제2변조부(155)는 다수의 믹서, 가산기, 직교신호 변환회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송신신호의 위상을 90도씩 변화시켜서 4개의 신호(I+, I-, Q+, Q-)가 합산된 형태로 변환한다.
상기 신호분리부(175)는 SPDT(Single Pole Double Throw)와 같은 스위치 소자 또는 결합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위상동기회로(180)의 발진신호를 제1변조부(170)와 제2변조부(155)로 전달한다.
상기 전력증폭기(165)는 제1변조부(170)로부터 전달된 제1아날로그 신호를 송신가능한 크기로 증폭시킨다.
상기 송신 안테나(125)는 제1변조부(170)와 전력증폭기(165)를 거쳐 직접 연결되고, 제2변조부(155)와 결합기(15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역으로, 송신 안테나(125)는 제1변조부(170)와 결합기를 통하여 연결되고, 제2변조부(155)와 직접 연결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안테나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신 안테나(105), 송신 안테나(125)가 단일 안테나로 구현된 형태를 볼 수 있는데, 상기 안테나(105, 125)는 폐루프 선로 형태를 가지며, 대향하는 두개의 변이 각각 상기 송신단(B) 및 수신단(A)과 연결된다.
상기 안테나(105, 125)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부는 단일 패키지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안테나(105, 125)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송신단(B) 및 수신단(A)과 연결되는 상기 안테나(105, 125) 부분은 직선 형태로서 평행하게 배치되는데, 이 부분은 리더로부터 에너지 신호를 수신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태그(100)의 양측단으로는 사각 형태로 확장된 안테나(105, 125) 부분이 형성되는데, 이 부분은 태그신호를 송신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안테나(105, 125)는 신호의 종류에 구분 없이 전체가 송신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제1신호처리부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제2신호처리부 및 제4신호처리부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제3신호처리부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의 안테나 형태를 예시한 도면.

Claims (16)

  1. 수신신호의 이득을 조절하여 증폭하고, 수신된 신호를 변환하는 제1신호처리부, 기준전압에 의하여 상기 변환된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여 증폭하는 제2신호처리부, 상기 제1신호처리부의 신호와 상기 제2신호처리부의 신호를 동기화하여 디지털 신호로 생성하는 제3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수신단;
    디지털 송신신호를 제1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는 제1변조부, 디지털 송신신호를 제2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는 제2변조부, 상기 수신신호의 RF 에너지를 이용하여 제1전원을 생성하고 제1전원을 상기 제1변조부로 공급하는 전압발진회로, 상기 제2변조부로 제2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송신단;
    수동 모드 또는 능동 모드의 선택 데이터를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1신호처리부의 이득제어신호와 상기 기준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3신호처리부로 동기화 정보를 전달하며, 상기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전압발진회로 및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수동 모드의 선택 데이터가 전달된 경우 상기 전압발진회로 및 제1변조부를 동작시키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능동 모드의 선택 데이터가 전달된 경우 상기 전원부 및 제2변조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RFID 태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처리부는
    이득증폭회로, 신호변환회로를 포함하는 제1로그 앰프; 및
    상기 이득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로그 앰프의 증폭 이득을 조정하는 제1이득조정회로를 포함하는 RFID 태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처리부는
    이득증폭회로, 신호변환회로를 포함하는 제2로그 앰프; 및
    상기 제2로그앰프의 증폭 이득을 조정하는 제2이득조정회로를 포함하는 RFID 태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신호처리부는
    비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RFID 태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득조정회로는
    상기 이득제어신호에 의하여 저항수치가 변경되는 가변저항을 포함하는 RFID 태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득조정회로는
    상기 제2로그 앰프와 병렬로 연결되는 두개 이상의 저항을 포함하는 RFID 태그.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날로그 신호는
    ASK 변조된 신호인 RFID 태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아날로그 신호는
    FSK 변조되거나 혹은 QPSK 변조된 신호인 RFID 태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조부 및 제2변조부와 연결되는 송신 안테나; 및
    상기 제1변조부 전단 또는 제2변조부 전단에 연결되는 결합기를 포함하는 RFID 태그.
  11.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입력단은 제1신호처리부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단은 상기 제2신호처리부와 연결되며,
    출력단은 상기 제3신호처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신호처리부에 의하여 변환된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여 증폭하는 제4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RFID 태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신호처리부는
    이득증폭회로, 신호변환회로를 포함하는 제3로그 앰프; 및
    상기 제3로그 앰프의 증폭 이득을 조정하는 제3이득조정회로를 포함하는 RFID 태그.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처리부와 제4신호처리부 사이에 연결된 필터를 포함하는 RFID 태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조부 및 상기 제2변조부로 발진신호를 공급하는 위상동기회로를 포함하는 RFID 태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동기회로의 발진신호를 상기 제1변조부 및 상기 제2변조부로 분기시키는 신호분리부를 포함하는 RFID 태그.
  16. 제1항에 있어서,
    폐루프 선로 형태를 가지며, 대향하는 두개의 변이 각각 상기 송신단 및 상기 수신단과 연결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RFID 태그.
KR1020070071013A 2007-06-08 2007-07-16 Rfid 태그 KR100911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013A KR100911821B1 (ko) 2007-07-16 2007-07-16 Rfid 태그
US12/442,856 US8292175B2 (en) 2007-06-08 2008-06-09 Tag device, reader device, and RFID system
PCT/KR2008/003209 WO2008150147A1 (en) 2007-06-08 2008-06-09 Tag device, reader device, and rfid system
JP2010511128A JP2010530098A (ja) 2007-06-08 2008-06-09 タッグデバイス、リーダーデバイス、rfidシステム
EP08766171.6A EP2057589B1 (en) 2007-06-08 2008-06-09 Tag device, reader device, and rfi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013A KR100911821B1 (ko) 2007-07-16 2007-07-16 Rfid 태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844A KR20090007844A (ko) 2009-01-21
KR100911821B1 true KR100911821B1 (ko) 2009-08-12

Family

ID=4048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013A KR100911821B1 (ko) 2007-06-08 2007-07-16 Rfid 태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8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9896B2 (en) 2009-11-05 2014-07-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FID read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in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501B1 (ko) * 2006-03-08 2007-0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위상동기회로형 rfid 시스템
KR20070025926A (ko) * 2005-08-30 2007-03-0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Rfid 태그 장치, rfid 리더/라이터 장치 및 거리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5926A (ko) * 2005-08-30 2007-03-0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Rfid 태그 장치, rfid 리더/라이터 장치 및 거리측정 시스템
KR100680501B1 (ko) * 2006-03-08 2007-0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위상동기회로형 rfid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9896B2 (en) 2009-11-05 2014-07-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FID read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i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844A (ko) 200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7589B1 (en) Tag device, reader device, and rfid system
EP1830301B1 (en) RFID reader architecture
US7477917B2 (en) RFID reader integrat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532908B2 (en) Transceiver and method for combining RFID amplitude-modulated data with wireless phase-modulated data
JP2010531084A (ja) 無線通信装置
US2007020586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RFID reader
JP6234883B2 (ja) Rfidリーダライタ装置、rfidリーダライタシステム、及びrfid読取方法
US9178731B2 (en)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wireless device using delta-sigma modulation
US10419254B2 (en)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wireless device using delta-sigma modulation
US10867137B2 (en) Passive sensor system powered by wireless energy transmission
KR100911821B1 (ko) Rfid 태그
JP2008022045A (ja) 受信機、送信機及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KR101294413B1 (ko) Rfid 수신 장치
KR101294492B1 (ko) Rfid 송수신 장치
US9311812B2 (en) Transmitter and transceiver having the same in an RFID system
KR100887853B1 (ko) Rfid 송수신 장치
KR101231381B1 (ko) 위상 보상 시스템
CN117411508A (zh) 一种收发机、电子设备和数据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