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400B1 - Footwear sole - Google Patents

Footwear s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400B1
KR100910400B1 KR1020080129030A KR20080129030A KR100910400B1 KR 100910400 B1 KR100910400 B1 KR 100910400B1 KR 1020080129030 A KR1020080129030 A KR 1020080129030A KR 20080129030 A KR20080129030 A KR 20080129030A KR 100910400 B1 KR100910400 B1 KR 100910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ole
sole
landing
cloud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0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존
Priority to KR1020080129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4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4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6Piec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Abstract

An outsole is provided, which makes ideal three-beat walking possible and in which the outer side is lower than the inner side. An outsole includes a landing surface(10), a rolling surface(20), and a spring surface(30). The angle between the landing surface and spring surface is formed in zero degree against the even surface. In the rolling surface, the separation distance gets large from the inward side to the outer side and the plus angle is formed. The transition groove which concavely caves is formed in the segment of the rolling surface. In the outsole, the transition groove(25) is combined with a soft damping body(27).

Description

신발 밑창{Footwear sole}Shoe sole {Footwear sole}

본 발명은 신발 특히 신발을 이루는 신발밑창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올바른 3박자 보행을 유도하여 잘못된 걸음걸이를 교정하여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특성을 갖는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sole, in particular, a shoe sole having a characteristic that can help to maintain the health by inducing the correct three-step walking to induce the correct three-time walking as a shoe sole constituting the shoe.

신발은 보통 갑피와 신발밑창으로 이루어지며 갑피는 발등 위쪽을 감싸 발을 보호하며 신발밑창은 발바닥을 보호하고 충격을 완화시켜 보행에 따른 피로감을 덜어줄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Shoes usually consist of an upper and a shoe sole, and the upper wraps around the top of the foot to protect the foot, and the shoe sole protects the sole and relieves shock, thus relieving fatigue from walking.

신발밑창에 있어 가장 중요시되는 기능이 충격흡수와 착용감에 관한 사항이며, 이를 위해 신발밑창은 다시 인솔, 미드솔, 아웃솔로 구분되며 이들의 결합으로 완전한 신발밑창이 형성된다.The most important function of the shoe sole is the shock absorbing and wearing feeling. For this purpose, the shoe sole is divided into insole, midsole, and outsole, and a combination of these forms a complete shoe sole.

선천적 요인이나 후천적 요인으로 걸음걸이에 이상이 있는 사람들이 상당수이며, 흔히 안짱걸음걸이라고 하는 용어도 이러한 잘못된 걸음걸이 중 하나이다. 걸음걸이에 이상이 있는 경우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각종 근골격계 질환의 발병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평소에 올바른 보행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면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는데 상당한 도움을 줄 것은 자명하다.Many people have abnormalities in gait due to congenital or acquired factors, and the term `` anchan gait '' is one of these wrong steps. If the gait is abnormal, there is a problem that can increase the likelihood of developing various musculoskeletal disorder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if you try to walk properly, it will help you to maintain a healthy body.

정상적인 보행과정을 보면 발의 발뒷굼치 부분이 제일 먼저 지면에 닿으면서 착지가 이루어지며, 전방으로 이동을 위한 구름동작으로 발뒷굼치가 들리고 마지막으로 발앞굼치 부분에서 힘을 받아 도약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행과정을 흔히 3박자 보행이라 부르기도 한다.In the normal walking process, the landing of the foot of the foot is first touched the ground, and the landing is made. As the rolling motion for moving forward is heard, the foot of the foot is lifted and finally the force is lifted from the foot of the foot. This walking process is often referred to as three-time walking.

첨부되는 도1은 올바른 보행시에 발바닥을 통해 힘이 전달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모식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 후방 중심으로부터 시작하여 전방으로 이동하되, 도약을 위한 전 단계까지는 점차 외측으로 힘이 편심되었다가 전방부에서는 다시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실제 보행을 함에 있어서도 이와 같은 경로를 따라 힘이 이동될 수 있도록 걸음걸이를 교정하는 것이 필요하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ath through which the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sole when walking properly, starting from the rear center of the sole and moving forward, as shown in FIG. It is eccentric and then moves back inward at the fro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gait so that the force can be moved along this path even in actual walking.

본 발명과 관련되는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748427호의 "발의 구조 및 보행에 적합한 인체공학적인 신발 밑창"이 있으며, 도2는 이에 따른 신발 밑창의 사시도를 보여준다.As a relate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ergonomic shoe sole suitable for the structure and walking of foot" of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748427, Figure 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sole accordingly.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구성을 보면 본체(10)의 바닥면 후단부를 일정한 높이로 하향 돌출시켜 뒷굽(20)을 형성한 신발 밑창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바닥면은 외측단부로부터 일정폭이 평면부(11)를 이루고, 상기 평면부(11)로부터 내측으로 굽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하면서 경사지게 하여 경사부(12)를 이루며, 상기 뒷굽(20)의 저면은 내측단부로부터 일정폭이 평면부(21)를 이루고, 상기 평면부(21)로부터 외측으로 굽 높이를 점차 높아지도록 하면서 경사지게 하여 경사부(22)를 형성하도록 하는 신발 밑창이다.In the specific configuration related to this, in the shoe sole which protrudes the rear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to a certain height to form the heel 20,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has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outer end of the flat portion. (11), the inclined portion 12 is inclined while the heel height is gradually lowered from the flat portion 11 to the insid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heel 20 has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inner end of the flat portion 21. ), And the sole of the shoe so as to form the inclined portion 22 by inclining while gradually increasing the heel height from the flat portion 21 to the outside.

상기 기술에서의 신발 밑창 역시 올바른 3박자 보행을 실현시키고자 하는데, 뒷굽(20)과 본체(10)에 평면부(11,21) 및 경사부(12,22)로 구분되는 영역을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발을 기준으로 내측이 외측보다 전체적으로 굽 높이 낮도록 형성되어 보행시 착지로부터 구름동작 및 도약 전체에 걸쳐 내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보행을 유도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부 평면부(11,21) 구간을 두도록 하나 경사부(12,22)와 인접하므로 착지시 매우 불안정하게 되며 도약시에도 내측으로 쏠림이 발생되어 올바른 보행을 유도하지 못하게 된다. 즉, 종래기술의 신발 밑창은 오히려 안짱걸음을 걷도록 유도하게 되어 역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었다.The shoe sole in the above technique is also intended to realize a correct three-time walk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heel 20 and the body 10 has an area divided into flat portions 11, 21 and inclined portions 12, 22 It is don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ner side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outside as a whole, the height of the foot relative to the foot to induce a gait that is inclined inwards throughout the rolling motion and leap from landing. One of the flat portion (11, 21) to the section, but adjacent to the inclined portion (12, 22) is very unstable when landing, and even during the leap is generated inward to prevent the correct walking. That is, the shoe sole of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can be induced to walk the eyeball rather adverse effect can occur.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다 이상적인 3박자 보행이 가능하도록 신발 밑창의 바닥부를 착지면 및 도약면은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고 구름면은 내측보다 외측이 낮도록 하여 지면에 대해 플러스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신발 밑창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hoe sole so that the ideal three-time walking is possible to the ground and hopping surface horizontal to the ground and the cloud surface is lower than the inner side to form a positive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Providing the sole is a major challenge.

그리고 보행시 보다 원활하게 굽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름면의 일부구간에 함몰된 전이홈을 두는 것으로 하며, 또한 전이홈에 소프트한 완충체를 두어서 충격흡수기능을 강화시키도록 한 신발 밑창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 transition groove recessed in a part of the cloud surface is provided to bend more smoothly when walking, and a soft sole buffer is provided in the transition groove to provide a shoe sole to enhance the shock absorption function. That is another task.

더 나아가 신발밑창의 바닥부를 이루는 구름면 중 발바닥 아치영역에 해당되는 부위에는 타 부위보다도 돌출되어 요철을 이루는 형태로 하여 보행시마다 발바 닥 아치부에 대한 집중적인 지압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발 밑창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Furthermore,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sole arch area of the cloud surface forming the sole of the sole of the shoe, it protrudes more than other areas to form an unevenness, thereby providing a shoe sole that enables intensive acupressure on the foot bottom arch whenever walking. That is another task.

또한, 신발밑창의 상부면에는 조립 결합되는 보조창을 두도록 하고 상기 보조창 상면에는 다수의 돌기를 두어서 발바닥에 대한 적극적인 지압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 밑창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ole of the shoe to be assembled to combine the auxiliary window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window has a plurality of projections to provide a shoe sole to enable the active bearing pressure on the sole.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착지면, 구름면, 도약면의 바닥부를 갖는 신발밑창으로서, 평탄한 지면에 대해 상기 착지면과 도약면이 이루는 각도는 0°로 형성되며, 상기 구름면에서는 내향측으로부터 외향측으로 갈수록 지면과의 이격거리가 많아 플러스각을 이루게 되는 것으로 하되, 상기 구름면의 일부구간에는 착지동작으로부터 구름동작으로의 전이 및 구름동작에서부터 도약동작으로의 전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오목하게 함몰된 전이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problem, as the shoe sole having a landing surface, a cloud surface, the bottom of the jumping surface, the angle formed by the landing surface and the jumping surface with respect to the flat surface is formed at 0 °, the cloud As the distance from the inward side to the outward side is greater, the distance from the ground becomes a plus angle, but in some sections of the cloud surface, the transition from the landing motion to the cloud motion and the cloud motion to the jump motion are smooth. It proposes a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ed recessed transition groove is formed to be made.

바람직하게 상기 신발밑창은 이격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전이홈 사이 구간이 연속적인 요철굴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을 제안한다.Preferably, the shoe sole proposes a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transition grooves formed at a spacing distance is formed in a continuous uneven curv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신발밑창은 상기 전이홈에 소프트한 완충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을 제안한다.More preferably, the shoe sole proposes a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oft buffer is coupled to the transition groove.

또한, 본 발명은 착지면, 구름면, 도약면의 바닥부를 갖는 신발밑창으로서, 평탄한 지면에 대해 상기 착지면과 도약면이 이루는 각도는 0°로 형성되며, 상기 구름면에서는 내향측으로부터 외향측으로 갈수록 지면과의 이격거리가 많아 플러스 각을 이루게 되는 것으로 하되, 상기 구름면 중 발바닥 아치부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타 부위에 비교하여 볼록하게 돌출되는 요철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을 제안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oe sole having a bottom surface of the landing surface, the cloud surface, the jumping surface, the angle formed by the landing surface and the jumping surface with respect to the flat surface is formed at 0 °, in the cloud surface from the inward side to the outward side Increasingly, the distance from the ground is a lot of a plus angle, but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sole arch of the cloud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x irregularities protruding convexly compared to the other parts are formed Suggest.

바람직하게 상기 신발밑창의 상부면에 조립결합되는 보조창이 형성되되, 상기 보조창 상면에는 다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을 제안한다.Preferably, the auxiliary window is assemb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sole is formed, a shoe sole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acupressur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window.

본 발명에 따른 신발용 밑창은 올바른 보행동작을 유도하게 되어 착용자의 건강을 유지토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잘못된 걸음걸이를 갖는 사람들의 경우 본 발명의 신발용 밑창이 적용된 신발을 착용함으로써 잘못된 습관을 개선시켜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Sho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it can contribute to maintain the health of the wearer to induce the correct walking mo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eople having a wrong gait has the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rong habit by wearing a shoe to which the sole for the sho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구체화된 신발용 밑창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전개하기로 하되, 이해를 돕기 위한 수단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관련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들은 하나의 실시가능한 예를 보여주는 것인 바, 단순한 구조적 변경과 같은 변형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hoe sole embodied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veloped, but with reference to the related drawing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as a means to help understanding.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ed drawings show one possible example, and modifications such as simple structural change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의미하는 신발 밑창은 미드솔과 상기 미드솔 하부면에 결합되는 아웃솔의 결합체를 의미하며, 실제 신발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갑피가 구비되고 내 부에 인솔이 놓이게 된다.Shoe sole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combination of the midsole and the outsole coupled to the midsole lower surface, the upper is provided in the actual shoe configuration and the insole is placed inside.

도3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신발 밑창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보여주며, 도4는 주요부에 대한 단면도에 해당된다.Figure 3 show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hoe sole constructed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and Figure 4 corresponds to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밑창의 바닥부는 고무 재질의 아웃솔(1)로 덮이게 되며 그 위에 미드솔(2)이 형성되어있다. 이하 설명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미드솔과 아웃솔은 일체로 결합된 하나의 것으로 보고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신발 착용상태에서의 일반적인 보행과정에 따라 신발 밑창의 바닥부는 착지면(10), 구름면(20) 및 도약면(30)으로 구분될 수 있다.As shown, the sole of the shoe sole is covered with a rubber outsole 1 and a midsole 2 is formed thereon.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midsole and the outsole are to be described as one integrally combined. According to a general walking process in a shoe wearing state, the bottom of the shoe sole may be divided into a landing surface 10, a cloud surface 20, and a jumping surface 30.

착지면(10)은 가장 후방부위이며 도약면(30)은 가장 전방부위이고 구름면(20)은 상기 착지면(10)과 도약면(30)의 사이 구간을 의미한다. 상기 착지면(10)은 보행시 지면과 가장 먼저 접촉되는 부위이며 착지면(10)은 소정의 거리만큼 형성되되 지면과 접촉시 수평하도록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0°가 된다. 상기 착지면(10)의 길이는 신발 밑창의 전체 길이를 감안하여 형성시키되, 본 실시예의 경우 가장 후단부로부터 대략 20mm 정도의 편평한 착지면을 두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착지면(10)이 편평하다고 하는 것은 지면과의 접촉시 지면과 이루는 접지면이 지면과 수평하도록 0°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고, 도3의 측면도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신발 밑창의 형상은 후방과 전방부는 지면으로부터 떨어져 굽은 형태를 이룬다.The landing surface 10 is the rearmost portion, the hopping surface 30 is the most forward portion, and the clouding surface 20 means a section between the landing surface 10 and the jumping surface 30. The landing surface 10 is the first contact area with the ground when walking, and the landing surface 10 is form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angle formed with the ground to be horizontal when contacting the ground becomes 0 °. The length of the landing surface 10 is formed i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length of the shoe sole,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leave a flat landing surface of approximately 20mm from the rear end. In this case, the flat ground 10 means that the ground surface which forms the ground when making contact with the ground is 0 ° so as to be horizontal to the ground, and the overall shape of the shoe sole as shown in the side view of FIG. The rear and front portions are curved away from the ground.

그리고 상기 도약면(30)은 신발 밑창의 가장 전방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형성되는 부위로서 상기 도약면(30) 역시 착지면(10)과 같이 지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는 0°로 편평하도록 한다. 즉, 상기 착지면(10)과 도약면(30)에서는 신발밑창을 이루는 미드솔 및 아웃솔의 두께가 좌우대칭을 이루게 된다. 상기 도약면(30)의 길이 역시 가변될 수 있는 것으로 발가락을 형성하는 지족골이 접촉되는 부위로부터 전방으로 도약면이 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사람의 신체 체형에 따라 도약면이나 착지면의 길이를 달리할 수 있는 것인 바, 신발 사이즈에 따라 평균적인 사람의 체형을 기준으로 이러한 길이를 선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In addition, the hopping surface 30 is a portion form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ost front portion of the shoe sole, so that the hopping surface 30 also has a flat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such as the landing surface 10, at 0 °. That is, in the landing surface 10 and the jumping surface 30, the thickness of the midsole and outsole constituting the shoe sole is symmetrical. The length of the hopping surface 30 may also be variable,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hopping surface becomes forward from the site where the limbs forming the toe contact. Since the length of the jumping surface or the landing surface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person, it is reasonable to select the length based on the average person's body shape according to the shoe size.

상기 착지면(10)과 도약면(30)의 사이 구간이 구름면(20)이 되는데, 특히 구름면(20)은 전체적으로 비스듬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그 경사면의 방향성은 신발을 기준으로 내향측(IN)으로부터 외향측(OUT)으로 갈수록 지면과의 이격거리가 많아 지면과 플러스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구름면(20)에서 지면과의 이격거리가 외향측으로 갈수록 많아진다는 것은 신발밑창의 두께가 내향측(IN)보다 외향측(OUT)으로 갈수록 점차 얇아지는 것을 의미한다.The interval between the landing surface 10 and the jumping surface 30 is the cloud surface 20, in particular, the cloud surface 20 is composed of a slanted slope as a whole, the dire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ward side (IN It is configured to form a plus angle with the ground as the distance from the ground toward the outward side ()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cloud 20 increases toward the outward side, it means that the thickness of the sole is gradually thinner toward the outward side OUT than the inward side IN.

그리고 구름면(20)에 형성되는 경사부는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으로 갈수록 그 각도가 점차 증가되다가 다시 감소되면서 도약면(30)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대략 발바닥의 아치부 영역에 해당되는 부위에서 지면과의 각도가 가장 크게 형성되며 그 후방 및 전방으로 갈수록 각도가 점차 감소되는 것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And the inclined portion formed on the cloud surface 2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jumping surface 30 while the angle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rear side toward the front and then decrease again.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with the ground is formed to be the largest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rch area of the sole and the angle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rear and the front thereof.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에서는 상기 구름면(20)의 일부구간에 오목하게 함몰되는 형태의 전이홈(25)을 두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전이홈(25)은 착지동작 후 구름동작으로의 전환 및 구름동작 후 도약동작으로의 전환시 보다 원활하 게 굽힘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이홈(25)으로 구름면(20)의 후방측에 하나를 두며 전방측에 또 하나의 전이홈을 두도록 하여 착지, 구름, 도약의 연속적인 3박자 보행이 무리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ave a transition groove 25 of the shape recessed in a portion of the cloud surface 20. The transition groove 25 is intended to bend more smoothly when switching to the rolling operation after the landing operation and the switch to the jumping operation after the rolling operation. As shown in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the transition groove 25 has one on the rear side of the cloud surface 20 and another transition groove on the front side, so that three consecutive beats of landing, rolling, and leaping are performed. It was possible to walk without difficulty.

한편, 이격되게 형성된 두개의 전이홈(20) 사이 구간은 지면과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매끈한 곡면이거나 올록볼록한 요철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면과 접촉이 이루어지는 전이홈(25) 사이 구간 역시 구름면(20)의 일부이므로 내향측(IN)보다 외향측(OUT)이 두께가 얇아 지면에 대해 플러스각을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구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transition grooves 20 ar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may be made of a smooth curved surface or convex concave-convex. And the section between the transition groove 25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is also part of the cloud surface 20, so the outward side (OUT) is thinner than the inward side (IN) is configured to be inclined to form a plus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신발 밑창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하며, 도5는 이에 따른 신발 밑창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보여준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FIG. 5 show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기본적으로 제1실시예와 같이 착지면, 구름면, 도약면으로 구분이 되며 상기 구름면(20)에는 전이홈(25)이 형성되되, 제1실시예와 달리 구름면에 넓게 함몰된 하나의 전이홈(25)을 두는 것으로 하고 상기 전이홈 하부면에 별도의 완충체(27)를 더 결합시키는 것으로 한다. 상기 완충체(27)는 소프트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켜주게 되며 구름면(20)에 위치되어 구름동작시 탄력을 제공하여 보다 쉬운 보행이 가능하게 해주는 특징이 있다.Basically,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landing surface, the cloud surface, and the jumping surface is divided into a transition groove 25 is formed in the cloud surface 20, unlike the first embodiment is one recessed widely in the cloud surface A transition groove 25 is to be provided, and a separate buffer 27 is further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ition groove. The buffer 27 has a soft property to relieve the impact generated during walking and is located on the cloud surface 20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n elasticity during the rolling operation to enable easier walking.

그리고 상기 완충체(27)도 구름면에 위치되는 것이므로 내향측(IN)보다 외향측(OUT)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하여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함이 바람직하 다.And since the buffer 27 is also located on the cloud surface, it is preferable to form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thickness becomes thinner toward the outward side (OUT) than the inward side (IN).

본 발명의 신발 밑창은 미드솔(2)과 그 하부에 결합되는 아웃솔(1)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오목하게 함몰된 전이홈(25)에 미드솔의 재질과는 상이한 소프트한 재질의 완충체(27)를 결합시키고 아웃솔을 부착시켜서 구성된다.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midsole (2) and the outsole (1)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oft material of the soft material different from the material of the midsole in the recess recessed transition groove (25) It is constructed by joining and attaching the outsol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하며, 도6은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7은 평면도이고, 도8은 저면도를 보여준다.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6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shoe so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7 is a plan view, and FIG. 8 shows a bottom view.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는 언급한 타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착지면(10), 구름면(20), 도약면(30)으로 구성되는 바닥부를 갖게되는 신발 밑창이며, 평탄한 지면에 대해 착지면(10)과 도약면(30)은 0°의 각도를 이루며, 구름면(20)에서는 내향측으로부터 외향측으로 갈수록 지면과의 이격거리가 많아 플러스각을 형성하게 된다.As shown, the shoe sole is basically a shoe sole having a bottom portion consisting of the landing surface 10, the cloud surface 20, and the jumping surface 30, as in the case of the other embodiments mentioned above. 10) and the jumping surface 30 forms an angle of 0 °, and the cloud surface 20 forms a positive angle due to a large distance from the ground toward the outward side from the inward side.

더불어 본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름면(20) 중 발바닥 아치부에 대응하는 부위를 도시된 것처럼 타 부위에 비교하여 볼록하게 돌출되어 요철굴곡부(28)를 이루도록 구성함에 또 다른 특징을 두고 있다. 상기 요철굴곡부(28)는 소정의 구간에 걸쳐서 형성되며 다수의 볼록부와 오목부가 연속적으로 연결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구름면(20)에 타 영역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요철굴곡부(28)는 보행시마다 집중적인 하중이 작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발바닥 아치부로 높은 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hird embodiment has another feature in th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ole arch portion of the cloud surface 20 is convexly protruded compared to other portions to form the uneven curved portion 28 as shown. The uneven curved portion 28 is formed over a predetermined section and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nd concave portions are formed to be continuously connected. Concave-convex bent portion 28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other area on the cloud surface 20 acts intensive load every time walking, thereby providing a high bearing pressure to the sole arch.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신발 밑창을 구성함에 있어서 신발 밑창 상부면에는 조립 결합되는 보조창(3)을 두도록 함이 적합하며 상기 보조창(3) 상면에는 다수의 지압돌기(3a)를 두어서 발바닥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지압효과가 달성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신발 밑창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보조창(3)은 언급한 타 실시예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될 수 있다. 특히, 보조창(3) 상면에 돌출되는 지압돌기(3a)들은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의 3영역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족부는 발바닥의 아치영역에 해당되는 부위이며, 후족부는 발뒷굼치 부위이고 전족부는 발가락이 인접한 영역으로 이해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in the construction of 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itable to have an auxiliary window 3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sole, and a plurality of acupressure protrusions 3a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window 3 for the sole of the foot. The more active acupressure effect is to be achieved. The auxiliary window 3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sole may be equally applicable to the other embodiments mentioned.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acupressure protrusions 3a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window 3 are concentrated in three areas of the forefoot part, the middle foot part, and the rear foot part. Here, the metatarsal portion may correspond to the arch area of the sole of the foot, the posterior portion of the foot, and the forefoot portion may be understood as an adjacent area of the to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신발 밑창은 올바른 보행시 발바닥에 작용하게 되는 하중의 이동경로에 부합되게 신발 밑창을 구성함으로써 잘못된 보행습관을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The shoe so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make it possible to improve the wrong walking habit by configuring the shoe sol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path of the load acting on the sole when correct walking.

최초 착지시에는 안정적으로 지면과 접촉이 되어야 하므로 착지면(10)은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한 것이고, 이후 구름동작으로의 전이시에는 하중이 발의 외향측으로 이동되므로 구름면(20)에서는 내향측(IN)이 높고 외향측(OUT)은 낮도록 하여 지면에 대해 플러스각을 형성하도록 한다. 구름동작 후 도약동작에서는 신발 밑창 전방부에서 지면을 박차고 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하는 바, 도약면(30) 역시 지면과 수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Since the first landing should be in contact with the ground stably, the landing surface 10 is to be level with the ground, and since the load is moved to the outward side of the foot during the transition to the rolling motion, the inward side ( IN is high and the outward side OUT is low to form a plus angle with respect to the ground. In the hopping motion after the rolling motion bar should be able to spurt the ground out of the front of the shoe sole, the hopping surface 30 is also configured to be horizontal to the ground.

착지, 구름, 도약 3동작으로 구분되는 보행에서 발바닥에 작용하는 하중의 분포는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양상을 보이므로 본 발명과 같은 구성에 따른 신발 밑창이 적용되는 신발을 착용하고 보행을 하게 되면 올바른 걸음걸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distribution of the load acting on the sole in the walking divided into three movements such as landing, rolling, and leap shows the same aspect as that shown in FIG. You will be able to keep the correct steps.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밑창은 다양한 종류의 신발에 적용될 수 있고 바른 보행을 유도하여 근골격계 질환과 같은 질병에 대한 치료효과 및 예방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신발로서 소비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shoes and induces the correct walking, thereby providing a therapeutic and preventive effect for diseases such as musculoskeletal disorders, thus providing consumers with shoes that can create high value added. It is expected to be.

또한, 본 발명은 올바른 보행을 유도함과 아울러 보다 적극적으로 발바닥에 대한 지압효과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very high becaus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correct walking and more actively provide acupressure effect on the sole.

도1은 올바른 보행시에 발바닥을 통해 힘이 전달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모식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ath through which force is transmitted through the sole when walking properly.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신발 밑창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신발 밑창의 개략적인 측면도.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hoe sol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주요부에 대한 단면도.4 is a 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개략적인 측면도.5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hoe so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의 개략적인 측면도.6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hoe so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도7은 평면도.7 is a plan view.

도8은 저면도. 8 is a bottom view.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Used in Drawings>

1 : 아웃솔 2 : 미드솔 1: Outsole 2: Midsole

10 : 착지면 20 : 구름면10: landing surface 20: cloud surface

30 : 도약면 25 : 전이홈30: jump side 25: transition groove

27 : 완충체27 buffer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착지면, 구름면, 도약면의 바닥부를 갖는 신발밑창으로서,As a shoe sole having a landing surface, a cloud surface and a bottom of the leap surface, 평탄한 지면에 대해 상기 착지면과 도약면이 이루는 각도는 0°로 형성되며, 상기 구름면에서는 내향측으로부터 외향측으로 갈수록 지면과의 이격거리가 많아 플러스각을 이루게 되는 것으로 하되,The angle formed by the landing surface and the jumping surface with respect to the flat ground is formed at 0 °, the distance from the inward side to the outward side of the cloud surface is to be a positive angle because there is a large distance from the ground, 상기 구름면 중 발바닥 아치부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타 부위에 비교하여 볼록하게 돌출되는 요철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S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convex curved portion protruding convexly compared to the other portion in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ole arch of the cloud surfac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신발밑창의 상부면에 조립결합되는 보조창이 형성되되, 상기 보조창 상면에는 다수의 지압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An auxiliary window is assemb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sole is formed, the shoe sol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acupressur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window.
KR1020080129030A 2008-12-18 2008-12-18 Footwear sole KR1009104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030A KR100910400B1 (en) 2008-12-18 2008-12-18 Footwear s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030A KR100910400B1 (en) 2008-12-18 2008-12-18 Footwear so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0400B1 true KR100910400B1 (en) 2009-08-04

Family

ID=41209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030A KR100910400B1 (en) 2008-12-18 2008-12-18 Footwear s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40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394B1 (en) * 2013-12-04 2015-11-20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Shoe having a divided mid-sole
KR102487994B1 (en) * 2022-03-21 2023-01-12 주식회사 엑스바디 Shoes soles with shock absorbing layer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7099B1 (en) * 1997-02-25 2000-01-15 야마자키 쇼조 Shoes sole
KR200375331Y1 (en) * 2004-11-23 2005-02-07 무 언 하 Health Shoe
KR20080012010A (en) * 2006-08-02 2008-02-11 전영일 Ambulation pose corrector
KR100813803B1 (en) * 2006-06-27 2008-03-13 정성열 Multifunction so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7099B1 (en) * 1997-02-25 2000-01-15 야마자키 쇼조 Shoes sole
KR200375331Y1 (en) * 2004-11-23 2005-02-07 무 언 하 Health Shoe
KR100813803B1 (en) * 2006-06-27 2008-03-13 정성열 Multifunction sole
KR20080012010A (en) * 2006-08-02 2008-02-11 전영일 Ambulation pose corr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394B1 (en) * 2013-12-04 2015-11-20 주식회사 엘에스네트웍스 Shoe having a divided mid-sole
KR102487994B1 (en) * 2022-03-21 2023-01-12 주식회사 엑스바디 Shoes soles with shock absorbing layer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8682B2 (en) Ergonomic shoe sole suitable for human foot structure and walking
US20130185955A1 (en) Ergonomic footwear
JP5808934B2 (en) High heel shoe insole and high heel shoe
JP2009101139A (en) Functional sockliner for high-heeled shoe
KR200481847Y1 (en) Improved fit and joint protection shoe insole
TWI678977B (en) Shoe insole
US20190365026A1 (en) Shoe with orthopedic adjustment and methods thereof
KR200414204Y1 (en) Shoes
WO2011067948A1 (en) Insole for high-heeled shoes
KR100910400B1 (en) Footwear sole
KR102493347B1 (en) Functional slippers for preventing foot disease and correcting feet
KR101184092B1 (en) Funtional sole for shoes
KR20140069009A (en) Shoe and method for the construction thereof
JP3104246U (en) Insoles and shoes
KR100848718B1 (en) Shoe sole
KR20110004571A (en) The sole of shoe
KR20090068455A (en) Shoe
KR102332280B1 (en) Plantar fasciitis specific insole
KR20200049024A (en) footwear for correction
KR100947901B1 (en) Healing walking shoe-sole with the function of stable walking gate
KR101228299B1 (en) The functional shoes which is rolling movement for rare foot walking
JP7350346B2 (en) footwear
KR20110065579A (en) Functional sole for shoes
JP7326378B2 (en) shoe structure
EP4248785A1 (en) Shoe sole with shock absorbing laye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