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421B1 - Car parking assistance device and method - Google Patents

Car parking assistance device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421B1
KR100908421B1 KR1020040065541A KR20040065541A KR100908421B1 KR 100908421 B1 KR100908421 B1 KR 100908421B1 KR 1020040065541 A KR1020040065541 A KR 1020040065541A KR 20040065541 A KR20040065541 A KR 20040065541A KR 100908421 B1 KR100908421 B1 KR 100908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target
feature point
targe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5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17038A (en
Inventor
다나카유우
이와타요시후미
이와키리히데유키
사토나카히사시
구보타유이치
엔도도모히코
마쓰이아키라
스기야마도루
가와카미세이지
이와자키가쓰히코
가타오카히로아키
Original Assignee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40065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421B1/en
Publication of KR20060017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0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4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 G08G1/096844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where the complete route is dynamically recomputed based on new dat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주차 지원 장치는 차량 주변의 실화상 상에 사용자에 의해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위치를 가진 주차 목표 프레임을 중첩 표시하는 표시 수단(22), 상기 실화상 상에 표시된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에 대응하는 주차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 및 상기 주차 목표 위치까지 목표 경로 상에서 상기 차량을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주차 지원 제어 수단(12)을 포함한다. 상기 주차 지원 장치는 상기 실화상 상의 특징점을 화상 인식을 통해 결정하는 특징점 결정 수단(12), 및 주차 지원 제어의 시작 시의 상기 주차 목표 위치와 상기 특징점 사이의 상관 관계가 상기 주차 지원 제어의 실행 동안에 유지되도록, 상기 목표 경로를 자동적으로 수정하는 경로 수정 수단(12)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40065541

실화상, 주차 목표 프레임, 표시 수단, 주차 목표 위치, 결정 수단, 목표 경로, 주차 지원 제어 수단, 주차 지원 장치, 특징점 결정 수단, 주차 지원 제어, 상관 관계, 경로 수정 수단, 주차 지원 장치, 표시 수단, 화면, 보조 스위치, 검출 수단.

The parking assisting device includes display means 22 for superimposing a parking target frame having a position that can be adjusted by a user on a real image around a vehicle, and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displayed on the real image. Positioning means for determining a parking target position, and parking assist control means 12 for controlling the vehicle to guide the vehicle on a target path to the parking target position. The parking assis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eature point determining means 12 determines the feature point on the actual image through image recogni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king target position and the feature point at the start of the parking assist control is executed for the parking assist control. Path correction means 12 for automatically modifying the target path so as to be maintained during the process.

Figure R1020040065541

Actual image, parking target frame, display means, parking target position, determining means, target path, parking assist control means, parking assist device, feature point determining means, parking assist control, correlation, route correction means, parking assist device, display means , Screen, auxiliary switch, detection means.

Description

차량용 주차 지원 장치 및 방법{PARKING ASSIST APPARATUS AND PARKING ASSIST METHOD FOR VEHICLE}PARKING ASSIST APPARATUS AND PARKING ASSIST METHOD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주차 지원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시스템 구성도이다.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parking assi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표시 모니터(22) 상의 주차 목표 위치 설정용 터치 패널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arking target position setting touch panel on the display monitor 22.

도 3은 목표 경로로부터의 차량의 이탈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departure state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도 4는 본 실시예의 주차 지원 ECU(12)가 실행하는 처리 루틴의 플로우차트이다4 is a flowchart of a processing routine executed by the parking assist ECU 12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5는 주차 지원 제어의 실행 중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주차 목표 프레임이 변경되었을 경우의, 본 실시예의 주차 지원 ECU(12)가 실행하는 처리 루틴의 플로우차트이다.Fig. 5 is a flowchart of a processing routine executed by the parking assist ECU 12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arking target frame is changed by the user's operation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도 6은 본 실시예의 조정용 스위치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unction of the adjustment switch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7은 본 실시예의 조정용 스위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adjustment switch of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차량을 사용자가 설정한 주차 목표 위치까지 목표 경로에 따라 안내하는 차량용 주차 지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parking assistance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a vehicle along a target route to a parking target position set by a user.

JP-A-11-208420은 표시 모니터상의 차량 주변의 실화상에, 사용자에 의해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주차 목표 프레임(자동 주차된 차량의 화상)을 중첩 표시하는 주차 지원 장치를 기술한다. 이 종래 기술에 의하면, 주차 목표 위치의 설정을 사용자에게 맡김으로써, 주차 프레임의 오른쪽에 가깝게 또는 왼쪽에 가깝게 주차시키고 싶은 경우 등의 사용자의 의도가 반영된다. 센서 등에 의한 검출 결과나 화상 인식 결과 등에 따라 시스템측이 자동적으로 주차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구성과는 상이하게, 상기 기술된 장치는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주차 목표 위치까지 차량이 유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JP-A-11-208420 describes a parking assisting device which superimposes and displays a parking target frame (image of an auto-parked vehicle) that can be adjusted in position on a real image around a vehicle on a display monitor. According to this prior art, by setting the parking target position to the user, the user's intention, such as when the user wants to park near the right side or the left side of the parking frame, is reflected. Unlik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ystem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parking target position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by the sensor, the image recognition result, or the like, the above-described apparatus can prevent the vehicle from being guided to the parking target position against the user's intention. have.

또, JP-A-10-264839는 또한 차량을 주차 목표 위치까지 자동적으로 안내하는 주차 지원 시스템을 기술한다. 이 주차 지원 시스템은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에, 차륜 속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각 차륜 속도와, 요잉 레이트(yaw rate) 센서에 의해 검출된 요잉 레이트에 따라 현재의 차량 위치를 추정한다. 현재의 차량 위치가 목표 경로로부터 이탈하고 있다고 판정된 때, 목표 경로로부터의 이탈량에 따라 차륜의 조향각이 조정되어 이탈을 교정한다.JP-A-10-264839 also describes a parking assist system that automatically guides a vehicle to a parking target position. This parking assist system estimates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according to each wheel speed detected by the wheel speed sensor and the yaw rate detected by the yaw rate sensor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execu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deviates from the target path, the steering angle of the wheel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deviation from the target path to correct the deviation.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주차 지원 장치에서는,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에 감시되고 있는 현재의 차량 위치는, 차륜 속도 센서나 요잉 레이트 센서 등으로부터의 정보에 따른 추정치이다. 노면 외란이나 시스템 이상(예를 들면 요잉 레이트 센서의 고장)이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장치는 추정한 현재의 차량 위치와 실제의 차 량 위치의 실제로 발생하는 오차를 검출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재의 차량 위치가 목표 경로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러한 오차가 생기고 있는 상태를 검출할 수 없는 한, 주차 지원 제어가 계속되게 되어, 사용자가 설정한 의도된 주차 목표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차량이 안내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In the above general parking assist apparatus,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monitored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execution is an estimated value according to information from a wheel speed sensor, a yaw rate sensor, or the like. Assuming that there is road disturbance or system abnormality (e.g. failure of yaw rate sensor), the current vehicle cannot detect the actual error of the estimated current vehicle position and the actual vehicle position. It can be recognized that the location exists on the target path. In this case, as long as it is not possible to detect a state in which such an error has occurred, the parking assist control continues, causing a problem that the vehicle is guided to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intended parking target position set by the user.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의 차량 위치의 추정 오차에 기인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주차 목표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차량이 안내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주차 지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assisting device which can reliably prevent a vehicle from being guided to a position different from a parking target position set by a user due to an estimation error of a current vehicle position.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차량 주변의 실화상 상에 사용자에 의해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위치를 가진 주차 목표 프레임을 중첩 표시하는 표시 수단, 상기 실화상 상에 표시된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에 대응하는 주차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 및 상기 주차 목표 위치까지 목표 경로 상에서 상기 차량을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주차 지원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주차 지원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주차 지원 장치에는 상기 실화상 상의 특징점을 화상 인식을 통해 결정하는 특징점 결정 수단, 및 주차 지원 제어의 시작 시의 상기 주차 목표 위치와 상기 특징점 사이의 상관 관계가 상기 주차 지원 제어의 실행 동안에 유지되도록, 상기 목표 경로를 자동적으로 수정하는 경로 수정 수단이 더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display means for superimposing the parking target frame having a position that can be adjusted by the user on a real image around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displayed on the real image There is provided a parking assisting device includ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a parking target position, and parking assist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vehicle to guide the vehicle on a target path to the parking target position. The parking assist apparatus includes feature point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a feature point on the real image through image recognition, and a correlation between the parking target position and the feature point at the start of parking assist control is maintained during execution of the parking assist control. Further, path correction means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the target path is further provided.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사용자는 모니터 상에 표시된 실화상 상의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주차 목표 위치를 설정한다. 차량은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에 대응하는 주차 목표 위치까지 목표 경로상에서 안내된다. 본 발명에서는, 절대적인 기준으로 되는 실화상 중의 특징점이, 주차 지원 제어 개시시(주차 목표 위치의 설정을 포함한다)에 화상 인식에 의해 결정된다. 주차 지원 제어 개시시의 주차 목표 위치와 실화상의 특징점의 상관 관계가 유지되도록, 목표 경로가 자동적으로 수정된다. 현재의 차량 위치의 추정에 오차가 생긴 경우라도, 즉, 주차 목표 위치와 특징점의 상관 관계가 변화하더라도, 목표 경로가 자동적으로 수정된다. 그 결과, 주차 지원 제어 개시 시에, 사용자가 초기에 설정한 주차 목표 위치까지 차량을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주차 목표 위치와 특징점의 상관 관계에는 위치 관계 및 방향 관계가 둘 다 포함된다. "주차 지원 제어 개시시"에는, “주차 지원 제어의 재개 시", 예를 들면,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에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가 조정된 후의 주차 지원 제어의 재개 시가 포함된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ets the parking target position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on the actual image displayed on the monitor. The vehicle is guided on the target path to the parking targe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eature point in the actual image as an absolute reference is determined by image recognition at the start of parking assist control (including setting of the parking target position). The target path is automatically corrected so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king target position at the start of parking assist control and the feature point on the actual image is maintained. Even if an error occurs in the estimation of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that is, even i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king target position and the feature point changes, the target path is automatically corrected. As a result, at the start of parking assist control, the vehicle can be reliably guided to the parking target position initially set by the us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king target position and the feature point includes both a positional relationship and a directional relationship. "At the start of parking assistance control" includes "starting of parking assistance control", for example, when the parking assistance control is resumed after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is adjusted during the parking assistance control execution.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 결정 수단은 화상 인식 가능하고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 주변의 상기 실화상 상에 표시된 부분을 상기 특징점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ature point determining means can recognize an image and determine a portion displayed on the real image around the parking target frame as the feature point.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 결정 수단은 주차 프레임의 백색선을 상기 특징점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ature point determining means can determine the white line of the parking frame as the feature point.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의 상기 위치는 상기 주차 프레임의 상기 백색선에 평행한 방향에서 조정 가능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may be adjust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hite line of the parking frame.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 결정 수단은 상기 주차 프레임의 차량 멈춤 설비(car stop)와 도로 쇼울더(road shoulder) 중 하나를 상기 특징점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feature point determining means may determine, as the feature point, one of a car stop and a road shoulder of the parking frame.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의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의 상기 위치를 종방향에서 조정하는 보조 스위치가 더 제공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an auxiliary switch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mea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의 상기 화면은 터치 패널이고, 상기 보조 스위치는 상기 화면 상에 중첩되어 표시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의 상기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creen of the display means is a touch panel, the auxiliary switch is displayed superimposed on the screen,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can be moved by the user.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목표 경로로부터 상기 차량의 이탈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이 더 제공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the departure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may be further provided.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주차 지원 제어의 수행 동안의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과 상기 실화상 상의 상기 특징점 사이의 상기 상관 관계를 기준 상관 관계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목표 경로로부터의 상기 차량의 이탈이 검출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ng means compar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king target frame and the feature point on the real image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parking assist control by comparing with the reference correlation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Deviation of can be detected.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주차 지원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목표 경로로부터의 상기 차량의 이탈을 검출한 때, 상기 표시 수단의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assist control means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means when the detection means detects the departure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You can change it.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주차 지원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목표 경로로부터의 상기 차량의 이탈을 검출한 때, 상기 주차 지원 제어를 멈추게 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assist control means may stop the parking assist control when the detection means detects the departure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주차 지원 제어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목표 경로로부터의 상기 차량의 이탈을 검출한 때, 새로이 결정된 주차 목표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경로와 목표 조향각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목표 경로에 따라 상기 주차 지원 제어를 재개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assist control means, when the detection means detects the departure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updates the target path and target steering angle corresponding to the newly determined parking target frame, The parking assistance control may be resumed according to the updated target path.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주차 지원 제어 수단은, 상기 목표 경로로부터의 상기 차량의 이탈을 검출한 때, 상기 갱신된 목표 경로를 얻지 못 하면 상기 주차 지원 제어를 멈추게 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assist control means may stop the parking assist control if the updated target route is not obtained when the departure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route is detected.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주차 지원 제어의 실행 동안의 상기 실화상 상의 상기 특징점에 대한 상기 차량의 상대 이동 벡터와 상기 주차 지원 제어의 실행 동안의 상기 차량의 절대 이동 벡터를 비교하고, 상기 상대 이동 벡터와 상기 절대 이동 벡터 사이에 차이가 있다고 판정될 때 상기 목표 경로로부터의 상기 차량의 이탈을 검출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ing means compares the relative motion vector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feature point on the real imag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arking assistance control and the absolute motion vector of the vehicl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arking assistance control. The devi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may be detec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relative motion vector and the absolute motion vector.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주차 지원 제어 수단은 상기 상대 이동 벡터와 상기 절대 이동 벡터 사이의 차이에 따라 상기 목표 경로와 상기 목표 조향각을 갱신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king assist control means may update the target path and the target steering angle according to a difference between the relative motion vector and the absolute motion vector.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이동 벡터는, 차속 센서, 조향각 센서, 및 요잉 레이트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지원 제어의 실행 동안에 상기 차량의 이동 거리 및 방향의 변화량을 계산함으로써 추정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ovement vector is based on at least one of an output signal from a vehicle speed sensor, a steering angle sensor, and a yaw rate senso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movement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vehicl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arking assist control. It can be estimated by calculating.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이동 벡터는 상기 차량의 소정 주행 거리에서 추정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ovement vector may be estimated at a predetermined travel distance of the vehicle.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르면, 주차 지원 방법은 차량 주변의 실화상 상에 중첩되는 주차 목표 프레임과, 사용자에 의해 조정 가능한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1 단계, 상기 실화상 상에 표시된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에 대응하는 주차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제2 결정 단계, 및 상기 주차 목표 위치까지 목표 경로 상에서 상기 차량을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주차 지원 방법은 상기 실화상 상의 특징점을 화상 인식을 통해 결정하는 제4 단계, 및 주차 지원 제어의 시작 시의 상기 주차 목표 위치와 상기 특징점 사이의 상관 관계가 상기 주차 지원 제어의 실행 동안에 유지되도록, 상기 목표 경로를 자동적으로 수정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king assisting method includes a first step of displaying a parking target frame superimposed on a real image around a vehicle, a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adjustable by a user, and displayed on the real image. And a second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a parking targe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and a third step of controlling the vehicle to guide the vehicle on the target path to the parking target position. The parking assist method includes a fourth step of determining a feature point on the real image through image recognition, and a correlation between the parking target position and the feature point at the start of parking assist control is maintained during execution of the parking assist control. And a fifth step of automatically modifying the target path.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의 주차 지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따르면, 주차 지원 장치는 주로, 전자 제어 유닛(12)(이하, 주차 지원 ECU(12)라고 칭한다)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차 지원 ECU(12)는, 도시하지 않은 버스를 통하여 서로 접속된 CPU, ROM, 및 RAM 등을 가진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한다. ROM은 CPU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1 shows a configuration of a parking assist devic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1, the parking assisting apparatus is mainly comprised b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12 (henceforth a parking assist ECU 12). The parking assist ECU 12 includes a microcomputer having a CPU, a ROM, a RAM, and the lik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bus (not shown). A ROM contains a program executed by a CPU.

주차 지원 ECU(12)에는, 고속 통신 버스 등의 적절한 버스를 통하여 핸들(steering wheel)(도시하지 않음)의 조향각(Ha)을 검출하는 조향각 센서(16), 및, 적절한 버스, 예로서 고속 통신 버스 등을 통해 차속(V)을 검출하는 차속 센서(18)가 접속되어 있다. 차속 센서(18)는 각 차륜에 설치되어 차륜 속도에 따른 주기로 펄스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향각 센서(16) 및 차속 센서(18)의 각각의 출력 신호는, 주차 지원 ECU(12)에 대해 공급된다. The parking assist ECU 12 includes a steering angle sensor 16 that detects a steering angle Ha of a steering wheel (not shown) through an appropriate bus such as a high speed communication bus, and a suitable bus, for example, high speed communication. The vehicle speed sensor 18 for detecting the vehicle speed V is connected via a bus or the like. The vehicle speed sensor 18 may be installed at each wheel to generate a pulse signal at a period corresponding to the wheel speed. Each output signal of the steering angle sensor 16 and the vehicle speed sensor 18 is supplied to the parking assist ECU 12.                     

주차 지원 ECU(12)에는, 시프트 위치 센서(50) 및 주차 스위치(52)가 접속되어 있다. 시프트 위치 센서(50)는, 시프트 레버의 조작 위치에 따른 전기 신호를 발생하여 주차 지원 ECU(12)에 공급한다. 주차 스위치(52)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주차 스위치(52)는, 통상적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 상태로 된다. 주차 지원 ECU(12)는, 시프트 위치 센서(5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시프트 레버가 R의 범위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동시에, 주차 스위치(52)의 출력 신호에 따라 사용자가 주차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별한다.The shift position sensor 50 and the parking switch 52 are connected to the parking assist ECU 12. The shift position sensor 50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shift lever, and supplies it to the parking assist ECU 12. The parking switch 52 is installed in a vehicle interior and can be operated by a user. The parking switch 52 is kept in an off state in a normal state, and is turned on by a user's operation. The parking assist ECU 1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hift lever is in the range of R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shift position sensor 50, and the user needs parking assistance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parking switch 52. Determine whether or not

주차 지원 ECU(12)에는, 차량의 후방부의 중앙부에 설치된 백 모니터 카메라(20), 및,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표시 모니터(22)가 접속되어 있다. 백 모니터 카메라(20)는, 차량 후방의 소정 각도 범위를 촬영하는 CCD 카메라이며, 그 촬영한 화상 신호를 주차 지원 ECU(12)에 공급한다. 주차 지원 ECU(12)는, 시프트 레버가 R의 범위에 있고 또한 주차 스위치(52)가 온 상태에 있는 경우에, 표시 모니터(22)상에 백 모니터 카메라(20)의 촬상 화상(실화상)을 표시한다. 이 때, 표시 모니터(22) 상에는, 차량의 후진을 나타내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 화상 상에 주차 목표 프레임이 중첩 표시되는 동시에, 주차 목표 위치 설정용의 터치 스위치가 표시된다.The back support camera 20 provided in the center part of the rear part of a vehicle, and the display monitor 22 provided in the vehicle interior are connected to the parking assistance ECU 12. The back monitor camera 20 is a CCD camera which captures a predetermined angle range of the rear of a vehicle, and supplies the captured image signal to the parking assist ECU 12. The parking assist ECU 12 captures an image (real image) of the back monitor camera 20 on the display monitor 22 when the shift lever is in the range of R and the parking switch 52 is in the on state. Is displayed. At this time, on the display monitor 22, as shown in FIG. 2 showing reversal of the vehicle, the parking target frame is overlaid and displayed on the captured image, and a touch switch for setting the parking target position is displayed.

주차 목표 위치 설정용의 터치 스위치에는, 주차 목표 프레임을 종방향 및 좌우 방향의 병진 이동 및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조정용 스위치, 요구되는 주차의 종류(병렬 주차 또는 후진)를 선택 하기 위한 주차 선택 스위치(도시하지 않음), 및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방향을 포함한다)의 설정을 위한 설정 스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들 각 터치 스위치는, 주차 지원 제어 동안에 적절한 시간 및 단계에서 표시 모니터(22)상에 표시된다. 주차 목표 프레임은, 도 2에 쇄선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의 주차 프레임이나 차량의 외형을 나타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주차 목표 프레임은, 또, 그 위치 및 방향이 사용자에 의해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형태를 가지고, 예로서 후진의 표시와 병렬 주차용의 표시의 2개의 종류가 준비되어도 된다.The touch switch for setting the parking target position includes an adjustment switch for translating and rotating the parking target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a parking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the type of parking (parallel parking or reversing) required. Not included), and a setting switch for setting the position (including the direc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Each of these touch switche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onitor 22 at an appropriate time and step during parking assist control. The parking target frame may be formed to represent the actual parking frame or the appearance of the vehicle, as indicated by the broken lines in FIG. 2. In addition, the parking target frame has a form in which its position and direction are visually recognizable by the user. For example, two types of display for reverse parking and display for parallel parking may be prepared.

사용자는, 주차 목표 위치 설정용의 터치 스위치(조정용 스위치)를 조작하여, 표시 모니터(22) 상에서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주차 목표 프레임을 실제의 주차 프레임에 적합시킨다. 사용자는, 조정용 스위치를 조작하여, 주차 목표 프레임을 종방향 및 좌우 방향의 병진 이동 및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를 실제의 주차 프레임의 위치에 적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조정된 주차 목표 프레임은, 사용자가 예를 들면 설정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최종적인 주차 목표 프레임으로서 설정된다(사용자는 주차 목표 위치의 설정을 완료한다).The user operates the touch switch (adjustment switch) for parking target position setting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on the display monitor 22, thereby fitting the parking target frame to the actual parking frame. The user operates the adjustment switch to translate and rotate the parking target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fit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to the actual parking frame position. The parking target frame adjusted in this way is set as the final parking target frame by the user pressing the setting switch, for example (the user completes the setting of the parking target position).

이와 같이 하여, 최종적인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면, 주차 지원 ECU(12)는,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에 대응한 주차 목표 위치를 결정하고, 주차 목표 위치에 대한 주차 개시 위치의 관계에 따라, 목표 경로(도 3 참조)를 연산하는 동시에, 목표 경로 상의 각 위치로 회전되어야 할 차륜의 목표 조향각을 연산한다. 그리고,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와 주차 목표 위치는 항상 일 대일로 대응하고 있다. 이하,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었을 때에 결정되는 주차 목표 위치를 "의도된 주차 목표 위치"라고 한다.In this way, when the position of the final parking target frame is set by the user, the parking assist ECU 12 determines the parking targe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and the parking start position relative to the parking target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lationship, the target path (see Fig. 3) is calcul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target steering angle of the wheel to be rotated to each position on the target path is calculated.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and the parking target position always correspond one to one. Hereinafter, the parking target position determined when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is set by the user is referred to as "intentional parking target position".

주차 지원 ECU(12)에는, 자동 조향 유닛(30), 자동 제동 유닛(32) 및 자동 구동 유닛(34)이 적절한 버스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주차 지원 ECU(12)는, 차량이 목표 경로에 따라 안내되도록, 자동 조향 유닛(30), 자동 제동 유닛(32) 및 자동 구동 유닛(34)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의 발을 밟는 양을 느슨하게 하는 것으로 크립 힘(creep force)이 발생하고, 차량의 후진가 개시되면, 주차 지원 ECU(12)는, 목표 경로 상의 각 차량 위치에 있어서 자동 조향 유닛(30)에 의해 차륜을 자동적으로 목표 조향각만큼 회전시킨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차량이 주차 목표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 운전자에게 차량의 정지를 요구하여(또는, 자동 제동 유닛(32)에 의해 차량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킴), 주차 지원 제어가 종료한다.The auto steering unit 30, the auto braking unit 32, and the auto drive unit 34 are connected to the parking assist ECU 12 via an appropriate bus. The parking assist ECU 12 controls the auto steering unit 30, the auto braking unit 32, and the auto drive unit 34 so that the vehicle is guided along the target path. Specifically, when a creep force is generated by loosening the amount of the driver's foot pedal, the parking assist ECU 12 automatically operates at each vehicle position on the target path when the reverse of the vehicle is started. The steering unit 30 automatically rotates the wheel by the target steering angle. When the vehicle finally reaches the parking target position, the driver is asked to stop the vehicle (or the vehicle is automatically stopped by the automatic braking unit 32), and the parking assist control ends.

주차 지원 ECU(12)는, 주차 목표 프레임과 실화상 상의 특징점의 관계가, 전술한 주차 지원 제어의 실행 중에 유지되어 있는가 여부를 감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주차 지원 ECU(12)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 주차 목표 프레임과 실화상 상의 특징점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값을 연산한다. 이 특징점은, 화상 인식이 가능하며, 또한, 주차 목표 프레임의 근방에 있는 실화상 상의 특징점이며. 바람직하게는, 주차 목표 프레임에 대응하는 실제의 주차 프레임의 백색선이다. 그러나, 화상 인식이 가능한 한, 주차 목표 프레임의 근방에 있는 도로의 쇼울더(shoulder)나 차량 멈춤 시설(car stop) 등과 같은 다른 특징점이라도 된 다. 또, 주차 목표 프레임과 실화상 상의 특징점의 상관 관계는, 주차 목표 프레임의 소정 기준점과 실화상 상의 특징점의 거리(또는, 실화상 상의 특징점과 주차 목표 프레임의 소정 기준점을 잇는 2차원 벡터)를 포함한다. 차량이 후진하는 경우에는, 상관 관계는 주차 목표 프레임의 소정 라인(외형선)과 실화상 상의 소정 특징점이 구성하는 라인(외형선, 전형적으로는, 백색선)이 이루는 각도를 또한 포함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주차 지원 ECU(12)에 의해 연산되는,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었을 때의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과 실화상 상의 특징점의 상관 관계를, 이하, “기준 상관 관계"라고 칭한다. 주차 지원 ECU(12)는, 계산된 기준 상관 관계를 소정 기억 수단{예를 들면, 주차 지원 ECU(12)의 RAM}에 기억한다.The parking assist ECU 12 monitors whether or no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king target frame and the feature point on the actual image is maintained during the above-described parking assist control. Specifically, the parking assist ECU 12 calculates a value indicat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parking target frame and the feature point on the real image when the setting switch is operated by the user. This feature point is capable of image recognition and is a feature point of a real image in the vicinity of the parking target frame. Preferably, it is a white line of the actual parking frame corresponding to the parking target frame. However, as long as image recognition is possible, other feature points such as shoulders or car stops on roads near the parking target frame may be us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king target frame and the feature point on the actual image includes a distance betwee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of the parking target frame and the feature point on the actual image (or a two-dimensional vector connecting the feature point on the actual image and the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of the parking target frame). do. In the case of the vehicle reversing, the correlation may also include an angle formed by a predetermined line (outer line) of the parking target frame and a line (outer line, typically white line) that constitutes a predetermined feature point on the real image. .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king target frame and the feature point on the real image when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which is calculated by the parking assist ECU 12, is set by the user is referred to as "reference correlation" below. The parking assist ECU 12 stores the calculated reference correlation in predetermined storage means (for example, the RAM of the parking assist ECU 12).

표시 모니터(22) 상의 좌표계의 좌표치와 실제 좌표계의 좌표치는, 소정 변환식에 의해 일대일로 대응하므로, 전술한 기준 상관 관계는, 표시 모니터(22) 상의 좌표계에 근거할 수도 있고 또는 실제 좌표계에 근거할 수도 있다.Since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coordinate system on the display monitor 22 and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actual coordinate system correspond one-to-one by a predetermined conversion equation, the above-described reference correlation may be based on the coordinate system on the display monitor 22 or on the actual coordinate system. It may be.

주차 지원 제어 하에서, 목표 조향각이 목표 경로 상의 각 차량 위치에서 미리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에 차량 위치가 정확하게 추정되어 있는 한, 의도된 주차 목표 위치까지 차량을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그러나,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의 차량 위치는, 차속 센서(18) 및 조향각 센서(16)로부터 얻어진 정보에 따라 추정된다. 시스템 이상(센서 자체의 고장)이나 환경적 외란(노면 외란) 등에 기인하여 추정 차량 위치와 실제의 차량 위치 사이에 오차가 생겼을 경우에는, 의도된 주차 목표 위치와는 상이한 주차 목표 위치까지 차량을 이끌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도 3참조). 따라서, 추정 차량 위치와 실제의 차량 위치 사이에 오차가 생기는 상태, 즉, 목표 경로로부터의 이탈을 검출하는 것은, 주차 지원 제어의 신뢰성 및 정밀도를 높이는 관점으로부터 효율적이다.Under parking assist control, a target steering angle is predetermined at each vehicle position on the target path. Therefore, as long as the vehicle position is accurately estimated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execution, the vehicle can be reliably guided to the intended parking target position. However, the vehicle position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execution is estimat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18 and the steering angle sensor 16. If an error occurs between the estimated vehicle position and the actual vehicle position due to a system abnormality (a failure of the sensor itself) or an environmental disturbance (road disturbance), lead the vehicle to a parking target position different from the intended parking target position. The problem of discarding occurs (see Fig. 3). Therefore, detecting a state in which an error occurs between the estimated vehicle position and the actual vehicle position, that is, the deviation from the target path is efficient from the viewpoint of increasing the reliability and precision of the parking assist control.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의 주차 지원 ECU(12)는,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 상술한 바와 같이, 주차 목표 프레임과 실화상 상의 특징점의 관계를 소정 주기마다 연산하고, 상기 연산 결과와 전술한 기준 상관 관계를 비교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인식에 근거하는 절대적인 특징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주차 목표 프레임의 상대 위치가,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에 감시되고 있다.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에서의 표시 모니터(22) 상의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는,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의 차량 위치와 같이, 차속 센서(18) 및 조향각 센서(l6)로부터의 정보에 따른 추정에 의해 결정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주차 지원 제어의 실행 중에 생길 수 있는 주차 목표 프레임과 실화상 상의 특징점의 상관 관계의 기준 상관 관계로부터의 이탈, 즉, 절대적인 특징점에 대한 주차 목표 프레임의 상대 위치 관계의 변동을 검출함으로써, 시스템 이상 등에 기인하여 추정 차량 위치와 실제의 차량 위치 사이에 차이, 즉, 목표 경로로부터의 이탈을 얻을 수 있다.In contrast, the parking assist ECU 12 of the present embodiment calc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king target frame and the feature point on the actual imag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described above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execution, and performs the above-described correlation with the above-described calculation result. Compare the relationships. In this embodimen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absolute feature point based on image recognition is monitored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execution.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on the display monitor 22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execution is determined by the estima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18 and the steering angle sensor l6, like the vehicle position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execution. have.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deviation from the reference correl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king target frame and the feature point on the real image, which may occur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arking assist control, that is,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he parking target frame with respect to the absolute feature point. By detecting the variation, a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d vehicle position and the actual vehicle position, i.e., deviation from the target path, can be obtained due to a system abnormality or the like.

본 실시예에서는,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의 주차 목표 프레임과 실화상 상의 특징점의 상관 관계가, 기준 상관 관계로부터 이탈하고 있는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주차 지원 ECU(12)는, 상기 이탈을 수정하기 위하여, 표시 모니터(22) 상의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변경한다. 또, 주차 지원 ECU(12)는, 새로운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에 대응한 목표 경로 및 목표 조향각을 갱신하고, 상기 목표 경로 등에 따른 주차 지원 제어를 재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 이상 등에 기인해 목표 경로로부터의 차량의 이탈이 생긴 경우라도, 상기 이탈이 수정되어 기준 상관 관계가 항상 확보되므로, 의도된 주차 목표 위치까지 차량을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에 사용자에 의해 주차 목표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한, 시스템 이상 등이 생긴 경우라도, 사용자가 의도된 주차 목표 위치까지 차량을 확실히 안내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king target frame and the feature point on the real image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execution deviates from the reference correlation, the parking assist ECU 12 corrects the departure.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on the display monitor 22 is automatically changed. The parking assist ECU 12 updates the target path and the target steering angl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new parking target frame, and resumes the parking assist control according to the target path or the lik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when a devi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occurs due to a system abnormality or the like, the deviation is corrected so that the reference correlation is always ensured, so that the vehicle can be reliably guided to the intended parking target position. Can be.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ven if a system abnormality or the like occurs, unless the parking target position is changed by the user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execution, the user can certainly guide the vehicle to the intended parking target position.

디스플레이 상의 화상 인식에 의해 얻어지는 실제의 주차 프레임의 백색선 정보에 직접적으로 따라서 주차 지원 제어가 실행되는 것이 아니라, 전술한 바와 같이, 어디까지나 사용자가 설정한 주차 목표 프레임에 따라 주차 지원 제어가 실행된다. 이것은, 차량을 사용자의 의지대로 주차할 수 있게, 예로서,주변의 장애물 상황이나 문 개폐 때의 형편 등에 의해, 실제의 주차 프레임의 중심선에 대해서 좌우로 치우친 위치나 경사진 방향으로 주차할 수 있게 한다.The parking assist control is not executed directly in accordance with the white line information of the actual parking frame obtained by image recognition on the display. Instead, the parking assist control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parking target frame set by the user as described above. . This allows the vehicle to be parked at the user's will, for example, to be parked in an inclined position or incline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actual parking frame, for example, due to an obstacle situation around the door or circumstances such as opening or closing a door. do.

또는,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에서의 실화상 상의 특징점에 대한 상대적인 차량의 이동 벡터와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에서의 차량의 절대적인 이동 벡터를 비교하고, 이들 이동 벡터에 어긋남이 생겼을 때에, 목표 경로로부터의 차량의 이탈을 검출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 이동 벡터에 어긋남이 생겼을 때, 그 어긋남 양에 따라 목표 경로 및 목표 조향각을 갱신함으로써, 의도된 주차 목표 위치까지 차량을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이 경우, 실화상 상의 특징점의 이동 벡터는, 화상 인식에 따라 산출되고, 차량의 이동 벡터는, 차속 센서(18) 및 조향각 센서(16) 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의 차량의 이동거리 및 차량의 방향의 변화량을 산출함으로써, 추정된다. 또, 이들 이동 벡터는, 차량이 소정 이동거리, 예를 들면, O.5m만큼 주행할 때마다 산출 및 추정 되어 서로 비교되어도 된다.Alternatively, the motion vector of the vehicle relative to the feature point on the actual image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execution is compared with the absolute motion vector of the vehicle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execution, and when a deviation occurs in these movement vectors, A configuration for detecting departure is also possible. In addition, when a deviation occurs in the movement vector, the vehicle can be reliably guided to the intended parking target position by updating the target path and the target steering angle in accordance with the deviation amount. In this case, the motion vector of the feature point on the real image is calculated according to image recognition, and the vehicle's motion vector is the moving distance of the vehicle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execution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signals of the vehicle speed sensor 18 and the steering angle sensor 16. And calculat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se motion vectors may be calculated and estimated each time the vehicle travels by a predetermined travel distance, for example, 0.5 m, and may be compared with each other.

주차 지원 장치는 주차 개시 위치를 기준으로 한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의 차량 위치를, 화상 인식에 따라 검출하는 동시에,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의 차량의 이동량{차속 센서(18) 및 조향각 센서(16)의 출력 신호에 의해 산출 가능}에 따라서 추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검출된 차량 위치가 추정된 차량 위치와 비교된다. 그것들이 서로 상위할 때에, 차량이 목표 경로로부터 이탈한다고 판정될 수 있다. 또, 상기 차량 위치가 서로 상위할 때, 그 상위량에 따라 목표 경로 및 목표 조향각을 다시 연산함으로써, 의도된 주차 목표 위치까지 차량을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The parking assist device detects the vehicle position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execution based on the image recognition based on the parking start position, and outputs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vehicle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execution (the vehicle speed sensor 18 and the steering angle sensor 16). May be configured to estimate in accordance with the calculation possible by the signal. In this configuration, the detected vehicle position is compared with the estimated vehicle position. When they differ from each other,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vehicle deviates from the target path. Further, when the vehicle positions differ from each other, the vehicle can be reliably guided to the intended parking target position by recalculating the target path and the target steering angl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amount.

상기 장치는 목표 경로로부터의 차량의 이탈을 검출한 경우에, 목표 경로 및 목표 조향각을 다시 연산하는 일 없이, 단순히 주차 지원 제어를 중단하는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목표 경로로부터의 차량의 이탈을 검출한 경우에 있어, 재연산의 결과, 적절한 목표 경로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 주차 지원 제어를 중단하는 구성도 가능하다.The apparatus may be configured to simply stop the parking assist control when the devi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is detected, without recalculating the target path and the target steering angle.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devi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is detected, when the proper target path cannot be obtained as a result of the recomputation, the configuration of stopp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can be also possible.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목표 경로로부터의 차량의 이탈을 검출하고, 상기 이탈을 수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실행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주차 지원 ECU(12)가 실행하는 처리 루틴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처리 루틴은, 예를 들면, 시프트 레버가 R의 범위가 되고 또한 주차 스위치 (52)가 온 상태로 되었을 때에 기동된다.Referring to Fig. 4, a process executed for the purpose of detecting departure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and correcting the departur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4 is a flowchart of a processing routine executed by the parking assist ECU 12 of the present embodiment. This processing routine is activated when the shift lever is in the range of R and the parking switch 52 is turned on, for example.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면, 먼저 단계(S100)에서는, 표시 모니터(22)상에 백 모니터 카메라(20)의 촬상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촬상 화상 상에 주차 목표 프레임을 중첩 표시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표시 모니터(22)상에 표시되는 주차 목표 프레임의 초기 위치는, 예를 들면, 주차 개시 위치에 이를 때까지의 차량의 주행 상태에 근거하는 추정에 의해 결정되어도 된다. 또는, 주차 목표 프레임의 초기 위치는, 사용자가 표시 모니터(22)의 터치 스크린을 직접 터치함으로써 지정되어도 되고, 이러한 경우, 주차 목표 프레임의 초기 위치는, 터치 위치 주변의 촬상 화상 중의 백색선의 인식 결과에 따라 결정되어도 된다.Referring to the flowchart of FIG. 4, first, in step S100, a process of displaying a captured image of the back monitor camera 20 on the display monitor 22 and superimposing and displaying a parking target frame on the captured image. Is executed. The initial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displayed on the display monitor 22 may be determined by estimation based on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until reaching the parking start position, for example. Alternatively, the initial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may be designated by the user directly touching the touch screen of the display monitor 22. In this cas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is a recognition result of the white line in the captured image around the touch position. 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그러면, 단계(S110)에서, 사용자에 의한 터치 스위치(설정 스위치를 제외한다)의 조작에 따라 주차 목표 프레임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본 단계(S110)의 처리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스위치가 조작될 때까지 실행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터치 스위치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일 없이 설정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본 단계(S110)를 실행하지 않고 단계(S120)로 진행된다. 그리고, 본 단계(S1l)0에서는, 전술한 조정용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주차 목표 프레임이 이동되게 된다.Then, in step S110, a process of chang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touch switch (except the setting switch) by the user is executed. The processing in this step S110 is executed until the setting switch is operated by the user. When the setting switch is operated without the touch switch being operated by the us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20 without executing the step S110. Then, in this step S11, the parking target frame is mov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adjustment switch.

단계(S120)에서는, 설정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때의 주차 목표 프레임 주변의 백색선을 탐색하고, 주차 목표 프레임과 실화상 상의 특징점(본 예에서는, 백색선상의 특징점)의 상관 관계를 기준 상관 관계로서 결정·기억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이 경우, 기준 상관 관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주차 목표 프레임의 소정 기준점( 예를 들면, 주차 목표 프레임의 정점이나 교차점)과 백색선의 소정의 점의 거리이더라도 되고, 또, 차량이 후진하는 경우에는, 주차 목표 프레임의 방향과 실제의 주차 프레임(백색선 프레임)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또한 포함하여도 된다.In step S120, the white line around the parking target frame when the setting switch is operated is searched for,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king target frame and the feature point on the real image (in this example, the feature point on the white line) is used as the reference correlation. The decision / memory processing is executed. 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reference correlation may be a distance between a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for example, a vertex or intersection point of the parking target frame) of the parking target frame and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white line, and when the vehicle moves backwards. The angle may further include an angle formed between the direc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and the direction of the actual parking frame (white line frame).

프로세스는 단계(S130)로 진행하는데, 이 단계에서는 상기 단계(S120)에서 설정된 주차 목표 프레임에 따라 주차 목표 위치를 결정하고, 현재의 차량 위치,즉, 주차 개시 위치로부터 주차 목표 위치까지 차량을 인도하기 위한 목표 경로를 연산한다. 단계(S130)에서, 목표 경로 상의 각 위치에서 조향되어야 할 차륜의 목표 조향각을 연산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본 단계(S130)의 처리가 종료하면, 주차 지원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사전 처리가 완료한다. 본 단계(S130)의 종료후, 차량의 후진가 개시되면 , 주차 지원 제어의 실행이 개시되어 주차 목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단계(S180)에서 판단} 단계(S140) 내지 단계(S170)의 처리가 반복해 실행된다. 그리고, 단계(S140) 내지 단계(S170)의 처리는, 예를 들면 차량의 이동거리 0.5m마다 실행되어도 된다.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0, in which the parking target posi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arking target frame set in step S120, and the vehicle is delivered from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that is, the parking starting position to the parking target position. Compute the target path to In step S130, a process of calculating the target steering angle of the wheel to be steered at each position on the target path is executed. When the process of this step S130 is complete | finished, the preprocess for performing parking assistance control is complet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tep S130, when the vehicle starts to reverse, the execution of the parking assist control is started until the parking target position is reached (the determination in step S180). Is executed repeatedly. The processing of steps S140 to S170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every 0.5m of the moving distance of the vehicle.

단계(S140)에서는, 전회의 처리 루틴에서 추정한 차량 위치(루틴의 초기 사이클에서의 주차 개시 위치)와 이번 처리 루틴에서 추정한 차량 위치의 상관 관계에 따라, 표시 모니터(22) 상의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이동 후의 위치)를 결정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그리고, 차량 위치의 추정은, 차량의 이동거리 및 상기 이동거리의 간에 발생하는 차량의 방향의 변화량을 산출함으로써 실현되어도 된다. 이 경우, 차량의 이동거리는, 차속 센서(18)의 출력 신호(차륜 속도 펄스)를 시간 적분함으로써 산출된다. 차량의 방향의 변화량은, 노면곡율{차량의 선회 반경의 역 수에 상당하며, 조향각 센서(16)로부터 얻어지는 조향각에 따라 결정된다}을 이동거리로 적분함으로써{적분 구간은 차량의 이동거리, 예로서 0.5m에 대응한다} 산출 되어도 된다. 그리고, 차량의 방향의 변화량은, 짧은 이동거리(0.O1m)마다 얻어지는 노면곡율에 상기 짧은 이동거리(O.O1m)를 곱하고, 이들 곱셈치를 이동거리 0.5m에 대응할 때까지 적산함으로써 산출되어도 된다. 그리고, 노면곡율과 조향각의 관계는, 미리 차량마다 얻어진 상관 데이터에 따라 작성된 맵으로서, 주차 지원 ECU(12)의 ROM에 저장되어 있어도 된다.In step S140, the parking target frame on the display monitor 22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ehicle position (parking start position in the initial cycle of the routine) estimated in the previous processing routine and the vehicle position estimated in this processing routine. Processing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position (position after movement) is executed. Incidentally, the estimation of the vehicle position may be realized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generated between the moving distance of the vehicle and the moving distance. In this case, the moving distance of the vehicle is calculated by time integration of the output signal (wheel speed pulse) of the vehicle speed sensor 18.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is obtained by integrating the road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inverse number of the turning radius of the vehicle, which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teering angle obtained from the steering angle sensor 16) by the movement distance (the integral section is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vehicle, eg Corresponding to 0.5 m}.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irection of the vehicle may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road curvature obtained for each short travel distance (0.01 m) by the short travel distance (0.10 m) and integrating these multiplication values until it corresponds to the travel distance 0.5 m.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ad curvature and the steering angle may be stored in the ROM of the parking assist ECU 12 as a map created according to correlation data obtained for each vehicle in advance.

단계(S150)에서는, 표시 모니터(22) 상의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를 갱신하는 동시에,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 주변의 실화상 중의 백색선을 탐색하고, 주차 목표 프레임의 소정 기준점{상기 단계(S120)와 동일한 기준점}과 실화상 상의 특징점{상기 단계(S120)와 동일한 특징점}의 상관 관계를 산출하는 처리가 실행된다.In step S150, while updating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on the display monitor 22, the white line in the real image around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is searched for, and the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of the parking target frame (step S120 above). ) And a process for calcul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eature point on the real image and the feature point on the real image (the same feature point as in step S120) is executed.

단계(S160)에서는, 상기 단계(S150)에서 산출한 상관 관계가, 상기 단계(S120)에서 산출한 기준 상관 관계에 대해서, 소정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예를 들면, 상기 단계(S150)에서 산출한 기준점 및 특징점 간의 거리와 기준 상관 관계에 따른 거리의 차이의 절대치가 소정 임계치보다 작은가 아닌가가 판단되어도 된다.In step S160,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rrelation calculated in step S150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correlation calculated in step S120 is executed. For exampl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tance between the reference point and the feature point calculated in the step S150 and the distance according to the reference correlation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단계(S160)에서 YES가 얻어지면, 기준 상관 관계가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즉, 목표 경로로부터의 차량의 이탈이 없다고 판단하여), 상기 단계(S140)로 돌아온다. 한편, 본 단계(S160)에서 NO가 얻어지면, 어떠한 원인(시스템 이상) 에 의해 기준 상관 관계가 흐트러졌다(즉, 목표 경로로부터의 차량의 이탈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단계(S170)로 진행된다.If YES is obtained in step S160,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correlation is maintained (i.e., there is no devi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and the flow returns to step S140. On the other hand, if NO is obtained in this step S160, it is determined that the reference correlation is disturbed due to some cause (system abnormality) (i.e., devi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has occurred), and the flow advances to step S170. Proceed.

단계(S170)에서는, 상기 단계(S150)에서 산출한 상관 관계의, 기준 상관 관계에 대한 이탈량에 따라, 표시 모니터(22) 상의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를 수정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본 단계(S170)에서는, 또한, 수정 후의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에 따라, 목표 경로 및 목표 조향각을 다시 연산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이 결과, 본 단계(S150)의 종료후에는, 차량은, 새롭게 연산된 목표 경로 및 목표 조향각에 따라 제어되게 된다. 또, 수정 후의 주차 목표 프레임의 기준점과 실화상 상의 특징점의 상관 관계는, 기준 상관 관계에 일치하게 된다. 수정된 주차 목표 프레임에 대응하는 주차 목표 위치는, 상기 단계(S130)에서 결정된 주차 목표 위치(의도된 주차 목표 위치)와 같다}. 본 단계(S170)의 처리가 종료하면, 상기 단계(S140)로 돌아온다.In step S170, a process of correcting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on the display monitor 22 is executed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deviation of the correlation calculated in step S150 above to the reference correlation. In this step S170, further, a process of recalculating the target path and the target steering angle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orrected parking target frame. As a result, after the end of the present step S150, the vehicle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newly calculated target path and target steering angle.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ference point of the parking target frame after correction and the feature point on the real image coincides with the reference correlation. The parking targe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dified parking target frame is the same as the parking target position (intentional parking target position) determined in step S130}. When the process of this step S170 is complete | finished, it returns to said step S140.

상기 실시예에서, 주차 지원 제어의 실행 중의 주차 목표 프레임과 실화상 상의 특징점의 상관 관계를, 기준 상관 관계를 기준으로 하여 감시한다. 상기 두가지 상관 관계의 어긋남을 검출함으로써, 시스템 이상 등에 기인한 목표 경로로부터의 차량의 이탈을 검출할 수 있다. 또, 목표 경로로부터의 차량의 이탈을 검출한 때, 기준 상관 관계가 유지되도록 목표 경로 및 목표 조향각을 갱신한다. 이것은 의도된 주차 목표 위치{즉, 단계(S130)에서 결정된 주차 목표 위치}까지 차량을 확실하게 안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king target frame and the feature point on the real imag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arking assist control is monitored based on the reference correlation. By detecting the deviation of the two correlations, the devi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due to a system abnormality or the like can be detected. When the devi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is detected, the target path and the target steering angle are updated so that the reference correlation is maintained. This makes it possible to reliably guide the vehicle to the intended parking target position (ie, the parking target position determined in step S130).

도 5를 참조하여, 주차 지원 제어의 실행 중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주차 목표 프레임이 변경되었을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주차 지원 ECU(12)가 실행하는 제어 루틴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제어 루틴은, 도 4의 단계(S140) 내지 단계(S170)의 처리의 실행 중,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주차 목표 프레임이 변경되었을 때에 실행되는 인터럽트 루틴이다.With reference to FIG. 5, the process when the parking target frame is changed by user's operation during the parking assistance control is demonstrated. 5 is a flowchart of a control routine executed by the parking assist ECU 12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rol routine is an interrupt routine that is executed when the parking target frame is changed by the user's operation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cessing of steps S140 to S170 in FIG. 4.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에 사용자에 의해 전술한 조정용 스위치가 조작되면, 단계(S300)에 있어서, 설정 스위치가 다시 조작될 때까지, 조정용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주차 목표 프레임의 표시 위치를 변경하는 처리가 실행된다.If the above-described adjustment switch is operated by the user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execution, in step S300, a process of chang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djustment switch is executed until the setting switch is operated again. do.

단계(S310)에서 설정 스위치가 재조작되었을 때의, 주차 목표 프레임의 소정 기준점{상기 단계(S120)와 동일한 기준점}과 실화상 상의 특징점{상기 단계(S120)와 동일한 특징점}의 상관 관계를, 산출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또, 본 단계(S310)에서는, 또한, 산출한 상기 상관 관계를 새로운 기준 상관 관계로서 갱신·기억하는 처리가 실행된다.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point (the same reference point as the step S120) and the feature point on the real image (the same feature point as the step S120) of the parking target frame when the setting switch is re-operated in step S310, The calculating process is executed. In this step S310, further, a process of updating and storing the calculated correlation as a new reference correlation is executed.

단계(S320)에서는, 상기 단계(S310)에서 설정된 주차 목표 프레임에 따라 주차 목표 위치를 새롭게 결정하고, 현재의 차량 위치로부터 새로운 주차 목표 위치까지 차량을 인도하기 위한 목표 경로을 연산하는 동시에, 목표 경로 상의 각 위치에서 조향되어야 할 차륜의 목표 조향각을 연산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본 단계(S320)의 처리가 종료하면, 본 인터럽트 루틴이 종료되고, 상기 단계(S140) 이하의 처리가 재개되는데, 즉, 주차 지원 제어가 재개된다. 따라서, 상기 단계(S160)의 판단 처리에서는, 상기 단계(S310)에서 산출한 새로운 기준 상관 관계가 이용되게 된다. In step S320, the parking target position is new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arking target frame set in the step S310, and a target path for guiding the vehicle from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to the new parking target position is calculated. Processing for calculating the target steering angle of the wheel to be steered at each position is executed. When the process of this step S320 ends, this interrupt routine is complete | finished, and the process below the said step S140 is resumed, ie parking assistance control is resumed. Therefore,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step S160, the new reference correlation calculated in step S310 is used.                     

차량이 후진함에 따라, 표시 모니터(22) 상에서의 주차 목표 프레임과 실제의 주차 프레임의 관계가 더욱 명확하게 된다. 따라서,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가 사용자의 설정 당초의 의도에 정확하게 대응하지 않는 것을 사용자가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에 발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에 주차 목표 프레임의 재설정이 허용되므로, 설정 당초의 의도에 대응한 주차 목표 위치까지 차량을 확실하게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s the vehicle rever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king target frame on the display monitor 22 and the actual parking frame becomes clearer. Therefore, the user can find out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execution that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does not exactly correspond to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user's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setting of the parking target frame is permitted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execu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guide the vehicle to the parking targe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intention of the setting.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의 주차 목표 프레임의 재조정, 즉 상기 단계(S300)의 처리 중에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주차 목표 프레임의 재조정에 적합한 조정용 스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6 and 7, a switch for adjustment suitable for readjustment of the parking target frame during execution of the parking assistance control, that is, readjustment of the parking target frame executed by the user during the processing of step S300 will be described.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정용 스위치는, 상하 좌우 이동 및 회전 이동에서의 주차 목표 프레임의 표준적인 이동을 실현하는 표준 스위치(70)와, 실화상 중의 실제의 주차 프레임의 백색선에 따른 주차 목표 프레임의 평행이동을 실현하는 보조 스위치(72)를 포함한다. 따라서, 보조 스위치(72)가 조작되면, 주차 목표 프레임이, 도 6 중의 화살표(이동 방향)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의 주차 프레임의 백색선의 종방향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실제의 주차 프레임에 대해서 방향이 대응하고 있지만 전후 방향의 위치가 대응하지 않는 주차 목표 프레임의 전후 방향의 위치 수정을 보조 스위치(72)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되는 것이 가능해진다.As shown in Fig. 6, the adjustment switch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tandard switch 70 which realizes standard movement of the parking target fram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s and rotational movement, and a white line of the actual parking frame in the real image. And an auxiliary switch 72 for realizing the parallel movement of the parking target frame accordingly. Therefore, when the auxiliary switch 72 is operated, the parking target frame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hite line of the actual parking frame, as indicated by the arrow (moving direction) in FIG. In this way, the auxiliary switch 72 can easily realize the position correc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in which the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actual parking frame but the position in the front-back direction does not correspond.

그리고, 본 실시예의 조정용 스위치는,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 즉, 도 4의 단계(S140) 내지 단계(S170)의 처리의 실행 중에, 표시 모니터(22)상에 표시 되어 도 된다. 또는, 본 실시예의 조정용 스위치는, 주차 지원 제어 실행전, 즉 주차 목표 프레임을 설정할 단계에서 표시 모니터(22)상에 표시되어도 된다.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가, 사용자가 터치한 위치의 주변 영역에서의 백색선의 인식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에는, 화상 인식에 의해 백색선의 전후단의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것은 주차 목표 프레임이 실제의 주차 프레임으로부터 종방향에서 어긋나게 할 수 있다(방향은 일치하는 경향에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백색선에 따른 주차 목표 프레임의 종방향의 이동을 실현하는 보조 스위치(72)가 특히 적합하게 된다.Incidentally, the adjustment switch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onitor 22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execution, that is, during the processing of steps S140 to S170 in FIG. 4. Alternatively, the adjustment switch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onitor 22 before the parking assist control is executed, that is, at the step of setting the parking target frame. When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result of the white line in the peripheral area of the position touched by the user,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specify the position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white line by image recognition. This may cause the parking target frame to shif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actual parking frame (the direction tends to coincide). In this configuration, the auxiliary switch 72 which realizes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parking target frame along the white line is particularly suitable.

본 실시예의 보조 스위치(72)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화상 상의 주차 목표 프레임의 주변 위치에 중첩 표시되어도 된다. 또, 보조 스위치(72)는, 실제 이동 방향에 대응한 방향을 가지는 화살표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이로써, 사용자에게 보조 스위치(72)의 기능을 직감적으로 이해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As shown in Fig. 7, the auxiliary switch 72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splayed superimposed on the peripheral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on the actual image. The auxiliary switch 72 may be formed as an arrow having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actual moving direction. This enables the user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 function of the auxiliary switch 72.

상기 실시예에서, 보조 스위치(72)는, 백색선의 종방향에 평행한 방향의 주차 목표 프레임의 이동만이 아니라, 백색선의 종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이동도 실현되어도 된다. 또, 보조 스위치(72)는, 백색선의 종방향에 대신해, 주차 목표 프레임의 종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 이동을 실현해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auxiliary switch 72 may realize not only the movement of the parking target frame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hite line but also the movemen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hite line. In addition, the auxiliary switch 72 may realize various movement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instea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hite lin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 해설했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으면서 전술한 실시예에 여러 가지의 변형 및 치환을 가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explained in full detail,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nd substitution can be added to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without deviating from the range of this invention. have.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주차 지원 제어 실행 중의 표시 모니터 (22) 상의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 및 차량 위치(차량의 이동 벡터)는, 조향각 센서(16) 및 차속 센서(18)의 출력 신호에 따라 추정된다. 그러나, 그러한 위치를 요잉 레이트 센서 및 차속 센서(18)의 출력 신호에 따라서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and the vehicle position (vehicle movement vector) on the display monitor 22 during the parking assist control execution are output from the steering angle sensor 16 and the vehicle speed sensor 18. Estimated according to the signal.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estimate such a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signals of the yaw rate sensor and the vehicle speed sensor 18.

상술한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되는 것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재의 차량 위치의 추정에 오차가 생긴 경우에도, 의도된 주차 목표 위치까지 확실히 차량을 안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an effect as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n error occurs in the estimation of the current vehicle position, the vehicle can be surely guided to the intended parking target posi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표시 모니터는 "표시 수단"에 대응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주차 지원 ECU, 조정 스위치, 주차 선택 스위치, 및 설정 스위치는 "위치 결정 수단"에 대응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더욱이, 주차 지원 ECU는 "주차 지원 제어 수단", 특징점 결정 수단", "경로 교정 수단", 및 "검출 수단"에 대응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monitor may be considered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means". In addition, the parking assist ECU, the adjustment switch, the parking selection switch, and the setting switch correspond to the "positioning means". Can be considered to be. Moreover, the parking assist ECU may be considered to correspond to "parking assistance control means", feature point determination means "," path correction means ", and" detection means ".

Claims (18)

차량 주변의 실화상 상에 사용자에 의해 위치의 조정이 가능한 위치를 가진 주차 목표 프레임을 중첩 표시하는 표시 수단(22), 상기 실화상 상에 표시된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에 대응하는 주차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수단, 및 상기 주차 목표 위치까지 목표 경로 상에서 상기 차량을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주차 지원 제어 수단(12)을 포함하는 주차 지원 장치에 있어서,Display means 22 for superimposing and displaying a parking target frame having a position that can be adjusted by a user on a real image around a vehicle; and a parking targe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displayed on the real image. A parking assistance apparatus comprising position determining means for determining and parking assistance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vehicle to guide the vehicle on a target path to the parking target position. 상기 실화상 상의 특징점을 화상 인식을 통해 결정하는 특징점 결정 수단(12), 및Feature point determining means 12 for determining a feature point on the real image through image recognition, and 주차 지원 제어의 시작 시의 상기 주차 목표 위치와 상기 특징점 사이의 상관 관계가 상기 주차 지원 제어의 실행 동안에 유지되도록, 주차 지원 제어의 실행 동안에 얻어지는 상기 실화상에 대한 상기 특징점의 화상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경로를 자동적으로 수정하는 경로 수정 수단(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On the basis of the image recognition result of the feature point obtain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arking assistance control, so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king target position and the feature point at the start of the parking assistance control is maintain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arking assistance control. And a path correcting means (12)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the target pat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특징점 결정 수단(12)은 화상 인식 가능하고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 주변의 상기 실화상 상에 표시된 부분을 상기 특징점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The feature point determining means (12) is capable of recognizing an image and determines a portion displayed on the real image around the parking target frame as the feature poi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특징점 결정 수단(12)은 주차 프레임의 백색선을 상기 특징점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The feature point determining means (12) determines a white line of the parking frame as the feature poin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의 상기 위치는 상기 주차 프레임의 상기 백색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And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is adjust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white line of the parking fram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특징점 결정 수단(12)은 주차 프레임의 차량 멈춤 설비(car stop)와 도로 쇼울더(road shoulder) 중 하나를 상기 특징점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The feature point determining means (12) determines one of a car stop and a road shoulder of a parking frame as the feature poin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표시 수단(22)의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의 상기 위치를 종방향으로 조정하는 보조 스위치(7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And an auxiliary switch (72) for verticall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means (22).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표시 수단(22)의 상기 화면은 터치 패널이고, 상기 보조 스위치(72)는 상기 화면 상에 중첩되어 표시되며,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의 상기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The screen of the display means 22 is a touch panel, and the auxiliary switch 72 is displayed superimposed on the screen, and is operated by the user to move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Parking assist devic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목표 경로로부터 상기 차량의 이탈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And means for detecting the departure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검출 수단(12)은, 상기 주차 지원 제어의 수행 동안의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과 상기 실화상 상의 상기 특징점 사이의 상기 상관 관계를 기준 상관 관계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목표 경로로부터의 상기 차량의 이탈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The detection means 12 detects the devi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by compar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king target frame and the feature point on the real image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parking assist control with a reference correlation. Parking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주차 지원 제어 수단(12)은, 상기 검출 수단(12)이 상기 목표 경로로부터의 상기 차량의 이탈을 검출한 때, 상기 표시 수단(22)의 상기 화면 상에 표시된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를 자동적으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The parking assist control means 12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means 22 when the detection means 12 detects the departure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Parking assist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utomatically changed.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주차 지원 제어 수단(12)은, 상기 검출 수단(12)이 상기 목표 경로로부터의 상기 차량의 이탈을 검출한 때, 상기 주차 지원 제어를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The parking assist control means (12) stops the parking assist control when the detection means (12) detects the departure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주차 지원 제어 수단(12)은, 상기 검출 수단(12)이 상기 목표 경로로부터의 상기 차량의 이탈을 검출한 때, 새로이 결정된 주차 목표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목표 경로와 목표 조향각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목표 경로에 따라 상기 주차 지원 제어를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The parking assist control means 12 updates the target path and the target steering angle corresponding to the newly determined parking target frame when the detection means 12 detects the departure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And the parking assistance control is resumed according to the updated target path.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주차 지원 제어 수단(12)은, 상기 목표 경로로부터의 상기 차량의 이탈을 검출한 때, 상기 갱신된 목표 경로를 얻지 못하면 상기 주차 지원 제어를 멈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And the parking assist control means (12) stops the parking assist control if the updated target route is not obtained when the departure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route is detected.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검출 수단(12)은 상기 주차 지원 제어의 실행 동안의 상기 실화상 상의 상기 특징점에 대한 상기 차량의 상대 이동 벡터와 상기 주차 지원 제어의 실행 동안의 상기 차량의 절대 이동 벡터를 비교하고, 상기 상대 이동 벡터와 상기 절대 이동 벡터 사이에 차이가 있다고 판정될 때 상기 목표 경로로부터의 상기 차량의 이탈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The detecting means 12 compares the relative motion vector of the vehicle with respect to the feature point on the real imag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arking assistance control and the absolute motion vector of the vehicl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arking assistance control, and the relative And a deviation of the vehicle from the target path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motion vector and the absolute motion vector.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주차 지원 제어 수단(12)은 상기 상대 이동 벡터와 상기 절대 이동 벡터 사이의 차이에 따라 상기 목표 경로와 목표 조향각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The parking assist control means (12) updates the target path and the target steering angl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lative motion vector and the absolute motion vector. 제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절대 이동 벡터는, 차속 센서(18), 조향각 센서(16), 및 요잉 레이트(yaw rate)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 지원 제어의 실행 동안에 상기 차량의 이동 거리 및 방향의 변화량을 계산함으로써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The absolute motion vector is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output signals from the vehicle speed sensor 18, the steering angle sensor 16, and the yaw rate sensor, such that the vehicle travel distance and the vehicle's travel distance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arking assist control. Parking assistance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estimated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direction.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절대 이동 벡터는 상기 차량의 소정 주행 거리에서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장치.And the absolute motion vector is estimated at a predetermined driving distance of the vehicle. 차량 주변의 실화상 상에 중첩되는 주차 목표 프레임과, 사용자에 의해 조정 가능한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를 표시하는 제1 단계, 상기 실화상 상에 표시된 상기 주차 목표 프레임의 위치에 대응하는 주차 목표 위치를 결정하는 제2 결정 단계, 및 상기 주차 목표 위치까지 목표 경로 상에서 상기 차량을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지원 방법에 있어서,A first step of displaying a parking target frame superimposed on a real image around a vehicle and the parking target frame adjustable by a user, and a parking targe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rking target frame displayed on the real image A second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and a third step of controlling to guide the vehicle on a target route to the parking target position, the parking assist method comprising: 상기 실화상 상의 특징점을 화상 인식을 통해 결정하는 제4 단계, 및A fourth step of determining the feature point on the real image through image recognition, and 주차 지원 제어의 시작 시의 상기 주차 목표 위치와 상기 특징점 사이의 상관 관계가 상기 주차 지원 제어의 실행 동안에 유지되도록, 주차 지원 제어의 실행 동안에 얻어지는 상기 실화상에 대한 상기 특징점의 화상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경로를 자동적으로 수정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지원 방법.On the basis of the image recognition result of the feature point obtain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arking assistance control, so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king target position and the feature point at the start of the parking assistance control is maintain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arking assistance control. And a fifth step of automatically correcting the target path.
KR1020040065541A 2004-08-19 2004-08-19 Car parking assistance device and method KR1009084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541A KR100908421B1 (en) 2004-08-19 2004-08-19 Car parking assistance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541A KR100908421B1 (en) 2004-08-19 2004-08-19 Car parking assistance device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038A KR20060017038A (en) 2006-02-23
KR100908421B1 true KR100908421B1 (en) 2009-07-21

Family

ID=37125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541A KR100908421B1 (en) 2004-08-19 2004-08-19 Car parking assistance device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42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7592A1 (en) * 2016-04-28 2017-11-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Method and device for parking assista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9314A (en) * 2000-07-12 2002-01-29 Nissan Motor Co Ltd Parking support device
JP2002240661A (en) * 2001-02-19 2002-08-28 Nissan Motor Co Ltd Parking support device
JP2003072495A (en) * 2001-09-06 2003-03-12 Yazaki Corp Parking support device and parking support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9314A (en) * 2000-07-12 2002-01-29 Nissan Motor Co Ltd Parking support device
JP2002240661A (en) * 2001-02-19 2002-08-28 Nissan Motor Co Ltd Parking support device
JP2003072495A (en) * 2001-09-06 2003-03-12 Yazaki Corp Parking support device and parking support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038A (en) 200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35026B2 (en) Parking assistance device
JP4432930B2 (en) Parking assistance device and parking assistance method
JP4604703B2 (en) Parking assistance device
US6940423B2 (en) Device for monitoring area around vehicle
JP3949073B2 (en) Parking assistance device
US6704653B2 (en) Vehicle backing support apparatus
JP4769625B2 (en) Parking assistance device and parking assistance method
JP2003072495A (en) Parking support device and parking support method
US10179608B2 (en) Parking assist device
JP4793171B2 (en) Parking assistance device
JP4900174B2 (en) Parking assistance device, parking assistan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30173148A1 (en) Parking assistance apparatus
JP2003300443A (en) Parking assist system
JP2008143430A (en) Parking support device
CN100535598C (en) Parking auxiliary device for vehicle and parking auxiliary method
JP7152889B2 (en) Steering control device, steering control method, and steering control system
JP2008285083A (en) Parking support device
JP2006193011A (en) Parking supporting device
JP5400316B2 (en) Parking assistance device
JP2013052754A (en) Parking support device
JP2012176656A (en) Parking support device
EP4024318B1 (en) Parking assistance method and parking assistance device
JP2010195266A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parking
JP4416000B2 (en) Parking assistance device
KR102251574B1 (en) Parking alignment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