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342B1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arch with image input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arch with image in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342B1
KR100907342B1 KR1020070140987A KR20070140987A KR100907342B1 KR 100907342 B1 KR100907342 B1 KR 100907342B1 KR 1020070140987 A KR1020070140987 A KR 1020070140987A KR 20070140987 A KR20070140987 A KR 20070140987A KR 100907342 B1 KR100907342 B1 KR 100907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arch
character
terminal devic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9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72774A (en
Inventor
황준호
윤찬호
장준기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주)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주)
Priority to KR1020070140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342B1/en
Publication of KR20090072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7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3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V30/36Matching; Classification
    • G06V30/387Matching; Classification using human interaction, e.g. selection of the best displayed recognition candid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입력기를 사용하여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 위젯과 이미지 입력기를 갖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검색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미지 입력기를 통하여, 검색 질의어를 구성하기 위한 이미지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기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출된 문자/기호를 사용하여 상기 검색창에 입력될 검색 질의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위젯을 사용하여, 상기 구성된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 apparatus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a search using an imag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executing a search in a user terminal device having a search widget and an image input unit providing a search box,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n image for constructing a search query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Recognizing the input image; analyzing the recognized image to extract at least one character / symbol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putting the search image using the at least one extracted character / symbol Constructing a search query to be performed, and performing a search for the constructed search query using the search widget.

검색 위젯, 이미지 입력기 Search widget, image input

Description

이미지 입력기를 사용하여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ARCH WITH IMAGE INPUT DEVICE}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ARCH WITH IMAGE INPUT DEVICE}

본 발명은 이미지 입력기를 사용하여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장치 상에서 검색을 수행할 때에 사용되는 검색 질의어 또는 파일 위치 식별자를 이미지 입력기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를 증대시키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 apparatus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a search using an image inpu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arch query or file location identifier used when a user performs a search on a user terminal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 apparatus,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by enabling the configuration using an image input device.

근래에 들어,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사용자들은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사용자들은 인터넷에의 접속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 등의 단말 장치를 통해 인터넷 검색 사이트에 접속한 후, 뉴스, 지식, 게임, 커뮤니티 등과 관련된 각종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In recent years, as the use of the Internet has become more common, users can obtain various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searches. That is, after accessing an Internet search site through a terminal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that can access the Internet, users can search for various contents related to news, knowledge, games, communities, and the like.

사용자들이 인터넷 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검색을 통하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Internet ExplorerTM, NetscapeTM, LynxTM 등과 같은 웹 브라우저를 기동시 킨 후,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입력하여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나서, 상기 웹 사이트가 제공하는 검색창에 검색 질의어 등을 입력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order to perform an internet search and obtain information through the search, a user starts a web browser such as Internet Explorer TM , Netscape TM , Lynx TM , and then enters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the address bar of the web browser. After accessing a web site providing a search service, a search query or the like is generally entered into a search box provided by the web site.

그러나, 사용자 입장에서 볼 때에, 간단한 인터넷 검색을 할 때마다 웹 브라우저를 기동시킨 후,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치는 것은 여간 번거롭지 않을 수 없고, 이에 따른 시간 소요도 낭비일 수 있다.However, from a user's point of view, it is inconvenient to start the web browser every time a simple internet search and then go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which can be a waste of time.

또한, 인터넷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웹 사이트들은 메인 페이지마다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수많은 무관심 컨텐츠, 광고 등을 노출시키고 있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도 있다.In addition, Web sites that provide Internet search functions may expose a lot of indifferent content, advertisements, etc. (in most cases, the user does not want) on the main page, which may make the user uncomfortable.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근래에 위젯(widget)이라는 도구가 개발된 바 있다.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 tool called a widget has recently been developed.

일반적으로 위젯이란,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운영 체계(OS) 상의 응용 프로그램을 기동시키고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처리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소규모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말한다. 예컨대, 위젯은 인터넷으로부터 정보를 전달 받아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작은 창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으로서, 검색, 시계, 달력, 메모장, 지도, 실시간 카메라 등 웹 브라우저가 제공하는 많은 메뉴가 웹 브라우저를 직접 기동시키지 않고도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일컫는다. 또한,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사용자 중심의 그래픽 및 데이터 처리 프로그램들을 모은 라이브러리 역시 위젯에 포함될 수 있다.In general, a widget refers to a small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for starting an application program on an operating system (OS) in a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a processing result of the application program on a screen. For example, a widget is a program that controls a small window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and displaying it on a screen of a user terminal device. A web browser includes many menus provided by a web browser such as a search, a clock, a calendar, a notepad, a map, and a real-time camera. It refers to a program that can be provided to the user without starting it directly. In addition, a library of user-oriented graphic and data processing programs frequently used by a user may also be included in the widget.

위젯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크게 검색 위젯(즉, 위젯 엔진), GUI 위젯, 웹 위젯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검색 위젯의 예로는, 애플사의 Mac OS X v10.4를 위한 대시보드(Dashboard) 위젯,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비스타(Windows Vista)의 사이드바(Side Bar), KlipFolio, Yahoo! Widgets(일명, Konfabulator), iGoogle, Google 데스크탑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GUI 위젯은,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이 가능한 GUI의 구성요소로서 사용되는 위젯을 말하며, 웹 위젯은 웹 페이지에 내장되어 사용되는 위젯을 말한다.Widgets may be classified into search widgets (ie, widget engines), GUI widgets, and web widget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used. Examples of search widgets include the Dashboard widget for Apple's Mac OS X v10.4, the Side Bar of Microsoft's Windows Vista, KlipFolio, Yahoo! Widgets (aka Konfabulator), iGoogle, Google Desktop, and others. In addition, the GUI widget refers to a widget that is used as a component of the GUI that can interact with a user, and the web widget refers to a widget that is embedded and used in a web page.

이 중 가장 널리 쓰이는, 소위 검색 위젯이란, 사용자 단말 장치의 화면에 소형의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 도구를 말하며, 주로 웹 브라우저를 기동시키지 않고도 인터넷 검색이나 여타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통칭한다.The so-called search widget, which is most widely used, refers to a search tool that provides a small search box on the screen of a user terminal device. The search widget generally refers to a program that enables internet search or other search without starting a web browser.

보통, 검색 위젯은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에 설치된 후, 바탕 화면 또는 작업 표시줄 등 사용자가 원하는 곳에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그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데스크바(desk bar) 또는 플로팅바(floating bar)라고 불리기도 한다.Usually, the search widget is installed on the user's personal computer and can be freely placed wherever he or she wants, such as the desktop or taskbar, so depending on where it's placed, it's called a desk bar or floating bar. Also called.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색 위젯은 검색 질의어를 입력하기 위한 소형의 검색창의 형태로 주로 사용자에게 표시되지만, 인터넷 검색 사이트에서와 마찬가지로 검색어 자동 완성 기능과 바로가기 기능까지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문서 작업 등을 할 때에도 작은 표시 공간만을 차지하는 특성으로 인해 유용하게 이용된다.As mentioned earlier, the search widget is primarily presented to the user in the form of a small search box for entering search queries, but can include search term autocompletion and shortcuts, as in Internet search sites. It is also useful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s that occupy only a small display space.

또한, 검색 위젯을 사용하면,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를 기동시키지 않고서도 인터넷 검색을 바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웹 브라우저의 기동에 필요한 시간을 절 약하여 빠르게 검색 결과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by using the search widget, the user can directly perform an internet search without starting the web browser, thereby saving the time required for starting the web browser, thereby obtaining a search result quickly.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검색 위젯은 개인용 컴퓨터 등의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인터넷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그 소형성 및 접근성으로 인해 검색 수단으로서 이용하기에 상당히 유리한 것이 사실이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search widget is not only able to perform an internet search in a user terminal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but also is very advantageous to use as a search means due to its compactness and accessibility.

한편, 검색 위젯의 용도가 인터넷 검색에만 한정될 필요가 없음이 주목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use of the search widget need not be limited to Internet search only.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 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상당히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윈도우 탐색기 등을 기동시킨 후에 검색 질의어를 입력함으로써 파일 검색을 행하곤 한다.In general, even when a user searches for a file stored in his or her terminal device, a user may perform a file search by inputting a search query after starting a Microsoft Windows Explorer or the like through a fairly cumbersome process.

그러나, 검색 위젯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인터넷 검색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 장치 내에서의 검색 역시 가능하다. 또한, 위와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 내에서의 검색은, 동일한 검색 질의어에 대한 인터넷 검색과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search widget, not only the Internet search but also the search in the user terminal device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In addition, the search in the user terminal device as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Internet search for the same search query.

그런데, 위와 같은 검색 위젯을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키보드 등의 공지의 문자/기호 기반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검색 질의어를 구성하게 된다.However, when using the above search widget, the user typically configures the search query using a known character / symbol based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그러나, 사용자가 키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한글이나 영문 알파벳과 같이 널리 쓰이는 종류의 텍스트를 입력하는 것은 수월할 수 있으나, 그 밖의 문자(예를 들어 일문자, 한자, 아라비아 문자 등)나 잘 사용되지 않는 기호 등과 같이 키보드가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않는 문자나 기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 되게 된다.However, if the user is using a keyboard, it may be easier to enter widely used text such as Korean or English alphabets, but other characters (for example, Chinese, Chinese, Arabic, etc.) are not used well. It takes a lot of time to input characters or symbols that are not provided by the keyboard by default.

특히,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무선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각종 입력 버튼 및 표시 화면이 작아서, 위와 같은 어려움을 더욱 절실하게 느끼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user using a wireless portable terminal such as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various input buttons and display screens are small, so that the above difficulty is more urgently fel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검색 위젯을 사용하여 검색을 수행할 때에 이를 위한 검색 질의어의 구성에 이미지 입력기를 더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입력 수단에 제약 받지 않고 검색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further use the image input uni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earch query for the user when performing a search using the search widget,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search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input means There is a purpose.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URL 등의 파일 위치 식별자를 이용하여 파일을 요청할 때에 파일 위치 식별자의 구성에 이미지 입력기를 더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입력 수단에 제약 받지 않고 파일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n image input device to be further us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file location identifier when the user requests a file using a file location identifier such as a URL, so that the user can request the file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input means. The purpose is.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미지 입력기의 확장된 용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이미지 입력기를 이용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더 관심을 갖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able a user to grasp the extended use of the image inputter, thereby making the user more interested in a system using the image inputt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Representativ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검색창을 제공하는 검색 위젯과 이미지 입력기를 갖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검색을 실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미지 입력기를 통하여, 검색 질의어를 구성하기 위한 이미지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기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출된 문자/기 호를 사용하여 상기 검색창에 입력될 검색 질의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위젯을 사용하여, 상기 구성된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executing a search in a user terminal device having a search widget and an image input unit providing a search box,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n image for constructing a search query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Recognizing the input image, analyzing the recognized image to extract at least one character / symbol corresponding to the image, and using the at least one extracted character / symbol in the search box. Constructing a search query to be input, and performing a search for the constructed search query using the search widget.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이미지 입력기를 갖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파일을 제공 받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이미지 입력기를 통하여, 파일 위치 식별자를 구성하기 위한 이미지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기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출된 문자/기호를 사용하여 파일 위치 식별자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구성된 파일 위치 식별자를 사용하여 파일을 제공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receiving a file in a user terminal device having an image input unit, comprising: receiving an image for configuring a file location identifier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recognizing the input image Analyzing the recognized image to extract at least one character / symbol corresponding to the image, constructing a file location identifier using the at least one extracted character / symbol, and the configured file A method is provided that includes receiving a file using a location identifier.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인터넷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연산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이미지 입력기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기호를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출된 문자/기호를 사용하여 검색 질의어를 구성하는 검색 질의어 구성부, 및 상기 구성된 검색 질의어를 사용하여 검색을 실행함으로써 도출되는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검색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ing device for providing an Internet search result, the image received from the image in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to extract at least one character / symbol corresponding to the image, the at least A search query constructing unit for constructing a search query using one extracted character / symbol, and a search resul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user terminal device with a search result derived by executing a search using the constructed search query. A computing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파일을 제공하기 위한 연산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이미지 입력기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기호를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출된 문자/ 기호를 사용하여 파일 위치 식별자를 구성하는 파일 위치 식별자 구성부, 및 상기 구성된 파일 위치 식별자를 사용하여 파일을 요청함으로써 획득되는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파일 제공부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ing device for providing a file, comprising: analyzing an image received from an image input unit of a user terminal device to extract at least one character / symbol corresponding to the image, wherein the at least one A file location identifier constructing unit for constructing a file location identifier using the extracted characters / symbols, and a fil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file obtained by requesting a file using the configured file location identifier to the user terminal device; An apparatus is provided.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로서, 사용자로부터 이미지를 입력 받기 위한 이미지 입력기, 상기 이미지 입력기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기호를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출된 문자/기호를 사용하여 검색 질의어를 구성하기 위한 검색 질의어 구성부, 및 상기 구성된 검색 질의어를 사용하여 검색되는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 user terminal device for providing a search result, an image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mage from a user, at least one character / corresponding to the image by analyzing the image received from the image input unit / A user including a search query constructing unit for extracting a symbol and constructing a search query using the at least one extracted character / symbol, and a search resul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result searched using the constructed search query A terminal device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검색 질의어나 파일 위치 식별자에 입력이 어려운 문자나 기호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비교적 손쉽게 검색 질의어나 파일 위치 식별자를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리가 증대되는 효과가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search query word or a file location identifier includes characters or symbols that are difficult to input, the search query word or file location identifier can be configured relatively easily, and the user convenience is increased. do.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검색 질의어나 파일 위치 식별자를 키보드 등의 문자/기호 기반 입력 장치로 구성하기 어려울 때에도, 대체적인 이미지 입력 수단을 사용하여 검색이나 파일 요청을 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 search query word or file location identifier with a character / symbol based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there is an effect that a search or file request can be made using an alternative image input means.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 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at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In addi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rang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aspects.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Preferred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Example ]]

본 명세서에 있어서, 검색 위젯이란, 컴퓨터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작은 크기의 검색창을 포함하는 검색용 프로그램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통신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검색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검색 위젯은, 데스크바나 플로팅바와 같이 컴퓨터의 화면 상에서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웹 브라우저의 툴바와 같이 특정 응용 프로그램과 연계되어 이용되는 것까지도 포괄하는 최광의의 의미로 이해 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earch widget is a general term for a search program including a small search box displayed on a screen of a computer, and performs a search function for various digital contents existing on a communication network. It is for. In particular, the search widget mentioned herein can be freely arranged on the screen of a computer, such as a deskbar or a floating bar, as well as being used in connection with a specific application such as a toolbar of a web browser. It must be understood in the sense.

전체 시스템의 구성Configuration of the entir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 또는 기호를 검색 위젯의 검색 질의어로서 사용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ystem for extracting a character or a symbol corresponding to an image input by a user and using the extracted character or symbol as a search query word of a search widg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rch result It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인터넷(100), 인터넷(100)에 접속 가능한 다수의 사용자 단말 장치(300),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검색 질의어에 따른 인터넷 검색을 수행하는 서버(200), 서버(200)와 연동하는 데이터베이스(250), 및 서버(200)에 의한 인터넷 검색 시에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수의 웹 서버(400)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nti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nternet 100, a plurality of user terminal devices 300 accessible to the Internet 100, and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 server 200 that performs an Internet search according to a search query received from the server 300, a database 250 that interoperates with the server 200, and a plurality of webs that provide Internet content during the Internet search by the server 200. It may be configured as a server (400).

먼저, 인터넷(100)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인터넷(100)은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First, the Internet 100 may be configured regardless of communication modes such as wired and wireless, and may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nd a wide area network (WAN). Network). Preferably, the Interne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known World Wide Web (WWW).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에 포함되는 서버(200)는 인터넷(10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300) 및 각종 웹 서버(4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인터넷 검색 포털 사이트의 운영 서버일 수 있는데, 이때, 서버(200)는 웹 컨텐츠 검색 엔진(미도시됨)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 질의어를 질의 어 버퍼(미도시됨)에 저장한 후 상기 검색 질의어에 해당하는 웹 서버(400) 내의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를 검색 결과 버퍼(미도시됨)에 저장한 후 사용자가 브라우징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검색 결과로서 제공되는 컨텐츠는 뉴스, 지식, 게임, 커뮤니티 등에 관한 다양한 정보일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웹 컨텐츠 검색 엔진, 질의어 버퍼 및 검색 결과 버퍼는 서버(200)가 아닌 다른 연산 장치나 기록 매체에 포함될 수도 있다.The server 200 included in the entir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nd various web servers 400 through the Internet 100. For example, the server 200 may be an operation server of an Internet search portal site. In this case, the server 200 may include a web content search engine (not shown) to query a search query input by a user. Store content in the web server 400 corresponding to the search query, store the search result in a search result buffer (not shown), and provide the user to browse. Can be. The content provided as the search result may be various information about news, knowledge, games, communities, and the like. Of course, if necessary, the web content search engine, the query buffer, and the search result buffer may be included in a computing device or a recording medium other than the server 200.

그리고,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다운로드된 후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다운로드 가능한 검색 소프트웨어 패키지(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는 이러한 검색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300)가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200)에 접속한 상태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제공하는데, 이러한 검색 소프트웨어 패키지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설치된 후 실행되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인터넷 검색이나 사용자 단말 장치(300) 내에서의 검색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rver 200 may include a downloadable search software package (not shown) that is installed and executed after being download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he server 200 provides such a search software package to be downloaded while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is connected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Internet. The search software package is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In this case, the user can more easily request an Internet search or a search in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또한, 서버(2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가 입력한 이미지를 인식 및 분석하고, 분석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문자 또는 기호를 추출하거나 추천하는 처리를 수행한 후에, 추출되거나 추천된 문자 또는 기호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 상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2를 참고하여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server 200 recognizes and analyzes an image input by the user,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tracts one or more characters or symbols corresponding to the analyzed image. After performing the recommendation process, the extracted or recommended character or symbol may be provided to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In this regard, i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250)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이미지에 대응하거나 대응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다양한 문자, 기호 등이 저장되어 있어 본 발명에 따른 검색 질의어의 구성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베이스(250)에서 추출되는 문자, 기호 등은 검색 질의어의 완성을 위해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base 250 stores various characters, symbols, etc. that are determined to correspond to or correspond to an image input by the user, and thus may be used to construct a search qu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Preferably, characters, symbols, etc. extracted from the database 250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o complete the search query.

비록 도 1에서 데이터베이스(250)는 서버(200)와 별개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50)는 서버(200)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database 250 is illustrated in FIG. 1 as being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server 200, the database 250 may be included in the server 200 according to the need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have.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사용자가 인터넷(100)을 통하여 서버(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개인용 컴퓨터(예를 들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device 300 is a digital device including a function for allowing a user to communicate after connecting to the server 200 through the Internet 100. A personal computer (for example,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etc.) Any digital device having memory means such as a workstation, a PDA, a web pad, a mobile phone, and the like with a microprocessor can be adopted as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인스톨레이션된 이미지 입력기를 통하여 먼저 검색 질의어를 구성하기 위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추출되거나 추천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사용하여 검색 질의어를 구성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검색 질의어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인스톨레이션된 검색 위젯의 검색창에 입력된다. 이후, 사용자는 검색 위젯에 입력되어 있는 검색 질의어를 확인하고 나서 인터넷 검색을 수행하고, 이에 따른 검색 결과를 서버(200)로부터 제공 받는다.A user first generates an image for constructing a search query through an image inputter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nd then constructs a search query using letters or symbols extracted or recommended correspondingly. The search query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put to the search window of the search widget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hereafter, the user checks the search query input in the search widget and then performs an internet search, and receives the search result from the server 200.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이미지 입력기는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키보드 등의 문자/기호 기반 입력 장치 대신, 마우스, 펜 마우스, 전자 펜, 티지타이저, 터치 패드, 터치 패널, 태블릿(Tablet) 등의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이미지 입력기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예로서, 마우스와 도 5의 이미지 입력 인터페이스(510)를 결합함으로써, 이미지 입력기를 구현할 수 있다.The image input uni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may include various input devices. For example, a user may use an image input device including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a pen mouse, an electronic pen, a digitizer, a touch pad, a touch panel, or a tablet instead of a text / symbol based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Can be. As a preferred example, by combining the mouse and the image input interface 510 of FIG. 5, an image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이상과 같은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이미지 입력기와 검색 위젯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다운로드될 수 있는 검색 소프트웨어 패키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At least some of the image input unit and the search widget of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s described above may be included in a search software package that can be downloaded from the server 200 to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3.

서버의 구성Server configura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200)의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rver 200 performing important func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제어부(210), 통신부(220), 이미지 처리부(230), 검색부(2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 처리부(230)는 다시 이미지 인식 및 분석부(232), 문자/기호 추출부(234)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10), 통신부(220), 이미지 처리부(230), 검색부(24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서버(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서버(20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troller 210, a communicator 220, an image processor 230, and a searcher 240. 230 may be again configured as an image recognition and analysis unit 232, character / symbol extraction unit 234,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10, the communication unit 220, the image processing unit 230, and the searcher 240 may be program modules in which at least some of them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 Such program modules may be included in the server 200 in the form of operating systems, application modules, and other program modules, and may be physically stored on various known storage devices. In addition, these program modules may be stored in a remote storage devic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server 200. On the other hand, such program modu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utines, subroutines, programs, objects, components, data structures, etc. that perform particular tasks or execute particular abstract data types, described below,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어부(210)는 통신부(220), 이미지 처리부(230), 검색부(24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10)는 외부로부터의 또는 서버(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통신부(220), 이미지 처리부(230), 검색부(24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First, the controller 210 controls a flow of data between the communication unit 220, the image processor 230, and the searcher 240. That is, the control unit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rolling the flow of data from the outside or between each component of the server 200, the communication unit 220, the image processing unit 230, the search unit 240, each unique Control to perform the function.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사용자가 입력한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에 대응하여 추출되거나 추천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송신하며,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검색 질의어에 따른 인터넷 검색 결과를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부(220)는 서버(200)로부터/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220 receives an image input by the user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ransmits a character or a symbol extracted or recommended in response to the received image, to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nd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May provide a function of providing an Internet search result according to a search query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hat is, the communication unit 220 performs a function to enabl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to and from the server 200.

이미지 처리부(230)는 이미지 인식 및 분석 알고리즘을 구비하는 이미지 인식 및 분석부(232)와 분석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추출하는 문자/기호 추출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230 may include an image recognition and analysis unit 232 including an image recognition and analysis algorithm, and a character / symbol extraction unit 234 that extracts a character or a symbol corresponding to the analyzed image.

이미지 인식 및 분석부(232)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이미지를 인식하여 이를 공지의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에 의하여 분석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공지된 기술 문헌인 한국정보과학회의 "2007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 34, No. 1(C)"에 개시된 문자 인식 기술 등을 참고할 수 있다.The image recognition and analysis unit 232 recognizes an image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nd analyzes the image by a known image analysis algorithm. In this regar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refer to the character recognition technology disclosed in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34, No. 1 (C), which is a well-known technical document. have.

그리고, 문자/기호 추출부(234)는 이미지 인식 및 분석부(232)에 의하여 분석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추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문자/기호 추출부(234)는 분석된 이미지와 문자 또는 기호 간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유사도 산출 결과, 그 유사도가 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문자 또는 기호가 추출되는 경우에는, 해당 문자 또는 기호를 선택하여 분석된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곧바로 제공하고, 그 유사도가 기준치를 넘지 못하여 분석된 이미지에 정확하게 대응될 만한 문자 또는 기호가 없는 경우에는, 산출된 유사도순으로 소정 개수의 문자 또는 기호를 추출하여 사용자의 선택을 위해 추천할 수도 있다.The character / symbol extractor 234 extracts a character or symbol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image analyzed by the image recognition and analyzer 232.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acter / symbol extraction unit 234 also performs a function of calculat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analyzed image and the character or symbol. As a result of the similarity calculation, if a character or symbol is determined that the similarit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corresponding character or symbol is selected and immediately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analyzed image, and the similarity does not exceed the reference value so that the image can be accurately analyzed. If there is no corresponding character or symbol, a predetermined number of characters or symbols may be extracted in the order of calculated similarity and recommended for the user's selection.

한편, 비록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미지의 인식 및 분석과 이에 따른 문자 또는 기호의 추출 또는 추천이 서버(200)에 포함되는 이미지 처리부(23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이미지 처리부(230)의 전체 또는 일부의 구성요소는 필요에 따라 서버(200)가 아닌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이미지 입력기를 통하여 입력한 이미지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추출하여 이를 검색 질의어를 구성할 때에 사용하기 위한 처리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in the above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recognition and analysis of the image and the extraction or recommendation of characters or symbols accordingly are performed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230 included in the server 200, the entire image processing unit 230 Alternatively, some components may b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instead of the server 200 as necessary. That is, a process for extracting a character or a symbol corresponding to an image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and using the same in constructing a search query may be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마지막으로, 검색부(240)는 웹 컨텐츠 검색 엔진(미도시됨)을 포함하거나 이 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검색 위젯을 사용하여 인터넷 검색을 수행할 때에, 검색 질의어에 부합하는 웹 서버(400) 내의 컨텐츠를 검색하여 이를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제공한다. 이때, 검색부(240)는 상기 검색 질의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저장하기 위하여 앞서 언급한 바 있는 검색 결과 버퍼(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Finally, the searcher 240 includes or works in conjunction with a web content search engine (not shown), so that when the user performs an internet search using the search widget, the web server 400 corresponding to the search query is provided. The content is searched for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In this case, the searcher 240 may further include the above-described search result buffer (not shown) to store the search result for the search query.

이상에서,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 및 서버(200)의 내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검색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 경우의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In the above,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entire system and server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when a user downloads and installs a search software package from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Configuration of User Terminal Devi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300)는, 검색 질의어 입력을 위한 소형의 검색창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의한 검색 요청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검색 위젯 모듈(310), 사용자가 이미지를 입력함으로써 검색 질의어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입력 인터페이스부(320), 사용자 단말 장치(300) 내의 파일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검색부(330), 및 검색된 결과를 출력하는 검색 결과 출력부(3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는 이미지 입력부(322) 및 추천 문자/기호 출력부(3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검색 위젯 모듈(310), 이미지 입력 인터페이스부(320), 단말 장치 검색부(330), 및 검색 결과 출력부(34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되는 프로그램 모듈로서 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다운로드된 후 설치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Referring to FIG. 3,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interface including a small search box for inputting a search query and a search widget for performing a search request function thereby. Module 310, an image input interface unit 320 for allowing a user to construct a search query by inputting an image, a terminal device search unit 330 for performing a search for a file in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nd a search result output unit 340 for outputting the searched result, and the image input interface unit 320 may include an image input unit 322 and a recommendation character / symbol output unit 3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rt of the search widget module 310, the image input interface unit 320, the terminal device search unit 330, and the search result output unit 340 may be the server 200. It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200 as a program module downloaded from. Such program modules may be installed after being download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in the form of an operating system, an application program module, and other program modules, and may be physically stored on various known storage devices. In addition, these program modules may be stored in a remote storage device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On the other hand, such program modu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utines, subroutines, programs, objects, components, data structures, etc. that perform particular tasks or execute particular abstract data types, described below,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검색 위젯 모듈(310)은 소형의 검색창을 통해 사용자의 검색 질의어를 입력 받고, 입력된 검색 질의어에 기초한 검색을 서버(200) 또는 단말 장치 검색부(330)가 수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검색 요청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검색 위젯 모듈의 소형의 검색창은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웹 브라우저와 분리되어 있거나 이와 분리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위젯 모듈은 그 표시에 있어서 종래 기술의 데스크바 또는 플로팅바와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First, the search widget module 310 receives a user's search query through a small search box and allows the server 200 or the terminal device search unit 330 to perform a search based on the input search query. Controls search requests. The small search box of the search widget module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or detachable from the web brow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hat is, the search widget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desk bar or a floating bar of the related art in its display.

한편, 이미지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는 사용자가 검색에 사용하고자 하는 검색 질의어를 이미지 형태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입력부(322) 및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여 추천되는 문자/기호의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이 중에서 사용자의 의사에 부합되는 것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추천 문자/기호 출력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추천 문자/기호 출력부(324)는 추천의 대상이 되는 문자 또는 기호의 리스트를 서버(200)의 문자/기호 추출부(234)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추천된 문자 또는 기호 중 하나를 선택하면, 이는 검색 질의어의 구성에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문자/기호 출력부(324)는 문자/기호의 추천이 필요 없는 경우(예를 들면, 입력된 이미지에 부합하는 문자 또는 기호가 바로 추출되는 경우)에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이미지 입력 인터페이스부(320)는 추천 문자/기호 리스트 생성부(미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추천되는 문자 또는 기호의 리스트는 서버(200)가 아닌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서 생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를 위하여 다양한 문자 및 기호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가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포함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image input interface 320 displays an image input unit 322 for allowing a user to input a search query to be used for a search in the form of an image, and a list of recommended characters / symbols corresponding to the image to the user. Thus, it may include a recommendation text / symbol output unit 324 to allow the user to directly select the one that meets the user's intention. In particular, the recommendation character / symbol output unit 324 may receive a list of characters or symbols to be recommended from the character / symbol extraction unit 234 of the server 200. If the user selects one of the recommended letters or symbols, it can be used to construct a search query. However, when the recommendation character / symbol output unit 3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does not require the recommendation of the character / symbol (for example, when the character or symbol corresponding to the input image is extracted immediately). ) May be omitted. The image input interface 320 may further include a recommendation letter / symbol list generator (not shown). That is, the list of recommended letters or symbols may be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instead of 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base (not shown) of various characters and symbols may be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for this purpose.

단말 장치 검색부(330)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검색의 범위에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내부를 포함시키는 경우에 기동된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검색창에 검색 질의어를 입력하여 검색을 수행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300) 내부에서 검색된 파일도 사용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The terminal device search unit 330 is activated when the user includes the inside of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in the search ran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when a user inputs a search query to a search box and performs a search, a file searched inside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may also be presented to the user.

검색 결과 출력부(340)는 서버(200)를 통한 인터넷 검색 결과 또는 단말 장치 검색부(330)를 통한 사용자 단말 장치(300) 내에서의 검색 결과를 제공 받은 후에,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연결된 출력 장치(예를 들어, 모니터)를 통하여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earch result output unit 340 receives the Internet search result through the server 200 or the search result in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hrough the terminal device search unit 330, and then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It displays the search results through the connected output device (for example, the monitor).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버(200)로부터 사 용자 단말 장치(300)로 다운로드되는 검색 소프트웨어 패키지에 서버(200)의 이미지 처리부(230)의 전체 또는 일부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모듈이 포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이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추출하거나 추천하는 것 역시 사용자 단말 장치(300) 내부에서 처리될 수 있다.As already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of all or part of the image processing unit 230 of the server 200 in the search software package downloaded from the server 200 to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A program module for performing the above may be included. In this case, extracting or recommending a character or symbol corresponding thereto based on an image input by the user may also be process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파일 위치 식별자에의 응용Application to file location identifier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이미지 입력기를 통하여 입력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추출하고, 이를 사용하여 검색 질의어를 구성하는 것에 관하여 주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검색 질의어의 구성 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URL과 같은 파일 위치 식별자를 사용자의 이미지 입력을 통해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주로 사용자 단말 장치(300)의 키보드가 불능인 경우 등에 유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다양한 인터넷 검색 사이트에 이미지 입력기만을 사용하여서도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 장치의 키보드가 불능인 경우에도, 'w', 'w', 'w', '.', 'n', 'a', 'v', 'e', 'r', '.', 'c', 'o', 'm'을 연속하여 이미지 입력함으로써 본 출원인의 저명 인터넷 검색 사이트인 www.naver.com에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은 접속을 위해 웹 브라우저의 주소창과 유사한 형태의 창을 검색 위젯에 포함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다만, 이는 URL을 구성하는 문자의 인식이 상당히 정확도 높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에 필수적인 것은 아닐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has mainly been made on extracting a character or symbol corresponding to an image input through an image input unit and using the same to construct a search query. However, in addition to the above configuration of the search qu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e location identifier such as a URL may be configured through the user's image input. This may be useful mainly when the keyboard of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is disabled. 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access various Internet search sites using only an image input unit. For example, a user may use 'w', 'w', 'w', '.', 'N', 'a', 'v', 'e', and 'r' even when the keyboard of the terminal device is disabled. By continuously inputting images', '.', 'c', 'o' and 'm', the applicant can access www.naver.com, which is the well-known Internet search site of the applic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ndow similar to the address bar of a web browser may be included in the search widget for the above connection (however,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characters constituting the URL with high accuracy. May not be necessary when considering this).

본 발명의 활용 예Application Examples of the Invention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입력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검색 질의어를 생성하고, 검색 위젯을 통하여 상기 검색 질의어에 따른 검색을 수행하는 실례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generating a search query based on an image input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erforming a search according to the search query through a search widget will be described.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위젯의 표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검색 위젯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입력기가 연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A to 4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isplay form of a search widg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input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working with the search widget of FIG. 4.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providing a user with a search result per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버(200)에 접속하여 검색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후 상기 검색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사용자 단말 장치(300)에 인스톨레이션하였다고 가정하자.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300)와 연결된 모니터의 작업 표시줄(420) 또는 바탕 화면(430)에는 도 4a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위젯(410)이 기동되어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suppose that a user connects to the server 200, downloads a search software package from the server 200, and then installs the search software package in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 4A or 4B, the search widget 410 may be activated and displayed on the task bar 420 or the desktop 430 of the monitor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

사용자는 검색 위젯(410)의 검색창(412)에 키보드와 같은 문자/기호 기반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직접 검색 질의어를 입력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입력 인터페이스(510)와 마우스를 사용하여 검색 질의어 구성을 위한 이미지를 이미지 입력창(512)을 통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A user may directly input a search query word using a character / symbol based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in the search box 412 of the search widget 410. The image input interface 5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n image for constructing a search query using a mouse may be input through the image input window 512.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위와 같은 이미지 입력 인터페이스(510)는 검색 위젯(410) 상에 마우스 포인터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노출되는 [또는 검색 위젯(410)의 한 부분에 있는 메뉴 바 노출 부(414)와 같은 버튼을 마우스 포인터로 선택하면 노출되는] 메뉴 바(416)의 목록 중 '이미지 입력'을 선택함으로써 기동될 수도 있고, 작업 표시줄(420) 상에 형성되어 있는 이미지 입력 인터페이스 아이콘(422)을 클릭함으로써 기동될 수도 있다. 또한, 이미지 입력 인터페이스(510)는 검색 위젯(410) 상의 소정 영역 상에 마우스오버(mouse-over)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기동될 수 있다. 이미지 입력 인터페이스(510)를 기동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 외에도 다양할 수 있다. 이미지 입력 인터페이스(510)는 검색 위젯(410)과 마찬가지로 바탕화면(430) 상에서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input interface 510 as described above is exposed after clicking the right button of the mouse while the mouse pointer is placed on the search widget 410 (or of the search widget 410). Selecting an image input from the list of the menu bar 416 that is exposed when a button such as the menu bar exposing unit 414 in one portion is selected by the mouse pointer, or is activated on the task bar 420. It can also be activated by clicking on the image input interface icon 422 formed in the. In addition, the image input interface 510 may be activated even when a mouse-over event occurs on a predetermined area on the search widget 410. The method of starting the image input interface 510 may be variou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image input interface 510 may be freely disposed on the background screen 430 similarly to the search widget 410.

이미지 입력 인터페이스(510)를 기동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미지 입력창(512)에 마우스를 사용하여 '金'을 그려 넣은 경우를 예로서 들어 보면, 먼저, 이미지 입력창(512)에 입력된 '金'의 이미지가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의 이미지는 전체 이미지의 완성 후에 전송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그리는 한 획마다 전송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draws '金' using the mouse in the image input window 512 while the image input interface 510 is activated, first, the '먼저' input to the image input window 512 is input.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At this time, the image may be transmitted after completion of the entire image, or may be transmitted for each stroke drawn by the user.

서버(200)로 전송된 상기 '金'의 이미지는 서버(200)의 이미지 인식 및 분석부(232)에서 분석된다. 다음, '金'의 이미지에 대하여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문자/기호 추출부(234)에서 이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추출하면, 추출된 문자 또는 기호와 상기 '金'의 이미지 간의 유사도가 산출된다. 이때, 그 유사도가 기준치를 넘지 못하여 입력된 이미지에 그대로 대응하는 문자/기호가 없었다고 판단되면, 추천 가능한 문자 및 기호 등이 추출되어 추천 문자/기호 출력창(514)에 출력된다. 이때, 추천 문자 또는 추천 기호가 출력되는 순서는 유사도순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image of '金' transmitted to the server 200 is analyzed by the image recognition and analysis unit 232 of the server 200. Next, when the character / symbol extracting unit 234 extracts a character or symbol corresponding to the image of '에' based on the analyzed information, the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the extracted character or symbol and the image of '金' is extracted. Is calculated. In this case, if the similarity does not exceed the reference value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character / symbol corresponding to the input image as it is, recommendable characters and symbols are extracted and output to the recommended character / symbol output window 514.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order in which the recommended letters or recommended letters are output is in the order of similarity.

사용자는 추천 문자/기호 출력창(514)에 출력된 추천 문자 또는 추천 기호 중에서 사용자의 의사에 맞는 것(즉, 문자 '金')을 찾아 이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선택된 문자 '金'은 검색 위젯(410)의 검색창(412)에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The user may find and select one of the recommended letters or recommendation symbols displayed on the recommended text / symbol output window 514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hat is, the letter '金'). Then, the selected letter '金' may be automatically input to the search box 412 of the search widget 410.

이와 같이, 검색 위젯(410)의 검색창(412)에 '金'이라는 문자가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검색 요청을 하면, 상기 검색 요청을 수신한 서버(200)는 검색부(240)에 의하여 인터넷 검색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다시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된 검색 결과는 검색 결과 출력부(340)에 의하여 도 6의 브라우저(610)에 제공된다.As such, when a user requests a search while a letter '金' is input in the search box 412 of the search widget 410, the server 200 receiving the search request is sent to the search unit 240. The Internet search is performed, and the result is transmitted back to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The search result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device 300 is provided to the browser 610 of FIG. 6 by the search result output unit 340.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 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arts.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the like, but the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are provided to assist in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from these descrip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below,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sa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이미지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 또는 기호를 검색 위젯의 검색 질의어로서 사용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ystem for extracting a character or a symbol corresponding to an image input by a user and using the extracted character or symbol as a search query word of a search widg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rch result It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위젯의 표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A to 4B are views illustrating a display form of a search widg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검색 위젯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입력기가 연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n image inpu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nked to the search widget of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행된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providing a user with a search result per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주요 도면부호에 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major reference numerals>

210: 제어부210: control unit

220: 통신부220: communication unit

230: 이미지 처리부230: image processing unit

232: 이미지 인식 및 분석부232: image recognition and analysis unit

234: 문자/기호 추출부234: character / symbol extraction unit

240: 검색부240: search unit

Claims (1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미지 입력기를 갖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서, 파일을 제공 받기 위한 방법으로서,In a user terminal device having an image input device, a method for receiving a file, 상기 이미지 입력기를 통하여, 파일 위치 식별자를 구성하기 위한 이미지를 입력 받는 단계,Receiving an image for configuring a file location identifier through the image input unit; 상기 입력된 이미지를 인식하는 단계,Recognizing the input image; 상기 인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기호를 추출하는 단계,Analyzing the recognized image to extract at least one character / symbol corresponding to the image,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출된 문자/기호를 사용하여 파일 위치 식별자를 구성하는 단계, 및Constructing a file location identifier using the at least one extracted character / symbol, and 상기 구성된 파일 위치 식별자를 사용하여 파일을 제공 받는 단계Receiving a file using the configured file location identifier 를 포함하는 방법.How to includ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파일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원격되어 있는 방법.And the file is remote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파일 위치 식별자는 URL인 방법.And the file location identifier is a URL.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이미지는, 마우스, 펜 마우스, 전자 펜, 티지타이저, 터치 패드, 터치 패널, 태블릿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입력된 이미지인 방법.The image is an image input by at least one of a mouse, a pen mouse, an electronic pen, a digitizer, a touch pad, a touch panel, and a tablet. 제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인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기호를 추출하는 단계는,Analyzing the recognized image and extracting at least one character / symbol corresponding to the image, 상기 인식된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문자/기호 간의 유사도를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a similarity between the recognized image and a character / symbol corresponding to the image, 상기 결정된 유사도가 소정의 기준치보다 높다고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기호를 추출하고, 상기 결정된 유사도가 소정의 기준치보다 낮다고 판단되면, 상기 이미지와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추천 문자/기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mined similarity is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t least one letter / symbol corresponding to the image is extract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mined similarity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t least one recommended character / symbol similar to the image. Outputting, and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출력된 추천 문자/기호 중 적 어도 하나를 추출하는 단계Responsive to user input, extracting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outputted recommendation character / symbol 를 포함하는 방법.How to include.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천 문자/기호는 상기 이미지와의 유사도순에 따라 배열되어 출력되는 방법.And the at least one recommendation letter / symbol is arranged and output in order of similarity with the image.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3. 삭제delete 파일을 제공하기 위한 연산 장치로서,An computing device for providing a file, 사용자 단말 장치의 이미지 입력기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이 미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자/기호를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추출된 문자/기호를 사용하여 파일 위치 식별자를 구성하는 파일 위치 식별자 구성부, 및A file location identifier for analyzing at least one character / symbol corresponding to the image by analyzing an image received from an image inputter of a user terminal device and using the at least one extracted character / symbol to construct a file location identifier Component, and 상기 구성된 파일 위치 식별자를 사용하여 파일을 요청함으로써 획득되는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파일 제공부Fil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file obtained by requesting a file using the configured file location identifier to the user terminal device 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Computing device comprising a.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140987A 2007-12-28 2007-12-28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arch with image input device KR1009073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987A KR100907342B1 (en) 2007-12-28 2007-12-28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arch with image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987A KR100907342B1 (en) 2007-12-28 2007-12-28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arch with image inpu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774A KR20090072774A (en) 2009-07-02
KR100907342B1 true KR100907342B1 (en) 2009-07-13

Family

ID=41329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987A KR100907342B1 (en) 2007-12-28 2007-12-28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arch with image inpu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34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9060B1 (en) * 2009-09-15 2012-04-30 채광묵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earch Keywor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Search Service using The Same Method
US20130085893A1 (en) 2011-09-30 2013-04-04 Ebay Inc. Acquisition and use of query images with image feature data
KR102444498B1 (en) 2019-06-07 2022-09-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age-based service to sell and buy produc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312A (en) * 2000-05-26 2001-12-07 박홍균 Portable data input device for internet, and internet connecting system
US20050262442A1 (en) * 2002-05-13 2005-11-24 Microsoft Corporation Correction widget
JP2006343932A (en) * 2005-06-08 2006-12-21 Hitachi Lt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and retrieval method
KR20080020122A (en) * 2006-08-30 2008-03-0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apparatus for e-book service with realtime search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312A (en) * 2000-05-26 2001-12-07 박홍균 Portable data input device for internet, and internet connecting system
US20050262442A1 (en) * 2002-05-13 2005-11-24 Microsoft Corporation Correction widget
JP2006343932A (en) * 2005-06-08 2006-12-21 Hitachi Lt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and retrieval method
KR20080020122A (en) * 2006-08-30 2008-03-05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and apparatus for e-book service with realtime searc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774A (en)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0377B2 (en) Browser control method and system using image
US950751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ally adapting a virtual keyboard
US2012013684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dvanced text search
JP2015532753A (en) Character input method, system and apparatus
JP5025808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090292671A1 (en) Motion-based data review and zoom
KR20160106527A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handwriting recognition in web queries
US201300669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1400825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ed query and navigation of an information resource
KR20070076647A (en) Method for personalized web site connection and search using the address window of web-browser
KR100907342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earch with image input device
EP2897057A1 (en) User interface device, search method, and program
WO2016011699A1 (en) Method and device for use in configuring navigation page of browser
US201102193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knowledge-based input in a browser
KR100933270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web search based on image information
KR20060134290A (en) Portal-site linking system and portal-site linking method
WO2008016264A1 (en) System for web site searching and the method thereof
US2014011552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ed query and navigation of an information resource
US200902288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web browsing efficiency
JP5468576B2 (en) Translation apparatus, translation method, and translation program
KR100901256B1 (en) Search method by providing search window with an application being used
JP508485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ata extraction method, and program
JP2013069007A (en) Electronic book processing device, electronic book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108707B2 (en) Search server device, search method and program
JP2004192198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