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117B1 - 유희 장치 - Google Patents

유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117B1
KR100904117B1 KR1020047013078A KR20047013078A KR100904117B1 KR 100904117 B1 KR100904117 B1 KR 100904117B1 KR 1020047013078 A KR1020047013078 A KR 1020047013078A KR 20047013078 A KR20047013078 A KR 20047013078A KR 100904117 B1 KR100904117 B1 KR 100904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member
play
gas
spac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3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8651A (ko
Inventor
오치야스시
Original Assignee
비엘디 오리엔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7505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0411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비엘디 오리엔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비엘디 오리엔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8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 A63G31/12Amusement arrangements with moving substructures with inflatable and movable sub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63G31/007Amusement arrangements involving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2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2Backstops, cages, enclosures or the like, e.g. for spectator protection, for arresting b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2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with inflatable panels, without inflatable tubular framework
    • E04H2015/204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with inflatable panels, without inflatable tubular framework made from contiguous inflatable tu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적인 재미를 실감할 수 있고, 또한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유희 장치(1)는, 틀체(10)와, 틀체(10)에 장착된 유희 공간(Y)을 형성하는 칸막이 부재(14)와, 유희 공간(Y) 내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는 투명한 관 형상 부재(20)와, 관 형상 부재(20)에 의해서 둘러싸이도록 배치되고, 그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는 에어 매트(25)와, 관 형상 부재(20) 및 에어 매트(25) 내에 공기를 충전하여 내압을 높이는 가압 장치와, 관 형상 부재(20) 내의 공기를 일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기류 생성 장치와, 관 형상 부재(20) 내에 수용되어, 기류 생성 장치에 의해서 생성된 기류에 의해서 관 형상 부재(20) 내를 유동, 순환하는 기구체(30)를 구비한다. 유희자는, 관 형상 부재(20)나 에어 매트(25) 상에 올라가서 탄력감을 맛볼 수 있는 동시에, 관 형상 부재(20) 내를 유동, 순환하는 기구체(30)를 봄으로써, 시각적인 재미를 실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희 장치{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유원지, 백화점 및 슈퍼마켓 등에 설치할 수 있는, 주로 유아용 유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기 유희 장치로서, 칸막이 부재에 의해 구획된 소정의 유희 공간 내에서, 유희자인 유아 등을 놀게 하는 각종 유희 장치가 알려져 있고, 예를 들면, 4개소에 세워진 지지 기둥과, 이 지지 기둥에 걸쳐진 망 형상의 칸막이 부재와, 이 칸막이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유희 공간 내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에어 매트 등으로 구성된 유희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유희 장치에서는, 유아 등이 에어 매트 상에 올라가서, 그 위를 돌아다니거나, 뛰어 오르거나 함으로써, 그 탄력감을 체감하여, 해당 유희를 즐길 수 있다. 또, 칸막이 부재에 의해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매트 상에서 놀고 있는 유아가, 잘못하여 바깥으로 튀어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그런데, 상술한 유희 장치에서는, 유희자는, 매트 상을 돌아다니거나, 뛰어 오르거나 함으로써, 그 탄력감을 즐길 수 있지만, 시각적인 재미는 얻어지지 않게 되어 있다. 또, 유희자의 주위를 끌기 위한 장식 수단이, 예를 들면, 상기 칸막이 부재에 설치된 그림이나 사진은 정적인 것에 거의 한정되고 있고, 이것을 보는 사 람에게 강한 인상을 주거나, 강하게 주위를 끌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희자에게 시각적인 재미를 실감시킬 수 있는 동시에, 장식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희 장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공간으로부터 구획된 유희 공간을 형성하는 칸막이 부재를 구비하고, 이 유희 공간 내에서 유희자를 놀게 하도록 구성된 유희 장치에 있어서,
가요성을 갖는 투명한 시트 부재에 의해서 관 형상, 또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기밀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기체가 충전되는 관 형상 부재와,
상기 관 형상 부재 내에 기체를 충전하여, 그 내압을 상승시키는 가압 수단과,
상기 관 형상 부재 내의 기체를 일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기류 생성 수단과,
상기 관 형상 부재 내에 수용되어, 상기 기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기류에 의해 상기 관 형상 부재 내를 유동하는 복수의 유동 부재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선,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해 상기 관 형상 부재 내에 기체가 충전되고, 그 내압이 상승되어, 해당 관 형상 부재가 팽창하여 탄력을 띤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유희자인 유아 등이, 상기 관 형상 부재 상에 올라가서 뛰어오르거나, 혹은 관 형상 부재에 기대거나 하여, 그 탄력감을 체감할 수 있다.
관 형상 부재 내에 기체가 충전되면, 다음에, 기류 생성 수단에 의해, 상기 관 형상 부재 내의 기체가 일 방향으로 유동되어, 관 형상 부재 내에 수용된 복수의 유동 부재가, 이 기류에 의해 해당 관 형상 부재 내를 유동, 순환시키게 된다. 유희자는, 이와 같이 하여 관 형상 부재 내를 유동, 순환하는 유동 부재를 투명한 시트 부재를 통해 볼 수 있고, 시각적인 재미를 실감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유동 부재가 수용된 상기 관 형상 부재는, 상기 유희 공간 내의 바닥부, 유희 공간 내의 상부, 상기 칸막이 부재의 상측, 또는 상기 칸막이 부재의 외주부 중 1개소 이상에, 이것을 설치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상기 가압 수단 및 기류 생성 수단은, 이들을 각 통 형상 부재에 대해서 각각 별도로 설치해도, 1조의 가압 수단 및 기류 생성 수단을 각 관 형상 부재에 대해서 겸용해도 어느 쪽이어도 좋다. 관 형상 부재를 유희 공간 내의 상부나 칸막이 부재의 외주부에 설치하면, 관 형상 부재 내를 유동, 순환하는 유동 부재에 의해서, 장식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관 형상 부재를 상기 유희 공간 내의 바닥부에 배치하는 동시에, 동일하게 가요성을 갖는 시트 부재에 의해서 기밀 형상으로 형성된 주머니 형상 부재를 상기 관 형상 부재의 테두리 내에 배치하고, 또한 주머니 형상 부재의 내부 공간을 상기 관 형상 부재의 내부 공간에 연결시켜서,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해 상기 관 형상 부재 내 및 상기 주머니 형상 부재 내의 쌍방에 기체가 충전되어, 그 내압 이 상승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가압 수단에 의해 관 형상 부재 내 및 주머니 형상 부재 내의 쌍방에 기체가 충전되어, 이들이 팽창하여 탄력을 띤 상태가 되고, 유희자는, 관 형상 부재 및 주머니 형상 부재 쌍방의 위에 올라가서 뛰어 오르거나 하여, 그 탄력감을 체감할 수 있다.
또, 상기 기류 생성 수단은, 관 형상 부재 내에 기류를 발생시키는 것이면, 이것이 어떠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송풍기나 블로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것을 관 형상 부재 내에 배치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혹은, 해당 기류 생성 수단을 관 형상 부재의 외부 또한 그 근방에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기류 생성 수단은, 기체를 흡인하는 흡인구와, 흡인한 기체를 가압하여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고, 한편, 관 형상 부재는, 기체 유출구 및 기체 유입구를 구비하고, 이 기체 유출구에 기류 생성 수단의 흡인구가 접속되며, 기체 유입구에 기류 생성 수단의 토출구가 접속되고, 관 형상 부재 내의 기체가 상기 기체 유출구로부터 기류 생성 수단에 유입되어 가압되며, 가압된 기체가 기체 유입구로부터 상기 관 형상 부재 내로 유입되어, 관 형상 부재 내의 기체가 상기 일 방향으로 유동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경우에, 기체 유출구 및 기체 유입구를 상호 근접시켜서 배치하고, 또한 기체 유출구를 관 형상 부재 내의 기류 위쪽에, 기체 유입구를 아래쪽에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고, 혹은, 기체 유출구 및 기체 유입구를 상하로 나란히 설치하고, 또한 기체 유출구를 상측에, 기체 유입구를 하측에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의 경우에, 다수의 관통구멍을 구비한 부재로서, 이 기체 유출구로부터 관 형상 부재의 내부 공간측으로 팽창되어 나오는 형상을 구비한 흡착 방지 부재를, 상기 기체 유출구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기체 유출구가 내측으로 팽창되어 나온 흡착 방지 부재에 의해서 덮여지기 때문에, 관 형상 부재 내를 유동, 순환하는 유동 부재가 기체 유출구에 흡착되기 어렵게 되어, 유동 부재의 일부가 기체 유출구에 흡착됨으로써 다른 유동 부재의 유동이 저해되거나, 혹은 기체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기체 유량이 저하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관 형상 부재 내를 유동, 순환하는 유동 부재는, 상호 마찰 접촉하여 정전기를 띠기 쉽고, 정전기를 띠면, 유동 부재들이 서로 흡인하고 응집하여, 그 유동성이 둔해지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관 형상 부재 내에서 막혀 버리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 형상 부재 내를 가습하는 가습 수단을 설치하면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해당 관 형상 부재 내가 가습되어, 유동 부재에 발생한 정전기가 제거되고, 유동 부재를 장시간에 걸쳐서, 기세좋게 유동,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 수단은, 이것을, 상기 관 형상 부재 내에 설치된 보수(保水) 수단과, 해당 보수 수단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수단으로 구성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관 형상 부재 내를 유동하는 유동 부재가 보수 수단과 접촉함으로써, 혹은, 보수 수단으로부터 증발된 수분과 접촉함으로써, 해당 유동 부 재로부터 정전기가 제거된다.
상기 보수 수단은, 예를 들면, 스펀지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급수 수단은, 예를 들면, 물을 저류한 탱크와, 이 탱크로부터 보수 수단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 등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시트 부재에는, 예를 들면, 나일론이나 비닐 등의 합성 수지제의 시트가 이용되고, 상기 칸막이 부재에는, 예를 들면, 천연 섬유나 합성 섬유 등으로 형성되는 망 형상체 이용된다. 또, 상기 유동 부재로서는, 풍선 등의 기구체, 발포 스티롤로 형성된 것이나 핑퐁볼 등을 예시할 수 있고, 그 형상이나 색채 등에 대해서는, 이것을 다양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유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이 유희 장치를 도시한 평단면도로서, 도 3에서의 화살표 B-B방향의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의 화살표 A-A방향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화살표 C-C방향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의 화살표 D-D방향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의 화살표 E-E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다른 바람직한 유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동일하게 본 발명에 관한 다른 바람직한 유희 장치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9는 동일하게 본 발명에 관한 다른 바람직한 유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유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이것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희 장치(1)는, 틀체(10)와, 이 틀체(10)에 장착되어 소정의 유희 공간(Y)을 형성하는 칸막이 부재(14)와, 상기 유희 공간(Y) 내의 바닥부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는 관 형상 부재(20)와, 상기 유희 공간(Y) 내의 바닥부 중앙부에, 이 관 형상 부재(20)에 의해서 둘러싸이도록 배치되고, 그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는 에어 매트(25)와, 상기 관 형상 부재(20) 내에 수용되는 다수의 기구체(30)와, 관 형상 부재(20) 및 에어 매트(25) 내에 공기를 충전하여 그 내압을 상승시키는 가압 수단(31)과, 상기 관 형상 부재(20) 내의 공기를 일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기류 생성 수단(32)과, 상기 관 형상 부재(20) 내를 가습하는 가습 수단(33)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유희 장치(1)에는, 상기 유희 공간(Y) 내에 유희자가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15) 및 계단(1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틀체(10)는, 기둥 부재(11), 빔 부재(12) 및 저변 부재(13), 및 이것을 착탈 자유롭게 연결하기 위한 접합 부재(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다. 기둥 부재(11), 빔 부재(12) 및 저변 부재(13)는 각각, 철제나 알루미늄제 등의 두께가 얇은 파이프와, 이 두께가 얇은 파이프의 외주면에 감겨진 우레탄 스폰지 등의 충격 흡수 부재와, 이 충격 흡수 부재를 피복하는 비닐 시트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칸막이 부재(14)는, 예를 들면, 천연 섬유나 합성 섬유 등으로 구성된 망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희 공간(Y)의 4개의 측면(상기 출입구(15)를 제외한다), 및 유희 공간(Y)의 상면에 상당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칸막이 부재(14)는, 패스너나 매직 테이프(등록 상표) 등의 끼워맞춤 장착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그 주위가 상기 틀체(10)에 착탈 자유롭게 끼워맞춰져 장착되어 있다.
상기 관 형상 부재(20)는, 예를 들면, 나일론이나 비닐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시트 부재로부터 관 형상, 또한 고리 형상(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이것이 기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그 외주부가, 예를 들면, 패스너나 매직 테이프(등록 상표) 등의 끼워맞춤 장착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상기 칸막이 부재(14) 또는 상기 저변 부재(13)에 착탈 자유롭게 끼워맞춰져 장착되어 있다.
상기 에어 매트(25)는, 3개의 튜브 형상의 부재(26)를 그 내부 공간이 상호 연결되도록 연결 접합하여 구성된다. 각 튜브 부재(26)는, 각각, 예를 들면, 나일론이나 비닐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투명한 시트 부재로부터 기밀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 그 내부가 상기 관 형상 부재(20)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해당 관 형상 부재(2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압 수단(31)은, 블로어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관 형상 부재(20)의 외주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해당 관 형상 부재(20) 내에 공기를 공급하여, 동일 관 형상 부재(20) 내의 기압을 소정 압력으로 승압시킨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관 형상 부재(20)의 내부는 에어 매트(25)의 내부와 연결되어 있고, 가압 수단(31)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관 형상 부재(20)로부터 에어 매트(25) 내로 유입되어, 이것에 의해, 에어 매트(25) 내가 관 형상 부재(20)와 함께 승압된다.
또, 상기 가습 수단(33)은, 상기 관 형상 부재(20)의 외주부에 접속된 가습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관 형상 부재(20) 내에 수증기를 공급하여, 해당 관 형상 부재(20) 내를 가습한다.
상기 기류 생성 수단(32)은, 블로어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구(32a)와, 흡인한 공기를 가압하여 토출하는 토출구(32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흡인구(32a)는 관 형상 부재(20)에 형성된 기체 유출구(20a)에 접속되는 한편, 토출구(32b)는 동일하게 관 형상 부재(20)에 형성된 기체 유입구(20b)에 접속되어 있고, 관 형상 부재(20) 내의 공기가 상기 기체 유출구(20a)로부터 기류 생성 수단(32)으로 유입되어 가압되고, 가압된 공기가 기체 유입구(20b)로부터 상기 관 형상 부재(20) 내로 유입되어, 이러한 작용에 의해서, 관 형상 부재(20) 내의 공기가, 도 2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흡인구(32a) 및 기체 유출구(20a)와, 토출구(32b) 및 기체 유입구(20b)는, 이들이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상태로 되어 있고, 흡인구(32a) 및 기체 유출구(20a)가 상측에, 토출구(32b) 및 기체 유입구(20b)가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기체 유출구(20a)(흡인구(32a))에는, 다수의 관통구멍을 구비한 부재로서, 상기 기체 유출구(20a)로부터 관 형상 부재(20)의 내부 공간측으로 팽창되어 나온 형상(반구 형상)을 구비한 흡착 방지 부재(34)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흡인구(32a) 및 기체 유출구(20a)와, 토출구(32b) 및 기체 유입구(20b)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한 관 형상 부재(20)의 각부에 설치되어 있고, 토출구(32b)(기체 유입구(20b))로부터 관 형상 부재(20) 내로 유입되는 공기류의 방향이, 관 형상 부재(20)의 한변을 따르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계단(16)은 그 내부에 공간을 구비하고 있고, 해당 내부 공간 내에 상기 가압 수단(31), 기류 생성 수단(32) 및 가습 수단(33)이 수납되어 있다. 또, 이 계단(16)은, 우레탄 스펀지 등의 충격 흡수 부재에 의해서 덮여지고, 또한, 충격 흡수 부재가 비닐 시트 등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다. 이 충격 흡수 부재는, 유희자가 넘어지는 등의 경우에, 그 충격을 흡수하여 타박으로부터 유희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가압 수단(31), 기류 생성 수단(32) 및 가습 수단(33)의 작동음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이것을 소음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예의 유희 장치(1)에 의하면, 우선, 상기 가압 수단(31)에 의해 상기 관 형상 부재(20) 내에 공기가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관 형상 부재(20) 및 에어 매트(25) 내에 공기가 충전되고, 그 내압이 소정압으로 승압되어, 해당 관 형상 부재(20) 및 에어 매트(25)가 팽창되고, 탄력을 띤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해서, 이와 같은 상태가 된 관 형상 부재(20) 및 에어 매트(25) 상에, 유희자인 유아 등이 올라가서, 그 위에서 뛰어 오르거나 함으로써, 그 탄력감을 체감하여 즐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관 형상 부재(20) 및 에어 매트(25) 내가 소정의 압력이 된 후에는, 이 압력을 유지하도록, 가압 수단(31)에 의한 공기의 공급을 계속해도, 혹은, 해당 공급부를 밀폐하도록 해도, 어느 쪽이어도 좋다.
그 후, 상기 기류 생성 수단(32)이 구동되어, 관 형상 부재(20) 내의 공기가 기체 유출구(20a)(흡인구(32a))로부터 기류 생성 수단(32)으로 유입되어 가압되고, 가압된 공기가 기체 유입구(20b)(토출구(32b))로부터 관 형상 부재(20) 내로 토출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관 형상 부재(20) 내의 공기가, 도 2에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 순환되는 기류를 발생한다. 이렇게 하여, 관 형상 부재(20) 내에 수납된 복수의 기구체(30)가, 생성된 기류에 의해 관 형상 부재(20) 내를 유동, 순환시키고, 이러한 기구체(30)를 외부에서 관찰함으로써, 유희자는 시각적인 재미를 실감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기체 유입구(20b)(토출구(32b))와 기체 유출구(20a)(흡인구(32a))가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기체 유입구(20b)(토출구(32b))와 기체 유출구(20a)(흡인구(32a))의 사이에서 관 형상 부재(20) 내의 기류가 약해져서, 기구체(30)의 유동성이 저해되거나, 혹은 이것을 기세좋게 유동시킬 수 없게 되어, 상술한 시각적인 재미가 감소되게 된다.
본 예에서는, 상기 기체 유입구(20b)(토출구(32b))와 기체 유출구(20a)(흡인구(32a))를 접근시키고, 또한 이들을 상하로 나란히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체 유입구(20b)(토출구(32b))와 기체 유출구(20a)(흡인구(32a))의 사이에서 관 형상 부재(20) 내의 기류가 약해지지 않고, 기구체(30)를 기세좋게 유동시킬 수 있다. 또 기구체(30)는, 그 자중에 의해서 관 형상 부재(20) 내의 바닥부에 위치하기 쉽지만, 기체 유입구(20b)(토출구(32b))를 하측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체 유입구(20b)(토출구(32b))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류를, 바닥부에 위치하기 쉬운 기구체(30)에 직접 접촉시킬 수 있어서, 이 면에서도 기구체(30)를 기세좋게 유동시킬 수 있다.
또, 기체 유출구(20a)(흡인구(32a))에 아무 것도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기체 유출구(20a)(흡인구(32a))에 기구체(30)가 흡착되어 이것을 폐색하고, 관 형상 부재(20) 내의 기류가 소멸되는 사태가 일어날 수 있지만, 본 예에서는, 기체 유출구(20a)(흡인구(32a))에 상기 형상의 흡착 방지 부재(34)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기구체(30)가 기체 유출구(20a)(흡인구(32a))를 폐색하는 사태를 일으킬 수 없고, 기구체(30)를 양호하게 유통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관 형상 부재(20) 내를 유동, 순환하는 기구체(30)는, 상호 마찰 접촉하여 정전기를 띠기 쉽고, 정전기를 띠면, 상기 기구체(30)들이 서로 흡인하고 응집하여, 그 유동성이 둔해지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관 형상 부재 내에서 막혀 버리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예에서는, 상기 관 형상 부재(20) 내를 가습하는 가습 수단(33)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 가습 수단(33)에 의해서 관 형상 부재(20) 내가 가습되고, 이것에 의해, 기구체(30)에 발생한 정전기가 제거되어, 해당 기구체(30)를 장시간에 걸쳐서, 기세좋게 유동, 순환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기둥 부재(11)나 빔 부재(12)에는, 충격 흡수 부재가 감겨져 있기 때문에, 유희 공간(Y) 내에서 유희를 즐기고 있는 유희자가, 잘못하여 기둥 부재(11)나 빔 부재(12)에 충돌해도, 그 충격이 상기 충격 흡수 부재에 의해 흡수되어, 유희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채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양태는, 조금도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관 형상 부재(20)는, 상기 유희 공간(Y) 내의 바닥부뿐만 아니라, 이것을 유희 공간(Y)의 상측에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유희 공간(Y)의 상측에 설치한 관 형상 부재(20) 내를 유동·순환하는 기구체(30)를, 상기 유희 공간(Y) 내 및 그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어서, 그 장식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가압 수단(31) 및 기류 생성 수단(32)은, 이들을 각 관 형상 부재(20)에 대해서 각각 별도로 설치해도, 1조의 가압 수단(31) 및 기류 생성 수단(32)을 각 관 형상 부재(20)에 대해서 겸용해도 어느 쪽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장식 효과를 목적으로 한 관 형상 부재(20)의 설치 위치에 대해서는, 유희 공간(Y)의 상측에 한정되지 않고, 유희 공간(Y)의 외주나 유희 공간(Y) 내의 상부여도 좋다.
또, 상기 관 형상 부재(20)의 형상은, 상기 기구체(30)가 관 형상 부재(20) 내를 유동, 순환할 수 있는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상기 기체 유입구(20b)(토출구(32b))와 기체 유출구(20a)(흡인구(32a))를 상하로 나란히 설치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체 유출구(20a)(흡인구(32a))를 관 형상 부재(20) 내의 기류 위쪽에, 기체 유입구(20b)(토출구(32b))를 아래쪽에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단, 상술한 이유로부터 이들을 접근시켜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기류 생성 수단(32)을, 상기 관 형상 부재(20)의 외부에 설치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류 생성 수단(32')을 관 형상 부재(20)의 내부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도면 중의 부호 32a'는 흡인구, 32b'는 토출구이다.
또, 상기 가습 수단(33)은, 상기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 형상 부재(20) 내에 설치된 보수 수단(33a)과, 이 보수 수단(33a)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관 형상 부재(20) 내를 유동하는 기구체(30)가 보수 수단(33a)과 접촉함으로써, 혹은, 보수 수단(33a)으로부터 증발된 수분과 접촉함으로써, 해당 기구체(30)로부터 정전기가 제거된다.
또한, 상기 보수 수단(33a)으로서는, 스펀지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상기 급수 수단으로서는, 물을 저류한 탱크(33b)와, 이 탱크(33b)로부터 보수 수단(33a)에 물을 공급하는 펌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탱크(33b)를 상기 빔 부재(12)의 위 등 높은 장소에 설치하고, 이 탱크(33b)로부터 급수관(33c)을 통해서 보수 수단(33a)에 물을 공급하도록 하면, 수압에 의해서 보수 수단(33a)에 급수되기 때문에, 상기 펌프는, 특별히 이것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 상술한 예에서는, 상기 유희 공간(Y) 내의 바닥부 중앙부에, 상기 관 형상 부재(20)에 의해서 둘러싸이도록 상기 에어 매트(25)를 배치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부 중앙부에는, 시트 부재에 의해서 기밀한 주머니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액체가 충전된 매트(50) 등을 배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에어 매트(25)와는 다른 느낌이나 유희를 즐길 수 있다.
또한, 상기 매트(50) 대신에, 다수의 볼을 수납하여, 관 형상 부재(20)에 의해서 둘러싸인 영역을 볼 풀로 하거나, 혹은, 상기 관 형상 부재(20)와 동일 구성으로 이것보다 치수가 작은 것을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관 형상 부재(20)에 의해서 둘러싸이도록 영역에, 다양한 부재나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각종의 유희를 즐길 수 있다.
또, 상기 기구체(30)에 대해서도,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 색채를 갖는 것을 이용할 수 있고, 또한, 기구체(30)에 한정되지 않고, 발포 스티롤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나 핑퐁볼 등 기류에 의해서 유동되는 것이면, 이것 대신에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유희 장치는, 유원지, 백화점 및 슈퍼마켓 등에 설치할 수 있는, 주로 유아용의 유희 장치로서 적합하다.

Claims (10)

  1. 외부 공간으로부터 구획된 유희 공간을 형성하는 칸막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희 공간 내에서 유희자를 놀게 하도록 구성된 유희 장치에 있어서,
    가요성을 갖는 관 형상의 투명한 시트 부재를 고리 형상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기밀 형상으로 형성한 관 형상 부재와,
    상기 관 형상 부재 내에 기체를 충전하고, 그 내압을 상승시키는 가압 수단과,
    상기 관 형상 부재 내에 배치되어, 상기 관 형상 부재 내의 기체를 일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기류 생성 수단과,
    상기 관 형상 부재 내에 수용되고, 상기 기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기류에 의해 상기 관 형상 부재 내를 유동하는 복수의 유동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기류 생성 수단은, 상기 관 형상 부재 내의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구와, 흡인한 공기를 가압하여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하는 기류에 의해 상기 관 형상 부재 내의 기체를 상기 일 방향으로 유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 장치.
  2. 외부 공간으로부터 구획된 유희 공간을 형성하는 칸막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희 공간 내에서 유희자를 놀게 하도록 구성된 유희 장치에 있어서,
    가요성을 갖는 관 형상의 투명한 시트 부재를 고리 형상으로 형성함과 더불어, 기밀 형상으로 형성한 관 형상 부재와,
    상기 관 형상 부재 내에 기체를 충전하고, 그 내압을 상승시키는 가압 수단과,
    상기 관 형상 부재 내의 기체를 일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기류 생성 수단과,
    상기 관 형상 부재 내에 수용되고, 상기 기류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기류에 의해 상기 관 형상 부재 내를 유동하는 복수의 유동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됨과 더불어,
    상기 기류 생성 수단은, 기체를 흡인하는 흡인구와, 흡인한 기체를 가압하여 토출하는 토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관 형상 부재의 외부에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관 형상 부재는, 기체 유출구 및 기체 유입구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기체 유출구에 상기 기류 생성 수단의 흡인구가 접속되며, 기체 유입구에 상기 기류 생성 수단의 토출구가 접속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관 형상 부재 내의 기체가 상기 기체 유출구로부터 상기 기류 생성 수단으로 유입되어 가압되고, 가압된 기체가 상기 기체 유입구로부터 상기 관 형상 부재 내로 유입되어, 상기 관 형상 부재 내의 기체가 상기 일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유출구 및 기체 유입구가 상호 근방에 배치되고, 또한 기체 유출구가 상기 관 형상 부재 내의 기류 위쪽에, 기체 유입구가 아래쪽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유출구 및 기체 유입구가 상하로 나란히 설치되고, 또한 기체 유출구가 상측에, 기체 유입구가 하측에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유출구에, 다수의 관통 구멍을 구비한 부재로서, 상기 기체 유출구로부터 상기 관 형상 부재의 내부 공간측으로 팽출하는 형상을 구비한 흡착 방지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부재가 수용된 관 형상 부재를, 상기 유희 공간 내의 바닥부, 유희 공간 내의 상부, 상기 칸막이 부재의 상측, 또는 상기 칸막이 부재의 외주부 중 1개소 이상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 부재가 상기 유희 공간 내의 바닥부에 배치됨과 더불어,
    동일하게 가요성을 갖는 시트 부재에 의해 기밀 형상으로 형성된 주머니 형상 부재를 상기 관 형상 부재의 테두리 내에 배치하고, 또한 주머니 형상 부재의 내부 공간을 상기 관 형상 부재의 내부 공간에 연결시켜,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해 상기 관 형상 부재 및 상기 주머니 형상 부재 내에 기체가 충전되어, 그 내압이 상승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 형상 부재 내를 가습하는 가습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수단을, 상기 관 형상 부재 내에 설치된 보수 수단과,
    상기 보수 수단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 장치.
  10. 삭제
KR1020047013078A 2002-02-20 2003-02-10 유희 장치 KR100904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43182 2002-02-20
JP2002043182 2002-02-20
PCT/JP2003/001400 WO2003070345A1 (fr) 2002-02-20 2003-02-10 Appareil de je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651A KR20040098651A (ko) 2004-11-20
KR100904117B1 true KR100904117B1 (ko) 2009-06-24

Family

ID=27750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3078A KR100904117B1 (ko) 2002-02-20 2003-02-10 유희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311610B2 (ko)
EP (1) EP1486239B1 (ko)
JP (1) JP4104555B2 (ko)
KR (1) KR100904117B1 (ko)
CN (1) CN1319615C (ko)
AU (1) AU2003207047A1 (ko)
DE (1) DE60333261D1 (ko)
ES (1) ES2347323T3 (ko)
HK (1) HK1077244A1 (ko)
WO (1) WO20030703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3351A1 (en) * 2007-03-16 2008-09-25 Pe Redskaber A/S Floor pad for vaulting exercises
US8047926B2 (en) * 2008-04-19 2011-11-01 Samuel Chen Fluid chamber inflatable apparatus
CN203400492U (zh) * 2010-06-15 2014-01-22 Bld东洋株式会社 旋转游乐装置
US8342900B2 (en) * 2010-07-02 2013-01-01 Mattel, Inc. Apparatus for circulating glitter particles
CN203169988U (zh) * 2011-11-09 2013-09-04 Bld东洋株式会社 游戏装置用台面机构及其组合和游戏装置
KR101500154B1 (ko) * 2013-09-26 2015-03-09 주식회사 홍익비젼미술 꽃잎부유장치
GB2543398B (en) * 2016-08-30 2017-09-20 Casdon Ltd Ball pit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395Y2 (ja) * 1986-09-29 1995-03-0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圧電素子の駆動制御回路
JPH09182877A (ja) * 1995-12-28 1997-07-15 Sega Enterp Ltd エアクッション遊戯装置
JP3068842U (ja) * 1999-10-28 2000-05-26 株式会社浅倉工業 風船ゲ―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5153A (en) * 1988-01-19 1989-03-28 Bleser Sandra L Inflatable play pen
CN2087089U (zh) * 1991-03-22 1991-10-23 连朋飞 大型充气式趣味儿童娱乐设施
JPH079395A (ja) 1993-06-29 1995-01-13 Ricoh Co Ltd 用紙後処理装置
JP2590059Y2 (ja) * 1993-07-20 1999-02-10 株式会社クエストアンドトライ 中空皮膜造形体
US5462505A (en) * 1993-10-12 1995-10-31 Blair; Rodney L. Portable inflatable structure
US5678357A (en) * 1996-03-20 1997-10-21 Rubio; Jesse Interactive inflatable toy
JP2000037563A (ja) * 1998-05-18 2000-02-08 Oriental Sangyo Kk 遊戯用設備
JP3078788B2 (ja) * 1998-10-14 2000-08-21 オリエンタル産業株式会社 遊戯施設
JP2001154575A (ja) * 1999-11-24 2001-06-08 Oriental Sangyo Kk 教育用遊戯装置及びシステム
JP3632750B2 (ja) * 2000-06-01 2005-03-2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塩化ビニル系樹脂粉体の空気移送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395Y2 (ja) * 1986-09-29 1995-03-0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圧電素子の駆動制御回路
JPH09182877A (ja) * 1995-12-28 1997-07-15 Sega Enterp Ltd エアクッション遊戯装置
JP3068842U (ja) * 1999-10-28 2000-05-26 株式会社浅倉工業 風船ゲ―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77244A1 (en) 2006-02-10
US7311610B2 (en) 2007-12-25
CN1635925A (zh) 2005-07-06
JPWO2003070345A1 (ja) 2005-06-09
AU2003207047A1 (en) 2003-09-09
KR20040098651A (ko) 2004-11-20
EP1486239A4 (en) 2008-11-05
EP1486239B1 (en) 2010-07-07
JP4104555B2 (ja) 2008-06-18
DE60333261D1 (de) 2010-08-19
CN1319615C (zh) 2007-06-06
US20050166474A1 (en) 2005-08-04
EP1486239A1 (en) 2004-12-15
WO2003070345A1 (fr) 2003-08-28
ES2347323T3 (es) 201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0384B2 (en) Inflatable surf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50043122A1 (en) Pool or trampoline game accessory
US11090573B2 (en) Inflatable surfing apparatus and method
US5906373A (en) Water-tag game played within a maze
US10888759B2 (en) Inflatable dojo structure
US6551215B1 (en) Climbing structure
US6875119B2 (en) Double entrance for use in an inflatable enclosure
US20100229296A1 (en) Self Inflating Pool
US6322454B1 (en) Inflatable recreational device
KR100904117B1 (ko) 유희 장치
US7300354B2 (en) Inflatable slide or bouncer
US20090260148A1 (en) Water conservation pool
JP2000037563A (ja) 遊戯用設備
CN107715458A (zh) 一种充气式滑板冲浪游乐设备
JP6066917B2 (ja) 遊戯装置用床機構及び、当該遊戯装置用床機構を使用した遊戯装置。
KR101625946B1 (ko) 공기주입장치를 포함하는 돔형 놀이기구
KR200215404Y1 (ko) 공중유영놀이장치
US5806768A (en) Inflatable water toy
JP3410336B2 (ja) 遊戯用設備
CN201802092U (zh) 自充气池
US20150158040A1 (en) Inflatable bounce structure with foam generating system
WO1993007038A1 (en) Air bag toy
JP3045441U (ja) 水鉄砲によるボール・ゲーム玩具
JPH0713740Y2 (ja) 空気室付潜水プール装置
CN106422333A (zh) 一种基于杠杆原理的水上跷跷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