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026B1 - Receiving set - Google Patents

Receiving 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026B1
KR100904026B1 KR1020080111131A KR20080111131A KR100904026B1 KR 100904026 B1 KR100904026 B1 KR 100904026B1 KR 1020080111131 A KR1020080111131 A KR 1020080111131A KR 20080111131 A KR20080111131 A KR 20080111131A KR 100904026 B1 KR100904026 B1 KR 100904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xing
user
wear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1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화
Original Assignee
김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화 filed Critical 김병화
Priority to KR1020080111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0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026B1/en
Priority to EP09825008A priority patent/EP2346267A2/en
Priority to BRPI0914361A priority patent/BRPI0914361A2/en
Priority to PCT/KR2009/006551 priority patent/WO2010053325A2/en
Priority to CN2009801170666A priority patent/CN102047687A/en
Priority to JP2011535516A priority patent/JP2012508500A/en
Priority to US12/992,200 priority patent/US2011018869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3Transducers incorporated in garment, rucksack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A listening device is provided to increase a use time of a sound device by reducing the electrical resistance generated in a connection line by minimiz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line. A wearing unit(100) is comprised of a head unit and a shield unit. The head unit is worn on a head of a user. The shield unit shields the sunlight. A sound device is positioned in an external space of the wearing unit and generates the sound source. A transforming unit(300) is fixed in the wearing unit and forms a space inside. The sound source is delivered to the internal space so that the user listen to the sound source. A fixing unit(200) provides a space for receiving at least part of the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sound device and is positioned in a space different from the sound device.

Description

청취 장치 {Receiving set}Listening device {Receiving set}

본 발명은 청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체에 착용하는 청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sten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stening device worn on the human body.

청취 장치는 라디오 또는 엠피쓰리(MP3)와 같은 음향기기에서 발생하는 음원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전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청취 장치는 이어폰과 헤드셋 등으로 불리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거나 사용자의 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여 음향기기에서 전달되는 음원을 사용자에게 더욱 잘 전달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The listening device is a device for transmitting a sound source generated by an audio device such as a radio or MP3 so that a user can listen to it. Such a listening device is called an earphone and a headset, and is inserted into the user's ear or formed to surround the user's ear to block the noise generated in the external space so that the sound source transmitted from the audio device can be better transmitted to the user. .

이처럼, 외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게 되면 다른 사람의 소리나 외부에서 발생하게 되는 소리 정보를 들을 수 없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야외 활동 또는 실내 활동을 하게 되는 경우, 외부 공간에서 발생하게 되는 소리를 차단하게 됨으로써 외부에서 발생하는 위험을 인지하지 못하게 되어, 돌발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위험을 인지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사고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As such, when the noise generated in the external space is blocked,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hear the sound of other people or sound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outside occurs.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is outdoors or indoor activities, by blocking the sound generated in the external space is not aware of the danger occurring from the outside, the user is not aware of the risk of accidental occurrence by accident The risk is high.

그리고, 외부의 소리를 차단하게 됨으로써 다른 사람과의 의사 소통이 단절 됨으로써 사회성이 약해지고, 개인주의적인 성향이 강해지게 되어 대화 능력이 저하된다. In addition, by cutting off external sounds, communication with other people is cut off, sociability is weakened, individualism tends to become stronger, and communication ability decreases.

또한, 이어폰 또는 헤드셋으로 불리는 청취 장치는 음향기기에서 발생하는 음을 노출된 긴 연결선에 의해 사용자에게 전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귀로부터 음향기기가 보관되는 사용자의 의류 또는 가방 등으로 이어지게 되고, 이처럼, 노출되는 연결선에 의해 사용자의 손 또는 신체의 움직임이 불편해지게 된다. In addition, the listening device, also called an earphone or a headset, is configured to transmit sound generated from an acoustic device to the user by an exposed long connection line, which leads to the user's clothing or a bag or the like in which the acoustic device is stored from the user's ear. In addition, the movement of the user's hand or body becomes uncomfortable due to the exposed connection line.

사용자의 움직임이 불편해지게 됨으로써 급작스런 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대처 능력이 감소하게 되어 야외 활동이 위축되거나, 사고의 위험이 더욱 커지게 된다. As the user's movement becomes uncomfortable, the ability to cope with sudden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is reduced, thereby reducing outdoor activities or increasing the risk of an accident.

뿐만 아니라, 길게 노출되는 연결선은 잘 꼬이는 현상으로 인해 사용하고자 할 경우 꼬여있는 연결선을 풀어야 하거나 꼬인 상태로 사용하여야만 하고, 잦은 꼬임으로 인하여 연결선의 접점 부위에 연결불량 등과 같은 잦은 고장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long exposed connection wire should be used because of the twisting phenomenon, the twisted connection wire must be loosened or used in a twisted state, and frequent failures such as poor connection to the contact point of the connection wire due to frequent twisting.

더구나, 종래의 청취 장치는 사용자의 귀에 직접적으로 자극을 주게 되어, 장시간 사용의 경우 사용자의 청력 손상 즉, 외이도의 염증과 고막 손상, 내이도의 전정 기관에 부담을 주어 귓병과 청력 장애, 장시간의 청취에 따른 어지럼증 등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자극으로 인해 사용자는 항상 건강상의 부담감을 가지고 청취 장치를 사용하여야 된다. Moreover, the conventional listening device directly stimulates the user's ear, and in case of prolonged use, the hearing loss of the user, ie, inflammation of the ear canal, eardrum damage, and vestibular organs of the inner ear can be burdened. Dizziness, etc. caused by listening. Due to this stimulus, the user should always use the listening device with a health burden.

한편, 근래에는 오존층의 파괴, 지구의 온난화 등으로 인하여 태양광선에 의한 얼굴 피부의 노화, 화상 등을 방지하고,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태양광선의 차 단을 위한 건강상의 이유로, 등산 또는 낚시 등 취미 생활을 위한 야외 나들이 시에 다양한 악세사리를 착용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악세사리와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청취하기 위한 음향기기 및 청취 장치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야기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in order to prevent aging, burns, etc. of the facial skin caused by sunlight due to the destruction of the ozone layer, global warming, etc., and to protect the eyes, for health reasons for blocking the sunlight, such as hiking or fishing When a variety of accessories are worn at the time of outdoor outings for living,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such as having to provide such accessories and a sound device and a listening device for listening to a sound source desired by the user, respectively.

그리고, 음원을 발생시키는 음향기기와 청취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선이 길게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인체에 착용하는 다양한 악세사리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다양한 악세사리로 인해 청취 장치의 착용이 어려운 문제가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as the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sound device and the listening device that generates the sound source is exposed to the outside for a long time, a problem occurs that does not harmonize with various accessories worn on the human body, or difficult to wear the listening device due to various accessories It is happening.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착용하여 음원의 청취가 가능한 청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stening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human body to listen to the sound sour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선의 길이와 노출이 최소화되어 사용자의 양팔을 포함한 신체의 자유로운 움직임과 주변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청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stening device that minimizes the length and exposure of the connecting line to allow free movement and peripheral movement of the body, including both arms of the user.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는,사용자의 머리 부위에 착용하는 머리부와, 태양광선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구비되는 착용유닛; 상기 착용유닛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면서 음원을 발생시키는 음향기기; 및 상기 착용유닛에 고정되면서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는 상기 음원을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변환유닛과, 상기 변환유닛과 상기 음향기기를 연결하는 연결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음향기기와 다른 공간에 위치하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li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earing unit provided with a head portion worn on a user's head and a blocking portion for blocking sunlight; An audio device for generating a sound source while being located in an outer space of the wearing unit; And an inner space formed while being fixed to the wearing unit, wherein the inner unit is provided with a conver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so that the user can listen, and at least part of a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conversion unit and the sound device. A fixed unit positioned in a different space from the sound device while providing a spa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착용유닛에 수용되면서 고정되거나,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착용유닛의 외부에 접하면서 고정된다. The fixing unit is fixed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wearing unit or fixed while the fixing unit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wearing unit.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착용유닛의 외부에 접하면서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체결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fixing unit is formed integrally, or the fixing unit, the fixing portion fixed while contacting the outside of the wearing unit; And 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fixing part to have an internal spac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에 의하면, 원하는 음원을 발생시키는 음향기기의 음성 신호를 인체에 착용하여 청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음향기기에서 청취 장치까지 연결되는 연결선의 노출이 최소화되어 양팔을 포함한 신체의 자유로운 움직임과 주변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li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human body can listen to the voice signal of the sound device to generate a desired sound source, the exposure of the connection line from the sound device to the listening device is Minimized to effect free movement of the body, including both arms and movement around.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에 의해 인체에 착용하여 청취할 수 있어 태양광선의 차단을 위한 악세사리와 원하는 음성 신호를 청취할 수 있는 청취 장치를 각각 준비하는 번거로움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태양광선의 차단과 음성 신호의 청취에 필요한 노력과 시간이 절약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li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orn and listened to the human body, thereby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preparing an accessory for blocking sunlight and a listening device capable of listening to a desired voice signal. This saves the effort and time required to block sunlight and listen to voice signals.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에 의하면,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선이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이 자유로워지는 이점이 있으며, 신체의 움직임이 자유로워짐에 따라 활동성이 보장되고, 이동이 용이하여 취미 생활을 즐기기 위한 사용자들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In addition, the li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he exposure of the connection line connected to the sound device to the external space, thereby freeing the user's body movement and being active as the body's movement becomes free. This is guaranteed and easy to move will have the advantage of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users for enjoying the hobby.

신체의 움직임이 자유로워지는 이점으로 인해 급작스런 환경 변화에 대한 대처가 가능해짐으로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free movement of the body allows the user to cope with sudden environmental changes,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또한, 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연결선의 노출이 최소화됨과 동시에 연결선의 길이도 최소화됨에 따라, 연결선에서 발생하게 되는 전기적 저항을 감소시켜 음향기기의 사용 시간을 증가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며, 더 나은 음질의 음성 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xposure of the connection line to the sound device is minimized and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line is also minimized, the electrical resistance generated from the connection line is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use time of the sound device, and having better sound qualit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transmit a signal.

더구나, 사용자의 귀와 일정 정도의 거리를 두고 원하는 음을 듣게 되어 사용자의 귀에 직접적인 자극을 주지 않아 사용자의 청력 손상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건강상의 부담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게 된다. In addition, the user hears the desired soun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ser's ear and thus does not give a direct stimulus to the user's ear, thereby preventing the user's hearing damage, thereby having the advantage of relieving health burden.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청각 기관과 이격되어 음성 신호를 전달받게 되어 음향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의 청취는 가능하면서, 외부 공간의 소리 청취가 가능해져 돌발 사태에 대한 대처 능력이 향상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listen to the voic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udio device,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user's hearing organ,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sound of the external space, thereby improving the user's safety by improving the ability to cope with accident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greatly improved.

나아가, 착용유닛과 청취 장치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음향기기를 이용함으로써 인체에 착용되는 부분, 청취 장치 및 음원을 발생시키는 음향기기를 각각 준비하여 착용하는 것에 비해 사용의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Furthermore, by using the sound device by integrally configuring the wearing unit and the listening device, the convenience of use is maximized compared to preparing and wearing the parts worn on the human body, the listening device, and the sound source for generating a sound source, respectively. .

그리고, 사용자의 활동성 및 이동성이 보장되면서, 외부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청취 장치에 의해 야외 작업중에도 원하는 음원을 청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while the mobility and mobility of the user is guaranteed, a listening device configured to listen to external sounds may be used to listen to a desired sound source during outdoor work.

또한,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연결선이 최소화됨으로써 연결선에 의한 사용자 신체의 움직임 제한을 해소하여 무선의 효과를 가지게 된다. 무선의 효과를 가지게 됨으로써 고가의 무선 청취장치가 불필요하게 되고, 무선기기의 충전 등에 필요한 시간이 절약된다.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line exposed to the external space is minimized, the restriction of movement of the user's body by the connection line is eliminated to have a wireless effect. By having a wireless effect, an expensive wireless listening device becomes unnecessary, and the time required for charging a wireless device is saved.

더구나, 무선기기와의 조합으로 더욱 편리한 음원의 청취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는 거실 등에서 티브이(TV), 오디오 등에 송신기를 설치하고, 청취 장치에 수신기를 장착하면, 음원에서 발생하게 되는 소리의 확산없이 개인적인 음원 의 청취가 가능해지며, 다른 주변기기와의 연결 응용성이 향상되는 이점으로 인해 생활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listen to a more convenient sound source in combination with a wireless device. This means that if a transmitter is installed in a TV or audio system in a living room, and a receiver is installed in a listening device, it is possible to listen to a personal sound source without spreading 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ound source, and the connection application with other peripheral devices is improved. This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life.

나아가, 활동성과 이동성의 향상으로 인해, 야외 활동을 하면서도 원하는 음원의 청취가 가능하여, 야외 활동의 지루함을 해소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야외 활동을 유발하는 동기가 부여되며, 이로 인해 운동부족으로 발생하게 되는 사용자의 건강에도 큰 도움을 주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due to the improvement of mobility and mobility, it is possible to listen to the desired sound while doing outdoor activities, and it is motivated to induce outdoor activities of users by relieving the boredom of outdoor activities, which causes the lack of exercise. It also has a great effect on the user's health.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를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도록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을 것이라 할 것이다. 더구나,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하여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이러한 다른 실시 예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li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as described abov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ll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in. In addition, other embodiments may be possible by adding, changing, or deleting a component, and such other embodimen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하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li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li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st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에는, 전체적으로 태양광선을 차단하는 차단부(120)와, 상기 차단부(120)와 일체로 형성되어 머리 부위에 위치하는 머리부(140)가 구비되는 착용유닛(100)이 구비되며, 상기 착용유닛(100)의 하면 또 는 상면 즉, 외부에 고정되어,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연결선이 내장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리형으로 형성되고 탄력적인 소재로 이루어지는 고정유닛(200)이 구비된다. In the li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ing unit 100 is provided with a blocking unit 120 that blocks the sun as a whole, and a head 140 formed integrally with the blocking unit 120 and positioned at the head. Is provided, the fixing unit 20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wearing unit 100, that is, fixed to the outside, the connection line is built and integrally formed or formed in a separate form and elastic material having an internal space It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200)의 양쪽 끝 부분에 인체와 이격되도록 위치하고, 전달되는 전기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시키는 변환유닛(300) 및 상기 고정유닛(2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일단은 상기 변환유닛(300)과 연결되고 상기 고정유닛(200)의 외부 공간에 노출되는 타단은 상기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향기기(500)와 연결되는 연결유닛(400)이 구비된다. And, located at both ends of the fixed unit 20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uman body, one end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version unit 300 and the fixed unit 200 for converting the transmitted electrical signal into a voice signal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nversion unit 300 and exposed to the external space of the fixed unit 20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unit 400 connected to the sound device 500 for generating the electrical signal.

상기 차단부(12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이루어져 사용자의 머리 및 얼굴 등에 직사되는 태양광선을 차단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차단부(120)는 일정 정도의 두께에 의해 소정의 강도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차단부(120)는 소정의 강도를 가지면서 태양광선을 차단할 수 있는 어떠한 소재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The blocking unit 12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s a predetermined area to perform a function of blocking sun rays directly to the head and face of the user. The blocking unit 120 is configured to have a predetermined strength by a certain degree of thickness. Therefore, the blocking unit 120 may be made of any material capable of blocking sunlight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예를 들면, 상기 차단부(120)는 그 자체 두께와 면적에 의해 직사되는 태양광선을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투명한 고분자 화합물을 소재로 하여 일정 정도의 두께와 면적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그 외면에 태양광선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필름 등이 도포되어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For example, the blocking unit 120 may be configured to block direct sunlight by its own thickness and area, and has a thickness and area of a predetermined degree based on a transparent polymer compound. It will also be possible to be configured by applying a blocking film that can block the sunlight on the outer surface while being made.

상기 차단부(120)는 사용자의 피부 및 얼굴 등에 직사되는 태양광선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 및 얼굴 등에 가해지는 직사광선과 자외선을 차단하는 기 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자외선의 차단으로 사용자의 건강상 부담감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blocking unit 120 performs a function of blocking direct sunlight and ultraviolet rays applied to the skin and the face of the user by blocking the direct sunlight from the skin and the face of the user. As such,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liminate the health burden of the user by blocking the ultraviolet rays.

상기 차단부(120)의 일측에는 상기 머리부(140)가 위치하게 되며, 이러한 머리부(140)는 사용자의 착용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를 덮게 되거나, 머리의 일 부분을 둘러싸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가 머리부(140)를 착용하게 됨으로써 상기 착용유닛(100)은 사용자의 인체 일부에 위치하게 되고, 차단부(120)에 의해 얼굴 및 머리 부위에 직사되는 태양광선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The head part 140 is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blocking part 120, and the head part 140 covers the user's head by wearing the user or surrounds a part of the head. As such, the user wears the head 140 so that the wearing unit 100 is positioned on a part of the human body of the user, and the blocking unit 120 can block direct sunlight on the face and the head. .

상기 머리부(140)는 상기 차단부(120)와 일체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머리부(140)를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게 되면, 머리부(140)와 일체로 구비되는 차단부(120)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 또는 머리 등에 태양광선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The head 14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locking part 120 so that when the user wears the head 140 to the user's head, the head part 140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head 14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block sunlight from the user's face or head.

그리고, 상기 착용유닛(100)의 하면에는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탄력적인 소재로 이루어지는 고정유닛(20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유닛(200)은 상기 변환유닛(300)과 상기 연결유닛(400)의 안착 공간을 제공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n, the lower surface of the wearing unit 100 is provided with a fixing unit 200 having an internal spac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fixing unit 20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ner space to provide a seating space of the conversion unit 300 and the connection unit 400, or may be formed in a separate type to open and close the inner spa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고정유닛(200)이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도록 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fixing unit 200 is formed in a separate type to open and close the internal space.

따라서, 상기 고정유닛(200)은 착용유닛(100)의 하면에 접하면서 고정되는 고정부(220)와, 상기 고정부(220)와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체결되는 결합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ccordingly, the fixing unit 200 includes a fixing part 220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earing unit 100 and a coupling part 240 fastened to have an internal space with the fixing part 220. It is composed.

상기 고정유닛(200)은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를 가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착용유닛(100)에 고정되는 부분과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The fixing unit 200 is provided to have a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a whole, it is made of a form corresponding to the part fixed to the wearing unit (100).

다시 말해, 상기 고정유닛(200)이 상기 착용유닛(100)의 상기 머리부(140) 내면 하단부 테두리 부분을 따라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구성되면, 고정유닛(200)은 착용유닛(100)의 머리부(140) 내면 하단부 테두리 부분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착용유닛(100)의 전체적인 외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비된다. In other words, when the fixing unit 200 is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therein along the lower edg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ead 140 of the wearing unit 100, the fixing unit 200 is the head of the wearing unit 100. Part 140 is made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is provided so as not to affect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wearing unit (100).

상기 고정유닛(200)은, 상기 착용유닛(100)의 외면과 내면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어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착용유닛(1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고정되면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The fixing unit 200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wearing unit 100, it may be provided to be fixed while being exposed to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wearing unit 100. Will do.

이하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실시 예에서는 상기 착용유닛(100)의 하면에 노출되면서 고정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In the embodiment to be described below, a configuration that is fixed while being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earing unit 100 will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200)은 탄력적인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일정 형태로 형상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고정유닛(200)은 사용자가 일정 형태로 형상화할 수 있는 소재 즉, 탄력적인 소재로 이루어진다. And, the fixing unit 20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be shaped in a certain form. Therefore, the fixing unit 200 is made of a material that the user can be shaped in a certain form, that is, elastic material.

예를 들어, 상기 고정유닛(200)은 일정 강도를 가지면서 자체 탄력을 가지는 고분자 소재도 가능하며, 형상 기억합금 등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고, 다수의 조각이 연결되어 다양한 형태로 형상화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For example, the fixing unit 200 may be a polymer material having a certain strength while having its own elasticity, and shape memory alloys may be used, and a plurality of pieces may be connected to be shaped into various shapes. It is also possible to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또한, 상기 고정유닛(200)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길게 누운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fixing unit 20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having a certain thickness, or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having a certain diameter. something to do.

물론, 상기 고정유닛(200)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어떠한 형태로 상기 착용유닛(100)에 고정된다 하더라도 고정유닛(200)은 그 내부 공간에 상기 변환유닛(300)과 상기 연결유닛(4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은 동일하다.Of course, even if the fixing unit 200 is made in any form and fixed to the wearing unit 100 in any form, the fixing unit 200 is the conversion unit 300 and the connection unit 400 in the inner space It is the same that at least a portion of is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이하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실시 예에서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착용유닛의 하면에 노출되도록 고정되고, 선택적으로 내부 공간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고정유닛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In the embodiment to be described below in a fixed unit having a certain thickness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ixed to be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earing unit, and selectively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internal space Let's look at it.

상기 고정유닛(200)은 상기 착용유닛(100)의 하면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부분이 접하면서 고정되는 고정부(220)와 상기 고정부(220)에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체결되는 결합부(240)의 결합에 의해 전체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The fixing unit 200 is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on the fixing unit 220 and the fixing unit 220 is fixed while the portion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wearing unit 100. By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portion 240 is fastened to form the entire form.

상기 고정유닛(200)은 상기 차단부(120)의 하면에 위치하여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차단부(120)의 내측 하면 테두리 부분에 내장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머리부(140)의 내면 하단부 테두리 부분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머리부(140)의 하단부 테두리 부분에 내장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The fixing unit 200 may 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ing unit 120, and may be fixed to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blocking unit 120.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be fixed to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ead 140, it is also possible to be fixed to be built in the lower edge portion of the head 140.

즉, 상기 고정유닛(200)은 상기 고정부(220)가 상기 차단부(120) 또는 상기머리부(140)의 하면에 외부로 노출되면서 고정되거나,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유닛(200)이 차단부(120) 또는 머리부(14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That is, the fixing unit 200 is fixed while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unit 220 or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ing unit 120 or the head 140, or the fixed unit 200 is formed integrally blocked It is configured to be fix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part 120 or the head 140.

따라서, 상기 고정유닛(200)은 상기 착용유닛(100)의 하면 어디에도 고정 가능하며, 어디에 고정된다 하더라도 충분히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서는 상기 머리부(140)의 내면 하단부 테두리 부분을 따라 노출되면서 고정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Therefore, the fixing unit 200 can be fixed anywher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earing unit 100, and even if it is fixed, the function can be sufficiently performed. In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for example, the fixed portion is exposed while being exposed along the lower edg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ead 140.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차단부(120)가 위치하게 되는 부분을 앞 부분으로 가정하면, 상기 고정유닛(200)은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면의 중앙부가 상기 머리부(140)의 내면 전단부 중앙에 위치하면서, 머리부(140)의 내면 중앙에서부터 좌우 측방으로 머리부(140)의 내면 하단부 테두리 부분을 따라 접하면서 고정된다. 이때, 고정유닛(200)의 고정은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ssuming that the portion in which the blocking portion 120 is located in the front portion, the fixing unit 200 is the front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ead portion 140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latively large area While being located in the center, it is fixed while contacting along the lower edg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ead 140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ead 140 to the left and right. At this time, the fixing of the fixing unit 200 will be possible in any form.

상기 고정유닛(200)은 전반부 외관을 이루는 고정부(220)와, 후반부 외관을 이루는 결합부(240)로 나누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적으로 고정유닛(20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The fixing unit 200 is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a fixing part 220 forming the first half appearance and a coupling part 240 forming the second half appearance, thereby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fixing unit 200 by a user's selection. It becomes possible.

이와 같이, 상기 고정유닛(200)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고정유닛(2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 변환유닛(300) 및 연결유닛(400)의 수리 및 손질, 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As such, when the internal space of the fixed unit 20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repair and care of the conversion unit 300 and the connection unit 400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ixed unit 200. In this case, repair is possible.

상기 고정유닛(200)의 내부에 상기 변환유닛(300)과 상기 연결유닛(4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일정 정도의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상기 고정부(220)의 후면과 상기 결합부(240)의 전면 중앙부가 함몰되어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변환유닛(300)과 연결유닛(400)의 적어도 일 부분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It will also be possible to form a receiving groove of a certain degree to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version unit 300 and the connection unit 400 inside the fixing unit 200, the fixing portion ( It is also formed to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version unit 300 and the connection unit 400 by form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by recessing the rear of the 220 and the front center of the coupling portion 240. It will be possible.

이하 실시 예에서는 편의상 상기 고정부(220)와 상기 결합부(240)에 일정 정도의 공간을 가지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살펴보도록 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receiv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space is formed in the fix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part 240, for example.

상기 고정부(220)에는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면서 전후 방향으로 천공되는 홀(Hole)이 구비된다. 상기 홀을 통해 다음에 설명할 연결유닛(400)의 한쪽 끝 부분이 상기 고정유닛(200)의 외부 공간으로 돌출된다. The fixing part 220 is provided with a hole (Hole) having a diameter of a certain degree and perfor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400 to be described later protrudes through the hole into an external space of the fixing unit 200.

물론, 상기 연결유닛(400)은 상기 고정부(220)의 홀을 통해 한쪽 끝 부분이 상기 고정유닛(200)의 외부 공간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결합부(240)의 후면을 통해 한쪽 끝 부분이 고정유닛(200)의 외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나, 결합부(240)의 후면을 통해 연결유닛(400)의 한쪽 끝 부분이 고정유닛(200)의 외부 공간으로 돌출되면, 연결유닛(400)의 일 부분이 상기 머리부(14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으므로 고정부(220)의 홀을 통해 고정유닛(200)의 외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on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400 does not protrude into the outer space of the fixing unit 200 through the hole of the fixing unit 220, and one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unit 240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coupling unit 240. It is also possible to protrude into the outer space of the fixing unit 200, but if 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400 protrudes into the outer space of the fixing unit 200 through the rear of the coupling portion 240, the connection unit ( Since a portion of the head 400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ead 140,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into the outer space of the fixing unit 200 through the hole of the fixing part 220 because of poor appearance.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유닛(400)이 상기 머리부(140)의 내부 공간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은 감성 불만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결유닛(400)의 한쪽 끝 부분이 상기 고정부(220)에 형성되는 홀을 통해 고정유닛(200)의 외부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In detail, by preventing the connection unit 400 from being exposed to the user in the inner space of the head 140, the user end of 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400 to solve the emotional dissatisfaction of the fixing unit ( It is formed to protrude into the outer space of the fixing unit 200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220.

그리고, 상기 고정부(22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가 세워진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면이 전면을 이루도록 구비되며, 그 후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전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fixing part 220 is formed to have a shape in which the squar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erected, the surface is provided with a relatively large area to form a front surface, the rear surface is formed long rec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상기 고정부(220)의 후면에 내부 공간을 이루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은, 상기 변환유닛(300)과 상기 연결유닛(400)의 적어도 일 부분이 수용되는 공간의 일부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An accommodation groove forming an internal spac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art 220, to provide a part of a spac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version unit 300 and the connection unit 400 are accommodated.

따라서, 고정부(220)의 후면 중앙부에 일정 정도의 폭을 가지는 홈이 고정부(220)의 후면 한쪽 끝 부분부터 다른 쪽 끝 부분까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면서 중앙부가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함몰 형성되어 연결유닛(400)이 수용되는 공간의 일부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며, 그 양쪽 끝 부분에는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원판 형태를 가지면서 전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변환유닛(300)이 수용되는 공간의 일 부분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Therefore, the groove having a certain width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220 is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end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fixing portion 220 to the other end portion, while the central portion has a certain diameter in the front portion. It is formed to be recessed round to form a portion of the space in which the connection unit 400 is accommodated, and both ends thereof have a dis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re recessed forward to form the conversion unit 300. This is done to provide a portion of the space that is accommodated.

상기 고정부(220)의 후방에는 결합부(240)가 체결된다. 상기 결합부(24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가 세워진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그 앞면이 고정부(220)의 후면과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The coupling part 240 is fastened to the rear of the fixing part 220. The coupling part 240 is formed to have a shape in which a squar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erected, and a front surface thereof is formed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xing part 220.

상기 결합부(240)의 전면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한쪽 끝 부분부터 다른 쪽 끝 부분까지 길게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면서 중앙부가 후방으로 라운드지게 함몰 형성되어 상기 연결유닛(400)이 수용되는 공간의 일부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며, 그 양쪽 끝 부분에는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원판 형태를 가지면서 후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변환유닛(300)이 수용되는 공간의 일 부분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The front center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240 is formed to be recessed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rounded to the rear while having a certain length of length from one end portion to the other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pace in which the connection unit 400 is accommodated. It is made to provide a portion, both ends thereof are formed in the form of a disc having a diameter of a predetermined degree while being recessed rearward to provide a portion of the space in which the conversion unit 300 is accommodated.

다시 말해, 상기 고정유닛(200)의 내부에는 상기 변환유닛(300)과 상기 연결유닛(4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이 제공되며, 이러한 공간은 상기 고정부(220)와 상기 결합부(240) 사이에 어떠한 형태로 제공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In other words, a space for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version unit 300 and the connection unit 400 is provided in the fixing unit 200, and the space is provided with the fixing unit 220 and the coupling unit ( 240 may be provided in any form.

따라서, 상기 고정부(220)와 상기 결합부(240)의 내부 공간에는 고정부(220)와 결합부(240)의 체결을 위한 체결돌기와 체결홈이 각각 형성되어 체결돌기와 체결홈의 결합으로 인해 고정부(220)와 결합부(240)가 체결되어 상기 고정유닛(200)을 형성하게 된다. Therefore, a fastening protrusion and a fastening groove for fastening the fasten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part 240 are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x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part 240, respectively, due to the coupling of the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fastening groove. The fix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part 240 are fastened to form the fixing unit 200.

물론, 상기 고정부(220)와 상기 결합부(240)의 테두리 부분이 억지끼움으로 체결되면서 고정부(220)와 결합부(240)가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며, 별도의 체결 부재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Of course, the fix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part 240 may be fastened while the edges of the fix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part 240 are fastened by fitting, and a separate fastening member may be used. It will be possible.

이와 같이,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상기 고정부(220)와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상기 결합부(240)가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유닛(200)을 이루게 됨으로써, 고정유닛(200)은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내부 공간에 상기 변환유닛(300)과 상기 연결유닛(4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 As such, the fixing unit 220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the coupling unit 240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re fastened to form the fixing unit 200. The unit 200 forms an internal space of a predetermined degre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version unit 300 and the connection unit 400 are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한편, 상기 착용유닛(100)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을 전기 신호로 발생시키는 음향기기(50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음향기기(500)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전기 신호로 전달할 수 있는 어떠한 음향기기(500)도 가능하나, 그 무게 및 크기가 적절한 음향기기(50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wearing unit 100 is a sound device 500 for generating a sound desired by the user as an electrical signal is located. The sound device 500 may be any sound device 500 capable of transmitting a sound source desired by the user as an electric signal,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sound device 500 having an appropriate weight and size is provided.

상기 음향기기(500)는 상기 고정유닛(200)의 외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상기 연결유닛(400)의 한쪽 끝 부분과 연결되어, 음향기기(500)에서 발생하게 되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의 전기 신호를 연결유닛(400)으로 전달하게 된다. The sound device 500 is connected to on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400 protruding into the external space of the fixing unit 200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of a sound source desired by the user generated by the sound device 500. It is delivered to the connection unit (400).

따라서, 상기 연결유닛(400)의 한쪽 끝 부분은 상기 착용유닛(100)의 외부 공간, 도면에서 볼 때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음향기기(500)와 연결됨으로써 음향기기(500)로부터 원하는 음원의 전기 신호를 전달받게 되며, 다른 쪽 끝 부분은 상기 고정유닛(2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변환유닛(300)과 연결됨으로써, 음향기기(500)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가 연결유닛(400)에 의해 변환유닛(300)으로 전달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음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on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400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outer space of the wearing unit 100, as shown in the drawing is connected to the sound device 500, the desired sound source from the sound device 500 The electrical signal is received, the other end is loc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ixed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conversion unit 300,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sound device 50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400 It is delivered to the conversion unit 300 by the user can listen to the desired sound.

상기 착용유닛(100)의 외면에는 상기 음향기기(500)가 수용되는 기기수용부(520)가 구비된다. 상기 기기수용부(520)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기기수용부(520)의 내부 공간은 음향기기(500)의 외형보다 더 큰 공간을 가지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음향기기(500)를 기기수용부(520)의 내부 공간으로 수용하고자 할 때 원활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outer surface of the wearing unit 100 is provided with a device accommodating part 520 in which the sound device 500 is accommodated. The device accommodating part 520 may be selectively detachable by a user's selection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The internal space of the device accommodating part 520 is provided to have a larger space than the external shape of the acoustic device 500, so that when the user wants to accommodate the sound device 500 as an internal space of the device accommodating part 520. Allow for smooth acceptance.

상기 기기수용부(520)의 외면에는 내부 공간에 수용된 상기 음향기기(50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수용부커버(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커버는 기기수용부(520)의 외면 일부를 형성하면서, 선택적으로 기기수용부(520)를 개 폐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기기수용부(520)의 내부 공간에 음향기기(500)를 수용하고자 할 때 기기수용부(520)의 내부 공간을 열게 되고, 수용된 음향기기(500)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할 때, 기기수용부(520)의 내부 공간을 닫게 된다.An outer surface of the device accommodating part 52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art cover (not shown) for preventing the external detachment of the acoustic apparatus 500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The accommodating part cover is provid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device accommodating part 520 while forming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evice accommodating part 520, thereby placing the sound device 500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device accommodating part 520. Open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device accommodating part 520, and when trying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received acoustic device 500, to close the internal space of the device accommodating part 520.

상기 기기수용부(520)에는 상기 착용유닛(100)의 외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상기 연결유닛(400)의 한쪽 끝 부분을 삽입할 수 있도록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는 홀 형태의 유닛수용부가 더 구비되어, 연결유닛(400)의 한쪽 끝 부분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기기수용부(520)는 상기 음향기기(500)를 수용함과 동시에 연결유닛(400)의 한쪽 끝 부분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The device accommodating part 520 further includes a hole accommodating part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so as to insert on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400 protruding into the outer space of the wearing unit 100. , 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400 can be fixed. Accordingly, the device accommodating part 520 may accommodate the sound device 500 and fix on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400 at the same time.

이러한 유닛수용부는 상기 기기수용부(520)의 측면에 상기 연결유닛(400)의 끝 부분 즉, 상기 음향기기(200)와 연결되는 끝 부분의 지름과 대응되는 지름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연결유닛(400)의 끝 부분이 유닛수용부를 관통하여 기기수용부(520)의 내부 공간으로 일 부분이 수용되면서 고정된다. The unit accommodating par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device accommodating part 520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end of the connection unit 400, that is, the end connected to the sound device 200, and the connection unit An end portion of the 400 passes through the unit accommodation portion and is fixed while receiving a portion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device accommodation portion 520.

상기 착용유닛(10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연결유닛(400)의 한쪽 끝 부분은 착용유닛(100)의 상면에 형성되는 유닛고정부(420)에 의해 고정되기도 한다. 상기 유닛고정부(420)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연결유닛(400)의 한쪽 끝 부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연결유닛(400)의 한쪽 끝 부분을 내부 공간에 수용하여 연결유닛(400)의 한쪽 끝 부분을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On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400 protru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wearing unit 100 may be fixed by a unit fixing part 42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earing unit 100. The unit fixing part 42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400 while forming an internal space of a predetermined degree, so that 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400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and connected. It is formed to fix one end of the unit 400.

이와 같은, 상기 유닛고정부(420)에 의해 상기 연결유닛(400)의 끝 부분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연결유닛(400)의 끝 부분이 고정됨으로써 상기 착용유닛(100)의 착용시 사용자의 감성 불만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when the end of the connection unit 400 is not used by the unit fixing part 420, the end of the connection unit 400 is fixed, so that the user's emotional dissatisfaction when wearing the wearing unit 100 is fixed. Can be solved.

이는 상기 음향기기(500)의 충전 또는 다른 의도에 의하여 음향기기(500)를 사용하지 않게 될 경우 상기 연결유닛(400)의 끝 부분이 상기 착용유닛(100)의 외부 공간에서 유동하여 발생하게 되는 감성 불만을 해소하게 되는 것이다. This is caused when the end of the connection unit 400 flows in the outer space of the wearing unit 100 when the sound device 500 is not used due to the charging or other intention of the sound device 500. Emotional complaints will be resolved.

한편, 상기 고정유닛(20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연결유닛(400)이 수용된다. 상기 연결유닛(400)은 한쪽 끝 부분은 상기 음향기기(500)와의 연결을 위하여 고정유닛(200)의 상기 고정부(220)를 관통하여 상기 착용유닛(100)의 상측 외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고, 음향기기(500)와의 연결 및 해제가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잭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unit 400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ixing unit 200. 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400 penetrates through the fixing unit 220 of the fixing unit 200 to be connected to the sound device 500, and is located in an upper outer space of the wearing unit 100. In order to facilitat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with the sound device 500, the sound device 500 is formed to have a jack shape.

즉, 상기 연결유닛(400)의 한쪽 끝 부분은 잭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다른 쪽 끝 부분은 상기 고정유닛(200)의 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면서, 도면에서 볼 때 고정유닛(200)의 좌측과 우측으로 나뉘어져, 상기 연장부(260)의 하단부까지 연장된다. 이때, 연결유닛(400)은 연장부(260)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변환유닛(300)과 연결된다. That is, one end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400 is formed to have a jack shape, and the other end portion extends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fixing unit 200, and as shown in the drawing, of the fixing unit 200. It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and extends to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art 260. At this time, the connection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conversion unit 300 to be located in the extension portion 260.

상기 변환유닛(300)은 상기 착용유닛(100)의 상기 차단부(120)가 위치하고 있는 부분을 정면으로 가정하면, 착용유닛(100)의 좌측 부분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연장부(260)와, 착용유닛(100)의 우측 부분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연장부(260)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전체적으로 보면, 착용유닛(100)의 정면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The conversion unit 300 is assuming that the portion in which the blocking unit 120 of the wearing unit 100 is located in front, the extension portion 260 is located below the left part of the wearing unit 100, The extension unit 260 is located below the right part of the wearing unit 100. Looking at this as a whole, it forms a symmetrical form with respect to the front center of the wearing unit 100.

따라서, 상기 변환유닛(300)은 음성 신호가 출력되는 면이 상기 착용유닛(100)의 정면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면서, 착용유닛(100)의 정면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는 구성을 가지게 되고, 전기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conversion unit 300 is configur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front center of the wearing unit 100 while the surfaces on which the voice signal is output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ront center of the wearing unit 100. And to convert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voice signal can be effectively delivered to the user.

이와 같이 구성되면, 사용자가 상기 음향기기(500)를 조작하여 원하는 음원을 선택하게 되면, 음향기기(500)는 음원을 발생시키게 되고 발생하게 되는 음원은 음향기기(500)와 연결되는 상기 연결유닛(400)에 의해 상기 변환유닛(300)으로 전달되면서,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음성 신호로 변환되어 사용자가 양쪽 청각 기관과 이격된 상태에서 음원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Whe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a user selects a desired sound source by operating the sound device 500, the sound device 500 generates a sound source and the generated sound source is connected to the sound device 500. While being transmitted to the conversion unit 300 by the 400, it is converted into a voice signal so that the user can hear the user can listen to the sound source in a state separated from both auditory organs.

상기 연장부(260)에는 상기 변환유닛(300)이 위치하게 되는 부분에는 변환유닛(30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홈 또는 홀이 구비되기도 한다. 이러한 홈 또는 홀에 변환유닛(300)이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유닛(200)의 조립 및 변환유닛(300)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The extension portion 260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or a hole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conversion unit 300 in the portion where the conversion unit 300 is located. Since the conversion unit 300 is located in the groove or the hole, the assembly of the fixed unit 200 and the installation of the conversion unit 300 are facilitated.

상기 변환유닛(300)은 사용자의 청각 기관과 이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음성 신호로 전달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청각 기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고, 청각 기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됨으로써 건강상의 부담감을 가지지 않고 원하는 음원을 청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The conversion unit 300 has a merit that the user can minimize the damage to the hearing organ by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desired by the user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user's hearing organ as a voice signal, and minimizes damage to the hearing organ. Being able to do so has the advantage of listening to the desired sound source without the burden of health.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상기 음향기기(500)에서 발생하게 되는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상기 연결유닛(400)의 노출이 최소화되는 장점으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는 연결유닛(400)의 방해 없이 자유로워지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At this time, the user's body is free without interruption of the connection unit 400 due to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exposure of the connection unit 400 for transmitting the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ound device 500 by the user's selection. Losing has the advantage.

즉, 상기 연결유닛(400)은 상기 고정유닛(200)의 내부 공간에 대부분이 수용 되며, 그 한쪽 끝 부분만이 상기 착용유닛(100)의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어 상기 음향기기(500)와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을 전기 신호로 전달받게 되어, 그 노출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된다. That is, most of the connection unit 400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xing unit 200, and only one end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er space of the wearing unit 100 to be connected to the acoustic device 500. As a result, the sound source selected by the user is received as an electric signal, and the exposure is minimized.

그리고, 상기 변환유닛(300)은 변환된 음성 신호를 사용자에게 더욱 잘 전달하기 위하여, 적어도 변환된 음성 신호가 발산되는 부분이 상기 연장부(26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도록 연장부(26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onversion unit 300 is an extension part 260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from which the converted voice signal is emitted is located in an external space of the extension part 260 in order to better transmit the converted voice signal to the user. It is also possible to protrude from.

다시 말해, 상기 변환유닛(300)이 상기 연장부(26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음성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음성 신호가 발산되는 부분이 연장부(26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음성 신호를 사용자에게 더 잘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conversion unit 300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extension part 260 to transmit a voice signal to a user, and a portion from which the voice signal is emitted may be an outer space of the extension part 260. It will also be possible to be provided to better communicate the voice signal to the user by being located at.

상기 연장부(260)는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고정유닛(20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변환유닛(300)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The extension part 26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unit 200 by its elasticity, so that the conversion unit 300 can be positioned at a desired position of the user.

즉, 상기 연장부(260)가 상기 고정부(220) 및 상기 결합부(24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고정부(220) 및 결합부(240)와 체결되어도, 고정부(22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착용유닛(100)을 착용한 다음 사용자가 연장부(260)를 고정부(220)에 대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연장부(260)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변환유닛(300)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at is, even if the extension part 26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part 240, or is configured by a separate member to be fastened with the fix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part 240, By being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fixing part 220, the user wears the wearing unit 100 and then the user rotates the extension part 260 with respect to the fixing part 220 to be positioned in the extension part 260.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conversion unit 300 so that the user can be located at a desired position.

따라서, 상기 연장부(260)의 회동 각도에 따라 상기 변환유닛(30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onversion unit 30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angle of the extension portion 260.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 고정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 고정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 고정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 고정유닛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stening devic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listening devic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istening devic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istening devic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의 고정유닛을 편의상 개폐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configuration made of a form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fixed unit of the li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착용유닛(100)의 내면 하단부 테두리 부분에 노출되도록 고정되는 상기 고정유닛(200)은 상기 고정부(220)와 상기 결합부(240)의 길이 방향 양쪽 끝 부분 사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60)가 구비된다. The fixing unit 200 fixed to be exposed to the inner bottom edge portion of the wearing unit 100 extends downwardly between the fixing part 220 and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part 240. 260 is provided.

즉, 상기 연장부(260)는 상기 고정부(220)와 상기 결합부(240)의 길이 방향 양쪽 끝 부분에서 길이 방향 중앙부를 향해 일정 정도 이동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도면에서 볼 때, 고정부(220) 및 결합부(240)와 연장부를 측방에서 보면, 전체적으로 대략 "T"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That is, the extension part 260 is provided to extend downward in a state moved to a longitudinal center portion at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part 2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ly, in the drawings, when the fix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part 240 and the extension part are seen from the side, the fix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part 240 and the extension part are formed in a generally "T" shape.

물론, 상기 연장부(260)는 상기 고정유닛(20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220) 및 상기 결합부(240)와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면서, 자체 탄성에 의해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Of course, when the fixing unit 200 is formed integrally, the extension part 26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part 240, and is centered on the upper end by its elasticity. It is provided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또한, 상기 연장부(260)는 상기 고정부(220) 및 상기 결합부(240)와 일체로 이루어지지 않고,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고정부(220) 및 결합부(240)와 체결되도 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260 is not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part 240, and is provided as a separate member to be fastened with the fix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part 240. It will also be possible to be formed.

한편, 상기 연장부(260)는 상기 고정부(220) 및 상기 결합부(240)의 길이 방향 양쪽 끝 부분에서 길이 방향 중앙부로 일정 정도 거리를 두고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고정부(220)와 결합부(240)는 연장부(260)의 상단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면서 지지부(280)를 형성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xtension part 260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at a distance from the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part 240 to a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xing part 220 ) And the coupling portion 240 is formed long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260 to form the support portion 280.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220)와 상기 결합부(240)의 길이 방향 양쪽 끝 부분이 상기 연장부(260)의 상단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면서, 상기 고정유닛(200)의 길이 방향 끝 부분을 보면, 전체적으로 대략 "T"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As such,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part 2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long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part 260, and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xing unit 200 is formed. As a whole, the portion is formed in a generally "T" shape.

이때, 상기 고정유닛(200)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변환유닛(300)과 상기 연결유닛(400)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면서 몰드물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연장부(260)와 상기 지지부(280)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 내부 공간에 변환유닛(300)과 연결유닛(400)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In this case, when the fixing unit 200 is formed integrally, the extension unit 260 and the support part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mold while forming an inner space in which the conversion unit 300 and the connection unit 400 are accommodated. 280 is formed integrally so that the conversion unit 300 and the connection unit 400 is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그리고, 상기 고정유닛(200)이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고정유닛(200)의 내부 공간에 상기 변환유닛(300)과 상기 연결유닛(400)이 수용된 상태에서 결합되고, 상기 연장부(260)가 상기 고정부(220)와 상기 결합부(240)의 길이 방향 끝 부분에서 길이 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일정 거리 이동된 위치에서 결합된다. In addition, when the fixing unit 200 is formed in a detachable type, the conversion unit 300 and the connection unit 40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ixing unit 200, and the extension part 260 is provided. The fixed portion 220 and the coupling portion 240 is coupled at a position moved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end portion.

따라서, 상기 연장부(260)는 상기 고정부(220) 및 상기 결합부(240)와 일체로 이루어짐으로써 고정유닛(200)의 일 부분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연장부(260)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일 부분이 위치하게 되는 상기 변환유닛(300)이 사용자의 청각 기관 근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고정부(220) 및 결합부(240)에 회동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체결되어, 변환유닛(300)이 사용자의 귀 근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Accordingly, the extension part 260 is formed to be a part of the fixing unit 200 by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part 240, and at least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extension part 260. The conversion unit 300, a portion of which is located, may be formed so as to be located near the user's auditory organ, and may be made of a separate member to adjust the rotation and length of the fixing unit 220 and the coupling unit 240. It is also possible to be formed so that the conversion unit 300 is located near the user's ear.

상기 지지부(280)는 상기 고정부(220)가 상기 착용유닛(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부(220)의 유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이러한 지지부(280)에 의해 고정부(220)가 고정되는 표면적이 넓어지게 됨으로써 고정부(220)의 유동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고정부(220)의 유동이 감소됨에 따라 고정부(220)와 결합되는 상기 결합부(240)의 유동 또한 방지된다. The support part 280 perform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flow of the fixing part 220 in a state where the fixing part 220 is fixed to the wearing unit 100. That is, the surface area to which the fixing part 220 is fixed by the support part 280 is widened, thereby preventing the flow of the fixing part 220. As such, as the flow of the fixing part 220 is reduced, the flow of the coupling part 240 coupled with the fixing part 220 is also prevented.

따라서, 상기 지지부(280)에 의해 상기 고정유닛(200) 전체의 유동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Thus, the support 280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flow of the entire fixing unit 200.

즉, 사용자가 상기 연장부(260)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도록 조절하게 되면, 연장부(26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연장부(260)가 결합되는 상기 고정부(220) 및 상기 결합부(240)의 고정력이 향상됨으로써, 상기 고정유닛(200)의 전체적인 고정력이 향상되어 고정유닛(200)의 유동이 감소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user adjusts the extension part 260 to be positioned at a desired position, the fix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part (1) formed integrally with the extension part 260 or to which the extension part 260 is coupled are provided. By improving the fixing force of 240, the overall fixing force of the fixing unit 200 is improved to reduce the flow of the fixing unit 200.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유닛(200)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fixing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고정유닛(200)은 몰드물로 이루어짐으로써 전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그 일 부분이 상기 착용유닛(100)에 고정되고, 나머지 일부분이 착용유닛(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물론, 고정유닛(200)은 몰드물이 아닌 다른 가공 방법에 의해 전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 다 할 것이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ixing unit 200 is made of a molded body as a whole, one part is fixed to the wearing unit 100, the remaining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earing unit 100 It is located as possible. Of course, the fixing unit 200 will also be possible to be integrally formed entirely by a processing method other than the mold.

전체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고정유닛(200)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연장부(260)가 구비되며, 이러한 연장부(260)의 하단부가 사용자의 청각 기관 근처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변환유닛(300)이 사용자의 청각 기관과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음원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The fixed unit 200 formed as a whole is provided with the extension portion 260 extending downward,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portion 260 is located near the user's auditory organ, the conversion unit 300 The user can listen to the desired sound source at a distance away from the user's hearing organ.

또한, 상기 고정유닛(200)은 별도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260)가 상기 고정부(220) 및 상기 결합부(240)에 회동 가능하면서 회동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면서 연장부(26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체결되어 연장부(260)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변환유닛(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fixing unit 200 is provided as a separate member so that the extension portion 260 is rotatable to the fixing portion 220 and the coupling portion 240 while being able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extension portion 260 It is also possible to be form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onversion unit 300 is fasten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is located in the extension portion 260.

이와 같이, 상기 연장부(260)가 상기 고정부(220) 및 상기 결합부(240)의 양쪽 끝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에는 연장부(260)가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연장부(260)의 결합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상기 변환유닛(300)이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As such, when the extension part 260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220 and the coupling part 240, the extension part 260 is coupled to be rotatable and at the same time, the extension part. By being able to adjust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260) is configured so that the conversion unit 300 is located in the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이처럼, 상기 변환유닛(300)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As such, the use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conversion unit 300 to a desired position,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li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에 의하면, 직사되는 태양광선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 및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착용유닛에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음원 을 청취할 수 있는 청취 장치가 구비되어 청취 장치의 사용에 따른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li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earing unit worn to protect a user's face and skin from direct sunlight is provided with a listening device capable of listening to a sound source according to a user's ne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onvenience is maximized.

그리고, 청취 장치의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연결선이 최소화됨으로써 노출되는 연결선으로 인한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이 방해받지 않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활동성이 보장되며, 이동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on line exposed to the external space of the listening device is minimized, the movement of the user due to the exposed connection line is not disturbed, thereby ensuring the user's activity and improving mobility.

또한, 직사되는 태양광선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얼굴 또는 피부를 보호하면서 자신의 멋을 표현할 수 있는 착용유닛에 사용자가 원하는 음원을 청취할 수 있게 되어 청취 기능이 부가됨으로써 착용유닛에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어 새로운 형태의 착용유닛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착용유닛이 제공됨으로써 착용유닛과 관계된 산업에 이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user can listen to the desired sound source to the wearable unit that can block the direct sunlight and protect the user's face or skin while expressing their own fash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earing unit of a type, and by providing such a new type of wearing unit, it will be available to the industry associated with the wearing unit.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청각 기관을 외부 공간과 차단하지 않도록 청각 기관과 이격하여 음원을 청취함으로써 외부의 돌발적인 사태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듣게 되어 위험을 회피하고,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어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귀병과 난청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li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listening to the sound source spaced apart from the auditory organs so as not to block the user's auditory organs from the external space, to hear the sound generated in the external sudden situation to avoid the danger, Safety can be prevented and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and problems such as ear disease and hearing loss can be solved.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의 머리 형태에 따라 음원을 전달하는 변환유닛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는 원하는 위치에 변환유닛을 위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최적화된 상태로 음원을 청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li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of the conver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ser's head so that the user places the conversion unit at a desired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optimize the sound source at a desired pos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listening to.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는 직사되는 태양광선을 차단하여 사용자 의 얼굴 또는 피부를 보호할 수 있으며, 건강상의 문제점 해소 및 안전성 향상과 멋을 표현하면서 안전하게 원하는 음을 들을 수 있게 되고, 사용자에게 가장 최적화된 상태에서 원하는 음원을 청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의 안전성과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에 이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Therefore, the li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tect the user's face or skin by blocking direct sunlight, and can safely listen to the desired sound while solving health problems and improving safety and fashion. By being able to listen to the desired sound source in an optimized state, it will be available in various industries due to the advantage of maximizing safety and convenience of use.

특히, 여가 생활을 즐기려는 현대인들을 위한 레저 산업에 다양한 형태로 이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즉, 개인적으로 원하는 음원을 청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활동성과 이동성이 향상되고, 착용유닛으로 인해 직사되는 태양광선을 차단할 수 있어 등산, 낚시, 조깅 등의 야외 활동과 관련된 산업에 이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In particular, it will be available in various forms to the leisure industry for modern people who want to enjoy leisure. That is, not only can you listen to the sound source you want personally, but also improves the mobility and mobility of the user, and can block direct sunlight due to the wearing unit, which can be used for industries related to outdoor activities such as climbing, fishing, and jogging. It will be possible.

그리고, 활동의 자유로움과 원하는 음원의 청취가 가능해짐으로써 야외 활동이 많은 농부, 어부, 상인들이 작업을 수행하면서, 원하는 음원의 청취가 가능하여 작업을 지루하지 않고 즐겁게 할 수 있어 작업의 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나타날 것이다. In addition, the freedom of activity and the ability to listen to the desired sound source enable farmers, fishermen, and merchants who have many outdoor activities to perform the work, and to listen to the sound source they want, making the work fun without boring. The benefit will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에 적합한 새로운 음향기기의 발명이 가능해지며, 착용유닛에도 알맞은 새로운 형태의 소형 음향기기 산업에 이용 가능하며, 이러한 소형 음향기기는 착용유닛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과 패션을 가지게 될 것이며,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벼우면서 기능은 더욱 강력해지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vent a new sound device suitable for the li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be used in the new type of small sound device industry suitable for a wearing unit. It will have a design and fashion of form, and its function will be more powerful with its small size and light weight.

따라서, 청취 장치의 사용이 편리해져 사용자는 다양한 음원이 필요하게 된다. 이처럼 다양한 음원을 제공하기 위한 음악 산업과 음향기기 산업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refore, the use of the listening device becomes convenient, and the user needs various sound sources. It can be used in the music industry and sound equipment industry to provide a variety of sound sources.

사용자의 활동성과 이동성이 향상되는 청취 기기에 의하여, 안전성 향상과 야외 활동의 증가로 레저 산업, 스포츠 산업, 여행 산업, 건강 관련 산업과, 라디오 분야, 음악 분야, 음향기기 분야, 어학 분야, 오디오북 분야 등 다양한 산업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Improved safety and increased outdoor activities allow listening devices to improve the user's mobility and mobility, leading to leisure industry, sports industry, travel industry, health industry, radio, music, acoustics, language and audiobooks. It can be used for various industries such as fields.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li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하방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showing the outline of a li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list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 고정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stening devic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 고정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istening devic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 고정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istening devic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청취 장치 고정유닛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listening device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착용유닛 120. 차단부100. wearing unit 120. blocking unit

140. 머리부 200. 고정유닛140. Head 200. Fixed Unit

220. 고정부 240. 결합부220. Fixed part 240. Coupling part

260. 연장부 280. 지지부260. Extension 280. Support

300. 변환유닛 320. 좌측유닛300. Conversion unit 320. Left unit

340. 우측유닛 400. 연결유닛340. Right Unit 400. Connecting Unit

420. 유닛고정부 500. 음향기기420. Unit fixing parts 500. Sound equipment

520. 기기수용부520. Equipment accommodation

Claims (13)

사용자의 머리 부위에 착용하는 머리부와, 태양광선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구비되는 착용유닛;A wearing unit provided with a head to be worn on a user's head and a blocking unit to block sunlight; 상기 착용유닛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면서 음원을 발생시키는 음향기기; 및An audio device for generating a sound source while being located in an outer space of the wearing unit; And 상기 착용유닛에 고정되면서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는 상기 음원을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변환유닛과, 상기 변환유닛과 상기 음향기기를 연결하는 연결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음향기기와 다른 공간에 위치하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청취장치.An inner space is formed while being fixed to the wearing unit, and the inner space has a conver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so that the user can listen,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connecting the conversion unit and the sound device. While providing a fixed unit located in a different space than the sound device; Listening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유닛은,The fixed unit, 외면이 상기 착용유닛과 접하면서 고정되는 고정부;A fixing part of which an outer surface is fixed while contacting the wearing unit; 상기 고정부와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체결되는 결합부;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fixing part to have an inner space;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의 양쪽 끝 부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한 연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청취장치.An extension part capable of adjusting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xing part and the coupling part while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and the coupling part; Listening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유닛은,The fixed unit, 외면이 상기 착용유닛과 접하면서 고정되는 고정부;A fixing part of which an outer surface is fixed while contacting the wearing unit; 상기 고정부와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체결되는 결합부;A coupling part coupled to the fixing part to have an inner space;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의 양쪽 끝 부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에 대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청취장치.An extension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fixing part and the coupling part, the length of the fixing part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part; Listening device configured to includ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or 3,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의 길이 방향 끝 부분에는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서 상기 고정부와 결합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연장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더 구비되는 청취장치.Listening device is further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end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supporting the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coupling por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extens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유닛의 한쪽 끝 부분은 상기 고정유닛의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어 상기 음향기기와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쪽 끝 부분은 상기 고정유닛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변환유닛과 연결되는 청취장치.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is exposed to the external space of the fixed uni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sound device,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version unit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ixed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향기기는 상기 착용유닛과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청취장치.The sound device is a listening devic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wear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정유닛은 자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청취장치.The fixed unit is a listening device made of a material having its own elasticit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착용유닛에는 상기 음향기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면서, 상기 연결유닛의 한쪽 끝 부분을 고정하는 유닛고정부가 형성되는 기기수용부가 구비되는 청취장치.The wearing unit is a listening device provided with a device accommodating unit is provided with a unit fixing portion for fixing at least 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while recei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ound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착용유닛에는 상기 연결유닛의 한쪽 끝 부분을 고정하는 유닛고정부가 구비되는 청취장치.The wearing unit is a listening device provided with a unit fixing portion for fixing one end of the connection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80111131A 2008-11-10 2008-11-10 Receiving set KR1009040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131A KR100904026B1 (en) 2008-11-10 2008-11-10 Receiving set
EP09825008A EP2346267A2 (en) 2008-11-10 2009-11-09 Personal receiving set
BRPI0914361A BRPI0914361A2 (en) 2008-11-10 2009-11-09 "individual receiver apparatus"
PCT/KR2009/006551 WO2010053325A2 (en) 2008-11-10 2009-11-09 Personal receiving set
CN2009801170666A CN102047687A (en) 2008-11-10 2009-11-09 Personal receiving set
JP2011535516A JP2012508500A (en) 2008-11-10 2009-11-09 Personal listening device
US12/992,200 US20110188693A1 (en) 2008-11-10 2009-11-09 Receiving Set for Individu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131A KR100904026B1 (en) 2008-11-10 2008-11-10 Receiving 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4026B1 true KR100904026B1 (en) 2009-06-22

Family

ID=4098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131A KR100904026B1 (en) 2008-11-10 2008-11-10 Receiving 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0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725B1 (en) * 2022-01-14 2022-12-27 가부시키가이샤 시게마쓰 Headwe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084A (en) * 2001-03-27 2002-10-04 Shigematsu:Kk Cap incorporated type acoustic device
US20030003871A1 (en) * 2001-06-27 2003-01-02 Urso Charles L. Wearable wireless cap phone
KR20030060041A (en) * 2002-01-04 2003-07-12 여휘수 Mp3 cap
US20070226876A1 (en) 2006-03-01 2007-10-04 Isound Cap Inc. Headgear with pockets for carrying an audio device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1084A (en) * 2001-03-27 2002-10-04 Shigematsu:Kk Cap incorporated type acoustic device
US20030003871A1 (en) * 2001-06-27 2003-01-02 Urso Charles L. Wearable wireless cap phone
KR20030060041A (en) * 2002-01-04 2003-07-12 여휘수 Mp3 cap
US20070226876A1 (en) 2006-03-01 2007-10-04 Isound Cap Inc. Headgear with pockets for carrying an audio device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725B1 (en) * 2022-01-14 2022-12-27 가부시키가이샤 시게마쓰 Headwe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0808B2 (en) Personal earphone assembly for mounting upon eyeglasses
US8428289B2 (en) Headphone adaptation and positioning device
AU766207B2 (en) Flexible earhook
US20130216087A1 (en) Earbud Positioning Device
US6233345B1 (en) Personal earphone assembly for mounting upon eyeglasses
US7570777B1 (en) Earset assembly
US10003878B2 (en) In-the-ear earphone, its variations and methods of wearing the earphone
US9584897B2 (en) In-the-ear earphone, its variations and methods of wearing the earphone
US20090285434A1 (en) Earhook and earbud headset
EP2611210A1 (en) Ear speaker
US20160100237A1 (en) Integrated Personal Electronic Device
US20170238078A1 (en) Electronic headphone
KR101159795B1 (en) Portable electronic head set
US20180041827A1 (en) Headphone housing assembly
RU2709433C2 (en) Headset with pair of listening devices and elastic cord passing behind head
US20110188693A1 (en) Receiving Set for Individual
KR100905252B1 (en) Receiving device with opening structure
KR100904026B1 (en) Receiving set
KR200468536Y1 (en) Earphone with Ear Cover
KR100808734B1 (en) Headwear for installation of mp3 player
KR101114241B1 (en) Individual receiving set
KR100925183B1 (en) Receiving set
KR101754032B1 (en) Headband type earset
KR100917409B1 (en) Individual receiving set
EP3094107B1 (en) An audio listening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