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547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strict method of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strict method of u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547B1
KR100903547B1 KR1020070044564A KR20070044564A KR100903547B1 KR 100903547 B1 KR100903547 B1 KR 100903547B1 KR 1020070044564 A KR1020070044564 A KR 1020070044564A KR 20070044564 A KR20070044564 A KR 20070044564A KR 100903547 B1 KR100903547 B1 KR 100903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45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99009A (en
Inventor
고은정
복일근
김현경
박재현
신동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4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547B1/en
Publication of KR20080099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0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5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식별을 통해 확인된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limiting use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for limiting use thereof, which can be used in a limited manner according to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identification of a user.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 요청이 입력되는 사용 요청 과정과, 상기 사용 요청을 입력한 현재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과정과, 상기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속하는 그룹을 선정하는 그룹 선정 과정, 및 선정된 상기 그룹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운용하는 운용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에 따라 제한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타인에게 노출되거나 조작되더라도, 개인적인 정보가 쉽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 request process in which a use request is input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identification process of identifying a current user who inputs the use request, and a group selection process of selecting a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result. And an operation process of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group. According to this,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limited depending on the user, so that eve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xposed or manipulated by others, personal informa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exposed.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 안면 인식, 사용자 식별, 사용자 그룹 Mobile Phone, Camera, Facial Recognition, User Identification, User Group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strict method of using there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strict method of us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정보 설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group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설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group set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usage restric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사용자 식별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user identification process of FIG.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폰북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6A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phonebook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6B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group information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및 도 7g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 한 도면.7A and 7G schematically show scree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본 발명은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별 과정을 통해 확인된 정보에 따라 단말기를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and a method of limiting its us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limiting use thereof, which can be used in a limited manner according to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an identification process.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란, 개인 이동통신 단말기(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개인용 디지털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스마트 폰(Smart Phone),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및 무선 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 통신 및 각종 응용 프로그램들을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를 지칭한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terminal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 phone, a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 IMT-2000). And, such as a wireless LAN terminal refers to a terminal that can use a variety of function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and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while being carried by an individual.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꾸준한 발전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mp3, 디지털 카메라 및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기능을 겸비함에 따라 복합 통신 단말기로 거듭나고 있으며, 이미 현대인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The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not only compact and lightweight due to steady development, but also have become a complex communication terminal by combin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mp3, digital camera and navigation, and are already becoming a necessity of modern man.

이동통신 단말기가 보편화됨에 따라, 타인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빌려 통화나 상기한 여러 기능들을 이용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상황에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인적인 정보가 쉽게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종래에는 타인에게 공개하기 싫은 정보(예컨대, 콘텐츠)가 이동통 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정보나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를 잠궈(rock) 모든 사람이 이용할 수 없도록 설정하였다. 이는 정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화나 메뉴 표시 기능 등의 측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ecome more common, there are frequent occurrences of borr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nother person to use a call or various functions described above. However, in this situatio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disadvantage in that personal information is easily exposed. For this reason, conventionally, when information (eg, content) that is not desired to be disclosed to others is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information 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is locked (rock) so that not everyone can use it. This is not limited to information, but the same applies in terms of calls and menu display functions.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는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실제 소유자도 매번 잠금을 해제한 후 이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This conventional method is equally applicable to everyone who operat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e, the actual owner has to inconvenience after using the lock every tim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및 정보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며 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of limiting its use capable of selectively providing and operating functions and inform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user. It's ther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 요청이 입력되는 사용 요청 과정과, 상기 사용 요청을 입력한 현재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과정과, 상기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속하는 그룹을 선정하는 그룹 선정 과정, 및 선정된 상기 그룹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운용하는 운용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limiting u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 request process of inputting a use request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identification process of identifying a current user who inputs the use request, and the identification. And a group selecting process for selecting a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according to a result, and an operating process for opera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group.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폰북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 요청을 입력한 현재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와,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그룹들 중, 상기 사용자 식별부의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속하는 상기 그룹을 선정하는 그룹 선정부, 및 선정된 상기 그룹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운용하는 제한 운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current user who inputs a use request based on a phonebook database, and among the one or more preset groups, the user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result of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And a group selector which selects the group to which the group belongs, and a limited operation unit which operat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group.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consider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as the concept of term.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may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water and variations.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 제한 방법이 수행되는 단말기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 전화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기,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수신기, 유/무선 전화기, 노트북(Notebook),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3G 단말기 예를 들면, IMT-2000 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GPRS(General Packet Radio System) 단말기 등과 같은 모든 정보통신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terminal on which a usage restriction method is perform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a broadcast, preferably a mobile phon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receiver, a 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DVB-H) receiver, a wired / wireless telephone. , Notebook, personal computer, 3G terminal, for example, IMT-2000 terminal, 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terminal,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UMTS) terminal,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devices such as) / General Packet Radio System (GPRS) terminals and the like can be appl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안면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는 안면 인식 방식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외에도 지문 인식, 홍재 인식, 음성 인식, 손금 인식, 정맥 인식, 및 서명 인식 등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면 다양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face recognition scheme for identifying the user by using the face image to identify the user. However, in addition to the above, various methods may be used as long as the user can be identified, such as fingerprint recognition, iris recognition, voice recognition, palmprint recognition, vein recognition, and signature recognition.

이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 of compon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will be omitted.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카메라 모듈(110), 무선통신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키 입력부(160), 표시부(150), 저장부(17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mera module 11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an audio processing unit 140, a key input unit 160, a display unit 150, and a storage unit 170. ), And the controller 190.

카메라 모듈(110)은 영상 촬영을 위한 프리뷰 영상을 획득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식별 과정 수행 시 현재 사용자의 영상을 획득하고, 이로부터 안면 이미지를 추출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 모듈(110)은 렌즈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도시되지 않음)와,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가 적용될 수 있고,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amera module 110 acquires a preview image for capturing an image. That is, when the user identific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erformed, an image of the current user is obtained, and a face image is extracted therefrom. To this end, the camera module 110 photographs an image photographed through a lens, and converts a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not shown), and converts an analog image signal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sensor into digital data. And a signal processor (not shown). Here, the camera sensor may b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10)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영상처리부를 포함한다. 영상처리부는 카메라 모듈(11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한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150)의 표시 특성 및 크기에 알맞게 변형하여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는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하여 영상처리부는 영상 코덱(CODEC)을 구비하며, 표시부(150)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영상 데이터를 원래의 영상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 코덱은 JPEG, Wavelet, mpeg2, mpeg4, H.263, 및 H.264 등 다양한 코덱들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camera module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mage processor. The image processor converts the image data processed by the frame of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module 110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y characteristics and size of the display unit 150 to output. The image processor compresses the image data and transmits the image data to the controller 190. To this end, the image processing unit includes an image codec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mpressing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in a set manner or restoring the compressed image data to original image data. In this case, various codecs such as JPEG, Wavelet, mpeg2, mpeg4, H.263, and H.264 may be used as the image codec.

무선통신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3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3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90)로 출력하고, 제어부(19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무선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perform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rresponding data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may include an RF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for low noise amplifying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may receive data through a wireless channel, output the data to the controller 190, and transmit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190 through a wireless channel.

오디오 처리부(140)는 코덱(CODEC: Coder/Decoder)을 구비한다.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처리부(140)는 통화 시 무선통신부(130)를 통해 제어부(190)에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출력하고,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The audio processor 140 includes a coder (Coder / Decoder). The codec may include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the like and an audio codec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such as voice. Therefore, the audio processor 140 converts the digital audio data received by the controller 19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into an analog audio signal through an audio codec and outputs the speaker to the speaker, and the analog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Is converted into digital audio data through an audio codec and provided to the controller 190.

표시부(15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메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5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150)는 액정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비디오 메모리 및 액정표시장치의 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LCD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50)의 화면은 입력부로 동작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0 visually provides a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user data input by the user, function setting information, and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The display unit 150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50 may include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a video memory capable of storing image data, an element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e like. Meanwhile, when the LCD is implemented by using a touch screen method,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50 may be operated as an input unit.

키 입력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190)에게 전달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부(160)는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키(도시되지 않음) 및 문자와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숫자 키(도시되지 않음)들을 구비한다. The key input unit 160 receives a user's opera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ler 190. To this end, the key input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key (not shown) for operation control and a plurality of numeric keys (not shown) for inputting letters and numbers.

저장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다운로드하는 콘텐츠 및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170)는 프로그램 영역 및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70 stores an application program required for operat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to be downloaded, and user data generated by the user. The storage unit 170 may include a program area and a data area.

프로그램 영역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부팅(booting)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음악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한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통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저장부(170)는 소정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예컨대, 음악, 동영상 등의 재생 기능 기능에 따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음악 파일, 정지 영상, 동영상)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ogram area may be an application required for an operating system (OS) for boo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ther op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example, a music play function, an image or video play function, and the like. Save the program. When activating each function according to a user request, each function is provided through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70 may temporarily store user data (music file, still image, video)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a function of playing a predetermined application, for example, music or video. May contain a (buffer).

데이터 영역은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에 따른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예컨대,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등이 저장될 수 있다. The data area is an area in which user data according to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tored. For example, a music file and a video file may be stor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70)의 데이터 영역에는 폰북 데이터베이스(이하, 폰북; 172)와 그룹 정보 데이터베이스(이하 그룹 정보 DB; 174)가 저장된다. In addition, a phone book datab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hone book) 172 and a group information databa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group information DB) 174 are stored in the data area of the storage unit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폰북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6A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phonebook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폰북(172)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거나 다른 경로(예컨대, 호 수신, 인터넷을 통한 파일 다운로드 등)를 통해 입력된 모든 통신 이벤트 대상자의 정보(예컨대,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가 저장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통신 이벤트 대상자(이하, 대상자)가 속하는 그룹과, 대상자의 이미지가 함께 저장된다. 여기서 그룹은 후술되는 그룹 설정 과정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대상자의 이미지는 사용자의 카메라 모듈(110)을 통해 촬영한 이미지,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 획득한 이미지가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대상자의 이미지로, 대상자의 얼굴을 식별할 수 있는 이미지를 이용한다. Referring to FIG. 6A, the phone book 17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information (eg, name) of all communication event subjects input by the user directly or through another path (eg, call reception, file download through the Internet, etc.). , Phone number, email address, etc.). In addition, the group to which the communication event su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nd the image of the subject are stored are stored together. The group is set by the user through a group setting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image of the subject may be an image taken through the camera module 110 of the user, or an image obtained through the Interne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e of the subject's face is used as the image of the subject.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면 그룹 정보 DB(174)는 후술되는 그룹 정보 설정 과정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설정 정보들이 저장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그룹 정보 DB(174)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명 필드, 제한 기능 필드, 제한 메뉴 필드, 및 제한 콘텐츠 필드를 포함한다.6B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group information data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is, the group information DB 174 stores setting information set by a user through a group information setting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 The group information DB 17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group name field, a restriction function field, a restriction menu field, and a restriction content field, as shown in Fig. 6B.

그룹명 필드는 후술되는 그룹 정보 설정 과정을 통해 사용자가 설정한 그룹의 이름이 저장되는 필드이다. The group name field is a field for storing a name of a group set by a user through a group information setting process to be described later.

제한 기능 필드에는 제한하려는 기능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제한 기능 필드에 통화 기능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해당 그룹에 속하는 대상자는 통화 기능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The restriction function field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function to be restricted. For example, if the call func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restricted function field, the target person belonging to the group cannot use the call function.

제한 메뉴 필드는 제한하려는 메뉴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메뉴는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메뉴'를 선택하여 표시되는 모든 항목들(하위 항목 포함)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제한 메뉴 필드에 '환경설정' 항목이 저장되 어 있는 경우, 해당 그룹에 속하는 대상자는 '환경설정' 메뉴로 진입할 수 없게 된다. The restriction menu field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nu to be restricted. Here, the menu generally refers to all items (including sub-items) displayed by selecting the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For example, if the 'environmental settings' item is stored in the restriction menu field, the target person belonging to the group cannot enter the 'environmental settings' menu.

제한 콘텐츠 필드는 제한하려는 콘텐츠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콘텐츠는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되어 실행되는 모든 콘텐츠(contents)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재생기를 통해 재생이 가능한 콘텐츠를 지칭하며, MP3, WMA와 같은 음원 콘텐츠와 AVI, WMV, ASF등을 포함하는 영상 콘텐츠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한 콘텐츠 필드에 '123.avi' 의 파일명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해당 그룹에 속하는 대상자는 해당 콘텐츠를 재생(또는 실행)할 수 없게 된다.The restricted content field stores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 to be restricted. Here, the content generally includes all contents stored and execut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pecifically, it refers to content that can be played back through the content player, and includes both audio content such as MP3 and WMA and video content including AVI, WMV, and ASF. For example, if a file name of '123.avi' is stored in the restricted content field, the target person belonging to the group cannot play (or execute) the content.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한 기능 필드, 제한 메뉴 필드, 및 제한 콘텐츠 필드에 저장되는 모든 정보를 통틀어 설정 정보라 칭하기로 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ll information stored in the restriction function field, the restriction menu field, and the restriction content field will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etting information.

제어부(19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90)는 카메라 모듈(110), 무선통신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표시부(150), 키 입력부(160), 및 저장부(170)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성 요소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signal flow between the internal block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at is, the controller 190 includes a camera module 11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an audio processor 140, a display unit 150, a key input unit 160, and a storage unit 170. Control the flow of signals between components.

제어부(190)는 키 입력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각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 수행에 따른 현재 상태 및 사용자 메뉴 등의 정보를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한다. The controller 190 performs each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input from the key input unit 160, and displays information such as a current state and a user menu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150. Displa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90)는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누구인지 식별하고, 이에 따라 기능과 메뉴 등의 사용을 제한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90)는 사용자 식별부(192)와, 그룹 선정부(194), 및 제한 운용부(196)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who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nd thus restricts the use of functions and menus. To this end, the controller 19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unit 192, a group selecting unit 194, and a limited operation unit 196.

사용자 식별부(192)는 폰북(172)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 요청을 입력한 현재 사용자를 식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면 인식을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따라서 사용자 식별부(192)는 카메라 모듈(110)로부터 촬영되어 전송되는 이미지(이하, 안면 이미지)를 폰북(172)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과 비교하며 사용자를 식별한다.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92 identifies a current user who inputs a use request based on the phone book 172. In this embodiment, a method of identifying a current user using face recognition is used. Accordingly,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92 identifies a user by comparing an image (hereinafter, a face image) photographed and transmitted from the camera module 110 with images stored in the phone book 172.

그룹 선정부(194)는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그룹들 중, 사용자 식별부(192)에서 식별한 결과에 따라 현재 사용자가 속하는 그룹을 선정한다. The group selector 194 selects a group to which the current user belongs, based on a result identified by the user identifier 192, among the groups preset by the user.

제한 운용부(196)는 그룹 선정부(194)에서 선정한 그룹에 적용되는 설정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제한적으로 운용한다. 즉, 선정된 그룹의 설정 정보에서 사용을 제한하지 않는 기능, 메뉴, 및 콘텐츠만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운용한다. The limited operation unit 196 operat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limitedly based on the setting information applied to the group selected by the group selecting unit 194.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operated only through functions, menus, and contents that do not restrict the use of the selected group setting information.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사용 제한 방법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성 또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한편, 도 7a 및 도 7g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후술되는 실시예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참조하며 설명하기로 한다. Next, a method of limiting u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ill also be clearer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usage restriction method. 7A and 7G schematically illustrate scree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은 그룹 정보 설 정 과정과, 그룹 설정 과정 및 사용 제한 과정을 포함한다. A method for limiting u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oup information setting process, a group setting process, and a use restriction process.

그룹 정보 설정 과정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설정하고, 설정된 그룹에 대한 사용 제한 정보(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group information setting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a user sets at least one group and sets usage restriction information (setting information) for the set group.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정보 설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group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정보 설정 과정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원이 인가되고, 정상 동작에 따라 대기 상태(idle state)로 진입하는 S101 과정부터 수행된다.1 and 2, the group information set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from step S101 in which power is su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enters an idle state according to a normal operation. do.

사용자가 키 입력부(160)를 통해 그룹 정보 설정을 요청하게 되면, S102 과정에서 제어부(190)는 키 입력부(16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이를 인지한다. 이에 제어부(190)는 S103 과정에서 도 7a와 같이, 기 설정되어 있는 모든 그룹 목록을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도 7a에는 가족, 친구, 기타, 및 미설정의 네 그룹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When the user requests the group information setting through the key input unit 160, the controller 190 recognizes this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key input unit 160 in step S102. In this case, the controller 190 displays a list of all groups that are preset in the display unit 150 as shown in FIG. 7A. 7A shows an example in which four groups of family, friends, other, and unset are preset.

그룹 목록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표시된 그룹들 중 하나의 그룹을 선택하거나(S104), 그룹 추가 요청을 입력한다(S110). 여기서, S103 과정에서 기 설정되어 있는 그룹이 없는 경우, 제어부(190)는 S104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S110 과정으로 진입할 수 있다. When the group list is displayed, the user selects one group among the displayed groups (S104) or inputs a group addition request (S110). In this case, when there is no predetermined group in step S103, the controller 190 may skip step S104 and directly enter the step S110.

S110 과정으로 진입한 경우, 사용자가 그룹 추가 요청을 입력하면, 제어부(190)는 S111 과정으로 진입하여, 새로운 그룹을 추가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한 다. When entering the process S110, when the user inputs a group addition request, the controller 190 enters the process S111, and performs a series of processes for adding a new group.

여기서, S111 과정은 그룹명을 설정하는 과정과, 입력된 그룹명에 해당하는 설정 정보(기능, 메뉴, 및 콘텐츠의 사용 제한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step S111 may include setting a group name and setting setting information (function, menu, and content restri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group name.

즉, 제어부(190)는 S111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그룹명(예컨대, 가족)을 입력받아 이를 그룹 정보 DB(174)의 그룹명 필드에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해당 그룹(예컨대, 가족)에 대하여 사용을 제한할 기능과, 메뉴, 그리고 콘텐츠 파일들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은 후, 이를 그룹 정보 DB(174)의 해당 필드에 각각 저장한다. That is, the controller 190 receives a group name (eg, a family) from the user in step S111 and stores it in the group name field of the group information DB 174. Then, the user receives a function for restricting the use of the group (eg, a family), a menu, and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files,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corresponding fields of the group information DB 174.

새로운 그룹을 추가하는 과정을 완료한 제어부(190)는, S112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설정 완료 요청이 입력되는지 확인한다. 설정 완료 요청이 수신되면 제어부(190)는 그룹 정보 설정 과정을 종료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다른 새로운 그룹을 더 추가하거나, 생성된 그룹을 편집 또는 삭제하기 원하는 경우,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S103 과정으로 진입하여 다시 그룹 목록을 표시한다. After completing the process of adding a new group, the controller 190 checks whether a setting completion request is input from the user in step S112. When the request for completing the setting is received, the controller 190 ends the group information setting process. However, if the user wants to add another new group or edit or delete the created group, the controller 190 enters the process S103 at the user's request and displays the group list again.

한편, S103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그룹이 목록으로 표시되면, S104 과정에서 사용자는 편집 또는 삭제하기 원하는 하나의 그룹을 선택하게 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선택한 하나의 그룹에 대해 편집 요청 또는 삭제 요청을 입력한다. Meanwhile, if at least one group is displayed as a list in step S103, the user selects one group to be edited or deleted in step S104. The user then enters an edit request or a delete request for the selected group.

S105 과정에서 사용자가 편집 요청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90)는 이를 인지하고 S104 과정에서 선택된 그룹에 대한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S106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제어부(190)는 저장부(170)의 그룹 정보 DB(174)에 저장되어 있는 해 당 설정 정보(즉, 선택한 그룹에 대한 기능, 메뉴, 및 콘텐츠 사용 제한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한다.When the user inputs an edit request in step S105, the controller 190 recognizes this and performs step S106 to display setting information about the group selected in step S104. First, the controller 190 extracts and displays corresponding setting information (that is, function, menu, and content usage restric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group information DB 174 of the storage unit 170.

예를 들어 S104 과정에서 사용자가 '가족' 그룹을 선택하고, S106 과정에서 편집 요청이 수신된 경우, 제어부(190)는 도 7b와 같이 '가족' 그룹에 대한 설정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도 7b의 경우, 설정 정보에 포함되는 각 항목들(기능 제한, 메뉴 제한, 콘텐츠 제한)이 표시된다. 이에 사용자가 하나의 항목(예컨대, 기능 제한 항목)을 선택하면, 제어부(190)는 도 7c에 도시된 화면을 표시한다. For example, when a user selects a 'family' group in step S104 and an edit request is received in step S106, the controller 190 displays a screen for editing setting information on the 'family' group as shown in FIG. 7B. do. In the case of FIG. 7B, each item (function restriction, menu restriction, content restriction) included in the setting information is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one item (for example, a function restriction item), the controller 190 displays the screen shown in FIG. 7C.

다음으로, 사용자가 선택된 그룹에 대한 설정 정보를 편집 및 저장하는 S107 과정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도 7c에 도시된 화면을 통해 각 기능들의 제한 여부를 설정한다. 도 7c에는 MMS 전송 기능과 인터넷 접속 기능이 제한되도록 설정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가족' 그룹에 속하는 모든 대상자들은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MMS 전송 기능과 인터넷 접속 기능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Next, the user performs a process S107 of editing and storing setting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group. The user sets whether or not to limit each function through the screen shown in FIG. 7C. FIG. 7C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MMS transmission function and the Internet access function are set to be restricted. Therefore, in this case, all subjects belonging to the 'family' group cannot use the MMS transmission function and the Internet access function through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사용자에 의해 설정 정보의 수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90)는 수정된 설정 정보를 그룹 정보 DB(174)에 저장함으로써 일련의 편집 과정을 마치게 된다. When the modification of the setting information is complet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190 completes a series of editing processes by storing the modified setting information in the group information DB 174.

한편, 사용자가 삭제 요청을 입력하는 경우(S108), 제어부(190)는 이를 인지하고 선택된 그룹에 대한 모든 정보를 삭제하는 S109 과정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90)는 저장부(170)의 그룹 정보 DB(174)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그룹의 레코드를 삭제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inputs a deletion request (S108), the controller 190 recognizes this and performs the process S109 of deleting all information on the selected group. That is, the controller 190 deletes the record of the group stored in the group information DB 174 of the storage unit 170.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선택된 그룹에 대한 편집 및 삭제 과정을 완료한 제어부(190)는, 전술한 S112 과정으로 진입하고, 이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그룹의 추가, 편집, 및 삭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controller 190 having completed the process of editing and deleting the selected group enters the process S112 described above, and then repeatedly performs the process of adding, editing, and deleting the selected group at the user's request. do.

이상의 과정을 따라 그룹 정보 설정 과정이 모두 수행되면, 다음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폰북(172)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 이벤트 대상자들을 설정된 그룹으로 분류하는 그룹 설정 과정이 진행된다. When all of the group information setting process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bove process, a group setting process of classifying the communication event subjects stored in the phone book 172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to the set group is perform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설정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3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group set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룹 설정 과정은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원이 인가되고, 정상 동작에 따라 표시부(150)가 대기화면을 표시하는 대기 상태(idle state)로 진입하는 S201 과정이 수행된다. 1 and 3, in a group sett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power is su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a standby state in which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a standby screen according to a normal operation. (S201) to enter the (idle state) is performed.

사용자가 키 입력부(160)를 통해 그룹 설정을 요청하게 되면, S202 과정에서 제어부(190)는 키 입력부(16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이를 인지한다. 이에 제어부(190)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북(172)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대상자의 이름을 목록으로 표시한다.When the user requests a group setting through the key input unit 160, the controller 190 recognizes this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key input unit 160 in step S202. The controller 190 displays the names of all the subjects stored in the phone book 172 as a list, as shown in FIG. 7D.

도 7d와 같이 대상자의 이름이 목록으로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하나의 대상자 이름 즉, 하나의 레코드(예컨대, '홍길동')를 선택하면(S204), 제어부(190)는 S205 과정으로 진입하여 도 7e와 같은 그룹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When the user selects one subject name, that is, one record (for example, 'hong gil dong') in the state in which the names of the subjects are displayed as a list as shown in FIG. 7D (S204), the controller 190 enters the process S205 and FIG. 7E. Displays a group selection screen as shown below.

여기서 그룹 선택 화면은 선택된 대상자를 포함시킬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다. 따라서, 전술된 그룹 정보 설정 과정을 통해 설정된 그룹들이 모두 표시 된다. Here, the group selection screen is a screen for selecting a group to include the selected target person. Therefore, all the groups set through the above-described group information setting process are displayed.

그룹 선택 화면이 표시되면, S206 과정에서 사용자는 표시된 그룹 선택 화면에서 선택된 대상자(예컨대, '홍길동')를 포함시킬 하나의 그룹(예컨대, '가족')을 선택한다. When the group selection screen is displayed, in step S206, the user selects one group (eg, 'family') to include the selected subject (eg, 'Hong Gil Dong') on the displayed group selection screen.

그룹이 선택되면, 제어부(190)는 폰북(172)의 해당 레코드 즉, S204 과정에서 선택된 대상자의 레코드(예컨대, '홍길동')와 S206과정에서 선택된 그룹(예컨대, '가족')을 연결하는 S207 과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폰북(172)은 도 6a와 같이 '홍길동' 레코드의 그룹 필드가 '가족'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택된 대상자의 레코드에 선택된 그룹명을 저장하여 해당 레코드와 해당 그룹을 연결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When the group is selected, the controller 190 connects the corresponding record of the phone book 172, that is, the record of the target person selected in step S204 (eg, 'Hong Gil-dong') and the selected group (eg, 'family') in step S206. Perform the process. Accordingly, in the phone book 172, as shown in FIG. 6A, the group field of the 'Hong Gil Dong' record is set to 'fami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lected group name is stored in the record of the selected subject, and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record with the group is us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 6a를 참조하면, '황진이' 레코드는 그룹 필드가 '미설정'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는 사용자가 '황진이' 레코드에 대한 그룹 설정 과정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그룹이 '미설정'된 대상자들과, 해당 이미지가 없는 대상자들을 모두 도 6b의 '미설정' 그룹으로 분류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폰북(172)에 저장되어 있는 대상자의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 6A, the group field is set to 'not set' in the 'Hwang Jin Yi' record. This means that the user has not performed the group setup process for the 'Hwang Jinyi' record.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subjects whose group is 'unset' and the subjects having no corresponding image are classified into the 'unset' group of FIG. 6B.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ethods may be used, such as automatic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target person stored in the phone book 172.

S207 과정에서 선택된 레코드에 대한 그룹 설정 과정을 완료한 제어부(190)는 S208 과정으로 진입하여 설정 완료 요청이 있는 지 확인한다. 사용자가 다른 레코드들에 대해서 그룹 설정 과정을 계속 수행하기 원하는 경우,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S203 과정으로 진입하여 대상자의 목록을 다시 표시한다. 그리 고 S203 과정 내지 S208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며 선택된 각각의 레코드들에 대해 해당 그룹을 설정하게 된다. In step S207, the controller 190, which has completed the group setting process for the selected record, enters the process S208 and checks whether there is a setting completion request. If the user wants to continue the group setting process with respect to other records, the controller 190 proceeds to step S203 at the user's request and displays the list of the subjects again. Then, steps S203 to S208 are repeatedly performed, and a corresponding group is set for each selected record.

반면에 S208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설정 완료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그룹 설정 과정을 완료하고 대기 상태로 진입한다. On the other hand, if a setting completion request is input from the user in step S208, the controller 190 completes the group setting process and enters the standby state.

이상과 같은 그룹 설정 과정을 통해 각 통신 이벤트 대상자들의 그룹이 설정되면, 현재 사용자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을 제한하는 사용 제한 과정이 수행된다. When a group of each communication event subject is set through the group sett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a use restriction process for limiting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urrent us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사용자 식별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usage restriction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user identification process of FIG.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과정은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원이 인가되고, 정상 동작에 따라 표시부(150)가 대기화면을 표시하는 대기 상태(idle state)로 진입하는 S10 과정이 수행된다. 1, 4 to 6B, in the use restri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wer is first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the display unit 150 displays the standby screen according to normal operation. In step S10, the process enters an idle state.

이어서, S11 과정에서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90)는 S12 과정에서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상태를 확인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할 때 사용자를 식별하는 과정을 거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입력되는 모든 입력 신호에 따라 매번 사용자를 식별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은 오히려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잠겨있거나 홀드(hold)된 상태에서 키 입력이 입력되 는 경우에만 사용자를 식별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대기 상태인 폴더형(또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폴더(또는 슬라이드)가 열리며 입력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사용자를 식별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잠금 설정해 놓은 파일이나 메뉴에 접근 시하는 경우, 사용자를 식별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등 다양한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Subsequently, when a key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in step S11, the controller 190 checks the state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step S12. The present invention undergoes a process of identifying a user when the user us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Here, performing a process of identifying a user every time according to all input signals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cause inconvenience in use. Thus,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ethod of identifying a user only when a key input is input 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locked or hel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a folder (or slide) is opened and an input signal is input from the standby type folder (or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 process of identifying a user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when a user accesses a locked file or menu, it may be applied to various cases such as performing a process of identifying the user.

S12 과정에서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잠금 상태나 홀드 상태가 아닌 경우, 제어부(190)는 종래의 설정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운용한다. 그러나, S12 과정에서,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잠금 상태나 홀드 상태이면, 사용자 식별부(192)는 S13 과정으로 진입하여 사용자 식별 과정을 수행한다. I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not in the locked state or the held state in step S12, the controller 190 operat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a conventional setting. However, in step S12, i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locked or held,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92 enters the process S13 and performs a user identification proces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식별 과정은 먼저 사용자 식별부(192)가 표시부(150)를 통해 메시지를 표시하는 S131 과정이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는 사용자 식별 과정이 진행된다는 것을 현재 이동통신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메시지이다. 이러한 식별 메시지가 표시된 예가 도 7f에 도시되어있다. 이를 참조하면, 사용자 식별부(192)는 '사용자를 식별합니다. 카메라를 보시기 바랍니다'라는 메시지를 표시부(150)에 표시한다. 한편, 이와 같은 안내 메시지는 표시부(150) 이 외에도 오디오 처리부(140)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As illustrated in FIG. 5, the user identification process is first performed by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92 by displaying a message on the display unit 150. The me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essage for notifying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user that the user identification process is in progress. An example of this identification message is shown in FIG. 7F. Referring to this,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92 identifies a user. Please see the camer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display unit 150, such a guide message may be output as a voice through the audio processor 140.

식별 메시지를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 식별부(192)는 S132 과정으로 진입하여 카메라 모듈(110)을 구동한다. Simultaneously with displaying the identification message,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92 enters the process S132 and drives the camera module 110.

카메라가 모듈(110)이 구동되면 카메라 모듈(110)을 통해 프리뷰 영상이 입력되고, 입력된 프리뷰 영상은 표시부(150)에 표시된다. 이때 카메라 모듈(110)은 현재 사용자의 안면을 촬영해야 하므로, 카메라 모듈(110)의 렌즈는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향하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프리뷰 영상을 통해 안면 영상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식별부(192)는 사용자의 안면이 프리뷰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When the camera module 110 is driven, a preview image is input through the camera module 110, and the input preview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0. At this time, since the camera module 110 should photograph the face of the current user,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110 should be positioned to face the user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refore, when the face image is not input through the preview image, the user identifier 192 may display a message to the user such that the face of the user is displayed as the preview image.

이어서, 안면 이미지를 획득하는 S133 과정이 수행된다. 사용자 식별부(192)는 일정시간(현재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을 카메라 모듈(110)의 렌즈와 대면하도록 위치시킬 수 있는 시간) 대기 후, 촬영 신호를 카메라 모듈(110)로 전송한다. 이에 사용자 식별부(192)는 현재 입력되는 프리뷰 영상으로부터 촬영 신호가 입력된 시점의 영상 프레임을 현재 사용자의 안면 이미지로 추출하여 저장부(170)에 저장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식별부(192)로부터 촬영 신호가 전송되었지만,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현재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을 카메라 모듈(110)의 렌즈와 대면하도록 위치시킨 후, 키 입력을 통해 촬영 신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Subsequently, an operation S133 of acquiring a face image is performed.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92 transmits a photographing signal to the camera module 110 after waiting for a predetermined time (a time when the user can position his or her face to face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110). Accordingly,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92 extracts an image frame at the time when a photographing signal is input from the preview image currently input as a face image of the current user and stores the image frame in the storage unit 170.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photograph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92,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ser to input directly. That is, the current user may position his face to face the lens of the camera module 110 and then input a photographing signal through a key input.

안면 이미지가 저장되면, 사용자 식별부(192)는 저장된 안면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확인하는 S134 과정을 수행한다. 사용자 식별부(192)는 S133 과정에서 저장된 안면 이미지와 폰북(172)을 기반으로 하여 각 대상자들의 이미지를 비교하는 안면 식별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폰북(172)의 대상자들 중 안면 이미지와 동일한 얼굴을 갖는 대상자를 추출한다. 여기서, 이미지를 이용하여 안면을 비교하며 동일한 얼굴을 검색하는 방법 및 기능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When the facial image is stored,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92 performs an operation S134 of identifying the user using the stored facial image.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192 performs a face identification process for comparing images of each subject based on the face image stored in the process S133 and the phone book 172. The subjects having the same face as the face image are extracted from the subjects of the phone book 172. Here, since a method and a function of comparing faces using an image and searching for the same face are already known technique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한 과정을 통해 안면 이미지와 동일한 이미지의 대상자를 추출하면, 사용자 식별부(192)는 추출된 대상자를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이하, 홍길동)로 인지한다. 그리고 홍길동이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그룹 선정부(194)에게 알린 후, 사용자 식별 과정을 마친다. When the target person of the same image as the facial image is extrac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user identifier 192 recognizes the extracted target person as a user (hereinafter, Hong Gil-dong) currentl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addition, after notifying the group selecting unit 194 that Hong-Gil-Dong is currently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user identification process is completed.

사용자 식별 과정이 완료되면, S14 과정에서 그룹 선정부(194)는 사용자 식별부(192)를 통해 인지한 현재 사용자 즉, 홍길동이 속한 그룹을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 그룹으로 선정한다. 그리고 S15 과정에서 그룹 선정부(194)는 그룹 정보 DB(174)를 참조하여 해당 그룹의 설정 정보를 추출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홍길동의 그룹은 '가족'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그룹 선정부(194)는 현재 사용 그룹을 '가족' 그룹으로 선정하고, 현재 사용자에 대해 '가족' 그룹에 해당하는 설정 정보를 그룹 정보 DB(174)로부터 추출한다(도 6b 참조). When the user identification process is completed, in step S14, the group selector 194 selects a group to which the current user recognized by the user identifier 192, that is, Hong Gil-dong, belongs to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n operation S15, the group selecting unit 194 refers to the group information DB 174 and extracts setting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group. Referring to FIG. 6A, the group of Hong Gil-dong is set to 'family'. Therefore, in this case, the group selecting unit 194 selects the current use group as the 'family' group, and extracts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amily' group for the current user from the group information DB 174 (see FIG. 6B). ).

이어서 S16 과정에서 제한 운용부(196)는 S15 과정에서 추출된 설정 정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능, 메뉴, 및 콘텐츠를 제한적으로 운용한다. 도 6b에 도시된 그룹 정보 DB(174)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ubsequently, in step S16, the limited operation unit 196 limitedly operates the functions, menus, and conte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setting information extracted in step S15. For example, the group information DB 174 illustrated in FIG. 6B is described below.

홍길동이 속하는 '가족' 그룹은 통화 기능과 문자메시지(SMS) 기능은 이용 가능하지만,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전송 기능이나 인터넷 접속 기능 등은 사용할 수 없도록 제한되어 있다. 또한 메뉴의 경우, 다이어리와 일기에 관련된 메뉴를 사용할 수 없도록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100) 사용자인 홍길동이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인터넷 접속 기능을 이용하려고 키 입력을 시도한 경우, 제한 운용부(196)는 도 7g와 같이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는 내용 의 메시지를 표시하고 해당 기능의 이용을 제한한다. Hong Gil-dong belongs to the 'family' group can use the call function and text messaging (SMS) function, but the multimedia message (MMS) transmission function and the Internet access function is limited to use. In addition, in the case of menus, menus related to diaries and diaries are restricted. Accordingly, when Hong Gil-dong, a user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ttempts to input a key to use the Internet access function in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limited operation unit 196 may use the function as shown in FIG. 7G. It displays a message stating that there is no, and restricts use of the function.

다른 예로, 도 6a를 참조하면,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장보고'인 경우, 장보고가 속하는 그룹은 '친구'이다. 그리고, 도 6b를 참조하면, '친구' 그룹은 메시지 잠금 기능도 사용이 제한되며, '123.avi' 콘텐츠를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사용자인 장보고는 통화나 카메라 촬영 기능은 이용할 수 있으나, 메시지를 잠그거나, '123.avi' 콘텐츠를 재생하는 등의 기능은 이용할 수 없게 된다.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6A, when the user of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a chapter report, the group to which the chapter report belongs is a friend.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6B, the 'friends' group also restricts the use of the message lock function and cannot use the '123.avi' content. Therefore, Jang Bo, the current user, can use the call or camera shooting function, but cannot use the functions such as locking a message or playing '123.avi' content.

본 실시예에서는 가족, 친구, 기타, 및 미설정의 네 개 그룹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보다 다양한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족 그룹을 세분화하여 아이들 그룹, 부모님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친구 그룹의 경우도 대학 친구 그룹, 동네 친구 그룹 등과 같이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where four groups of family, friends, other, and unset are set is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t in various groups according to user needs. For example, the family group can be subdivided into child groups and parent groups, and the friend group can be variously set up, such as a college friend group and a neighborhood friend group.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은 현재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과정을 거쳐 해당 대상자가 속하는 그룹을 확인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해당 그룹에서 허용하는 기능과 메뉴 및 콘텐츠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를 운용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usage restric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a group to which the corresponding target belongs through a process of identifying a current user.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rated to use only functions, menus, and contents allowed by the corresponding group.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타인에게 노출되고 사용되더라도, 개인적인 정보가 쉽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타인(예컨대, 아이들)이 함부로 비용이 청구되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는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xposed to others and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personal information from being easily expos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burden that others (eg, children) can use the service that is charged unnecessarily.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 제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Method for limiting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기능, 메뉴, 및 콘텐츠에 대하여 사용을 제한하는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에 따라 키 입력을 제한하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입력 및 출력되는 모든 부분에 있어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of restricting the use of functions, menus, and contents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applied to all parts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limiting key input according to a user.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을 제한하는 예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식별이 가능하고, 그룹에 대한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전자 기기라면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s an example of limiting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ever, any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identifying a user and including setting information about a group can be widely appli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은 현재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과정을 거쳐 해당 대상자가 속하는 그룹을 확인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해당 그룹에서 허용하는 기능과 메뉴 및 콘텐츠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를 운용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method for limiting its u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y a group to which the corresponding object belongs by identifying a current user. T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perated to use only functions, menus, and contents allowed by the corresponding group.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타인에게 노출되고 사용되더라도, 개인적인 정보가 쉽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타인(예컨대, 아이들)이 함부로 비용이 청구되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는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refore, eve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xposed to others and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personal information from being easily expos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burden that others (eg, children) can use the service that is charged unnecessarily.

Claims (19)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 요청이 입력되는 사용 요청 과정과, A usage request process in which a usage request is input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사용 요청을 입력한 현재 사용자를 식별하는 식별 과정과,An identification process of identifying a current user who has entered the usage request; 상기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속하는 그룹을 선정하는 그룹 선정 과정, 및A group selection process of selecting a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result, and 선정된 상기 그룹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메뉴, 및 콘텐츠를 제한적으로 제공하며 운용하는 운용 과정을 포함하며,And a process of providing and operating a function, a menu, and a conten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group. 상기 식별 과정은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The identification process identifies the user by using the face image of the user input through the camera module, 상기 식별 과정은 사용자 식별이 진행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과,The identification process may include display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user identification is in progress; 상기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는 과정과,Driving the camera module;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으로부터 상기 안면 이미지를 추출하는 과정, 및 Extracting the face image from an image input through the camera module, and 상기 안면 이미지와 폰북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해당 레코드를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And extracting a corresponding record using the face image and the phone book datab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요청 과정에 앞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prior to the request for use,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폰북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모든 레코드들을 적어도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그룹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And a grouping process of grouping all records registered in the phonebook database stor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to at least one group.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rouping process, 그룹 설정 요청에 따라 상기 폰북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상기 레코드들을 표시하는 목록 표시 과정과,A list display process of displaying the records registered in the phonebook database according to a group setting request; 표시된 상기 레코드들에서 하나의 레코드를 선택하는 레코드 선택 과정, 및A record selection process of selecting one record from the displayed records, and 선택된 상기 레코드가 속하는 하나의 상기 그룹을 선택하는 그룹 선택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And a group selection process of selecting one group to which the selected record belong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은,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roup, 가족 그룹, 친구 그룹, 및 미설정 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A method of restricting use of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family group, a friend group, and an unset group.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요청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se request process comprises: 잠금 상태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잠금 해제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And a lock release request signal is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locked sta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요청 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se request process comprises: 홀드(hold) 상태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홀드 해제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And a hold release request signal is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 hold sta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요청 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use request process comprises: 대기(idle) 상태인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Method for limiting u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put signal is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idle sta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put signal, 키 조작, 슬라이딩, 또는 폴더 오픈 중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Method for limiting the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al is input by the operation of any one of key operation, sliding, or folder ope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각각의 상기 그룹에 상응하는 상기 설정 정보를 설정하는 그룹 정보 설정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And using the group information setting step of setting the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groups.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tting information, 제한 기능 관련 정보, 제한 메뉴 관련 정보, 및 제한 콘텐츠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And restriction function related information, restriction menu related information, and restriction content related informa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정보 설정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setting of the group information comprises: 상기 그룹을 추가 및 삭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제한 방법.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dding and deleting the group. 폰북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 요청을 입력한 현재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부와, A user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a current user who inputs a usage request based on a phone book database;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그룹들 중, 상기 사용자 식별부의 식별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속하는 상기 그룹을 선정하는 그룹 선정부와,A group selecting unit which selects the group to which the user belongs, according to an identification result of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among one or more preset groups; 선정된 상기 그룹에 상응하는 설정 정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 메뉴, 및 콘텐츠를 제한적으로 제공하며 운용하는 제한 운용부와,A limited operation unit which provides and operates the functions, menus, and conte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ccordance with the sett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group; 안면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It includes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facial images, 상기 사용자 식별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실시간으로 촬영된 안면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identifies the user by using a face image captured in real time by the camera module.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폰북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설정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honebook database and the setting inform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설정 정보는 제한 기능 관련 정보, 제한 메뉴 관련 정보, 및 제한 콘텐츠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setting information includes restriction function related information, restriction menu related information, and restriction content related information.
KR1020070044564A 2007-05-08 2007-05-0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strict method of using thereof KR1009035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564A KR100903547B1 (en) 2007-05-08 2007-05-0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strict method of u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564A KR100903547B1 (en) 2007-05-08 2007-05-0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strict method of us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009A KR20080099009A (en) 2008-11-12
KR100903547B1 true KR100903547B1 (en) 2009-06-23

Family

ID=40286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4564A KR100903547B1 (en) 2007-05-08 2007-05-0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strict method of u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54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3826A (en) * 2012-01-20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KR102437135B1 (en) * 2015-09-23 2022-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3015A (en) * 1993-12-28 1995-08-04 Casio Comput Co Ltd Portable telephone system
JP2002111845A (en) 2000-09-27 2002-04-12 Nec Corp Common portable telephone and method of sharing portable telephone
KR20040051132A (en) * 2002-12-12 2004-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user hand-phone
KR20050037613A (en) * 2003-10-20 2005-04-2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user mode of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3015A (en) * 1993-12-28 1995-08-04 Casio Comput Co Ltd Portable telephone system
JP2002111845A (en) 2000-09-27 2002-04-12 Nec Corp Common portable telephone and method of sharing portable telephone
KR20040051132A (en) * 2002-12-12 2004-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user hand-phone
KR20050037613A (en) * 2003-10-20 2005-04-25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Method for setting user mode of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009A (en) 2008-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5283B2 (en) System,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nnotating media files
KR101513616B1 (en) Mobile terminal and image information managing method therefor
EP30790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bum display
US200801462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image file in mobile terminal
KR101203516B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eing photograph image file thereof
US8059897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an image processing function on an electronic device
TW201251443A (en) Video summary including a feature of interest
CN112783379B (en) Picture selection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5276187A (en) Method for identifying image and terminal apparatus
KR20090127881A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user status indicators
CN105845124A (en) Audio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4717366A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mmending contact photos
US7916201B2 (en) Mobile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images on a display screen
CN106066770A (en) Memory space management and device
CN107169060A (en) Image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in terminal
CN105513101B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KR10090354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strict method of using thereof
US7904058B2 (en) Recording data at a mobile telephone during a telephone call
CN104780256A (en) Address book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and intelligent terminal
CN108027821A (en) Handle the method and device of picture
KR20070075993A (en) Method for saving input to category of photo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00100531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medias
US20090276855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at provide for presentation of event items
CN106155696B (en) Method and device for deleting information
CN105430260B (en) Obtain the method and device of video im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