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849B1 - 무선 마이크 - Google Patents

무선 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849B1
KR100901849B1 KR1020080048490A KR20080048490A KR100901849B1 KR 100901849 B1 KR100901849 B1 KR 100901849B1 KR 1020080048490 A KR1020080048490 A KR 1020080048490A KR 20080048490 A KR20080048490 A KR 20080048490A KR 100901849 B1 KR100901849 B1 KR 100901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channel information
information signal
wireless
wireless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수
Original Assignee
에드뷰시스템 (주)
최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뷰시스템 (주), 최준수 filed Critical 에드뷰시스템 (주)
Priority to KR1020080048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ransmitt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기를 변경하며, 다수개의 수신기와 디지털 음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이크는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여 무선 통신 방법으로 수신기에 송신하는 무선 마이크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마이크에 설치되며, 일정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채널 정보 신호를 찾아서 수신하는 채널 정보 신호 수신부; 상기 무선 마이크에 설치되며, 상기 채널 정보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채널 정보 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기의 사용 주파수 대역을 상기 채널 정보 신호에 대응되는 주파수로 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 마이크, 채널 정보 신호, 적외선, 멀티 채널

Description

무선 마이크{WIRELESS MIKE}
본 발명은 무선 마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신기를 변경하며, 다수개의 수신기와 디지털 음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마이크는 무선 마이크(송신기)와 수신기 한 쌍으로 구성된다. 그 중에서 디지털 무선 마이크는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디지털 신호 교환을 위해 특정 주파수 대역을 여러개의 채널로 분리하여 그 중 하나의 채널을 할당하여 쌍방이 통신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무선 마이크라면 이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이 2.4 ~ 2.4835GHz이므로(법적으로 상업적인 용도로 라이센스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허용 주파수 대역), 이 주파수 대역을 0.0001GHz나 0.001GHz 등의 간격으로 채널로 구분하여(세분화될 수록 채널수는 늘어나나 채널 간의 간섭이 심해짐) 송신기와 수신기가 1:1로 하나의 채널을 통해 신호를 교환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형태의 무선 마이크는 하나의 수신기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 는 채널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다른 수신기에 대해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학교나 학원 등 한 건물 내에 여러개의 방 또는 공간으로 분할되어 각 방 또는 공간 마다 별도의 수신기가 배치되는 구조에서는 무선 마이크를 각 방 또는 공간 별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무선 마이크는 사용자의 사용 과정에서 타액이 묻을 수 있는 등 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하므로, 자신의 무선 마이크를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선호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방 또는 공간 별로 무선 마이크가 고정되면, 무선 마이크의 사용자가 수시로 교체되어 위생상의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무선 마이크를 개인적으로 소지하고, 각 방 또는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수신기와 채널을 맞추어 어느 공간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무선 마이크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수개의 수신기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공간을 이동하며 각 수신기와 자유롭게 통신할 수 있는 무선 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이크는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여 무선 통신 방법으로 수신기에 송신하는 무선 마이크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마이크에 설치되며, 일정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채널 정보 신호를 찾아서 수신하는 채널 정보 신호 수신부; 상기 무선 마이크에 설치되며, 상기 채널 정보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채널 정보 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기의 사용 주파수 대역을 상기 채널 정보 신호에 대응되는 주파수로 조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이크는 2.4 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이크는, 일정량의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지와 상기 충전지를 외부 전원과 연결하는 충전잭이 삽입가능한 충전책 삽입홈을 더 구비하되, 상기 충전잭 삽입홈은 휴대폰용 공용 충전잭이 삽입가능하게 구성되는 것 이, 널리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휴대폰용 공용 충전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 마이크는, 마이크 본체 내측으로 출몰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내장 마이크를 구비하는 것이, 내장 마이크 사용시에는 내장 마이크를 외부로 노출시켜 깨끗한 음질의 음성 신호를 발생시키고, 비사용시에는 내장 마이크를 내부로 삽입하여 마이크를 보호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내장 마이크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출몰시키는 내장 마이크 슬라이드바를 더 구비하는 것이, 간단한 구조로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내장 마이크의 출몰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선 마이크에는 외장 마이크가 연결될 수 있는 외장 마이크 입력 단자를 더 구비하는 것이, 내장 마이크 외에 외장 마이크를 더 사용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이크에는 상기 무선 마이크의 음성 출력을 정지시키는 뮤트(mute) 버튼과 상기 무선 마이크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 버튼을 더 구비하는 것이, 마이크 사용자가 수신기를 조작하지 않고 무선 마이크 자체를 조작하여 용이하게 음량을 조절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선 마이크에서, 상기 채널 정보 신호 수신부는 적외선 통신을 사용하는 것이, 간단한 방식으로 수신기와 통신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마이크가 다양한 수신기와 통신하며, 통신 채널을 선택하므로, 무선 마이크를 서로 다른 수신기가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장소로 이동하면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마이크는 내장 마이크를 사용시와 비사용시를 구분하여 외부로 돌출시키거나 내부로 삽입할 수 있으므로, 더 깨끗한 음성신호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채널 정보 신호 수신부(10), 제어부(20), 뮤트 버튼(30), 채널 수신 표시부(40), 음량 조절 버튼(50), 충전잭 삽입홈(60), 내장 마이크(70), 외장 마이크 입력 단자(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체(1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그 내부에 무선 마이크(1)를 이루는 다양한 부품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외부에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성요소가 탑재될 수있는 홈을 제공한다. 이 본체(100)는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채널 정보 신호 수신부(10)는 일정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채널 정보 신호를 찾아서 수신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채널 정보 신호라 함은, 특정한 수신기에서 발신하는 특정한 채널에 관련된 신호로서, 그 수신기의 채널 아이디를 특정할 수 있는 신호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1)는 하나의 수신기와 짝을 이뤄 디지털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수신기를 변경하면서 다수개의 수신기와 디지털 음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이렇게 다수개의 수신기와 송수신할 수 있기 위해서는, 각 수신기와 통신할 수 있는 채널 정보 신호를 시공간을 달리하며 선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1)는 일정한 영역 내에 존재하며, 특정한 수신기에서 발신하는 채널 정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채널 정보 신호 수신부(10)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 채널 정보 신호 수신부(10)에 의하여 특정한 수신기와 커플링되는 것이다. 이 채널 정보 신호 수신부(10)는 수신기와 적외선 통신을 사용하여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즉, 수신기에서 발신되는 적외선 신호를 이 채널 정보 신호 수신부(10)에서 수신하여 그 수신기의 채널 아이디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특정한 수신기의 채널 정보 신호가 확인되면, 채널 정보 신호 표시부(40)에 표시되어 사용 가능한 채널이 선정되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0)는, 상기 채널 정보 신호 수신부(10)에서 수신된 채널 정보 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기의 사용 주파수 대역을 상기 채널 정보 신호에 대응되는 주파수로 조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이 제어부(20)는 상기 채널 정보 신호 수신부(10)에 의하여 특정한 영역 내에 이용 가능한 수신기가 확인되면, 그 수신기의 채널 아이디에 해당되는 사용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마이크의 사용 주파수를 변경하여 무선 마이크와 그 수신기가 디지털 음선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한 수신기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으로 이동하면, 이 제어부(20)를 작동시켜서 채널 정보 신호 수신부(10)로 하여금 그 수신기에서 발신하는 채널 정보 신호를 찾게 하고, 그 채널 정보 신호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도록 무선 마이크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이 제어부(20)는 채널 정보 신호 수신부(10)에 의하여 특정한 채널 정보 신호가 수신되어 무선 송수신 상태가 이루어지면, 채널 정보 신호 체크 모드를 해제하고, 무선 송수신 상태로 상기 무선 마이크(1)를 전환한다. 그러다가, 특정한 상황에서 일정한 시간(예를 들어 1분 동안) 동안 신호 및 응답이 없으면, 다시 채널 정보 신호 체크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채널 정보 신호 수신부(10)로 하여금 새로운 채널 정보 신호를 수신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1)는 2.4 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이, 사용 주파수 대역이 광범위하고, 원음에 가가운 음질을 제공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뮤트(mute) 버튼(30)은 무선 마이크(1)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중단시키는 구성요소로서, 특정한 경우에 무선 마이크의 음성 출력을 정지시켜서 음을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음량 조절 버튼(50)은 무선 마이크(1)에서 출력되는 음성 출력의 크기를 조절하여 음량을 조절하는 버튼이다. 이 음량 조절 버튼(50)을 이용하여, 수신기와 연결되어 있는 스피커의 음량을 조정하지 않고, 마이크에서 직접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마이크는 사용자가 수신기 및 스피커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상 이격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사용한다. 따라서 무선 마이크 사용 중에 마이크 음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수신기 내지는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로 이동하여 음량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1)는 무선 마이크에서 직접 음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위치 이동을 하지 않고 음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1)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일정량의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지(도면에 미도시)와 상기 충전지를 외부 전원과 연결된 충전잭이 삽입될 수 있는 충전잭 삽입홈(6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충전잭 삽입홈(60)을 휴대폰용 공용 충전잭이 삽입가능한 충전잭 삽입홈(60)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폰용 공용 충전잭이라 함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의 충전을 위하여 공용으로 사용되는 충전잭 을 말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1)도 이러한 충전잭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충전잭을 구비하지 않고, 종래에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용 공용 충전잭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1)에는 내장 마이크(70)가 구비되되,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 마이크(70)가 본체(100) 내측으로 출몰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렇게 내장 마이크(70)를 본체(100) 내외측으로 출몰가능한 구조로 구성하는 것은 내장 마이크의 사용시와 비사용시의 위치를 달리하여 마이크를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즉, 내장 마이크(70)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 마이크를 본체(100)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사용한다. 그러면 마이크에서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고 깨끗한 음질의 음성 신호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내장 마이크(70)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내장 마이크를 본체(100)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위치시킨다. 이렇게 내장 마이크(70)를 본체(100)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휴대가 간편할 뿐만아니라, 보관 또는 휴대 중에 내장 마이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장 마이크(70)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출몰시키는 내장 마이크 슬라이드바(9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간단한 구조로 내장 마이크(70)를 출몰시킬 수 있으며, 그 제조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마이크가 연결될 수 있는 외장 마이크 입력 단자(80)를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1)의 본체(100) 내부에는 음성 신호를 처리하여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고 송출할 수 있는 구조가 일반적인 무선 마이크와 동일하게 구비된다. 예를 들어, 노이즈 제거 및 신호 증폭부, 데이터 변환부, 데이터 압축부, 고주파 송출부, 채널 변환부 및 마이크로 콘트롤부 등 다양한 구성요소가 일반적인 무선 마이크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마이크의 구조를 도시하는 다른 방향의 사시도이다.

Claims (9)

  1.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여 무선 통신 방법으로 수신기에 송신하는 무선 마이크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마이크의 전체적인 외형을 구성하는 마이크 본체;
    상기 무선 마이크에 설치되며, 일정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상기 수신기의 채널 정보 신호를 찾아서 수신하는 채널 정보 신호 수신부;
    상기 무선 마이크에 설치되며, 상기 채널 정보 신호 수신부에서 수신된 채널 정보 신호에 따라 상기 무선 마이크의 사용 주파수 대역을 상기 채널 정보 신호에 대응되는 주파수로 조정하는 제어부;
    상기 마이크 본체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형성되는 내장 마이크 설치홈;
    상기 내장 마이크 설치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되는 내장 마이크;
    상기 내장 마이크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장 마이크를 상기 내장 마이크 설치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내장 마이크 슬라이드바;
    상기 무선 마이크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 조절 버튼;
    상기 마이크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일정량의 전력을 충전하는 충전지;
    상기 마이크 본체의 일측에 휴대폰용 공용 충전잭이 삽입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충전지와 연결되어 상기 충전지를 외부 전원과 연결하는 충전잭 삽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마이크는 2.4 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마이크의 음성 출력을 정지시키는 뮤트(mute) 버튼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 신호 수신부는 적외선 통신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마이크.
KR1020080048490A 2008-05-26 2008-05-26 무선 마이크 KR100901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490A KR100901849B1 (ko) 2008-05-26 2008-05-26 무선 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490A KR100901849B1 (ko) 2008-05-26 2008-05-26 무선 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1849B1 true KR100901849B1 (ko) 2009-06-09

Family

ID=40982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490A KR100901849B1 (ko) 2008-05-26 2008-05-26 무선 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402B1 (ko) 2009-09-09 2012-11-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디오 출력장치 장치간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4723A (ja) 2002-07-31 2004-02-26 Ribasuto:Kk 鉄道用ワイヤレス放送装置
JP2004289454A (ja) 2003-03-20 2004-10-14 Daiichikosho Co Ltd ワイヤレスマイクシステム、レシーバー、ワイヤレスマイク、充電架台
KR200406957Y1 (ko) * 2005-11-08 2006-01-23 (주)이어존 무선 마이크 송수신 장치
KR200410863Y1 (ko) * 2005-11-02 2006-03-10 (주)사운드 테크 엔터프라이즈 자동 채널 설정 가능한 무선 마이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4723A (ja) 2002-07-31 2004-02-26 Ribasuto:Kk 鉄道用ワイヤレス放送装置
JP2004289454A (ja) 2003-03-20 2004-10-14 Daiichikosho Co Ltd ワイヤレスマイクシステム、レシーバー、ワイヤレスマイク、充電架台
KR200410863Y1 (ko) * 2005-11-02 2006-03-10 (주)사운드 테크 엔터프라이즈 자동 채널 설정 가능한 무선 마이크 시스템
KR200406957Y1 (ko) * 2005-11-08 2006-01-23 (주)이어존 무선 마이크 송수신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402B1 (ko) 2009-09-09 2012-11-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디오 출력장치 장치간 핸드오버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마이크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1971B2 (en) Headphone charging case
US10211876B2 (en) Water resistant wireless device speaker case and conference call module
US20120300962A1 (en) Solar Powered Wireless Bluetooth Stereo Speaker With connectivity To MP3 Player
US20060126882A1 (en) Earphone
WO2003061147A3 (en) Wireless intercom system
US20110316664A1 (en) Remote control for sound system
KR100936393B1 (ko) 스테레오 블루투스 헤드셋
US9167086B1 (en) Bluetooth headset with audio recording capabilities
US8369548B2 (en) Wireless headset device capable of providing balanced stereo and method thereof
KR101330476B1 (ko) 귓속 삽입형 마이크를 사용하는 유무선 이어폰 장치
CN101427552A (zh) 无线立体声免提配件
JP2006512013A5 (ko)
US10863013B2 (en) Portable device case for removably attaching accessories
US20140321658A1 (en) Wireless Audio System
CN107769822B (zh) 一种基于蓝牙室内定位技术广播功率的滤波处理系统
KR100901849B1 (ko) 무선 마이크
KR100980392B1 (ko) 무선 마이크 시스템
CN201054596Y (zh) 蓝牙调频传输带端口自动检测装置
TWI267286B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1373993A (zh) 立体声蓝牙耳机
CN101083808A (zh) 手机音频的无线播放方法及系统
JP4770799B2 (ja) ワイヤレス送受信子機
KR100777976B1 (ko) 휴대형 차량용 오디오 무선 송출장치
KR200273701Y1 (ko) 라디오 겸용 핸드폰용 충전기
KR200380914Y1 (ko) 스테레오 출력단자가 구비된 핸드폰이나 각종 음향재생장치(mp3,md player,pda,컴퓨터등)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fm스테레오 무선송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