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361B1 - Wireless ear-set/ear-phone with both mono and stereo usage - Google Patents

Wireless ear-set/ear-phone with both mono and stereo us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361B1
KR100901361B1 KR1020070077471A KR20070077471A KR100901361B1 KR 100901361 B1 KR100901361 B1 KR 100901361B1 KR 1020070077471 A KR1020070077471 A KR 1020070077471A KR 20070077471 A KR20070077471 A KR 20070077471A KR 100901361 B1 KR100901361 B1 KR 100901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eo
earphone
wireless
mono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4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13397A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이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호 filed Critical 이준호
Priority to KR1020070077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361B1/en
Publication of KR20090013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3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3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65H75/40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hand-held during us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이어셋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스테레오(Stereo)와 모노(Mono)의 전환이 가능하고 휴대가 간편한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에 관한 것이며,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ears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reo and mono (wireless) can be switched between the stereo (Stereo) and a mono (wireless stereo combined dual ear) easy to carry,

무선 수신부와 무선송신부와 마이크가 형성되어 있고 한쪽 귀에 착용하여 모노로 사용하는 무선 이어셋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이어셋 본체의 일측에 스테레오용 이어폰 연결부 및 상기 스테레오용 이어폰이 끼워지는 이어폰 포켓이 설치되고, 상기 스테레오용 이어폰 연결부에 스테레오용 이어폰이 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스테레오용 이어폰 연결부에는 스테레오용 이어폰을 연결하는 선을 이어셋 본체 내부로 감기도록 당기는 권선장치 및 권선장치에 의한 인장력을 제어하는 스톱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wireless ear set having a wireless receiver, a wireless transmitter, and a microphone, and worn on one ear and used as a mono, an earphone pocket for connecting a stereo earphone and a earphone pocket ar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of the wireless ear set. The stereo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stereo earphone connection through a wire, and the stereo earphone connection is provided with a winding device for pulling the wire connecting the stereo earphone into the earset body and a stop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nsion force by the win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무선 이어셋, 이어폰, 스테레오, 모노, 겸용 Wireless earsets, earphones, stereo, mono, combined

Description

모노-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 및 이어폰{wireless ear-set/ear-phone with both mono and stereo usage}Wireless ear-set / ear-phone with both mono and stereo usage}

본 발명은 무선 이어셋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스테레오가 가능하고 휴대가 간편한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earse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no stereo combined wireless earset capable of stereo in a simple structure and easy to carry.

일반적으로 무선이어셋은 대부분 송, 수화 회로부가 내장된 수화기 기능을 갖는 본체와, 본체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마이크와, 착용자의 귀와 접촉하거나 귀에 끼워지는 이어폰으로 구성된다.In general, a wireless earset is composed of a main body having a handset function with a built-in transmission and reception circuit unit, a microphone formed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and earphones which come into contact with or fit into the wearer's ear.

무선이어셋을 크게 분류하면, MP3로 음악이나 외국어학습 등 오디오를 청취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스테레오 무선이어셋(도 1)과, 휴대가 편리하면서 전화통화를 주목적으로 하는 모노 무선이어셋(도 2)으로 나눌 수 있다.The wireless earphone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stereo wireless earphones (FIG. 1) mainly for listening to music and foreign language learning such as MP3, and mono wireless earphones (FIG. 2), which are mainly portable and mainly for telephone calls. Can be.

스테레오 무선이어셋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귀에 접하여 소리가 들리는 스피커 2개가 귀를 덮게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 부분을 서로 연결하여 주는 고정밴 드(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밴드(10)는 힌지로 절첩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체 길이를 축소시켜 휴대 및 보관하도록 하는 내용이 있으나 그 크기 때문에 가지고 다니기에는 불편함 점이 많았다.As shown in FIG. 1, the stereo wireless earset is formed of two fixed speakers 10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ears and cover the ears, and have a fixed band 10 connecting the speaker parts to each other. The fixing band 10 is to be folded by the hinge when not in use, there is a content to reduce the overall length to carry and store, but because of its size was inconvenient to carry.

모노 무선이어셋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고정밴드 없이 귀 한쪽에만 끼워 사용하므로 스테레오 이어셋과 비교할 때 소지하고 다닐 때의 불편함은 줄어들었으나, 다양한 음질을 즐기는 소비자의 성향을 맞출 수가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일반 전화통화시에는 모노의 음질로 들어도 별 문제가 없으나 음악 등의 다른 오디오는 스테레오로 듣고자 하는 것이 대부분 소비자의 욕구이다. 하지만 스테레오로 듣기 위하여 부피가 큰 이어셋을 항상 지니고 다니는 불편을 감수하거나, 또는 모노로 듣는 불편을 감수하기도 한다.As shown in FIG. 2, since the mono-wireless headset is used only on one side of the ear without a fixed band,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it compared with the stereo earset is reduc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umer's inclination to enjoy various sound quality cannot be matched. . In other words, in general phone call, there is no problem even if you listen to the sound quality of mono, but most of the users want to listen to other audio such as music in stereo. However, it may be uncomfortable to always carry a bulky earset for listening in stereo or to listen in mono.

한편 이러한 불편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가령 실용신안등록 제0341662호가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한쪽 귀에만 사용하는 무선이어셋의 무선 송수신부에서 2개의 채널로 수신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 중 하나는 본체의 스피커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이어폰 접속구로 연결하며, 상기 이어폰 접속구에 간단하게 별도의 유선 이어폰을 착탈하여 스테레오와 모노 상태의 오디오를 선택적으로 들을 수 있게 한 것이 있다. 도 4는 이러한 유선 이어폰 착탈식 모노 스테레오 겸용 이어셋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designed to improve such inconvenience (for exampl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41662. That is, stereo audio signal received in two channels in the wireless transceiver of the wireless earset used only one ear as shown in Figure 3 One of them is connected to the speaker of the main body,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port,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listen to audio in the stereo and mono state by simply detaching a separate wired earphone to the earphone port. The wired earphones detachable mono stereo combined earset is a state of wearing.

그러나 이러한 도 3이나 도 4의 착탈식 모노 스테레오 겸용 이어셋은, 연결선이 달린 유선이어폰을 별도로 가지고 다녀야 하며, 스테레오로 이용하려면 이를 이어폰 접속구에 끼워야 하고 다시 모노로 이용할 때는 이를 접속구에서 빼서는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서 널리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However, such a detachable mono stereo earset of FIG. 3 or FIG. 4 has to be carried separately with a wired earphone with a connection line, and when used as a stereo, it must be inserted into an earphone connection port and when used again as a mono, it must be carried separately from the connection port. It is not widely used because of inconvenienc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한쪽 귀에만 사용하는 무선이어셋의 무선 송수신부에서 2개의 채널로 수신되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 중 하나는 몸체의 고정스피커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별도의 스테레오용 이어폰으로 연결선으로 연결하되, 상기 스테레오용 유선 이어폰을 접속구로부터 착탈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어셋 본체에 설치된 이어폰 포켓에 자리 잡게 하여 두면서 유선이어셋을 연결하는 연결선은 이어셋의 본체에서 권선장치가 잡아당겨 연결선이 본체 내부로 감겨지려는 인장력이 작용하게 하고 또한 이러한 인장력을 제어하는 스톱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일반적인 모노 이어셋과 같이 이용할 수 있으면서 또한 스테레오로 이용시에는 유선이어폰을 이어폰 포켓으로부터 꺼내 권선장치로부터 필요한 길이만큼 잡아당긴 뒤 스톱장치로 인장력이 멈추게 함으로써 유선 이어폰을 이어셋을 착용한 반대쪽 귀에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모노와 스테레오를 선택적으로 들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vent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one of the stereo audio signal received in two channels in the wireless transceiver of the wireless earset for use only one ear is connected to the fixed speaker of the body, the other is separate The stereo earphones are connected by a connection line, but the wired earphones are connected to the wired earphones while the wired earphones are placed in the earphone pocket installed in the earset body, instead of being detached from the connection port. By making the tension force to be wound into the main body and forming a stop device to control the tension force, it can be used like a normal mono earset and when used in stereo, take the wired earphone out of the earphone pocket and take the required length from the winding device. Pull it out so that the tension stops with the stop device so that you can insert the wired earphone into the other ear wearing the earse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no stereo wireless earset, which can selectively listen to mono and stereo.

이러한 본 발명은 무선 수신부와 무선송신부와 마이크가 형성되어 있고 한쪽 귀에 착용하여 모노로 사용하는 무선 이어셋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이어셋 본체의 일측에 스테레오용 이어폰 연결부 및 상기 스테레오용 이어폰이 끼워지는 이어폰 포켓이 설치되고, 상기 스테레오용 이어폰 연결부에 스테레오용 유선 이어폰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테레오용 이어폰 연결부에는 스테레오용 이어폰을 연결하는 연결선을 이어셋 본체 내부로 감기도록 당기는 권선장치 및 권선장치에 의한 인장력을 제어하는 스톱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receiver, a wireless transmitter and a microphone are formed in a wireless earset to be worn in one ear to use a mono, the earphone pocket for stereo earphone connection and the stereo earphone is fitted on one side of the wireless earset body Installed, the stereo wired earphon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tereo earphone connection portion, the stereo earphone connection portion to control the tension force by the winding device and the winding device to pull the connection wire for connecting the stereo earphone into the earset body. It can be implemented by a mono stereo combined wireless ears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 device is installed.

본 발명은 무선 이어셋을 모노와 스테레오 양 방식으로 간편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별도로 스테레오용 이어폰을 휴대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즉 음악이나 외국어 등 MP3 청취과 음성 통화의 기능을 모두 가진 다기능 무선 이어셋에 있어서, 평소에는 모노 이어셋으로서 한쪽 귀에만 착용하고 필요한 경우 전화 통화 등을 하면서도, MP3 등의 오디오 청취를 할 때에는 포켓에 들어있는 스테레오용 이어폰을 잡아당겨 다른 쪽 귀에 꽂아 양쪽 귀로 청취할 수 있게 함으로써 편의성을 극대화시켰으며 모노 스테레오 겸용을 위해 거추장스럽게 별도의 줄이 달린 이어폰을 휴대해야 하는 기존 제품의 불편도 해소하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earset can be used easily and selectively in both mono and stereo manners, so that there is no need to carry stereo earphones separately. In other words, a multi-function wireless earset that has both a music and foreign language MP3 listening function and voice call function, is usually a mono earset, worn only on one ear, and used to make phone calls when necessary. It maximizes convenience by pulling stereo earphones into the other ear and listening to both ears, and also eliminates the inconvenience of the existing product that has to carry earphones with a separate string for mono stereo us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5는 본 발명의 모노-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100)을 도시한 그림으로 유선이어폰(130)이 잡아당겨져서 몸체(190)의 외부로 풀려나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no-stereo dual-use wireless ears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ired earphone 130 is pulled out and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90.

본 발명의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100)은 몸체(190), 상기 몸체에 형성된 고정스피커(140), 상기 몸체를 사용자의 귀에 걸기 위한 귀걸이(미도시), 몸체에 형성된 권선장치(170)와 연결되어 몸체 내부로 입출입되는 스테레오 오디오 청취용 유선이어폰(130)을 포함한다. Mono stereo dual purpose wireless ear s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body 190, the fixed speaker 140 formed on the body, earrings (not shown) for hanging the body on the user's ear, the winding device 170 formed on the body and It is connected to include a wired earphone 130 for listening to stereo audio in and out of the body.

상기 몸체(190)에는 사용자의 한쪽 귀에 상기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100)을 고정하기 위한 귀걸이(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90)의 내부에는 외부기기(미도시)와의 블루투스 등을 통한 무선송수신을 위한 무선 송신부(미도시)와 무선 수신부(미도시), 상기 무선송신부 및 무선수신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 및 상기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100) 전체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가 형성된다. The body 190 is formed with an earring (not shown) for fixing the mono stereo combined wireless earset 100 in one ear of the user, and the inside of the body 190 through Bluetooth with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A wireless transmitter (not shown) and a wireless receiver (not shown)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receiver,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entire mono stereo wireless ear set 100. (Not shown) is formed.

상기 몸체(190)에는 유선이어폰(130)의 연결선을 감거나 풀기 위한 권선장치(170)가 내장되어 있고, 유선이어폰(130)이 권선장치(170)에 의해 감긴 상태에서 수납되는 이어폰 포켓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The body 190 has a built-in winding device 170 for winding or unwinding the connection line of the wired earphone 130, the earphone pocket portion that is received in the wired earphone 130 is wound by the winding device 170 ( 160 is formed.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무선송신부와 연결되며 이어셋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120)는 몸체(190)의 내부 또는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90)의 외부에는 이어셋(100)의 부가적인 기능, 예를 들면 무선으로 연결된 상기 외부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정지, 작동, 음량조절버튼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선이어폰(130)을 사용하기 위해 유선이어폰(130)이 권선장치(170)에서 일정이상 당겨져 나왔을 때는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가 유선이어폰(130)과 고정스피커(140)로 각각 분리되어 발생되고, 유선이어폰(130)을 사용되지 않아 연결선이 권선장치(170)에 감겨져 있을 때는 모노 오디오 신호만이 고정스피커(140)로 전송되어 발생된다. In addition, the microphone 120, which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transmitter and converts a voice of an earset user into an electric signal, may be formed to protrude into or out of the body 190 as necessary. On the outside of the body 190, a plurality of switches (not shown) including an additional function of the ear set 100, for example, a stop, operation, and volume control buttons for manipulating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wirelessly, may be formed. have. In addition, when the wired earphone 130 is pulled out from the winding device 170 by a predetermined amount to use the wired earphone 130, a stereo audio signal is generated separately from the wired earphone 130 and the fixed speaker 140, respectively. When the wire line earphone 130 is not used and the connection line is wound around the winding device 170, only the mono audio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xed speaker 140 and is generated.

상기 무선수신부로 수신되는 2개 채널의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 중 하나는 이어셋 몸체(190)의 외부에 형성된 고정스피커(140)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스테레오용 유선 이어폰(130)에 연결선으로 연결된다.One of the stereo audio signals of the two channels received by the wireless receiver is connected to the fixed speaker 140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earset body 190,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wired earphone 130 for stereo by a connection line.

이때 스테레오용 유선 이어폰(130)은 몸체(190)에 형성된 이어폰 포켓부(160)에 위치하며, 상기 스테레오용 유선이어폰(130)과 무선수신부 사이에는 유 선이어폰(130)을 연결하는 연결선을 내부로 당겨서 감거나 풀어주는 작용을 하는 권선장치(170)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권선장치(170)에는 이어폰 연결선의 감김과 풀림을 제어하고 멈추는 스톱장치(미도시)가 형성되며 이 스톱장치의 조작부(110)는 몸체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tereo wired earphone 130 is located in the earphone pocket 160 formed on the body 190, and a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wired earphone 130 between the stereo wired earphone 130 and the wireless receiver. Winding device 170 that acts as a pull or winding to loosen is formed. And the winding device 170 is formed with a stop device (not shown) for controlling and stopping the winding and unwinding of the earphone connection line, the operation unit 110 of the stop device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스톱장치는 유선이어폰(130)을 잡아 당기다가 놓았을 때 자동으로 유선이어폰(130)의 연결선이 당겨진 길이만큼 권선장치(170)로부터 풀려나온 상태에서 멈추게 하는 방식도 가능하고 또는 유선이어폰(130)을 잡아당긴 뒤 스톱장치의 조작부(110)를 누름으로써 유선이어폰(130)의 연결선이 그 풀린 상태에서 멈추게 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또한 스톱장치는, 유선이어폰(130)의 선이 뽑혀 나온 상태에서 스톱장치의 조작부(110)를 한번 누르면 유선이어폰(130)의 연결선이 몸체(190) 내의 권선장치(170)로 다시 감겨 들어가게 하는 방식이나 스톱장치의 조작부(110)를 누르고 있는 동안 유선이어폰(130)의 연결선이 이어셋 몸체(190) 내의 권선장치(170)로 계속 감겨 들어가게 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권선장치(170)는 일반적으로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와이어(예: 청소기의 전원선)를 되감는 장치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기술이며 스톱장치 역시 많이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When the stop device is pulled and released the wired earphone 130, it is also possible to automatically stop the wire wire earphone 130 is pulled out from the winding device 170 as long as the length of the wire pulled out or wired earphone 130 After pulling out the pressing of the control unit 110 of the stop device is also possible to stop the connection line of the wired earphone 130 in its loose state. In addition, the stop device, when the wire of the wired earphone 130 is pulled out by pressing the control unit 110 of the stop device once the wire of the wire 130 is wound into the winding device 170 in the body 190 again While pressing the control unit 110 of the method or the stop device is also possible to keep the wire connected to the wire 130 is wound around the winding device 170 in the earset body 190. Winding device 170 is a device that is generally used to rewind the wire (for example, the power line of the cleaner) by using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and the stop device is also used a lot of techniques, so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6은 본 발명의 모노-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100)의 이어폰 포켓부(160)에 유선이어폰(130)이 수납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모노-스테레오 겸 용 무선 이어셋(100)의 사용특성상 유선이어폰(130)은 몸체(190)가 걸쳐지는 사용자 귀의 뒤쪽 방향, 즉 사용자의 뒤통수방향으로 돌아서 다른 쪽 귀에 끼워지는 것이 연결선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사용상 불편이 최소화되므로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5와 같은 바(bar)형 무선 이어셋의 경우 이어폰 포켓부(160)는 사용자의 뒤통수쪽인 몸체의 후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wired earphone 130 is accommodated in the earphone pocket 160 of the mono-stereo wireless heads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use of the mono-stereo wireless headset 100, the wired earphone 130 has a body 190 extending in the rear direction of the user's ear, that is, the user's back heading direction, so that the other ear can be shortened. It is most desirable because it can be minimized in use and inconvenience. Therefore, in the case of a bar-type wireless ear set as shown in FIG. 5, the earphone pocket 160 is preferably formed at the rear of the body, which is the head of the user.

도 6a는 유선이어폰(130)이 몸체(190) 내의 권선장치(170)에 감겨져 몸체(190)의 후부에 형성된 이어폰 포켓부(160)에 수납될 수 있게 구성된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이 실시예는 이어폰 포켓부(160)가 몸체(190) 내부로 길게 형성되어 유선이어폰(130)이 완전히 수납되어 몸체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경우이다. FIG. 6A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wired earphone 130 is wound around the winding device 170 in the body 190 and accommodated in the earphone pocket 160 formed at the rear of the body 190. This embodiment is a case where the earphone pocket 160 is formed long inside the body 190 so that the wired earphone 130 is completely received and is not exposed out of the body.

도6b는 도6a의 실시예와 유사하나 이어폰 포켓부(160)가 몸체(190)의 후부에 작게 형성되어 유선이어폰(130)이 완전히 수납되지 않고 몸체(190) 밖으로 일부가 노출된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6B is similar to the embodiment of FIG. 6A, but the earphone pocket 160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body 190 to be smaller so that the wired earphone 130 is not completely stored and partial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90. It is showing.

도6c는 도6a, b의 실시예와 같이 유선이어폰(130)의 연결선이 몸체(190)의 후부에서 풀려 나오지만 이어폰 포켓부(160)가 몸체(190)의 후부가 아닌 다른 부분에 형성된 것으로 유선이어폰(140)이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홈이나 그루브의 형태를 가지는 이어폰 포켓부(160)에 부분적으로 걸쳐져서 고정되어 있는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6C is a connection line of the wired earphone 130 is released from the rear of the body 190,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ure 6a, b, but the earphone pocket 160 is formed in a portion other than the rear of the body 190 The earphone 140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earphone 140 is partially covered and fixed to the earphone pocket 160 having the shape of a groove or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도6d는 유선이어폰(130)의 연결선이 몸체(190)의 후부가 아닌 다른 부분으로 풀려 나오는 경우의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이 경우 이어폰 포켓부(160)는 도6a, b, c의 실시예와 같이 유선이어폰(130)을 완전히 수납하는 형상, 부분적으로 수납하는 형상, 단순히 부분적으로 걸쳐져서 고정되는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6D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wire of the wired earphone 130 is released to a portion other than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190. In this case, the earphone pocket 160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completely receives the wired earphone 130, a partially received shape, or a shape that is simply partially covered and fixed as shown in the embodiments of FIGS. 6A, B, and C. hav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모노-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100)의 이용방법은 다음과 같다.Such a method of using a mono-stereo combined wireless ears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스테레오로 오디오를 듣기 위해 사용자가 스테레오용 유선이어폰(130)을 당기면, 이어폰은 몸체(190)내의 권선장치(170)의 복권력에 반하여 이어폰 포겟부(160)에서 풀려 나온다. 유선이어폰(130)을 필요한 길이까지 당긴 뒤 사용자가 더 이상 당기지 않으면 스톱장치의 작용에 의해 유선 이어폰(130)은 당겨진 길이만큼 연결선이 풀린 상태로 멈추게 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이어셋(100)을 한쪽 귀에, 풀린 유선이어폰(130)을 다른 쪽 귀에 삽입하여 스테레오로 오디오를 들을 수 있다.When the user pulls the stereo wired earphone 130 to listen to the audio in stereo, the earphone is released from the earphone forge 160 against the lottery power of the winding device 170 in the body 190. If the user pulls the wired earphone 130 to the required length and no longer pulls the wired earphone 130 by the action of the stop device, the wired earphone 130 stops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line is loosened by the pulled length, so that the user sets the earset 100 to one ear, The loose wired earphone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other ear to listen to the audio in stereo.

한편 스테레오 이어셋으로서의 사용을 마치고 다시 휴대가 편리한 모노 이어셋 상태로 돌아가려면 몸체의 스톱장치의 조작부(110)를 원터치로 누르거나 또는 계속 누름으로써, 연결선이 풀려저 있던 유선 이어폰(130)은 복원력에 의해 연결선 이 몸체내의 권선장치(170)로 감겨 들어가면서 이어폰 포켓부(160)에 수납된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use as a stereo earset to return back to the convenient mono-earset state, by pressing or pressing the operation unit 110 of the stop device of the body by one touch or continuously, the wired earphone 130 was disconnected by the restoring force The connecting wire is wound into the winding device 170 in the body and is received in the earphone pocket 16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모노-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100)은 모노 이어셋 상태로 간편하게 휴대하고 통상의 핸드폰 통화의 경우와 같이 음성통화를 할 경우에는 한쪽 귀에 착용되는 무선이어셋만을 사용하여 청취하다가도, 스테레오 오디오를 듣고 싶을 때는 유선이어폰을 몸체의 포켓부로부터 잡아당겨 반대쪽 귀에 끼우면 간단히 스테레오 오디오를 들을 수 있다.Such a mono-stereo combined wireless ears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to carry in a mono earset state, and when using a wireless earset worn on one ear when making a voice call as in the case of a normal mobile phone call, stereo audio If you want to hear it, simply pull the wired earphone out of the pocket on the body and plug it into the other ear to hear stereo audio.

한편 본 발명의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에서 무선 송신부만을 구성에서 제외한 휴대가 간편한 무선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만들 수도 있다. 즉, 이 경우에는 모노타입 이어셋과 같은 모양의 이어폰만을 휴대하거나 귀에 걸고 다니면서도 스테레오로 이용하고 싶은 경우에 포켓에 들어있는 스테레오용 유선 이어폰을 잡아당기면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mono stereo wireless dual se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ke a portable wireless headphones or earphones except for the wireless transmitter in the configuration. In this case, if you want to carry only the earphone shaped like a mono type earset or carry it around your ear and want to use it in stereo, you can pull out the stereo wired earphone in the pocke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무선 이어셋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과 같은 통신기기 또는 MP3플레이어와 같은 휴대용 오디오/비디오 기기에서 사용가능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earset and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since it can be used in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ortable audio / video device such as an MP3 player.

도 1은 종래의 스테레오 무선 이어셋을 도시한 도면1 illustrates a conventional stereo wireless earset.

도 2는 종래의 모노 무선 이어셋을 도시한 도면2 illustrates a conventional mono wireless earset.

도 3은 종래의 이어폰 착탈식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을 도시한 도면3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earphone detachable mono stereo wireless earset

도 4는 도3의 종래 무선 이어셋의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a wearing state of the conventional wireless earset of FIG.

도 5는 본 발명의 모노-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을 도시한 도면5 illustrates a mono-stereo wireless ears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 이어셋에서 유선 이어폰의 수납구조에 관한 실시예를 보이는 도면Figure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torage structure of the wired earphone in the earse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Brief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무선이어셋 110 : 스톱장치 조작부100: wireless earphone 110: stop device operation unit

120 : 마이크 130 : 유선이어폰120: microphone 130: wired earphone

135 : 유선이어폰 연결선 140 : 고정스피커135: wired earphone connection line 140: fixed speaker

150 : 귀걸이 160 : 이어폰 포켓150: Earrings 160: Earphone Pocket

170 : 권선장치 190 : 몸체170: winding device 190: body

Claims (7)

삭제delete 무선 수신부, 무선송신부와 마이크 및 고정스피커를 포함하는 몸체를 가지는, 한쪽 귀에 착용하는 무선 이어셋에 있어서, 상기 이어셋은 스테레오용 유선 이어폰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스테레오용 유선 이어폰은 미사용시에는 상기 몸체내에 형성된 권선장치에 감기어 상기 몸체에 형성된 이어폰 포켓부에 수납되며 사용시에상기 유선이어폰이 상기 권선장치에서 풀려나오면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가 유선이어폰과 고정스피커로 각각 분리되어 발생되고, 유선이어폰이 권선장치에 감겨져 있을 때는 고정스피커로 모노 오디오 신호만이 발생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권선장치에 연결되어 권선장치의 복원력을 제어하는 스톱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A wireless earset worn on one ear having a body including a wireless receiver, a wireless transmitter, and a microphone and a fixed speaker, wherein the earset further includes a stereo wired earphone and the stereo wired earphone is in the body when not in use. It is wound on the formed winding device and stored in the earphone pocket formed on the body. When the wired earphone is released from the winding device in use, the stereo audio signal is separately generated into the wired earphone and the fixed speaker, and the wired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winding device. When the mono speaker is only a mono audio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wound, the body is connected to the winding device is a mono stereo wireless earse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 device for controlling the resilience of the winding device is formed. 상기 청구항2 에 있어서,In claim 2, 상기 이어폰 포켓부는 상기 몸체의 후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The earphone pocket portion is a mono stereo wireless earpie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rear of the body. 삭제delete 무선 수신부, 무선 송신부 및 고정스피커를 포함하는 몸체를 가지는, 한쪽 귀에 착용하는 무선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이어폰은 스테레오용 유선 이어폰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스테레오용 유선 이어폰은 미사용시에는 상기 몸체내에 형성된 권선장치에 감기어 상기 몸체에 형성된 이어폰 포켓부에 수납되며 사용시에 상기 유선이어폰이 상기 권선장치에서 풀려나오면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가 유선이어폰과 고정스피커로 각각 분리되어 발생되고, 유선이어폰이 권선장치에 감겨져 있을 때는 고정스피커로 모노 오디오 신호만이 발생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권선장치에 연결되어 권선장치의 복원력을 제어하는 스톱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폰A wireless earphone worn in one ear having a body including a wireless receiver, a wireless transmitter, and a fixed speaker, wherein the wireless earphone further includes a stereo wired earphone and the stereo wired earphone is formed in the body when not in use. When the wired earphone is released from the winding device in use, the earphone is formed in the earphone pocket formed on the body and the stereo audio signal is separated into the wired earphone and the fixed speaker, respectively, and the wired earphone is wound on the winding device. When there is only a mono audio signal is generated as a fixed speaker and the body is connected to the winding device mono stereo wireless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 device for controlling the resilience of the winding device is formed 상기 청구항5 중 에 있어서,In claim 5, 상기 이어폰 포켓부는 상기 몸체의 후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폰.The earphone pocket part is a mono stereo wireless earphon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rear of the body. 삭제delete
KR1020070077471A 2007-08-01 2007-08-01 Wireless ear-set/ear-phone with both mono and stereo usage KR1009013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471A KR100901361B1 (en) 2007-08-01 2007-08-01 Wireless ear-set/ear-phone with both mono and stereo us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471A KR100901361B1 (en) 2007-08-01 2007-08-01 Wireless ear-set/ear-phone with both mono and stereo us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397A KR20090013397A (en) 2009-02-05
KR100901361B1 true KR100901361B1 (en) 2009-06-10

Family

ID=40683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471A KR100901361B1 (en) 2007-08-01 2007-08-01 Wireless ear-set/ear-phone with both mono and stereo us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36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388A (en) 2017-02-15 2018-08-2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Wireless bone conduction earset capable of blood stimul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086A (en) 2015-04-28 2016-11-07 홍순민 A wireless headset
CN113923552B (en) * 2021-09-24 2024-03-19 湖南捷力泰科技有限公司 Wireless sound effect headset with wire contro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070Y1 (en) * 2000-05-22 2001-02-15 신대근 Device for Length Control and Accommodation of Earphone Wires of a Portable Stereo Cassette
KR200371355Y1 (en) * 2004-10-13 2004-12-29 황선태 Earphone with variable wire length
KR20050096301A (en) * 2004-03-30 2005-10-0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Wireless earphone
KR20080043995A (en) * 2006-11-15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Bluetooth heads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4070Y1 (en) * 2000-05-22 2001-02-15 신대근 Device for Length Control and Accommodation of Earphone Wires of a Portable Stereo Cassette
KR20050096301A (en) * 2004-03-30 2005-10-0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Wireless earphone
KR200371355Y1 (en) * 2004-10-13 2004-12-29 황선태 Earphone with variable wire length
KR20080043995A (en) * 2006-11-15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Bluetooth heads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4388A (en) 2017-02-15 2018-08-2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Wireless bone conduction earset capable of blood stim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397A (en)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0103B1 (en) Stereo headset comprised wired/wireless sub earphone
US7123737B2 (en) Ear clasp headset
US8654987B2 (en) Audio player headset earhook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US9455677B2 (en) Wireless audio control apparatus
JP3140230U (en) Glasses with reception function
US11303985B2 (en) Electronic device
US20060126882A1 (en) Earphone
WO2016145703A1 (en) Safety helmet having audio input and output functions
US20130243236A1 (en) Wireless headphone jewelry
KR100901361B1 (en) Wireless ear-set/ear-phone with both mono and stereo usage
KR101755324B1 (en) Neckband type Automatic spool line earphone
KR101109018B1 (en) Hands-free apparatus having improved utility
KR200341662Y1 (en) A wireless headset for both stereo and mono sound
EP2553913B1 (en) A handsfree accessory
KR200438262Y1 (en) Mp 3 device
KR101754032B1 (en) Headband type earset
KR20210088201A (en) Over-ear wireless earphone silicone cover with bluetooth antenna
FI121908B (en) Device for facilitating the use of a mobile phone for hearing impaired
KR101043126B1 (en) Hands-free apparatus
US20230336903A1 (en)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headset
KR200442815Y1 (en) Necklace Type Gender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Headset For Both Mono And Stereo
KR200208097Y1 (en) Headset with headband
KR200184608Y1 (en) Handsfree set for handy phone
JP2005277995A (en) Radio head set instrument
KR200399013Y1 (en) Medal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