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6284B1 -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Wash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6284B1
KR100896284B1 KR1020070047125A KR20070047125A KR100896284B1 KR 100896284 B1 KR100896284 B1 KR 100896284B1 KR 1020070047125 A KR1020070047125 A KR 1020070047125A KR 20070047125 A KR20070047125 A KR 20070047125A KR 100896284 B1 KR100896284 B1 KR 100896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nozzle
air
washing machine
draw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1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100999A (en
Inventor
한동주
최철진
손영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7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6284B1/en
Priority to US12/153,187 priority patent/US20080282745A1/en
Publication of KR20080100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99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6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62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건조물을 건조 또는 탈취소독하는 보조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탁 또는 건조를 수행하는 세탁장치본체와; 상기 세탁장치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건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건조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드로워(drawer)와; 상기 드로워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모듈과; 상기 모듈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동의 분출방향을 유도하는 에어노즐을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대용량의 세탁장치본체를 구동시키지 않고 보조건조장치를 통하여 소량의 의류 등에 대한 효율적인 건조가 가능하고 신발의 발냄새를 제거하고 소독을 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47125

보조건조장치, 세탁기, 건조기, 탈취소독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ing machine including an auxiliary drying apparatus for drying or deodorizing a dry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aundry machine body for washing or drying; An auxiliary drying devic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body; Including, but the auxiliary drying apparatus and the case to form an appearance; A drawer accommodated in the case; A modul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rawer to generate air flow; It is provided on one end of the module provides a washing machine having an air nozzle for inducing the air flow direct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dry a small amount of clothes and the like through the auxiliary drying apparatus without driving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of a relatively large capacity, and to remove the smell of the shoes and disinfect them.

Figure R1020070047125

Auxiliary Dryer, Washing Machine, Dryer, Deodorization Sterilization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Wash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장치본체와 보조건조장치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of the washing machine body and auxiliary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건조장치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건조장치의 부분 분해사시도.3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2의 I-I'면의 종단면도.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II ′ plane of FIG. 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의 부분과 에어노즐의 결합부분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module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air nozz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6은 필터 구조의 개략도.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lter structur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세탁장치본체 20: 보조건조장치10: washing machine body 20: auxiliary drying device

200: 드로워 210: 에어노즐200: drawer 210: air nozzle

212: 힌지 220: 모듈212: hinge 220: module

229: 탈취소독유닛 230: 받침대229: deodorization sterilization unit 230: stand

300: 케이스 306: 필터300: case 306: filter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건조물을 건조 또는 탈취소독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hing machine for drying or deodorizing a dry object.

일반적으로, 세탁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하나의 세탁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장치가 보급되고 있다.In general, the laundry machine refers to a device capable of washing, drying or washing or drying clothes. Here, one washing apparatus may perform only washing or drying functions, or both washing and drying. In addition, recently, a steam supply device is provided, and a washing device having a refresh function such as wrinkle removal, odor removal, and static electricity removal of clothes, etc., has been widely used.

한편, 종래의 세탁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타입이나 탑 로딩(top loading) 타입으로 나뉜다. 그리고, 세탁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나 세탁조가 회전되는 수직축 타입과 드럼이 회전하는 수평식 타입이 있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washing apparatuses are classified into a front loading type or a top loading type according to a drawing direction of clothes. In addition, there is a vertical shaft type in which a pulsator or a washing tank is rotated and a horizontal type in which a drum is rotated according to the washing method.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is horizontal type are drum washing machines or drum dryers.

종래의 세탁장치들 중 세탁기인 경우에는 건조 기능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경우 사용자가 건조 기능을 원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건조기를 구비하여야 하거나, 건조 기능을 겸비한 세탁기를 구비하게 된다. 최근 사용자의 수요증가 및 생활수준 향상에 대응하여 세탁 및 건조 기능을 갖는 세탁장치들이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washing machine may not have a drying function. In this case, when the user wants a drying function, a separate dryer or a washing machine having a drying function is provided. Recently, in response to an increase in demand of users and an improvement in living standards, washing machines having a washing and drying function are gradually becoming larger.

특히, 신발류의 경우에는 일반의류보다는 끈, 깔창, 뒷굽, 내피와 외피 등의 복잡한 구성을 가지고 있어 세탁 등이 어려워 신발전용 세탁소 등도 생기고 있다.In particular, the footwear has a complex configuration such as laces, insoles, heels, endothelial and outer shells than general clothing, so it is difficult to wash shoes, such as a shoe-only laundry.

상술한 종래의 세탁장치들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The above conventional laundry machin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세탁장치들이 대형화 추세에 따라, 상대적으로 소량의 의류 건조를 위 해서 세탁 및 건조기능을 가진 대형 세탁장치를 구동하여야 하므로 에너지 낭비가 발생하며, 이에따른 불필요한 전기료의 지출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First, according to the trend of increasing the size of the washing machine, it is necessary to drive a large washing machine having a washing and drying function for relatively small amount of clothes drying, waste of energy, and there was a problem of unnecessary electricity costs.

둘째, 종래 건조기능을 가진 세탁장치를 이용할 경우에 신발류의 복잡한 구성으로 인해 신발의 외부는 건조되더라도 신발의 내부가 건조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충분한 시간동안 건조되지 않은 때에는 사용자가 착용시 불쾌감이 생길 수 있다.Second, in the case of using a washing machine having a conventional drying function, the inside of the shoe is often not dried even if the outside of the shoe is dried due to the complicated configuration of the shoe. Can be.

셋째, 신발류는 세탁 등이 어려우므로, 비나 눈이 와서 신발이 젖게 되는 경우마다 탈취 등을 위해 종래 세탁장치로 매번 세탁 및 건조과정을 모두 수행해야한다면 사용자에게 불편이 가중되게 된다.Third, since the footwear is difficult to wash, if the rain or snow comes to wet the shoes, if the user has to perform all the washing and drying process every time with the conventional washing apparatus for deodorization, etc., the user is inconvenient.

넷째, 신발류는 보온이나 패션아이템의 기능으로 사용되는 일반의류와는 달리 항상 지면과 접촉하며 신체를 지탱하게 되어 땀이 많이 생기며 통풍이 잘 안되는 소재가 많다. 따라서, 종래 건조기능을 가진 세탁장치를 이용하더라도 발냄새 등의 악취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고, 세균이 증식되어 무좀 등의 각종 질병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Fourth, unlike general clothing used as a function of thermal insulation or fashion items, footwear always come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supports the body, resulting in a lot of sweat and poor ventilation. Therefore, even when using a laundry machine having a conventional drying functio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ausing bad smell, such as foot odor, there was a problem that bacteria can multiply and cause various diseases such as athlete's foo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큰 세탁장치본체를 구동시키지 않고 소량의 의류 등에 대한 처리가 가능한 보조건조장치를 제공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에너지를 절감시키도록 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xiliary drying apparatus capable of handling a small amount of clothes, etc. without driving a relatively large washing machine body to make it easier to use and to save energy. will b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발류 등의 건조효율을 향상시켜 신발내부의 건조가 용이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that is easy to dry inside the shoes by improving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footwear and the lik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탁행위 없이 젖은 신발류를 건조 또는 탈취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drying or deodorizing wet footwear without wash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발류 등의 건조시 발냄새 등의 악취를 제거하거나 소독을 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capable of removing or disinfecting odors such as foot odor when drying footwea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탁 또는 건조를 수행하는 세탁장치본체와; 상기 세탁장치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건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건조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드로워(drawer)와; 상기 드로워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모듈과; 상기 모듈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동의 분출방향을 유도하는 에어노즐을 구비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aundry machine body for performing the washing or drying; An auxiliary drying devic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body; Including, but the auxiliary drying apparatus and the case to form an appearance; A drawer accommodated in the case; A modul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rawer to generate air flow; It is provided on one end of the module provides a washing machine having an air nozzle for inducing the air flow direction.

또한, 상기 에어노즐은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ir nozzle is preferably formed to be removable.

그리고, 상기 에어노즐은 신발류 내부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굴곡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air nozzle preferably has a bend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footwear.

상기 에어노즐의 일단은 다수 개의 공기유동 분출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air nozzle is preferably formed of a plurality of air flow ejection openings.

이외에도, 상기 에어노즐은, 상기 모듈과 상기 에어노즐의 결합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노즐 일단의 방향을 회전하게 하는 힌지(hinge)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ir nozzle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module and the air nozzle, it further comprises a hinge (hinge) to rotate the direction of one end of the air nozzle.

또한, 상기 드로워 내부에 상기 에어노즐과 마주하게 설치되어, 피건조물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보조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edestal installed to face the air nozzle inside the drawer to assist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fixed.

상기 케이스에는 외부공기와 통풍되는 제1통풍구가 구비되고, 상기 드로워에는 상기 제1통풍구와 연통되는 제2통풍구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제1통풍구에 장착되어, 피건조물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더 포함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se is provided with a first vent opening to be ventilated with the outside air, the drawer is provided with a second vent opening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vent opening, mounted on the first vent opening of the case, to remove the smell of the object to be dried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lter for.

그리고, 상기 모듈은,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에어모듈과 연통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팬과;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히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dule may include a housing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ir module communicates; A fan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er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상기 모듈은 상기 모듈내 공기유동이 상기 에어노즐에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내부에 다수 개의 칸막이를 가진 에어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dule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n air guide having a plurality of partitions therein such that the air flow in the module is evenly distributed to the air nozzles.

또한, 본 발명은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하는 세탁장치본체와; 상기 세탁장치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건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건조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드로워와; 상기 드로워 내부 후방에 설치되어 상온보다 온도가 높은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모듈과; 상기 모듈의 일단에 설치되어 피건조물의 내부로 삽입되는 에어노즐과;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어, 피건조물의 탈취 또는 소독을 하기 위한 탈취소독유닛을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aundry machine body for performing the washing or drying; An auxiliary drying devic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body; Including, but the auxiliary drying apparatus and the case to form an appearance; A drawer accommodated in the case; A modul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rawer to generate an air flow having a temperature higher than room temperature; An air nozzl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module and inserted into an object to be dried; It is accommodated in the case, and provides a washing machine including a deodorization sterilization unit for deodorizing or disinfecting a dry matter.

그리고, 상기 탈취소독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발냄새 유발물질을 흡착시켜 중화반응이 이루어지도록 알칼리처리한 다공성물질의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odorization sterilization unit, it is prefer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as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lter of the porous material alkali-treated so that the neutralization reaction by adsorbing foot odor causing substances.

상기 탈취소독유닛은, 상기 모듈의 일단에 수용되어 상기 피건조물의 발냄새를 유발하는 지방산을 제거하는 액상물질을 분사하는 탈취액분사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odorization sterilizing unit preferably includes a deodorizing liquid injector which is accommodated in one end of the module and injects a liquid substance for removing fatty acids causing odor of the dry matter.

상기 탈취소독유닛은, 상기 모듈의 일단에 수용되어 상기 피건조물 내부로 오존이 분사되도록 하는 오존분사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unit includes an ozone injector accommodated in one end of the module to inject ozone into the dry object.

이외에도, 상기 탈취소독유닛은, 상기 모듈의 일단에 수용되어 상기 피건조물을 소독하기 위한 자외선램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eodorization sterilization unit, it is preferably contained in one end of the module includes a UV lamp for disinfecting the dry matter.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본체와 보조건조장치의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aundry machine main body and an auxiliary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에서는 보조건조장치(20)가 세탁장치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나, 보조건조장치는 세탁장치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보조건조장치가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세탁장치본체의 지지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반면에,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보조건조장치의 사용시 허리 등을 굽힐 필요가 없어 사용자에게 편리하다.In FIG. 1, the auxiliary drying apparatus 20 is located below the washing apparatus main body 10, but the auxiliary drying apparatus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apparatus main body. When the auxiliary dry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can perform the local area of the washing machine main body, while when installed in the upper, it is convenient for the user because there is no need to bend the back when using the auxiliary drying device.

물론 보조건조장치(20)는 세탁장치본체(10)의 제어부,전원부,display부(미도시)와는 별도의 제어부,전원부,display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보조건조장치(20)는 세탁장치본체(10)와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세탁장치본체에 결합해서 사용되면 공간활용도가 높으므로 결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the auxiliary drying apparatus 20 may have a control unit, a power supply unit, a display unit (not shown) separate from the control unit,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display unit (not shown) of the washing machine body 10. At this time, the auxiliary drying apparatus 20 may be installed and used independently of the washing apparatus main body 10. However,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washing machine, the space utilization is high, so it is preferable to use it in combin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건조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건조장치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 3은 드로워내의 에어노즐(210)의 전방부분을 생략하고 도시하였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omits the front part of the air nozzle 210 in the drawer.

보조건조장치(20)는 외관을 형성하되 전방이 개방된 직육면체형상의 케이스(300)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전방으로 인출되는 드로워(drawer)(200)를 구비하고, 드로워(200)의 후면 내부에는 케이스(300)의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열풍을 발생시키는 모듈(220)이 설치되며, 상기 모듈(220)의 일측에는 피건조물에 공기를 분출하는 에어노즐(210)이 장착된다. 상기 에어노즐(210)의 전방부인 상기 드로워(200)의 내부 전면에는 건조시 피건조물의 위치 고정을 보조해주는 받침대(230)가 설치된다. 또한 드로워(200)의 상부에는 드로워(200) 내부를 드로워(200) 외부와 밀폐시키는 두껑이 설치된다.The auxiliary drying apparatus 20 includes a case 300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n external appearance, and a drawer 200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case and drawn out in front of the drawer 200. In the rear of the inside) is installed a module 220 for generating hot air by sucking the outside air of the case 300, one side of the module 220 is equipped with an air nozzle 210 for ejecting air to the object to be dried . A pedestal 230 is provided on an inner front surface of the drawer 200, which is a front portion of the air nozzle 210, to assist in fixing the position of the dry item during drying. In addition, a lid is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rawer 200 to seal the inside of the drawer 200 and the outside of the drawer 200.

이하 케이스(300)에 대해서 설명한다.The case 300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케이스의 후면 상단에 케이스 내부 공기가 케이스 외부로 유출되는 제1통풍구(302)가 설치되어 있으며, 케이스의 후면 하단에는 케이스 외부 공기가 케이스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유입구(304)가 설치되어 있다.A first vent 302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rear of the case to allow the air inside the case to flow out of the case, and a first inlet 304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rear of the case to allow the outside air to flow into the case. It is.

상기 제1통풍구(302)와 제1유입구(304)는 다수 개의 작은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vent 302 and the first inlet 304 is preferably formed of a plurality of small holes.

상기 제1통풍구(302)에는 보조건조장치내에서 건조되는 피건조물을 탈취시킬 수 있도록 필터(306)가 설치된다. 이외에도 상기 필터(306)는 이하 설명되는 드로 워의 제2통풍구(202)에 설치될 수도 있다.(필터의 구조 및 작용에 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The first vent 302 is provided with a filter 306 to deodorize the dry matter dried in the auxiliary drying apparatus. In addition, the filter 306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vent 202 of the drawer described below.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fil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이하 드로워(200)에 대해 설명한다.The drawer 200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드로워(200)에는 후면 상단에 드로워 내부 공기가 케이스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케이스에 설치된 제1통풍구(302)와 연통되는 제2통풍구(202)가 설치된다. 상기 제2통풍구(202)는 모듈(220)의 상부인 드로워의 후벽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awer 200 is provided with a second vent 202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vent 302 installed in the case so that the drawer internal air flows to the outside of the case at the top of the rear. The second vent 202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rear wall of the drawer, which is the upper portion of the module 220.

여기서 상기 제2통풍구(202)는 드로워의 후벽외에도 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1통풍구(302) 또한 상응한 측벽에 설치되어야 한다.The second vent 202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wall in addition to the rear wall of the drawer. In this case, however, the first vent 302 installed in the case should also be installed on the corresponding side wall.

이때, 상기 드로워에는 상기 제2통풍구(202)와 연통되어 상기 드로워 내부공기를 드로워 외부로 토출하는 송풍팬(미도시)이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송풍팬(미도시)은 상기 드로워(200) 내부의 후면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송풍팬은 드로워(200) 외부의 후면에 제2통풍구(202)와 연통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기 송풍팬(미도시)은 상기 제1통풍구(302)와 연통되게 상기 케이스(300)의 일측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a blower fan (not shown)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vent hole 202 to draw the inner air of the drawer and discharging it to the outside may be installed. The blowing fan (not shown)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rear of the drawer (200). Of course, the blowing fan may be mount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vent 202 on the rear of the drawer 200 outside. In addition, the blowing fan (not shown)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case 300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vent 302.

또한, 드로워(200)의 후면 하단에는 케이스(300) 외부 공기가 드로워(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케이스(300)에 설치된 제1유입구(304)와 연통되는 제2유입구(204)가 설치된다.In addition, a second inlet 204 communicated with the first inlet 304 installed in the case 300 so that the outside air of the case 300 may be introduced into the drawer 200 at a lower rear side of the drawer 200. Is installed.

상기 제2통풍구(202)와 제2유입구(204)는 다수 개의 작은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vent 202 and the second inlet 204 is preferably formed of a plurality of small holes.

상기 드로워(200) 내부에는 드로워 하부의 공간을 분할하는 종방향 칸막이(2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칸막이(250)의 일단은 드로워(200) 내부 전면에 위치하고 타단은 모듈(220) 전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에어노즐(210)과 받침대(230)가 설치된 공간은 신발류건조에 사용되고 칸막이(250)의 반대편 공간은 일반의류건조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rawer 200, a longitudinal partition 250 dividing a space under the drawer may be installed. One end of the partition 250 i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drawer 200 and the other end i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module 220. At this time, the space in which the air nozzle 210 and the pedestal 230 are installed may be used for footwear drying, and the space opposite the partition 250 may be used for general clothing drying.

또한, 상기 에어노즐(210)과 받침대(230)와 칸막이(250)를 제거하고 드로워(200)내부에 모듈(220)만을 장착하여 드로워 내부공간 전체를 의류건조에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ir nozzle 210, the pedestal 230 and the partition 250 is removed and the drawer 200 may be equipped with only the module 220 inside the drawer to use the entire inner space for drying clothes.

이하 모듈 및 모듈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odule and its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모듈(220)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25)과 상기 하우징(225) 내부 일측에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모듈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팬(222)이 설치되고 팬(222)의 일단에는 상기 공기유동을 에어노즐(210)에 균등하게 분배하는 에어가이드(224)가 장착된다. 상기 에어가이드(224) 내부 일단에는 탈취소독유닛(229)이 설치되고 에어가이드(224) 일단에는 상기 공기유동의 온도를 상온보다 높여주는 히터(226)가 설치된다. 이경우 상기 공기 유동은 탈취소독유닛(229)을 거친 후 히터(226)로 이동하게 된다.The module 220 is provided with a housing 225 forming an appearance and a fan 222 that sucks external air into one side of the housing 225 to generate air flow in the module, and at one end of the fan 222. An air guide 224 is mounted to distribute the flow evenly to the air nozzle 210. A deodorization and disinfection unit 229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air guide 224, and a heater 226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air guide 224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air flow higher than room temperature. In this case, the air flow is moved to the heater 226 after passing through the deodorization sterilization unit 229.

이와는 달리, 상기 히터(226)를 에어가이드(224)와 팬(222)이 결합되는 부분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경우 상기 공기 유동은 히터(226)를 거친 후 탈취소독유닛(229)을 통과하게 된다.Alternatively, the heater 226 may be installed at a portion where the air guide 224 and the fan 222 are coupled. In this case, the air flow passes through the deodorizing and disinfecting unit 229 after passing through the heater 226.

상기 하우징(225)의 일측에는 케이스 외부공기가 팬(222)에 유입되는 유입구(221)가 설치된다. 상기 유입구(221)는 제1유입구(304) 및 제2유입구(204)와 연통되어야 한다.One side of the housing 225 is provided with an inlet 221 through which the case outside air flows into the fan 222. The inlet 221 should communicate with the first inlet 304 and the second inlet 204.

상기 하우징(225)의 타측에는 돌출부(228)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28) 내부에는 에어노즐(210)과 연통하는 유출구(227)가 형성되어 있어, 모듈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유출구(227)를 통해서 에어노즐(210)에 전달된다. 상기 하우징의 유출구(227)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이나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A protruding portion 228 is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225, and an outlet 227 communicating with the air nozzle 210 is formed inside the protruding portion 228, so that air sucked into the module is discharged ( It is delivered to the air nozzle 210 through 227.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utlet 227 of the housing is preferably polygonal or elliptical.

상기 팬(222)은 케이스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모듈(220) 내부의 공기유동을 발생시킨다.The fan 222 sucks air outside the case to generate air flow inside the module 220.

상기 에어가이드(224)는 내부에 다수개의 칸막이를 가지고 있어서, 하나의큰 덕트(duct)를 다수 개의 작은 덕트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air guide 224 has a plurality of partitions therein, it is preferable to divide one large duct into a plurality of small ducts.

상기 팬(222)에서 에어가이드(224)에 유입되는 공기유동(제1공기유동)(223a)의 방향과 에어가이드(224)에서 에어노즐(210)로 유출되는 공기유동(제2공기유동)(223b)의 방향이 바뀌는 경우에는 제1공기유동(223a)의 분배량이 히터(226) 전면보다는 일측에 치우치게 된다. 따라서, 제1공기유동(223a)을 에어가이드(224)의 칸막이를 이용해 다수 개 작은 공기 유동으로 분할하면 탈취소독유닛(229)이나 히터(226)의 전면에 공기유동이 골고루 분배되어 보조건조장치의 건조 및 탈취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Direction of air flow (first air flow) 223a flowing into the air guide 224 from the fan 222 and air flow out of the air guide 210 from the air guide 224 (second air flow) When the direction of 223b is changed, the distribution amount of the first air flow 223a is biased toward one side rather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er 226. Therefore, when the first air flow 223a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mall air flows by using the partition of the air guide 224, the air flow is evenly distributed to the front of the deodorization sterilization unit 229 or the heater 226 so that the auxiliary drying device The efficiency of drying and deodorization can be improved.

상기 도 3 및 도 4에 의한 실시예는 제1공기유동(223a)의 방향과 제2공기유동(223b)의 방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이다. 만일, 상기 실시예인 '꺽임형'과 달리 제1공기유동(223a)의 방향과 제2공기유동(223b)의 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즉, '1자형'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모듈 내에 에어가이드(224)를 제거하거나 에어가이드의 칸막이의 형상을 'ㄴ'형이 아닌 '1'자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자형'의 실시예의 경우에는 팬(222)의 종류는 축류팬(axial fan)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3 and 4 are cases where the direction of the first air flow 223a and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ir flow 223b are not the same. If the direction of the first air flow 223a and the direction of the second air flow 223b coincide with each other, that is, in the case of 'one-shaped', the air guide in the module 224) may be removed or the shape of the partition of the air guide may be '1' rather than 'b'. In the case of the 'one-shaped' embodiment, the type of fan 222 may be an axial fan.

이하 에어노즐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ir nozzle will be described.

상기 에어노즐(210)은 피건조물의 내부에 삽입되어 피건조물의 내부에 공기와 탈취제 등을 분출한다.The air nozzle 210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object to eject the air and deodorant, etc. in the interior of the object.

상기 에어노즐(210)의 일단은 힌지(212)로 구성되며, 상기 힌지(212)는 모듈의 돌출부(228)에 억지끼움을 통해 장착되게 된다. 즉, 상기 에어노즐(210)의 일단에 형성된 유입구(213)의 단면적은 하우징(225)의 유출구(227)의 단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air nozzle 210 is composed of a hinge 212, the hinge 212 is mounted through the interference fit to the protrusion 228 of the module. That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213 formed at one end of the air nozzle 210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outlet 227 of the housing 225.

도 4는 도 2의 I-I면의 종단면도이며, 에어노즐이 신발류 일단에 삽입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도 4에서는 보조건조장치내 칸막이(250)에의해 구획된 공간 중 받침대(230)와 에어노즐(210)이 설치된 공간을 도시한 것이다.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I-I plane of FIG. 2, illustrat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air nozzle is inserted into one end of an article of footwear. 4 illustrates a space in which the pedestal 230 and the air nozzle 210 are installed among the spaces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250 in the auxiliary drying apparatus.

상기 케이스(300)의 후면을 기준으로 봤을 때 전방 방향으로 드로워(200)의 후면이 있고, 상기 드로워(200) 후면 전방에 모듈(220)이 설치되며 모듈의 일단에 에어노즐(210)이 설치되고, 에어노즐(210)의 전방에는 받침대(230)가 설치된다.There is a rear of the drawer 200 in the forward direction when viewed based on the rear of the case 300, the module 22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rear of the drawer 200 air nozzle 210 at one end of the module Is installed, the pedestal 23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air nozzle 210.

상기 에어노즐의 일단을 신발에 삽입할 때 상기 힌지(212)를 중심으로 삽입에 편리한 소정의 각도로 에어노즐(210) 일단의 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When one end of the air nozzle is inserted into the shoe, the direction of one end of the air nozzle 210 may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at is convenient for insertion about the hinge 212, so as to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상기 에어노즐(210)은 모듈(220)에서 장탈착이 가능하므로 신발이 아닌 일반의류의 건조시에는 모듈(220)에서 에어노즐을 떼고 건조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발류의 형태에 따라 다른 형태의 에어노즐을 장착하여 건조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Since the air nozzle 210 is detachable from the module 220, the air nozzle 210 may be detached from the module 220 when the general clothing is not shoes, and thus the drying function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 drying function by mounting the air nozzle of another form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ootwear.

상기 에어노즐(210)은 드로워(200) 상부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진 굴곡이 있도록 형성하여 신발류의 내부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nozzle 210 is preferably formed to be curved with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drawer 200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footwear.

일반적인 신발의 형상은 깊이(즉, 발바닥에서 발목의 길이)보다 길이(즉, 발뒤꿈치에서 발가락까지의 길이)가 길다. 또한, 신발이 발등과 접촉하는 부분(즉, 신발의 상면)은 신발의 상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에어노즐의 개략적 형상을 단순히 직선형의 바(bar)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보다 통상의 신발의 형상과 유사하게 하면 에어노즐(210)의 일단을 신발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The shape of a typical shoe is longer than the depth (ie, the length of the sole to the ankle) (ie, the length from the heel to the toe). In addition, the portion where the shoe contacts the instep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shoe) has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shoe. Therefore, it is easier to insert one end of the air nozzle 210 into the shoe if the schematic shape of the air nozzle is similar to that of a normal shoe rather than simply formed in the form of a straight bar.

즉, 에어노즐(210)이 신발에 삽입되는 부분의 깊이(211D)보다 삽입되는 부분의 길이(211L)를 길게 형성하고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진 굴곡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신발에 깊게 삽입될 수 있어 신발내부 전방부의 건조효과도 향상시키고 신발의 위치를 고정시키기가 용이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nozzle 210 is formed to have a length 211L longer than the depth 211D of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shoe and have a bend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ccording to this, it can be inserted deep into the shoe to improve the drying effect of the inner portion of the shoe front and to easily fix the position of the shoe.

에어노즐(210)의 전면부에는 모듈(220)로부터 에어노즐로 유입되는 공기유동이 분출되는 분출구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분출구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에어노즐(210)이 삽입되는 부분의 측면에도 다수 개의 구멍 을 형성하여 신발내부 측면의 건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front part of the air nozzle 210 is formed with a jet port for ejecting the air flow flowing into the air nozzle from the module 220. In this case, one or more holes may be formed in the jet port. In addi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holes in the side of the air nozzle 210 is inserted portion can improve the drying effect of the inner side of the shoe.

상기 에어노즐의 일단은 두 갈래로 형성되어 있어(도 2 또는 도 4참조) 한 켤레의 신발을 삽입할 수 있다. 즉 한 갈래마다 하나의 신발을 삽입할 수 있다.이때, 동시에 다수 개의 신발을 삽입하여 건조하기 위해 에어노즐의 일단을 세 갈래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노즐의 일단은 다수 개의 공기유동 분출구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air nozzle is formed in two branches (see FIG. 2 or FIG. 4), so that a pair of shoes can be inserted. In other words, one shoe may be inserted into each branch. At this time, one end of the air nozzle may be formed into three or more branches to insert and dry a plurality of shoes at the same tim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one end of the air nozzl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air flow jets.

상기 에어노즐의 전방에는 설치되는 받침대(230)의 일단은 드로워(200) 내부의 전면에, 타단은 드로워(200) 내부의 하(下)면에 위치시켜 상기 받침대(230)가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pedestal 230 to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air nozzle is located on the front of the inside of the drawer 200, the other end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lower) inside the drawer 200 to install the pedestal 230 inclined It is preferable to be.

상기 받침대(230)가 판의 형태를 취하는 경우에는 드로워 전방의 내부 공간이 상하로 구획되므로 상기 구획된 공간이 서로 연통되도록 판에 다수 개의 연통홀(미도시)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pedestal 230 takes the form of a plate, since the inner space in front of the drawer is divided up and down, it is preferable to form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not shown) in the plate so that the divided spac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의 부분과 에어노즐의 결합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module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air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모듈 내부의 팬을 통해 에어가이드(224)의 일단에 유입된 공기유동은 에어가이드(224)의 타단을 통과하면서 탈취소독유닛(229)과 히터(226)를 거쳐 에어노즐(210)로 이동된다.Air flow introduced into one end of the air guide 224 through the fan inside the module is moved to the air nozzle 210 through the deodorization and disinfection unit 229 and the heater 226 while passing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air guide 224. .

상기 에어가이드(224)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는 탈취소독유닛(229)은 탈취액분사기, 오존분사기, 자외선램프 등이다.The deodorization sterilizing unit 229 provided at one end of the air guide 224 is a deodorizing liquid sprayer, an ozone sprayer, an ultraviolet lamp, or the like.

이하 탈쉬소독유닛(229)에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sorption unit 229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첫째, 탈취소독유닛(229)은 발냄새를 유발하는 지방산을 제거할 수 있는 액상물질을 분사하는 탈취액분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탈취액분사기내에는 저급 지방산들을 제거할 수 있는 액상의 식물성 추출액 또는 기존 탈취제에서 사용되는 여러가지 액상 혼합 물질 등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탈취액수납공간(미도시)을 케이스 또는 드로워의 일측에 설치하여 탈취액을 연결관(미도시)을 통해 탈취액분사기에 공급할 수도 있다.First, the deodorization sterilization unit 229 may include a deodorizer sprayer for spraying a liquid substance capable of removing fatty acids causing foot odor. In the deodorizing liquid injector, liquid vegetable extracts capable of removing lower fatty acids or various liquid mixed materials used in existing deodorants may be accommodated. In addition, by installing a separate deodorizing liquid storage space (not shown) on one side of the case or drawer may be supplied to the deodorizing liquid sprayer through a connecting pipe (not shown).

상기 액상물질, 즉 탈취액이 탈취소독유닛의 분사구(미도시)에서 분출되어 공기와 함께 에어노즐(210) 일단의 분출구를 통해서 신발류 내부에 직접 분사되도록 하여 발냄새를 유발하는 지방산을 다른 물질로 변화시켜 탈취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liquid substance, that is, the deodorizing liquid is ejected from the injection port (not shown) of the deodorization sterilization unit to be directly injected into the footwear inside through the jet of the air nozzle 210 with one end of the fatty acid causing foot odor to another material Can be changed to obtain a deodorizing effect.

둘째, 탈취소독유닛(229)은 오존이 분사되도록 하는 오존분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오존은 일반적으로 살균소독,산화분해,탈취 등의 효과가 있는바 상기 오존은 악취를 발생시키는 각종 세균 등으로 인해 오염된 신발을 탈취시키고 냄새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소독시킬 수 있다.Second, the deodorization sterilization unit 229 may include an ozone sprayer to allow ozone to be injected. Ozone generally has effects such as disinfection, oxidative decomposition, and deodorization. The ozone may deodorize shoes contaminated by various bacteria that cause odors and disinfect bacteria causing odors.

오존발생장치(미도시)는 케이스 또는 드로워의 일측에 수용되고 연결관(미도시)으로 상기 오존분사기와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오존발생장치에서 오존의 농도를 0.03pppm이하로 발생시켜 오존분사기의 분사구(미도시)를 통해 분사된 오존이 에어노즐(210)을 통과해 신발 내부로 직접 분사되도록 한다.An ozone generator (not shown) may have a configuration that is accommodated on one side of the case or drawer and connected to the ozone injector through a connection pipe (not shown). The ozone generating apparatus generates ozone concentration of 0.03pppm or less so that ozone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port (not shown) of the ozone injector passes directly through the air nozzle 210 to the inside of the shoe.

상기 오존분사기를 이용한 탈취소독유닛은 일정한 기간이 되면 교체해두어야 하는 탈취필터와는 달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deodorization sterilization unit using the ozone injector can be used semi-permanently unlike the deodorization filter which must be replac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셋째, 탈취소독유닛(229)은 피건조물을 소독하기 위한 자외선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Third, the deodorization sterilization unit 229 may include an ultraviolet lamp for disinfecting the dry matter.

자외선(ultraviolet rays)은 가시광선의 파장(400nm)보다는 짧지만 x선의 파장(100nm)보다는 긴 파장을 가진 전자 방사선을 말한다. 자외선의 살균원리는 자외선의 조사(照射)에 의해서 세균과 곰팡이의 세포내 핵산(dna)이 변화하면서 신진대사에 장해가 오고, 증식능력을 잃어 사멸한다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또한 자외선은 파장이 짧아 투과력은 약하지만 강력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화학반응을 촉진하고 유기물을 산화시키며 미생물들에게는 살균작용을 일으킨다.Ultraviolet rays are electron radiations that are shorter than the wavelength of visible light (400 nm) but longer than the wavelength of x-ray (100 nm). The sterilization principle of ultraviolet rays has been found to change the intracellular nucleic acid (dna) of bacteria and fungi due to the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causing metabolic disorders, losing their proliferative capacity and dying. Ultraviolet rays have a short wavelength, but have a weak penetrating power, but they have strong energy, which promotes chemical reactions, oxidizes organic matter, and causes microorganisms to sterilize.

상기 자외선램프에서 발생된 빛은 에어노즐(210)을 통과해서 신발내부에 복사된다. 이 경우 에어노즐(210)과 에어가이드(224)의 내부면은 UV반사판 또는 반사처리를 하여 자외선이 신발내부에 잘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Light generated by the ultraviolet lamp passes through the air nozzle 210 and is radiated into the shoe. In this case, the inner surface of the air nozzle 210 and the air guide 224 is preferably a UV reflector or a reflection treatment so that the ultraviolet light is well transmitted to the inside of the shoe.

도 6은 필터 구조의 개략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ilter structure.

상기 필터(306)는 케이스의 제1통풍구(302) 또는 드로워의 제2통풍구(202)에 설치되어 탈취작용을 한다.The filter 306 is installed at the first vent 302 of the case or the second vent 202 of the drawer to deodorize.

이하 필터의 구조 및 탈취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the deodorizing effect of the filter will be described.

신발냄새의 주발생 메카니즘은 신발을 신으면서 발에서 나는 땀에 세균이 증식하게되고 상기 세균(박테리아)이 각질층 등과 반응하여 발냄새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발냄새의 성분은 저급 지방산인 발레렉산, 부틸산, 프로피온산 등의 성분들이 미량(ppb단위)이지만 발생되어 악취를 풍기는 것임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이들의 화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산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The main mechanism of shoe odor is that bacteria are multiplied by the sweat from the foot while wearing shoes, and the bacteria (bacteria) react with the stratum corneum to generate odor. The components of the foot odor are trace fatty acids, such as valeric acid, butyric acid, propionic acid, but a small amount (ppb units), but it can be seen that the smell is generated, and looking at their chemical properties, it can be seen that the acidity.

따라서 냄새흡착제로 주로 사용된 활성탄 등의 다공성 물질(306a,306b)에 알칼리물질(401)을 입히는 알칼리처리를 한다. 산성물질인 발냄새 유발 성분이 냄새흡착제인 상기 다공성 물질에 물리적으로 흡착되어 상기 알칼리물질(401)과 반응을 하여 중화된다. 이에 의해, 발냄새 유발 성분이 악취가 발생하지않는 염 형태의 물질로 변화되어 탈취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Therefore, an alkali treatment is applied to the porous material 306a, 306b such as activated carbon mainly used as an odor adsorbent to coat the alkali material 401. An acid-induced foot odor causing component is physically adsorbed to the porous material which is an odor adsorbent and reacts with the alkali material 401 to be neutralized. As a result, the foot odor causing component is changed into a salt-like substance which does not cause malodor, thereby deodorizing.

상기 다공성물질은 다공성 소재(활성탄 등)를 틀을 이용하여 찍어낸 구조의 필터(306a)나 표면에 알칼리성 물질을 처리한 망사형 필터(306b)가 될 수 있다.The porous material may be a filter 306a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porous material (such as activated carbon) is taken out using a frame or a mesh filter 306b in which an alkaline material is treated on a surface thereof.

물론, 다른 냄새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필터(306)의 일부를 알칼리처리한 필터 외에 산성 또는 중성을 나타내는 필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필터를 다수 층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구상이나 원기둥 형태의 알칼리처리한 필터 다수 개를 일정한 상자형 틀(미도시)에 넣어 사용할 수도 있다.Of course, in order to remove other odor components, a part of the filter 306 may be constituted by a filter showing acidity or neutrality in addition to the filter subjected to the alkali treatment. In addition, a filter can be used in multiple layers. In addition, many spherical and cylindrical alkali-treated filters can also be used in a fixed box-shaped frame (not shown).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큰 세탁장치본체를 구동시키지 않고 소량의 의류 등에 대한 처리가 가능한 보조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use and saves energy by using an auxiliary drying apparatus capable of processing a small amount of clothes without driving a relatively large washing apparatus body.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류 등의 건조효율을 향상시켜 신발내부의 건조 가 용이하다.Second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dry the shoes by improving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footwear.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행위 없이 신발류를 건조 또는 탈취할 수 있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can dry or deodorize footwear without washing.

넷째, 본 발명에 의하면 신발류 등의 건조시 발냄새 등의 악취를 제거하거나 소독을 할 수 있다.Four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or sterilize odors, such as foot odor when drying footwear.

Claims (16)

세탁 또는 건조를 수행하는 세탁장치본체와;A washing machine body for washing or drying; 상기 세탁장치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보조건조장치를; 포함하되,An auxiliary drying devic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ashing machine body; Including, 상기 보조건조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The auxiliary drying apparatus includes a case forming an appearance;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는 드로워(drawer)와;A drawer accommodated in the case; 상기 드로워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모듈과;A modul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drawer to generate air flow; 상기 모듈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동의 분출방향을 유도하는 에어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air nozzle installed at one end of the module to induce the ejection direction of the air flow, 상기 모듈은,The module,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에어노즐과 연통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A housing having an inlet port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an outlet port communicating with the air nozzle;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팬과;A fan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heat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상기 에어노즐은,The air nozzle, 상기 모듈과 상기 에어노즐의 결합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에어노즐 일단의 방향을 회전하게 하는 힌지(hinge)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Is installed on the coupling portion of the module and the air nozzle, and further comprises a hinge (hinge) to rotate the direction of the one end of the air nozzle, 상기 에어노즐은 신발류 내부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굴곡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The air nozzl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bend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footwea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모듈은 상기 모듈내 공기유동이 상기 에어노즐에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내부에 다수 개의 칸막이를 가진 에어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세탁기.The module further comprises an air guide having a plurality of partitions therein such that the air flow in the module is evenly distributed to the air nozzl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보조건조장치는 상기 세탁장치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The auxiliary drying apparatus is installed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machine body.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에어노즐은 착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세탁기.The air nozzle is a washing machine formed to be removabl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에어노즐의 일단은 다수 개의 공기유동 분출구로 형성된 세탁기.One end of the air nozzl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air flow ejection outlets.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드로워 내부에 상기 에어노즐과 마주하게 설치되어, 피건조물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보조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And a pedestal installed in the drawer so as to face the air nozzle, the pedestal assisting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fixed.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케이스에는 외부공기와 통풍되는 제1통풍구가 구비되고,The case is provided with a first vent that is ventilated with external air, 상기 드로워에는 상기 제1통풍구와 연통되는 제2통풍구가 구비되며,The drawer is provided with a second vent that communicates with the first vent, 상기 케이스의 제1통풍구에 장착되어, 피건조물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And a filter mounted on the first vent of the case to remove odor of the dry matter.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통풍구 또는 상기 제2통풍구와 연통되게 장착되어 상기 드로워 내부 공기를 드로워 외부로 토출시키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And a blower fan moun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vent hole or the second vent hole to discharge the drawer internal air to the out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047125A 2007-05-15 2007-05-15 Washing Machine KR1008962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125A KR100896284B1 (en) 2007-05-15 2007-05-15 Washing Machine
US12/153,187 US20080282745A1 (en) 2007-05-15 2008-05-14 Multi-laundry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125A KR100896284B1 (en) 2007-05-15 2007-05-15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999A KR20080100999A (en) 2008-11-21
KR100896284B1 true KR100896284B1 (en) 2009-05-08

Family

ID=40026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125A KR100896284B1 (en) 2007-05-15 2007-05-15 Washing Mach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282745A1 (en)
KR (1) KR10089628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02713A1 (en) * 2005-03-18 2006-10-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Front assembly for a laundry drying machine
US7913419B2 (en) * 2005-12-30 2011-03-29 Whirlpool Corporation Non-tumble clothes dryer
KR101608760B1 (en) 2008-04-30 201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machine
ATE533881T1 (en) 2008-04-30 2011-12-15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ES2374767T3 (en) 2008-04-30 2012-02-21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2469104B1 (en) * 2017-09-27 2022-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Dryer
US20190194851A1 (en) * 2017-12-26 2019-06-27 VA DESIGNS, Ltd. Method of having cleaner laund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978A (en) * 2000-05-31 2000-12-05 김영수 A drying apparatus for shoes
JP2002282197A (en) 2001-03-23 2002-10-02 Bakuma Kogyo Kk Shoe dryer
KR20050115969A (en) * 2004-06-04 2005-12-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Stand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 drying apparatus
KR100710315B1 (en) 2006-07-25 200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Auxiliary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9529A (en) * 1964-04-02 1967-01-24 Hershel C Roberts Drier device for ski shoes and the like
US4981651A (en) * 1990-01-17 1991-01-01 Horng Wen Jenn Apparatus for sterilizing shoes
US5016364A (en) * 1990-04-23 1991-05-21 Cochrane Russell D Shoe dryer
US5185939A (en) * 1990-10-02 1993-02-16 Takayuki Kimura Apparatus for drying rubber boots and other items
US5412928A (en) * 1994-01-21 1995-05-09 Reithel; Frederick Dehydration device
US5514346A (en) * 1994-04-01 1996-05-07 Fujita; Sanai Dryer for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US5666743A (en) * 1996-02-26 1997-09-16 Dawson; Bonnie D. Apparel drying and deodorizing system
US6845569B1 (en) * 2004-02-25 2005-01-25 Soo Kil Kim Shoe dry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978A (en) * 2000-05-31 2000-12-05 김영수 A drying apparatus for shoes
JP2002282197A (en) 2001-03-23 2002-10-02 Bakuma Kogyo Kk Shoe dryer
KR20050115969A (en) * 2004-06-04 2005-12-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Stand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having a drying apparatus
KR100710315B1 (en) 2006-07-25 200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Auxiliary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999A (en) 2008-11-21
US20080282745A1 (en) 2008-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6284B1 (en) Washing Machine
KR101608403B1 (en) Shoes Disinfection, Deodorization and Drying Machine for Steam
KR101260063B1 (en) Portable sterilization deodorant and drying for shoes
KR20090105120A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120047662A1 (en) Laundry treatment device having a steam generator and method for treating items to be washed
KR101455995B1 (en) Auxiliary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mplex trea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10228752A1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nd Disinfecting Objects
EP3164539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0811662B1 (en) Cloth managing device
KR102230674B1 (en) Shoes disinfection, deodorization and drying machine
KR100672242B1 (en) Shoes sterilization capture device
KR101661393B1 (en) Shoes Disinfection, Deodorization and Drying Machine for Steam
US9915022B2 (en) Household laundry-drying machine
JP5430348B2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KR101351034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l method of th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0594388B1 (en) A perfume grant method of washing machine
JP2016137034A (en) Washing machine
KR100996307B1 (en) A shoe chest gas-induction apparatus for sterilization and a dry function of footwear
KR20110011197U (en) Footwear case
KR101040081B1 (en) Drying and sterilizing machine of shoes
KR20160093849A (en) Bacteria removal dryer for shoes
KR20140055701A (en) Cabinet with shoes care system
KR200427782Y1 (en) Device for shoes sterilization deodorize multi-stage with storage function of boots
JP2012152330A (en) Shoe dryer
KR200205439Y1 (en) A drying apparatus for sho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