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847B1 -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847B1
KR100895847B1 KR1020070115206A KR20070115206A KR100895847B1 KR 100895847 B1 KR100895847 B1 KR 100895847B1 KR 1020070115206 A KR1020070115206 A KR 1020070115206A KR 20070115206 A KR20070115206 A KR 20070115206A KR 100895847 B1 KR100895847 B1 KR 100895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mobile terminal
image
automatic telephone
wireless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헌표
Original Assignee
(주)프로비젼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프로비젼플러스 filed Critical (주)프로비젼플러스
Priority to KR1020070115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재난 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해당 재난 지역에서 해당 영상을 방송함으로써 재난을 경보하기 위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은 휴대단말기에서 재난 상황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중앙서버에서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역에 있는 지역서버로 재난상황 영상을 전송하고, 지역서버에서 해당 재난에 대한 대응방안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저장하고,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에서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로 호(call)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재난발생 신호를 전송하면,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에서 지역서버로 접속하여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다운로드 받아 영상처리장치로 전송하고, 영상처리장치에서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해당 재난지역에 각각 방송하여 재난을 경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단말기, 재난, 경보, 호, 이동통신망,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 영상처리장치

Description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WARNING DISASTER USING PORTABL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에서 재난상황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중앙서버로 전송하고 중앙서버에서 해당 영상을 분석하여 재난이 발생한 장소의 지역서버에 재난정보를 전송하며, 지역서버의 무선 자동전화 발신장치에서 영상방송장치의 무선 자동전화 수신장치로 호(call)를 연결하여 재난발생 신호를 전송하면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에서 지역서버에 접속하여 재난상황 영상 및 그 대응방안을 다운로드 받은 후 영상방송장치에서 해당 영상 및 대응방안을 방송하도록 하여 해당 지역에 재난을 경보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지구 온난화 현상, 환경 오염 등으로 인한 기상 이변으로 각종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각국에 재난 방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지진, 해일, 화재, 태풍, 홍수, 호우, 산사태 등과 같은 각종 재난을 미리 감지하고 해당 지역에 재난 발생을 통보하여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강우, 강설, 지진, 태풍 등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재난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방재담당 부처에서 각종 재난 관측소로부터 관측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재난의 발생 가능성 및 발생 범위 등을 예측한 후 신문이나 방송 등의 언론매체를 통하여 이를 경보하고 있다.
그런데, 예고되지 않고 발생하는 화재, 폭발, 산불, 침식, 산사태 등과 같은 재난은 현행 재난 경보 시스템에서는 미리 감지하고 이를 해당 지역에 경보할 수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이 미리 예측할 수 없는 재난의 경우 인명이나 물질적으로 더 큰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재난이 발생한 직후 즉시 사람을 대피시키거나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빨리 시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재난이 발생할 당시 현장의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획득하여 현장에서 그 재난상황을 모르는 다른 사람들에게 현재의 재난상황과 그 대응방안을 빨리 경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에 예고 없이 발생한 재난의 경우 재난이 발생한 당시의 현장의 정보를 획득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현재 재난이 발생한 지역 및 재난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렵고, 이로써 해당 지역에서 재난 상황을 모르는 다른 사람들에게 이를 정확히 경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예:휴대폰)를 이용하여 재난 또는 긴급 상황을 알리는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2005-0079484호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긴급 상황을 알리는 특수키의 조작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긴급 상황 정보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서버에 긴급 상황을 알리고, 이를 다시 방재센터로 알려주는 긴급 상황 전파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6-0009145호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긴급 상황 발생시 언제, 어디서나 구조 요청을 할 수 있는 무선 ID 및 데이터 발송장치(휴대단말장치)와 이를 이용한 긴급 상황에 따른 구조 요청 및 출동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의 선행특허들은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휴대단말장치의 사용자가 긴급한 상황을 방재센터로 알려주기 위한 것이며, 다른 사람들에게 재난이 발생한 위치나 현장의 재난 상황을 정확하고 빠르게 경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기술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는 예기치 않는 재난이 발생한 경우 그 현장에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재난 상황을 영상으로 획득한 후 이를 다른 사람들에게 영상 광고 및 메시지 형태로 재난 상황을 경보할 수 있는 정보통신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에서 재난 관련 영상을 촬영하여 재난발생 지역의 지역서버로 전송하고 지역서버의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에서 영상방송장치의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로 재난발생 신호를 전송하면 무선 자동전화 수신장치에서 지역서버로 접속하여 재난상황 영상 및 재난정보를 다운로드 받아 영상방송장치에서 해당 영상 및 재난정보를 방송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재난 관련 영상을 촬영하여 재난발생 지역의 지역서버로 전송하고 지역서버의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에서 영상방송장치의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로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전송하면 영상방송장치에서 해당 영상 및 재난정보를 방송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재난이 발생한 현장의 재난 상황을 해당 지역에 있는 다른 사람들에게 정확하고 빠르게 경보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재난 상황에 따른 대응방안을 신속하게 현장에 지시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은,
각각 카메라가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휴대단말기에서 재난 상황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제1단계; 중앙서버에서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고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한 후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역을 구분하고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해당 지역에 있는 지역서버로 재난상황 영상을 전송하는 제2단계; 지역서버에서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된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다수의 재난상황별로 구분된 대응방안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재난대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재난상황에 대한 대응방안을 검색하여 저장하고 재난발생 신호를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로 전송하는 제3단계;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에서 지역서버로부터 재난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로 호(call)를 자동으로 연결하고 연결된 호를 통해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로 재난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제4단계;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에서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로부터 재난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이동통신망 및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지역서버로 접속하여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다운로드 받고,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장치로 다운로드 받은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전송하는 제5단계; 및 각 영상처리장치에서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로부터 전송된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각각 방송하여 재난 발생 지역으로 재난상황을 경보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은,
각각 카메라가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휴대단말기에서 재난 상황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제1단계; 중앙서버에서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고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한 후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역을 구분하고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해당 지역에 있는 지역서버로 재난상황 영상을 전송하는 제2단계; 지역서버에서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된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다수의 재난상황별로 구분된 대응방안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재난대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재난상황에 대한 대응방안을 검색하고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로 전송하는 제3단계;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에서 지역서버로부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수신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에 존재하는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로 호(call)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로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전송하는 제4단계;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장치로 수신한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전송하는 제5단계; 및 각 영상처리장치에서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로부터 전송된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각각 방송하여 상기 재난 발생 지역으로 재난상황을 경보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단계는, 휴대단말기에서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휴대단말기에서 획득된 위치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휴대단말기에서 GPS 위성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휴대단말기에서 자신이 접속한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단계는 휴대단말기에서 자신의 고유 식별번호, 이용번호(MIN), 사용자의 고유 식별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단계는 중앙서버에서 휴대단말기가 접속한 기지국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시스템(MMS) 및 단문 메시지 시스템(SMS)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러한 대응방안은 재난이 발생한 지역, 위치, 재난에 대한 설명, 현재 재난 진행 현황, 대피방안, 행동요령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는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와의 패킷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해 호를 연결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며, 재난이 발생한 지역의 지역서버로부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수신하게 되면, 자동으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와 호를 연결하여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은,
각각 카메라가 탑재되며 그 카메라를 이용하여 재난상황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단말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고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한 후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역을 구분하고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해당 지역별로 재난상황 영상을 전송하는 중앙서버;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된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다수의 재난상황별로 구분된 대응방안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재난대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재난상황에 대한 대응방안을 검색하고,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전송하는 다수의 지역서버; 지역서버로부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수신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호(call)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전송하는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와 호를 자동으로 연결하고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로부터 연결된 호를 통해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수신하여 전달하는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 및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로부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수신하고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각각 방송하여 재난 발생 지역으로 재난상황을 경보하는 영상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휴대단말기는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GPS 위성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을 포함하고 위치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휴대단말기는 자신이 접속한 이동통신망 내의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그 위치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중앙서버는 휴대단말기가 접속한 기지국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시스템(MMS) 및 단문 메시지 시스템(SMS)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대응방안은 재난이 발생한 지역, 위치, 재난에 대한 설명, 현재 재난 진행 현황, 대피방안, 행동요령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는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와의 패킷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해 호를 연결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지역서버로부터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수신하게 되면 자동으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와 호를 연결하여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는 상기 다수의 지역서버와의 패킷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지역서버로 접속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로부터 상기 재난발생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자동으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지역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다운로드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재난이 발생한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여 재난에 대한 대응방안을 해당 재난이 발생한 지역에 실시간으로 광고 및 방송함으로써 재난상황을 정확하고 빠르게 경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로부터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게 되면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에서 자동으로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로 호를 연결하여 재난상황 영상 및 그의 대응방안을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간편하고 재난을 경보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재난이 발생한 지역에 재난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방송함으로써 이를 확인한 다른 사람들이 빨리 대피 및 대응할 수 있어 인명 및 물질적인 피해 규모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휴대단말기(100), 이동통신망 (110), 유선 인터넷망(120), 중앙서버(130), 다수의 지역서버(140), 다수의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 다수의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 다수의 영상처리장치(170) 및 재난대응 데이터베이스(database:D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는 재난대응 DB(180)가 각 지역서버(140)의 외부에 별도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재난대응 DB(180)는 지역서버(140)의 내부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중앙서버(130) 및 지역서버(140)는 이동통신망(110) 또는 유선 인터넷망(120)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 및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가 각각의 지역서버(140) 및 영상처리기(170)의 외부에 별도로 각각 구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 및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는 각각 지역서버(140) 및 영상처리기(170)와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그 내부에 구성되어 상호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단말기(100)는 디지털 카메라가 구비된 소위 카메라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카메라폰은 무선 전화통화와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단말 기능과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나 동영상을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전송 및 삭제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일체로 갖는 이동통신 단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100)는 재난이 발생한 지역에 위치하여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당 재난상황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한 재난상황 영상을 이동통신망(110)을 통해 중앙서버(130)로 전송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휴대단말기(100)는 자신의 위치 정보도 함께 전송한다. 휴대단말기(100)는 바람직하게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시스템(MMS:Multimedia Message System)을 이용하여 재난상황 영상을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휴대단말기(100)는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는 소정의 측위 프로그램을 탑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위 프로그램은 휴대단말기(100)에 내장된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에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측위 프로그램은 일정주기 간격마다 구동(Wake-up)하여 측위 서비스 요청 신호를 검색하는 스케쥴링 알고리즘이 코딩(coding)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100)은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측위하는 기술은 GPS를 이용한 핸드셋 기반(Handset-Based) 방식과, 기지국 수신신호를 이용하는 망 기반(Network-Based) 방식과, 이들 두 방식을 혼합하여 측위의 정확성을 높이는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이 있다.
GPS를 이용한 핸드셋 기반 방식은 단말(200)에 탑재된 GPS 모듈(GPS 안테나 및 GPS 수신기를 포함)을 이용하여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GPS 신호에 포함된 항법 데이터를 추출하고, 내장된 GPS 측위 프로그램을 통해 GPS 신호로부터 자신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이러한 측위 방법은 이동통신망에 무선접속하는 모든 단말에 GPS 모듈을 탑재하여 GPS 측위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GPS를 이용하지 않은 망 기반 방식은 일반적으로 기지국과 단말 간의 통신 데이터를 이용해 단말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GPS를 이용하지 않는 이동통신망, 예컨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망에서 TA(Timing Advance) 기술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의 측위방법,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에서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측위 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GSM 망에서의 TA 기술을 이용한 측위 방법에서는 기지국에서 단말로 TA 파라미터를 보내어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서 주고 받는 데이터의 지연(delay)을 보상하고 기지국과 단말이 동기되도록 한다. 이러한 TA 기술은 타임슬롯 advance 정보를 사용하며, 다른 셀로 핸드오버(handover)되는 경우에도 해당 기지국들에 대하여 TA가 적용된다. 이때, 단말을 강제로 두 번 핸드오버하면 3개의 time advance를 알 수 있는데, 이들 3개의 time advance로부터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또한, TDOA 측위 방법은 GPS를 이용하지 않고 3개 이상의 기지국에 대한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단말의 위치를 측위한다. 제1기지국에서 단말로 신호를 송신한 시간 T1과 상기 단말이 응답한 시간 T1'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1기지국과 단말 간의 거리를 계산한다. 이때 거리는 '속도/시간'으로 계산되며 상기 속도는 전자파의 속도를 이용한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기지국 및 제3기지국과 단말 간의 거리도 각각 계산한다. 이와 같이 각각 계산된 3개의 거리 값을 이용하여 제1~3 기지국의 위치로부터 2개의 쌍곡선을 구하고, 상기 두 쌍곡선의 교차점을 찾아내는 방식으로 해당 단말의 위치를 측위할 수 있다.
상기한 측위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측위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100)는 이러한 다양한 측위 방식으로 자신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휴대단말기(100)의 측위 방법은 공지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에서, 휴대단말기(1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셀룰러(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핸드 헬드 PC(Hand-Held PC),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폰, EV-DO(Evolution-Data Only)폰, EV-DV(Evolution-Data and Voice)폰, WCDMA(Wideband CDMA)폰 및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망(110)은 다수의 휴대단말기(100) 간의 음성 및 무선 데이터를 중계하는 모든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100)은 CDMA-2000망, GSM망, WCDMA망을 비롯하여,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을 적용한 HSDPA(High Speed Download Packet Access)망과 휴대 인터넷망인 WiBro(Wireless Broadband)망, 그리고 향후에 적용될 차세대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CDMA-2000 이동통신망의 경우 기지국(BTS: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기지국제어기(BSC:Base Station Controller), PCF(Point Coordination Function)로 이루어지는 기지국시스템(BSS:Base Station System)과, 패킷 데이터의 교환/전송을 담당하는 패킷데이터서비스노드(PDSN:Packet Data Service Node)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BTS)은 휴대단말기(100)과 IS-2000 규격에 따른 무선접속으로 인터페이스하여 가입자에게 무선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기지국제어기(BSC)는 교환기(MSC:Mobile Switching Center)와 기지국(BTS) 사이에 위치하여 PDSN을 통해 인터넷망(120)으로의 정합기능을 수행하며, 음성에 대한 보코딩(Vocoding) 기능을 수행한다. PDSN은 이동통신망(300)에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교환 시스템으로서, CDMA2000-1x, 1xEV-DO 및 그 이상의 초고속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장비이다. PCF는 비경쟁 프레임 전송 방식을 따르며 휴대단말기(100)의 호 접속을 수행한다.
이러한 CDMA-2000 이동통신망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110)의 일례이며 다른 이동통신망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재난 경보 서비스를 위하여 위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110)은 소정의 게이트웨이(GW:gateway)(미도시)를 통해 유선 인터넷망(130)과 연결되며 유선 인터넷망(130)은 다시 중앙서버(130) 및 다수의 지역서버1~n(140)와 연결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이동통신망(110)이 WCDMA(Wi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망의 경우, 이러한 게이트웨이는 관문 지원 노드(GGSN:Gateway GPRS support node)로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중앙서버(130) 및 다수의 지역서버1~n(140)는 이동통신망(11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중앙서버(130)는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고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한 후 휴대단말기(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역을 구분하고 유선 인터넷망(120)을 통해 해당 지역에 존재하는 지역서버(140)로 재난상황 영상을 전송한다. 중앙서버(130)는 휴대단말기(100)로부터 휴대단말기(100)의 위치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지역을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에서 중앙서버(130)는 휴대단말기(100)가 접속한 이동통신망(110) 내의 기지국(111) 정보 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100)의 위치 및 해당 지역을 확인할 수도 있다.
지역서버(140)는 중앙서버(130)와 유선 인터넷망(120)을 통해 연결되며 다양한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예컨대, 동사무소마다 하나 이상의 지역서버(14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지역서버(140)는 중앙서버(130)로부터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여 현재 재난 상황이 어떠한 상태(예컨대, 화재, 산사태, 폭발 등)인지를 분석하고, 각 재난상황별로 그에 대응되는 대응방안을 재난대응 DB(180)에서 검색하여 저장하고, 해당 재난에 대하여 재난발생 신호를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지역서버(140)는 중앙서버(130)로부터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각 재난상황별로 그에 대응되는 대응방안을 재난대응 DB(180)에서 검색한 후,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그에 따른 대응방안을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로 전송한다.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지역서버(140)로부터 재난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통신망(110)을 통해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로 자동으로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호(call)를 연결하고, 그 연결된 호를 이용하여 해당 재난발생 신호를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는 지역서버(140)로부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이 수신되면 이동통신망(110)을 통해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로 자동으로 호를 연결하고, 그 연결된 호를 이용하여 해당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로 전송한다.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무선 자동전화 발 신기(150)로부터 해당 재난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통신망(110) 및 유선 인터넷망(120)을 통해 해당 지역서버(140)에 접속하고 그 지역서버(140)로부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다운로드 받은 후, 이를 영상처리기(170)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는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로부터 해당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이 수신되면, 그 수신된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각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에 대응되는 영상처리기(170)로 전송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시스템(MMS) 및 단문 메시지 시스템(SMS:Short Message System)를 이용하여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전송한다.
이러한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 및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는 일정한 신호 및 데이터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된 번호로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호를 설정하고, 이와 같이 설정된 호를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를 각각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무선 단말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는 일정한 신호 및 데이터가 입력되면 지역서버(140)에 접속하여 영상 및 패킷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는 무선 단말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 및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는 음성통화뿐만 아니라 공지의 이동통신망 및/또는 무선 인터넷망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공지의 무선 휴대단말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무선 휴대단말장치는 공지의 장치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 및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는 그에 대응되는 지역서버(140) 및 영상 처리기(170)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구현되어 상호 연동될 수 있다.
영상처리기(170)는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로부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수신하여 이를 각각 방송하여 해당 재난 발생지역으로 재난상황을 경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영상처리기(170)는 예컨대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해당 영상 및 대응방안을 방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중앙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앙서버(130)는 데이터 송수신부(131), 영상분류부(132), 지역정보 저장부(133) 및 중앙서버 제어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송수신부(131)는 중앙서버(130)가 통신하는 모든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데이터 송수신부(131)는 유선 인터넷망(120)을 통해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재난상황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휴대단말기(100)의 위치에 따라 선택된 지역에 존재하는 지역서버(140)로 재난상황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분류부(132)는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재난상황 영상을 분석하여 그 재난이 발생한 지역별로 해당 영상을 분류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와 같이 지역별로 해당 영상을 분류하는 이유는 우선적으로 해당 재난에 대하여 어느 지역에서 발생한 것인지를 파악하고, 차후에 해당 재난 발생지역으로 재난을 경보하기 위한 것이다. 영상분류부(132)는 재난상황 영상을 전송한 휴대단말기(100)의 위치정 보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별로 영상을 분류한다. 예컨대, 특정 건물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휴대단말기(100)로부터 화재에 대한 영상이 수신되면,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이용하여 특정 건물의 위치를 파악하고, 그 위치에 대응하도록 화재 영상을 분류하는 것이다.
지역정보 저장부(133)는 휴대단말기(100)의 위치정보 및 해당 위치에 대응되는 지역정보를 저장한다. 영상분류부(132)는 이러한 지역정보 저장부(133)에 저장된 휴대단말기(100)의 위치정보 및 그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지역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지역별로 영상을 분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서버 제어부(134)는 중앙서버(13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데이터 송수신부(131), 영상분류부(132) 및 지역정보 저장부(133)를 제어함으로써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영상으로부터 재난지역을 확인한 후 재난지역별로 영상을 분류하고, 해당 지역에 있는 지역서버(140)로 재난상황 영상을 전송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들(131~133)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역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란 지역서버(140)는 제1통신부(141), 지역정보 관리부(142), 제1저장부(143), 검색부(144) 및 지역서버 제어부(1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통신부(141)는 지역서버(140)가 통신하는 모든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 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1통신부(141)는 유선 인터넷망(120)을 통해 중앙서버(130)로부터 재난상황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로 재난 영상 데이터 및 대응방안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1통신부(141)는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로 해당 재난에 대하여 재난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지역정보 관리부(142)는 지역서버(140)가 위치한 지역의 건물, 도로, 주소 등에 관한 정보를 비롯하여 이동통신망의 기지국(111), 제어국(미도시) 등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저장부(143)는 중앙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재난상황 영상 데이터를 저장함과 동시에 지역서버(140)가 정상적으로 구동하는데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특히 제1저장부(143)는 지역서버(140)의 식별번호를 저장하고 있어 지역정보 관리부(142)에서 해당 지역서버(140)가 어느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검색부(144)는 중앙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재난상황 영상을 이용하여 해당 재난에 적용되는 대응방안을 재난대응 DB(180)에서 검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재난대응 DB(180)에는 다양한 재난에 대하여 각각 대응방안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대응방안에는 재난이 발생한 지역, 위치, 재난에 대한 설명, 현재 재난 진행 현황, 대피방안, 행동요령 등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역서버 제어부(145)는 해당 지역서버(14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1통신부(141), 지역정보 관리부(142), 제1저장 부(143) 및 검색부(144)를 제어함으로써 중앙서버(130)로부터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영상을 분석하여 대응방안을 검색하고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로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 또는 재난발생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들(141~144)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처리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처리기(170)는 제2통신부(171), 데이터 처리부(172), 제2저장부(173), 표시부(174) 및 영상처리 제어부(1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통신부(111)는 영상처리기(170)가 통신하는 모든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2통신부(171)는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로부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처리부(172)는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로부터 전송된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 데이터가 표시부(174)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전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재난상황 영상은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고, 대응방안은 음향 또는 자막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처리한다.
제2저장부(173)는 영상처리기(170)가 구동하는데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또한, 제2저장부(173)는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로부터 전송받은 영상 및 대응방안을 저장하며, 해당 영상처리기(170)의 식별번호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174)는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표시부(174)는 예컨대 LCD, LED, PDP 등 영상 및 문자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면 어느 것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영상처리 제어부(145)는 영상처리기(170)의 전반적인 동작 및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제2통신부(171), 데이터 처리부(172), 제2저장부(173) 및 표시부(174)를 제어함으로써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로부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수신하고 해당 영상 및 대응방안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각 구성요소들(171~174)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을 보이는 절차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100)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은 휴대단말기(100)에서 자체 탑재된 카메라(미도시)를 이용하여 재난이 발생한 현장의 상황을 영상으로 촬영하여(S500), 이동통신망(110)을 통해 촬영된 재난상황 영상을 중앙서버(130)로 전송한다(S502). 이때, 휴대단말기(100)는 바람직하게는 재난상황 영상을 멀티미디어 메시지 시스템(MMS)을 통해 전송한다. 여기서, S502 과정은 휴대단말기(100)에서 자신의 위치정보를 중앙서버(130)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서버(130)에서는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고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확인하고, 휴대단말기(100)의 위치에 따른 재난 발생 지역을 확인한다 (S504). 이때 중앙서버(130)는 휴대단말기(100)에서 전송된 위치정보를 이용하거나 휴대단말기(100)가 접속한 이동통신망(110) 내의 기지국(111)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재난 발생 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이어 중앙서버(130)는 재난상황 영상을 유선 인터넷망(120)을 통해 위에서 확인한 재난 발생 지역에 위치한 지역서버(140)로 전송한다(S506).
지역서버(140)는 중앙서버(130)로부터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영상에 대응하는 대응방안을 재난대응 DB(180)에서 검색하여 저장하고(S508), 해당 재난에 대하여 재난발생 신호를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로 전송한다(S510).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는 유휴(idle) 상태로 있다가 재난발생 신호가 수신되면 다시 활성화(active)되어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로 자동으로 호(call)를 연결하여 위에서 수신된 재난발생 신호를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로 전송한다(S512).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는 재난발생 신호의 수신에 대한 응답(ack)을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로 전송한다(S514). 이때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는 응답(ack)을 전송함과 동시에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와의 접속을 끊는다.
계속하여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는 다시 이동통신망(110) 및 유선 인터넷망(120)을 통해 해당 지역서버(140)에 접속하고(S516), 해당 지역서버(140)로부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다운로드 받는다(S518).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는 다운로드 받은 재난상황 영상 및 그 대응방안을 다수의 영상처리기(170)로 전송하고(S520), 영상처리기(170)는 수신된 재난상황 영상 및 그 대응방안을 표시부(174)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522). 여기서, 이러한 표시부(174)는 다양한 화면표시장치, 예컨대 공지의 LCD, PDP,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S522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재난 지역에 재난상황 및 대응방안을 방송한다. 이로써 현재 재난 상황을 모르는 다른 사람들에게 재난을 경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을 보이는 절차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100)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에서 S600 단계 내지 S608 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재난 경보 방법과 비교할 때 S500 단계 내지 S508 단계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이후의 단계인 S610 단계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역서버(140)는 중앙서버(130)로부터 수신된 재난상황 영상에 대응하는 대응방안을 재난대응 DB(180)에서 검색하여 저장한 후(508), 그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로 전송한다(S510).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150)는 유휴(idle) 상태로 있다가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이 수신되면 활성화(active)되어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로 무선 데이터 전송을 위한 호(call)를 자동으로 연결한 후(S512),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로 그 연결된 호를 이용하여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로 전송한다(S514).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160)는 영상처리기(170)로 해당 영상 및 대응방안을 전송하고(S516), 영상처리기(170)는 수신된 영상 및 대응방안을 표시부(174)를 통해 디스플레이한다(S518).
이로써 현재 재난 상황을 모르는 다른 사람들에게 재난을 경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각각 그 지역에서 발생되는 재난을 영상으로 촬영하여 해당 지역에서 그 재난 상황을 광고 또는 방송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는 단지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형태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휴대단말기(예:휴대폰)는 이미 현대인의 필수품이 되었고 이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비롯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재난이 발생한 지역의 재난상황을 촬영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해당 지역의 다른 사람들에게 재난을 빠르고 정확하게 경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인명 피해 및 시설물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하여 이동통신 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보다 빠르고 정확한 데이터 처리가 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시스템 및 서비스 는 향후 그 적용 가능성과 효율성이 높을 것을 판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중앙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역서버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영상처리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을 보이는 절차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휴대단말기 110 : 이동통신망
120 : 유선 인터넷망 130 : 중앙서버
140 : 지역서버 150 :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
160 :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 170 : 영상처리기

Claims (19)

  1. 각각 카메라가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휴대단말기에서 재난 상황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중앙서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역을 구분하고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해당 지역에 있는 지역서버로 상기 재난상황 영상을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지역서버에서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다수의 재난상황별로 구분된 대응방안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재난대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대응방안을 검색하여 저장하고 재난발생 신호를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로 전송하는 제3단계;
    상기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에서 상기 지역서버로부터 상기 재난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로 호(call)를 자동으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호를 통해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로 상기 재난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제4단계;
    상기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에서 상기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로부터 상기 재난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통신망 및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지역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다운로드 받고,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장치로 상기 다운로드 받은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전송하는 제5단계; 및
    상기 각 영상처리장치에서 상기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로부터 전송된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각각 방송하여 상기 재난 발생 지역으로 상기 재난상황을 경보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
  2. 각각 카메라가 탑재된 적어도 하나의 휴대단말기에서 재난 상황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제1단계;
    상기 중앙서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역을 구분하고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해당 지역에 있는 지역서버로 상기 재난상황 영상을 전송하는 제2단계;
    상기 지역서버에서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다수의 재난상황별로 구분된 대응방안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재난대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대응방안을 검색하고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로 전송하는 제3단계;
    상기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에서 상기 지역서버로부터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수신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에 존재하는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로 호(call)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상기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로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전송하는 제4단계;
    상기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상처리장치로 상기 수신한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전송하는 제5단계; 및
    상기 각 영상처리장치에서 상기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로부터 전송된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각각 방송하여 상기 재난 발생 지역으로 상기 재난상황을 경보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상기 획득된 위치정보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GPS 위성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자신이 접속한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자신의 고유 식별번호, 이용번호(MIN), 사용자의 고유 식별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중앙서버에서 상기 휴대단말기가 접속한 기지국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시스템(MMS) 및 단문 메시지 시스템(SMS)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방안은 상기 재난이 발생한 지역, 위치, 재난에 대한 설명, 현재 재난 진행 현황, 대피방안, 행동요령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는 상기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와의 패킷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해 호를 연결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며, 상기 지역서버로부터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수신하게 되면 자동으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와 호를 연결하여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방법.
  11. 각각 카메라가 탑재되며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재난상황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단말기;
    상기 휴대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한 후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역을 구분하고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해당 지역별로 상기 재난상황 영상을 전송하는 중앙서버;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다수의 재난상황별로 구분된 대응방안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재난대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대응방안을 검색하여 저장하며 상기 재난에 대한 재난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다수의 지역서버;
    상기 다수의 지역서버로부터 상기 재난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호(call)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상기 재난발생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
    상기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와 호를 자동으로 연결하고 상기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로부터 상기 연결된 호를 통해 상기 재난발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이동통 신망 및 유선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해당 지역서버로 접속하여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다운로드 받고 상기 다운로드 받은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전송하는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 및
    상기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로부터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수신하고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각각 방송하여 상기 재난 발생 지역으로 상기 재난상황을 경보하는 영상처리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역서버는 상기 중앙서버로부터 전송된 재난상황 영상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다수의 재난상황별로 구분된 대응방안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재난대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재난상황에 대한 대응방안을 검색하여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상기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는 상기 지역서버로부터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수신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호(call)를 자동으로 연결하여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상기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로 전송하며,
    상기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는 상기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로부터 상기 연결된 호를 통해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상기 영상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GPS 위성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GPS 위성신호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GPS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자신이 접속한 이동통신망 내의 기지국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휴대단말기가 접속한 기지국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시스템(MMS) 및 단문 메시지 시스템(SMS)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방안은 상기 재난이 발생한 지역, 위치, 재난에 대한 설명, 현재 재난 진행 현황, 대피방안, 행동요령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는 상기 다수의 지역서버와의 패킷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상기 지역서버로 접속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로부터 상기 재난발생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자동으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지역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다운로드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동전화 발신기는 상기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와의 패킷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해 호를 연결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지역서버로부터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수신하게 되면 자동으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상기 무선 자동전화 수신기와 호를 연결하여 상기 재난상황 영상 및 대응방안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KR1020070115206A 2007-11-13 2007-11-13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0895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206A KR100895847B1 (ko) 2007-11-13 2007-11-13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206A KR100895847B1 (ko) 2007-11-13 2007-11-13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5847B1 true KR100895847B1 (ko) 2009-05-06

Family

ID=4086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206A KR100895847B1 (ko) 2007-11-13 2007-11-13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847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630B1 (ko) * 2010-02-08 2012-01-20 주식회사 유먼더스 모바일 영상 감시 방법 및 시스템
KR101383583B1 (ko) * 2012-08-02 2014-04-10 비앤피 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사건 현장에 대한 원격 감시 방법, 원격 감시 시스템의 운용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원격 감시 구현 방법
KR101393693B1 (ko) * 2013-09-17 2014-05-13 온시스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음성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전관방송시스템
KR101393692B1 (ko) * 2013-09-17 2014-05-13 온시스텍 주식회사 멀티 오디오 방송 제공 시스템
KR101672489B1 (ko) * 2016-05-02 2016-11-04 (주)라드서치 방사선 재난 시 휴대폰 위치정보를 이용한 주민보호조치 실시간 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CN109830081A (zh) * 2019-03-21 2019-05-31 广东鹏兴彦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设施监控系统
KR20190106174A (ko) * 2018-03-08 2019-09-18 김혜선 통합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용 단말장치
KR20190106176A (ko) * 2018-03-08 2019-09-18 김혜선 통합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단말장치
KR20190106172A (ko) * 2018-03-08 2019-09-18 김혜선 통합 관제 시스템
KR20200052172A (ko) *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 상황에서 mcptt 서비스를 멀티캐스트로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
CN111508192A (zh) * 2020-03-19 2020-08-07 陕西理工大学 一种生态环境与旅游监测平台
CN114783148A (zh) * 2022-03-31 2022-07-22 北京智想北斗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5g、北斗通信智能自切换的地质灾害实时在线监测与告警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988A (ko) * 1998-06-10 2000-01-25 여운광 자연환경감시장치및방법
KR100564233B1 (ko) 2003-10-17 2006-03-28 주식회사 도래정보시스템 통합 방재 시스템
KR100577379B1 (ko) 2005-10-17 2006-05-10 (주)그린시스 재난재해시 위험지역 주민대피를 위한 경보송출방법을 포함한 재난방재통합관리시스템
KR100748528B1 (ko) 2007-02-27 2007-08-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과 웹-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피해조사 실시간자동화 업데이트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988A (ko) * 1998-06-10 2000-01-25 여운광 자연환경감시장치및방법
KR100564233B1 (ko) 2003-10-17 2006-03-28 주식회사 도래정보시스템 통합 방재 시스템
KR100577379B1 (ko) 2005-10-17 2006-05-10 (주)그린시스 재난재해시 위험지역 주민대피를 위한 경보송출방법을 포함한 재난방재통합관리시스템
KR100748528B1 (ko) 2007-02-27 2007-08-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과 웹-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피해조사 실시간자동화 업데이트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630B1 (ko) * 2010-02-08 2012-01-20 주식회사 유먼더스 모바일 영상 감시 방법 및 시스템
KR101383583B1 (ko) * 2012-08-02 2014-04-10 비앤피 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사건 현장에 대한 원격 감시 방법, 원격 감시 시스템의 운용 방법 및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원격 감시 구현 방법
KR101393693B1 (ko) * 2013-09-17 2014-05-13 온시스텍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음성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전관방송시스템
KR101393692B1 (ko) * 2013-09-17 2014-05-13 온시스텍 주식회사 멀티 오디오 방송 제공 시스템
KR101672489B1 (ko) * 2016-05-02 2016-11-04 (주)라드서치 방사선 재난 시 휴대폰 위치정보를 이용한 주민보호조치 실시간 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WO2017191969A1 (ko) * 2016-05-02 2017-11-09 (주)라드서치 방사선 재난 시 휴대폰 위치정보를 이용한 주민보호조치 실시간 관리시스템의 운영방법
KR20190106176A (ko) * 2018-03-08 2019-09-18 김혜선 통합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단말장치
KR20190106174A (ko) * 2018-03-08 2019-09-18 김혜선 통합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용 단말장치
KR20190106172A (ko) * 2018-03-08 2019-09-18 김혜선 통합 관제 시스템
KR102039246B1 (ko) * 2018-03-08 2019-10-31 김혜선 통합 관제 시스템
KR102039247B1 (ko) * 2018-03-08 2019-11-26 김혜선 통합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용 단말장치
KR102134799B1 (ko) 2018-03-08 2020-07-16 김혜선 통합 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용 단말장치
KR20200052172A (ko) * 2018-11-06 2020-05-14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 상황에서 mcptt 서비스를 멀티캐스트로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531383B1 (ko) * 2018-11-06 2023-05-10 주식회사 케이티 재난 상황에서 mcptt 서비스를 멀티캐스트로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
CN109830081A (zh) * 2019-03-21 2019-05-31 广东鹏兴彦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设施监控系统
CN111508192A (zh) * 2020-03-19 2020-08-07 陕西理工大学 一种生态环境与旅游监测平台
CN114783148A (zh) * 2022-03-31 2022-07-22 北京智想北斗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5g、北斗通信智能自切换的地质灾害实时在线监测与告警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847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재난 경보 시스템 및 방법
US92648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contemporaneous information relating to an event
US10163332B2 (en) Emergency alert warning system and method
US10327105B1 (en) Providing information to a mobile device based on an event at a geographical location
EP230260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multimedia monitoring
US2010021411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future meetings of wireless users
CN1742507A (zh) 一种用于激活基于定位的功能的方法、系统和设备
CN102265577A (zh) 用于应急服务的预测通知系统
KR20070116912A (ko) 위치-기반 이머전시 어나운스먼트들
CN101720058A (zh) 一种手机定位方法及用户设备
US20120003956A1 (en) Real time sound/image capture and distibution to end recipient
JP2016028344A (ja) 警告方法
CN101861726A (zh) 紧急信息发布系统、紧急信息发布方法、发送服务器以及便携终端
KR20060122626A (ko) Gps 단말기를 이용한 위급 상황 대처 방법 및 시스템
JP4602877B2 (ja) 通信装置の位置情報を利用する通信システム
JP2021039485A (ja) 収集方法
EP2084588A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cell phones in a chosen area and use of the method
JP3927558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60034833A (ko) 동적 ux를 이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이의 제어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660994B1 (ko) 모바일 단말기 시스템
JP2003346258A (ja) 緊急連絡システム及びそれに使用する端末装置
AU2014277664B2 (en) Alert Warning Method
EP2597846A1 (en) A method for alerting a mobile device at a predetermined dest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