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958B1 - Wiper blade - Google Patents

Wiper bla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958B1
KR100889958B1 KR1020070052518A KR20070052518A KR100889958B1 KR 100889958 B1 KR100889958 B1 KR 100889958B1 KR 1020070052518 A KR1020070052518 A KR 1020070052518A KR 20070052518 A KR20070052518 A KR 20070052518A KR 100889958 B1 KR100889958 B1 KR 100889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wiper
frame
wiper blade
wip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25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105227A (en
Inventor
김인규
Original Assignee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김인규 filed Critical 에이디엠이십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2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958B1/en
Priority to JP2007326437A priority patent/JP4712025B2/en
Priority to PL07150245T priority patent/PL1995130T3/en
Priority to ES07150245T priority patent/ES2401351T3/en
Priority to PT71502454T priority patent/PT1995130E/en
Priority to EP07150245A priority patent/EP1995130B1/en
Priority to US12/005,173 priority patent/US8191200B2/en
Priority to CN2007101610739A priority patent/CN101311043B/en
Priority to CA2617013A priority patent/CA2617013C/en
Publication of KR20080105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52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9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2001/3812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 B60S2001/3813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60S2001/3815Means of supporting or holding the squeegee or blade rubber chacterised by a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chacterised by the joint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와이퍼 장치에 장착되어 유리면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면에 접촉되어 이 유리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스트립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이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차량의 와이퍼 암에 연결되는 브래킷과; 상기 프레임과 브래킷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브래킷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조인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er blade mounted on a wiper device of an automobile to wipe a glass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per strip which contacts a glass surface and wipes the glass surface; A frame to which the wiper strip is coupled; A bracket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frame and connected to the wiper arm of the vehicle; A joint inter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bracket to secure the bracket to the frame; There is provided a wiper blade comprising a.

와이퍼, 블레이드, 프레임, 스포일러, 조인트, 브래킷, 커버, 어댑터 Wipers, blades, frames, spoilers, joints, brackets, covers, adapters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WIPER BLADE {WIPER BLAD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정면도, 1 is a front view of a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ion state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 4 is a view showing a frame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스포일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좌측 스포일러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우측 스포일러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5 is a view showing the spoiler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ft spoiler from above,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ight spoiler from below,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조인트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이고, (b)는 평면도이고, (c)는 측면도, 6 is a view showing a joint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plan view, (c) is a side view,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브래킷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c)는 정단면도, 7 is a view showing a bracket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b)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c)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8 is a view showing a cover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b)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보조 어댑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고, (c)는 정단 면도, 9 is a view showing the auxiliary adapter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b)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c) is a front shaving,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후크 타입의 와이퍼 암과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of the wiper blade and the wiper arm of the hook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사이드 핀 타입의 와이퍼 암과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between the wiper blade and the side pin type wiper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핀 타입의 와이퍼 암과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of the wiper blade and the pin type wiper a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와이퍼 스트립 20 : 프레임10: wiper strip 20: frame

30A : 좌측 스포일러 30B : 우측 스포일러30A: Left Spoiler 30B: Right Spoiler

40 : 조인트 50 : 브래킷40: joint 50: bracket

60 : 커버 80 : 보조 어댑터60: cover 80: auxiliary adapter

91 : 후크 타입 와이퍼 암 93 : 사이드 핀 타입 와이퍼 암91: hook type wiper arm 93: side pin type wiper arm

95 : 핀 타입 와이퍼 암95: pin type wiper arm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와이퍼 장치에 장착되어 유리면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들 사이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다양한 타입의 와이퍼 암이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er blade mounted on a wiper device of an automobile to wipe a glass surface, and more particularly, by improving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wiper blade. It relates to a wiper blade that allows to be combin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와이퍼 장치는, 자동차에 내장되어 있는 모터(도시생략)에 의해 좌우로 회전운동하는 와이퍼 암(9)과, 이 와이퍼 암(9)에 장착되어 함께 움직이는 와이퍼 블레이드(1)를 포함한다. 와이퍼 블레이드(1)는, 유리면(도시생략)에 밀착 이동하면서 유리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스트립(2)을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wiper device includes a wiper arm 9 which rotates from side to side by a motor (not shown) built in a vehicle, and a wiper mounted on the wiper arm 9 and moving together. It comprises a blade (1). The wiper blade 1 is provided with the wiper strip 2 which wipes a glass surface, moving closely to a glass surface (not shown).

와이퍼 블레이드(1)는 와이퍼 암(9)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소정각도로 선회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1)는, 와이퍼 암(9)과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3)와, 이 제1 링크부재(3)에 결합되어 와이퍼 암(9)의 압력을 균일하게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제2 링크부재(5)와, 이 제2 링크부재(5)에 결합되어 와이퍼 스트립(2)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제3 링크부재(7)를 포함한다.The wiper blade 1 is coupled to the wiper arm 9 and rotates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To this end, the conventional wiper blade 1 has a first link member 3 coupled to the wiper arm 9, and is coupled to the first link member 3 to uniformly transmit the pressure of the wiper arm 9. And a plurality of third link members 7 coupled to the second link members 5 to connect the wiper strips 2.

여기에서, 와이퍼 스트립(2)과 인접하는 제2 링크부재(5) 및 제2 링크부재(7)의 말단에는 와이퍼 스트립(2)에 형성된 레일 홈에 끼워짐으로써 와이퍼 스트립(2)을 결합시키기 위한 클립(5a, 7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Here, th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5 and the second link member 7 adjacent to the wiper strip 2 is fitted into the rail groove formed in the wiper strip 2 to engage the wiper strip 2. Clips 5a and 7a for each are formed.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1)는, 복수의 링크부재(3, 5, 7)가 서로 일정각도 선회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차량의 유리면을 따라서 와이퍼 스트립(2)이 유연하게 만곡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us, the wiper blade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3, 5, 7) are pivotal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wiper strip (2) can be flexibly curved along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Is done.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경우, 상기된 바와 같이 복수의 링크부재(3, 5, 7)가 서로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링크부재가 서로 결합되는 부위에서 소음이 발생할 뿐 아니라 도장이 벗겨져 부식이 발생되 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By the way, in the case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3, 5, 7)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not only does noise occur at the site where each link member is coupled to each other. There was a problem such as peeling off the coating caused corrosion.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는 소모품으로서, 지속적인 사용에 의해 고무재질의 와이퍼 스트립이 닳거나, 밀착 또는 세척력이 저하될 경우 교체하여 사용될 수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통상 어댑터까지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로 포장 판매되며, 사용자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교체하고자 할 때, 어댑터를 포함한 와이퍼 블레이드 전체를 교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wiper blade is a consumable, and can be used when the rubber wiper strip is worn out due to continuous use, or when adhesion or cleaning power is degraded. The wiper blade is usually packaged and sold with the adapter coupled, and when the user wants to replace the wiper blade, the user will replace the entire wiper blade including the adapter.

그러나, 차량의 종류에 따라 와이퍼 암의 형상이 서로 상이하고, 이러한 와이퍼 암의 서로 상이한 형상과 크기에 따라 와이퍼 암과 결합되는 어댑터의 형상과 크기도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와이퍼 암에 따라 그에 맞는 아답터를 와이퍼 블레이드의 제조시 각각 제작하거나 구입하여 보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shape of the wiper arm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type of vehicle, and the shape and size of the adapter coupled with the wiper arm must als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shape and size of the wiper arm, the wiper arm of various shapes and sizes According to the hassle of having to manufacture or purchase the adapter for each of the wiper blades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hassle.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경우, 와이퍼 스트립(2)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조립과정이 복잡하고, 그에 따라 조립공정에 소요되는 노력과 시간이 증가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not only the structure for fixing the wiper strip 2 is complicated, but also the assembling process is complicated, thereby increasing the effort and time required for the assembling process,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There was a problem.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고속 주행시 바람에 의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가 뜨게 되며, 이로 인해 유리면과의 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the problem that the wiper blade is floated by the wind during high-speed driving, resulting in a decrease in adhesion to the glass surface.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들 사이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 써, 조립이 용이하고 다양한 타입의 와이퍼 암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se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wiper blade, so that the assembly is easy and various types of wiper arms can be coupled. It is to provide a wiper blade to mak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와이퍼 암에 결합되어 유리면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로서, 유리면에 접촉되어 이 유리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스트립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이 결합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차량의 와이퍼 암에 연결되는 브래킷과; 상기 프레임과 브래킷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브래킷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조인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wiper blade coupled to the wiper arm of the vehicle to wipe the glass surface, the wiper strip in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to wipe the glass surface; A frame to which the wiper strip is coupled; A bracket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frame and connected to the wiper arm of the vehicle; A joint inter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bracket to secure the bracket to the frame; There is provided a wiper blade comprising a.

여기에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상기 브래킷에 슬라이딩 및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per blade further includes a cover that is slidably and pivotally mounted to the bracket.

또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기 브래킷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어 차량의 주행중 와이퍼 블레이드가 유리면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좌우측 스포일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per blade may further include left and right spoilers which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racket on the frame to prevent the wiper blade from lifting from the glass surfac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상기 브래킷에 연결되는 와이퍼 암은 후크 타입 와이퍼 암 및 사이드 핀 타입 와이퍼 암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와이퍼 암일 수 있다.The wiper arm connected to the bracket may be any one of a wiper arm selected from a hook type wiper arm and a side pin type wiper arm.

또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어 차량의 와이퍼 암에 연결되는 보조 어댑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어댑터에 연결되는 와이퍼 암은 핀 타입 와이퍼 암일 수 있다.The wiper blade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adapter coupled to the bracket and connected to the wiper arm of the vehicle, and the wiper arm connected to the auxiliary adapter may be a pin type wiper arm.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품들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state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components of the wiper blade are separated.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는, 유리면에 접촉되어 선회운동하면서 유리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스트립(10)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10)이 결합되는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의 중앙에 설치되어 와이퍼 블레이드가 와이퍼 암(도시생략)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브래킷(5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per strip 10 to wipe the glass surface while turning in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the wiper strip 10 is coupled Frame 20 and a bracket 50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frame 20 so that the wiper blade can be connected to the wiper arm (not show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프레임(20)과 브래킷(50)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 프레임(20)과 브래킷(50)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한 조인트(40)와, 상기 브래킷(50)에 직선이동 및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per blade is interposed between the frame 20 and the bracket 50, the joint 40 for fixing the frame 20 and the bracket 50 to each other, The bracket 5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60 installed to be linearly movable and pivotable.

또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프레임(20) 상에는 브래킷(50)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좌우측 스포일러(30A, 30B)가 결합될 수 있어 차량의 주행중 와이퍼 블레이드가 유리면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poilers 30A and 30B may b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per blade frame 20, respectively, around the bracket 50, thereby preventing the wiper blade from being lifted from the glass surface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래킷(50)에 연결될 수 있는 와이퍼 암(도시생략)과는 다른 타입의 와이퍼 암(도시생략)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50)에 설치될 수 있는 보조 어댑터(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per arm (not shown) of the type different from the wiper arm (not shown)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bracket 50 can be installed in the bracket 50 It may further comprise a secondary adapter (8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부품을 별도의 후가공 없이 그대로 조립함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작할 수 있어, 와이퍼 블레이드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per blades can be manufactured by assembling each component as it is without additional post-processing,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effort required to manufacture the wiper blades, and improving productivity.

도 2에는 상기 보조 어댑터(80)가 조립된 상태의 와이퍼 블레이드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는 도시의 편의상 상기 와이퍼 스트립(10), 프레임(20) 및 좌우측 스포일러(30A, 30B)가 모두 직선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만곡되어 있다.2 shows a wiper blade with the auxiliary adapter 80 assembled. In addition, although the wiper strip 10, the frame 20, and the left and right spoilers 30A and 30B are shown in linear form in FIG. 2 and FIG. 3 for the convenience of illustration, they are actually curved.

상기 와이퍼 스트립(10)으로서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와이퍼 스트립(10)과 동일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 스트립(10)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좌우 한 쌍의 레일 홈(11)을 구비하고 있다.As the wiper strip 10,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wiper strip 10 shown in FIG. 1 may be used. As shown in FIG. 3, the wiper strip 10 may be a pair of left and right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rail groove 11 is provided.

다만, 종래의 와이퍼 스트립(10)의 레일 홈 내에는, 고무재질로 만들어진 와이퍼 스트립(10)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복수의 링크부재(3, 5, 7; 도 1 참조)와의 결합이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다란 보강용 철심(도시생략)이 삽입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이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의 링크부재(3, 5, 7; 도 1 참조)와 보강용 철심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보강용 철심은 본 발명에서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However, in the rail groove of the conventional wiper strip 10, while the wiper strip 10 made of a rubber material maintains a constant shape, the coupling with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3, 5, 7 (see FIG. 1) An elongated reinforcing iron core (not shown) is inserted so that it can be made reliably,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later, the frame 20 is a link member 3, 5, 7 in a conventional wiper blade; 1) and the reinforcing iron core, such a reinforcing iron core is no longer 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상기 프레임(20)을 나타낸 도면 이 도시되어 있다.4 shows a view of the frame 20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invention.

상기 프레임(20)은 와이퍼 스트립(10)이 차량의 유리면에 밀착되도록 일정한 탄성력으로 와이퍼 스트립(10)을 유리면에 대해 가압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곡률을 가지면서 만곡되어 있는 기다란 금속재 판 형상을 가진다.The frame 20 presses the wiper strip 10 against the glass surface with a constant elastic force such that the wiper strip 10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of the vehicle. To this end, the frame 20, as shown in Figure 2, has a long metal plate shape that is curved while having a plurality of curvatures.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릿(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21)에 상기 와이퍼 스트립(10)의 레일 홈(11)이 끼워짐으로써 와이퍼 스트립(10)은 프레임(20)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4, slits 21 are formed in the frame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rail groove 11 of the wiper strip 10 is fitted into the slit 21, the wiper strip 10 may be mounted to the frame 20.

또한, 상기 슬릿(21)의 일단에는 와이퍼 스트립(10)의 레일 홈(11)이 슬릿(2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와이퍼 스트립(10)의 상단부분(12)이 통과할 수 있도록 끼움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lit 21 allows the rail groove 11 of the wiper strip 10 to pass through the upper portion 12 of the wiper strip 10 so that the rail groove 11 of the wiper strip 10 may fit into the slit 21. 22) is formed.

상기 슬릿(21)과 끼움구멍(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와이퍼 스트립(10)의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2개씩 혹은 그 이상씩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와이퍼 스트립(10)의 상단부분(12)은 슬릿(21)과 끼움구멍(22)의 형성개수에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즉, 도 3 및 도 4에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슬릿(21)과 끼움구멍(22)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와이퍼 스트립(10)의 상단부분(12)도 그 길이방향을 따라 1개로 형성되어 있다.The slits 21 and the fitting holes 22 may be formed in the frame 20 one by one as shown in FIG. 4, and although not shown, two or more slits 21 to facilitate the coupling operation of the wiper strip 10. More than that may be formed. On the other hand, the upper portion 12 of the wiper strip 1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formation of the slit 21 and the fitting hole 22. That is, when one slit 21 and the fitting hole 22 are formed as shown in FIG. 3 and FIG. 4, for example, the upper end part 12 of the wiper strip 10 also has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it is formed in one.

또한 도 4의 확대된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임(20)의 중앙 외주부분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브래킷(50)과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오목부(23) 가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20)의 양쪽 말단 외주부분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우측 스포일러(30A, 30B)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2 오목부(2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the enlarged view of FIG. 4, a pair of first recesses 23 are formed at the center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frame 20 to maintain the engagement with the bracket 50, a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frame 20, a pair of second recesses 24 are formed, respectively, for maintaining engagement with the left and right spoilers 30A and 30B, a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스포일러(30A, 30B)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a)에는 좌측 스포일러(30A)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b)에는 우측 스포일러(30B)를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5 is a view showing the spoiler (30A, 30B)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ft spoiler (30A) seen from above, (b) is a right spoiler ( 30B)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상기 좌우측 스포일러(30A, 30B)는 고무나 연성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지며, 경사면을 가지고 있어 자동차가 고속으로 주행하더라도 와이퍼 블레이드가 유리면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한다.The left and right spoilers 30A and 30B are made of a rubber or soft plastic material, and have an inclined surface to prevent the wiper blades from lifting from the glass surface even when the vehicle is traveling at high speed.

도 5(a)의 확대된 도면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 스포일러(30A, 30B)의 하단 내주에는 제1 끼움홈(31A, 3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1 끼움홈(31A, 31B)에 프레임(20)의 외주가 끼워짐으로써 프레임(20)과 좌우측 스포일러(30A, 30B)가 서로 결합된다.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5 (a) and FIG. 5 (b), first fitting grooves 31A and 31B are formed in the lower inner circumference of the left and right spoilers 30A and 30B. The outer periphery of the frame 20 is fitted into the 31A, 31B so that the frame 20 and the left and right spoilers 30A, 30B ar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도 5(b)의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끼움홈(31A, 31B)의 말단부분 내에는 상술한 프레임(20)의 제2 오목부(24)에 삽입되는 결합유지용 돌기(32B)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스포일러(30A)는 우측 스포일러(30B)와 대칭관계이므로 좌측 스포일러(30A)를 도시한 도 5(a)에는 결합유지용 돌기의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우측 스포일러(30B)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형상의 결합유지용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좌우측 스포일러(30A, 30B)의 결합유지용 돌기(32B)와 프레임(20)의 제2 오목부(24) 사이의 결합에 의해 프레임(20)과 좌우측 스포일러(30A, 30B) 사이의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5 (b), the engaging retain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ssed portion 24 of the frame 20 described above in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fitting grooves 31A and 31B. 32B is formed. Since the left spoiler 30A is symmetrical with the right spoiler 30B, the left spoiler 30A is not shown in Fig. 5 (a) showing the engagement retaining projection, but the same shape at the same position as the right spoiler 30B. The engaging retaining projection of is formed. The engagement state between the frame 20 and the left and right spoilers 30A and 30B by the engagement between the engagement holding projections 32B of the left and right spoilers 30A and 30B and the second recess 24 of the frame 20. Can be maintained.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조인트(40)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a)에는 사시도가, (b)에는 평면도가, (c)에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6 is a view showing a joint 40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a perspective view, (b) a plan view, and (c) a side view.

상기 조인트(40)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합금 혹은 아연합금으로 만들어지며, 프레임(20)과 브래킷(50) 사이에 개재되어 브래킷(50)이 프레임(20)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joint 40 is made of plastic, aluminum alloy or zinc alloy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frame 20 and the bracket 50 so that the bracket 50 can be fixed on the frame 20.

도 6(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40)의 내부 좌우측에는 프레임(20)이 끼워지는 제2 끼움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끼움홈(41)에 프레임(20)을 삽입함으로써 조인트(40)는 프레임(20)에 결합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S. 6A and 6C, second fitting grooves 41 into which the frame 20 is fitted are form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joint 40. The joint 40 may be coupled to the frame 20 by inserting the frame 20 into the second fitting groove 41.

도 6(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인트(40)의 길이방향 중심부분에는 한 쌍의 결합구멍(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결합구멍(42)의 외측에는 돌출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결합구멍(42)과 돌출부(4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브래킷(50)과의 결합을 위해 활용된다.As shown in Figs. 6A and 6B, a pair of engaging holes 42 ar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joint 4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otrusions 43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engaging holes 42. ) Is formed. These coupling holes 42 and the projections 43 are utilized for coupling with the bracket 50, as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상기 조인트(40)는 프레임(20)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조인트(40)의 결합구멍(42)과 프레임(20)의 제1 오목부(23)를 정렬시킨 후, 브래킷(50)을 결합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joint 40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rame 20, for this purpose after aligning the coupling hole 42 of the joint 40 and the first recess 23 of the frame 20 Join the bracket (50).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브래킷(50)을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a)에는 위쪽에서 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b)에는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c)에는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7 is a view showing the bracket 50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b)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c )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상기 브래킷(50)은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이 프레임(20)의 중심부분에 끼워져 있는 조인트(40)를 통하여 프레임(20) 상에 고정된다. 즉, 브래킷(50)의 결합 전에, 상술한 바와 같이 조인트(40)의 결합구멍(42)과 프레임(20)의 제1 오목부(23)를 정렬시킨 상태로 조인트(40)를 프레임(20)에 결합시킨 다음, 이 조인트(40)를 통하여 브래킷(50)을 프레임(20)에 고정시킨다.The bracket 50 may be made of plastic or the like, and is fixed on the frame 20 through a joint 40 inserted into a central portion of the frame 20 as follows. That is, before the bracket 50 is engaged, the joint 40 is moved to the frame 20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hole 42 of the joint 40 and the first recess 23 of the frame 20 are aligned as described above. ), And then the bracket 50 is fixed to the frame 20 through the joint 40.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50)의 내부 좌우측면에는 정렬된 상기 결합구멍(42)과 제1 오목부(23)를 동시에 삽입 관통하는 한 쌍의 삽입편(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편(51)의 외측에는 상기 조인트(40)의 돌출부(43)와 걸어 맞춰지는 걸림구멍(52)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B, a pair of insertion pieces 51 penetrating through the aligned coupling holes 42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23 at the inn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racket 50 at the same time. The engaging hole 52 which is engaged with the protrusion part 43 of the said joint 40 is formed in the outer side of this insertion piece 51. As shown in FIG.

상기 삽입편(51)은 조인트(40)의 결합구멍(42)을 관통하여 프레임(20)의 제1 오목부(23)와 결합된다. 이와 같은 조인트(40)의 결합구멍(42)을 통한 브래킷(50)의 삽입편(51)과 프레임(20)의 제1 오목부(23)와의 결합에 의해, 그리고 조인트(40)의 돌출부(43)와 브래킷(50)의 걸림구멍(52)과의 결합에 의해, 브래킷(50)은 프레임(20) 상에 고정될 수 있다.The insertion piece 51 penetrates through the coupling hole 42 of the joint 40 and is engaged with the first recess 23 of the frame 20. By joining the insertion piece 51 of the bracket 50 through the engaging hole 42 of the joint 40 and the first recess 23 of the frame 20, and the protrusion of the joint 40 ( By combining the fastening hole 52 of the bracket 50 with the bracket 43, the bracket 50 can be fixed on the frame 20.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브래킷(5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버(60)가 직선이동 및 선회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단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안 내홈(53)과, 결합된 커버(60)가 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버(60)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고정돌기(54) 및 한 쌍의 걸어맞춤 홈(58)을 가진다.Referring to FIG. 7 (a), the bracket 50 has a pair of inner grooves 53 formed on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cover 60 can be linearly moved and pivotally coupled as described below. The combined cover 60 has a pair of fixing protrusions 54 and a pair of engaging grooves 58 for fixing the cover 60 as described below to maintain the engaged state.

브래킷(50)의 일측(도 7에서 볼 때 오른쪽)에 형성된 걸어맞춤 홈(58)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버(60)의 일측(도 8에서 볼 때 오른쪽)의 제1 걸어맞춤부(64)가 걸리고, 브래킷(50)의 타측(도 7에서 볼 때 왼쪽)에 형성된 고정돌기(54)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버(60)의 타측(도 8에서 볼 때 왼쪽)에 형성된 제2 걸어맞춤부(65)가 걸림으로써 이 커버(60)가 브래킷(50) 상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The engagement groove 58 formed on one side (right side in FIG. 7) of the bracket 50 has a first engagement portion 64 on one side (right side in FIG. 8) of the cover 60, as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 second engagement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left side when viewed in FIG. 8) of the cover 60 to the fixing protrusion 54 formed on the other side (left side when viewed in FIG. 7) of the bracket 50. By enclosing 65, this cover 60 can be stably combined on the bracket 50.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브래킷(50)은 좌우측면 상단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대략 원통형상의 연결부(55)를 가지며, 이 연결부(55)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조 어댑터(80)의 연결 돌기(85)가 걸림으로써 이 보조 어댑터(80)가 브래킷(50) 상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bracket 50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connecting portion 55 connecting the upper and left side portions to each other, and this connecting portion 55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rotrusion 85 of the auxiliary adapter 80 as described later. The auxiliary adapter 80 can be stably coupled on the bracket (50).

상기 브래킷(50)의 좌우측면에는 원형의 제1 및 제2 관통구멍(56, 57)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 제1 관통구멍(56)은 상기 연결부(55)와 동심축선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1 관통구멍(56)과 제2 관통구멍(57)의 직경은 서로 상이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관통구멍(56)의 직경이 제2 관통구멍(57)의 직경보다 작은 것으로 되어 있지만, 그 반대도 가능하다. 제1 관통구멍(56)에는 핀 타입의 와이퍼 암(도 12 참조)이 삽입되고, 제2 관통구멍(57)에는 사이드 핀 타입의 와이퍼 암(도 11 참조)이 삽입된다.Circular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56 and 57 ar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racket 50, and first through holes 56 are formed on the concentric axis with the connection part 55. . In addition, the diameters of the first through hole 56 and the second through hole 57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is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56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through hole 57. But the reverse is also possible. A pin type wiper arm (see FIG. 12)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56, and a side pin type wiper arm (see FIG. 1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57.

한편 상기 브래킷(5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 타입 와이퍼 암(91)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7(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래킷(50)의 연결부(55)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되는 한 쌍의 제1 볼록부(74a) 및 한 쌍의 제2 볼록부(74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제1 및 제2 볼록부(74a, 74b)에 의해 브래킷(50)에 결합되는 후크 타입 와이퍼 암(91)의 빠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10, a hook type wiper arm 91 may be connected to the bracket 50. To this end, as shown in FIGS. 7A and 7C, a pair of first protrusions 74a protruding to face each other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nnection portion 55 of the bracket 50 and A pair of second convex portions 74b are formed, and the detachment of the hook type wiper arm 91 coupled to the bracket 50 by these first and second convex portions 74a and 74b can be prevented. Will be.

즉, 후크 타입 와이퍼 암(91)의 고리부의 치수에 따라서, 작은 치수의 고리부를 가지는 경우에는 연결부(55)와 제1 볼록부(74a) 사이에 고리부가 결합되고, 큰 치수의 고리부를 가지는 경우에는 제1 볼록부(74a)와 제2 볼록부(74b) 사이에 고리부가 결합됨으로써 브래킷(50)에 결합되는 후크 타입 와이퍼 암(91)의 빠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That i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type wiper arm 91, in the case of having a ring portion of a small size, the ring portion is coupled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55 and the first convex portion 74a, and has a ring portion of a large dimension. The hook portion is coupled between the first convex portion 74a and the second convex portion 74b so that the hook type wiper arm 91 coupled to the bracket 5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또한, 상기 브래킷(50)의 내부에는 일측(도 7에서 볼 때 오른쪽)으로 연장되는 탄성 레버(7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탄성 레버(75)에 의해 브래킷(50)에 결합되는 사이드 핀 타입 와이퍼 암(93)의 빠짐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bracket 50 is formed with an elastic lever 75 extending to one side (right side in FIG. 7), the side pin type coupled to the bracket 50 by the elastic lever 75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per arm 93 from being pulled out.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커버(60)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a)에는 위쪽에서 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b)에는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8 is a view showing a cover 60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and (b)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상기 커버(60)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상술한 바와 같이 브래킷(50) 상에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바람의 저항 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브래킷(50)과, 이 브래킷(50) 내에 결합되는 후크 타입 와이퍼 암(도 10 참조) 등을 보호한다.The cover 60 is made of plastic, which is coupled to the bracket 50 as described above to enhance the appearance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reduce the resistance of the wind, and at the same time, It protects the hook type wiper arm (see FIG. 10), etc., which are coupled to the bracket 50.

도 8(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60)의 일측 말단에는 브래킷(50)의 안내홈(53)에 각각 끼워져 슬라이딩 또는 선회 운동하는 한 쌍의 안내돌기(61)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안내돌기(61)의 말단에는 걸림턱(62)이 형성되어 안내돌기(61)가 안내홈(53)을 따라서 슬라이딩, 즉 직선이동할 때 회전 및 빠짐을 방지한다.As shown in Figure 8 (a) and (b), one end of the cover 60 is fitted into the guide groove 53 of the bracket 50, respectively, a pair of guide projections 61 for sliding or pivoting movement Are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 locking jaw 6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guide protrusion 61 to prevent rotation and slippage when the guide protrusion 61 slides along the guide groove 53, that is, linearly moves.

또한, 상기 커버(60)가 브래킷(50)에 결합되어 있을 때 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60)의 일측(도 8에서 볼 때 오른쪽) 선단에는 제1 걸어맞춤부(64)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도 8에서 볼 때 왼쪽) 선단에는 제2 걸어맞춤부(65)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engaging portion 64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one side (right side in FIG. 8) of the cover 60 so that the cover 60 is maintained when the cover 60 is coupled to the bracket 50. Is formed,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65 is formed at the other end (left side in FIG. 8).

즉, 제1 걸어맞춤부(64)에는 브래킷(50)의 일측(도 7에서 볼 때 오른쪽)에 형성된 걸어맞춤 홈(58)이 끼워지고, 제2 걸어맞춤부(65)에는 브래킷(50)의 타측(도 7에서 볼 때 왼쪽)에 형성된 고정돌기(54)가 끼워짐으로써 이 커버(60)가 브래킷(50) 상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engagement groove 58 formed in one side (right side in FIG. 7) of the bracket 50 is fitted into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64, and the bracket 5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65. Fixing protrusions 54 formed on the other side (left side when viewed in FIG. 7) are fitted to allow the cover 60 to be stably coupled on the bracket 50.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보조 어댑터(80)를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a)에는 위쪽에서 본 사시도가, (b)에는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가, (c)에는 정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9 is a view showing the auxiliary adapter 80 of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from above, (b)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and (c) a front cross-sectional view Is shown.

상기 보조 어댑터(80)는 플라스틱, 알루미늄 합금 혹은 아연합금으로 만들어 지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타입 와이퍼 암(95)과 연결될 수 있다.The auxiliary adapter 80 is made of plastic, aluminum alloy or zinc alloy, and can be connected to the pin type wiper arm 95 as shown in FIG.

도 9(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어댑터(80)의 중앙부분에는 브래킷(50)의 연결부(55)에 끼워지는 제3 개구부(8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어댑터(80)의 좌우측 표면에는 핀 타입 와이퍼 암(95)의 핀 부재(95a)가 삽입되는 삽입구멍(8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어댑터(80)의 상부표면에는 핀 타입 와이퍼 암(95)의 파지부(95b)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83)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9B and 9C, a third opening 8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auxiliary adapter 80 to be fit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55 of the bracket 50.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auxiliary adapter 80 is formed with an insertion hole 82 into which the pin member 95a of the pin type wiper arm 95 is insert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adapter 80 has a pin type. A seating portion 83 on which the grip portion 95b of the wiper arm 95 can be seated is formed.

상기 브래킷(50)과의 결합시 보조 어댑터(80)의 일측(도 9에서 볼 때 오른쪽) 말단부분은 브래킷(50)의 일측 내부표면과 맞닿으며, 타측(도 9에서 볼 때 왼쪽)에는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연결 돌기(8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 돌기(85)는 브래킷(50)의 연결부(55)에 걸림으로써 보조 어댑터(80)가 브래킷(50) 상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One side (right side when viewed in FIG. 9) of the auxiliary adapter 80 when the coupling with the bracket 5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one side of the bracket 50, the other side (the left side when viewed in Figure 9) The connection protrusion 85 which protrudes is formed. The connecting protrusion 85 is caught by the connecting portion 55 of the bracket 50 so that the auxiliary adapter 80 can be stably coupled on the bracket 50.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다양한 타입의 와이퍼 암과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사이의 결합방법을 설명한다.10 to 12, a coupling method between various types of wiper arms and a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0의 (a) 내지 (e)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후크 타입 와이퍼 암(91)과의 결합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커버(60)의 제2 걸어맞춤부(65)와 브래킷(50)의 고정돌기(54) 사이의 걸어맞춤 상태를 해제시킨 다음, 커버(60)를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시킨 후 도 10(b)와 같이 선회시켜 들어올린다.10 (a) to 10 (e) show a sequential view of the coupling between the wiper blade and the hook type wiper arm 9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engagement state between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65 of the cover 60 and the fixing protrusion 54 of the bracket 50 is released, and then the cover 60 is shown in FIG. 10 (a). After sliding, it is lifted by turning as shown in FIG. 10 (b).

계속해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어올려진 커버(60)의 아래쪽으로 후크 타입 와이퍼 암(91)의 고리부분을 삽입하여 브래킷(50)과 결합시킨다. 그 후 도 10(d) 및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60)를 선회 및 슬라이딩시켜 최초 결합위치로 복귀시킨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10 (c), the hook portion of the hook type wiper arm 91 is inserted below the lifted cover 60 to engage with the bracket 50. Thereafter, as shown in FIGS. 10 (d) and 10 (e), the cover 60 is pivoted and slid to return to the initial engagement position.

후크 타입 와이퍼 암(91)을 분리시키는 과정은 상술한 수순의 역순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후크 타입 와이퍼 암(91)은 고리부분의 크기나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것들이 현재 사용되고 있지만, 그 결합과정은 모두 동일하다.Since the process of detaching the hook type wiper arm 91 is the reverse of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hook type wiper arm 91 is currently used in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size and length of the ring portion, but the coupling process is the same.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사이드 핀 타입 와이퍼 암(93)과의 결합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FIG. 11 is a view sequentially illustrating the engagement of the wiper blade and side pin type wiper arm 9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핀 타입 와이퍼 암(93)의 사이드 핀 부재(93a)는, 양쪽의 대직경부(93b)와, 가운데의 소직경부(93c)로 이루어진다. 제2 관통구멍(57)에 삽입된 사이드 핀 타입 와이퍼 암(93)의 사이드 핀 부재(93a)는 상술한 바와 같이 브래킷(50)의 탄성 레버(75)에 의해서 빠짐이 방지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 레버(75)가 사이드 핀 부재(93a)의 소직경부(93c)에 걸림으로써 사이드 핀 타입 와이퍼 암(93)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1, the side pin member 93a of the side pin type wiper arm 93 consists of both large diameter part 93b and the small diameter part 93c in the middle. The side pin member 93a of the side pin type wiper arm 93 inserted into the second through hole 57 is prevented from being pulled out by the elastic lever 75 of the bracket 50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the elastic lever 75 is engaged with the small diameter portion 93c of the side pin member 93a to maintain the engaged state of the side pin type wiper arm 93.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핀 타입 와이퍼 암(95)과의 결합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타입 와이퍼 암(95)과의 결합을 위해 브래킷(50)에는 보조 어댑터(80)가 장착되어 있다.12 is a view sequentially showing the engagement of the wiper blade and the pin type wiper arm 95 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hown, the auxiliary adapter 80 is mounted to the bracket 50 for engagement with the pin type wiper arm 95.

핀 타입 와이퍼 암(95)은, 상기 보조 어댑터(80)의 삽입구멍(82) 및 상기 브래킷(50)의 제1 관통구멍(56)을 통해 제3 개구부(81)에 삽입되는 핀 부재(95a)와, 상기 보조 어댑터(80)의 상부표면을 가로질러 형성된 안착부(83)에 안착되도록 말단부분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파지부(95b)를 가진다.The pin type wiper arm 95 is inserted into the third opening 81 through the insertion hole 82 of the auxiliary adapter 80 and the first through hole 56 of the bracket 50. ) And a gripping portion 95b whose end portion is bent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so as to rest on a seating portion 83 formed across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adapter 80.

상기 핀 타입 와이퍼 암(95)을 보조 어댑터(80)에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타입 와이퍼 암(95)을 선회시킨 상태로 보조 어댑터(80)의 측면을 향하여 이동시켜, 핀 타입 와이퍼 암(95)의 핀 부재(95a)를 보조 어댑터(80)의 삽입구멍(82) 내로 삽입한다. 그 후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타입 와이퍼 암(95)을 선회시켜 파지부(95b)가 안착부(83) 상에 안착되도록 한다.In order to mount the pin type wiper arm 95 to the auxiliary adapter 80, the pin type wiper arm 95 is turned toward the side of the auxiliary adapter 80 with the pin type wiper arm 95 pivoted as shown in FIG. By moving, the pin member 95a of the pin type wiper arm 95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82 of the auxiliary adapter 80. Thereafter, as shown in FIG. 12B, the pin type wiper arm 95 is pivoted so that the grip portion 95b is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83.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wiper bla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들 사이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다양한 타입의 와이퍼 암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improving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wiper blade, there is provided a wiper blade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that various types of wiper arms can be coupled.

본 발명의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하면, 각각의 부품을 별도의 후가공 없이 그 대로 조립함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작할 수 있어, 와이퍼 블레이드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과 노력을 절감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wiper blad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wiper blade by assembling each component as it is without additional post-processing,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and effort required to manufacture the wiper blade, and to improve productivity.

Claims (17)

차량의 와이퍼 암에 결합되어 유리면을 닦는 와이퍼 블레이드로서, A wiper blade that is attached to the wiper arm of a vehicle to wipe the glass surface, 유리면에 접촉되어 이 유리면을 닦아내는 와이퍼 스트립과; A wiper strip in contact with the glass surface to wipe the glass surface; 상기 와이퍼 스트립이 결합되는 프레임과; A frame to which the wiper strip is coupled;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되어 차량의 와이퍼 암에 연결되는 브래킷과; A bracket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frame and connected to the wiper arm of the vehicle; 상기 프레임과 브래킷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브래킷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조인트; 를 포함하며, A joint interposed between the frame and the bracket to secure the bracket to the frame; Including; 상기 브래킷은, 서로 상이한 직경을 갖도록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원형의 제1 및 제2 관통구멍으로서, 상응하는 직경의 핀 부재를 갖는 핀 타입 와이퍼 암이 결합될 수 있는 상기 제1 관통구멍과, 상응하는 직경의 사이드 핀 부재를 갖는 사이드 핀 타입 와이퍼 암이 결합될 수 있는 상기 제2 관통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The bracket is a circular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o have different diameters, the first through hole to which a pin type wiper arm having a pin member of a corresponding diameter can be coupled, And a second through hole to which a side pin type wiper arm having a diameter side pin member can be engaged.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상기 브래킷에 슬라이딩 및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The wiper blade further comprises a cover that is slidably and pivotally mounted to the bracket.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상기 프레임 상에서 상기 브래킷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어 차량의 주행중 와이퍼 블레이드가 유리면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좌우측 스포일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The wiper blade further comprises a left and right spoiler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racket on the frame to prevent the wiper blade from lifting from the glass surfac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브래킷에 연결되는 와이퍼 암은 후크 타입 와이퍼 암 및 사이드 핀 타입 와이퍼 암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와이퍼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The wiper arm connected to the bracket is a wiper arm selected from any one of a hook type wiper arm and a side pin type wiper arm.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는,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어 차량의 와이퍼 암에 연결되는 보조 어댑터를 더 포함하며, The wiper blade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adapter coupled to the bracket and connected to the wiper arm of the vehicle. 상기 보조 어댑터에 연결되는 와이퍼 암은 핀 타입 와이퍼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A wiper blade, wherein the wiper arm connected to the auxiliary adapter is a pin type wiper arm.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와이퍼 스트립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좌우 한 쌍의 레일 홈을 가지며, The wiper strip has a pair of left and right rail groov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프레임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레일 홈이 끼워지는 슬릿과, 상기 와이퍼 스트립이 슬릿에 끼워질 때 상기 와이퍼 스트립의 상단부분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슬릿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구멍과, 상기 브래킷과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중앙 외주부분에 형성되는 제1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The frame has a slit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which the rail groove of the wiper strip is fitted, and a fitting formed at one end of the slit so that an upper end portion of the wiper strip can pass when the wiper strip is fitted into the slit. A wiper blade having a hole and a first concave portion formed in a central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to maintain an engagement state with the bracket. 청구항 3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프레임은, 상기 좌우측 스포일러와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양쪽 말단 외주부분에 형성되는 제2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The frame has a wiper blade having a second reces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both ends in order to maintain the engagement state with the left and right spoiler. 청구항 7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상기 좌우측 스포일러는, 하단 내주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외주가 끼워지는 제1 끼움홈과, 상기 제1 끼움홈의 말단부분 내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제2 오목부에 삽입되는 결합유지용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The left and right spoilers have a first fitting groove formed at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end and fitted with an outer end of the frame, and a coupling retaining protrusion formed in an end portion of the first fitting groove and inserted into a second recess of the frame. Wiper blades,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조인트는, 내부 좌우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이 끼워지는 제2 끼움홈과, 길이방향 중심부분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구멍과, 상기 결합구멍의 외측에 형성되는 돌출부를 가지며, The joint has a second fitt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left and right sides to which the frame is fitted, a pair of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rotrusion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upling hole, 상기 브래킷은 상기 결합구멍 및 돌출부를 통해 상기 조인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And the bracket is coupled to the joint through the engaging hole and the protrusion. 청구항 9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상기 프레임은, 상기 브래킷과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중앙 외주부분에 형성되는 제1 오목부를 가지며, The frame has a first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central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to maintain the engagement state with the bracket, 상기 조인트는 상기 결합구멍과 상기 프레임의 제1 오목부를 정렬시킨 후 상기 브래킷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And the joint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frame by aligning the coupling hole with the first recess of the frame and engaging the bracket. 청구항 10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상기 브래킷은, 내부 좌우측면에 형성되어 정렬된 상기 결합구멍 및 제1 오목부를 동시에 삽입 관통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조인트의 돌출부와 걸어 맞춰지는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The bracket may include an insertion piece form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sertion hole and simultaneously inserting the coupling hole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and a locking hole formed outside the insertion piece and engaged with the protrusion of the joint. Wiper blades. 청구항 1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브래킷은, 상기 커버가 직선이동 및 선회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단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안내홈과, 결합된 상기 커버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를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브래킷의 일측에 형성된 걸어맞춤 홈 및 상기 브래킷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The bracke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racket to fix the cover to maintain the combined state of the guide groove formed on the lower left and right and right side so that the cover can be linearly moved and pivotally coupled to the cover The wiper blade having an engaging groove and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racket. 청구항 12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상기 커버는, 일측 말단에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브래킷의 안내홈에 끼워지는 안내돌기와, 상기 안내돌기의 말단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브래킷의 걸어맞춤 홈이 걸리는 제1 걸어맞춤부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브래킷 고정돌기가 걸리는 제2 걸어맞춤부(6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The cover is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t one end of the guide projection to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of the bracket, the engaging jaw formed at the end of the guide projection, is formed on one side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of the bracket A wiper blade having a first engagement portion and a second engagement portion (65) formed on the other side to which the bracket fixing protrusion is engaged. 청구항 5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브래킷은, 좌우측면 상단부분을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조 어댑터가 장착되는 연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The bracket, the wiper bla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to connect the left and right upper end portions to each other, the auxiliary adapter is mounted. 삭제delete 청구항 4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브래킷은,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는 후크 타입 와이퍼 암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좌우측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되는 한 쌍씩의 제1 및 제2 볼록부와, 상기 브래킷에 결합되는 사이드 핀 타입 와이퍼 암의 빠짐을 방지하도록 일측으로 연장되는 탄성 레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The bracket includes a pair of first and second convex parts projecting to face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o prevent the hook type wiper arm from being coupled to the bracket, and the side pin type wiper arm coupled to the bracket. The wiper blade having an elastic lever extending to one side to prevent the. 청구항 14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상기 보조 어댑터는, 상기 브래킷의 연결부에 끼워지도록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와, 좌우측 표면에 형성되어 핀 타입 와이퍼 암의 핀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구멍과, 상부표면에 형성되어 핀 타입 와이퍼 암의 파지부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브래킷의 연결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보조 어댑터가 상기 브래킷 상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어댑터의 아래쪽으로 돌출 형성된 연결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The auxiliary adapter may include a third opening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auxiliary adapter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bracket,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urfaces to insert the pin member of the pin type wiper arm, and a pin type wiper arm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a seating part on which the gripping part of the gripping part is seated, and a connection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auxiliary adapter so that the auxiliary adapter can be stably coupled on the bracket by being caught by the connection part of the bracket.
KR1020070052518A 2007-05-21 2007-05-30 Wiper blade KR1008899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518A KR100889958B1 (en) 2007-05-30 2007-05-30 Wiper blade
JP2007326437A JP4712025B2 (en) 2007-05-21 2007-12-18 Wiper blade
ES07150245T ES2401351T3 (en) 2007-05-21 2007-12-20 Wiper Blade
PT71502454T PT1995130E (en) 2007-05-21 2007-12-20 Wiper blade
PL07150245T PL1995130T3 (en) 2007-05-21 2007-12-20 Wiper blade
EP07150245A EP1995130B1 (en) 2007-05-21 2007-12-20 Wiper blade
US12/005,173 US8191200B2 (en) 2007-05-21 2007-12-20 Wiper blade
CN2007101610739A CN101311043B (en) 2007-05-21 2007-12-26 Wiper blade
CA2617013A CA2617013C (en) 2007-05-21 2008-01-07 Wiper bla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2518A KR100889958B1 (en) 2007-05-30 2007-05-30 Wiper bla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227A KR20080105227A (en) 2008-12-04
KR100889958B1 true KR100889958B1 (en) 2009-03-20

Family

ID=40366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2518A KR100889958B1 (en) 2007-05-21 2007-05-30 Wiper bla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95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547B1 (en) 2012-03-30 2012-11-15 주식회사 캐프 A Wiper Blade Assembly
KR101381152B1 (en) * 2009-11-17 2014-04-0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Adapter for connecting a connecting element at the end of a wiper arm to a wiper blade in particular of flat beam constru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004B1 (en) 2009-08-26 2011-12-22 주식회사 캐프 Multi-adapter of vehicle wiper
DE102009029470A1 (en) * 2009-09-15 2011-03-24 Robert Bosch Gmbh Wiper blade with an adapter unit for attachment to a wiper arm
KR101170905B1 (en) 2010-09-10 2012-08-06 김인규 Connecting unit for hook wiper arm and flat wiper blade with the same
KR101254582B1 (en) * 2010-12-14 2013-04-15 주식회사 캐프 Wiper device
KR101433220B1 (en) 2012-06-25 2014-08-25 주식회사 캐프 A Wiper Blade Assembly
KR101474838B1 (en) 2013-07-01 2014-12-22 주식회사 캐프 A Wiper Blade Assembly
KR101645258B1 (en) 2016-03-28 2016-08-04 케이비와이퍼시스템 주식회사 Wiper bla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3725A1 (en) * 1984-04-26 1986-06-11 Union Carbide Corp Substituted aluminosilicate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KR200418593Y1 (en) 2006-03-27 2006-06-14 강동훈 A flat wipe blade for the vehicle
KR20060134912A (en) * 2004-04-22 2006-12-28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Wiper blade
EP1829758A1 (en) * 2006-03-03 2007-09-05 Chin-Lien Lin Windshield wiper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83725A1 (en) * 1984-04-26 1986-06-11 Union Carbide Corp Substituted aluminosilicate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KR20060134912A (en) * 2004-04-22 2006-12-28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Wiper blade
EP1829758A1 (en) * 2006-03-03 2007-09-05 Chin-Lien Lin Windshield wiper assembly
KR200418593Y1 (en) 2006-03-27 2006-06-14 강동훈 A flat wipe blade for the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152B1 (en) * 2009-11-17 2014-04-04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Adapter for connecting a connecting element at the end of a wiper arm to a wiper blade in particular of flat beam construction
KR101201547B1 (en) 2012-03-30 2012-11-15 주식회사 캐프 A Wiper Blad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5227A (en) 200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959B1 (en) Wiper blade
KR100889958B1 (en) Wiper blade
JP4712025B2 (en) Wiper blade
EP1681216B1 (en) Windshield wiper device
JP4343827B2 (en) Front glass window cleaner
JP5058250B2 (en) Windshield wiper device
US8499408B2 (en) Windshield wiper device
JP5444454B2 (en) Windshield wiper device
RU2577981C1 (en) Wiper brush
KR101135637B1 (en) Wiper blade
CA2797612C (en) Wiper blade
JP4067912B2 (en) Wiper blade coupling member and wiper blade
JP2011116365A (en) Wiper for vehicle
KR101766944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JP2015214181A (en) Connection structure for wiper blade
JP6093400B2 (en) Wiper blade
JP5677567B2 (en) Windshield wiper device
KR100888014B1 (en) Assembly for wiper blade for cleaning windows of motor vehicles
JP2005059630A (en) Wiper-attaching tool, and wiper
JP2001080469A (en) Wiper structure
US20230147393A1 (en) Cover for wiper system connection device
KR20090000773U (en) Wiper blade
KR101611060B1 (en) The One-touch slide assembly and assembly of the wiper device
EP2599673B1 (en) Wiper blade
KR20000074023A (en) Wiper for bus having winding b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