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070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Numbe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Number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070B1
KR100889070B1 KR1020070071842A KR20070071842A KR100889070B1 KR 100889070 B1 KR100889070 B1 KR 100889070B1 KR 1020070071842 A KR1020070071842 A KR 1020070071842A KR 20070071842 A KR20070071842 A KR 20070071842A KR 100889070 B1 KR100889070 B1 KR 100889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obile communication
dial
communication terminal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8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08691A (en
Inventor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filed Critical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Priority to KR1020070071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070B1/en
Publication of KR20090008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6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0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6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pictorial or graphical repres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획일화된 발신번호 입력 방식을 탈피하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번호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하며, 발신번호 입력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 전원의 잔량 및 수신전계강도 등을 표시하는 한편, 발신번호 입력을 제공하는 다이얼 입력창을 표시하고, 발신번호의 입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발신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 펜 또는 기타 입력 수단을 통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번호가 가압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상기 입력된 번호를 전달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발신번호가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도록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전달하는 터치스크린부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of a terminal by providing a caller ID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to avoid a uniform caller ID input method and a caller ID input method using the sa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s a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caller ID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caller ID input,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remaining power level and a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displaying a dial input window for providing a calling number input, and displaying a corresponding calling numbe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if an input of a calling number exists; And when the numb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pressed by a user through a touch screen pen or other input means, transfers the input number to the control unit, and outputs the calling number input by the user to the display unit. And a touch screen unit for transmitting the output signal to the display unit.

이동통신 단말기, 발신번호, 터치스크린 Mobile terminal, calling number, touch screen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Number Using The Same}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entering calling number using the sam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Numb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획일화된 발신번호 입력 방식을 탈피하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of a terminal by providing a calling number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thereby avoiding a uniform calling number input method. It relates to a calling number input method used.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휴대폰, 셀룰러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각종 무선통신장치)는 사용자가 전화선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하기 위해 등장하였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급격한 발전을 거듭하여 근래에는 단순한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데이터 서비스 및 인터넷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서비스의 발전과 더불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많은 기능들이 내장되도록 구성되고 있다.In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cellular phones, and personal digital assistants) have emerged for use regardless of telephone lines. Su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undergone rapid development, and in recent years, various services such as data services and Internet services, as well as simple voice calls, can be provide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se services, many functions are buil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ceive such services.

그러나 이러한 기능들은 모두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부피가 증대되고 무게가 증가될 수 밖에 없어 휴대에 불편이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위한 개발은 계속 진행중에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ll these functions, the volume can be increased and the weight can be increased,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in carrying. Therefore, development for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ongoing.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작 편의를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피 축소에 한계점을 가질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제어신호 입력을 위한 기본적인 키들을 구비해야만 한다. 즉,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 키들과 전화 사용 시 특수한 기능에 사용되는 '*' 키 및 '#' 키가 필요하다. 또한 전원을 사용하기 위한 전원 키 그리고 통화 키 및 각종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 키들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키들은 사용자가 눌러서 사용하는 것으로 적정한 크기 이하로 줄이는데 커다란 문제가 있다. 이는 너무 작은 크기로 키를 만들 경우 사용자가 키를 누르기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키의 크기에 따라 적정한 부피 이하로 이동통신 단말을 줄일 수 없게 된다.However, for convenience of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no limit in reducing the volu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ust have basic keys for inputting a control signal of a user. In other words, the number keys for dialing and the '*' and '#' keys are used for special functions when using the telephone. In addition, a power key for using power and a call key and function keys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should be provided. As such, the key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a big problem in reducing to less than an appropriate size by being pressed by the user. This is because creating a key that is too small will make it difficult for the user to press the key.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redu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an appropriate volume or les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key.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발신측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측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방법은 대개 두 가지 방식이 있다.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there are generally two methods of connecting a call by inputting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all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첫 번째 방식은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에서 숫자 키를 눌러 수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고, 통화 키를 눌러 입력된 전화번호로 통화가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In the first method, the calling terminal user directly input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ing terminal by pressing a numeric key on the keypa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esses the call key so that the call is connected to the input telephone number.

두 번째 방식은 발신측 단말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네비게이션 버튼(navigation button)또는 스크롤 버튼(scroll button) 등의 검색 버튼으로 검색한 다음 별도의 전화번호 선택 키로 검색된 전화번호를 선택하고, 통화 키를 눌러 선택된 전화번호로 통화가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In the second method, the calling terminal user searches the phone numbe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search button such as a navigation button or a scroll button, and then retrieves the phone number using a separate phone number selection key. Select and press the call key to connect the call to the selected phone number.

또한, 검색 버튼으로 네비게이션 버튼 또는 스크롤 버튼을 이용하지 않고 단말기의 소정 위치에 판스프링과 접점을 이용한 스위칭 방식의 조그 다이얼(jog dial)을 장착하여 조그 다이얼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스크롤에 따라 저장된 전화번호 정보를 검색한 다음 별도의 전화번호 선택 키로 검색된 전화번호를 선택하고, 통화 키를 눌러 검색된 전화번호로 통화가 연결되도록 하는 방식도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rch button is equipped with a switching type jog dial using a leaf spring and a contac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terminal without using a navigation button or a scroll button. After searching the information, a separate phone number selection key may be used to select a searched phone number and press a call key to connect the call to the searched phone number.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통화 연결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피 또는 무게 축소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으며, 획일화된 방식에 불과하여 다양한 취향을 지닌 소비자의 만족도를 모두 충족시킬 수 없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call connection method has a limitation in reducing the volume or weigh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only a uniform method and cannot satisfy all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with various tastes.

또한, 근래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여 많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게 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LCD와 같은 표시창의 크기의 증가가 요구되고 있다. 즉, 많은 데이터를 한번에 확인하기 위해서 더 큰 표시창이 요구된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In addition, recently, since a large number of data services are provide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increase in the size of a display window such as an LCD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required. That is, a larger display window is required to check a lot of data at once. This increases the volum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나날이 그 크기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는 상기 표시창을 이용하여 발신번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피 및 무게를 절감하고,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발신번호 입력 방법이 요구된다.Therefore, by using the display window in the trend that the size is increasing day by day, it is possible to input the calling number to reduce the volume and weigh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meet the various preferences of consumers demands do.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획일화된 번호입력 방식을 탈피하여 터치스크린 방식의 번호 입력 방식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number input method of a touch screen method is applied to avoid a uniform number input method.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획일화된 번호입력 방식을 탈피하여 터치스크린 방식의 번호 입력 방식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lling number inpu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number input method of a touch screen method is applied to avoid a uniform number input method.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고, 이동통신 단 말기의 발신번호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하며, 발신번호 입력의 표시를 제어하는 제어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 전원의 잔량 및 수신전계강도 등을 표시하는 한편, 발신번호 입력을 제공하는 다이얼 입력창을 표시하고, 발신번호의 입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발신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 펜 또는 기타 입력 수단을 통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번호가 가압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상기 입력된 번호를 전달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발신번호가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도록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표시부로 전달하는 터치스크린부를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control of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performs the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caller ID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of caller ID input, displays the operation statu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ower level and the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and displays a dial input window for providing caller ID input. If present, th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aller's numbe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ler, and if the numb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pressed by a user through a touch screen pen or other input means, the controller detects the number and inputs the number to the controller.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ler so that the calling number input by the user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It includes a touch screen unit for transmitting a call to the display unit.

상기 표시부에는 다이얼 방식의 전화기와 같이 원모양의 형태로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배치되고, 상기 다이얼을 돌리다가 멈출 수 있도록 걸림쇠가 하단 소정부에 형성되며, 상기 출력된 숫자를 누른 후 상기 걸림쇠에 닿을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드래그하면, 해당 숫자가 입력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has a number from 0 to 9 in a circular shape like a dial-type telephone, and a latch is formed at a lower predetermined portion so as to stop turning the dial, and after pressing the output number, the latch If you drag clockwise until it reaches, the number can be entered.

상기 걸림쇠에 닿아 입력되는 숫자는 사용자가 처음 누른 부분의 좌표를 독출하여 인식될 수 있다.The number input by touching the latch can be recognized by reading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pressed portion of the user.

상기 걸림쇠에 닿아 입력되는 숫자는 사용자가 처음 누른 부분의 좌표로부터 상기 걸림쇠까지 드래그한 위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인식될 수 있다.The number input by touching the latch can be recognized by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the user's first pressing and the position dragged to the latch.

상기 다이얼을 드래그하여 움직일 때 또는 상기 다이얼이 상기 걸림쇠에 걸릴 때 효과음이 출력될 수 있다.An effect sound may be output when the dial is moved by dragging or when the dial is caught by the latch.

상기 표시부에는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그려진 물체가 출력되고, 상기 숫자가 그려진 물체를 드래그하여 바구니에 담을 경우 바구니에 담긴 숫자가 입력되어 상기 표시부에 출력될 수 있다.An object with a number from 0 to 9 is outputted to the display unit, and when the object drawn with the number is dragged and placed in a basket, the number contained in the basket may be input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상기 숫자가 그려진 물체를 드래그하여 움직일 때 또는 상기 숫자가 그려진 물체가 바구니에 담겨질 때 효과음이 출력될 수 있다.Sound effects may be output when the numbered object is moved by dragging or when the numbered object is contained in a basket.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은, 제어부로 동작 전원이 처음 공급되면 메모리부로부터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인가받아 이동통신 단말기를 구동하는 단계,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동되면,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여 발신번호 입력 방식에 따라 표시부에 해당 번호 입력창을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입력방식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는 숫자를 드래그하여 발신번호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번호 입력이 완료되면, 상대방과 호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caller ID inpu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ng power is first supplied to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operating program and data from the memory unit mobile communication Driving the terminal, analyzing the control command applied by the use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riven,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number input window to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calling number input method; 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touch screen input method. Dragging a number outputted on the display unit to input a calling number, and when the calling number is input, performing a call connection with the other party.

상기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입력방식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는 숫자를 드래그하여 발신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종래 전화기에 사용되었던 다이얼 형식의 번호입력 방식이 출력되는 단계, 상기 표시부에 나타난 숫자를 가압한 후 시계방향으로 드래그하여 걸림쇠에 닿을 때까지 회전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걸림쇠에 닿은 숫자가 입력되어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a touch screen input method, the step of inputting a calling number by dragging a number output on the display unit includes outputting a dial input number input method used in a conventional telephone through the display unit.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ressing the displayed number and dragging it clockwise to rotate until it reaches the latch, and inputting the number touching the latch to output to the display unit.

상기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입력방식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에 출력되는 숫자를 드래그하여 발신번호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부에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그려진 물체가 출력되는 단계, 상기 숫자가 그려진 물체를 드래그하여 바구 니에 담는 단계, 및 상기 바구니에 담긴 숫자가 입력되어 표시부에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a touch screen input method, inputting a calling number by dragging a numb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cludes outputting an object with numbers 0 to 9 on the display unit; The method may include dragging a basket into a basket, and inputting a number included in the basket to output the display unit.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에 따르면, 획일화된 발신번호 입력 방식을 탈피하여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단말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aller ID input method using the sa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aller ID input method using a touch screen to avoid the uniform caller ID input method to provide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of the terminal.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As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어부(111), 무선부(112), 음성처리부(113), 메모리부(114), 키입력부(115), 표시부(116) 및 터치스크린부(1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11, a wireless unit 112, a voice processing unit 113, a memory unit 114, a key input unit 115, a display unit 116, and a touch.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creen unit 117.

보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111)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의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부(117)를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번호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표시부(116)를 통한 발신번호 입력의 표시를 제어한다. 이에 대한 제어 흐름은 후술되는 도 2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more detail, the control unit 111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particular, performs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caller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the touch screen unit 11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of the caller ID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16 is controlled. The control flow fo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무선부(112)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소정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11)로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음성 처리부(113)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무선부(112)는 상기 음성 처리부(113)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신호를 무선 신호로 송신하기 위한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ANT)로 출력한다. 상기 무선부(112)에서 상기 제어부(111)로 출력되는 신호는 기지국의 파일럿 신호 및 페이징 신호 또는 데이터 통신 시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전력 제어를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로 수신되는 메시지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1)는 호의 설정 또는 전력 제어 및 데이터 송신 시의 송신할 데이터를 상기 무선부(112)로 전달하여 기지국으로 송출한다. 또한 상기 무선부(112)에서 상기 음성 처리부(113)로 출력되는 신호는 호가 설정된 이후에 수신된 코드화된 음성 신호가 된다.The radio unit 112 converts a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antenna ANT into a predetermined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1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111 or the voice processor 113. In addition, the wireless unit 112 converts the coded signal received from the voice processing unit 113 into a signal of a band for transmitting as a wireless signal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antenna ANT. The signal output from the wireless unit 112 to the control unit 111 may be a pilot signal and a paging signal of the base station or a messag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data or power control during data communication, The control unit 111 transmits data to be transmitted at the time of call setup or power control and data transmission to the radio unit 112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base station. In additi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wireless unit 112 to the voice processing unit 113 becomes a coded voice signal received after a call is established.

상기 음성 처리부(113)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무선부(11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디코딩하여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 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성 처리부(113)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에 의해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코딩하여 상기 무선부(112)로 전달 한다.The voice processing unit 113 decodes a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unit 11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11, converts the signal into an electrical voice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speaker SPK. In addition, the voice processor 113 codes an electric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icrophone MIC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1 and transmits the electric voice signal to the wireless unit 112.

상기 메모리부(114)는 롬 메모리와 램 메모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 데이터가 저장되어 상기 제어부(111)에 접속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록저장하며 출력한다.The memory unit 114 may include a ROM memory, a RAM memory, and the like, and control data is stored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1 to record and store and output an operation program and data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키입력부(115)는 사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숫자, 특수문자 등의 키로 구성되며,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상기 키입력부(115)를 통하여 발신번호를 입력하거나, 상기 터치스크린부(117)를 이용하여 발신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The key input unit 115 is composed of keys such as numbers, special characters, etc.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user, and the user inputs a calling number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5 according to a selection, or the touch screen unit 117. You can enter the calling number by using).

상기 표시부(116)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 전원의 잔량 및 수신전계강도 등을 표시한다. 또한 발신번호 입력을 제공하는 다이얼 입력창을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117)를 통한 발신번호의 입력이 존재할 경우 키 입력에 따라 해당 발신번호를 표시한다.The display unit 116 displays an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remaining power level, a received electric field strength, and the like. In addition, a dial input window for providing a caller ID is displayed, and if a caller ID is input through the touch screen unit 117, the caller ID is displayed according to a key input.

상기 터치스크린부(117)는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 펜 또는 기타 입력 수단을 통하여 상기 표시부(116)에 표시된 번호가 가압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11)로 상기 입력된 번호를 전달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발신번호가 상기 표시부(116)에 입력되도록 상기 제어부(11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표시부(116)로 전달한다.The touch screen unit 117 detects when a numbe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6 is pressed by a user through a touch screen pen or other input means, transfers the input number to the controller 111, and the user inputs the touch number. A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11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16 so that a caller number is input to the display unit 116.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동 과정을 살펴본다.Hereinafter, a driving proces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er ID inpu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11)는 동작 전원이 처음 공급되면 상기 메모리부(114)로부터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인가받아 운용 대기상태가 되며(S100),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키패드 등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운용된다.Referring to FIG. 2, when operating power is first supplied, the control unit 111 receives an operation program and data from the memory unit 114 and enters an operation standby state (S100). It is operated by the control command authorized from the user.

이동통신 단말기가 구동되면, 사용자는 발신번호 입력 방식을 선택한다(S110). 상기 제어부(111)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분석하여 발신번호 입력 방식에 따라 상기 표시부(116)에 해당 번호 입력창을 출력한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driven, the user selects a calling number input method (S110). The controller 111 analyzes a control command applied from the user and outputs a corresponding number input window to the display unit 116 according to the calling number input method.

만약 상기 사용자가 키패드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1)는 종래 방식에 따라 키패드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발신번호를 상기 표시부(116)에 출력한다(S120).If the user selects the caller ID input using the keypad, the control unit 111 outputs the caller ID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keypad to the display unit 116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hod (S120).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입력방식을 선택하는 경우(S130), 사용자는 크게 두가지 입력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첫째는 다이얼 방식의 발신번호 입력 방식이다(S140). 이는 종래 다이얼을 돌려 발신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을 터치스크린으로 구현하여 상기 표시부(116)에 출력되는 다이얼을 펜이나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가압 후 돌리는 형태이다. 이는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When the user selects the touch screen input method (S130), the user may select two input methods. The first is the dialing number input method (S140). This is a form of turning the dial by dialing the dial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6 using a pen or finger by implementing a method of inputting a calling number by turning a conventional dial.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3.

둘째는 드래그 방식의 발신번호 입력 방식이다(S150). 예컨대, 번호가 새겨진 과일이 열린 과일나무에서 바구니로 해당 번호가 새겨진 과일을 선택하여 옮김으로써 발신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이는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second method is a call number input method of a drag method (S150). For example, the number is engraved in the fruit tree is a method of entering the calling number by selecting and moving the fruit engraved with the number in the basket.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한편, 상기 S120, S140, S150 단계를 통하여 발신번호가 입력되면, 무선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과 호 연결을 시도하여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160).On the other hand, when the calling number is input through the steps S120, S140, S150, and attempts to call the other party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make a call (S160).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의 일 예시도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ler ID inpu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의 첫번째 실시예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다이얼 방식의 구현이 가능하다. 유선전화기의 경우 번호입력 방식이 누름단추식으로 변경되기 전 다이얼을 회전시키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이는 기계식으로 다이얼을 돌렸을때 다시 원상복귀하는 다이얼의 숫자를 파악하여 그 숫자에 따른 펄스전류를 교환기에 전송하여 숫자를 인식하는 방식이었다.Referring to FIG. 3, a dialing method using a touch screen may be implemented as a first embodiment of a calling number inpu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case of landline telephones, the dial was rotated before the number input method was changed to a push button. This is a method of recognizing the number by detecting the number of the dial returning to the original when the dial is mechanically transmitted and transmitting the pulse current according to the number to the exchange.

본 발명에서는 상기 표시부(116)를 통해 종래 전화기에 사용되었던 다이얼 형식의 번호입력 방식이 출력되고, 이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회전시켜 발신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터치스크린상에 원모양의 형태로 숫자가 0부터 9까지 배치되고, 다이얼을 돌리다가 멈출 수 있는 걸림쇠가 하단 소정부에 형성된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 상에 나타난 숫자를 누른 후 시계방향으로 드래그하여 상기 걸림쇠에 닿을 때까지 돌리고 손을 뗀다. 상기 다이얼은 사용자가 손을 뗌과 동시에 원상태로 돌아오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unit 116 outputs a dial-type number input method used in a conventional telephone, and rotates it by a touch screen method to input a calling number. In more detail, the numbers are arranged from 0 to 9 in the form of a circle on the touch screen, and a latch for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dial is formed in the lower predetermined portion. The user presses the number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drags it clockwise until it reaches the latch and releases it. The dial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at the same time the user releases his or her hand.

위와 같은 과정으로 구현을 할 경우에 단말기가 사용자가 누른 숫자를 인식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처음 누른 부분의 좌표를 읽어 숫자를 구분하는 방법과 사용자가 처음 누른 부분의 좌표로부터 걸림쇠까지 드 래그한 위치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숫자를 인식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두가지 방법을 통하여 제대로 인식된 숫자는 상기 다이얼 안쪽에 하나하나 표시된다.In case of implementing the above process, the terminal recognizes the number pressed by the user. There is a method of distinguishing numbers by reading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click of the user and a method of recognizing the number by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tap of the user and the position dragged from the latch. The numbers recognized through the two methods are displayed one by one inside the dial.

상기 본 발명의 다이얼은 가상 다이얼이지만 보다 실감나는 구현을 위하여 다양한 효과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이얼을 드래그하여 움직일 때의 효과음, 상기 다이얼이 걸림쇠에 걸릴 때의 효과음 등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d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rtual dial, but various effects can be added for a more realistic implementation. For example, an effect sound when the dial is dragged and moved, an effect sound when the dial is caught, and the like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의 다른 예시도이다.4 is another exemplary diagram of a caller ID inpu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의 두번째 실시예로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드래그 방식의 구현이 가능하다. 예컨데, 숫자가 쓰여진 물건을 바구니에 담는 방식이다. 보다 상세히, 상기 표시부(116)에 과일 나무 모양을 출력하고, 상기 과일 나무에 과일 열매 대신 숫자번호를 그려넣는다. 사용자가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 펜으로 상기 숫자를 드래그하여 바구니에 담는 형식으로 숫자를 인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s a second embodiment of a caller ID inpu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drag method using a touch screen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you can put things with numbers in a basket. In more detail, a fruit tree shape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16, and a numeral number is drawn on the fruit tree instead of the fruit fruit. When the user wants to make a call, the number can be recognized by dragging the number with a pen and putting it in a basket.

상기 방법을 통하여 제대로 인식된 숫자는 화면 아래쪽에 하나하나 표시된다. 상기 숫자가 바구니에 정확히 담기지 않으면 숫자를 인식하지 못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보다 실감나는 구현을 위하여 숫자를 드래그하여 움직일 때마다 효과음이 추가되거나, 숫자가 바구니에 담겨질 때 효과음이 발생될 수 있다.The numbers correctly recognized by the above method are displayed one by one at the bottom of the screen. If the number is not accurately contained in the basket can be implemented not to recognize the number, for a more realistic implementation, the sound effect may be added whenever the number is moved by dragging the number, or the sound effect may be generated when the number is contained in the basket.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Could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er ID inpu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의 일 예시도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ller ID inpu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의 다른 예시도이다.4 is another exemplary diagram of a caller ID inpu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1 : 제어부 112 : 무선부111 control unit 112 wireless unit

113 : 음성처리부 114 : 메모리부113: voice processing unit 114: memory unit

115 : 키입력부 116 : 표시부115: key input unit 116: display unit

117 : 터치패드부117: touch pad unit

Claims (10)

다이얼 방식의 전화기와 같이 원모양의 형태로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배치되고, 상기 다이얼을 돌리다가 멈출 수 있도록 걸림쇠가 형성된 다이얼 입력창을 표시하고, 발신번호의 입력이 존재할 경우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발신번호를 표시하는 표시부; Like a dial-type telephone, numbers from 0 to 9 ar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and a dial input window with a latch is formed so as to stop turning the dial.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the corresponding calling number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펜 또는 기타 입력 수단을 통하여 상기 다이얼 입력창의 숫자를 누른 후 상기 걸림쇠에 걸릴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상기 사용자가 처음 누른 부분의 좌표를 독출하여 상기 숫자를 인식하여 출력하는 터치스크린부; 및When a user presses a number in the dial input window through a touch screen pen or other input means and drags it clockwise until it catches the latch, the user reads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pressed part and recognizes and outputs the number. A screen unit; And 상기 다이얼의 드래그할 때의 효과음 및 상기 다이얼이 걸림쇠에 걸릴 때의 효과음을 출력하고, 상기 터치스크린부로부터 숫자를 수신하면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발신번호 입력이 완료되면, 상대방과 호 연결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Outputs the sound effect when the dial is dragged and the sound effect when the dial is caught by the latch, and upon receiving a number from the touch screen un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 conn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되는 숫자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ognized number is 상기 사용자가 처음 누른 부분의 좌표로부터 상기 걸림쇠 위치까지 드래그한 거리를 계산하여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distance dragged from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pressed portion by the user to the latch position is recogniz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에 있어서,In the caller ID inpu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발신 번호의 입력시, 다이얼 방식의 전화기와 같이 원모양의 형태로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배치되고, 상기 다이얼을 돌리다가 멈출 수 있도록 걸림쇠가 형성된 다이얼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 dial input window having a latch formed so that numbers from 0 to 9 ar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like a dial-type telephone when the calling number is input; 사용자가 터치스크린 펜 또는 기타 입력 수단을 통하여 상기 다이얼 입력창의 숫자를 누른 후 상기 걸림쇠에 걸릴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상기 다이얼의 드래그할 때의 효과음 및 상기 다이얼이 걸림쇠에 걸릴 때의 효과음을 출력하는 단계;When the user presses a number on the dial input window through a touch screen pen or other input means and drags it clockwise until it catches the latch, the sound of the dial is dragged and the sound of the dial is latched Outputting; 상기 다이얼이 걸림쇠에 걸릴 때 상기 사용자가 처음 누른 부분의 좌표를 독출하여 상기 숫자를 인식하여 표시하는 단계 ; 및Recognizing and displaying the number by reading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press of the user when the dial is caught by the latch; And 상기 발신번호 입력이 완료되면, 상대방과 호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When the caller ID input is completed, the caller ID input metho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 call connection with the other part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되는 숫자는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recognized number is 상기 사용자가 처음 누른 부분의 좌표로부터 상기 걸림쇠 위치까지 드래그한 거리를 계산하여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발신번호 입력 방법.Calling number input method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distance dragged from the coordinates of the first pressed portion to the latch position. 삭제delete
KR1020070071842A 2007-07-18 2007-07-1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Number Using The Same KR1008890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842A KR100889070B1 (en) 2007-07-18 2007-07-1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Number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842A KR100889070B1 (en) 2007-07-18 2007-07-1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Number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691A KR20090008691A (en) 2009-01-22
KR100889070B1 true KR100889070B1 (en) 2009-03-17

Family

ID=4048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842A KR100889070B1 (en) 2007-07-18 2007-07-18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Number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07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9889A (en) * 2005-07-14 2007-01-19 최형락 The personal terminal which has a hand phone radio sending function
KR20070031736A (en) * 2005-09-15 200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input screen change function and the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9889A (en) * 2005-07-14 2007-01-19 최형락 The personal terminal which has a hand phone radio sending function
KR20070031736A (en) * 2005-09-15 200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an input screen change function and the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691A (en)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9362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channel selection
JP2008544618A (en) Enhanced call history menu
JP2003044207A (en) Portab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necting method for the same
KR100334796B1 (en) Keypad device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ouch-screen
JP2003511984A (en) Communication device
RU2413986C2 (en)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0678248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3511985A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88907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Inputting Number Using The Same
KR100462751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haracter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56353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90022926A (en) Wireless terminal and method for processing received event during absence thereof
JP2000307706A (e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history display method
KR100678093B1 (en) Method for using bookmark in mobile telephone
JP5570911B2 (en) Mobile phone and control program thereof
KR100426269B1 (en) Method for originating a phone call using a side key in foldable mobile phone
JP4131066B2 (en)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78883A (en) Method for directly performing a hotkey function appointed by a portable terminal user
KR100814764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scroll key input type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JP4475173B2 (en)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100834624B1 (en) Methode for using alphanumeric changing key in mobile phone
JP2001092740A (en) Communication terminal
KR20000062085A (en) Method for displying selectively images corresponds to setted function
KR100664559B1 (en) Method for multi number selection using pause function with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863040B1 (en) Method for selecting redial nu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