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264B1 - Pattern training game tool for the construction of English sentences - Google Patents

Pattern training game tool for the construction of English senten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264B1
KR100888264B1 KR1020070077903A KR20070077903A KR100888264B1 KR 100888264 B1 KR100888264 B1 KR 100888264B1 KR 1020070077903 A KR1020070077903 A KR 1020070077903A KR 20070077903 A KR20070077903 A KR 20070077903A KR 100888264 B1 KR100888264 B1 KR 100888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entence
english
learn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9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13627A (en
Inventor
이은순
Original Assignee
이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순 filed Critical 이은순
Priority to KR1020070077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264B1/en
Publication of KR20090013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6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2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63F3/0402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for learning langu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4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 A63F2001/0408Card games combined with other games with tex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4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 A63F3/0402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for learning languages
    • A63F2003/0405Geographical or like games ; Educational games for learning languages relating to specific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서문, 의문문 등의 영어 문장을 구성하는 동일한 패턴을, 카드를 이용한 패턴 훈련 게임을 통해 학습자가 용이하게 이해함과 동시에 스스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영어를 즐기고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tern training game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 English sentence, and more particularly, the same pattern constituting the English sentence such as a plain sentence, a question and the like through the pattern training game using a card, the learner easily understands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tern training game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 English sentence so that everyone can enjoy and speak English freely.

본 발명은 상면에 다수의 동사들이 적혀 있는 게임판과, 상기 게임판의 상부에 놓여지고, 일면에 의문문을 만들기 위한 조동사 및 주어가 적혀있는 베이직 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game board on which a plurality of verbs are written on the upper surface, a basic card which is placed on top of the game board, and has an auxiliary verb and a subject written on one surface.

게임판, 베이직 카드, 레벨업 카드, 패턴훈련, 영어문장 Game board, Basic card, Level up card, Pattern training, English sentence

Description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Pattern training game tool for the construction of English sentences}Pattern training game tool for the construction of English sentences}

본 발명은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서문, 의문문 등의 영어 문장을 구성하는 동일한 패턴을, 카드를 이용한 패턴 훈련 게임을 통해 학습자가 용이하게 이해함과 동시에 스스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영어를 즐기고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tern training game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 English sentence, and more particularly, the same pattern constituting the English sentence such as a plain sentence, a question and the like through the pattern training game using a card, the learner easily understands an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tern training game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 English sentence so that everyone can enjoy and speak English freely.

글로벌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영어는 이제 외국어의 개념을 넘어 제 2의 언어로 인식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요즈음 영어를 배우기 위해 투자되는 시간과 돈의 규모는 설명할 수 없을 정도이다.For us living in the global era, English is now recognized as a second language beyond the concept of foreign languages. Therefore, the amount of time and money invested in learning English these days is beyond description.

일반적으로 종래의 영어 학습방법은 단어 또는 문장을 반복학습을 통해 암기식으로 학습하게 되는데, 일례로 영어로 쓰인 문장을 무조건 많이 듣고 읽고 따라 말하고 따라 쓰고 해서 암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학습방법은 선생 님의 질문에 답만을 하거나 무조건 따라해야 하므로 학습자들을 소극적인 위치로 만들게 된다.In general, the conventional English learning method is to memorize a word or sentence through repetitive learning, for example, has been proceeded to memorize by listening to a lot of sentences written in English unconditionally by reading, following, and writing. This method of learning makes the learners passive because they have to answer or unconditionally answer the teacher's questions.

그 결과로, 우리나라와 같은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환경에서 교육받아 암기한 문장이라 할 지라도 학습방법에 흥미를 느끼기 어려우므로 곧 잃어버리게 되고, 실제로 거리나 다른 장소에서 외국인을 만날 경우 한 마디도 못하고 도망가는 경우가 허다하다.As a result, even if the memorized sentence is educated in a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nvironment like ours, it is difficult to get interested in the learning method, and it is soon lost. In fact, if you meet foreigners in the streets or other places, Often run away without even being.

이러한 단순 암기식의 영어 학습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여러 가지 도구를 사용하는 영어학습방법이 시도되고 있는데, 그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7860호에는 영어학습용 보드게임교구가 개시되어 있다.In order to improve such a simple memorized English learning method has been attempted an English learning method using a variety of tools, of which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37860 discloses a board game teaching aid for learning English.

상기 영어학습용 보드게임교구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에 알파벳이 기재된 알파벳블록과, 상기 알파벳블록이 사용자가 일견하여 구분할 수 있도록 착,탈이 가능하게 안치되는 블록보드(10)와; 전면 일부에 단어와 상기 단어를 연상시키는 그림이 기재되는 단어제시란과, 상기 단어제시란의 측면에 상기 단어에 해당하는 상기 알파벳블록이 다수 안치되는 블록안치란이 구비된 단어제시카드(20)와; 상기 단어제시카드(20)에서 제시된 단어에 부합하는 단어가 기재된 단어카드(30)와; 다수의 문장이 공란을 형성하며 기재되고, 상기 공란에 상기 단어카드(30)가 안치되어 상기 다수의 문장이 스토리(story)를 형성하는 story카드(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nglish learning board game precinct, as shown in Figure 1, the alphabet block is written in front of the alphabet, the alphabet block is placed on the block board 10 so that the user can distinguish at a glance; A word suggestion card 20 having a word suggestion column including a word and a picture reminiscent of the word on a part of the front surface, and a block enclosed column having a plurality of the alphabet blocks corresponding to the word on the side of the word suggestion column Wow; A word card 30 in which a word corresponding to a word presented in the word suggesting card 20 is written; A plurality of sentences are described while forming a blank, and the word card 30 is placed in the blank so that the plurality of sentences includes a story card 40 forming a story.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게임을 통해 알파벳블록 및 단어카드(30)를 통해 단어를 인지할 수 있고, 상기 단어카드(30)를 story카드(40)에 안치함에 의해 인식하고 있는 단어를 사용한 문장구성력을 자연스럽게 터득할 수 있으며, 완성된 문장들에 의해 story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인식된 story 속에서 사용되는 단어와 그 단어가 사용된 문장을 재인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refore, through the game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word through the alphabet block and the word card 30, using the word recognized by placing the word card 30 in the story card 40 It is able to learn sentence composition ability naturally and story can be recognized by the completed sentences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words used in the recognized story and the sentences using the words.

하지만, 상기 보드게임 교구 역시 단어학습이나 특정한 표현외우기 등의 단순한 게임에 치우쳐 있어 실제 영어 문장 구성을 이해하고 영어회화로 발전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board game parish also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actual structure of the English sentence and develop English conversation because it is biased in simple games such as word learning or memorizing certain expressions.

또한, 영어를 쉽게 익히기 위해서는 단순한 단어암기나, 문장외우기 보다는 학습 초기부터 영어문장구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나 이러한 목적을 위해 활성화된 영어학습 교구는 없는 실정이다.In addition, in order to learn English easily, a correct understanding of English sentence composition should be preceded from the beginning of learning, rather than simple memorization of words or memorizing sentences, but there is no active English learning teaching aid for this purpos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임을 통하여 단순한 단어학습이나 문장외우기가 아닌 문장의 구성을 이해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쉽고 재미있게 영어를 배울 수 있도록 한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sentence rather than simple word learning or sentence memorization through the game, the English sentence to help learners learn English easily and fu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ttern training game apparatus for composition.

또한, 본 발명은 학습자들이 게임을 진행하면서 평서문과 의문문의 차이, 현재, 과거, 미래 등의 시제와 그에 따른 동사의 변화, 다양한 의문문의 형태와 그 의미 등을 눈으로 보면서 실제로 터득하여 자신의 의도를 영어로 말할 수 있는 기본 회화 실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learns the actual intention of learners while watching the game by see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ssays and questions, the present, past, future tense and verbal changes, various forms of questions and their meanings.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pattern training game apparatus for constructing the English sentence to have a basic conversation skills to speak English.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에 다수의 동사들이 적혀 있는 게임판과, 상기 게임판의 상부에 놓여지고, 일면에 의문문을 만들기 위한 조동사 및 주어가 적혀있는 베이직 카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game board with a number of verbs written on the upper surface, a basic card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ame board, and an auxiliary verb and a subject written on one side to make questions. It features.

이때, 상기 게임판의 상부에 놓여지고, 일면에 의문문을 만들기 위한 의문사와 조동사 및 주어가 적혀있는 레벨업 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it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game 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evel-up card with a questionnaire, an auxiliary verb and a subject for making a questionnaire on one side.

여기서, 상기 베이직 카드 및 레벨업 카드에는 문장의 흐름을 알 수 있도록 하는 화살표 표시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basic card and the level up card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row is displayed so as to know the flow of the sentence.

또한, 상기 화살표 표시는 의문문의 방향을 나타내는 붉은색과, 평서문의 방향을 나타내는 파란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rrow display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red color indicating the direction of the question, and a blue color indicating the direction of the plain sentence.

그리고, 상기 베이직 카드 및 레벨업 카드에는 점수가 적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sic card and the level up car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core is written.

또한, 상기 베이직 카드 및 레벨업 카드에는 점수를 더 주는 보너스 카드와, 다음 사람에게 차례를 바로 넘겨야 하는 폭탄카드 및 상대방의 점수를 뺏어올 수 있는 역전카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asic card and level up car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onus card that gives more points, a bomb card that has to pass the turn immediately to the next person, and a reversal card that can take the score of the opponent.

또한, 상기 게임판 상의 동사 및 레벨업 카드의 의문사에는 한국말 뜻과 영어 표기가 동시에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question mark of the verbs and level-up cards on the game boar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Korean meaning and the English notation at the same time.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의 게임을 통하여 단순한 단어학습이나 문장외우기가 아닌 문장의 구성을 이해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쉽고 재미있게 영어를 배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스로 질문하고 답할 수 있도록 하여 평서문, 의문문 등 영어 문장의 패턴을 익힐 수 있고, 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영어를 즐기고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attern training game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 English sent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arners can easily learn English easily and have fun by learning the structure of sentences rather than simple word learning or sentence memorization through a simple game. By allowing students to answer questions, they can learn the patterns of English sentences such as essays and questions, and they can be applied to them so that everyone can enjoy and speak English freel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들이 게임을 진행하면서 평서문과 의문문의 차이, 현재, 과거, 미래 등의 시제와 그에 따른 동사의 변화, 다양한 의문문의 형태와 그 의미 등을 눈으로 보면서 실제로 터득하여 스스로 영어 문장을 만들고, 자 신의 의도를 영어로 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arners learn English by actually see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ranscript and the question, the tense of present, past, and future, the change of verbs, and the forms and meanings of the various questions. Create sentences and have the additional effect of being able to speak your intent in English.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attern training game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 English sent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게임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a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베이직 카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b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레벨업 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2A and 2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attern training game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 English sent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game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2A and 2B, and FIGS. 4A to 4C are Fig. 2A is a view showing a basic car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A to 5C are views showing a level up card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B.

본 발명은 평서문, 의문문 등의 영어 문장을 구성하는 동일한 패턴을 카드를 이용한 패턴 훈련 게임을 통해 학습자가 용이하게 이해함과 동시에 스스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영어를 즐기고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게임판(100)과 베이직(basic) 카드(200)로 구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struct an English sentence that allows anyone, both young and old, to enjoy and speak English freely by allowing the learner to easily understand and simultaneously apply the same pattern constituting the English sentences such as plain texts, questions, etc. through a pattern training game using cards. It relates to a pattern training game mechanism for, the configuration is largely composed of a game board 100 and a basic card (200) as shown in Figure 2a.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게임판(100)의 상면에는 다수 개의 칸(110)이 구획되어 있고, 상기 각 칸(110)에는 주요 동사(120)들이 적혀 있는데, 상기 주요 동사(120)들은 학습자가 영어를 읽지 못해도 그 발음을 기억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영어 표기와 한국말 뜻을 동시에 적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In more detail, a plurality of compartments 110 are part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ame board 100, and each compartment 110 has major verbs 120 written therein. Even if you do not read English, it is desirable to write down both English notation and Korean meaning so that you can remember the pronunciation and proceed with the game.

또한, 상기 게임판(100)의 상면에 구획되는 칸(110)은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그 개수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는데, 이하 설명에서는 상기 칸(110)의 수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4개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하겠다.In addition, the number of compartments 110 part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ame board 10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number of the compartments 110 is shown in FIG. I will explain only to dogs.

다음, 상기 베이직 카드(200)는 상기 게임판(100)의 상부에 놓여지는데, 상기 베이직 카드(200)의 일면, 즉 안쪽에는 의문문을 만들기 위한 조동사(220)와 주어(230)가 적혀있고, 반대쪽 측면, 즉 바깥쪽에는 베이직 카드(200)를 나타내는 표시(290)가 되어 있어, 베이직 카드(200)의 안쪽에 기재된 내용이 보이지 않도록 베이직 카드(200)의 표시(290)가 위쪽으로 오도록 하여 게임판(100)의 상부에 놓여진다.Next, the basic card 200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game board 100. On one side of the basic card 200, that is, an auxiliary verb 220 and a subject 230 for writing a question are written therein. On the opposite side, that is, on the outside, there is a mark 290 indicating the basic card 200, so that the mark 290 of the basic card 200 is placed upward so that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inside of the basic card 200 are not visible. It is placed on top of the game board 100.

이때, 상기 조동사(220)로는 Do, Does, Did, Will 중의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주어(230)로는 S(주어를 나타내는 Subject의 약자)와 I, You, He, She, It, They, We 중의 하나가 사용되는데, 상기 주어(230)는 도 4a 내지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동사(220)와 문법적으로 맞는 것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조동사(220) 중 Did 와 Will은 주어(230)로 어떤 것이 와도 상관없으므로, 별도의 주어(230)를 지정하지 않고 S만을 표기하게 된다.At this time, any one of Do, Does, Did, Will will be used as the modal verb 220, and S (abbreviation of Subject representing a subject) and I, You, He, She, It, They, We are used as the subject 230. One is used, and the subject 230 is grammatically matched to the auxiliary verb 220, as shown in FIGS. 4A-4C. In addition, Did and Will of the modal verb 220 is given to the subject 230, so it does not matter anything, so only S is indicated without specifying a separate subject 230.

한편, 게임 도중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Do you ~ ?", "Will you ~ ?"와 같이 주어(230)로 you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4a의 (5)번 카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부 베이직 카드(200)에는 주어(230)가 표기된 S - You 옆에 폭탄(235)을 그려 넣어 주어(230)로 You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most learners during the game, such as "Do you ~?", "Will you ~?" Will use you a lot as a given (230), in order to prevent this phenomenon to the card (5) of Figure 4a As shown, it is preferable to draw a bomb 235 next to the S-You that the subject 230 is marked on some basic card 200 to prevent you from using You 23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에는 상기 게임판(100) 및 베이직 카드(200) 외에 레벨업(Level-Up) 카드(300)가 더 포함되는데, 상기 레벨업 카드(300)는 상기 베이직 카드(200)와 동일한 형태로 의문사(310)가 추가로 표시되어 있어 학습자가 다양한 의문사(310)를 익혀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Meanwhile, the pattern training game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 English sent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evel-up card 300 in addition to the game board 100 and the basic card 200, wherein the level-up card ( The question mark 310 is additionally displayed in the same form as the basic card 200, so that the learner can learn and use various question marks 310.

보다 상세하게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벨업 카드(300)의 일면, 즉 안쪽에는 의문문을 만들기 위한 의문사(310)와 조동사(320) 및 주어(330)가 적혀있고, 반대쪽 측면, 즉 바깥쪽에는 레벨업 카드(300)를 나타내는 표시(390)가 되어 있어, 레벨업 카드(300)의 안쪽에 기재된 내용이 보이지 않도록 레벨업 카드(300)의 표시(390)가 위쪽으로 오도록 하여 게임판(100)의 상부에 놓여진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B, one side of the level-up card 300, that is, the inner side of the interrogator 310 and the auxiliary verb 320 and the subject 330 for making the interrogation, are written on the opposite side, that is, There is a display 390 indicating the level up card 300 on the outside, so that the display 390 of the level up card 300 faces upward so that the contents described inside the level up card 300 are not shown. It is placed on top of the plate 100.

상기 의문사(310)로는 What, Who, When, Where, Why, What time, How, How many, How often 등의 의문사(310)가 사용되며, 상기 레벨업 카드(300)의 안쪽에 적혀있는 순서는 의문사(310)(Wh-/How~) 중 어느 하나와, 조동사(320)(do, does, did, will) 중의 어느 하나 및 주어(330)(S)의 순서로 적혀 있다. The question mark 310 is used as a question mark 310 such as What, Who, When, Where, Why, What time, How, How many, How often, etc. The order written in the level up card 300 is Any one of the questionable question 310 (Wh- / How ~), any one of the auxiliary verbs 320 (do, does, did, will), and the subject 330 (S) are written.

이때, 상기 주어(330)의 자리에는 학습자들이 전술한 베이직 카드(200)에서 습득한 조동사(220)와 주어(230)와의 관계를 기억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I, You, He, She, It, They, We와 같은 주어(330)를 지정하지 않고 S만 적어놓는다.At this time, in the place of the subject 330, learners, I, You, He, She, It, and so on, so that learners can remember and uti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dulator 220 and the subject 230 acquired in the basic card 200 described above. Write down only S without specifying a subject (330) such as They or We.

또한, 학습자들이 상기 의문사(310)들의 뜻을 빨리 익히고 상황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의문사(310)의 옆에는 의문사(310)들이 나타내는 한글 뜻을 같이 적어놓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5a to 5c in order to learners can quickly learn the meaning of the interrogator (310) according to the situation, as shown in Figures 5a to 5c, next to the interrogator (310) It is desirable to write it down together.

한편, 도 5c의 (17) 내지 (19)번 카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문문에 주어(330)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주어(330)의 자리에 바로 동사(120)를 사용할 수 있도록 V(Verb의 약자)로 표시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17) to (19) card of Figure 5c, if the question 330 is not required in question, V (Verb of Verb so that you can use the verb 120 directly in place of the subject 330 Abbreviation).

다음, 상기 베이직 카드(200)와 레벨업 카드(300)에는 의문사(310), 조동사(220,320) 및 주어(230,330)가 적혀있는 사이에 문장의 흐름을 알 수 있도록 하는 화살표 표시(240,340)가 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화살표 표시(240,340)는 의문문의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빨간색 화살표(240a,340a)와 평서문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파란색 화살표(240b,340b)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 중에서 does, did, will과 연결되는 파란색 화살표(240b,340b)는 주어(230,330)의 인칭이나 동사(120)의 시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므로, 학습자들에게 질문에 대한 대답(즉, 평서문을 구성하는 경우)시 주의를 요하게 함과 동시에 학습자들이 자연스럽게 인칭과 동사의 시제에 대한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Next, the basic card 200 and the level-up card 300 are arrow marks 240 and 340 to allow the user to know the flow of sentences between the interrogator 310, the auxiliary verbs 220 and 320, and the subjects 230 and 330.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4A to 4C and 5A to 5C, the arrow marks 240 and 340 indicate the red arrows 240a and 340a indicating the direction of the ques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plain letter. It consists of blue arrows 240b and 340b. In particular, the blue arrows 240b and 340b connected to does, did and will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of the subject (230, 330) or the tense of the verb (120). When constructing, it requires poetry and learners naturally understand the concept of personal and verb tenses.

한편, 상기 베이직 카드(200)와 레벨업 카드(300)에는 점수(250,350)가 적혀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동사(220,320) 또는 의문사(310)가 적혀있는 부분의 상부에 점수(250,350)를 적어 놓음으로써 게임이 완료되었을 때 학습자들이 획득한 점수(250,350)를 비교하여 게임의 승패를 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점수(250,350)는 너무 많은 편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게임의 흥미를 위해 도 4a의 (4)번 카드 및 도 5b의 (13)번 카드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너스 점수(250,350)를 갖는 역전카드(260,360)를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 기 역전카드(260,360)는 학습자가 베이직 카드(200) 또는 레벨업 카드(300)를 뒤집어 의문문 및 평서문의 문장 구성에 성공하였을 경우, 다른 학습자의 점수(250,350)를 뺏어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도 4a의 (4)번 카드(260)의 경우 -3 Before라고 적혀 있으므로 문장 구성에 성공하였을 때 전(前) 사람의 점수(250) 3점을 뺏어올 수 있는 것이고, 도 4a의 (7)번 카드(260)의 경우 -6 After라고 적혀 있으므로 문장 구성에 성공하였을 때 뒷사람의 점수(250) 6점을 뺏어올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scores 250 and 350 are written on the basic card 200 and the level up card 300. More specifically, the scores 250 and 350 are writte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dal verb 220 or 320 or the questionable 310. In this way, when the game is completed, learners compare the scores (250,350) obtained so that the game can be decided. At this time, the scores 250 and 350 are preferably not to cause too many deviations, and for the interest of the game, the negative scores 250 and 350 as shown in cards 4 and 4 of FIG. It may also include a reversing card (260, 360) having. The reversal card (260, 360) is to enable the learner to take over the score (250, 350) of the other learner, if the inverted basic card 200 or level-up card 300 succeeded in constructing the sentence of the question and review sentence, In the case of the card 260 of (4) of FIG. 4A, since -3 Before is written, when the sentence structure is successful, the score of the previous person 250 can be taken from 3 points. ) In the case of the card 260, -6 After is written, so when the sentence structure is successful, it is possible to take 6 points of the score 250 of the back person.

또한, 학습자의 재미와 경쟁심을 더해주기 위하여 상기 베이직 카드(200)와 레벨업 카드(300) 중에 보너스 카드(270,370)와 폭탄 카드(280,380)를 포함시킬 수도 있는데, 상기 보너스 카드(270,370)는 카드에 적힌 점수(250,350)의 두 배를 얻을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폭탄 카드(280,380)는 학습자의 기회를 다음 학습자에게 넘기는 것으로, 상기 폭탄 카드(280,380)를 선택하게 되면 어떠한 점수(250,350)도 얻지 못하게 된다.In addition, bonus cards 270 and 370 and bomb cards 280 and 380 may be included in the basic card 200 and the level up card 300 to add fun and competition to the learner. The bonus cards 270 and 370 may include cards. It is possible to obtain twice the score (250,350) written on the card, the bomb card (280, 380) is to pass the learner's opportunity to the next learner, if you choose the bomb card (280,380) so that no score (250,350) do.

다음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를 이용한 게임방법을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game method using a pattern training game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 English sent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베이직 카드(200)(이하, '카드'라고 한다.)를 이용한 게임을 할 경우, 진행자는 총 24개의 동사(120)가 나열되어 있는 게임판(100)에 카드(200)를 한 칸(110)에 한 장씩 그 내용이 보이지 않게 하여 얹어 놓는다.First, when playing a game using a basic card 2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rd'), the presenter places a card 200 on a game board 100 in which a total of 24 verbs 120 are listed. Put it one by one on (110), making its contents invisible.

세팅이 완료되면, 제1학습자가 원하는 카드(200)를 지정하고, 진행자는 카 드(200)의 내용이 보이지 않게 들어올려 제1학습자가 게임판(100)에 적힌 동사(120)의 발음을 아는지 확인한다. 이때, 제1학습자가 동사(120)의 발음을 모르는 경우에는 진행자는 해당 동사(120)의 발음을 알려주어 학습자에게 숙지시킨 후, 카드(200)를 다시 덮고, 다음의 제2학습자에게로 기회가 넘어가게 된다.When the setting is completed, the first learner designates the desired card 200, and the presenter lifts the contents of the card 200 so that the first learner pronounces the verb 120 written on the game board 100. Make sure you know In this case, when the first learner does not know the pronunciation of the verb 120, the presenter informs the learner by pronouncing the pronunciation of the verb 120, then covers the card 200 again and gives the opportunity to the next second learner. Will be skipped.

한편, 제1학습자가 동사(120)의 발음을 맞췄을 경우에는 진행자가 카드(200)를 오픈하여 제1학습자에게 카드(200) 내용을 보여주고 의문문을 만들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학습자가 도 4a의 (2)번 카드를 선택하고, 상기 (2)번 카드의 아래에 적혀져 있던 동사(120)는 '먹다 eat'일 경우, 제1학습자는 붉은색 화살표(240a) 방향대로 "Do you eat?"라고 말해야 한다. 이때, 진행자는 설명을 더하여 제1학습자에게 동사(120) 'eat'에 어울리는 음식의 이름을 제시하게 함으로써, 제1학습자는 자신의 생각대로 "Do you eat pizza?", "Do you eat a hamburger?"와 같이 문장을 마무리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learner corrected the pronunciation of the verb 120, the presenter opens the card 200 to show the contents of the card 200 to the first learner to make questions. For example, when the first learner selects card (2) of FIG. 4A and the verb 120 written under the card (2) is 'eat', the first learner has a red arrow. You should say "Do you eat?" In this case, the presenter adds an explanation to the first learner and suggests a name of a food suitable for the verb 120 'eat'. You can end the sentence with "?"

상기와 같이 제1학습자가 성공적으로 문장을 완성하면 제1학습자는 카드(200)의 상부에 적힌 점수(250) 5점을 획득하게 되고, 계속해서 다음의 제2학습자가 카드(200)를 선택하게 된다. 진행자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카드(200)의 내용이 보이지 않게 들어올려 제2학습자가 게임판(100)에 적힌 동사(120)의 발음을 아는지 확인하고, 제2학습자가 동사(120)의 발음을 모르는 경우에는 진행자는 해당 동사(120)의 발음을 알려주어 제2학습자에게 숙지시킨 후, 카드(200)를 다시 덮고, 다시 다음의 제3학습자에게로 기회가 넘어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first learner successfully completes the sentence, the first learner acquires 5 points of the score 250 written on the upper part of the card 200, and the next second learner selects the card 200. Don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er lifts the contents of the card 200 so that the second learner knows the pronunciation of the verb 120 written on the game board 100, and the second learner recognizes the pronunciation of the verb 120. If it is not known, the presenter informs the pronunciation of the verb 120 so as to be familiar with the second learner, then covers the card 200 again, and the opportunity is passed to the next third learner again.

한편, 상기 제2학습자가 동사(120)의 발음을 맞췄을 경우에는 진행자가 카 드(200)를 오픈하여 제2학습자에게 카드(200) 내용을 보여주고 의문문을 만들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2학습자가 선택한 카드(200)가 도 4b의 (15)번 카드이고, 상기 (15)번 카드의 아래에 적혀져 있던 동사(120)는 '만들다 make'일 경우, 제2학습자는 붉은색 화살표(240a) 방향대로 "Did 주어 make?"라고 말해야 하는데, 이때 주어(230)로 쓰여진 'You' 옆에 폭탄그림(235)이 있으므로 제2학습자는 주어(230)로 'You'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상기와 같이 'You' 옆에 폭탄그림(235)을 넣어 주어(230)로 'You'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학습자들이 의문문을 만들때 주어(230)로 'You'를 많이 사용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learner corrected the pronunciation of the verb 120, the presenter opens the card 200 to show the contents of the card 200 to the second learner to make a question. For example, when the card 200 selected by the second learner is a card (15) of FIG. 4B and the verb 120 written under the card (15) is 'make', the second learner Should say "Did give make?" In the direction of the red arrow 240a. At this time, since the bomb picture (235) is next to 'You' written in the subject (230), the second learner has the 'You' as the subject (230). Should not be used. Putting a bomb picture (235) next to 'You' as described above does not allow you to use 'You' as the 230. Generally, learners use 'You' as the subject (230) when making questions. This is to prevent this phenomenon.

따라서, 제2학습자가 "Did he make?"라고 말했을 경우, 진행자는 설명을 더하여 제2학습자에게 동사(120) 'make'에 어울리는 물건 또는 음식 등의 이름을 제시하게 함으로써, 제2학습자는 자신의 생각대로 "Did he make a case?", "Did he make a hamburger?"와 같이 문장을 마무리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진행자는 제2학습자에게 상기 (15)번 카드에 나타나 있는 파란색 화살표(240b) 방향으로 상기 의문문에 대한 대답을 하거나, 평서문을 만들 수 있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Therefore, when the second learner says "Did he make?", The facilitator adds an explanation to the second learner and suggests a name of an object or food that matches the verb 120 'make'. As you think, you can end sentences like "Did he make a case?" And "Did he make a hamburger?" In addition, the facilitator may induce the second learner to answer the question or make a written comment in the direction of the blue arrow 240b shown in the card (15).

상기와 같이 제2학습자가 성공적으로 문장을 완성하면 제2학습자는 카드(200)의 상부에 적힌 점수(250) 9점을 획득하게 되고, 다음의 제3학습자가 다른 카드(200)를 선택하게 되어 게임이 계속 진행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econd learner successfully completes the sentence, the second learner acquires 9 points 250 written on the upper part of the card 200, and then allows the next learner to select another card 200. The game continues.

결국, 학습자들은 상기 베이직 카드(200)를 통해 'Do, Does, Did, Will'을 사용하여 모두 4가지의 다양한 상황의 질문을 만들어야 하는데, 이는 곧 현재형과, 3인칭 현재형, 과거형, 미래형의 기본 시제 표현을 한꺼번에 배우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 게임의 목적인 문장 구성의 순서를 반복적으로 훈련하게 되어 학습자들은 자연스럽게 영어 문장을 표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fter all, learners should make questions of all four different situations using 'Do, Does, Did, Will' through the basic card 200, which is the basic of present, third person, present, past and future. It is effective to learn the expression of tense at once, and by repetitively training the order of sentence construction which is the purpose of this game, learners can express English sentences naturally.

한편, 상기 베이직 카드(200)에는 역전카드(260)와 보너스 카드(270) 및 폭탄카드(280)가 포함되어 학습자들에게 재미와 경쟁심을 더해줄 수 있는데, 우선 역전카드(260)는 도 4a의 (4)번 및 (7)번 카드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수(250)에 마이너스 표시가 되어 있는 것으로, 학습자가 역전카드(260)를 선택하고, 문장을 완성하게 되면 상대방의 점수(250)를 뺏어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2학습자가 상기 (4)번 카드를 선택하고 성공적으로 문장을 완성하였을 경우 (4)번 카드에 'Before -3'이라고 기재되어 있으므로 제2학습자는 전 사람, 즉 제1학습자로부터 3점을 뺏어와 자기 점수(250)에 더하게 되고, 제2학습자가 상기 (7)번 카드를 선택하고 문장을 완성하였을 경우에는 (7)번 카드에 'After -6'이라고 기재되어 있으므로 제2학습자는 다음 사람인 제3학습자로부터 6점을 뺏어와 자기 점수(250)에 더하게 되어 점수(250) 차이가 2배로 나게 되는 것이다.Meanwhile, the basic card 200 includes a reversing card 260, a bonus card 270, and a bomb card 280 to add fun and competition to the learners. First, the reversing card 260 of FIG. As indicated by the cards (4) and (7), the score 250 is minus indicated. When the learner selects the reversal card 260 and completes the sentence, the score 250 of the opponent is taken away. It is to come. For example, if the second learner selects the card (4) and completes the sentence successfully, the card (4) says 'Before -3', so that the second learner is the first person, that is, the first learner. 3 points are taken from the student and added to his score 250. When the second learner selects the card (7) and completes the sentence, the card (7) says 'After -6'. The second learner takes 6 points from the third person, who is the next person, and adds the score to the self score 250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250 is doubled.

다음으로, 상기 보너스 카드(270)는 도 4c의 (21)번 및 (22)번 카드에 나타낸 것으로, 학습자가 상기 보너스 카드(270)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다른 카드(200)를 한 번 더 선택하게 하고 성공적으로 문장을 완성했을 경우 카드(200)에 적힌 점수(250)의 두 배를 얻게 되는 것이다.Next, the bonus card 270 is shown in the (21) and (22) cards of Figure 4c, when the learner selects the bonus card 270 to select another card 200 once more If you successfully complete the sentence is to get twice the score 250 written on the card (200).

또한, 상기 폭탄카드(280)는 도 4c의 (23)번 및 (24)번 카드에 나타낸 것으로, 학습자가 상기 폭탄카드(280)를 선택했을 경우에는 점수(250)를 얻을 기회를 갖지 못하고, 바로 다음 사람에게로 기회가 넘어가게 된다.In addition, the bomb card 280 is shown in the (23) and (24) card of Figure 4c, when the learner selects the bomb card 280 does not have a chance to obtain a score 250, The opportunity passes to the next person.

이때, 학습자가 보너스 카드(270) 또는 폭탄카드(280)를 선택하더라도, 상기 보너스 카드(270) 또는 폭탄카드(280)의 아래에 적혀있던 동사(120)의 발음을 알지 못하면 보너스 카드(270) 또는 폭탄카드(280)는 공개되지 않으므로, 학습자는 당연히 점수(250)를 얻을 수 없게 되고, 보너스 카드(270) 또는 폭탄카드(280)는 다시 게임판(100)의 상부에 놓여지게 된다.At this time, even if the learner selects the bonus card 270 or the bomb card 280, if you do not know the pronunciation of the verb 120 written under the bonus card 270 or bomb card 280 bonus card 270 Or the bomb card 280 is not disclosed, the learner of course can not get the score 250, the bonus card 270 or bomb card 280 is placed on top of the game board 100 again.

이와 같이, 게임을 계속하여 학습자들이 베이직 카드(200)에 어느 정도 익숙해지게 되면 다음 단계인 레벨업 카드(300)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learners continue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basic card 200 to some extent, the game is played using the level up card 300 which is the next step.

레벨업 카드(300) 역시 총 2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인 게임방식은 전술한 베이직 카드(200)를 이용한 게임과 같다. 단, 레벨업 카드(300)는 베이직 카드(200)에는 나타나 있지 않은 의문사(310)들을 포함하여 다양한 의문사(310)들을 익히고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레벨업 카드(300)에 적혀 있는 의문사(310)들의 옆에는 한글로 뜻을 같이 적어 놓았다. 또한, 레벨업 카드(300)에 적힌 주어(330) 자리에는 베이직 카드(200)와는 달리 S(Subject의 약자) 표시만 되어 있어, 학습자들이 베이직 카드(200)를 이용한 게임을 통해 습득한 주어(230)와 조동사(220)의 관계를 기억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Level up card 300 is also composed of a total of 24, the overall game method is the same as the game using the above-described basic card (200). However, the level-up card 300 is a questionnaire 310 written on the level-up card 300 because the purpose is to learn and use a variety of questions 310, including the questionnaire 310 does not appear in the basic card (200) Next to the) written down the meaning in Hangul. In addition, unlike the basic card 200, the subject 330 written on the level up card 300 is marked with S (abbreviation of Subject), and the learners have acquired the subject through the game using the basic card 200 ( 230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dal verb 220 is to be utilized.

레벨업 카드(300)(이하, '카드'라고 한다.)를 이용한 게임을 할 경우, 진행자는 총 24개의 동사(120)가 나열되어 있는 게임판(100)에 카드(300)를 한 칸(110)에 한 장씩 그 내용이 보이지 않게 하여 얹어 놓는다.When playing a game using the level-up card 3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rd'), the presenter places a card 300 on the game board 100 in which a total of 24 verbs 120 are listed. Put it one by one on page 110).

세팅이 완료되면, 첫번째로 제1학습자가 원하는 카드(300)를 지정하고, 진행자는 카드(300)의 내용이 보이지 않게 들어올려 제1학습자가 게임판(100)에 적힌 동사(120)의 발음을 아는지 확인한다. 이때, 제1학습자가 동사(120)의 발음을 모르는 경우에는 진행자는 해당 동사(120)의 발음을 알려주어 제1학습자에게 숙지시킨 후, 카드(300)를 다시 덮고, 다음의 제2학습자에게로 기회가 넘어가게 된다.When the setting is completed, the first learner first designates the desired card 300, and the presenter lifts the content of the card 300 invisibly and the first learner pronounces the verb 120 written on the game board 100. Make sure you know In this case, when the first learner does not know the pronunciation of the verb 120, the presenter informs the first learner of the pronunciation of the verb 120 and then covers the card 300 again, and then the second learner. The chance is passed.

한편, 제1학습자가 동사(120)의 발음을 맞췄을 경우에는 진행자가 카드(300)를 오픈하여 제1학습자에게 카드(300) 내용을 보여주고 의문문을 만들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학습자가 도 5a의 (3)번 카드를 선택하고, 상기 (3)번 카드의 아래에 적혀져 있던 동사(120)는 '마시다 drink'인 경우 제1학습자는 주어(330)란에 적당한 주어(330)를 넣어 빨간색 화살표(340a)의 방향대로 "What did she drink?"와 같이 문장을 완성시키고, 진행자는 제1학습자에게 이 문장의 의미를 한국말로 발표하도록 한다. 이때, 제1학습자가 상기와 같이 문장을 완성시키지 못하거나 그 의미를 잘못 해석한다면 카드(300)는 다시 덮어지고 다음 사람에게 기회가 넘어가게 되고, 제1학습자가 문장을 제대로 완성하고, 그 의미까지 정확히 맞춘다면 제1학습자는 상기 (3)번 카드의 상부에 적혀진 점수(350) 3점을 얻게 되고, 계속해서 다음의 제2학습자가 카드(300)를 선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irst learner corrected the pronunciation of the verb 120, the presenter opens the card 300 to show the contents of the card 300 to the first learner to make questions. For example, when the first learner selects card (3) of FIG. 5A and the verb 120 written under the card (3) is 'drink drink', the first learner gives a subject (330). Put the appropriate subject 330 in the column to complete the sentence, such as "What did she drink?" In the direction of the red arrow (340a), and the presenter to the first learner to present the meaning of the sentence in Korean. At this time, if the first learner does not complete the sentence as described above or misinterprets the meaning, the card 300 is covered again and the next person has a chance, and the first learner properly completes the sentence, and the meaning If the correct correct until the first learner will get three points (350) written on the top of the card (3), and the next second learner selects the card 300.

또한, 진행자는 학습자가 의문문을 완성시켰을 경우, 파란색 화살표(340b) 방향으로 문장을 진행하여 상기 의문문에 대한 대답이나, 평서문 문장을 만들 수 있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learner completes the question, the learner may proceed to the sentence in the direction of the blue arrow 340b to induce the answer to the question or to make a written sentence sentence.

그리고, 레벨업 카드(300)를 이용한 게임에서도 베이직 카드(200)에서와 마찬가지로, 24장의 카드(300) 중에 역전카드(360), 보너스 카드(370), 폭탄카드(380)를 포함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And, in the game using the level-up card 300, as in the basic card 200, it is possible to include the reversing card 360, bonus card 370, bomb card 380 among the 24 cards 300 Of course.

이렇게 해서 모든 게임이 끝나면, 학습자들이 획득한 카드(200,300)에 적인 점수(250,350)를 합산하여 점수(250,350)가 가장 높은 사람이 승리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all the games are completed, the player with the highest score (250,350) wins by adding the score (250,350) to the cards (200,300) acquired by the learners.

따라서, 상기 베이직 카드(200) 및 레벨업 카드(300)를 이용한 게임을 통해서 상황에 따라 사용되는 다양한 의문사(310)를 익힐 수 있음과 동시에, 학습자가 스스로 질문하고 대답하는 능동적인 학습환경을 만들 수 있어, 의문문, 평서문 등의 문장 구성을 이해할 수 있고 반복적인 패턴훈련을 통해 자연스럽게 영어 문장을 만들어 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us, through the game using the basic card 200 and the level-up card 300 can learn a variety of questions 310 used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and at the same time create an active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the learner questions and answers themselve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sentence structure, such as questions, transcripts, and through repeated pattern training will be able to make and speak English sentences naturally.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를 이용한 게임방법은 일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게임판(100)의 상부에 적혀지는 동사(120)의 수를 다양화하여 게임에 임하는 학습자들의 수 또는 학습수준에 따라 베이직 카드(200)와 레벨업 카드(300)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Such a game method using a pattern training game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 English sent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and in some cases, the number of verbs 120 written on the upper part of the game board 100 varies. The basic card 200 and the level up card 300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number of learners or the level of learning in the game.

본 발명은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서문, 의문문 등의 영어 문장을 구성하는 동일한 패턴을 카드를 이용한 패턴 훈련 게임을 통해 학습자가 용이하게 이해함과 동시에 스스로 응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영어를 즐기고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tern training game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 English sentence, and more particularly, the same pattern constituting the English sentence such as plain text, interrogative sentences, etc.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e learner through the pattern training game using a car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tern training game apparatus for constructing English sentences so that everyone can enjoy and speak English freely.

도 1은 종래의 영어학습용 보드게임 교구의 실시예를 나타낸 상태도.1 is a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board game precinct for English learning.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a and Figure 2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ttern training game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 English senten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본 발명 중 게임판을 나타낸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a game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s 2a and 2b.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a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베이직 카드를 나타낸 도면.4A-4C show a basic card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2A;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b에 나타낸 본 발명 중 레벨업 카드를 나타낸 도면.5A-5C show a level up card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2B;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게임판 110 : 칸100: Gameboard 110: Khan

120 : 동사 200 : 베이직 카드120: verb 200: basic card

220, 320 : 조동사 230, 330 : 주어220, 320: Modal verbs 230, 330: Subject

240, 340 : 화살표 표시 240a, 340a : 빨간색 화살표240, 340: arrow sign 240a, 340a: red arrow

240b, 340b : 파란색 화살표 250, 350 : 점수240b, 340b: blue arrows 250, 350: score

260, 360 : 역전 카드 270 : 보너스 카드260, 360: reversing card 270: bonus card

280, 380 : 폭탄 카드 290, 390 : 표시280, 380: Bomb card 290, 390: Display

300 : 레벨업 카드 310 : 의문사300: Level Up Card 310: Questioner

Claims (7)

상면에 다수의 동사들이 적혀 있는 게임판과,A game board with a number of verbs written on the top, 상기 게임판의 상부에 놓여지고, 일면에 의문문을 만들기 위한 조동사 및 주어가 적혀있는 베이직 카드와,A basic card placed on an upper part of the game board and having an auxiliary verb and a subject for making a question on one side; 상기 게임판의 상부에 놓여지고, 일면에 의문문을 만들기 위한 의문사와 조동사 및 주어가 적혀있는 레벨업 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It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game board, and comprises a level up card with a questionnaire, an auxiliary verb and a subject for making a question on one side, 상기 베이직 카드와 레벨업 카드에는 문장의 흐름을 알 수 있도록 하는 화살표 표시가 되어 있되,The basic card and the level up card is marked with an arrow to tell the flow of the sentence, 상기 화살표 표시는 의문문의 방향을 나타내는 붉은색과, 평서문의 방향을 나타내는 파란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The arrow display is a pattern training game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 English senten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ed color indicating the direction of the question, and a blue color indicating the direction of the plain senten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베이직 카드 및 레벨업 카드에는 점수가 적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The pattern training game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 English sente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core is written on the basic card and level up card.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베이직 카드 및 레벨업 카드에는 점수를 더 주는 보너스 카드와, 다음 사람에게 차례를 바로 넘겨야 하는 폭탄카드 및 상대방의 점수를 뺏어올 수 있는 역전카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The basic card and level-up card includes a bonus card that gives more points, a bomb card that needs to be handed over immediately to the next person, and a reversal card that can take the opponent's score. Pattern training game apparatus. 제 1항, 제 5항 및 제 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5 and 6, 상기 게임판 상의 동사 및 레벨업 카드의 의문사에는 한국말 뜻과 영어 표기가 동시에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문장 구성을 위한 패턴 훈련 게임기구.Question pattern verbs and leveling cards on the game board pattern training game apparatus for constructing an English sente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Korean meaning and English notation at the same time.
KR1020070077903A 2007-08-02 2007-08-02 Pattern training game tool for the construction of English sentences KR1008882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903A KR100888264B1 (en) 2007-08-02 2007-08-02 Pattern training game tool for the construction of English senten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903A KR100888264B1 (en) 2007-08-02 2007-08-02 Pattern training game tool for the construction of English senten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627A KR20090013627A (en) 2009-02-05
KR100888264B1 true KR100888264B1 (en) 2009-03-10

Family

ID=40684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903A KR100888264B1 (en) 2007-08-02 2007-08-02 Pattern training game tool for the construction of English senten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26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149B1 (en) * 2010-03-17 2013-11-21 김혜림 A Self-directed Studying Method and the Device of It to Learn Foreign Language by the Game That Relays the End Spelling of the Word with Integrating the Merits of the Particularly Designed Cards into the Characters of Studying Machines
KR20200020576A (en) 2018-08-16 2020-02-26 주식회사 신한은행 Method for providing paying service of document against acceptance and server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902Y1 (en) 2003-05-12 2004-02-19 마코토 다이쿠 Chart-type educational sheet materials for learning english
KR200425417Y1 (en) * 2006-06-22 2006-09-05 이은순 Game apparatus for learning English sentences
KR20070037860A (en) * 2005-10-04 2007-04-09 김승현 Board game for english stud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902Y1 (en) 2003-05-12 2004-02-19 마코토 다이쿠 Chart-type educational sheet materials for learning english
KR20070037860A (en) * 2005-10-04 2007-04-09 김승현 Board game for english study
KR200425417Y1 (en) * 2006-06-22 2006-09-05 이은순 Game apparatus for learning English sente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627A (en)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3740A (en) Educational word and letter game and method of playing
US7011525B2 (en) Encoding system combining language elements for rapid advancement
US200600402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US2008009617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reading skills
Salehi Effects of using instructional video games on teaching English vocabulary to Iranian pre-intermediate EFL learners
Pham The Impact of Gamified Learning Using Quizizz on ESL Learners' Grammar Achievement.
Reid et al. 100 ideas for supporting pupils with dyslexia
Ishtawi The Effects of Game Strategy on the Learning of English Grammar for the Twelfth Grade Students
Wai et al. Effective Spelling Strategies for Students with Dyslexia in Hong Kong Secondary Schools.
KR20060045916A (en)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 for chinese characters
KR100888264B1 (en) Pattern training game tool for the construction of English sentences
Kesselman-Turkel et al. Test-taking strategies
US20170236448A1 (en) Educational Learning System
US20100075282A1 (en) Omnidirectional word construction pedagogical tool and learning game
Williams The Challenge of Spelling in English.
Gattegno The common sense of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Greenwood Activity box: A resource book for teachers of young students
Vardanjani Applying language games in EFL classroom context
Suryali et al. Applying GTM to Enhance Student’s Vocabulary using Crossword Puzzle Game Mobile Application (Word Link)
Murray et al. 7 Hands-on Strategies for Struggling Readers
Serra Muñoz Gamification or traditional methods?: a study on different methodologies to teach grammar
Katemba VOCABULARY ENHANCEMENT USING CROSSWORD PUZZLE (WORD LINK) & GTM
Chen Developing Chinese Matching Games: From Inception to Completion.
Da Cruz et al. Implementation of Crossword puzzle Games to Improve SMA Students’ Vocabulary Mastery
MUTOLINGATUN THE INFLUENCE OF USING HANGMAN GAME TOWARDS STUDENTS’VOCABULARY MASTERY AT THE SECOND SEMESTER OF THE SEVENTH GRADE OF MTSN 2 BANDAR LAMPUNG IN THE ACADEMIC YEAR OF 2016/2017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