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012B1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012B1
KR100888012B1 KR1020070027231A KR20070027231A KR100888012B1 KR 100888012 B1 KR100888012 B1 KR 100888012B1 KR 1020070027231 A KR1020070027231 A KR 1020070027231A KR 20070027231 A KR20070027231 A KR 20070027231A KR 100888012 B1 KR100888012 B1 KR 100888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alloon
rod
pipe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7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5546A (ko
Inventor
마사오 히가시모토
Original Assignee
산맥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맥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맥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70027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012B1/ko
Publication of KR20080085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2Adjustable mountings telescop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15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21V3/023Chinese lanterns; Ballo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 타입의 풍선형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풍선을 팽창시키기 위한 조작이 용이하며 작업자에 큰 부담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톱부재11과 베이스 부재12의 사이에 가요성을 구비한 복수의 대오리 부재13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신축 골조체와 그 외면에 설치된 풍선부재31을 구비하고, 톱부재11과 베이스 부재12는, 파이프 부재14 및 로드 부재15로 이루어지는 신축 가능한 신축 지주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로드 부재15에는 신축 지주를 수축시킨 상태에 있어서 파이프 부재14를 관통하여 그 개구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위치에 개구 단부에 결합하여 신축 지주의 신장방향에 대한 이동을 저지하는 것이 가능한 결합부재44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IGHTING DEVICE}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조명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조명장치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4는 도3의 A―A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5는 도3의 B―B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6은 대오리 부재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7은 신축 지주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8은 도7에 나타내는 신축 지주의 구조의 단면 우측면도이다.
도9는 결합부재의 설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10은 유니버설 너클의 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11은 신축 골조체에 반사판31a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이다.
도12는 2개의 램프를 사용한 조명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13은 도12의 램프의 부분을 상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14는 차폐판 및 지지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B 조명장치 11 톱부재(top部材)
12 베이스 부재(base部材) 13 대오리 부재
14 파이프 부재(pipe部材) 14a 개구 단부(開口端部)
15 로드 부재(rod部材) 16 와이어(wire)(끈 모양체)
17 조작부 19 지지축(支持軸)(지지부재)
28 차폐판(遮蔽板) 29 지지부재
31 풍선부재 31a 반사판(反射板)
44 결합부재 45 오목부
SS 신축 지주(伸縮支柱) SK 신축 골조체(伸縮骨組體)
LM 조명 램프(照明lamp)
본 발명은, 공사현장, 사고현장 또는 야외의 이벤트 장소 등에 있어서 사용되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위 풍선형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풍선형의 조명장치로서, 블로워(blower)나 팬을 사용하여 풍선에 공기를 반송(搬送)하여 팽창시키는 가스 타입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타입의 것은, 풍선이 찢어진 경우에는 사용이 불가능 하게 되어버린다. 또한 블로워나 팬을 항상 가동시켜 놓아야 하므로 그 운전음(運轉音)이 방해가 되는 장소, 예를 들면 영화의 촬영 등에서는 사용하지 못한다.
이에 대하여 우산의 살과 같은 대오리 부재를 펼침으로써 풍선을 팽창시키는 우산 타입의 것이 여러 가지로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개시된 풍선형의 조명장치에서는, 톱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2개의 봉재(棒材)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골재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골재의 각각의 단부가 톱부재와 베이스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톱부재는 조명 램프를 통하여 지주(支柱)에 연결되어 있고, 베이스 부재는 지주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골재가 방사상으로 펼쳐지고, 골재에 부착된 대오리 부재가 동시에 펼쳐짐으로써 풍선이 팽창되게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2에 개시된 조명장치에서는, 톱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사이에 가요성을 구비한 복수의 대오리 부재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대오리 부재의 외면에 풍선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톱부재에는 지주가 연결되고, 베이스 부재는 지주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지주의 상단부에 조명 램프가 부착되고, 하단부에 조작용의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작업자가 손잡이를 쥐어 베이스 부재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대오리 부재가 펼쳐져서 풍선이 팽창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253172
특허문헌2 :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95517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조명장치에서는, 어느 것이나 모두 지주의 상단부에 톱부재가 부착되고, 지주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베이스 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풍선을 팽창시키거나 또는 수축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작업자의 조작에 부담이 있었다.
즉 풍선을 팽창되게 할 때에, 보통 베이스 부재를 지주를 따라 상방으로 밀어 올릴 필요가 있어서 대오리 부재를 탄성적으로 만곡시키기 위한 힘이 가해지고, 풍선의 중량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힘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베이스 부재를 밀어 올린 상태로 지지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이들 일련의 조작을 혼자서 하는 것은 큰 부담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대오리 부재를 펼침으로써 풍선을 팽창시키는 우산 타입의 풍선형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풍선을 팽창시키기 위한 조작이 용이하며 작업자에 큰 부담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조명장치는, 톱부재와 베이스 부재의 사이에 가요성을 구비한 복수의 대오리 부재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신축 골조체와 상기 신축 골조체의 외면에 설치된 풍선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신축 골조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조명 램프에 의하여 주변을 조명하는 조명장치로서, 상기 톱부재와 베이스 부재는, 파이프 부재 및 상기 파이프 부재 내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로드 부재로 이루어지는 신축 가능한 신축 지주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로드 부재에는, 상기 신축 지주를 수축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부재를 관통하여 그 개구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위치에, 상기 개구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신축 지주의 신장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것의 가능한 결합부재가 설치되어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로드 부재에 형성된 오목부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결합부재의 회전위치가 상기 로드 부재의 축방향과 일치하였을 때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파이프 부재 내를 삽입 가능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회전위치가 상기 로드 부재의 축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개구 단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그 길이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상방 또는 하방 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기 로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그 자체 중량에 의하여 연직방향의 회전위치가 되도록 하거나 또는 연직방향으로부터 벗어난 위치가 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드 부재의 단부에 끈 모양체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끈 모양체가 상기 파이프 부재 내를 통하여 상기 개구 단부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있고, 상기 끈 모양체의 단부에는 조작자가 손으로 당기기 위한 조작부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신축 지주가 2개 설치되어서 그것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2개의 상기 파이프 부재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조명 램프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2개의 상기 신축 지주에는, 상기 조명 램프를 보호하기 위한 나선 모양의 보호부재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신축 골조체의 외부로 돌출하여 당해 조명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부착된다.
또한 풍선부재의 내측에, 조명 램프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이 설치된다. 상기 반사판은, 예를 들면 상기 풍선부재와 상기 대오리 부재의 사이에 끼워져 있어서 상기 신축 골조체에 의하여 지지된다.
또한 조명 램프를 복수 개 설치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 각 조명 램프를 방전 램프로 하여 각 조명 램프의 사이에 단열용의 차폐판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차폐판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조명 램프를 지지 하기 위한 대략 S자형의 지지부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조명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조명장치1의 단면 정면도, 도3은 도2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 도4는 도3의 A―A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5는 도3의 B―B선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6은 대오리 부재의 연결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 도7은 신축 지주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정면도, 도8은 도7에 나타내는 신축 지주의 구조의 단면 우측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명장치1은, 원판모양의 톱부재11과 베이스 부재12의 사이에 가요성(可撓性)을 구비한 복수의 대오리 부재13, 13, 13…이 방사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신축 골조체(伸縮骨組體)SK로 구성되어 있고, 신축 골조체SK의 외면에 풍선부재31이 설치되어서 외관이 형성되어 있다.
도2∼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톱부재11과 베이스 부재12는, 파이프 부재14 및 파이프 부재14 내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로드 부재(rod部材)15로 이루어지는 텔레스코픽식(telescopic式)으로 신축 가능한 2개의 신축 지주SS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즉 톱부재11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로드 부재15의 상단부에 형성된 나사가 나사결합 하여 연결되고, 베이스 부재12에 형성된 나사 구멍에 파이프 부재14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가 나사결합 하여 연결되어 있다. 어느 것이나 모두 록(lock)을 위한 너트가 형성되어 있다. 도7에는 파이프 부재14에 나사결합 한 너트141이 나타나 있다.
로드 부재15는, 파이프 부재14 안을 슬라이딩 가능하여 가장 신장하였을 때에 풍선부재31은 수축된 상태가 되고(도2에 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상태), 가장 수축하였을 때에 풍선부재31은 팽창된 상태가 된다(도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 가장 신장하였을 때이더라도 로드 부재15의 하단부는 파이프 부재14 안에 남아 있고, 가장 수축하였을 때에는 로드 부재15의 하단부는 파이프 부재14의 하단의 개구 단부14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2개의 평행한 로드 부재15, 15의 하단부에는 끈 모양체인 와이어16, 16이 각각 연결되어, 그 2개의 와이어16, 16이 파이프 부재14 내를 통하여 각각의 개구 단부14a, 14a로부터 외부로 인출되어 있다. 와이어16, 16의 하단부에는, 조작자가 손으로 당기기 위한 원형 막대 모양의 조작부17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조작부17로서 원형 막대 모양의 것을 사용하지 않고 와이어16, 16을 일체로 연결하거나 또는 일체적으로 연결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로드 부재15와 와이어16은, 로드 부재15의 하단면으로 개구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에 와이어의 상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로드 부재15의 하단부가 외측으로부터 강하게 눌려져 구멍이 변형되어, 그에 따라 와이어가 견고하게 파지됨으로써 연결되어 있다.
풍선부재31은,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또는 천이나 범포(帆布) 등의 투과성을 구비하는 백색 또는 컬러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도1과 같이 팽창된 상태에서 구체(球體) 모양 또는 타원체(楕圓體) 모양이 되도록 봉제(縫製)되어 있다. 풍선부재31의 하측의 중앙에는, 원통 모양의 스커트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부32는, 풍선부재31이 팽창된 상태에서는 후술하는 로드 부재15이나 지지축19 등을 덮어서 외관을 산뜻하게 하여 미관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풍선부재31이 수축된 상태에서는 같이 수축됨으로써 대오리 부재13의 길이에 대하여 풍선부재31의 길이가 부족하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하방의 노출부를 덮을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였으나, 스커트부32에는 그 상단 테두리 및 하단 테두리의 각각의 원주를 따라 삽입된 끈이 있어, 풍선부재31을 수축시켰을 때에 그 끈을 조여서 개구부를 닫히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풍선부재31을 수축시켰을 때의 포장이 용이하게 되어 있어 보관이나 운반에 편리하다.
톱부재11에는 중앙에 아이볼트(eyebolt)18이 부착되어 있어, 아이볼트18에 의하여 조명장치1 전체를 위에서부터 매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베이스 부재12에는 하방으로 돌출하는 지지축19가 부착되어 있다. 지지축19를, 삼각 스탠드나 텔레스코프(telescope)식의 신축 구동장치 등에 의하여 세워 설치된 장대(pole)20(도1참조)에 삽입하고, 장대20에 형성된 나사를 나사체결 하여 오목홈부19a로 가압함으로써 빠짐 방지와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베이스 부재12에는 램프LM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26이 부착되어 있다.
도3 및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12에는, 파이프 모양의 스페이서21을 통하여 볼트21a에 의하여 램프 베이스22가 부착되어 있다. 램프 베이스22에는 램프LM을 부착하기 위한 소켓23 및 램프LM을 점등시키기 위한 점화기(ignitor)24가 부착되어 있다. 2개의 파이프 부재14, 14에는 나선 모양으로 감긴 금속선으로 이루어지는 램프가드(lampguard)25가 파이프 부재14, 14의 외측에 접촉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한 대오리 부재13은 지름이 몇 mm 정도의 스테인레스의 스프링강(스프링鋼)으로 이루어져, 그 탄력에 의하여 신축 골조체SK을 팽창시키려고 한다. 신축 골조체SK이 신장한 상태 즉 풍선부재31이 수축된 상태에서는 대오리 부재13은 톱부재11 및 베이스 부재12에 대하여 대략 수직상태이지만, 신축 골조체SK이 수축한 상태 즉 풍선부재31이 팽창된 상태에서는 대오리 부재13은 톱부재11 및 베이스 부재12에 대하여 대략 평행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신축 골조체SK의 신축에 의하여 톱부재11 및 베이스 부재12에 대한 대오리 부재13의 자세가 크게 변경되지만, 그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대오리 부재13은 톱부재11 및 베이스 부재1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즉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오리 부재13의 일단부에, 원기둥 모양의 회전부재41이 부착되어 있어, 이 회전부재41은, 나사에 의하여 베이스 부재12에 부착된 U자형 수용부재42에 의하여 축핀(軸pin)43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대오리 부재13은, 도6의 지면(紙面)을 포함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 축핀4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대오리 부재13의 타단부에 있어서도 이것과 동일한 구성에 의하여 톱부재11에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각 로드 부재15에는, 신축 지주SS를 수축시킨 상태 즉 와이어16을 하방으로 대략 거의 다 잡아 당긴 상태에 있어서, 파이프 부재14를 관통하여 그 개구 단부14a로부터 돌출하는 위치에, 개구 단부14a에 결합하여 신축 지주SS의 신장방향에 대한 이동을 저지하는 것이 가능한 결합부재4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도7 및 도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로드 부재15에는, 그 지름의 대략 중앙 부근까지 평면으로 깎아서 형성된 오목부4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오목부45는 단면 형상이 대략 반원형이다. 오목부45의 단부는 대략 45도의 경사면46, 46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44는 오목부45 내에 수용되는 폭 및 두께를 구비하여 오목부45의 길이보다도 짧고, 그 선단부44a는 좌우 각각 45도로 잘려지고 또한 저면으로부터 상면(도8에 있어서의 지면 전방 측의 면)을 향하여 45도로 잘라져 있다. 결합부재44는, 그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어서 로드 부재15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된 핀47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44는, 자유상태에서는 그 자체 중량에 의하여 선단부44a를 위로 하는 연직방향의 회전위치가 된다. 그렇게 되면 보통 로드 부 재15는 연직방향을 따르고 있으므로, 결합부재44는 로드 부재15의 오목부45 내에 정확하게 수용되고, 즉 단면 상태에서 볼 때에 로드 부재15의 외주로부터 결합부재44가 돌출하지 않는 상태로서 파이프 부재14 안에 저항 없이 삽입되고 또한 파이프 부재14의 내부를 자유롭게 삽입 가능하다.
거기에서, 와이어16을 하방으로 대략 거의 다 잡아 당긴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으로 결합부재44를 회전시켜서 로드 부재15의 축방향과 일치하지 않게 하였을 때에, 그 상태에서 와이어16의 잡아당김을 해제하게 되면, 로드 부재15 및 와이어16은 대오리 부재13의 탄성에 의하여 상방으로 당겨지고, 회전시킨 결합부재44가 파이프 부재14의 개구 단부14a에 접촉한다. 그 상태에서는, 결합부재44는 대략 수평자세가 된다. 2개의 결합부재44를 모두 그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로드 부재15는, 대오리 부재13의 탄력에 의하여 가압된 상태에서 그 위치에서 제지되고, 대오리 부재13 및 풍선부재31은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풍선부재31을 수축시키는 경우에는, 와이어16을 하방으로 약간 잡아 당기면 결합부재44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개구 단부14a의 접촉으로부터 해방되어, 결합부재44는 그 자체 중량에서 연직자세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와이어16을 당기는 것을 해제함으로써 결합부재44는 개구 단부14a에 결합하지 않고 파이프 부재14 안으로 삽입되게 된다. 그 결과, 도2에 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수축된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팽창된 상태에서 커넥터26을 이용하여 전원으로부터의 배선을 접속하고,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스위치를 온 함으로써 점화기24를 동작시켜서 램프LM을 점등시킨다. 이것이 사용상태이다. 사용상태에 있어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축19를 이용하여 삼각(三脚) 등에 의하여 지면(地面)에 세워서 설치하고 또는 아이볼트18을 이용하여 매단다. 이에 따라 조명장치1의 주변을 밝게 조명한다.
사용상태를 끝낼 때에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스위치를 오프 함으로써 램프LM을 소등시키고, 커넥터26에 대한 배선을 떼어낸다. 램프LM이 충분하게 냉각된 후에, 와이어16을 일단 하방으로 당기 후에 해방함으로써 도2의 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수축된 상태로 한다. 이 상태에서, 스커트부32에 설치된 끈을 졸라 묶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 지지축19를 장대20이나 삼각 등으로부터 떼어내서 보관한다. 램프LM은 램프가드25에 의하여 보호되고 있기 때문에, 풍선부재31이 직접적으로 접촉하거나 외부의 힘이 직접적으로 가해지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명장치1에 의하면, 풍선을 팽창되게 하기 위한 조작 및 풍선을 수축되게 하기 위한 조작이, 어느 것이나 모두 매우 용이하며 작업자에 부담을 주지 않아 그 작업을 신속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조명장치1을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자세로 사용하면, 와이어 16을 하방으로 당겨서 풍선을 팽창시키는 경우에, 신축 골조체SK 및 풍선부재31의 하단부는 고정되고 상단부가 하강이동 하게 되므로, 그 자체 중량이 풍선을 팽창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그 때문에 조작에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풍선을 용이하게 팽창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44를 설치하는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풍선의 팽창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결합부재44는 그 길이 방향의 상방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로드 부재15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는 반대로, 그 길이방향의 하방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로드 부재15에 회전하도록 부착하여도 좋다.
즉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로드 부재15에 형성된 오목부45에 결합부재44가 그 길이방향의 중앙에서 하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어서 로드 부재15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된 핀47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이렇게 하면, 결합부재44는 연직방향으로부터 조금이라도 기울어짐으로써 그 자체 중량에 의하여 선단부44a가 위가 되도록 회전한다. 따라서 와이어16을 하방으로 잡아 당겨서 파이프 부재14로부터 결합부재44가 빠지면, 결합부재44는 반전하여 로드 부재15의 축방향과 일치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그 상태에서 와이어16의 잡아당김을 해제하면, 결합부재44가 파이프 부재14의 개구 단부14a에 접촉하여 결합하게 된다.
풍선부재31을 수축시킬 때에는, 와이어16을 하방으로 조금 잡아 당겨서 결합부재44를 로드 부재15의 방향과 일치시키고 와이어16의 잡아당김을 해제하게 하면, 결합부재44는 파이프 부재14 안으로 삽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핀47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풍선부재31을 수축시킬 때(수납 시)에 결합이 자동으로 해제되도록 하거나, 풍선부재31을 팽창시킬 때(사용 시)에 결합이 자동으로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44의 중앙위치에 있어서 핀47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부착하여도 좋다. 결합부재44의 삽입위치 또는 결합위치에 있어서 각각 래치(latch) 등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에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축19를 지지하는 장대20 등에 조명장치1을 기울이기 위한 유니버설 너클(universal knuckle)을 부착하여도 좋다.
도10에 예를 나타내는 유니버설 너클50은, 너클 가로축51 및 너클 세로축55로 되어 있다. 너클 가로축51 및 너클 세로축55는, 각각 2단의 원기둥 모양으로서, 구멍52, 56이 형성되어 있다. 너클 가로축51의 구멍52에는 지지축19가 삽입되어,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핸들 구비 볼트의 선단이 오목홈부19a에 눌리어져서 고정된다. 너클 가로축51의 소경부53은 너클 세로축55의 구멍56에 삽입되어,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핸들 부착 볼트의 선단이 소경부53에 형성된 오목홈부53a에 눌리어져서 고정된다. 너클 세로축55의 소경부57은 장대20 등의 상단부에 형성된 구멍20a에 삽입되어, 볼트58 의 선단이 소경부57에 형성된 오목홈부57a에 눌리어져서 고정된다.
오목홈부19a를 가압하는 핸들 부착 볼트를 풀면, 지지축19를 그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조명장치1의 회전각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오목홈부53a를 가압하는 핸들 부착 볼트를 풀면 너클 가로축51을 그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명장치1의 연직선에 대한 경사각도(틸트각)를 조정할 수 있다. 오목홈부57a를 가압하는 볼트58을 풀면, 너클 세로축55를 그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명장치1을 기울인 상태에서 그 회전각도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지지축19, 너클 가로축51, 및 너클 세로축55를 알루미늄 합금 등의 비교적 부드러운 금속재료에 의하여 제작하고, 핸들 부착 볼트 및 볼트58을 강재 또는 스테인레스 강재 등의 비교적 딱딱한 금속재료에 의하여 제작함으로써 적절한 마찰 저항력이 얻어지고, 또는 딱딱한 쪽의 금속재료가 부드러운 쪽의 금속재료에 파고 들어감으로써 회전각도 위치의 조정 등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조정 후의 위치에 있어서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유니버설 너클50에 대신하여, 지지축19와 장대20과가 1직선 모양이 되도록 하고, 너클 가로축51의 축심과 같은 축심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굴곡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조명장치1을, 엔진 발전기를 탑재한 대차(臺車) 상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 부의 재료는 강, 스테인레스강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재료가 사용된다. 부재에 따라서는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부재의 치수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톱부재11 및 베이스 부재12의 판의 두께 : 수mm∼10mm 정도, 지름 : 수십mm∼백수십mm 정도, 대오리 부재13의 지름 : 수mm∼10mm 정도, 길이 : 수십cm∼백수십cm 정도, 파이프 부재14의 외경 : 수mm∼십수mm 정도, 구체적으로는 10mm 정도, 길이 : 수십cm∼100cm 정도, 로드 부재15의 외경 : 수mm∼십수mm 정도, 구체적으로는 6mm정도, 길이 : 수십cm∼100cm 정도, 램프가드25의 지름 : 100mm∼백수십mm 정도.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풍선부재31의 상반구(上半球)의 상부에 있어서의 내면에, 빛을 반사하는 은(Silver)의 반사판을 설치하여도 좋다. 반사판을 설치함으로써 하방으로의 조명광이 강하게 되어 효율적으로 하방 주변을 조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구면(球面)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반사판31a를 인너 시트(inner sheet)로서 대오리 부재13과 풍선부재31의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신축 골조체SK에 의하여 지지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반사판31a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아이볼트18이 관통하여 톱부재11와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아이볼트18을 풀어 떼어내고, 풍선부재31을 걷어 올림으로써 반사판31a를 떼어 내거나 또는 부착할 수 있다. 도1에는 반사판31a가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반사판31a로서, 알루미늄박(aluminium薄), 천이나 수지 시트에 알루미늄을 증착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반사판31a에 의하면, 상방에 대한 빛이 차폐되므로 주택가 등의 공사에 사용할 때의 야간의 안면(安眠) 방해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교각 아래나 구조물 내에서의 공사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사판31a를 떼어내서 천장방향으로 필요한 조명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조명장치1에서는, 단일 램프LM이 사용되고 있다. 다음에 2개의 램프LMa, LMb를 사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2는 2개의 램프LMa, LMb을 사용한 조명장치1B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13은 도12의 램프LMa, LMb의 부분을 위에서부터 본 평면도, 도14는 차폐판28 및 지지부재29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1∼도5와 동일한 기능을 구비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12∼도14에 있어서, 조명장치1B에서는 램프 베이스22에 2개의 소켓23a, 23b가 부착되어 있고, 이것에 2개의 램프LMa, LMb가 부착되어 있다.
램프LMa, LMb로서 수은 램프, 메탈할로이드 램프(HID 램프), 할로겐 램프 또는 나트륨 램프 등의 방전 램프가 사용된다. 특히 메탈할로이드 램프를 사용한 경우에는 저소비 전력으로 고휘도의 조명을 할 수 있다.
램프 베이스22와 톱부재11의 사이는 2개의 파이프 부재14와 2개의 로드27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램프가드25는, 파이프 부재14와 로드27의 외측에 접촉하도록 감겨서 부착되어 있다. 또 램프 베이스22 및 톱부재11은,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원판의 주위에 프레스 등에 의하여 짧은 원주면을 형성한 형상이다.
톱부재11의 하면에는, 2개의 램프LMa, LMb의 사이에 있어서 램프LMa, LMb에 접촉하지 않도록 차폐판28이 부착되어 있다. 차폐판28은, 띠 모양의 강판을 구부림으로써 상면부28a, 경사면부28b, 및 차폐부28c 등을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차폐판28은, 일방의 램프LMa, LMb가 먼저 점등하였을 때에 그 열이 타방의 램프LMb, LMa를 가열하지 않도록 2개의 램프LMa, LMb의 사이를 단열하기 위한 것이다. 그 때문에 차폐부28c의 크기는, 램프LMa, LMb의 발광부가 발생시키는 열이 타방으로 직접적으로 방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사이즈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차폐판28의 높이방향의 길이가 100∼200mm 정도, 폭방향의 길이가 15∼30mm 정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램프LMa, LMb의 지름이 50mm일 때에는 차폐판28의 폭 치수를 20mm 정도로 하면 좋다.
차폐부28c에는 구멍281이 형성되어 있고, 구멍281에는 지지부재29가 삽입되어 있다. 지지부재29는, 도12에 있어서는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였지만 스프링 재료로 이루어지는 선재(線材)를 대략 S자형으로 구부려 형성한 것으로서, 대략 S자형의 각각의 원호부(圓弧部)에 의하여 2개의 램 프LMa, LMb의 외주를 감싸도록 삽입하여 지지한다. 이에 따라 램프LMa, LMb가 진동 등으로 흔들리거나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지지부재29의 외주면에 합성수지로 만든 튜브를 피복(被覆)하여 두어도 좋다.
이렇게 구성된 조명장치1B에서는 2개의 램프LMa, LMb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램프LM, 점화기, 그 이외의 기기가 1개의 램프의 경우보다도 상대적으로 대폭 소형으로 되어, 전체적으로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2개 또는 1개의 등을 선택적으로 점등함으로써 밝기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생력화(省力化)도 용이하다. 2개의 등을 시간차를 두고 점등함으로써 기동전류(起動電流)의 분산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전원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명장치1B의 전원으로서 엔진이 있는 발전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그 발전기의 출력용량을 작게 할 수 있어 소형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시간차를 두고 점등하였을 경우에 있어서, 차폐판28의 존재에 의하여 일방의 램프LM의 점등에 의하여 타방의 램프LM이 가열되는 일이 없어, 뒤에 기동하는 램프LM도 지장 없이 기동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정전 등에 의하여 소등한 후에 재점등 하는 경우에, 냉각의 차이에 의하여 2개의 등은 시간차를 두고 기동하지만, 그 경우에 먼저 점등한 램프LM에 의하여 타방의 램프LM이 가열되는 일이 없으므로 뒤에 기동하는 램프LM도 지장 없이 기동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경우에, 빨리 냉각된 램프LM으로부터 먼저 순차적으로 점등할 수 있으므로 재점등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 된다. 여기에서 차폐판28이 없는 경우에는, 먼저 점등한 램프LM에 의하여 타방의 램프LM이 가열되어 뒤의 램프LM이 기동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2개의 램프LMa, LMb의 발광색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그들 색을 혼합한 조명광을 얻을 수 있어 색상 연출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칵테일 광선(cocktail 光線)으로서 장식적인 조명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2개의 램프LMa, LMb의 발광에 의하여 대상물이 서로 다른 위치로부터 조명되어 사용자의 시각으로는 대상물의 입체감이 향상된다.
램프LMa, LMb로서, 동일한 종류의 방전 램프를 사용하여도 좋고, 다른 종류의 방전 램프를 사용하더라도 좋다. 2개의 등이 아니라, 3개의 등, 4개의 등 또는 그 이상의 램프LM을 설치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 각 램프LM의 사이에 단열용의 차폐판28 및 지지부재29를 필요에 따라 설치하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파이프 부재14의 개구 단부14a에 적절한 접촉부재를 설치하여도 좋다. 그 외에 차폐판28, 지지부재29, 신축 지주SS, 신축 골조체SK 또는 조명장치1, 1B 전체 또는 각 부의 구조, 형상, 치수, 개수, 재질 등은,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산 타입의 풍선형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풍선을 팽창되게 하기 위한 조작이 용이하여 작업자에 큰 부담을 주는 일이 없다.

Claims (13)

  1. 톱부재(top部材)와 베이스 부재(base部材)의 사이에 가요성(可撓性)을 구비한 복수의 대오리 부재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신축 골조체(伸縮骨組體)와 상기 신축 골조체의 외면에 설치된 풍선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신축 골조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조명 램프(照明lamp)에 의하여 주변(周邊)을 조명하는 조명장치로서,
    상기 톱부재와 베이스 부재는, 파이프 부재 및 상기 파이프 부재 내를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로드 부재(rod部材)로 이루어지는 신축 가능한 신축 지주(伸縮支柱)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로드 부재에는, 상기 신축 지주를 수축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부재를 관통하여 그 개구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위치에, 상기 개구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신축 지주의 신장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것이 가능한 결합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는, 상기 신축 골조체의 외부로 돌출하여 당해 조명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가 부착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로드 부재에 형성된 오목부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재의 회전위치가 상기 로드 부재의 축방향과 일치하였을 때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파이프 부재 내를 삽입 가능하고, 상기 결합부재의 회전위치가 상기 로드 부재의 축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개구 단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그 길이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기 로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그 자체 중량에 의하여 연직방향의 회전위치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그 길이방향의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상기 로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그 자체 중량에 의하여 상기 로드 부재의 축방향과 일치하지 않는 회전위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5. 제1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부재의 단부에 끈 모양체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끈 모양체가 상기 파이프 부재 내를 통하여 상기 개구 단부에서 외부로 인출되어 있고,
    상기 끈 모양체의 단부에는 조작자가 손으로 당기기 위한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지주가 2개 설치되어 그들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2개의 상기 파이프 부재의 단부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조명 램프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상기 신축 지주에는 상기 조명 램프를 보호하기 위한 나 선(螺旋) 모양의 보호부재가 부착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선부재의 내측에, 상기 조명 램프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풍선부재와 상기 대오리 부재의 사이에 끼워져 있고, 상기 신축 골조체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램프는 복수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명 램프는 방전 램프이고, 각 조명 램프의 사이에 단열용(斷熱用)의 차폐판(遮蔽板)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조명 램프를 지지하기 위한 대략 S자형의 지지부재가 설치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070027231A 2007-03-20 2007-03-20 조명장치 KR100888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231A KR100888012B1 (ko) 2007-03-20 2007-03-20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7231A KR100888012B1 (ko) 2007-03-20 2007-03-20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546A KR20080085546A (ko) 2008-09-24
KR100888012B1 true KR100888012B1 (ko) 2009-03-09

Family

ID=40025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7231A KR100888012B1 (ko) 2007-03-20 2007-03-20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0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19358A (zh) * 2010-10-01 2013-05-22 3M创新有限公司 导光可扩张包层
US11287103B2 (en) 2019-04-22 2022-03-29 Ism Lighting, Llc. Low wattage balloon work ligh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197U (ko) * 1993-02-08 1994-09-24 고재호 조명전구가 내장된 공중부상용 애드벌룬
JP2002195488A (ja) * 2000-12-28 2002-07-10 Sanko Spring Kk テレスコピックパイプ装置
JP2003157712A (ja) * 2001-07-23 2003-05-30 Wako Kikai Kogyo Kk バルーン照明機
KR20060034648A (ko) * 2003-08-19 2006-04-24 가부시키가이샤 브론즈 안전 우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197U (ko) * 1993-02-08 1994-09-24 고재호 조명전구가 내장된 공중부상용 애드벌룬
JP2002195488A (ja) * 2000-12-28 2002-07-10 Sanko Spring Kk テレスコピックパイプ装置
JP2003157712A (ja) * 2001-07-23 2003-05-30 Wako Kikai Kogyo Kk バルーン照明機
KR20060034648A (ko) * 2003-08-19 2006-04-24 가부시키가이샤 브론즈 안전 우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19358A (zh) * 2010-10-01 2013-05-22 3M创新有限公司 导光可扩张包层
US11287103B2 (en) 2019-04-22 2022-03-29 Ism Lighting, Llc. Low wattage balloon work l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546A (ko) 200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2108B2 (ja) 投光機
JP2002507053A (ja) 膨張可能な支持構造を備えた一時的及び/または緊急照明装置
WO2002095288A1 (fr) Projecteur de lumiere
KR19980032473A (ko) 팽창가능한 기낭과 합체된 콘트롤 유니트를 갖는 조명 기구
JP4644297B2 (ja) 携帯用ランプ
WO2008030138A2 (fr) Installation d'éclairage 'ballon lumineux'
KR100888012B1 (ko) 조명장치
US8939593B2 (en) Temporary and/or emergency lighting system with inflatable bearing structure
WO2009070055A2 (ru) Установка осветительная
CA2590070A1 (en) Inflatable portable lamp
JP4502924B2 (ja) 照明装置
JP4122368B1 (ja) ツイストバルーン照明機
US20070019403A1 (en) Portable lighting apparatus
JP3229451U (ja) バルーン型照明装置
JP2004095517A (ja) バルーン照明機
JP2006252869A (ja) 照明器具
RU74441U1 (ru) Установка осветительная "шар световой - зонтик"
GB2052037A (en) Lamp Having a Shade Formed as an Umbrella
JP6401985B2 (ja) バルーン式照明装置
JP3864265B2 (ja) バルーン照明機
JP2004253172A (ja) バルーン型照明装置
JP4381704B2 (ja) 投光機用バルーン型照明装置および投光機
JP2007335080A (ja) 照明装置
DE60116114D1 (de) Entfaltbares Schutzdach mit reduziertem Platzbedarf
CN218599551U (zh) 升降环照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