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7322B1 - Parking management method concerning wandering vehicles and passageway parking - Google Patents

Parking management method concerning wandering vehicles and passageway par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7322B1
KR100887322B1 KR1020070088972A KR20070088972A KR100887322B1 KR 100887322 B1 KR100887322 B1 KR 100887322B1 KR 1020070088972 A KR1020070088972 A KR 1020070088972A KR 20070088972 A KR20070088972 A KR 20070088972A KR 100887322 B1 KR100887322 B1 KR 100887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s
vehicle
parking lot
management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9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택건
이영천
Original Assignee
스타패스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타패스테크(주) filed Critical 스타패스테크(주)
Priority to KR1020070088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73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7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73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2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external to the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6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by counting the vehicles in a section of the road or in a parking area, i.e. comparing incoming count with outgoing cou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Abstract

A parking management method considering a wandering vehicle and passageway parking is provided to improve parking management efficiency by offering parking position confirm information. A user inputs a vehicle number through a kiosk installed in a passageway of a parking lot and a building(S210). The inputted vehicle number is transmitted to a parking management server.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grasps the parking section with the corresponding parked vehicle through final image information photographing the corresponding vehicle number from a database(S211). A sensor grasps the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area which is converted from the non-occupation to occupation in the time close to the image photographing timing(S212). If the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area is grasped, the sensor grasps whether the corresponding parking area is still occupied(S213). If an additional number displaying unit like an electric bulletin board and a flasher is installed in the parking section,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display unit are performed(S214). If the guidance about the parking position is perform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the kiosk performs the advertisement automatically(S215).

Description

배회차량과 통로주차를 고려한 주차관리방법 {PARKING MANAGEMENT METHOD CONCERNING WANDERING VEHICLES AND PASSAGEWAY PARKING}Parking management method considering roaming vehicle and aisle parking {PARKING MANAGEMENT METHOD CONCERNING WANDERING VEHICLES AND PASSAGEWAY PARKING}

본 발명은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을 안내하거나 출차하려는 차량의 주차위치를 확인해주는 주차관리방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비용으로 주차장 내의 배회차량과 통로주차를 포함한 모든 주차영역에 대한 정확한 주차 안내 정보 및 주차 위치 정보의 제공이 가능한 주차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king management method for guiding a vehicle entering a parking lot or confirming a parking position of a vehicle to be discharged. More specifically, at a low cost, accurate parking guide information for all parking areas including roaming vehicles and aisle parking lo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management method capable of providing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일반적으로, 대형 백화점, 쇼핑센터, 공연장, 또는 경기장과 같이 다수의 인원이 모이는 장소에는 대형 주차장이나 주차빌딩이 구비되어 있어 많은 차량이 일시에 주차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general, a large parking lot or a parking building is provided at a place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gather, such as a large department store, a shopping center, a performance hall, or a stadium, so that many vehicles can park at a time.

그런데, 주차장이 대형화하고 복잡해지면, 그만큼 주차장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이 비어있는 주차면을 찾거나 출차시 자신이 주차한 주차위치를 찾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주차장을 관리하는 입장에서도 입차, 출차 및 요금관리 등을 수작업으로 진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주차장을 효율적이고 전산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However, when the parking lot becomes large and complicated, it takes a lot of time for the users who use the parking lot to find an empty parking surface or to find their parking location when leaving.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oceed with the manual management of the parking lot from the standpoint of parking lot management, and recently, various methods and systems have been introduced to efficiently and computationally manage the parking lot.

한편, 종래 이용자에게 주차장의 주차현황을 알려주기 위한 주차유도시스템으로는, 주차면에 주차 차량을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 RFID 태그, 루프감지기와 같은 각종 센서를 설치하거나, 주차 차량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를 설치함으로써, 주차면에서의 차량 유무를 감지하고, 이 정보를 주차장 입구, 주차장의 각층 입구, 또는 주차장의 각 구역 입구 등에 차량의 유무와 숫자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LCD, LED 방식 등)를 통해, 주차장에 진입하려는 차량에게 주차 가능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Meanwhile, as a parking induction system for informing a user of the parking status of a conventional parking lot, various sensors such as an ultrasonic sensor, an RFID tag, and a loop detector that can detect a parking vehicle on a parking surface may be installed or an image of the parking vehicle may be used. By installing a camera capable of acquiring an image, a display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vehicle at a parking surface and displaying the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the vehicle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he entrance of each floor of the parking lot, or the entrance of each zone of the parking lot (LCD, Through the LED system), a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about a parking area to a vehicle to enter a parking lot is widely used.

그런데, 상기 주차유도시스템의 경우, 각 주차면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만으로 시스템을 구성하기 때문에 통로에 위치한 차량의 경우 감지가 불가능하여 주차장 내 차량 상태, 즉 입차 차량인지 아니면 출차 차량인지 구분이 어려워 주차장 내의 주차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이용자 및 관리자가 알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parking guidance system, since the system is composed of only sensors that can detect each parking surface,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vehicle located in the aisle, and thus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whether the vehicle is in a parking lot, that is, whether it is a parking vehicle or an exiting vehicl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users and administrators do not know the exact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situation in the parking lot.

예를 들어 도 2와 같은 상황(총 주차면수 50대, 주차면에 점유된 차량의 수(26대), 주차예정인 차량의 수 3대, 출차예정인 차량의 수 2대, 주차장내 총 차량의 수 31대)에 있는 주차장의 경우, 종래의 주차관리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2가지 방법에 의해 산출된 주차정보가 제공되었다.For example, the situation as shown in Fig. 2 (total number of parking spaces 50, the number of vehicles occupied on the parking surface (26), the number of vehicles scheduled to park 3, the number of vehicles to be released, the total number of vehicles in the parking lot) In the case of a parking lot of 31 car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arking management method, parking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following two methods is provided.

첫째, 총 주차면수(50대)에서 주차장 내 총 차량의 수(31대)만을 고려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에 의하면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는 50대 - 31대가 되어 19대가 된다. 그런데 실제로는 사용할 수 있는 2대의 주차 공간을 사용하지 못하므로 주차장 이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First, only the total number of vehicles in the parking lot (31) is considered from the total number of parking spaces (50).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number of vehicles that can be parked is 50-31, which is 19.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 efficiency of the parking lot is lowered since two parking spaces that are not actually available can be used.

둘째, 총 주차면수(50대)에서 주차장 내 점유된 주차면(26대) 만을 고려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에 의하면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는 50대 - 26대가 되어 24대가 된다. 그런데 실제로는 3대의 차량이 주차가 불가능하여 주차를 할 수 없으므로, 제공된 주차정보를 신뢰하여 입차한 이용자를 장시간 배회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Second, considering only the parking surface occupied in the parking lot (26 spaces) from the total number of parking spaces (50 spaces),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number of vehicles that can be parked is 50-26, which is 24. However, in reality, three vehicles cannot park because they cannot park, and there is a problem of roaming users who have entered the parking lot with confidence in the provided parking information for a long time.

즉, 종래의 주차관리방법에 의하면, 어느 방법에 의하더라도 정확한 주차 정보의 제공이 어렵고 주차장의 이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arking management method, it is difficult to provide accurate parking information by any method and the use efficiency of the parking lot is lowered.

또한, 출차시 이용자가 주차한 차량의 위치를 알려주는 종래의 주차확인시스템으로는, 카메라나 RF감지장치를 각 구역 마다 혹은 주차면 마다 설치하여 차량번호를 감지함으로써 차량이 각 구역 혹은 주차면에 있는 것으로 파악하여, 키오스크(kiosk), 주차권, SMS 와 같은 방법으로 차량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arking confirmation system that informs the location of the vehicle parked by the user at the time of departure, by installing a camera or RF detection device in each zone or each parking surface to detect the vehicle number to the vehicle in each zone or parking surface There is a system that identifies the driver and informs the driver of the vehicle in the same way as kiosk, parking ticket and SMS.

그런데, 각 주차면마다 카메라나 RF 감지장치를 설치하는 시스템은 시스템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구역마다 카메라나 RF감지장치를 설치하는 시스템의 경우, 단위 구역의 크기에 따라 오차의 크기가 커질 수 있으므로, 이 또한 정확한 주차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However, a system for installing a camera or an RF sensing device on each parking surface has a problem in that the cost of building the system is very high.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ystem in which a camera or an RF sensing device is installed in each zone, the size of the error may increase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unit zone, which is also not a method of providing accurate parking information.

한편, 종래의 주차관리방법 또는 시스템에 의하면, 현실적으로 국내의 대형 주차장에서 많이 행해지고 있는 통로 주차를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parking management method or system,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nage aisle parking that is frequently performed in large domestic parking lots.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비용으로 차량 운전자에게 주차장 내 주차현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고, 통로에 위치한 차량이 입차 차량인지 출차 차량인지 구분하여, 즉 배회 차량의 종류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운전자에게 정확한 주차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주차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l-time parking status in the parking lot to the vehicle driver at a low cost, and whether the vehicle located in the aisle is the occupant vehicle It is to provide a parking management method that can distinguish the recognition, that is, accurately grasp the type of the roaming vehicle to provide accurate parking information to the driv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운전자에게 적절한 주차 위치확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짧은 시간 내에 출차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주차장의 관리효율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주차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management method that can allow a driver to exit in a short time by providing the appropriat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to the driver, to increase the driver's satisfaction and significantly improve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parking lot. .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해진 주차 공간 외에 통로 주차의 가능 여부 및 통로 주차를 관리할 수 있는 주차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management method that can manage aisle parking and aisle parking in addition to a predetermined parking spac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 위치를 확인하고자 할 때, LCD나 LED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이용자가 편리하게 주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주차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management method that allows a user to conveniently check the parking position through a display such as an LCD or LED when checking the parking position.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차관리방법은, 출,입구와, 각 주차면에 주차 차량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주차장에 있어서, 배회 차량을 포함한 주차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주차관리방법으로서, (a) 상기 출,입구에 배치된 감지수단을 통해 주차장 내에 위치하는 차량의 총 수를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차량의 총 수에서 상기 주차면에 위치하지 않는 차량 중에서 출차 예정 차량의 수를 제함으로써, 주차 가능 차량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c) 산출된 주차 가능 차량의 수를 주차장 내에 배치된 표시기를 통해 이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구성적 특징이 있다.Parking management method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parking lot is arranged, the exit, the entrance and the sensing means for detecting the parking vehicle on each parking surface, the park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roaming vehicle to the user A parking management method that can be provided, the method comprising: (a) calculating a total number of vehicles located in a parking lot through sensing means arranged at the exit and entrance; (b) calculating the number of available parking vehicles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vehicles to be taken out of vehicles not located on the parking surface from the total number of vehicles; And (c) guiding the calculated number of available parking vehicles to the user through an indicator disposed in the parking lot.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방법에서는, 상기와 같이 주차장 내에 위치하는 총 차량의 수에서, 출차 예정 차량의 수를 제하여 주차 가능 차량의 수를 산출하기 때문에, 정확한 주차 안내가 가능하게 된다. 즉, 주차면에 위치하지 않는 배회 차량에 의해 주차 정보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며, 이는 특히 대형 주차장에서 정확한 주차 정보를 얻는데 도움을 준다.In the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umber of vehicles that can be parked i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vehicles that are scheduled to be released from the total number of vehicles located in the parking lot as described above, accurate parking guidance is possible. That i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error in the parking information by the roaming vehicle not located on the parking surface, which helps to obtain accurate parking information, especially in a large parking lot.

한편, 상기 출차 예정 차량의 수는 다양한 방법으로 파악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the vehicle to be released can be grasped in various ways.

먼저, 주차장 내에 위치한 차량 중에서 현재 시각을 기준으로 일정한 시간 내에 주차면 센서가 차량 점유 신호에서 비 점유 신호로 바뀐 수를 계산함으로써 출차예정차량의 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주차면에 소정 시간 이상 주차한 차량이 주차면을 이탈하는 경우, 출차 차량으로 인식하는 방법이며, 이 방법의 경우 별도의 센서나 인식 장치 없이, 주차면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First, the number of vehicles to be taken out may be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number of parking surface sensors changed from a vehicle occupancy signal to a non-occupancy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current time among the vehicles located in the parking lot. That is, when a vehicle parked on the parking surface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leaves the parking surface, it is a method of recognizing it as an outgoing vehicle, and in this case, an advantage that can be known through a sensor installed on the parking surface without a separate sensor or a recognition device. There is this.

또한, 주차장 출구 쪽 통로에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차량을 출차 예정 차량 수로 파악할 수도 있는데, 이 방법은 출구 쪽 통로로 들어선 차량이 다시 주차장으로 재진입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는 주차장에 적합하다. In addition, by installing a separate sensor in the exit side of the parking lot,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vehicle detected by the sensor as the number of vehicles to be released, this method is difficult to re-enter the vehicle entering the exit side passage back to the parking lot Suitable for parking lot

또한, 주차장의 내부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분할하고, 각 구역의 출,입구에 차량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를 설치하여, 입구 카메라와 각 구역 카메라에 촬영된 특정 차량의 촬영시간의 차이가 소정 시간 이상인 차량의 수를, 상기 출차 예정 차량의 수로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dividing the interior of the parking lot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installing a camera that can obtain image information of the vehicle at the entrance and exit of each zo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hooting time of the entrance camera and the specific vehicle taken by each zone camera The number of vehicles having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may be the number of the scheduled departure vehicles.

또한, 상기 주차장의 통로 중 주차 가능한 영역에도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에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가, 상기 주차 가능 차량의 수에 포함되어 제공되게 할 수 있다. 주차장의 통로의 경우, 일부 주차 가능한 영역이 있을 수 있으며, 실제로 많은 주차장에서 통로 주차를 하고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르면, 주차 가능한 통로 영역에 센서를 설치해 둠으로써, 필요시에 이용자에게 "통로 주차"가 가능함을 알릴 수 있게 되며, 이때 주차 가능한 차량의 총수는 "통로 주차"를 포함한 수가 된다.In addition, a sensor is installed in a parking area of the aisle of the parking lot, and the number of vehicles that can park in the aisle may be included in the number of available parking vehicles. In the case of the aisle of the parking lot, there may be some parking area, and in fact, many parking lots are aisle parking.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sensor in the parkable aisle area,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user that "passage parking" is possible when necessary, and the total number of parkable vehicles is the number including "passage parking". .

또한, 본 발명의 주차관리방법에 의하면, 상기 이용자가 주차장에 설치된 키오스크에 차량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각 구역 카메라 중 상기 이용자의 차량번호를 가장 마지막으로 촬영한 카메라가 위치한 구역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가장 마지막으로 촬영한 카메라가 위치한 구역의 각 주차면에 설치된 감지수단 중에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시간과 가장 근접한 시간에 차량의 주차를 감지한 주차면을 추출하는 단계와, 추출된 주차면을 상기 이용자에게 주차 위치 정보로 제공하는 단계를 통해 이용자가 출차하려고 할 때 차량의 주차위치를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arking manage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puts the vehicle number in the kiosk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nd extracting the area where the camera that last photographed the vehicle number of the user among the zone camera is located; Extracting a parking surface on which the vehicle is parked at the time closest to the shooting time of the camera, from among the sensing means installed on each parking surface of the area where the camera was last photographed; Providing the surface as the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to the user can accurately guide the parking position of the vehicle when the user is going to exit.

또한, 상기 카메라는 차량에 설치된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RFID 리더로 대체할 수 있다. 즉, 각 주차구역별로 차량을 고유하게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면, 전술한 방법을 통해, 차량의 주차위치 안내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amera can be replaced with an RFID reader that can recognize the RFID tag installed in the vehicle. That is, if a means for uniquely recognizing the vehicle is provided for each parking zone, the parking position guidance of the vehicle can be guid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또한, 주차장의 이용자는 키오스크(KIOSK)를 통해 자신의 차량정보를 입력하고, 상기 키오스크나 주차장 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LCD나 LED 전광판과 같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주차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주차 확인 내용을 서비스하지 않을 때는,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of the parking lot may input his vehicle information through a kiosk, and may check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such as one or more LCDs or LED signs installed in the kiosk or the parking lot. In this case, when the parking confirmation is not serviced on the display, an advertisement may be provided.

또한, 각 주차 구역별로 차량을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는 경우, 출차 예정 차량으로 분류된 차량 중에서, 각 주차 구역별 인식시간으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되어도 출구 감지수단에 감지되지 않은 차량의 수를 산출하여 상기 출차 예정 차량의 수에서 제하는 방법을 통해 출차 예정 차량의 수를 보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a system for recognizing a vehicle is provided for each parking zone, the number of vehicles that are not detected by the exit detecting means even if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recognition time for each parking zone among the vehicles classified as the scheduled departure vehicles. The number of vehicles to be dismounted may be corrected by calculating and subtracting the number of vehicles to be dismounted.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방법에 의하면, 대형 비즈니스 건물, 마트, 또는 상가와 같이 대형 주차장을 운영하는 건물에서 배회차량 중 출차 예정 차량을 구분하여 주차 정보를 안내하기 때문에, 이용자에게 정확한 주차 정보를 안내해 줄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building that operates a large parking lot, such as a large business building, a mart, or a shopping mall, the parking information is distinguished from the roaming vehicles to guide the parking information, thereby providing accurate parking information to the user. I can give 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방법에 의하면, 주차장 운영자의 경우, 정확한 주차 정보에 따라, 주차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주차 공간이 없는 것으로 안내되어, 이용자를 받지 못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주차장 이용 효율이 최대화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parking lot operator, according to the correct parking information, even though parking is possible, the parking space is guided, so that it is possible to eliminate a problem such as not receiving a user. Parking lot utilization efficiency can be maxim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방법에 의하면, 주차장 내 지리에 익숙하지 않은 운전자가 본인의 차량이 위치한 장소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여 이용자의 주차장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주차 차량 위치확인 시스템을 저비용으로 구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river who is unfamiliar with the geography in the parking lot can easily find a place where his vehicle is located, thereby improving the parking lot satisfaction of the parking lot. It can be built.

본 발명과 관련된 사항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matter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주차관리 시스템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First, a parking management system that can implement a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주차 시스템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주차 시스템에 있어서, 주차장 내의 각종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system for performing a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king system for performing a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schematically the various structure in a parking lot.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리 시스템은, 주차장 관리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통합하여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100), 주차장에 입차하는 차량을 제어하는 입차 제어부(200), 주차장을 출차하는 차량을 제어하는 출차 제어부(300), 주차장 내의 각종 감지부 등을 제어하는 주차장 제어부(400), 이용자의 주차 위치 확인 및 요금 정산을 수행하는 위치확인 및 요금정산부(50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각 제어부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 기 통합 제어부(100)는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SMS 또는 인터넷 서비스를 하는 업체의 서버(600)와 연결되어 있다.As shown,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control unit 100 for controlling all the elements necessary for the parking lot management, the entrance control unit 200 for controlling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parking lot It consists of a parking lot control unit 300 for controlling a vehicle for discharging the vehicle, a parking lot control unit 400 for controlling various detection units, etc. in the parking lot, and a location confirmation and rate settlement unit 500 for checking the parking position of the user and paying the fee. Each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wired or wireless network, and the integrated control unit 100 is connected to a server 600 of a company that performs SMS or Internet service through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통합 제어부(100)는, 상기 입차 제어부(200), 출차 제어부(300), 주차장 제어부(400), 위치확인 및 요금정산부(500)에서 수행되거나 감지한 신호들을 처리하여, 각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전달하는 부분으로, 각 신호를 처리하는 주차관리서버(110)와, 각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각종 신호 및 처리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0) 및 통합 제어를 담당하는 관리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단말기(130)로 구성된다. 상기 주차관리서버(110)는 각종 카메라의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주차 차량의 번호를 식별해 내는 이미지 처리기능과, 각종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통한 주차 차량의 대수의 연산, 주차요금에 대한 연산 등의 연산 처리 기능 등을 수행한다.The integrated control unit 100 processes the signals carried out or detected by the parking control unit 200, the parking control unit 300, the parking lot control unit 400, the location check and the rate settlement unit 500, and controls each control unit. As a part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an interface between a parking management server 110 for processing each signal, a database 120 storing various signals and processing results transmitted from each control unit, and a manager in charge of integrated control It consists of a terminal 130 for.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10 analyzes image information of various cameras to identify the number of the parking vehicle,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parking vehicles through the information from various sensors, and calculates the parking fee. Performs arithmetic processing functions.

상기 입차 제어부(200)는 입차하는 차량의 고유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입구용 카메라(210)와, 입차 차량의 무단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입구용 차단기(220)와, 주차장내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30) 및 차량 인식결과를 상기 통합 제어부(100)로 전달하기 위한 송신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입구용 카메라(210)는 주차장의 입구 측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의 입구에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를 인식한다. 상기 입구용 차단기(220)는 주차권 발권기와 연동되어 있어, 주차권이 정상적으로 발행될 경우에만 개방이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30)는 LED 전광판을 사용하며, 주차장의 각 구역별로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 등을 안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고유 정 보의 획득을 위해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으나, 차량에 RFID 태그를 장착하고 주차장 입구에 RFID 리더기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고유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The entrance control unit 200 may include an entrance camera 210 for recognizing unique information of a vehicle entering the vehicle, an entrance breaker 220 for preventing unauthorized entry of the vehicle, and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 parking lot ( 230 and a transmitter (not shown) for transmitting the vehicle recognition result to the integrated control unit 100. The entrance camera 21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entrance side of the parking lot to recognize the number of the vehicle entering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he entrance breaker 220 is interlocked with the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so that it is opened only when the parking ticket is normally issued. The display 230 uses an LED signboard and can guide the number of vehicles that can be parked in each zone of the parking lot.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era is used to obtai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vehicle, by installing the RFID tag on the vehicle and the RFID reader at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it is also possible to obtain the unique information of the vehicle.

상기 출차 제어부(300)는 출차하는 차량의 고유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출구용 카메라(310)와, 주차 정산이 이루어지지 않은 차량의 출차를 방지하기 위한 출구용 차단기(320)와, 상기 출구용 카메라(310)에서 인식한 결과를 상기 통합 제어부(100)로 전달하기 위한 송신장치(미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출구용 카메라(310)는 상기 입차 제어부(200)와 유사하게 주차장 출구 측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주차장의 출구에 진입하는 차량을 촬영한다. 그리고 상기 출구용 차단기(320)는 상기 출구용 카메라(310)에서 촬영된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통합 제어부(100)로부터 정산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어 "개방" 제어가 있을 경우,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The exit control unit 300 includes an exit camera 310 for recognizing unique information of a vehicle leaving the vehicle, an exit breaker 320 for preventing exit of a vehicle that is not settled for parking, and the exit camera. It consists of a transmission device (not shown) for transmitting the result recognized in the 310 to the integrated control unit 100. The exit camera 31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exit side of the parking lot similar to the entrance control unit 200 to photograph a vehicle entering the exit of the parking lot. In addition, the exit breaker 320 is determined to have been settled from the integrated control unit 100 through analysis of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exit camera 310, and is opened when there is an "open" control.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주차 시스템에 있어서, 주차장 내의 각종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의 내부는 복수 개의 주차구역(도면상으로는 A, B, C, D의 4개의 구역)로 구획되어 있으며, 각 주차구역의 주차면에는 차량의 점유 또는 비점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진 복수 개의 주차면 센서(410)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센서를 사용하였으나, 차량의 주차면 점유 또는 비점유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종류의 센서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주차구역을 구획하는 경계부의 통로에는 주차장용 카메라(420a,420b,420c,420d)가 배치되어, 각 주차구역별로 출입하는 차 량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주차장내 통로에 있어서 차량이 추가로 주차 가능한 영역(도 2에서, 점선으로 표현된 부분)에도 초음파 센서를 설치하여 통로 주차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various configurations in a parking lot in a parking system for performing a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interior of the parking lo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king zones (four zones A, B, C, D on the drawing), the parking surface of each parking zone is occupied or non-occupied state of the vehicle A plurality of parking surface sensor 410 made of an ultrasonic sensor is arranged to check. Meanwhile, although the ultrasonic sensor is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type of sensor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recognize the occupancy or non-occupancy of the parking surface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parking lot cameras 420a, 420b, 420c, and 420d are disposed in the passageway of the boundary that divides each parking area, so that image information of a vehicle entering and exiting each parking area is obtained.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ltrasonic sensor is also installed in the area in the parking lot where the vehicle can be parked further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in FIG. 2)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arking path is parked.

상기 주차장 제어부(400)는 상기 주차면에 배치된 주차면 센서(410)와, 센서 제어기(430)와, 상기 각 주차구역의 경계 통로에 설치된 주차장용 카메라(420a,420b,420c,420d)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주차면 센서(410)를 통해 수득한 정보는 상기 센서 제어기(430)를 통해 "비점유에서 점유로 전환된 상태", "점유상태에서 비점유로 전환된 상태", "계속 점유된 상태", "계속 비점유 상태"의 4가지로 구분하여 데이터를 일정 주기로 통합 제어부(100)의 주차관리서버(110)로 보내며, 상기 주차장용 카메라(420a,420b,420c,420d)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 정보도 상기 주차관리서버(110)로 전송되어 이미지 분석이 행해지게 된다.The parking lot control unit 400 includes a parking surface sensor 410 disposed on the parking surface, a sensor controller 430, and a parking lot camera 420a, 420b, 420c, or 420d installed in a boundary passage of each parking area. And th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parking surface sensor 410 is “not occupied to occupied state”, “occupied state to occupied state”, “continued occupied by the sensor controller 430. The data is sent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10 of the integrated control unit 100 at regular intervals and photographed by the parking lot cameras 420a, 420b, 420c, and 420d. The image information is also transmitted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10 to perform image analysis.

상기 위치확인 및 요금정산부(500)는, 이용자가 자신의 차량의 번호를 입력하면 주차관리서버(110)로부터 자료를 다운받아 이용자 차량의 위치를 안내하는 키오스크(510)와, 각 주차구역별로 설치되어 있어 이용자가 주차위치를 확인할 때 이용자의 차량이 위치한 주차구역에 차량이 있음을 안내하도록 하는 LCD나 LED로 이루어진 번호표시기(520)와, 이용자가 주차권 또는 차량번호를 입력하면 주차관리서버(110)로부터 해당하는 차량의 주차요금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여 주차요금을 지불받을 수 있도록 하는 요금정산기(530)를 포함한다.The location confirmation and billing unit 500, when the user enters the number of his vehicle, the kiosk 510 for guid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o download the data from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10, and for each parking area Is installed, the number indicator 520 consisting of an LCD or LED for guiding that the vehicle is located in the parking area where the user's vehicle is located when the user checks the parking position, and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 It includes a charge calculator 530 to guide the information on the parking fee of the vehicle from 110 to receive the parking fee.

다음으로, 상기 주차 시스템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Next, the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parking system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입차Entering 차량에 대한 주차 정보 안내 Parking Information Guide for Vehicles

주차장의 입구에 진입하는 차량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흐름을 통해 수득한 주차 정보를 주차장 입구 또는 각 통로에 설치된 디스플레이(230)를 통해 안내받게 된다.In the case of a vehicle entering the entrance of the parking lot, the parking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flow as shown in FIG. 3 is guided through the display 230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entrance or each passage.

먼저, 주차장에 입차하거나 출차하는 차량의 경우,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있는 입구 및 출구용 카메라(210,310)에 의해 차량의 영상이 촬영되어(S110,S111), 주차관리서버(110)로 보내지며, 주차관리서버(110)에서는 영상판독 프로그램을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의 번호를 추출하여 영상과 함께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다.First, in the case of a vehicle entering or leaving a parking lot, images of the vehicle are taken by the entrance and exit cameras 210 and 310 installed at the exits and entrances of the parking lot (S110, S111), and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10. It is sent,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10 extracts the vehicle number from the image taken through the image reading program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120 with the image.

다음으로, 상기 주차관리서버(110)에서는 입차된 차량의 수에서 출차된 차량의 수를 제함으로써, 주차장 내에 위치하는 총 차량의 수를 연산한다(S112).Next,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10 calculates the total number of vehicles located in the parking lot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vehicles withdrawn from the number of vehicles occupied (S112).

한편, 각 주차구역에 설치된 주차장용 카메라에서도 실시간으로 차량을 촬영하여 그 이미지를 상기 주차관리서버(110)로 보내며(S113), 주차관리서버(110)에서는 영상판독프로그램을 통해 차량의 번호를 추출하여 영상과 함께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arking lot cameras installed in each parking area in real time to shoot the vehicle and send the image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10 (S113),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10 to extract the number of the vehicle through the image reading program The image is stored in the database 120 together with the image.

주차관리서버(110)에서는 주차장 카메라(420a,420b,420c,420d)에 촬영된 차량 중, 입구용 카메라(210)에 촬영된 시간과 특정 차량이 복수의 주차장 카메 라(420a,420b,420c,420d) 중에 최종적으로 촬영된 시간과의 차이를 통해, 예를 들어 촬영된 시간의 차이를 10분으로 설정한 경우, 이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14).In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10, among the vehicles photographed by the parking lot cameras 420a, 420b, 420c, and 420d, a time and a specific vehicle photographed by the entrance camera 210 are stored in the plurality of parking lot cameras 420a, 420b, 420c, 420d), for example, when the difference in the photographed time is set to 10 minutes through the difference with the last photographed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ondition is satisfied (S114).

만약 상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차량을 "주차예정차량"으로 분류한다(S117).If the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e specific vehicle is classified as a "scheduled parking lot" (S117).

그리고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특정 차량이 최종적으로 촬영된 후에, 출구용 카메라(310)에 촬영되지 않고 5분 이상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15), 5분이 경과되지 않은 차량은 "출차예정차량"으로 분류하고(S116), 5분 이상 경과된 차량의 경우 "주차예정차량"으로 분류한다(S117).If the condition is satisfied, after the specific vehicle is finally photographed, it is determined whether 5 minutes or more have elapsed without being photographed by the exit camera 310 (S115). The vehicle is classified as "scheduled vehicle" (S116), and in the case of a vehicle that has passed more than 5 minutes, the vehicle is classified as "scheduled vehicle" (S117).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승용차(CA)가 주차면 "a" 위치에 주차해 있다가 주차용 카메라 420b에 의해 인식된 경우, 주차관리서버(110)는, 해당 승용차(CA)가 마지막으로 촬영된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추출하여, 입구용 카메라(210)의 촬영시간과 주차용 카메라 420b의 촬영시간을 대비하여 10분을 경과한 경우에는, "출차예정차량"으로 분류하게 된다. 이때 "출차예정차량"으로 분류된 차량이라 하여도, 출구용 카메라(310)에 촬영되지 않고 5분 이상 경과하게 되면 이 차량은 "주차예정차량"으로 판단되도록 하면, "출차예정차량"의 수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ar CA illustrated in FIG. 2 is parked at the parking surface “a” position and recognized by the parking camera 420b,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10 determines that the car CA is the last. The extracted image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120, and when 10 minutes have elapsed compared to the photographing time of the entrance camera 210 and the photographing time of the parking camera 420b, it is classified as a "departure scheduled vehicle". . In this case, even if the vehicle is classified as "departure scheduled vehicles," when the vehicle is judged to be "parked parking vehicles" when 5 minutes or more have elapsed without being photographed by the exit camera 310, the number of "planned parking vehicles" This can prevent errors from occurring.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구용 카메라(210)와 주차장 카메라(420a,420b,420c,420d)와의 촬영 시간의 차이를 통해 "출차예정차량"을 분류하고 있으나, 입구와 각 주차장 카메라 간의 간격이 매우 긴 초대형 주차장의 경우에는, 각 주차구역에 설치된 카메라들의 촬영 시간의 차이를 통해서도 "출차예정차량"을 분류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heduled departure vehicle" is classified by the difference in the shooting time between the entrance camera 210 and the parking lot cameras (420a, 420b, 420c, 420d), the interval between the entrance and each parking lot camera In the case of this very long parking lot, the "scheduled departure vehicle" may be classified based on the difference in the shooting time of the cameras installed in each parking area.

이러한 과정을 통해, 주차관리서버(110)는 특정 시점에서의 "출차예정차량"의 총 수를 연산한다(S118).Through this process,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10 calculates the total number of "departure scheduled vehicles" at a specific time point (S118).

이와 같이 "출차예정차량"이 연산되면, 주차관리서버(110)는 다음과 같은 식에 의해,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를 산출한다(S119).When the "scheduled departure vehicle" is calculated in this way,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10 calculates the number of vehicles that can be parked by the following equation (S119).

[식 1][Equation 1]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 = 총 주차면수 - (총 차량 수 - 출차예정차량)Number of cars available for parking = total number of parking lots-(total number of vehicles-scheduled vehicles)

여기서, 총 주차면수는 주차장에서 통로 주차를 허용할 경우, 가능한 통로 주차면수를 포함하여 계산한다.Here, the total number of parking surface area is calculated to include the possible number of aisle parking surface, if the parking lot is allowed in the parking lot.

상기 식 1에 의해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가 산출되면, 산출된 정보는 주차장에 입차하는 차량의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주차 현황 표시기를 통해 안내되며 (S200), 연속적으로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단속적으로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주차 현황 표시기의 정보를 업데이트하게 된다.When the "number of vehicles available for parking" is calculated by Equation 1, the calculated information is guided through the parking status indicator so that the user of the vehicle entering the parking lot can be seen (S200), continuously or at regular time intervals. By intermittentl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the information of the parking status indicator is updat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방법에 의하면, 전체 주차가능대수에서 주차면을 점유한 차량의 수와 통로에 있는 차량 중에서 출차하려는 차량을 제외한 실제 주차가능 차량의 수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되므로 이용자의 주차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주차장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vehicles occupying the parking surface in the total number of available parking spaces and the actual number of vehicles available for parking except for vehicles to be released from the vehicles in the aisle can be displayed accurate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parking information and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arking lot.

출차Departure 차량에 대한 주차 위치 안내 Guide to parking locations for vehicles

대형 주차장의 경우 이용자가 출차하려고 할 때, 자신의 차량을 주차한 위치에 대한 안내가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방법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흐름을 통해 주차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In the case of a large parking lot, when the user wants to leave the vehicle, it may be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of the parking lot. In this case, the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arking position through the flow as shown in FIG. 4.

먼저, 이용자는 주차장과 건물의 통로에 설치되어 있는 키오스크(510)를 통해, 자신의 차량 번호를 입력한다(S210).First, the user inputs his / her vehicle number through the kiosk 510 installed in the parking lot and the passage of the building (S210).

입력된 차량 번호는 주차관리서버(110)로 보내지며, 주차관리서버(110)는 데이터베이스(120)로부터 해당 차량 번호에 대해 촬영한 최종 이미지 정보를 통해, 해당 차량이 주차한 주차구역을 파악한다(S211).The input vehicle number is sent to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10,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10 to identify the parking area parked by the vehicle, through the final image information taken for the vehicle number from the database 120. (S211).

이어서 상기 주차구역의 주차면에 설치된 주차면 센서(410) 중, 상기 이미지의 촬영시점과 가장 근접한 시간에 "비점유에서 점유로 전환"된 주차면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고, 해당 주차면이 여전히 "점유"상태로 있는지를 파악한다(S212).Subsequently, among the parking surface sensors 410 installed on the parking surface of the parking area, information on the parking surface "converted from non-occupied to occupied" at the time closest to the time of photographing the image is grasped, and the corresponding parking surface is still Determine whether it is in the "occupied" state (S212).

주차면의 정보가 파악되면, 주차관리서버(110)는 해당 주차면에 대한 정보를 상기 키오스크로 보내어 이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S213).When the information on the parking surface is grasped,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10 sends the information about the parking surface to the kiosk to guide the user to recognize the parking surface (S213).

또한, 주차관리서버(110)는 상기 주차면의 주차구역에 별도의 전광판이나 점멸등과 같은 번호 표시기(52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해당 표시기의 동작이 실행되도록 지시한다(S214). 이로써 이용자는 단순히 키오스크뿐 아니라 해당 주차구역의 표시기를 통해서도 주차면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대형이며 복잡한 구조를 갖는 주차장에서도 쉽게 자신의 차량 위치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여러 대의 차량이 한 구역에서 출차하는 경우에는 일정 시간을 주기로 번갈아 가며 표시기에 안내할 수 있으며 안내 자료가 없을 경우 광고나 홍보 같은 것을 띄 울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10 instructs the operation of the indicator when the number indicator 520, such as an electric sign or flashing lights, is installed in the parking area of the parking surface (S214). As a result, the user can receive guidance on the parking surface not only through the kiosk but also through the indicator of the corresponding parking area,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location of his vehicle even in a large and complicated parking lot. On the other hand, if several vehicles leave a zone, they can guide the indicators alternately at regular intervals. If there are no guides, advertisements or promotions can be displayed.

또한, 차량의 위치에 대한 정보는 해당 차량이 주차관리서버(110)에 미리 등록된 차량이라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관리서버(110)는 SMS 서버를 통해 차량 운전자의 휴대폰으로 주차위치를 전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s a vehicle that is registered in advance in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10, the parking management server 110, as shown in Figure 1 the parking position to the mobile phone of the vehicle driver through the SMS server You can also pass

한편, 상기 키오스크는 주차위치에 대한 안내가 소정 시간 이루어지면, 자동으로 광고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S215). 이를 통해 주차장 관리자는 별도의 광고 수입을 얻을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kiosk is to be automatically advertised when the guidance for the parking position is made for a predetermined time (S215). This allows the parking lot manager to earn a separate advertising revenue.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주차관리방법은 주차면 각각에 고가의 카메라를 설치하지 않고, 저가의 감지센서와 구역별로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정확한 주차위치확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ccurate parking positioning service at a low cost through the installation of low-cost sensors and cameras for each zone, without installing expensive cameras on each parking surface. It becomes possible.

그러나 처음 주차장을 찾은 고객이라면 이러한 주차위치 확인 시스템을 통해서도 주차장 내 지리가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쉽게 본인의 위치를 찾기가 어려울 것이다. 이에 각 주차 구역에서 가장 잘 눈에 띄는 곳에 LED나 LCD와 같은 전광판을 설치하여 키오스크를 통해 호출한 차량의 번호를 나타나게 하여 주차장 내에서 빠르게 본인의 주차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However, if you are the first visitor to the parking lot, it will be difficult to find your location easily because the geography in the parking lot is unfamiliar even through this parking positioning system. Therefore, the most prominent place in each parking area is an LED or LCD display board that displays the number of the vehicle called through the kiosk so you can quickly find your parking location in the parking lot.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주차 유도 및 위치확인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parking guidance and positio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Such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 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the meanings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and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주차 시스템에 대한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arking system for performing a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리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주차 시스템에 있어서, 주차장 내의 각종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various configurations in a parking lot in a parking system for performing a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리방법에 있어서, 주차 안내에 대한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for parking guidance in the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주차관리방법에 있어서, 출차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안내하는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of gu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vehicle at the time of leaving the vehicle in the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출,입구와, 각 주차면에 주차 차량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주차장에 있어서, 배회 차량을 포함한 주차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주차관리방법으로서,A parking management method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including a roaming vehicle to a user in a parking lot having exits, entrances, an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parking vehicle on each parking surface, (a) 상기 출,입구에 배치된 감지수단을 통해 주차장 내에 위치하는 차량의 총 수를 산출하는 단계;(a) calculating the total number of vehicles located in the parking lot through the sensing means arranged at the exit and the entrance; (b) 상기 차량의 총 수에서 상기 주차면에 위치하지 않는 차량 중에서 출차 예정 차량의 수를 제함으로써, 주차 가능 차량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b) calculating the number of available parking vehicles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vehicles to be taken out of vehicles not located on the parking surface from the total number of vehicles; And (c) 산출된 주차 가능 차량의 수를 주차장 내에 배치된 표시기를 통해 이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c) guiding the calculated number of available parking vehicles to the user through an indicator disposed in the parking lot; 상기 출차 예정 차량의 수는, 현재 시각으로부터 일정한 시간 내에 주차면 감지수단이 차량 점유 신호에서 비 점유 신호로 바뀐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방법.And the number of vehicles to be released is the number of parking surface detection means changed from a vehicle occupancy signal to a non occupancy signal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a current time. 삭제delete 출,입구와, 각 주차면에 주차 차량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주차장에 있어서, 배회 차량을 포함한 주차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주차관리방법으로서,A parking management method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including a roaming vehicle to a user in a parking lot having exits, entrances, an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parking vehicle on each parking surface, (a) 상기 출,입구에 배치된 감지수단을 통해 주차장 내에 위치하는 차량의 총 수를 산출하는 단계;(a) calculating the total number of vehicles located in the parking lot through the sensing means arranged at the exit and the entrance; (b) 상기 차량의 총 수에서 상기 주차면에 위치하지 않는 차량 중에서 출차 예정 차량의 수를 제함으로써, 주차 가능 차량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b) calculating the number of available parking vehicles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vehicles to be taken out of vehicles not located on the parking surface from the total number of vehicles; And (c) 산출된 주차 가능 차량의 수를 주차장 내에 배치된 표시기를 통해 이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c) guiding the calculated number of available parking vehicles to the user through an indicator disposed in the parking lot; 상기 출차 예정 차량의 수는, 주차장 출구 쪽 통로에 설치된 센서에 감지된 차량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방법.And the number of vehicles to be released is the number of vehicles detected by a sensor installed in an exit of the parking lot. 출,입구와, 각 주차면에 주차 차량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주차장에 있어서, 배회 차량을 포함한 주차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주차관리방법으로서,A parking management method for providing parking information including a roaming vehicle to a user in a parking lot having exits, entrances, and detection means for detecting a parking vehicle on each parking surface, (a) 상기 출,입구에 배치된 감지수단을 통해 주차장 내에 위치하는 차량의 총 수를 산출하는 단계;(a) calculating the total number of vehicles located in the parking lot through the sensing means arranged at the exit and the entrance; (b) 상기 차량의 총 수에서 상기 주차면에 위치하지 않는 차량 중에서 출차 예정 차량의 수를 제함으로써, 주차 가능 차량의 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b) calculating the number of available parking vehicles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vehicles to be taken out of vehicles not located on the parking surface from the total number of vehicles; And (c) 산출된 주차 가능 차량의 수를 주차장 내에 배치된 표시기를 통해 이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c) guiding the calculated number of available parking vehicles to the user through an indicator disposed in the parking lot; 상기 입구 감지수단은 카메라이고, 또한 상기 주차장의 내부는 복수 개의 구역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구역에는 차량의 이미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구역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입구 카메라와 각 구역 카메라에 촬영된 특정 차량의 촬영시간의 차이가 소정 시간 이상인 차량의 수를, 상기 출차 예정 차량의 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방법.The entrance detecting means is a camera, and the inside of the parking lo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zones, and a zone camera for acquiring image information of the vehicle is installed in each zone, and the entrance camera and each zone camera are photographed. And the number of vehicles for which the difference in the shooting time of the specified specific vehicl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ime is the number of the vehicles to be released.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의 통로 중 주차 가능한 영역에도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에 주차 가능한 차량의 수가, 상기 주차 가능 차량의 수에 포함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방법.The sens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wherein a sensor is provided in a parkable area of the passage of the parking lot, and the number of vehicles that can park in the passage is included in the number of parkingable vehicles. Parking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제 4 항에 있어서, 추가로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d) 상기 이용자가 주차장에 설치된 키오스크에 차량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d) inputting a vehicle number into a kiosk installed in a parking lot by the user; (e) 상기 각 구역 카메라 중 상기 이용자의 차량번호를 가장 마지막으로 촬영한 카메라가 위치한 구역을 추출하는 단계와,(e) extracting an area in which the camera which last photographed the vehicle number of the user among the area cameras is located; (f) 상기 가장 마지막으로 촬영한 카메라가 위치한 구역의 각 주차면에 설치된 감지수단 중에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시간과 가장 근접한 시간에 차량의 주차를 감지한 주차면을 추출하는 단계와,(f) extracting a parking surface for detecting a parking of the vehicle at a time closest to the shooting time of the camera among the sensing means installed on each parking surface of the area where the camera was last photographed; (g) 추출된 주차면을 상기 이용자에게 주차 위치 정보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위치 안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방법.(g) a parking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performing a parking location guide comprising providing the extracted parking surface to the user as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대신에 차량에 설치된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RFID 리더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방법.The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6, wherein an RFID reader is installed to recognize the RFID tag installed in the vehicle instead of the camer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는 키오스크 또는 주차장 내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주차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방법.7. The parking management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user can check the parking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at least one display installed in the kiosk or the parking lo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출차 예정 차량으로 분류된 차량 중에서, 각 주차 구역 카메라의 촬영시간으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되어도 출구 감지수단에 감지되지 않은 차량의 수를 산출하여 상기 출차 예정 차량의 수에서 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방법.The vehicle classification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number of vehicles that are not detected by the exit detecting means e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from the shooting time of each parking area camera is calculated from the number of vehicles that are scheduled to be released. Parking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주차 위치 정보를 서비스하지 않을 때는, 광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관리방법.The parking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n advertisement is provided when the parking position information is not serviced on the display.
KR1020070088972A 2007-09-03 2007-09-03 Parking management method concerning wandering vehicles and passageway parking KR1008873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972A KR100887322B1 (en) 2007-09-03 2007-09-03 Parking management method concerning wandering vehicles and passageway par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972A KR100887322B1 (en) 2007-09-03 2007-09-03 Parking management method concerning wandering vehicles and passageway park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7322B1 true KR100887322B1 (en) 2009-03-05

Family

ID=40697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972A KR100887322B1 (en) 2007-09-03 2007-09-03 Parking management method concerning wandering vehicles and passageway par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7322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2002A (en) * 2011-12-31 2012-06-27 南京九竹科技实业有限公司 All-round intelligent guiding system and method for large parking lot
WO2014157781A1 (en) * 2013-03-29 2014-10-02 주식회사 엡스 Integrated parking control system
WO2015080468A1 (en) * 2013-11-26 2015-06-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of vehicle, and parking location guidance system and parking location guiding method using same
WO2017220414A1 (en) * 2016-06-22 2017-12-28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operating a parking guidance system, and parking guidance system
CN109741625A (en) * 2019-02-15 2019-05-10 江苏镭博智能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rison bat identification equipment and its prison bat recognition methods for parking lot
KR20220099245A (en) * 2021-01-06 2022-07-13 주식회사 스마트에어챔버 Parking Management Method by Using Image Data and Kiosk and System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8303A (en) * 2005-12-02 2007-06-08 주식회사 비전라이드 System and method of parking control
KR20070059944A (en) * 2005-12-06 2007-06-12 키엔비홀딩스 주식회사 System for parking manag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8303A (en) * 2005-12-02 2007-06-08 주식회사 비전라이드 System and method of parking control
KR20070059944A (en) * 2005-12-06 2007-06-12 키엔비홀딩스 주식회사 System for parking managemen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2002A (en) * 2011-12-31 2012-06-27 南京九竹科技实业有限公司 All-round intelligent guiding system and method for large parking lot
WO2014157781A1 (en) * 2013-03-29 2014-10-02 주식회사 엡스 Integrated parking control system
WO2015080468A1 (en) * 2013-11-26 2015-06-0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of vehicle, and parking location guidance system and parking location guiding method using same
WO2017220414A1 (en) * 2016-06-22 2017-12-28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operating a parking guidance system, and parking guidance system
CN109741625A (en) * 2019-02-15 2019-05-10 江苏镭博智能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rison bat identification equipment and its prison bat recognition methods for parking lot
KR20220099245A (en) * 2021-01-06 2022-07-13 주식회사 스마트에어챔버 Parking Management Method by Using Image Data and Kiosk and System thereof
KR102576261B1 (en) * 2021-01-06 2023-09-15 주식회사 스마트에어챔버 Parking Management Method by Using Image Data and Kiosk and System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513B1 (en) System for Parking Management
US2017011679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automated parking system
US83212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oll charging parameters
KR101029454B1 (en) Automatic toll collection system without requiring vehicle classification unit
KR100887322B1 (en) Parking management method concerning wandering vehicles and passageway parking
KR100567725B1 (en) Parking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JP5731254B2 (en) Parking space guidance system
KR101857421B1 (en) Park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smart car-stopper
KR100828088B1 (en) Real time parking information system combined advertising board and the method
JP2011253295A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KR20070058303A (en) System and method of parking control
KR101200327B1 (en) Parking are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968203B1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KR100905801B1 (en) The vehicles location announcing system using RF-ID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and vehicles location announc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30087731A (en) Vehicles coming in and out security control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JP2019109586A (en) Parking lot management device, parking lot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KR100728048B1 (en) management system for parking using RF card and supersonic waves sensor
KR20160145966A (en) on-street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CN110942662A (en) Real-time reverse vehicle searching system and method for parking lot
KR20090035378A (en) U-city intelligent parking information system
JP7208755B2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parking lot management device, parking lot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KR100961844B1 (en) Parking location confirmation and security system with camera
JP3900386B2 (en) Parking lot management device
KR102105864B1 (en) System for Smart Reserving and Using Unoccupied Parking Lot by Using Beacon
JP5219361B2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