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078B1 - Lower runer fixing device of dry wall panel and lower runer fixing method it - Google Patents

Lower runer fixing device of dry wall panel and lower runer fixing method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078B1
KR100886078B1 KR1020060105724A KR20060105724A KR100886078B1 KR 100886078 B1 KR100886078 B1 KR 100886078B1 KR 1020060105724 A KR1020060105724 A KR 1020060105724A KR 20060105724 A KR20060105724 A KR 20060105724A KR 100886078 B1 KR100886078 B1 KR 100886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runner
runner
fixing device
stud
dry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7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13660A (en
Inventor
강길호
손범구
유재민
이용규
김광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CT/KR2007/00229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8018676A1/en
Priority to TW096128632A priority patent/TWI344500B/en
Publication of KR20080013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6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0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04B2/824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restrained elastically at one surface and inelastically at the oppos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04B2/745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with wallboards attached to the outer faces of the posts, parallel to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6T-connections
    • E04B2/767Connections between wall studs and upper or lower locating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벽체를 구성하고 있는 하부런너를 건축물의 바닥면에 고정함에 있어서 못이나 타카 등의 박음형 고정수단을 배격하는 대신 스터드의 하단과 하부런너 사이에, 하부런너를 건축물의 바닥면을 향해 탄력가압하는 가압유닛으로 대체하므로써 하부런너의 고정 및 해체를 간편하게 하면서도 바닥마감재나 난방파이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 및 하부런너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fixing the lower runner constituting the drywal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uilding, the lower runner is placed between the bottom of the stud and the lower runner, instead of being spaced by nailing fixing means such as nails or tak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er runner fixing device and a lower runner fixing method of a drywall which can prevent damage to the floor finishing material or heating pipe while simplifying the fixing and dismantling of the lower runner by replacing the pressurizing unit.

본 발명의 특징 1은, 스터드 하부와 하부런너 사이에, 상기 하부런너를 실내 바닥면을 향해 가압고정하는 가압유닛이 구비된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판 상에 안착되는 탄성체 홀더와; 상기 탄성체 홀더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코일형의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상부에 탄력지지된 채 상기 탄성체 홀더에 대해 상하 유동 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스터드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The firs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er runner fixing device for a dry wall having a pressing unit for pressing and fixing the lower runner toward an indoor floor between a lower stud and a lower runner; The pressing unit includes an elastic holder seat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lower runner; A coil-shaped elastic body that exerts an elastic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elastic holder; The cover of the lower runner of the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cover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body can b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elastic holder, the cover is f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ud.

본 발명의 특징 2는 실내 천장에 고정된 상부런너와 실내 바닥면에 위치한 하부런너 사이로, 하단에 가압유닛이 결합된 스터드를 수직상으로 세움 설치함에 따라 가압유닛이 압축되면서 하부런너가 가압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방법이다.The secon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tween the upper runner fixed to the indoor ceiling and the lower runner located on the floor of the room, the lower runner is pressurized while the pressing unit is compressed by vertically installing the studs with the pressure unit coupled to the bottom. The lower runner fixing method of the drywall, characterized in that.

건식벽체, 하부런너, 가압유닛, 하부런너 고정 Dry wall, lower runner, pressurizing unit, lower runner fixed

Description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 및 하부런너 고정방법{lower runer fixing device of dry wall panel and lower runer fixing method it}Lower runer fixing device of dry wall panel and lower runer fixing method it}

도 1은 종래 건식벽체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rywall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식벽체의 결합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ed drywall shown in FIG.

도 3은 종래 건식벽체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drywall

도 4는 도 3의 A부 상세도로서, A부가 인장된 상태도4 is a detailed view of the portion A of Figure 3, a state A portion tensioned

도 5는 도 3의 A부 상세도로서, A부가 압축된 상태도FIG. 5 is a detailed view of portion A of FIG. 3, in which portion A is compress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런너 고정장치의 제 1 실시예Figure 6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부런너 고정장치의 설치전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before installation of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shown in FIG.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하부런너 고정장치의 설치후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after installation of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shown in FIG.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런너 고정장치의 제 2 실시예로서, 압축전 상태도Figure 9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diagram before compression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하부런너 고정장치의 압축후 상태도10 is a state diagram after compression of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shown in FIG.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런너 고정장치의 제 3 실시예로서, 압축전 상태도Figure 11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diagram before compression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하부런너 고정장치의 압축후 상태도12 is a state diagram after compression of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실내 바닥면 2 : 실내 천장1: indoor floor surface 2: indoor ceiling

100 : 건식벽체 110 : 상부런너100: drywall 110: upper runner

120 : 하부런너 130 : 스터드120: lower runner 130: stud

200 : 가압유닛(제 1 실시예) 201 : 탄성체 홀더200: pressure unit (first embodiment) 201: elastic holder

203 : 탄성체 205 : 커버203: elastic body 205: cover

210 : 가압유닛(제 2 실시예) 211 : 끼움부210: pressure unit (second embodiment) 211: fitting portion

213 : 탄성변형부 220 : 가압유닛(제 3 실시예)213: elastic deformation portion 220: pressure unit (third embodiment)

221 : 베이스 판 223 : 제 1 판스프링221: base plate 223: first leaf spring

225 : 제 2 판스프링 300 : 제 1 슬립방지수단225: second leaf spring 300: first slip preventing means

310 : 점착시트 320 : 요철부310: adhesive sheet 320: uneven portion

400 : 제 2 슬립방지수단 410 : 점착시트400: second slip preventing means 410: adhesive sheet

420 : 요철부420: uneven portion

본 발명은 건식벽체를 구성하고 있는 하부런너를 실내 바닥면에 고정함에 있어서 못이나 타카 등의 박음형 고정수단을 배격하는 대신 스터드의 하단과 하부런너 사이에, 하부런너를 실내 바닥면을 향해 탄력가압하는 가압유닛으로 대체하므로써 하부런너의 고정 및 해체를 간편하게 하면서도 바닥마감재나 난방파이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 및 하부런너 고정방법에 관한 것 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fixing the lower runner constituting the drywall to the indoor floor, the lower runner is resilient toward the indoor floor between the bottom of the stud and the lower runner, instead of discharging the lockable fixing means such as nails or tak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er runner fixing device and a lower runner fixing method of a dry wall which can prevent the damage of the floor finishing material or the heating pipe while simplifying the fixing and dismantling of the lower runner by replacing the pressurizing unit.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비 내력벽(하중을 받지 않는 벽)은 벽돌, 블록을 쌓아 벽체의 형태를 만든 후 그 표면을 시멘트 모르타르로 미장 마감하는 습식공법(濕式公法)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습식공법은 공사기간이 길 뿐만 아니라 위치변경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Generally, non-bearing walls (loadless walls) of various buildings are widely known as a wet method, in which bricks and blocks are stacked to form a wall, and the surface is plastered with cement mortar. However, the wet method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location as well as the long construction period.

이에 반해, 건식공법(乾式公法)은 2장의 보드 사이에 단열재 또는 흡음재가 내재된 조립식 건식벽체를 상,하부런너와 같은 지지구조물에 의해 원하는 실내공간에 간단하고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고 철거 또한 간편하여, 위치변경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y method is a simple and quick construction of the prefabricated drywall with insulation or sound absorbing material between two boards in a desired indoor space by supporting structures such as upper and lower runners, and also easy to dismantle.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osition change is easy.

첨부된 도 1 ~ 도 2는 종래 건식벽체의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종래의 건식벽체는 실내 바닥면(1)과 실내 천장(2)에 바(bar) 형태의 상부런너(3)와 하부런너(4)를 못(5)이나 타카(미도시)를 이용하여 각각 고정하고, 상기 상,하부런너(3,4)의 사이로는 3면 또는 4면형의 스터드(6)들을 일정간격으로 2개 이상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스터드(6)들 사이에는 유리면 또는 암면으로 된 단열재 혹은 흡음재 등의 내장재(7)를 설치하며, 상기 스터드(6)들의 양측으로는 석고보드와 같은 보드(8)를 나사 고정한 구성을 이루고 있다.1 to 2 show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rywall. As shown in the drawing, a conventional drywall is a nail (5) or a taka (not shown) for the upper runner 3 and the lower runner 4 having a bar shape on the indoor floor 1 and the indoor ceiling 2. Fixed by using, respectively, the upper, lower runners (3, 4) between the three or four-sided studs 6 or more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And, between the studs 6 is provided with a built-in material (7), such as a heat insulating material or sound-absorbing material made of glass or rock wool, and on both sides of the studs (6) screwed board 8, such as gypsum board It is coming true.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건식벽체는 하부런너(4)를 고정하는 수단인 못(5)이나 타카를 박음하는 과정에서 바닥마감재(9)가 파손될 뿐만 아니라, 더 심각하게는 난방용 파이프(10)가 못(5)이나 타카의 예리한 끝부분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어서 시공상 어려움이 있다. 또한, 건식벽체를 어렵게 철거한 후에는 철거된 자리에 남게 되는 못자국을 메워주는 소규모 보수공사를 하거나, 바닥마감재(9)의 손상이 심할 경우에는 손상된 부위를 뜯어낸 후 미장작업하는 대규모 보수공사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drywall not only damages the floor finishing material 9 in the process of nailing the nail 5 or taka, which is a means of fixing the lower runner 4, and more seriously, the heating pipe 10 is There is a difficulty in construction because it may cause a problem of being damaged by the sharp end of the nail (5) or taka. In addition, after the dry wall is hardly removed, a small repair work is performed to fill the nail marks remaining in the dismantled place, or when the floor finish material 9 is severely damaged, a large repair work is performed after the damaged part is removed and plastered. There was a hassle to do.

이에, 일본국특허공개 제2001-115588호에서는 못이나 타카를 사용하지 않고 벽체를 시공하는 구조를 제안한 바 있다. 이에 의하면, 도 3 ~ 도 5에서와 같이 가동벽체(11)의 상부틀(12)에 홈(12a)을 형성하고, 상기 홈(12a)과 실내 천장(2)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압착유닛(13)과, 상기 압착유닛(13)의 신축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신축조절수단(래크(14a)와 피니언(14b):14)을 설치하여, 상기 신축조절수단(14)의 조작에 의해 압착유닛(13)의 높이(h)를 조절하여 실내 천장(2)과 상부틀(12)을 결합하거나 해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ccordingly,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115588 has proposed a structure for constructing a wall without using nails or taka. According to this, as shown in Figs. 3 to 5, the groove 12a is formed in the upper frame 12 of the movable wall 11, and it is possible to expand and contract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groove 12a and the indoor ceiling 2. The compression unit 13 and expansion and contraction means (rack 14a and pinion 14b: 14) for adjusting the degree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compression unit 13 are provided to control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eans 14. By adjusting the height (h) of the pressing unit 13 is to allow the indoor ceiling (2) and the upper frame 12 to be combined or dismantled.

그러나, 상기한 가동벽체(11)는 런너에 의하지 않고 천장 및 바닥면에 직결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서 런너에 의해 고정되는 본 발명의 건식벽체와는 구조적으로 차이점이 있고 또한, 상기 압착유닛(13)의 신축은 신축조절수단(14)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탄성체의 탄성력을 전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본 발명과는 차이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압착유닛(13)의 설치위치와 본 발명의 가압유닛의 설치위치에도 차이점이 있다.However, the movable wall 11 has a structure that is different from the dry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fixed by the runner since the movable wall 11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eiling and the bottom surface without using the runner. Since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is configured to be made only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eans 14,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present invention that utilizes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entirely, and als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pressing unit 13 and the installation of the pressur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location.

이외에도, 상기 가동벽체(11)는 상단 또는 하단중 어느 한 단은 압착유닛(12)에 의해 고정되나 나머지 단은 특별히 고정하는 수단이 없는 것으로 보아서, 고정되지 않은 단에 강한 충격력이 가해졌을 때 자칫 가동벽체(11)가 넘어질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vable wall 11 is fixed to either end of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by the crimping unit 12, but the other end does not have a means for fixing in particular, when a strong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non-fixed end A safety problem may also occur in which the movable wall 11 may fall.

또한, 상기 신축조절수단(14)을 구성하고 있는 피니언(14b)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전기적인 혹은 기계적인 구동장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복잡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로 인해 비용도 상승하게 됨은 물론 구동장치를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을 경우 노화되어 작동이 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inion 14b constitut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eans 14 may be structurally complicated because it requires an electric or mechanical drive device, and the cost increases as well. If the drive is not used for a long time, it may age and stop working.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하부런너를 탄성체에 의해 실내 바닥면에 눌러 고정되게 하므로써 못이나 타카 등의 박음형 고정수단에 의해 발생하였던 바닥마감재의 손상 및 난방용 배관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 및 하부런너 고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fixed by pressing the lower runner to the indoor floor by the elastic body by means of nail-type fixing means such as nails and taka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wer runner fixing device and a lower runner fixing method of a drywall to prevent damage to the floor finishing material and damage to the heating pip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1) 스터드 하부와 하부런너 사이에, 상기 하부런너를 실내 바닥면을 향해 가압고정하는 가압유닛이 구비된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에 있어서;(1) a lower runner fixing device for a dry wall having a pressing unit for pressing and fixing the lower runner toward an indoor floor between a lower stud and a lower runner;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판 상에 안착되는 탄성체 홀더와; 상기 탄성체 홀더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코일형의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상부에 탄력지지된 채 상기 탄성체 홀더에 대해 상하 유동 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스터드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The pressing unit includes an elastic holder seat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lower runner; A coil-shaped elastic body that exerts an elastic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elastic holder; The cover of the lower runner of the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cover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lastic body can b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elastic holder, the cover is f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ud.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벽체는 실내 천장과 실내 바닥에 각각 설치 되는 바 형태의 상,하부런너와; 상기 상,하부런너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수직상의 스터드들과; 상기 스터드의 양쪽에 결합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보드와; 상기 양쪽 보드의 사이에 개재된 내장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ywall is a bar-shaped upper and lower runner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door ceiling and the indoor floor; Vertical stud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unners; A boar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tud to form a wall surface;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of a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interior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two boards.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의 상단은, 실내 천장에 못 또는 타카로서 고정되는 상부런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3) The lower runner fixing apparatus for drywal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pper end of the stud is fixed to an upper runner fixed as a nail or a tacho to the indoor ceiling.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홀더에는 상기 코일형의 탄성체가 삽입되는 포켓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4) The dry runn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holder is provided with a pocket into which the coil-shaped elastic body is inserted.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런너의 슬립을 방지하는 제 1 슬립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5) The lower runner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slip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slip of the lower runner.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립방지수단은, 상기 하부런너와 실내 바닥면 사이에 개입되는 점착패드 또는 마찰계수가 큰 무점착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6) The lower runner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rst slip preventing means is an adhesive pad or a non-adhesive pad having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runner and the indoor floor. to be.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립방지수단은,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요철부 또는 스크레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7) The dry runn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irst slip preventing means is an uneven portion or a scratch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runner.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홀더의 슬립을 방지하는 제 2 슬립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8) The dry runn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lip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slip of the elastic holder.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립방지수단은,상기 탄성체 홀더와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판 사이에 개입되는 점착패드 또는 마찰계수가 큰 무점착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9) The lower part of the drywall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slip preventing means is an adhesive pad or a non-adhesive pad having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interposed between the elastic holder and the bottom plate of the lower runner. It is a runner fixing device.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립방지수단은, 상기 탄성체 홀더의 바닥면 또는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판 상에 형성되는 요철부 또는 스크레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10) The lower runner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second slip preventing means is an uneven portion or a scratch portion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holder or a bottom plate of the lower runner. to be.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부에는, 상기 스터드에 대한 커버의 끼움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11) The lower runner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part of the cover is provided with a locking step for limiting the fitting degree of the cover to the stud.

(12) 스터드 하부와 하부런너 사이에 하부런너를 실내 바닥면을 향해 가압고정하는 가압유닛이 구비된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스터드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양쪽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판 상에 안착되는 탄성변형부로 이루어진 단일의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12) a lower runner fixing device for a dry wall having a pressing unit for pressing and fixing a lower runner toward an indoor floor between a lower stud and a lower runner; The pressing unit is a single leaf spring consisting of a fitting portion that is 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stud,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tting portion and the lower end is an elastic deformation portion seat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lower runner. Lower runner fixing device for drywall.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벽체는 실내천장과 실내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는 바 형태의 상,하부런너와; 상기 상,하부런너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수직상의 스터드들과; 상기 스터드의 양쪽에 결합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보드와; 상기 양쪽 보드의 사이에 개재된 내장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rywall is a bar-shaped upper and lower runners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door ceiling and the indoor floor; Vertical stud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unners; A boar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tud to form a wall surface;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of a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interior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two boards.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의 상단은, 실내 천장에 못 또는 타카로서 고정되는 상부런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 장치이다.(14) The lower runner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an upper end of the stud is fixed to an upper runner fixed to a room ceiling as a nail or a tacker.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부의 하단은 곡선형으로 상향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15)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is curved upwardly curved.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런너의 슬립을 방지하는 제 1 슬립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16) The lower runner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first slip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slip of the lower runner.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립방지수단은, 상기 하부런너와 실내 바닥면 사이에 개입되는 점착패드 또는 마찰계수가 큰 무점착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17) The lower runner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first slip preventing means is an adhesive pad or a non-adhesive pad having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runner and the indoor floor. to be.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립방지수단은,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요철부 또는 스크레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18) The lower runner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first slip preventing means is an uneven portion or a scratch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runner.

(19) 스터드 하부와 하부런너 사이에 하부런너를 실내 바닥면을 향해 가압고정하는 가압유닛이 구비된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판에 안착되는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 상에 하부가 고정되는 정 구배형의 제 1 판스프링과, 상기 베이스 판 상에 하부가 고정되는 역 구배형의 제 2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19) A lower runner fixing device for a dry wall having a pressing unit for pressing and fixing a lower runner toward an indoor floor between a lower stud and a lower runner; The pressurizing unit includes a base plate seated on a bottom plate of the lower runner, a first leaf spring of a regular gradient type having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base plate, and an inverse gradient type fixed with a lower portion on the base plate.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of a drywall,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two leaf springs.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벽체는 실내 천장과 실내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는 바 형태의 상,하부런너와; 상기 상,하부런너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수직상의 스터드들과; 상기 스터드의 양쪽에 결합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보 드와; 상기 양쪽 보드의 사이에 개재된 내장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20. The apparatus of claim 19, wherein the drywall includes: upper and lower runners each having a bar shape installed on an indoor ceiling and an indoor floor; Vertical stud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unners; A boar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tud to form a wall surface;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of a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interior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two boards.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의 상단은, 실내 천장에 못 또는 타카로서 고정되는 상부런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21) The lower runner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9, wherein an upper end of the stud is fixed to an upper runner fixed as a nail or a tackle to the indoor ceiling.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스프링과 제 2 판스프링의 윗면에, 상기 제 1, 2 판스프링의 압축시 상기 스터드의 하단 내측에 걸리는 걸림돌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22) The drywall according to claim 19, wherei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leaf spring and the second leaf spring is provided with an engaging portion that is caught inside the lower end of the stud when the first leaf spring and the second leaf spring are compressed. Lower runner fixing device.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런너의 슬립을 방지하는 제 1 슬립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23) The apparatus of claim 19, further comprising: first slip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slip of the lower runner.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립방지수단은, 상기 하부런너와 실내 바닥면 사이에 개입되는 점착패드 또는 마찰계수가 큰 무점착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24) The lower runner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3, wherein the first slip preventing means is an adhesive pad or a non-adhesive pad having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runner and the indoor floor. to be.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립방지수단은,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요철부 또는 스크레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25) The lower runner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3, wherein the first slip preventing means is an uneven portion or a scratch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runner.

(26)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판의 슬립을 방지하는 제 2 슬립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26) The lower runner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9,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lip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slip of the base plate.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립방지수단은,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판 사이에 개입되는 점착패드 또는 마찰계수가 큰 무점착패드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27) The drywall of claim 26, wherein the second slip preventing means is an adhesive pad or an adhesive pad having a high coefficient of friction interpos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bottom plate of the lower runner. Lower runner fixing device.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립방지수단은, 상기 탄성체 홀더의 바닥면 또는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판 상에 형성되는 요철부 또는 스크레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이다.(28) The lower runner fix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6, wherein the second slip preventing means is an uneven portion or a scratch portion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holder or a bottom plate of the lower runner. to be.

(29) 실내 천장에 고정된 상부런너와 실내 바닥면에 위치한 하부런너 사이로, 하단에 가압유닛이 결합된 스터드를 수직상으로 세움 설치함에 따라 가압유닛이 압축되면서 하부런너가 가압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방법이다.(29) Between the upper runner fixed to the indoor ceiling and the lower runner located on the indoor floor, by installing the studs coupled to the pressure unit at the bottom vertically, the pressing unit is compressed so that the lower runner is pressurized and fixed. The lower runner fixing method of drywall.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런너와 실내 바닥면 사이로, 하부런너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슬립방지수단이 구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방법이다.(3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9,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forming a first slip preventing means between the lower runner and the indoor floor to prevent slipping of the lower runner. to be.

(31)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과 상기 하부런너 사이로, 가압유닛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제 2 슬립방지수단이 구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방법이다.(31) The drywall of claim 29 or 30,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forming a second slip preventing means between the pressing unit and the lower runner to prevent slippage of the pressing unit. The lower runner is fix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런너 고정장치의 제 1 실시예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하부런너 고정장치의 설치전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하부런너 고정장치의 설치후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런너 고정장치의 제 2 실시예로서, 압축전 상태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하부런너 고정 장치의 압축후 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런너 고정장치의 제 3 실시예로서, 압축전 상태도이며,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하부런너 고정장치의 압축후 상태도를 나타내고 있다.6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before installation of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6, Figure 8 is a lower runner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6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after installation of, Figure 9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diagram before compression, Figure 10 is a state diagram after compression of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9, Figure 11 is As a third embodiment of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tate diagram before compression, and FIG. 12 is a state diagram after compression of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shown in FIG.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도면부호 (100)은 건식벽체이고, (200,210,220)는 상기 건식벽체(100)를 구성하고 있는 스터드(130)의 하단과 하부런너 사이에 압입 설치되어 하부런너(120)를 실내 바닥면 쪽으로 탄력가압하는 가압유닛이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ference numeral 100 is a dry wall, and 200, 210, and 220 are press-installed between the lower runner and the lower runner of the stud 130 constituting the dry wall 100 to run the lower runner 120 indoors. It is a pressurizing unit that presses elastically toward the bottom surface.

상기 건식벽체(100)는 실내 천장(2)과 실내 바닥면(1) 사이에 설치되는 바(bar) 형태의 상,하부런너(110,120)와; 상기 상부런너(110,120)에 상단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하부런너(120)에 하단이 끼움 결합되어 수직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런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2개 이상의 스터드(130)와; 상기 스터드의 양쪽에 결합되어 벽면을 이루는 보드(140)와; 상기 양쪽 보드 사이에 개입되는 단열재 또는 흡음재 등의 내장재(150)로 구성된다.The drywall 100 includes upper and lower runners 110 and 120 having a bar shape installed between the indoor ceiling 2 and the indoor floor 1; The upper end is fitted to the upper runner (110, 120) and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lower runner 120 is fitted in a vertical state, two or mo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lower runner A stud 130; A board 140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tud to form a wall; It consists of an interior material 150, such as a heat insulating material or a sound absorbing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two boards.

이로 부터, 상기 가압유닛(200)은 제 1 실시예로서,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런너(120)의 바닥판(121) 상에 안착되는 탄성체 홀더(201)와, 상기 탄성체 홀더(201)에 내장된 채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코일형의 탄성체(203)와, 상기 탄성체(203)의 상부에 탄력지지된 채 상기 탄성체 홀더(201)에 대해 상하이동 가능한 상태이며 상기 스터드(130)의 하부에 삽입되는 커버(20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체 홀더(201)에는 상기 탄성체(203)가 상하방향으로만 탄성운동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함과 아울러 다른 곳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하는 상부 개구형의 포켓(201a)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205) 는 그 하단부에 상기 스터드(13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205a)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205)는 탄성체 홀더(201)로 부터 분리되지 않으면서 정확한 상하운동이 가능토록 하기 위해서 커버(205)의 내면에 상하방향으로 안내홈(205b)이 구성되고, 상기 탄성체 홀더(201)의 상단에는 상기 안내홈(205b)을 따라 안내되도록 안내돌기(201b)가 구성되며, 상기 안내홈(205b)의 최저지점에는 상기 안내돌기(201b)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돌기(205c)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돌기(201b)와 걸림돌기(205c)는 탄성체 홀더(201)와 커버(205)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곡면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rom this, the pressing unit 200 is a first embodiment, the elastic holder 201 and the elastic holder which is seated on the bottom plate 121 of the lower runner 120 as shown in Figure 6 to 8 A coil-shaped elastic body 203, which is embedded in the 201 and exerts an elastic forc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is movable to the elastic holder 201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elastic body 203, and the stud The cover 205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130. Here, the elastic holder 201 is provided with an upper opening pocket 201a which guides the elastic body 203 to perform the elastic movement on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restrains it from being separated from other places. It is. In addition, the cover 205 has a locking step 205a at its lower end to prevent the cover 205 from being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stud 130. In addition, the cover 205 is configured with a guide groove 205b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205 in order to enable accurate vertical movement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elastic holder 201, the elastic holder ( A guide protrusion 201b is configured to be guided along the guide groove 205b at the upper end of the 201, and a locking protrusion (20) for preventing the guide protrusion 201b from being separated at the lowest point of the guide groove 205b. 205c) is configured. In this case, the guide protrusion 201b and the locking protrusion 205c may be curved to facilitate coupling of the elastic holder 201 and the cover 205.

상기 가압유닛(210)은 제 2 실시예로서,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스터드(130)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211)와, 상기 끼움부(211)의 양쪽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런너(120)의 바닥판(121) 상에 안착되는 탄성변형부(213)로 이루어진 판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essurizing unit 210 is a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fitting portion 211 is 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stud 130 and the upper end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portion 211 The lower end of the lower runner 120 may include a leaf spring formed of an elastic deformation part 213 seated on the bottom plate 121 of the lower runner 120.

여기서, 상기 탄성변형부(213)의 하단에는 곡면형상으로 상향 절곡된 곡면부(213a)가 구성되어, 상기 탄성변형부(213)의 압축 및 복원시 탄성변형부의 하단과 하부런너(120)의 바닥판(121)과의 마찰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213 is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portion 213a bent upward in a curved shape, the bottom of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and the lower runner 120 during compression and restoration of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213 Friction with the bottom plate 121 was to be reduced.

상기 가압유닛(220)은 제 3 실시예로서,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런너(120)의 바닥판(121) 상에 안착되는 베이스 판(221)과, 상기 베이스 판(221) 상에 하부가 고정되는 정 구배형의 제 1 판스프링(223)과, 상기 베이스 판(221) 상에 하부가 고정되는 역 구배형의 제 2 판스프링(225)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a third embodiment, the pressurizing unit 220 includes a base plate 221 seated on the bottom plate 121 of the lower runner 120 and the base plate 221 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first plate spring 223 of the forward gradient type is fixed to the bottom, and the second plate spring 225 of the reverse gradient type is fixed to the base plate 221.

여기서, 상기 제 1, 2 판스프링(223,225)의 윗면에는 제 1, 2 판스프링의 압 축시 상기 스터드(130)의 하단 내측에 걸리는 걸림돌부(223a,225a)가 구성되어 있어서 스터드(130)와 제 1, 2 판스프링(223,225)이 정확하게 취합될 수 있도록 하였다.Here, the studs 130 and the studs 130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leaf springs 223 and 225 so as to be engaged with lower ends of the studs 130 when the first and second leaf springs are compressed. The first and second leaf springs 223 and 225 can be accurately assembled.

한편, 상기 하부런너(120)의 슬립(slip)방지를 위해 제 1 슬립방지수단(300)을 추가로 구성하고, 상기 가압유닛(200,220)의 슬립방지를 위해 제 2 슬립방지수단(400)을 추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first slip preventing means 300 is further configured to prevent slip of the lower runner 120, and the second slip preventing means 400 is prevented to prevent slip of the pressing units 200 and 22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nfigure.

상기한 제 1 슬립방지수단(300)은 도 8에서와 같이 실내 바닥면(1)에 대한 하부런너(120)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점착시트(310)나 마찰계수가 큰 무점착시트(미도시)로 구성하거나, 다른예로서 하부런너(120)의 바닥판(121) 저면에 요철부(320)나 스크레치부(미도시)를 구성하여도 무방하다.The first slip preventing means 300 is a means for preventing slipping of the lower runner 120 with respect to the indoor floor 1 as shown in FIG. 8, and is non-adhesive with an adhesive sheet 310 or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Alternatively, the concave-convex portion 320 or the scratch portion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21 of the lower runner 120.

상기한 제 2 슬립방지수단(400)은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런너(120)에 대한 가압유닛(200,220)의 슬립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한 제 1 실시예의 가압유닛(200)의 경우는 탄성체 홀더(201)와 하부런너(120)의 바닥판(121) 사이에 개입되는 점착시트(410) 또는 마찰계수가 큰 무점착시트(미도시)로 구성하거나, 다른 예로서 탄성체 홀더()의 바닥면이나 하부런너(120)의 바닥판(121) 상에 형성되는 요철부(420) 또는 스크레치부(미도시)로 구성할 수 있다.The second slip preventing means 400 is a means for preventing slip of the pressing units 200 and 220 with respect to the lower runner 120 as shown in FIG. 8. In this case, the adhesive sheet 410 intervening between the elastic holder 201 and the bottom plate 121 of the lower runner 120 or a non-adhesive sheet having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not shown) may be used. It may be configured as a concave-convex portion 420 or a scratch (not show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r bottom plate 121 of the lower runner (120).

상기한 제 2 실시예의 가압유닛(210)인 판스프링의 경우는, 판스프링 자체가 탄성변형을 일으키는 변형체인 관계로 제 2 슬립방지수단을 설치할 수도 없으며, 설치할 필요성도 없다.In the case of the leaf spring, which is the pressurizing unit 210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second spring preventing means cannot be installed or need not be installed because the leaf spring itself is a deformable body that causes elastic deformation.

상기한 제 3 실시예의 가압유닛(220)인 교차형 판스프링의 경우에 적용되는 제 2 슬립방지수단(400)은, 베이스 판(221)과 하부런너(120)의 바닥판(121) 사이에 점착시트(410) 또는 마찰계수가 큰 무점착시트(미도시)로 구성하거나, 다른 예로서 상기 베이스 판(221)이나 하부런너(120)이 바닥판(121) 상에 형성되는 요철부(420) 또는 스크레치부(미도시)로 구성된다.The second slip preventing means 400 applied in the case of the cross type leaf spring, which is the pressing unit 220 of the third embodiment,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plate 221 and the bottom plate 121 of the lower runner 120. The adhesive sheet 410 or a non-adhesive sheet (not shown) having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or as another example, the base plate 221 or the lower runner 120 is formed on the bottom plate 121, the uneven portion 420 ) Or a scratch portion (not show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벽체 및 하부런너 고정장치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assembly process of the dry wall and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단계로, 실내 천장(2)에 상부런너(110)를 못이나 타카(미도시)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한다. 실내 천장(2)에는 미장층도 없고 난방 파이프가 매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부런너(110)를 못이나 타카에 의해 고정하더라도 난방 파이프나 미장층 손상의 문제점이 없어서 기존의 설치방법을 유지하더라도 큰 하자가 없다.In the first step, the upper runner 110 is firmly fixed to the indoor ceiling 2 by nails or taka (not shown). Since the indoor ceiling (2) has no plastering layer and no heating pipe is embedded, even if the upper runner 110 is fixed by nails or taka, there is no problem of heating pipe or plastering layer damage. There is no.

2 단계로, 실내 바닥면(1) 상에 제 1 슬립방지수단(300)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하부런너(120)를 고정한다. 상기 하부런너(120)를 실내 바닥면(1)의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시키지 않더라도 스터드(130)의 설치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 스터드의 설치에 보다 용이하므로 하부런너(120)는 제 1 슬립방지수단(300)에 의해 미리 고정시켜두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second step, the lower runner 120 is fixed by preventing the slip by the first slip preventing means 300 on the indoor floor 1. Although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stud 130 even though the lower runner 120 is not fixed to the position where the indoor floor 1 is to be installed, the lower runner 120 is easier to fix in place because it is easier to install the stud. ) Is preferably fixed in advance by the first slip prevention means (300).

3 단계로, 스터드(130)의 하단에 가압유닛(200,210,220)을 결합한다. 단, 앞서 설명된 제 3 실시예의 가압유닛(220)은 스터드(130)와의 결합이 용이치 않으므로 제 1, 2 실시예의 가압유닛(200,210)과는 달리 예외적으로 스터드(130)와의 결 합단계가 필요치 않다.In step 3, the pressing units 200, 210, 220 are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tud 130. However, since the pressing unit 220 of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not easy to combine with the stud 130, unlike the pressing units 200 and 210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step of combining with the stud 130 is exceptional. It is not necessary.

4 단계로, 상기 상부런너(110)와 하부런너(120) 사이로 스터드(130)들을 일정간격으로 세움 설치한다. 상기 스터드(130)의 하부에 가압유닛(200,210)이 결합된 경우라면 스터드(130)를 세움 설치할 때 가압유닛(200,210)을 압축하면서 세움 설치함에 따라 가압유닛(200,210)의 가압 탄성력에 의해 하부런너(120)가 실내 바닥면(121)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가 된다. 반면, 상기 스터드(130)의 하부에 가압유닛(200,210)을 할 수 없는 경우라면(제 3 실시예의 가압유닛) 스터드(130)를 세움 설치하기 전에 하부런너(120)의 바닥판(121) 상에 가압유닛(200,210)을 미리 위치시킨 상태에서 가압유닛(200,210)과 상부런너(110) 사이로 스터드(130)를 세움 설치하게 되면 가압유닛(200,210)이 압축되면서 하부런너(120)를 실내 바닥면(1)을 향해 가압하게 되므로 하부런너(120)의 견고한 고정을 가능케 한다. 이때, 상기 제 1, 3 실시예의 가압유닛(200,220)의 경우에는 제 2 슬립방지수단(400)에 의해 하부런너(120)의 바닥판(121)에 대한 슬립을 방지토록 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tep 4, the studs 130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upper runner 110 and the lower runner 120. If the pressing unit (200,21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ud 130, the lower runner by the pressing elastic force of the pressing unit (200,210) by installing the compression unit (200,210) while pressing the mounting unit when mounting the stud (130) 120 is firmly fixed to the indoor floor 121. On the other hand, if it is not possible to press the pressure unit (200,210)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ud 130 (pressurization unit of the third embodiment) before the installation of the stud 130, the top of the bottom plate 121 of the lower runner 120 When the studs 130 are installed between the pressurizing units 200 and 210 and the upper runner 110 in a state where the pressurizing units 200 and 210 are pre-positioned, the pressurizing units 200 and 210 are compressed and the lower runner 120 is indoors. Since it is pressed toward (1) it enables a firm fixing of the lower runner (120).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pressurizing units 200 and 220 of the first and third embodiments, it is preferable to prevent slips on the bottom plate 121 of the lower runner 120 by the second slip preventing means 400.

5 단계로, 상기 스터드(130)들 사이로 단열재 또는 흡음재 등의 내장재(150)를 끼워 넣는다.In step 5, the interior material 150, such as a heat insulating material or sound absorbing material is inserted between the studs 130.

6 단계로, 상기 스터드(130)들의 양측에 보드(140)를 결합하여 벽면이 형성되게 하므로써 모든 설치작업이 종료된다.In step 6, all the installation work is completed by coupling the board 140 to both sides of the studs 130 to form a wall surfac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런너를 탄성변형이 가능한 가압유닛에 의해 실내 바닥면에 눌러 고정하므로써 못이나 타카 등의 박음형 고정수단에 의해 발생하였던 바닥마감재(미장층)의 손상 및 난방용 배관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서 시공 및 철거가 간단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pressurization unit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to fix the lower runner to the floor of the room, thereby damaging and heating the floor finishing material (plain layer), which is generated by the lockable fixing means such as nails and taka. Breakage of pipes can be prevented before installation and removal are simple.

또한, 하부런너를 철거하더라도 못자국이나 타카자국이 없어서 별도의 보수공사가 필요없다.In addition, even if the lower runner is removed, there is no nail or Taka marks, so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repair work.

또한, 상부런너는 실내 천장에 못이나 타카로서 견고히 고정하는 기존 방식을 고수함에 따라 하부런너를 가압고정하는 방식을 취함에도 불구하고 강한 외력에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runner can maintain a solid installation state that can withstand strong external forces even though the upper runner adopts a method of pressurizing and fixing the lower runner according to the existing method of firmly fixing it as a nail or taka on the indoor ceiling.

Claims (31)

실내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바 형태의 상부런너와 실내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바 형태의 하부런너와 상기 상, 하부런너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수직상의 스터드들과 상기 스터드의 양쪽에 결합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보드 및 상기 양쪽 보드의 사이에 개재된 내장재를 포함하는 건식벽체; 및Bar-type upper runner fixed to the indoor ceiling and bar-shaped lower runner fixed to the indoor floor and vertical stud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unners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tud and the wall surface A drywall including a board forming a wall and an interior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boards; And 스터드 하부와 하부런너 사이에, 상기 하부런너를 실내 바닥면을 향해 가압 고정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되,Between the lower stud and the lower runner, including a pressing unit for pressing and fixing the lower runner toward the indoor floor,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스터드의 하부에 끼움 결합되며, 스터드에 대한 끼움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을 갖는 커버와;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판 상에 안착되며, 상기 커버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맞물려있고, 커버와 결합하여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탄성체 홀더와; 상기 공간부에 수용되며 상하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코일형의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The pressing unit is f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ud, the cover having a locking jaw for limiting the degree of fitting to the stud; An elastic holder seat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lower runner and engaged to slide upward an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cover, and coupled to the cover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for a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il-shaped elastic body accommodated in the space portion and exerts an elastic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터드의 상단은, 실내 천장에 못 또는 타카로서 고정되는 상부런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The upper end of the stud,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of the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upper runner fixed as a nail or taka to the indoor ceil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탄성체 홀더에는 상기 코일형의 탄성체가 삽입되는 포켓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The runner fixing device of the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holder is formed with a pocket into which the coil-shaped elastic body is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부런너의 슬립을 방지하는 제 1 슬립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Lower runner fixing device for a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slip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slip of the lower runn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립방지수단은, 상기 하부런너와 실내 바닥면 사이에 개입되는 점착패드 또는 마찰계수가 큰 무점착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6. The lower runner fixing apparatus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slip preventing means is an adhesive pad or a non-adhesive pad having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runner and the indoor flo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립방지수단은,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slip preventing means,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요철부 또는 스크레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Lower runner fixing device of the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convex portion or the scratch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runn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탄성체 홀더의 슬립을 방지하는 제 2 슬립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of a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slip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slip of the elastic hold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립방지수단은,상기 탄성체 홀더와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판 사이에 개입되는 점착패드 또는 마찰계수가 큰 무점착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The lower runner fixing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slip preventing means is an adhesive pad or a non-adhesive pad having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interposed between the elastic holder and the bottom plate of the lower runner.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립방지수단은,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econd slip preventing means, 상기 탄성체 홀더의 바닥면 또는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판 상에 형성되는 요철부 또는 스크레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of a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holder or the uneven portion or the scratch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lower runner. 삭제delete 실내 천장에 고정 설치되는 바 형태의 상부런너와 실내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바 형태의 하부런너와 상기 상, 하부런너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수직상의 스터드들과 상기 스터드의 양쪽에 결합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보드 및 상기 양쪽 보드의 사이에 개재된 내장재를 포함하는 건식벽체; 및Bar-type upper runner fixed to the indoor ceiling and bar-shaped lower runner fixed to the indoor floor and vertical stud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unners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tud and the wall surface A drywall including a board forming a wall and an interior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boards; And 스터드 하부와 하부런너 사이에, 상기 하부런너를 실내 바닥면을 향해 가압 고정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되,Between the lower stud and the lower runner, including a pressing unit for pressing and fixing the lower runner toward the indoor floor,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스터드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양쪽에 상단이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판 상에 안착되는 탄성변형부로 이루어진 단일의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The pressing unit is a single leaf spring consisting of a fitting portion that is fitted to the lower end of the stud, the upper end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tting portion and the lower end is an elastic deformation portion seat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lower runner. Lower runner fixing device for drywall. 삭제delete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스터드의 상단은, 실내 천장에 못 또는 타카로서 고정되는 상부런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The upper end of the stud,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of the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upper runner fixed as a nail or taka to the indoor ceiling.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탄성변형부의 하단은 곡선형으로 상향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of the dry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deformation portion is curved upwardly.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하부런너의 슬립을 방지하는 제 1 슬립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Lower runner fixing device for a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slip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slip of the lower runn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립방지수단은, 상기 하부런너와 실내 바닥면 사이에 개입되는 점착패드 또는 마찰계수가 큰 무점착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17. The apparatus of claim 16, wherein the first slip preventing means is an adhesive pad or a non-adhesive pad having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runner and the indoor floo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립방지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first slip preventing means,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요철부 또는 스크레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Lower runner fixing device of the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convex portion or the scratch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runner. 스터드 하부와 하부런너 사이에 하부런너를 실내 바닥면을 향해 가압고정하는 가압유닛이 구비된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에 있어서;A lower runner fixing device for a drywall having a pressing unit for pressing and fixing a lower runner toward an indoor floor between a lower stud and a lower runner;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판에 안착되는 베이스 판과, 상기 베이스 판 상에 하부가 고정되는 정 구배형의 제 1 판스프링과, 상기 베이스 판 상에 하부가 고정되는 역 구배형의 제 2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The pressurizing unit includes a base plate seated on a bottom plate of the lower runner, a first leaf spring of a regular gradient type having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base plate, and an inverse gradient type fixed with a lower portion on the base plate. Lower runner fixing device for drywa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wo leaf springs.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건식벽체는 실내 천장과 실내 바닥면에 각각 설치되는 바 형태의 상,하부런너와; 상기 상,하부런너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수직상의 스터드들과; 상기 스터드의 양쪽에 결합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보드와; 상기 양쪽 보드의 사이에 개재된 내장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The drywall includes a bar-shaped upper and lower runners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an indoor ceiling and an indoor floor; Vertical stud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unners; A board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stud to form a wall surface; Lower runner fixing device for a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interior material interposed between the two boards.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스터드의 상단은, 실내 천장에 못 또는 타카로서 고정되는 상부런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The upper end of the stud, 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of the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upper runner fixed as a nail or taka to the indoor ceiling.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 1 판스프링과 제 2 판스프링의 윗면에, 상기 제 1, 2 판스프링의 압축시 상기 스터드의 하단 내측에 걸리는 걸림돌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The upper runner fixing device of the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eaf spring and the second leaf spring, the locking projection which is caught inside the lower end of the stud when the compression of the first and second leaf spring is provided.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하부런너의 슬립을 방지하는 제 1 슬립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Lower runner fixing device for a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rst slip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slip of the lower runner.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립방지수단은, 상기 하부런너와 실내 바닥면 사이에 개입되는 점착패드 또는 마찰계수가 큰 무점착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24. The apparatus of claim 23, wherein the first slip preventing means is an adhesive pad or a non-adhesive pad having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that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runner and the indoor floor.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립방지수단은,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the first slip preventing means,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요철부 또는 스크레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Lower runner fixing device of the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cave-convex portion or the scratch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runner.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베이스 판의 슬립을 방지하는 제 2 슬립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The lower runner fixing device of a d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cond slip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slip of the base plate.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립방지수단은, 상기 베이스판과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판 사이에 개입되는 점착패드 또는 마찰계수가 큰 무점착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27. The apparatus of claim 26, wherein the second slip preventing means is an adhesive pad or a non-adhesive pad having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interpos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bottom plate of the lower runner.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슬립방지수단은, 상기 탄성체 홀더의 바닥면 또는 상기 하부런너의 바닥판 상에 형성되는 요철부 또는 스크레치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벽체의 하부런너 고정장치.27. The apparatus of claim 26, wherein the second slip preventing means is an uneven portion or a scratch portion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holder or a bottom plate of the lower run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60105724A 2006-08-07 2006-10-30 Lower runer fixing device of dry wall panel and lower runer fixing method it KR1008860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7/002295 WO2008018676A1 (en) 2006-08-07 2007-05-10 Device and method for fixing lower runner of sandwich panel
TW096128632A TWI344500B (en) 2006-08-07 2007-08-03 Device and method for fixing lower runner of sandwich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261 2006-08-07
KR20060074261 2006-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660A KR20080013660A (en) 2008-02-13
KR100886078B1 true KR100886078B1 (en) 2009-02-26

Family

ID=3934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724A KR100886078B1 (en) 2006-08-07 2006-10-30 Lower runer fixing device of dry wall panel and lower runer fixing method i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86078B1 (en)
TW (1) TWI344500B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486Y1 (en) 2010-09-24 2013-04-18 정복희 The floor holder for the sectional
KR102331266B1 (en) * 2021-05-18 2021-12-21 주식회사 결실건축디자인 Wall system for variable typ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4533A (en) * 2021-02-26 2021-05-28 江苏建筑职业技术学院 Green and energy-saving fabricated build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7420A (en) * 1974-04-30 1976-07-06 Papsco, Inc. Portable wall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JPH10159220A (en) * 1996-11-29 1998-06-16 Daiken Trade & Ind Co Ltd Partition panel and partition structure
JP2005139640A (en) * 2003-11-04 2005-06-02 Rp Topla Ltd Partition wall, and method for mounting/demounting 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7420A (en) * 1974-04-30 1976-07-06 Papsco, Inc. Portable wall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JPH10159220A (en) * 1996-11-29 1998-06-16 Daiken Trade & Ind Co Ltd Partition panel and partition structure
JP2005139640A (en) * 2003-11-04 2005-06-02 Rp Topla Ltd Partition wall, and method for mounting/demounting 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486Y1 (en) 2010-09-24 2013-04-18 정복희 The floor holder for the sectional
KR102331266B1 (en) * 2021-05-18 2021-12-21 주식회사 결실건축디자인 Wall system for variable ty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660A (en) 2008-02-13
TWI344500B (en) 2011-07-01
TW200825255A (en) 2008-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3452B2 (en) Tie system for connecting a veneer wall to a cementitious backup wall
KR100838961B1 (en) Removable Dry Wall Panel
KR100886078B1 (en) Lower runer fixing device of dry wall panel and lower runer fixing method it
KR101425624B1 (en) Outer material assembly of building and method for finishing outer wall of building using the same
KR20130030508A (en) Lower runer fixing device of variable type wall panel, variable type wall system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80056935A (en) Runner fixing device of dry wall panel and lower runner fixing method it
KR101783849B1 (en) Apartment house residential soundroof wall
JP7222746B2 (en) Partition unit and partition structure using this partition unit
KR101680738B1 (en) Wall to block noise of apartment house
KR100519037B1 (en) Mortar plasterer
KR20120111825A (en) Fixing device of lightweight steel for underground double wall
KR200226499Y1 (en) Attachable finishing materials for construction
JP7266385B2 (en) Partition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is partition wall structure
JP3444594B2 (en) Joist construction method and joist unit used therefor
WO2008018676A1 (en) Device and method for fixing lower runner of sandwich panel
KR101990911B1 (en) Joining structure of finishing panels for building structures
KR100653138B1 (en) A brick for the lintel
JP4084536B2 (en) Jota construction method
CN217711879U (en) Ceiling gypsum board backplate reinforced structure
KR101486849B1 (en) Architecture decorative stone wall construction method and the bracket structure.
JP6043072B2 (en) Seismic insulation insulation structure
CA2804542A1 (en) Tie system for connecting a veneer wall to a cementitious backup wall
CN220451291U (en) Wallboard is decorated in heating of indoor building convenient to installation is dismantled
KR102230873B1 (en) construc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finishing a exterior wall of a building with tile
CA2722363C (en) Wall facing system and devices for supporting and anchoring stone facing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