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837B1 -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837B1
KR100883837B1 KR1020080064328A KR20080064328A KR100883837B1 KR 100883837 B1 KR100883837 B1 KR 100883837B1 KR 1020080064328 A KR1020080064328 A KR 1020080064328A KR 20080064328 A KR20080064328 A KR 20080064328A KR 100883837 B1 KR100883837 B1 KR 100883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file
processing means
remote
oper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호
구진국
정익호
Original Assignee
이승호
(주) 애니컴페니언
구진국
정익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호, (주) 애니컴페니언, 구진국, 정익호 filed Critical 이승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837B1/ko
Priority to PCT/KR2009/00152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125933A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PC, 메일 서버, 원격파일서버 서버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수행되며,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에 대한 삭제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 메일의 단일 파일의 저장 위치 또는 복수 파일로 관리되는 관리 파일 내부에서 선택된 상기 전자 메일의 저장 위치를 검색하여 해당 위치에 특정 패턴의 문자열을 덮어쓰기 한 후 삭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인 전자 메일 관리에 있어서, 메일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삭제하더라도 완전히 삭제가 되는 것이 아니라 메일의 헤더 정보와 파일 헤더 정보만이 삭제가 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널리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따라서 전자 메일의 기록 매체로부터 정보가 누출될 경우, 삭제되었던 메일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을 손쉽게 복구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 신상 정보 및 중요한 정보가 누출될 가능성이 있어 악용의 소지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전자 메일 메시지에 대한 개인, 회사 및 공공 기관의 정보 유출 가능성을 제거하고자 한다.
전자 메일, 전자우편, 완전 삭제, 관리, 전자 메일 서비스

Description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 {A Local and Remote File Management Method for E-Mails and Remote Files}
본 발명은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자 메일 메시지의 관리 및 완전 삭제 방법 및 이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원격지 서버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으로, 전자 메일 시스템에 있어서 송수신되어 관리되는 파일들에 대한 보안 관리를 위하여, 전자 메일에서 관리되는 파일 또는 삭제되었던 파일들을 찾아, 복구가 불가능하도록 완전 삭제하는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장 매체에 저장된 파일이나 전자 메일 등은 사용자가 지웠다고 하더라도 기록 매체를 관리하는 운영 체제나 기록 매체 자체에 데이터가 그대로 남겨져 있거나 복구할 수 있는 상태로 존재하게 되므로 개인 정보가 어떻게든 유출될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여러 운영 체제(윈도우나 리눅스 등)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에서는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할 때 파일 데이터와 메타 데이터(헤더) 값으로 저장되게 되어 있는데, 운영 체제 시스템에서 삭제(Delete)나 포맷(Format) 등을 수행할 경우, 실질적인 파일 데이터 값을 지우는 것이 아니라 파일 데이터의 위치 정보 및 생성 시기 등의 메타(헤더) 값 일부(즉, 파일 이름과 링크, 파일 테이블 등)만을 삭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식은 모든 운영 체제의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기반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메일 서버 또는 개인 PC에서의 전자 메일을 관리함에 있어서도 역시 동일한 관리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메일 서버 및 개인 PC에서 파일 또는 메일을 삭제한 경우에는 저장장치 안에 기존 데이터가 완전히 삭제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는 보안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실제적으로 운영 체제의 파일 시스템에서 빈 영역으로 표시되는 부분을 살펴보면, 삭제된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존재하던 파일들의 내용들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사용자가 중요한 전자 메일 메시지를 전송 또는 수신 확인 후 정상적인 방법으로 지웠다 하더라도 기록 매체의 유출 및 해킹 방법에 의해 뜻하지 않은 정보 유출을 당할 수 있다. 또한 서버에서도 삭제한 메일에 대한 정보가 파일 시스템에 그대로 남아 있으므로 서버가 해킹될 경우 삭제된 정보로부터 개인 정보가 그대로 유출될 수 있다.
현대는 정보화 시대로서 개인 정보의 유출은 각종 범죄에 악용되거나 사생활 침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많은 개인 사용자들이 이러한 문제에 대해 매우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음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기업 등과 같은 단체의 경우, 기업 비밀 등과 같은 중요한 정보들에 대한 보안 관리 역시 그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침이 없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바와 같 이 일반적인 대부분의 개인 PC 및 메일 서버에 사용되는 메일 관리 시스템은 전자 메일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이 잔존하고 있음으로써 해킹 위험에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와 같이 보안에 취약한 기존의 전자 메일 관리에 대하여, 기록 매체로부터 삭제한 메일의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이 실제적으로도 완전 삭제되지 않아 해킹에 의한 정보 유출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에의 원천적인 해결 방안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있어 왔다.
종래에 이와 같이 해킹에 의한 개인 정보 및 기밀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이 개시되어 왔다.
일본공개특허 제2004-126909호(이하 선행기술1)에서는 데이터 파일의 실제 데이터와 상기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를 나타내는 관리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데이터 파일을 삭제할 때 유저의 지시에 의해 실제 데이터를 남긴 채로 관리 정보를 삭제할지 또는 실제 데이터를 소정의 코드로 덮어쓴 뒤에 관리 정보를 삭제할지를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파일 관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2008-003892호(이하 선행기술2)에서는 삭제해야 할 데이터 파일의 파일 관리 정보를 삭제하는 것에 의해 상기 데이터의 파일을 파일 시스템상 삭제하는 삭제 방법에 있어서, a) 소거해야 할 데이터의 데이터 파일을 특 정하는 단계; b) 해당 데이터의 임의의 복수 위치에 난수를 덮어쓰는 단계; c) 해당 데이터의 데이터 파일의 파일 관리 정보에 포함되는 파일 사이즈 정보를 0으로 덮어쓰고, 이것에 의해 해당 데이터 파일의 파일 사이즈를 가변시키는 단계; d) 해당 데이터의 데이터 파일의 파일 관리 정보에 삭제 정보를 기록하고, 해당 데이터 파일을 파일 시스템 상에서 삭제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삭제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은 일반적인 파일에 대하여 어떤 파일을 삭제했을 때 이 파일을 다시는 복구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보안 안정성을 높이도록 하는 완전 삭제 방법에 관한 것들이다. 그런데, 상기 선행기술들에 의해서는 전자 메일을 관리하기가 매우 불편하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16(A)는 일반적인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들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한 형태로 저장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일반적인 파일들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파일을 선택하고 해당 파일을 상기 선행기술들과 같은 방법들을 이용하여 완전 삭제를 수행하면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전자 메일 프로그램인 Outlook Express에서의 메일 저장 방식은 일반적인 파일 저장 방식과는 다르다. 도 16(B)는 Outlook Express의 메일함 트리 구조 및 실제 저장되는 파일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Outlook Express에서는, 각 메일별로 파일 저장을 하는 것이 아니라,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은 메일들이 들어 있는 메일함을 하나의 파일(.dbx)로 저장하는 방식을 취한다. 상기 메일함 파일은 말하자면 개별적인 메일들을 모아 놓 은 파일로서, 이런 종류의 파일을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이라 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메일도 따로 독립적인 파일(.eml)로 저장할 수는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위와 같은 형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독립적인 메일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일이 수동으로 저장하고 싶은 메일을 선택한 후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 경우, 보안을 이유로 상기 선행기술과 같은 방식으로 메일함을 완전 삭제할 경우, Outlook Express 상에서는 링크하여야 할 메일함에 해당하는 메일함 파일이 없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반드시 완전 삭제되어야만 하는 메일과 반드시 남겨 두어야만 하는 메일이 하나의 메일함 안에 혼재되어 있을 수가 있는데, 이럴 경우 반드시 남겨 두어야만 하는 메일을 일일이 메일 파일(.eml)로 저장하고 메일함 파일(.dbx)을 완전 삭제한 후 동일한 이름의 메일함 파일을 생성하는 등과 같이 매우 복잡한 과정을 수행하여야만 한다. 이는 컴퓨터 작업에 매우 능한 사용자가 아닌 일반적인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수행하기 불가능한 작업일 뿐만 아니라, 컴퓨터 작업에 능한 사용자라 하더라도 이러한 작업은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
이와 같이, 종래에 일반적인 파일들을 완전 삭제하는 기술들이 개시되어 왔으나, 전자 메일에는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을 적용하기 어려웠으며, 따라서 전자 메일을 관리함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쉽게 개별 메일을 완전 삭제하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있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가동되고 있는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는 메일 소프트웨어들의 전자 메일 관리 파일, 또는 관리 디렉터리 등의 전자 메일 메시지 및 이에 포함된 첨부 파일, 그리고 연락처, 일정 등의 수많은 개인 정보들에 관련된 내용들을 별도의 추가 단계 없이 디스크(저장 매체)로부터 완전 삭제하도록 하는,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은, PC, 메일 서버, 원격파일서버 서버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수행되며,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에 대한 삭제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 메일의 단일 파일의 저장 위치 또는 복수 파일로 관리되는 관리 파일 내부에서 선택된 상기 전자 메일의 저장 위치를 검색하여 해당 위치에 특정 패턴의 문자열을 덮어쓰기한 후 삭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은 아웃룩(Outlook) 또는 유도라(Eudora)를 포함하는 상용, 공개(free) 또는 쉐 어(share) 전자 메일 관리 프로그램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자 메일 관리 프로그램의 플러그인(Plug-In)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프로그램의 선택적 메뉴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은, a1)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이 선택됨이 감지되고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에 대한 완전 삭제 요청이 감지되는 단계(S101); a2)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삭제 옵션 및 방식이 선택됨이 감지되는 단계(S102); a3)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메일 스토리지로의 접근이 수행되어(S103)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의 메일 영역 및 첨부 파일 영역이 순차적으로 가져오기되는(S104, S105) 단계; a4)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가져오기된 메일 및 첨부 파일의 위치가 설정되는 단계(S106); a5)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삭제 옵션 및 방식에 따라 덮어쓰기 패턴이 구성되는 단계 (S107); a6)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 상에 위치된 메일 및 첨부 파일의 영역 전체에 상기 생성 완료된 패턴 문자열이 덮어쓰기되는 단계(S108); a7)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덮어쓰기된 메일 및 첨부 파일이 메일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단계(S109); a8)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의 헤더가 삭제되어(S110) 전자 메일 관리 파일에서 제거(S111)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은, b1)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이 선택됨이 감지되고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에 대한 완전 삭제 요청이 감지되는 단계(S201); b2) 상기 연산처리수단 에 의하여 삭제 옵션 및 방식이 선택됨이 감지되는 단계(S202); b3)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이 분석되어(S203) 선택 메일 영역이 추적되는(S204) 단계; b4)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삭제 옵션/방식에 따라 덮어쓰기 패턴을 구성하는 단계 (S205); b5)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추적된 메일 영역에 상기 생성 완료된 패턴 문자열이 덮어쓰기되는 단계(S206); b6)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의 링크가 재설정되고(S207)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이 새로고침되는(S208)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은, c1)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이 선택됨이 감지되고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에 대한 완전 삭제 요청이 감지되는 단계(S301); c2)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삭제 옵션 및 방식이 선택됨이 감지되는 단계(S302); c3)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의 복사본이 생성되는 단계(S303); c4)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삭제 옵션/방식에 따라 덮어쓰기 패턴을 구성하는 단계 (S304); c5)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 원본에 상기 생성 완료된 패턴 문자열이 덮어쓰기되는 단계(S305); c6)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 복사본이 분석되어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 영역이 추적되는 단계(S306); c7)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 복사본이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 원본에 쓰기되는 단계(S307); c8)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복사본이 쓰기된 전자 메일 관리 파일 원본이 다시 구성되는 단계(S308); c9)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복사본이 삭제되고(S309)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이 새로고침되는(S310)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플러그인은 상기 연산처리수단이 상기 플러그인 배포용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받아 설치되며,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은 타 전자 메일 관리 프로그램과 독립적인 별개의 전자 메일 관리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되어,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은, d1)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사용자의 검색 요청 명령이 감지되는 단계(S401); d2)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사용자의 드라이브 선택 명령이 감지되는 단계(S402); d3)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드라이브 스캔(S403) 및 파일 및 디렉토리 스캔(S404)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단계; d4)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파일이 분석되어 상기 선택된 드라이브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 메일 파일의 포맷을 확인하는 단계(S405); d5)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 파일의 존재가 확인되면(S406-Yes)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이 분석되는 단계(S407); d6)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완전 삭제될 전자 메일이 선택됨이 감지되고 전자 메일의 완전 삭제를 수행하는 단계(S408);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d6) 단계는 da1)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이 선택 됨이 감지되고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에 대한 완전 삭제 요청이 감지되는 단계(T101); da2)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삭제 옵션 및 방식이 선택됨이 감지되는 단계(T102); da3)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메일 스토리지로의 접근이 수행되어(T103)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의 메일 영역 및 첨부 파일 영역이 순차적으로 가져오기되는(T104, S105) 단계; da4)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가져오기된 메일 및 첨부 파일의 위치가 설정되는 단계(T106); da5)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삭제 옵션 및 방식에 따라 덮어쓰기 패턴이 구성되는 단계 (T107); da6)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 상에 위치된 메일 및 첨부 파일의 영역 전체에 상기 생성 완료된 패턴 문자열이 덮어쓰기되는 단계(T108); da7)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덮어쓰기된 메일 및 첨부 파일이 메일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단계(T109); da8)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의 헤더가 삭제되어(T110) 전자 메일 관리 파일에서 제거(T111)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d6) 단계는 db1)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이 선택됨이 감지되고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에 대한 완전 삭제 요청이 감지되는 단계(T201); db2)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삭제 옵션 및 방식이 선택됨이 감지되는 단계(T202); db3)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이 분석되어(T203) 선택 메일 영역이 추적되는(T204) 단계; db4)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삭제 옵션/방식에 따라 덮어쓰기 패턴을 구성하는 단계 (T205); db5)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추적된 메일 영역에 상기 생성 완료된 패턴 문자열 이 덮어쓰기되는 단계(T206); db6)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의 링크가 재설정되고(T207)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이 새로고침되는(T208)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d6) 단계는 dc1)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이 선택됨이 감지되고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에 대한 완전 삭제 요청이 감지되는 단계(T301); dc2)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삭제 옵션 및 방식이 선택됨이 감지되는 단계(T302); dc3)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의 복사본이 생성되는 단계(T303); dc4)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삭제 옵션/방식에 따라 덮어쓰기 패턴을 구성하는 단계 (T304); dc5)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 원본에 상기 생성 완료된 패턴 문자열이 덮어쓰기되는 단계(T305); dc6)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 복사본이 분석되어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 영역이 추적되는 단계(T306); dc7)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 복사본이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 원본에 쓰기되는 단계(T307); dc8)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복사본이 쓰기된 전자 메일 관리 파일 원본이 다시 구성되는 단계(T308); dc9)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복사본이 삭제되고(T309)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이 새로고침되는(T310)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은, e1)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구현되는 제1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컨텐츠 받기 명령이 감지되는 단계(S501); e2) 상기 제1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컨텐츠 가져오기 프로토콜 따라(S502)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컴퓨터로 구현되는 제2연산처리수단으로 컨텐츠 받기 명령을 전송하는(S503) 단계; e3) 상기 제2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연산처리수단으로부터의 컨텐츠 받기 명령이 수신되면(S504), 상기 제2연산처리수단이 서버 스토리지를 검색하여 해당되는 원본 컨텐츠를 상기 제1연산처리수단으로 전송하는(S505) 단계; e4) 상기 제2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송된 원본 컨텐츠의 삭제 명령이 감지되면(S507), 상기 원본 컨텐츠에 패턴 덮어쓰기가 수행되는 단계(S508); e5) 상기 제2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송된 원본 컨텐츠가 삭제되는 단계(S509); e6) 상기 제2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송된 원본 컨텐츠가 완전 삭제되었음을 기재한 삭제 결과서 컨텐츠가 전송되는(S510) 단계; e7) 상기 제2연산처리수단이 상기 작성된 삭제 결과서 컨텐츠를 전송하는(S510) 단계; e8) 상기 제1연산처리수단이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e3) 단계 및 상기 e7) 단계에서 각각 전송된 원본 컨텐츠 및 삭제 결과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S511); e9) 상기 제1연산처리수단이 상기 수신된 컨텐츠들을 관리 파일에 추가하는 단계(S51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선택에 의해 전자 메일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이 개인 PC 또는 메일 서버에서 물리적으로 완전하게 삭제됨으로써 해킹으로 인한 개인 정보나 기밀 정보의 누출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 면, 삭제한 메일 메시지와 첨부파일에 대해 파일 시스템의 파일 기록 매체를 분석하여 복구하지 못하도록 완전 삭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에 전자 메일 메시지나 첨부 파일 또는 파일 저장 서버의 저장 파일 등을 사용자가 기존 삭제 후 삭제한 파일에 대하여 보안 관리를 하지 않는 점을 이용하여 해킹이나 복구 등을 이용해 정보를 유출되던 문제가 원천적으로 해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삭제하였더라도 완전 삭제되지 않고 서버 측의 메일 서버에 남아 있는 수많은 개인 및 기업의 중요 정보의 외부 유출 역시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서버에서 완전 삭제된 경우 클라이언트 측의 사용자는 완전히 삭제가 되었는지 모르기 때문에 완전 삭제에 대한 결과(날짜, 사용자 메일영역 등에 대한 삭제 결과)를 메일 등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증빙 자료로 사용됨으로써 보안의 강화 및 사용자 편의성 증대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아웃룩 등과 같은 전자 메일 관리 프로그램의 플러그인 형태로 구현 가능함으로써, 사용자 접근성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매우 쉽게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사용법을 익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 메일을 정리하는 작업(즉 완전 삭제할 전자 메일을 선택하고 완전 삭제를 수행하는 작업)의 절차가 간편하여 작업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또한 절차의 간편함에 의하여 사용자가 실수할 가능성 역시 줄일 수 있어, 궁극적으로 사용자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전자 메일 관리 및 완전 삭제 프로그램은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플러그인(Plug-In) 소프트웨어로서 메일 파일들을 관리할 수 있으므로, 추가의 별도 단계 없이 사용자 개인 정보의 노출 방지 및 기업 및 공공기관 등에서 정보 누출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그 동안 소홀히 관리되어 해킹의 위험성이 있던 메일 서버 측의 기록 매체에 삭제되고도 남아 있는 개인 정보에 대하여 확실하게 해킹의 위험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으며, 더불어 이러한 사실을 사용자가 확실히 인지한 상태에서 관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큰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효과 또한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메일 서버 및 클라이언트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POP3, IMAP, SMTP 등의 메일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메일 관리 프로그램들을 살펴보면 외부 전자 메일 서버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하여 접속하여 서버에 저장된 전자 메일을 개인 PC로 가져와 저장을 하게 된다. 이렇게 개인 PC로 저장되는 전자 메일 파일들은 메일 관리 프로그램이 관리하는 특정 파일 형태로 저장되는데 이 파일에는 메일 서버로부터 수신된 전자 메일 메시지뿐만 아니라 첨부 파일, 일정, 연락처 등의 많은 개인 정보가 저장이 된다. 메일 관리 프로그램에서는 이렇게 수신되거나 전송한 메일들에 대한 관리를 하고 있고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메일의 삭제 등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메일의 삭제 방식에 있어서 메일의 헤더 정보와 링크 정보 등과 같은 헤더 정보만을 삭제하여 해당 파일을 삭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전자 메일 관리 프로그램 중 하나인 아웃룩(Outlook)에서의 구체적인 예시를 제시한다. 도 2는 Outlook을 이용하여 현재 저장된 메일 영역을 확인한 화면이며, 도 3은 메일 복구 프로그램을 통하여 삭제된 메일을 복구한 화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삭제하였던 메일들이라 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이 단지 헤더 정보만 삭제되고 실제 정보 자체는 디스크 영역에 남아 있게 됨으로써 복구가 가능해진다. 메일 서버 또한 사용자의 삭제 명령에 의해 해당 사용자의 메일 메시지를 서버의 파일 시스템으로부터 삭제하게 되는데, 이 역시 실제 정보는 기록 매체에 그대로 남아 있다. 즉 개인 PC에서나 메일 서버에서 모두, 삭제된 전자 메일 파일들이라 할지라도 복구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복구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정보를 삭제하였다 하더라도 실제 삭제되지 않은 영역의 정보들로부터 개인의 정보가 복구되어 불법적인 정보 획득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 메일 파일을 완전 삭제하는 방법은 외부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전자 메일 관리 파일 전체를 운영 체제가 관리하는 파일 시스템으로부터 제거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앞서 도 16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반적인 파일과 메일 파일의 저장 방식의 차이점 때문에, 이와 같이 전자 메일 관리 파일 전체를 삭제하게 되면 지우지 말아야 할 메일 파일들조차도 모두 지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선택적으로 메일 파일을 남겨둘 수 있도록 관리 파일 전체를 삭제하지 않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지우지 않기 위한 메일들을 각각 선택하여 다른 메일 관리 파일로 백업을 하고 원본 파일을 외부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메일 파일을 완전히 삭제하고 백업된 내용들을 통하여 다시 메일을 구성한 후, 복사본 역시 별도의 완전 삭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삭제해야 한다. 이렇게 메일을 관리하는 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매우 불편함을 느끼게 하고, 매우 많은 단계의 작업으로 인해 사용자의 실수가 유발될 수 있으며, 수 분 ~ 수십 분의 매우 긴 작업 시간이 발생하게 되어 크게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완전 삭제 명령을 메일 관리 소프트웨어의 기존 삭제 명령을 대체하거나 추가의 명령을 구성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중요한 메일 메시지를 일부분 또는 전체를 기록 매체로부터 편리하게 완전 삭제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는 메일 서버의 경우, 클라이언트에서 메일 서버로 완전 삭제 명령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원격지의 메일 서버에는 이러한 명령을 전달 받아 서버에 남아 있는 개인의 메시지를 기록 매체로부터 완전 삭제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서버에서 삭제된 메일이 기록 매체가 유출되더라도 정보 유출에 사용될 수 없게 된다.
또는 메일 서버의 메시지는 클라이언트 PC에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하여 메일을 클라이언트 저장 매체로 옮길 때 자동으로 삭제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서버 측에서 자동으로 완전 삭제 모듈을 호출하여 서버의 저장 매체에 있는 삭제된 메시지를 완전 삭제하게 함으로서 삭제 정보가 해킹에 사용될 수 없도록 한다.
또한, 메일 서버뿐만 아니라 원격파일서버 등의 원격지 저장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사용하는 공간을 삭제하였다고 하더라도 복구 솔루션이나 기록 매체의 분석을 통하여 저장된 내용들을 다시 복구할 수 있다. 이렇게 관리되는 저장 매체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해킹을 당하게 되면 사용자가 사용했던 파일들에 대한 모든 정보가 그대로 외부로 유출된다. 이러한 경우 기업이나 개인의 중요한 자료들이 타인에 의하여 이용당할 수 있으므로 원격파일서버 등의 원격지 저장 서버에 개인 영역에 완전 삭제를 함으로써 저장 매체의 삭제된 정보가 해킹에 사용될 수 없도록 한다.
사용자가 선택한 메일의 헤더 정보를 읽고 이를 통하여 통합 관리되는 메일 파일 또는 디렉터리 등에서 전자 메일이 저장된 위치를 읽어 이 부분의 헤더 및 실제 데이터 영역을 특정 문자열로 덮어 쓰기를 수행한다. 이렇게 덮어쓰기를 수행하게 되면 삭제된 메일 파일들이 복구 불가능하게 된다. 덮어쓰기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디스크의 파일 레코드를 읽어 들여 파일마다 헤더 및 확장자 검색을 통하여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인지를 확인한 후에 찾아진 리스트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해당 파일에 대하여 덮어쓰기를 수행하여 이를 완전히 삭제한다. 위의 설명처럼 완전 삭제를 위해서는 전자 메일 관리 파일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메일 위치를 알아야 한다. 이렇게 선택 메일의 위치를 인식하고 이에 접근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는 몇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첫 번째는 선택한 메일의 헤더를 참조하여 실제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을 추적 하여 위치 정보를 분석하여 기록 매체에 덮어쓰는 방식이다. 도 4는 Outlook PST File Format으로서, 헤더 영역과 데이터 영역에 각각 메타 정보와 실제 정보가 구분되어 저장되는데, 헤더 영역에 저장되는 메타 정보를 사용하여 메일의 위치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이 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각 메일 파일의 특성을 이해하고 실제 RAW Data로부터 메일의 헤더 정보를 비교하여 찾아내야 한다.
메일 관리 프로그램마다 관리하는 파일의 방식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부분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메일 관리 파일에 대해서 메일의 위치 추적, 링크 재설정 등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두 번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클라이언트 메일 관리 프로그램이 플러그인(Plug-in, Add-in) 방식을 지원하고 있고 이 플러그인 소프트웨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메일 위치에 접근할 수 있으며, 또한 메일이나 여러 관리 정보들에 접근할 수 있는 함수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기존의 메일 관리 프로그램(즉 Outlook과 같은 프로그램)의 플러그인 방식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함으로써, 이러한 함수와 메모리 영역 설정, 그리고 덮어쓰기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완전 삭제를 수행할 수 있다.
메일 관리 프로그램에서 특정 메일을 선택하고 클릭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메일에 대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는 화면이 출력된다. 사용자가 선택한 메일을 보는 기능인데 여기에는 수신한 메일의 헤더로부터 실제 데이터까지 모든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덮어쓰기 방법을 구현한 블록도이며, 도 7은 메일 완전 삭제 메뉴가 플러그인 형태로 기존의 메일 관리 프로그램인 Outlook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선택한 메일을 완전 삭제할 경우,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루틴을 통하여 기록 매체로부터 메일을 가져와 사용하는 메모리 영역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메모리에 올려진 메일에서 실제 메일의 헤더 부분과 메일의 데이터 영역을 구분하고 첨부 파일의 저장된 위치를 가져온다. 이렇게 가져온 정보에 사용자가 선택한 덮어쓰기 패턴 또는 자동으로 생성한 랜덤 패턴을 이용하여 헤더 영역의 크기만큼 헤더에 덮어쓰고 메일의 데이터 영역의 크기만큼 데이터 영역에 덮어쓰기를 수행한다. 그리고 첨부 파일이 있을 경우에 첨부 파일의 크기만큼 첨부 파일 영역에 덮어쓰기를 수행하면 기록 매체로부터 선택된 메일의 전체 영역을 복구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선택 메일을 읽어 들인 후에 해당 영역의 덮어쓰기를 수행하고 덮어쓰기가 이루어진 전체 메일 영역에 대한 저장을 수행하며, 기존의 메일 삭제 루틴을 호출하면 자동으로 메일 관리 파일 및 기록 매체로부터 제거가 된다. 이 방식은 상당히 효율적인 방식으로 어떠한 메일 파일인지 판단하고, 판단된 근거를 통하여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을 분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메일의 부분 영역을 복구할 수 없는 상태로 만들어 버린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메일의 내용 및 크기에 따라 해 당 위치에 특정 패턴을 덮어쓰게 되면 메일을 아무리 복구한다 하더라도 특정 패턴으로 쓰여진 파일 밖에 복구 할 수 없으며, 메일의 내용뿐 아니라 메일에 포함된 수신자, 송신자, 첨부 파일 역시 전부 특정 패턴으로 덮어쓰기가 수행됨으로 어떠한 정보도 살릴 수가 없게 된다. 또한 Gutmann, DOD 5220 등의 여러 덮어쓰기 패턴 형식들을 이용하여 여러 번 덮어쓰기를 수행하게 되면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하드웨어적인 기록 매체 복구 방법을 이용한 복구도 불가능하게 된다. DOD 5220 방법은 하드디스크와 같은 디지털 매체에서 데이터를 완전히 삭제할 때 사용되는 미국 국방성 규격이며, 7회 덮어쓰기를 함으로써 원본 파일의 자기적 흔적을 없애도록 되어 있고, Gutmann 방법은 35회 덮어쓰기가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상술한 Gutmann, DOD 5220 등의 방법들에서는 단지 랜덤하게 만들어진 패턴을 단순히 수 회 덮어쓰기하는 것은 아니며, 덮어쓰기를 하기 위한 패턴이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알고리즘이 포함되어 있다.
도 8은 원본 전자 메일 정보이며, 도 9는 원본 전자 메일에 대한 완전 삭제 패턴 덮어쓰기('0' 패턴)를 수행한 이후의 전자 메일 정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메일의 구성요소들인 SENDER 및 SUBJECT, 그리고 전자 메일의 BODY 영역, 첨부 파일 등 모든 영역에 대해서 완전 삭제 패턴('0' 패턴)으로 덮어쓰기가 수행됨으로써 원본 메일에 담겨 있던 모든 정보가 완벽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도 9의 예에서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0' 패턴을 사용한 경우의 화면을 도시하고 있으나, 물론 덮어쓰기 패턴은 랜덤 패턴이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패턴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패턴 덮어쓰기 이후 삭제된 전자 메일을 복구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로부터 삭제된 전자 메일 파일들을 검색한 화면이다. 위에서 패턴 덮어쓰기 이후 삭제된 메일의 내용이 전부 완전삭제 패턴('0' 패턴)으로 덮어 씌어져 있기 때문에 복구를 하더라도 기존의 전자 메일에 저장되어 있던 내용을 확인 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구성된 완전 삭제 방식은 각각의 메일 관리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의 Plug-In(Add-in) 정보만 알면 쉽게 구성이 가능하게 되고 전자 메일 전체 관리 파일에 접근할 필요 없이 빠르게 저장 매체에 저장된 전자 메일들에 접근하여 기록 매체로부터 완전히 삭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전자 메일 파일 관리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전자 메일 메시지 관리 및 저장 매체로부터의 삭제 방법은 크게 다음과 같은 5가지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모든 동작의 주체는 PC, 메일 서버, 원격파일서버 서버 등과 같은 연산처리수단이며, 모든 동작은 프로그램화되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하에서 제1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 의한 방법은 전자 메일 관리 프로그램의 플러그인 방식으로 각 메일 및 일정 관리 소프트웨어에 메일 메시지 완전 삭제에 대한 설정 메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즉 제1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Outlook과 같은 기존의 메일 관리 프로그램의 메뉴에 플 러그인 형태로 완전 삭제 메뉴를 추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며 설정 메뉴를 통하여 삭제 방식을 설정하고 완전 삭제를 위한 패턴을 생성하게 된다. 제1실시예의 방법 흐름도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의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사용자에 의하여 완전 삭제 메뉴가 호출되면 해당 메일을 분석하여 메일의 헤더와 데이터 영역을 구분한다. 그리고 전자 메일 관리 파일에서 해당 메일의 위치를 검색한다. 이렇게 메일의 위치가 추출되면 그 위치에 사용자의 선택한 완전 삭제 패턴 또는 랜덤 패턴을 이용하여 그 영역에 덮어쓰기를 수행한다. 덮어쓰기가 완료되면 메일 영역을 파일로부터 제거하고 작업을 완료한다.
도 11을 참고하여 제1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연산처리수단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메일에 대하여 완전 삭제 명령이 내려짐을 감지하면(S101), 상기 연산처리수단은 사용자에게 삭제 옵션을 제공하여 선택을 하거나 미리 결정된 방식을 적용한다(S102). 여기에서 삭제 옵션이란, 덮어쓰기 할 패턴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것인지 또는 랜덤 패턴으로 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덮어쓰기 방식은, Gutmann, DOD 5220 등과 같은 완전 삭제 알고리즘에서 사용되는 덮어쓰기용 패턴 생성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말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연산처리수단은 메시지 스토리지에 액세스(access, 접근)하여(S104) 메일 영역과 첨부 파일 영역을 순차적으로 가져와(S104, S105) 메일 위치를 설정하고(S106), 상기 S102 단계에서 설정된 방식에 따라 랜덤 패턴 또는 사용 자 패턴을 생성 및 구성한다(S107). 상기 연산처리수단은 이와 같이 구성된 패턴을 상기 설정된 메일 영역 및 첨부 파일 영역에 덮어써서(S108) 메시지 내용 및 첨부 파일 등의 원본 내용이 완전하게 대체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완전 삭제를 위하여 선택된 메일은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랜덤 패턴 또는 사용자 패턴으로 완전히 덮어써진 후 원본 메일 위치에 저장된다(S109). 이후 원래의 삭제 루틴이 호출되어(S110) 전자 메일 관리 파일에서 선택된 메일이 삭제(S111)됨으로써 완전 삭제 과정이 완료된다.
종래의 삭제 방식은, 도 11의 점선 화살표로 표시된 것과 같이 메일의 헤더만 삭제하였으나, 본 발명의 완전 삭제 방법에 의하면 해당 메일 메시지 및 첨부 파일의 위치를 찾아내어 삭제될 메일을 특정 패턴(즉 랜덤 패턴 또는 사용자 패턴)으로 덮어쓰기를 수행한 이후에 헤더를 삭제하므로, 삭제된 메일 파일을 복구한다 하더라도 덮어쓰기가 이루어진 메일만이 복구되게 되어, 메일 원본으로부터 메일 내용, 첨부 파일 내용, 개인 정보 등이 유출될 가능성이 원천적으로 제거된다.
이하에서 제2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의한 방법은 각 메일 및 일정 관리 프로그램에 기존 삭제를 대체하는 또는 추가되는 완전 삭제 명령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제2실시예의 방법 흐름도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의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제1실시예와 같이 플러그인 방식으로 동작하는 방식으로 메뉴 호출까지는 동일하다. 그러나 덮어쓰기 수행과 전자 메일 관리 파일로부터 제거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나는데 해당 컨텐츠가 선택되면 전자메일 관리 파일에 직접적으로 접근하여 선택한 메일의 위치를 분석하고 추적하여 해당 영역을 덮어쓰기 한다. 그리고 해당 영역을 메일 관리 파일로부터 제거하는 방식이다.
도 12를 참고하여 제2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2실시예의 S201, S202는 제1실시예의 S101, S102와 각각 대응되며, 대응되는 단계끼리 서로 동작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이후 직접적으로 전자 메일 관리 파일에 접근 및 분석이 이루어짐으로서(S203) 완전 삭제하도록 선택된 메일의 저장된 영역이 추적된다(S204). 선택 메일 영역이 추적되면 해당 영역에 상기 설정된 패턴을 구성하여(S205) 선택 영역에 덮어써지게 되고(S206), 전자 메일 관리 파일에 해당 영역에 대한 링크가 재설정된다(S207).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이 재설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선택된 메일은 삭제된 것으로 처리되게 된다. 이후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이 새로고침(Reload)됨(S208)으로써 과정이 완료된다.
즉 제2실시예의 방법은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완전 삭제될 메일에 특정 패턴을 덮어쓰기함으로써 원본 복구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제거한다는 점이 공통적이나, 제1실시예에서는 완전 삭제될 메일을 잉여 메모리 영역으로 위치시키고 덮어쓰기한 후 다시 원래 위치로 저장하는 단계를 거치는 대신 제2실시예에서는 완전 삭제될 메일을 찾으면 그 위치에서 곧바로 덮어쓰기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제3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의한 방법은 제1 및 제2실시예와 유사하나 덮어쓰기를 하는 부분에서 복사본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서, 제3실시예의 방법 흐름도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제3실시예의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제1 및 제2실시예와 같은 방식이되 덮어쓰기를 하는 부분에서 복사본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복사본을 특정 위치에 복사해두고 원본 전체를 삭제 패턴에 따라 삭제하고 복사본으로부터 원본 파일 위치에 새로이 메일 파일을 구성한다. 모든 구성이 완료되면 복사본에 대한 덮어쓰기를 통하여 복사본 위치를 완전히 삭제하게 된다.
도 13을 참고하여 제3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역시 제3실시예의 S301, S302는 제1실시예의 S101, S102 또는 제2실시예의 S201, S202와 각각 대응되며, 대응되는 단계끼리 서로 동작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이후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의 복사본이 구성된다(S303). 이후, 상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덮어쓰기 패턴이 구성되고(S304),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의 원본 전체에 상기 S304 단계에서 생성된 패턴이 덮어써진다(S305). 이후, 복사본을 분석 및 추적하여(S306) 완전 삭제가 선택된 메일 영역을 인식한 후, 해당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원본에 다시 써서(S307) 원본 파일을 구성한다(S308). 즉, 복사본은 최초의 원본과 동일하며, 원본에는 특정 패턴으로 전체 덮어쓰기가 이루어졌으므로, 선택 메일을 제외하고 복사본을 원본에 덮어쓰면, 선택 메일 영역은 특정 패턴으로 남고 나머지 영역은 원본과 동일한 내용으로 되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원본 파일 구성 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메일은 삭제된 것으로 처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의 원본이 구성된 후 복사본이 완전히 삭제되고(S309) 새로 구성된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 원본이 새로고침(S310)됨으로써 과정이 완료된다. 상기 복사본 완전 삭제(S309) 단계는, 기존에 사용되는 Gutmann, DOD 5220 등의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제4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설명한다.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방법은 기존의 전자 메일 관리 프로그램(즉 Outlook, Eudora 등)의 플러그인 형태로 동작하는 방법이나, 제4실시예에 의한 방법은 전자 메일 프로그램과 독립적인 프로그램으로서 동작하는 방법으로서, 제4실시예의 방법 흐름도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제4실시예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제4실시예는 독자적인 프로세서로서 동작하는 메일 관리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자체 메일 관리 파일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타 메일 관리 파일에 대한 완전 삭제 방식이다. 먼저 사용자에 의하여 메일 관리 파일을 검색하고 특정 메일 관리 파일을 선택하면 이를 분석하여 각각의 메일 관리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분석을 한다. 분석이 완료되면 분석된 내용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메일 파일의 내용을 목록화해주고 여기서 선택된 메일에 대한 사용자의 메일 삭제 명령(부분 메일 삭제 및 전체 메일 파일 삭제)이 호출되면 설정 패턴에 따라 해당 영역을 삭제하거나 메일 관리 파일 전체를 삭제한다. 만약 메일 파일 전체를 삭제하는 경우에는 운영 체제가 관리하는 파일 테이블로부터 메일 관리 파일을 완전히 제거한다.
제4실시예의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메일 프로그램과 독립적인 프로그램으로서 동작하기 때문에,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경우 적용되는 전자 메일 관리 방법 중에 하나를 사용하여 구성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자면, 하나의 컴퓨터를 사용자A와 사용자B가 함께 쓰되, 사용자A는 Outlook을 사용하고 사용자B는 Eudora를 사용할 경우,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A와 사용자B가 각각 Outlook용 플러그인과 Eudora용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사용하여야만 하지만 제4실시예의 경우 제4실시예에 의해 구현된 프로그램 하나만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도 14를 참고하여 제4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사용자에 의한 검색 명령이 감지되면(S401), 상기 연산처리수단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드라이브가 선택됨을 인식한 후(S402) 상기 선택된 드라이브의 스캔(S403)과 파일 및 디렉토리의 스캔(S404)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이후, 상기 연산처리수단은 검색된 파일을 분석하여 파일의 종류를 판단하게 되는데(S405), 이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Outlook용 전자 메일 파일인지 아니면 Eudora용 전자 메일 파일인지 등과 같이, 해당 사용자가 사용하는 전자 메일 관리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전자 메일 파일 포맷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해 전자 메일 파일이 검색되지 않으면(S406-No) 이대로 과정이 완료되며, 전자 메일 파일이 검색되면(S406-Yes) 전자 메일 파일 종류에 따라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이 분석된다(S407).
이후에는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계가 동일하게 수행된다(S408). 즉 사용자에 의해 완전 삭제될 메일이 선택되고 완전 삭제 명령이 내려지면,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선택된 메일을 잉여 메모리 영역으로 옮긴 후 해당 메일 영역에 패턴 덮어쓰기하고 이를 저장한 후 기존의 삭제 루틴에 따라 헤더를 제거하는 삭제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완전 삭제를 완료하거나(도 14a),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자 메일 관리 파일에 직접 액세스하여 해당 메일 영역을 추적하여 해당 영역에 덮어쓰기를 수행한 후 관리 파일 링크를 재설정함으로써 완전 삭제를 완료하거나(도 14b),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을 복사하고 원본에 패턴 덮어쓰기를 한 후 복사본에서 선택 메일 영역을 제외한 부분을 원본에 다시 덮어쓰고 복사본을 완전 삭제함으로써 완전 삭제를 완료할 수 있다(도 14c).
이하에서 제5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설명한다. 제5실시예에 의한 방법은 서버에 의하여 원격지에 보관되는 메일 또는 원격파일서버 등의 파일들에 대해 사용자 명령 또는 설정 구성으로 사용자가 직접, 스케줄링, 또는 자동으로 자신의 메일 정보를 완전 삭제하는 방법으로서, 제5실시예의 방법 흐름도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제5실시예의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메일 호스팅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메일을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통하여 개인 PC로 메일을 전송할 때, 전송이 완료된 후 메일 서버에 저장된 파일을 삭제하는 부분,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삭제되는 부분, 자동 삭제되는 부분 등에서 메일의 위치를 특정 패턴으로 덮어쓰기를 하는 모듈을 호출하는 방식이다.
즉, 제1 내지 제4실시예는 개인 사용자가 자신의 PC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 메일 파일을 관리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제5실시예는 메일 서버에서 이루 어지는 전자 메일 파일 관리 방법이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실시예에서는 각 동작의 주체는 PC로 구현되는 연산처리수단이 될 수 있으며, 제5실시예에서는 PC 등으로 구현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과 메일 서버 등으로 구현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이 구분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PC 등으로 구현되는 연산처리수단(즉 클라이언트 컴퓨터)은 제1연산처리수단이라고 칭하고, 메일 서버 등으로 구현되는 연산처리수단(즉 서버 컴퓨터)은 제2연산처리수단이라고 칭한다.
도 15를 참고하여 제5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내용은 메일(메일 서버)과 파일(원격파일서버 서버)에 공통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먼저 제1연산처리수단이 내장된 전자 메일 관리 프로그램 또는 원격파일서버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컨텐츠 받기를 수행하면(S501) 컨텐츠 가져오기 프로토콜을 따라 가져오기가 수행되어(S502)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받기를 요청하는 명령이 전송된다(S503). 상기 제1연산처리수단으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받기 요청 메시지는 제2연산처리수단, 즉 서버로 수신되며(S504), 상기 제2연산처리수단이 서버 스토리지를 검색하여(S505) 해당 컨텐츠를 상기 제1연산처리수단으로 전송한다(S506). 이후, 상기 제2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하여 삭제 명령이 내려진다(S507). 일반적으로 POP3, IMAP 서버 등(즉 제5실시예에서는 제2연산처리수단)에서는 메일을 클라이언트(즉 제5실시예에서는 제1연산처리수단)로 전송한 후 서버에서는 메일을 자동적으로 삭제하도록 설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컨텐츠가 삭제되는 시점은 컨텐츠 전송 완료 이후의 삭제, 사용자의 삭제 명령, 자동 삭제일 수 있다. 삭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종래의 일반적인 삭제 방법, 즉 헤더만 제거하는 삭제 방법으로 삭제할 경우 데이터가 남아 있게 되어 정보 유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연산처리수단이 먼저 상기 원본 컨텐츠에 패턴 덮어쓰기를 한 후(S508) 원본 컨텐츠를 삭제(S509)하도록 함으로써, 해킹 등에 의해 서버에 침투하여 데이터를 복구한다 하더라도 패턴 덮어쓰기가 된 원본 메일을 복구하게 되어, 개인 정보나 기밀 사항의 유출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제2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해당 원본 메일이 완전 삭제되었음을 기재한 삭제 결과서가 작성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S510). 상기 제1연산처리수단은 내장된 전자 메일 관리 프로그램 또는 원격파일서버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고(S511) 관리 파일에 해당 컨텐츠를 추가한 후(S512) 컨텐츠가 도착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된다(S513). 상기 제2연산처리수단이 웹 메일 서버이거나 원격파일서버 서버일 경우 사용자에게 알리는 동작이 수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메일 서버에서는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메일을 전송한 이후, 사용자에 의한 삭제 명령, 서버 자동 삭제 명령 등에 따라 메시지를 삭제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S508~S510의 단계를 거쳐 서버에 존재하는 메일의 완전 삭제가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개인 정보나 중요 기밀의 누출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요청과는 독립적으로, 서버 차원에서 서버 점검 시 스팸 메일이나 바이러스가 첨부된 메일 등이 검색될 경우 해당 메일 들을 완전 삭제 대상 메일로 선정하고, S508~S510의 단계를 거쳐 완전 삭제를 한 후 삭제 결과서만 사용자에게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메일 서버 및 클라이언트의 동작
도 2는 Outlook에 저장된 메일 파일들
도 3은 메일 복구 프로그램을 이용한 지워진 파일 확인
도 4는 Outlook PST File Format의 예
도 5는 선택한 메일 보기
도 6은 덮어쓰기 구현 Block
도 7은 메일 완전 삭제 메뉴 구성
도 8은 원본 전자 메일 정보
도 9는 '0' 패턴 덮어쓰기 이후의 전자 메일 정보
도 10은 패턴 덮어쓰기 이후 전자 메일 복구 프로그램을 이용한 복구 화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1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2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3실시예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4실시예
도 14a 내지 도 14c는 제4실시예의 3가지 구현 방법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제5실시예
도 16은 일반적인 파일 저장 방식 및 메일 파일 저장 방식 비교예

Claims (12)

  1. PC, 메일 서버, 원격파일 서버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가지의 컴퓨터로 구현되는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수행되며,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에 대한 삭제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전자 메일의 단일 파일의 파일 데이터의 저장 위치 또는 복수 파일로 관리되는 관리 파일 내부에서 선택된 상기 전자 메일의 파일 데이터의 저장 위치를 검색하여 해당 위치에 특정 패턴의 문자열을 덮어쓰기한 후 삭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은
    아웃룩(Outlook) 또는 유도라(Eudora)를 포함하는 상용, 공개(free) 또는 쉐어(share) 전자 메일 관리 프로그램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전자 메일 관리 프로그램의 플러그인(Plug-In)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프로그램의 선택적 메뉴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은,
    a1)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이 선택됨이 감지되고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에 대한 완전 삭제 요청이 감지되는 단계(S101);
    a2)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삭제 옵션 및 방식이 선택됨이 감지되는 단계(S102);
    a3)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메일 스토리지로의 접근이 수행되어(S103)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의 메일 영역 및 첨부 파일 영역이 순차적으로 가져오기되는(S104, S105) 단계;
    a4)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가져오기된 메일 및 첨부 파일의 위치가 설정되는 단계(S106);
    a5)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삭제 옵션 및 방식에 따라 덮어쓰기 패턴 문자열이 구성되는 단계 (S107);
    a6)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메모리 상에 위치된 상기 메일 및 첨부 파일의 영역 전체에 상기 생성 완료된 덮어쓰기 패턴 문자열이 덮어쓰기되는 단계(S108);
    a7)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덮어쓰기된 메일 및 첨부 파일이 메일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단계(S109);
    a8)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의 헤더가 삭제되어(S110) 전자 메일 관리 파일에서 제거(S111)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은,
    b1)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이 선택됨이 감지되고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에 대한 완전 삭제 요청이 감지되는 단계(S201);
    b2)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삭제 옵션 및 방식이 선택됨이 감지되는 단계(S202);
    b3)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이 분석되어(S203) 선택 메일 영역이 추적되는(S204) 단계;
    b4)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삭제 옵션/방식에 따라 덮어쓰기 패턴 문자열을 구성하는 단계 (S205);
    b5)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추적된 메일 영역에 상기 생성 완료된 덮어쓰기 패턴 문자열이 덮어쓰기되는 단계(S206);
    b6)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의 링크가 재설정되고(S207)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이 새로고침되는(S208)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은,
    c1)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이 선택됨이 감지되고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에 대한 완전 삭제 요청이 감지되는 단계(S301);
    c2)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삭제 옵션 및 방식이 선택됨이 감지되는 단계(S302);
    c3)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의 복사본이 생성되는 단계(S303);
    c4)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삭제 옵션/방식에 따라 덮어쓰기 패턴 문자열을 구성하는 단계 (S304);
    c5)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의 원본에 상기 생성 완료된 덮어쓰기 패턴 문자열이 덮어쓰기되는 단계(S305);
    c6)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 복사본이 분석되어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 영역이 추적되는 단계(S306);
    c7)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의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 복사본이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 원본에 쓰기되는 단계(S307);
    c8)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복사본이 쓰기된 전자 메일 관리 파일 원본이 다시 구성되는 단계(S308);
    c9)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복사본이 삭제되고(S309)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이 새로고침되는(S310)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인은
    상기 연산처리수단이 상기 플러그인을 배포하는 배포용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받아 설치되며,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은
    타 전자 메일 관리 프로그램과 독립적인 별개의 전자 메일 관리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되어,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은,
    d1)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사용자의 검색 요청 명령이 감지되는 단계(S401);
    d2)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사용자의 드라이브 선택 명령이 감지되는 단계(S402);
    d3)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드라이브 스캔(S403) 및 파일 및 디렉토리 스캔(S404)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단계;
    d4)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파일이 분석되어 상기 선택된 드라이브 내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 메일 파일의 포맷을 확인하는 단계(S405);
    d5)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 파일의 존재가 확인되면(S406-Yes)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이 분석되는 단계(S407);
    d6)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완전 삭제될 전자 메일이 선택됨이 감지되고 전자 메일의 완전 삭제를 수행하는 단계(S408);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d6) 단계는
    da1)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이 선택됨이 감지되고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에 대한 완전 삭제 요청이 감지되는 단계(T101);
    da2)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삭제 옵션 및 방식이 선택됨이 감지되는 단계(T102);
    da3)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메일 스토리지로의 접근이 수행되어(T103)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의 메일 영역 및 첨부 파일 영역이 순차적으로 가져오기되는(T104, S105) 단계;
    da4)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가져오기된 메일 및 첨부 파일의 위치가 설정되는 단계(T106);
    da5)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삭제 옵션 및 방식에 따라 덮어쓰기 패턴 문자열이 구성되는 단계 (T107);
    da6)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메모리 상에 위치된 상기 메일 및 첨부 파일의 영역 전체에 상기 생성 완료된 덮어쓰기 패턴 문자열이 덮어쓰기되는 단계(T108);
    da7)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덮어쓰기된 메일 및 첨부 파일이 메일 스토리지에 저장되는 단계(T109);
    da8)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의 헤더가 삭제되어(T110) 전자 메일 관리 파일에서 제거(T111)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d6) 단계는
    db1)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이 선택됨이 감지되고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에 대한 완전 삭제 요청이 감지되는 단계(T201);
    db2)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삭제 옵션 및 방식이 선택됨이 감지되는 단계(T202);
    db3)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이 분석되어(T203) 선택 메일 영역이 추적되는(T204) 단계;
    db4)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삭제 옵션/방식에 따라 덮어쓰기 패턴 문자열을 구성하는 단계 (T205);
    db5)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추적된 메일 영역에 상기 생성 완료된 덮어쓰기 패턴 문자열이 덮어쓰기되는 단계(T206);
    db6)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의 링크가 재설정되고(T207)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이 새로고침되는(T208)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d6) 단계는
    dc1)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이 선택됨이 감지되고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에 대한 완전 삭제 요청이 감지되는 단계(T301);
    dc2)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삭제 옵션 및 방식이 선택됨이 감지되는 단계(T302);
    dc3)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의 복사본이 생성되는 단계(T303);
    dc4)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삭제 옵션/방식에 따라 덮어쓰기 패턴 문자열을 구성하는 단계 (T304);
    dc5)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의 원본에 상기 생성 완료된 덮어쓰기 패턴 문자열이 덮어쓰기되는 단계(T305);
    dc6)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 복사본이 분석되어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 영역이 추적되는 단계(T306);
    dc7)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선택된 전자 메일의 영역을 제외한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 복사본이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 원본에 쓰기되는 단계(T307);
    dc8)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복사본이 쓰기된 전자 메일 관리 파일 원본이 다시 구성되는 단계(T308);
    dc9) 상기 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복사본이 삭제되고(T309) 상기 전자 메일 관리 파일이 새로고침되는(T310)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은,
    e1) 클라이언트 컴퓨터로 구현되는 제1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전자 메일을 포함하는 컨텐츠 받기 명령이 감지되는 단계(S501);
    e2) 상기 제1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컨텐츠 가져오기 프로토콜을 따라(S502)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 컴퓨터로 구현되는 제2연산처리수단으로 컨텐츠 받기 명령을 전송하는(S503) 단계;
    e3) 상기 제2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연산처리수단으로부터의 컨텐츠 받기 명령이 수신되면(S504), 상기 제2연산처리수단이 서버 스토리지를 검색하여 해당되는 원본 컨텐츠를 상기 제1연산처리수단으로 전송하는(S505) 단계;
    e4) 상기 제2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송된 원본 컨텐츠의 삭제 명령이 감지되면(S507), 상기 원본 컨텐츠에 패턴 덮어쓰기가 수행되는 단계(S508);
    e5) 상기 제2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송된 원본 컨텐츠가 삭제되는 단계(S509);
    e6) 상기 제2연산처리수단에 의하여 상기 전송된 원본 컨텐츠가 완전 삭제되었음을 기재한 삭제 결과서 컨텐츠가 전송되는(S510) 단계;
    e7) 상기 제1연산처리수단이 인터넷을 통해 상기 e3) 단계 및 상기 e6) 단계에서 각각 전송된 원본 컨텐츠 및 삭제 결과서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S511);
    e8) 상기 제1연산처리수단이 상기 수신된 컨텐츠들을 관리 파일에 추가하는 단계(S51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 방법.
KR1020080064328A 2008-04-11 2008-07-03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방법 KR100883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1527 WO2009125933A2 (en) 2008-04-11 2009-03-25 Method for managing e-mails and remote files in local and remote reg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3428 2008-04-11
KR20080033428 2008-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3837B1 true KR100883837B1 (ko) 2009-02-17

Family

ID=40681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328A KR100883837B1 (ko) 2008-04-11 2008-07-03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83837B1 (ko)
WO (1) WO200912593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7810A (ko) * 2013-12-30 2015-07-08 김철기 Sns 상에서의 파일 완전 삭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5959A (ko) * 2000-06-13 2001-03-05 권석철 컴퓨터 저장장치에 저장된 파일의 영구적 삭제 방법 및 그기록매체
US20050144561A1 (en) * 2003-12-29 2005-06-30 Moody Paul B. System and method for deleting related messages
KR20050112463A (ko) * 2004-05-25 2005-11-30 정의석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구삭제 방법
KR20070111076A (ko) * 2006-05-16 2007-11-21 주식회사 더다인 하드 디스크 데이터 영구 삭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29489A (zh) * 1997-06-17 1999-09-22 珀杜法尔玛Lp公司 自毁文档和电子邮件发报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5959A (ko) * 2000-06-13 2001-03-05 권석철 컴퓨터 저장장치에 저장된 파일의 영구적 삭제 방법 및 그기록매체
US20050144561A1 (en) * 2003-12-29 2005-06-30 Moody Paul B. System and method for deleting related messages
KR20050112463A (ko) * 2004-05-25 2005-11-30 정의석 기록매체의 데이터 영구삭제 방법
KR20070111076A (ko) * 2006-05-16 2007-11-21 주식회사 더다인 하드 디스크 데이터 영구 삭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7810A (ko) * 2013-12-30 2015-07-08 김철기 Sns 상에서의 파일 완전 삭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583009B1 (ko) 2013-12-30 2016-01-11 김철기 Sns 상에서의 파일 완전 삭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25933A2 (en) 2009-10-15
WO2009125933A3 (en)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34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gital evidence
Kirschenbaum et al. Digital forensics and born-digital content in cultural heritage collections
JP4759513B2 (ja) 動的、分散的および協働的な環境におけるデータオブジェクトの管理
US11372994B2 (en) Security application for data security formatting, tagging and control
US7958147B1 (en)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and automated security assistance, a document marking regime, and central tracking and control for sensitive or classified documents in electronic format
US79500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ents in a collaborative document
US8627403B1 (en) Policy applicability determination
CN112262388A (zh) 使用个人身份信息(pii)的标记和持久性来保护pii
US200801072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ocument Control Using Public Key Encryption
US10642870B2 (en) Dat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d documenting privacy-related aspects of computer software
US8838466B2 (en) System and method to track the status, physical location, and logical location of workflow objects in a workflow cycle
US20070061359A1 (en) Organizing managed content for efficient storage and management
US2008024438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multimodal documents
US20100145997A1 (en) User driven ad-hoc permission granting for shared business information
KR100883837B1 (ko) 전자 메일 및 원격 파일의 로컬 및 원격지에서의 파일 관리방법
CN103312769A (zh) 管理对客户提供给公司的文档的访问的方法和系统
US667531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erase procedures run on a hard drive
Weller Data governance: Supporting datacentric risk management
US20130198621A1 (en) Document Tracking System and Method
Angelopoulou et al. A Study of the Data Remaining on Second-Hand Mobile Devices in the UK
US11138242B2 (en) Dat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d documenting privacy-related aspects of computer software
Patel Forensic investigation life cycle (filc) using 6 ‘r’policy for digital evidence collection and legal prosecution
JP6363780B1 (ja) データファイルの割符処理をusbメモリでそのまま実行させるシステム及びusbメモリ、及びusbメモリの顧客への提供方法
JP4261551B2 (ja) アーカイブシステム
Jantali et al. Date Spillage Remediation Techniques in Hado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