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3116B1 -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3116B1
KR100883116B1 KR1020070034624A KR20070034624A KR100883116B1 KR 100883116 B1 KR100883116 B1 KR 100883116B1 KR 1020070034624 A KR1020070034624 A KR 1020070034624A KR 20070034624 A KR20070034624 A KR 20070034624A KR 100883116 B1 KR100883116 B1 KR 100883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display
characters
display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1594A (ko
Inventor
이민경
류동석
양희철
강태영
임덕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4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3116B1/ko
Publication of KR20080091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1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모드에서, 선택 가능한 문자들을 표시하기 위한 문자 배열창 및 문자들 중 어느 하나 선택 시, 선택된 문자를 표시문자로 표시하기 위한 문자 표시창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문자 입력 모드 실행 시, 문자 배열창에 문자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문자 배열창에서 터치 발생 시, 문자들 중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의 문자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터치 위치로부터 확대된 문자 상으로 드래그 발생 시, 확대된 문자를 문자 표시창에 입력하여 표시문자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 휴대 단말기, 문자, 확대, 빈도수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METHODS FOR INPUTTING CHARACTER OF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도 2에서 대표문자 표시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4는 도 2에서 대표문자 선택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도 2에서 표시문자 표시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절차 수행 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도 7에서 대표문자 표시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도 7에서 대표문자 선택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도 7에서 표시문자 표시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그리고
도 11a 내지 도 11f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절차 수행 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휴대 단말기는 각종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으나, 휴대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의 휴대 단말기는 키보드나 마우스를 대신하여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문자 입력 모드 실행 시, 휴대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상에 문자키들이 배열되는 키패드를 표시하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터치를 통하여 문자키를 입력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에 표시되는 키패드의 문자키들 각각에는 다수개의 문자들이 할당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특정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해당 문자키를 두 차례 이상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리고 동일한 문자를 연속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는 해당 문자키 이외에 방향 이동키 등을 더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더욱이 다수개의 문자키들이 좁은 영역에 배열됨에 따라서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특정 문자키가 아닌 이웃하는 다른 문자키를 터치하는 입력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 시 발생될 수 있는 입력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문자 입력 시 키 입력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모드에서, 선택 가능한 문자들을 표시하기 위한 문자 배열창 및 상기 문자들 중 어느 하나 선택 시, 상기 선택된 문자를 표시문자로 표시하기 위한 문자 표시창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 입력 모드 실행 시, 문자 배열창에 문자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배열창에서 터치 발생 시, 상기 문자들 중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의 문자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상기 확대된 문자 상으로 드래그 발생 시, 상기 확대된 문자를 문자 표시창에 입력하여 표시문자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모드에서, 선택 가능한 문자들을 표시하기 위한 문자 배열창 및 상기 문자들 중 어느 하나 선택 시, 상기 선택된 문자를 표시문자로 표시하기 위한 문자 표시창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 입력 모드 실행 시, 문자 배열창에 문자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배열창에서 터치 발생 시, 상기 문자들 중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의 문자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상기 확대된 문자 상으로 드래그 발생 시, 상기 확대된 문자를 문자 표시창에 입력하여 표시문자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문자 확대 표시 과정은,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의 문자가 다수개이면, 상기 다수개의 문자 중 표시 빈도수가 최다인 문자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모드에서, 선택 가능한 문자들을 표시하기 위한 문자 배열창 및 상기 문자들 중 어느 하나 선택 시, 상기 선택된 문자를 표시문자로 표시하기 위한 문자 표시창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문자 입력 모드 실행 시, 문자 배열창에 문자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배열창에서 터치 발생 시, 상기 문자들 중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적어도 둘의 문자가 할당된 문자 그룹의 대표문자가 존재하면, 상기 대표문자가 해당하는 문자그룹의 문자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상기 확대된 문자 상으로 드래그 발생 시, 상기 확대된 문자를 문자 표시창에 입력하여 표시문자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하기 설명에서, "문자"라는 용어는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모드 실행 시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는 글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문자는 한글, 영문, 숫자, 특수기호 등의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 때 한글은 한글 자음, 한글 모음, 한글 음절을 포함하며, 영문은 대문자, 소문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한글 음절은 한글 모음 앞뒤에 하나 이상의 한글 자음이 결합된 문자로서, 한글 모음의 앞에 결합되는 한글 자음이 한글 음절의 초성이다.
그리고 "문자 그룹"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문자의 무리를 의미한다. 이러한 문자 그룹은 대표문자를 포함하며, 후보문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표문자"라는 용어는 문자 그룹을 대표하는 문자를 의미한다. "후보문자"라는 용어는 대표문자로부터 유추 가능한 문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한글 자음에서 'ㄱ', 'ㄲ', 'ㅋ'이 동일한 문자 그룹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자 그룹에서 'ㄱ'이 대표문자이고, 'ㄲ', 'ㅋ'이 후보문자일 수 있다. 또는 한글 자음에서 'ㄱ', 'ㄴ'이 동일한 문자 그룹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자 그룹에서 'ㄱ'이 대표문자이고, 'ㄴ'이 후보문자일 수 있다. 그리고 영문에서 'A', 'B', 'C'가 동일한 문자 그룹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자 그룹에서 'A'가 대표문자이고, 'B'가 후보문자일 수 있다. 또는 영문에서 'A', 'a'가 동일한 문자 그룹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자 그룹에서 'A'가 대표문자이고, 'a'가 후보문자일 수 있다. 이는 숫자 또는 특수기호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한편 한글 자음 각각이 대표문자일 수 있으며, 대문자 또는 소문자 각각이 대표문자일 수 있다. 이는 숫자 또는 특수기호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표시문자"라는 용어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의미한다. 즉 표시문자는 대표문자 및 후보문자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또한 "표시 빈도수"라는 용어는 특정 문자가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된 횟수를 의미한다. 즉 문자는 각각의 표시 빈도수를 갖는다. 이 때 대표문자의 표시 빈도수는 해당 대표문자와 동일한 문자 그룹에 할당된 대표문자 및 후보문자들 각각의 표시 빈도수의 합을 의미한다. "조합 빈도수"라는 용어는 특정 문자가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다른 특정 문자와 조합된 횟수를 의미한다. 즉 문자는 각기 다른 문자와의 조합 빈도수를 갖는다.
또한 "터치(touch)"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상에 손가락을 접촉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드래그(drag)"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즉 손가락을 접촉한 상태로 손가락을 이동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드롭(drop)"이라는 용어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 즉 접촉하고 있는 손가락을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떼는 행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는 휴대 전화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터치 스크린(120), 저장부(130), 제어부(140) 및 오디오 처리부(15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120)은 표시부(121)와 터치 패널(123)을 포함한다. 표시부(121)는 휴대 단말기(100)의 상태를 표시한다. 이 때 표시부(121)는 LCD로 구현되며, LCD 제어부, 표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터치 패널(123)은 표시부(121)에 장착되며, 터치 감지부와 신호 변환부를 구비한다. 터치 감지부는 터치가 발생하면, 그에 따른 물리량, 예컨대 저항, 정전용량 등의 변화를 검출하여 터치의 발생을 감지한다. 또한 신호 변환부는 터치에 따른 물리량의 변화를 터치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1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자 입력 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문자들을 표시하는 문자 배열창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자들이 표시문자로 표시되는 문자 표시창을 표시한다. 또한 터치 스크린(1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자 배열창을 다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선(Base Line; BL)을 포함한다.
저장부(1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된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자들 각각의 표시 빈도수 및 조합 빈도수를 저장한다.
제어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신호 변환부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터치 패널(123) 상에서 발생 하는 터치, 드래그, 드롭 등을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자 입력 모드 실행 시 대표문자들을 표시부(121)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터치 발생 시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의 특정 대표문자와 동일한 문자 그룹에 할당된 후보문자를 확대하여 표시하거나 특정 대표문자를 확대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게다가 제어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대표문자 또는 후보문자를 표시문자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오디오 처리부(150)는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발생시키거나,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 대표문자가 하나 이상의 후보문자와 동일한 문자 그룹에 할당된 경우를 설명한다. 그리고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절차 수행 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로서,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문자 입력 모드가 한글 입력 모드인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이 때 도 6a 및 도 6b는 대표문자 표시 시 표시되는 화면들을 도시하고 있고, 도 6c 및 도 6d는 대표문자 선택 시 표시되는 화면들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6e 내지 도 6g는 표시문자 표시 시 표시되는 화면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문자 입력 요구 발생 시, 제어부(140)는 문자 입력 모드를 실행한다(211). 이 때 문자 입력 모드는 메시지 작성 기능, 메모 작성 기능 등 문 자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모드를 의미한다. 그리고 문자 입력 모드에서, 제어부(140)는 표시부(121)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문자들을 표시하는 문자 배열창(411)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자들이 표시문자로 표시되는 문자 표시창(413)을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문자 표시창(413)의 일정 영역에 표시문자가 표시될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415)를 표시한다. 이 후 제어부(140)는 문자 배열창(411)에 대표문자를 표시한다(213).
도 3은 도 2에서 대표문자 표시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21)의 문자 배열창(411)에 대표문자를 배열한다(311). 이 때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20)의 기준선(BL)을 기준으로 문자 배열창(411)을 구분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한글 자음 및 한글 모음의 대표문자들을 문자 배열창(411)의 동일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기준선(BL)에 의해 구분되는 문자 배열창(411)의 일정 영역에 한글 자음에 해당하는 대표문자들을 배열하고, 문자 배열창(411)의 다른 영역에 한글 모음에 해당하는 대표문자들을 배열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40)는 문자 표시창(413)에 표시문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313).
다음으로, 문자 입력 모드 수행 중,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표시창(413)에 표시문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표시문자가 음절 형태의 문자인지를 판단한다(315). 이 때 표시문자가 음절 형태의 문자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저장부(130)로부터 표시문자와의 조합 빈도수가 최다인 음절 형태의 문자를 추출한다(317). 예를 들면, 문자 표시창(413)의 표시문자가 '마'이면, 제어부(140)는 사전에 '마' 이후에 '마'와 조합되었던 음절 형태의 문자들 중 '마'와의 조합 빈도수가 가장 높은 문자를 추출한다. 이 후 제어부(140)는 추출된 문자를 추출된 문자의 초성이 할당된 문자 그룹에 추가하여 할당한다(319). 예를 들면, 추출된 문자가 '법'이면, 제어부(140)는 '법'의 초성인 'ㅂ'이 할당된 문자 그룹에 '법'을 추가하여 할당한 다음, 도 2로 리턴한다.
한편 문자 표시창(413)에 표시문자가 존재하지 않거나 문자 표시창(413)에 존재하는 표시문자가 음절 형태의 문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배열창(411)에 대표문자를 배열한 상태로 도 2로 리턴한다.
이어서, 제어부(140)는 문자 배열창(411)에 표시되는 대표문자를 선택한다(215). 이 때 제어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또는 드래그에 따라 특정 대표문자를 선택한다.
도 4는 도 2에서 대표문자 선택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문자 배열창(411)에 대표문자를 배열한 상태에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제어부(140)가 이를 감지하고(321), 터치 위치를 검출한다(323). 이 후 제어부(140)는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대표문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325).
이 때 대표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20) 상의 터치 위치로부터 드래그가 발생하면, 제어부(140)가 이 를 감지하고(327), 드래그 경로를 추적한다(329). 그리고 제어부(140)는 드래그 경로 상에서 터치 위치를 검출하여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의 터치 위치를 갱신한다(331). 또한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의 드래그의 방향을 감지한다(333). 즉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20)의 기준선(BL)을 기준으로 드래그의 방향이 문자 배열창(411)의 어느 영역을 향하는지를 확인한다. 이 후 제어부(140)는 드래그 방향에 해당하는 문자 배열창(411)의 일정 영역을 검출한다(335). 이 때 제어부(140)는 검출된 영역에 존재하는 대표문자를 선택 가능한 문자로 간주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갱신된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대표문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325).
다음으로,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발생된 초기의 터치 위치 또는 드래그 경로 상의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대표문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대표문자가 다수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337). 이 때 대표문자가 다수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대표문자들 각각의 표시 빈도수를 비교한다(339). 그리고 제어부(140)는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대표문자들 중 표시 빈도수가 가장 많은 대표문자를 선택한 다음(341), 도 2로 리턴한다. 즉 제어부(140)는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다수개의 대표문자가 존재하는 경우, 터치 위치로부터 가장 근접한 위치의 대표문자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표시 빈도수가 보다 많은 대표문자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ㄷ' 및 'ㅂ'이 존재하면, 제어부(140)는 'ㄷ'의 표시 빈도수 및 'ㅂ'의 표시 빈도 수를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ㄷ' 보다 'ㅂ'의 표시 빈도수가 많은 것으로 판단되면, 'ㅂ'을 선택한다.
한편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대표문자가 존재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120) 상의 터치 위치로부터 드래그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현재 터치 위치에 다른 기능키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다음,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343).
계속해서, 제어부(140)는 문자 배열창(411)에서 선택된 대표문자를 이용하여 문자 표시창(413)에 표시문자를 표시한다(217). 이 때 제어부(140)는 선택된 대표문자를 표시문자로 표시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어부(140)는 대표문자의 선택을 통해 문자 배열창(411)에 표시되는 화면을 변경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발생하는 드래그에 따라 표시하고자 하는 문자를 선택하여 문자 표시창(413)에 표시문자로 표시한다.
도 5는 도 2에서 표시문자 표시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대표문자와 동일한 문자 그룹에 할당된 후보문자를 확대하여 표시하며, 해당 문자 그룹에 음절 형태의 문자가 추가로 할당된 경우 음절 형태의 문자를 확대하여 더 표시한다(345). 이 때 제어부(140)는 특정 문자 그룹에 할당된 대표문자, 후보문자, 음절 형태의 문자 각각을 일정 거리를 두고 이격된 위치에 배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는 선택되지 않은 대표문자들은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문자 배열창(411)의 적어도 일측부에 밀집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때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드래그가 발생하면, 제어부(140)가 이를 감지하고(347), 드래그 경로를 추적한다(349).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드래그 경로에 확대된 대표문자 또는 후보문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351). 이 때 확대된 대표문자 또는 후보문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대표문자 또는 후보문자를 문자 표시창(413)의 커서(415) 위치에 표시문자로 표시한다(353). 그리고 제어부(140)는 해당 대표문자 또는 후보문자의 표시 빈도수를 증가시킨 다음(355), 도 2로 리턴한다.
한편 드래그 경로에 확대된 대표문자 또는 후보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터치 위치에 확대된 음절 형태의 문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357). 이 때 음절 형태의 문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음절 형태의 문자를 문자 표시창(413)의 커서(415) 위치에 표시문자로 표시한다(359). 그리고 제어부(140)는 해당 음절 형태의 문자의 조합 빈도수를 증가시킨 다음(361), 도 2로 리턴한다. 예를 들면, 문자 표시창(413)에 '마'가 표시되고, 문자 배열창(411)에서 드래그 경로 상의 터치 위치에 '법'이 존재하면, 제어부(140)는 문자 표시창(413)의 '마' 이후에 '법'을 조합하여 표시하고, '법'의 '마'와의 조합 빈도수를 증가시킨다.
한편 확대된 대표문자, 후보문자 및 음절 형태의 문자를 표시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드래그 발생 시, 드래그 경로 상에 확대된 대표문자, 후보문자 또는 음절 형태의 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터 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다른 대표문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363). 이 때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발생된 드래그 경로 상의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대표문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이전의 과정(도 4의 337 내지 도 5의 351, 357 및 363)을 재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드래그 경로 상에 확대된 대표문자, 후보문자 또는 음절 형태의 문자가 존재할 때까지 이를 반복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발생된 드래그 경로 상에 확대된 대표문자, 후보문자 또는 음절 형태의 문자가 존재하지 않고,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다른 대표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이전의 과정(345 내지 351, 357 및 363)을 재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자 입력 절차를 종료하기 위한 요구가 발생하면, 제어부(140)가 이를 감지하고(219), 문자 입력 절차를 종료한다. 즉 제어부(140)는 문자 입력 절차를 종료하기 위한 요구가 발생할 때까지 이전의 과정(213 내지 219)을 반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문자가 대표문자인 경우를 설명한다. 그리고 도 11a 내지 도 11f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절차 수행 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로서,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문자 입력 모드가 영문 입력 모드인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이 때 도 11a 및 도 11b는 대표문자 표시 시 표시되는 화면들을 도시하고 있고, 도 11c 내지 도 11e는 대표문자 선택 시 표 시되는 화면들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1f는 표시문자 표시 시 표시되는 화면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문자 입력 요구 발생 시, 제어부(140)는 문자 입력 모드를 실행한다(511). 이 때 문자 입력 모드는 메시지 작성 기능, 메모 작성 기능 등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한 모드를 의미한다. 그리고 문자 입력 모드에서, 제어부(140)는 표시부(121)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문자들을 표시하는 문자 배열창(711)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문자들이 표시문자로 표시되는 문자 표시창(713)을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문자 표시창(713)의 일정 영역에 표시문자가 표시될 위치를 나타내는 커서(715)를 표시한다. 이 후 제어부(140)는 문자 배열창(711)에 대표문자를 표시한다(513).
도 8은 도 7에서 대표문자 표시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21)의 문자 배열창(711)에 대표문자를 배열한다(611). 이 때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20)의 기준선(BL)을 기준으로 문자 배열창(711)을 구분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모든 대문자를 문자 배열창(711)의 동일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기준선(BL)에 의해 구분되는 문자 배열창(711)의 각각의 영역에 일정 개수의 대표문자들을 할당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40)는 문자 표시창(713)에 표시문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613).
다음으로, 문자 입력 모드 수행 중,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표시창(713)에 표시문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대표문자들 중 표 시문자와의 조합 빈도수가 가장 많은 대표문자를 확대하여 표시한 다음(615), 도 7로 리턴한다. 예를 들면, 문자 표시창(713)의 표시문자가 'N'이면, 제어부(140)는 사전에 'N' 이후에 'N'과 조합되었던 대문자들 중 'N'과의 조합 빈도수가 가장 높은 문자를 추출한다. 이 때 특정 대표문자를 현재의 위치에서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문자 배열창(711)의 일정 영역으로 이동시킨 다음, 확대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때 추출된 대문자가 'I'이면, 제어부(140)는 'I'를 확대하여 표시한다.
한편 문자 표시창(713)에 표시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배열창(711)에 대표문자를 배열한 상태로 도 7로 리턴한다.
이어서, 제어부(140)는 문자 배열창(711)에 표시되는 대표문자를 선택한다(515). 이 때 제어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발생하는 터치 또는 드래그에 따라 특정 대표문자를 선택한다.
도 9는 도 7에서 대표문자 선택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문자 배열창(711)에 대표문자를 배열한 상태에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터치가 발생하면, 제어부(140)가 이를 감지하고(617), 터치 위치를 검출한다(619). 이 후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대표문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621).
이 때 대표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고, 터치 스크린(120) 상의 터치 위치로부터 드래그가 발생하면, 제어부(140)가 이를 감지하고(623), 드래그 경로를 추적한다(625). 그리고 제어부(140)는 드래그 경로 상에서 터치 위치를 검 출하여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의 터치 위치를 갱신한다(627). 또한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의 드래그의 방향을 감지한다(629). 즉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20)의 기준선(BL)을 기준으로 드래그의 방향이 문자 배열창(711)의 어느 영역을 향하는지를 확인한다. 이 후 제어부(140)는 드래그 방향에 해당하는 문자 배열창(711)의 일정 영역을 검출한다(631). 이 때 제어부(140)는 검출된 영역에 존재하는 대표문자를 선택 가능한 문자로 간주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갱신된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대표문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다시 판단한다(621).
다음으로,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발생된 초기의 터치 위치 또는 드래그 경로 상의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대표문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대표문자가 다수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633). 이 때 대표문자가 다수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대표문자들 각각의 표시 빈도수를 비교한다(635). 그리고 제어부(140)는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대표문자들 중 표시 빈도수가 가장 많은 대표문자를 선택한 다음(637), 도 7로 리턴한다. 즉 문자 배열창(711)에 확대된 대표문자가 존재하더라도,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다른 대표문자가 존재하면, 제어부(140)는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대표문자들 중 표시 빈도수가 보다 많은 대표문자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문자 배열창(711)에 'I'가 확대되어 표시되고,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C' 및 'D'가 존재하면, 제어부(140)는 'C'의 표시 빈도수 및 'D'의 표시 빈도수를 비교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D'보다 'C'의 표시 빈도수가 많은 것으로 판단되면, 'C'를 선택한다.
한편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대표문자가 존재하지 않으며, 터치 스크린(120) 상의 터치 위치로부터 드래그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140)는 현재 터치 위치에 다른 기능키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 다음,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639).
계속해서, 제어부(140)는 문자 배열창(711)에서 선택된 대표문자를 문자 표시창(713)에 표시문자로 표시한다(517). 이 때 제어부(140)는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드래그 경로 상에 존재하는 확대된 대표문자를 표시문자로 표시한다.
도 10은 도 7에서 표시문자 표시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대표문자를 확대하여 표시한다(641). 이 때 제어부(140)는 선택된 대표문자를 선택되기 전의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는 선택되지 않은 대표문자들을 축소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문자 배열창(711)의 적어도 일측부에 밀집시켜 표시할 수도 있다. 이 때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드래그가 발생하면, 제어부(140)가 이를 감지하고(643), 드래그 경로를 추적한다(645).
다음으로, 제어부(140)는 드래그 경로에 확대된 대표문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647). 이 때 확대된 대표문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도 1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대표문자를 문자 표시창(713)의 커서(715) 위치에 표시문자로 표시한다(649). 그리고 제어부(140)는 해당 대표문자의 조합 빈도수 및 표시 빈도수를 증가시킨 다음(651), 도 7로 리턴한다. 예를 들면, 문자 표시창(713)에 'N'이 표시되고, 문자 배열창(711)에서 터치 위치에 확대된 'I'가 존재하면, 제어부(140)는 문자 표시창(713)의 'N' 이후에 'I'를 조합하여 표시하고, 'I'의 'N'과의 조합 빈도수 및 표시 빈도수를 증가시킨다.
한편 확대된 대표문자를 표시한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드래그 발생 시, 드래그 경로 상에 확대된 대표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다른 대표문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653). 이 대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발생된 드래그 경로 상의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대표문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이전의 과정(도 9의 633 내지 도 10의 647 및 653)을 재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드래그 경로 상에 확대된 대표문자가 존재할 때까지 이를 반복할 수 있다.
한편 터치 스크린(120) 상에서 발생된 드래그 경로 상에 확대된 대표문자가 존재하지 않고,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다른 대표문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이전의 과정(641 내지 647 및 653)을 재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자 입력 절차를 종료하기 위한 요구가 발생하면, 제어부(140)가 이를 감지하고(519), 문자 입력 절차를 종료한다. 즉 제어부(140)는 문자 입력 절차를 종료하기 위한 요구가 발생할 때까지 이전의 과정(513 내지 519)을 반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은, 터치 스크린 상에 배열되는 문자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터치 또는 드래그가 발생하면, 해당 문자를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터치 스크린 상에서 드롭을 행하지 않고 드래그가 계속해서 발생하면, 드래그 경로의 확대된 문자를 표시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이러한 과정은 터치 스크린 상에서 한 차례의 터치 및 드래그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하여 문자 입력 모드에서 휴대 단말기 사용자의 입력 횟수 및 입력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문자 입력 모드에서, 선택 가능한 문자들을 표시하기 위한 문자 배열창 및 상기 문자들 중 어느 하나 선택 시, 상기 선택된 문자를 표시문자로 표시하기 위한 문자 표시창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 모드 실행 시, 문자 배열창에 문자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배열창에서 터치 발생 시, 상기 문자들 중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의 문자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상기 확대된 문자 상으로 드래그 발생 시, 상기 확대된 문자를 문자 표시창에 입력하여 표시문자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확대 표시 과정은,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드래그 발생 시, 상기 드래그 경로 상에서 터치 위치를 갱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은 상기 문자 배열창을 다수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기준선을 포함하며,
    상기 문자 확대 표시 과정은,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드래그 발생 시, 상기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드래그의 방향에 해당하는 상기 문자 배열창의 일정 영역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일정 영역에서 상기 드래그 경로 상의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문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4. 문자 입력 모드에서, 선택 가능한 문자들을 표시하기 위한 문자 배열창 및 상기 문자들 중 어느 하나 선택 시, 상기 선택된 문자를 표시문자로 표시하기 위한 문자 표시창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 모드 실행 시, 문자 배열창에 문자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배열창에서 터치 발생 시, 상기 문자들 중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의 문자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상기 확대된 문자 상으로 드래그 발생 시, 상기 확대된 문자를 문자 표시창에 입력하여 표시문자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문자 확대 표시 과정은,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의 문자가 다수개이면, 상기 다수개의 문자 중 표시 빈도수가 최다인 문자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문자 표시 과정은,
    상기 표시문자의 표시 빈도수를 증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들 표시 과정은,
    상기 문자 표시창에 표시문자가 존재하면, 상기 표시문자와의 조합 빈도수가 최다인 문자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문자 표시 과정은,
    상기 표시문자의 조합 빈도수를 증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8. 문자 입력 모드에서, 선택 가능한 문자들을 표시하기 위한 문자 배열창 및 상기 문자들 중 어느 하나 선택 시, 상기 선택된 문자를 표시문자로 표시하기 위한 문자 표시창을 표시하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 모드 실행 시, 문자 배열창에 문자들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배열창에서 터치 발생 시, 상기 문자들 중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적어도 둘의 문자가 할당된 문자 그룹의 대표문자가 존재하면, 상기 대표문자가 해당하는 문자 그룹의 문자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위치로부터 상기 확대된 문자 상으로 드래그 발생 시, 상기 확대된 문자를 문자 표시창에 입력하여 표시문자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들 표시 과정은,
    상기 문자 표시창에 음절 형태의 표시문자가 존재하면, 상기 표시문자와의 조합 빈도수가 최다인 음절 형태의 문자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문자를 상기 추출된 문자의 초성이 할당된 문자 그룹에 추가하여 할당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문자 표시 과정은,
    상기 표시문자의 조합 빈도수를 증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20070034624A 2007-04-09 2007-04-09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883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624A KR100883116B1 (ko) 2007-04-09 2007-04-09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624A KR100883116B1 (ko) 2007-04-09 2007-04-09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594A KR20080091594A (ko) 2008-10-14
KR100883116B1 true KR100883116B1 (ko) 2009-02-11

Family

ID=4015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624A KR100883116B1 (ko) 2007-04-09 2007-04-09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31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639A (ko) * 1999-10-01 2001-05-07 윤종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639A (ko) * 1999-10-01 2001-05-07 윤종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1594A (ko) 2008-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8444A2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KR101085662B1 (ko)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EP2372517A2 (en) Touch scre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put of touch screen apparatus
USRE45694E1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input mode in terminal having touch screen
KR20110014891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US20120162086A1 (en) Character input method and apparatus of terminal
KR20160009054A (ko) 연속적인 제스쳐 입력을 위한 복수의 그래픽 키보드들
JP2009205303A (ja) 入力方法および入力装置
US20130050098A1 (en) User input of diacritical characters
KR100852401B1 (ko)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CN102713797B (zh) 使用触摸屏输入韩文字符的方法
KR100651396B1 (ko) 문자 인식 장치 및 방법
JP5881831B2 (ja) 携帯端末における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KR100904383B1 (ko) 한글문자 입력방법 및 이의 입력장치
KR100883116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120074175A (ko)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10173573A1 (en) Method for inputting a character in a portable terminal
US9804777B1 (en) Gesture-based text selection
US10048771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chinese language input to a touch screen
KR100650124B1 (ko) 소프트 키패드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12196A (ko) 한글문자 입력방법 및 이의 입력장치
KR20120029562A (ko)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KR101075642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그 방법 및 터치스크린입력수단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스템
KR101399150B1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150088974A (ko) 키 사용 빈도에 따라 인식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을 적용한 qwerty 키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