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004B1 - Method to make sub information to categorize electrocardiogram - Google Patents

Method to make sub information to categorize electrocardi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004B1
KR100880004B1 KR1020070030896A KR20070030896A KR100880004B1 KR 100880004 B1 KR100880004 B1 KR 100880004B1 KR 1020070030896 A KR1020070030896 A KR 1020070030896A KR 20070030896 A KR20070030896 A KR 20070030896A KR 100880004 B1 KR100880004 B1 KR 100880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wave
electrocardiogram
slope
ec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08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88226A (en
Inventor
유기호
정구영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3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004B1/en
Publication of KR2008008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82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0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61B5/349Detecting specific parameters of the electrocardiograph cycle
    • A61B5/364Detecting abnormal ECG interval, e.g. extrasystoles, ectopic heartb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46Analysis of electrocardiograms
    • A61B5/349Detecting specific parameters of the electrocardiograph cycle
    • A61B5/366Detecting abnormal QRS complex, e.g. wide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전도 신호의 분석을 통하여 기존에 환자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심전도 판독자에게 제시하여 주지 못했던 심전도 형상에 의한 분류정보를 제공하여 판독자가 이른 시간 내에 정확하게 심전도 측정 결과를 판독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는 보조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심전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심전도의 두 지점 이상을 특징점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특징점 간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기울기를 미리 분류된 두 개 이상의 표준 심전도의 특징점 간의 기울기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기울기가 상기 미리 분류된 두 개 이상의 표준 심전도의 특징점 간의 기울기 중 어느 것에 가까운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lass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ECG shapes that have not been presented to ECG readers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a patient has abnormalities through analysis of ECG signals, thereby helping the reader to accurately read ECG measurement results in an early time. A method for providing an auxiliary information, comprising: measuring an electrocardiogram, selecting at least two points of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as a feature point, calculating a slope between the selected feature points, and pre-classifying the calculated slope And comparing the slope between the feature points of two or more standard ECGs, and determining which of the calculated slopes is close to the slope between the feature points of the two or more standard ECGs.

심전도, 문턱값, R파, J포인트, ST-세그먼트(segment) ECG, Threshold, R Wave, J Point, ST-Segment

Description

심전도 판독을 위한 보조정보 제시방법{METHOD TO MAKE SUB INFORMATION TO CATEGORIZE ELECTROCARDIOGRAM}Auxiliary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for electrocardiogram reading {METHOD TO MAKE SUB INFORMATION TO CATEGORIZE ELECTROCARDIOGRAM}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정상 심전도.1 is a normal electrocardiogram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6개의 표준 심전도.2 is six standard electrocardiogra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특정위치 선정도.3 is a specific position selection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심전도 신호의 분석을 통하여 비정상적인 심전도 변화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심전도 형상을 분류하기 위하여 심전도의 레벨 변화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기존에 환자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심전도 판독자에게 제시하여 주지 못했던 심전도 형상에 의한 분류정보를 제공하여 판독자가 이른 시간 내에 다량의 심전도 측정 결과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 ECG changes by analyzing an ECG signal, and more specifically, to classify an ECG shape as well as information on the level change of ECG,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an existing patient has an abnormal EC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classification information by an ECG shape which has not been presented to a reader so that the reader can read a large amount of ECG measurement results in an early time.

현재까지 사용하는 심전도 분석은 수학적 변환을 통한 주파수 성분 관찰과 각종 방법에 의한 부정맥 검출, 특정 구간의 상승과 하강에 따른 특징을 관찰하는 것으로, 심전도의 특징점 추출을 통한 부정맥 검출과 특정 구간의 레벨 변화를 통한 허혈성 패턴 분류에 관련된 기술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The electrocardiogram analysis used to date is to observe the frequency component through mathematical transformation and to detect arrhythmia by various methods, and to observe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ise and fall of a specific section. The technology related to ischemic pattern classification is developed and spread.

그러나 실제 임상 심전도의 판독은 대부분 전문의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으며, 관련 보조정보 처리기술은 단순히 특정 영역의 레벨체크 목적 또는 재검토를 전제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현재의 심전도 판독은 전문의로 하여금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However, since the actual ECG reading is mostly performed by a specialist, and the related assistive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is used merely on the basis of the level checking purpose or review of a specific area, current ECG reading requires a lot of time for the specialist. Doing.

이러한 장시간을 요하는 문제점을 일부 감소시키기 위하여 레벨 변화를 측정하여 보조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보조정보는 각 파형의 레벨 비교를 기준으로 하여 정보를 추출하기 때문에 완벽한 분석이 불가능하다.In order to reduce some of the problems that require a long time, auxiliary information is provided by measuring a level change. However, since the auxiliary information is extracted based on the level comparison of each waveform, it is not possible to perform a complete analysis.

그 예로는 정상의 경우에 있어서도 피검자의 순간적인 상황에 따라 상기 레벨 변화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For example, even in the normal case, the level change may occur depending on the instantaneous situation of the subject.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레벨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전체적인 심전도의 파형을 비교 분석하여 의료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분류한 6가지의 표준군 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pe with the level change, a method of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waveforms of the entire electrocardiogram and identifying which of the six standard groups classified by combining the opinions of medical professionals is used. do.

본 발명은 심전도 신호의 분석을 통하여 심전도 형상을 분류하기 위하여 심전도의 레벨 변화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기존에 환자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심전도 판독자에게 제시하여 주지 못했던 심전도 형상에 따른 분류정보를 제공하고, 빠른 심전도 판독을 위해 심전도 측정 정보 중에서 이상치를 보이는 부분의 정보를 부각하여 제공함으로써 판독자가 빠른시간 내에 다량의 심전도 측정 결과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CG shape, which has not been presented to the ECG reader to determine the abnormality of the patient as well as the information on the ECG level change in order to classify the ECG shape through analysis of the ECG signal.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llowing a reader to read a large amount of ECG measurement results in a short time by providing information of an abnormal part of the ECG measurement information for fast ECG reading.

본 발명의 목적은 정상 영역을 제외하고 이상치를 표현하고 있는 심전도 결과만을 제시하여 심전도 판독자가 빠른 시간 내에 심전도 측정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에 제시하여 주지 못했던 심전도 형상 정보를 제시하여 더욱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sent ECG results expressing outliers, except in the normal region, to allow ECG readers to read ECG measurement information in a short time, and to present ECG shape information that has not been presented before. It is to provide auxiliary information to enable analysis.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심전도 분석을 위한 보조정보 제시방법은 심전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심전도의 두 지점 이상을 특징점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특징점 간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기울기를 미리 분류된 두 개 이상의 표준 심전도의 특징점 간의 기울기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기울기가 상기 미리 분류된 두 개 이상의 표준 심전도의 특징점 간의 기울기 중 어느 것에 가까운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auxiliary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for analyzing an electrocardi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easuring an electrocardiogram, selecting two or more points of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as a feature point, calculating a slope between the selected feature points, and calculating Comparing a predetermined slope with a slope between two or more pre-sorted standard ECG features, and determining which of the calculated slopes is close to a slope between the pre-sorted standard ECG features; It is characterized b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정상 심전도로서 가장 전형적인 심전도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심전도에서 최초로 보이는 작은 파형은 우심방, 좌심방이 차례로 탈분극할 때 기록되는 파형으로 여기에서 탈분극이라 함은 기본적으로 세포막의 구조에서부터 기인한다.1 shows the most typical electrocardiogram shape as a normal electrocardiogram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shown in the figure, the small waveform first seen in the electrocardiogram is a waveform recorded when the right atrium and the left atrium are depolarized in turn. As a result from the structure of the cell membrane.

일차적으로 세포막의 바깥쪽을 양(+)전하가 둘러싸고 있고 안쪽은 음(-)전하로 주로 차지하여 있는 상태로 세포막을 기준으로 양(+)전하와 음(-)전하가 대치하고 있는 상태인 분극상태(Polarized state)를 기본으로 하고, 상기 세포가 활동하게 되면 상기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양전하와 음전하가 순간적으로 뒤바뀌게 되어 안쪽은 양(+)전하가 지배하고 바깥쪽은 음(-)전하가 지배하는 상태로 되며 이 상태를 탈분극이라 하고, 다시 원상태로 환원하는 것을 재분극 (Repolar -ization)이라 하게 된다.First, the positive charge is surrounded by the outer side of the cell membrane, and the inner side is mainly occupied by the negative charge, and the positive and negative charges are replaced by the cell membrane. It is based on the polarized state, and when the cell is activated, the positive and negative charges are reversed momentarily with the cell membrane in between, so that the positive charge is inward and the negative charge is in the outside. Is dominated, and this state is called depolarization, and the reduction back to the original state is called repolarization.

따라서 정상적으로 탈분극과 재분극 과정이 반복되면 도 1에서와 같이 전형적인 심전도 형상을 심전계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if the depolarization and repolarization process is repeated normally, as shown in FIG. 1, a typical electrocardiogram shape may be measured using an electrocardiograph.

여기에서 심전도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심전도에서 최초로 보이는 작은 파형은 우심방, 좌심방이 차례로 탈분극할 때 기록되는 파형으로 P파라 하는데, P파의 첫 부분은 우심방의 탈분극을 나타내며, 뒷 부분은 좌심방의 탈분극을 나타낸다.Here, the components of the electrocardiogram show that the first small waveform seen in the electrocardiogram is the waveform recorded when the right atrium and the left atrium are depolarized in turn. The first part of the P wave represents the depolarization of the right atrium, and the rear part is the depolarization of the left atrium. Indicates.

심방의 흥분이 자극 전도계를 따라 심실에 도달하는 동안은 파형이 나오지 않으며, 심실중격, 좌.우심실이 차례로 탈분극 할 때 QRS군이 발생한다.While the excitation of the atria reaches the ventricles along the stimulation conduction system, no waveforms appear, and the QRS group occurs when the ventricular septum and the left and right ventricles depolarize in turn.

여기에서 Q파가 심실중격의 탈분극을 나타내며, 나머지 부분은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좌.우심실의 탈분극에 의해 나타난다. 좌심실이 우심실보다 크고 많은 근육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QRS군의 대부분은 좌심실의 탈분극을 나타낸다. 이 QRS군은 심전도에서 제일 크며, 심실흥분의 소멸과정(재분극과정)이 되면 비교적 크고 완만한 T파가 발생한다.Here, the Q wave represents the depolarization of the ventricular septum, and the remaining part is caused by the depolarization of the left and right ventricle which occur simultaneously. Since the left ventricle is larger than the right ventricle and has many muscles, most of the QRS group show depolarization of the left ventricle. This QRS group is the largest on the electrocardiogram and a relatively large and gentle T-wave occurs during the extinction process (repolarization).

QRS군의 끝 부분에서부터 시작하여 T파의 시작점을 ST-세그먼트(segment)라고 하며 QRS군과 ST-세그먼트(segment) 사이의 점을 J지점(J-point) 또는 접합부라고 하고, ST-세그먼트(segment)는 심실의 재분극의 초기부분을 나타낸다.Starting from the end of the QRS group, the starting point of the T wave is called the ST-segment, and the point between the QRS group and the ST-segment is called the J-point or junction, and the ST-segment ( segment) represents the initial part of the ventricular repolarization.

여기에서 기본적으로 심전도는 3개의 상향 파형(P파, R파, T파)와 2개의 하향 파형(Q파, S파)로 구성되고, T파에 이어서 대단히 작은 U파라 불리는 파형이 있으며 현재까지는 그 발생 원인이 불명료하고 꼭 나온다고는 할 수 없다.Basically, the electrocardiogram is composed of three upward waveforms (P wave, R wave, T wave) and two downward waveforms (Q wave, S wave), followed by the T wave, which is called a very small U wave. The cause of the occurrence is unclear and does not necessarily come out.

QRS간격은 Q파와 S파 사이의 간격을 말하며, PR 간격은 정상적으로 0.2초를 넘지 않으며, QRS군은 0.12초 이내, QT간격은 0.4초 정도이다.QRS interval refers to the interval between Q and S waves, PR interval is normally not more than 0.2 seconds, QRS group within 0.12 seconds, QT interval is about 0.4 seconds.

도 2는 본 발명에서의 6개의 표준 심전도로서 6개의 표준은 ST-세그먼트(segment)의 형상에 주목하여 기존에 표준 심전도와 비교하여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없는 이상치를 보이는 여러 종류의 심전도 결과를 미리 6개의 표준으로 정리하여 둔 것으로, 도 2에는 (a) 오목형(Concave), (b) 오르막형(Upsloping), (c) 수평형(Horizontal), (d) 내리막형(Downsloping), (e) 네거티브 T형(Negative T), (f) 볼록형(Convex)이 도시되어 있으며, 여러 환자의 심전도를 측정하여 이상을 보이는 심전도가 6개의 표준 중에서 어디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심전도 판독자에게 제시하여 더욱 정확한 환자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FIG. 2 illustrates six standard electrocardiogra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six standards focus on the shape of an ST-segment to preview various types of electrocardiogram results showing outliers that cannot be judged to be the same as conventional electrocardiograms. 6 is summarized in (a) Concave, (b) Upsloping, (c) Horizontal, (d) Downsloping, (e) ) Negative T and (f) Convex are shown, and ECG readers are presented with information on which of the six standards includes electrocardiograms that show abnormalities by measuring ECG of several patients. It will provide ancillary information that will allow accurate patient analysis.

6개의 표준을 살펴보면 전체적인 심전도의 특징을 하나의 형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표준은 정상적인 심전도보다는 이상 소견을 보이는 환자의 심전도를 각 특징에 따라 구분하여 둔 것이라 하겠다.Looking at the six standards, it is composed to distinguish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electrocardiogram into a single shape, and this standard is to distinguish the electrocardiogram of a patient who shows abnormalities rather than the normal electrocardiogram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기존에도 이러한 표준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레벨 변화를 통해 이상과 정상을 판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정상적인 심전도에서도 레벨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어서 실제로는 정상적인 심전도이지만 이상 심전도로 판독되어 판독자에게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있어서, 심전도 판독자는 불필요한 정보 판독을 위해 시간적 정신적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This standard has been used in the past, but since the abnormality and normality are read through the level change, the normal ECG may show the level change, and in fact, it is a normal ECG, but the abnormal ECG is read to provide the reader with the information. Therefore, the ECG reader would need to make time and mental effort to read unnecessary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특정위치 선정도로서 심전도를 측정한 후 심전도의 전체적인 형상을 기본정보로 정상 심전도와 비교하여 정상 심전도는 분석하지 않고 이상 심전도는 분석하여 상기 6개의 표준 심전도 군 중에서 어디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심전도 판독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심전도의 전체적인 형상을 인식하기 위한 기준점을 선정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최초의 기준은 R파를 기준으로 삼게 된다.3 is a specific position selec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measuring the electrocardiogram and compares the overall shape of the electrocardiogram with the normal electrocardiogram as the basic information without analyzing the normal electrocardiogram, where the electrocardiogram is included anywhere in the six standard electrocardiogram group In order to provide the ECG reader with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is displayed, a process of selecting a reference point for recognizing the overall shape of the ECG is shown. The first criterion is based on the R wave.

상기 R파는 심전도에서 항상 나타내는 파형으로 심전도 파형 중에서 가장 큰 값 중의 하나라고 하겠다.The R wave is a waveform that is always displayed in the electrocardiogram and is one of the largest values in the electrocardiogram waveform.

상기 R파와 다음 심전도의 R파 사이 약 이분의 일 정도 되는 지점 또는 인근 영역에서 T파를 검출하게 되는데, 상기 T파의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특징점의 제4지점이 된다.A T wave is detected at about a half point or a region between the R wave and the R wave of the next electrocardiogram, an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vertex of the T wave becomes the fourth point of the feature poi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후 상기 R파 이후에 나타나는 S파를 검출하여 S파 끝 부분에서 문턱값(Threshold) 이상의 기울기 변화가 생기는 지점을 J포인트로 선택하거나, R파 이후에 S파가 검출되지 않을 때는 R파 이후에 문턱값 이상의 기울기 변화가 생기는 지점을 J포인트로 선택하여 특징점의 제1지점으로 삼고, 상기 J포인트(제1지점)와 T파 사이의 이분의 일 되는 지점 부근에서 기울기가 영인 지점을 선택하여 제3지점으로 선택하게 되며 만약 기울기가 영인지점이 없는 경우 상기 J 포인트와 T파 사이의 이분의 일 되는 지점을 제3지점으로 선택하게 된다.Thereafter, the S wave that appears after the R wave is detected, and a point at which the slope change occurs over the threshold (Threshold) is selected as the J point, or after the R wave when the S wave is not detected after the R wave. Select the point where the change of the slope more than the threshold value as the J point to be the first point of the feature point, and select the point where the slope is zero near the half point between the J point (the first point) and the T wave. If the inclination has no zero point, the second point between the J point and the T wave is selected as the third point.

또한 상기 J 포인트와 상기에서 검출된 제3지점의 이분의 일 되는 지점을 선택하여 제2지점으로 활용하여 각 특징점의 기울기를 포지티브와 네거티브 방식으로 표현하여 전체적인 심전도의 형상을 표현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alf point of the J point and the third point detected above is selected and used as the second point to express the slope of each feature point in a positive and negative manner to express the overall shape of the ECG.

이와 같이 각 포인트를 선정하는 이유 또는 원인을 살펴보면, 제1지점(J-point)로 S파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며, J-point는 ST 세그먼트(ST segment)의 레벨을 검출하는 기본이 되는 지점이고, 제4지점으로 T파가 포지티브인지 네거티브인지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가 있는데 네거티브이면 제4지점의 기울기는 마이너스이고 포지티브이면 제4지점의 기울기는 플러스가 되며, 제3지점으로 T파의 전반부 형태를 추측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같은 포지티브 T 라고 하더라도 제3지점의 기울기가 영이면 아래로 하강한 후 상승하는 포지티브 T의 형태고, 제3지점의 기울기가 플러스이면 별다른 형태변화 없이 그냥 포지티브 T가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or cause of selecting each point can be determined by the presence of the S wave at the first point (J-point), and the J-point is the basis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ST segment. It is a point, and it is important to know whether the T wave is positive or negative as the fourth point. If negative, the slope of the fourth point is negative, and if it is positive, the slope of the fourth point is positive, and the third point is T. For example, the first half of the wave can be inferred. For example, even if the same positive T is inclined at the third point, if it is zero, the positive T falls down and then rises. It just becomes positive T.

또한 제2지점은 J포인트 이후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반적으로 S파와 T파 사이에서 제4지점을 제외하고는 전반부에 세 개의 특징점이 집중되어 있다는 것은 그만큼 S파와 T파 전반부 사이에 형성되는 형태가 중요함을 의미한다 하겠다.In addition, the second point represents the change after the J point, and in general, the three feature points are concentrated in the first half except for the fourth point between the S and T waves. Means important.

전체적으로 본 발명은 심전도 판독을 위한 보조정보 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심전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심전도의 두 지점 이상을 특징점으로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특징점 간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기울기를 미리 분류된 두 개 이상의 표준 심전도의 특징점 간의 기울기와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계산된 기울기가 상기 미리 분류된 두 개 이상의 표준 심전도의 특징점 간의 기울기 중 어느 것에 가까운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측정된 심전도의 두 지점 이상의 특징점은, R파의 꼭짓점인 기준점과, 상기 R파의 꼭짓점과 다음 R파의 꼭짓점의 사이의 1/2 지점, 또는 R파와 다음 R파 사이에 있는 T파의 꼭짓점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제4지점, 상기 R파 이후에 나타나는 S파를 검출하여 S파에서 문턱값 이상의 기울기 변화가 생기는 지점, 또는 R파 이후에 S파가 검출되지 않을 때는 R파 이후에 문턱값 이상의 기울기 변화가 생기는 지점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제1지점, 상기 제1지점과 T파 사이 중 기울기가 영인 지점, 또는 기울기가 영인 지점이 없을 경우 제1지점과 T파 사이의 1/2 지점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제3지점, 상기 제1지점과 제3지점 사이의 1/2 지점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제2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gener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esenting auxiliary information for reading an electrocardiogram, the method comprising: measuring an electrocardiogram, selecting two or more points of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as a feature point, calculating a slope between the selected feature points, Comparing the calculated slope with a slope between two or more pre-sorted standard ECG features; and determining which of the calculated slopes is close to a slope between the pre-classified two or more standard ECG features. The at least two feature points of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may include a reference point which is a vertex of an R wave, a half point between a vertex of the R wave and a vertex of the next R wave, or an R wave and a next R wave. The fourth point formed by selecting the vertex of the T wave in between, the S wave appearing after the R wave is detected and Among the first point, the point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T wave, which is selected by selecting a point where the slope change of the threshold value or more occurs, or a point where the slope change of the threshold value or more occurs after the R wave when the S wave is not detected after the R wave. A third point made by selecting a half point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T-wave, and a half point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third point by selecting a point having zero slope or a point having zero slop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oint mad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정상 영역을 제외하고 이상치를 표현하고 있는 심전도 결과만을 제시하여 심전도 판독자가 빠른 시간 내에 심전도 측정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에 제시하여 주지 못했던 심전도 형상 정보를 제시하여 더욱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도록 보조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only the electrocardiogram results expressing the outliers except for the normal region so that the electrocardiogram reader can read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information in a short time, and present the electrocardiogram shape information which has not been presented before. It is effective to provide supplementary information to enable more accurate analysis.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one skilled in the art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laims (4)

심전도를 측정하는 단계와;Measuring an electrocardiogram; 측정된 심전도의 두 지점 이상을 특징점으로 선택하는 단계와;Selecting at least two points of the measured ECG as feature points; 상기 선택된 특징점 간의 기울기를 계산하는 단계와;Calculating a slope between the selected feature points; 상기 계산된 기울기를 미리 분류된 두 개 이상의 표준 심전도의 특징점 간의 기울기와 비교하는 단계와;Comparing the calculated slope with a slope between feature points of at least two standard ECGs previously classified; 상기 계산된 기울기가 상기 미리 분류된 두 개 이상의 표준 심전도의 특징점 간의 기울기 중 어느 것에 가까운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판독을 위한 보조정보 제시방법.And determining which of the calculated slopes is close to a slope between feature points of the two or more standard ECGs pre-so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심전도의 두 지점 이상의 특징점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t least two feature points of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are R파의 꼭짓점인 기준점과;A reference point that is a vertex of the R wave; 상기 R파의 꼭짓점과 다음 R파의 꼭짓점의 사이의 1/2 지점, 또는 R파와 다음 R파 사이에 있는 T파의 꼭짓점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제4지점;A fourth point formed by selecting a half point between the vertex of the R wave and the vertex of the next R wave, or a vertex of the T wave between the R wave and the next R wave; 상기 R파 이후에 나타나는 S파를 검출하여 S파에서 문턱값 이상의 기울기 변화가 생기는 지점, 또는 R파 이후에 S파가 검출되지 않을 때는 R파 이후에 문턱값 이상의 기울기 변화가 생기는 지점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제1지점;Detects the S wave appearing after the R wave and selects a point at which the slope chang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in the S wave, or a point at which the slope chang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after the R wave when the S wave is not detected after the R wave. A first point formed; 상기 제1지점과 T파 사이 중 기울기가 영인 지점, 또는 기울기가 영인 지점이 없을 경우 제1지점과 T파 사이의 1/2 지점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제3지점;A third point made by selecting a half point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T wave when there is no point having zero slope or zero point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T wave; 상기 제1지점과 제3지점 사이의 1/2 지점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제2지점;A second point selected by selecting a half point between the first point and the third poin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판독을 위한 보조정보 제시방법.The auxiliary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for electrocardiogram rea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분류된 두 개 이상의 표준 심전도는 오목형(Concave), 오르막형(Upsloping), 수평형(Horizontal), 내리막형(Downsloping), 네거티브 T형(Negative T) 및 볼록형(Convex)의 6개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판독을 위한 보조정보 제시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wo or more pre-sorted standard electrocardiograms are concave, upsloping, horizontal, downsloping, negative T and convex ( A method for presenting auxiliary information for electrocardiogram rea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lassified into six of Convex). 삭제delete
KR1020070030896A 2007-03-29 2007-03-29 Method to make sub information to categorize electrocardiogram KR1008800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896A KR100880004B1 (en) 2007-03-29 2007-03-29 Method to make sub information to categorize electrocardiogr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0896A KR100880004B1 (en) 2007-03-29 2007-03-29 Method to make sub information to categorize electrocardiogr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226A KR20080088226A (en) 2008-10-02
KR100880004B1 true KR100880004B1 (en) 2009-01-22

Family

ID=4015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0896A KR100880004B1 (en) 2007-03-29 2007-03-29 Method to make sub information to categorize electrocardiogr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00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290A (en) 2016-12-21 2018-06-29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Method for generating electrocardiogram for identifying a person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person using the electrocardiogra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0075A (en) * 1987-07-13 1990-05-29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Technique to evaluate myocardial ischemia from ECG parameters
JP2002306437A (en) * 2001-04-10 2002-10-22 Fukuda Denshi Co Ltd Electrocardiogram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3175008A (en) * 2001-10-05 2003-06-24 Ge Medical Systems Informati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t-wave alternans by alignment of alternating median beats to cubic spline
KR20030069586A (en) * 2002-02-22 2003-08-27 유기호 Method of ECG Analysis using Polynomial Approxim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0075A (en) * 1987-07-13 1990-05-29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Technique to evaluate myocardial ischemia from ECG parameters
JP2002306437A (en) * 2001-04-10 2002-10-22 Fukuda Denshi Co Ltd Electrocardiogram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3175008A (en) * 2001-10-05 2003-06-24 Ge Medical Systems Informati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t-wave alternans by alignment of alternating median beats to cubic spline
KR20030069586A (en) * 2002-02-22 2003-08-27 유기호 Method of ECG Analysis using Polynomial Approxi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8226A (en) 200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2545B (en) Electrocardiogram data analysis method and system for rapid diagnosis
US9314177B2 (e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abnormal movement of a physical object
Agostinelli et al. Noninvasive fetal electrocardiography Part I: Pan-tompkins' algorithm adaptation to fetal R-peak identification
US875587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trial fibrillation detection
EP3277176B1 (en) Automatic detection/classification of ecg cable interchange for different ecg lead systems
JP2016530019A (en) Extraction of fetal heart rate from maternal abdominal ECG records
US11331034B2 (en) Automatic method to delineate or categorize an electrocardiogram
Enseleit et al. Long-term continuous external electrocardiographic recording: a review
CN110522442B (en) Multi-lead electrocardiographic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7229771B2 (en) Electrocardiogram display method and electrocardiogram analyzer
US7477936B2 (en) System and a method for analyzing ECG curvature
US10285612B2 (en) User feedback to controls ischemia monitoring ECG algorithm
US5794624A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fast determination of EKG waveform morphology
JP2018094172A (en) State estimation device, method, and program
Haeberlin et al. Software-based detection of atrial fibrillation in long-term ECGs
WO2018101413A1 (en)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display method and electrocardiogram analysis device
CN113786200B (en) Electrocardiosignal processing method, electrocardiosignal processing device, electrocardiosignal processing equipment and readable medium
US201800554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cg based cardiac ischemia detection
JPH0366358A (en) Biosignal measuring instrument
JP2020517337A (en) Artifact resistance pulse variability measurement
KR100880004B1 (en) Method to make sub information to categorize electrocardiogram
Fortune et al. Digitizing ECG image: new fully automated method and open-source software code
Firoozabadi et al. Modeling and classification of the ST segment morphology for enhanced detection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CN115770054A (en) Electrocardiosignal processing method, portable electrocardiosignal acquisi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7152268B2 (en) BIOLOGICAL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