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804B1 -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804B1
KR100878804B1 KR1020020016503A KR20020016503A KR100878804B1 KR 100878804 B1 KR100878804 B1 KR 100878804B1 KR 1020020016503 A KR1020020016503 A KR 1020020016503A KR 20020016503 A KR20020016503 A KR 20020016503A KR 100878804 B1 KR100878804 B1 KR 100878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tv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7681A (ko
Inventor
김재갑
김창수
조동현
강문수
백이현
홍성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6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804B1/ko
Publication of KR20030077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7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TV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TV의 시청 중과 같이 해당 고객이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행되는 각종 작업 진행 상태 즉, 전화가 걸려 왔거나 혹은, 전자 메일 및 단문 메시지의 수신이 이루어졌을 경우 그 상태를 해당 고객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각 고객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데이터 통신 세션 연결 요청을 수신받아 세션 연결을 수행하는 DTV의 제1운영 단계; 상기 연결된 세션을 통해 해당 고객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각종 데이터 혹은, 전화 수신 여부에 따른 각종 정보를 수신받는 DTV의 제2운영 단계; 상기 수신된 각종 정보를 분류하여 해당 분류별로 설정된 통보 방법을 이용하여 해당 고객에게 통보하는 DTV의 제3운영 단계:가 포함되어 운영됨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을 제시한다.
이동 통신 단말기, DTV, 정보 제공 서비스

Description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for DTV and method thereof}
도 1 은 본 발명의 DTV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상태의 제1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DTV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DTV의 운영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3 은 본 발명의 DTV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4 는 도 1의 구성에 따른 DTV의 운영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 는 본 발명의 DTV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 DTV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의 제2실시예에 따른 DTV의 운영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
도 7 은 본 발명 DTV를 이용한 서비스 시스템의 제3실시예에 따른 DTV의 운영 과정을 간략히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고객의 이동 통신 단말기 120.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
200. DTV 220.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
310. 웹서버 320. 데이터 베이스 서버
본 발명은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TV의 시청 중과 같이 해당 고객이 자신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행되는 각종 작업 진행 상태 즉, 전화가 걸려 왔거나 혹은, 전자 메일 및 단문 메시지의 수신이 이루어졌을 경우 그 상태를 해당 고객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각 고객은 인터넷 망에서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인 정보 검색, 음악 감상 등을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메모리 기술 역시 급격한 발전을 이룸으로써 비록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체적인 크기가 작다 하더라도 일정 크기의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이메일의 송수신 등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의 이용까지도 가능하게 되었으며, 앞으로도 많은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는 시간적/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에 의해 보다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전술한 각종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화면이 작음에 따라 고화질의 서비스나 다수 글자로 이루어진 내용의 파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없었던 단점을 항상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가지는 고객이 해당 가정 내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TV를 시청하고 있을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전화가 걸려왔을 경우(특히, 시급을 요하는 전화가 걸려왔을 경우) 그 벨소리나 진동 소리를 듣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메일이나 메시지의 수신시 그 확인을 실시간적으로 할 수 없었던 경우가 많아 고객 불만을 유발하게 된 원인이 되었다.
또한, 현재의 통상적인 가정에는 실내에서 외부 방문자의 방문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인터폰이 각각 구비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고객이 TV 시청과 같은 여타의 일을 하고 있을 경우 상기 인터폰이 위치된 곳으로 가서 상기 인터폰을 통해 방문자의 확인 및 통화를 수행하여야만 하였던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일반 가정의 TV와 각 개인용 컴퓨터의 기능을 통합한 인터넷 TV 즉, 디지털 TV(DTV;Digital TV)의 개발로 인해 별도의 개인적인 컴퓨터가 없이도 상기 DTV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각종 서비스(예컨대, 정보 검색, 이메일, 파일 전송 등)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DTV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공중파에서 제공되는 방송과 더불어 데이터 방송망을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할 뿐 아니라, 이 수신받은 데이터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여 서비스함이 가능하며, 특히, 대형 화면과 고화질 및 고음 질 등의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컨텐츠의 부재로 인해 널리 활성화되지는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그 기능 역시 극히 제한적이라 일반적인 고객의 외면을 받고 있는 실정에 있다.
이로 인해, 상기한 DTV를 이용한 각종 서비스의 제공 및 다양한 서비스의 개발이 시급히 필요시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TV의 시청 중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화가 걸려 왔거나 혹은, 전자 메일의 수신이 이루어졌을 경우 그 상태를 해당 고객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DTV의 시청 도중 해당 고객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수신되는 단문 메시지의 내용을 상기 DTV의 소정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제1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1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와 대응 설치되어 상기 제1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와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연결되는 제2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와, 상기 제2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종 데이터 및 단문 메시지 수신 내역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및 메일 수신 여부를 출력하는 통보부를 구비하는 DTV와, 상기 DTV로부터 요청된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계를 통해 전달받음에 따라 해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온라인상의 웹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세션을 연결하는 DTV의 제1운영 단계와, 상기 연결된 세션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종 데이터 및 단문 메시지 수신 내역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및 메일의 수신 여부를 포함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종 작업 수행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DTV의 제2운영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를 분류한 후에 해당 분류별로 설정된 통보 방법을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DTV의 제3운영 단계와, 상기 출력된 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의 제공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요청하는 상기 DTV의 제4운영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세 정보의 제공을 위한 상기 요청 내역을 전달받은 웹서버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상세 정보를 취득하는 상기 웹서버의 제1운영 단계와, 상기 취득한 상세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웹서버의 제2운영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써 해당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상세 정보를 더 출력하는 상기 DTV의 제5운영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또한 특징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 및 방법에 따른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시한 도 1은 DTV 및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본 발명의 노래방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은 각 고객이 가지며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상기 각 고객의 가정이나 여타의 시청 가능한 곳에 위치된 상태로써 일반적인 데이터 방송의 시청이 가능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세션 연결된 상태로써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한 특정 작업의 발생시 이의 내역을 해당 고객에게 통보하는 디지털 티브이(DTV;Digital TeleVision)(2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에서 고객이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120)가 장착되어 여타의 동종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가 장착된 기기와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접속하여 고객이 설정한 각종 정보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PDA나 휴대폰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120)라 함은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제안되고 있는 블루투스(BlueTooth)나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를 통해 제시된 적외선 데이터 통신 기술을 위한 장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반드시 이들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DTV(20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의 데이터 통신 연결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220)가 대응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수신된 각종 데이터 및 단문 메시지의 내역을 그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아 해당 고객에게 통보함과 더불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걸려온 전화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고객에게 통보하는 통보부(210)를 가진다.
이 때, 상기 통보부(210)는 통보 대상 내용에 대한 소리 신호의 출력을 수행하는 소리 출력부(212)와, 통보 대상 내용에 대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부(21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DTV(200)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220) 역시 고객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신기(120)와 대응하여 동작하는 블루투스(BlueTooth) 혹은, IrDA 장치로써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DTV를 통해 해당 고객에게 제공되는 각종 정보 중 특정 정보에 대한 상세 내용을 해당 고객이 원할 경우 그의 제공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온라인 상에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축한 웹서버(310) 및 각종 정보의 저장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 서버(320)를 추가로 제시한다.
이 때, 상기 웹서버(310)는 DTV(200)를 통해 고객이 선택한 요청 정보를 상기 고객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중계받아 검색하고, 이 검색된 각 요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중계를 통해 해당 DTV(200)로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운영한다.
이와 함께, 상기 데이터 베이스 서버(320)는 상기 웹서버(310)와 연동되면서 동작되고, 각종 제공 정보에 대한 상세 내용을 그 분류별로 각각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의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 1 내지 도 7의 구성도 및 순서도를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DTV(200)는 각 고객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세션 연결 요청을 지속적으로 수신 받는다.
이 과정에서 특정 고객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모드로 변경하게 되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120)를 통해 DTV(200)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220)로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세션 연결을 요청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한 모드로의 변경은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상기한 본 발명을 위한 모드를 추가한 상태에서 해당 고객의 선택에 의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에 의한 세션 연결 요청이 발생될 경우 상기 DTV(200)는 상기한 세션 요청 연결에 응답하여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세션을 연결한다.
하지만, 반드시 상기한 서비스 제공 요청을 위한 모드로의 변경을 수행하여야만 본 발명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DTV(200)가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220)를 통해 소정 범위(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에 의한 동작 가능 범위) 내에 각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120)가 위치 되었음이 확인될 경우 자동적인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세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소정 시간(예컨대, 벨이 울린 시간 및 메시지의 수신이 이루어진 시간으로부터 10초 이내)동안 고객에 의한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확인이 없을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근거리에 위치되어 있는 해당 DTV(200)에 세션 연결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각 예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통한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120)(220)간 세션 연결이 이루어지면 DTV(200)는 상기 연결된 세션을 통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각종 작업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특정한 작업의 수행이 발생될 경우 DTV(200)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통신 연결된 세션을 통해 상기 발생된 작업 수행 내역 혹은, 작업 수행에 관한 정보를 수신받아 이를 해당 고객에게 통보하게 된다.
이의 과정을 각 실시예별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1실시예: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단문 메시지의 수신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 데이터를 해당 DTV(200)로 데이터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과정에 의해 단문 메시지 데이터를 수신받은 DTV(200)는 해당 데이터를 디코딩(decording)하고, 이 디코딩된 단문 메시지 내용을 그 화면 중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만일, 상기에서 단문 메시지 내용이 해당 고객에 의해 설정된 실시간적으로 제공되는 각종 정보 서비스(예컨대, 실시간 증권 시세, 날씨, 뉴스 속보 등) 중 어느 하나일 경우 그 내용을 통상의 증권 시세 표시기와 같은 티커 바(ticker-bar)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티커 바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정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상세 정보를 해당 고객이 요청할 경우 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도록 함을 추가로 제시한다.
이는, 해당 고객이 DTV(200)를 통해 상기 티커 바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되 는 정보 중의 어느 한 내역을 선택하였을 경우 DTV는 이 선택을 상세 정보 제공을 위한 요청이라 인식함과 더불어 그 정보 요청 내역을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전달한다.
이와 함께,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해당 정보를 취급하는 웹서버(310)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전달받은 정보 요청 내역을 상기 웹서버(310)로 전달한다.
이 때, 상기 웹서버(31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정보 요청 내역을 특정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을 경우 데이터 베이스 서버(320)를 검색하여 해당 내역에 대한 상세 정보 데이터를 취득한 후 다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상기의 과정에서 데이터 베이스 서버(320)는 고객이 설정한 내역에 대한 정보를 각 웹사이트나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업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지속적으로 취득하여 저장함으로써 웹서버(310)로부터의 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이 실시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정보 요청 내역에 대한 상세 정보 데이터를 전송받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다시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120)를 통해 DTV(200)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220)로 해당 데이터를 송신하게 되고, 상기 DTV(200)에서는 상기 수신받은 데이터를 디코딩함과 더불어 이 디코딩된 내용을 이미지 디스플레이부(211)를 통해 해당 화면의 디스플레이 영역 즉, 티커 바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제2실시예: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해당 고객이 설정한 계정으로의 메일 수신 발생에 따른 확인 정보의 수신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해당 정보 데이터를 DTV(200)로 데이터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과정에 의한 정보 데이터를 수신받은 DTV(200)는 해당 데이터를 디코딩(decording)하여 해당 메일의 수신 여부를 인지할 수 있는 메시지로 변경하고, 이 변경한 메시지 내용을 이미지 디스플레이부(211)를 통해 그 화면 중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상기 메시지로의 변경은 상기 DTV(200) 상에 “00계정으로 새로운 메일이 도착하였습니다”라는 메시지를 미리 등록한 상태에서 메일 수신 발생에 따른 데이터의 수신이 이루어졌음을 판독하게 될 경우 상기 등록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에 따라 구체적인 한정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메일 수신 발생에 따른 통보 방법을 단순히 메시지로만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정하지는 않으며, 음성이나 멜로디 등과 같은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소리의 출력을 통해서도 통보할 수 있도록 함을 추가로 제시한다.
예컨대, “00계정으로 새로운 메일이 도착하였습니다”라는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소리 출력부(212)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의 음성 신호 변환은 해당 작업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달성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에서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소리를 출력할 경우 DTV(200)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여타의 소리 신호 즉, 각종 방송의 소리 신호는 상기 출력하고자 하는 소리 신호에 비해 작게 하거나 혹은, 일시적으로 출력 중지하도록 설정함으로써 해당 고객이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메일의 수신 여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3실시예:
해당 고객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전화가 왔을 경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해당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DTV로 데이터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과정에 의한 데이터를 수신받은 DTV(200)는 해당 데이터를 디코딩(decording)하여 특정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전화가 왔음을 해당 고객이 인지할 수 있는 메시지로 변경하고, 이 변경한 메시지 내용을 이미지 디스플레이부(211)를 통해 그 화면 중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상기 메시지로의 변경은 기 전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함으로써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때에도 역시 전화의 수신 발생에 따른 통보 방법을 단순히 메시지로만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정하지는 않으며, 음성이나 멜로디 등과 같은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소리의 출력을 통해서도 통보할 수 있도록 함을 제시한다.
물론, 상기에서 청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소리를 출력할 경우 DTV(200)를 통해 출력되고 있는 여타의 소리 신호 즉, 각종 방송의 소리 신호는 상기 출력 하고자 하는 소리 신호에 비해 작게 하거나 혹은, 일시적으로 출력 중지하도록 설정함으로써 해당 고객이 전화가 왔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3실시예와 같은 서비스 제공은 단순히 특정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화의 수신이 이루어졌을 경우에만 수행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해당 고객이 이루는 가정에 다수의 구성원이 존재하고, 이 구성원 중 상기 고객을 제외한 최소 한명 이상이 또 다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소유하고 있을 수도 있음을 고려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특정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화가 왔을 경우 단순히 전화가 왔다는 사실만 통보하게 될 경우 누구의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화가 왔는지를 알 수 없어 혼란을 유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특정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화가 왔을 경우 상기 전화가 왔다는 신호만을 DTV(200)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화번호 혹은, 소유자명을 함께 전송하여 DTV(2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함을 추가로 제시하며, 그 과정을 위한 구현 방법에 따른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기 전술한 각 과정(메시지나 메일 혹은, 전화의 수신시 DTV에 디스플레이하는 일련의 방법)을 근거하여 쉽게 실현 가능함으로써 생략한다.
물론, 상기 과정에서 DTV에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에는 전화가 왔다는 사실과,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나 소유자명과 더불어 발신자명 혹은, 발신 전화번호도 함께 디스플레이함이 보다 바람직하며, 이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발신자 추적 서비스를 통해 수신받는 해당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DTV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만일, 상기한 수신 전화가 해당 가정의 구성원 모두에게 청취 가능하도록 하고자할 경우에는 해당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발신자의 통신로를 연결시키고, 그 통신로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신호를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120)를 통해 DTV(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DTV(200)의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220)를 통해 수신된 음성 신호를 상기 DTV의 소리 출력부(212)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해당 고객의 이동 통신 단말기가 화상 통신이 가능할 경우에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00)로 수신되는 화상 이미지 데이터를 DTV(200)로 전달하고, 상기 DTV(200)는 상기 전달받은 화상 이미지 데이터를 해당 화면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은 해당 고객이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유념하고 있지 않을 경우 즉, TV의 시청 중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화가 걸려 왔거나 혹은, 전자 메일의 수신이 이루어졌을 때 그 작업 내용을 해당 고객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DTV를 이용한 부가적인 서비스 컨텐츠가 제공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DTV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 효과 역시 있다.

Claims (19)

  1. 제1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상기 제1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와 대응 설치되어 상기 제1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와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연결되는 제2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와, 상기 제2 근거리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종 데이터 및 단문 메시지 수신 내역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및 메일 수신 여부를 출력하는 통보부를 구비하는 디지털 티브이(DTV: Digital TeleVision)와;
    상기 DTV로부터 요청된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중계를 통해 전달받음에 따라 해당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온라인상의 웹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부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종 데이터 및 단문 메시지 수신 내역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및 메일 수신 여부를 소리로 출력하는 소리 출력부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종 데이터 및 단문 메시지 수신 내역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및 메일의 수신 여부를 이미지로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4.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세션을 연결하는 디지털 티브이(DTV: Digital TeleVision)의 제1운영 단계;
    상기 연결된 세션을 통해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종 데이터 및 단문 메시지 수신 내역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및 메일의 수신 여부를 포함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종 작업 수행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DTV의 제2운영 단계;
    상기 수신된 정보를 분류한 후에 해당 분류별로 설정된 통보 방법을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출력하는 상기 DTV의 제3운영 단계;
    상기 출력된 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의 제공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요청하는 상기 DTV의 제4운영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상세 정보의 제공을 위한 상기 요청 내역을 전달받은 웹서버가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하는 상세 정보를 취득하는 상기 웹서버의 제1운영 단계;
    상기 취득한 상세 정보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웹서버의 제2운영 단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써 해당 상세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상세 정보를 더 출력하는 상기 DTV의 제5운영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종 작업의 수행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1운영 단계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작업의 수행에 따른 동작 발생이 확인됨에 따라 상기 DTV에 세션 연결을 요청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2운영 단계와,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써 상기 DTV와의 세션 연결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특정 작업의 수행에 따른 동작 발생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DTV로 송신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3운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TV의 제1운영 단계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상기 세션의 연결을 위한 명령 입력 시에,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세션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TV의 제3운영 단계는,
    상기 단문 메시지 수신 내역과 그에 따른 단문 메시지 내용을 상기 DTV의 소정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내용이 실시간적으로 제공되는 정보 서비스일 경우에, 해당 단문 메시지 내용을 티커 바(ticker bar)의 형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9. 삭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TV로부터 상기 상세 정보의 요청을 전달받음에 따라, 상기 상세 정보를 취급하는 상기 웹서버의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4운영 단계와,
    상기 웹서버로 상기 상세 정보의 요청 내역을 전달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5운영 단계와,
    상기 요청 내역에 대한 결과로써 상기 상세 정보를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6운영 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세 정보를 상기 DTV로 무선 데이터 전송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7운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11. 삭제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TV의 제3운영 단계는,
    상기 메일의 수신에 따른 수신 여부를 인지하게 해주는 메시지 내용을 상기 DTV의 소정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TV의 제3운영 단계는,
    상기 메일의 수신에 따른 수신 여부를 청각적으로 인지하게 해주는 음성이나 멜로디를 포함하는 소리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DTV를 통해 출력되는 각종 방송의 소리를 상기 메일의 수신 여부를 인지하도록 출력되는 소리에 비해 작게 설정하거나 일시적으로 출력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TV의 제3운영 단계는,
    상기 전화의 수신에 따른 수신 여부를 인지하게 해주는 메시지 내용을 상기 DTV의 소정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TV의 제3운영 단계는,
    상기 전화의 수신에 따른 수신 여부를 청각적으로 인지하게 해주는 음성이나 멜로디를 포함하는 소리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DTV를 통해 출력되는 각종 방송의 소리를 상기 전화의 수신 여부를 인지하도록 출력되는 소리에 비해 작게 설정하거나 일시적으로 출력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1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TV의 제3운영 단계 이후에,
    상기 전화의 수신에 따른 전화 내용을 상기 DTV를 통해 청취하고자 요청함에 따라, 상기 DTV가 상기 전화의 발신자와 통신로가 연결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DTV의 제6운영 단계와,
    상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소리로 출력하는 상기 DTV의 제7운영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의 발신자와 통신로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화상 이미지 데이터를 더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화상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DTV의 소정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KR1020020016503A 2002-03-26 2002-03-26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0878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503A KR100878804B1 (ko) 2002-03-26 2002-03-26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6503A KR100878804B1 (ko) 2002-03-26 2002-03-26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681A KR20030077681A (ko) 2003-10-04
KR100878804B1 true KR100878804B1 (ko) 2009-01-14

Family

ID=3237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6503A KR100878804B1 (ko) 2002-03-26 2002-03-26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8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924B1 (ko) 2005-11-11 2006-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Uwb 통신 기능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데이터제공 방법 그리고 uwb 통신 기능을 이용한 데이터 제공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530U (ko) * 1996-12-03 1998-09-05 김광호 전화 착신 안내 텔레비젼
KR19990002812A (ko) * 1997-06-23 1999-01-15 배순훈 전화의 수신 및 통화기능을 갖는 티.브이.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31426A (ko) * 1997-10-10 1999-05-06 윤종용 텔레비젼 수상기를 이용한 외부장치의 정보 디스플레이방법
KR20010000998A (ko) * 1999-06-01 2001-01-05 구자홍 디지탈 티브이의 이동전화 문자/음성 정보 수신장치 및 그 수신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2530U (ko) * 1996-12-03 1998-09-05 김광호 전화 착신 안내 텔레비젼
KR19990002812A (ko) * 1997-06-23 1999-01-15 배순훈 전화의 수신 및 통화기능을 갖는 티.브이.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31426A (ko) * 1997-10-10 1999-05-06 윤종용 텔레비젼 수상기를 이용한 외부장치의 정보 디스플레이방법
KR20010000998A (ko) * 1999-06-01 2001-01-05 구자홍 디지탈 티브이의 이동전화 문자/음성 정보 수신장치 및 그 수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7681A (ko) 200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54688A1 (en)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emergency message and method thereof
JP2002532796A5 (ko)
WO2006135120A1 (en) Mobile terminal for transmitting emergency message and method thereof
EP1231798A2 (en) Language select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90000164A (ko) 휴대단말기에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그에 따른 시스템
US9002409B2 (en) Method of processing radio frequency signal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010029176A1 (en) Portable cellular phone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for conrtolling same
KR100878804B1 (ko) Dtv를 이용한 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0607645B1 (ko) 가입자 댁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는문자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565440B1 (ko) 대화형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음성정보 제공장치에서의음성정보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 제공방법 및 장치
JPH09247293A (ja) ネットワーク端末装置
KR20010106356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문 메시지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0434647B1 (ko) 네트워크 상에서의 연락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36534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KR10117245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장치 및 방법
KR10075254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0590690B1 (ko) 대기모드 기반 정보채널 방송의 실시간 수신을 위한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706348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기반 주변정보 제공 시스템및 방법
JP2000092192A (ja) 携帯形通信端末装置
JP2006229490A (ja) テレビ通話システム、これに用いるctiサーバおよびテレビ通話プログラム
KR20050094227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KR1007534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방송정보 재생방법 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KR101323935B1 (ko) 휴대단말기에 멀티미디어 광고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480519B1 (ko) 음성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33656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메시지 수신 통지 연기 방법 및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