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8077B1 -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various application service using steady port - Google Patents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various application service using steady por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8077B1
KR100878077B1 KR1020010084386A KR20010084386A KR100878077B1 KR 100878077 B1 KR100878077 B1 KR 100878077B1 KR 1020010084386 A KR1020010084386 A KR 1020010084386A KR 20010084386 A KR20010084386 A KR 20010084386A KR 100878077 B1 KR100878077 B1 KR 100878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rt
terminal device
internet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43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54250A (en
Inventor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4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8077B1/en
Publication of KR20030054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42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8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80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23Media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단말장치별 고정포트 할당을 통해 포트별 무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인터넷 게이트웨이 서버를 무선 통신망과 인터넷망 사이에 상기 무선 단말기들과 인터넷 웹서버간의 데이터 중계서버로서 구현함으로서, 사용자들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의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면서도 단말기 프로토콜에 맞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적응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에서 상기 무선 단말장치들의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포트 할당에 있어 무선 단말장치별 고정포트 할당을 통한 포트별 무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어 포트별 특화된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and a method for enabling wireless application service for each port through fixed port allocation for each wireless terminal devic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n Internet gateway server supporting various protocols as a data relay server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s and the Internet web server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net network, so that users can use the terminal protocol while using wireless terminals of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adaptively us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suitable for the wireless network service. Also, in a high-port gateway server, a wireless port-by-port wireless application is provided through a fixed port allocation for each wireless terminal in the port allocation for the wireless Internet access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s. Since the service is enabled, the port-specific service can be implemented.

무선 인터넷, 고정포트, 프로토콜, 게이트웨이 서버Wireless Internet, Fixed Port, Protocol, Gateway Server

Description

고정포트 할당을 통한 포트별 무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가능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WIRELESS DATA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VARIOUS APPLICATION SERVICE USING STEADY PORT}WIRELESS DATA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VARIOUS APPLICATION SERVICE USING STEADY PO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웍 구성도. 1 is a network configuration of a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의 블록 구성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high media gateway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에서의 고정 포트 할당 예시도.3 is a diagram illustrating fixed port allocation in a high media gateway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포트 할당을 통한 포트별 무선 인터넷 서비스 처리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wireless Internet service processing for each port through fixed port al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인터넷 게이트웨이 서버를 무선 통신망과 인터넷망 사이에 상기 무선 단말장치들과 인터넷 웹서버간 데이터 중계서버로서 구현하여 단말기 프로토콜에 맞는 다양한 무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에서 상기 무선 단말장치들의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포트 할당에 있어 무선 단말장치별 고정포트 할당을 통해 포트별 무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Internet service system, and implements an Internet gateway server supporting various protocols as a data relay server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s and the Internet web server betwee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net network, thereby satisfying various wireless applications. A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service and enabling a wireless application service for each port through a fixed port allocation for each wireless terminal device in assigning a port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s in the high media gateway server. It is about.

통상적으로 무선 데이터 서비스라 함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 기반의 종래 인터넷 서비스 등을 무선 단말기의 제한 요소를 고려하여 무선 단말기에서 인터넷 웹 서핑이 가능하도록 데이터 교환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In general, the wireless data service refers to a service that provides data exchange to enable the wireless web surfing in the wireless terminal in considerat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wireless terminal.

상기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한 표준 프로토콜로써 WAP 프로토콜이 개발되어 제한적 요소가 많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으나, 종래 WAP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특정 프로토콜의 무선 단말기와 인터넷 서버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통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만이 지원되고 있으며, 그나마도 WAP 기능이 탑재된 단말기에서만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노트북, PDA 등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와는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다양한 무선 단말장치 등에는 적용될 수 없는 등 다양한 프로토콜의 무선 단말장치에 적응적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지원하는데는 여러 가지 제한적 요소가 많았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게이트웨이 서버에서는 무선 단말장치를 무선 인터넷망에 접속시키는 경우 웹프로토콜인 HTTP와 같이, TCP/IP의 상위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에서는 대개 "80" 등과 같이 하나의 포트를 통합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어, 상기 포트를 통해 무선 단말장치로부터의 인터넷 접속 요구가 입력되는 경우 해당 무선 단말장치의 프로토콜 및 요청 서비스를 일일이 분석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standard protocol for the wireless data service, the WAP protocol has been developed to enable wireless Internet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any limited elements. However, in the conventional WAP, a wireless protocol of a specific protocol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Internet server can be used. Only wireless data service through protocol conversion is supported, but it can not be applied to various wireless terminal devices that use different protocols fro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laptops and PDAs because only WAP function is available. There have been a number of limitation factors in supporting Internet services adaptively to wireless terminal devices of various protocols. In addition, in a conventional gateway server, when a wireless terminal device is connected to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n application that uses a higher protocol of TCP / IP, such as HTTP, which is a web protocol, usually uses a single port such as "80". Therefore, when an internet connection request is input from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hrough the po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tocol and the request service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must be analyz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인터넷 게이트웨이 서버를 무선 통신망과 인터넷망 사이에 상기 무선 단말장치들과 인터넷 웹서버간 데이터 중계서버로서 구현하여 단말기 프로토콜에 맞는 다양한 무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에서 상기 무선 단말장치들의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포트 할당에 있어 무선 단말장치별 고정포트 할당을 통해 포트별 무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n Internet gateway server supporting various protocols as a data relay server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s and the Internet web server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net network to enable a variety of wireless application services for the terminal protocol. A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wireless application service for each port through fixed port allocation for each wireless terminal device in port allocation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s in the high media gateway server is provided. .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포트 할당을 통한 포트별 무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 수행이 가능한 무선 단말장치와; 상기 무선 단말장치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 제공 웹서버와; 상기 무선 단말장치별 고정 포트를 미리 할당하고, 인터넷 접속 요구가 입력되는 포트번호를 인식하여 해당 무선 단말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포트별 무선 단말장치에 맞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해당 콘텐츠 제공 웹서버로 연결 설정시키는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와; 상기 무선 단말장치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와의 무선 인터넷 수행을 위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이동교환기를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을 구현하며, (a)상기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무선 단말장치별 고정 포트를 할당하는 단계와; (b)상기 고정 포트로 입력되는 인터넷 접속 요구 수신시 해당 포트에 할당된 무선 단말장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c)상기 무선 단말장치가 무선 인터넷 사용 등록된 단말장치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와; (d)상기 무선 단말장치의 프로토콜에 맞는 포트별 특화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로 연결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고정포트 할당을 통한 포트별 무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port-to-port wireless application service through fixed port assignment, comprising: a wireless terminal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Internet service by accessing the system; A content providing web server storing multimedia content data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web server for allocating a fixed port for each wireless terminal device in advance, recognizing a port number to which an Internet connection request is input, and identifying a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provid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suitable for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for each port. A high media gateway server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Implementing a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comprising a mobile switch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relay data transmitted / received for wireless internet performance with the high media gateway server, and (a) the wireless data. Allocating a fixed port for each wireless terminal device using the service; (b) recognizing a wireless terminal device allocated to a corresponding port upon receiving an Internet connection request input to the fixed port; (c) authenticating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s a terminal device registered for wireless Internet use; (d)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a web server for providing a specific wireless Internet service for each port corresponding to the protocol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d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의 네트웍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은 다양한 프로토콜의 무선 단말장치에 맞는 다양한 무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무선 단말장치들의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포트할당에 있어 무선 단말장치별 고정포트 할당을 통해 포트별 무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이하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구현을 위한 네트웍내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1 illustrates a network configuration of a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enables various wireless application services for wireless terminal devices having various protocols. In port allocation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fixed port allocation for each wireless terminal device is implemented to enable wireless application service for each port. Hereinafter, an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n the network for implementing the ser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먼저 사용자 무선 단말장치(100)는 자체 운영체제를 갖고 일반 상용 웹 브라우저가 탑재되며, 무선 통신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2), PDA(104),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를 구비한 노트북(106) 등과 같은 단말장치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무선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의 무선 인터넷 접속 요구가 있는 경우 기지국(108)을 통해 이동교환기(MSC)(110)로 인터넷 접속 요청 메시지를 송신시키고,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114)로부터 해당 무선 단말장치의 프로토콜에 맞게 전송되는 인터넷 콘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동교환기(110)는 기지국(108)을 통해 상기 무선 단말장치(100)로부터의 무선 인터넷 접속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메시지를 망연동장치(InterWorking Function:IWF)(112)를 통해 인터넷 게이트웨이 서버(114)로 전송하고, 상기 인터넷 게이트웨이 서버(114)로부터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해당 인터넷 콘텐츠 제공 웹서버(118)로부터의 인터넷 콘텐츠 데이터를 기지국(108)을 통해 무선으로 해당 무선 단말장치로 송신시킨다.First, the user wireless terminal device 100 has its own operating system and is equipped with a general commercial web browser, and is a user interface device implemented to enable wireless Internet access to a wireless internet network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erminal device such as PDA 104, notebook computer 106 having a wireless data transmitter / receiver, and the like. That is, the user wireless terminal 100 transmits an Internet access request message to the mobile switching center (MSC) 110 through the base station 108 when there is a wireless internet access request from the user, and the high media gateway server 114. Internet content data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protocol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s receiv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mobile switch 110 receives a wireless internet access request from the wireless terminal 100 through the base station 108, the mobile switch 110 transmits the wireless internet access request message through an interworking function (IWF) 112. Internet content data from the corresponding Internet content providing web server 118 transmitted to the Internet gateway server 114 and receiv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from the Internet gateway server 114 wirelessly through the base station 108. Send to the terminal device.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114)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 무선 단말장치들과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인터넷상 콘텐츠 제공 웹서버(118)간에 연결되어 상기 무선 단말장치(100)의 인터넷 접속 요구를 해당 웹서버로 전송하고, 웹서버로부터의 인터넷 콘텐츠 데이터를 해당 무선 단말장치에게 제공하는 중계서버로써, 종래 WAP 게이트웨이 서버가 TCP/IP의 인터넷 프로토콜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토콜을 정합시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인터넷 콘텐츠 데이터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토콜 정합 게이트웨이임에 반해 이동통신 단말기 뿐만아니라 노트북,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다양한 무선 단말장치로의 인터넷 데이터 중계 기능의 수행도 가능한 인터넷 데이터 중계 서버를 의미한다. 상기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1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무선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다양한 무선 단말장치(100)와 인터 넷 웹서버(118)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탑재하며, 상기 무선 단말장치들의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포트할당에 있어 무선 단말장치별로 고정 포트를 할당하여 인터넷 접속 요구가 입력되는 해당 포트의 무선 단말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무선 단말장치의 프로토콜에 맞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로 연결 설정하여, 상기 웹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무선 단말장치의 프로토콜 데이터로 변환하여 포트별로 적응적인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high media gateway server 114 is connected between the user wireless terminal devices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ontent providing web server 118 on the Internet for providing multimedia content data to request an Internet connec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00. Is a relay server for transmitting the Internet content data from the web server to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the conventional WAP gateway server matches the protoco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Internet protocol of TCP / IP. In addi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internet data relay functions to various wireless terminal devices using different protocols fro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laptops and PDAs. Internet data relay server I mean. The high media gateway server 114 is equipped with a protocol conversion function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various wireless terminal device 100 and the Internet web server 118 that can be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ssigning a port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s, a fixed port is allocated to each wireless terminal device to recognize a wireless terminal device of a corresponding port where an Internet connection request is input, and provide an Internet service conforming to the protocol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By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a web server, the content data provided from the web server is converted into protocol data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o provide an adaptive wireless Internet service for each port.

데이터 베이스 저장부(120)는 상기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114)에 의해 참조되며, 상기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에 등록된 무선 데이터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신상정보 및 무선 인터넷 사용에 따른 사용자별 인터넷 사용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 DB(122)와, 상기 무선 인터넷 사용시 생성되는 로그 데이터에 따른 사용자별 인터넷 사용 내역에 대한 과금 정보를 저장하는 과금정보 DB(124)와, 무선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인터넷 접속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접속 요청된 웹서버 IP 주소, 포트 정보에 대응되는 인터넷망 접속시 실제 사용하게될 웹서버 IP 주소와 포트 정보를 구비하고 있는 네트웍 주소 테이블(Network Address Table:NAT)(126) 등 상기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각종 DB를 구비한다. 웹서버(118)는 상기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114)에서 무선 단말장치(100)로 지원하는 각종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인터넷상 콘텐츠 제공 업체로서, 상기 인터넷 게이트웨이 서버(114)와 미리 회원 약정되어 상기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114)에서 서비스하고자 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들 을 구비하며,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넷 게이트웨이 서버(114)에 무선 접속하는 무선 단말장치들의 프로토콜에 정합되도록 콘텐츠 데이터를 다양한 프로토콜에 맞게 제작하여 게이트웨이 서버(114)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게이트웨이 서버(114)에서의 프로토콜 변환 작업이 훨씬 수월하게 되어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프로토콜 변환작업으로 인한 시간의 지연을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The database storage unit 120 is referred to by the high media gateway server 114, and stores personal information about a wireless data service subscriber registered in the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and user-specific Internet usage information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use. The user information DB 122, a billing information DB 124 for storing bill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usage history for each user according to the log data generated when using the wireless Internet, and the Internet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00; Network Address Table (NAT) 126, which contains the web server IP address requested in the connection request message and the web server IP address and port information that will be used when connecting to the Internet corresponding to the port information. And various DBs necessary for operating the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The web server 118 is a content provider on the Internet that provides various multimedia contents supported by the high media gateway server 114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00. The web server 118 is previously contracted with the internet gateway server 114. It is provided with a variety of multimedia content to be serviced in the high media gateway server 114, and more preferably to match the content data to various protocols to match the protocol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s wirelessly connected to the Internet gateway server 114 It may be manufactured and provided to the gateway server 114. In this case, the protocol conversion work at the gateway server 114 is much easier to prevent the delay of time due to the protocol conversion work on the content data.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114)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114)의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포트 접속부(204)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무선 단말장치(100)와의 접속을 위한 다수의 포트를 구비하여 인터넷 접속 요구하는 무선 단말장치(100)로 포트를 할당하며, 무선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인터넷 접속 요청 메시지를 입력한다. 이때 특히 상기 포트 접속부(204)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수의 포트를 무선 단말장치별 고정 포트로 할당시켜 무선 단말장치로부터의 인터넷 접속 요구를 입력받는다. 프로토콜 변환부(202)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무선 단말장치(100)의 인터넷 정보 요청에 따라 인터넷(116)에 연결되는 해당 웹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인터넷 콘텐츠 데이터를 해당 단말장치의 프로토콜에 맞는 프로토콜 데이터로 변환한다. 인터넷 접속부(208)는 무선 통신망에 연결된 다수의 무선 단말장치(100)로부터의 무선 인터넷 접속 요구에 따라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114)와 해당 웹서버(118)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한다. 제어부(200)는 상기 포트 접속부(204)내 고정 포트로 입력되는 무선 단말장치로부터의 인터넷 접속 요구를 수신하고 해당 포트번 호를 확인하여 상기 인터넷 접속 요청한 무선 단말장치(100)를 인식하고, 인터넷 접속 요구하는 무선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인터넷 접속 요청 메시지를 해당 단말장치의 프로토콜 분석을 통해 확인한 후, 상기 무선 단말장치(100)의 프로토콜에 맞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118)로 연결 설정하여, 상기 웹서버(118)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무선 단말장치의 프로토콜 데이터로 변환하여 포트별로 적응적인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메모리(206)는 제어부(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운영 프로그램을 내장하며, 상기 운영 프로그램의 구동시 필요한 각종 기본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롬(ROM:Read Only Memory)과 제어부(200)의 제어에 의해 동작되는 프로그램을 임시 저장하거나 상기 동작 프로그램 수행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RAM: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된다.2 illustrate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high media gateway server 114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2, the operation of the high media gateway server 11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port connection unit 204 may control a plurality of ports for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The terminal is configured to assign a port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00 requesting the Internet connection, and inputs an Internet connection request message from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00. In this case, in particular, the port access unit 204 allocates the plurality of ports to fixed ports for each wireless terminal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to receive an Internet connection request from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he protocol converting unit 202 may convert the Internet content data transmitted from the web server connected to the Internet 116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Internet inform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00 to the protocol of the terminal de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0. Convert to the correct protocol data. The internet access unit 208 interfaces data transmitted / received between the high media gateway server 114 and the web server 118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access requests from a plurality of wireless terminal devices 100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control unit 200 receives an Internet connection request from a wireless terminal device that is input to a fixed port in the port connection unit 204, checks the corresponding port number, and recognizes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00 that has requested the Internet connection. After confirming the Internet access request message from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00 requesting access through protocol analysi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the mobile terminal 100 connects to a web server 118 that provides an Internet service conforming to the protocol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00. By setting, the content data provided from the web server 118 is converted into protocol data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o provide an adaptive wireless Internet service for each port. The memory 206 includes various operating program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00, and controls the ROM and the control unit 200 to store various basic data necessary for driving the operating program. RAM (Random Access Memory) for temporarily storing a program to be operated by 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when the operating program is execut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114)에서 상기 무선 단말장치들(100)의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포트 할당에 있어 무선 단말장치별 고정포트 할당을 통해 포트별 무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처리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도 3의 (a)에서와 같이 모든 무선 단말장치(100)가 포트 접속부(204)내에서 "80"포트로 할당되어 인터넷 접속 요청을 인가시키는 종래의 경우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114)에서는 상기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접속부(204)내 "80"포트로 입력되는 인터넷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여 서비스 분석 모듈(300)을 통해 해당 무선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요청을 분석한 후, 상기 도 3에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b, c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상기 요청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해당 웹서버(118)로 상기 무선 단말장치(100)에 의해 요청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함에 따라, 포트 접속부(204)로부터의 인터넷 접속 요청 메시지 수신 시마다 매번 해당 무선 단말장치의 프로토콜을 분석하고, 서비스 요청을 분석하는 작업을 반복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IG. 3 illustrates a wireless application for each port through fixed port allocation for each wireless terminal in port allocation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s 100 in the high media gateway server 114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ept of service processing is illustrated. That is, as shown in FIG. 3A, all the wireless terminal devices 100 are allocated to the "80" port in the port access unit 204 to authorize the Internet access request. In FIG. 3, as shown in FIG. 3 (a), an Internet connection request message input to the "80" port in the port access unit 204 is received and the service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00 is provided through the service analysis module 300. After analyzing the request, as shown in (a) of FIG. 3, the wireless terminal apparatus 100 transmits to the corresponding web server 118 that provides the requested service among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s of a, b, and c. Since the corresponding service requested by the service must be provided, the protocol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must be analyzed every time the Internet access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port access unit 204, and the operation of analyzing the service request is repeated. It was.

따라서 상기 도 3의 (b)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포트 접속부(204)내 무선 단말장치별 접속 포트를 예를들어 "81", "82", "83" 등으로 서로 다른 포트 번호로 고정포트 할당함으로써, 무선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인터넷 접속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포트번호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무선 단말장치를 식별 가능하게 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서비스 분석 과정을 수행하지 않아도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인터넷 접속 요청된 포트번호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상기 도 3의 (b)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a, b, c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상기 무선 단말장치(100)의 프로토콜에 맞는 해당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웹서버로의 직접 연결 설정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포트별 특화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b) of FIG. 3, the port number for each wireless terminal device in the port connection unit 204 is different from, for example, "81", "82", "83", and the like. By assigning a fixed port to the terminal, when an Internet connection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00,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can be identified only by confirming the port number, so that the service analysis process does not need to be performed as in the prior art. .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b) of FIG. 3, by checking the port number requested for Internet access, for example, the wireless terminal apparatus 100 of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of a, b, and c may be used. By enabling direct connection to an Internet web server that provides a corresponding Internet service that meets the protocol, a specific wireless Internet service by port becomes possibl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에서 다양한 프로토콜의 무선 단말장치를 무선 단말장치별 고정포트 할당을 통해 포트별 무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지원하는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상기 도 1,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control flow for supporting a wireless application service for each port by assigning a fixed port for each wireless terminal device to a wireless terminal device of various protocols in the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2, 3, and 4.

먼저 자체 운영체제를 가지며 일반 상용 웹 브라우저가 탑재되어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PDA, 노트북 등과 같은 무선 단말장치(100)를 구비한 사용자가 상기 무선 단말장치(100)를 이용하 여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무선 인터넷 실행을 위한 단말장치내 특정 키를 입력시켜 무선 인터넷 접속을 요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무선 단말장치 제어부는 상기 무선 인터넷 실행 명령에 따른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기지국(108)을 통해 무선 통신망의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114)로 무선 송신시키게 된다. First of all, a user having a wireless terminal device 100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DA, a notebook computer, etc., having its own operating system and equipped with a general commercial web browser to enable wireless Internet through a wireless internet network, may use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00 In order to use the wireless Internet by using the user, the user requests a wireless Internet access by inputting a specific key in the terminal device for executing the wireless Internet. Accordingly,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controller generates a wireless Internet access request message according to the wireless internet execution command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high media gateway server 114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base station 108.

그러면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어 서버(114)의 제어부(200)는 상기 무선 단말장치(100)로부터의 무선 인터넷 접속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S400)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S402)단계로 진행해서 포트 접속부내 상기 인터넷 접속 요청이 수신된 접속 포트 번호를 확인한다. 상기 무선 단말장치들(10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포트 접속부(204)로 접속할 포트 번호가 미리 고정 할당되기 때문에 제어부(200)는 포트번호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인터넷 접속 요청한 무선 단말장치를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Then, when the control unit 200 of the high media gateway server 114 receives the wireless Internet access request message from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00,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S402 in response to this in step S400 and accesses the port. The department checks the access port number where the Internet connection request was received. Since the wireless terminal devices 100 are fixedly assigned port numbers to be connected to the port access unit 204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00 checks the port numbers to determine the wireless terminal devices that have requested the Internet connection. Because it is possible to identify.

그런 후,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114)의 제어부(200)는 (S404)단계에서 데이터 베이스 저장부(120)내 사용자 정보 DB(122)를 참조하여 상기 식별된 무선 단말장치(100)가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도록 등록된 단말장치인지 여부를 인증한다. 이어 제어부(200)는 상기 인터넷 접속 요청한 무선 단말장치(100)가 무선 인터넷을 사용하도록 등록된 단말장치인 경우 (S406)단계로 진행해서 상기 인터넷 접속 요구한 무선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인터넷 접속 요청 메시지를 해당 단말장치의 프로토콜 분석을 통해 확인한 후, 상기 무선 단말장치의 프로토콜에 맞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로 연결 설정하고, 상기 웹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무선 단말장치의 프로토콜 데이터로 변환하여 포트별로 적응적인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reafter, the control unit 200 of the high media gateway server 114 refers to the user information DB 122 in the database storage unit 120 in step S404. Authenticate whether or not the terminal device is registered to use. Subsequently, when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00 that has requested the Internet connection is a terminal device registered to use the wireless Internet,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S406 to access the Internet from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100 that has requested the Internet connection. After confirming the request message through the protocol analysis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the connection is set to a web server providing an Internet service conforming to the protocol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the content data provided from the web server is protocol data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Provides adaptive wireless Internet service by port.

따라서 고정포트 할당을 통한 무선 인터넷 접속을 지원함으로써, 접속 포트를 식별하는 것에 의해 인터넷 접속 요청한 무선 단말장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른 포트별 특화된 무선 인터네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by supporting the wireless Internet access through fixed port assignment, by identifying the access port,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hat requested the Internet access, thereby enabling a specialized wireless Internet service for each port.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rather than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인터넷 게이트웨이 서버를 무선 통신망과 인터넷망 사이에 상기 무선 단말기들과 인터넷 웹서버간의 데이터 중계서버로서 구현함으로서, 사용자들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의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면서도 단말기 프로토콜에 맞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적응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에서 상기 무선 단말장치들의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포트 할당에 있어 무선 단말장치별 고정포트 할당을 통한 포트별 무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어 포트별 특화된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n Internet gateway server supporting various protocols as a data relay server between the wireless terminals and the Internet web server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Internet network, thereby allowing users to implement wireless terminals of various communication protocols.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adaptively us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that conforms to a terminal protocol, and also through fixed port allocation for each wireless terminal in assigning a port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of the wireless terminal in the high media gateway server. The port-specific wireless application service is enabled,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of enabling port-specific services.

Claims (5)

고정포트 할당을 통한 포트별 무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capable of wireless application service for each port through the fixed port assignment, 상기 시스템에 접속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 수행이 가능한 무선 단말장치와;A wireless terminal device capable of accessing the system to perform a wireless Internet service; 상기 무선 단말장치로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 제공 웹서버와;A content providing web server storing multimedia content data provided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상기 무선 단말장치별 고정 포트를 미리 할당하고, 인터넷 접속 요구가 입력되는 포트번호를 인식하여 해당 무선 단말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포트별 무선 단말장치에 맞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해당 콘텐츠 제공 웹서버로 연결 설정시키는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와;A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web server for allocating a fixed port for each wireless terminal device in advance, recognizing a port number to which an Internet connection request is input, and identifying a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provid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suitable for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for each port. A high media gateway server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상기 무선 단말장치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와의 무선 인터넷 수행을 위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이동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And a mobile switch connected to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relay data transmitted / received for wireless internet performance with the high media gateway serv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하이 미디어 게이트웨이 서버는, 상기 콘텐츠 제공 웹서버와의 접속을 위해 무선 단말장치별로 미리 고정 할당된 다수의 접속 포트를 구비하는 포트 접속부와;The high media gateway server includes: a port access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fixedly allocated to each wireless terminal device in advance for access to the content providing web server; 상기 인터넷상 콘텐츠 제공 웹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 데이터를 해당 무선 단말장치의 프로토콜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프로토콜 변환부와;A protocol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multimedia content data provided from the content providing web server on the Internet into protocol data of a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device; 상기 포트별 무선 단말장치에 맞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웹서버와의 연결을 설정하며, 해당 콘텐츠 제공 웹서버와의 송/수신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넷 접속부와;An Internet connection unit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a content providing web server for provid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suitable for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for each port, and interfacing the transmission / reception data with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web server; 인터넷 접속 요구가 입력되는 포트번호를 인식하여 해당 무선 단말장치를 식별하고, 상기 무선 단말장치의 프로토콜에 맞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해당 콘텐츠 제공 웹서버로 연결 설정하여 포트별 특화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Recognizes the port number to which the Internet access request is input, identifies the corresponding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establishes a connection to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viding web server that provides the wireless Internet service conforming to the protocol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A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comprising: a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선 단말장치는, 상기 무선 인터넷망에 접속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 또는 노트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s a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DA or laptop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무선 데이터 서비스 시스템에서 고정포트 할당을 통한 포트별 무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In the wireless application service method for each port by fixed port assignment in a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a)상기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무선 단말장치별 고정 포트를 할당하는 단계와;(a) allocating a fixed port for each wireless terminal device using the wireless data service; (b)상기 고정 포트로 입력되는 인터넷 접속 요구 수신시 해당 포트에 할당된 무선 단말장치를 인식하는 단계와;(b) recognizing a wireless terminal device allocated to a corresponding port upon receiving an Internet connection request input to the fixed port; (c)상기 무선 단말장치가 무선 인터넷 사용 등록된 단말장치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와;(c) authenticating whether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is a terminal device registered for wireless Internet use; (d)상기 무선 단말장치의 프로토콜에 맞는 포트별 특화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로 연결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별 무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방법.(d) establishing a connection to a web server for providing a wireless Internet service for each port corresponding to the protocol of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d)단계이후, (e)상기 웹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무선 단말장치에 맞게 프로토콜 변환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트별 무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방법.After the step (d), (e) providing a protocol-converted content data provided from the web server for the wireless terminal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proceeding to the wireless application service for each port.
KR1020010084386A 2001-12-24 2001-12-24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various application service using steady port KR1008780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386A KR100878077B1 (en) 2001-12-24 2001-12-24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various application service using steady po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4386A KR100878077B1 (en) 2001-12-24 2001-12-24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various application service using steady 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250A KR20030054250A (en) 2003-07-02
KR100878077B1 true KR100878077B1 (en) 2009-01-13

Family

ID=3221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4386A KR100878077B1 (en) 2001-12-24 2001-12-24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various application service using steady por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807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971B1 (en) * 2001-12-24 2008-07-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various application service
KR101049983B1 (en) * 2003-10-10 2011-07-19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Go-Terminal Gatewa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4444A1 (en) * 2000-03-14 2001-09-27 Takayuki Asai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ntent data acquiring system using the same
JP2001285372A (en) * 2000-02-14 2001-10-12 Toshiba Corp Integrat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cross a plurality of platforms
KR20020025519A (en) * 2000-09-29 2002-04-04 이상구 Gateway/server integration system for servicing an wap based mobile wireless internet service
KR20020039810A (en) * 2000-11-22 2002-05-30 조정남 Integration system of wireless network and the interne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5372A (en) * 2000-02-14 2001-10-12 Toshiba Corp Integrat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across a plurality of platforms
US20010024444A1 (en) * 2000-03-14 2001-09-27 Takayuki Asai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ntent data acquiring system using the same
KR20020025519A (en) * 2000-09-29 2002-04-04 이상구 Gateway/server integration system for servicing an wap based mobile wireless internet service
KR20020039810A (en) * 2000-11-22 2002-05-30 조정남 Integration system of wireless network and the intern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4250A (en) 200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6342B1 (en) A method for receiving data using SMS and wireless Internet and system thereof
US20100174791A1 (en)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instant messenger
EP1871071B1 (en)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router and network connection method applying address conversion
CN105338529B (en) Wireless network connection method and system
US20010049746A1 (en) IP-based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erminals and method thereof
US7599387B2 (en) DCE to DTE connection adapter for communication device
KR100848971B1 (en)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various application service
KR20050050954A (en) Device for controlling network device on private network and method thereof
US6549543B1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communication operating method
US7174333B2 (en) Data obtaining method and terminals
KR100878077B1 (en) Wireless data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various application service using steady port
JP3796893B2 (en) Address assignment system and apparatus
CN115174310B (en) PDN dialing and configuration method, system,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8166537B1 (en) Service-based network access
KR20050002292A (en) Internet connection system having connection restricting func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method thereof
US8068817B1 (en) Virtual address translation to support wireless access to data networks
KR101084004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of Plurality Connectting to Internet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Bluetooth and Method thereof
JP2005535164A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dedicated architecture for a communication network on a terminal
WO2024061059A1 (en) Wireless network access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0550007B1 (en) Method for connecting signals using PCO between mobile station and wireless packet service system using PCO
EP1173954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data connection with a mobile terminal using a local and a unique network address
KR100692657B1 (en) Method and Device for simultaneous service IPv4 and IPv6 address in Dial-up networking
KR20050025547A (en) Mobile home network system
KR100358440B1 (en) Call signaling message transmission method using data network
KR100786269B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resource in wireless internet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