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529B1 - Method for transferring audio data without disconnection in a wireless audio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for transferring audio data without disconnection in a wireless audio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529B1
KR100869529B1 KR1020060083594A KR20060083594A KR100869529B1 KR 100869529 B1 KR100869529 B1 KR 100869529B1 KR 1020060083594 A KR1020060083594 A KR 1020060083594A KR 20060083594 A KR20060083594 A KR 20060083594A KR 100869529 B1 KR100869529 B1 KR 100869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audio information
wireless microphone
wireles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5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13652A (en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김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규 filed Critical 김성규
Publication of KR20080013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6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5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4Portable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 오디오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seamlessly delivering audio data in a wireless audio system, and to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 오디오(마이크) 시스템에서 무선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함에 있어서, 혼신이나 여러 가지 통신장애로 인해 오디오 데이터가 끊기는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적당량의 오디오 데이터를 중복 전송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duce audio data loss due to interference or various communication failures in transmitting audio data wirelessly in a wireless audio (microphone) system, audio data is cut off for duplication of an appropriate amount of audio data.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a method of delivering the same, and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 오디오(마이크)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 길이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 오디오 정보를 패킷 단위로 관리하는 단계;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에서 각 오디오 정보의 반복 전송 횟수를 인지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가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해당 오디오 정보의 품질을 달리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되, 상기 반복 전송 횟수가 낮아 '현재 시점에서 활용빈도가 높은 오디오 정보'는 데이터량을 늘리고 상기 반복 전송 횟수가 높아 '현재 시점에서 활용빈도가 낮은 오디오 정보'는 데이터량을 줄여 전송하는 오디오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seamlessly delivering audio data in a wireless audio (microphone) system, comprising: dividing audio data in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naging each divided audio information in a packet unit; Recognizing the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of respective audio information in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transmits the audio data to at least on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in real time by varying the quality of the corresponding audio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High audio information' increases the amount of data and has a high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and thus, 'audio information having low utilization rate at the present time' includes an audio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of transmitting a reduced amount of data.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 오디오(마이크) 시스템 등에 이용됨.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wireless audio (microphone) system and the like.

무선 오디오, 마이크, 반복 전송, 통신장애, 지연시간, 오디오 끊김 Wireless Audio, Microphone, Repeated Transmission, Communication Failure, Latency, Audio Dropout

Description

무선 오디오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달하는 방법{Method for transferring audio data without disconnection in a wireless audio system}How to transfer audio data seamlessly in a wireless audio system {Method for transferring audio data without disconnection in a wireless audio system}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오디오(마이크)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1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wireless audio (microphon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오디오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달하기 위한 송신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udio data without interruption in a wireless audio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오디오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달하기 위한 수신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receiving apparatus for delivering audio data without interruption in a wireless audio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원본 오디오(마이크) 신호와 일부 손실/손상된 오디오(마이크) 신호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4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original audio (microphone) signal and some lost / damaged audio (microphone) signal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 송신장치 11 : 음성 입력부(마이크)10: transmitting device 11: voice input unit (microphone)

12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 13,22 : 중앙처리부12: 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13,22: central processing unit

14,21 : 무선 송수신부 15,25 : 저장부14,21: wireless transceiver 15,25: storage unit

16 : 출력부 20 : 수신장치16 output unit 20 receiver

23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AC) 24 : 음성 출력부(스피커) 23: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24: audio output (speakers)

본 발명은 무선 오디오(마이크)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함에 있어서, 혼신이나 여러 가지 통신장애로 인해 오디오 데이터가 끊기는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적당량의 오디오 데이터를 중복 전송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seamlessly delivering audio data in a wireless audio (microphone) system, and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edundantly transmitting an appropriate amount of audio data and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in order to reduce audio data interruption due to interference or various communication failures.

통상, 무선 오디오(마이크) 시스템은, 송신장치가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아날로그 오디오(마이크)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ADC)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무선 송신하면, 수신장치가 이를 수신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DAC)한 후 외부로 출력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때, 무선 오디오(마이크) 시스템의 송신장치는 수신장치의 상황(데이터 수신 속도, 버퍼 범람 여부 등)에 따라 데이터 송신 속도를 제어한다. In general, a wireless audio (microphone) system converts an analog audio (microphone) sign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into a digital signal (ADC) and wirelessly transmits the signal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t operates by outputting to outside after (DAC). At this time, the transmitter of the wireless audio (microphone) system controls the data transmission spe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receiver (data reception speed, buffer overflow or the like).

여기서, 혼신 및 기타 이유로 오디오(마이크) 신호에 장애(손실/손상)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오디오(마이크) 데이터를 재전송하거나, 혹은 함께 전송된 별도의 복원용 정보(오디오(마이크) 데이터의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복원할 수 있는 정보로서, 헤더 내에 포함됨)를 이용하여 손실/손상된 오디오(마이크) 데이터를 복원 시켜 출력한다. 이는 장애의 경중에 따라 복구 방법이 나뉠 수 있다. Here, in the event of interference (loss / damage) to the audio (microphone) signal due to interference and other reasons, the audio (microphone) data is retransmitted or separate restoration information (audio (microphone) data part transmitted together) Can be recovered even if the data is damaged.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header is used to restore and output lost / damaged audio (microphone) data. The recovery method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failure.

복원용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마이크) 데이터를 복원시키는 경우, 데이터 손상 정도가 심하거나 혹은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면 이를 복원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통상 무선통신에 장애가 발생하여, 장애의 정도가 경미한 경우에는, 장애 복구 정보(복원용 정보)를 이용하여 손실/손상된 오디오(마이크)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In the case of restoring audio (microphone) data using the restoration information, it is difficult to restore the data when the degree of data damage is severe or data loss occurs. Therefore,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degree of the failure is small, a method of recovering lost / damaged audio (microphone) data is mainly used by using failure recovery information (restoration information).

그러나, 복원용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마이크) 데이터를 복원하는 방식에 따르면, 복원용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원시키는 과정이 부가적으로 수반됨에 따라 전체적인 데이터 처리량(계산량) 및 전송량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결국, 전송지연 증가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method of restoring audio (microphone) data using the restoring information, the process of generating and transmitting restoring information and restoring the data using the restoring data additionally involves the overall data throughput (calculated amount)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transmission increases. This, in turn, leads to an increase in transmission delay.

하지만, 장애의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통신을 재시도하여 손실/손상된 오디오(마이크) 데이터를 복구하는 방법이 보다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간 통신을 해야 하는 경우의 재시도는 다음 통신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재시도를 할 수 없거나, 연속적으로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와 같이 재시도를 연속적으로 하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이러한 장애를 극복하기가 어렵다. However, if the degree of failure is severe, a method of recovering lost / damaged audio (microphone) data by retrying communication may be more useful. However, since retrying when real-time communication is required affects the next communication, if the retry is difficult or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retry, such as when a continuous failure occurs, such a failure is overcome. Is difficult.

보통 디지털로 표현된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통신 대역폭을 줄일 목적으로 가급적 데이터의 양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여러 가지 코덱(CODEC)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통신장애로 인한 데이터의 손실을 복구하기 위한 방법으로 재전송을 하기 보다는 이미 수신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손실된 부분을 복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게 된다.In general, when digitally represented audio data is transmitted through communication, efforts are made to reduce the amount of data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reduce communication bandwidth. In this way, various codec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and in order to recover the loss of data due to communication failure, a lot of efforts are made to recover the lost parts based on the already received data rather than retransmission. Done.

즉, 일반적으로 CODEC은 압축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이전과 이후의 오디오를 참조하게 되며, 손실을 복구하는 경우에도 이전과 이후의 오디오를 참조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렇게 이전과 이후의 오디오를 참조하게 되면 압축효과가 좋아지고 손실 복구가 용이해지지만, 상대적으로 오디오의 전송 지연은 많이 발생하게 되고 손실을 복구해도 원음과는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That is, in general, the CODEC refers to the audio before and after to improve the compression effect, and even when recovering the loss, it often refers to the audio before and after. However, the reference to the audio before and after improves the compression effect and facilitates the loss recovery. However, the transmission delay of the audio is relatively high, and the loss of the audio causes a difference from the original sound.

이러한 시스템은 단체 여행할 때에 소음이 심한 장소에서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수신측의 상황에 상관없이 일방적인 방송(단방향 방송)으로 송신장치와 수신장치와의 음성통신(양방향 통신)이 안될 뿐만 아니라, 송신장치에서는 수신장치의 상태를 알기가 어렵다. 이와 유사한 경우로는 동시통역을 하는 경우나, 기내의 다채널 방송, 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 설명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경우 등이 있다. Such a system is often used in a noisy place when traveling in a group, and in particular, a one-way broadcast (one-way broadcast) does not allow voice communication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regardless of a receiver's situation. In the transmitter, it is difficult to know the state of the receiver. Similar cases include simultaneous interpretation, multi-channel broadcasting on board, and wireless transmission of descriptions in art galleries and museums.

무선 오디오(마이크) 데이터 전송의 일예로, 블루투스(Bluetooth)는 2.4GHz(2.402GHz ~ 2.480GHz)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에서 GFSK(Guassian Frequency Shift Keying) 변조방식으로 대역폭 1MHz의 채널을 79개 설정하여 1초간에 1600회 채널을 바꾸는 주파수 호핑 방식의 스펙트럼 확산 기술을 사용한다. 이에 의하여 간섭과 페이딩(fading)을 막아 주고 노이즈가 많은 무선 구간에서 강인한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풀 듀플렉스 통신(Full duplex transmission)을 위하여 시간분할다중(TDD : 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한다. 그리고, 에러 보정을 위해서 1/3 rate 순방향 에러 정정(FEC : Forward Error Correction), 2/3 rate FEC, ARQ(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을 사용한다.As an example of wireless audio (microphone) data transmission, Bluetooth has 79 channels of 1 MHz bandwidth using GFSK (Guassian Frequency Shift Keying) modulation in the 2.4 GHz (2.402 GHz to 2.480 GHz)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ISM) band.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technology is used to change the channel by 1600 times per second. This prevents interference and fading and enables robust communication in a noisy wireless section. In addition, a time division duplex (TDD) scheme is used for full duplex transmission. For error correction, 1/3 rate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2/3 rate FEC, and ARQ (Automatic Repeat Request) are used.

잡음이 많은 라디오 주파수 환경에서 작동되도록 고안되었기 때문에, 블루투스는 빠른 인식과 주파수 호핑 방식을 사용하여 연결을 튼튼하게 한다. 블루투스 모듈은 패킷을 전송받거나 보낸 후에 새로운 주파수 호핑을 함으로써 다른 신호들과의 간섭을 피한다. 같은 주파수대에서 작동하는 다른 시스템들과 비교하여 블루투스는 특별히 빠르고 짧은 패킷을 사용한다. 이것이 블루투스를 다른 시스템보다 튼튼하게 만들어주는 것이다. 작은 패키지와 빠른 주파수 호핑은 또한 가정용과 전문가용 전자 오븐과의 충돌을 제한시켜 준다. 순방향 에러 정정(FEC)의 사용은 장거리 연결시 발생할 수 있는 임의의 잡음과의 충동을 제한해 준다. 조정되지 않은 환경을 위해 인코딩이 최적화되어 있다.Designed to operate in a noisy radio frequency environment, Bluetooth uses fast recognition and frequency hopping to strengthen the connection. The Bluetooth module avoids interference with other signals by making new frequency hopping after receiving or sending packets. Compared to other systems operating in the same frequency band, Bluetooth uses particularly fast and short packets. This makes Bluetooth stronger than other systems. The small package and fast frequency hopping also limit the impact of home and professional electronic ovens. The use of forward error correction (FEC) limits the impulse with any noise that can occur over long distances. The encoding is optimized for untuned environments.

블루투스 무선전송에 대해 살펴보면, 블루투스는 하나의 비동기 채널, 동시에 세 개의 동기 음성 채널, 또는 비동기 데이터와 동기 음성을 동시에 지원하는 채널까지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음성 채널은 64kb/s의 동기화된 연결을 지원한다. 비동기 채널은 최대 721kb/s(어느 한쪽 방향으로의 전송을 말하며, 이 경우 되돌아오는 속도는 57.6kb/s까지 허용된다)의 비대칭 연결과 432.6kb/s의 대칭 연결을 지원한다.In terms of Bluetooth wireless transmission, Bluetooth can support one asynchronous channel, three synchronous voice channels simultaneously, or a channel supporting asynchronous data and synchronous voice simultaneously. Each voice channel supports 64kb / s of synchronized connections. The asynchronous channel supports asymmetrical connections of up to 721kb / s (which means transmission in either direction, in which case the return rate is allowed up to 57.6kb / s) and symmetrical connections of 432.6kb / s.

네트워크 위상에 대해 살펴보면, 음성 채널은 로그 PCM이나 CVSD(Continuous Variable Slope Delta Modulation, 1bit/sample 압축, lossy CODEC, 두 표본 사이의 진폭차를 양자화함으로써 인접 오디오 샘플 사이의 상관관계를 강하게 하는 방법) 음성 코딩 체계를 사용하며, 결코 음성 패킷을 재전송하지 않는다. CVSD 방식은 누락되고 손상된 음성 샘플을 잘 처리함으로 인해서 채택되었다. 주변의 잡음에 의해 어느 정도 간섭을 받는지 실험을 통해 측정한 결과, 4%이상의 비트 에러률에서도 CVSD방식으로 코딩된 음성은 상당히 잘 들렸다.In terms of network topology, a voice channel is a log PCM or CVSD (Continuous Variable Slope Delta Modulation, 1bit / sample compression, lossy CODEC, quantizing the amplitude difference between two samples) to enhance the correlation between adjacent audio samples. It uses a coding scheme and never retransmits a voice packet. The CVSD approach was adopted because of its good handling of missing and damaged voice samples. As a result of experiments measuring how much interference is caused by ambient noise, the voice coded by the CVSD method can be heard quite well even at bit error rates of more than 4%.

이상에서와 같이 블루투스 무선 기술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블루투스 무선 기술에서는 혼신 및 기타 이유로 오디오(마이크) 신호에 장애(손실/손상)가 발생하는 경우, 결코 음성 패킷을 재전송하지는 않는다. 즉, 통신을 재시도하여 손실/손상된 오디오(마이크) 데이터를 복구하는 방법을 사용하지는 않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Bluetooth wireless technology was briefly reviewed. However, Bluetooth wireless technology never retransmits a voice packet if a disturbance (loss / damage) occurs in an audio (microphone) signal for interference and other reasons. That is, it does not use a method of recovering lost / damaged audio (microphone) data by retrying communication.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 오디오(마이크) 시스템에서 무선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함에 있어서, 혼신이나 여러 가지 통신장애로 인해 오디오 데이터가 끊기는 현상을 줄이기 위하여, 적당량의 오디오 데이터를 중복 전송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달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order to reduce audio data interruption due to interference or various communication failures in transmitting audio data wirelessly in a wireless audio (microphone) system, an appropriate amount of audio data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seamlessly transferring audio data for redundant transmission of the data,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e metho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선 오디오(마이크) 시스템에서 송/수신장치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여 양방향 통신을 이루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seamlessly delivering audio data to achiev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y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s in the wireless audio (microphone)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오디오(마이크)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 길이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 오디오 정보를 패킷 단위로 관리하는 단계;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에서 각 오디오 정보의 반복 전송 횟수를 인지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가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해당 오디오 정보의 품질을 달리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되, 상기 반복 전송 횟수가 낮아 '현재 시점에서 활용빈도가 높은 오디오 정보'는 데이터량을 늘리고 상기 반복 전송 횟수가 높아 '현재 시점에서 활용빈도가 낮은 오디오 정보'는 데이터량을 줄여 전송하는 오디오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eamlessly delivering audio data in a wireless audio (microphone)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dividing audio data in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naging each divided audio information in packet units; Recognizing the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of respective audio information in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transmits the audio data to at least on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in real time by varying the quality of the corresponding audio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High audio information' increases the amount of data and has a high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and thus, 'audio information having low utilization frequency at the present time' includes an audio information transmitting step of reducing and transmitting the amount of data.

한편,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송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 오디오(마이크) 시스템에,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 길이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 오디오 정보를 패킷 단위로 관리하는 기능;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에서 각 오디오 정보의 반복 전송 횟수를 인지하는 기능; 및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가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해당 오디오 정보의 품질을 달리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되, 상기 반복 전송 횟수가 낮아 '현재 시점에서 활용빈도가 높은 오디오 정보'는 데이터량을 늘리고 상기 반복 전송 횟수가 높아 '현재 시점에서 활용빈도가 낮은 오디오 정보'는 데이터량을 줄여 전송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ireless audio (microphone) system having a processor for transmitting audio data seamlessly, the function of dividing the audio data in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nages each divided audio information in packet units; A function of recognizing the number of times of repetitive transmission of each audio information in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And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transmits the audio data to at least on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in real time by varying the quality of the corresponding audio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High audio information' increases the amount of data and the high frequency of repetitive transmission increases the 'low frequency information at the present time', which provide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records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of reducing the amount of data. do.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오디오(마이크)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wireless audio (microphon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손실/손상된 오디오(마이크) 신호'라 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실/손상되기 전의 원본 오디오(마이크) 신호(31)에 대비되어, "32"와 같이 일부의 오디오(마이크) 신호가 전송중에 통신장애로 인해 손실/손상이 발생된 경우에 해당된다. First of all, the term " lossed / damaged audio (microphone) signal "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 32 " in contrast to the original audio (microphone) signal 31 before being lost / corrupted, as shown in FIG. This is the case when some audio (microphone) signals are lost or damaged due to communication failure during transmission.

즉, 도 4에서, "31"은 손실되기 전의 원본 오디오(마이크) 신호를 나타내고, "32"는 일부가 통신장애로 인해 손실/손상된 오디오(마이크) 신호를 나타낸다. "32"와 같이 일부의 오디오(마이크) 신호가 전송중에 통신장애로 인해 손실/손상되는 경우, 오디오(마이크) 잡음이 발생할 수 있다.That is, in Fig. 4, " 31 " represents an original audio (microphone) signal before being lost, and " 32 " represents an audio (microphone) signal, partly lost / corrupted due to a communication failure. If some audio (microphone) signals, such as "32", are lost / damaged due to a communication failure during transmission, audio (microphone) noise may occu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오디오(마이크)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아날로그 오디오(마이크)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ADC)하여 무선 전송하기 위한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와,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로부터 오디오(마이크) 신호를 전송받음에 따라 이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DAC)한 후 출력하기 위한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wireless audio (microphone) system includes a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for converting an analog audio (microphone)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into a digital signal (ADC) for wireless transmission and a wireless microphone. In response to receiving an audio (microphone) signal from the transmitter 10, the apparatus may include a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for converting the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ting the same.

여기서,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는 하나의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에 대 해 다수 개가 연동될 수 있다. Here, a plurality of wireless microphone receivers 20 may be linked to on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특히,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는, 음성 입력부(마이크)(11)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마이크) 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DC)(12)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ADC)하여 중앙처리부(13)로 전달하고, 중앙처리부(13)는 이 데이터를 저장부(15)에 저장한다. 그리고,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의 무선 송수신부(14)는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와 통신하고,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의 요청에 따라 저장부(15)에 저장된 오디오(마이크) 정보를 무선 송수신장치(20)로 전송한다.In particular,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converts an analog audio (microphone) signal input through the voice input unit (microphone) 11 into an analog signal by the analog-digital converter (ADC) 12 and converts it into a digital signal. The central processing unit 13 stores the data in the storage unit 15. The wireless transceiver 14 of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and stores audio (microphon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 in response to a request of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ransceiver 20.

한편,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는 무선 송수신부(21)를 이용하여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와 통신하고,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에 오디오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된 오디오 정보를 중앙처리부(22)로 전달하고, 중앙처리부(22)에서 이 오디오 정보를 저장부(25)에 저장한 후 순서가 되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AC)(23)로 전달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AC)(23)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DAC)하여 음성 출력부(스피커)(24)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Meanwhile,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communicates with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by using the wireless transceiver 21, requests the audio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and transmits the received audio information to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the central processing unit (22) stores the audio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25), and when the order is delivered to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23 to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 (DAC). In step 23, an analog signal is converted (DAC) and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voice output unit (speaker) 24.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와 수신장치(20)는 오디오 정보(이때, 오디오 정보는 오디오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분할(예를 들면, 1ms 길이)한 것임)를 저장부(15,25)에 저장하여 일정량의 단위로 관리(예를 들면, 오디오 정보를 1ms 길이로 관리)하고, 이들 오디오 정보를 최근에 수집된 오디오 정보를 P0로 하고 P1, P2, P3, …, 가장 오래된 오디오 정보를 P(n-1)로 하여 n개(이때, n은 자연수임)의 오디오 정보를 관리한다.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and the receiver 20 store audio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audio information is obtained by dividing the audio data into packet units (eg, 1 ms in length)) in the storage units 15 and 25. To manage a certain amount of units (e.g., to manage audio information with a length of 1 ms), and the recently collected audio information is referred to as P0, and P1, P2, P3,... The audio information of n pieces (where n is a natural number) is managed by using P (n-1) as the oldest audio information.

여기서, n은 통신지연시간 및 통신장애를 고려하여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Here, n may be arbitrarily changed in consideration of communication delay time and communication failure.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는 수신장치(20)의 요청이 없이도 n개의 오디오 정보를 관리한다. 즉, 오디오 정보를 1ms 길이로 최대 8개를 관리하는 경우에,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는 현재 저장중인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여 9개의 오디오 정보를 관리한다.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manages n pieces of audio information without a request from the receiver 20. That is, in the case of managing a maximum of eight pieces of audio information with a length of 1 ms,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manages nine pieces of audio information including the currently stored audio information.

그리고,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 역시 n개의 오디오 정보를 관리한다. 즉, 오디오 정보를 1ms 길이로 최대 8개를 관리하는 경우에,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는 현재 출력중인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여 9개의 오디오 정보를 관리한다.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also manages n pieces of audio information. That is, in the case of managing a maximum of eight pieces of audio information with a length of 1 ms,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manages nine pieces of audio information including the currently output audio information.

여기서,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의 오디오 정보 n의 개수는,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의 오디오 정보 n의 개수보다 같거나 커야 한다. Here, the number of audio information n of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should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audio information n of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특히,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는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의 요청없이도 n개의 오디오 정보를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로 전송한다. 즉, 현재의 오디오 정보 P0는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의 요청없이도 n회 만큼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정보를 1ms 길이로 최대 8개를 관리하는 경우에,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는 P0를 8번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오디오 정보는 n회 만큼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로 전송되고(즉, 모든 오디오 정보는 n회 만큼 반복 전송됨), 그때마다 순서가 바뀌게(뒤로 밀리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통신에 혼선이나 장애가 발생하여 이전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라도 다음 통신에서 수신하는 방법으로 통신장애를 피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transmits n pieces of audio information to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without the request of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That is, the current audio information P0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by n times without the request of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For example, when managing up to eight pieces of audio information with a length of 1ms,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transmits P0 to the eighth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In this way, each audio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by n times (i.e., all audio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n times), each time being reversed (backwarded). In this way, even if a communication is interrupted or a failure occurs, and the previous audio information is not received, the communication failure can be avoided by receiving in the next communication.

하지만, 혼신이나 장애는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무선 마이크 송신장 치(10)와 수신장치(20)는 (n-2)회의 연속적인 장애에 대처할 수 있다. 즉, 2개의 기본 버퍼 외에 선택적으로 관리하는 오디오 버퍼의 개수(n-2 개)만큼 장애에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 숫자가 커지면(즉, 관리하는 오디오 정보의 개수(n)가 많아지고 아울러 관리하는 오디오 버퍼의 개수(n-2)가 많아지게 되면)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의 오디오 입력과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의 오디오 출력 간의 시간 차이가 길어지게 되며, 이 시간이 과도하게 늘어나면 전송 지연으로 인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이 숫자가 작아지면(즉, 관리하는 오디오 정보의 개수(n)가 적어지고 아울러 관리하는 오디오 버퍼의 개수(n-2)가 적어지게 되면) 이 숫자보다 많은 장애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가 어렵다.However, interference or failure may occur continuously, and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and the receiver 20 may cope with (n-2) consecutive failures. That is, the failure can be dealt with by the number (n-2) of audio buffers selectively managed in addition to the two basic buffers. However, when this number is increased (that is, the number n of audio information to be managed increases and the number of audio buffers to be managed (n-2) increases), the audio input and the radio of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audio outputs of the microphone receiver 20 becomes long, and when this time is excessively increased, inconvenience due to the transmission delay is felt. Further, when this number becomes smaller (i.e., the number n of audio information to be managed becomes smaller and the number (n-2) of audio buffers to be managed becomes smaller), more failures than this number occur continuously. Difficult to cope effectively

따라서,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와 수신장치(20)는 통신장애 정도에 따라 관리하는 오디오 정보의 개수(n개) 및 기본 버퍼를 제외한 오디오 버퍼의 개수(n-2 개)를 조절하여 전송지연과 통신장애를 적절하게 극복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의 오디오 정보 n의 개수는,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의 오디오 정보 n의 개수보다 같거나 커야 한다. Accordingly,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and the receiver 20 adjust and transmit the number of audio information (n) and the number of audio buffers (n-2) except the basic buffer to be manag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communication failure. Delays and communication obstacles can be properly overcome.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 number of audio information n of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should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audio information n of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는 오디오 정보를 요청할 필요가 없으며,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는 통신장애 상태에 상관없이 일정한 양의 오디오 정보(오디오 정보를 1ms 길이로 최대 8개를 관리하는 경우에, 현재의 오디오 정보 P0를 포함한 이전의 오디오 정보(P0 ~ P7))를 제한된 크기로 적절하게 조절하여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로 전송한다. 따라서,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는 통신장애 상태에 상관없이 일정한 양의 오디오 정보를 전송함으로써(모든 오디오 정보가 n회 반복 전 송됨) 다수의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가 오디오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오디오 데이터의 양을 정상적인 경우보다 줄이는 방법으로는 압축을 더 많이 하거나, BPS를 줄이는 방법 등을 고려해 볼 수도 있겠지만,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에서 이렇게 많은 오디오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오디오의 음질이 저하되는 것은 피하기가 어렵다.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does not need to request audio information, and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manages a maximum amount of audio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of 1 ms in length up to 1 ms regardless of a communication failure state). , Including the current audio information P0 The previous audio information (P0 ~ P7) is appropriately adjusted to a limited size and transmitted to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Therefore,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transmits a certain amount of audio information regardless of a communication failure state (all audio information is transmitted n times), so that the plurality of wireless microphone receivers 20 can receive the audio information. To be able. In this case, a method of reducing the amount of audio data may be considered as a method of compressing more or reducing a BPS, but the sound quality of the audio may be improved by transmitting such a large amount of audio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Degradation is difficult to avoid.

따라서,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에서는 n개의 오디오 정보를 동일한 비율로 전송하기 보다는 최근의 오디오 정보는 비율을 높이고, 오래된 오디오 정보는 비율을 낮추는 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음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가장 최신의 오디오 정보는 활용빈도가 높으므로(반복 전송 횟수가 적은 오디오 정보는 이전에 이미 정상적으로 전송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는 그 활용도가 높다고 봄) 데이터량을 늘리고, 오래된 오디오 정보는 그 활용빈도가 낮으므로(반복 전송 횟수가 높은 오디오 정보는 이미 정상적으로 전송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는 그 활용도가 낮다고 봄) 데이터량을 줄여 전송하는 것이다. 결국, 반복 전송 횟수가 낮아 '현재 시점에서 활용빈도가 높은 오디오 정보'는 데이터량을 늘리고, 반복 전송 횟수가 높아 '현재 시점에서 활용빈도가 낮은 오디오 정보'는 데이터량을 줄여 다수의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로 전송함으로써,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오디오 정보의 품질율을 달리하여 전송한다. Accordingly,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maintains the quality of sound quality by transmitting the latest audio information in a higher ratio and the older audio information in a lower ratio than transmitting n audio information at the same ratio. . This means that the most recent audio information is frequently used (because it is unlikely that audio information with a small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has already been transmitted normally before), thus increasing the amount of data and the old audio information. Since the utilization is low (audio information with a high number of repeated transmissions is likely to be transmitted normally, it is considered that the utilization is low at the present time). As a result, the low frequency of repetitive transmission increases the amount of data in the 'high frequency of audio information' at the present time, and the high frequency of repeated transmission reduces the amount of data in the 'high frequency of audio information' at the present time, thus reducing the amount of data. By transmitting to the device 20, the quality ratio of the audio information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즉, 가장 최신의 오디오 정보 P0는 양질의 오디오 정보를 전송(데이터량을 늘려 전송)하고, 이전의 오디오 정보(P1~P7)는 다소 떨어지는 오디오 정보를 품질율을 달리하여 전송(데이터량을 줄여 전송)한다. 예를 들면, 이전 오디오 정보 P7은 과거 최신의 오디오 정보일 때부터 현재까지 8회 중복 전송되어 이전에 이미 정상적으로 전송되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는 그 활용도가 낮다고 보아 품질율이 떨어지는 오디오 정보를 전송한다. 물론, 이전 오디오 정보 P6, P5, ..., P1은 P7보다 반복 전송 횟수가 적기 때문에 P7보다는 품질율이 높은 오디오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그 품질율을 달리하여 오디오 정보를 전송한다. That is, the most recent audio information P0 transmits high quality audio information (increasing the amount of data), and the previous audio information (P1-P7) transmits audio information that is somewhat deteriorated by varying the quality rate (reducing the amount of data). send. For example, since the previous audio information P7 has been transmitted 8 times from the latest audio information to the present, it is likely that the previous audio information has been transmitted normally. send. Of course, the previous audio information P6, P5, ..., P1 transmits audio information having a higher quality rate than P7 because the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is smaller than that of P7. Therefore, the audio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varying the quality rate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최신의 오디오 정보는 품질율 100%, 1~3회 반복 전송된 오디오 정보는 품질율 50%, 4회 이상은 품질율 10% 등으로 반복 전송 횟 수에 따라 오디오 정보를 그룹화하여, 전송되는 오디오 정보의 품질율을 결정할 수도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latest audio information is 100% quality, audio information repeatedly transmitted one to three times is 50% quality, four times or more is 10% quality, and the like. May be grouped to determine the quality rate of the transmitted audio information.

이와 같이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에서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오디오 정보의 품질율을 달리하여 반복 전송하게 되면,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에서는 양질의 오디오 음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적당량의 오디오를 지연시키고 이 지연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f the quality of the audio information is repeatedly transmitted in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of repetitive transmission,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may maintain a good audio quality. This delays the appropriate amount of audio and can be transmitted using this delayed time.

예를 들면, 오디오 정보를 1ms 길이로 최대 8개를 관리하는 경우에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는 현재 저장중인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여 9개(n개)의 오디오 정보를 관리하여야 하며,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도 현재 출력중인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여 최대 9개(n개)의 오디오 정보를 관리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는 2개의 기본 버퍼 외에 0개부터 7개(0 ~ n-2 개)의 오디오 버퍼를 선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0부터 7ms의 지연이 기본 지연에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비록, 관리되는 오디오 버퍼의 수(0 ~ 7개)에 따라 기본 지연에 0 ~ 7ms가 추가 지연으로 발생되지만, 0부터 최대 7개의 연속적인 통신장애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managing up to 8 pieces of audio information with a length of 1ms,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must manage 9 pieces (n pieces) of audio information including the currently stored audio information and the wireless microphone. The receiving device 20 must also manage up to nine (n) audio information including the audio information currently being output. In this case,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may selectively manage 0 to 7 audio buffers (0 to n-2) in addition to the two default buffers, so that a delay of 0 to 7 ms is a basic delay. Will occur in addition to Although 0 to 7 ms is added to the basic delay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naged audio buffers (0 to 7), it is possible to cope with 0 to 7 consecutive communication failures.

여기서, 보통 기본 지연은 무선 마이크에서 오디오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시간 1ms, 오디오 정보를 가공하여 전송하는 시간 200us, 수신된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준비 시간 300us, 출력 대기 시간 500us 등으로 약 2ms 정도가 된다. 여기에, 오디오 버퍼를 선택적으로 관리하게 되면 관리되는 오디오 버퍼별로 1ms의 추가 지연이 발생되어(0 ~ 7ms), 전체적으로 2ms부터 9ms의 지연이 발생된다. In this case, the default delay is 1ms for collecting audio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200us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the audio information, 300us for preparing the received audio information, 300us for outputting the output information, and 500us for the output waiting time. do. In addition, if the audio buffer is selectively managed, an additional delay of 1 ms is generated for each managed audio buffer (0 to 7 ms), resulting in a delay of 2 ms to 9 ms as a whole.

만약, 오디오 정보의 길이를 0.5ms로 줄이게 되면, 기본 지연은 1ms 정도가 되며, 여기에 오디오 버퍼를 선택적으로 관리하게 되면 관리되는 오디오 버퍼별로 0.5ms의 추가 지연이 발생되어(0 ~ 3.5ms), 전체적으로 1ms부터 4.5ms의 지연이 발생된다.If the length of the audio information is reduced to 0.5ms, the default delay is about 1ms, and if the audio buffer is selectively managed, an additional delay of 0.5ms is generated for each managed audio buffer (0 to 3.5ms). In general, there is a delay of 1ms to 4.5ms.

위의 예시는 한가지의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여러 개의 오디오 정보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는 이들을 수신하여 원하는 오디오 정보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여러 개의 통신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들 채널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다른 오디오 정보를 선택할 수도 있다. Although the above example shows the case where one piece of audio information is transmitted, several pieces of audio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simultaneously.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may receive these and selectively use desired audio information. Furthermore, when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other audio information may be selected by selecting these channels.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와 수신장치(20)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경우에는,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가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의 통신상태를 보고 받아 이를 이용하여 오디오 정보의 개수 n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When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and the receiver 20 are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receives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and receives the number of audio information n using the received communication state. Can be changed dynamically.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는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n개의 오디오 정보와는 별개로 수집된 통신 상태를 이용하여 수신장치(20)에서 관리되는 오디오 정보의 개수 n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전송 지연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이 경우에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의 오디오 정보 n(관리되는 오디오 정보의 수)의 개수는,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의 오디오 정보 n(관리되는 오디오 정보의 수)의 개수보다 작거나 같다.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dynamically changes the number n of audio information managed by the receiver 20 by using a communication state collected separately from the n audio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Can be. This can be used to reduce or increase the transmission delay. In this case, the number of audio information n (number of managed audio information) of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is smaller than the number of audio information n (number of managed audio information) of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same.

이때에는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 외에 별도의 통신시간이 있어 이를 이용하거나, 오디오 전송을 중단시키고 이러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후자의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오디오 정보의 전송이 중단되지만, 다음 통신에서 회복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re is a separate communication time in addition to the time for transmitting audio information, or it may be used, or the audio transmission may be stopped and such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At this time, in the latter case, transmission of the audio information is temporarily stopped, but can be recovered in the next communication.

만약, 통신 상태가 양호하여 지연시간을 줄이기(n을 줄임) 위한 통신인 경우에는 통신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지만, 통신 상태가 나빠 지연시간을 늘리는(n을 늘림) 경우에는 이 통신으로 인해 통신장애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If the communication condition is good and the communication to reduce the delay time (reducing n) is less likely to occur, the communication failure is caused by this communication when the communication state is bad and the delay time is increased (increase n). There is a possibility to increase.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는 오디오 정보가 수신되는 통신 상태로부터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와 멀리 떨어진 경우를 알 수 있고,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는 주기적으로 각각의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가 응답하도록 하여 무선통신의 상태를 파악하거나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는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 중 일부가 통신 거리 밖으로 이탈하는 경우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에서는 통신이 두절되는 상황을 출력부(16)를 통해 표시하거나 경고를 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하려면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와 다수의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 간에 양방향 통신이 가능해야 한다.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may know a case away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from a communication state where audio information is received, and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periodically checks each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 Can respond to determine the statu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or to collect various information. In this way,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may detect in real time when some of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is out of the communication distance. In this case,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may display or alert a situation in which communication is lost through the output unit 16. Of course, this require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and the plurality of wireless microphone receivers 20.

이와 같이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는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의 요청에 의해 요청한 수신장치(20)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양측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음성을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때,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는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의 요청 순서에 따라 통신을 할 수 있다. As such,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may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requested receiver 20 at the request of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and both sides may exchange voices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In this case,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may communicate according to the request order of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양방향 통신을 위해서는,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와 수신장치(20)가 송신기능과 수신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하며(이를 편의상 '무선 마이크 송수신기' 라 칭함), 다수의 무선 마이크 송수신기 간에 정보 교환을 위한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일 무선 마이크 송수신기가 송신하고 있을 때 타 무선 마이크 송수신기는 수신을 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신속하게 오디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다수의 무선 마이크 송수신기는 송신하고자 하는 일 무선 마이크 송수신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타 무선 마이크 송수신기에 수신 상태로 전환하도록 명령을 전송하여야 한다. 이러한 상태 전환 명령 전송시, 사용자가 무선 마이크 송수신기에 주의를 기울이도록 종류별로 식별 신호나 소리를 달리하여 표현하도록 한다.For two-way communication,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and the receiver 20 must have both a transmission function and a reception function (referred to as a 'wireless microphone transceiver' for convenience),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 plurality of wireless microphone transceivers is performed. In this case, when one wireless microphone transceiver is transmitting, the other wireless microphone transceiver can transmit audio information quickly in a manner of receiving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ceiver.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wireless microphone transceivers should send a command to switch to another wireless microphone transceiver in a reception state at the request of the user in order to determine one wireless microphone transceiver to be transmitted. When the status change command is transmitted, the identification signal or sound may be expressed differently for each type so that the user pays attention to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ceiver.

또한, 먼 거리를 통신하는 경우나 2개 이상의 독립된 통신망이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 중계기를 두어 중계를 할 수 있다. 이때, 중계기(상기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에 대응됨)는 한쪽에서 수신된 정보를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수신 즉시 전달함으로써 전달시간을 최소화할 수도 있으나, 통신장애의 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일정 부분의 오디오 정보를 지연시켜 통신장애를 극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relay can be relayed by a repeater as a method for communicating over a long distance or for two or more independent communication network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repeater (corresponding to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transmits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d may minimize the transmission time by immediately transmi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but if the degree of communication failure is severe, In this way, communication delay may be overcome by delaying a part of audio information.

이러한 경우, 만약 n이 4인 경우에 중계기에서는 수신된 오디오 정보를 다시 전송하기 때문에 이전에 8회의 지연이 있었다면 모두 12회의 지연이 발생된 것으로 하여 총 12개의 버퍼를 관리하여야 한다. 즉, 수신 즉시 4개(P0~P3) 이전의 8개(P4~P11)의 오디오 정보를 전송한다. In this case, if n is 4, since the repeater retransmits the received audio information, if there were 8 delays before, all 12 buffers should be managed as if 12 delays occurred. In other words, the audio information of eight pieces P4 to P11 before four pieces P0 to P3 is transmitted immediately.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오디오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달하기 위한 송신 및 수신 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 다. 2 and 3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exemplary operation of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for seamlessly delivering audio data in a wireless audio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와 수신장치(20)는 오디오 정보(이때, 오디오 정보는 오디오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분할(예를 들면, 1ms 길이)한 것임)를 저장부(15,25)에 저장하여 일정량의 단위로 관리(예를 들면, 오디오 정보를 1ms 길이로 관리)하고(n개의 오디오 정보를 관리), 이들 오디오 정보를 최근에 수집된 오디오 정보를 P0로 하고 오래된 순서대로 P1, P2, P3, …, 가장 오래된 오디오 정보를 P(n-1)로 하여 n개(이때, n은 자연수임)의 오디오 정보를 관리한다. 예를 들면,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는 수신장치(20)의 요청이 없이도 n개의 오디오 정보를 관리한다. 즉, 오디오 정보를 1ms 길이로 최대 8개를 관리하는 경우에,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는 현재 저장중인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여 9개의 오디오 정보를 관리하고,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는 현재 출력중인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여 9개의 오디오 정보를 관리한다.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and the receiver 20 store audio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audio information is obtained by dividing the audio data into packet units (eg, 1 ms in length)) in the storage units 15 and 25. To manage a certain amount of units (e.g., manage audio information with a length of 1 ms) (manage n audio information), and use the recently collected audio information as P0, and in order of P1, P2, P3,... The audio information of n pieces (where n is a natural number) is managed by using P (n-1) as the oldest audio information. For example,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manages n pieces of audio information without a request from the receiver 20. That is, in the case of managing up to eight pieces of audio information with a length of 1ms,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manages nine pieces of audio information including the currently stored audio information, and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currently Nine pieces of audio information are managed, including the audio information being output.

예를 들면, 오디오 정보를 1ms 길이로 최대 8개를 관리하는 경우에,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는 현재 저장중인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여 9개(n개(이때, n은 자연수임))의 오디오 정보를 관리하여야 하며,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도 현재 출력중인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여 최대 9개(n개)의 오디오 정보를 관리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는 2개의 기본 버퍼 외에 0개부터 7개(0 ~ n-2 개)의 오디오 버퍼를 선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0부터 7ms의 지연이 기본 지연에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비록, 관리되는 오디오 버퍼의 수(0 ~ 7개)에 따라 기본 지연에 0 ~ 7ms가 추가 지연으로 발생되지만, 0부터 최대 7개의 연속적인 통신장애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오디오 정보의 길이를 0.5ms로 줄이게 되면, 지연이 1/2로 줄어들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managing up to eight pieces of audio information with a length of 1 ms,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includes nine pieces (n being natural numbers) including audio information currently stored. Audio information must be managed, and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must also manage up to nine (n) audio information including audio information currently being output. In this case,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may selectively manage 0 to 7 audio buffers (0 to n-2) in addition to the two default buffers, so that a delay of 0 to 7 ms is a basic delay. Will occur in addition to Although 0 to 7 ms is added to the basic delay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naged audio buffers (0 to 7), it is possible to cope with 0 to 7 consecutive communication failures. Of course, if the length of the audio information is reduced to 0.5ms, the delay is reduced to 1/2.

이때,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는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의 요청없이도 새로운 오디오 정보를 수집하여(201) n개의 오디오 정보를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로 전송한다(202). 즉, 현재의 오디오 정보 P0는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의 요청없이도 n회 만큼(현재의 전송을 포함하여 향후 n-1회 전송됨)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로 전송되고, 1회 전송시 n개의 오디오 정보가 전송된다. 즉, 오디오 정보를 1ms 길이로 최대 8개를 관리하는 경우에,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는 P0를 8번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로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오디오 정보는 n회 만큼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로 전송되고(즉, 모든 오디오 정보는 n회 만큼 반복 전송됨), 1회 전송시마다 n개의 오디오 정보가 전송된다(202). At this time,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collects new audio information 201 without requesting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and transmits n pieces of audio information to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202). That is, the current audio information P0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n times (including the current transmission n-1 times in the future) without the request of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and is transmitted once. N audio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at is, in the case of managing up to eight pieces of audio information with a length of 1ms,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transmits P0 to the eighth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In this manner, each piece of audio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n times (that is, all audio information is repeatedly transmitted n times), and n pieces of audio information are transmitted every time (202). .

이때, 혼신이나 장애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와 수신장치(20)는 통신장애 정도에 따라 관리하는 오디오 정보의 개수(n개) 및 기본 버퍼를 제외한 오디오 버퍼의 개수(n-2 개)를 조절하여 전송지연과 통신장애를 적절하게 극복할 수 있다. 다만,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의 오디오 정보 n의 개수는,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의 오디오 정보 n의 개수보다 같거나 커야 한다. In this case, when interference or failure occurs continuously,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and the receiver 20 manage the number of audio information (n) and the number of audio buffers excluding the basic buffer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failure degree ( By adjusting n-2), transmission delay and communication failure can be properly overcome. However, the number of audio information n of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should b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number of audio information n of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하지만, 무엇보다도 오디오 정보를 끊김없이 전송하기 위해서는,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에서 n개의 오디오 정보를 동일한 비율로 전송하기 보다는 최근의 오디오 정보(P0)는 비율을 높이고, 오래된 오디오 정보(P1~Pn)는 비율을 낮추는 방 식으로 전송함으로써,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에서 오디오 음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가장 최신의 오디오 정보는 활용빈도가 높으므로 데이터량을 늘리고, 오래된 오디오 정보는 그 활용빈도가 낮으므로 데이터량을 줄여 전송하는 것이다. However, above all, in order to seamlessly transmit audio information, rather than transmitting n pieces of audio information at the same rate in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recent audio information P0 increases the ratio and old audio information (P1 ~). Pn) is transmitted in a way to lower the ratio,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audio sound quality in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This means that the most recent audio information has a high utilization frequency, thereby increasing the data volume, while the old audio information has a low utilization frequency, so the data volume is reduced.

예를 들면, 활용빈도가 높은 가장 최신의 오디오 정보 P0는 양질의 오디오 정보를 전송(데이터량을 늘려 전송)하고, 활용빈도가 낮은 이전의 오디오 정보(P1~P7)는 다소 떨어지는 품질의 오디오 정보를 각각 품질율을 달리하여 전송(데이터량을 줄여 전송)한다. 즉, 이전 오디오 정보 P7은 과거 최신의 오디오 정보일 때부터 현재까지 8회 중복 전송되어 이전에 이미 정상적으로 전송되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는 그 활용도가 낮다고 보아 다소 품질이 떨어지는 오디오 정보(P7)를 전송한다. 물론, 이전 오디오 정보 P6, P5, ..., P1은 P7보다 반복 전송 횟수가 적기 때문에 P7보다는 품질이 높은 오디오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는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그 품질율을 달리하여 n개의 오디오 정보를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로 전송한다. For example, the most recent high frequency audio information P0 transmits high quality audio information (increasing the amount of data), while the low frequency low frequency audio information (P1 to P7) has a slightly lower quality audio information. Are transmitted with different quality rates (reduced data volume). That is, since the previous audio information P7 has been transmitted twice since the latest audio informatio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revious audio information P7 has already been transmitted normally. Send it. Of course, the previous audio information P6, P5, ..., P1 transmits the audio information of higher quality than P7 because there are fewer repeat transmission times than P7. Accordingly,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transmits n pieces of audio information to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by varying the quality ratio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이와 같이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10)에서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오디오 정보의 품질율을 달리하여 반복 전송하게 되면(202),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에서는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여(301) 수신된 오디오 정보 중에 이전에 없었던 오디오 정보를 채워 넣어(302), 순서가 되면 오디오 정보를 외부로 출력한다(303). As described above, when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10 repeatedly transmits different quality ratios of audio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202),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receives the audio information (301) and receives the received audio. In the information, audio information which has not previously existed is filled in (302), and when the order is reached, the audio information is output to the outside (303).

이렇게 함으로써,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20)에서는 양질의 오디오 음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By doing so,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20 can maintain a good audio quality.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CD-ROM, RAM, ROM, floppy disk, hard disk, magneto-optical disk, etc.) in a computer-readable form. Since this process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not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통신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오디오 정보를 다수의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로 전송지연을 최소화하여 전송할 수 있고, 통신장애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전송지연을 늘려 양질의 오디오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re is a communication failure, the audio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wireless microphone receivers by minimizing a transmission delay, and when a lot of communication failures occur, the transmission delay can be increased to transmit high quality audio in real time. It has an effect.

Claims (9)

삭제delete 무선 오디오(마이크)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In a method of seamlessly delivering audio data in a wireless audio (microphone) system,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 길이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 오디오 정보를 패킷 단위로 관리하는 단계; Dividing the audio data into predetermined lengths and managing the divided audio information in packet units;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에서 각 오디오 정보의 반복 전송 횟수를 인지하는 단계; 및 Recognizing the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of respective audio information in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And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가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해당 오디오 정보의 품질을 달리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되, 상기 반복 전송 횟수가 낮아 '현재 시점에서 활용빈도가 높은 오디오 정보'는 데이터량을 늘리고 상기 반복 전송 횟수가 높아 '현재 시점에서 활용빈도가 낮은 오디오 정보'는 데이터량을 줄여 전송하는 오디오 정보 전송 단계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transmits the audio data to the at least on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in real time by varying the quality of the corresponding audio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but the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is low. 'Audio information' increases the amount of data and has a high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달하는 방법. Method of seamlessly delivering audio data in a wireless audio system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는, 현재 저장중인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분할된 각 오디오 정보를 n(여기서, n은 자연수임)개 관리하며, The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wireless microphone manages the divided audio information 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including audio information currently stored,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는, 현재 출력중인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분할된 각 오디오 정보를 n(여기서, n은 자연수임)개 관리하고, 2개의 기본 버퍼를 제외한 0부터 (n-2)개의 오디오 버퍼를 선택적으로 관리하여 최대 (n-2)개의 통신장애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달하는 방법. The at least on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manages each of the divided pieces of audio information, including audio information currently being output, n (where n is a natural number) and starts from 0 (n-2) except two basic buffers. A method of seamlessly delivering audio data in a wireless audio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manage) audio buffers to cope with up to (n-2) communication failures.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or 3,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는,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and the at least on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양방향 통신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여, 연속적인 통신장애가 많아지면 관리하는 오디오 정보의 수(n)를 늘리고, 연속적인 통신장애가 적어지면 관리하는 오디오 정보의 수(n)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달하는 방법. By exchanging information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the number of audio information managed (n) increases if the continuous communication failure increases, and the number of audio information managed (n) decreases when the continuous communication failure decreases. How to seamlessly pass audio data from your system.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는,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와 양방향 통신을 통해 상호 정보를 교환하여 각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의 통신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일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의 통신영역 이탈 혹은 통신이 두절되는 상황을 화면 표시 혹은 경고음 출력을 통해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달하는 방법. The communication status of each of th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s can be determined b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 at least on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and a screen display or a situation in which on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is out of the communication area or communication is lost. A method of seamlessly delivering audio data in a wireless audio system, characterized by a beep output.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 간에는,Between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and the at least on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동시에 혹은 각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의 요청 순서에 따라 양방향 음성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달하는 방법. A method of seamlessly delivering audio data in a wireless audio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wo-way voice communication is possible at the same time or according to a request order of each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제 6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 중 일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는, On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of the at least on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에서 수신된 오디오 정보를 타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로 즉시 전송함으로써 전달시간을 최소화시키거나, 소정 부분의 오디오 정보를 지연시켜 타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로 전송함으로써 통신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중계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송하는 방법. By minimizing the transmission time by immediately transmitting the audio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to another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or delay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audio information to another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to overcome the communication failure A method of seamlessly transmitting audio data in a wireless audio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elay function.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는 각각, Each of the at least on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정보와는 별개로, 수집된 통신 상태를 이용하여 관리하는 오디오 정보의 수(n)를 동적으로 변경하여, 전송지연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오디오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송하는 방법. Apart from the audio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the number of audio information managed by using the collected communication state (n) can be dynamically changed to reduce or increase the transmission delay. How to seamlessly transfer audio data from your audio system. 오디오 데이터를 끊김없이 전송하기 위하여, 프로세서를 구비한 무선 오디오(마이크) 시스템에, In order to seamlessly transmit audio data, to a wireless audio (microphone) system having a processor,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 길이로 분할하여, 분할된 각 오디오 정보를 패킷 단위로 관리하는 기능; Dividing audio data into predetermined lengths and managing the divided audio information in packet units;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에서 각 오디오 정보의 반복 전송 횟수를 인지하는 기능; 및 A function of recognizing the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of each audio information in 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And 상기 무선 마이크 송신장치가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따라 해당 오디오 정보의 품질을 달리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무선 마이크 수신장치로 실시간 전송하되, 상기 반복 전송 횟수가 낮아 '현재 시점에서 활용빈도가 높은 오디오 정보'는 데이터량을 늘리고 상기 반복 전송 횟수가 높아 '현재 시점에서 활용빈도가 낮은 오디오 정보'는 데이터량을 줄여 전송하는 기능The wireless microphone transmitter transmits the audio data to the at least one wireless microphone receiver in real time by varying the quality of the corresponding audio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but the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is low. 'Audio information' increases the amount of data and the high number of repetitive transmissions increases the 'audio information with low usage frequency at the present time'.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realizing this.
KR1020060083594A 2006-08-07 2006-08-31 Method for transferring audio data without disconnection in a wireless audio system KR10086952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74360 2006-08-07
KR1020060074360 2006-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652A KR20080013652A (en) 2008-02-13
KR100869529B1 true KR100869529B1 (en) 2008-11-19

Family

ID=39341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594A KR100869529B1 (en) 2006-08-07 2006-08-31 Method for transferring audio data without disconnection in a wireless audio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52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58484B (en) * 2019-12-13 2021-12-07 深圳市爱图仕影像器材有限公司 Audio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device, audio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KR102313797B1 (en) * 2020-09-18 2021-10-15 박상래 Wireless mic system comprising wireless mic transmitter and receiv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3757A (en) * 1994-04-14 199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ound data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60009364A (en) * 2003-05-21 2006-01-3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Radio communic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av system, radio transmission method, operation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progra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3757A (en) * 1994-04-14 199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ound data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60009364A (en) * 2003-05-21 2006-01-31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Radio communic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av system, radio transmission method, operation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e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652A (en)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7123B2 (en) High quality low power wireless audio system
US6574668B1 (en) Retransmission scheme in wireless computer networks
JP44058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ata for error correction, generation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program
CN101026569B (en) Device and method for mitigating effects of impulse noise on data packet transfer
KR20020079796A (en) Wireless network system and method
US6687263B2 (en) Method for inverse multiplexing
CN1973470A (en) Wireless audio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with dynamic slot allocation
JP2003069472A (en) Receptio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MXPA03005691A (en) Delivering video over an atm/dsl network using a multi-layered video coding system.
AU2002307631A1 (en) Method for inverse multiplexing
JP2003534712A (en) Radio system and station for broadcast communication, and broadcast method
KR100869529B1 (en) Method for transferring audio data without disconnection in a wireless audio system
KR100341391B1 (en) Adaptive added transmission method and packet loss recovery method for interactive audio service, and audio input-output control device in multimedia computer
CN100527699C (en) Server system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over wireless network
JPH03178233A (en) Digital data transmission accompanying automatic resending request and device therefor
KR100850267B1 (en) Method for reducing the disconnection of audio data by communication fault in a wireless audio system
JP4127149B2 (en) Voice communication system and voice communication method
US7457314B2 (en)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voice transmission via a radio interface
JP4045057B2 (en) Time diversity circuit using partially retransmitted data
KR100933200B1 (en) Wireless Sound Transceiver System Using Ultra-Wideband Communica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US20210266113A1 (en) Audio data buffering for low latency wireless communication
JPH1051426A (en) Time diversity device
CN116131867A (en) Bluetooth audio transmitting equipment, bluetooth audio receiving equipment, related method and system
JP2014179828A (en) Transmission path adaptive device
RU2006136423A (en) SEPARATION OF COMMISSIONS ON SATELLITE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