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988B1 -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 Google Patents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988B1
KR100868988B1 KR1020077001790A KR20077001790A KR100868988B1 KR 100868988 B1 KR100868988 B1 KR 100868988B1 KR 1020077001790 A KR1020077001790 A KR 1020077001790A KR 20077001790 A KR20077001790 A KR 20077001790A KR 100868988 B1 KR100868988 B1 KR 100868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pplication program
mode
communication devic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7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21324A (en
Inventor
카리 키비스퇴
아담 기나어트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77001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988B1/en
Publication of KR20070021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13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9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제1 및 제3 입력수단집합을 포함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3입력수단집합을 가리는 제1포지션과 상기 제3입력수단집합을 드러내는 제2포지션을 가지는 제2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펼쳐질 수 있고, 제2입력수단집합을 포함하며, 상기 제2입력수단집합이 상기 제1하우징에 의해 가려지는 제1포지션과 상기 제2입력수단집합을 드러내는 제2포지션을 가지는 제3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A first housing comprising a first and third set of input means; A second housing rotatably connected to said first housing, said second housing comprising a display, said first housing covering said third set of input means and a second position exposing said third set of input means; A first position that can be unfolded from the first housing and includes a second set of input means, the second input means set having a first position that is obscured by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position that reveals the second set of input means; A third housing is disclosed, compri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lso disclosed is a method for a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escription

개선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장치와 이동 통신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a user inte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많은 이동 통신 장치들은 힌지가 달린 하우징들을 포함하며, 하우징 중 하나에는 디스플레이가 나머지에는 키패드가 형성된 소위 조가비 폰(clamshell phone)으로 되어 있다. 미국 출원 10/877,525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가로 세로 방향이 바뀔 수 있도록 한 개의 피봇 점에 대해 회전하는 메인 화면을 가지는 접힐 수 있는(foldable) 이동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미국 출원 10/910503은 메인 하우징과, 메인 하우징에 대해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회전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제2하우징을 가지는 모바일 폰을 개시한다. 제2하우징이 제2위치에 있을 때 메인 하우징 상의 게임 키가 드러난다. 국제 출원 PCT/EP04/008687은 회전 고리를 따라 돌고 각각은 쿼티(qwerty)식 키보드의 반으로 구성되는 두 개의 파트를 가지는 모바일 폰을 개시한다.Many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include hinged housings, one of which is a so-called clamshell phone with a display and a keypad on the other. US application 10 / 877,525 discloses a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ain screen that rotates about one pivot point so that th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orientation of the display screen can be reversed. US application 10/910503 discloses a mobile phone having a main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comprising a display that can be rotated from a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relative to the main housing. The game key on the main housing is revealed when the second housing is in the second position. International application PCT / EP04 / 008687 discloses a mobile phone having two parts that rotate along a rotating ring and each consist of half of a qwerty keyboard.

그러나, 최근의 이동통신장치는 많은 응용프로그램에 사용되므로, 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요구가 있다. 이동 통신 장치는 주머니나 지갑에 휴대할 수 있도록 작 아야 하지만, 사용자들이 서비스를 잘 선택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큰 화면을 가져야 하고, 동시에 사용하기에 단순해야 하지만 메시지 서비스와 같은 입력수단이 좋아야한다. 따라서, 개선된 이동통신장치가 필요하다.However, recent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are used in many applications, and there are various demands on the desig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hould be small to carry in a pocket or purse, but should have a large screen so that users can use it to select a service well, and should be simple to use at the same time, but good input means such as a message servic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다기능 이동통신장치와 이동통신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functio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various methods for the user inte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의 첫 번째 태양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제1 및 제3 입력수단집합을 포함하는 제1하우징;A first housing comprising a first and third set of input means;

상기 제1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제1포지션과 제2포지션을 가지는 제2하우징;A second hous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the second housing including a display and having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펼쳐질 수 있고, 제2입력수단집합을 포함하며, 제1포지션과 제2포지션을 가지는 제3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입력수단집합은 상기 제3하우징이 상기 제1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하우징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제3하우징이 상기 제2포지션에 있을 때 드러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A third housing, which can be unfolded from the first housing, includes a second set of input means, the third housing having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and wherein the second input means includes: the first hou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provided which is obscured by the first housing when in position and is revealed when the third housing is in the second position.

상기 이동통신장치는 입력수단과 디스플레이의 방향을 고려하여 사용자에 의해 적당한 포맷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configured in a suitable format by the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of the input means and the display.

상기 이동통신장치는 상기 제2 및 제3하우징의 위치에 따른 동작모드에 진입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진입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태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arranged to enter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positions of the second and third housings, and include a user interface for inputting a state according to the entered operation mode.

상기 이동통신장치는 상기 제2하우징이 이의 제1위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이의 제1위치에 있을 때, 정지상태, 스틸 이미지 획득상태, 비디오 획득 상태, 또는 메시지 읽기 상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제1동작모드에 진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in a stationary state, a still image acquisition state, a video acquisition state, or a message reading state or a combination thereof when the second housing is in its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its first position. It may be provided to enter the first operation mode.

상기 이동통신 장치는 상기 제2하우징이 이의 제1위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이의 제2위치에 있을 때, 전화 걸기 상태, 메시지 쓰기 상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제2동작모드에 진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configured to enter a second operation mode consisting of a dialing state, a message writing state, or a combination thereof when the second housing is in its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its second position. Can be prepared.

상기 이동통신장치는 상기 제2하우징이 이의 제2위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이의 제1위치에 있을 때 비디오 호출 상태, 게임 상태, 비디오 렌더링 상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제3동작모드에 진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nters a third operation mode consisting of a video call state, a game state, a video rendering state, or a combination thereof when the second housing is in its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its first position. It may be arranged to.

상기 이동통신장치는 상기 제2하우징이 이의 제2위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이의 제2위치에 있을 때 오피스 도구 상태, 프레젠테이션 상태, 텍스트 쓰기 상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제4동작모드에 진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nters a fourth operation mode consisting of an office tool state, a presentation state, a text writing state, or a combination thereof when the second housing is in its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its second position. It may be arranged to.

이러한 이동통신장치는 각각의 동작모드가 예를 들어, 이동통신장치의 현재 구성에 적당한 하위 집합의 응용프로그램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상태를 포함한다는 이점이 있다.Such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have the advantage that each mode of operation includes, for example, one or more states that enable a subset of applications suitable for the current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이동통신장치는 현재 응용프로그램에 따른 상기 제2 및 제3하우징의 포지션을 제시하도록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may comprise a user interface arranged to present the positions of the second and third housings according to the current application.

이러한 이동통신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편리한 구성을 사용자에게 제시한다는 이점이 있다.Such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s an advantage of presenting a convenient configuration to a user according to an application program used by the user.

제3입력수단집합은 비디오 호출에 사용되도록 마련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이점은 디스플레이가 비디오 호출을 위한 위치에 놓여질 때 카메라가 드러난다는 것이다.The third set of input means may comprise a camera arranged to be used for video calling. The advantage is that the camera is revealed when the display is placed in position for video calling.

상기 제3입력수단집합은 쓰기 스트로크(stroke)를 입력하는데 쓰이도록 마련된 터치 감응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이점은 디스플레이가 오피스 도구와 텍스트 편집을 위한 위치에 놓여질 때 터치 감응 패드가 드러난다는 것이다.The third set of input means may include a touch sensitive pad provided for inputting a writing stroke. The advantage is that the touch-sensitive pad is revealed when the display is in place for office tools and text editing.

상기 제3입력수단집합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키(key)를 포함할 수 있다. 이의 이점은 실제 동작 모드로 진입될 때 특정 동작모드와 관련된 키들이 제시되고, 이동통신장치가 다른 동작 모드에 있을 때 사용자를 방해하거나 혼란시키지 않는다는 것이다.The third input means set may include one or more keys. The advantage is that the keys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mode of operation are presented when entering the actual mode of operation and do not disturb or confuse the user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in a different mode of operation.

상기 제3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슬라이딩되며 펼쳐질 수 있다. 상기 제3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피봇 회전되며 펼쳐질 수 있다.The third housing may slide and unfold from the first housing. The third housing may pivot out from the first housing and unfold.

본 발명의 두 번째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첫 번째 태양에 따른 이동통신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a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2하우징 및 제3하우징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 Determining positions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third housing;

상기 제2하우징이 제1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제1포지션에 있을 때 제1동작모드로 진입하는 단계;Entering a first mode of operation when the second housing is in a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a first position;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제2포지션에 있을 때 제2동작모드로 진입하는 단계;Entering a second mode of operation when the second housing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the second position;

상기 제2하우징이 제2위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제3동작모드로 진입하는 단계;Entering a third mode of operation when the second housing is i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the first position;

제2하우징이 상기 제2위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상기 제2위치에 있을 때 제4동작모드로 진입하는 단계;Entering a fourth mode of operation when a second housing is i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the second position;

진입된 동작모드와 관련된 응용프로그램들을 제시하는 단계;Presenting ap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entered mode of operation;

상기 응용프로그램들 중에서의 선택을 받아들이는 단계;Accepting a selection from among the applications;

상기 선택된 응용프로그램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Invoking the selected application program is provided.

사용자가 이동통신장치의 현재 구성에 알맞은 응용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개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라는 이점이 있다.The advantage is an improved user interface that allows the user to select an application suitable for the current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상기 제1동작모드와 관련된 응용프로그램은 이미지 획득, 비디오 획득, 메시지 읽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동작모드에 관련된 응용프로그램은 전화 걸기 또는 메시지 편집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상기 제3동작모드와 관련된 응용프로그램은 비디오 호출, 게임 또는 렌더링 비디오 또는 이들의 조합과 관련된 응용프로그램일 수 있다. 상기 제4동작모드와 관련된 응용프로그램은 오피스도구, 텍스트 편집 또는 프레젠테이션 또는 이들의 조합과 관련된 응용프로그램일 수 있다.The appli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the first operation mode may be an application program for image acquisition, video acquisition, message reading,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application program related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may be an application program for making a call, editing a message,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appli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the third mode of operation may be an appli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a video call, game or rendering video,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appli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the fourth operation mode may be an appli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office tools, text editing or present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의 세 번째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첫 번째 태양에 의한 이동통신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method for a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동통신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현재 응용프로그램을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a current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상기 현재 응용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associated with the current application;

상기 동작모드로부터 추천되는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제3하우징의 포지션을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positions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third housing recommended from the operation mode;

상기 추천된 포지션을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Presenting the recommended position; a method is provided.

현재 응용프로그램을 위한 이동통신장치의 편리한 구성이 사용자에게 추천된다는 이점이 있다.There is an advantage that a convenient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the current application is recommended for the user.

제1동작모드와 관련된 응용프로그램은 이미지 획득, 비디오 획득, 또는 메시지 읽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이고, 상기 제1동작모드의 추천 포지션은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은 상기 제1포지션에 있는 것일 수 있다.The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first mode of operation is an application for image acquisition, video acquisition, or message reading, or a combination thereof, wherein the recommended position of the first mode of operation is that the second housing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first position is selected. 3 The housing may be in the first position.

제2동작모드와 관련된 응용프로그램은 전화 걸기 또는 메시지 편집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일 수 있고 상기 제2동작모드의 추천 포지션은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상기 제2포지션에 있는 것일 수 있다.The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second mode of operation may be an application for making a call or editing a message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recommended position of the second mode of operation is that the second housing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t may be in the second position.

제3동작모드와 관련된 응용프로그램은 비디오 호출, 게임 또는 비디오 렌더링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일 수 있고 상기 제3동작모드의 추천 포지션은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2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상기 제1포지션에 있는 것일 수 있다.The application associated with the third mode of operation may be an application for video calling, game or video rendering,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recommended position of the third mode of operation is that the second housing is i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The housing may be in the first position.

제4동작모드와 관련된 응용프로그램은 오피스 도구, 텍스트 편집 또는 프레젠테이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일 수 있고, 상기 제4동작모드의 추천 포지션은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2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상기 제2포지션에 있는 것일 수 있다.The appli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the fourth operation mode may be an application for an office tool, text editing or present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the recommended position of the fourth operation mode is that the second housing is i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first position is selected. 3 The housing may be in the second position.

일반적으로,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여기서 특별히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이상,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의미에 따라 해석된다. 모든 "하나의/상기 [요소, 소자, 성분, 수단, 단계 등]"에 관한 참조들은, 특별히 다르게 기술하지 않는 한, 언급된 [요소, 소자, 성분, 수단, 단계 등]의 최소한 하나의 예를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된다.In general, all terms used in the claims are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ir ordinary meaning in the art, unless specifically defined otherwise herein. All references to “one / the [element, element, component, means, step, etc.]”, unless stated otherwise, at least one example of the mentioned [element, element, component, means, step, etc.] It is interpreted to refer to.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이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개시와, 첨부된 청구범위와 도면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ppended claims and drawings.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특징, 이점들을 포함하여 상술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게 설명되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면에서,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같은 참조번호가 사용된다.The foregoing, including fur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etter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hich is described in detail, but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장치를 보인다.1A to 1F show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장치의 정면도이다.2A is a front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이동통신장치의 측면도이다.2B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장치의 배면도이다.3A is a rear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이동통신장치의 측면도이다.3B is a side view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4는 이동통신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방법의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a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5는 이동통신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방법의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a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장치를 보인다.6A and 6B show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장치를 보인다.7A and 7B show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장치를 보인다.8A to 8C show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장치(100)을 보여준다. 이동통신장치(100)는 제1하우징(102), 제1하우징(10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하우징(104) 및 제1하우징(102)으로부터 슬라이딩되며 펼쳐질 수 있는 제3하우징(106)을 포함한다. 상기 제1하우징(102)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키(100)와 같은 입력수단들의 제1입력수단집합(108), 회전 가능한 입력수단(112), 예를 들어 터치 감응 패드(114), 하나 이상의 키(115), 및/또는 제1카메라(116)과 같은 입력수단들의 제3입력수단집합(113)을 포함한다. 또한, 도 3a에서 참조부호 126인 제2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카메라(126)는 제1카메라(116)와 다른 방향을 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하우징은 디스플레이(124)를 포함한다. 제3하우징(106)은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터치 패드(121) 및/또는 예를 들어 키패드나 키보드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키(122)와 같은 입력수단들의 제2입력수단집합(120)을 포함한다.1A to 1F show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includes a first housing 102, a second housing 104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102, and a third housing 106 that can slide and unfold from the first housing 102. It includes. The first housing 102 may comprise, for example, a first set of input means 108 of input means, such as one or more keys 100, a rotatable input means 112, for example a touch sensitive pad 114, One or more keys 115, and / or a third set of input means 113 of input means such as a first camera 116. 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amera having a reference numeral 126 in FIG. Preferably, the second camera 126 faces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camera 116. The second housing includes a display 124. The third housing 106 is a second set of input means 120 of, for example, the touch pad 121 shown in FIG. 2A and / or one or more keys 122 for example forming a keypad or keyboard. ).

도 1a는 제2하우징(104)이 제1포지션에 있고 따라서 디스플레이(124)가 세로 방향일 때의 이동통신장치(100)을 보여준다. 도 1b 및 도 1c는 제2하우징(104)이 돌려질 때의 이동통신장치(100)을 보여주며, 도 1c는 제2하우징(104)이 디스플레이(124)가 가로 방향이 되는 제2포지션에 있을 경우를 보여준다. 제2하우징(104)이 이의 제2포지션에 있을 때 제1하우징(102)의 제3입력수단집합(113)이 나타난다.1A shows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when the second housing 104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thus the display 124 is in the portrait orientation. 1B and 1C show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when the second housing 104 is turned, and FIG. 1C shows the second housing 104 in a second position where the display 124 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how if present. The third set of input means 113 of the first housing 102 appears when the second housing 104 is in its second position.

도 1a는 제3하우징(106)이 제1하우징(102)에 의해 본질적으로 가려지는 제1포지션에 있을 때 이동통신장치(100)을 보여준다. 도 1d 내지 1f는 제3하우징(106)이 펼쳐졌을 때의 이동통신장치(100)를 보여주며, 도 1f는 사용자가 제2입력수단집합(120)이 사용자에게 접근될 수 있도록 제3하우징(106)이 제2포지션에 있는 경우를 보여준다.1A shows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when the third housing 106 is in a first position that is essentially obscured by the first housing 102. 1D to 1F show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when the third housing 106 is unfolded, and FIG. 1F shows the third housing (3) to allow the user to access the second set of input means 120 to the user. 106 is in the second position.

도 2a 및 도 2b는 제2하우징(104)이 이의 제2포지션에 있고 제3하우징(106)이 이의 제2포지션에 있는 경우의 이동통신장치(100)을 보여주며, 도 2a는 정면도이고 도 2b는 측면도이다.2A and 2B show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when the second housing 104 is in its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106 is in its second position, and FIG. 2A is a front view and FIG. 2b is a side view.

도 3a 및 도 3b는 제2하우징(104)이 이의 제1포지션에 있고 제3하우징(106)이 이의 제2포지션에 있는 경우의 이동통신장치(100)을 보여주며, 도 3a는 배면도이고 도 3b는 측면도이다. 이동통신장치(100)은 제2카메라(126)을 포함할 수 있고, 제2하우징(102) 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3A and 3B show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when the second housing 104 is in its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106 is in its second position, and FIG. 3A is a rear view. 3B is a side view.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may include a second camera 126 and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second housing 102.

이동통신장치(100)의 제2하우징(104)가 이의 제1포지션에 있고 제3하우징(106)이 이의 제1포지션에 있을 때 제1동작모드로 진입된다. 제1동작모드는 정지상태, 스틸 이미지 획득 상태, 비디오 획득 상태, 또는 메시지 읽기 상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들(idle) 상태, 즉, 이동통신장치(100)가 전화나 메시지 등을 받기 위한 대기 중에 있고 주머니나 지갑 안에 휴대되는 상태에서, 이동통신장치(100)는 가능하면 컴팩트한 것이 좋다. 이러한 상태는 제2하우징(104)이 이의 제1포지션에 있고 제3하우징(106)이 이의 제1포지션에 있을 때 구현된다. 또한, 스틸 이미지나 비디오 기록을 획득함에 있어서, 이 때는 키패드가 요구되지 않 고 여전히 컴팩트할 것이 요구되며 제2카메라의 사용이 선호되고, 디스플레이 124는 뷰파인더로 사용되므로, 이 구성이 선호된다. 메시지, 특히 SMS(short message service)나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에 의한 짧은 메시지를 읽는데 있어, 이 구성이 선호된다. 메뉴를 통한 네비게이션과 같은 입력이 제1입력수단집합(108)에 의해 수행된다.When the second housing 10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in its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106 is in its first position, it enters the first mode of operation. The first operation mode may include a still state, a still image acquisition state, a video acquisition state, a message reading state, or a combination thereof. In an idle state,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waiting to receive a phone call or a message and is carried in a pocket or purs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preferably as compact as possible. This state is implemented when the second housing 104 is in its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106 is in its first position. Also, in acquiring still images or video recordings, this configuration is preferred since no keypad is required at this time, still compact, the use of a second camera is preferred, and the display 124 is used as a viewfinder. This configuration is preferred for reading messages, especially short messages by short message service (SMS) or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Input such as navigation through a menu is performed by the first set of input means 108.

이동통신장치(100)의 제2하우징(104)이 이의 제1포지션에 있고 제3하우징(106)이 이의 제2포지션에 있을 때 제2동작모드로 진입된다. 제2동작모드는 전화 걸기 상태 도는 메시지 쓰기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화를 걸 때,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제3입력수단집합(120)의 키패드가 사용될 수 있고, 메시지를 쓸 때, 문자 입력을 위해 제3입력수단집합(120)의 키패드나 키보드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황에서 이러한 구성이 선호된다.When the second housing 10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is in its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106 is in its second position, it enters the second mode of operation. The second operation mode may include a dialing state or a message writing state. When making a call, the keypad of the third input means set 120 may be used to enter a telephone number, and when writing a message, the keypad or keyboard of the third input means set 120 may be used for text input. have. Therefore, such a configuration is preferred in the above situation.

이동통신장치(100)가 제2하우징(104)이 이의 제2포지션에 있고 제3하우징(106)이 이의 제1포지션에 있는 상태일 때, 제3동작모드로 진입된다. 제3동작모드는 비디오 호출 상태, 게임 상태, 또는 비디오 렌더링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호출 상태, 특히 다른 상대방도 텔레비전 포맷을 사용하는 화상 회의에 의하는 통신에 있어, 디스플레이(124)가 가로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디스플레이(124)를 보고 있는 사용자를 향하는 제1카메라(116)가 비디오 호출에 사용된다. 디스플레이(124)가 가로 방향으로 되어 있는 것은 또한, 여러 가지 게임을 하거나 특히 텔레비전 포맷이 사용되는 비디오 렌더링에 좋다.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enters a third mode of operation when the second housing 104 is in its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106 is in its first position. The third mode of operation may include a video call state, a game state, or a video rendering state. In a video call state, particularly in a video conferencing communication where the other party also uses the television format,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124 is in the landscape direction. In addition, a first camera 116 facing the user looking at the display 124 is used in the video call. The horizontal display 124 is also good for various games or video rendering, especially television formats.

이동통신장치(100)가 제2하우징(104)이 이의 제2포지션에 있고 제3하우 징(106)이 이의 제2포지션에 있는 상태일 때, 제4동작모드로 진입한다. 제4동작모드는 오피스 도구 상태, 프레젠테이션 상태, 또는 텍스트 쓰기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와 관련된 응용프로그램에 있어, 디스플레이(124)의 가로방향이 선호되며, 제3입력수단집합(120)의 키패드나 키보드가 상기 상황에서 필요할 때 쓰기나 편집을 위한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제3입력수단집합(113)은 쓰기 스트로크(stroke)나 하나 이상의 키(115)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터치 감응 패드(1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00 enters a fourth operating mode when the second housing 104 is in its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106 is in its second position. The fourth operation mode may include an office tool state, a presentation state, or a text writing state. In the application related to the above state, the landscape orientation of the display 124 is preferred, and the keypad or keyboard of the third set of input means 120 enables input for writing or editing when needed in the situation. The third set of input means 113 may include a touch sensitive pad 114 used to input a write stroke or one or more keys 115.

다른 응용프로그램, 예를 들어 인터넷 브라우징은 어떤 구성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브라우저 응용프로그램은 동작모드와 관련된 각각의 응용프로그램 집합의 일부가 될 수 있다. Other applications, for example internet browsing, can be performed in any configuration. Thus, the browser application can be part of each set of ap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mode of oper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포지션 결정단계(400)에서 상술한 이동통신장치의 제2 및 제3 하우징의 포지션이 결정된다. 체크 단계(402,404,406)에서, 진입될 동작모드가 제2 및 제3 하우징의 포지션으로부터 결정된다. 본 예시에서, 제2하우징 포지션 체크 단계(402)에서 제2하우징이 제1포지션에 있는지가 체크되고, 그런 경우, 계속해서, 제3하우징 포지션 체크 단계(404)에서 제3하우징이 제1포지션에 있는지가 체크된다. 제2하우징이 이의 제2포지션에 있는 경우, 제3하우징 포지션 체크 단계(406)에 의한 방법이 계속된다. 제3하우징 포지션 체크 단계에서 제3하우징이 이의 제1포지션에 있는 경우 제1동작모드 진입 단계(408)에 의한 방법이 계속되고, 제3하우징이 제2포지션에 있는 경우 제2동작모드 진입 단계(410)에 의한 방법이 계속된다. 제3하우징 체크 단계(406)에 서 제3하우징이 이의 제1포지션에 있는 경우 제3동작모드 진입 단계(412)에 의한 방법이 계속되고, 제3하우징이 이의 제2포지션에 있는 경우 제3동작모드 진입 단계(414)에 의한 방법이 계속된다. 하우징 포지션의 체크에 있어, 제3하우징 포지션이 먼저 체크되고 다음 제2하우징 포지션이 체크되거나 또는 동시에 체크된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osition determination step 400, the positions of the second and third housing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described above are determined. In check steps 402, 404, 406, the mode of operation to be entered is determined from the positions of the second and third housings. In this example, it is checked in the second housing position check step 402 whether the second housing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if so, in the third housing position check step 404, the third housing is in the first position. Is checked. If the second housing is in its second position, the method by the third housing position check step 406 continues. In the third housing position check step, the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operation mode entry step 408 is continued when the third housing is in its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entry step when the third housing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method by 410 continues. In the third housing check step 406, the method by the third operation mode entry step 412 is continued if the third housing is in its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its second position. The method by operation mode entry step 414 continues. In checking the housing position, the third housing position is first checked and the next second housing position is checked or simultaneously checked.

제1동작모드 진입 단계(408)에서 제1동작모드로 진입된다. 제2동작모드 진입 단계(412)에서 제2동작모드로 진입된다. 제3동작모드 진입단계(410)에서 제3동작모드로 진입된다. 제4동작모드 입력단계(414)에서 제4동작모드로 진입된다. 응용프로그램 제시단계(416)에서 입력된 동작모드와 관련된 응용프로그램들이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이것은 이동통신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이동통신장치의 실제의 기계적 구성과 관련된 이동통신장치의 응용프로그램의 가능한 하위 집합이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메뉴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시된 아이콘 집합으로부터, 제시된 응용프로그램 중에서 선택한다. 다음, 이동통신장치는 응용프로그램 선택 수용 단계(418)에서 응용프로그램 선택을 받아들인다. 다음, 응용프로그램 호출 단계(420)에서, 선택된 응용프로그램이 이동통신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도록 호출된다.Entering the first operation mode In step 408, the first operation mode is entered. In operation 412,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entered. In the third operation mode entry step 410, the third operation mode is entered. In a fourth operation mode input step 414, a fourth operation mode is entered. Application programs related to the operation mode input in the application presentation step 416 are presented to the user. This is preferably presented on the displa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reby a possible subset of the applica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relating to the actual mechanical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presented to the user. Thus, the user selects from among the presented application programs, for example from a presented set of icons in a menu or user interface.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n accepts the application selection in the application selection acceptance step 418. Next, in an application call step 420, the selected application is called to be performed by the processo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반면, 사용자는 사용하고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위한 이동통신장치의 편리한 구성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추천받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응용프로그램 결정 단계(500)에서 현재 응용프로그램, 즉, 이동통신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이동통신장치 상에서 수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이 결정된다. 동작모드 결정단계(502)에서 현재 응용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모드가 결정된다. 동작모드와 응용프로그램의 관계는 상술한 것과 유사하다. 결정된 동작모드로부터, 상술한 이동통신장치의 제2 및 제3하우징의 편리한 포지션이 포지션 결정 단계(504)에서 결정된다. 제시단계(506)에서 결정된 편리한 포지션이 사용자에게,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시된다. 상기 제시는 디스플레이의 일부 상에 있는 이동통신장치의 작은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이와 선택적으로, 상기 제시는 이동통신장치의 하우징이 추천되는 포지션으로 자동적으로 바뀌는 것이 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is recommended through the user interface a convenient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the application being used.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pplication determining step 500, a current application, that is, an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ed by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determined. In operation mode determination step 502, an operation mode associated with a current application is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on mode and the application program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From the determined operation mode, the convenient positions of the second and third housing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described above are determined in the position determination step 504. The convenient position determined in the presentation step 506 is presented to the user, for example via a display. The presentation may be a small imag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n a portion of the display. Alternatively, the presentation may be such that the housing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automatically changed to the recommended posi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장치(600)를 보인다. 제1 및 제2 하우징(602,604)은 도 1 내지 도 3에 의한 이동통신장치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다. 제3하우징(606)의 두 개의 서브 하우징(608,610)이 제1포지션으로부터 도 6b에 도시한 제2포지션을 향해 부분적으로 피봇 되어 있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하우징(606)은, 제1하우징(602)으로부터 피봇 회전 가능한 두 개의 서브 하우징(608,610)을 포함한다. 제3하우징(606), 즉 두 개의 서브 하우징(608,610)은 쿼티(qwerty)식 키보드(6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제2하우징(604)이 제2포지션으로 전환되는 것을 보이며, 상기 제2포지션은, 제2포지션에 있는 제3하우징과 함께, 예를 들어 오피스 도구를 사용한 프레젠테이션의 편집 및/또는 텍스트의 쓰기/편집에 적합할 수 있다.6A and 6B show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602 and 604 are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FIGS. As shown in FIG. 6A, two sub-housings 608, 610 of the third housing 606 are pivoted partially from the first position toward the second position shown in FIG. 6B, the third housing 606 is Two sub-housings 608, 610 pivotable from the first housing 602. The third housing 606, that is, the two sub housings 608 and 610, may include a qwerty keyboard 612. 6A and 6B show that the second housing 604 is switched to the second position, which, together with the third housing in the second position, edits the presentation using, for example, office tools and May be suitable for writing / editing text.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장치(700)을 도시한다. 제1 및 제2 하우징(702,704)은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이동통신장치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다. 제3하우징(706)이 부분적으로 이의 제1포지션 으로부터 피봇되어 있는 것으로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하우징(706)은, 제1포지션으로부터 도 7b에 도시된 제2포지션으로 피봇 회전 가능하다. 제3하우징(706)은 키패드(708)) 및/또는 터치패드(7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또한 제2하우징(704)이 제2포지션으로 바뀌는 것을 도시한다.7A and 7B illustrate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702 and 704 are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3 and 6. As shown in FIG. 7A as the third housing 706 is partially pivoted from its first position, the third housing 706 is pivotable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shown in FIG. 7B. . The third housing 706 can include a keypad 708 and / or a touchpad 710. 7A and 7B also show that the second housing 704 changes to the second position.

도 8a, 8b 및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장치(800)의 측면도이다. 제1 및 제2 하우징(802,804)은 도 1 내지 도 3,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실시예의 이동통신장치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다. 제3하우징(806)이 그 제1포지션으로부터 부분적으로 피봇되어 있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하우징(806)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포지션으로부터 도 8c에 도시된 제2포지션으로 플립(flip) 또는 클램셀(clambshell)과 같이 접힐 수 있다. 제3하우징(806)은 키패드(미도시) 및/또는 터치패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b 및 도 8c는 제3하우징(806)이 이동통신장치(800)의 아래쪽으로 접히는 것을 도시한다. 그러나, 제3하우징(806)은 책을 펼치는 것처럼 옆으로 접힐 수도 있다. 또한, 제3하우징은, 각 방향으로, 예를 들어 하나는 오른쪽으로 하나는 왼쪽으로, 또는 하나는 오른쪽으로 하나는 왼쪽으로 하나는 아래쪽으로, 각기 접히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서브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8A, 8B and 8C are side views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8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802 and 804 are similar to those describ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3, 6, and 7. As shown in FIG. 8B where the third housing 806 is partially pivoted from its first position, the third housing 806 is shown in FIG. 8C from the first position, as shown in FIG. 8A. The second position may be folded, such as a flip or clamshell. The third housing 806 may include a keypad (not shown) and / or a touch pad (not shown). 8B and 8C show that the third housing 806 is folded down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800. However, the third housing 806 may be folded sideways as if the book is open. In addition, the third housing may comprise two or more sub- housings which are folded in each direction, for example one to the right and one to the left, or one to the right and one to the left and one to the bottom, respectively. have.

본 발명은 상기에서 몇 개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주와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several embodiments. However,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at are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23)

제1입력수단집합을 포함하는 제1하우징;A first housing comprising a first set of input means; 상기 제1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제1포지션과 제2포지션을 가지는 제2하우징;A second hous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the second housing including a display and having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펼쳐질 수 있고, 제2입력수단집합을 포함하며, 제1포지션과 제2포지션을 가지는 제3하우징;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장치로서,A third communication device, comprising: a third housing extending from the first housing and including a second set of input means, the third housing having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상기 제2입력수단집합은,상기 제3하우징이 상기 제1포지션에 있을 때 상기 제1하우징에 의해 가려지고, 상기 제3하우징이 상기 제2포지션에 있을 때 드러나며,The second set of input means is hidden by the first housing when the third housing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is revealed when the third housing is in the second position, 상기 이동 통신 장치는,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제3하우징의 포지션에 따른 동작모드로 진입하도록 마련되고, 진입된 동작모드에 따라 상태를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장치.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 user interface provided to enter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positions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third housing, and to input a state according to the entered operation mod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2하우징이 제1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제1포지션에 있을 때, 정지상태, 스틸 이미지 획득 상태, 비디오 획득 상태, 또는 메시지 읽기 상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제1동작모드에 진입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장치.When the second housing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the first position, a first operation mode consisting of a still state, a still image acquisition state, a video acquisition state, or a message reading state or a combination thereof is enter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2하우징이 제1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제2포지션에 있을 때, 전화 걸기 상태, 메시지 쓰기 상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제2동작모드에 진입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장치.And when the second housing is in a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a second position, enter a second operation mode consisting of a dialing state, a message writing state, or a combination thereof. Device.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제2하우징이 제2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제1포지션에 있을 때 비디오 호출 상태, 게임 상태, 비디오 렌더링 상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제3동작모드에 진입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장치.Move to a third operating mode consisting of a video call state, a game state, a video rendering state or a combination thereof when the second housing is in a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a first position. Communication device.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제2하우징이 제2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제2포지션에 있을 때, 오피스 도구 상태, 프레젠테이션 상태, 텍스트 쓰기 상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제4동작모드에 진입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장치.And when the second housing is i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the second position, enter the fourth operation mode consisting of an office tool state, a presentation state, a text writing state, or a combination there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3 or 4, 현재 응용프로그램에 따른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제3하우징의 포지션을 제시하도록 마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장치.And a user interface arranged to present positions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third housing according to a current application.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3 or 4, 제3입력수단집합을 더 포함하며,Further comprising a third set of input means,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포지션에서 상기 제3입력수단집합을 가리고, 상기 제2포지션에서 상기 제3입력수단집합을 드러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장치.And the second housing covers the third set of input means in the first position and exposes the third set of input means in the second position.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3입력수단집합은 쓰기 스트로크(writing stroke)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터치 감응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장치.And said third set of input means comprises a touch sensitive pad used to input a writing strok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3입력수단집합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키(key)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장치.And the third set of input means comprises one or more keys.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3입력수단집합은 비디오 호출에 사용되도록 마련된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장치.And said third set of input means comprises a camera arranged to be used for video calling.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3 or 4, 상기 제3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슬라이딩되며 펼쳐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장치.The third housing is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liding and unfolding from the first housing. 제 1 항,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3 or 4, 상기 제3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으로부터 피봇 회전되며 펼쳐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장치.And the third housing is pivotally rotated from the first housing and can be unfolded. 제 1 항의 이동통신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a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1, 상기 제2하우징 및 제3하우징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positions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third housing; 상기 제2하우징이 제1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제1포지션에 있을 때 제1동작모드로 진입하는 단계;Entering a first mode of operation when the second housing is in a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a first position;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제2포지션에 있을 때 제2동작모드로 진입하는 단계;Entering a second mode of operation when the second housing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the second position; 상기 제2하우징이 제2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상기 제1포지션에 있을 때 제3동작모드로 진입하는 단계;Entering a third mode of operation when the second housing is in a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the first position; 제2하우징이 상기 제2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상기 제2포지션에 있을 때 제4동작모드로 진입하는 단계;Entering a fourth mode of operation when a second housing is in the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the second position; 진입된 동작모드와 관련된 응용프로그램을 제시하는 단계;Presenting an appli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the entered operation mode; 상기 응용프로그램 중에서의 선택을 받아들이는 단계;Accepting a selection among the applications; 상기 선택된 응용프로그램을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Invoking the selected application program.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1동작모드와 관련된 응용프로그램은 이미지 획득, 비디오 획득, 메시지 읽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appli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the first mode of operation is an application program for image acquisition, video acquisition, message reading, or a combination thereof.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상기 제2동작모드와 관련된 응용프로그램은 전화 걸기, 메시지 편집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appli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the second mode of operation is an application program for making a call, editing a message, or a combination thereof.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상기 제3동작모드와 관련된 응용프로그램은 비디오 호출, 게임, 비디오 렌더링, 또는 이들의 조합에 관한 응용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appli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the third mode of operation is an application program for video calling, gaming, video rendering, or a combination thereof.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or 15, 상기 제4동작모드와 관련된 응용프로그램은 오피스 도구, 텍스트 편집, 프레젠테이션 또는 이들의 조합에 관한 응용프로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appli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the fourth operation mode is an application program relating to office tools, text editing, present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제 14 항의 이동통신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A method for a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f claim 14, 상기 이동통신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현재 응용프로그램을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a current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상기 현재 응용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associated with the current application; 상기 동작모드로부터, 추천되는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제3하우징의 포지션을 결정하는 단계;Determining positions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third housing recommended from the operation mode; 상기 추천된 포지션을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Presenting the recommended position.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제1동작모드와 관련된 응용프로그램은 이미지 획득, 비디오 획득 또는 메시지 읽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이고,An appli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the first operation mode is an application program for image acquisition, video acquisition, message reading,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제1동작모드의 추천 포지션은 상기 제2하우징이 상기 제1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상기 제1포지션에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recommended position of the first mode of ope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housing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the first position.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or 20, 상기 제2동작모드와 관련된 응용프로그램은 전화 걸기, 메시지 편집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위한 응용프로그램이고,An application program related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an application program for making a call, editing a message,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제2동작모드의 추천 포지션은 상기 제2하우징이 제1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제2포지션에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recommended position of the second mode of ope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housing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the second position.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or 20, 상기 제3동작모드와 관련된 응용프로그램은 비디오 호출, 게임 또는 렌더링 비디오 또는 이들의 조합에 관한 응용프로그램이고,An application program related to the third operation mode is an application program related to video calling, game or rendering video,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제3동작모드의 추천포지션은 상기 제2하우징이 제2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제1포지션에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recommended position of the third mode of ope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housing is in a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a first position.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or 20, 상기 제4동작모드와 관련된 응용프로그램은 오피스 도구, 텍스트 편집 또는 프레젠테이션 또는 이들의 조합에 관한 응용프로그램이고,The application program associated with the fourth operation mode is an application program relating to office tools, text editing or presenta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상기 제3동작모드의 추천 포지션은 상기 제2하우징이 제2포지션에 있고 상기 제3하우징이 제2포지션에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The recommended position of the third mode of ope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housing is in a second position and the third housing is in a second position.
KR1020077001790A 2004-06-25 2005-03-21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KR1008689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01790A KR100868988B1 (en) 2004-06-25 2005-03-21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77,525 2004-06-25
KR1020077001790A KR100868988B1 (en) 2004-06-25 2005-03-21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324A KR20070021324A (en) 2007-02-22
KR100868988B1 true KR100868988B1 (en) 2008-11-17

Family

ID=41647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790A KR100868988B1 (en) 2004-06-25 2005-03-21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98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75683A (en) * 2001-05-09 2002-11-20 Motorola Inc Modula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dule for use therein
EP1357726A1 (en) * 2002-04-26 2003-10-29 Nec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having a rotating display and two cameras
US20030202656A1 (en) * 2002-04-26 2003-10-30 Nec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set
EP1387241A2 (en) * 2002-07-30 2004-02-04 Fujitsu Limite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75683A (en) * 2001-05-09 2002-11-20 Motorola Inc Modula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dule for use therein
EP1357726A1 (en) * 2002-04-26 2003-10-29 Nec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having a rotating display and two cameras
US20030202656A1 (en) * 2002-04-26 2003-10-30 Nec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set
EP1387241A2 (en) * 2002-07-30 2004-02-04 Fujitsu Limited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1324A (en)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66351C (en)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EP1610530B1 (en)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KR100575999B1 (en) Bar 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FI118073B (en) Portable, at least two modes of use including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hinged mechanism therefor
US7409059B2 (en) Portable terminal unit
KR100304484B1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401097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FI118621B (en) Portable, foldable electronic device with open and closed operating position and handle arrangement
US7869843B2 (en) Hand 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40257334A1 (en) Portable terminal unit
JP2007179525A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JP2003008695A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JP2002094629A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N1902562A (en) Electronic device with fold out display and/or keyboard
KR100876790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multimedia
US20040189597A1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20100075726A1 (en) Portable terminal for multimedia
JP2007516628A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folding and rotatable storage member
US20080125198A1 (en) Portable multimedia communication apparatus
JP2004120436A (en) Portable terminal
KR100868988B1 (en)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CA2676908C (en) Hand 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2222058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transitionable between different configurations
JP2004179870A (en) Mobile terminal
EP2259558A1 (en) A biasing component for raising and lowering a keyboard for a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