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760B1 - 재생장치, 재생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재생장치, 재생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760B1
KR100867760B1 KR1020010024906A KR20010024906A KR100867760B1 KR 100867760 B1 KR100867760 B1 KR 100867760B1 KR 1020010024906 A KR1020010024906 A KR 1020010024906A KR 20010024906 A KR20010024906 A KR 20010024906A KR 100867760 B1 KR100867760 B1 KR 100867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playback
reproduction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5166A (ko
Inventor
사카타준이치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47476A external-priority patent/JP41683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4747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32578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4747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325768A/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105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3Querying
    • G06F16/6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639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using playli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5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장치, 재생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하여,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에 의해 오디오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 적용하여, 종래와는 다른 방법에 의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표시화면의 설정 등을 간략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재생처리와의 관계를 종래에 비하여 한층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제 1발명은, 적어도 재생시간이 설정된 소정의 잘라 내는 패턴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를 잘라 내서 연속하여 재생한다. 제 2발명은, 콘텐츠를 처리하는 처리계의 동작의 조건을 전환하는 동시에, 그 전환에 연동하여 표시화면의 디자인을 전환한다. 또한 제 3발명에서는, 재생처리를 이미지시키는 조작자의 표시(B) 또는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ARP)에서,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로부터 재생하는 순서로 순차 연속하도록, 플레이리스트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배열하여 표시한다. 또 복수의 플레이리스트(P1, P2) 중의 1개의 플레이리스트P1(P2)의 1개의 콘텐츠의 재생을 종료하면, 다른 플레이리스트P2(P1)의 1개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 적어도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와 이어서 재생하는 콘텐츠를 각각 다른 콘텐츠로부터 식별 가능하게 표시한다.

Description

재생장치, 재생방법 및 기록매체{Reproducing apparatus, reproduc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퍼스널컴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퍼스널컴퓨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퍼스널컴퓨터에 있어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메뉴화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화면에서 커버의 표시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표시화면의 동화의 표시영역(ARM)의 하측의 영역의 설명하기 위한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표시화면의 플레이리스트의 설명하기 위한평면도이다.
도 7은 플레이리스트의 자동생성의 설명하기 위한평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표시화면의 스톡트레이와 그 주변구성의 설명하기 위한평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퍼스널컴퓨터에 있어서의 플레이리스트의 전환의 설명하기 위한플로차트이다.
도 10은 플레이리스트의 표시전환의 설명하기 위한평면도이다.
도 11은 템플릿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2는 템플릿에 설정된 효과음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3은 하드한 재생스타일이 선택된 경우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소프트한 재생스타일이 선택된 경우의 표시화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의 퍼스널컴퓨터에 의한 잘라 내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도 15의 처리에 의해 잘라 낸 재생대상의 재생의 설명하기 위한플로차트이다.
도 17은 도 16의 처리에 의한 콘텐츠의 접속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18은 편집의 설명하기 위한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퍼스널컴퓨터 8. 조그다이얼
12. 중앙처리유닛
본 발명은 재생장치, 재생방법 및 기록매체에 관하여,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에 의해 오디오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제 1발명은, 적어도 재생시간이 설정된 소정의 잘라 내는 패턴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를 잘라 내어 연속하여 재생함으로써, 종래와는 다른 방법에 의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출원의 제 2발명은, 콘텐츠를 처리하는 처리계의 동작의 조건을 전환하는 동시에, 그 전환에 연동하여 표시화면의 디자인을 전환함으로써, 표시화면의 설정 등을 간략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제 3발명은, 재생처리를 이미지시키는 조작자의 표시 또는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에서, 재생하는 순서로 순차 연속하도록, 플레이리스트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배열하여 표시함으로써, 재생처리와의 관계를 종래에 비하여 한층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복수의 플레이리스트 중의 1개의 플레이리스트의 1개 콘텐츠의 재생을 종료하면, 다른 플레이리스트의 1개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 적어도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와 이어서 재생하는 콘텐츠를 각각 다른 콘텐츠에서 식별 가능하게 표시함으로써, 복수의 플레이리스트를 콘텐츠단위로 선택하여 재생하는 경우라도, 재생처리와의 관계를 종래에 비하여 한층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 퍼스널컴퓨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플레이리스트의 등록을 받아들이고, 이 플레이리스트에 따라서, 하드디스크장치에 기록한 콘텐츠인 오디오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와 같은 오디오데이터의 재생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퀄 라이저, 음장 등의 설정에 사용하는 파라미터를 전환할 수 있도록 되고, 이것에 의해 사용자의 소망하는 분위기에서 오디오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표시화면에 있어서는, 이들의 효과를 전환하는 조작자 등이 표시되고, 사용자의 기호에 의해 다양하게 배경을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플레이리스트에 따른 재생에 있어서는, 플레이리스트에 기록된 순서에 의한 오디오데이터의 재생에 더하여, 소위 랜덤재생이 있으며, 이것에 의해 동일한 플레이리스트에 따라서 재생하는 경우라도, 재생할 때마다, 다른 곡의 순서에 따라 재생되므로, 사용자가 싫증나지 않게 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랜덤재생에 있어서도, 결국, 싫증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의해 이와 같은 재생방법 외에, 다른 방법에 의해 이들의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면, 이런 종류의 재생장치의 사용편리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출원의 제 1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룩된 것으로, 종래와는 다른 방법에 의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장치, 재생방법, 재생순서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 상술과 같은, 설정조작을 간략화 할 수 있다면, 이런 종류의 재생장치의 사용편리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출원의 제 2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룩된 것으로, 퍼스널컴퓨터에 의해 오디오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표시화면의 설정 등을 간략화 할 수 있는 재생장치, 재생방법, 재생의 처리순서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과 같은 플레이리스트에 따른 오디오데이터의 재생에 있어서는, 재생 중에 플레이리스트를 표시하고, 이 플레이리스트의 표시에 의해 재생의 순서, 현재 재생중의 곡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지만 현재, 어떤 곡을 현재 재생하고 있는지, 이어서 어떤 곡을 재생할 것인지 등의, 재생처리와의 관계를 더 한층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면, 이런 종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편리를 한층 향상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출원의 제 3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룩된 것으로, 재생처리와의 관계를 종래에 비하여 한층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재생장치, 재생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1의 발명에 있어서는, 재생장치 또는 재생방법에 적용하여, 적어도 재생시간이 설정이 설정된 소정의 잘라 내는 패턴에 기초하여, 콘텐츠군의 각 콘텐츠에 부분적으로 재생하는 부위를 설정하는 동시에, 콘텐츠군으로부터 순차 콘텐츠를 선택하고, 그 선택한 콘텐츠에 설정한 부분적으로 재생하는 부위를 순차 재생한다.
또 청구항 21의 발명에 있어서는, 재생순서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적용하여, 이 재생순서가, 적어도 재생시간이 설정된 소정의 잘라 내는 패턴에 기초하여, 콘텐츠군의 각 콘텐츠에 부분적으로 재생하는 부위를 설정하는 동시에, 콘텐츠군으로부터 순차 콘텐츠를 선택하고, 이 선택한 콘텐츠에 설정한 부분적으로 재생하는 부위를 순차 재생하도록 한다.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1의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재생시간이 설정된 소정의 잘라 내는 패턴에 기초하여, 콘텐츠군의 각 콘텐츠에 부분적으로 재생하는 부위를 설정하고, 이 부분적으로 재생하는 부위를 순차 재생함으로써, 텔레비젼, 라디오 등에 있어서의 다이제스트와 같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청구항 21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와는 다른 방법에 의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순서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얻을 수 있다.
또, 청구항 25 또는 청구항 27의 발명에 있어서는, 재생장치 또는 재생방법에 적용하여, 소정의 조작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적어도 콘텐츠를 처리하는 처리계의 동작의 조건을 전환하는 동시에, 이 전환에 연동하여 표시화면의 디자인을 전환한다.
또 청구항 29의 발명에 있어서는, 재생순서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적용하여, 이 재생순서가, 소정의 조작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적어도 콘텐츠를 처리하는 처리계의 동작의 조건을 전환하는 동시에, 이 전환에 연동하여 표시화면의 디자인을 전환하도록 한다.
청구항 25 또는 청구항 27의 구성에 의하면, 소정의 조작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적어도 콘텐츠를 처리하는 처리계의 동작의 조건을 전환하는 동시에, 이 전환에 연동하여 표시화면의 디자인을 전환함으로써, 처리의 조건과, 표시화면의 디자인을 정리하여 전환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표시화면의 설정 등을 간략화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청구항 29의 구성에 의하면, 표시화면의 설정 등을 간략화 할 수 있는 재생순서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1 또는 청구항 44의 발명에 있어서는, 재생장치 또는 재생방법에 적용하여, 적어도 재생의 개시 또는 정지를 지시하는 조작자의 표시에서, 현재 진행중의 콘텐츠로부터 재생하는 순서로 순차 연속하도록, 플레이리스트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배열하여, 플레이리스트를 표시한다.
또 청구항 35 또는 청구항 48의 발명에 있어서는, 재생장치 또는 재생방법에 적용하여,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에 대하여, 재생하는 순서로 순차 연속하도록, 플레이리스트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배열하여 플레이리스트를 표시한다.
또 청구항 38 또는 청구항 51의 발명에 있어서는, 재생장치 또는 재생방법에 적용하여, 복수의 플레이리스트를 표시하고, 복수의 플레이리스트 중의 1개의 플레이리스트의 1개의 콘텐츠의 재생을 종료하면, 다른 플레이리스트의 1개의 콘텐츠를 재생하고, 적어도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와 이어서 재생하는 콘텐츠를 각각 다른 콘텐츠에서 식별 가능하게 표시한다.
또 청구항 57의 발명에 있어서는, 재생의 처리순서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적용하여, 이 재생의 처리순서가, 적어도 재생의 개시 또는 정지를 지시하는 조작자의 표시에서,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로부터 재생하는 순서로 순차 연속하도록, 플레이리스트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배열하여, 플레이리스트를 표시한다.
또 청구항 59의 발명에 있어서는, 재생의 처리순서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적 용하여, 이 재생의 처리순서가 표시부의 소정영역에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형성하고,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에 대하여, 재생하는 순서로 순차 연속하도록, 플레이리스트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배열하여, 플레이리스트를 표시한다.
또 청구항 61의 발명에 있어서는, 재생의 처리순서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적용하여, 이 재생의 처리순서가, 복수의 플레이리스트를 표시하고, 복수의 플레이리스트 중의 1개의 플레이리스트의 1개의 콘텐츠의 재생을 종료하면, 다른 플레이리스트의 1개의 콘텐츠를 재생하고, 적어도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와 이어서 재생하는 콘텐츠를 각각 다른 콘텐츠로부터 식별 가능하게 표시한다.
청구항 31 또는 청구항 44의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재생의 개시 또는 정지를 지시하는 조작자의 표시로부터,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에서 재생하는 순서로 순차 연속하도록, 플레이리스트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배열하여, 플레이리스트를 표시함으로써, 조작자의 표시에 의해 재생처리를 이미지시키고, 또 연속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의 배열에 의해 재생처리와 콘텐츠의 관계를 이미지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재생처리와의 관계를 종래에 비하여 한층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청구항 35 또는 청구항 48의 구성에 의하면,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에 대하여, 재생하는 순서로 순차 연속하도록, 플레이리스트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배열하여, 플레이리스트를 표시함으로써,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에 의해 재생처리를 이미지시키고, 또 연속하는 콘텐츠를 나타 내는 표시의 배열에 의해 재생처리와 콘텐츠의 관계를 이미지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재생처리와의 관계를 종래에 비하여 한층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청구항 38 또는 청구항 51의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플레이리스트를 표시하고, 복수의 플레이리스트 중의 1개의 플레이리스트의 1개의 콘텐츠의 재생을 종료하면, 다른 플레이리스트의 1개의 콘텐츠를 재생하고, 적어도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와 이어서 재생하는 콘텐츠를 각각 다른 콘텐츠로부터 식별 가능하게 표시함으로써, 복수의 플레이리스트를 콘텐츠단위로 선택하여 재생하는 경우라도, 재생처리와의 관계를 종래에 비하여 한층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청구항 57의 구성에 의하면, 재생의 처리순서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적용하여, 이 재생의 처리순서가, 적어도 재생의 개시 또는 정지를 지시하는 조작자의 표시로부터,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에서 재생하는 순서로 순차 연속하도록, 플레이리스트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배열하여, 플레이리스트를 표시함으로써, 재생처리와의 관계를 종래에 비하여 한층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재생의 처리순서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9의 구성에 의하면, 재생의 처리순서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적용하여, 이 재생의 처리순서가, 표시부의 소정영역에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형성하고,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에 대하여, 재생하는 순서로 순차 연속하도록, 플레이리스트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배열하여, 플레이리스트를 표시함으로써, 재생처리와의 관계를 종래에 비하여 한층 용이하게 파 악할 수 있는 재생의 처리순서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청구항 61의 구성에 의하면, 재생의 처리순서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적용하여, 이 재생의 처리순서가 복수의 플레이리스트를 표시하고, 복수의 플레이리스트 중의 1개의 플레이리스트의 1개의 콘텐츠의 재생을 종료하면, 다른 플레이리스트의 1개의 콘텐츠를 재생하고, 적어도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와 이어서 재생하는 콘텐츠를 각각 다른 콘텐츠로부터 식별 가능하게 표시함으로써, 복수의 플레이리스트를 콘텐츠단위로 선택하여 재생하는 경우에도, 재생처리와의 관계를 종래에 비하여 한층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재생의 처리순서를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적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자세히 기술한다.
(1) 실시형태의 구성
(1-1)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퍼스널컴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퍼스널컴퓨터(1)는, 통상의 노드형 퍼스널컴퓨터와 동일하게, 외관상, 본체(2)측에 조작키(3), 포인팅 디바이스(4), 모뎀단자(5) 등이 배치되고, 또 덮개(6)측에는 액정표시패널(7)을 배치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 퍼스널컴퓨터(1)는, 본체의 측편에 조그다이얼(8)이 배치되고, 액정표시패널(7)의 상편에는 CCD카메라(9)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조그다이얼(8)은, 화살표(B)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조작에 의한 스위치로서의 기능도 가지는 회전조작자 이며, 본체(2)의 측편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도록 배치된 원판상의 회전조작자(8A)를 화살표(A)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하여, 소정방향으로의 마우스의 조작 등과 동일한 조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이 퍼스널컴퓨터(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퍼스널컴퓨터(1)는, ISA(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버스(11)에 여러 가지로 인터페이스가 접속되고, 이 ISA버스(11)를 거쳐서 조작키(3)의 조작, 전원의 이상 등이 중앙처리유닛(12)에 통지된다.
즉 퍼스널컴퓨터(1)에 있어서, I/O콘트롤러(13)는, ISA버스(11)와의 사이에서, 영숫자키 등에 의한 조작키(3)의 인터페이스, 적외선포토(15)에 접속되는 적외선에 의한 통신유닛의 인터페이스, 플래시메모리(16)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또 퍼스널컴퓨터(1)는, 전원공급 충전제어회로(18)의 제어에 의해, 외부전원 커넥터(17)를 거쳐서 입력되는 전원 또는 배터리(19)에 의해 동작하고, 또 외부전원 커넥터(17)를 거쳐서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배터리(19)를 충전하고, I/O콘트롤러(13)는, 이 전원공급 충전제어회로(18)와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또 I/O콘트롤러(13)는, 조작패널 상에 배치된 발광다이오드(LED)(20)의 구동회로를 구성하고, 더욱이는 좌표입력수단인 스틱식 포인팅 디바이스(4)의 인터페이스, 마우스의 우클릭, 좌클릭 등의 조작자에 대응하는 좌, 우 및 센터버튼(22)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또 I/O콘트롤러(13)는, 조그다이얼(8)의 회전조작량을 검출하는 회전검출부(26)와의 사이의 인터페이스, 이 조그다이얼(8)의 가압조작을 검출하는 전체누름/절반누름 스위치(27)의 인터페이스, 더욱이는 전원스위치(28), 반전스위 치(29)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사운드콘트롤러(31)는, ISA버스(11)에 접속되어 있는 음성신호의 입출력에 관계되는 인터페이스이며, 마이크(32)를 거쳐서 취득되는 음성신호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처리하여 ISA버스(11)에 출력하고, 또 이것과는 역으로 ISA버스(11)에 출력되는 오디오데이터를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처리하여 내장스피커(33)를 구동한다.
모뎀(35)은, 모뎀단자(5)를 거쳐서 ISDN회선 등에 접속된다. 모뎀(35)은, ISA버스(11)에 접속되어서, 여러 가지로 정보네트워크와의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이들에 의해 퍼스널컴퓨터(1)는, 조작키(3) 등의 조작에 응답하여 예를 들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로부터 소망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퍼스널컴퓨터(1)는, PCI-ISA브릿지(38)를 통해서, 이 ISA버스(11)가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버스(40)에 접속되고, 이 PCI버스(40)에 전송속도의 빠른 인터페이스가 접속된다. 즉 PC카드 인터페이스(41)는, PCI버스(40)에 접속되어서, PC카드슬롯(42)에 장착되는 PC카드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또 IEEE1394 인터페이스(43)는, 동일하게 PCI버스(40)에 접속되어서, IEEE1394단자에 접속되는 기기와의 사이에서 IEEE1394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비디오 캡쳐처리(46)는, PCI버스(40)에 접속되어서, CCD카메라(9)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또한 비디오 캡쳐처리칩(46)은, I2C버스에 의해서도 CCD카메라(9)와 접속된다. PCI-ISA브릿지(38)는, PCI버스(40) 및 ISA버스(11)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동시에, PCI버스(40)와 USB(Universal Serial Bus)에 의한 단자(USB단자)(49)와의 인터페이스, PCI버스(40)와 하드디스크장치(HDD)와의 인터 페이스를 구성한다. 이것에 의해, 퍼스널컴퓨터(1)에서는, 하드디스크장치(50)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상승시켜서 동작하고, 또한 여러 가지로 정보를 하드디스크장치(50)에 기록한다. 또 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서 네트워크로부터 취득한 여러 가지로 정보를 USB단자(49)를 통해서 여러 가지의 기기에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되고, 또 이것과는 역으로 여러 가지의 기기로부터 소망의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퍼스널컴퓨터(1)는, 호스트-PCI브릿지(52)를 거쳐서, 이 PCI버스(11)가 호스트버스(BUS)에 접속되고, 이 호스트버스(HBUS)에 캐시메모리(캐시)(55), 중앙처리유닛(12)이 접속된다. 또 호스트-PCI브릿지(52)를 거쳐서, 비디오 콘트롤러(54)가 호스트버스(HBUS)에 접속되고, 이것에 의해 중앙처리유닛(12)의 제어에 따른 비디오 콘트롤러(54)의 제어에 의해 액정디스플레이(7)에 CCD카메라(9)로 취득한 화상, 더욱이는 퍼스널컴퓨터(1)의 조작에 필요한 여러 가지로 GUI 등을 표시한다. 또 호스트-PCI브릿지(52)를 거쳐서, 랜덤 액세스메모리(RAM)(57)가 호스트-PCI버스(HBUS)에 접속되고, 이것에 의해 랜덤 액세스메모리(57)에 중앙처리유닛(12)의 워크영역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퍼스널컴퓨터(1)에서는 클럭제너레이터(59)에 의해 여러 가지로 동작기준의 기준신호를 생성하여 각 회로블록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하여 구성되는 퍼스널컴퓨터(1)에 있어서는, 하드디스크장치(50)에 기록된 내용에 따른 중앙처리유닛(12)에 있어서의 일련의 처리에 의해, 소정의 오퍼레이션 시스템상에서 여러 가지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퍼스널 컴퓨터(1)에 있어서는, 이 중의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모뎀단자(5)를 통해서 인터넷에 접속하고, 여러 가지의 오디오데이터를 하드디스크장치(50)에 다운로드한다. 또 PC카드 인터페이스(41)에 접속된 CD-ROM드라이브를 통해서, 콤팩트디스크에 기록된 오디오데이터를 하드디스크장치(50)에 다운로드한다.
이때 퍼스널컴퓨터(1)에 있어서는, 소정 포맷에 의해 오디오데이터를 데이터압축하여 하드디스크장치(50)에 기록한다. 또 1개의 곡을 단위로 한 파일형식에 의해, 카피를 제한하는 저작권에 관한 정보, 아티스트명, 앨범명 등과 함께 오디오데이터를 하드디스크장치(50)에 기록한다. 또 이와 같은 다운로드시의 설정에 의해, 또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한 다운로드한 오디오데이터의 선택조작에 의해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고, 이 플레이리스트의 파일을 하드디스크장치(50)에 기록한다. 또한 여기서 플레이리스트는, 하드디스크장치(50)에 기록된 콘텐츠인 곡 중,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 곡의 곡명을 일람형식에 의해 표시 가능하게 기록한 파일이며, 이 파일에 기록된 곡명에 의한 오디오데이터의 파일을 특정 가능하게 기록된다. 이것에 의해 퍼스널컴퓨터(1)에 있어서는, 이 플레이리스트에 따라서, 예를 들면 록, 팝스 등의 사용자의 소망하는 쟝르마다에, 더욱이는 아티스트마다에, 하드디스크장치(50)에 기록된 곡을 정리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2) 뮤직셰이커
(1-2-1) 메뉴화면의 구성
도 3은, 하드디스크장치(50)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하나인 뮤직셰이커의 메뉴화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뮤직셰이커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플레이리스트에 기록된 곡을 부분적으로 도절되지 않고 연속해서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다.
중앙처리유닛(12)은, 사용자에 의해 이 뮤직셰이커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이 메뉴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이 메뉴화면에 있어서는, 좌우 양측에 플레이리스트의 표시영역(AR1 및 AR2)이 형성되고, 이 표시영역(AR1 및 AR2)을 덮도록, 금속성의 커버를 이미지시키는 화상이 표시된다. 메뉴화면에 있어서는, 이들 표시영역(AR1 및 AR2)에, 각각 플레이리스트의 표시영역인 것을 나타내는 PLAY LIST1 및 PLAY LIST2의 문자가 표시된다. 또한 각 플레이리스트의 표시영역(AR1 및 AR2)의 하편에, 커버의 표시를 개폐하는 버튼(B1 및 B2)이 각각 배치된다. 중앙처리유닛(12)은, 이들의 버튼(B1, B2)이 조작되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표시영역(AR1 및 AR2)의 표시를 전환하고, 각각 플레이리스트(P1 및 P2)를 표시한다.
이것에 대하여 중앙상부에는, 메뉴바와 일체화한 디자인에 의해 타이틀바가 표시되고, 이 타이틀바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닫는 버튼, 표시를 최대화하는 버튼, 표시를 최소화하는 버튼, 헬프파일을 여는 버튼, 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여러 가지로 설정메뉴를 여는 파일의 버튼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이 설정은, 플레이리스트에 오토로딩하는 곡수의 설정, 조그다이얼(8)의 설정 등에 의해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타이틀바의 하측에는, 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타이틀이 표시되고, 이어서 소정의 동화를 표시하는 동화의 표시영역(ARM)이 형성된다. 중앙처리유닛(12)은, 소정의 정지화상을 복수의 마스크화상에 의해 마스크하여 동화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의 화상을 생성한다. 또한 이 정지화상에 대한 마스크화상의 겹치는 상태를 오디오데이터의 주파수 해석결과에 기초하여 변화시키고, 이것에 의해 이와 같이하여 생성한 프레임의 연속에 의해 동화를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중앙처리유닛(12)은, 이 동화의 표시영역(ARM)에 재생중의 곡의 분위기에 따라서 변화하는 동화를 표시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것에 의해 이 표시영역(ARM)의 중심으로부터 구름과 같은 물체가 방사상으로 비산하도록 동화를 표시한다.
또한 이 메뉴화면은, 동화의 표시영역(ARM)의 하측에, 좌우에 갈라져서, 각각 플레이스타일 변경버튼(BPS1 BPS3), 음량조정버튼(BVR1 BVR3)이 배치되고, 이들의 중앙에 현재 재생중의 곡정보 표시영역(ARP)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 5에 이들의 영역을 확대하여 상세하게 나타내도록, 플레이스타일 변경버튼(BPS1 BPS3)은, 각각 소프트, 표준, 하드의 플레이스타일이 할당되고, 중앙처리유닛(12)은, 이들의 버튼(BPS1 BPS3)의 선택적인 조작에 의해, 재생의 스타일을 변경한다. 또 선택조작된 버튼에는, 원형의 테 두름을 표시한다. 또한, 이 스타일의 변경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음량조정버튼(BVR1 BVR3)은, 각각 뮤팅, 음량저감, 음량증대의 기능이 할당되고, 중앙처리유닛(12)은, 이들의 조작자의 조작에 따라서 음량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곡정보 표시영역(ARP)은, 최상단에, 재생개시로부터의 전체의 재생시간이 표시되고, 이어서 현재 재생중의 곡의 타이틀이 표시된다. 다시 이어서, 음량에 관한 정보가 표시되고, 스피커의 마크와 ×표를 겹쳐서 표시하여 뮤팅의 상태를 나타내고, 또 이 마크의 우측에 음량의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음량에 관한 표시는, 각각 뮤팅된 경우, 음량조정버튼(BVR2, BVR3)이 조작된 경우에만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또 곡정보 표시영역(ARP)의 최하단은, 좌우에 각각 플레이리스트(P1 및 P2)에 대응하는 재생시간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메뉴화면(도 3 또는 도 4)은, 곡정보표시영역(ARP)의 하측에 원형형상에 의한 재생조작버튼(B)이 표시되고, 이 재생조작버튼(B)의 양측에 각각 플레이리스트(P1 및 P2)에 대응하는 스톡트레이(ST1 및 ST2)가 표시된다. 또한 스톡트레이(ST1 및 ST2)는, 각각 육각형 형상에 의한 곡명표시영역이 버튼(B)을 중심으로 3개씩 배치되어서 형성된다. 또 재생조작버튼(B)의 하측에, 편집작업용의 버튼(BE), 플레이리스트의 상태표시영역(ARS)이 형성된다. 이 플레이리스트의 상태표시영역(ARS)은, 스톡트레이(ST1 및 ST2)의 표시를 축소한 심벌이 각각 표시된다. 또한 이들의 버튼 등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
도 6은, 좌측의 플레이리스트(P1)를 그 주변의 표시와 함께 상세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우측의 플레이리스트(P2) 및 주변의 표시는, 이 좌측의 플레이리스트(P1) 및 주변의 표시와 대칭하게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것에 의해, 중복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플레이리스트(P1)의 상측에는, 오토로딩의 버튼(BAU)이 배치되고, 중앙처리유닛(12)은, 이 버튼(BAU)이 조작되면, 하드디스크장치(50)에 기록된 음악파일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자동 생성하고, 이 자동생성한 플레이리스트를 표시한다. 또한 여기서, 이 랜덤한 선택은, 플레이리스트(P1 및 P2)에서 콘텐츠가 중복하지 않도록, 또 1개의 플레이리스트 내에서 콘텐츠가 중복하지 않도록 실행된다. 이것에 의해 중앙처리유닛(12)은, 하드디스크장치(50)에 팽대한 수의 곡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라도, 번잡한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유효하게 회피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그 때마다 다른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중앙처리유닛(12)은, 하드디스크장치(50)에 팽대한 수의 곡이 기록되어 있는 경우, 이와 같이하여 플레이리스트를 자동 생성하는데 시간을 요하는 것에 의해, 도 7에 나타내는 서브윈도우를 표시하고, 이 서브윈도우 중의 봉그래프의 표시에 의해 자동생성의 진척상황을 사용자에게 피드백한다.
또한 이 오토로딩의 버튼(BAU)의 중앙측에는, 플레이리스트의 편집메뉴를 여는 버튼(BEL)이 표시된다. 중앙처리유닛(12)은, 이 버튼(BEL)이 조작되면, 소정의 풀다운메뉴를 표시한다. 또한 이 풀다운메뉴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플레이리스트의 작성처리, 플레이리스트의 변경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이들 버튼(BAU 및 BE)하측에는, 플레이리스트 선택용의 콤보박스(BX)가 표시된다. 퍼스널컴퓨터는, 이 콤보박스(BX)가 사용자에 의해 열려지면, 선 택 가능한 플레이리스트의 파일명을 풀다운메뉴에 의해 표시하고, 이 메뉴에 있어서의 선택에 의해 플레이리스트(P1)를 설정한다.
이와 같이하여 선택된 플레이리스트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튼(B)에 가까운 측의 스톡트레이(ST1)의 곡명표시영역에서, 순차 곡명이 표시되고, 나머지의 곡명(타이틀)이 아티스트명과 함께 하측으로부터 순차 일람표시되어서 플레이리스트(P1)가 표시된다. 중앙처리유닛(12)은, 이 플레이리스트(P1) 및 스톡트레이(ST1)에 있어서의 곡의 표시에 있어서, 후술하는 편집점이 설정되어 있는 곡에 대해서는, 선두에 깃발의 마크를 표시한다.
중앙처리유닛(12)은, 이 플레이리스트(P1)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어떤 곡이 마우스에 의해 선택되어서 드래그 앤드 드롭되면, 이 조작에 응답하여 표시의 순서를 바꾸어 넣는다. 또 파일관리용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동시에 상승한 상태에서, 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표시된 곡명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서 이 플레이리스트(P1)에 드래그 앤드 드롭되면, 이 드래그 앤드 드롭의 조작에 응답하여 현재 표시한 플레이리스트(P1)에 이 곡을 더하여 표시한다. 또 우측의 플레이리스트(P2)와의 사이에서도, 동일한 드래그 앤드 드롭에 의해 플레이리스트의 표시를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중앙처리유닛(12)은, 사용자에 의해 자유로이 플레이리스트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곡의 교체 등의 처리는, 스톡트레이(ST1, SR2)에 표시된 곡과의 사이에서도,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중앙처리유닛(12)은, 이 플레이리스트(P1)에서 소망의 곡이 사용자에 의 해 더블클릭되면, 이 곡의 재생을 개시하고, 이것에 의해 사용자에 의한 소망의 곡을 선택적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되고, 또 후술하는 편집점의 설정작업 등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초기화면에 있어서는, 이 플레이리스트(P1) 아래에, 세이크의 버튼(BSH)이 표시된다. 중앙처리유닛(12)은, 이 세이크의 버튼(BSH)이 조작되면, 플레이리스트(P1), 스톡트레이(ST1)에 표시한 곡명을 랜덤하게 바꾸어 넣는다. 이것에 의해 중앙처리유닛(12)에서는, 동일한 플레이리스트에 의해 재생하는 경우라도, 그 때마다 다른 순서로 재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는데 있어서 스톡트레이(ST1, ST2)에는(도 8), 각각 플레이리스트(P1 및 P2)에 대응하는 좌우 양측에, 육각형 형상의 테를 두름에 의해 3개의 곡명표시영역이 형성되고, 각 곡명표시영역에, 플레이리스트(P1)에 있어서의 각 곡의 표시에서 아티스트를 제외한 각 곡의 정보가 표시된다. 이들 곡명표시영역은, 육각형 형상의 의 1변에서 연속하는 곡명표시영역이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서, 현재 재생중의 곡을 나타내는 곡정보표시영역(ARP), 재생의 개시정지를 지시하는 조작자의 표시인 조작버튼(B)으로부터, 좌우의 플레이리스트(P1 및 P2)에 향하여 각각 넓어지도록 배치되고, 이렇게 함으로써 플레이리스트(P1 및 P2)와 함께 재생처리를 이미지시키는 표시인 곡정보표시영역(ARP), 조작버튼(B)으로부터 재생순으로 순차 연속하여 곡명을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재생조작버튼(B)은(도 8), 원형형상의 재생/일시정지버튼(BP)이 중심에 배치되고, 그 주위에, 정지버튼(BST), 플레이리스트(P1)의 다음으로의 버튼(BL1), 플레 이리스트(P2)의 다음으로의 버튼(BL2)이 배치된다. 여기서 재생/일시정지버튼(BP)은, 재생의 개시, 재생의 일시정지를 지시하는 조작자의 표시이며, 중앙처리유닛(12)은, 이 버튼(BP)이 마우스에 의한 클릭에 의해 행해지면 플레이리스트(P1 및 P2)에 따라서 오디오데이터의 재생을 개시하고, 또 이 재생을 일시 정지한다. 이것에 대하여 정지버튼(BST)은, 재생/일시정지버튼(BP)의 하측, 중앙에 배치되는데 대하여, 다음으로의 버튼(BL1 및 BL2)은, 각각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P1 및 P2)측에 대칭하게 배치된다. 중앙처리유닛(12)은, 재생중에 정지버튼(BST)이 조작되면, 재생을 정지한다. 또 다음으로의 버튼(BL1 및 BL2)이 조작되면, 각각 플레이리스트(P1 및 P2)측에서 다음에 재생할 곡을 스킵시켜, 이것에 대응하도록 플레이리스트(P1 및 P2), 스톡트레이(ST1, ST2)의 표시를 전환한다. 또한 이 경우에, 현재 재생중의 측에서 다음으로의 버튼(BL1 및 BL2)이 조작된 경우에는, 이 현재 재생중의 곡을 스킵시키고, 이것에 대응하도록 플레이리스트(P1 및 P2), 스톡트레이(ST1, ST2)의 표시를 전환한다.
퍼스널컴퓨터는, 도 1에 있어서 화살표B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그다이얼(8)이 가압 조작된 경우, 재생/일시정지버튼(BP)이 조작된 경우와 동일동작을 전환하는데 대하여, 도 1에 있어서 화살표A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그다이얼(8)이 회전 조작된 경우, 그 조작방향에 대응하는 다음으로의 버튼(BL1 및 BL2)이 조작된 경우와 동일하게 동작을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중앙처리유닛(12)은, 버튼(BP)에 의한 조작에 대신하여 조그다이얼(8)에 의한 조작에 의해서도 여러 가지로 동작을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2-2) 재생처리
도 9는, 재생/일시정지버튼(BP)의 조작에 의해 재생의 개시가 지시된 경우에, 이와 같은 초기화면에 관한 중앙처리유닛(12)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중앙처리유닛(1)은, 이 처리순서의 실행에 의해 2개의 플레이리스트에 의한 곡을 순차 교대로 재생하고, 또 이 재생에 대응하도록 플레이리스트(P1, P2), 스톡트레이(ST1 및 ST2)의 표시를 전환한다.
여기서 중앙처리유닛(12)은, 플레이리스트의 상태표시영역(ARS)에 대해서, 디폴트의 상태에서는 플레이리스트(P1) 측의 스톡트레이(ST1)에 대응하는 표시를 점등한 상태에서, 정지조작 후의 상태, 일시정지의 상태에 있어서는, 직전에 재생하고 있던 측의 스톡트레이(ST1 또는 ST2)에 대응하는 표시를 점등한 상태에서, 재생/일시정지버튼(BP)의 조작에 의한 재생의 지시를 받아들인다.
중앙처리유닛(12)은, 재생의 지시를 받으면, 스텝(SP1)에서 스텝(SP2)으로 이동하고, 필요에 따라서 재생하는 측의 플레이리스트(P1), 스톡트레이(ST1) 또는 플레이리스트(P2), 스톡트레이(ST2)의 표시를 전환한다. 여기서 이 표시의 전환은, 곡정보표시영역(ARP)에 현재 재생중의 곡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실행된다. 따라서, 일시정지의 상태에서 재생을 개시하는 경우, 중앙처리유닛(12)은 이 스텝(SP2)의 처리순서를 실행하지 않고, 이어지는 스텝(S93)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대하여 디폴트의 상태 등에서 재생을 개시하는 경우, 플레이리스트(P1), 스톡트레이(ST1)의 표시를 곡정보표시영역(ARP) 측에 순차 이동시킴으로써, 이 표시를 전환한다.
이어지는 스텝(SP3)에 있어서, 중앙처리유닛(12)은 곡정보표시영역(ARP)에 표시한 곡에 대하여, 사용자의 설정한 조건에 의해 편집점을 설정함으로써, 이 곡의 일부를 잘라 내서 재생대상을 설정하고, 이어지는 스텝(SP5)에 있어서, 이 재생대상의 재생을 개시한다. 중앙처리유닛(12)은, 이어지는 스텝(S94)에 있어서, 이 잘라 낸 재생대상의 재생을 완료하였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여기서 부정경과가 얻어지면, 중앙처리유닛(12)은, 스텝(SP6)으로 이동하고, 재생/일시정지버튼(BP), 정지의 버튼(BST)이 조작되었는지 아닌지 판단하고, 여기서 긍정결과가 얻어지면, 스텝(SP7)으로 이동하여 이 처리순서를 종료하는데 대하여, 부정결과가 얻어지면, 스텝(SP5)으로 되돌아간다. 이것에 의해 중앙처리유닛(12)은, 스텝(SP3)의 처리에서 잘라 낸 재생대상을 재생하고, 이 재생을 완료하면, 스텝(SP5)에서 긍정결과가 얻어짐으로써, 스텝(SP8)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중앙처리유닛(12)은, 재생대상의 플레이리스트를 전환하고, 다시 이어지는 스텝(SP9)에 있어서, 이 플레이리스트의 전환에 대응하도록, 플레이리스트의 상태표시영역(ARS)에 있어서의 스톡트레이에 대응하는 표시의 점등을 전환한다.
다시 이어지는 스텝(SP10)에 있어서, 현재, 곡정보 표시영역(ARP)에 표시하고 있는 곡의 표시를, 선택한 측의 플레이리스트의 스톡트레이 선두에 표시된 곡의 표시로 전환하고, 또 이 표시의 전환에 대응하도록, 선택한 측의 플레이리스트, 스톡트레이의 표시를 곡정보 표시영역(ARP) 측에 순차 이동시킨다. 또 거기까지 곡정보 표시영역(ARP)에 표시되어 있는 곡명에 대해서는, 원래의 플레이리스트의 최후미에 표시위치를 전환한다.
이와 같이하여 표시를 전환하면, 중앙처리유닛(12)은 스텝(SP3)으로 되돌아가고, 곡정보 표시영역(ARP)에 표시하고 있는 곡에 대하여, 고쳐서 잘라 내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중앙처리유닛(12)은, 도 10에 있어서 곡명의 표시의 흐름을 화살표에 의해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플레이리스트에 대하여, 교대로 곡을 선택하여 재생하고, 이 재생에 대응하도록 플레이리스트, 스톡트레이, 곡정보 표시영역(ARP)에서 순차 순환적으로 곡명의 표시를 전환하고, 2개의 플레이리스트에 따라서 소위 엔드레스에 의해 순차 오디오데이터를 재생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하여 곡명의 표시를 전환함에 있어서, 중앙처리유닛(12)은 아직 재생전의 곡에 대해서는, 사용자에게 강한 인상을 주는 색채, 휘도에 의해 표시하는데 대하여, 재생을 종료하여 플레이리스트(P1, P2)의 말미에 표시하는 곡에 대해서는, 재생전의 곡의 표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사용자에게 약한 인상을 주는 색채, 휘도에 의해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아직 재생전의 곡에 대해서는 밝은 오렌지색에 의해 곡명 등을 표시하는데 대하여, 재생을 종료한 곡에 대해서는, 회색에 의해 곡명 등을 표시한다.
또한 중앙처리유닛(12)은, 이와 같이 재생 전의 곡, 재생을 종료한 곡을 표시하여 순차 재생함으로써, 각각 플레이리스트(P1, P2), 스톡트레이(ST1, ST2)에 표시하는 곡명 등이 전부 재생을 종료한 곡이 되면, 이와 같이 재생을 종료한 곡만으로된 측에 대해서는, 모든 곡을 아직 재생전의 곡으로 재설정하고, 이들 곡명 등의 표시를 전환한다.
(1-2-3) 곡재생에 있어서의 스타일
중앙처리유닛(12)은, 플레이스타일 변경버튼(BPS1 BPS3)에 의한 조작에 따라서, 이와 같이하여 잘라 내어 재생하는 콘텐츠의 재생시의 분위기를 전환하고, 또 이 전환에 연동하여 메뉴화면의 디자인을 변경한다.
즉 플레이스타일 변경버튼(BPS1 BPS3)은, 각각 하드, 표준, 소프트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의 스타일을 선택하는 조작자이며, 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의 각 조작자(BPS1 BPS3)에 대응하여 재생의 분위기를 설정하는 템플릿이 준비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이들 템플릿에 설정된 음량의 파라미터에 있어서는, 오디오데이터를 처리할 때의 이득을 설정하는 파라미터이며, 각각 하드, 표준, 소프트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의 스타일에 따라서, 순차 음량이 작아지도록 파라미터가 준비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퀄라이저의 파라미터에 있어서는, 오디오데이터의 주파수특성을 보정하는 파라미터이며, 하드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있어서는, 고음 및 저음을 강조하는 주파수특성이 되도록 파라미터가 준비된다. 또 표준의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있어서는, 거의 평탄한 주파수특성이 되도록, 소프트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있어서는, 고온 및 저음을 억압한 주파수특성이 되도록 파라미터가 준비된다.
이것에 대하여 음장의 파라미터에 있어서는, 오디오데이터에 부가하는 잔향의 파라미터이며, 하드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있어서는, 작은 방에서 연주를 시청하고 있는 것과 같은 분위기가 되도록, 표준의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있어서는, 스타디움에서 연주를 시청하고 있는 것과 같은 분위기가 되도록, 소프트 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있어서는, 큰 홀에서 연주를 시청하고 있는 것 같은 분위기가 되도록 파라미터가 준비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스텝(SP3)에서 잘라 낸 재생대상간에 후술하는 효과음을 삽입하여 재생하도록 되어 있고, 전환정보는, 이 잘라 내는 처리에 관한 정보, 효과음의 접속에 관한 정보가 규정된다. 이 중 재생기준시간은, 각 콘텐츠로부터 잘라 내는 재생대상의 재생기준의 시간이며, 이어지는 변화시간은, 이 재생기준시간에 대하여 변화를 주는 시간이다. 하드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있어서는, 재생기준시간 및 변화시간이 각각 20초 및 1초로 설정되고, 중앙처리유닛(12)은, 19(20-1)초 21(20+1)초의 범위에서, 잘라 내는 처리를 할 때마다, 잘라 내는 시간을 불규칙하게 가변하여 각 콘텐츠에 재생대상을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표준의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있어서는, 재생기준시간 및 변화시간이 각각 40초 및 5초로 설정되고, 이것에 의해 중앙처리유닛(12)은, 35(40-5)초 45(40+5)초의 범위에서, 잘라 내는처리를 할 때마다, 잘라 내는 시간을 불규칙하게 가변하여 각 콘텐츠에 재생대상을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 소프트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있어서는, 재생기준시간 및 변화시간이 각각 60초 및 10초로 설정되고, 이것에 의해 중앙처리유닛(12)은, 50(60-10)초 70(60+10)초의 범위에서, 잘라 내는 처리를 할 때마다, 잘라 내는 시간을 불규칙하게 가변하여 각 콘텐츠에 재생대상을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천이시간은, 콘텐츠간에 삽입하는 효과음과 콘텐츠를 크로스페이드에 의해 접속할 때의 천이시간이며, 하드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있 어서는, 0초로 설정되는 것에 대하여, 표준의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 및 소프트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있어서는, 각각 2초 및 5초로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하드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있어서는, 재생대상과 콘텐츠와의 재생이 커트에 의해 순식간에 전환되는데 대하여, 표준 및 소프트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있어서는, 서서히 콘텐츠 및 효과음이 전환되고, 이때 소프트한 경우의 쪽이 완만한 속도에 의해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GUI정보는, 상술한 메뉴화면의 디자인정보이며, 각각 하드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 표준의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 소프트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대응하는 메뉴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버튼 등을 배치하는 좌표값, 배경, 버튼의 비트맵데이터 등이 등록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동화의 파라미터는, 동화의 작성에 사용하는 정지화상, 마스크화상의 전환정보, 주파수 해석결과에 의해 이들을 상대운동시킬 때의 설정 등의 전환정보가 할당된다.
이렇게 하는데 대하여 상술한 도 1의 메뉴화면은, 표준의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이 선택된 경우, 이들 GUI정보 및 동화의 파라미터에 의해 생성되는 메뉴화면이며, 이에 대하여 도 13은, 하드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이 선택된 경우의 메뉴화면이다. 이 하드한 분위기에 의한 메뉴화면에 있어서는, 동화가 대화면에 의해 표시되고, 또 스톡트레이(ST1 및 ST2)가 표준의 경우와는 상하 역으로 배치된다. 또한 버튼에 있어서도, 크게 표시되고, 이것에 의해 난폭하게 조작되어도 소망의 조작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배경에 대해서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기울인 경계선에 의해 큰 면적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분 할한 영역에 화려한 색채를 배치하여 형성된다. 또, 동화자체, 예리한 형상이고, 화려한 색채에 의한 구름과 같은 물체가,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넓혀지도록 작성된다. 이것에 의해 이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강한 인상을 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하드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있어서도, 조작자의 표시, 현재 재생중의 곡의 표시로 향하여, 플레이리스트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가 배열되고, 이것에 의해 재생처리와의 관계를 종래에 비하여 한층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14는, 소프트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이 선택된 경우의 메뉴화면이며, 이 경우는, 수직 수평방향의 선을 기조로 한 어른스런 디자인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이 경우, 스톡트레이(ST1 및 ST2)가 생략되어서 직접 플레이리스트(P1, P2)가 조작자(B)의 근방에 배치되고, 이 플레이리스트(P1, P2)에 있어서의 곡명 등의 표시가 콘텐츠의 전환에 따라서 순환 표시된다. 또 동화에 있어서도, 어른스런 채색에 의한 부드러운 형상에 의한 구름과 같은 물체가,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넓혀지도록 작성된다. 이것에 의해 이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온화한 인상을 주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전환시 효과음(도 12)은, 재생중에 재생스타일이 각각 하드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 표준의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 소프트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로 전환된 경우, 전환직후에 재생하는 효과음이며, 각각 각 재생스타일에 대응하는 효과음이 등록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효과음1 효과음10은, 동일 스타일에 의한 재생중에, 콘텐츠간에 삽입하는 효과음이며, 각각 각 스타일에 10종류의 효과음이 등록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효과음1 효과음10은, 각각 하드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 표준의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 소프트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이고, 5초, 10초, 20초의 효과음이며, 전환시 효과음은, 각각 대응하는 효과음1 효과음10보다 긴 시간의 효과음이다.
하드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있어서, 효과음1 효과음10, 전환시 효과음은, 남성에 의한 이야기의 전후에 소정의 파열음을 배치하여 구성되고, 이 남성의 이야기에 각각「Take it easy」, 「That's good」등의 짧은 프레이즈가 할당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전환시 효과음은, 스타일의 전환을 용이하게 인식 가능할 정도의 길이의 프레이즈가 할당된다. 이것에 의해 하드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있어서는, 남성DJ가 빠른 말로 록의 곡을 다이제스트에 의해 소개하고 있는 것과 같은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표준의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있어서, 효과음1 효과음10, 전환시 효과음은 남성에 의한 이야기의 전후에 라디오의 튜닝시의 발진음을 배치하여 구성되고, 효과음1 효과음10은, 이 남성의 이야기에 비교적 긴 프레이즈가 할당되도록 되고, 전환시 효과음에는 하드한 경우와 동일하게, 스타일의 전환을 용이하게 인식 가능할 정도의 길이의 프레이즈가 할당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표준의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있어서는, 라디오의 DJ가 팝스를 다이제스트에 의해 소개하고 있는 것과 같은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소프트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있어서, 효과음1 효과음10, 전환시 효과음은, 여성에 의한 이야기에 의해 구성되고, 효과음1 효과음10은, 이 여성의 이야기에 비교적 긴 프레이즈가 할당되는 것에 대하여, 전환시 효과음에는, 하드한 경우와 동일하게, 스타일의 전환을 용이하게 인삭 가능할 정도의 길이의 프레이즈가 할당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소프트의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에 있어서는, FM방송에서 여성DJ가 이지리스닝의 곡을 다이제스트에 의해 소개하고 있는 것같은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함에 있어서 중앙처리유닛(12)은, 사용자에 의해 플레이스타일 변경버튼(BPS1 BPS3)이 조작되면, 대응하는 템플릿에 따라서 신호처리계의 동작조건을 설정하고,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분위기에 의해 순차 오디오데이터를 잘라 내서 재생하고, 또 화면의 표시를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재생시에 이들의 조작이 실행된 경우, 동일하게 신호처리계의 동작조건, 표시화면을 전환하고, 또한 상술한 전환시 효과음을 삽입하여 재생대상을 전환한다.
도 15는 이와 같이 설정된 템플릿의 사용인 잘라 내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중앙처리유닛(12)은, 이 잘라 내는 처리에 있어서, 스텝(SP11)에서 스텝(SP12)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후술하는 편집작업용의 버튼(BE)의 조작에 의한 일련의 편집처리에 의해, 처리대상의 콘텐츠에 인점이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여기서 부정결과가 얻어지면, 중앙처리유닛(12)은, 스텝(SP13)으로 이동하고, 콘텐츠인 곡의 길이를 계측한다. 여기서 이 계측은, 예를 들면 오디오데이터에 설정된 시간정보를 독출하여 실행된다.
중앙처리유닛(12)은, 이어서 스텝(SP14)으로 이동하고, 이와 같이 독출한 시간정보, 템플릿의 재생기준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랜덤하게 인점을 설정한다. 이 경우, 중앙처리유닛(12)은, 곡 전체의 재생시간에서 재생기준시간을 감산하여 얻어지는 재생시간에 대하여, 예를 들면 값0 값1까지의 범위의 난수를 승산하여 인점의 시간정보를 생성하고, 이것에 의해 적어도 재생기준시간 만큼은 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인점을 설정한다.
이와 같이하여 인점을 설정하면, 또 스텝(SP12)에서 부정결과가 얻어지면, 중앙처리유닛(12)은 스텝(SP15)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중앙처리유닛(12)은, 템플릿에 따라서, 랜덤하게 재생시간을 계산한다. 여기서 이 재생시간은, 예를 들면 값-1 값1까지의 범위의 난수를, 대응하는 재생스타일의 변화시간에 승산하고, 승산결과를 재생기준시간에 가산하여 계산 구성된다.
중앙처리유닛(12)은, 이어지는 스텝(SP16)에 있어서, 스텝(SP14)에서 설정한 인점의 시간정보에 스텝(SP15)에서 계산한 시간정보를 가산하고, 이것에 의해 아웃점의 시간정보를 계산하여 아웃점을 설정한다. 중앙처리유닛(12)은, 이어지는 스텝(SP17)에 있어서, 이 아웃점이 곡의 최후미를 넘어서 설정되었는지 아닌지 판단하고, 여기서 긍정결과가 얻어지면, 스텝(SP12)으로 되돌아가서 고쳐서 편집점을 설정하는데 대하여, 부정결과가 얻어지면, 스텝(SP18)으로 이행하여 이 처리절차를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중앙처리유닛(12)은, 재생 때마다, 다른 개소를 잘라 내서 재생대상에 설정하도록 되고, 퍼스널컴퓨터(1)에 있어서는, 이것에 의해 동일한 플레이리스트에 의해 반복 재생하는 경우에도, 재생 때마다 다른 인상을 주어서 사용자를 싫증나지 않게 되어 있다.
도 16은, 이와 같이하여 잘라 내는 재생대상과의 관계에 대하여, 중앙처리유닛(12)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중앙처리유닛(12)은, 재생이 지시되면, 스텝(SP31)에서 스텝(SP32)으로 이행하고, 템플릿에 따라서 재생조건을 설정한다. 여기서 이 재생조건의 설정은, 이퀄라이저의 주파수특성, 음장생성용의 필터의 설정 등이다. 중앙처리유닛(12), 이어지는 스텝(SP33)에 있어서, 재생대상의 콘텐츠에 대하여, 도 15의 처리순서에 의해 설정한 인점에서 재생을 개시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오디오데이터를 로드하고, 이것에 의해 이 곡을 두출한다.
이어서 중앙처리유닛(12)은, 스텝(SP34)으로 이행하고, 여기서 이 콘텐츠의 재생을 개시한 후, 스텝(SP35)에 있어서, 아웃점이 되었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여기서 부정결과가 얻어지면, 중앙처리유닛(12)은 스텝(SP36)으로 이행하고, 여기서 사용자에 의해 플레이스타일의 변경이 지시되었는지 아닌지 판단한다. 여기서 부정결과가 얻어지면, 중앙처리유닛(12)은 스텝(SP37)으로 이행하고, 여기서 정지의 버튼(BST) 또는 재생/일시정지의 버튼(BP)이 조작되었는지 아닌지 판단하고, 긍정결과가 얻어지면 스텝(SP38)으로 이행하여 이 처리순서를 종료하는데 대하여, 부정결과가 얻어지면, 스텝(SP35)으로 되돌아간다.
이것에 의해 중앙처리유닛(1)은, 재생대상의 재생을 개시한 후, 이 재생대상의 재생을 완료하기까지 스텝(SP35-SP36-SP37-SP35)의 처리순서를 반복하고, 이 재생대상의 콘텐츠를 아웃점까지 재생하면, 스텝(SP35)에서 긍정결과가 얻어짐으로써, 스텝(SP39)으로 이행한다. 여기서 중앙처리유닛(12)은, 랜덤한 선택에 의해 대응하는 템플릿의 효과음1 10으로부터 하나의 효과음을 선택하고, 이어지는 스텝(SP40)에 있어서, 이 효과음의 재생을 개시한다. 이때 중앙처리유닛(12)은, 템플릿에 설정된 천이시간에 의해 크로스페이드로 접속하도록, 효과음의 재생을 개시하고, 또 이것과의 대비로 콘텐츠의 재생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하여 효과음의 재생을 개시하면, 중앙처리유닛(12)은 스텝(SP41)으로 이행하고, 여기서 효과음의 재생의 종료인지 아닌지 판단하고, 여기서 부정결과가 얻어지면, 스텝(SP41)을 반복하는데 대하여, 긍정결과가 얻어지면, 스텝(SP33)으로 이행하여 다음의 콘텐츠를 두출한다. 이들의 처리의 반복에 의해, 중앙처리유닛(12)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드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이 선택된 경우에는, 19초로부터 21초의 범위에서, 각 콘텐츠에서 랜덤하게 재생대상을 잘라 내고(도 17(A1)), 이 잘라 낸 재생대상을 짧은 시간(T)에 의한 효과음으로 접속하여 재생한다(도 17(A2)). 또 이때 이 효과음을 10종류의 효과음1 10(H1 H10)에서 랜덤하게 선택하여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이 경우, 중앙처리유닛(12)은 사용자에게 싫증나지 않도록 하고, 화려한 분위기에 의해 2개의 플레이리스트에 의한 콘텐츠를 순차 교대로 재생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표준의 분위기에 의한 재생이 선택된 경우에는, 35초에서 45초의 범위에서, 각 콘텐츠에서 랜덤하게 재생대상을 잘라 내고(도 17(B1)), 이 잘라 낸 재생대상을 2초의 천이시간(t)에 의한 크로스페이드로 효과음과 접속하여 재생한다(도 17(B2)). 또 이때 이 효과음을 10종류의 효과음1 10(ST1 ST10)에서 랜덤하게 선택한다. 이것에 의해 이 경우, 중앙처리유닛(12)은 사용자에게 싫증 나지 않도록 하여, 약간 안정된 분위기에 의해 2개의 플레이리스트에 의한 콘텐츠를 순차 교대로 재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 소프트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이 선택된 경우에는, 50초에서 70초의 범위에서, 각 콘텐츠로부터 랜덤하게 재생대상을 잘라 내고(도 17(C1)), 이 잘라 낸 재생대상을 5초의 천이시간(t)에 의한 크로스페이드로 효과음과 접속하여 재생한다(도 17(C2)). 또 이때 이 효과음을 10종류의 효과음1 10(SF1 SF10)에서 랜덤하게 선택하고, 이것에 의해 이 경우도 사용자에게 싫증나지 않도록 하여, 안정한 분위기에 의해 2개의 플레이리스트에 의한 콘텐츠를 순차 교대로 재생하도록 되어있다.
이에 대하여 재생중에 사용자에 의해 플레이스타일의 변경이 지시되면, 중앙처리유닛(12)은, 스텝(SP36)에서 스텝(SP42)으로 이행한다(도 16). 여기서 중앙처리유닛(12)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플레이스타일에 대응하는 템플릿에서 각종 파라미터, 정보를 로드하고, 대응하는 설정을 전환한다. 즉, 중앙처리유닛(12)은, 이퀄라이저, 음량, 음장의 설정의 변경에 의해 재생결과의 분위기를 플레이스타일에 대응하도록 전환한다. 또 GUI정보, 동화의 설정을 전환하고, 이것에 의해 표시화면의 분위기를 플레이스타일에 대응하도록 전환한다.
이어서 중앙처리유닛(12)은, 스텝(SP43)으로 이행하고, 여기서 대응하는 전환시의 효과음의 재생을 개시하고 스텝(SP41)으로 이행한다. 이것에 의해 중앙처리유닛(12)은, 재생중에 사용자에 의해 플레이스타일의 변경이 지시되면, 바로 재생의 분위기를 전환하는 동시에, 이 전환을 이해할 수 있도록 긴 시간에 의한 효 과음을 재생한다. 또한 이후, 변경된 플레이스타일에 따라서 2개의 플레이리스트에 의한 콘텐츠를 순차 교대로 재생한다.
도 18은, 플레이리스트의 상태표시영역(ARS)을 주변구성과 함께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중앙처리유닛(12)은 편집작업용의 버튼(BE)이 조작되면, 플레이리스트의 상태표시영역(ARS)에 이 편집용의 메뉴를 표시한다. 퍼스널컴퓨터(1)는, 이 편집용의 메뉴를 표시한 상태에서, 플레이리스트(P1 및 P2), 스톡트레이(ST1 및 ST2)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어떤 곡이 선택되면, 이 곡을 편집대상으로 설정하고, 이 곡에 인점의 설정을 받아들인다.
여기서 이 편집용의 메뉴에 있어서는, 곡 전체의 길이를 나타내는 봉형의 표시(H1)에 겹쳐서, 현재의 재생위치를 나타내는 직사각형의 표시(H2)가 표시된다. 또 인점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인점의 설정개소를 나타내는 깃발의 마크(M1)가 표시된다. 또한 이 깃발의 마크(M1)는, 플레이리스트(P1 및 P2)에 있어서, 편집점이 설정되어 있는 곡명에 표시되는 마크와 동일형상이며, 이것에 의해 퍼스널컴퓨터(1)에서는, 사용자의 이해를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봉형의 표시(H1)의 아래에, 재생개소를 나타내는 시간정보의 표시, 인점설정용의 버튼(BE1), 인점설정개소를 나타내는 시간정보의 표시가 배치되고, 또한 이들의 하측에, 정지버튼(BE2), 재생버튼(BE3),인점으로부터의 재생버튼(BE4), 인점설정의 해제버튼(BE5)이 배치된다. 또한 이들의 하측에, OK의 버튼(BE6), 캔슬의 버튼(BE7)이 배치된다.
중앙처리유닛(12)은, 사용자에 의해 곡이 선택되어서 재생버튼(BE3)이 조작 되면, 이 곡의 선두에서 재생을 개시하고, 직사각형의 표시(H2)를 순차 이동시킨다. 또 이 직사각형의 표시(H2)가 마우스에 의해 잡혀서 이동되면, 이 이동에 의해 현재의 재생개소를 변화시킨다. 또한 정지의 버튼(BE2)이 조작되면, 재생을 정지하는데 대하여, 인점설정용의 버튼(BE1)이 조작되면, 현재의 재생위치를 인점에 설정한다.
이에 대하여 인점으로부터의 재생버튼(BE4)이 조작되면, 이와 같이 설정된 인점에서 재생을 개시하고, 깃발의 마크(M1)가 마우스에 의해 잡혀서 이동되면, 이 이동에 의해 인점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인점설정의 해제버튼(BE5)이 조작되면, 인점의 설정을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퍼스널컴퓨터(1)는, 사용자에 의해 인점을 설정하고, 또한 인점의 설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중앙처리유닛(12)은, 이와 같이하여 인점을 설정하여 사용자에 의해 OK의 버튼(BE6)이 조작되면, 대응하는 플레이리스트에 인점의 설정을 등록하는데 대하여, 캔슬버튼(BE7)이 조작되면, 이와 같이하여 설정한 인점의 등록을 무효로 한다.
이것에 의해 퍼스널컴퓨터(1)에서는, 자동적으로 잘라 낸 재생에 대신하여, 사용자의 의도하는 개소로부터의 재생을 개별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 실시형태의 동작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1)에 있어서는(도 1 및 도 2),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의 접속에 의해, 또 콤팩트디스크의 재생에 의해, 여러 가지의 오디오데이터가 하드디스크장치(50)에 다운로드되고, 또한 이와 같은 다운로드시의 설정에 의해, 또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한 다운로드한 오디오데이터의 선택조작에 의해, 예를 들면 사용자의 소망하는 쟝르, 아티스트마다 콘텐츠를 리스트화 하여 이루는 플레이리스트가 작성된다.
퍼스널컴퓨터(1)에 있어서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하나인 뮤직셰이커가 기동되면, 중앙에 동화의 표시영역(ARM), 스톡트레이(ST1 및 ST2), 버튼(B) 등이 배치되어서, 다른 부분을 커버에 의해 덮는 디자인에 의한 메뉴화면이 표시되고(도 3), 이 메뉴화면에 있어서의 소정의 버튼(B1, B2)의 조작에 의해, 커버의 표시가 제거되어 플레이리스트(P1, P2)의 표시가 나타난다(도4).
이 상태에서 오토로딩의 버튼(BAU)이 조작되면(도 6), 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상에서, 하드디스크장치(50)에 기록된 콘텐츠가 랜덤하게 그룹화되어서 플레이리스트가 작성되고(도 7), 이 플레이리스트에 의한 곡명이 플레이리스트(P1 및 P2), 스톡트레이(ST1 또는 ST2)에 순차 표시된다(도 6 및 도 8). 또 콤보박스(BX) 등의 조작에 의해,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플레이리스트가 선택되면, 이 플레이리스트에 의한 곡명이 플레이리스트(P1 또는 P2), 스톡트레이(ST1 또는 ST2)에 순차 표시된다. 또 이와 같이하여 곡명을 표시한 상태에 있어서의 세이크의 버튼(BSH)의 조작, 마우스의 드롭 앤드 드래그 등의 각종 조작에 의해, 더욱이는 편집메뉴를 여는 버튼(BEL)을 조작하여 실행되는 처리에 의해, 플레이리스트가 갱신, 작성되고, 또는 플레이리스트(P1 또는 P2), 스톡트레이(ST1 또는 ST2)에 있어서의 곡명의 표시가 변경, 갱신된다.
이와 같은 표시에 있어서, 퍼스널컴퓨터(1)는,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인 곡정보 표시영역(ARP)과, 적어도 재생의 개시를 지시하는 조작자의 표 시이며, 또 재생의 정지를 지시하는 조작자의 표시인 버튼(BP)과에 대하여,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에서 재생하는 순서로 순차 연속하도록, 플레이리스트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배열하여 표시한다.
또한 이와 같이하여 2개의 플레이리스트(P1 및 P2), 대응하는 스톡트레이(ST1 및 ST2)에 곡명을 표시한 상태에서, 재생버튼(BP)의 조작에 의해 재생이 지시되면, 이 표시순으로 콘텐츠를 전환하여 재생하고, 또 이 콘텐츠의 전환에 응답하여 플레이리스트(P1 및 P2), 대응하는 스톡트레이(ST1 및 ST2)에 있어서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전환한다(도 9). 또 이때 재생대상의 플레이리스트를 교대로 전환하고, 재생이 종료한 콘텐츠에 대해서는, 플레이리스트의 최후미에 색채를 전환하여 눈에 띄지 않도록 표시하고, 이것에 의해 재생의 처리를 사용자에 이미지시키는 곡정보 표시영역(ARP), 버튼(BST)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 플레이리스트(P1측 및 P2) 측에서 순환하도록, 곡의 전환에 연동하여 곡명의 표시가 전환된다(도 10).
이것에 의해 사용자에 있어서는, 현재, 어떤 곡을 현재 재생하고 있는지, 이어서 어떤 곡을 재생할 것인지, 또한 어떤 곡목에 자신의 기호의 곡이 재생되는 등의, 재생처리와의 관계를 종래에 비하여 한층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그 만큼 사용편리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재생이 종료한 곡을 최후미에 배치함으로써, 반복 재생할 수 있고, 이때 재생이 종료한 곡명의 표시가 전환됨으로써, 플레이리스트의 선두를 틀리지 않고 파악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2종류의 플레이리스트를 교대로 재생함으로써, 한정된 플레이리스트를 다양하게 조합시켜서 재생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전혀 의도하지 않는 곡이 연속하여 재생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 의외성이 높은 재생방법이며, 또 높은 자유도에 의해 여러 가지의 곡을 조합하여서 재생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2개의 플레이리스트, 스톡트레이의 배치에 의해, 적어도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와 이어서 재생하는 콘텐츠를 각각 다른 콘텐츠에서 식별 가능하게 표시함으로써, 효과음을 사이에 끼운 크로스페이드의 믹싱에 의해 재생을 전환하도록 하여, 어떤 곡을 처리하고 있는지를 명확하게 표시할 수 있고, 그 만큼 사용자에 있어서의 시인성을 높여서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각각의 플레이리스트에서 인점 등의 설정작업을 할 수 있게 하여 자유도가 높은 편집작업을 실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하여 2개의 플레이리스트의 콘텐츠를 교대로 재생하는데 있어서, 퍼스널컴퓨터(1)에 있어서는, 플레이스타일 변경버튼(BPS1 BPS3)이 조작되면(도 5), 조작버튼에 대응하는 템플릿의 기록에서(도 11), 신호처리계의 동작조건이 전환되고, 이것에 의해 하드한 분위기에 의한 재생스타일이 선택된 경우에는, 비교적 큰 음량에 의해, 고음, 저음을 강조하고, 또한 작은 방에서 시청하고 있는지의 분위기에 의해 각 콘텐츠가 재생된다. 또 소프트한 재생스타일이 선택된 경우에는, 비교적 작은 음량에 의해, 고음, 저음을 억압하고, 또한 큰 홀에서 시청하고 있는지의 분위기에 의해 각 콘텐츠가 재생된다. 또 표준의 경우에는, 이들의 중 간의 분위기에 의해 각 콘텐츠가 재생되고, 이들에 의해 신호처리계의 각 파라미터의 설정을 하나의 조작에 의해 간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들의 전환에 연동하여, 각 템플릿에 설정된 GUI정보, 동화정보에 의해 표시화면의 디자인이 전환구성된다.(도 13 및 도 14). 이것에 의해 퍼스널컴퓨터(1)에서는, 표시화면의 설정에 대해서도, 간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사용자에 있어서는, 재생결과를 시청할 뿐만 아니라, 표시화면을 통해서도 자기가 선택한 재생스타일을 확인할 수 있고, 사용편리를 향상할 수 있다. 또 퍼스널컴퓨터의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 있어서도, 간이하게 디자인을 변경하고, 재생의 분위기를 여러 가지로 전환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자신의 이미지에 합치한 환경을 간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각 콘텐츠를 재생하는데 있어서, 퍼스널컴퓨터(1)에서는, 이 재생스타일의 템플릿에 기록된 잘라 내기의 패턴에 따라서, 각 콘텐츠에 인점 및 아웃점이 설정되어 재생대상이 잘라 내진다(도 15 및 도 16). 이것에 의해 퍼스널컴퓨터(1)에서는, 플레이리스트에 의한 콘텐츠군의 각 콘텐츠에 부분적으로 재생하는 부위를 설정하고, 이 재생하는 부위인 잘라 내진 재생대상이 순차 연속하여 재생된다. 이것에 의해 퍼스널컴퓨터(1)에서는, 종래와는 다른 방법에 의해 콘텐츠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퍼스널컴퓨터(1)에서는, 재생스타일에 따른 시간설정에 의해 잘라 낼 때마다, 다른 부위를 잘라 내도록 랜덤하게 인점, 아웃점이 설정되고, 또 재생대상 간에 효과음이 삽입되어 재생됨으로써, 이 효과음의 설정에 의해 라디오 등에 있어서의 다이제스트와 같이, 이들의 콘텐츠군을 재생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사용자를 싫증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복수종류의 효과음(1 10)으로부터의 랜덤한 선택에 의해 각 콘텐츠간에 삽입하는 효과음이 결정되고, 또한 잘라 내는 시간에 있어서도, 템플릿에 따라서 불규칙하게 가변하고, 이것에 의해서도 사용자를 싫증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재생스타일에 따라서, 잘라 내는 시간의 설정이 다름으로써, 재생스타일에 따라서 잘라 내는 패턴이 선택 가능하게 되고, 또 이 잘라 내는 패턴의 선택에 따라서 효과음이 전환되고,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분위기에 따른 재생의 스타일에 의해 연속하는 콘텐츠를 잘라 내서 재생할 수 있다.
퍼스널컴퓨터(1)에서는, 이와 같은 재생대상과 효과음과의 접속이 크로스페이드에 의한 믹싱에 의해 접속되어서 재생되고, 이것에 의해 이와 같이 다이제스트형식에 의해 각 콘텐츠를 재생할 때에 있어서의 위화감이 방지된다. 또 이 크로스페이드에 의해 천이시간이 각 재생스타일에 의해 전환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재생스타일에 적합한 접속에 의해 효과음, 콘텐츠를 접속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렇게 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하여 재생하면, 몇번 반복하여 들어도, 같은 개소를 같은 효과음에 의해, 같은 콘텐츠와의 전후관계에 의해 시청하지 않아도 끝나고, 이것에 의해 사용자를 싫증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사용자에 있어서는, 어떤 곡마다 조작하지 않고, 곡의 도중에서 시청할 수도 있고, 효과음의 삽입에 의해 음을 도절시키지 않고 연속하여 재생하여, 텔레비젼, 라디오 등의 프로그 램에 있어서의 연출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하여 재생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불규칙한 잘라 내기에 의한 재생을 바라지 않는 경우도 고려되고, 이 경우에는, 편집작업용의 버튼(BE)을 조작하여 편집의 메뉴를 열음으로써(도 18), 소망의 개소에 인점을 설정하고, 이 인점으로부터 여러 가지로 변화하는 재생시간에 의해 각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이와 같은 사용자에 대해서도,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하여 사용자를 싫증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소정의 재생스타일로 재생하고 있을 때에, 재생스타일이 전환된 경우에는, 이 전환에 대응하도록 신호처리계, 표시가 전환되고, 이와 같은 전환시에 특별한, 다른 효과음에 비하여 재생시간의 긴 전환시의 효과음이 콘텐츠사이에 삽입된다. 이것에 이해 사용자에 있어서는, 재생스타일의 전환을 귀로 들어서 확인할 수 있다.
(3)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재생시간이 설정된 소정의 잘라 내는 패턴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를 잘라 내서 연속하여 재생함으로써, 종래와는 다른 방법에 의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고, 그 만큼 사용편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하여 잘라 낸 부분적으로 재생하는 부위간에 소정의 효과음을 삽입하여 재생함으로써, 이 효과음의 설정에 의해 마치 라디오 등에 있어서의 다이제스트와 같이, 이들의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사용자를 싫증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이때 효과음을 랜덤하게 선택함으로써, 사용자를 싫증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콘텐츠마다, 잘라 내는데 공여하는 시간을 불규칙하게 가변하는 것에 의해서도, 사용자를 싫증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이 잘라 내는 패턴을 선택 가능으로 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콘텐츠를 잘라 낼 수 있다.
또 이 잘라 내는 패턴의 선택에 따라서, 효과음을 전환함으로써, 또 효과음과의 접속을 전환함으로써, 더욱이는 음장 등의 재생시의 효과를 전환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 콘텐츠를 처리하는 처리계의 동작의 조건을 전환하는 동시에, 이 전환에 연동하여 표시화면의 디자인을 전환함으로써, 표시화면의 설정 등을 간략화 할 수 있다.
또 이때 이 조작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복수의 리스트에서 대응하는 리스트를 선택하고, 이 선택한 리스트에 의해 처리계의 동작의 조건을 전환함으로써, 소망의 리스트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각종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고, 그 만큼 각종 설정을 간략화 할 수 있다.
또, 재생처리를 이미지시키는 조작자의 표시 또는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에서,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로부터 재생하는 순서로 순차 연속하도록, 플레이리스트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배열하여 표시함으로써, 재생처리와의 관계를 종래에 비하여 한층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이때, 재생이 종료한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플레이리스트의 표시의 최후미에 배치함으로서, 반복 재생하는 경우에도, 재생처리와의 관계를 종래에 비하여 한층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가, 콘텐츠의 명칭인 것에 의해 오디오데이터의 재생에 적용하여, 콘텐츠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복수의 플레이리스트 중의 1개의 플레이리스트의 1개 콘텐츠의 재생을 종료하면, 다른 플레이리스트의 1개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와 이어서 재생하는 콘텐츠를 각각 다른 콘텐츠로부터 식별 가능하게 표시함으로써, 복수의 플레이리스트를 콘텐츠단위로 선택하여 재생하는 경우라도, 재생처리와의 관계를 종래에 비하여 한층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다른 콘텐츠로부터 식별 가능한 표시를, 플레이리스트마다, 재생처리를 이미지시키는 조작자의 표시 또는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로부터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배열하여 형성함으로서, 더 한층 재생처리와의 관계를 종래에 비하여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4) 다른 실시형태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재생스타일에 따라서 잘라 내는방법을 변경하여 콘텐츠를 잘라 내고, 또 효과음을 삽입하여 재생스타일에 따른 분위기에 의해 재생하는 경우 등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단순히 각 콘텐츠를 잘라 내서 재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소망하는 콘텐츠에 대해서는, 인 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의 설정을 받아들이지 않도록 하는 경우, 더욱이는 사용자가 소망하는 콘텐츠에 대해서는, 아울러 아웃점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등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재생스타일에 따른 처리계의 동작의 전환으로서, 잘라 내는 조건, 음량, 음질, 효과음, 접속의 조건 등을 전환하는 경우에 대해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단순히 주파수특성만을 전환하는 경우 등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버튼 등의 배치, 배경의 전환에 의해 표시화면의 디자인을 전환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배경만의 전환에 의해 표시화면의 디자인을 전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재생스타일에 따라서 잘라 내는 방법과 변경하여 콘텐츠를 잘라 내고, 또 효과음을 삽입하여 재생스타일에 따른 분위기에 의해 재생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 콘텐츠를 전곡 재생하는 경우 등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복재생을 전제로서, 재생이 종료한 콘텐츠에 대해서는, 표시를 전환하여 플레이리스트의 최후미에 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회만의 재생에 있어서는, 이 처리를 생략하여도 좋다. 또 최후미에 배치하는 경우라도, 표시의 전환 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서 중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플레이리스트를 교대로 재생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의 플레이리스트를 재생하는 경우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플레이리스트를 편집하는 경우, 더욱이는 편집된 플레이리스트를 기준으로 재생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콤팩트디스크 등의 1개의 기록매체의 TOC에 기록된 곡명의 리스트를 플레이리스트로서 이용하는 경우, 더욱이는 퍼스널컴퓨터의 내부에서 이들 콘텐츠를 관리하는 각종 관리용 테이블 등의 기록을 플레이리스트로서 이용하는 경우 등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플레이리스트를 표시하고, 표시를 전환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단순히 플레이리스트를 표시하는 것만의 경우, 더욱이는 플레이리스트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오디오데이터에 의한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비디오데이터에 의한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효과음의 삽입을 중지하여 잘라 낸 영상을 크로스페이드, 와이프 등에 의해 접속하는 경우가 고려된다. 또, 플레이리스트에 있어서의 곡명 등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에 대신하여, 또는 더하여, 각 콘텐츠로부터 추출한 정지화상을 적용하는 것도 고려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제 1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재생시간이 설정된 소정의 잘라 내는 패턴에 기초하여, 각 콘텐츠를 잘라 내서 연속하여 재생함으로써, 종래와는 다른 방법에 의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 본 출원의 제 2발명에 의하면, 콘텐츠를 처리하는 처리계의 동작의 조건을 전환하는 동시에, 이 전환에 연동하여 표시화면의 디자인을 전환함으로써, 표시화면의 설정 등을 간략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제 3발명에 의하면, 재생처리를 이미지시키는 조작자의 표시 또는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에서,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에서 재생하는 순서로 순차 연속하도록, 플레이리스트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배열하여 표시함으로써, 재생처리와의 관계를 종래에 비하여 한층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복수의 플레이리스트 중의 1개의 플레이리스트의 1개 콘텐츠의 재생을 종료하면, 다른 플레이리스트의 1개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 적어도 현재 재생중의 콘텐츠와 이어서 재생하는 콘텐츠를 각각 다른 콘텐츠로부터 식별 가능하게 표시함으로써, 복수의 플레이리스트를 콘텐츠단위로 선택하여 재생하는 경우라도, 재생처리와의 관계를 종래에 비하여 한층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Claims (65)

  1. 기록된 콘텐츠를 식별하는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재생의 시작을 지시하는 동작 요소의 표시와, 재생의 중지를 지시하는 동작 요소의 표시에 근거하여, 적어도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의 재생 순서에 따라서 콘텐츠의 재생이 연속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를 나타내는 표시들이 배열되도록 하는 표시를 생성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콘텐츠의 재생의 스위칭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의 표시들의 배열들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는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재생이 종료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가, 재생되는 상기 제 1 또는 제 2의 플레이 리스트를 형성하는 상기 콘텐츠의 상기 배열의 말단부에 배치되는 재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는 상기 콘텐츠의 이름이 되는 재생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오디오 데이터가 되는 재생장치.
  5. 기록된 콘텐츠를 식별하는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표시부의 소정의 영역내에,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의 한 부분과, 다음에 재생되는 콘텐츠의 한 부분을 나타내는 표시를 형성하는 표시형성수단과,
    상기 플레이 리스트가, 현재 재생되는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표시에 대하여, 재생 순서가 연속적으로 되기 위해, 상기 플레이 리스트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들이 배열되도록 하는 표시를 생성하는 표시수단과,
    현재 재생되는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표시와, 상기 플레이 리스트의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표시의 배열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며,
    재생이 종료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가 상기 플레이 리스트를 형성하는 상기 콘텐츠의 배열의 말단부에 배치되는 재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는 상기 콘텐츠의 이름이 되는 재생장치.
  7. 재생되는 콘텐츠를 식별하는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를 표시하는 플레이 리스트 표시수단과,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의 표시들을 스위칭하고, 상기 제 1의 플레이 리스트의 콘텐츠의 한 부분의 재생이 종료되었을 때에, 상기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의 콘텐츠의 한 부분을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콘텐츠가 서로 구별될 수 있도록,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의 한 부분과, 다음에 재생되는 콘텐츠의 한 부분을 표시하는 현재 재생 표시수단을 구비하며,
    재생이 종료되는 콘텐츠의 한 부분을 나타내는 표시는, 대응되는 배열의 말단부에서 종료되는 재생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재생의 시작을 지시하는 동작 요소의 표시와, 재생의 중지를 지시하는 동작 요소의 표시에 근거하여, 적어도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의 재생 순서에 따라서 콘텐츠의 재생이 연속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를 나타내는 표시들이 배열되도록 하는 표시를 생성하는 제 1의 표시 수단과,
    콘텐츠가 서로 구별되도록, 적어도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의 상기 한 부분과, 다음에 재생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제 2의 표시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재생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표시부의 소정의 영역내에,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형성하는 표시형성수단과,
    현재 재생되는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표시에 대하여, 콘텐츠의 재생 순서가 연속적으로 되기 위해,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들이 배열되도록 하는 표시를 생성하는 연속 표시수단과,
    콘텐츠가 서로 구별되도록, 적어도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의 상기 한 부분과, 다음에 재생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식별 표시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는 재생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오디오 데이터이며, 상기 연속되는 콘텐츠의 재생 결과들이 혼합되어 출력되는 재생장치.
  11. 기록된 콘텐츠를 식별하는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생방법은,
    재생의 시작을 지시하는 동작 요소의 표시와, 재생의 중지를 지시하는 동작 요소의 표시에 근거하여, 적어도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의 재생 순서에 따라서 콘텐츠의 재생이 연속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를 나타내는 표시들이 배열되도록 하는 표시를 생성하는 표시생성스텝과,
    상기 콘텐츠의 재생의 스위칭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의 표시들의 배열들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스텝을 구비하는 재생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재생이 종료되는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는, 재생되는 상기 제 1 또는 제 2의 플레이 리스트를 형성하는 상기 콘텐츠의 상기 배열의 말단부에 배치되는 재생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표시는 상기 콘텐츠의 이름이 되는 재생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오디오 데이터가 되는 재생방법.
  15. 기록된 콘텐츠를 식별하는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생방법은,
    표시부의 소정의 영역내에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형성하는 표시형성스텝과,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가, 현재 재생되는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표시에 대하여, 재생 순서가 연속적으로 되기 위해,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를 나타내는 표시들이 배열되도록 하는 표시를 생성하는 표시생성스텝과,
    상기 콘텐츠의 재생의 스위칭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의 표시들의 배열들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스텝을 구비하는 재생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재생이 종료되는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는, 재생되는 상기 제 1 또는 제 2의 플레이 리스트를 형성하는 상기 콘텐츠의 상기 배열의 말단부에 배치되는 재생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표시는 상기 콘텐츠의 이름이 되는 재생방법.
  18. 기록된 콘텐츠를 식별하는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재생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생방법은,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를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의 표시들을 스위칭하고, 상기 제 1의 플레이 리스트의 콘텐츠의 한 부분의 재생이 종료되었을 때에, 상기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의 콘텐츠의 한 부분을 재생하는 스위칭 및 재생 스텝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와 다음에 재생되는 콘텐츠가 서로 구별될 수 있도록, 적어도 현재 재생되는 상기 콘텐츠와, 다음에 재생되는 상기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스텝과,
    콘텐츠가 재생되는 상기 제 1 또는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의 상기 콘텐츠의 배열의 말단부에, 재생이 종료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배치하는 배치 단계를 구비하는 재생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재생의 시작을 지시하는 동작 요소의 표시와, 재생의 중지를 지시하는 동작 요소의 표시에 근거하여, 적어도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의 재생 순서에 따라서 콘텐츠의 재생이 연속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를 나타내는 표시들이 배열되도록 하는 표시를 생성하는 표시생성스텝을 추가로 구비하는 재생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표시부의 소정의 영역내에, 현재 재생되는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형성하는 표시형성스텝과,
    현재 재생되는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표시에 대하여, 콘텐츠의 재생 순서가 연속적으로 되기 위해,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의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들이 배열되도록 하는 표시를 생성하는 표시생성스텝을 추가로 구비하는 재생방법.
  21.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오디오 데이터이며,
    현재 재생되는 상기 콘텐츠와 다음에 재생되는 상기 콘텐츠의 재생 결과들이, 효과음이 삽입된 크로스페이드와 혼합되어 출력되는 재생방법.
  22. 기록된 콘텐츠를 식별하는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처리 절차가,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도록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재생 처리 절차는,
    재생의 시작을 지시하는 동작 요소의 표시와, 재생의 중지를 지시하는 동작 요소의 표시에 근거하여, 적어도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의 재생 순서에 따라서 콘텐츠의 재생이 연속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를 나타내는 표시들이 배열되도록 하는 표시를 생성하는 표시생성스텝과,
    상기 콘텐츠의 재생의 스위칭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의 표시들의 배열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스텝을 구비하며,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도록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처리 절차는, 재생되는 상기 제 1 또는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의 상기 콘텐츠의 배열의 말단부에, 재생이 종료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배치하며,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도록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
  24. 기록된 콘텐츠를 식별하는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스위칭함으로써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처리 절차가,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도록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재생 처리 절차는,
    표시부의 소정의 영역내에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형성하는 표시형성스텝과,
    현재 재생되는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표시에 대하여,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의 콘텐츠의 재생 순서가 연속적으로 되기 위해,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를 나타내는 표시들이 배열되도록 하는 표시를 생성하는 표시 생성 스텝과,
    상기 콘텐츠의 재생의 스위칭에 응답하여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의 상기 표시들의 배열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스텝을 구비하며,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도록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처리 절차는, 재생되는 상기 제 1 또는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의 상기 콘텐츠의 배열의 말단부에, 재생이 종료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배치하며,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도록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
  26. 기록된 콘텐츠를 식별하는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재생 처리 절차가,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도록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재생 처리 절차는,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를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의 표시들을 스위칭하고, 상기 제 1의 플레이 리스트의 콘텐츠의 한 부분의 재생이 종료되었을 때에, 상기 제 2의 플레이 리스트의 콘텐츠의 한 부분을 재생하는 스위칭 및 재생 스텝과,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와 다음에 재생되는 콘텐츠가 서로 구별될 수 있도록, 적어도 현재 재생되는 상기 콘텐츠와, 다음에 재생되는 상기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스텝과,
    재생이 종료된 콘텐츠를, 대응되는 배열의 말단부에 배치하는 배치 스텝을 구비하며,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도록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처리 절차는,
    재생의 시작을 지시하는 동작 요소의 표시와, 재생의 중지를 지시하는 동작 요소의 표시중 한 개의 표시에 근거하여, 적어도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로부터 시작하여, 재생 순서에 따라서 콘텐츠의 재생이 연속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를 나타내는 표시들이 배열되도록 하는 표시를 생성하는 표시생성스텝을 추가로 구비하며,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도록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처리 절차는,
    표시부의 소정의 영역내에 현재 재생되는 콘텐츠를 나타내는 표시를 형성하는 표시형성스텝과,
    현재 재생되는 상기 콘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표시에 대하여, 콘텐츠의 재생 순서가 연속적으로 되기 위해, 상기 제 1과 제 2의 플레이 리스트를 나타내는 표시들이 배열되도록 하는 표시를 생성하는 표시생성스텝을 추가로 구비하며,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도록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KR1020010024906A 2000-05-15 2001-05-08 재생장치, 재생방법 및 기록매체 KR100867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47476 2000-05-15
JP2000-147474 2000-05-15
JP2000147476A JP4168308B2 (ja) 2000-05-15 2000-05-15 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0147472A JP2001325789A (ja) 2000-05-15 2000-05-15 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0147474A JP2001325768A (ja) 2000-05-15 2000-05-15 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0-147472 2000-05-1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085A Division KR100867764B1 (ko) 2000-05-15 2007-10-12 재생장치, 재생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166A KR20010105166A (ko) 2001-11-28
KR100867760B1 true KR100867760B1 (ko) 2008-11-10

Family

ID=2734342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906A KR100867760B1 (ko) 2000-05-15 2001-05-08 재생장치, 재생방법 및 기록매체
KR1020070103085A KR100867764B1 (ko) 2000-05-15 2007-10-12 재생장치, 재생방법 및 기록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085A KR100867764B1 (ko) 2000-05-15 2007-10-12 재생장치, 재생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6) US7216008B2 (ko)
EP (2) EP1160658B1 (ko)
KR (2) KR100867760B1 (ko)
CN (1) CN1171216C (ko)
HK (1) HK10455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45137B2 (en) 2000-03-16 2014-02-04 Apple Inc. Fast, language-independent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by voice
US7203648B1 (en) 2000-11-03 2007-04-10 At&T Corp. Method for sending multi-media messages with customized audio
US6963839B1 (en) * 2000-11-03 2005-11-08 At&T Corp.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ound in a multi-media communication application
US20080040227A1 (en) 2000-11-03 2008-02-14 At&T Corp. System and method of marketing using a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JP2003092761A (ja) * 2001-09-18 2003-03-28 Toshiba Corp 動画再生装置、動画再生方法及び音声再生装置
WO2003043339A1 (fr) 2001-11-12 2003-05-22 Sony Corporation Systeme de remise d'informations, procede, appareil de traitement d'informations et procede
US7610358B2 (en) * 2001-11-26 2009-10-27 Time Warner Cable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vely presenting multimedia information materials
US20070220580A1 (en) * 2002-03-14 2007-09-20 Daniel Putterman User interface for a media convergence platform
US20030215889A1 (en) 2002-03-20 2003-11-20 Simard J. Marc Non-selective cation channel in neural cells and methods for treating brain swelling
US20050021470A1 (en) * 2002-06-25 2005-01-27 Bose Corporation Intelligent music track selection
US20040225519A1 (en) * 2002-06-25 2004-11-11 Martin Keith D. Intelligent music track selection
US20030236582A1 (en) * 2002-06-25 2003-12-25 Lee Zamir Selection of items based on user reactions
KR101156827B1 (ko) * 2003-04-24 2012-06-18 톰슨 라이센싱 오디오 식별을 이용한 재생목록의 생성
JP3931843B2 (ja) * 2003-06-13 2007-06-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記録媒体および再生方法
US7757173B2 (en) * 2003-07-18 2010-07-13 Apple Inc. Voice menu system
US11106425B2 (en) 2003-07-28 2021-08-31 Sonos, Inc.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US11294618B2 (en) 2003-07-28 2022-04-05 Sonos, Inc. Media player system
US11106424B2 (en) 2003-07-28 2021-08-31 Sonos, Inc.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US8234395B2 (en) 2003-07-28 2012-07-31 Sonos,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US8086752B2 (en) 2006-11-22 2011-12-27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that independently source digital data
US11650784B2 (en) 2003-07-28 2023-05-16 Sonos, Inc. Adjusting volume levels
US8290603B1 (en) 2004-06-05 2012-10-16 Sonos, Inc. User interfaces for controlling and manipulating groupings in a multi-zone media system
US9207905B2 (en) 2003-07-28 2015-12-08 Sono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ynchrony group status information
US6822154B1 (en) * 2003-08-20 2004-11-23 Sunco Ltd. Miniature musical system with individually controlled musical instruments
JP2005197913A (ja) * 2004-01-06 2005-07-2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9977561B2 (en) 2004-04-01 2018-05-22 Sonos, Inc.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o provide guest access
US9374607B2 (en) 2012-06-26 2016-06-21 Sonos, Inc. Media playback system with guest access
JP2005322285A (ja) * 2004-05-07 2005-11-17 Hitachi Ltd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US10268352B2 (en) 2004-06-05 2019-04-23 Sono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playlist by metadata
US8326951B1 (en) 2004-06-05 2012-12-04 Sonos, Inc. Establishing a secure wireless network with minimum human intervention
US8868698B2 (en) 2004-06-05 2014-10-21 Sonos, Inc. Establishing a secure wireless network with minimum human intervention
JP4615262B2 (ja) * 2004-06-30 2011-01-19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7818350B2 (en) * 2005-02-28 2010-10-19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collaborative playlist
JP2008533643A (ja) * 2005-03-18 2008-08-21 トニウム アーベー ディスクジョッキー機能が内蔵された携帯コンピュータ装置
JP4626376B2 (ja) * 2005-04-25 2011-02-09 ソニー株式会社 音楽コンテンツの再生装置および音楽コンテンツ再生方法
KR101070748B1 (ko) * 2005-05-19 2011-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재생장치의 파일정보 제공방법
US8300841B2 (en) 2005-06-03 2012-10-30 Apple Inc. Techniques for presenting sound effects on a portable media player
JP4556789B2 (ja) * 2005-07-07 2010-10-06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再生プログラム
JP4412269B2 (ja) * 2005-07-28 2010-02-10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表示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42204A (ja) * 2005-08-02 2007-02-15 Sony Corp 再生装置、期限通知方法および期限通知プログラム
US7548958B2 (en) * 2005-08-08 2009-06-16 Rowe International Corporation Quick pick apparatus and method for music selection
US8677377B2 (en) 2005-09-08 2014-03-18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building an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7882435B2 (en) * 2005-12-20 2011-02-0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Electronic equipment with shuffle operation
US9032297B2 (en) * 2006-03-17 2015-05-12 Disney Enterprises, Inc. Web based video editing
US8452432B2 (en) * 2006-05-25 2013-05-28 Brian Transeau Realtime editing and performance of digital audio tracks
US20080030456A1 (en) * 2006-07-19 2008-02-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Motion Responsive Output Modifications in an Electronic Device
US9318108B2 (en)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8788080B1 (en) 2006-09-12 2014-07-22 Sonos, Inc. Multi-channel pairing in a media system
US9202509B2 (en) 2006-09-12 2015-12-01 Sonos, Inc. Controlling and grouping in a multi-zone media system
US8483853B1 (en) 2006-09-12 2013-07-09 Sonos, Inc. Controlling and manipulating groupings in a multi-zone media system
US10657168B2 (en) 2006-10-24 2020-05-19 Slacker,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ersonalized rendering of digital media content
US8712563B2 (en) 2006-10-24 2014-04-29 Slack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US20100106852A1 (en) * 2007-10-24 2010-04-29 Kindig Bradley 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personalized media content on a portable device
CA2667573C (en) * 2006-10-24 2018-10-23 Slacker, Inc. Method and device for playback of digital media content
EP2418594B1 (en) 2006-11-10 2015-05-2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Visualisation and clustering method keeping the order of the assets in a playlist.
US20080115173A1 (en) 2006-11-10 2008-05-15 Guidework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playlists
US8774951B2 (en) * 2006-12-18 2014-07-0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media playback
US20080172413A1 (en) * 2007-01-12 2008-07-17 Fu-Sheng Chiu Mobile multimedia content distribution and access
US9511075B2 (en) * 2007-01-12 2016-12-06 The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Targeting NCCA-ATP channel for organ protection following ischemic episode
WO2008098160A1 (en) * 2007-02-09 2008-08-14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Antagonists of a non-selective cation channel in neural cells
US7920901B2 (en) * 2007-02-28 2011-04-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ors in a media application
EP2135182A1 (en) * 2007-03-08 2009-12-23 Slacker, INC.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ing playback content through interaction with a playback device
CA2680797C (en) * 2007-03-14 2018-02-13 Slacke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rtable personalized radio
US8977255B2 (en) 2007-04-03 2015-03-10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KR101379986B1 (ko) * 2007-04-05 2014-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의 추가방법
JP5145760B2 (ja) * 2007-04-25 2013-02-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20100275158A1 (en) * 2007-05-25 2010-10-28 Bang & Olufsen A/S System and a method for providing events to a user
EP2167107B1 (en) 2007-06-22 2016-12-14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Inhibitors of ncca-atp channels for therapy
US20090006479A1 (en) * 2007-06-29 2009-01-01 Hitoshi Fujita Digital content player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20090013260A1 (en) * 2007-07-06 2009-01-08 Martin Keith D Intelligent music track selection in a networked environment
US8102027B2 (en) * 2007-08-21 2012-01-24 Broadcom Corporation IC package sacrificial structures for crack propagation confinement
US20090062944A1 (en) * 2007-09-04 2009-03-05 Apple Inc. Modifying media files
WO2009044315A1 (en) * 2007-10-02 2009-04-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selecting at least one of a collection of content items
US8549402B2 (en) * 2007-12-29 2013-10-01 Joseph Harold Moor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radio service
US9330720B2 (en) 2008-01-03 2016-05-0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ltering audio output signals
BRPI0909212A2 (pt) 2008-03-28 2015-08-18 Pacific Biosciences California Composições e método para sequeciamento de ácido nucléico
WO2009145818A1 (en) 2008-03-31 2009-12-03 Pacific Biosciences Of California, Inc Single molecule loading methods and compositions
US8996376B2 (en) 2008-04-05 2015-03-31 Apple Inc. Intelligent text-to-speech conversion
US10496753B2 (en) 2010-01-18 2019-12-03 Apple Inc. Automatically adapting user interfaces for hands-free interaction
US9177604B2 (en) * 2008-05-23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dia content for a mobile media device
US7933974B2 (en) * 2008-05-23 2011-04-26 Microsoft Corporation Media content for a mobile media device
US20100030549A1 (en) 2008-07-31 2010-02-04 Lee Michael M Mobile device having human language translation capability with positional feedback
US8898568B2 (en) 2008-09-09 2014-11-25 Apple Inc. Audio user interface
US8156435B2 (en) * 2008-11-25 2012-04-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and methods to select media content
US8527877B2 (en) * 2008-11-25 2013-09-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and methods to select media content
US8219536B2 (en) * 2008-11-25 2012-07-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and methods to select media content
WO2010067118A1 (en) 2008-12-11 2010-06-17 Novauris Technologies Limited Speech recognition involving a mobile device
US8209609B2 (en) * 2008-12-23 2012-06-26 Intel Corporation Audio-visual search and browse interface (AVSBI)
US20100198926A1 (en) * 2009-02-05 2010-08-05 Bang & Olufsen A/S Method and an apparatus for providing more of the same
US20120309363A1 (en) 2011-06-03 2012-12-06 Apple Inc. Triggering notifications associated with tasks items that represent tasks to perform
US9858925B2 (en) 2009-06-05 2018-01-02 Apple Inc. Using context information to facilitate processing of commands in a virtual assistant
US10241644B2 (en) 2011-06-03 2019-03-26 Apple Inc. Actionable reminder entries
US10241752B2 (en) 2011-09-30 2019-03-26 Apple Inc. Interface for a virtual digital assistant
US9431006B2 (en) 2009-07-02 2016-08-30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KR20110012125A (ko) * 2009-07-29 2011-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음악 재생 장치 및 방법
TWI393444B (zh) * 2009-11-03 2013-04-11 Delta Electronics Inc 多媒體播放系統、辨識一檔案之裝置及其方法
US10276170B2 (en) 2010-01-18 2019-04-3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10679605B2 (en) 2010-01-18 2020-06-09 Apple Inc. Hands-free list-reading b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10705794B2 (en) 2010-01-18 2020-07-07 Apple Inc. Automatically adapting user interfaces for hands-free interaction
US10553209B2 (en) 2010-01-18 2020-02-04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nds-free notification summaries
WO2011089450A2 (en) 2010-01-25 2011-07-28 Andrew Peter Nelson Jerram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 digital conversation management platform
US8682667B2 (en) 2010-02-25 2014-03-25 Apple Inc. User profiling for selecting user specific voice input processing information
US20110276155A1 (en) * 2010-05-07 2011-11-10 Apple Inc. Media playback settings for playlists
US10762293B2 (en) 2010-12-22 2020-09-01 Apple Inc. Using parts-of-speech tagging and named entity recognition for spelling correction
US11265652B2 (en) 2011-01-25 2022-03-01 Sonos, Inc. Playback device pairing
US11429343B2 (en) 2011-01-25 2022-08-30 Sonos, Inc. Stereo playback configuration and control
US9262612B2 (en) 2011-03-21 2016-02-16 Apple Inc. Device access using voice authentication
US10057736B2 (en) 2011-06-03 2018-08-21 Apple Inc. Active transport based notifications
US8994660B2 (en) 2011-08-29 2015-03-31 Apple Inc. Text correction processing
US9021355B2 (en) * 2011-09-08 2015-04-28 Imagine Communications Corp. Graphical user interface to facilitate managing media operations
US9070352B1 (en) 2011-10-25 2015-06-30 Mixwolf LLC System and method for mixing song data using measure groupings
US9111519B1 (en) 2011-10-26 2015-08-18 Mixwolf LL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uepoints for mixing song data
US9654821B2 (en) 2011-12-30 2017-05-16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ed music playback
US10134385B2 (en) 2012-03-02 2018-11-2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ame pronunciation
US9483461B2 (en) 2012-03-06 2016-11-01 Apple Inc. Handling speech synthesis of content for multiple languages
US9729115B2 (en) 2012-04-27 2017-08-08 Sonos, Inc. Intelligently increasing the sound level of player
US9280610B2 (en) 2012-05-14 2016-03-08 Apple Inc. Crowd sourcing information to fulfill user requests
US9084042B2 (en) * 2012-05-16 2015-07-14 Elli&Nooli,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long playback of short recordings
US9721563B2 (en) 2012-06-08 2017-08-01 Apple Inc. Name recognition system
US9674587B2 (en) 2012-06-26 2017-06-06 Sono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ed music playback including remote add to queue
US9495129B2 (en) 2012-06-29 2016-11-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voice-activated navigation and browsing of a document
US9576574B2 (en) 2012-09-10 2017-02-21 Apple Inc. Context-sensitive handling of interruptions by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US9547647B2 (en) 2012-09-19 2017-01-17 Apple Inc. Voice-based media searching
US9078010B2 (en) 2012-09-28 2015-07-07 Sonos, Inc. Audio content playback management
US9008330B2 (en) 2012-09-28 2015-04-14 Sonos, Inc. Crossover frequency adjustments for audio speakers
EP3809407A1 (en) 2013-02-07 2021-04-21 Apple Inc. Voice trigger for a digital assistant
US20140248590A1 (en) * 2013-03-01 2014-09-04 Learning Circle Kids LLC Keyboard for entering text and learning to read, write and spell in a first language and to learn a new language
US9368114B2 (en) 2013-03-14 2016-06-14 Apple Inc. Context-sensitive handling of interruptions
US10652394B2 (en) 2013-03-14 2020-05-12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mail
US10275463B2 (en) 2013-03-15 2019-04-30 Slacker, Inc. System and method for scoring and ranking digital content based on activity of network users
AU2014233517B2 (en) 2013-03-15 2017-05-25 Apple Inc. Training an at least partial voice command system
WO2014144579A1 (en) 2013-03-15 2014-09-1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an adaptive speech recognition model
US9501533B2 (en) 2013-04-16 2016-11-22 Sonos, Inc. Private queue for a media playback system
US9361371B2 (en) 2013-04-16 2016-06-07 Sonos, Inc. Playlist update in a media playback system
US9247363B2 (en) 2013-04-16 2016-01-26 Sonos, Inc. Playback queue transfer in a media playback system
US9953179B2 (en) 2013-05-29 2018-04-24 Sonos, Inc. Private queue indicator
US9798510B2 (en) * 2013-05-29 2017-10-24 Sonos, Inc. Connected state indicator
US9684484B2 (en) 2013-05-29 2017-06-20 Sonos, Inc. Playback zone silent connect
US9495076B2 (en) 2013-05-29 2016-11-15 Sonos, Inc. Playlist modification
US10715973B2 (en) 2013-05-29 2020-07-14 Sonos, Inc. Playback queue control transition
US9703521B2 (en) 2013-05-29 2017-07-11 Sonos, Inc. Moving a playback queue to a new zone
US9735978B2 (en) 2013-05-29 2017-08-15 Sonos, Inc. Playback queue control via a playlist on a mobile device
WO2014197336A1 (en) 2013-06-07 2014-12-1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s in interactions with a voice-based digital assistant
WO2014197334A2 (en) 2013-06-07 2014-12-1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user-specified pronunciation of words for speech synthesis and recognition
US9582608B2 (en) 2013-06-07 2017-02-28 Apple Inc. Unified ranking with entropy-weighted information for phrase-based semantic auto-completion
WO2014197335A1 (en) 2013-06-08 2014-12-11 Apple Inc. Interpreting and acting upon commands that involve sharing information with remote devices
US10176167B2 (en) 2013-06-09 2019-01-0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user intent from speech inputs
KR101922663B1 (ko) 2013-06-09 2018-11-28 애플 인크. 디지털 어시스턴트의 둘 이상의 인스턴스들에 걸친 대화 지속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JP2016521948A (ja) 2013-06-13 2016-07-2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音声コマンドによって開始される緊急電話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AU2014306221B2 (en) 2013-08-06 2017-04-06 Apple Inc. Auto-activating smart responses based on activities from remote devices
USD862502S1 (en) * 2013-10-30 2019-10-08 Learning Circle Kids LLC Touch screen display with hexagonal keys
USD752084S1 (en) * 2013-12-12 2016-03-22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Display screen portio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226073B2 (en) 2014-02-06 2015-12-29 Sonos, Inc. Audio output balancing during synchronized playback
US9226087B2 (en) 2014-02-06 2015-12-29 Sonos, Inc. Audio output balancing during synchronized playback
US10587693B2 (en) 2014-04-01 2020-03-10 Sonos, Inc. Mirrored queues
US9620105B2 (en) 2014-05-15 2017-04-11 Apple Inc. Analyzing audio input for efficient speech and music recognition
US10592095B2 (en) 2014-05-23 2020-03-17 Apple Inc. Instantaneous speaking of content on touch devices
US9502031B2 (en) 2014-05-27 2016-11-22 Apple Inc. Method for supporting dynamic grammars in WFST-based ASR
US9785630B2 (en) 2014-05-30 2017-10-10 Apple Inc. Text prediction using combined word N-gram and unigram language models
US10078631B2 (en) 2014-05-30 2018-09-18 Apple Inc. Entropy-guided text prediction using combined word and character n-gram language models
US9633004B2 (en) 2014-05-30 2017-04-25 Apple Inc. Better resolution when referencing to concepts
US9842101B2 (en) 2014-05-30 2017-12-12 Apple Inc. Predictive conversion of language input
US10289433B2 (en) 2014-05-30 2019-05-14 Apple Inc. Domain specific language for encoding assistant dialog
US9430463B2 (en) 2014-05-30 2016-08-30 Apple Inc. Exemplar-based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10170123B2 (en) 2014-05-30 2019-01-01 Apple Inc.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US9715875B2 (en) 2014-05-30 2017-07-25 Apple Inc. Reducing the need for manual start/end-pointing and trigger phrases
US9760559B2 (en) 2014-05-30 2017-09-12 Apple Inc. Predictive text input
US9966065B2 (en) 2014-05-30 2018-05-08 Apple Inc. Multi-command single utterance input method
US9734193B2 (en) 2014-05-30 2017-08-15 Apple Inc. Determining domain salience ranking from ambiguous words in natural speech
US9720642B2 (en) 2014-06-04 2017-08-01 Sonos, Inc. Prioritizing media content requests
US9363254B2 (en) 2014-06-04 2016-06-07 Sonos, Inc. Cloud queue access control
US20150355818A1 (en) 2014-06-04 2015-12-10 Sonos, Inc. Continuous Playback Queue
JP6367374B2 (ja) 2014-06-24 2018-08-01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音楽再生中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US9338493B2 (en)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US10659851B2 (en) 2014-06-30 2020-05-19 Apple Inc. Real-time digital assistant knowledge updates
US10446141B2 (en) 2014-08-28 2019-10-15 Apple Inc.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based on user feedback
USD772284S1 (en) * 2014-09-01 2016-11-22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set of graphical user interfaces
US9818400B2 (en) 2014-09-11 2017-11-14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trending terms in speech requests
US10789041B2 (en) 2014-09-12 2020-09-29 Apple Inc. Dynamic thresholds for always listening speech trigger
US9886432B2 (en) 2014-09-30 2018-02-06 Apple Inc. Parsimonious handling of word inflection via categorical stem + suffix N-gram language models
US10127911B2 (en) 2014-09-30 2018-11-13 Apple Inc. Speaker identification and unsupervised speaker adaptation techniques
US10074360B2 (en) 2014-09-30 2018-09-11 Apple Inc. Providing an indication of the suitability of speech recognition
US9646609B2 (en) 2014-09-30 2017-05-09 Apple Inc. Caching apparatus for serving phonetic pronunciations
US9668121B2 (en) 2014-09-30 2017-05-30 Apple Inc. Social reminders
USD772929S1 (en) * 2014-10-06 2016-11-29 Vixlet LLC Display screen with icons
USD772928S1 (en) * 2014-10-06 2016-11-29 Vixlet LLC Display screen with computer icons
USD775198S1 (en) * 2014-10-06 2016-12-27 Vixlet LLC Display screen with icons
USD774085S1 (en) * 2014-10-06 2016-12-13 Vixlet LLC Computer display with icons
USD774086S1 (en) * 2014-10-06 2016-12-13 Vixlet LLC Display screen with computer icon
USD772288S1 (en) * 2014-10-06 2016-11-22 Vixlet LLC Display screen with computer icons
US10552013B2 (en) 2014-12-02 2020-02-04 Apple Inc. Data detection
US9711141B2 (en) 2014-12-09 2017-07-18 Apple Inc. Disambiguating heteronyms in speech synthesis
US9865280B2 (en) 2015-03-06 2018-01-09 Apple Inc. Structured dictation using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s
US10567477B2 (en) 2015-03-08 2020-02-18 Apple Inc. Virtual assistant continuity
US9886953B2 (en) 2015-03-08 2018-02-06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ctivation
US9721566B2 (en) 2015-03-08 2017-08-01 Apple Inc. Competing devices responding to voice triggers
US9899019B2 (en) 2015-03-18 2018-02-2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tructured stem and suffix language models
US10152212B2 (en) 2015-04-10 2018-12-11 Sonos, Inc. Media container addition and playback within queue
US9842105B2 (en) 2015-04-16 2017-12-12 Apple Inc. Parsimonious continuous-space phrase representations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9329748B1 (en) 2015-05-07 2016-05-03 SnipMe, Inc. Single media player simultaneously incorporating multiple different streams for linked content
US9402050B1 (en) 2015-05-07 2016-07-26 SnipMe, Inc. Media content creation application
US10083688B2 (en) 2015-05-27 2018-09-25 Apple Inc. Device voice control for selecting a displayed affordance
US10127220B2 (en) 2015-06-04 2018-11-13 Apple Inc. Language identification from short strings
US10101822B2 (en) 2015-06-05 2018-10-16 Apple Inc. Language input correction
US9578173B2 (en) 2015-06-05 2017-02-21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ided communication with 3rd party service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10255907B2 (en) 2015-06-07 2019-04-09 Apple Inc. Automatic accent detection using acoustic models
US11025565B2 (en) 2015-06-07 2021-06-01 Apple Inc. Personalized prediction of responses for instant messaging
US10186254B2 (en) 2015-06-07 2019-01-22 Apple Inc. Context-based endpoint detection
US10248376B2 (en) 2015-06-11 2019-04-02 Sonos, Inc. Multiple groupings in a playback system
USD805534S1 (en) * 2015-08-25 2017-12-19 Icoaching Gmbh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unctioning as a keyboard
USD776682S1 (en) * 2015-09-04 2017-01-17 Salesforce.Com,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120531B2 (en) * 2015-09-08 2018-11-0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navigating and playing content
US10671428B2 (en) 2015-09-08 2020-06-02 Apple Inc. Distributed personal assistant
US10747498B2 (en) 2015-09-08 2020-08-18 Apple Inc.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CN105139878A (zh) * 2015-09-10 2015-12-09 捷开通讯科技(上海)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的音乐播放顺序控制系统与方法
US9697820B2 (en) 2015-09-24 2017-07-04 Apple Inc. Unit-selection text-to-speech synthesis using concatenation-sensitive neural networks
USD801377S1 (en) * 2015-09-28 2017-10-31 ProductionPro LLC Display panel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366158B2 (en) 2015-09-29 2019-07-30 Apple Inc. Efficient word encoding for recurrent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s
US11010550B2 (en) 2015-09-29 2021-05-18 Apple Inc. Unified language modeling framework for word prediction, auto-completion and auto-correction
US11587559B2 (en) 2015-09-30 2023-02-21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identification
US10691473B2 (en) 2015-11-06 2020-06-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US10049668B2 (en) 2015-12-02 2018-08-14 Apple Inc. Applying neural network language models to weighted finite state transducers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US10223066B2 (en) 2015-12-23 2019-03-05 Apple Inc. Proactive assistance based on dialo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10446143B2 (en) 2016-03-14 2019-10-15 Apple Inc. Identification of voice inputs providing credentials
USD823315S1 (en) * 2016-03-30 2018-07-17 Square, Inc. Display screen hav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9756S1 (en) * 2016-04-18 2018-10-02 Mx Technologie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19679S1 (en) 2016-04-18 2018-06-05 Mx Technologies,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9757S1 (en) * 2016-04-18 2018-10-02 Mx Technologie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5607S1 (en) 2016-04-18 2018-08-14 Mx Technologies,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9934775B2 (en) 2016-05-26 2018-04-03 Apple Inc. Unit-selection text-to-speech synthesis based on predicted concatenation parameters
US9972304B2 (en) 2016-06-03 2018-05-15 Apple Inc. Privacy preserving distributed evaluation framework for embedded personalized systems
US10249300B2 (en) 2016-06-06 2019-04-02 Apple Inc. Intelligent list reading
US10049663B2 (en) 2016-06-08 2018-08-14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DK179309B1 (en) 2016-06-09 2018-04-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home environment
US10490187B2 (en) 2016-06-10 2019-11-26 Apple Inc. Digital assistant providing automated status report
US10586535B2 (en) 2016-06-10 2020-03-10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US10192552B2 (en) 2016-06-10 2019-01-29 Apple Inc. Digital assistant providing whispered speech
US10509862B2 (en) 2016-06-10 2019-12-17 Apple Inc. Dynamic phrase expansion of language input
US10067938B2 (en) 2016-06-10 2018-09-04 Apple Inc. Multilingual word prediction
DK179343B1 (en) 2016-06-11 2018-05-14 Apple Inc Intelligent task discovery
DK179049B1 (en) 2016-06-11 2017-09-18 Apple Inc Data driven natural language even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DK201670540A1 (en) 2016-06-11 2018-01-08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DK179415B1 (en) 2016-06-11 2018-06-14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arbitration and control
US10043516B2 (en) 2016-09-23 2018-08-07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10712997B2 (en) 2016-10-17 2020-07-14 Sonos, Inc. Room association based on name
USD828371S1 (en) * 2016-10-20 2018-09-11 Google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281993B2 (en) 2016-12-05 2022-03-22 Apple Inc. Model and ensemble compression for metric learning
US10593346B2 (en) 2016-12-22 2020-03-17 Apple Inc. Rank-reduced token representation for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DK201770383A1 (en) 2017-05-09 2018-12-14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CORRECTING RECOGNITION ERRORS
DK201770439A1 (en) 2017-05-11 2018-12-13 Apple Inc. Offline personal assistant
DK179496B1 (en) 2017-05-12 2019-01-15 Apple Inc.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DK179745B1 (en) 2017-05-12 2019-05-01 Apple Inc.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OF A DIGITAL ASSISTANT
DK201770429A1 (en) 2017-05-12 2018-12-14 Apple Inc. LOW-LATENC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DK201770432A1 (en) 2017-05-15 2018-12-21 Apple Inc. Hierarchical belief states for digital assistants
DK201770431A1 (en) 2017-05-15 2018-12-20 Apple Inc. Optimizing dialogue policy decisions for digital assistants using implicit feedback
DK179549B1 (en) 2017-05-16 2019-02-12 Apple Inc. FAR-FIELD EXTENSION FOR DIGITAL ASSISTANT SERVICES
USD914734S1 (en) * 2018-02-05 2021-03-30 St Engineering Land Systems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8347672B (zh) * 2018-02-09 2021-01-22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播放音频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D965629S1 (en) * 2020-06-30 2022-10-04 Genelec Oy Computer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65025S1 (en) * 2020-06-30 2022-09-27 Genelec Oy Computer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44845S1 (en) * 2020-07-27 202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592A (ko) * 1992-08-18 1994-03-15 강진구 다중 재생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62A (en) 1871-02-28 Improvement in bee-hives
GB8414088D0 (en) 1984-06-01 1984-07-04 Viewfax Digital Lt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JPH0634290B2 (ja) 1984-12-28 1994-05-02 株式会社東芝 デイスクオ−トチエンジヤ−装置
GB2244844A (en) 1990-03-16 1991-12-11 Patrik Garten Fully automated radio disc jockey system
US5359712A (en) * 1991-05-06 1994-10-25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itioning between sequences of digital information
JP2541045B2 (ja) 1991-09-18 1996-10-09 株式会社船井電機研究所 イントロスキャン機能を有した再生装置
US5999173A (en) * 1992-04-03 1999-12-07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diting with video clip representations displayed along a time line
US5616876A (en) * 1995-04-19 1997-04-0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s for selecting music on the basis of subjective content
US5677708A (en) * 1995-05-05 1997-10-1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displaying a list on a display screen
JPH0917159A (ja) 1995-06-30 1997-01-17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並びに情報記録媒体
JP2927229B2 (ja) * 1996-01-23 1999-07-28 ヤマハ株式会社 メドレー演奏装置
IT1282613B1 (it) * 1996-02-13 1998-03-31 Roland Europ Spa Apparecchiatura elettronica per la composizione e riproduzione automatica di dati musicali
JP2956569B2 (ja) * 1996-02-26 1999-10-04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DE19608957A1 (de) 1996-03-08 1997-09-11 Ralf Pretz CD-Abspielgerät
US5668788A (en) * 1996-06-10 1997-09-16 Allison; Avery Vince Programmed juke box capable of calculating a continuous updated playlist
JPH1040668A (ja) 1996-07-23 1998-02-13 Sony Corp 表示装置
US5895878A (en) * 1997-01-09 1999-04-20 Yamaha Corporation Automatic accompaniment apparatus with concurrent change of music style and acoustic effect
US6252597B1 (en) * 1997-02-14 2001-06-26 Netscape Communications Corporation Scalable user interface for graphically representing hierarchical data
US5974503A (en) * 1997-04-25 1999-10-26 Emc Corporation Storage and access of continuous media files indexed as lists of raid stripe sets associated with file names
US6028600A (en) * 1997-06-02 2000-02-22 Sony Corporation Rotary menu wheel interface
JP3799761B2 (ja) * 1997-08-11 2006-07-19 ヤマハ株式会社 演奏装置、カラオケ装置および記録媒体
US6044047A (en) * 1997-10-21 2000-03-28 Sony Corporation Storing CD Segments for quick scanning in multi-CD players
US6266098B1 (en) * 1997-10-22 2001-07-24 Matsushita Electric Corporation Of America Function presentation and selection using a rotatable function menu
EP0932157A1 (en) 1998-01-26 1999-07-28 Deutsche Thomson-Brandt GmbH Automatically performed crossover between two consecutively played back sets of audio data
US6118450A (en) * 1998-04-03 2000-09-12 Sony Corporation Graphic user interface that is usable as a PC interface and an A/V interface
GB2336022A (en) * 1998-04-03 1999-10-06 Discreet Logic Inc Edit processing audio-visual data
KR20010022749A (ko) 1998-06-11 2001-03-26 요트.게.아. 롤페즈 가상 주크박스
US5969283A (en) * 1998-06-17 1999-10-19 Looney Productions, Llc Music organizer and entertainment center
US6223210B1 (en) * 1998-10-14 2001-04-24 Radio Computing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n automated broadcast system
US6452609B1 (en) * 1998-11-06 2002-09-17 Supertuner.Com Web application for accessing media streams
JP3533974B2 (ja) * 1998-11-25 2004-06-07 ヤマハ株式会社 曲データ作成装置および曲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で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6577716B1 (en) * 1998-12-23 2003-06-10 David D. Minter Internet radio system with selective replacement capability
AU3873300A (en) 1999-03-08 2000-09-28 Rock.Com, Inc. Universal music player
US20030103079A1 (en) * 1999-06-14 2003-06-05 Lycos, Inc., A Virginia Corporation Media resource manager/player
US6721489B1 (en) * 2000-03-08 2004-04-13 Phatnoise, Inc. Play list manager
EP1162621A1 (en) 2000-05-11 2001-12-12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Automatic compilation of songs
KR100383194B1 (ko) * 2000-09-19 2003-05-12 주식회사 레인콤 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KR100864278B1 (ko) 2007-06-22 2008-10-17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영상 데이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592A (ko) * 1992-08-18 1994-03-15 강진구 다중 재생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72632A1 (en) 2010-07-08
US7937174B2 (en) 2011-05-03
KR20010105166A (ko) 2001-11-28
HK1045572A1 (en) 2002-11-29
US8086335B2 (en) 2011-12-27
US9606765B2 (en) 2017-03-28
EP1160658A3 (en) 2005-05-25
US7216008B2 (en) 2007-05-08
EP2175362B1 (en) 2017-03-01
US20020016643A1 (en) 2002-02-07
CN1171216C (zh) 2004-10-13
CN1332406A (zh) 2002-01-23
HK1045572B (zh) 2005-05-27
US20070038317A1 (en) 2007-02-15
US20070038318A1 (en) 2007-02-15
EP1160658B1 (en) 2011-07-20
US20100274373A1 (en) 2010-10-28
US8818538B2 (en) 2014-08-26
US8019450B2 (en) 2011-09-13
KR100867764B1 (ko) 2008-11-10
EP1160658A2 (en) 2001-12-05
EP2175362A1 (en) 2010-04-14
US20100280642A1 (en) 2010-11-04
KR20070106487A (ko) 200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760B1 (ko) 재생장치, 재생방법 및 기록매체
US7999167B2 (en) Music composition reproduction device and composite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240562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
JP3771943B2 (ja)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製造方法
US20040091234A1 (e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ating appliance behavior modification
JP4168308B2 (ja) 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記録媒体
JP4475360B2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2001325789A (ja) 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記録媒体
JP4434292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2328768A (ja) コンテンツ処理方法、コンテンツ処理方法の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処理方法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コンテンツ処理装置
JP2001325768A (ja) 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4079085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Eagle Vegas Pro 9 Editing Workshop
JP2950086B2 (ja) Bgm編集装置及びbgm音楽構成録音システム
JP3763316B2 (ja) 再生装置
WO1999009739A1 (fr) Dispositif d'edition
JP2005020202A (ja) 再生装置、再生方法、その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Eagle Getting Started with Vegas
JP3852477B2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JP2007295443A (ja) 家庭用フォトムービー専用編集機
KR20050064615A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플레이 리스트 생성방법
JP2004133134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H11234559A (ja) 動画像編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動画像編集動作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H06223492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