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541B1 -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interfaces of mobile terminal inside single packet data network - Google Patents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interfaces of mobile terminal inside single packet data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541B1
KR100860541B1 KR1020070029508A KR20070029508A KR100860541B1 KR 100860541 B1 KR100860541 B1 KR 100860541B1 KR 1020070029508 A KR1020070029508 A KR 1020070029508A KR 20070029508 A KR20070029508 A KR 20070029508A KR 100860541 B1 KR100860541 B1 KR 100860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ple interfaces
interface
terminal
link layer
interf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5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53162A (en
Inventor
박현서
임선배
강숙양
배정숙
김재호
김경숙
신경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80053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1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5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사용자 단말과, 사용자 단말에 무선 액세스 연결을 제공하는 무선 액세스 시스템과, 사용자 단말이 다중 인터페이스로 접속하는 경우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가 동일한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중 바인딩을 제공하는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interfaces of a terminal in a single packet data network. To this end, a user terminal having multiple interfaces, a wireless access system for providing a wireless access connec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a user terminal When connecting over multiple interfaces, it includes a wireless access gateway that provides multiple bindings so that different interfaces can use the same IP addres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이 네트워크 내에서 어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든지 간에 동일한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인터페이스를 바꾸어 핸드오버 하는 경우에도 핸드오버에 따른 시간 지연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핸드오버 동안 데이터 소실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terminal having multiple interfaces to use the same IP address regardless of which interface in the network, thereby reducing the time delay caused by the handover to the minimum even when the interface is changed and handovered. Data loss can be prevented while

Description

단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시스템{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INTERFACES OF MOBILE TERMINAL INSIDE SINGLE PACKET DATA NETWORK}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INTERFACES OF MOBILE TERMINAL INSIDE SINGLE PACKET DATA NETWORK}

도 1은 종래 기술로 EV-DO, WCDMA 두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의 단절 없는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tocol structure for providing disconnection free handover of a terminal having two interfaces of EV-DO and WCDMA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서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DHCP에서 단말의 IP 할당 및 위치 관리와 다중 인터페이스 관리, 로컬 서버에서 단말 식별자와 IP 주소 매핑 관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FIG. 2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 system for performing IP allocation and location management, multiple interface management, and terminal identifier and IP address mapping management in a local server in a wireless access gateway / DHC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서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단말과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의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tocol structure of a terminal and a wireless access gateway for efficiently controlling multiple interf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서 다중 인터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렴 링크 계층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onverged link layer for efficiently controlling multiple interf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서 다중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의 단말과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신기와 수신기의 데이터 전송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process of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a terminal and a wireless access gateway when using multiple interfaces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중 인터페이스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의 하나로 단일 IP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내에서 다중 인터페이스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interface terminals in a single IP packet data network as one technique for supporting multiple interface terminals.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무선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의 경우에는 WCDMA, CDMA 두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이 보급되어 서비스 중이고, WCDMA 또는 CDMA와 WLAN 두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도 출시되어 보급되고 있으며, 단말의 데이터 서비스 요구가 늘어남에 따라 두 인터페이스 간의 단절 없는 핸드오버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BACKGROUND 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erminals having various air interfaces are widely used. For example, in Korea, terminals having two interfaces, WCDMA and CDMA, have been spread and are in service. Terminals having two interfaces, WCDMA or CDMA and WLAN, have also been released and are being distributed.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handover without disconnection.

한편,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고속 이동을 위한 무선 액세스 기술과 저속 이동을 위한 무선 액세스 기술이 공존하여 앞으로 둘 이상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은 향후 중요한 연구 내용이 될 것이다.Meanwhile, in the four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 radio access technology for high speed movement and a radio access technology for low speed movement coexist so that a technology for supporting a terminal having two or more air interfaces will be an important research content in the fut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EV-DO, WCDMA 두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의 단절없는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방법을 설명하기로 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disconnection free handover of a terminal having two interfaces of EV-DO and WCDM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종래 기술로 EV-DO, WCDMA 두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의 단절 없는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1 illustrates a protocol structure for providing disconnection free handover of a terminal having two interfaces of EV-DO and WCDMA according to the prior art.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은 EV-DO 프로토콜 스택(101)과 WCDMA 프로토콜 스택(102)으로 구성된다. The terminal having multiple interfaces is composed of the EV-DO protocol stack 101 and the WCDMA protocol stack 102.

상기와 같은 두 인터페이스 간의 단절 없는 핸드오버를 위해 ISND(Interworking Service Network Driver)(103)인 가상 드라이버를 통해 한 시점에 사용할 인터페이스를 선택한다. An interface to be used at one time is selected through a virtual driver, which is an Interworking Service Network Driver (ISND) 103, for handover without disconnection between the two interfaces.

IP 계층(104)은 상위 프로토콜에게 어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든지 간에 동일한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IP 계층(104)의 상위 계층은 TCP 계층(105), 어플리케이션 계층(106)으로 구성된다. IP layer 104 allows higher protocols to use the same IP address no matter which interface they use. The upper layer of the IP layer 104 is composed of the TCP layer 105 and the application layer 106.

단말이 인터페이스를 바꾸는 경우 IP 주소를 새로 할당받는다. 이때, IP 계층(104)의 상위 계층에 단절 없는 핸드오버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IP 주소의 변경을 숨기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며 인터페이스를 바꾸기 전에 사용하던 IP 주소와 새로 할당된 IP 주소를 매핑하기 위해서 MIP(Mobile IP)(107) 등록을 사용하여 IP 계층(104)의 상위 계층은 인터페이스의 변경에 무관하게 동일한 IP 주소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terminal changes the interface, a new IP address is allocated. At this time, in order to provide a seamless handover to the upper layer of the IP layer 104, a technique for hiding the change of the IP address is required. Using Mobile IP) 107 registration, higher layers of IP layer 104 may continue to use the same IP address regardless of interface changes.

종래 기술에서 인터페이스가 변경되어 새로운 IP 주소를 할당 받고 MIP를 사용하여 변경 전의 인터페이스의 IP 주소와 새로운 IP 주소를 매핑하는 방법은 새로운 IP 주소를 할당 받는데 걸리는 시간과 Mobile IP 등록을 하는데 걸리는 시간 등 인터페이스 변경에 따른 시간 지연이 상당히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prior art, the method of changing an interface to allocate a new IP address and using MIP to map the IP address of the interface before the change with the new IP address is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ime delay caused by the change is quite large.

그리고, 동시에 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법을 효율적으로 제공하지 못하고, 설령 동시에 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경우 상위 응용에서 새로운 세션을 설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efficiently provide a method of exchanging data using two interfaces at the same time, and even if a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both interfaces at the same time, a new session must be established in a higher applic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단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내에서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이 인터페이스에 무관하게 동일한 IP 주소로 통신이 가능한 방법과 시스템 구조를 제시하여 향후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이 네트워크 내에서 어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든지 간에 동일한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다중 인터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Disclosure of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poses a method and system structure in which a terminal having multiple interfaces in a single packet data network can communicate with the same IP address regardless of the interface. By providing the same IP address regardless of which interface the terminal has in the network, it provides a system supporting the multiple interfaces of the terminal in a single packet data network that can efficiently use the multiple interfaces to provide communication services It 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사용자 단말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무선 액세스 연결을 제공하는 무선 액세스 시스템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로 접속하는 경우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가 동일한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중 바인딩을 제공하는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데이터의 송수신 시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에 상기 데이터를 분산 스케쥴링하기 위한 정책 합의를 수행하는 수렴 링크 계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terminal having multiple interfaces, a wireless access system for providing a wireless access connection to the user terminal, and different interfaces 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ultiple interfaces. And a wireless access gateway providing multiple bindings to use the same IP address, wherein the wireless access gateway and the user terminal converge to perform a policy agreement to distribute and schedule the data to the multiple interfaces when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t further comprises a link layer.

삭제delet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단일 IP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single IP packet data network system for supporting a multi-interfac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단일 IP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로서, 사용자 단말(200),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DHCP 서버(210), 위치 서버(220)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200)과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DHCP 서버(210)의 사이에는 각기 다른 인터페이스로 사용자 단말(200)과 연결되는 제 1, 2 무선 액세스 시스템(250, 255)을 구비한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ingle IP packet data network system for supporting a multi-interfac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200, the wireless access gateway / DHCP server 210, and a location server ( And a first and second radio access systems 250 and 255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different interfaces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access gateway / DHCP server 210. do.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DHCP 서버(210)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의 IP 할당 및 위치 관리, 다중 인터페이스 관리를 수행하며, 위치 서버(220)는 단말 식별자와 IP 주소 매핑 관리를 수행한다.The wireless access gateway / DHCP server 210 performs IP allocation, location management, and multiple interface management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location server 220 performs terminal identifier and IP address mapping managemen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200)이 단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다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일한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의 IP 베어러(Bearer)서비스를 제공받는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terminal 200 is provided with an IP bearer service of the same radio access gateway through multiple interfaces in a single packet data network.

사용자 단말(200)은 다중 인터페이스, 예컨대 인터페이스1, 2(202, 204)를 구비하며, 인터페이스 1(202)을 통해 제 1 무선 액세스 시스템 (WAS; 250)에 무선 액세스 연결되고, 인터페이스 2(204)를 통해 제 2 무선 액세스 시스템(WAS; 255)에 무선 액세스 연결된다.User terminal 200 has multiple interfaces, such as interfaces 1 and 2 202 and 204, and is wirelessly connected to a first wireless access system (WAS) 250 via interface 1 202, and interface 2 204. Is connected wirelessly to a second wireless access system (WAS) 255.

인터페이스 1, 2(202, 204)는 서로 다른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 무선 액세스 연결을 갖지만, IP 베어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210)는 동일하게 접속하여 사용한다. Interfaces 1 and 2 (202, 204) have a radio access connection to different radio access systems, but the radio access gateway 210 providing IP bearer service is connected and used in the same manner.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2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인터페이스 1, 2(202, 204)가 동일한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중 바인딩을 유지하며, IP 주소와 사용자 단말(200)의 식별자의 매핑을 위해 위치 서버(220)에 사용자 단말(200)의 등록 정보를 제공하여 업데이트시킨다.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0 maintains multiple bindings so that the interfaces 1 and 2 (202, 204) of the user terminal 200 can use the same IP address, and for mapping the identifier of the IP address and the user terminal 200.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s provided to the location server 220 and updated.

사용자 단말(200)이 인터페이스 1, 2(202, 204) 중 하나의 인터페이스만 사용하는 경우,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210)는 사용자 단말(200)이 위치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으로 데이터 경로를 설정하고, 사용자 단말(200)이 위치한 무선 액세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200)로의 무선 액세스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When the user terminal 200 uses only one interface of the interfaces 1 and 2 (202, 204),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0 establishes a data path to the wireless access system where the user terminal 200 is located, and the user terminal The wireless access system in which the 200 is located transmits data via a wireless access connec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한편, 사용자 단말(200)이 인터페이스 1, 2(202, 204)를 사용하는 경우,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2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인터페이스 1, 2(202, 204)가 연결된 제 1, 2 무선 액세스 시스템(250, 255)들의 정보를 모두 갖고 있으며, 사용자 단말(200)과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210)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어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전송할 것인지 또는 인터페이스 1, 2(202, 204)에 데이터를 적절히 분산 스케쥴링할 것인지를 정책 협의를 통해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terminal 200 uses the interface 1, 2 (202, 204),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0 is the first, second connected to the interface 1, 2 (202, 204) of the user terminal 200 It has all the information of the radio access systems 250 and 255, and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radio access gateway 210 use which interface to transmit / receive data, or the interface 1, 2 (202, 204). Policy consultation is used to decide whether to properly distribute and schedule data.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서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인터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단말과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의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3 illustrates a protocol structure of a terminal and a wireless access gateway for efficiently controlling multiple interf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다중 인터페이스 사용자 단말(200)이 단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동일한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IP 주소와 실제 인터페이스의 링크 계층을 매핑하기 위한 수렴 링크 계층(Converged Link Layer)(305)을 더 구비하며, 수렴 링크 계층(305)은 IP 계층(306)의 하부 계층에 존재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nable the multi-interface user terminal 200 to use the same IP address in a single packet data network, a converged link layer 305 for mapping an IP address and a link layer of an actual interface is further added. The converged link layer 305 is at the lower layer of the IP layer 306.

사용자 단말(200)과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210)는 수렴 링크 계층(305)을 통해 동일한 IP 주소를 실제 인터페이스의 링크 계층으로 매핑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access gateway 210 may exchange data by mapping the same IP address to the link layer of the real interface through the converged link layer 305.

즉, 인터페이스 1, 2(202, 204)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200)의 경우, 인터페이스 1(202)의 물리 계층1(301), 링크 계층1(302)을 갖고, 인터페이스 2(204)의 물리 계층2(303), 링크 계층2(304)를 갖는다.That is, in the case of the user terminal 200 including the interfaces 1 and 2 202 and 204, the user terminal 200 includes the physical layer 1 301 and the link layer 1 302 of the interface 1 202. Physical layer 2 303 and link layer 2 304.

실제 인터페이스의 링크 계층1,2(302, 304)의 상위에는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수렴 링크 계층(305)을 갖는다. Above the link layers 1,2 and 302 of the actual interface, there is a converging link layer 305 for controlling multiple interfaces.

수렴 링크 계층(305)은 상위의 IP 계층(306)에게 다중 인터페이스에 무관하게 동일한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 converged link layer 305 allows the upper IP layer 306 to use the same IP address regardless of multiple interfaces.

IP 계층(306)의 상위에는 전송 계층(Transport Layer)(307),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308)이 존재한다.Above the IP layer 306 are a transport layer 307 and an application layer 308.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서 다중 인터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렴 링크 계층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4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converged link layer for efficiently controlling multiple interfa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중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수렴 링크 계층(305)은 하부의 실제 인터페이스의 링크 계층1, 2(302, 304)를 제어하고, 상부의 IP 계층(306)에게 인터페이 스에 무관하게 동일한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렴 링크 계층(305)의 하부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설정 관리(Interface Configuration Management) 기능(401), 인터페이스의 링크 성능을 모니터 하기 위한 링크 성능 모니터링(Link Performance Monitoring) 기능(402), 인터페이스 선택을 제어하는 액세스 선택 제어(Access Selection Control) 기능(403), 인터페이스 링크에 특징적인 제어를 하기 위한 링크 특징 설정 제어(Link-Specific Configuration Control) 기능(404), 인터페이스 간의 핸드오버와 이동을 처리하기 위한 이동성 및 핸드오버 제어(Mobility & Handover Control) 기능(405), 수렴 링크 계층(305)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시 전송 에러와 흐름 제어를 위한 공통 에러 및 흐름 제어(Common Error & Flow Control) 기능(406), 인터페이스에 공통으로 송수신 데이터 버퍼를 관리하는 공통 버퍼 관리(Common Buffer Management)(407), 버퍼의 데이터를 실제 어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스케쥴링 정책을 제어하는 스케쥴링 정책 제어(Scheduling Policy Control) 기능(408), 데이터를 실제 인터페이스로 전송하는 액세스 스케줄링 제어(Access Scheduling Control) 기능(409), 실제 인터페이스의 링크 특징적인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하는 링크 특징 데이터 전송 제어(Link-Specific Data Transport Control) 기능(410) 등을 포함한다.The converged link layer 305 for controlling multiple interfaces controls the link layers 1, 2 (302, 304) of the underlying physical interface, and uses the same IP address for the upper IP layer 306 regardless of the interface. The configuration may include an interface configuration management function 401 for controlling an interface below the converged link layer 305, and monitoring the link performance of the interface, as shown in FIG. Link Performance Monitoring function 402 for access performance, Access Selection Control function 403 for controlling interface selection, and Link-Specific Configuration control for characteristic control of interface link. Control) function 404, mobility and handover control function 405 for handling handover and movement between interfaces, Common error and flow control function 406 for transmission error and flow control when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at the converged link layer 305, and common buffer management for manag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data buffers in common at the interface Buffer Management 407, a scheduling policy control function 408 that controls a scheduling policy that determines which interface the data in the buffer is actually sent over, and an access scheduling control that sends data to the physical interface. Access Scheduling Control) function 409, Link-Specific Data Transport Control function 410 that performs link-specific data transfer control of the actual interface, and the like.

데이터는 공통 버퍼 관리(407)에 쌍이게 되며, 공통 버퍼 관리(407)에 쌍인 데이터는 스케쥴링 정책 제어 기능(408), 액세스 스케쥴링 제어 기능(409) 및 링크 특정 데이터 전송 제어 기능(410)을 통해 전송된다.The data is paired to the common buffer management 407, and the data paired to the common buffer management 407 is via the scheduling policy control function 408, the access scheduling control function 409, and the link specific data transfer control function 410. Is sent.

스케쥴링 정책 제어 기능(408)은 모니터링된 링크 성능을 토대로 다중 인터페이스에 대한 스케쥴링 정책, 즉 공통 버퍼 관리(407)에 저장된 데이터를 어떤 인터페이스로 전송할 것인지를 스케쥴링하는 정책을 선택한다. The scheduling policy control function 408 selects a scheduling policy for multiple interfaces based on the monitored link performance, that is, a policy for scheduling which interface to transmit data stored in the common buffer management 407.

액세스 스케쥴링 제어 기능(409)은 스케쥴링 정책 제어 기능(408)에 의해 결정된 스케쥴링 정책을 토대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1,2(202, 204)에 대응되는 링크 계층1,2(302, 304)에 분산하여 스케쥴링 한다.The access scheduling control function 409 distributes the data to link layers 1,2 and 302 and 304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s 1,2 and 202 and 204 based on the scheduling policy determined by the scheduling policy control function 408 to schedule the data. do.

링크 특징 데이터 전송 제어 기능(410)은 액세스 스케쥴링 제어 기능(409)에 의해 스케쥴링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1,2(202, 2040)에 대응되는 링크 계층1,2(302, 304)를 통해 송수신하는 링크 특징 데이터 전송 제어 기능The link feature data transmission control function 4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scheduled by the access scheduling control function 409 through link layers 1,2 and 302 and 304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s 1,2 and 202 and 2040. Data transmission control func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로서 다중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의 단말과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송신기와 수신기의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that exchanges data between a terminal and a wireless access gateway when using multiple interfaces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기(501)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502)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송신기(501)의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송 요구된 패킷, 예컨대 5개의 패킷(503∼507)은 송신기(501)의 수렴 링크 계층(305)의 공통 버퍼 관리(407)에 쌓이게 된다. When the transmitter 501 transmitting the data transmits the data to the receiver 502 receiving the data, the packet requested to be transmitted from an upper layer of the transmitter 501, for example, five packets 503 to 507,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tter 501. ) Is accumulated in the common buffer management 407 of the converged link layer 305.

송신기(501)의 스케줄링 정책 제어 기능(408)과 수신기(502)의 스케줄링 정책 제어 기능(408)은 전송하려는 데이터를 어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하고 수신할 것인지 미리 정책을 협의한다. The scheduling policy control function 408 of the transmitter 501 and the scheduling policy control function 408 of the receiver 502 negotiate a policy in advance on which interfac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be transmitted.

이와 같이, 송수신기(501, 502)의 스케줄링 정책 제어 기능(408)간 협의된 정책에 따라 송신기(501)의 액세스 스케줄링 제어 기능(409)은 공통 버퍼 관리(407)에 있는 패킷을 실제 인터페이스에 분산하여 스케쥴링할 수 있다. As such, according to the policy negotiated between the scheduling policy control functions 408 of the transceivers 501 and 502, the access scheduling control function 409 of the transmitter 501 distributes the packets in the common buffer management 407 to the actual interface. Can be schedul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패킷 1(503)과 패킷 5(507)는 인터페이스 2(204)에 대응되는 링크 계층2(304)를 통해 전송하고, 패킷 2, 3, 4(504, 505, 506)는 인터페이스 1(202)에 대응되는 링크 계층1(302)을 통해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cket 1 503 and packet 5 507 are transmitted through link layer 2 304 corresponding to interface 2 204, and packets 2, 3, and 4 (504, 505, 506). For example, the case of transmitting through the link layer 1 302 corresponding to the interface 1 202 will be described.

스케쥴링된 패킷은 링크 특징 데이터 전송 제어 기능(410)을 통해 인터페이스 1, 2(202, 204)의 링크 계층1, 2(302, 304)에 대한 데이터 전송 제어가 적용된다. 즉, 패킷1, 4(503, 507)는 링크 계층2(304)를 통해 전송되며, 패킷2, 3, 4(504, 505, 506)는 링크 계층1(302)을 통해 전송된다.The scheduled packet is subject to data transmission control for link layers 1, 2 (302, 304) of interfaces 1, 2 (202, 204) via link feature data transmission control function (410). That is, packets 1, 4 (503, 507) are transmitted over link layer 2 304, and packets 2, 3, 4 (504, 505, 506) are transmitted over link layer 1 (302).

이러한 과정을 통해 송신기(501)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수신기(502)의 링크 특징 데이터 전송 제어 기능(410)을 통해 실제 인터페이스의 링크 계층에 특징적인 데이터 전송 제어가 적용된다. 즉, 수신기(502)의 링크 특징 데이터 전송 제어 기능(410)은 패킷1, 5(503, 507)를 링크 계층2(304)를 통해 수신되도록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고, 패킷2, 3, 4(504, 505, 506)를 링크 계층1(302)을 통해 수신되도록 데이터를 전송을 제어한다.Data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501 through this process is applied to the characteristic data transmission control to the link layer of the actual interface through the link feature data transmission control function 410 of the receiver 502. That is, the link feature data transmission control function 410 of the receiver 502 controls the data transmission so that packets 1, 5 (503, 507) are received through the link layer 2 304, and the packets 2, 3, 4 ( Control the transmission of data such that 504, 505, 506 are received via link layer 1 302.

수신기(502)의 공통 에러 및 흐름 제어 기능(400)은 데이터 전송 시 전송 에러와 흐름을 수행한다.The common error and flow control function 400 of the receiver 502 performs transmission errors and flows during data transmission.

그런 다음, 수신기(502)는 스케쥴링 정책의 반영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 스케줄링 정책의 반영이 필요한 경우 스케줄링 정책 제어 기능(408)에 의 해 설정된 스케줄링 정책을 수신기(502)에 반영시킨다.Then, the receiver 502 determines whether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scheduling policy, and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is required to reflect the scheduling policy, the receiver 502 reflects the scheduling policy set by the scheduling policy control function 408 to the receiver 502.

공통 에러 및 흐름 제어 기능(406)을 거친 패킷은 수신기(502)의 공통 버퍼 관리(407)에 전송되어 최종적으로 수신기(502)의 상위 계층으로 전달된다.Packets via the common error and flow control function 406 are sent to the common buffer management 407 of the receiver 502 and finally delivered to the higher layers of the receiver 502.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예컨데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매체, 예컨데 씨디롬, 디브이디 등과 같은 광학적 판독매체, 및 예컨데 인터넷을 통한 전송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for example, magnetic storage media such as ROM, floppy disk, hard disk, etc., optical read media such as CD-ROM, DVD, etc., and storage media such as carrier wave such as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이러한 본원 발명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Such a method and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for clarity,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단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내에서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이 인터페이스에 무관하게 동일한 IP 주소로 통신이 가능한 방법과 시스템 구조를 제시하여 향후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이 네트워크 내에서 어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든지 간에 동일한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터페이스를 바꾸어 핸드오버 하는 경우에도 핸드오버에 따른 시간 지연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핸드오버 동안 데이터 소실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and system structure in which a terminal having multiple interfaces in a single packet data network can communicate with the same IP address regardless of the interface, so that any interface having a multiple interface in the future may use the same interface in the network. By enabling the use of IP addresses, handover by changing the interface can minimize the time delay due to handover and prevent data loss during handover.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단말이 동시에 다중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분산 스케쥴링 방법과 스케쥴링 정책 제어 방법을 통해 다중 인터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최대의 성능을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maximum performance by efficiently using multiple interfaces through a distributed scheduling method and a scheduling policy control method so that a terminal having multiple interfaces can simultaneously transmit data using multiple interfaces.

Claims (9)

삭제delete 다중 인터페이스를 갖는 사용자 단말과,A user terminal having multiple interfaces, 상기 사용자 단말에 무선 액세스 연결을 제공하는 무선 액세스 시스템과,A wireless access system for providing a wireless access connection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로 접속하는 경우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가 동일한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중 바인딩을 제공하는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를 포함하며,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ulti-interface includes a radio access gateway that provides a multi-binding so that different interfaces can use the same IP address, 상기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는, 데이터의 송수신 시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에 상기 데이터를 분산 스케쥴링하기 위한 정책 합의를 수행하는 수렴 링크 계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시스템.The wireless access gateway and the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convergence link layer for performing policy agreement for distributed scheduling of the data on the multiple interfaces when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System to support it.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렴 링크 계층은, 상기 무선 액세스 게이트웨이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프로토콜 구조에서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링크 계층과 IP 계층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다중 인터페 이스를 지원하는 시스템.The converged link layer supports multiple interfaces of a terminal in a single packet data network, wherein the converged link layer exists between a link layer and an IP layer corresponding to the multiple interfaces in a protocol structure of the radio access gateway and the user terminal. system. 제 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수렴 링크 계층은, The converged link layer, 상기 각 인터페이스의 링크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링크 성능 모니터링 기능과,A link performance monitoring function for monitoring link performance of each interface; 상기 링크 성능에 따라 상기 다중 인터페이스에 대한 스케쥴링 정책을 결정하는 스케쥴링 정책 제어 기능과,A scheduling policy control function for determining a scheduling policy for the multiple interfaces according to the link performance; 상기 스케쥴링 정책을 토대로 상기 데이터를 상기 각 인터페이스에 분산하여 스케쥴링하는 액세스 스케쥴링 정책 제어 기능과,An access scheduling policy control function for distributing and scheduling the data to the respective interfaces based on the scheduling policy; 상기 스케줄링 정책 제어 기능에 의해 상기 분산 스케쥴링된 데이터를 상기 각 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링크 계층을 통해 송수신하는 링크 특징 데이터 전송 제어 기능A link feature data transmission control func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istributed scheduled data through the link layer corresponding to each interface by the scheduling policy control function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시스템.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interfaces of the terminal in a single packet dat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수렴 링크 계층은, 상기 인터페이스간 핸드오버와 이동을 처리하기 위한 이동 및 핸드오버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시스템.The converged link layer is a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interfaces of a terminal in a single packet dat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vement and handover control function for handling the inter-interface handover and movement.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수렴 링크 계층은, 상기 데이터 송수신시 전송 에러와 흐름 제어를 위한 공통 에러 및 흐름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시스템.The converged link layer is a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interfaces of a terminal in a single packet data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mmon error and flow control function for transmission error and flow control when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data.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수렴 링크 계층은, 상기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서 단말의 다중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시스템.The converging link layer includes a buffer for storing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data, the system supporting multiple interfaces of a terminal in a single packet data network.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70029508A 2006-12-08 2007-03-27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interfaces of mobile terminal inside single packet data network KR10086054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124286 2006-12-08
KR1020060124286 2006-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162A KR20080053162A (en) 2008-06-12
KR100860541B1 true KR100860541B1 (en) 2008-09-26

Family

ID=3980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508A KR100860541B1 (en) 2006-12-08 2007-03-27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interfaces of mobile terminal inside single packet data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54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984B1 (en) 2013-11-22 2016-05-09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licy of scheduler of network equip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782B1 (en) * 2012-09-14 2014-06-2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Terminal device with multi communication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the ternimal device
US9065699B2 (en) * 2012-11-30 2015-06-23 Cognoso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 distributed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US10772059B2 (en) 2016-02-03 2020-09-08 Cognoso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on demand network MIM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850A (en) * 2004-05-10 2005-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t mobile station having multiple interfaces
KR20060063620A (en) * 2004-12-07 2006-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ultiple mode terminal supporting handoff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 and the handoff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850A (en) * 2004-05-10 2005-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at mobile station having multiple interfaces
KR20060063620A (en) * 2004-12-07 2006-06-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ultiple mode terminal supporting handoff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 and the handoff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984B1 (en) 2013-11-22 2016-05-09 주식회사 케이티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licy of scheduler of network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162A (en)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30101B (en) Realizing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separating identify label from position
US200701655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amless handover of mobile devices in heterogeneous networks
CN101621449B (en) Methods and device for terminal access and proxy update in mesh network
JP2003179626A (en) Relay connection management program and relay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JP2004140539A (en) Information routing system and information relaying apparatus
WO2008053397A2 (en) Method and nodes for aggregating data traffic over an access domain
JP2000152321A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nel assignment
KR100860541B1 (en) System for supporting multiple interfaces of mobile terminal inside single packet data network
KR100942797B1 (en) Mobility Mangement Method, Mobility Mangement Anchor, and Mobile Node
JP3715494B2 (en) Information transfer method,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gateway device
KR10096807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 Routing Device To Securely Share Network Data With A Host Utilizing A Hardware Firewall
JP2000316010A (en) Radio terminal and node unit
CN102573013B (en) Data transmission method by adopting multiple access modes and access device
US7706325B2 (en)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context of data packet flows
CN102547908B (en) Listing maintenance, system and IAD router
JP2009152995A (en) Communication system, transmission terminal used for communication system, relay terminal used for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 program used for communication system
US8032141B2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and network
CN101364940B (en) Internal communication method for router and routing device
JP2000341329A (en) Method and device for dynamically allocating satellite link
KR100384887B1 (en) Method for accepting mobile IP in MPLS domain network
JP3727572B2 (en) Content distribution network, address notif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N102137094A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transmitting voice message in multipath
CN101072243B (en) Report processing method and access device
CN102546356B (en)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ensuring service quality of mobile nodes in logo network
JP4741401B2 (en) Information transf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