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8767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system, and loam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system, and loam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767B1
KR100858767B1 KR1020077010265A KR20077010265A KR100858767B1 KR 100858767 B1 KR100858767 B1 KR 100858767B1 KR 1020077010265 A KR1020077010265 A KR 1020077010265A KR 20077010265 A KR20077010265 A KR 20077010265A KR 100858767 B1 KR100858767 B1 KR 100858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u
madu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2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067186A (en
Inventor
찬 와 응
홍 쳉
페크 유 탄
벤자민 티엔 밍 코
Original Assignee
마쓰시타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얼 코우.,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시타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얼 코우.,엘티디. filed Critical 마쓰시타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얼 코우.,엘티디.
Priority to KR1020077010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767B1/en
Publication of KR20070067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71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7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사이를 로밍할 때에, 신속하고 끊김이 없는 매끄러운 핸드오프를 실현할 수 있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0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토콜 각각의 사양이 조정됨으로써 고유하게 설정된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유닛(NAU)(101)과, 1세트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NAU(101)와 정보교환함으로써 통신 세션에서 사용할 채널을 결정하고, 결정된 채널에 대응하는 NAU(101)를 제어하는 MADU(Multiple Access Decision Unit)(103)를 구비하여, 복수의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사이를 로밍한다.Disclosed ar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realizing a quick and seamless smooth handoff when roaming between a plurality of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is a network access unit (NAU) 101 having a network access mechanism uniquely set by adjusting the specifications of each of hardware, software, and protocol, and the NAU 101 by using a set of interfaces. And a multiple access decision unit (MADU) 103 for determining a channel to be used in the communication session by exchanging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NAU 101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hannel. Roam.

Description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 그 제어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그 로밍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SYSTEM, AND LOAMING METHOD THEREOF}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system and roaming method there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SYSTEM, AND LOAM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복수의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가능하고, 상기 네트워크에 참가하기 위한 접속 포인트를 상시 변경하는, 즉, 로밍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복수의 상기 네트워크에 참가하기 위한 복수의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비하고, 이들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이 상기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적합하도록 통합제어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hich can be used in a plurality of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s, and which constantly changes, i.e., roams, a connection point for joining the network.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network access mechanisms for joining a plurality of the networks, and in which these network access mechanisms are integrated and controlled to conform to the protocol of the network.

또한, 본 발명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미국 전기 전자 기술자 협회) 802.11 및 W-CDMA(광대역 부호 분할 다원 접속)와 같은 이중의 무선 액세스 기술에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dual radio access technologies such as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1 and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적합하도록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통합제어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이용 가능 범위를 확장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he usable rang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by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collectively control a network access mechanism so as to conform to the protocol of the network.

무선 기술의 출현과 발전에 따라 오늘날 인터넷 등의 글로벌 네트워크에 참 가가능한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증가하고 있다.With the advent and development of wireless technolog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that can participate in global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are increasing.

이들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다른 도메인 사이를 로밍하여 다른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과 순차적으로 채널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로밍의 공급은 GSM(Global Systems for Mobile communications) 시스템과 같은 회선 교환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당히 성숙되어 있다.The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roam between different domains to form channels sequentially with base stations of different packet 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s. The supply of such roaming is quite mature in circuit-switched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Global Systems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systems.

그러나,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와 같은 로밍 기능을 채용하는 것은 어렵다. 왜냐하면,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통신 단말 장치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각각이 고유한 어드레스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한편, 이 고유한 어드레스에는 공간의 토폴러지에 효과적인 부분(통상적으로는 선두)이 포함된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employ such a roaming function in a packet 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This is because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in the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each use a unique address. On the other hand, this unique address includes a portion (usually the head) that is effective for the topology of the space.

특허 문헌 1에 있어서, 발렌타인 등은, 회선 교환 방식의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을 결합하고자 시도하였다. 그러나, 특허 문헌 1에는,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에 어드레스가 어떻게 할당될지에 대한 문제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In Patent Document 1, Valentine et al. Attempted to combine packet switched data communication with a circuit switched telecommunication network. However, Patent Document 1 does not describe a problem of how an address is assigned to a dat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여기서, 이 어드레스의 할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 문헌 2에는, 셋 업 시에 이동체 단말 장치에 동적으로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상기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문제는 해결된 것처럼도 생각된다. 그러나, 특허 문헌 2에는, 이동체 단말 장치가 이동함으로써 그때까지와는 다른 타 접속 포인트로부터 상기 전기 통신 네트워크에 참가할 때에, 구 어드레스와 신 어드레스가 어떻게 관련지어질까에 대하여 구체적인 언급이 없 다. 한편, 이동체 단말 장치가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참가하는 접속 포인트를 변경한 다음에도, 동일한 어드레스로 계속해서 패킷을 수신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이동체 단말 장치에 있어 바람직한 것이다. 이에 의해,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동체 단말 장치가 접속 포인트를 변경할 때에도 통신 세션의 매끄러운 계속이 가능해진다.Here, in order to solve this address assignment problem, Patent Document 2 describes a technique for dynamically allocating an address to a mobile terminal device at the time of setup. According to 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the problem of assigning the address is considered to be solved. However, Patent Document 2 does not specifically mention how the old address and the new address are related wh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is moved to join the telecommunication network from another connection point different from that until then.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for the mobile terminal device to be able to continuously receive packets at the same address even after the mobile terminal device changes the connection point participating in the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This enables smooth continuation of the communication session even wh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changes the access point in the packet 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이와 같은 로밍 기능을 서포트하기 위하여, 비특허 문헌 1에는 모바일 IPv4에 대한 관련 기술이, 또한 비특허 문헌 2에는 모바일 IPv6에 대한 관련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모바일 IP에서는 모바일 노드로 불리는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각각이 항구적인 홈 도메인을 가지고 있다. 이 홈 도메인을 구성하는 홈 네트워크에 모바일 노드가 참가할 경우에는, 홈 어드레스로 불리는 항구적인 글로벌 어드레스가 모바일 노드에 할당된다. 모바일 노드가 홈 네트워크로부터 멀어져 있을 때, 즉, 다른 네트워크에 소속되어 있을 때에는, 통상적으로 ‘보조 어드레스’라고 불리는 일시적인 글로벌 어드레스가 상기 모바일 노드에 할당된다. 이 보조 어드레스를 이용하면, 모바일 노드는 다른 네트워크에 소속되어 있더라도 홈 어드레스 앞으로 송신되어 오는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이 보조 어드레스를 사용하려면, 홈 네트워크상에 홈 에이전트로 불리는 라우터가 필요하게 된다. 모바일 노드는, 보조 어드레스를 ‘바인딩 업데이트’로 불리는 메시지를 사용하여 홈 에이전트에 등록한다. 홈 에이전트는 모바일 노드의 홈 어드레스 앞으로 송신되어 온 메시지를 도중에 캐치하여, 모바일 노드의 보조 어드레스 앞으로 전송한다. 모바일 노드가 홈 네트워크 이외의 어떤 방식의 다른 네트워크에 소속되어 있더라도, 모바일 노드로 부터 홈 에이전트에 홈 어드레스와 보조 어드레스를 관련짓는 정보가 제공되어 있으면, 모바일 노드는 홈 어드레스 앞으로 송신되어 오는 패킷을 언제라도 수신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support such a roaming function, Non-Patent Document 1 describes related technologies for Mobile IPv4, and Non-Patent Document 2 describes related technologies for Mobile IPv6. In mobile IP, each data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alled a mobile node has a permanent home domain. When a mobile node joins a home network constituting this home domain, a permanent global address called a home address is assigned to the mobile node. When a mobile node is away from its home network, i.e., when it belongs to another network, a temporary global address, commonly referred to as a "secondary address", is assigned to the mobile node. Using this auxiliary address, the mobile node can receive packets sent to the home address even if it belongs to another network. On the other hand, to use this auxiliary address, a router called a home agent is required on the home network. The mobile node registers the secondary address with the home agent using a message called 'binding update'. The home agent catches along the way the message sent to the mobile node's home address and forwards it to the mobile node's secondary address. Even if the mobile node belongs to any network other than the home network, when the mobile node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relating the home address and the secondary address to the home agent, the mobile node can send a packet to the home address. Even if it is possible to receive.

그러나, 비특허 문헌 1 및 비특허 문헌 2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모바일 노드가 이전의 접속 포인트로부터 멀어진 후에 홈 어드레스와 새로운 보조 어드레스 사이에 새로운 관계를 준비하기(새로운 보조 어드레스를 취득하는 시간을 포함한다)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준비 시간에는 모바일 노드는 패킷을 수신할 수 없다.However, in the techniques described in Non-Patent Document 1 and Non-Patent Document 2, the preparation of a new relationship between the home address and the new auxiliary address after the mobile node has moved away from the previous connection point (includes time for acquiring a new auxiliary address). I need some time. Therefore, the mobile node cannot receive the packet at this preparation time.

여기서,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이전에 채널을 형성한 기지국으로부터 새로 채널을 형성할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를 신속히 행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그 기술이 특허 문헌 3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에는, 복수의 기지국이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핸드오프가 필요한지 결정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기술은 핸드오프에 대한 오버헤드를 삭감시킬 가능성이 있지만, 구 보조 어드레스로부터 신 보조 어드레스로 절환하기 위하여 약간의 시간을 요한다. 따라서, 이들 기술을 이용해도 아직 완전하게 매끄러운 핸드오프를 실현할 수는 없다. 또한, 이들 기술에서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홈 어드레스와 보조 어드레스의 관계를 기지국에 동적으로 제공하지 않으면 안 되므로, 기지국에서의 신호 처리의 부하가 높아진다. 또한, 이들 기술은, 핸드오프의 각 처리를 실제로 실행하는 기지국의 능력 및 기능에 의존하기 때문에, 기지국의 구성을 더욱 복잡하게 하고, 또한 기지국을 보다 고가의 것이 되게 한다.Here, a technique is developed in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quickly performs a handoff from a base station which has previously formed a channel to a base station to form a new channel, and the technique i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3. In addition, Patent Document 4 describes a technique in which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measures the moving spee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determines whether a handoff is necessary based on the measured moving speed. These techniques have the potential to reduce the overhead for handoff, but require some time to switch from the old auxiliary address to the new auxiliary address. Therefore, even with these techniques, it is not possible to realize a completely smooth handoff yet. In addition, in these techniqu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me address and the auxiliary addr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must be dynamically provided to the base station, thereby increasing the load of signal processing at the base station. In addition, these techniques rely on the base station's ability and function to actually execute each process of handoff, which makes the base station more complicated and also makes the base station more expensive.

이와 같은 신속한 핸드오프를 실현하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복수의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복수의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이면, 핸드오프를 실행할 때에 이전에 채널을 형성한 기지국과 새로 채널을 형성할 기지국에 각각 별도의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할당함으로써, 핸드오프를 신속하고 매끄럽게 실현할 수 있다.It is conceivable to use a plurality of network access mechanisms as one means of realizing such a fast handoff.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network access mechanisms, handoff can be quickly and smoothly by assigning separate network access mechanisms to a base station that has previously formed a channel and a base station that will form a new channel when executing a handoff. It can be realized.

그러나, 이와 같은 복수의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사용하려면,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를 지배적으로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트리거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However, in order to use such a plurality of network access mechanisms, it is necessary for the network interface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o supply a trigger to software for predominantly controll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특허 문헌 1: 미국 특허 제6504839호 명세서Patent Document 1: US Pat. No. 6,4848,39

특허 문헌 2: 미국 특허 제6469998호 명세서Patent Document 2: US Patent No. 6469998

특허 문헌 3: 미국 특허 제6473413호 명세서Patent Document 3: US Patent No. 6473413

특허 문헌 4: 미국 특허 제5913168호 명세서Patent Document 4: US Patent No. 5913168

비특허 문헌 1: 퍼킨스 등(Perkins, C. E. et. al), ‘IP 가동성 서포트(IP Mobility Support)’, IETF RCF 3344, 2002년 8월Non-Patent Document 1: Perkins, C. E. et. Al, ‘IP Mobility Support’, IETF RCF 3344, August 2002

비특허 문헌 2: 존슨 등(Johnson, D. B., Perkins, C. E., and Arkko, J.), ‘IPv6에서의 가동성 서포트(Mobility Support in IPv6)’, Internet Draft: draft-ietf-mobileip-ipv6-21.txt, Work In Progress, 2003년 2월Non-Patent Document 2: Johnson et al. (Johnson, DB, Perkins, CE, and Arkko, J.), 'Mobility Support in IPv6', Internet Draft: draft-ietf-mobileip-ipv6-21. txt, Work In Progress, February 2003

비특허 문헌 3: 하이킨(Haykin, S.), ‘어댑티브 필터 이론(Adaptive Filter Theory)’, Prentice-Hall,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1996년, 제3판[Non-Patent Document 3] Haykin, S., "Adaptive Filter Theory," Prentice-Hall,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1996, 3rd edition.

비특허 문헌 4: 칼만(Kalman, R.E), ‘선형 필터링과 예측 문제에 대한 새로 운 어프로치(A New Approach to Linear Filtering and Prediction Problems)’, Trans ASME, 1960년 3월, 제82권, 시리즈 D, p.35 ~ 45Non-Patent Document 4: Kalman, RE, 'A New Approach to Linear Filtering and Prediction Problems', Trans ASME, March 1960, Vol. 82, Series D , p.35 to 45

비특허 문헌 5: 하이킨(Haykin, S.), ‘뉴럴 네트워크: 포괄적인 기초(Neural Network: A Comprehensive Foundati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1994년, 뉴저지·인터내셔널 판Non-Patent Document 5: Haykin, S., "Neural Network: A Comprehensive Foundati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1994, New Jersey International Edition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s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네트워크를 로밍할 때에, 통신 세션에 끊김이 없는 매끄러운 핸드오프를 기존의 해결 수단으로 실현하는 것은 곤란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다른 도메인에 새로 소속될 때, 즉, 이전의 기지국과는 다른 타 기지국과의 사이에 새로 채널을 다시 형성할 때, 새로운 보조 어드레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때까지의 준비 시간이 필요하고, 이 준비 시간 동안은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에 패킷이 전송되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roams a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it is difficult to realize smooth handoff without interruption in a communication session with existing solutions. More specifically,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newly belongs to another domain, that is, when a new channel is re-formed between another base station and another base station, until a new auxiliary address becomes available. The preparation time is required,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packet is not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during this preparation time.

무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수많은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현재, IEEE 802.11b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와 같은 복수의 다른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에서 이들 서로 다른 액세스 기술을 교대로 이용하면, 신속한 핸드오프를 실현할 수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wireless technology, man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are currently configured to be able to use a plurality of different access technologies such as IEEE 802.11b and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Therefore, when these different access technologies are alternately us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fast handoff can be realized.

그러나, 이 신속한 핸드오프를 실현하려면,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으로부터 그것을 지배적으로 제어하는 레이어에 대하여, 몇 개의 트리거가 공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더해, 이 트리거는 지배적인 레이어 구성의 복잡함을 해소하고, 또한 여기서 발생하는 신호 처리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동일한 포맷을 가져야 한다.However, in order to realize this quick handoff, several triggers need to be supplied to the layer that predominantly controls it from the network access mechanism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n addition, this trigger should have the same format in order to reduce the complexity of the dominant layer configuration and to reduce the load on the signal processing that occurs here.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사이를 로밍할 때에, 신속하고 끊김이 없는 매끄러운 핸드오프를 실현할 수 있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the like that can realize a smooth and seamless handoff when roaming between a plurality of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s.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토콜 각각의 사양이 조정됨으로써 고유하게 설정된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유닛(NAU)과, 1세트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NAU와 정보교환함으로써 통신 세션에서 사용할 채널을 결정하고, 결정된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NAU를 제어하는 MADU(Multiple Access Decision Unit)를 구비하고, 복수의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사이를 로밍하는 구성을 가진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changes information with the NAU using a set of interfaces with a network access unit (NAU) having a network access mechanism uniquely set by adjusting the specifications of hardware, software and protocols. And a multiple access decision unit (MADU) for determining a channel to be used in the communication session and controlling the NAU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hannel, and roaming between a plurality of packet 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s.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MADU에 의해 사용되는 1세트의 인터페이스는 질의(Query) 인터페이스, 설정(Configure) 인터페이스 및 트리거(Trigger)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질의 인터페이스는 질의의 타입(질의 코드: Query-Code)을 식별하는 부분과 질의의 결과(질의 결과: Query-Result)를 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하는 또 하나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MADU가 상기 NAU로 송신하는 상기 NAU에 대한 정보가 얻어지는 신호이며,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는 설정되는 파라미터(파라미터 코드: Parameter-Code)를 나타내는 부분과 설정되는 상기 파라미터의 새로운 값(파라미터 값: Parameter-Value)을 저장하는 또 하나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NAU에 대응된 상기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상기 MADU가 상기 NAU로 송신하는 신호이며, 상기 트리거 인터페이스는 상기 NAU를 개별적으로 식별하는 부분(NAU-식별자: NAU-Identifier)과 발생한 또는 향후 발생할 이벤트(트리거 이벤트: Trigger-Event)를 완전히 기술하는 또 하나의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NAU가 상기 MADU로 송신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 또는 향후 발생할 것을 알리는 신호인 구성을 가진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invention, one set of interfaces used by the MADU is configured to include a query interface, a configure interface, and a trigger interface. The query interface is made up of another part including a part for identifying the type of query (Query-Code) and a buffer for storing the result of the query (Query-Result). The information on the NAU to be transmitted to the NAU is obtained, the setting interface is a part indicating the parameter (parameter code: parameter code) to be set and the new value (parameter value: Parameter-Value) of the parameter to be set The MADU, which is made up of another part for storing and sets the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NAU, is transferred to the NAU. The trigger interface consists of a part that individually identifies the NAU (NAU-Identifier) and another part that fully describes the event that has occurred or will occur (Trigger-Event). In addition, the NAU transmits to the MADU and has a configuration indicating that the event occurs or will occur in the future.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MADU는 상기 NAU의 설정 및 상황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여 축적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진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ADU includes a nonvolatile memory device that records and accumulates information on the setting and the situation of the NAU.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질의 인터페이스와,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와, 상기 트리거 인터페이스의 포맷을 변환함으로써, 상기 NAU와 상기 MADU의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NIT(NAU-specific Interface Translator)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진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NIT (NAU-) which enable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NAU and the MADU by converting a format of the query interface, the setup interface, and the trigger interface. specific interface translator).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NAU는 동시 병렬 조작이 가능한 복수의 NAU 통신 채널과, 상기 NAU 통신 채널을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MADU와 정보교환하는 sub-MADU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진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invention, the NAU is a sub that controls a plurality of NAU communication channels capable of simultaneous parallel operation and the NAU communication channel and exchanges information with the MADU using the interface. It has a configuration with a MADU.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sub-MADU와 상기 MADU 사이에, 상기 질의 인터페이스와,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와, 상기 트리거 인터페이스의 포맷을 변환함으로써, 상기 sub-MADU와 상기 MADU의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NIT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진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present invention, between the sub-MADU and the MADU by converting a format of the query interface, the setting interface, and the trigger interface. It has a configuration with an NIT that enables information exchange of MADUs.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MADU에 의해 사용되는 1세트의 상기 인터페이스는 질의 인터페이스, 설정 인터페이스 및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질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NAU의 동작 모드와, 상기 NAU에 의해 제공되는 채널의 사용 코스트와, 상기 NAU에 의해 제공되는 채널의 밴드 폭과, 상기 NAU에 의해 제공되는 채널의 품질과, 상기 NAU에 의해 제공되는 채널에서 서포트되는 서비스 품질(QoS) 레벨과, 상기 NAU에 의해 제공되는 채널에 대한 전력 소비량 정보와, 상기 NAU에 의해 제공되는 채널에서 서포트되는 시큐리티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신호인 구성을 가진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 of interfaces used by the MADU includes a query interface, a setting interface, and a trigger interface, wherein the query interface is an operation of the NAU. Mode, the usage cost of the channel provided by the NAU, the band width of the channel provided by the NAU, the quality of the channel provided by the NAU, and the quality of service supported by the channel provided by the NAU. (QoS) level,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for the channel provided by the NAU, and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security scheme supported by the channel provided by the NAU.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MADU에 의해 사용되는 1세트의 상기 인터페이스는 질의 인터페이스, 설정 인터페이스 및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는 상기 NAU의 동작 모드와, 상기 NAU로부터 상기 MADU에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것과, 상기 NAU로부터 상기 MADU에 상기 정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생략하는 것과, 상기 MADU로 송신하는 상기 정보 신호의 생성에 관한 상기 NAU에 대한 기준과, 상기 NAU가 핸드오프 동작을 개시하는 기준과, 상기 NAU에 의해 사용되는 채널의 특정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신호로서, 상기 NAU로 송신되는 구성을 가진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 of interfaces used by the MADU includes a query interface, a setting interface, and a trigger interface, wherein the setting interface is an operation of the NAU. A reference to the NAU regarding a mode, transmitting an information signal from the NAU to the MADU, omitting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signal from the NAU to the MADU, and generating the information signal to transmit to the MADU And a signal for transmitting the reference for starting the handoff operation of the NAU and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ation of the channel used by the NAU, and being transmitted to the NAU.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MADU에 의해 사용되는 1세트의 상기 인터페이스는 질의 인터페이스, 설정 인터페이스 및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트리거 인터페이스는 기지국에 대응된 상기 NAU의 상황 변경과, 어느 값이 변경된 상기 NAU에 의해 제공되는 채널의 사용 코스트와, 어느 값이 변경된 상기 NAU에 의해 제공되는 채널에서 서포트되는 QoS 레벨과, 어느 타입으로 변경된 상기 NAU에 의해 제공되는 채널에서 이용되는 시큐리티 방식과, 상기 NAU에 의해 제공되는 채널에서 이용되는 변조 방식에 대한 정보를 상기 NAU가 상기 MADU에 전달하는 신호인 구성을 가진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 of interfaces used by the MADU includes a query interface, a setting interface, and a trigger interface, wherein the trigger interface corresponds to a base station. The situation change of the NAU, the usage cost of the channel provided by the NAU whose value has been changed, the QoS level supported by the channel provided by the NAU whose value has been changed, and provided by the NAU which has been changed to any type The NAU has a security scheme used for the channel and a signal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modulation scheme used in the channel provided by the NAU to the MADU.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토콜 각각의 사양이 조정됨으로써 고유하게 설정된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NAU와, 1세트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NAU와 정보교환함으로써 통신 세션에서 사용할 채널을 결정하고, 결정된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NAU를 제어하는 MADU를 구비하고, 복수의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사이를 로밍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NAU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질의 인터페이스를 상기 MADU가 상기 NAU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NAU에 대응된 상기 파리미터를 설정하는 설정 인터페이스를 상기 MADU가 상기 NAU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벤트의 발생 또는 향후 발생할 것을 알리는 상기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상기 NAU가 상기 MADU로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도록 하였다.A control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method b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a NAU having a network access mechanism uniquely set by adjusting specifications of hardware, software, and protocols, and a set of interfaces.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having a MADU for determining a channel to be used in a session and controlling the NAU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hannel, and roaming between a plurality of packet 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s,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by the MADU to the NAU, a query interface for obtaining information, transmitting, by the MADU, to the NAU a setting interface for setting the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NAU, and occurrence or future occurrence of the event. The trigger interface informing that the NAU It was to be equipped with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MADU.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MADU가 상기 NAU를 제어하는 단계와, 동시 병렬 조작이 가능한 복수의 NAU 통신 채널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MADU와 정보교환하는 상기 sub-MADU를 상기 MADU가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MADU가 상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NAU 또는 상기 sub-MADU와 통신을 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도록 하였다.In the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invention, the step of the MADU to control the NAU, and control a plurality of NAU communication channels capable of simultaneous parallel operation, and using the interface Controlling the sub-MADU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MADU by the MADU, and by the MADU using the interface to communicate with the NAU or the sub-MADU.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MADU와 통신할 때에, 상기 sub-MADU가 그 자신을 나타내는 특별한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와, 상기 특별한 식별자가 상기 트리거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MADU와 통신을 행하는 UPL에 대하여 상기 트리거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sub-MADU가 행한 결정을 상기 MADU가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도록 하였다.In the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invention, the sub-MADU uses a special identifier indicating itself when communicating with the MADU, and the special identifier is assigned to the trigger interface. When used, the MADU transmits a determination made by the sub-MADU based on the trigger interface to the UPL communicating with the MADU.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와의 채널 중단을 예측하는 복수의 TDF와, 복수의 상기 TDF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시계열로 비교함으로써,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상기 MADU로 송신할지 결정하는 비교기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진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DFs for predicting channel interruption wit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an in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aring the input signal from the TDF in time series with a comparator to determine whether to send a trigger interface to the MADU.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TDF는 상기 입력 신호를 그 수신된 세대마다 기록하여 일정기간 보유하는 복수의 지연 레지스터와, 상기 지연 레지스터로부터의 출력에 대하여 상기 지연 레지스터마다 준비된 가중치를 각각 승산하는 복수의 승산기와, 복수의 상기 승산기로부터 입력되어 오는 복수의 승산 값에 미리 설정된 값을 더하면서 합산하는 가산기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진다.In the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DF registers a plurality of delay registers for storing the input signal for each received generation for a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delay register with respect to the output from the delay register. And a plurality of multipliers for multiplying the prepared weights each, and an adder for adding while adding a preset value to the plurality of multiplication values input from the plurality of multipliers.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사이를 로밍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토콜 각각의 사양이 조정됨으로써 고유하게 설정된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NAU와, 1세트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NAU와 정보교환함으로써 통신 세션에서 사용할 채널을 결정하고, 결정된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NAU를 제어하는 MADU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진다.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s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roaming between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s,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omprises hardware, software and The specification of each protocol is adjusted to determine a channel to be used in a communication session b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NAU using a set of interfaces and a network access mechanism uniquely set, and controlling the NAU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hannel. It has a configuration having a MADU.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와의 채널을 형성할 때에, 가중치 세트를 동적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가중치 세트를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기지국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가중치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형성된 상기 채널의 중단을 예측하는 구성을 가진다.In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vention, the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forms a weight set dynamically when forming a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sets the weight set to the mobile body. And a base station provided to th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es the weight set provided from the base station to predict the interruption of the channel form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NAU가 상기 MADU에 의해 설정된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포함한 제어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어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상기 가중치 세트를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구성을 가진다.In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ransmits a control message including a timing at which the NAU transmits a trigger interface set by the MADU, and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control message. Has received, and transmits the weight set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채널을 형성하는 기지국을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트리거 메시지의 송신이 요구되었을 때에는, 혹은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위치를 감시하여 그 동작 범위 밖으로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이동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 사이에서 현재의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기지국을 특정하는 독특한 식별자와,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새로 채널을 형성하는 타 기지국을 특정하는 독특한 식별자와,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추정 시각을 포함하는 트리거 메시지를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현재의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기지국에 제어 메시지, 즉,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를 특정하는 독특한 식별자와, 상기 트리거 메시지를 특정하는 독특한 식별자와, 상기 이벤트의 발생 추정 시각 이전에 상기 트리거 메시지의 송신에 필요한 시간 범위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트리거 메시지의 송신을 상기 기지국에 요구하는 구성을 가진다.In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base station that forms a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the base station triggers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hen transmission of a message is requested, or when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s monitored and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moves out of its operation range is detected, the current channel is exchanged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The mobile communication includes a trigger message including a unique identifier for specifying a base station to be formed, a unique identifier for specifying another base station to form a new channe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an estimated time at which the event occurs. Transmit to the terminal device, and The fuselag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has a control message to the base station forming a current channel, that is, a unique identifier specif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 unique identifier specifying the trigger message, and an estimated time of occurrence of the event. A control message including a time range required for the transmission of the trigger message is transmitted, and when the occurrence of the event is detected, the base station is requested to transmit the trigger message.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로밍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토콜 각각의 사양이 조정됨으로써 고유하게 설정된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NAU와, 1세트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NAU와 정보교환함으로써 통신 세션에서 사용할 채널을 결정하고, 결정된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NAU를 제어하는 MADU를 구비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 및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채널을 형성하는 기지국을 구비하는 복수의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복수의 상기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사이를 로밍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현재의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기지국에 제어 메시지, 즉,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를 특정하는 독특한 식별자와, 상기 트리거 메시지를 특정하는 독특한 식별자와, 상기 기지국의 동작 범위 밖으로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이동하는 이벤트의 발생 추정 시각 이전에 상기 트리거 메시지의 송신에 필요한 시간 범위를 포함한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트리거 메시지의 송신을 상기 기지국에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이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트리거 메시지의 송신이 요구되었을 때에는, 혹은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위치를 감시하여 그 동작 범위 밖으로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이동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현재의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기지국을 특정하는 독특한 식별자와,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새로 채널을 형성하는 타 기지국을 특정하는 독특한 식별자와,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추정 시각을 포함하는 트리거 메시지를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도록 하였다.In the roam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session is performed b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a NAU having a network access mechanism uniquely set by adjusting specifications of hardware, software, and protocol, and a set of interfac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having a MADU for determining a channel to be used in the mobile station and controlling the NAU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hannel, and a base station for forming a channe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roams between a plurality of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s,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forms a current channel. Control messages to the base station, i.e. A unique identifier for specif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 unique identifier for specifying the trigger message, and a transmission of the trigger message before an estimated time of occurrence of an event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moves out of an operation range of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a control message including a time range, requesting the base station to transmit the trigger message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detects occurrence of the event, and the base station triggers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hen transmission of a message is requested, or when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s monitored and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moves out of the operation range is detected, the current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s performed. Forming channels And a trigger message including a unique identifier for specifying the base station, a unique identifier for specifying another base station to form a new channe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an estimated time at which the event occurs. And transmitting to the device.

<발명의 효과>Effec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에 따르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토콜 각각의 사양이 조정됨으로써 고유하게 설정된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NAU와, 1세트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NAU와 정보교환함으로써 통신 세션에서 사용할 채널을 결정하고, 결정된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NAU를 제어하는 MADU를 구비하기 때문에, 핸드오프가 실행되기 전에 상위층의 프로토콜에 미리 트리거가 송신되므로, 상위층의 프로토콜, 예를 들어, UPL에 의한 지배적인 제어에 의해 끊김이 없는 매끄러운 핸드오프가 실현된다.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munication session is performed b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a NAU having a network access mechanism uniquely set by adjusting specifications of hardware, software, and protocols, and a set of interfaces. Since it has a MADU that determines which channel to use and controls the NAU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hannel, a trigger is transmitted to a higher layer protocol before the handoff is executed, so that the higher layer protocol, for example, the UPL is dominant. Seamless control is achieved by seamless control.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에 따르면,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현재 형성되어 있는 채널이 향후 중단될지 여부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사용 중인 NAU를 변경하기 위하여 필요한 준비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dict whether or not the currently formed channe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will be suspended in the future, thereby sufficiently securing the preparation time required for changing the NAU in use. hav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에 따르면, 현재 사용 중인 채널이 향후 중단될 때에는, 현재의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과 독립하여 대신할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병렬로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다양한 기지국의 동작 범위를 출입할 때에, 통신 세션의 중단 시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hannel currently being used is interrupted in the futu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an be operated in parallel with the network access mechanism to replace the current network access mechanism independently. When entering and leaving the operating range of the base sta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owntime of the communication session.

이에 더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에 따르면, 트리거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동일한 포맷을 지정하므로,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에서 다른 벤더나 다른 제조업자로부터 공급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병용해도, UPL의 구성이나 신호 처리의 복잡함을 경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ame format is specified for the trigger interface, eve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uses a network interface card supplied from another vendor or another manufacturer, the UPL configuration and signal The complexity of the process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이 통신 시스템이 제어 메시지 및 트리거 메시지의 송수신을 서포트하므로, 복수의 NAU가 하나의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이더라도, 상기 각 효과가 효과적으로 발휘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ontrol messages and trigger messag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in which a plurality of NAUs has one access mechanism Even if it is, each said effect is exhibited effective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핸드오프 시의 MADU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Fig. 2 is a timing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MADU during handoff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의 응용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서 사용되는 핸드오프 추정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andoff estimator used in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서 사용되는 TDF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DF used in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를 포함한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showing an outline of a system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 5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골자는, 고유하게 설정된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NAU와, 1세트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NAU와 정보교환함으로써 통신 세션에서 사용할 채널을 결정하고, 결정된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NAU를 제어하는 MADU와, 상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복수의 상기 NAU 및 상기 MADU와 정보교환을 행하고, 이들을 지배적으로 제어하는 UPL을 구비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를 이용함으로 써,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사이를 로밍할 때에, 상기 NAU 또는 상기 NAU에 구비되는 NAU 통신 채널을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마다 할당하여 채널을 형성하고, 핸드오프의 전후에 관련된 개개의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NAU 또는 상기 NAU 통신 채널을 동시에 병행으로 작동시킴으로써, 그때까지 사용하고 있던 구 어드레스와 그 후 사용할 신 어드레스를 관련지어 통신 세션의 중단을 일으키지 않고 핸드오프를 매끄럽게 실행하는 것이다.The main 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a channel to be used in a communication session by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NAU using a NAU having a uniquely set network access mechanism and a set of interfaces, and controlling the NAU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channel. Roam between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s by using a MADU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NAUs and the MADUs to exchange information using the interface, and a UPL that predominantly controls them. At this time, the NAU or the NAU communication channel included in the NAU is allocated to each data communication network to form a channel, and the NAU or the NAU communication channel corresponding to individual channels related to before and after handoff are simultaneously operated in parallel. By doing so, the old address used up to then and the new one to be used afterwards Associate the dress to smoothly handoff without interrupting the communication session.

본 발명에서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상위층의 프로토콜이 NAU로부터 트리거를 수취하는 것이 가능함을 개시하였다. 이 트리거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로밍할 때에, 그 각 구성요소가 핸드오프에 대한 신호를 처리하는 타이밍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트리거는 현재 사용 중인 채널의 중단 또는 핸드오프의 발생을 경고하는 신호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트리거를 이용하면, 상위층의 프로토콜이 통신 세션을 어느 NAU로부터 다른 NAU로 인계하기 위해 필요한 준비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통신 세션에 끊김이 없는 매끄러운 핸드오프를 실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isclosed that an upper layer protocol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an receive a trigger from an NAU. This trigger can provide a timing at which each component processes a signal for handoff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roams. Thus, this trigger can serve as a signal to warn of the occurrence of a handoff or an interruption of the channel currently in use. Therefore, by using this trigger, the upper layer protocol can secure enough preparation time necessary to take over the communication session from one NAU to another NAU, thereby realizing seamless handoff in the communication session.

이에 더해, 본 발명에서는, 상위층의 프로토콜의 구성 및 신호 처리의 복잡함이 해소되도록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지정한다. 이에 의해, 다른 벤더 또는 다른 제조업자로부터 공급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가 병용되는 경우에도, 이들 카드 간의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가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에 매끄럽게 통합되도록 인터페이스의 번역 루틴을 규정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interface is designated so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layer protocol and the complexity of signal processing are eliminated. Thereby, even when the network interface card supplied from another vendor or another manufacturer is used together, compatibility between these cards can be maintain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lation routine of the interface is defined so that such a network interface card is seamlessly integrated in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의 중단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상위층에서의 통신 세션의 인계를 실현하기 위하여 트리거 메시지를 상위층의 프로토콜로 처리하므로, 복수의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필요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위층의 프로토콜이 현재 사용 중인 채널의 중단을 경고하는 트리거 메시지를 상기 채널의 중단에 앞서 수취했을 때, 현재 사용 중인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과는 다른 대신할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이 상기 채널의 중단에 앞서 작동 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통신 세션의 인계 준비가 상기 채널의 중단이 실제로 일어나기 전에 시작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trigger message is processed by a higher layer protocol to realize the takeover of a communication session in a higher layer for the purpose of shortening the interruption time of a network service. Thu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access mechanisms is provided. It becomes 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layer protocol receives a trigger message warning the interruption of a channel that is currently in use, the network access mechanism, which is different from the network access mechanism currently in use, is applied to the interruption of the channel. It starts working earlier.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preparation for taking over the communication session is started before the interruption of the channel actually occur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로의 트리거 메시지의 송수신이 서포트되고 있으면, 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하나의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것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사용 중인 채널의 중단을 회피하고 매끄러운 핸드오프를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trigger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re suppor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includes one network access mechanism. Just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void interruption of the channel currently in use and to realize a smooth handoff.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는, 지정된 타이밍으로 핸드오프 경고와 같은 트리거 메시지의 송신을 요구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와, 그 송신 요구에 따라 소정의 포맷으로 이루어지는 트리거 메시지를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기지국이 포함된다. 이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이러한 트리거 메시지를 수취하면 바로, 상위층의 프로토콜에 통신 세션을 인계하기 위한 준비를 시작시킨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requesting transmission of a trigger message such as a handoff warning at a specified timing, and a trigger message having a predetermined format in accordance with the transmission reques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 transmitting base station is included. Thi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starts preparation for taking over a communication session to a higher layer protocol as soon as it receives such a trigger message from the communication system.

한편, 본 명세서의 기재를 보다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다음의 용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용어의 의의는 상기 설명이 없어도 당업자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ake th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easier to understand, the following terms are briefly described. However, the meaning of these term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the above description.

(a) ‘패킷’이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가능하고, 소정의 포맷으로 가공되어 독립된 데이터의 유닛을 가리킨다. 패킷은, 통상적으로 2개의 부분, 즉, ‘헤더부’와 ‘페이로드(payload)부’로 이루어진다. ‘페이로드부’는 전달해야 할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분이고, 한편 ‘헤더부’는 패킷의 송수신처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헤더부’에는 패킷의 발송인과 수취인을 각각 식별하기 위하여 정보원 어드레스와 목적지 어드레스가 저장된다.(a) "Packet" refers to a unit of data tha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is processed into a predetermined format, and is independent. A packet typically consists of two parts, a "header part" and a "payload part." The 'payload unit' is a part for storing information data to be transmitted, while the 'header part' is a part for storing information for specifying a destination of a packet. Thus, the header section stores an information source address and a destination address to identify the sender and recipient of the packet, respectively.

(b) ‘모바일 노드’란,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접속 포인트를 변경하는 상기 네트워크의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한편,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모바일 노드는 엔드 유저가 사용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를 의미한다.(b) "Mobile node" refers to a component of the network that changes a connection point in a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On the other hand, unless otherwise noted, a mobile node mean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ed by an end user.

(c) ‘기지국’이란, 액세스 기술의 종류를 불문하고, 모바일 노드에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참가하기 위한 채널을 제공하는 상기 네트워크의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이들 액세스 기술의 예로서는, 무선 통신, 유선 통신 또는 광통신이 예시된다.(c) A "base station" refers to a component of the network that provides a mobile node with a channel for joining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regardless of the type of access technology. Examples of these access technologies are wireless communication, wired communication, or optical commun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 의해, 특정한 수, 때, 구성과 파라미터의 의의가 한층 명확해진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referring drawings.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ignificance of the specific number, time, configuration and parameters becomes clear.

(실시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00)는, 네트워크 액세스 유닛(NAU: Network Access Unit)(101)을 m개(m은 2 이상의 정수)와, UPL(Upper Protocol Layer)(102)과, MADU(Multiple Access Decision Unit)(103)를 구비한다. 한편, NAU 101a부터 101m에 대하여, 이것들을 개개로 구별하지 않고 포괄적으로 언급하는 경우에는 간단히 NAU(101)로 표기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m network access units (NAUs) 101 (m is an integer of 2 or more), an UPL (Upper Protocol Layer) 102, and a multiple access decision (MADU). Unit 103 is provided. On the other hand, the NAU 101a to 101m are simply referred to as NAU 101 when they are referred to comprehensively without distinguishing them individually.

NAU(101)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즉, 하드웨어와, 이와 같은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와, 이와 같은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통신을 관리하는 프로토콜을 구성요소로 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국제 표준화 기구(ISO)의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모델에 있어서, NAU(101)는 물리층 및 데이터 링크층에 관련된 모든 프로토콜을 포함한다.The NAU 101 has a physical network interface, i.e., hardware, software for controlling such hardware, and a network access mechanism whose components are protocols for managing communication using such hardware. For example, in the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model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the NAU 101 includes all protocols related to the physical layer and the data link layer.

본 발명은, 복수의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므로,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00)는 복수의 NAU(101), 즉, NAU 101a에서 101m을 구비한다. 한편, 물리적으로 1개의 하드웨어는 2 이상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각각의 NAU(101)가 각각의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능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provid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network access mechanism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plurality of NAUs 101, that is, 101m in NAU 101a. On the other hand, physically, one hardware may constitute two or more different network access mechanisms. Such a configuration is configured such that each NAU 101 includes the functions necessary to configure each network access mechanism.

여기서, 어느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이 기지국과의 사이에 액티브한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NAU(101)가 액티브가 된다. 또한, 물리적으로 하나의 NAU(101)는 동종의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 니즘을 복수 개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접속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액티브한 채널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동종의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00)가 복수의 NAU(101), 즉, NAU 101a로부터 101m을 구비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이 경우, 어느 채널을 사용할지 결정하기 위하여 MADU(103)와 NAU(101)를 통합하여 MADU(103)를 계층적으로 배열해도 된다. 이 계층적인 배열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3에서 언급한다.Here, when any network access mechanism forms an active channel with the base station, the NAU 101 including the network access mechanism becomes active. In addition, one NAU 101 can physically form a plurality of connections at the same time by using a plurality of the same network access mechanism. For example, by using a plurality of antennas, it is possible to form a plurality of active channels simultaneously. In this case, the same type of network access mechanism is used as in the case wher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100 includes a plurality of NAUs 101, that is, 101m from NAU 101a. In this case, in order to determine which channel to use, the MADU 103 and the NAU 101 may be integrated to arrange the MADU 103 hierarchically. This hierarchical arrangement is referred to in the third embodiment.

UPL(102)은, NAU(101) 중 어느 하나를 경유하여 전달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상위층의 프로토콜과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여 관념되는 추상적인 개념이다. ISO의 OSI 모델을 예로 하여, UPL(102)은 애플리케이션층, 프리젠테이션층, 세션층, 트랜스포트층 및 네트워크층을 포함한다.UPL 102 is an abstract concept that is inclusive of all higher layer protocols and applications capable of receiving packets delivered via any of the NAUs 101. Taking the OSI model of ISO as an example, UPL 102 includes an application layer, a presentation layer, a session layer, a transport layer, and a network layer.

패스(110)는, UPL(102)이 패킷을 NAU(101)로 송신할 때, 혹은 UPL(102)이 NAU(101)가 수신한 패킷을 취득할 때에 패킷이 통과하는 표준적인 데이터 패스이다.Path 110 is a standard data path through which packets pass when UPL 102 transmits packets to NAU 101, or when UPL 102 acquires packets received by NAU 101.

MADU(103)는, 동적으로 작동하여 어느 NAU(101)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참가할지 결정한다. MADU(103)의 주된 기능은 액티브한 NAU(101)의 액세스 링크가 떨어지려 할 때, 즉, 사용 중인 채널이 중단되려 할 때에, 대신할 다른 NAU(101)를 사용하기 위하여 그 준비를 행하고, 또한 그 준비의 완료를 보증하는 것이다.The MADU 103 operates dynamically to determine which NAU 101 to join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The main function of the MADU 103 is to prepare for use of another NAU 101 to replace when the access link of the active NAU 101 is about to drop, i.e., when the channel being used is about to be interrupted, It also guarantees the completion of the preparation.

이 MADU(103)의 동작에 대하여,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T1000으로 마크된 구간에서는, NAU(101a)가 액티브로 되어 있다.The operation of the MADU 10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In FIG. 2, in the section marked T1000, the NAU 101a is active.

이어서, T2000으로 마크된 시점에서는, NAU(101a)가 제공하는 사용 중인 채널이 가까운 장래에 중단될 우려가 있음을 명시하는 트리거 인터페이스가 NAU(101a)로부터 송신된다. 이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수신한 MADU(103)는 NAU(101b)를 액티브로 한다.Then, at the time marked T2000, a trigger interface is transmitted from the NAU 101a that specifies that the busy channel provided by the NAU 101a may be interrupted in the near future. Upon receiving this trigger interface, the MADU 103 activates the NAU 101b.

이어서, T3000으로 마크된 구간에서는, NAU(101a) 대신에 NAU(101b)를 사용하기 위하여, MADU(103)가 NAU(101b)의 작동 준비를 행하고, UPL(102)에 가까운 장래에 통신 세션이 현재와는 다른 타 NAU를 통하여 행해지게 될 것을 통지한다. 이는, 도 1에 나타내는 패스(112)를 통하여 MADU(103)로부터 UPL(102)로 송신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이루어진다. NAU(101b)의 작동 준비가 완료되는 대로 NAU(101b)로부터 UPL(102)로 패킷이 전송되게 된다.Subsequently, in the section marked T3000, in order to use the NAU 101b instead of the NAU 101a, the MADU 103 prepares for the operation of the NAU 101b, and a communication session is established in the near future with the UPL 102. Notify that it will be done through another NAU. This is achieved by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DU 103 to the UPL 102 via the path 112 shown in FIG. 1. As soon as the NAU 101b is ready for operation, the packet is transmitted from the NAU 101b to the UPL 102.

따라서, T4000으로 마크되는 시점, 즉, NAU(101a)에 의해 제공되는 채널이 실제로 중단되는 시점에 있어서는 이미 NAU(101b)로부터도 UPL(102)로 패킷이 전송되어 있다. 이것은 이상적인 예로서, T5000으로 마크되는 구간(T4000 경과 후의 구간)이 시작되기 전, 즉, NAU(101a)에 의해 제공되는 채널이 실제로 중단되기 전에, 이와 같은 핸드오프의 일련의 순서는 모두 완료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packet is already transmitted from the NAU 101b to the UPL 102 at the time point marked with T4000, that is, the time point at which the channel provided by the NAU 101a is actually stopped. This is an ideal example, before the start of the section marked T5000 (the section after the T4000 has elapsed), i.e., before the channel provided by the NAU 101a is actually stopped, the sequence of such handoffs is all completed. It is desirable to have.

MADU(103)의 또 하나의 기능은, NAU(101) 중 몇 개가 액티브할 때에, NAU 101a에서 101m 사이의 조정을 행하는 것이다. 어떠한 시점에서도 UPL(102)에 통신 세션을 제공하는 액티브한 NAU(101)가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MADU(103)는 NAU(101) 각각의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바로 옆의 통신 세션에서 사용할 NAU(101) 를 결정한다. 사용하는 NAU(101)를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언제라도 MADU(103)는 동적으로 또 하나의 NAU(101)를 지명하고, 그리고 패스(112)를 통하여 UPL(102)에 그 취지를 통지한다.Another function of the MADU 103 is to adjust between NAU 101a to 101m when some of the NAUs 101 are active. At any point in time, there may be multiple active NAUs 101 providing communication sessions to the UPL 102. The MADU 103 determines the NAU 101 to use in the next communication session based on the situ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NAU 101. Whenever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NAU 101 to be used, the MADU 103 dynamically names another NAU 101 and notifies the UPL 102 via the path 112.

복수의 NAU(101) 중에서 사용할 NAU(101)를 선택할 때에, MADU(103)는 다음의 기준을 사용할 수 있다.When selecting the NAU 101 to be us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NAUs 101, the MADU 103 can use the following criteria.

(ⅰ)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의 코스트(어느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은, 인공 위성 링크와 같은 고가의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IEEE 802.11에 비해 현저하게 고비용이다)가 가장 저가인 액세스를 제공하는 NAU(101)를 선택한다.(Iii) The cost of the network access mechanism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IEEE 802.11 because some network access mechanisms use expensive networks such as satellite links) provides the NAU 101 which provides the lowest cost access. Choose.

(ⅱ)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의 전력 소비량(어느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은, 인공 위성 링크와 같은 IEEE 802.11에 비해 현저하게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이 가장 적은 NAU(101)를 선택한다.(Ii) Select the NAU 101 with the lowest power consumption of the network access mechanism (some network access mechanisms consume significantly more power than IEEE 802.11, such as satellite links).

(ⅲ)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의 밴드 폭 등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채널의 비트 레이트가 가장 높은 NAU(101)를 선택한다.(Iii) Select the NAU 101 with the highest bit rate of the provided channel based on the bandwidth of the network access mechanism and the like.

(ⅳ)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의 유효성, 즉,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00)의 이동 상황을 감안하여 가장 접속 시간을 길게 유지할 수 있는, 즉, 가장 긴 시간 액티브한 상태로 있을 수 있는 NAU(101)를 선택한다.(Iii) in consideration of the validity of the network access mechanism,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100, the NAU 101 capable of maintaining the longest connection time, that is, the longest active time, may be provided. Choose.

(ⅴ)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이 보다 좋은 QoS 서포트(어느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이 보다 좋은 QoS(Quality of Service) 서포트, 예를 들어, 요동이 보다 낮고, 지연이 보다 짧은)를 제공하는 NAU(101)를 선택한다.(Iii) Select NAU 101, which provides better QoS support (which network access mechanism provides better Quality of Service (QoS) support, for example, lower fluctuations and lower latency). do.

(ⅵ)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의 시큐리티 서포트(어느 네트워크 액세스 메 커니즘은 다른 것 보다 좋은 트래픽의 보호를 제공한다), 즉, 최선의 시큐리티를 제공하는 NAU(101)를 선택한다.(Iii) Security support of the network access mechanism (some network access mechanisms provide better traffic protection than others), i.e., the NAU 101 that provides the best security is selected.

(ⅶ)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의 물리적인 특성(어느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은 다른 것보다 높은 온도에 견딜 수 있다), 즉,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높은 NAU(101)를 선택한다.(Iii)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access mechanism (some network access mechanisms can withstand higher temperatures than others), i.e., the NAU 101 is highly adaptable to the environment.

(ⅷ) 장소와 규제 정보(어느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은 법적 규제 등에 의해 어느 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즉,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이용 장소에 적합한 NAU(101)를 선택한다.(Iv) Location and regulatory information (no network access mechanisms can be used in any region due to legal restrictions, etc.), i.e., select the NAU 101 suitable for the usage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ⅸ)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의 트래픽 부하, 즉, 가장 신호 처리 부하가 적은 NAU(101)를 선택한다.(Iii) Select the NAU 101 having the least traffic load of the network access mechanism, that is, the least signal processing load.

(ⅹ) 상기 기준에 가중치 부여를 행하고, 또한 가중치 부여된 각 기준을 합계하여(가중치 부여는 제로여도, 긍정적이어도, 부정적이어도 된다), 그 합계가 가장 큰 NAU(101)를 선택한다.(Iii) Weighting is applied to the above-mentioned criteria, and each weighted criterion is summed up (weighting may be zero, positive or negative), and the NAU 101 having the largest sum is selected.

이러한 사실로부터, MADU(103)가 NAU(101)에 있어서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설정가능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트리거 인터페이스가 송신되는 타이밍은 매끄러운 핸드오프의 실현과 그것을 보증함에 있어서 중요하다.From this fact, it is considered that the MADU 103 needs to be able to set the trigger interface in the NAU 101. In particular, the timing at which the trigger interface is transmitted is important in realizing and assuring a smooth handoff.

또한, MADU(103)는, NAU(101)를 동적으로 액티브하게 또한 비액티브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더해, MADU(103)는, 액티브한 NAU(101)를 교체시키는 결정을 한다. MADU(103)가 이와 같은 결정을 행하려면, NAU(101)로부터 정보를 모을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정보를 공급하기 위하여 1세트의 인터페이스의 포맷이 정의된다. 이는, MADU(103)와 NAU(101) 사이, 도 1에 있어서 패스(111)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제어 신호의 포맷이다. 이 1세트의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he MADU 103 needs to make the NAU 101 dynamically active and inactive. In addition, the MADU 103 makes a decision to replace the active NAU 101. In order for the MADU 103 to make such a determination, it is necessary to gather information from the NAU 101. In order to supply such information, the format of a set of interfaces is defined. This is the format of the control signal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MADU 103 and the NAU 101 via the path 111 in FIG. This one set of interfac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최초의 인터페이스는, MADU(103)로부터 개개의 NAU(101)로 송신되는 질의 (Query) 인터페이스로서, 목표로 하는 NAU(101)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The first interface is a query interface transmitted from the MADU 103 to each NAU 101, and is used to inquire information about the target NAU 101, and is defined as follows.

Query(IN Query_Code; OUT Query_Result)Query (IN Query_Code; OUT Query_Result)

여기서, 질의 코드(Query_Code)는 질의의 내용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식별자이고, 한편 질의 결과(Query_Result)는 질의에 대한 회답이며, 목표로 하는 NAU(101)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이다.Here, the query code Query_Code is a unique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content of the query, while the query result Query_Result is a response to the query and a buffer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target NAU 101.

두 번째 인터페이스는, MADU(103)로부터 개개의 NAU(101)로 송신되는 설정(Configure) 인터페이스이다. 이 인터페이스는, 목표로 하는 NAU(101)의 특정한 설정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The second interface is the Configure interface transmitted from the MADU 103 to the individual NAUs 101. This interface is used to set specific setting parameters of the target NAU 101, and is defined as follows.

Configure(IN Parameter_Code; IN Parameter_Value;)Configure (IN Parameter_Code; IN Parameter_Value;)

여기서, 파라미터 코드(Parameter_Code)는 조정되는 설정 파라미터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식별자이다. 또한, 파라미터 값(Parameter_Value)은 설정되어야 할 명시된 파라미터 값이다. 파라미터 값은 필요하다면 복합적인 필드를 구비할 수 있고, 다른 설정 목적을 위하여 복수의 파라미터 값을 저장할 수 있다.Here, the parameter code Parameter_Code is a unique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setting parameter to be adjusted. In addition, the parameter value Parameter_Value is a specified parameter value to be set. The parameter value may have a complex field if necessary, and may store a plurality of parameter values for other setting purposes.

세 번째 인터페이스는, NAU(101)로부터 MADU(103)로 송신되는 트리거(Trigger) 인터페이스이다. 이 인터페이스는 NAU(101)를 위하여 특정한 이벤트의 트리거 또는 통지를 MADU(103)로 송신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The third interface is a trigger interface transmitted from the NAU 101 to the MADU 103. This interface transmits a trigger or notification of a specific event to the MADU 103 for the NAU 101, and is defined as follows.

Trigger(IN NAU_Identifier; IN Trigger_Event;)Trigger (IN NAU_Identifier; IN Trigger_Event;)

여기서, NAU 식별자(NAU_Identifier)는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송신한 NAU(101)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한 식별자이며, 트리거 이벤트(Trigger_Event)는 발생한 이벤트 또는 향후 발생할 이벤트를 모두 기술하는 기술자이다. 예를 들어, 코스트 변경의 트리거 인터페이스이면 Trigger_Event는 “Cost-Rise” 등의 이벤트 타입을 특정하는 이벤트 코드를 포함하고, 실제의 코스트를 ‘1분 마다 10센트’로 기술하는 경우에는, 그 대응하는 데이터 구조의 이벤트 타입을 지정하는 이벤트 코드가 포함된다. 또한, 1개의 트리거 인터페이스 안에는 복수의 Trigger_Event 가 집합하여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트리거 인터페이스는 현재 사용 중인 채널이 중단되는 것에 대한 경고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NAU identifier (NAU_Identifier) is a unique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NAU 101 that sent the trigger interface, and the trigger event (Trigger_Event) is a descriptor for describing both an event that occurs or a future event. For example, for a cost change trigger interface, Trigger_Event contains an event code that specifies an event type, such as "Cost-Rise," and if the actual cost is described as "10 cents per minute", the corresponding Contains event codes that specify the event type of the data structure. In addition, a plurality of Trigger_Events may be collectively present in one trigger interface. In addition, the trigger interface may include a warning that the channel currently being used is stopped.

MADU(103)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개개의 NAU(101)에 직접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질의 인터페이스 및 설정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NAU_Identifier를 지정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NAU(101)로부터 트리거 인터페이스가 송신되는 경우에는 NAU(101)는 MADU(103)에 NAU(101) 자신을 식별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의해, MADU(103)는 어느 NAU(101)가 이벤트를 발생시켰는지를 대하여 확인할 수 있다.Since the MADU 103 can transmit the interface directly to the individual NAUs 101, it is not necessary to specify NAU_Identifier for the query interface and the setting interface. By the way, when the trigger interface is transmitted from the NAU 101, the NAU 101 needs to make the MADU 103 identify the NAU 101 itself. As a result, the MADU 103 can identify which NAU 101 has generated an event.

질의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MADU(103)가 NAU(101)의 임의의 상황 정보를 조회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질의의 예로서는,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query that the MADU 103 can use to inquire any situation information of the NAU 101 with respect to the query interface, the following are mentioned.

(1) 상황의 질의: MADU(103)는,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이 액티브인지, 혹은 전력 절약 모드인지와 같은 NAU(101)의 상황을 질의한다.(1) Inquiry of the situation: The MADU 103 queries the situation of the NAU 101, such as whether the network access mechanism is active or power saving mode.

(2) 코스트의 질의: MADU(103)는, 서비스 프로바이더의 청구 금액과 같은 접 속 코스트를 질의한다.(2) Inquiry of cost: The MADU 103 inquires about an access cost such as a bill of money of a service provider.

(3) 능력의 질의: MADU(103)는,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에 의해 허가된 최대 쓰루풋이나 밴드 폭과 같은 접속의 스피드를 질의한다.(3) Inquiry of Capability: The MADU 103 queries the speed of the connection, such as the maximum throughput or bandwidth allowed by the network access mechanism.

(4) 접속의 질의: MADU(103)는, SNR(Signal-to-Noise Ratio)이나 신호 강도 등과 같은 접속의 품질 상황을 질의한다.(4) Query of Connection: The MADU 103 inquires about the quality of the connection, such as a signal-to-noise ratio (SNR) or signal strength.

(5) QoS의 질의: MADU(103)는, 2점간에서의 데이터 스트림의 QoS를 보증하는 파라미터와 같은 QoS 서포트를 질의한다.(5) Inquiry of QoS: The MADU 103 queries the QoS support such as the parameter which guarantees the QoS of the data stream between two points.

(6) 전력의 질의: MADU(103)는, 현재의 배터리 상황에서의 지속 시간과 같은 전력 소비량을 질의한다.(6) Query of Power: The MADU 103 queries the power consumption, such as duration in the current battery situation.

(7) 보전의 질의: MADU(103)는, NAU(101)에 의해 서포트되는 시큐리티 메커니즘을 질의한다.(7) Inquiry of maintenance: The MADU 103 queries the security mechanism supported by the NAU 101.

1개의 질의가 복수의 질의를 겸하도록, 이들 모든 질의 타입은 질의 코드에 있어서의 플래그로서 설정될 수 있다. 특별한 파라미터나 약간의 고정되어 있는 구조를 필요로 하는, 예를 들어, TSPEC와 같은 질의에 대해서는 만일 거기에 플래그가 존재하면 질의와 함께 운반된다.All of these query types can be set as flags in the query code so that one query also serves a plurality of queries. For queries that require special parameters or some fixed structure, for example TSPEC, if a flag is present it is carried with the query.

MADU(103)는, 서로 다른 NAU(101)에 복수의 질의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이는, 핸드오프 시에 있어서의 MADU(103)의 신속한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The MADU 103 can transmit a plurality of query interfaces to different NAUs 101 at the same time. This enables the quick determination of the MADU 103 at the handoff.

Query_Result는, 어느 채널이 중단될 때에 새로 액티브하게 할 대신할 NAU(101)를 MADU(103)가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더해, MADU(103)는 주 기적으로 NAU(101)의 상황을 모니터하고, 그리고 각각의 NAU(101)을 사용하는 경우의 코스트를 계산한다. 현재의 NAU(101)의 사용 코스트가 대신할 NAU(101)의 그것을 넘는 것이 분명해졌을 때에는, MADU(103)는 보다 저가의 채널을 사용하기 위하여 핸드오프를 강행한다.Query_Result enables the MADU 103 to select the NAU 101 to be reactivated when a channel is interrupted. In addition, the MADU 103 periodically monitors the situation of the NAU 101 and calculates the cost of using each NAU 101. When it is clear that the current NAU 101 usage cost exceeds that of the NAU 101 to replace, the MADU 103 forces a handoff to use a lower cost channel.

Query_Result는, 질의 인터페이스의 Query_Code에 유래하는 NAU(101)로부터의 서로 다른 리턴 값을 포함한다. Query_Code에 존재하는 질의에 대한 회답이 Query_Result에 저장된다. 이를 위해서는, 질의와 그 회답(결과)을 관련짓는 방법이 실행되지 않으면 안 된다. 예를 들어, 모든 질의 결과의 데이터 구조를 통일하여, Query_Code의 질의 순서대로 재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Query_Code의 순서대로 배열된 질의에 대응하는 Query_Result에 포함되는 결과의 예는 다음과 같다.Query_Result contains different return values from NAU 101 derived from Query_Code of the query interface. Answers to queries existing in Query_Code are stored in Query_Result. To do this, a method of associating a query with its answers (results) must be implemente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unify the data structure of all query results and rearrange them in the query order of Query_Code. An example of the results included in Query_Result corresponding to a query arranged in the order of Query_Code is as follows.

(1) Status Query Result::=(1) Status Query Result :: =

<Not_in_use::=OxOO│Power_Save_Mode::= Ox01│Active::=Ox02>;<Not_in_use :: = OxOO│Power_Save_Mode :: = Ox01│Active :: = Ox02>;

(2) Cost Query Result::= <Charging Rate> <Charging Interval>;(2) Cost Query Result :: = <Charging Rate> <Charging Interval>;

(3) Capability Query Result:: <Supported Bandwidth>;(3) Capability Query Result :: <Supported Bandwidth>;

(4) Connection Query Result::= <Connection Status(compound filled)>;(4) Connection Query Result :: = <Connection Status (compound filled)>;

(5) QoS Query Result::= <TSPEC> <Priority> <DSCP code>;(5) QoS Query Result :: = <TSPEC> <Priority> <DSCP code>;

(6) Power Query Result::= <How many seconds could it last with current battery>;(6) Power Query Result :: = <How many seconds could it last with current battery>;

(7) Security Query Result::= <Security_mechanism_supported>.(7) Security Query Result :: = <Security_mechanism_supported>.

MADU(103)는, NAU(101)의 어느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하여, 설정 인터페이 스를 사용한다. 이때에 사용 가능한 설정의 예는 다음과 같다.The MADU 103 uses the setting interface to set any parameter of the NAU 101. Examples of settings available at this time are as follows:

(1) activating or de-activating an NAU 101::=(1) activating or de-activating an NAU 101 :: =

<Active::=Ox01│Deactive::=OxOO│Power Save ::= Ox02><Active :: = Ox01│Deactive :: = OxOO│Power Save :: = Ox02>

(2) requesting the sending of specific trigger interfaces, e.g. when cost from using the connection changes, send a trigger to MADU 103::=(2) requesting the sending of specific trigger interfaces, e.g. when cost from using the connection changes, send a trigger to MADU 103 :: =

<Request_Trigger::=Ox02> <Trigger_Request::=*<Trigger_Type>*<Trigger Condition>>;<Request_Trigger :: = Ox02> <Trigger_Request :: = * <Trigger_Type> * <Trigger Condition >>;

(3) requesting the cancellation of sending of specific trigger interfaces, e.g. do not sent a trigger when the modulation scheme changes::=(3) requesting the cancellation of sending of specific trigger interfaces, e.g. do not sent a trigger when the modulation scheme changes :: =

<Request_No_Trigger::=Ox03> <Trigger_Request::=*<Trigger_Type>*<Trigger Condition>>;<Request_No_Trigger :: = Ox03> <Trigger_Request :: = * <Trigger_Type> * <Trigger Condition >>;

(4) setting the timing requirements associated to the sending of specific trigger interfaces, e.g. how many seconds before the signal strength drop to certain level, a trigger must be sent::=(4) setting the timing requirements associated to the sending of specific trigger interfaces, e.g. how many seconds before the signal strength drop to certain level, a trigger must be sent :: =

<Set Time for trigger::=Ox04> <Trigger_Time_Request::=*<Trigger_Type><Set Time for trigger :: = Ox04> <Trigger_Time_Request :: = * <Trigger_Type>

*<Time requirement>>;* <Time requirement >>;

(5) setting thresholds for sending certain trigger interfaces, e.g. if the::=<Set Threshold::=Ox05> <Trigger_Threshold::=*<Trigger_Type> *<Threshold>>;(5) setting thresholds for sending certain trigger interfaces, e.g. if the :: = <Set Threshold :: = Ox05> <Trigger_Threshold :: = * <Trigger_Type> * <Threshold >>;

(6) setting the pattern of sending certain trigger interfaces::= <Set Trigger Pattern::=Ox06> <Trigger_patterns::= *<Trigger_Type> *<Pattern>>;(6) setting the pattern of sending certain trigger interfaces :: = <Set Trigger Pattern :: = Ox06> <Trigger_patterns :: = * <Trigger_Type> * <Pattern >>;

(7) requesting NAU 101 to connect through another base station, ::=<Redirect_NAU::=Ox07> <Base station identifier>; and(7) requesting NAU 101 to connect through another base station, :: = <Redirect_NAU :: = Ox07> <Base station identifier>; and

(8) setting the criteria for having a handoff by NAU 101::= <Handoff_Criteria::=OxO8> <Criteria>.(8) setting the criteria for having a handoff by NAU 101 :: = <Handoff_Criteria :: = OxO8> <Criteria>.

NAU(101)는, MADU(103)에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또한 다음에 행해야 할 행동에 대한 지시를 하기 위하여,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The NAU 101 uses a trigger interface to send information to the MADU 103 and to instruct the next action to be taken.

트리거 인터페이스의 예는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a trigger interface is as follows:

<NAU_Trigger>::=<NAU_Identifier><Trigger_Event::=*<Trigger_Type>*<Trigger_Info>><NAU_Trigger> :: = <NAU_Identifier> <Trigger_Event :: = * <Trigger_Type> * <Trigger_Info >>

트리거 인터페이스에 의해 NAU(101)로부터 MADU(103)에 제공되는 정보는 MADU(103)에서 핸드오프 또는 결정의 균형을 유지하는 부하를 실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예를 들어, 만일 NAU(101)가 현재 사용 중인 채널의 사용 코스트가 사전에 지정된 문턱 값을 넘어 증가하고 있는 상태에서 MADU(103)에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송신할 때에는, MADU(103)는 통신의 코스트를 줄이기 위하여 또 하나의 NAU(101)에 UPL(102)의 트래픽을 약간 전송한다.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NAU 101 to the MADU 103 by the trigger interface is used to carry the load to balance handoffs or decisions in the MADU 103. For example, if the NAU 101 transmits a trigger interface to the MADU 103 while the usage cost of the channel currently being used is increasing beyond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MADU 103 is the cost of communication. In order to reduce the traffic, the traffic of the UPL 102 is slightly transmitted to another NAU 101.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NAU(101)로부터 MADU(103)에 제공되는 정보의 예는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NAU 101 to the MADU 103 via the trigger interface is as follows.

(1) 기지국 에러(1) base station error

예를 들어, 기지국이 업 스트림 링크의 중단 등의 에러에 조우했을 때, 혹은 약간의 하드웨어의 문제에 조우했을 때, 혹은 어느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등으로의 채널이 중단되었을 때에는, 기지국은 IEEE 802.11의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비콘 신호(beacon signal)를 복수의 NAU(101)에 브로드캐스팅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NAU(101)에 대하여 통지를 송신한다. NAU(101)는 순차적으로 MADU(103)에 기지국과의 채널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MADU(103)는 또 하나의 기지국에 대한 핸드오프 또는 또 하나의 NAU(101)를 사용함에 있어서의 결정을 위하여 그 정보를 사용한다.For example, when a base station encounters an error such as an interruption of an upstream link, or encounters some hardware problem, or when a channel to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is interrupted, the base station is an IEEE 802.11 network. Broadcasts a beacon signal in the plurality of NAUs 101 or individually sends a notification to the NAUs 101. The NAU 101 sequentially provides the MADU 103 with information about the channel status with the base station. The MADU 103 uses that information for handoff to another base station or to make a decision in using another NAU 101.

(2) 채널 코스트의 변화(2) change in channel cost

예를 들어, 또 하나의 관리상의 도메인에 부속되는 모바일 라우터 등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변화가 있을 때, 그 채널을 사용하기 위한 코스트도 변화한다. NAU(101)는, 예를 들어, IEEE 802.1x 베이스의 관리를 사용할 때에, EAP가 메시지를 통지하는 것 같은 구체적인 방법에서의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경유하여 기지국에 의해 통지된다. 이 정보는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NAU(101)에 의해 MADU(103)에 인계된다.For example, when there is a change in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mobile router attached to another administrative domain, the cost for using the channel also changes. The NAU 101 is notified by the base station via a network access mechanism in a specific way, for example, when the EAP notifies a message when using management of an IEEE 802.1x base. This information is handed over to the MADU 103 by the NAU 101 using the trigger interface.

(3) QoS 서포트의 변경(3) Change of QoS support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IEEE 802.11e 네트워크의 QoS 서포트에 변화가 있을 때, NAU(101)에 의해 요구된 TSPEC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서포트되지 않고, NAU(101)는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MADU(103)로 송신할 수 있다. NAU(101)가 QoS 네고시에이션을 서포트하면, NAU(101)는 마찬가지로 MADU(103)에 새로 네고시에이트된 QoS 서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MADU(103)는 NAU(101) 를 사용할지 핸드오프를 실행할지 등을 결정할 수 있다.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QoS support of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an IEEE 802.11e network, the TSPEC required by the NAU 101 is not supported by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NAU 101 converts the trigger interface into a MADU ( 103). If the NAU 101 supports QoS negotiation, the NAU 101 can likewise provide the newly negotiated QoS support to the MADU 103. The MADU 103 may then determine whether to use the NAU 101 or execute handoff.

(4) 시큐리티 방식의 변경(4) Change of security method

MADU(103)는, NAU(101)를 바람직한 시큐리티 레벨로 조정하기 위하여, 설정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NAU(101)가 기지국과 시큐리티 방식에 대하여 교섭할 때, 또 하나의 시큐리티 방식이 초래될지도 모른다. 이 경우, NAU(101)는 MADU(103)에 통지하기 위하여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MADU(103)는 새로운 시큐리티 방식을 수용할 수 있는지, 또 하나의 NAU(101)가 사용되어야 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The MADU 103 can use the configuration interface to adjust the NAU 101 to the desired security level. When the NAU 101 negotiates with the base station about the security scheme, another security scheme may result. In this case, the NAU 101 can use the trigger interface to notify the MADU 103, and also the MADU 103 can determine whether to accept the new security scheme and whether another NAU 101 should be used. Can be.

(5) 변조 방식의 변경(5) change of modulation method

몇 가지 이유로 인하여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는 어느 NAU(101)가 액티브인 통신 세션 사이에 변조 방식의 변경을 결정할지도 모른다.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NAU(101)는 서로 다른 변조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기지국 사이에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NAU(101)는, 이들 변경이, 예를 들어, 전력 소비량이나 지연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이들 변경을 MADU(103)에 통지해야 한다.For some reason,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may decide to change the modulation scheme between communication sessions in which NAU 101 is active. The NAU 101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s may form a channel between different base stations according to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The NAU 101 must notify the MADU 103 of these changes using the trigger interface since these changes affect power consumption or delay, for example.

신호 전력이 설정된 문턱 값을 하회한다는 MADU(103)에 대한 통지를 일으키는 다른 이유가 존재하면, NAU(101)는 타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를 실행한다. 즉, 오류율이 어느 문턱 값을 넘는 경우에는, NAU(101)는 타 기지국과 결합되어 채널을 확립시킨다.If there is another reason for causing a notification to the MADU 103 that the signal power is below the set threshold, the NAU 101 performs a handoff to another base station. That is, when the error rate exceeds a certain threshold, the NAU 101 is combined with other base stations to establish a channel.

MADU(103)는, NAU(101)에 대한 모든 설정 및 상황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여 축적할 필요가 있다. 이는, MADU(103)의 내부 또는 외부의 기억장치에 테이블을 작성함으로써 달성된다. NAU(101)로부터의 트리거 인터페이스가 도착했을 때, MADU(103)는 상황에 대한 정보의 기록을 갱신하고, 그리고 제공된 정보, 예를 들어, 핸드오프의 결정에 기초하여 결정된 절차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채널 코스트가 매분 20센트 증가한 상황에 대한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NAU(101a)가 송신하면, MADU(103)는 테이블을 스캔하여 NAU 101a에서 101m 중 어느 것이 보다 낮은 채널 코스트를 달성할 수 있을지를 살펴본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MADU(103)는 트래픽 중 몇 개를 보다 저가인 NAU(101)에 배분한다.The MADU 103 needs to record and store information on all settings and situations for the NAU 101. This is accomplished by creating a table in a storage device inside or outside the MADU 103. When the trigger interface from the NAU 101 arrives, the MADU 103 updates the record of information about the situation and executes the determined procedure based on the determination of the provided information, eg handoff. For example, if the NAU 101a transmits a trigger interface for a situation where the channel cost has increased by 20 cents per minute, the MADU 103 scans the table to determine which of 101m in NAU 101a can achieve the lower channel cost. Take a look. And, if possible, the MADU 103 distributes some of the traffic to the lower cost NAU 101.

또한, MADU(103)는, NAU(101)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질의 인터페이스를 주기적으로 사용하여 테이블을 갱신한다.In addition, the MADU 103 updates the table periodically using the query interface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situation of the NAU 101.

재기동 또는 정전 후에 시스템의 재설정이 필요 없게 되도록, NAU(101)의 설정 및 상황에 대한 정보는 MADU(103)에 구비되는 불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다. MADU(103)는 또한, 로그 기록을 축적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그리고 예를 들어, 몇 시에 어느 NAU(101)로 절환하였는지 등에 대하여 임의의 시간 범위에서의 모든 결정을 기록한다. 이와 같은 정보는 나중에 문제를 추적할 경우에 유용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정보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하여 UPL(102)에 공급된다.Information on the setting and situation of the NAU 101 is recorded in the nonvolatile memory device provided in the MADU 103 so that the system does not need to be reset after a restart or power failure. The MADU 103 also provides space for accumulating log records, and records all decisions in any time range, for example, at what time the NAU 101 was switched. This information is useful for tracking down problems later. This information is then supplied to the UPL 102 to develop new applications.

한편,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를 이하와 같이 변형하거나 응용해도 된다.In addition, you may modify or app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embodiment as follows.

MADU(103)는, 질의 코드와 파라미터 코드 중에서 특별한 식별자를 구비하는 신호를 모두 나타내고, 그리고 질의 결과, 파라미터 값 및 트리거 이벤트에 있어서의 신호의 특별한 데이터를 모음으로써, 이 복수의 신호를 복수의 NAU(101)에 동시에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The MADU 103 represents all signals having a special identifier among the query code and the parameter code, and collects the plurality of NAU signals by collecting special data of the signal in the query result, the parameter value, and the trigger event. You may transmit to 101 simultaneously.

또한, MADU(103)는 (1) NAU(101)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여 축적하는 불휘발성의 메모리 디바이스와, (2) 상기 불휘발성의 메모리 디바이스에 액세스하는 디바이스와, (3) NAU(101)로부터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그 신호에 대응하는 기록을 갱신하는 디바이스와, (4) NAU(101)로부터 새로운 상황에 대한 정보를 취득했을 때에, 그 기록을 갱신하는 디바이스와, (5) NAU(101)를 새로운 파라미터의 세트로 설정했을 때에, 그 기록을 갱신하는 디바이스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The MADU 103 further includes: (1) a nonvolatile memory device that records and accumulates information on the situation of the NAU 101, (2) a device that accesses the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3) a NAU. A device for updating a record corresponding to the signal when the signal is received from (101), (4) a device for updating the record when information about a new situation is obtained from the NAU 101, and (5 ) When the NAU 101 is set to a new set of parameters, a device for updating the record may be provided.

또한, MADU(103)는, NAU(101)에 대한 모든 정보를 기록하여 보유할 수 있도록 (1) MADU(103)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메모리 디바이스에 액세스하여 NAU(101)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2) NAU(101)로부터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에 액세스하여 NAU(101)의 상황에 대한 정보의 기록을 갱신하는 단계와, (3) NAU(101)로부터 새로운 상황에 대한 정보를 취득했을 때에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에 액세스하여 NAU(101)의 상황에 대한 정보의 기록을 갱신하는 단계와, (4) 새로운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NAU(101)를 설정했을 때에 상기 메모리 디바이스에 액세스하여 NAU(101)의 설정에 대한 정보의 기록을 갱신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the MADU 103 accesses a memory device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MADU 103 so that all information on the NAU 101 can be recorded and retained. (2) accessing the memory device when th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NAU 101, updating the record of information on the situation of the NAU 101, and (3) from the NAU 101; Accessing the memory device when acquiring information on a new situation, updating the record of information on the situation of the NAU 101, and (4) setting the NAU 101 using the new parameters; The step of accessing the device and updating the record of the information on the setting of the NAU 101 may be performed.

또한, NAU(101)는 (1) 기지국과의 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NAU(101)의 상황에 대한 변경을 MADU(103)에 통지하는 디바이스와, (2) NAU(101)에 의해 제공되는 채 널에 대하여 그 NAU(101)가 채널 코스트를 MADU(103)에 통지하는 디바이스와, (3) NAU(101)에 의해 제공되는 채널에 대하여 NAU(101)가 그 채널에서 서포트되는 QoS 레벨을 MADU(103)에 통지하는 디바이스와, (4) NAU(101)에 의해 제공되는 채널에 대하여 NAU(101)가 그 채널에서 이용되는 시큐리티 방식을 MADU(103)에 통지하는 디바이스와, (5) NAU(101)에 의해 제공되는 채널에 대하여 NAU(101)가 그 채널에서 이용되는 변조 방식을 MADU(103)에 통지하는 디바이스를 적어도 1개 구비해도 된다.In addition, the NAU 101 is provided with (1) a device for notifying the MADU 103 of a change in the situation of the NAU 101 with a channel form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2) while being provided by the NAU 101. The NAU 101 informs the MADU 103 about the channel cost for null, and (3) the QoS level supported by the NAU 101 for the channel provided by the NAU 101 for the MADU. A device for notifying (103), (4) a device for notifying the MADU 103 of the security system used by the NAU 101 for the channel provided by the NAU 101, and (5) NAU At least one device for notifying the MADU 103 about the modulation scheme used by the NAU 101 for the channel provided by the 101 may be provided.

또한, NAU(101)는 (1) 제공하는 채널의 품질에 대한 상황 변화를 MADU(103)에 제공하고, (2)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와의 사이에 채널을 형성할 준비를 행하고,(3)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결정을 MADU(103)에 통지하고, (4) 핸드오프 동작에 대한 상황을 MADU(103)에 통지하는, 이들 기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In addition, the NAU 101 (1) provides the MADU 103 with a situation change regarding the quality of the channel to be provided, and (2) prepares to form a channel with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of a packet switched system, (3) The MADU 103 may be notified of the decision about the network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and (4) the MADU 103 may be notified of the status of the handoff operation.

(실시형태 2)(Embodiment 2)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각 구성요소의 사양은 모든 NAU(101)에 정의된 3개의 인터페이스의 내용을 이해하고 따르도록 요구된다. NAU(101)는 통상 다른 벤더나 제조업자로부터 공급되기 때문에, 모든 NAU(101)가 상기 인터페이스를 이해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 2에서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00)에 있어서, NAU(101)에 전용 번역기인 NIT(305)를 부가한다.The specification of each component in Embodiment 1 is required to understand and follow the contents of the three interfaces defined in all NAUs 101. Since the NAU 101 is usually supplied from another vendor or manufacturer, not all NAUs 101 can understand the interface. Therefore, in Embodiment 2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100, the NIT 305 which is a dedicated translator is added to the NAU101.

도 3은,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300)의 구성요소의 상당수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00)의 그것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발휘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300)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00)의 구성요소에 부여된 참조 부호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300. Many of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300 exhibit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given to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100 are used for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300 that exhibit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100.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300)에 있어서, NAU 인터페이스 번역기(NIT)(305a에서 305m)가 NAU(301a)로부터 NAU(301m)와 MADU(103) 사이에 각각 삽입된다. NIT(305)는 3개의 상기 인터페이스를 NAU(301)가 이해할 수 있도록 그 포맷을 투과성으로 번역하는 NAU(301a에서 301m) 전용 번역기이다. MADU(103)와 NIT(305) 사이의 패스(111)에서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인터페이스가 송수신된다. 그리고, NIT(305)와 NAU(301) 사이의 패스(313)에서는 NAU(301)를 위하여 번역된 상기 인터페이스가 송수신된다. 한편, NAU(301)는 NIT(305)를 필요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NAU(101)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NIT(305)에는 공지된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300, a NAU interface translator (NIT) 305m to 305m is inserted between the NAU 301m and the MADU 103 from the NAU 301a, respectively. The NIT 305 is a translator dedicated to the NAU 301a to 301m that translates the format transparently so that the NAU 301 understands the three interfaces. In the path 111 between the MADU 103 and the NIT 305, the interface in the first embodiment is transmitted and received. In the path 313 between the NIT 305 and the NAU 301, the interface translated for the NAU 301 is transmitted and received. On the other hand, the NAU 301 exhibits the same function as the NAU 101 in Embodiment 1 except for requiring the NIT 305. In addition, since a well-known commercial item can be used for NIT 305, the detailed structure and operation | movement are abbreviate | omitted description.

이와 같이, NIT(305)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NAU(301)가 복수의 벤더나 제조업자로부터 제공되는 경우에도, 하나의 MADU(103)를 이용하여 복수의 NAU(301)의 매끄러운 상호 운용이 가능해진다.Thus, by using the NIT 305, even when a plurality of NAUs 301 are provided from a plurality of vendors or manufacturers, smooth interoperation of the plurality of NAUs 301 using one MADU 103 is achieved. It becomes possible.

또한,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300)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에서 규정된 인터페이스 간에서 IEEE 802에서 규정된 인터페이스와 그 이외의 규격으로 규정된 인터페이스 사이에서, 혹은 UPL(102)의 상위 레이어 사이에서 정보의 교환이 가능해지도록, MADU(103)에 있어서 MIH(Media Independent Handover) 서비스가 행해지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도 4에,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300)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의 경우, NAU(101)는 SAP(Service Access Points)를 등록하기 위하여, 각 인터페이스의 개개의 미디어 각각에 대응한 동작이나 PHY(PHYsical) 미디어가 정의되고, 또한 MADU(103)와의 통신 및 MIH 서비스를 용이하게 하는 NIT(305)로서 기재되어 있는 SAP Modules(SAPM)를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MADU(103)는 인터페이스 또는 PHY 미디어에 의해 통신을 행하고 있는 NIT(305)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나머지 SAP를 각각 탐사하고, 그것이 발견되었을 때에는 이용가능한 트리거 인터페이스에 근거하는 질의를 행하고, 그리고 취득한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새로 삽입된 인터페이스는 NAU(101)를 MADU(103)에 등록하기 위하여, NIT(305)를 경유하여 LL-REGISTER.request를 송신한다. 또한, 상위 레이어인 UPL(102)은 등록하지 않고 MADU(103)로부터 트리거 인터페이스의 유효성에 대하여 질의를 행해도 된다. 그러나, 트리거와 다른 정보를 요구하고, 그리고 수신하기 위하여 UPL(102)은 먼저 그 자신과 MADU(103)용의 SAPM, 즉, 도 4에 나타내는 ULT(Upper Layer Translator)(1305)를 등록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한편, UPL(102)은 복수의 상위 레이어 프로토콜이며, 이 복수의 상위 레이어 프로토콜은 각각 개별의 SAPM, 즉, ULT(1305)를 요한다. 또한,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300)에 있어서, 하위 레이어의 인터페이스와 상위 레이어의 프로토콜 사이의 MIH 서비스 정보의 통신은 인터페이스나 프로토콜별 SAPM, 즉, NIT(305)나 ULT(1305)를 이용하여 행해진 다. NIT(305)는 MIH 서비스(MADU(103))의 적절한 거리에 대하여 인터페이스나 PHY 미디어의 특정한 값을 맵핑하고, 또한 ULT(1305)는 마찬가지로, 프로토콜의 특정한 값을 맵핑한다. 이는, ULT(1305)를 통하여 UPL(102)에 보내지는 정보나 거리로 인하여 반대로 행해진다. 이는, MADU(103)나 MIH가 장래 발생할 인터페이스나 프로토콜에 대해서도 일반적인 채로 있는 것을 허용한다. 구식의 인터페이스와 프로토콜은 표준 사양의 MIH SPAM을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300 includes an interface defined by 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 between an interface defined by the IEEE 802 and an interface defined by another standard, or the UPL 102. The MIH (Media Independent Handover) service may be performed in the MADU 103 so that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between higher layers. 4 show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3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n the case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4, in order for the NAU 101 to register SAP (Service Access Points), an operation or PHY (PHYsical) media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respective media of each interface is defined, and the MADU 103 It is configured to use SAP Modules (SAPM) described as NIT 305 to facilitate communication with and MIH services. In addition, in such a configuration, the MADU 103 explores each remaining SAP to confirm whether there is an NIT 305 communicating with the interface or PHY media, and based on the available trigger interface when it is found. A query is made, and the obtained information is stored. In addition, the newly inserted interface transmits LL-REGISTER.request via the NIT 305 to register the NAU 101 with the MADU 103. In addition, the UPL 102 which is the upper layer may query the validity of the trigger interface from the MADU 103 without registering. However, in order to request and receive trigger and other information, the UPL 102 does not first register itself and the SAPM for the MADU 103, i.e., the ULT (Upper Layer Translator) 1305 shown in FIG. Can not be done. On the other hand, UPL 102 is a plurality of higher layer protocols, each of which requires a separate SAPM, i.e., ULT 1305.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300, communication of MIH service information between an interface of a lower layer and a protocol of an upper layer is performed using an interface or protocol-specific SAPM, that is, an NIT 305 or a ULT 1305. All. The NIT 305 maps specific values of the interface or PHY media to the appropriate distance of the MIH service (MADU 103), and the ULT 1305 likewise maps specific values of the protocol. This is done in reverse due to the information or distance sent to the UPL 102 via the ULT 1305. This allows the MADU 103 or MIH to remain generic for future interfaces and protocols. Older interfaces and protocols can use the standard MIH SPAM.

(실시형태 3)(Embodiment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400)에서는, MADU를 계층적으로 제어하는 방식을 채용한다. 한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400)의 구성요소의 상당수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00)의 그것과 같은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400)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00)의 구성요소에 부여된 참조 부호와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400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400 employs a method of hierarchically controlling a MADU. On the other hand, many of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400 exhibit the same function as tha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given to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100 are used for the component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400 that perform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100.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400)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00)에 있어서 통상적인 NAU(101)와 함께 복수의 입력 채널 및 출력 채널을 구비하는 NAU(401)도 구비한다. 이와 같은 NAU(401)의 예로서는,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WLAN 카드를 들 수 있다. NAU(401)는, 복수의 NAU 통신 채널(407a에서 407m)을 구비하기 때문에, 복수의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복수의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NAU(401)는 NAU 통신 채널(407)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 결정을 행하지 않으면 안 되며, 이 결 정을 행하는 구성요소로서 sub-MADU(406)가 NAU(401) 내에 마련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400 also includes an NAU 401 having a plurality of input channels and output channels together with the NAU 101 that is comm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An example of such an NAU 401 is a WLAN card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s. Since the NAU 401 includes a plurality of NAU communication channels 407a to 407m, a plurality of channels can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Therefore, the NAU 401 must make a decision on which of the NAU communication channels 407 to use, and a sub-MADU 406 is provided in the NAU 401 as a component for making this determination.

이 NAU(401)가 통상적인 NAU(101)와 병용되는 경우, MADU(103)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400)에 있어서의 시스템 레벨 제어를 위하여 사용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sub-MADU(406)는 UPL(102)과 직접적으로는 통신을 행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sub-MADU(406)는 패스(111) 및 MADU(103)를 통하여 UPL(102)에 필요한 메시지를 송신한다. 따라서, sub-MADU(406)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400)에 있어서, 투과성으로 그 기능을 발휘한다.When this NAU 401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normal NAU 101, the MADU 103 is used for system level contro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400. As shown in FIG. 5, the sub-MADU 406 does not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UPL 102. Instead, sub-MADU 406 transmits the necessary messages to UPL 102 via path 111 and MADU 103. Therefore, the sub-MADU 406 exhibits its function in transparenc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400.

또한, sub-MADU(406)는, 통신 세션에서 사용되는 NAU 통신 채널(407)을 결정하는 구성요소이므로, 자신을 표시하는 특별한 식별자를 트리거 인터페이스에 사용할 수 있다. MADU(103)는, 그 특별한 식별자를 구비하는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수취하면 곧바로 트리거 이벤트에 기초하여 결정을 행하고 이에 따라 행동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UPL(102)에 그 취지의 통지를 송신한다.In addition, since the sub-MADU 406 is a component that determines the NAU communication channel 407 used in the communication session, a special identifier indicating itself can be used for the trigger interface. Upon receipt of the trigger interface with the special identifier, the MADU 103 makes a decision based on the trigger event and acts accordingly, and sends a notification to the UPL 102 if necessary.

패스(413)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인터페이스의 포맷은, 패스(413)에 있어서의 독특한 것으로 해도 되지만, 패스(111)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인터페이스의 포맷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패스(413)를 통하여 송수신되는 인터페이스가 독특한 포맷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sub-MADU(406)가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NIT(305)와 같은 기능을 구비하여 투과성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MADU(103)가 외관상 NAU 통신 채널(407)과 직접 통신할 수 있게 된다.Although the format of the interface transmitted and received via the path 413 may be unique in the path 413, the format of the interfac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path 111 is preferably the same.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terface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the path 413 is configured in a unique format, it is preferable that the sub-MADU 406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NIT 305 in Embodiment 2 so that it functions as transparent. . This allows the MADU 103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NAU communication channel 407 in appearance.

또한, sub-MADU(406)와 MADU(103)는 서로 다른 벤더로부터 제공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sub-MADU(406)와 MADU(103) 사이에 NIT(305)를 배치하여, sub-MADU(406)와 MADU(103)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인터페이스가 적절히 번역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NAU 통신 채널(407)은, 통상적인 NAU(101)와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면, 그 구성 등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ub-MADU 406 and the MADU 103 may be provided from different vendor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NIT 305 between the sub-MADU 406 and the MADU 103 so that the interfac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sub-MADU 406 and the MADU 103 is properly translated. . In addition, as long as the NAU communication channel 407 exhibits the same function as the normal NAU 101, the configuration and the lik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400)에 따르면, MADU(103)와 복수의 NAU 통신 채널(407) 사이에 sub-MADU(406)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MADU(103)가 NAU(401)를 계층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MADU(103)에 걸리는 제어에 수반되는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ub-MADU 406 can be arranged between the MADU 103 and the plurality of NAU communication channels 407, the MADU 103 is an NAU 401. ) Can be hierarchically controlled, and as a result, the load accompanying the control on the MADU 103 can be reduced.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400)에 따르면, MADU(103)와 sub-MADU(406) 사이에 NIT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MADU(103)와 sub-MADU(406)를 서로 다른 벤더로부터 입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Further, accor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NIT can be arranged between the MADU 103 and the sub-MADU 406, the MADU 103 and the sub-MADU 406 are mutually different. It can be obtained from other vendors.

(실시형태 4)(Embodiment 4)

도 2로부터 매끄러운 핸드오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현재 사용 중인 채널이 실제로 중단되기 전에 MADU(103)로부터 NAU(101a)에 트리거 인터페이스의 송신을 요구하지 않으면 안 됨을 알 수 있다. NAU(101b)의 작동 준비를 행하여 NAU(101a)로부터 NAU(101b)로 실제로 통신 세션을 이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과, 트리거가 송신되는 타이밍은 관련되어 있다. 이는, NAU(101)가 핸드오프를 예측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게다가, 상기 통신 세션을 이전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그 통신 세션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의 타입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상기 트리거 인터페이스가 송신되는 타이밍도 이에 맞추어 조정될 필요가 있다. MADU(103)는, 설정 인터페이스에 의해 채널이 중단되기 전에 NAU(101)로부터 트리 거 인터페이스가 송신되어 오는 타이밍에 대하여 그 최단시간을 설정한다.It can be seen from FIG. 2 that a smooth handoff must be required to transmit the trigger interface from the MADU 103 to the NAU 101a before the channel currently being used is actually stopped. The time required to prepare the NAU 101b for operation and actually transfer the communication session from the NAU 101a to the NAU 101b is related to the timing at which the trigger is transmitted. This means that the NAU 101 needs to predict the handoff. In addition, since the time required to transfer the communication session depends on the type of network access mechanism used in that communication session, the timing at which the trigger interface is transmitted also needs to be adjusted accordingly. The MADU 103 sets the shortest time with respect to the timing at which the trigger interface is transmitted from the NAU 101 before the channel is interrupted by the setting interface.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 4에서는,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00)에 있어서, NAU(101)가 핸드오프를 예측하기 위하여 구비하는 구성 및 수단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In Embodiment 4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the structure and means which the NAU 101 equips for predicting a handoff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100 demonstrated in Embodiment 1 are demonstrated concretely.

도 6은, 핸드오프 추정기(500)로서 알려져 있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핸드오프 추정기(500)는, NAU(101)에 내장되어도 되고, NAU(101)와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되어 그 외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NAU(101)는, 최단 시간으로 설정된 상기 타이밍에 기초하여 핸드오프의 조기 경보로서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송신하기 위하여, 핸드오프 추정기(500)를 사용한다. 핸드오프 추정기(500)는, 복수의 TDF(Tapped-Delay Filters)(502a에서 502m)(m은 2 이상의 정수)와 비교기(5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evice known as handoff estimator 500. The handoff estimator 500 may be built in the NAU 101 or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NAU 101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the NAU 101. The NAU 101 uses the handoff estimator 500 to transmit a trigger interface as an early warning of handoff based on the timing set to the shortest time. The handoff estimator 500 includes a plurality of TDF (Tapped-Delay Filters) 502a to 502m (m is an integer of 2 or more) and a comparator 503.

TDF(502)는, 패스(511)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통신 세션의 채널이 중단되는 것을 예측한다. 한편, TDF(502) 각각에 입력되는 신호는 서로 독립된 신호이다. 이와 같은 입력 신호로서는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신호에 대한 SNR을 들 수 있다. 또한, TDF(502)에는, 패스(510)를 통하여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을 알리는 신호가 TDF(502)를 컨트롤하기 위하여 입력된다.The TDF 502 predicts that the channel of the communication session is stopped based on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path 511. On the other hand, signals input to each of the TDFs 502 are signals independent of each other. Although the kind is not specifically limited as such an input signal, For example, SNR with respect to the received signal from a base station is mentioned. In addition, a signal informing the timing for transmitting the trigger interface via the path 510 is input to the TDF 502 to control the TDF 502.

TDF(502)로부터의 출력은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된 통신 세션의 채널이 중단될 확률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패스(512)를 통하여 비교기(503)에 입력된다.The output from the TDF 502 is an input to the comparator 503 via path 512 as an indication of the probability that the channel of the communication session, calculated based on the input signal, will be discontinued.

비교기(503)는, 동일한 TDF(502)로부터의 입력 신호의 값을 시계열과 비교하 여 패스(513)로부터 입력되어 오는 타이밍을 알리는 신호에 기초해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MADU(103)로 송신해야 할 것인지 결정한다.The comparator 503 compares the value of the input signal from the same TDF 502 with a time series to determine whether to send a trigger interface to the MADU 103 based on a signal indicating the timing coming from the path 513. do.

도 7에, TDF(502)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TDF(502)에서는, 입력 신호가 일련의 지연 레지스터(621)에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각 지연 레지스터(621)는, 1세대 전의 입력 신호를 보유하는 이웃 지연 레지스터(621)로부터 그 1 세대 전의 입력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 동안, 입력 신호를 일시 보유한다. 이와 같이, 입력 신호의 샘플 수를 m으로 하면, m-1개의 지연 레지스터(621)를 구비하는 TDF(502)는 m개의 샘플을 ‘기억’할 수 있다. 이들 ‘기억된’샘플은, 승산기(622)에 입력되고, 여기서 계수 w[1]에서 w[m]에 의해 각각 가중치 부여된다. 가중치 부여된 샘플은, 가산기(623)에 입력되고, 여기서 임시정수 바이어스 w[0]과 함께 합산된다. 그 합계 값은, TDF(502)로부터의 출력으로서 비교기(503)에 입력된다.7 shows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TDF 502. In the TDF 502, input signals are sequentially input to a series of delay registers 621. Each delay register 621 temporarily holds an input signal for a time until the input signal before the first generation is output from the neighbor delay register 621 holding the input signal before the first generation. As such, when the number of samples of the input signal is m, the TDF 502 including the m−1 delay registers 621 may “remember” m samples. These "remembered" samples are input to multiplier 622 where they are each weighted by coefficients w [1] to w [m]. The weighted samples are input to adder 623 where they are summed together with the temporary constant bias w [0]. The total value is input to the comparator 503 as an output from the TDF 502.

어느 순간 n에 있어서의 입력 신호를 x(n)으로 나타내면, 그 순간의 비교기(503)로부터의 출력 신호 y(n)은, 수학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When the input signal at n at any moment is represented by x (n), the output signal y (n) from the comparator 503 at that moment is expressed mathematically as follows.

y(n)=w[0] + sum of all i from 1 to m {x[n-i+1]. w[i]}. …(식 1)y (n) = w [0] + sum of all i from 1 to m {x [n-i + 1]. w [i]}. … (Equation 1)

도 6으로 돌아와, TDF(502)에 임시로 입력되는 신호는 패스(510)를 통하여 입력되어 오는 상기 타이밍을 알리는 신호이다. TDF(502)는, 입력되는 타이밍 신호에 따라 가중치 w[0]으로부터 w[m]의 서로 다른 세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TDF(502)는 입력되는 타이밍 신호에 따라 그 출력 타이밍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해, 그 타이밍 신호는 비교기(503)에도 공급된다. 이는, 입력되는 타이밍 신호에 따라 비교기(503)가 TDF(502)로부터의 서로 다른 출력 값을 비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가중치 w[O]으로부터 w[m]의 서로 다른 세트는 벤더나 제조업자에 따라 미리 지정되어도 된다.Returning to FIG. 6, the signal temporarily input to the TDF 502 is a signal indicating the timing input through the path 510. The TDF 502 may use different sets of weights w [0] to w [m]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timing signal. Thereby, the TDF 502 can appropriately adjust its output timing according to the input timing signal. In addition, the timing signal is also supplied to the comparator 503. This allows the comparator 503 to compare different output values from the TDF 502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timing signal. Further, different sets of weights w [O] to w [m] may be specified in advance depending on the vendor or manufacturer.

가중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제조업자는 최소 평균 제곱 오차법(예를 들어, 비특허 문헌 3을 참조)과 같은 선형 필터에 있어 표준적인 트레이닝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NAU(101)가 기지국과의 사이에 채널을 형성할 때, 가중치 w[O]으로부터 w[m] 세트는 기지국으로부터 동적으로 제공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모든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00)가 가중치가 같은 세트를 사용하도록, 기지국은 표준화된 가중치 세트를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서로 다른 타이밍에는 서로 다른 가중치 세트를 지정할 수 있다.To determine weights, manufacturers can use standard training techniques for linear filters, such as the least mean square error method (see, eg, Non-Patent Document 3). Further, when the NAU 101 forms a channel with the base station, a set of weights w [O] to w [m] may be provided dynamically from the base station. In this way, the base station can designate a standardized set of weights such that 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100 use the same set of weights.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may designate different weight sets at different timings.

또 하나의 가능성은, 가중치가 미리 결정되어 있어 각각의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00)에서 그 가중치가 사용된다는 것이다. 사용되는 가중치의 수와 가중치에 대응하는 값은 표준화단체에 의해 결정되는 것 이어도 된다. 그 표준화단체에 따른 모든 벤더나 제조업자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00)를 공급하는 그 단체에 의해 권고된다. 이로부터, 상기 벤더나 제조업자는 서비스 오퍼레이터에 의해 미리 결정된 가중치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Another possibility is that the weight is predetermined and the weight is used in eac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The number of weights used and th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weights may be determined by the standardization body. All vendors or manufacturers according to the standardization body are recommended by the body suppl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From this, the vendor or manufacturer is expected to use weights predetermined by the service operator.

TDF(502)의 사용은, 핸드오프 추정기(500)의 구체화의 일례이다. TDF(502) 이외에는, 높은 예측 능력으로 유명한 칼만 필터(예를 들어, 비특허 문헌 4를 참조), 다층 퍼셉트론(perceptron) 뉴럴 네트워크 또는 재발성 뉴럴 네트워크(예를 들어, 비특허 문헌 5를 참조)를 사용하여도 핸드오프 추정기(5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들 필터 등에 따라 가중치 세트가 적절히 지정될 필요가 있다. 또한, 다른 가중치 세트는, MADU(103)에 의해 트리거 인터페이스가 요구되는 타이밍에 따라 적절히 부하된다.The use of the TDF 502 is an example of the specification of the handoff estimator 500. In addition to the TDF 502, a Kalman filter known for its high predictive capability (see, eg, Non-Patent Document 4), a multilayer perceptron neural network, or a recurrent neural network (see, eg, Non-Patent Document 5) Also, the handoff estimator 500 may be configured. The weight set needs to be appropriately designated according to these filters and the like. Further, other weight sets are appropriately loaded in accordance with the timing at which the trigger interface is required by the MADU 103.

이들 가중치 세트는, 벤더나 제조업자에 의해 미리 결정되거나, 표준화단체에 의해 미리 지정되거나, 혹은 NAU(101)가 기지국과의 사이에 채널을 형성할 때에 기지국에 의해 부하되어도 된다.These sets of weights may be predetermined by a vendor or manufacturer, predetermined by a standardization body, or loaded by a base station when the NAU 101 forms a channel with the base station.

실제로, 기지국으로부터 가중치를 취득하는 것은 기지국이 자신의 동작 범위와 특징을 알기에 보다 좋은 위치에 있으므로 이치에 맞는 기법이다. 여기서, 이하에 2개의 구체화 시나리오를 기술한다.In practice, obtaining weights from a base station makes sense because the base station is in a better position to know its operating range and characteristics. Here, two specific scenarios are described below.

제1 시나리오에서는, NAU(101)가 기지국과의 사이에 채널을 확립할 때, 기지국은 NAU(101)에 서로 다른 가중치 세트를 보낸다. 이 경우, 핸드오프 추정기(500)의 구조와 가중치의 수는 알려져 있다. 각각의 가중치 세트를 위하여 기지국은 대응하는 추정 시간 범위를 지정한다. 예를 들어, 가중치 세트가 O에서 500msec로 기록되는 경우, 이 가중치 세트를 사용한다는 것은 핸드오프 추정기(500)가 핸드오프가 일어나기 0에서 500msec 전에 핸드오프에 대한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송신가능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가중치 세트가 500에서 1000msec로 기록되는 경우에는, 핸드오프 추정기(500)가 핸드오프가 일어나기 500에서 1000msec 전에 핸드오프에 대한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송신가능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NAU(101)는, 서로 다른 가중치 세트를 기록하고,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MADU(103)에 의해 설정되는 것에 기인하여, 그 타이밍에 대응하는 가중치 세트를 사용한다.In the first scenario, when the NAU 101 establishes a channel with the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sends different sets of weights to the NAU 101. In this case, the structure of the handoff estimator 500 and the number of weights are known. For each set of weights, the base station specifies the corresponding estimated time range. For example, if the weight set is recorded from 0 to 500 msec, using this weight set means that the handoff estimator 500 is able to transmit a trigger interface for the handoff from 0 to 500 msec before the handoff occurs. do. Likewise, if the weight set is recorded from 500 to 1000 msec, this means that the handoff estimator 500 is capable of transmitting a trigger interface for handoff 500 to 1000 msec before the handoff takes place. In this way, the NAU 101 records different weight sets and uses the weight sets corresponding to the timings due to the timing at which the trigger interface is transmitted is set by the MADU 103.

제2 시나리오는, NAU(101)가 MADU(103)에 의해 설정된 타이밍의 요구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것이다. 이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기지국은, 그 후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100)에 대응하는 가중치 세트를 송신한다. 이와 같이 하면, NAU(101)는 단 한 개의 가중치 세트만 보유하면 되게 된다. 그리고 MADU(103)는,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위한 서로 다른 타이밍의 요구를 설정하고, NAU(101)는 상기 타이밍의 요구를 제시하고 있는 기지국으로 질의 메시지를 송신한다. 그 후, 이 기지국은 대응하는 가중치 세트를 이용하여 응답한다.The second scenario is that the NAU 101 sends a control message to the base station that includes a request for timing set by the MADU 103. The base station which has received this control message then transmits a weight set correspond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100. In this way, the NAU 101 only needs to retain one weight set. The MADU 103 then sets different timing requests for the trigger interface, and the NAU 101 sends a query message to the base station presenting the timing request. The base station then responds with the corresponding set of weights.

(실시형태 5)(Embodiment 5)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 5에서는, 기지국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와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를 구성요소로 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로밍하는 경우의 순서 및 그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In Embodiment 5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n the communication system which consists of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of several packet-switched system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which are formed centering around a base station, the procedure in ca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roams And the form is demonstrated.

복수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로밍, 즉, 핸드오프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발생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기지국이 밀집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발생하기 쉽다. 복수의 기지국은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위치를 감시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기지국은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현재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타 기지국을 향하여 이동하고 있을 때에는, 현저한 핸드오프에 대한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In a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data communication networks, a situation may occur in which roaming, that is, handoff,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occurs by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 situation is likely to occur when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system are formed densely.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may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monitor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hese base stations can detect an event for significant handoff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is moving toward another base station from the base station currently forming the channel.

도 8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다. 이 통신 시스템은 3개의 기지국(701, 702 및 703)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되는 3개의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와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704)로 구성된다. 기지국(701, 702 및 703)은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704)의 위치를 삼각 측량 기법을 사용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감시한다. 따라서, 기지국(701, 702 및 703)은, 예를 들어,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704)가 기지국(701)의 동작 범위 내에서 기지국(703)의 동작 범위를 향하여 이동 중인 것을 실시간으로 검출할 수 있다.8, the structure of the communication system in this embodiment is simplified and shown. This communication system is composed of three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704 formed around three base stations 701, 702, and 703. The base stations 701, 702, and 703 individually monitor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04 using triangulation techniques. Accordingly, the base stations 701, 702, and 703 can detect in real time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04 is moving toward the operating range of the base station 703 within the operating range of the base station 701, for example. have.

어느 기지국의 동작 범위 내에 존재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704)가 타 기지국의 동작 범위 내로 이동할 때에는, 핸드오프가 실제로 일어나기 전의 지정된 타이밍에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704)로부터 기지국으로 제어 메시지가 송신된다. 이 제어 메시지는 하기의 필드를 포함한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04 existing within the operating range of one base station moves within the operating range of another base station, a control message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04 to the base station at the designated timing before the handoff actually occurs. This control message contains the following fields.

(1)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식별자와,(1) an identifi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2) 요구된 트리거 타입, 즉, 핸드오프 경고와,(2) the required trigger type, i.e. handoff alert,

(3) 핸드오프 이벤트가 추정되는 시각 전에 트리거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하여 필요한 타이밍.(3) Timing required to send a trigger message before the time at which the handoff event is estimated.

또한, 핸드오프 이벤트가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704)에 있어 현저하다고 몇 개의 기지국에서 검출되었을 때에는, 그 검출을 행한 기지국은 하기의 필드를 포함한 트리거 메시지를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704)로 송신한다.In addition, when a handoff event is detected by several base station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04 is prominent, the base station that has detected the signal transmits a trigger message including the following fields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04.

(1) 트리거 타입, 즉, 핸드오프 경고와,(1) trigger type, i.e. handoff alert,

(2) 현재 기지국의 식별자와,(2) the identifier of the current base station,

(3) 새로운 기지국의 식별자와,(3) the identifier of the new base station,

(4) 예측되는 핸드오프의 시각.(4) Time of handoff predicted.

또한, 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704)가 하나의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 또는 NAU(101)와, MADU(103)와, UPL(102)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704)는 매끄러운 핸드오프를 실현하기 위하여 트리거 경고를 이용할 수 있다. MADU(103)는 UPL(102)에서 통신 세션의 핸드오프를 행하기 위하여 필요하게 되는 시간, 즉, t_handoff를 계산한다. 그리고 MADU(103)는 핸드오프 이벤트 전의 산출된 t_handoff 동안에 핸드오프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하여, 기지국으로 트리거 메시지를 요구하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한다.In this communication system,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04 includes one network access mechanism or NAU 101, the MADU 103, and the UPL 10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04 is provided. Can use a trigger alert to realize a smooth handoff. The MADU 103 calculates the time required for handoff of the communication session in the UPL 102, that is, t_handoff. The MADU 103 then transmits a control message requesting a trigger message to the base station in order to transmit the handoff warning message during the calculated t_handoff before the handoff event.

NAU(101)가 이와 같은 경고 메시지를 수취했을 때, NAU(101)는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MADU(103)로 트리거를 송신한다. 그 후 MADU(103)는 UPL(102)에 핸드오프 이벤트를 추정하여 통신 세션의 핸드오프를 준비하도록 지시한다. 이는 UPL(102)에 매끄러운 핸드오프를 가능하게 한다.When the NAU 101 receives such a warning message, the NAU 101 sends a trigger to the MADU 103 using the trigger interface. The MADU 103 then instructs the UPL 102 to prepare for the handoff of the communication session by estimating the handoff event. This allows for a smooth handoff to the UPL 102.

실시형태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704)가 기지국(701, 702 및 703)의 서포트에 의해 그 자신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TDF(502)의 목적이 핸드오프 이벤트의 발생 시각의 추정이므로, 기지국(701, 702 및 703)은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704)가 필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704)에 가중치 세트를 제공한다. 이 종류의 통신 시스템을 위하여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704)는 하기의 필드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기지국(701, 702 및 703)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한다.As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it is possibl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04 to track its own movement by the support of the base stations 701, 702, and 703. Here, since the purpose of the TDF 502 is the estimation of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handoff event, the base stations 701, 702, and 703 are assign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04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04 can use a filter. Provide a set of weights. For this kind of communication syste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704 transmits a control message including the following fields to at least one of the base stations 701, 702, and 703.

(1)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식별자와,(1) an identifi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2) 요구된 트리거 타입, 즉, 핸드오프 경고와,(2) the required trigger type, i.e. handoff alert,

(3) 핸드오프 이벤트가 추정된 시각 전에 트리거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하여 필요한 타이밍.(3) Timing required to send a trigger message before the time when the handoff event was estimated.

또한, 기지국(701, 702 및 703)은,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704)를 위하여 사용될 가중치 세트의 제공과 수반하여, 또 하나의 타입의 제어 메시지를 회답한다. 기지국(701, 702 및 703)에 의해 송신되는 회답에는 하기의 필드가 포함된다.In addition, the base stations 701, 702, and 703 return another type of control message with the provision of the weight set to be used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04. The reply sent by the base stations 701, 702, and 703 includes the following fields.

(1) 회답 타입(가중치 세트가 메시지에 포함됨을 나타내기 위하여)과,(1) the type of reply (to indicate that a weight set is included in the message),

(2) 현재 기지국의 식별자와,(2) the identifier of the current base station,

(3) 핸드오프 이벤트를 예측하기 위한 시간 범위와,(3) a time range for predicting a handoff event,

(4) 핸드오프 이벤트를 예측하기 위하여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704)에 인스톨된 필터를 이용하여 사용해야 할 가중치 세트.(4) A set of weights to be used using a filter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704 to predict a handoff event.

본 명세서는 2003년 7월 31일 출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03-284517호에 근거한 것이다. 이 내용은 모두 여기에 포함시켜 둔다.This specification is based on the JP Patent application 2003-284517 of the July 31, 2003 application. Include all of this here.

본 발명은 핸드오프가 실행되기 전에 상위층의 프로토콜에 미리 트리거 인터페이스가 송신되므로, 상위층의 프로토콜, 예를 들어, UPL에 의한 지배적인 제어에 의해 끊김이 없는 매끄러운 핸드오프가 실현되고, 복수의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며, 이들 네트워크에 참가하기 위한 접속 포인트를 상시 변경하는, 즉, 로밍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 등에 유용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rigger interface is transmitted to the upper layer protocol before the handoff is executed, seamless handoff is realized by the dominant control by the upper layer protocol, for example, UPL, and multiple packet exchanges are realized.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of a system, and is useful for changing a connection point for joining these networks at all times, that is, roam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s.

Claims (19)

물리 레이어 및 데이터 링크 레이어에 관련하는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비하고, 또한 각각이 구비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의 액세스 대상 네트워크가 상이한 복수의 네트워크 액세스 유닛(NAU)과,A plurality of network access units (NAUs) having a network access mechanism including a protocol relating to a physical layer and a data link layer, and wherein the access target networks of the network access mechanisms each have are different; 상기 액세스 대상 네트워크와의 사이에 구축하는 통신 세션에서 사용할 사용 채널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NAU에 대해 공통 포맷의 인터페이스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NAU를 제어하는 MADU(Multiple Access Decision Unit)를 구비하고,Multiple Access Decision (MADU), which determines a usage channel to be used in a communication session established with the access target network, and controls the NAU corresponding to the usage channel by using an interface set of a common format for the plurality of NAUs. Unit), 상기 MADU에 의한 상기 사용 채널의 절환에 수반하여, 패킷 교환 방식이 적용된 상기 액세스 대상 네트워크가 절환됨으로써, 복수의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사이를 로밍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roaming between a plurality of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s by switching the access target network to which a packet-switched method is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of the use channel by the MADU.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터페이스 세트는 질의(Query) 인터페이스, 설정(Configure) 인터페이스 및 트리거(Trigger)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The interface set includes a query interface, a configure interface, and a trigger interface, 상기 질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MAUD의 상기 NAU에 대한 질의의 타입(질의 코드: Query-Code)을 식별하는 부분과 질의의 결과(질의 결과: Query-Result)를 저장하는 버퍼를 포함하는 또 하나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The query interface further includes a portion for identifying the type of query (Query-Code) for the NAU of the MAUD and a buffer for storing the result of the query (Query-Result). Consisting of, 상기 설정 인터페이스는, 설정되는 파라미터(파라미터 코드: Parameter-Code)를 나타내는 부분과 설정되는 상기 파라미터의 새로운 값(파라미터 값: Parameter-Value)을 저장하는 또 하나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NAU에 대응된 상기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상기 MADU가 상기 NAU로 송신하는 신호이며,The setting interface comprises a part indicating a parameter to be set (parameter code) and another part for storing a new value (parameter value: parameter-value) of the parameter to be set, and also in the NAU. The MADU for setting the corresponding parameter is a signal transmitted to the NAU, 상기 트리거 인터페이스는, 상기 NAU를 개별적으로 식별하는 부분(NAU-식별자: NAU-Identifier)과 발생한 또는 향후 발생할 이벤트(트리거 이벤트: Trigger-Event)의 내용이 기술된 또 하나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NAU가 상기 MADU로 송신하여 상기 이벤트의 발생 또는 향후 발생할 것을 알리는 신호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The trigger interface consists of a part for separately identifying the NAU (NAU-Identifier) and another part for describing the contents of a triggered or future event (Trigger-Event). The NAU transmits to the MADU to signal that the occurrence of the event or to occur in the futur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MADU는, 상기 NAU의 설정 및 상황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여 축적하는 불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And the MADU comprises a nonvolatile memory device which records and accumulates information on the setting and the situation of the NAU.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터페이스 세트의 포맷을 변환함으로써, 상기 NAU와 상기 MADU의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NIT(NAU-specific Interface Translator)를 구비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And a NAU-specific Interface Translator (NIT) that enables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NAU and the MADU by converting the format of the interface se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NAU는,The NAU, 동시 병렬 조작이 가능한 복수의 NAU 통신 채널과,Multiple NAU communication channels capable of simultaneous parallel operation, 상기 NAU 통신 채널을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MADU와 정보 교환하는 sub-MADU를 구비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And a sub-MADU for controlling the NAU communication channel and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MADU using the interface se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sub-MADU와 상기 MADU 사이에, 상기 인터페이스 세트의 포맷을 변환함으로써, 상기 sub-MADU와 상기 MADU의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NIT를 구비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And a NIT enabling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sub-MADU and the MADU by converting a format of the interface set between the sub-MADU and the MADU.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터페이스 세트는 질의 인터페이스, 설정 인터페이스 및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The interface set includes a query interface, a configuration interface, and a trigger interface, 상기 질의 인터페이스는 상기 NAU의 동작 모드와, 상기 NAU에 의해 제공되는 제공 채널의 사용 코스트와, 상기 NAU에 의해 제공되는 제공 채널의 밴드 폭과, 상기 NAU에 의해 제공되는 제공 채널의 품질과, 상기 NAU에 의해 제공되는 제공 채널에서 서포트되는 서비스 품질(QoS) 레벨과, 상기 NAU에 의해 제공되는 제공 채널에 대한 전력 소비량 정보와, 상기 NAU에 의해 제공되는 제공 채널에서 서포트되는 시큐리티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신호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The query interface may include an operating mode of the NAU, a usage cost of a providing channel provided by the NAU, a bandwidth of a providing channel provided by the NAU, a quality of a providing channel provided by the NAU, Quality of Service (QoS) level supported by the provisioning channel provided by the NAU, power consumption information for the provisioning channel provided by the NAU, and information about the security scheme supported by the provisioning channel provided by the NAU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hich is a signal to be transmitt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MADU에 의해 사용되는 상기 인터페이스 세트는 질의 인터페이스, 설정 인터페이스 및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The interface set used by the MADU is configured to include a query interface, a configuration interface, and a trigger interface, 상기 트리거 인터페이스는 기지국에 대응된 상기 NAU의 상황 변경과, 상기 NAU에 의해 제공되는 제공 채널의 사용 코스트의 변경과, 상기 NAU에 의해 제공되는 제공 채널에서 서포트되는 QoS 레벨의 변경과, 상기 NAU에 의해 제공되는 제공 채널에서 이용되는 시큐리티 방식의 변경과, 상기 NAU에 의해 제공되는 제공 채널에서 이용되는 변조 방식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상기 NAU가 상기 MADU에 전달하는 신호인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The trigger interface may be configured to change a situation of the NAU corresponding to a base station, a change in a use cost of a provision channel provided by the NAU, a change in a QoS level supported by a provision channel provided by the NAU,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wherein the NAU transmits information about a change in the security scheme used in the provision channel provided by the NAU and a change in the modulation scheme used in the provision channel provided by the NAU to the MADU. 물리 레이어 및 데이터 링크 레이어에 관련하는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비하고, 또한 각각이 구비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의 액세스 대상 네트워크가 상이한 복수의 NAU와, 상기 액세스 대상 네트워크와의 사이에 구축하는 통신 세션에서 사용할 사용 채널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NAU에 대해 공통 포맷의 인터페이스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NAU를 제어하는 MADU(Multiple Access Decision Unit)를 구비하고, 상기 MADU에 의한 상기 사용 채널의 절환에 수반하여, 패킷 교환 방식이 적용된 상기 액세스 대상 네트워크가 절환됨으로써, 복수의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사이를 로밍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Communica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AUs having a network access mechanism including a protocol relating to a physical layer and a data link layer, and having different access target networks of the respective network access mechanisms, and the access target network. A multiple access decision unit (MADU) for determining a usage channel to be used in the session, and controlling the NAU corresponding to the usage channel by using an interface set of a common format for the plurality of NAUs, A method for controll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hat roams between a plurality of packet 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s by switching the access target network to which a packet switched method is applied in accordance with switching of a use channel, 상기 MADU의 상기 NAU에 대한 질의 타입을 포함하는 질의 인터페이스를 상기 MADU가 상기 NAU로 송신하는 단계와, Sending, by the MADU, to the NAU a query interface that includes a query type for the NAU of the MADU; 상기 NAU에 대응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설정 인터페이스를 상기 MADU가 상기 NAU로 송신하는 단계와,Transmitting, by the MADU, to the NAU a setting interface for setting a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NAU; 이벤트의 발생 또는 향후 발생할 것을 알리는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상기 NAU가 상기 MADU로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And transmitting, by the NAU, to the MADU, a trigger interface for notifying occurrence of an event or future occurrence.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MADU가 상기 NAU를 제어하는 단계와, The MADU controlling the NAU; 동시 병렬 조작이 가능한 복수의 NAU 통신 채널을 제어하고,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MADU와 정보교환하는 sub-MADU를 상기 MADU가 제어하는 단계와, Controlling a plurality of NAU communication channels capable of simultaneous parallel operation and controlling the sub-MADUs that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MADUs using the interface set; 상기 MADU가 상기 인터페이스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NAU 또는 sub-MADU와 통신을 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And the MADU communicating with the NAU or sub-MADU using the interface set.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MADU와 통신할 때에 상기 sub-MADU가 그 자신을 나타내는 식별자를 사용하는 단계와, Using the identifier indicating the sub-MADU itself when communicating with the MADU; 상기 식별자가 상기 트리거 인터페이스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MADU와 통신을 행하는 UPL(Upper Protocol Layer)에 대하여 상기 트리거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상기 sub-MADU가 행한, 통신 세션에서 사용되는 사용 채널에 관한 결정을 상기 MADU가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When the identifier is used for the trigger interface, determining a usage channel to be used in a communication session, which is performed by the sub-MADU based on the trigger interface to an UPL (Upper Protocol Layer) that communicates with the MADU.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omprising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MADU.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된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와의 채널 중단을 예측하는 복수의 TDF(Tapped Delay Filters)와,A plurality of trapped delay filters (TDF) for predicting channel interruption with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an in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packet 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복수의 상기 TDF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시계열로 비교함으로써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상기 MADU로 송신할지 결정하는 비교기를 구비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And a comparator for determining whether to transmit a trigger interface to the MADU by comparing a plurality of input signals from the TDFs in time series.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TDF는, 상기 입력 신호를 그 수신된 세대마다 기록하고 일정기간 보유하는 복수의 지연 레지스터와, 상기 지연 레지스터로부터의 출력에 대하여 상기 지연 레지스터마다 준비된 가중치를 각각 승산하는 복수의 승산기와, 복수의 상기 승산기로부터 입력되어 오는 복수의 승산값에 미리 설정된 값을 더하면서 합산하는 가산기를 구비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The TDF includes a plurality of delay registers for recording and holding the input signal for each received generation, and a plurality of multipliers for multiplying the weights prepared for the delay registers with respect to an output from the delay register, respectively; And an adder configured to add a plurality of multiplication values inputted from the multiplier while adding the preset value. 복수의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와,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사이를 로밍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s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roaming between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s,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물리 레이어 및 데이터 링크 레이어에 관련하는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비하고, 또한 각각이 구비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의 액세스 대상 네트워크가 상이한 복수의 NAU와,A plurality of NAUs each having a network access mechanism including a protocol relating to a physical layer and a data link layer, and wherein the access target networks of the network access mechanisms each have are different; 상기 액세스 대상 네트워크와의 사이에 구축하는 통신 세션에서 사용할 사용 채널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NAU에 대해 공통 포맷의 인터페이스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NAU를 제어하는 MADU를 구비하는 것인 통신 시스템.Determining a usage channel to be used in a communication session established with the access target network, and having a MADU for controlling the NAU corresponding to the usage channel by using an interface set of a common format for the plurality of NAUs. Communication system.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와의 사용 채널을 형성할 때에, 가중치 세트를 동적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가중치 세트를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기지국을 구비하고,The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base station which dynamically sets a weight set when forming a use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provides the set weight se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가중치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사용 채널의 중단을 예측하는 통신 시스템.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predicts an interruption of the use channel form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base station using the weight set provided from the base station.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NAU가 상기 MADU에 의해 설정된 트리거 인터페이스를 송신하는 타이밍을 포함한 제어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고,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transmits a control message including a timing at which the NAU transmits a trigger interface set by the MADU to the base station,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어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에, 상기 제어 메시지에 대응하는 상기 가중치 세트를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통신 시스템.And the base station, when receiving the control message, transmits the weight set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제1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서 사용 채널을 형성하는 기지국을 구비하고,The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base station that forms a use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트리거 메시지의 송신이 요구되었을 때에는, 혹은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위치를 감시하여 그 동작 범위 밖으로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이동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 현재의 사용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기지국을 특정하는 식별자와,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 새로 사용 채널을 형성하는 타 기지국을 특정하는 식별자와,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추정 시각을 포함하는 트리거 메시지를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로 송신하고,When the base station is requested to transmit a trigger messag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or monitors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detects occurrence of an event in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moves out of the operation range, An identifier for specifying a base station forming a current use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 identifier for specifying another base station forming a new use channe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the event Send a trigger message including the estimated time of occurrenc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는, 현재의 사용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기지국에 제어 메시지, 즉,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를 특정하는 식별자와, 상기 트리거 메시지를 특정하는 식별자와, 상기 이벤트의 발생 추정 시각 전에 상기 트리거 메시지의 송신에 필요한 시간 범위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고, 또한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트리거 메시지의 송신을 상기 기지국에 요구하는 통신 시스템.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has a control message to the base station forming a current use channel, that is, an identifier specif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 identifier specifying the trigger message, and before an estimated time of occurrence of the event. And transmitting a control message including a time range necessary for transmitting the trigger message, and requesting the base station to transmit the trigger message when the occurrence of the event is detected. 물리 레이어 및 데이터 링크 레이어에 관련하는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을 구비하고, 또한 각각이 구비하는 네트워크 액세스 메커니즘의 액세스 대상 네트워크가 상이한 복수의 NAU와, 상기 액세스 대상 네트워크와의 사이에 구축하는 통신 세션에서 사용할 사용 채널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NAU에 대해 공통 포맷의 인터페이스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NAU를 제어하는 MADU를 구비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 및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 채널을 형성하는 기지국을 구비하는 복수의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복수의 상기 패킷 교환 방식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사이를 로밍하는 방법으로서,Communica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NAUs having a network access mechanism including a protocol relating to a physical layer and a data link layer, and having different access target networks of the respective network access mechanisms, and the access target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having a MADU for determining a use channel to be used in a session, and controlling the NAU corresponding to the use channel by using an interface set of a common format for the plurality of NAUs;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s having a base station forming a channel therebetween,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roams between a plurality of the packet-switched data communication networks. As a method,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현재의 사용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기지국에 제어 메시지, 즉,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를 특정하는 식별자와, 상기 트리거 메시지를 특정하는 식별자와, 상기 기지국의 동작 범위 밖으로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이동하는 이벤트의 발생 추정 시각 전에 상기 트리거 메시지의 송신에 필요한 시간 범위를 포함한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ntrols the base station forming a current use channel, that is, an identifier specify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 identifier specifying the trigger message, and an out of the operation range of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 control message including a time range required for transmitting the trigger message before an estimated time of occurrence of a moving event;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상기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트리거 메시지의 송신을 상기 기지국에 요구하는 단계와,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detects occurrence of the event, requesting the base station to transmit the trigger message; 상기 기지국이,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로부터 트리거 메시지의 송신이 요구되었을 때에는, 혹은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위치를 감시하여 그 동작 범위 밖으로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가 이동하는 이벤트의 발생을 검출했을 때에는,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 현재의 사용 채널을 형성하고 있는 상기 기지국을 특정하는 식별자와,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와의 사이에 새로 사용 채널을 형성하는 타 기지국을 특정하는 식별자와,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추정 시각을 포함하는 트리거 메시지를 상기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이동체 통신 단말 장치의 로밍 방법.When the base station is requested to transmit a trigger messag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or when monitor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moves out of the operation range, An identifier for specifying the base station that forms a current use channel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 identifier for specifying another base station for forming a new use channel betwe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the event Transmitting a trigger message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herein the trigger message includes an estimated time at which the data is generated.
KR1020077010265A 2007-05-04 2004-11-0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system, and loaming method thereof KR1008587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0265A KR100858767B1 (en) 2007-05-04 2004-11-0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system, and loam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7010265A KR100858767B1 (en) 2007-05-04 2004-11-0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system, and loaming method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586A Division KR100971069B1 (en) 2004-11-05 2004-11-0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system, and loam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186A KR20070067186A (en) 2007-06-27
KR100858767B1 true KR100858767B1 (en) 2008-09-16

Family

ID=3836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265A KR100858767B1 (en) 2007-05-04 2004-11-0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system, and loam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876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8410A (en) * 1997-12-03 1999-06-22 Kdd Transmission line switching controller
JP2002199426A (en) * 2000-12-22 2002-07-12 Denso Corp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and mobile terminal used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3125433A (en) * 2001-10-16 2003-04-25 Ntt Docomo Inc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8410A (en) * 1997-12-03 1999-06-22 Kdd Transmission line switching controller
JP2002199426A (en) * 2000-12-22 2002-07-12 Denso Corp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network, and mobile terminal used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03125433A (en) * 2001-10-16 2003-04-25 Ntt Docomo Inc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7186A (en)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4384B1 (en) Wireless station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McNair et al. Vertical handoffs in fourth-generation multinetwork environments
US7031709B2 (en) Method and associated apparatus for increment accuracy of geographical foreign agent topology relation in heterogeneous access networks
US7835743B2 (en) Seamless network interface selection, handoff and management in multi-IP network interface mobile devices
KR10097106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system, and loaming method thereof
US8331979B2 (en) Access network selection method
JP5059913B2 (en) Early determination of network support for mobile IP
US20090303962A1 (en) Method and a Network Node for Managing Handovers in a Packet Data Communication Environment
KR10085876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communication system, and loaming method thereof
JP4262026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459279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JP4536792B2 (en)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BASE STATION
Ali et al. Load-aware radio access selection in heterogeneous terrestrial wireless networks
Makris An IEEE 802.21-based mobile-assisted vertical handover algorithm
CN102202357A (en) Communication system,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base station
WO2024094868A1 (en) Methods to for reporting feedback related to ai/ml events
George et al. Using design patterns in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design for multi-hop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Kumar Seamless Data Services for Real Time Communic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s using Network Tracking and Management
Mai Fast handover and QoS framework for mobility support in heterogeneous networks
CN102227149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exchang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