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811B1 -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apparatus - Google Patents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811B1
KR100856811B1 KR1020070010717A KR20070010717A KR100856811B1 KR 100856811 B1 KR100856811 B1 KR 100856811B1 KR 1020070010717 A KR1020070010717 A KR 1020070010717A KR 20070010717 A KR20070010717 A KR 20070010717A KR 100856811 B1 KR100856811 B1 KR 100856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terminal
memory card
external device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7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72237A (en
Inventor
김경범
김영환
김태균
박민식
이재한
장광식
한상현
최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인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인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인칩스
Priority to KR1020070010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811B1/en
Publication of KR20080072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2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8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7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different data processing systems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e.g. protocol converters for incompatible systems, open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G06F13/4022Coupling between buses using switching circuits, e.g. switching matrix, connection or expans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3Special arrangements for circuits, e.g. for protecting identification code in memory
    • G06K19/0730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 G06K19/07345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by activating or deactivating at least a part of the circuit on the record carrier, e.g. ON/OFF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USB 포트에 2개 이상의 USB 디바이스(제 1 단말기, 제 2 단말기, 메모리카드 등)가 연결될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그 디바이스만 사용토록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상기 제 1 단말기와 USB 링크간 신호레벨을 맞추어 상호간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위 버젼 USB 물리계층 인터페이스; 상기 상위 버젼 USB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여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상호간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링크; 상기 USB 링크 후단에 구비되어, 메모리 카드와 제 1 단말기간 또는 메모리 카드와 제 2 단말기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메모리 카드 제어부;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 카드와 제 2 단말기간 연결시키거나 메모리 카드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메모리 카드와 제 2 단말기간 연결시키거나 메모리 카드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고, 상기 메모리 카드 제어부를 제어하여 메모리 카드와 제 1 단말기간 또는 메모리 카드와 제 2 단말기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USB 링크를 제어하여 상위 버젼 USB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간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위 버젼 USB 통신 방식을 통해 제 1 단말기와 메모리 카드간 또는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간 또는 2 단말기와 메모리 카드간 고속 데이터 전송이 이 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010717

USB, 인터페이스, SD/MMC 카드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wo or more USB devices (first terminal, second terminal, memory card, etc.) are connected to a single USB port, the USB interface device selects a device to be used and uses only that device.

An upper version of the USB physical layer interface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USB link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level; A USB link located between the upper version USB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a memory card controller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a USB communication protocol; A memory card controller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USB link to allow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first terminal or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second terminal; A switch unit for connecting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second terminal or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memory card controller under control of a main controller; And controlling the switch unit to connect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second terminal or to connect the memory card and the memory card controller, and controlling the memory card controller to communicate data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first terminal or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second terminal. And a main control unit includ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USB lin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a USB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a higher version USB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a memory card controller.

The high-speed data transfer is perform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memory card or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or betwe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memory card through the higher version USB communication method.

Figure R1020070010717

USB, interface, SD / MMC card

Description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apparatus}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USB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종래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USB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종래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USB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 third conventional embodiment;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USB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B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200: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 200: USB interface device

110, 210: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USB 2.0 PHY)110, 210: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USB 2.0 PHY)

120, 220: USB 링크(USB link)120, 220: USB link

130: SD/MMC 카드 제어부(SD/MMC Host)130: SD / MMC card control unit (SD / MMC Host)

140, 240: 스위치부(SD/MMC Bus S/W)140, 240: switch unit (SD / MMC Bus S / W)

150, 250: 주제어부150, 250: main fisherman

160, 260: USB 2.0 풀 스피드 트랜시버(full speed tranceiver)160, 260: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170, 270: USB 스위치(S/W)(170)170, 270: USB switch (S / W) (170)

230: SD/MMC 카드 입출력 제어부(SDIO Host)230: SD / MMC card input / output control unit (SDIO Host)

본 발명은 유에스비(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USB 포트(port)에 2개 이상의 USB 디바이스(device)가 연결될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그 디바이스만 사용토록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B interface device, and in particular, when two or more USB devices are connected to one USB port, a USB interface device for selecting a device to be used and using only the device. It is about.

반도체 기술의 발전에 따라 대용량의 반도체 메모리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되었다. 소형화된 반도체 메모리는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 방식에 의해서 휴대용 저장 매체로도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컴팩트 플레쉬(Compact Flash), 스마트 미디어(Smart Media),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멀티미디어 카드(MultiMedia Card) 등이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semiconductor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a large capacity semiconductor memory. Miniaturized semiconductor memories are also provided as portable storage media by various types of interface methods. For example, a compact flash, a smart media, a memory stick, a secure digital card, a multimedia card, and the like.

이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휴대용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각기 고유의 인터페이스 방식을 갖고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휴대폰 등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대용량 저장 매체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SD 카드 및 그 인터페이스 방식은 멀티미디어 카드도 호환되도록 하고 있어서 이를 채용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Such various types of portab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have unique interface methods and are widely used as mass storage media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digital cameras, digital camcorders, and mobile phones. In particular, since the SD card and its interface system are compatible with the multimedia car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employing the SD card are increasing.

SD 카드는 마쯔시다, 선디스크 및 도시바가 공동으로 합작하여 2000년에 발 표한 표준으로 여러개의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와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칩의 실리콘 반도체 기술로 구성된 것이다. SD 카드는 크기가 작고, 중량이 가벼우The SD card, a joint venture between Matsushita, SunDisk and Toshiba, published in 2000, consists of several flash memories and one microprocessor / chip silicon semiconductor technology. SD cards are small in size and light in weight

며, 저장과 판독 속도가 빠르고, 용량이 큰 장점이 있어 컴퓨터 주변기기, 휴대용 정보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워커맨 등의 각종 제품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Its fast storage and reading speed and large capacity make it widely applied to various products such as computer peripherals,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digital cameras and digital workers.

한편, USB(Universal Serial Bus)는 컴퓨터 및 그 주변 기기들을 위한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1996년 발표 이후 대부분의 컴퓨터 및 주변 기기들이 이를 채용함에 따라 범용적인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USB (Universal Serial Bus) is an interface standard for computers and peripherals. Since the introduction of 1996, most computers and peripherals have been adopted as a universal interface method.

USB 인터페이스는 고속의 데이터 전송률과 핫 플러깅과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 기술에 의한 사용의 편리함 등의 다양한 장점으로 인하여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많은 셋메이커들에 의해 선택되어 컴퓨터 및 그 주변 기기 분야에서 필수적인 인터페이스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또한,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과 같은 컴퓨터 시스템뿐만 아니라 각종 정보 가전 제품 예를 들어,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디지털 미디 플레이어 등의 제품에 신속하게 보급되기 시작하였다.The USB interface has been selected by many of the set makers involved in the product and its peripherals for its high data rates and ease of use by hot plugging and plug and play technology. Is becoming an essential interface in. In addition, not only computer systems such as desktops and laptops, but also various information appliances such as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PDAs), digital cameras, portable digital MIDI players, etc. are rapidly spreading.

USB 관련 기술의 발전과 함께 USB 2.0 규격에서는 최대 480MB/s의 속도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어 있으며, USB-OTG(On-The-GO) 기술의 확대에 따라 컴퓨터 및 그 주변 기기들 간에 보다 고속으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여 USB의 범용화는 더욱 가속될 것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USB-related technologies, the USB 2.0 specification provides a foundation for processing data at speeds of up to 480MB / s. Computers and peripherals are being developed as USB-OTG (On-The-GO) technology expands. The wider use of USB will accelerate, further enabling efficient data transfer at higher speeds.

최근에는 USB 인터페이스 방식을 채용한 휴대용 저장 매체로 반도체 메모리 를 탑재한 USB 카드도 제공되고 있다. USB 카드의 경우도 대용량의 반도체 메모리가 저가격으로 공급이 가능해지면서 사용자가 급속도록 확대되고 있다.Recently, USB cards with semiconductor memory have also been provided as portable storage media employing the USB interface method. In the case of USB cards, users are rapidly expanding as large-capacity semiconductor memory can be supplied at low cost.

기존에는 도 1과 같이 PC 제어부(PC Host)(21)와 외부장치(30)의 MCU(Micro Control Unit)(31)간에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MCU의 메모리카드(예: SD/MMC) 제어부(host)가 SD/MMC 카드를 어세스(access)하였다. 미설명부호 5는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이고, 31a는 SD/MMC 제어부(host)이다.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1, data is transmitted between a PC control unit 21 and a micro control unit (MCU) 31 of an external device 30 through a USB 2.0 full speed. A memory card (eg, SD / MMC) control unit (host) accessed the SD / MMC card. Reference numeral 5 is a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and 31a is an SD / MMC host.

최근에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기 위해 도 2와 같이, USB 2.0에 SD/MMC를 구현하여 PC 제어부(PC Host)(21)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10)를 통해 SD/MMC 카드(40)를 어세스하고, 외부장치의 MCU(31)는 씨피유 인터페이스(CPU interface)를 통해 USB 인터페이스 장치(10)와 데이터를 전송하고, SD/MMC 제어부(host)(13)가 SD/MMC 카드(40)를 어세스(access)한다. 도면부호 11(USB 2.0 PHY), 12(USB link) 및 14(주제어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 설명부분을 참조한다.Recently, in order to increase the data transfer rate, as shown in FIG. 2, the SD / MMC is implemented in the USB 2.0 so that the PC host 21 accesses the SD / MMC card 40 through the USB interface device 10. In addition, the MCU 31 of the external device transmits data to the USB interface device 10 through the CPU interface, and the SD / MMC control host 13 controls the SD / MMC card 40. Access. Detailed descriptions of reference numerals 11 (USB 2.0 PHY), 12 (USB link), and 14 (main control unit) refer to the description of FIG. 4.

따라서 도 2는 외부장치의 MCU(31)에서 SD/MMC 카드(40)를 바라볼 때, USB 인터페이스 장치(10)와 SD/MMC 카드(40)가 하나로 결합된 메모리와 같이 보인다. Therefore, FIG. 2 looks like a memory in which the USB interface device 10 and the SD / MMC card 40 are combined into one when the SD / MMC card 40 is viewed from the MCU 31 of the external device.

보다 상세히 동작 관계를 설명하면, 외부장치의 MCU(31)는 SD/MMC 카드(40)에 데이터를 저장하려고 하면 USB 인터페이스 장치(10)에 씨피유 인터페이스(CPU interface)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USB 인터페이스 장치(10)는 외부장치의 MCU(31)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SD/MMC 카드(40)에 저장한다. 또한, 외부장 치(30)의 MCU(31)는 SD/MMC 카드(40)로 데이터를 읽으려고 하면 USB 인터페이스 장치(10)에 씨피유 인터페이스(CPU interface)를 통해 데이터를 요구한다. 그러면 USB 인터페이스 장치(10)는 외부장치의 MCU(31)로부터 요구받은 데이터를 SD/MMC 카드(40)로부터 읽어 외부장치의 MCU(31)에 전달한다. In more detail, when the operation relationship is described, when the MCU 31 of the external device attempts to store data in the SD / MMC card 40, the MCU 31 transmits data to the USB interface device 10 through the CPU interface. The USB interface device 10 then stor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MCU 31 of the external device in the SD / MMC card 40. In addition, when the MCU 31 of the external device 30 attempts to read data from the SD / MMC card 40, the MCU 31 requests data from the USB interface device 10 through the CPU interface. Then, the USB interface device 10 reads data requested from the MCU 31 of the external device from the SD / MMC card 40 and transfers the data to the MCU 31 of the external device.

상기에서 외부장치의 MCU(31)는 SD/MMC 카드(40)로부터 데이터를 읽거나 저장하지만 실제로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10)와 씨피유 인터페이스(CPU interface)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이다. In the above, the MCU 31 of the external device reads or stores data from the SD / MMC card 40, but actually exchanges data with the USB interface device 10 through the CPU interface.

그러나 실제는 SRAM처럼 외부장치의 MCU(31)가 독자적으로 어세스(access)하지 못하고 USB 인터페이스 장치(10)와 데이터를 주고 받아야 하기 때문에 외부장치의 MCU(31)에 새로운 프로그램을 추가하여야 한다. However, in reality, since the MCU 31 of the external device does not have access to the USB interface device 10 independently and accesses the data to the USB interface device 10 like the SRAM, a new program must be added to the MCU 31 of the external device.

새로운 프로그램을 추가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과 인력을 필요로 하게 되고 또한, 씨피유 인터페이스(CPU interface)를 다른 주변 디바이스와 함께 공유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속도가 저하된다. Adding a new program requires considerable time and manpower, and also slows down the system because it shares the CPU interface with other peripherals.

그리고 기존에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를 통해 사용하고 있던 기능을 사용하려고 하면 도 3과 같이 USB 허브(Hub)나 아날로그 스위치(analog S/W)를 사용하여야 한다.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를 사용하지 않고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이용하여 기존의 모든 기능을 수행하려고 하면 기존에 이용하고 있는 모든 소프트웨어(S/W)를 수정해야 한다.And if you want to use the function that was used through the USB 2.0 full speed (full speed), USB hub (Hub) or analog switch (analog S / W) as shown in Figure 3 must be used. If you want to perform all existing functions using a USB interface device without using USB 2.0 full speed, you need to modify all the software (S / W) you are using.

본 발명은 최소한의 수정으로 위의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all the above problems with minimal modific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하나의 USB 포트(port)에 2개 이상의 USB 디바이스(device)가 연결될 경우, 상기와 같이 USB 허브(hub)를 사용하면 가장 좋으나 가격이 올라가므로 사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device)를 선택하여 그 하나의 디바이스만 사용토록 함으로써 저렴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is that when two or more USB devices (device) is connected to a single USB port (port), using a USB hub as described above It is good to provide a USB interface device to be used at low cost by selecting a device (device) to be used so that only one device is used because the price increas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하나의 USB 포트에 2개 이상의 USB 디바이스(제 1 단말기, 제 2 단말기, 메모리카드 등)가 연결될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그 디바이스만 사용토록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로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when two or more USB devices (first terminal, second terminal, memory card, etc.) are connected to one USB port, selects a device to be used to use only that device. As a USB interface device,

상기 제 1 단말기와 USB 링크간 신호레벨을 맞추어 상호간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위 버젼 USB 물리계층 인터페이스; 상기 상위 버젼 USB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여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상호간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링크; 상기 USB 링크 후단에 구비되어, 메모리 카드와 제 1 단말기간 또는 메모리 카드와 제 2 단말기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메모리 카드 제어부;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 카드와 제 2 단말기간 연결시키거나 메모리 카드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메모리 카드와 제 2 단말기간 연결시키거나 메 모리 카드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고, 상기 메모리 카드 제어부를 제어하여 메모리 카드와 제 1 단말기간 또는 메모리 카드와 제 2 단말기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USB 링크를 제어하여 상위 버젼 USB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간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An upper version of the USB physical layer interface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USB link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level; A USB link located between the upper version USB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a memory card controller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a USB communication protocol; A memory card controller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USB link to allow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first terminal or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second terminal; A switch unit for connecting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second terminal or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memory card controller under control of a main controller; And controlling the switch unit to connect the memory card to the second terminal or to connect the memory card to the memory card controller, and control the memory card controller to control the data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first terminal or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second terminal.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USB link and includ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USB lin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USB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a higher version USB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a memory card controller.

상기 상위 버젼 USB 통신 방식을 통해 제 1 단말기와 메모리 카드간 또는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간 또는 2 단말기와 메모리 카드간 고속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high-speed data transfer is perform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memory card or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or betwe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memory card through the higher version USB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에서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하위버젼 USB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여,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방식을 사용하는 제 1 단말기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B interface device further comprises a lower version of the USB transceive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using the USB 2.0 full speed (full speed) method is made.

상기에서 상위버젼 USB 트랜시버는 일례로 USB 2.0 트랜시버를 나타내고, 하위버젼 USB 트랜시버는 일례로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를 나타낸다.The higher version USB transceivers represent, for example, a USB 2.0 transceiver, and the lower version USB transceivers, for example, represent a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USB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USB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하위버젼 USB 방식을 사용하는 제 1 단말기와 그 내부에 하위버젼 USB 트랜시버가 있는 외부장치간 연결/미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USB switch in the USB interface devi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using a lower version USB method according to the on / off of the USB switch and the external device having a lower version USB transceiver therein / To be disconnected.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USB 포트에 2개 이상의 USB 디바이스(PC, 외부장치, SD/MMC 카드 등)가 연결될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그 디바이 스만 사용토록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로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wo or more USB devices (PC, external device, SD / MMC card, etc.) are connected to a single USB port, selects the device to be used to use only the device,

상기 PC와 USB 링크간 신호레벨을 맞추어 상호간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 상기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SD/MMC 카드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여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상호간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링크; 상기 USB 링크 후단에 구비되어, SD/MMC 카드와 PC간 또는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SD/MMC 카드 제어부;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연결시키거나 SD/MMC 카드와 SD/MMC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연결시키거나 SD/MMC 카드와 SD/MMC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고, 상기 SD/MMC 카드 제어부를 제어하여 SD/MMC 카드와 PC간 또는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USB 링크를 제어하여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SD/MMC 카드 제어부간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A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for data transfer between the PC and the USB link at a signal level; A USB link located between the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an SD / MMC card control unit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a USB communication protocol; An SD / MMC card control unit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USB link to allow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PC or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an external device; A switch unit for connecting an SD / MMC card and an external device or a control unit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SD / MMC card controll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And control the switch unit to connect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external device or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SD / MMC card control unit, and control the SD / MMC card control unit to control the SD / MMC card and the PC or SD / A main control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MC card and the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the USB lin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USB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the SD / MMC card controller; including,

USB 2.0 고속(high speed) 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PC와 SD/MMC 카드간 또는 PC와 외부장치간 또는 외부장치와 SD/MMC 카드간 고속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USB 2.0 high speed communication method enables high-speed data transfer between the PC and the SD / MMC card or between the PC and the external device or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SD / MMC card.

본 발명에서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여,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방식을 사용하는 PC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B interface device further comprises a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PC and the external device using the USB 2.0 full speed (full speed) method is mad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USB 스위치를 더 포함하 여, 상기 USB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방식을 사용하는 PC와 그 내부에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가 있는 외부장치간 연결/미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USB switch in the USB interface device, the USB 2.0 full speed (full speed) system and the USB 2.0 full speed (full) inside the USB switch in accordance with the on / off of the USB switch spe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or disconnected between external devices with a transceiver.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USB 포트에 2개 이상의 USB 디바이스(PC, 외부장치, SD/MMC 카드 등)가 연결될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그 디바이스만 사용토록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로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wo or more USB devices (PC, external device, SD / MMC card, etc.) is connected to a single USB port, as a USB interface device to select the device to use only to use the device,

상기 PC와 USB 링크간 신호레벨을 맞추어 상호간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 상기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SD/MMC 카드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여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상호간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링크; 상기 USB 링크 후단에 구비되어, SD/MMC 카드와 PC간 또는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SD/MMC 카드 제어부;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연결시키거나 SD/MMC 카드와 SD/MMC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연결시키거나 SD/MMC 카드와 SD/MMC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고, 상기 SD/MMC 카드 제어부를 제어하여 SD/MMC 카드와 PC간 또는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USB 링크를 제어하여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SD/MMC 카드 제어부간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A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for data transfer between the PC and the USB link at a signal level; A USB link located between the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an SD / MMC card control unit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a USB communication protocol; An SD / MMC card control unit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USB link to allow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PC or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an external device; A switch unit for connecting an SD / MMC card and an external device or a control unit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SD / MMC card controll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And control the switch unit to connect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external device or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SD / MMC card control unit, and control the SD / MMC card control unit to control the SD / MMC card and the PC or SD / A main control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MC card and the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the USB lin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USB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the SD / MMC card controller; including,

USB 2.0 고속 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PC와 SD/MMC 카드간 또는 PC와 외부장치 간 또는 외부장치와 SD/MMC 카드간 고속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Through USB 2.0 high speed communication method, high-speed data transfer is performed between the PC and the SD / MMC card or between the PC and the external device or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SD / MMC card.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방식을 사용하는 PC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 및 USB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PC와 외부장치의 내부에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USB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를 거치도록 하고, PC와 외부장치의 내부에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가 구비된 경우에는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 또는 USB 스위치(온(ON) 상태임) 중 하나의 장치를 거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and USB switch for data transfer between PC and external device using USB 2.0 full speed method, and USB 2.0 full speed If a full speed transceiver is not provided, the USB switch is turned off to pass the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and a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is installed inside the PC and external device. When equipp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to pass through one of the USB 2.0 full speed (full speed) transceiver or USB switch (on).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USB 포트에 2개 이상의 USB 디바이스(PC, 외부장치, SD/MMC 카드 등)가 연결될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그 디바이스만 사용토록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로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wo or more USB devices (PC, external device, SD / MMC card, etc.) is connected to a single USB port, as a USB interface device to select the device to use only to use the device,

PC와 USB 링크간 신호레벨을 맞추어 상호간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SD/MMC 카드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여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상호간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링크; USB 링크 후단에 구비되어, SD/MMC 카드와 PC간 또는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SD/MMC 카드 제어부;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연결시키거나 SD/MMC 카드와 SD/MMC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연결시키거나 SD/MMC 카드와 SD/MMC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고, SD/MMC 카드 제어부를 제어하여 SD/MMC 카드와 PC간 또는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USB 링크를 제어하여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SD/MMC 카드 제어부간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USB 2.0 고속 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PC와 SD/MMC 카드간 또는 PC와 외부장치간 또는 외부장치와 SD/MMC 카드간 고속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A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for data transfer between the PC and the USB link at a signal level; A USB link located between the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the SD / MMC card control unit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USB communication protocol; An SD / MMC card controller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USB link to allow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PC or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an external device; A switch unit for connecting an SD / MMC card and an external device or a control unit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SD / MMC card controll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And control the switch unit to connect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external device or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SD / MMC card control unit, and control the SD / MMC card control unit to control the SD / MMC card and the PC or SD / MMC. A main control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card and the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the USB lin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USB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the SD / MMC card control unit. By using USB 2.0 high speed communication method, high speed data transfer is performed between the PC and the SD / MMC card or between the PC and the external device or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SD / MMC card.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 및 USB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가 플러그 인(plug-in)될 때, PC 및 외부장치 내에 있는 USB 방식에 따라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 또는 USB 스위치 또는 USB 2.0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며, The USB interface device further includes a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and a USB switch, when the USB interface device is plugged in, USB 2.0 in accordance with the USB method in the PC and external devices. Using either a full speed transceiver or a USB switch or USB 2.0,

상기 USB 스위치는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방식을 사용하는 PC와 외부장치의 내부에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가 구비된 경우에 온(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SB switch is ON when the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is provided inside the PC and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USB 2.0 full speed method.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USB 포트에 2개 이상의 USB 디바이스(PC, 외부장치, SD/MMC 카드 등)가 연결될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그 디바이스만 사용토록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로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wo or more USB devices (PC, external device, SD / MMC card, etc.) is connected to a single USB port, as a USB interface device to select the device to use only to use the device,

PC와 USB 링크간 신호레벨을 맞추어 상호간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SDIO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여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상호간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링크; USB 링크 후단에 구비되어, SD/MMC 카드와 PC간 또는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SDIO 제어부;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연결시키거나 SD/MMC 카드와 SDIO 제어부간 연결시키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연결시키거나 SD/MMC 카드와 SDIO 제어부간 연결시키고, SDIO 제어부를 제어하여 SD/MMC 카드와 PC간 또는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USB 링크를 제어하여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SDIO 제어부간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고, A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for data transfer between the PC and the USB link at a signal level; A USB link located between the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the SDIO control unit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USB communication protocol; An SDIO controller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USB link to allow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PC or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an external device; A switch unit for connecting an SD / MMC card to an external device or an SD / MMC card to an SDIO controll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And control the switch unit to connect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external device or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SDIO controller, and control the SDIO controller to control the data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PC or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external device. And a mai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USB link and includ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USB lin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USB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the SDIO controller.

외부장치에서 PC 및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바라볼 때, PC 및 USB 인터페이스 장치가 SDIO 디바이스로 동작되고, PC에서 외부장치 및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바라볼 때, 외부장치 및 USB 인터페이스 장치가 USB 디바이스로 동작되도록 하여 서로 다른 통신방식을 갖는 두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When looking at PC and USB interface devices from an external device, ensure that the PC and USB interface devices are operated as SDIO devices, and when looking at external devices and USB interface devices from a PC,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devices having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본 발명에서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여,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방식을 사용하는 PC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B interface device further comprises a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PC and the external device using the USB 2.0 full speed (full speed) method is mad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USB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상기 USB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방식을 사용하는 PC와 그 내부에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가 있는 외부장치간 연결/미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USB switch in the USB interface device, the USB 2.0 full speed (USB 2.0 full speed) in accordance with the on / off of the USB switch and USB 2.0 full speed (inside) therein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external device with the transceiver is connected / not connected.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USB 포트에 2개 이상의 USB 디바이스(제 1 단말기, 제 2 단말기, 메모리카드 등)가 연결될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 여 그 디바이스만 사용토록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로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B interface device to select a device to be used when two or more USB devices (first terminal, second terminal, memory card, etc.) are connected to one USB port to use only that device. ,

상기 제 1 단말기와 USB 링크간 신호레벨을 맞추어 상호간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위 버젼 USB 물리계층 인터페이스;An upper version of the USB physical layer interface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USB link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level;

상기 상위 버젼 USB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여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상호간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링크;A USB link located between the upper version USB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a memory card controller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a USB communication protocol;

상기 USB 링크 후단에 구비되어, 메모리 카드와 제 1 단말기간 또는 메모리 카드와 제 2 단말기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메모리 카드 제어부;A memory card controller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USB link to allow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first terminal or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second terminal;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 카드와 제 2 단말기간 연결시키거나 메모리 카드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는 스위치부; 및A switch unit for connecting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second terminal or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memory card controller under control of a main controller; And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메모리 카드와 제 2 단말기간 연결시키거나 메모리 카드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고, 상기 메모리 카드 제어부를 제어하여 메모리 카드와 제 1 단말기간 또는 메모리 카드와 제 2 단말기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USB 링크를 제어하여 상위 버젼 USB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간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위 버젼 USB 통신 방식을 통해 제 1 단말기와 메모리 카드간 또는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간 또는 2 단말기와 메모리 카드간 고속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The switch unit controls the connection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second terminal or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memory card control unit, and the memory card control unit controls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first terminal or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second terminal. And a main control unit includ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USB lin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USB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a higher version USB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a memory card control unit. Through the high-speed data transfer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memory card or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or between the two terminals and the memory card,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가 제 2 단말기로부터 DRM 정보(벤더 ID, PID, 제품 고유번호 등)를 입력받아 제 1 단말기로 전달하고, 제 1 단말기는 상기 DRM 정보를 이용하여 저작권 관련 데이터를 암호화한 후, 그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메모리카드로 저장토록 하여,The USB interface device receives the DRM information (vendor ID, PID, product unique number, etc.)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transfers it to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encrypts the copyright-related data using the DRM information, To save the encrypted data to the memory card through the USB interface device,

제 2 단말기가 USB 인터페이스 장치 및 메모리카드와 연결되면 제 2 단말기는 메모리카드로부터 암호화된 저작권 관련 데이터 등을 읽어들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DRM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해독한 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USB interface device and the memory card, the second terminal reads the encrypted copyright-related data from the memory card and decrypts the data using its own DRM inform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 장치는 하나의 USB 포트(port)에 2개 이상의 USB 디바이스(device)가 연결될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그 디바이스만 사용토록 하는 장치이다.The USB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which selects a device to be used and uses only the device when two or more USB devices are connected to one USB port.

상기 USB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디바이스를 말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제 1 단말기, 제 2 단말기 등으로 지칭하였으며, 메모리카드도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다.The USB device refers to any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USB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USB device is referred to as a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etc., and a memory card is also connected to the USB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제 1 단말기는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피씨;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과 같은 단말기를 말하며, 제 2 단말기(또는 외부장치라고도 지칭함)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MCU)이 내장되어 이를 통해 제 1 단말기 또는 메모리카드와 USB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장치를 말하며, 그 일례로, MP3 플레이어, 휴대폰(Mobile phone),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개인휴대단말기(PDA) 등이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refers to a terminal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a notebook computer, etc., and the second terminal (also referred to as an external device) refers to a micro controller unit (MCU). The built-in refers to a device that performs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first terminal or a memory card through the USB method, for example, an MP3 player, a mobile phone, a digital camera,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Etc.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는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간, 제 1 단말기와 메모리카드간, 및 제 2 단말기와 메모리카드간 USB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In conclusion, the USB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allow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memory card, and betwe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memory card.

또한, 하기에도 상세히 설명이 이루어지겠지만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 내에는 현재 주 사용되는 USB 방식(USB 2.0 full speed 및 USB 2.0 등)을 모든 제어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 내에는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방식 또는 USB 2.0 방식을 사용하는 디바이스간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그에 해당하는 칩(chip)들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in detail, but in the USB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currently used USB methods (USB 2.0 full speed and USB 2.0, etc.) can be controlled. That is, in the USB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hips corresponding thereto are provided to allow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ing the USB 2.0 full speed method or the USB 2.0 method.

물론 상기 USB 2.0 보다 빠른 방식을 가지는 USB 방식이 도입 또는 채택되면 병렬적으로 상기 새로운 USB 방식을 더 구비시키면 된다.Of course, if a USB method having a faster method than the USB 2.0 is introduced or adopted, the new USB method may be further provided in parallel.

메모리카드는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그 일례로, 컴팩트 플레쉬(Compact Flash), 스마트 미디어(Smart Media),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멀티미디어 카드(MultiMedia Card) 등이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memory card may be, for example, a compact flash, a smart media, a memory stick, a secure digital card, a multimedia card, or the like. There is this.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USB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B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USB 2.0 PHY)(110), USB 링크(USB link)(120), SD/MMC 카드 제어부(SD/MMC Host)(130), 스위치부(SD/MMC Bus S/W)(140), 주제어부(150),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tranceiver)(160), 및 USB 스위치(S/W)(170)를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 4,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USB 2.0 PHY) 110, a USB link 120, SD / MMC Card Control Unit (SD / MMC Host) 130, Switch Unit (SD / MMC Bus S / W) 140, Main Control Unit 150,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160 ), And a USB switch (S / W) 170.

또한, 외부장치의 MCU(31)와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 사이에 제어신호(Control Signal)를 두는데, 이 제어신호는 하나의 포트(port)에 2개 이상의 디바이스(device)가 연결된 경우, 2개 이상의 디바이스가 동시에 동작하지 않도록 적절히 제어한다.In addition, a control signal is provided between the MCU 31 of the external device and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control signal has two or more devices in one port. When connected, properly control two or more devices to not operate simultaneously.

상기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110)에서는 제 1 단말기(예: PC 등)(20)와 USB 링크(120)간 신호레벨을 맞추어 상호간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110 adjusts the signal level between the first terminal (eg, a PC) 20 and the USB link 120 so that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USB 링크(120)는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110)와 SD/MMC 카드 제어부(130) 사이에 위치하여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상호간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주제어부(150)의 제어를 따라 상기 기능이 수행된다.The USB link 120 is located between the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110 and the SD / MMC card control unit 130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USB communication protocol, an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50 The function is performed.

SD/MMC 카드 제어부(130)는 USB 링크(120) 후단에 구비되고, 주제어부(150)의 제어를 따라 SD/MMC 카드(40)와 PC(20)간 또는 SD/MMC 카드(40)와 외부장치(30)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SD / MMC card controller 130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USB link 120, and is controlled between the SD / MMC card 40 and the PC 20 or between the SD / MMC card 40 and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50.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device 30 is made.

스위치부(140)는 주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SD/MMC 카드(40)와 외부장치(30)간 연결시키거나 SD/MMC 카드(40)와 SD/MMC 카드 제어부(130)간 연결시킨다.The switch 140 is connected between the SD / MMC card 40 and the external device 30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50 or between the SD / MMC card 40 and the SD / MMC card controller 130. Let's do it.

주제어부(150)는 첫째, 스위치부(140)를 제어하여 SD/MMC 카드(40)와 외부장치(30)간 연결시키거나 SD/MMC 카드(40)와 SD/MMC 카드 제어부(130)간 연결시키고, 둘째, SD/MMC 카드 제어부(130)를 제어하여 SD/MMC 카드(40)와 PC(20)간 또는 SD/MMC 카드(40)와 외부장치(30)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셋째, USB 링크(120)를 제어하여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110)와 SD/MMC 카드 제어부(130)간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main control unit 150 may first control the switch unit 140 to connect the SD / MMC card 40 and the external device 30 or between the SD / MMC card 40 and the SD / MMC card controller 130. And second, to control the SD / MMC card control unit 130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SD / MMC card 40 and the PC 20 or between the SD / MMC card 40 and the external device 30. Third, the USB link 120 is controlled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USB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110 and the SD / MMC card control unit 130.

또한,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서는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160) 및 USB 스위치(S/W)(170)를 병렬로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B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160 and a USB switch (S / W) 170 in parallel.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160) 및 USB 스위치(S/W)(170)는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방식을 사용하는 제품을 위해 구비된 장치로, PC(20)와 외부장치(30) 내에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USB 스위치(170)를 오프(OFF)시켜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160)를 거치도록 하고, PC(20)와 외부장치(30) 내에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미도시됨)가 구비된 경우에는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160) 또는 USB 스위치(170) 중 하나의 장치를 거치도록 한다. The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160 and the USB switch (S / W) 170 are devices provided for products using the USB 2.0 full speed method. If the device 30 is not equipped with a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the USB switch 170 is turned off to pass the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160, and the PC When the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20 and the external device 30, one of the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160 or the USB switch 170 is used. Let the device go through.

후자(後者)의 경우 USB 스위치(170)는 온(ON) 상태여야 하며, 전자(前者)의 경우처럼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 내에 있는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160)를 거치는 경우에는 외부장치(30) 내에 있는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미도시됨)가 오프(OFF) 상태여야 한다.In the latter case, the USB switch 170 must be in an ON state, and when passing through the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160 in the USB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former case. The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not shown) in the external device 30 must be OFF.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B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 1 단말기(예: PC 등)(20)와 제 2 단말기(30)간 USB 2.0을 이용한 고속통신을 하려면 물론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상기 두 단말기(20)(30)가 연결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두 단말기(20)(30)간 데이터통신을 하려면 스위치부(SD/MMC Bus S/W)(140)에 의해 제 1 단말기인 피씨(PC)(20)와 외부장치(30)간 연결된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 1 단말기(20)는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 중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USB 2.0 PHY)(110), USB 링크(USB link)(120), 및 SD/MMC 카드 제어부(SD/MMC Host)(130)를 거쳐 SD/MMC 버스(bus)를 통해 제 2 단말기와 직접 연결된다.First, in order to perform high speed communication using the USB 2.0 between the first terminal (eg, a PC)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the two terminals 20 and 30 are connected to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nected. In order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terminals 20 and 30 as described above, the PC 20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30 are switched by a switch unit (SD / MMC Bus S / W) 140. Connected. In detail, the first terminal 20 includes a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USB 2.0 PHY) 110, a USB link 120, and an SD / MMC card control unit (SD / MMC Host (13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via the SD / MMC bus (bus).

제 1 단말기(20)와 제 2 단말기(30)가 직접 통신을 하려면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 중 SD/MMC bus S/W(140)를 오프(OFF)하여 SD/MMC Card(40)가 연결되지 않도록 하고, SD/MMC Bus 통하여 제 1 단말기(20)와 제 2 단말기(30)가 직접 연결되도록 한다.In order for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to communicate directly, the SD / MMC bus S / W 140 of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urned off to turn off the SD / MMC Card 40. ) So that the first terminal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are 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SD / MMC bus.

물론 이 스위치부(140)의 제어는 주제어부(150)에 의해 이루어진다. Of course, the control of the switch unit 140 is performed by the main control unit 150.

이에 따라, 제 1 단말기(예: PC 등)(20)와 제 2 단말기(30)간 데이터 통신은 제 1 단말기(예: PC 등)(20)와 제 2 단말기(30) 사이에 있는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제 1 단말기의 제어부(21)에서 송출된 데이터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로 전송되며,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에서는 그 데이터를 목적지인 제 2 단말기의 MCU(31)로 전송한다.Accordingly,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eg, PC)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is perform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eg, PC, etc.) 20 and the second terminal 30. Through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is made. That i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21 of the first terminal is transmitted to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and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transmits the data to the MCU 31 of the second terminal which is the destination.

한편, 제 1 단말기(예: PC 등)(10)와 메모리카드(예: SD/MMC 카드 등)(40)간 USB 2.0 고속(high speed) 방식을 이용한 고속통신을 하려면 물론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상기 두 디바이스(20)(40)가 연결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두 디바이스간 데이터 통신을 하려면 스위치부(SD/MMC Bus S/W)(140)에 의해 제 1 단말기(예: PC 등)(20)와 SD/MMC 카드(40)간 연결시킨다. Meanwhile, in order to perform high-speed communication using the USB 2.0 high speed method between the first terminal (eg, PC) 10 and the memory card (eg, SD / MMC card, etc.) 40, of course, the USB inte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devices 20 and 40 must be connected to the apparatus 100. Data between two devices as above In order to communicate, the switch unit (SD / MMC Bus S / W) 140 connects the first terminal (eg, PC) 20 and the SD / MMC card 40.

즉, 제 1 단말기(20)와 USB2.0 PHY(110)와 USB link(120)와 SD/MMC Host(130)와 SD/MMC bus S/W를 통해 SD/MMC Card와 직접 연결된다.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제 2 단말기(30)와 handshaking하여 SD/MMC Bus S/W(140)를 SD/MMC Host(130)와 SD/MMC Card(40)을 연결한다.That is, the first terminal 2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D / MMC card through the USB2.0 PHY 110, the USB link 120, the SD / MMC Host 130, and the SD / MMC bus S / W.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handshaking with the second terminal 30 to connect the SD / MMC Bus S / W 140 to the SD / MMC Host 130 and the SD / MMC Card 40.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 1 단말기(20)는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 중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USB 2.0 PHY)(110), USB 링크(USB link)(120), SD/MMC 카드 제어부(SD/MMC Host)(130) 및 SD/MMC bus S/W(140)를 거쳐 SD/MMC 버스(bus)를 통해 제 2 단말기와 직접 연결된다.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제 2 단말기(30)와 핸드쉐이킹(handshaking)하여 SD/MMC Bus S/W(140)를 SD/MMC Host(130)와 SD/MMC Card(40)을 연결한다. In detail, the first terminal 20 is a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USB 2.0 PHY) 110, USB link (USB link) 120, SD / MMC card control unit (SD / MMC) of the USB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ost 130 and SD / MMC bus S / W 140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via the SD / MMC bus.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handshaking with the second terminal 30 to connect the SD / MMC Bus S / W 140 to the SD / MMC Host 130 and the SD / MMC Card 40.

물론 이 스위치부(140)의 제어는 주제어부(150)에 의해 이루어진다. Of course, the control of the switch unit 140 is performed by the main control unit 150.

이에 따라, 피씨(PC)의 제어부(21)는 SD/MMC 카드(40)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USB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에서는 피씨(PC) 제어부(21)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SD/MMC 카드(40)에 저장한다. 또한, 피씨(PC) 제어부(21)는 SD/MMC 카드(40)로 데이터를 읽으려고 하면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USB를 통해 데이터를 요구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피씨(PC) 제 어부(21)로부터 요구받은 데이터를 SD/MMC 카드(40)로부터 읽어 피씨(PC) 제어부(21)에 전달한다.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21 of the PC (PC) transmits the data via the USB to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tore the data on the SD / MMC card (40). Then, in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received from the PC control unit 21 is stored in the SD / MMC card 40. In addition, the PC control unit 21 requests data from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via USB when the SD / MMC card 40 tries to read data. Then,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ads the data requested from the PC control unit 21 from the SD / MMC card 40 and transfers the data to the PC control unit 21.

한편, 제 2 단말기(외부장치)(30)와 메모리카드(예: SD/MMC 카드 등)(40)간 데이터 통신을 하려면 물론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상기 두 디바이스(30)(40)가 연결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두 디바이스간 데이터 통신을 하려면 스위치부(SD/MMC Bus S/W)(140)에 의해 제 2 단말기(외부장치)(30)와 SD/MMC 카드(40)간 연결된다. Meanwhile, in order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second terminal (external device) 30 and the memory card (eg, SD / MMC card, etc.) 40, the two devices 30 may be connected to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40) should be connected. In order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devices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terminal (external device) 30 and the SD / MMC card 40 are connected by a switch unit (SD / MMC Bus S / W) 140.

즉,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제 2 단말기(30)와 핸드쉐이킹(handshaking)하여 SD/MMC Bus S/W(140)를 제 2 단말기의 SD/MMC Host(130)와 SD/MMC Card(40)을 연결한다.That is,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handshaking with the second terminal 30 to handle the SD / MMC Bus S / W 140 and the SD / MMC Host 130 and the SD / MMC Card ( Connect 40).

물론 이 스위치부(140)의 제어는 주제어부(150)에 의해 이루어진다. Of course, the control of the switch unit 140 is performed by the main control unit 150.

이에 따라, 외부장치의 MCU(31)는 SD/MMC 카드(40)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SD/MMC Bus S/W(140)를 통해 데이터를 SD/MMC 카드(40)에 저장한다. 또한, 외부장치의 MCU(31)는 SD/MMC 카드(140)로 데이터를 읽으려면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SD/MMC Bus S/W(140)를 통해 데이터를 SD/MMC 카드(40)로부터 읽는다. Accordingly, in order to store data on the SD / MMC card 40, the MCU 31 of the external device may store the data via the SD / MMC Bus S / W 140 of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is stored in the MMC card 40. In addition, the MCU 31 of the external device to read the data to the SD / MMC card 140 through the SD / MMC Bus S / W 140 to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D / MMC card We read from 40.

상기와 같이, 제 1 단말기(20), 제 2 단말기(30) 및 메모리카드(40)간 USB 2.0 고속(high speed) 방식을 통한 고속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160) 및 USB 스위치(USB S/W)(170)는 오 프(OFF) 상태여야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high-speed data transfer is perform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20, the second terminal 30, and the memory card 40 through the USB 2.0 high speed method, the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160) and the USB switch (USB S / W) 170 should be off.

반면에, 제 1 단말기(20), 제 2 단말기(30) 및 메모리카드(40)간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방식을 통한 저속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160) 또는 USB 스위치(USB S/W)(170)는 온(ON) 상태이고, USB 2.0 고속(high speed) 통신방식과 관련된 부분은 오프(OFF)이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low-speed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through the USB 2.0 full speed method between the first terminal 20, the second terminal 30, and the memory card 40, the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The 160 or the USB switch (USB S / W) 170 should be in an ON state and the part related to the USB 2.0 high speed communication method should be OFF.

즉, 본 발명에서는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160) 및 USB 스위치(S/W)(170)는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방식을 사용하는 제품을 위해 구비된 장치로, PC(20)와 외부장치(30)의 내에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미도시됨)가 구비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USB 스위치(170)를 오프(OFF)시켜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160)를 거치도록 하고, PC(20)와 외부장치(30)의 내에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미도시됨)가 구비된 경우에는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160) 또는 USB 스위치(170) 중 하나를 거치도록 한다. 후자(後者)의 경우 USB 스위치(170)는 온(ON) 상태여야 하며, 전자(前者)의 경우처럼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 내에 있는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160)를 거치는 경우에는 외부장치(30) 내에 있는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미도시됨)가 오프(OFF) 상태여야 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160 and the USB switch (S / W) 170 is a device provided for a product using the USB 2.0 full speed method, a PC If the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not shown) is not provided in the 20 and the external device 30, the USB switch 170 is turned OFF to turn off the USB 2.0 full speed. )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when the PC 20 and the external device 30 are provided with a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not shown). Pass through either 160 or the USB switch 170. In the latter case, the USB switch 170 must be in an ON state, and when passing through the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160 in the USB interfa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former case. The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not shown) in the external device 30 must be OFF.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B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는 도 4와 같이, 제 1 단말기(20)에서 제 2 단말기(30)로 데이터 전송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 1 단말기(20)에서 USB 인터페이스 장치(200)로 데이터가 전송되고, 그 이후에 그 데이터가 다시 제 2 단말기(30)로 전송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in order to transmit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20 to the second terminal 30, first,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20 to the USB interface device 200. The data is transmitted back to the second terminal 30.

그러나, 도 5에 나타난 데이터 전송 방식은 제 1 단말기(20)가 제 2 단말기(30)와 직접 통신이 가능케 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SDIO 버스를 이용하였다.However,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illustrated in FIG. 5 is a method in which the first terminal 20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terminal 30.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SDIO bus.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 장치는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USB 2.0 PHY)(210), USB 링크(USB link)(220), SD/MMC 카드 입출력 제어부(SDIO Host)(230), 스위치부(SD/MMC Bus S/W)(240), 주제어부(250),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tranceiver)(260), 및 USB 스위치(S/W)(270)를 포함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5, the USB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USB 2.0 PHY) 210, USB link (USB link) 220, SD / MMC Card input / output controller (SDIO Host) 230, switch unit (SD / MMC Bus S / W) 240, main controller 250,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260, and USB Switch (S / W) 270.

SD/MMC 카드 입출력 제어부(SDIO Host)(2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Other components except for the SD / MMC card input / output controller (SDIO Host) 230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SD/MMC 카드 입출력 제어부(SDIO Host)(230)는 USB 링크(220) 후단에 구비되어, SD/MMC 카드(40)와 PC(20)간 또는 SD/MMC 카드(40)와 외부장치(30)간 SDIO 버스라인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SD / MMC card input / output control unit (SDIO Host) 230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USB link 220, and between the SD / MMC card 40 and the PC 20 or between the SD / MMC card 40 and the external device 30.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SDIO busline is allowed.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USB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관계를 살펴보면, 외부장치(30)에서 PC(20) 및 USB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바라볼 때, PC(20) 및 USB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하나의 SDIO 디바이스로 동작되고, PC(20)에서 외부장 치(30) 및 USB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바라볼 때, 외부장치(30) 및 USB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USB 디바이스로 동작되어 서로 다른 통신방식을 갖는 두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Looking at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USB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looking at the PC 20 and the USB interface device 200 from the external device 30, the PC 20 and the USB interface device 200 ) Operates as one SDIO device, and when the external device 30 and the USB interface device 200 are viewed by the PC 20, the external device 30 and the USB interface device 200 operate as USB devices. Therefor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wo devices having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s is possible.

즉, PC(20)에서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외부장치의 MCU(31)에 데이터를 전송하려고 하면 PC(20)는 USB를 통해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PC(20)로부터 수신 받은 데이터를 외부장치의 MCU(31)에 SDIO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That is, when the PC 20 attempts to transmit data to the MCU 31 of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USB interface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C 20 transmits data to the USB interface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via USB. Send it. Then, the USB interface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data received from the PC 20 to the MCU 31 of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DIO.

또한, PC(20)가 외부장치의 MCU(3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려고 하면 PC(20)는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데이터를 요청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PC(20)로부터 데이터 요청에 따라 외부장치의 MCU(31)에 요구해 데이터를 받은 후 PC(20)로 보낸다.In addition, when the PC 20 attempts to receive data from the MCU 31 of the external device, the PC 20 requests data from the USB interface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n, the USB interface devic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ests the MCU 31 of the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data request from the PC 20, receives the data, and sends the data to the PC 20.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200)를 구현함으로써 최소한의 수정으로 기존의 기능을 그대로 이용하고 데이터 전송 속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implementing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200)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use the existing function as it is with minimal modification and to significantly improve the data transmission speed.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동일 USB 포트(port)에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Tranceiver), USB 스위치(S/W), USB 2.0 PHY 함께 연결하고 경우에 따라 여러 개의 USB 디바이스(device)가 연결된 경우는 동시에 2개 이상의 디바이스가 동작하지 않도록 적절히 컨트롤(Control)해야 한다.In more detail, USB 2.0 full-speed transceivers, USB switches (S / W), and USB 2.0 PHYs are connected to the same USB port and, in some cases, multiple USB devices are connected. In this case, two or more devices should not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또한, 항상 USB 플러그 인(plug in)이 될 때 USB 2.0 고속(high speed) 또는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또는 USB 스위치 중 하나만 동작하도록 PC 제어부(PC Host)와 외부장치의 MCU간에 컨트롤 정보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Also, control information between the PC Host and the MCU of an external device to always operate either USB 2.0 high speed or USB 2.0 full speed or USB switch when USB plugged in. Should be done through

본 발명에서는 PC(20)가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를 통해 SD/MMC 카드(40)에 데이터를 저장하려고 하면 USB 2.0이 USB Bus 사용 권한을 획득하여 USB Bus를 사용하고 SD/MMC Bus 사용권한도 획득하여 PC(20)로 하여금 SD/MMC 카드(40)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C 20 attempts to store data in the SD / MMC card 40 through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the USB 2.0 acquires the USB Bus usage rights and uses the USB Bus and the SD / MMC Bus usage rights. In addition, the PC 20 causes the PC 20 to store or read data in the SD / MMC card 40.

또한, PC(20)가 기존에 사용하는 방법으로 외부장치의 MCU(31)와 통신을 하려고 하면 USB 2.0 풀 스피드(full speed) 트랜시버(tranceiver)(160) 또는 USB 스위치(S/W)(170)에 의해 USB 버스 사용 권한을 가지고 외부장치의 MCU(31)와 직접 통신을 한다.In addition, when the PC 20 attempts to communicate with the MCU 31 of the external device using a conventional method, the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160 or the USB switch S / W 170 may be used. )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MCU 31 of the external device with the authority to use the USB bus.

상기 외부장치의 MCU(31)는 동시에 SD/MMC 버스 사용 권한을 획득하여 SDIO bus 통해 SD/MMC 카드(40)로부터 데이터를 읽거나 기록할 수 있다.The MCU 31 of the external device can simultaneously acquire and use the SD / MMC bus to read or write data from the SD / MMC card 40 through the SDIO bus.

또한, USB 플러그 아웃(plug out)되면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외부장치의 MCU(30)에 USB 플러그 아웃(plug out)을 알리고 자신은 단순히 SD/MMC BUS S/W로서만 동작하도록 하여 전류 소비를 최소화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USB plugs out,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notifies the MCU 30 of the external device of the USB plug out, and the current is simply operated as the SD / MMC BUS S / W. Minimize consumption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가 제 2 단말기로부터 DRM 정보(벤더 ID, PID, 제품 고유번호 등)를 입력받아 제 1 단말기로 전달하고, 제 1 단말기는 상기 DRM 정보를 이용하여 저작권 관련 데이터를 암호화한 후, 그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메모리카드로 저장토록 하여,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B interface device receives the DRM information (vendor ID, PID, product unique number, etc.)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transfers it to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using the DRM information, the copyright-related data After encrypting the data, the encrypted data is stored in the memory card through the USB interface device.

제 2 단말기가 USB 인터페이스 장치 및 메모리카드와 연결되면 제 2 단말기는 메모리카드로부터 암호화된 저작권 관련 데이터 등을 읽어들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DRM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해독한 후 사용한다.When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USB interface device and the memory card, the second terminal reads encrypted copyright-related data from the memory card and decrypts the data using its own DRM information.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changed.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USB 포트(port)에 2개 이상의 USB 디바이스(device)가 연결될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그 디바이스만 사용토록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USB 허브를 대신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그리고 2개 이상의 SD/MMC Host가 SD/MMC Card를 별도의 S/W(switch) 없이 공유하게 사용이 편리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용이한 기존의 소프트웨어(S/W), 하드웨어(H/W) 수정이 가능하고, 데이터 처리 속도도 빨라져 데이터량의 증가에 따른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replacing a USB hub by providing a USB interface device that selects a device to be used and uses only the device when two or more USB devices are connected to one USB port. Is generated. And two or more SD / MMC Hosts are convenient to share SD / MMC Card without S / W (switch).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modify existing software (S / W), hardware (H / W), and to improve data processing spee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tional problem caused by an increase in data amount.

Claims (14)

하나의 USB 포트에 2개 이상의 USB 디바이스(제 1 단말기, 제 2 단말기, 메모리카드 등)가 연결될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그 디바이스만 사용토록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로서,When two or more USB devices (first terminal, second terminal, memory card, etc.) are connected to one USB port, the USB interface device selects a device to be used and uses only that device. 상기 제 1 단말기와 USB 링크간 신호레벨을 맞추어 상호간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위 버젼 USB 물리계층 인터페이스;An upper version of the USB physical layer interface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USB link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level; 상기 상위 버젼 USB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여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상호간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링크;A USB link located between the upper version USB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a memory card controller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a USB communication protocol; 상기 USB 링크 후단에 구비되어, 메모리 카드와 제 1 단말기간 또는 메모리 카드와 제 2 단말기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메모리 카드 제어부;A memory card controller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USB link to allow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first terminal or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second terminal;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 카드와 제 2 단말기간 연결시키거나 메모리 카드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는 스위치부; 및A switch unit for connecting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second terminal or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memory card controller under control of a main controller; And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메모리 카드와 제 2 단말기간 연결시키거나 메모리 카드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고, 상기 메모리 카드 제어부를 제어하여 메모리 카드와 제 1 단말기간 또는 메모리 카드와 제 2 단말기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USB 링크를 제어하여 상위 버젼 USB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간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The switch unit controls the connection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second terminal or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memory card control unit, and the memory card control unit controls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first terminal or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second terminal. And a main control unit includ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USB lin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USB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a higher version USB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a memory card controller. 상기 상위 버젼 USB 통신 방식을 통해 제 1 단말기와 메모리 카드간 또는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간 또는 2 단말기와 메모리 카드간 고속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And a high speed data transfer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memory card or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or between the second terminal and the memory card through the higher version USB communication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하위버젼 USB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여,Further comprising a lower version USB transceiver in the USB interface device; USB 2.0 풀 스피드 방식을 사용하는 제 1 단말기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And a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using an USB 2.0 full speed method and an external device.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USB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The USB interface device further comprises a USB switch, 상기 USB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하위버젼 USB 방식을 사용하는 제 1 단말기와 그 내부에 하위버젼 USB 트랜시버가 있는 외부장치간 연결/미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The USB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on / off of the USB switch to connect / disconnected between the first terminal using a lower version USB method and an external device having a lower version USB transceiver therein. 하나의 USB 포트에 2개 이상의 USB 디바이스(PC, 외부장치, SD/MMC 카드 등)가 연결될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그 디바이스만 사용토록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로서,When two or more USB devices (PC, external device, SD / MMC card, etc.) are connected to one USB port, select the device you want to use and use only that device. 상기 PC와 USB 링크간 신호레벨을 맞추어 상호간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A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for data transfer between the PC and the USB link at a signal level; 상기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SD/MMC 카드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여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상호간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링크;A USB link located between the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an SD / MMC card control unit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a USB communication protocol; 상기 USB 링크 후단에 구비되어, SD/MMC 카드와 PC간 또는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SD/MMC 카드 제어부;An SD / MMC card control unit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USB link to allow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PC or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an external device;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연결시키거나 SD/MMC 카드와 SD/MMC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는 스위치부; 및A switch unit for connecting an SD / MMC card and an external device or a control unit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SD / MMC card controll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And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연결시키거나 SD/MMC 카드와 SD/MMC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고, 상기 SD/MMC 카드 제어부를 제어하여 SD/MMC 카드와 PC간 또는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USB 링크를 제어하여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SD/MMC 카드 제어부간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The switch unit controls the connection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external device or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SD / MMC card control unit, and controls the SD / MMC card control unit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PC or SD / MMC A main control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card and an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the USB lin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USB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a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an SD / MMC card controller. So, USB 2.0 고속(high speed) 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PC와 SD/MMC 카드간 또는 PC와 외부장치간 또는 외부장치와 SD/MMC 카드간 고속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And a high speed data transfer between the PC and the SD / MMC card or between the PC and an external device or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SD / MMC card through a USB 2.0 high speed communication method.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USB 2.0 풀 스피드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여,The USB interface device further comprises a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USB 2.0 풀 스피드 방식을 사용하는 PC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USB interfa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PC and the external device using the USB 2.0 full speed method. 제 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USB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The USB interface device further comprises a USB switch, 상기 USB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USB 2.0 풀 스피드 방식을 사용하는 PC와 그 내부에 USB 2.0 풀 스피드 트랜시버가 있는 외부장치간 연결/미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USB interfa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USB 2.0 full-speed system and the external device having a USB 2.0 full-speed transceiver therein according to the on / off of the USB switch. 하나의 USB 포트에 2개 이상의 USB 디바이스(PC, 외부장치, SD/MMC 카드 등)가 연결될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그 디바이스만 사용토록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로서,When two or more USB devices (PC, external device, SD / MMC card, etc.) are connected to one USB port, select the device you want to use and use only that device. 상기 PC와 USB 링크간 신호레벨을 맞추어 상호간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A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for data transfer between the PC and the USB link at a signal level; 상기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SD/MMC 카드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여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상호간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링크;A USB link located between the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an SD / MMC card control unit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a USB communication protocol; 상기 USB 링크 후단에 구비되어, SD/MMC 카드와 PC간 또는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SD/MMC 카드 제어부;An SD / MMC card control unit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USB link to allow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PC or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an external device;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연결시키거나 SD/MMC 카드와 SD/MMC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는 스위치부; 및A switch unit for connecting an SD / MMC card and an external device or a control unit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SD / MMC card controll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And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연결시키거나 SD/MMC 카드와 SD/MMC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고, 상기 SD/MMC 카드 제어부를 제어하여 SD/MMC 카드와 PC간 또는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USB 링크를 제어하여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SD/MMC 카드 제어부간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The switch unit controls the connection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external device or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SD / MMC card control unit, and controls the SD / MMC card control unit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PC or SD / MMC A main control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card and an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the USB lin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USB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a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an SD / MMC card controller. So, USB 2.0 고속 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PC와 SD/MMC 카드간 또는 PC와 외부장치간 또는 외부장치와 SD/MMC 카드간 고속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Through USB 2.0 high speed communication method, high-speed data transfer is performed between the PC and the SD / MMC card or between the PC and the external device or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SD / MMC card. USB 2.0 풀 스피드 방식을 사용하는 PC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USB 2.0 풀 스피드 트랜시버 및 USB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and USB switch for data transfer between PC and external device using USB 2.0 full speed method, PC와 외부장치의 내부에 USB 2.0 풀 스피드 트랜시버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USB 스위치를 오프(OFF)시켜 USB 2.0 풀 스피드 트랜시버를 거치도록 하고, If your PC and external device are not equipped with a USB 2.0 full-speed transceiver, turn off the USB switch to go through the USB 2.0 full-speed transceiver. PC와 외부장치의 내부에 USB 2.0 풀 스피드 트랜시버가 구비된 경우에는 USB 2.0 풀 스피드 트랜시버 또는 USB 스위치(온(ON) 상태임) 중 하나의 장치를 거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When the USB 2.0 full-speed transceiver is provided inside the PC and the external device, the USB interface device to pass through either the USB 2.0 full-speed transceiver or the USB switch (on). 하나의 USB 포트에 2개 이상의 USB 디바이스(PC, 외부장치, SD/MMC 카드 등)가 연결될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그 디바이스만 사용토록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로서,When two or more USB devices (PC, external device, SD / MMC card, etc.) are connected to one USB port, select the device you want to use and use only that device. PC와 USB 링크간 신호레벨을 맞추어 상호간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A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for data transfer between the PC and the USB link at a signal level;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SD/MMC 카드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여 USB 통 신프로토콜에 맞춰 상호간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링크;A USB link located between the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the SD / MMC card control unit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USB communication protocol; USB 링크 후단에 구비되어, SD/MMC 카드와 PC간 또는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SD/MMC 카드 제어부;An SD / MMC card controller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USB link to allow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PC or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an external device;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연결시키거나 SD/MMC 카드와 SD/MMC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는 스위치부; 및A switch unit for connecting an SD / MMC card and an external device or a control unit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SD / MMC card controll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And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연결시키거나 SD/MMC 카드와 SD/MMC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고, SD/MMC 카드 제어부를 제어하여 SD/MMC 카드와 PC간 또는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USB 링크를 제어하여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SD/MMC 카드 제어부간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The switch unit controls the connection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external device or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SD / MMC card control unit, and controls the SD / MMC card control unit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PC or SD / MMC card And a main control uni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the USB lin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USB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the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the SD / MMC card controller. USB 2.0 고속 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PC와 SD/MMC 카드간 또는 PC와 외부장치간 또는 외부장치와 SD/MMC 카드간 고속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Through USB 2.0 high speed communication method, high-speed data transfer is performed between the PC and the SD / MMC card or between the PC and the external device or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SD / MMC card.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USB 2.0 풀 스피드 트랜시버 및 USB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The USB interface device further comprises a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and a USB switch,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가 플러그 인(plug-in)될 때, PC 및 외부장치 내에 있는 USB 방식에 따라 USB 2.0 풀 스피드 트랜시버 또는 USB 스위치 또는 USB 2.0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며, When the USB interface device is plugged in, a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or a USB switch or USB 2.0 is used according to a USB method in a PC and an external device. 상기 USB 스위치는 USB 2.0 풀 스피드 방식을 사용하는 PC 및 외부장치의 내부에 USB 2.0 풀 스피드 트랜시버가 구비된 경우에 온(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The USB switch is ON when the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is provided in the PC and an external device using the USB 2.0 full speed method. USB interface device. 하나의 USB 포트에 2개 이상의 USB 디바이스(PC, 외부장치, SD/MMC 카드 등)가 연결될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그 디바이스만 사용토록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로서,When two or more USB devices (PC, external device, SD / MMC card, etc.) are connected to one USB port, select the device you want to use and use only that device. PC와 USB 링크간 신호레벨을 맞추어 상호간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A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for data transfer between the PC and the USB link at a signal level;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SDIO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여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상호간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링크;A USB link located between the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the SDIO control unit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USB communication protocol; USB 링크 후단에 구비되어, SD/MMC 카드와 PC간 또는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SDIO 제어부;An SDIO controller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USB link to allow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PC or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an external device;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연결시키거나 SD/MMC 카드와 SDIO 제어부간 연결시키는 스위치부; 및A switch unit for connecting an SD / MMC card to an external device or an SD / MMC card to an SDIO controll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And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연결시키거나 SD/MMC 카드와 SDIO 제어부간 연결시키고, SDIO 제어부를 제어하여 SD/MMC 카드와 PC간 또는 SD/MMC 카드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USB 링크를 제어하여 USB 2.0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SDIO 제어부간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고, The switch unit controls the connection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external device or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SDIO controller, and controls the SDIO controller to communicate data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PC or between the SD / MMC card and the external device And a main control unit includ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a USB lin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USB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a USB 2.0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an SDIO controller. 외부장치에서 PC 및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바라볼 때, PC 및 USB 인터페이스 장치가 SDIO 디바이스로 동작되고, PC에서 외부장치 및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바라볼 때, 외부장치 및 USB 인터페이스 장치가 USB 디바이스로 동작되도록 하여 서로 다른 통신방식을 갖는 두 디바이스간 직접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When looking at the PC and USB interface device from an external device, the PC and the USB interface device will operate as an SDIO device, and when looking at the external device and the USB interface device from a PC, the external device and the USB interface device will operate as a USB device. USB interfa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devices having a different communication method. 제 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USB 2.0 풀 스피드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여,The USB interface device further comprises a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USB 2.0 풀 스피드 방식을 사용하는 PC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USB interfa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PC and the external device using the USB 2.0 full speed method. 제 9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or 10,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USB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The USB interface device further comprises a USB switch, 상기 USB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USB 2.0 풀 스피드 방식을 사용하는 PC와 그 내부에 USB 2.0 풀 스피드 트랜시버가 있는 외부장치간 연결/미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USB interfa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USB 2.0 full-speed system and the external device having a USB 2.0 full-speed transceiver therein according to the on / off of the USB switch. 하나의 USB 포트에 2개 이상의 USB 디바이스(제 1 단말기, 제 2 단말기, 메모리카드 등)가 연결될 경우, 사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그 디바이스만 사용토록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로서,When two or more USB devices (first terminal, second terminal, memory card, etc.) are connected to one USB port, the USB interface device selects a device to be used and uses only that device. 상기 제 1 단말기와 USB 링크간 신호레벨을 맞추어 상호간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위 버젼 USB 물리계층 인터페이스;An upper version of the USB physical layer interface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USB link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level; 상기 상위 버젼 USB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 사이에 위치하여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상호간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USB 링크;A USB link located between the upper version USB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a memory card controller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a USB communication protocol; 상기 USB 링크 후단에 구비되어, 메모리 카드와 제 1 단말기간 또는 메모리 카드와 제 2 단말기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메모리 카드 제어부;A memory card controller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USB link to allow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first terminal or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second terminal; 주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메모리 카드와 제 2 단말기간 연결시키거나 메모리 카드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는 스위치부; 및A switch unit for connecting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second terminal or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memory card controller under control of a main controller; And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여 메모리 카드와 제 2 단말기간 연결시키거나 메모리 카드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간 연결시키고, 상기 메모리 카드 제어부를 제어하여 메모리 카드와 제 1 단말기간 또는 메모리 카드와 제 2 단말기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USB 링크를 제어하여 상위 버젼 USB 물리계층 인터페이스와 메모리 카드 제어부간 USB 통신프로토콜에 맞춰 데이터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위 버젼 USB 통신 방식을 통해 제 1 단말기와 메모리 카드간 또는 제 1 단말기와 제 2 단말기간 또는 2 단말기와 메모리 카드간 고속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The switch unit controls the connection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second terminal or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memory card control unit, and the memory card control unit controls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first terminal or between the memory card and the second terminal. And a main control unit including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USB lin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USB communication protocol between a higher version USB physical layer interface and a memory card control unit. Through the high-speed data transfer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memory card or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or between the two terminals and the memory card,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가 제 2 단말기로부터 DRM 정보(벤더 ID, PID, 제품 고유번호 등)를 입력받아 제 1 단말기로 전달하고, 제 1 단말기는 상기 DRM 정보를 이용하여 저작권 관련 데이터를 암호화한 후, 그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메모리카드로 저장토록 하여,The USB interface device receives the DRM information (vendor ID, PID, product unique number, etc.) from the second terminal and transfers it to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encrypts the copyright-related data using the DRM information, To save the encrypted data to the memory card through the USB interface device, 제 2 단말기가 USB 인터페이스 장치 및 메모리카드와 연결되면 제 2 단말기는 메모리카드로부터 암호화된 저작권 관련 데이터 등을 읽어들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DRM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해독한 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 When the second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USB interface device and the memory card, the second terminal reads the encrypted copyright-related data from the memory card and decrypts the data using its own DRM information. Device. 제 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USB 2.0 풀 스피드 트랜시버를 더 포함하여,The USB interface device further comprises a USB 2.0 full speed transceiver, USB 2.0 풀 스피드 방식을 사용하는 PC와 외부장치간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USB interfa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PC and the external device using the USB 2.0 full speed method. 제 12항 또는 13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2 or 13,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에 USB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The USB interface device further comprises a USB switch, 상기 USB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USB 2.0 풀 스피드 방식을 사용하는 PC와 그 내부에 USB 2.0 풀 스피드 트랜시버가 있는 외부장치간 연결/미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USB interfa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USB 2.0 full-speed system and the external device having a USB 2.0 full-speed transceiver therein according to the on / off of the USB switch.
KR1020070010717A 2007-02-01 2007-02-01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apparatus KR1008568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717A KR100856811B1 (en) 2007-02-01 2007-02-01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717A KR100856811B1 (en) 2007-02-01 2007-02-01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237A KR20080072237A (en) 2008-08-06
KR100856811B1 true KR100856811B1 (en) 2008-09-05

Family

ID=3988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717A KR100856811B1 (en) 2007-02-01 2007-02-01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81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0703A (en) 1999-05-20 2000-11-30 Nec Shizuoka Ltd Usb (universal serial bus) human interface device provided with storage mechanism
JP2001184296A (en) 1999-12-27 2001-07-06 Toshiba Corp Usb communication interface, computer, hub, electronic equipment, and function switching method in the electronic equipment
KR20030009855A (en) * 2001-07-24 2003-02-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Usb hub
KR20030044373A (en) * 2001-11-29 2003-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Universal serial bus device for using direct memory access interface
JP2004096338A (en) 2002-08-30 2004-03-25 Casio Soft Co Ltd Information processor, port selecting method, and program thereof
KR20050017048A (en) * 2003-08-12 2005-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ing a USB switching in portable electronics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0703A (en) 1999-05-20 2000-11-30 Nec Shizuoka Ltd Usb (universal serial bus) human interface device provided with storage mechanism
JP2001184296A (en) 1999-12-27 2001-07-06 Toshiba Corp Usb communication interface, computer, hub, electronic equipment, and function switching method in the electronic equipment
KR20030009855A (en) * 2001-07-24 2003-02-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Usb hub
KR20030044373A (en) * 2001-11-29 2003-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Universal serial bus device for using direct memory access interface
JP2004096338A (en) 2002-08-30 2004-03-25 Casio Soft Co Ltd Information processor, port selecting method, and program thereof
KR20050017048A (en) * 2003-08-12 2005-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ntroling a USB switching in portable electronic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237A (en)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1244B2 (en) Data sharing and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US8150452B2 (en) Providing a connection between a memory medium of a mobile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US8037229B2 (en) Combination non-volatile memory and input-output card with direct memory access
TWI375890B (en) Electronic system, usb link, ulpi phy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 extended transaction
KR101327896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dding an autonomous controller to an existing architecture
US20050055479A1 (en) Multi-module circuit card with inter-module direct memory access
US8631185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high-speed data within a portable device
WO2003044732A1 (en) Semiconductor storage method and device supporting multi-interfaces
TW201145033A (en) USB hub apparatus supporting multiple high speed devices and a single super speed device
US8850086B2 (en) SD switch box in a cellular handset
EP2517113B1 (en) Memory management system offering direct as well as managed access to local storage memory
TW200415828A (en) Interface integrated circuit device for a USB connection
US20120210038A1 (en) External bridge system
CN1331037C (en) Storing card with multi-interfae function and transmitting mode selective method
JP2004355476A (en) Computer controller, computer device, card medium controlling method, and program
US20080282092A1 (en) Card reading apparatus with integrated identification function
TW200408956A (en) Serial bus disk extender and portable storage device
WO2013049980A1 (en) Switching device and switching method
KR100856811B1 (en)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apparatus
KR20070017609A (en) Method of managing USB devices
US20060015662A1 (en) Digital camera with USB storage key for storing data
WO2005066806A1 (en) Semiconductor storage apparatus for 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based
KR20080060916A (en) Usb controller available to process drm and drm processing apparatus used thereto
TW201324172A (en) Portable storag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from digital device
KR20010037219A (en) Peripheral controller using pc parallel port and computer system with this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