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389B1 -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수신 장치 및 그방법 - Google Patents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수신 장치 및 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389B1
KR100856389B1 KR1020060074928A KR20060074928A KR100856389B1 KR 100856389 B1 KR100856389 B1 KR 100856389B1 KR 1020060074928 A KR1020060074928 A KR 1020060074928A KR 20060074928 A KR20060074928 A KR 20060074928A KR 100856389 B1 KR100856389 B1 KR 100856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lock
signal
dmb
mai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3429A (ko
Inventor
조삼모
함영권
안충현
이수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74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389B1/ko
Publication of KR20080013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주파수대역의 한계로 인하여 대용량의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는 기존의 DMB 송수신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주파수 대역이 병합된 신규 주파수 대역마다 서비스채널을 할당하여 제공함으로써 고효율 및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주서비스 신호를 DMB 규격에 따라 코딩하기 위한 코딩 수단; 상기 코딩된 주서비스 신호가 전송되는 주파수 블록(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주파수 블록에 따라 주서비스 다중화 수단 및 블록 할당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블록 제어 수단; 상기 블록 제어 수단에서 결정된 주파수 블록에 따라 MSC의 기본 단위를 변경하고 상기 코딩된 주서비스 신호를 상기 기본 단위가 변경된 MSC로 전송되도록 다중화하기 위한 상기 주서비스 다중화 수단; 상기 다중화된 MSC의 다중구성정보를 이용하여 고속정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FIC 생성 수단; 상기 다중화된 주서비스 신호와 상기 생성된 고속정보 신호를 전송프레임으로 다중화하기 위한 전송프레임 다중화 수단; 상기 다중화된 전송프레임을 상기 결정된 주파수 블록에 할당하기 위한 상기 블록 할당 수단; 및 상기 할당된 주파수 블록별로 DMB 규격에 따라 처리하여 DMB 방송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DMB 방송신호 생성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수신 등에 이용됨.
주파수 대역 확장, 지상파 DMB, 주서비스 채널, 고속정보채널,

Description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T-DMB System and Method for Expanding Frequency Bandwidth}
도 1 은 종래 DMB 송신 장치에서의 블록별 주파수 대역에 대한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수신 장치에서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송신한 경우 종래 DMB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확장된 주파수 대역 중 한 블록을 수신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설명도,
도 4 는 종래 지상파 DMB 송신 장치의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수신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수신 장치의 개념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53: DMB 주서비스 다중화부 52: 블록 제어부
54: FIC 생성부 55: 전송프레임 다중화부
56: 블록 할당부 57: 블록별 FIC/MSC 심볼발생부
58: 블록별 주파수 인터리빙부 59: OFDM 신호발생부
63: 블록 검출 및 분리부 64: 블록별 디코딩부
65: 데이터 결합부 66: 서비스 디코딩부
본 발명은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파수대역의 한계로 인하여 대용량의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는 기존의 DMB 송수신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주파수 대역이 병합된 신규 주파수 대역마다 서비스채널을 할당하여 제공함으로써 고효율 및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상파 DMB 시스템은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 Digital Audio Broadcasting) 시스템의 전송 인프라를 이용하여 동영상을 에러에 강하도록 설계한 시스템으로서, 이동 중에도 안정적인 동영상 및 데이터 수신이 가능하여 이동용 수신기(예를 들어, 차량의 휴대단말, 휴대폰 등)를 대상으로 하는 DMB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DMB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설명도이다. 이하, 도 1 을 참조하여 종래의 DMB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대역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서비스의 표준 대역폭(예를 들어, 우리 나라의 경우)이 6 MHz 단위로 할당되어 있어, 디지털 텔레비전의 비롯한 지상파 DMB시스템의 대역폭도 동일한 6 MHz의 단위로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지상파 DMB 시스템은 이러한 텔레비전 채널 하나인 6 MHz 대역폭을 세 개의 블록으로 나눈 각각의 1.536 MHz를 이용하여 DMB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종래의 DMB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대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536 MHz로 할당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A블록, B블록, C블록)을 이용하여 지상파 DMB 방송을 제공한다. 이러한 1.536 MHz 주파수 대역폭 내부에는 1,536개의 부반송파가 존재(예를 들어, MODE I을 사용하는 경우 부반송파 간격이 1 kHz임)한다. 즉, 이러한 종래의 주파수 대역은 6 MHz 단위로 할당된 텔레비전 대역을 지상파 DMB 주파수로 허가하는 과정에서 6 MHz 대역폭이 세 개의 1.536 MHz 블록으로 나누고 그 사이에 각각 192 kHz의 가드밴드(guard band)가 할당된 경우이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지상파 DMB 시스템은 초기에 오디오 위주의 서비스를 목표로 하였기 때문에, 대역폭이 1.536 MHz로 한정되며 한정된 대역폭을 통해 고용량 데이터 서비스(SD급의 비디오 전송 등)를 제공하기 곤란하며 6 MHz 대역폭을 세 개의 블록으로 나누는 과정에서 생기는 가드밴드 등의 영향으로 단위 주파수당 데 이터 전송량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주파수대역의 한계로 인하여 대용량의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는 기존의 DMB 송수신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주파수 대역이 병합된 신규 주파수 대역마다 서비스채널을 할당하여 제공함으로써 고효율 및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서비스 신호를 DMB 규격에 따라 코딩하기 위한 코딩 수단; 상기 코딩된 주서비스 신호가 전송되는 주파수 블록(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주파수 블록에 따라 주서비스 다중화 수단 및 블록 할당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블록 제어 수단; 상기 블록 제어 수단에서 결정된 주파수 블록에 따라 MSC의 기본 단위를 변경하고 상기 코딩된 주서비스 신호를 상기 기본 단위가 변경된 MSC로 전송되도록 다중화하기 위한 상기 주서비스 다중화 수단; 상기 다중화된 MSC의 다중구성정보를 이용하여 고속정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FIC 생성 수단; 상기 다중화된 주서비스 신호와 상기 생성된 고속정보 신호를 전송프레임으로 다중화하기 위한 전송프레임 다중화 수단; 상기 다중화된 전송프레임을 상기 결정된 주파수 블록에 할당하기 위한 상기 블록 할당 수단; 및 상기 할당된 주파수 블록별로 DMB 규격에 따라 처리하여 DMB 방송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DMB 방송신호 생성 수단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RF 방송신호를 중간주파수(IF)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RF 처리 수단; 상기 변환된 I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기저대역 처리 수단;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 블록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주파수 블록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블록 검출 및 분리 수단; 상기 분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검출된 주파수 블록에 따라 각 주파수 블록별 기본 단위 크기로 디코딩하기 위한 블록별 디코딩 수단; 상기 디코딩된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결합하기 위한 데이터 결합 수단; 및 상기 결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서비스 디코딩 수단을 포함한다.
삭제
한편, 본 발명은, 주서비스 신호를 DMB 규격에 따라 코딩하는 코딩 단계; 상기 코딩된 주서비스 신호가 전송되는 주파수 블록을 결정하는 블록 결정 단계; 상기 결정된 주파수 블록에 따라 MSC의 기본 단위를 변경하고 상기 코딩된 주서비스 신호를 상기 기본 단위가 변경된 MSC로 전송되도록 다중화하는 주서비스 다중화 단계; 상기 다중화된 MSC의 다중구성정보를 이용하여 고속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FIC 생성 단계; 상기 다중화된 주서비스 신호와 상기 생성된 고속정보 신호를 전송프레임으로 다중화하는 전송프레임 다중화 단계; 상기 다중화된 전송프레임을 상기 블록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주파수 블록에 할당하는 블록 할당 단계; 및 상기 할당된 주파수 블록별로 DMB 규격에 따라 처리하여 DMB 방송신호를 생성하는 DMB 방송신호 생성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중간주파수(IF) 신호로 변환하는 RF 처리 단계; 상기 변환된 I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기저대역 처리 단계;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 블록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주파수 블록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분리하는 블록 검출 및 분리 단계; 상기 분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검출된 주파수 블록에 따라 각 주파수 블록별 기본 단위 크기로 디코딩하는 블록별 디코딩 단계; 상기 디코딩된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결합하는 데이터 결합 단계; 및 상기 결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서비스 디코딩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효율 및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주파수대역의 한계로 인하여 대용량의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는 기존의 DMB 송수신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별도의 추가 대역을 제공함으로써 고효율 및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수신 장치에서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수신 장치에서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1,536 MHz 대역폭을 가지는 기존 지상파DMB 블록과 그 대역 사이에 있는 두 개의 192 kHz 가드밴드를 포함하여 전체 4,992개의 부반송파를 가지는 OFDM 신호로 확장된 대역폭이다. 이러한 확장된 대역폭을 제1 주파수 블록으로 한다. 이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수신 장치에서 4,992개의 부반송파를 모두 사용하는 6 MHz 대역폭을 통해 지상파 DMB 방송을 송신하기 위한 것이고, 부가적으로 1.536 MHz 대역폭을 수신하는 기존의 수신 장치는 이러한 6 MHz 대역폭 중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1,536 MHz 대역폭만 수신 가능하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의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송신한 경우 기존 DMB 수신장치를 이용하여 확장된 주파수 대역 중 한 블록을 수신하는 방법에 대한 개념설명도이다.
지상파 DMB 수신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측에서 도 2의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에서는 확장된 주파수 대역 중 한 블록을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6 MHz로 송신되는 지상파 DMB신호에서 1.536 MHz만을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DMB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모든 부반송파의 위치가 기존에 할당된 지상파 DMB시스템의 부반송파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있으므로, 기존 수신기는 이러한 6MHz 대역 내에서 자신이 튜닝된 중심 주파수에서 1,536개의 부반송파만을 이용하여 디코딩한다. 기존 수신기가 이를 정상적인 기존 DMB 신호로 인식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송신측에서 기존 수신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그 대역에 해당되는 1,536개의 부반송파에 실리는 정보를 DMB 표준에 따라 만들어서 보내주어야 하는데, 도 5의 설명에서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는 종래의 지상파 DMB 송신 장치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지상파 DMB 송신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딩부(41), DMB 주서비스 다중화부(42), FIC 생성부(43), 전송프레임 다중화부(44), FIC/MSC 심볼 발생부(45), 주파수 인터리빙부(46), OFDM 신호발생부(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코딩부(41)는 외부 코딩부(411), 에너지 분산부(412), 길쌈 부호화부(413), 시간 인터리빙부(4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각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외부 코딩부(411)는 오디오 서비스, 데이터 서비스, 비디오 서비스를 각각 소스 인코딩을 거친다.
에너지 분산부(412)는 이진 데이터 열을 랜덤하게 만들어서 최종 발생되는 아날로그 신호전력을 균등하게 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길쌈 부호화부(413)는 채널에서 일어나는 에러를 보상하여 채널 에러를 보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시간 인터리빙부(414)는 채널에서 발생하는 버스트 에러를 랜덤 에러로 만들어주어 채널 코더의 성능을 높여주며, 이러한 군집오류(Burst Error)를 예방하기 위해 주서비스채널(MSC)에 16프레임에 걸쳐 시간 인터리빙을 실시한다. 다중화된 데이터는 전송프레임 다중화기에서 FIC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DMB 주서비스 다중화부(42)는 코딩부(51)에서 코딩된 주서비스 신호를 주서비스 채널(MSC: Main Service Channel)로 다중화하게 된다.
FIC 생성부(43)는 SI(Service Information 서비스 정보), FIDC(Fast Information Data Channel 고속정보 데이터채널), MCI (Multiplex Configuration Information 다중화 구성 정보), CA(Conditional Acess 수신제한)를 생성한다. 고속정보채널(FIC: Fast Information Channel)의 구성요소인 MCI는 MSC의 서비스종류, 위치, 형태 등의 정보로서 수신단에 전달되어 MSC를 해석하는데 사용된다. SI는 서비스 제목, 채널정보등을 포함한다. FIDC(고속정보데이터채널)는 Paging(광역호출), TMC(Traffic Message Channel:교통정보), EWS(Emergency Warning System:국가재난경보시스템)와 같은 긴급을 요하는 데이터서비스를 위해 쓰인다. CA(수신제한)는 각각의 서비스 이용시 인증을 받을 때 사용된다.
전송프레임 다중화부(44)는 오디오 서비스(Audio Service), 비디오 서비스(Video Service) 및 데이터 서비스(Data Service)를 포함하는 각각의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24ms 기본 프레임 단위로 다중화한다. 전송프레임은 SC(Synchronization Channel), FIC(Fast Information Channel), MSC(Main Service Channel)를 포함한다.
FIC/MSC 심볼 발생부(45)는 전송프레임 다중화부(44)에서 다중화된 FIC/MSC 심볼을 발생한다.
주파수 인터리빙부(46)는 FIC/MSC 심볼 발생부(45)에서 발생된 심벌을 주파수 인터리빙한다.
OFDM 신호발생부(47)는 주파수 인터리빙부(46)에서 주파수 인터리빙된 신호를 OFDM 신호로 발생한다.
주서비스 다중화부(42)에서는 MSC(Main Service Channel)로 다중화한다. 전송프레임 다중화부(44)에서는 FIC 정보를 생성하는 FIC 생성부(43)로부터 FIC 정보를 입력받아 다중화된 데이터와 함께 전송 프레임으로 다중화한다. 이후, 각 채널의 심볼들은 발생된 다음 주파수 인터리빙을 거쳐 OFDM 신호로 만들어지게 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장치는 코딩부(51), 블록 제어부(52), DMB 주서비스 다중화부(53), FIC 생성부(54), 전송프레임 다중화부(55), 블록 할당부(56), 블록별 FIC/MSC 심볼 발생부(57), 블록별 주파수 인터리빙부(58), OFDM 신호발생부(5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살펴보며 다음과 같다.
먼저, 코딩부(41)는 외부 코딩부(411), 에너지 분산부(412), 길쌈 부호화부(413), 시간 인터리빙부(4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각각의 기능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블록 제어부(52)는 주서비스 신호가 다중화되는 과정에서 데이터를 기존 수신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특정 블록에 넣어질지, 그 외의 블록에 넣어질지, 또는 전체 6 MHz 대역폭에 모두 분산하여 전송할지를 결정하게 된다. 즉, 블록 제어부(52)는 코딩부(41)에서 코딩된 주서비스 신호가 전송되는 주파수 블록을, 도 2에 도시된 4.992MhHz의 주파수 대역폭을 가지는 제1 주파수 블록과, 제1 주파수 블록에서 특정 대역폭(예를 들면, 1.536MHz)과 나머지 대역폭(예를 들면, 3.264MHz)으로 구분되는 제2 주파수 블록, 및 특정 대역폭(예를 들면, 1.536MHz)별로 각각 구분되는 제3 주파수 블록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주파수 블록의 결정 방법은 추후에 상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DMB 주서비스 다중화부(53)는 블록 제어부(52)에서 결정된 블록에 따라 주서비스 채널의 기본 단위를 변경하고 코딩부(41)에서 코딩된 주서비스 신호를 기본 단위가 변경된 주서비스 채널로 다중화한다. 즉, 소스 인코딩된 오디오/비디오/데이터는 코딩부(51)에서 기존 DAB/T-DMB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내/외부 채널 코딩을 거친 후, DMB 주서비스 다중화부(53)에서 주서비스 채널로 다중화된다. 주서비스 다중화 및 전송프레임으로 다중화되는 과정에서 블록 제어부(52)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는 기존 수신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특정 블록에 넣어질지, 그 외의 블록에 넣어질지, 또는 전체 6 MHz 대역폭에 모두 분산되어 전송될지가 결정되게 된다.
FIC 생성부(54)는 블록 제어부(52)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서 주서비스 데이터의 구성정보를 FIC에 포함시킨다. 즉, 블록 제어부(52)의 제어 신호는 FIC 생성부(54)에 전달되어 각 서비스가 전체 6 MHz 대역폭 또는 1.5 MHz 대역폭 내에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FIC 정보에 넣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FIC 생성부(54)는 서로 다른 주파수 블록에 동일한 전송 프레임(서비스)이 할당되는 경우에, FIC 생성시 FIC(0/6)의 서비스 연계 정보(Service Linkage Information)에서의 S/H 플래그(flag)에 소프트 연계(Soft linkage)(“0”)로 설정하고 연계 세트번호(Linkage Set Number)를 이용하여 서로 연관된 전송 프레임(서비스)을 나타낸다.
전송프레임 다중화부(55)는 DMB 주서비스 다중화부(53)의 출력과 FIC 생성부(54)의 출력을 다중화한다.
블록 할당부(56)는 블록 제어부(52)의 블록 제어 신호에 따라 전송프레임 다중화부(55)에서 다중화된 전송프레임을 결정된 블록에 할당한다.
블록별 FIC/MSC 심볼 발생부(57)는 블록 할당부(56)에서 블록화된 대역에서 FIC/MSC 심볼을 발생한다.
블록별 주파수 인터리빙부(58)는 블록별 FIC/MSC 심볼 발생부(57)에서 발생된 심볼에 대하여 오류를 정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OFDM 신호발생부(59)는 블록별 주파수 인터리빙부(58)를 통해 출력된 신호를 DMB 규격에 따라 전송한다.
블록 제어부(52)의 제어 신호는 FIC 생성기에도 전달되어 각 서비스가 전체 6 MHz 대역폭 또는 1.5 MHz 대역폭 내에서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FIC 정보에 넣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송신 시스템을 이용한 각 블록의 이용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형태로 구분되어 질 수 있다. 이하, 블록 제어부(52)에서의 주파수 블록의 결정 과정에 대하여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첫째로 제1 주파수 블록에 관하여 설명하면, 제1 주파수 블록은 모든 6 MHz 대역을 이용하여 4,992개의 부반송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전송에 사용되는 부반송파의 숫자가 커지므로 실제 전송 가능한 데이터의 용량도 따라 커지게 되는데 FIC 및 MSC의 전송용량 모두가 증가하게 된다. 기존 DAB/T-DMB의 경우에는 하나의 앙상블에 할당되어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을 어드레싱하기 위해서 64 bit로 이루어진 CU(Capacity Unit) 단위를 사용하였는데, MSC의 데이터 전송용량이 늘어난 경우 FIC에서 실제 MSC에 들어 있는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정보를 넣을 때 기존의 단위로 정의하면 전송되는 데이터 전체를 지원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최대값 864를 가질 수 있는 CU의 값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기존 FIC에서 CU의 값을 넣는 필드의 사이즈를 변경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이를 손쉽게 보정하기 위해서 MSC 내에서 각 부채널을 어드레싱하기 위해 사용되는 CU의 단위 자체를 증가시켜서 사용하면 되고, 재구성 타이밍(reconfiguration timing) 조절에 필요한 CIF 카운터(counter)의 CIF(Common Interleaved Frame) 단위도 역시 전송용량이 커진 만큼 증가시켜 주어야 한다. 실제 4,992개의 부반송파를 이용했을 경우, CU의 단위를 64에서 208로, CIF의 단위를 55,296에서 179,712로 증가시켜 주면 기존 CU의 최대값을 864로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이러한 문제는 해결된다.
또한, 둘째로 제2 주파수 블록에 관하여 설명하면, 제2 주파수 블록은 도 1에 나타난 블록들 중 좌측 또는 우측의 1.536 MHz 블록 하나를 기존의 수신기들을 위해 서비스하는 경우이다. 도 3과 같이 오른쪽 블록을 기존 수신기로 서비스할 경우, 도 5의 송신 신호를 발생시킬 때, 블록 제어부(52)에서는 DMB 주서비스 다중화부(53), 전송프레임 다중화부(56), 블록 할당부(56)를 제어하여 오른쪽 블록에 기존 DAB/DMB 신호를 위한 FIC와 MSC를 만들어서 별도의 심볼과 주파수 인터리빙을 수행하도록 하고, 이 대역과 가드 밴드(guard band)를 제외한 나머지 대역폭에서 3,264개의 부반송파를 이용하는 전송 신호를 별도로 생성하도록 한다.
3,264개의 부반송파를 이용한 송신 장치도 역시 기존의 시스템보다는 높은 데이터 전송용량을 가지게 되므로, CU 및 CIF의 크기를 136 및 117,504로 설정하고, FIC의 전송용량이 204 kbps로 늘어나게 되므로 96 kbps를 제외하고 남은 공간은 FIDC 등 데이터 서비스의 전송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블록 제어부(52)는 송신시스템 오퍼레이터의 입력을 받아 1.536 MHz 대역을 이용하여 기존 서비스 형태로 송신할지, 3.264 MHz 대역을 이용하는 나머지 대역폭을 통해 서비스할지를 결정한다.
또한, 블록 제어부(52)는 DMB 주서비스 다중화부(53)에서의 두 종류의 블록의 MSC 채널(sub-channel)에 다중화할 내용을 제어하고, FIC 생성부(54)쪽으로는 FIC 작성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그리고 블록 할당부(56)에는 최종적으로 만들어진 두 가지 종류의 블록에 대한 FIC/MSC를 분리하여 각 블록별로 할당하도록 제어한다.
세 번째로 제3 주파수 블록에 관하여 설명하면, 제3 주파수 블록에 대한 방법으로는 도 5에 나타낸 송신 장치를 이용하여 1.536 MHz를 이용하는 기존의 세 블록을 각각 서비스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가드 밴드(guard band)부분에는 부반송파의 파워가 0이 되도록 부반송파 전력을 설계하여 송출하면 기존의 서비스와 동일한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하나의 송신기에서 세 개의 블록을 관리할 수 있으므로 많은 주파수를 가지는 대규모 전송업자에 유리하다. 이때, 블록 제어부(52)는 각각의 블록의 신호들이 독립적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각 블록의 MSC/FIC 제작을 제어한다.
앞에서 제시한 방안은 OFDM의 부반송파의 수를 현재 6 MHz TV 대역 내에 할당된 DMB 주파수 대역의 양쪽 끝 부분을 맞추기 위해 최대 4,992개로 하였으나, 새로운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최대한 부반송파의 수를 늘려 유럽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역별 가드밴드 336 kHz를 제외한 5,664개의 부반송파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4,992 개보다 크고 6,000개 보다 작은 수의 반송파를 상황에 따라 적적히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할 경우에도 각 부반송파의 위치에 따라 블록별로 처리를 한다면, 기존 수신기를 지원할 수 있는 블록 신호의 전송도 가능하다. 도 7에서는 이 개념을 그림으로 나타내었는데, 6 MHz 대역 내에서 최대한 부반송파 수를 잡아서 설계하고 기존 수신기를 위한 지원은 각 블록의 중심주파수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1,536개의 방송파에 실리는 내용만 기존 스펙에 맞게 디자인해서 송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수신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수신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처리부(61), 기저대역 처리부(62), 블록 검출 및 분리부(63), 블록별 디코딩부(64), 데이터 결합부(65), 서비스 디코딩부(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수신 장치는 6 MHz RF를 통해 수신된 신호가 하나 또는 두 개의 블록으로 별도 할당되어 있을 경우, 할당된 블록을 검출 분리한 다음 각각의 CU 및 CIF 크기로 FIC를 디코딩하고 데이터 결합부(65)에서 관련된 데이터를 결합한 다음 이를 서비스 디코딩부(66)로 올려준다.
RF 처리부(61)는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중간주파수(IF) 신호로 변환한다. 6 MHz 대역의 4,992 개의 부반송파를 한꺼번에 받는 RF부가 존재한다.
기저대역 처리부(62)는 RF 처리부(61)에서 변환된 I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블록 검출 및 분리부(63)는 기저대역 처리부(62)에서 출력되는 기저대역 신호의 블록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블록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분리한다. 이 송신신호가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종류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
블록별 디코딩부(64)는 분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검출된 블록에 따라 블록별로 디코딩한다.
데이터 결합부(65)는 디코딩된 블록별 기저대역 신호를 주파수 대역에 따라 결합하여 서비스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데이터 결합을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결합부(65)는 FIC 중 FIC(0/6)의 서비스 연계 정보(Service Linkage Information)에서 S/H 플래그(flag)의 값이 소프트 연계(Soft linkage)(“0”)이고 연계 세트번호(Linkage Set Number)가 동일하면 상기 연계 세트번호(Linkage Set Number)가 동일한 서로 다른 주파수 블록을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로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비스 디코딩부(66)는 데이터 결합부(65)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응용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수신 장치는 세 블록 모두가 6 MHz 송신기가 아닌, 기존 1.536 MHz 송신기로부터 오는 신호도 디코딩할 수 있어야 하는데, 세 블록의 신호 모두가 독립적인 타이밍(timing)으로 수신되므로 동시에 수신할 수는 없으나, 어느 한 블록을 선택하면 선택된 블록의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이용하면 데이터 서비스의 용량 증가와 함께 비디오 서비스의 경우,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SVC: Scalable Video Coding)과 같은 계층화된 비디오 서비스가 가능한데, SVC 방식은 기본적으로 시간적 계층화(temporal scalable coding), 공간적 계층화(spatial scalable coding), 품질 계층화(SNR scalable coding 또는 quality scalable coding)의 3가지가 있을 수 있고, 기본적인 동영상 서비스를 기존 1.5 MHz를 사용하는 DMB 서비스를 이용하고, 동영상의 시간, 공간, 품질을 높이기 위해 추가되는 데이터는 6MHz로 확장된 대역으로 송출하는 방법이다.
여기에서 시간적 계층화는 비디오의 프레임 수를 조절하면서 가능하고, 공간적 계층화는 그림의 사이즈를 조절함으로써 가능하며, 품질적 계층화는 전송 비트율의 조절로 가능하다. 또한, 이들을 모두 조합하여, 기본 서비스와 고화질 서비스 로 나누어 서비스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수신 장치의 개념설명도이다.
도 7에서는 이 개념을 그림으로 나타내었는데, 6 MHz 대역 내에서 최대한 부반송파 수를 잡아서 설계하고 기존 수신기를 위한 지원은 각 블록의 중심주파수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1,536개의 방송파에 실리는 내용만 기존 규격에 맞게 디자인해서 송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 지상파DAB/DMB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장기적으로 지상파DMB 시스템의 전송 대역폭을 늘려가고 늘어난 대역폭에 고효 율의 변조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고효율 및 고용량의 데이터 서비스를 수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주서비스 신호를 DMB 규격에 따라 코딩하기 위한 코딩 수단;
    상기 코딩된 주서비스 신호가 전송되는 주파수 블록(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주파수 블록에 따라 주서비스 다중화 수단 및 블록 할당 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블록 제어 수단;
    상기 블록 제어 수단에서 결정된 주파수 블록에 따라 MSC의 기본 단위를 변경하고 상기 코딩된 주서비스 신호를 상기 기본 단위가 변경된 MSC로 전송되도록 다중화하기 위한 상기 주서비스 다중화 수단;
    상기 다중화된 MSC의 다중구성정보를 이용하여 고속정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FIC 생성 수단;
    상기 다중화된 주서비스 신호와 상기 생성된 고속정보 신호를 전송프레임으로 다중화하기 위한 전송프레임 다중화 수단;
    상기 다중화된 전송프레임을 상기 결정된 주파수 블록에 할당하기 위한 상기 블록 할당 수단; 및
    상기 할당된 주파수 블록별로 DMB 규격에 따라 처리하여 DMB 방송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DMB 방송신호 생성 수단
    을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제어 수단은,
    상기 코딩된 주서비스 신호가 전송되는 주파수 블록을, 전체 주파수 대역폭을 가지는 제1 주파수 블록과, 상기 제1 주파수 블록에서 특정 대역폭과 나머지 대역폭으로 구분되는 제2 주파수 블록, 및 상기 특정 대역폭별로 각각 구분되는 제3 주파수 블록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서비스 다중화 수단은,
    상기 제1 주파수 블록 내에서 최대의 부반송파 수를 이용하는 경우에 각 주파수 블록의 중심주파수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소정의 반송파에 실리는 데이터를 DMB 규격에 따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FIC 생성 수단은,
    상기 블록 제어 수단에서 결정된 주파수 블록이 상기 제1 주파수 블록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블록인 경우인 경우, DAB/DMB 데이터 채널의 어드레싱 및 SI 정보에 필요한 데이터 용량을 제외한 나머지 대역을 FIDC 데이터 공간인 국가재난방송(EWS), 교통정보(TMC), 무선호출 중 어느 하나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MB 방송신호 생성 수단은,
    동기 채널의 TII 신호를 발생하는 경우에 변경된 부반송파의 숫자를 표시하는 송신 장치 ID에 따라 전송하는 데이터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MB 방송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할당된 주파수 블록별로 DAB 모드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MB 방송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블록 제어 수단에서 결정된 주서비스 신호가 전송되는 주파수 블록 사이의 대역 파워를 "0"으로 설정하여 가드 밴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장치.
  8. RF 방송신호를 중간주파수(IF)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RF 처리 수단;
    상기 변환된 I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기저대역 처리 수단;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 블록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주파수 블록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블록 검출 및 분리 수단;
    상기 분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검출된 주파수 블록에 따라 각 주파수 블록별 기본 단위 크기로 디코딩하기 위한 블록별 디코딩 수단;
    상기 디코딩된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결합하기 위한 데이터 결합 수단; 및
    상기 결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응용서비스 디코딩 수단
    을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수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별 디코딩 수단은,
    상기 검출된 주파수 블록이, 전체 주파수 대역폭을 가지는 제1 주파수 블록과, 상기 제1 주파수 블록에서 특정 대역폭과 나머지 대역폭으로 구분되는 제2 주파수 블록, 및 상기 특정 대역폭별로 각각 구분되는 제3 주파수 블록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인 경우 해당 기본 단위의 크기로 FIC를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수신 장치.
  10. 주서비스 신호를 DMB 규격에 따라 코딩하는 코딩 단계;
    상기 코딩된 주서비스 신호가 전송되는 주파수 블록을 결정하는 블록 결정 단계;
    상기 결정된 주파수 블록에 따라 MSC의 기본 단위를 변경하고 상기 코딩된 주서비스 신호를 상기 기본 단위가 변경된 MSC로 전송되도록 다중화하는 주서비스 다중화 단계;
    상기 다중화된 MSC의 다중구성정보를 이용하여 고속정보 신호를 생성하는 FIC 생성 단계;
    상기 다중화된 주서비스 신호와 상기 생성된 고속정보 신호를 전송프레임으로 다중화하는 전송프레임 다중화 단계;
    상기 다중화된 전송프레임을 상기 블록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주파수 블록에 할당하는 블록 할당 단계; 및
    상기 할당된 주파수 블록별로 DMB 규격에 따라 처리하여 DMB 방송신호를 생성하는 DMB 방송신호 생성 단계
    를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결정 단계는,
    상기 코딩된 주서비스 신호가 전송되는 주파수 블록을, 전체 주파수 대역폭을 가지는 제1 주파수 블록과, 상기 제1 주파수 블록에서 특정 대역폭과 나머지 대역폭으로 구분되는 제2 주파수 블록, 및 상기 특정 대역폭별로 각각 구분되는 제3 주파수 블록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서비스 다중화 단계는,
    상기 제1 주파수 블록 내에서 최대의 부반송파 수를 이용하는 경우에 각 주파수 블록의 중심주파수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소정의 반송파에 실리는 데이터만 기존의 DMB 규격에 따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FIC 생성 단계는,
    서로 다른 주파수 블록에 동일한 전송 프레임(서비스)이 할당되는 경우에, FIC 생성시 FIC(0/6)의 서비스 연계 정보에서의 S/H 플래그에 소프트 연계(“0”)로 설정하고 연계 세트번호를 이용하여 서로 연관된 전송 프레임(서비스)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FIC 생성 단계는,
    서로 다른 주파수 블록에 동일한 전송 프레임(서비스)이 할당되는 경우에, FIC 생성시 FIC(0/6)의 서비스 연계 정보에서의 S/H 플래그에 소프트 연계(“0”)로 설정하고 연계 세트번호를 이용하여 서로 연관된 전송 프레임(서비스)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DMB 방송신호 생성 단계는,
    동기 채널의 TII 신호를 발생하는 경우에 변경된 부반송파의 숫자를 표시하는 송신 장치 ID에 따라 전송하는 데이터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DMB 방송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할당된 주파수 블록별로 DAB 모드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적용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DMB 방송신호 생성 단계는,
    상기 블록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주서비스 신호가 전송되는 주파수 블록 사이의 대역 파워를 "0"으로 설정하여 가드 밴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신 방법.
  18. RF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중간주파수(IF) 신호로 변환하는 RF 처리 단계;
    상기 변환된 I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기저대역 처리 단계;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 블록을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주파수 블록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분리하는 블록 검출 및 분리 단계;
    상기 분리된 기저대역 신호를 검출된 주파수 블록에 따라 각 주파수 블록별 기본 단위 크기로 디코딩하는 블록별 디코딩 단계;
    상기 디코딩된 기저대역 신호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데이터를 결합하는 데이터 결합 단계; 및
    상기 결합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서비스 디코딩 단계
    를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수신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별 디코딩 단계는,
    상기 검출된 주파수 블록이, 전체 주파수 대역폭을 가지는 제1 주파수 블록과, 상기 제1 주파수 블록에서 특정 대역폭과 나머지 대역폭으로 구분되는 제2 주파수 블록, 및 상기 특정 대역폭별로 각각 구분되는 제3 주파수 블록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인 경우에 해당 기본 단위의 크기로 FIC를 디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수신 방법.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결합 단계는,
    FIC 중 FIG(0/6)의 서비스 연계 정보에서 S/H 플래그의 값이 소프트 연계(“0”)이고 연계 세트번호가 동일하면 상기 연계 세트번호가 동일한 서로 다른 주파수 블록을 하나의 서비스 데이터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수신 방법.
KR1020060074928A 2006-08-08 2006-08-08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수신 장치 및 그방법 KR100856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928A KR100856389B1 (ko) 2006-08-08 2006-08-08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수신 장치 및 그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928A KR100856389B1 (ko) 2006-08-08 2006-08-08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수신 장치 및 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429A KR20080013429A (ko) 2008-02-13
KR100856389B1 true KR100856389B1 (ko) 2008-09-04

Family

ID=3934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928A KR100856389B1 (ko) 2006-08-08 2006-08-08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수신 장치 및 그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6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6737B2 (en) 2020-03-31 2024-01-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mission apparatus, recep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for OFDM-based broadcast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557B1 (ko) * 2013-12-24 2015-07-20 전자부품연구원 Drm 방송 시스템의 송신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291A (ko) * 1999-10-28 2002-07-25 엔큐베 코포레이션 방송 데이터용 적응형 대역폭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75369A (ko) * 2002-03-18 2003-09-26 임중재 다채널 분리가 가능한 방송수신장치를 이용한다채널방송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50040553A (ko) * 2003-10-29 2005-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예약 다운로드에 의한 이동형 방송서비스의 채널 확장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291A (ko) * 1999-10-28 2002-07-25 엔큐베 코포레이션 방송 데이터용 적응형 대역폭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75369A (ko) * 2002-03-18 2003-09-26 임중재 다채널 분리가 가능한 방송수신장치를 이용한다채널방송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50040553A (ko) * 2003-10-29 2005-05-0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예약 다운로드에 의한 이동형 방송서비스의 채널 확장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76737B2 (en) 2020-03-31 2024-01-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mission apparatus, recep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for OFDM-based broadcas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429A (ko)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266B1 (ko) 디지털 오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차등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RU2483448C2 (ru) Сигнализация физического и канального уровней в символах преамбулы цифрового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вещания
JP7120423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EP3036847B1 (en) System physical layer pipe for a digital television system
US81117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atting data signals in a digital audio broadcasting system
KR20020031009A (ko) 동일대역 인접채널 방식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 전송 시스템
KR101394580B1 (ko) 디지털 방송 신호의 전송 방법, 전송 장치, 수신 방법, 수신 장치 및 이의 전송 프레임 구조
WO2004086656A1 (en) Transmission parameter information
KR100636216B1 (ko) 동일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방송 수신 장치
KR101119250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시 긴급 서비스 송수신을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송수신기
KR101367203B1 (ko) 디지털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856389B1 (ko) 주파수 대역 확장을 위한 지상파 dmb 송수신 장치 및 그방법
KR20040084508A (ko)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방송 데이터에다중화하는 장치와 그 방법 및 그 역다중화 방법
KR100831357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송신방법 및 수신방법
Solanki Digital Audio Broadcasting
Ratliff Digital audio broadcasting going firm-the emerging standard
JP2024019827A (ja) 送信方法及び受信装置
Jalilinia An Overview on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and DAB+)
JP2006238504A (ja)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KR20120099837A (ko)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스케일러블 비디오 코딩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