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970B1 - 이미지 분할 기법을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기록매체와 언어 학습 교재 - Google Patents

이미지 분할 기법을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기록매체와 언어 학습 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970B1
KR100852970B1 KR1020070080797A KR20070080797A KR100852970B1 KR 100852970 B1 KR100852970 B1 KR 100852970B1 KR 1020070080797 A KR1020070080797 A KR 1020070080797A KR 20070080797 A KR20070080797 A KR 20070080797A KR 100852970 B1 KR100852970 B1 KR 100852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artial image
foreign language
parti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강원
Original Assignee
배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강원 filed Critical 배강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이미지 분할 기법을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언어 학습 교재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언어 학습 시스템은 학습 주제별로 생성되는 전체 이미지 및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외국어 문장 또는 어구에 따라 적어도 둘로 분할된 부분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입력 제어부를 통해 학습자가 학습 주제를 선택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학습자가 선택한 교재 데이터를 추출하는 교재 추출부, 교재 추출부에서 추출한 교재 데이터로부터 전체 이미지 및 부분 이미지를 검색하여 출력 제어부를 통해 출력하는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 교재 추출부에서 추출한 교재 데이터로부터 전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출력 제어부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 데이터 탐색부 및 교재 추출부에서 추출한 교재 데이터로부터 전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출력 제어부를 통해 출력하는 텍스트 데이터 탐색부를 포함하여, 외국어 학습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언어, 학습, 이미지, 분할

Description

이미지 분할 기법을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와 언어 학습 교재{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Training Using Image Division Mechanism, Recording Medium and Language Study Book Therefor}
본 발명은 언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 학습시 전체 이미지를 부분 이미지로 분할하여 부분 이미지별 언어 학습을 수행한 후 전체 이미지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는 이미지 분할 기법을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및 언어 학습 교재에 관한 것이다.
외국어 학습에 대한 필요성과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을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유아기나 아동기부터 외국어 조기 교육을 실시하여 학습 능률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현재, 유아동을 위한 외국어 학습은 주로, 특정 줄거리에 대해 작성된 이미지를 보면서 이미지가 나타내는 상황을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어로 들려 주고, 이를 따라 학습자가 발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학습 방법의 경우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어를 들려 줄 때 이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어떤 부분인지 특정할 수 없기 때문에, 외국어와 이미지를 매칭시켜 학습하는 데 한계가 있고, 유아동 학습자가 외국어와 이미지를 혼동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또한, 학습 교재의 한 페이지에 여러 문장에 대응되는 이미지가 함께 도시되어 있어 문장들에 대한 집중도가 저하되고, 특히 유아동 학습자의 경우 청취하고 있는 외국어에 대응하는 이미지 외의 그림에 관심을 갖게 되면 집중도 저하의 문제가 더욱 심화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 페이지에 하나의 문장에 대응하는 이미지만을 도시할 경우 전체 상황과 각 문장을 통합하여 이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및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정 줄거리에 대한 이미지를 전체 이미지 및 부분 이미지로 나누어 구성하고, 전체 상황에 대한 이해 후 부분 이미지별 언어 학습을 수행하여 언어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분할 기법을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 매체 및 언어 학습 교재를 제시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접속한 학습자에 대하여 특정 줄거리에 대한 전체 이미지를 제공하고 상황을 설명한 후,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부분 이미지들에 대한 언어 학습 후, 전체 이미지에 대한 언어 학습을 실시하여 효율적인 언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시스템은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학습 주제별로 생성되는 전체 이미지 및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외국어 문장 또는 어구에 따라 적어도 둘로 분할된 부분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입력 제어부를 통해 학습자가 학습 주제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교재 데이터를 추출하는 교재 추출부; 상기 교재 추출부에서 추출한 교재 데이터로부터 전체 이미지 및 부분 이미지를 검색하여 출력 제어부를 통해 출력하는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 상기 교재 추출부에서 추출한 교재 데이터로부터 전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 성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를 상기 출력 제어부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 데이터 탐색부; 및 상기 교재 추출부에서 추출한 교재 데이터로부터 전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를 상기 출력 제어부를 통해 출력하는 텍스트 데이터 탐색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학습자 단말기와 접속되는 언어 학습 시스템으로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통신망을 통해 학습자 단말기와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는 통신망 인터페이스; 학습 주제별로 생성되는 전체 이미지 및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외국어 문장 또는 어구에 따라 적어도 둘로 분할된 부분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학습 주제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교재 데이터를 추출하는 교재 추출부; 상기 교재 추출부에서 추출한 교재 데이터로부터 전체 이미지 및 부분 이미지를 검색하여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 상기 교재 추출부에서 추출한 교재 데이터로부터 전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성 데이터 탐색부; 및 상기 교재 추출부에서 추출한 교재 데이터로부터 전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텍스트 데이터 탐색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은 학습 주제별로 생성되는 전체 이미지 및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외국어 문장 또는 어구에 따라 적어도 둘로 분할된 부분 이미지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으로서, 학습자가 학습 주제를 선택함에 따라, 교재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교재 데이터로부터 전체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 2 단계;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3 단계;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부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면서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4 단계;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부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면서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음성 출력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각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발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전체 이미지를 출력하면서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음성 출력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발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은 학습 주제별로 생성되는 전체 이미지 및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외국어 문장 또는 어구에 따라 적어도 둘로 분할된 부분 이미지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으로서, 학습자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학습 주제를 선택함에 따라 교재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교재 데이터로부터 전체 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부분 이미 지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면서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부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면서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음성 출력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각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발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전체 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면서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음성 출력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발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학습 주제별로 생성되는 전체 이미지 및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외국어 문장 또는 어구에 따라 적어도 둘로 분할된 부분 이미지를 이용한 언어 학습을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서, 학습자가 학습 주제를 선택함에 따라, 교재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1 기능; 상기 교재 데이터로부터 전체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 2 기능;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3 기능;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부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면서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4 기능;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부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면서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음성 출력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각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발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5 기능; 및 상기 전체 이미지를 출력하면서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음성 출력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발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6 기능;을 순차적으로 실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교재는 일 면에 학습 주제별로 작성되는 전체 이미지가 배치되는 제 1 지면부; 및 상기 전체 이미지를 적어도 둘로 분할한 부분 이미지가 각각 일 면에 배치되는 제 2 지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 주제별로 전체 이미지를 통해 상황을 이해한 후, 전체 이미지를 적어도 둘로 분할한 부분 이미지별로 외국어 학습을 수행한 후, 전체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외국어 학습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특정 주제에서 도출될 수 있는 문장에 따른 상황을 부분 이미지로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각 문장이 어떠한 상황을 나타내는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학습하고 있는 외국어 문장을 각인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유아동 등 모국어를 습득하지 못한 학습자의 경우에도 전체 이미지 및 부분 이미지와 함께 외국어를 용이하게 학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시스템(10)은 전 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 교재 추출부(120),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130), 음성 데이터 탐색부(140), 텍스트 데이터 탐색부(150), 강조 처리부(160), 출력 제어부(170), 입력 제어부(180) 및 데이터베이스(190)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90)에는 학습 주제에 따라 학습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교재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도 2에 데이터베이스(190)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었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데이터베이스(190)는 각 교재별로 교재 식별자 필드, 전체 이미지 필드, 부분 이미지 필드, 음성 필드, 텍스트 필드 및 상황 설명 필드를 포함하며, 부분 이미지 필드는 전체 이미지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부분 이미지 필드는 순서 식별자 필드 및 데이터 필드로 세분되며, 순서 식별자 필드에는 부분 이미지의 전체 개수 및 전체 이미지의 부분 학습 순서에 따라 부분 이미지를 출력할 순서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저장된다.
음성 필드에는 전체 이미지 및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외국어가 음성 형태로 저장되고, 텍스트 필드에는 전체 이미지 및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외국어가 텍스트 형태로 저장된다.
한편, 상황 설명 필드에는 전체 이미지 및 부분 이미지 각각에 대응하는 상황을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모국어)로 저장되며, 이는 음성 및/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외국어 학습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학습 내용에 대 응하는 전체 이미지를 적어도 두 개의 부분 이미지로 분할한다. 이때, 부분 이미지는 하나의 문장에 대응하는 이미지 또는 하나의 어구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문장에 대응하는 부분 이미지 및 각 문장 부분 이미지를 분할한 어구 부분 이미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한 이미지는 학습 주제가 욕실인 경우 욕실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전체 이미지로서, 'Mommy is wiping her baby's face.', 'Daddy is shaving with a blue razor.', 'My sister is brushing her teeth with a tooth brush.'의 세 문장으로 표현하거나, 이를 각각 다시 분할하여 'Mommy is wiping', 'her baby's face.', 'Daddy is shaving', 'with a blue razor.', 'My sister is brushing her teeth', 'with a tooth brush.'의 여섯 개의 어구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세 문장(또는 여섯 개의 어구)을 하나의 전체 이미지를 통해 학습하는 경우 외국어에 익숙하지 않은 학습자는 청취하고 있는 외국어가 이미지의 어떤 부분에 대한 설명인지 이해하기 어렵다. 따라서, 도 10a 내지 10c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 문장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부분 이미지로 나누어 저장해 두고, 전체 이미지에 대한 상황 및 부분 이미지에 대한 상황을 모국어로 이해한 다음, 부분 이미지 각각에 대한 외국어 학습을 수행하고, 다시 전체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학습을 수행한다면 학습자가 이미지와 외국어를 정확하게 매칭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분 이미지는 전체 이미지로부터 분할되는 이미지가 될 수 있으며, 부분 이미지는 전체 이미지에 포함된 이미지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부분 이미지는 이에 대응하는 문장(또는 어구)을 표현할 수 있는 이미지라면 어떤 방식으로 표현되어도 무방하며 반드시 전체 이미지에 포함된 이미지와 동일할 필요는 없다. 즉, 부분 이미지를 이용한 부분 학습시의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전체 이미지에 속해 있는 경우보다 부분 이미지를 강조하여 처리할 수도 있고, 색감을 변화(유화, 수채화, 흑백)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만화 기법 등 다양한 기법으로 부분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부분 이미지는 해당 문장 또는 어구를 표현할 수 있는 이미지이면 어떠한 방식으로 생성되어도 무방하다는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언어 학습 시스템(10)의 각 구성부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재 추출부(120)는 학습자가 입력 제어부(180)를 통해 언어 학습 시스템(10)을 구동하고 학습할 교재(주제)를 선택함에 따라, 교재 식별자를 참조하여 데이터베이스(190)로부터 학습자가 선택한 교재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130)는 교재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교재 데이터로부터 전체 이미지 및 부분 이미지를 검색하여 출력 제어부(17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부분 이미지는 순서 식별자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130)는 학습이 개시됨과 함께 전체 학습 내용 설명을 위한 전체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하고, 부분 학습 내용 설명을 위한 부분 이미지를 순서 식별자에 따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출력하며, 이어서 부분 학습을 위하여 부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한 다음, 부분 이미지에 대한 학 습 완료 후 전체 이미지 학습을 위한 전체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여기에서, 부분 이미지는 학습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전체 이미지 크기로 확대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성 데이터 탐색부(140)는 교재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교재 데이터로부터 전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출력 제어부(170)를 통해 출력하고, 텍스트 데이터 탐색부(150)는 교재 추출부(120)에서 추출한 교재 데이터로부터 전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출력 제어부(170)를 통해 출력한다.
여기에서, 음성 데이터 탐색부(140) 및 텍스트 데이터 탐색부(150)는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160)에서 출력되는 이미지에 대응하여 음성 또는 텍스트를 추출하도록 제어된다.
이를 위하여 출력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72) 및 스피커(174)를 구동하며, 디스플레이(172)를 통해 전체 이미지, 부분 이미지, 텍스트 데이터를 출력하고, 스피커(174)를 통해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다.
한편, 강조 처리부(160)는 전체 이미지를 출력하고 이에 대응하는 외국어를 음성 출력할 때, 음성 출력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 이미지를 강조 처리하여 학습자가 어떤 부분에 대한 외국어가 출력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강조 처리는 해당 부분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해당 부분 이미지를 폐곡선으로 처리하거나, 해당 부분 이미지 부근에 대응하는 외국어를 텍스트 출력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 하여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해당 부분 이미지를 폐곡선으로 처리하여 강조하는 경우 폐곡선의 색깔에 변화를 주어 학습자가 해당 부분 이미지를 더욱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입력 제어부(180)는 키보드(182) 및 마이크(184)를 구비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186)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학습자가 언어 학습 시스템(10)을 구동하고(S101), 학습하고자 하는 교재를 선택함에 따라(S103), 교재 추출부(120)는 교재 식별자를 참조하여 학습자가 선택한 교재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130)는 전체 이미지를 출력한다(S105).
이후, 상황 설명 데이터의 저장 형태에 따라 음성 데이터 탐색부(140)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 탐색부(140)는 전체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 데이터를 음성 및/또는 텍스트로 출력하여 학습자가 전체 이미지가 어떠한 상황을 나타내는 이미지인지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S107).
다음,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130)는 순서 식별자를 참조하여 부분 이미지(문장 부분 이미지 및/또는 어구 부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음성 데이터 탐색부(140)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 탐색부(150)는 해당 부분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출력하여(S109), 학습자가 각 부분 이미지가 어떠한 상황을 나타내는 이미지인지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든 부분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이 완료되면,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130)는 부분 이미지를 다시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음성 데이터 탐색부(140)는 출력되는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외국어를 음성 출력한 후 학습자가 외국어를 따라 발화할 수 있도록 한다(S111). 여기에서, 외국어를 음성 출력함과 동시에, 또는 음성 출력이 완료된 후에 해당 외국어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출력하여 학습자가 인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부분 이미지를 문장 및 어구 단위로 분할해 둔 경우에는 하나의 문장을 구성하는 모든 어구에 대한 학습을 완료한 후, 해당 문장에 대한 학습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모든 부분 이미지에 대한 학습이 완료되면,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130)는 전체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하고, 이와 함께 음성 데이터 탐색부(140)가 전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외국어 음성 데이터를 출력한 후 학습자가 외국어를 따라 발화하도록 한다(S113). 이 경우에도 전에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를 음성 출력함과 동시에, 또는 음성 출력이 완료된 후에 해당 외국어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전체 이미지와 함께 외국어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때, 외국어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분 이미지를 강조 처리함으로써, 학습자가 어떤 부분에 대한 외국어 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는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부분 이미지 출력 및 설명 과정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130)는 순서 식별자를 참조하여 첫 번째 부분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하고(S1091), 음성 데이터 탐색부(140)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 탐색부(150)에 의해 음성 및/또는 텍스트 형태로 해당 부분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이 이루어진다(S1092). 다음, 제어부(110)는 직전에 출력한 부분 이미지의 식별자가 마지막 부분 이미지의 식별자인지 확인하여(S1093), 마지막 식별자가 아닌 경우에는 순서 식별자를 증가하고 단계 S1091로 복귀하고(S1094), 마지막 식별자인 경우 즉, 모든 부분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이 완료된 경우에는 단계 S111로 진행한다.
여기에서, 부분 이미지를 출력하는 경우 부분 이미지의 크기를 전체 이미지 크기로 확대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부분 이미지는 문장 부분 이미지 또는 어구 부분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부분 이미지 학습 과정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4에서 설명한 부분 이미지 출력 및 설명 과정과 유사하게,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130)는 순서 식별자를 참조하여 첫번째 부분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하고(S1111), 음성 데이터 탐색부(140)에 의해 해당 부분 이미지에 외국어가 출력된다 (S1112). 이후, 학습자가 단계 S1112에서 청취한 외국어를 발화할 동안 대기한 후(S1113), 제어부(110)는 직전에 출력한 부분 이미지의 식별자가 마지막 부분 이미지의 식별자인지 확인하여(S1114), 마지막 식별자가 아닌 경우에는 순서 식별자를 증가하고 단계 S1111로 복귀하고(S1115), 마지막 식별자인 경우 즉, 모든 부분 이미지에 대한 학습이 완료된 경우에는 단계 S113으로 진행한다.
부분 이미지 학습 과정에서도 부분 이미지를 출력할 때 부분 이미지를 전체 이미지 크기로 확대하여 출력하게 되면 학습자가 자신이 현재 학습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이미지를 더욱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개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전에 이미지에 대한 학습을 수행하기 전, 각 문장에 대응하는 부분 이미지에 대한 학습을 미리 수행하고, 부분 이미지에 대한 학습 완료 후 전체 이미지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학습자가 청취하고 있는 외국어와 이미지를 정확하게 매칭시킬 수 있고, 각 부분 이미지에 대한 상황을 외국어로 표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학습을 수행하기 전 전체 이미지 및 부분 이미지에 대한 상황을 학습자자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미리 설명해 줌으로써, 외국어 학습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언어 학습 시스템(10)은 단품으로 제작할 수 있고, 특히 휴대형으로 제작하는 경우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외국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통신 기술의 발달과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현재는 온라인으로 외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언어 학습 시스템 또한 온라인 학습 가능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시스템과 통신망과의 접속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시스템(20)은 통신망(30)을 통해 학습자 단말기(40)와 접속되며, 학습자 단말기(40)는 데스크 탑 PC, 노트북, 휴대 통신 단말, PDA 등이 될 수 있다.
학습자는 유무선 단말기(40)를 이용하여 통신망(30)을 통해 언어 학습 시스템(20)에 접속하여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언어 학습 시스템(20)의 상세 구성은 도 7과 같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언어 학습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시스템(20)은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10), 사용자 관리부(220), 교재 관리부(230), 통신망 인터페이스(240), 데이터베이스(250), 교재 추출부(120),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130), 음성 데이터 탐색부(140), 텍스트 데이터 탐색부(150) 및 강조 처리부(160)를 포함한다.
사용자 관리부(220)는 통신망(30)을 통해 언어 학습 시스템(20)에 접속하여 외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정보(ID, 비밀번호, 주민등록번호 등)를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 및 관리한다.
교재 관리부(230)는 학습 주제별로 생성한 교재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 및 관리하고, 신규 교재가 생성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250)를 갱신한다. 여기에서, 교재 데이터는 전체 이미지, 적어도 두 개의 부분 이미지, 음성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고 데이터 구조는 상술한 도 2와 유사하다.
통신망 인터페이스(240)는 통신망(30)을 통해 학습자 단말기와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한다.
아울러, 교재 추출부(120),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130), 음성 데이터 탐색 부(140), 텍스트 데이터 탐색부(150) 및 강조 처리부(160)는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시스템(20)은 학습자가 단말기(40)를 통해 언어 학습 시스템(20)에 접속한 후, 필요에 따라 로그-인을 수행한 다음 학습 교재를 선택함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언어 학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언어 학습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언어 학습 시스템(20)은 학습자에게 제공할 적어도 하나의 학습 교재를 구축해 두어야 하고(S201), 학습자가 학습자 단말기(40)를 통해 언어 학습 시스템(20)에 접속하면(S203),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된 학습 교재 리스트를 제공하여 학습할 교재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학습자가 교재를 선택함에 따라(S205), 언어 학습 시스템(20)의 교재 추출부(120)는 교재 식별자를 참조하여 데이터베이스(250)로부터 교재 데이터를 추출하며,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130)는 데이터베이스(250)로부터 전체 이미지를 추출하고 음성 데이터 탐색부(140)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 탐색부(150)는 전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추출하여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한다(S207).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130)는 데이터베이스(250)로부터 부분 이미지를 추출하고 음성 데이터 탐색부(140) 및/또는 텍스트 데이터 탐색부(150)는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추출하여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며(S209), 이러한 과정은 순서 식별자를 참조하여 모든 부분 이미지에 대하여 수행된다. 즉, 직전에 추출한 부분 이미지의 식별자가 마지막 식별자인지 확인하여(S211), 마지막 식별자가 아닌 경우 순서 식별자를 증가시킨 후(S213), 단계 S209로 진행하여 마지막 부분 이미지까지 추출하면서 상황 설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각 부분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이 완료되면, 다시 첫번째 부분 이미지로부터 마지막 부분 이미지까지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전송하면서 각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외국어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215~S221). 즉,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130)에 의해 첫번째 부분 이미지를 추출하는 한편, 음성 데이터 탐색부(140)에 의해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외국어 음성 데이터를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고(S215), 학습자가 청취한 외국어 음성 데이터를 발화하면(S217), 직전에 전송한 부분 이미지가 마지막 부분 이미지인지 확인한다(S219). 확인 결과 마지막 부분 이미지가 아닌 경우에는 순서 식별자를 증가시킨 후(S221) 단계 S215로 복귀하여 마지막 부분 이미지까지 부분 이미지 및 외국어 음성 데이터 출력, 학습자의 발화 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부분 이미지에 대한 학습이 완료되면,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130)는 전체 이미지를 추출하고 음성 데이터 탐색부(140)는 전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외국어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고(S223), 학습자가 전체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음성 데이터를 청취한 후 발화하도록 한다(S225).
단계 S223에서 전체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음성 데이터 출력시, 강조 처리부(160)에 의해 음성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분 이미지를 강조 처리함으로써 학습자 가 외국어 음성 데이터가 어떤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강조 처리는 해당 부분 이미지를 확대하거나, 해당 부분 이미지를 폐곡선으로 처리하거나, 해당 부분 이미지 부근에 대응하는 외국어를 텍스트 출력하는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해당 부분 이미지를 폐곡선으로 처리하여 강조하는 경우 폐곡선의 색깔에 변화를 주어 학습자가 해당 부분 이미지를 더욱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와 같은 학습 방법은 학습 교재를 CD, DVD와 같은 기록 매체에 저장하고, 제어부에 따라 각 구성부의 기능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도록 기록 매체를 제작하여, 언어 학습 시스템에 접속하지 않고도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학습 교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학습 교재는, 일 면에 학습 주제별로 작성되는 전체 이미지가 배치되고, 전체 이미지가 배치된 배면에 전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외국어 텍스트가 배치되는 제 1 지면부(A), 전체 이미지를 적어도 둘로 분할한 부분 이미지가 각각 일 면에 배치되고, 부분 이미지가 배치된 배면에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텍스트가 배치되는 제 2 지면부(B)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제 1 지면부(A)의 정면에는 도 9에 도시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제 1 지면부(A)의 배면에는 'Mommy is wiping her baby's face. Daddy is shaving with a blue razor. My sister is brushing her teeth with a tooth brush.'라는 외국어 텍스트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지면부(B)는 3장의 지면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각각 도 10a 내지 10c에 도시한 이미지가 각 지면의 정면에 배치되고, 각 지면의 배면에는 'Mommy is wiping her baby's face.', 'Daddy is shaving with a blue razor.', 'My sister is brushing her teeth with a tooth brush.'가 각각 외국어 텍스트로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및 제 2 지면부(A, B)의 배면에는 외국어 텍스트에 대응하는 번역 텍스트를 더 배치할 수 있으며, 일 측에 학습자의 보호자로부터 학습 사실을 확인받기 위한 확인란을 더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학습 교재를 사용하는 경우, 학습자는 한 면에 하나씩 배치된 부분 이미지를 보면서 해당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를 학습하고, 부분 이미지가 모두 포함되어 있는 전체 이미지를 보면서 학습 주제별 통합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배면에 배치된 외국어 텍스트를 통해 학습 중인 외국어의 기재 방법 또한 학습할 수 있으며, 번역 텍스트를 통해 해당 부분 이미지 및 전체 이미지가 어떠한 의미를 나타내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부분 이미지 출력 및 설명 과정의 상세 흐름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부분 이미지 학습 과정의 상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시스템과 통신망과의 접속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언어 학습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언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체 이미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a 내지 10c는 도 9에 도시한 전체 이미지에 대한 부분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학습 교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20 : 언어 학습 시스템 110, 210 : 제어부
120 : 교재 추출부 130 :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
140 : 음성 데이터 탐색부 150 : 텍스트 데이터 탐색부
160 : 강조 처리부 170 : 출력 제어부
180 : 입력 제어부 190 : 데이터베이스
30 : 통신망 40 : 학습자 단말기
220 : 사용자 관리부 230 : 교재 관리부
240 : 통신망 인터페이스 250 : 데이터베이스

Claims (40)

  1.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학습 주제별로 생성되는 전체 이미지 및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외국어 문장 또는 어구에 따라 적어도 둘로 분할된 부분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입력 제어부를 통해 학습자가 학습 주제를 선택함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교재 데이터를 추출하는 교재 추출부;
    상기 교재 추출부에서 추출한 교재 데이터로부터 전체 이미지 및 부분 이미지를 검색하여 출력 제어부를 통해 출력하는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
    상기 교재 추출부에서 추출한 교재 데이터로부터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를 상기 출력 제어부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 데이터 탐색부; 및
    상기 교재 추출부에서 추출한 교재 데이터로부터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를 상기 출력 제어부를 통해 출력하는 텍스트 데이터 탐색부;
    를 포함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2. 통신망을 통해 학습자 단말기와 접속되는 언어 학습 시스템으로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통신망을 통해 학습자 단말기와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는 통신망 인터페이스;
    학습 주제별로 생성되는 전체 이미지 및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외국어 문장 또는 어구에 따라 적어도 둘로 분할된 부분 이미지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학습자 단말기에 의해 학습 주제가 선택됨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학습자가 선택한 교재 데이터를 추출하는 교재 추출부;
    상기 교재 추출부에서 추출한 교재 데이터로부터 상기 전체 이미지 및 부분 이미지를 검색하여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
    상기 교재 추출부에서 추출한 교재 데이터로부터 전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음성 데이터 탐색부; 및
    상기 교재 추출부에서 추출한 교재 데이터로부터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텍스트 데이터 및 상황 설명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텍스트 데이터 탐색부;
    를 포함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학습 주제별로 교재 식별자 필드, 전체 이미지 필드, 적어도 둘의 부분 이미지 필드, 음성 필드, 텍스트 필드 및 상황 설명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이미지 필드는 순서 식별자 필드 및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순서 식별자 필드는 부분 이미지의 전체 개수 및 해당 부분 이미지의 출력 순서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필드에는 전체 이미지 및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외국어가 음성 형태로 저장되고, 상기 텍스트 필드에는 전체 이미지 및 부분 이미지에 대응하는 외국어가 텍스트 형태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설명 필드에는 전체 이미지 및 부분 이미지 각각에 대응하는 상황에 대한 설명이 학습자가 기 선택한 언어로 작성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는, 학습이 개시됨과 함께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체 학습 내용 설명을 위한 상기 전체 이미지를 추출하고, 부분 학습 내용 설명을 위한 상기 부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추출하며, 상기 부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부분 학습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전체 이미지를 추출하여 전체 학습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는, 상기 부분 이미지를 상기 전체 이미지 크기로 확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데이터 탐색부 및 텍스트 데이터 탐색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에서 추출되는 이미지에 대응하는 음성 또는 텍스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학습 시스템은, 상기 이미지 데이터 탐색부가 전체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음성 데이터 탐색부가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응하는 외국어를 음성 추출하는 경우, 외국어 음성 출력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 이미지를 강조하는 강조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학습 시스템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언어 학습 시스템에 접속하여 외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학습 시스템은, 학습 주제별로 생성한 교재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고, 신규 교재가 생성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교재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13. 학습 주제별로 생성되는 전체 이미지 및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외국어 문장 또는 어구에 따라 적어도 둘로 분할된 부분 이미지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으로서,
    학습자가 학습 주제를 선택함에 따라, 교재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교재 데이터로부터 전체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 2 단계;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3 단계;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부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면서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4 단계;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부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면서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음성 출력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각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발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전체 이미지를 출력하면서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음성 출력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발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언어 학습 방법.
  14. 학습 주제별로 생성되는 전체 이미지 및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외국어 문장 또는 어구에 따라 적어도 둘로 분할된 부분 이미지를 이용한 언어 학습 방법으로서,
    학습자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학습 주제를 선택함에 따라 교재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상기 교재 데이터로부터 전체 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 단계;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부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면서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4 단계;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부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면서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음성 출력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각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발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전체 이미지를 추출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전송하면서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 음성 출력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발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언어 학습 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이미지는, 부분 이미지의 전체 개수 및 해당 부분 이미지의 출력 순서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4 단계는, 상기 순서 식별자를 참조하여 부분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제 4-1 단계;
    상기 제 4-1 단계에서 출력한 부분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4-2 단계;
    상기 제 4-1 단계에서 출력한 부분 이미지의 순서 식별자가 마지막 부분 이미지의 식별자인지 확인하는 제 4-3 단계;
    상기 제 4-3 단계의 확인 결과, 마지막 식별자가 아닌 경우에는 순서 식별자를 증가한 후 상기 제 4-1 단계로 복귀하는 제 4-4 단계; 및
    상기 제 4-3 단계의 확인 결과, 마지막 식별자인 경우 상기 제 5 단계로 진 행하는 제 4-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16.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이미지는, 부분 이미지의 전체 개수 및 해당 부분 이미지의 출력 순서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순서 식별자를 참조하여 부분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제 5-1 단계;
    상기 제 5-1 단계에서 출력한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음성 출력하는 제 5-2 단계;
    상기 제 5-2 단계에서 음성 출력한 외국어 문장을 상기 학습자가 발화하는 동안 대기하는 제 5-3 단계;
    상기 제 5-1 단계에서 출력한 부분 이미지의 순서 식별자가 마지막 부분 이미지의 식별자인지 확인하는 제 5-4 단계;
    상기 제 5-4 단계의 확인 결과, 마지막 식별자가 아닌 경우에는 순서 식별자를 증가한 후 상기 제 5-1 단계로 복귀하는 제 5-5 단계; 및
    상기 제 5-4 단계의 확인 결과, 마지막 식별자인 경우 상기 제 6 단계로 진행하는 제 5-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1 단계는, 상기 부분 이미지를 전체 이미지 크기로 확대하여 출력 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1 단계는, 상기 부분 이미지를 전체 이미지 크기로 확대하여 출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19.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이미지 및 부분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 데이터는 학습자가 기 선택한 언어로 작성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20.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음성 출력함과 동시에, 또는 음성 출력이 완료된 후에 해당 외국어 문장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21.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음성 출력함과 동시에, 또는 음성 출력이 완료된 후에 해당 외국어 문장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22.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단계는, 전체 이미지와 함께 외국어 문장을 음성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외국어 문장에 대응하는 부분 이미지를 강조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23.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이미지는,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외국어 문장에 따른 문장 부분 이미지 및 상기 문장을 구성하는 외국어 어구에 따른 어구 부분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 5 단계는, 상기 문장 부분 이미지를 구성하는 상기 어구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각 어구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발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5-1 단계; 및
    상기 어구 부분 이미지에 대한 학습이 완료되면 상기 문장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음성 출력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문장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발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5-2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방법.
  24. 학습 주제별로 생성되는 전체 이미지 및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외국어 문장 또는 어구에 따라 적어도 둘로 분할된 부분 이미지를 이용한 언어 학습을 위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서,
    학습자가 학습 주제를 선택함에 따라, 교재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1 기능;
    상기 교재 데이터로부터 전체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 2 기능;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3 기능;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부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면서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4 기능;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각 부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면서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음성 출력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각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발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5 기능; 및
    상기 전체 이미지를 출력하면서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음성 출력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발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6 기능;
    을 순차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이미지는, 부분 이미지의 전체 개수 및 해당 부분 이미지의 출력 순서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4 기능은, 상기 순서 식별자를 참조하여 부분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제 4-1 기능;
    상기 제 4-1 기능에 의해 출력한 부분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 데이터를 출 력하는 제 4-2 기능;
    상기 제 4-1 기능에 의해 출력한 부분 이미지의 순서 식별자가 마지막 부분 이미지의 식별자인지 확인하는 제 4-3 기능;
    상기 제 4-3 기능에 의한 확인 결과, 마지막 식별자가 아닌 경우에는 순서 식별자를 증가한 후 상기 제 4-1 기능을 수행하는 제 4-4 기능; 및
    상기 제 4-3 기능에 의한 확인 결과, 마지막 식별자인 경우 상기 제 5 기능을 실현하도록 하는 4-5 기능;
    을 더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이미지는, 부분 이미지의 전체 개수 및 해당 부분 이미지의 출력 순서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5 기능은, 상기 순서 식별자를 참조하여 부분 이미지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제 5-1 기능;
    상기 제 5-1 기능에 의해 출력한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음성 출력하는 제 5-2 기능;
    상기 제 5-2 기능에 의해 음성 출력한 외국어 문장을 상기 학습자가 발화하는 동안 대기하는 제 5-3 기능;
    상기 제 5-1 기능에 의해 출력한 부분 이미지의 순서 식별자가 마지막 부분 이미지의 식별자인지 확인하는 제 5-4 기능;
    상기 제 5-4 기능에 의한 확인 결과, 마지막 식별자가 아닌 경우에는 순서 식별자를 증가한 후 상기 제 5-1 기능을 수행하는 제 5-5 기능; 및
    상기 제 5-4 기능에 의한 확인 결과, 마지막 식별자인 경우 상기 제 6 기능을 수행하는 제 5-6 기능;
    을 더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1 기능은, 상기 부분 이미지를 전체 이미지 크기로 확대하여 출력하는 기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이미지 및 부분 이미지에 대한 상황 설명 데이터는 학습자가 기 선택한 언어로 작성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기능은, 상기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음성 출력함과 동시에, 또는 음성 출력이 완료된 후에 해당 외국어 문장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더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0.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이미지는, 상기 전체 이미지를 구성하는 외국어 문장에 따른 문장 부분 이미지 및 상기 문장을 구성하는 외국어 어구에 따른 어구 부분 이미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 5기능은, 상기 문장 부분 이미지를 구성하는 상기 어구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순차적으로 음성 출력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각 어구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발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5-1 기능; 및
    상기 어구 부분 이미지에 대한 학습이 완료되면 상기 문장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음성 출력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문장 부분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발화하도록 유도하는 제 5-2 기능;
    을 더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1.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기능은, 상기 전체 이미지에 대한 외국어 문장을 음성 출력함과 동시에, 또는 음성 출력이 완료된 후에 해당 외국어 문장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더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2.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6 기능은, 전체 이미지와 함께 외국어 문장을 음성 출력함과 동시 에, 상기 외국어 문장에 대응하는 부분 이미지를 강조 처리하는 기능을 더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KR1020070080797A 2007-01-24 2007-08-10 이미지 분할 기법을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기록매체와 언어 학습 교재 KR100852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312 2007-01-24
KR20070007312 2007-0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2970B1 true KR100852970B1 (ko) 2008-08-19

Family

ID=39878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797A KR100852970B1 (ko) 2007-01-24 2007-08-10 이미지 분할 기법을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기록매체와 언어 학습 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97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428B1 (ko) 2012-09-13 2014-06-10 정철 퍼즐을 이용한 외국어 교육 방법 및 장치
KR101518680B1 (ko) * 2014-10-29 2015-05-11 이미숙 실어증 및 인지-의사소통장애 환자를 위한 언어교육 교재
CN109145759A (zh) * 2018-07-25 2019-01-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车辆属性识别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20200094350A (ko)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단어의 컨셉 메이커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KR20200109749A (ko) 2019-03-14 2020-09-23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컨셉 이미지를 통한 언어 습득 효율 향상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2202A (en) 1994-11-22 1999-03-16 Softrade International Method and system for aiding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KR20000054518A (ko) * 2000-06-09 2000-09-05 배용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방법 및시스템
KR20010008391A (ko) * 2000-11-30 2001-02-05 최세현 인터넷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49791A (ko) * 2001-12-17 2003-06-25 변성환 언어학습장치, 언어학습방법 및 저장매체
KR20030092965A (ko) * 2002-05-31 2003-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학습 방법의 프로그램을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저장한 기록매체
KR200434905Y1 (ko) 2006-09-30 2006-12-29 최재봉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대응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다이어그램을 매개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KR200434909Y1 (ko) * 2006-09-30 2006-12-29 최재봉 다이어그램이 포함된 전체 이미지와 부분 이미지를 활용한영어 학습 교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2202A (en) 1994-11-22 1999-03-16 Softrade International Method and system for aiding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KR20000054518A (ko) * 2000-06-09 2000-09-05 배용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방법 및시스템
KR20010008391A (ko) * 2000-11-30 2001-02-05 최세현 인터넷을 통한 외국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49791A (ko) * 2001-12-17 2003-06-25 변성환 언어학습장치, 언어학습방법 및 저장매체
KR20030092965A (ko) * 2002-05-31 2003-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학습 방법의 프로그램을컴퓨터가 읽을 수 있도록 저장한 기록매체
KR200434905Y1 (ko) 2006-09-30 2006-12-29 최재봉 전체 이미지에서 선택되는 대응 부분 이미지 간의 표현된다이어그램을 매개로 하는 어학 학습 교재
KR200434909Y1 (ko) * 2006-09-30 2006-12-29 최재봉 다이어그램이 포함된 전체 이미지와 부분 이미지를 활용한영어 학습 교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428B1 (ko) 2012-09-13 2014-06-10 정철 퍼즐을 이용한 외국어 교육 방법 및 장치
KR101518680B1 (ko) * 2014-10-29 2015-05-11 이미숙 실어증 및 인지-의사소통장애 환자를 위한 언어교육 교재
CN109145759A (zh) * 2018-07-25 2019-01-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车辆属性识别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20200094350A (ko)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단어의 컨셉 메이커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KR20200109749A (ko) 2019-03-14 2020-09-23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컨셉 이미지를 통한 언어 습득 효율 향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own Young learners’ transactions with interactive digital texts using e-readers
Powers Transcription techniques for the spoken word
Plowman et al. The big picture? Video and the representation of interaction
Guzmán Gámez et al. The use of Plotagon to enhance the English writing skill in secondary school students
Cheng et al. A corpus-driven study of discourse intonation: the Hong Kong corpus of spoken English (prosodic)
WO2016185289A1 (en) Device for language teaching with time dependent data memory
Schlögl et al. Wizard of Oz experimentation for language technology applications: Challenges and tools
CN111739556B (zh) 一种语音分析的系统和方法
CN109712446A (zh) 基于生词检测的语言学习方法
McKee et al. The online dictionary of New Zealand Sign Language: A case study of contemporary sign lexicography
Winke et al. Taking a closer look at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 case study of a Chinese foreign language class
KR100852970B1 (ko) 이미지 분할 기법을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기록매체와 언어 학습 교재
JP4383328B2 (ja) 意味的速記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Rangan et al. Thinking with an accent: Toward a new object, method, and practice
Ginsberg Multimodal semiotics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KR100882855B1 (ko) 다중 표현 이미지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기록매체와 언어 학습 교재
JP6656529B2 (ja) 外国語の会話訓練システム
KR20090097484A (ko) 다중 표현 문장이미지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와 언어 학습 교재
Johnson An integrated approach for teaching speech spectrogram analysis to engineering students
Lane et al. A computational model for interactive transcription
Heath Tweeting out loud: Prosodic orthography on social media
Bettinson et al. Learning through transcription
KR20210065422A (ko) 전체 이미지와 부분 이미지를 활용한 언어 학습 방법 및 학습 교재
Mills Optophones and musical print
Rangan et al. Thinking with an Acc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